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8157A -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장치 및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장치 및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8157A
KR20160108157A KR1020160022744A KR20160022744A KR20160108157A KR 20160108157 A KR20160108157 A KR 20160108157A KR 1020160022744 A KR1020160022744 A KR 1020160022744A KR 20160022744 A KR20160022744 A KR 20160022744A KR 20160108157 A KR20160108157 A KR 20160108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roller
hoistway
elevator
t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8090B1 (ko
Inventor
겐이치 야마기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8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05Details of the attachment of the wheel assembly to the chas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Handcart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과제] 양중 장치의 매닮 각도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장치를 얻는다.
[해결 수단] 승강로(102) 내에 설치되는 박형 권상기(100)를 승강로(102)에 대해서 반출입할 때에 이용되는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장치로서, 박형 권상기(100)가 실리는 짐받이(11)와, 짐받이(11)의 이동 방향 중간부에 마련되며, 짐받이(11)를 지지하는 대경(大徑) 롤러(12)와, 대경 롤러(12)를 이동 방향에 대해 사이에 두도록 짐받이(11)에 마련되며, 짐받이(11)를 지지하는 한 쌍의 소경(小徑) 롤러(13)를 가지는 대차(1)를 구비하며, 대경 롤러(12)에서의 직경의 치수는, 소경 롤러(13)에서의 직경의 치수 보다도 크고, 대경 롤러(12)의 하단부는, 한 쌍의 소경 롤러(13)의 각각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직선 보다도 하부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장치 및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방법{ELEVATOR THIN APPARATUS TAKING DEVICE AND METHOD FOR TAKING ELEVATOR THIN APPARATU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박형(薄型) 기기를 승강로에 대해서 반출입할 때에 이용되는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장치 및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를 승강로에 대해서 반출입하는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박형 권상기를 승강로에 대해서 반출입할 때에 이용되는 박형 권상기 반출입 장치로서, 박형 권상기가 실리는 짐받이와, 짐받이의 이동 방향 양단부에 마련되며, 짐받이를 지지하는 복수의 롤러를 구비한 대차(台車)가 알려져 있다. 박형 권상기가 짐받이에 실린 상태에서 대차를 승강장 출입구까지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박형 권상기가 승강장 출입구까지 이동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03-312961호 공보
그렇지만, 박형 권상기를 승강로에 대해서 반입하는 경우에는, 박형 권상기가 승강장 출입구에 배치된 상태에서, 승강로에 설치된 양중(揚重) 장치를 이용하여 박형 권상기를 매달아 올리므로, 양중 장치의 설치 위치가 충분히 높지 않은 경우에는, 양중 장치의 매닮 각도가 크게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양중 장치의 매닮 각도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장치 및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균형추 반출입 장치는, 승강로 내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박형(薄型) 기기를 승강로에 대해서 반출입할 때에 이용되는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장치로서,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가 실리는 짐받이와, 짐받이의 이동 방향 중간부에 마련되며, 짐받이를 지지하는 제1 롤러와, 제1 롤러로부터 이동 방향에 대해 멀어지도록 짐받이에 마련되며, 짐받이를 지지하는 제2 롤러를 가지는 대차(台車)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장치에 의하면, 짐받이에서의 이동 방향 선단부를 승강로 내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의 일부를 승강로 내에 배치한 상태에서, 승강로에 설치된 양중 장치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를 매달아 올릴 수 있다. 그 결과, 양중 장치의 매닮 각도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른 화살표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스토퍼 및 고정 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장치를 이용하여 박형 권상기를 승강로에 반출입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른 화살표로부터 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장치는, 박형 권상기(엘리베이터 박형 기기)(100)가 실리는 짐받이(11)와, 짐받이(11)의 이동 방향 중간부에 마련되며, 짐받이(11)를 지지하는 대경(大徑) 롤러(제1 롤러)(12)와, 대경 롤러(12)를 이동 방향에 대해 사이에 두도록 짐받이(11)에 마련되며, 짐받이(11)를 지지하는 한 쌍의 소경(小徑) 롤러(제2 롤러)(13)를 가지는 대차(1)를 구비하고 있다. 박형 권상기(100)는, 폭방향 일단부가 폭방향 타단부 보다도 하부에 위치하도록, 짐받이(11)에 지지된다.
