KR102493428B1 - 초미세입자 수분과포화 분무방식의 바이러스 소독장치 - Google Patents

초미세입자 수분과포화 분무방식의 바이러스 소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428B1
KR102493428B1 KR1020200157525A KR20200157525A KR102493428B1 KR 102493428 B1 KR102493428 B1 KR 102493428B1 KR 1020200157525 A KR1020200157525 A KR 1020200157525A KR 20200157525 A KR20200157525 A KR 20200157525A KR 102493428 B1 KR102493428 B1 KR 102493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mist
disinfectant
pendulum
ult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7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1993A (ko
Inventor
정응식
Original Assignee
정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응식 filed Critical 정응식
Priority to KR1020200157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3428B1/ko
Publication of KR20220071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1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08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the weight of a reservoir or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sponsive to level or volum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n a reservoir or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면에 캐스터휠(111)이 형성되고, 상단에 손잡이(112)가 형성된 본체(110), 청수와 ULV용 약제가 배합된 소독액을 저장하는 소독액탱크(120), 소독액을 초음파방식에 의한 진동자(131)의 진동에 의해 마이크로입자 크기의 미스트로 생성하는 진자탱크(130), 소독액탱크(120)로부터 진자탱크(130)로 소독액을 공급하는 소독액펌프(140), 진자탱크(130) 내에 압력을 형성하여 진자탱크(130)로부터 미스트를 배출하도록 하는 응축팬(150), 진자탱크(130) 내의 소독액의 높이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160), 진자탱크(130)와 연통되어 형성되고, 미스트 분사방향을 조정하도록 형성된 2기 이상의 분사관(170), 상대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 및 수위 센서(160)에 의해 감지된 소독액 높이에 따라 소독액펌프(140)를 제어하여 진자탱크(130)로의 소독액 공급량을 조절하고, 진동자(131) 및 응축팬(15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하여, 진자탱크(130)로부터 미스트를 순간적으로 폭발시켜 소독공간의 상대습도를 100% 이상의 과포화상태로 형성하여 비말 또는 먼지감염을 유발하는 부유 바이러스를 포집하여 살균하고, 미스트의 지속적인 분사에 의한 응결현상에 의해 표면부착 바이러스를 살균할 수 있는, 초미세입자 수분과포화 분무방식의 바이러스 소독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초미세입자 수분과포화 분무방식의 바이러스 소독장치{VIRUS CLEAR APPARATUS FOR SPRAYING ULTRA-FINE GRAINED IN MOISTURE OVERSATURATED STATE}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소독액으로 소독공간 내의 공기를 소독하면서 사각지대없이 소독공간의 모든 물체를 소독할 수 있는, 초미세입자 수분과포화 분무방식의 바이러스 소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Coved 19 바이러스로 모든 인류가 바이러스 위협에 노출되어 생명의 위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위중한 때에 방역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점에 효과적인 실내 공간의 소독을 위한 방역 제품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한편, 실내 공간의 소독의 방법에는 연무 소독과 분무 소독의 방법으로 나누어지는데, 연무 소독은 소독제와 휘발성 용제와 결합하여 1㎛ 내지 30㎛ 이하의 수증기를 만들어 소독을 하는 방식으로서, 이는 수증기를 만들 때 발생하는 열로 약품의 효능이 급격히 하락하고, 생성되는 수증기의 크기가 너무 미세하여 실내의 내부에서 사용시 화재경보기의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어 사용이 매우 제한적이다.
또한, 분무 소독 방식의 장비들은 물방울 입자의 크기에 의해 초미립자(50㎛ 이하) 분무기, 미스트(50㎛ 내지 100㎛) 분무기, 압축공기 분무기(100㎛ 내지 400㎛)로 나누어진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분무기로 실내의 내부를 소독을 실시하지만 공간을 모두 소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예컨대, 넓은 공간일수록 많은 인력이 동원되어야 하고, 공간의 모든 면을 소독하는 것에는 한계가 분명히 있다.
이를 보완하고자 대용량의 분무기를 사용할 수는 있으나, 물방울의 크기가 너무 커서 실내에 소독을 실시할 경우 너무 많은 물의 양으로 전기 제품에 치명적 손상을 일으킬 위험이 있어 실내 사용이 어렵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실내 공간 소독의 개념은 실내에 있는 모든 접촉면의 소독과 실내 공기의 소독 두 가지 방향으로 소독을 실시하여야 내부 소독이 완료된다.
한편, 실내의 접촉면을 모두를 소독하기 위해서는 소독약품의 정확한 배율에 의해 공간의 모든 면에 약품을 도포하여야 하여야 한다. 이를 통상적인 물방울의 크기로 도포할 경우 너무 많은 물량이 소모되어 실제 현장에서는 사용이 어렵고, 연막 소독의 방식의 너무 작은 물방울들은 공기 중 자유 운동을 하여 소방화재 경보기에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고, 너무 큰 물방울은 전기 제품에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에, 적은 양의 소독액으로 소독공간 내의 공기를 소독하면서 사각지대없이 소독공간의 모든 물체를 소독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16455호 (복합 산화 미스트 분무에 의한 탈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취 방법, 2018.11.0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48311호 (플라즈마 제트를 이용한 복합 소독유체 분무식 멸균장치 및 방법, 2018.04.06)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적은 양의 소독액으로 소독공간 내의 공기를 소독하면서 사각지대없이 소독공간의 모든 물체를 소독할 수 있는, 초미세입자 수분과포화 분무방식의 바이러스 소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저면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캐스터휠이 형성되고, 상단에 손잡이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하단에 배치되어 청수와 ULV용 약제가 배합된 소독액을 저장하는 소독액탱크; 상기 본체의 내부 상단에 배치되어 소독액을 초음파방식에 의한 진동자의 진동에 의해 마이크로입자 크기의 미스트로 생성하는 진자탱크; 상기 소독액탱크로부터 상기 진자탱크로 소독액을 펌핑하여 공급하는 소독액펌프; 상기 본체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진자탱크 내에 압력을 형성하여 상기 진자탱크로부터 미스트를 배출하도록 하는 응축팬; 상기 진자탱크 내의 소독액의 높이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 상기 본체의 상단면에 상기 진자탱크와 연통되어 형성되고, 미스트 분사방향을 조정하도록 형성된 2기 이상의 분사관; 상대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 및 상기 수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소독액 높이에 따라 상기 소독액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진자탱크로의 소독액 공급량을 조절하고, 상기 진동자 및 상기 응축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진자탱크로부터 미스트를 순간적으로 폭발시켜 소독공간의 상대습도를 100% 이상의 과포화상태로 형성하여 비말 또는 먼지감염을 유발하는 부유 바이러스를 포집하여 살균하고, 미스트의 지속적인 분사에 의한 응결현상에 의해 표면부착 바이러스를 살균하도록 하는, 초미세입자 수분과포화 분무방식의 바이러스 소독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소독액펌프와 상기 진자탱크 사이에 소독액의 석회성분과 미네랄성분을 제거하는 필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자탱크 내에 UV를 조사하여 소독액을 살균하는 UV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제어부를 거쳐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송풍구를 통해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독액탱크의 적정수위 미달시와, 상기 진자탱크 내의 적정수위 미달시와, 소독공간의 상대습도 100% 이상 도달시와, 응결현상 후 소독완료시에, 스피커를 통해 해당 알람정보를 음성 또는 음악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자의 진동 주파수를 조정하여 미스트 발생량을 제어하고, 상기 응축팬의 팬속도에 의한 풍속을 조정하여 과포화 후 미스트의 충돌 가능성을 제어하여 응결수의 크기를 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자탱크로부터 상기 분사관으로의 토출구의 개폐 정도를 조정하여 미스트 분사량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자탱크는 30㎛ 내지 70㎛ 크기의 초미세입자 미스트를 70% 이상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LV용 약제는 10㎛ 내지 20㎛ 크기의 미립자 양이온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터치방식으로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외부 스마트기기와 통신가능한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스마트기기를 통해서 상기 제어부를 원격제어하고 작동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자탱크로부터 미스트를 0.3L/min 내지 0.5L/min의 분사속도로 순간적으로 폭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스트를 순간적으로 폭발시켜 소독공간에 확산시켜서, 소독공간의 상대습도를 100% 이상의 과포화상태로 형성하여 비말 또는 먼지감염을 유발하는 부유 바이러스를 포집하여 살균하고, 소독공간의 천장, 집기류 또는 가구의 표면에 미스트의 지속적인 분사에 의한 응결현상에 의해 부착되어 구강 또는 점액감염을 유발하는 표면부착 바이러스를 살균하도록 