대경 롤러(12)에서의 직경의 치수는, 소경 롤러(13)에서의 직경의 치수 보다도 크다. 대경 롤러(12)의 하단부는, 한 쌍의 소경 롤러(13)의 각각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직선 보다도 하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대차(1)가 승강장(101)을 이동하는 경우에는, 짐받이(11)의 이동 방향 선단부측에 배치된 소경 롤러(13)와 대경 롤러(12)가 승강장(101)을 전동(轉動)하는 상태 또는 짐받이(11)의 이동 방향 기단부(基端部)측에 배치된 소경 롤러(13)와 대경 롤러(12)가 승강장(101)을 전동하는 상태가 된다.
이 예에서는, 짐받이(11)의 이동 방향 선단부측에 배치된 소경 롤러(13)를 전륜(前輪) 소경 롤러(131)라고 하고, 짐받이(11)의 이동 방향 기단부측에 배치된 소경 롤러(13)를 후륜(後輪) 소경 롤러(132)라고 한다. 또, 이 예에서는, 전륜 소경 롤러(131)와 대경 롤러(12)가 승강장(101)을 전동하는 경우의 짐받이(11)의 위치를 후륜 부유(浮遊) 위치라고 하고, 후륜 소경 롤러(132)와 대경 롤러(12)가 승강장(101)을 전동하는 경우의 짐받이(11)의 위치를 전륜 부유 위치라고 한다.
또, 이 예에서는, 짐받이(11)의 이동 방향은, 짐받이(11)가 승강장(101)으로부터 승강로(102)를 향하는 경우에서의 짐받이(11)의 이동 방향이며, 도 1의 화살표 A의 방향이다. 또, 짐받이(11)의 이동 방향 선단부는, 짐받이(11)가 승강장(101)으로부터 승강로(102)를 향하는 경우에서의 짐받이(11)의 전측 부분이며, 짐받이(11)의 이동 방향 기단부는, 짐받이(11)가 승강장(101)으로부터 승강로(102)를 향하는 경우에서의 짐받이(11)의 후측 부분이다.
또,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장치는, 승강장 3방(方) 프레임(103)에서의 한 쌍의 세로 프레임(104)에 걸치도록 승강장(101)에 마련되는 스토퍼(2)와, 승강장(101)에 마련되며, 짐받이(11)를 지지하는 고정 부재(3)와, 짐받이(11)에 마련되며, 짐받이(11)에 실린 박형 권상기(100)를 짐받이(11)에 고정하는 밴드(band) 부재(4)를 더 구비하고 있다.
도 4는 도 3의 스토퍼(2) 및 고정 부재(3)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스토퍼(2)는, 세로 프레임(104)보다도 승강로(102)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한 쌍의 세로 프레임(104)에 걸쳐서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스토퍼(2)는, 세로 프레임(104)보다도 승강로(102)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스토퍼(2)는, 대경 롤러(12)가 맞닿는 것에 의해서, 대경 롤러(12)가 승강장(101)으로부터 승강로(102)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즉, 대경 롤러(12)가 승강로(102)로 진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고정 부재(3)는, 승강장 출입구에 배치된 승강장 문턱(105)에 놓여 있다. 고정 부재(3)는, 전륜 부유 위치에 있는 짐받이(11)에서의 대경 롤러(12)와 전륜 소경 롤러(131)와의 사이의 부분을 지지한다. 고정 부재(3)가 짐받이(11)를 지지하는 것에 의해서, 짐받이(11)의 위치가 전륜 부유 위치에 유지된다.
다음으로,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장치를 이용하여 박형 권상기(100)를 승강로(102)에 대해서 반출입하는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장치를 이용하여 박형 권상기(100)를 승강로(102)에 반출입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박형 권상기(100)를 짐받이(11)에 싣고, 밴드 부재(4)를 이용하여 박형 권상기(100)를 짐받이(11)에 고정한다(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짐받이 재치(載置) 공정).
그 후, 짐받이(11)의 위치를 전륜 부유 위치로 한 상태에서, 대차(1)를 승강장(101)까지 이동시킨다.