하여서,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소독액으로 소독공간 내의 공기를 소독하면서 작업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사각지대없이 소독공간의 모든 물체를 소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 단독으로 또는 무인으로 실내 공간을 소독할 수 있고, 이동식으로 제한된 시간에 넓은 공간을 신속하게 방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전기제품의 손상없이 안전하게 소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초미세입자 수분과포화 분무방식의 바이러스 소독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바이러스 소독장치의 내부구성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바이러스 소독장치의 다른 예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바이러스 소독장치의 내부구성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1의 도 1의 바이러스 소독장치에 의한 공간소독 사진을 예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초미세입자 수분과포화 분무방식의 바이러스 소독장치는, 저면에 캐스터휠(111)이 형성되고, 상단에 손잡이(112)가 형성된 본체(110), 청수와 ULV용 약제가 배합된 소독액을 저장하는 소독액탱크(120), 소독액을 초음파방식에 의한 진동자(131)의 진동에 의해 마이크로입자 크기의 미스트로 생성하는 진자탱크(130), 소독액탱크(120)로부터 진자탱크(130)로 소독액을 공급하는 소독액펌프(140), 진자탱크(130) 내에 압력을 형성하여 진자탱크(130)로부터 미스트를 배출하도록 하는 응축팬(150), 진자탱크(130) 내의 소독액의 높이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160), 진자탱크(130)와 연통되어 형성되고, 미스트 분사방향을 조정하도록 형성된 2기 이상의 분사관(170), 상대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 및 수위 센서(160)에 의해 감지된 소독액 높이에 따라 소독액펌프(140)를 제어하여 진자탱크(130)로의 소독액 공급량을 조절하고, 진동자(131) 및 응축팬(15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하여, 진자탱크(130)로부터 미스트를 순간적으로 폭발시켜 소독공간의 상대습도를 100% 이상의 과포화상태로 형성하여 비말 또는 먼지감염을 유발하는 부유 바이러스를 포집하여 살균하고, 미스트의 지속적인 분사에 의한 응결현상에 의해 표면부착 바이러스를 살균하도록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의 초미세입자 수분과포화 분무방식의 바이러스 소독장치를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체(110)는 외형을 형성하여 내부 구성을 보호하는 케이스로서 부식방지 페인트로 도포되거나 부식방지 합금으로 구성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의 네모서리에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캐스터휠(111)이 각각 형성되고, 상단 후면에는 손잡이(112)가 형성되어 이동과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소독액탱크(1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내부 하단에 배치되어 청수(fresh water)와 ULV(Ultra Low Volume;초미립자)용 약제가 배합되어 희석된 소독액을 저장한다.
여기서, ULV용 약제는 10㎛ 내지 20㎛ 크기의 미립자 양이온 계면활성제(cationic surface-active agent)로서 미생물, 세균, 특히 바이러스의 세포질막에 흡착되어 내용물을 유출시켜 세포를 파괴하여 살균하는데, 대표적으로 4급 암모늄 제제를 예로 들 수 있다.
다음, 진자탱크(1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내부 상단에 배치되어 소독액탱크(120)로부터 공급된 소독액을 초음파방식에 의한 초음파발생기인 진동자(131)의 20,000Hz 이상의 진동수의 진동에 의해 마이크로입자 크기의 미스트로 생성한다.
여기서, 제어부(180)를 통해 진동자(131)의 진동 주파수와 인가전압을 조정하여 미스트의 입자크기와 미스트의 생성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진자탱크(130) 내에 UV를 조사하여 소독액과 탱크내부를 살균하는 UV램프(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진자탱크(130)는 10㎛ 내지 30㎛ 크기의 초미세입자 미스트를 15% 이하, 30㎛ 내지 70㎛ 크기의 초미세입자 미스트를 70% 이상, 70㎛ 내지 100㎛ 크기의 초미세입자 미스트를 15% 이하 생성할 수 있는데, 30㎛ 크기 이하의 미스트는 공기 중 자유운동하여 소방화재 경보기에 문제를 발생시키거나 기화되어 소독효과가 없어지고, 70㎛ 크기 이상의 미스트는 전기제품에 문제를 발생시켜서, 실내 공간 소독에 30㎛ 내지 70㎛ 크기의 초미세입자 미스트가 주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진자탱크(130)로부터 미스트를 0.3L/min 내지 0.5L/min의 분사속도로 순간적으로 폭발시켜 소독공간으로 확산하면서 물체 표면적 전체를 도포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소독액펌프(14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독액탱크(120)로부터 진자탱크(130)로 소독액을 펌핑하여 공급한다.
한편, 도 3의 (a)를 참고하면, 소독액펌프(140)와 진자탱크(130) 사이에는 소독액의 석회성분과 미네랄성분을 제거하는 필터(141)가 형성되어서, 석회성분 또는 미네랄성분의 침착으로 인한 진동자(131)의 성능저하를 방지하도록 하되, 필터(141)는 ULV용 약제는 통과시키고 석회성분과 미네랄성분은 여과시키도록 구성된다.
다음, 응축팬(15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상단에 형성되어 외기를 흡기하여 진자탱크(130) 내에 압력을 형성하여 진자탱크(130)로부터 미스트를 순간 폭발적으로(micro droplet bomb) 실내 소독공간으로 배출하도록 한다.
한편, 응축팬(150)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분기하여 제어부(180)를 거쳐 본체(110)의 측면에 형성된 송풍구(151)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여서, 제어부(180)의 열기배출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 수위 센서(160)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자탱크(130) 내의 소독액의 높이를 감지하는데, 수위감지정보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소독액탱크(120)로부터 진자탱크(130)로의 소독액 공급량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분사관(170)은 2기 이상으로 구성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상단면에 진자탱크(130)와 연통되어 형성되고, 미스트 분사방향을 자유롭게 조정하도록 형성되어, 각각 상하 전후 방향을 선택하여 선택된 소독공간으로 동시에 미스트를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진자탱크(130)로부터 분사관(170)으로의 토출구(171)의 개폐 정도를 전자식 버터플라이 방식 또는 전자식 조리개 방식으로 조정하여 미스트 분사량을 조절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 습도센서(미도시)는 소독공간의 상대습도를 감지한다.
다음, 제어부(180)는 수위 센서(160)에 의해 감지된 소독액 높이에 따라 소독액펌프(140)를 제어하여 소독액탱크(120)로부터 진자탱크(130)로의 소독액 공급량을 조절하고, 진동자(131)의 진동 주파수와 인가전압 및 응축팬(150)의 팬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소독액탱크(120)의 적정수위 미달시와, 진자탱크(130) 내의 적정수위 미달시와, 소독공간의 상대습도 100% 이상 도달시와, 응결현상 후 소독완료시에, 스피커(181)(도 2의 (b) 참조)를 통해 해당 알람정보를 음성 또는 음악으로 제공하여 작업자가 쉽게 인지하여 신속하게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진동자(131)의 진동 주파수를 조정하여 미스트 발생량을 제어하고, 응축팬(150)의 팬속도에 의한 풍속을 조정하여 과포화 후 미스트의 충돌 가능성을 제어하여 응결수의 액적(droplet) 크기를 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방식으로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어부(180)는 외부 스마트기기와 통신가능한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스마트기기를 통해서 제어부(180)를 원격제어하고 작동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하여서, 소독공간의 소독시에 소독공간과 격리된 공간에서 작업자가 대기하면서 안전하게 소독을 수행할 수도 있고, 작업자 단독으로도 스마트기기를 통해서 다수의 바이러스 소독장치를 원격제어하고 작동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단일 공간 이외에 동일 층의 각 호별 소독공간 또는 상이한 층 사이의 소독공간에 대한 소독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초미세입자 수분과포화 분무방식의 바이러스 소독장치는 대용량의 소독액탱크(120)를 구비하는 반면에,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초미세입자 수분과포화 분무방식의 바이러스 소독장치는 일반용량의 소독액탱크(120)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체(110)는 외형을 형성하여 내부 구성을 보호하는 케이스로서 부식방지 페인트로 도포되거나 부식방지 합금으로 구성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의 네모서리에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캐스터휠(111)이 각각 형성되고, 상단 전면에는 손잡이(112)가 형성되어 이동과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소독액탱크(120)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내부 하단에 배치되어 청수와 ULV용 약제가 배합되어 희석된 소독액을 저장한다.
여기서, ULV용 약제는 10㎛ 내지 20㎛ 크기의 미립자 양이온 계면활성제로서 미생물, 세균, 특히 바이러스의 세포질막에 흡착되어 내용물을 유출시켜 세포를 파괴하여 살균하는데, 대표적으로 4급 암모늄 제제를 예로 들 수 있다.