그 후, 승강로(102)로부터 승강장(101)을 향하는 방향에 대해 세로 프레임(104)에 서로 이웃하도록 스토퍼(2)를 승강장(101)에 설치하고(스토퍼 설치 공정), 대경 롤러(12)가 스토퍼(2)에 맞닿을 때까지 대차(1)를 승강로(102)를 향해 이동시킨다(대차 진입 공정). 이것에 의해, 짐받이(11)의 이동 방향 선단부가 승강로(102)의 내측에 배치된다(선단부 승강로 내 배치 공정).
그 후, 승강로(102)에 설치된 양중 장치의 와이어(장척물(長尺物))(106)를 박형 권상기(100)에 접속시키고, 양중 장치를 구동시켜, 와이어(106)가 감아올려지는 것에 의해서, 박형 권상기(100)를 매달아 올린다. 매달아 올려진 박형 권상기(100)는, 승강로(102)에서의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된다. 이상에 의해, 박형 권상기(100)의 승강로(102)로의 반입이 종료된다.
박형 권상기(100)를 승강로(102)로부터 반출하는 경우는, 박형 권상기(100)의 승강로(102)로의 반입과 반대의 공정을 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장치에 의하면, 박형 권상기(100)가 실리는 짐받이(11)와, 짐받이(11)의 이동 방향 중간부에 마련되며, 짐받이(11)를 지지하는 대경 롤러(12)와, 대경 롤러(12)를 이동 방향에 대해 사이에 두도록 짐받이(11)에 마련되며, 짐받이(11)를 지지하는 한 쌍의 소경 롤러(13)를 가지는 대차(1)를 구비하며, 대경 롤러(12)에서의 직경의 치수는, 소경 롤러(13)에서의 직경의 치수 보다도 크고, 대경 롤러(12)의 하단부는, 한 쌍의 소경 롤러(13)의 각각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직선 보다도 하부에 배치되므로, 짐받이(11)에서의 이동 방향 선단부를 승강로(102) 내에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박형 권상기(100)의 일부를 승강로(102) 내에 배치한 상태에서, 승강로(102)에 설치된 양중 장치를 이용하여 박형 권상기(100)를 매달아 올릴 수 있다. 그 결과, 양중 장치의 매닮 각도(θ)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 이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장치는, 승강장 3방 프레임(103)에서의 한 쌍의 세로 프레임(104)에 걸치도록 승강장(101)에 마련되며, 대경 롤러(12)가 맞닿는 것에 의해서, 대경 롤러(12)가 승강장(101)으로부터 승강로(102)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스토퍼(2)를 구비하며, 대경 롤러(12)가 스토퍼(2)에 의해서 승강장(101)으로부터 승강로(102)를 향해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는 경우에, 짐받이(11)에서의 이동 방향 선단부가 승강로(102) 내에 배치되므로, 대경 롤러(12)가 승강로(102)의 내측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방법에 의하면, 박형 권상기(100)를 짐받이(11)에 싣는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짐받이 재치 공정과,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짐받이 재치 공정 후, 짐받이(11)에서의 이동 방향 선단부가 승강로(102) 내에 배치되도록, 대차(1)를 승강장(101)에 배치하는 선단부 승강로 내 배치 공정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짐받이(11)에서의 이동 방향 선단부를 승강로(102) 내에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박형 권상기(100)의 일부를 승강로(102) 내에 배치한 상태에서, 승강로(102)에 설치된 양중 장치를 이용하여 박형 권상기(100)를 매달아 올릴 수 있다. 그 결과, 양중 장치의 매닮 각도(θ)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고정 부재(3)의 상단부는, 짐받이(11)에 장착되어 있다. 고정 부재(3)는, 고정 부재 본체(31)와, 고정 부재 본체(31)의 하단부에 마련된 걸림 부재(32)를 가지고 있다.
고정 부재 본체(31)는,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고정 부재 본체(31)는, 하단부가 승강장 문턱(105)에 접촉하는 접촉 위치와, 하단부가 승강장 문턱(105)보다도 상부에 위치하는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한다. 고정 부재 본체(31)는, 상하 방향의 치수가 조정된 후,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상하 방향의 치수가 유지된다. 대차(1)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고정 부재 본체(31)의 위치를 해제 위치로 한다. 또, 대경 롤러(12)가 스토퍼(2)에 의해서 승강장(101)으로부터 승강로(102)를 향해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는 경우에, 고정 부재 본체(31)의 위치를 접촉 위치로 한다.