다음, 진자탱크(13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내부 상단에 배치되어 소독액탱크(120)로부터 공급된 소독액을 초음파방식에 의한 초음파발생기인 진동자(131)의 20,000Hz 이상의 진동수의 진동에 의해 마이크로입자 크기의 미스트로 생성한다.
여기서, 제어부(180)를 통해 진동자(131)의 진동 주파수와 인가전압을 조정하여 미스트의 입자크기와 미스트의 생성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진자탱크(130) 내에 UV를 조사하여 소독액과 탱크내부를 살균하는 UV램프(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진자탱크(130)는 10㎛ 내지 30㎛ 크기의 초미세입자 미스트를 15% 이하, 30㎛ 내지 70㎛ 크기의 초미세입자 미스트를 70% 이상, 70㎛ 내지 100㎛ 크기의 초미세입자 미스트를 15% 이하 생성할 수 있는데, 30㎛ 크기 이하의 미스트는 공기 중 자유운동하여 소방화재 경보기에 문제를 발생시키거나 기화되어 소독효과가 없어지고, 70㎛ 크기 이상의 미스트는 전기제품에 문제를 발생시켜서, 실내 공간 소독에 30㎛ 내지 70㎛ 크기의 초미세입자 미스트가 주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진자탱크(130)로부터 미스트를 0.3L/min 내지 0.5L/min의 분사속도로 순간적으로 폭발시켜 소독공간으로 확산하면서 물체 표면적 전체를 도포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소독액펌프(140)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독액탱크(120)로부터 진자탱크(130)로 소독액을 펌핑하여 공급한다.
한편, 소독액펌프(140)와 진자탱크(130) 사이에는 소독액의 석회성분과 미네랄성분을 제거하는 필터(141)가 형성되어서, 석회성분 또는 미네랄성분의 침착으로 인한 진동자(131)의 성능저하를 방지하도록 하되, 필터(141)는 ULV용 약제는 통과시키고 석회성분과 미네랄성분은 여과시키도록 구성된다.
다음, 응축팬(15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상단 측면에 형성되어 외기를 흡기하여 진자탱크(130) 내에 압력을 형성하여 진자탱크(130)로부터 미스트를 순간 폭발적으로 실내 소독공간으로 배출하도록 한다.
한편, 응축팬(150)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분기하여 제어부(180)를 거쳐 본체(110)의 측면에 형성된 송풍구(151)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여서, 제어부(180)의 열기배출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 수위 센서(160)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자탱크(130) 내의 소독액의 높이를 감지하는데, 수위감지정보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소독액탱크(120)로부터 진자탱크(130)로의 소독액 공급량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분사관(170)은 2기 이상으로 구성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상단면에 진자탱크(130)와 연통되어 형성되고, 미스트 분사방향을 자유롭게 조정하도록 형성되어, 각각 상하 전후 방향을 선택하여 선택된 소독공간으로 동시에 미스트를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진자탱크(130)로부터 분사관(170)으로의 토출구(171)의 개폐 정도를 전자식 버터플라이 방식 또는 전자식 조리개 방식으로 조정하여 미스트 분사량을 조절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 습도센서(미도시)는 소독공간의 상대습도를 감지한다.
다음, 제어부(180)는 수위 센서(160)에 의해 감지된 소독액 높이에 따라 소독액펌프(140)를 제어하여 소독액탱크(120)로부터 진자탱크(130)로의 소독액 공급량을 조절하고, 진동자(131)의 진동 주파수와 인가전압 및 응축팬(150)의 팬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소독액탱크(120)의 적정수위 미달시와, 진자탱크(130) 내의 적정수위 미달시와, 소독공간의 상대습도 100% 이상 도달시와, 응결현상 후 소독완료시에, 스피커(181)(도 5의 (b) 참조)를 통해 해당 알람정보를 음성 또는 음악으로 제공하여 작업자가 쉽게 인지하여 신속하게 대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진동자(131)의 진동 주파수를 조정하여 미스트 발생량을 제어하고, 응축팬(150)의 팬속도에 의한 풍속을 조정하여 과포화 후 미스트의 충돌 가능성을 제어하여 응결수의 액적 크기를 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방식으로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어부(180)는 외부 스마트기기와 통신가능한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스마트기기를 통해서 제어부(180)를 원격제어하고 작동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하여서, 소독공간의 소독시에 소독공간과 격리된 공간에서 작업자가 대기하면서 안전하게 소독을 수행할 수도 있고, 작업자 단독으로도 스마트기기를 통해서 다수의 바이러스 소독장치를 원격제어하고 작동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단일 공간 이외에 동일 층의 각 호별 소독공간 또는 상이한 층 사이의 소독공간에 대한 소독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초미세입자 수분과포화 분무방식의 바이러스 소독장치에 의해서, 미스트를 순간적으로 폭발시켜 소독공간에 확산시켜서, 소독공간의 상대습도를 100% 이상의 과포화상태로 형성하여 비말 또는 먼지감염을 유발하는 부유 바이러스를 포집하여 살균하고, 소독공간의 천장, 집기류 또는 가구의 표면에 미스트의 지속적인 분사에 의한 응결현상에 의해 부착되어 구강 또는 점액감염을 유발하는 표면부착 바이러스를 살균하도록 하여서,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소독액으로 소독공간 내의 공기를 소독하면서 작업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사각지대없이 소독공간의 모든 물체를 소독할 수 있고, 작업자 단독으로 또는 무인으로 실내 공간을 소독할 수 있고, 이동식으로 제한된 시간에 넓은 공간을 신속하게 방역할 수 있고, 전기제품의 손상없이 안전하게 소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0 : 본체 111 : 캐스터휠
112 : 손잡이 120 : 소독액탱크
130 : 진자탱크 131 : 진동자
132 : UV램프 140 : 소독액펌프
141 : 필터 150 : 응축팬
151 : 송풍구 160 : 수위 센서
170 : 분사관 171 : 토출구
180 : 제어부 181 : 스피커

Claims (12)

  1. 저면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캐스터휠이 형성되고, 상단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부식방지 페인트로 도포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하단에 배치되어 청수와 ULV용 약제가 배합된 소독액을 저장하는 소독액탱크;
    상기 본체의 내부 상단에 배치되어 소독액을 초음파방식에 의한 진동자의 20000Hz 이상의 진동수의 진동에 의해 마이크로입자 크기의 미스트로 생성하는 진자탱크;
    상기 소독액탱크로부터 상기 진자탱크로 소독액을 펌핑하여 공급하는 소독액펌프;
    상기 본체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진자탱크 내에 압력을 형성하여 상기 진자탱크로부터 미스트를 배출하도록 하는 응축팬;
    상기 진자탱크 내의 소독액의 높이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
    상기 본체의 상단면에 상기 진자탱크와 연통되어 형성되고, 미스트 분사방향을 조정하도록 형성된 2기 이상의 분사관;
    상대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 및
    상기 수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소독액 높이에 따라 상기 소독액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진자탱크로의 소독액 공급량을 조절하고, 상기 진동자 및 상기 응축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진자탱크로부터 미스트를 순간적으로 폭발시켜 소독공간의 상대습도를 100% 이상의 과포화상태로 형성하여 비말 또는 먼지감염을 유발하는 부유 바이러스를 포집하여 살균하고, 미스트의 지속적인 분사에 의한 응결현상에 의해 표면부착 바이러스를 살균하도록 하며,
    상기 ULV용 약제는 10㎛ 내지 20㎛ 크기의 미립자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4급 암모늄 제제이고,
    상기 진자탱크 내에 UV를 조사하여 소독액과 탱크내부를 살균하는 UV램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자탱크는 30㎛ 내지 70㎛ 크기의 초미세입자 미스트를 70% 이상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외부 스마트기기와 통신가능한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스마트기기를 통해서 상기 제어부를 원격제어하고 작동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하며, 상기 스마트기기를 통해 다수의 바이러스 소독장치를 원격제어하고 작동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초미세입자 수분과포화 분무방식의 바이러스 소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액펌프와 상기 진자탱크 사이에 소독액의 석회성분과 미네랄성분을 제거하는 필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입자 수분과포화 분무방식의 바이러스 소독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제어부를 거쳐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송풍구를 통해 배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입자 수분과포화 분무방식의 바이러스 소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독액탱크의 적정수위 미달시와, 상기 진자탱크 내의 적정수위 미달시와, 소독공간의 상대습도 100% 이상 도달시와, 응결현상 후 소독완료시에, 스피커를 통해 해당 알람정보를 음성 또는 음악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입자 수분과포화 분무방식의 바이러스 소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자의 진동 주파수를 조정하여 미스트 발생량을 제어하고, 상기 응축팬의 팬속도에 의한 풍속을 조정하여 과포화 후 미스트의 충돌 가능성을 제어하여 응결수의 크기를 조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입자 수분과포화 분무방식의 바이러스 소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자탱크로부터 상기 분사관으로의 토출구의 개폐 정도를 조정하여 미스트 분사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입자 수분과포화 분무방식의 바이러스 소독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터치방식으로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입자 수분과포화 분무방식의 바이러스 소독장치.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자탱크로부터 미스트를 0.3L/min 내지 0.5L/min의 분사속도로 순간적으로 폭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미세입자 수분과포화 분무방식의 바이러스 소독장치.