걸림 부재(32)는, 대경 롤러(12)가 스토퍼(2)에 의해서 승강장(101)으로부터 승강로(102)를 향해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는 경우에, 고정 부재 본체(31)의 위치를 접촉 위치로 하는 것에 의해서, 승강장 문턱(105)에 형성된 문턱 홈에 걸려진다. 그 외의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장치에 의하면, 짐받이(11)에 마련되며, 대경 롤러(12)가 스토퍼(2)에 의해서 승강장(101)으로부터 승강로(102)를 향해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는 경우에, 승강장 문턱(105)에 형성된 문턱 홈에 걸려지는 걸림 부재(32)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대경 롤러(12)가 스토퍼(2)에 의해서 승강장(101)으로부터 승강로(102)를 향해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는 경우에, 짐받이(11)가 승강로(10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 2에서는, 고정 부재(3)가 걸림 부재(32)를 가지는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고정 부재(3)와는 별체의 고정 부재를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장치가 구비한 구성이라도 좋다.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로서, 박형 권상기(100)를 예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바닥 또는 엘리베이터 제어반이라도 좋다.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대경 롤러(12)와, 한 쌍의 소경 롤러(13)를 구비한 대차(1)의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대경 롤러(12)와, 대경 롤러(12)로부터 이동 방향에 대해 멀어지도록 마련된 1개의 소경 롤러(13)를 구비한 대차(1)라도 괜찮다. 이 경우라도, 소경 롤러(13)가 대경 롤러(12)보다도 이동 방향 후방에 배치되는 것에 의해, 짐받이(11)에서의 이동 방향 선단부를 승강로(102) 내에 배치할 수 있다. 또, 이 경우, 제1 롤러에서의 직경의 치수는, 제2 롤러에서의 직경의 치수 보다도 크지 않아도 좋다.
1 : 대차 2 : 스토퍼
3 : 고정 부재 4 : 밴드 부재
11 : 짐받이 12 : 대경 롤러(제1 롤러)
13 : 소경 롤러(제2 롤러) 31 : 고정 부재 본체
32 : 걸림 부재
100 : 박형 권상기(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101 : 승강장 102 : 승강로
103 : 승강장 3방 프레임 104 : 세로 프레임
105 : 승강장 문턱 106 : 와이어
131 : 전륜 소경 롤러 132 : 후륜 소경 롤러

Claims (5)

  1. 승강로 내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박형(薄型) 기기를 상기 승강로에 대해서 반출입할 때에 이용되는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장치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가 실리는 짐받이와, 상기 짐받이의 이동 방향 중간부에 마련되며, 상기 짐받이를 지지하는 제1 롤러와, 상기 제1 롤러로부터 이동 방향에 대해 멀어지도록 상기 짐받이에 마련되며, 상기 짐받이를 지지하는 제2 롤러를 가지는 대차(台車)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차는, 상기 제1 롤러를 이동 방향에 대해 사이에 두도록 상기 짐받이에 마련된 한 쌍의 상기 제2 롤러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1 롤러에서의 직경의 치수는, 상기 제2 롤러에서의 직경의 치수 보다도 크고,
    상기 제1 롤러의 하단부는, 한 쌍의 상기 제2 롤러의 각각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직선 보다도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승강장 3방(方) 프레임에서의 한 쌍의 세로 프레임에 걸치도록 승강장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롤러가 맞닿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제1 롤러가 상기 승강장으로부터 상기 승강로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롤러가 상기 스토퍼에 의해서 상기 승강장으로부터 상기 승강로를 향해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짐받이에서의 선단부가 상기 승강로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짐받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1 롤러가 상기 스토퍼에 의해서 상기 승강장으로부터 상기 승강로를 향해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있는 경우에, 승강장 문턱에 형성된 문턱 홈에 걸려지는 걸림 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장치.
  5. 짐받이와, 상기 짐받이의 이동 방향 중간부에 마련되며, 상기 짐받이를 지지하는 제1 롤러와, 상기 짐받이의 하부로서, 상기 제1 롤러로부터 이동 방향에 대해 멀어지도록 상기 짐받이에 마련되며, 상기 짐받이를 지지하는 제2 롤러를 가지는 대차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장치를 이용하여, 승강로 내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를 상기 승강로에 대해서 반출입하는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방법으로서,
    상기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를 상기 짐받이에 싣는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짐받이 재치(載置) 공정과,
    상기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짐받이 재치 공정 후, 상기 짐받이에서의 이동 방향 선단부가 상기 승강로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대차를 승강장에 배치하는 선단부 승강로 내 배치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방법.
KR1020160022744A 2015-03-05 2016-02-25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장치 및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방법 KR1023880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43532 2015-03-05
JP2015043532A JP6141344B2 (ja) 2015-03-05 2015-03-05 エレベータ薄型機器搬出入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薄型機器搬出入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157A true KR20160108157A (ko) 2016-09-19
KR102388090B1 KR102388090B1 (ko) 2022-04-20

Family

ID=56846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744A KR102388090B1 (ko) 2015-03-05 2016-02-25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장치 및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41344B2 (ko)
KR (1) KR102388090B1 (ko)
CN (1) CN105936458B (ko)
TW (1) TWI6570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21208843A1 (en) * 2020-01-17 2022-08-11 Inventio Ag Mobile transport device and method for introducing an installation frame into a shaf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9649A (ja) * 2000-01-14 2001-07-24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据付装置
JP2003312961A (ja) 2002-04-19 2003-11-06 Toshiba Elevator Co Ltd 巻上機の運搬治具
JP2006067856A (ja) * 2004-08-31 2006-03-16 Iseki & Co Ltd 養液栽培施設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6493B2 (ja) * 1990-07-05 1999-11-10 三菱化学株式会社 塩素化ピラゾールカルボン酸誘導体の製造方法
JPH0469380U (ko) * 1990-10-29 1992-06-19
SE526546C2 (sv) * 2004-03-12 2005-10-04 Alimak Ab Hissystem
CN201633755U (zh) * 2009-12-30 2010-11-17 苏州工业园区瑞来福工厂维修服务有限公司 一种送料小车
CN103342268B (zh) * 2013-07-10 2015-10-21 嘉兴市华东建设机械有限公司 配重内置式施工升降机用头架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9649A (ja) * 2000-01-14 2001-07-24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据付装置
JP2003312961A (ja) 2002-04-19 2003-11-06 Toshiba Elevator Co Ltd 巻上機の運搬治具
JP2006067856A (ja) * 2004-08-31 2006-03-16 Iseki & Co Ltd 養液栽培施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936458B (zh) 2019-07-09
JP6141344B2 (ja) 2017-06-07
KR102388090B1 (ko) 2022-04-20
TWI657034B (zh) 2019-04-21
TW201637985A (zh) 2016-11-01
CN105936458A (zh) 2016-09-14
JP2016160091A (ja) 2016-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838B1 (ko) 반송 시스템 및 반송 방법
KR101940435B1 (ko) 캐리어 이동 적재 촉진 장치
US9991143B2 (en) Carrier transport system and transport method
US10153189B2 (en) Carrier buffering device and buffering method
US20050275161A1 (en) Equipment for mounting an elevator drive
JP5206020B2 (ja) 搬送装置
JPWO2015194267A6 (ja) キャリアの搬送システムと搬送方法
WO2015194266A1 (ja) キャリアの一時保管装置と保管方法
CN109153539B (zh) 电梯的曳引机安装方法
CN105800417B (zh) 电梯对重搬出搬入方法
KR20160108157A (ko)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장치 및 엘리베이터 박형 기기 반출입 방법
CN107934723A (zh) 一种货用电梯运输装置
JP2015189546A (ja) エレベータの釣合おもり装置及びその改修方法
CN210392904U (zh) 适用于装卸钢制品的电磁吸盘滚动接触导向装置
JP2016189497A (ja) キャリア移載促進装置
KR20210025882A (ko) 대상물 이송 시스템 및 방법
JP2015046646A (ja) キャリア移載促進装置
JPH02243494A (ja) クレーン
JPH10279242A (ja) 乗客コンベア用運搬装置
KR20140016586A (ko) 균형 조절형 이송장치
KR890004178B1 (ko) 자동차 주차 장치
CN109665273A (zh) 板材运输车
JPH0986832A (ja) 斜行エレベータの昇降装置
JP2017149553A (ja) エレベータ機器搬出入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機器搬出入装置
JP2016124353A (ja) 重量物の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