KR1020200157525A 2020-11-23 2020-11-23 초미세입자 수분과포화 분무방식의 바이러스 소독장치 KR102493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525A KR102493428B1 (ko) 2020-11-23 2020-11-23 초미세입자 수분과포화 분무방식의 바이러스 소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525A KR102493428B1 (ko) 2020-11-23 2020-11-23 초미세입자 수분과포화 분무방식의 바이러스 소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993A KR20220071993A (ko) 2022-06-02
KR102493428B1 true KR102493428B1 (ko) 2023-01-30

Family

ID=81985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7525A KR102493428B1 (ko) 2020-11-23 2020-11-23 초미세입자 수분과포화 분무방식의 바이러스 소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34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529B1 (ko) * 2022-11-10 2023-05-09 주식회사 퓨어클 초음파식 연무 살균 소독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084B1 (ko) * 2018-06-28 2020-04-23 (주)빅케어리저브 실내공기의 살균 및 세척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051B1 (ko) * 2003-01-03 2005-05-16 주식회사 엔가드 날벌레 방제를 위한 초미량분무 자동방제장치 및 방법
KR20150061810A (ko) * 2013-11-28 2015-06-05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Uv led를 구비한 가습 공기청정기
KR101848311B1 (ko) 2016-04-22 2018-04-12 주식회사 에스피텍 플라즈마 제트를 이용한 복합 소독유체 분무식 멸균장치 및 방법
KR101916455B1 (ko) 2016-11-11 2018-11-07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 산화 미스트 분무에 의한 탈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취 방법
KR102151303B1 (ko) * 2018-06-24 2020-09-02 주식회사 디앤티 가습량을 증대하도록 개선된 기화식 가습장치
KR102192179B1 (ko) * 2018-12-11 2020-12-16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 분사구가 형성되는 출입자용 소독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084B1 (ko) * 2018-06-28 2020-04-23 (주)빅케어리저브 실내공기의 살균 및 세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1993A (ko)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0981B1 (ko) 공간소독기
US81771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mproved aerosol generator and associated uses and equipment
US10213803B1 (en) Destratification aerosol generator
KR101119977B1 (ko) 입자 분무형 몸소독기
US8359984B1 (en) Portable automated vent cover
US8196604B1 (en) Deployable automated vent cover device
EP3144598A1 (en) Clean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door hazardous substances
CA2935139C (en) Apparatus for disinfecting an enclosed space
US10322431B1 (en) Stratification detection and aerosol distribution system
KR102493428B1 (ko) 초미세입자 수분과포화 분무방식의 바이러스 소독장치
JP2018086634A (ja) 液体噴霧装置
WO2012147221A1 (ja) エアフレッシュナー
EP1689603B1 (en) A mist-spraying apparatus
JP2007162997A (ja) ドライフォグ発生装置
JP5581546B2 (ja) 環境浄化方法及び環境浄化装置
US20230321298A1 (en) Room Sanitization System
CN214596605U (zh) 一种消毒机
JP2023105772A (ja) 消毒装置
JP2023104821A (ja) 消毒消臭装置
KR20220107432A (ko) 초음파 진동기를 이용한 방역장치
KR20120040076A (ko) 공압식 기화기를 이용한 공조형 살균장치
KR200308487Y1 (ko) 항균기능을 갖는 냄새제거장치
JP2023044604A (ja) 走行型消毒装置
CN205079370U (zh) 用于控制室内有害物质的清洁系统
KR20040082461A (ko) 미립자 분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