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3490A - 청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그리고 청소 장치용의 단부 봉지 부재 - Google Patents

청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그리고 청소 장치용의 단부 봉지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3490A
KR20160103490A KR1020150135315A KR20150135315A KR20160103490A KR 20160103490 A KR20160103490 A KR 20160103490A KR 1020150135315 A KR1020150135315 A KR 1020150135315A KR 20150135315 A KR20150135315 A KR 20150135315A KR 20160103490 A KR20160103490 A KR 20160103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residue
cavity
cleaning container
upper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9391B1 (ko
Inventor
유스케 기타가와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3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7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of the cleaning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11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using a blade; Details of cleaning blades, e.g. blade shape, layer form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11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using a blade; Details of cleaning blades, e.g. blade shape, layer forming
    • G03G21/0029Details relating to the blade suppor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05Arrangements for conveying toner was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0026Cleaning of foreign matter, e.g. paper powder, from imaging member
    • G03G2221/0047Type of cleaning device
    • G03G2221/0052Common container for holding cleaned foreign matter and residual ton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4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using seals, e.g. to prevent scattering of ton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Abstract

청소 장치는, 회전하는 상 유지체 위의 잔류물을 청소한다. 상기 청소 장치는, 상기 상 유지체에 대향하는 개구를 가지며 또한 상기 상 유지체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내부에 상기 상 유지체의 잔류물을 수용하는 청소 용기와, 상기 청소 용기의 개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상 유지체에 접촉함으로써 당해 상 유지체 위의 잔류물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핑 부재와, 상기 청소 용기의 개구의 길이 방향 양단 가장자리의 적어도 한쪽에 고착되며, 상기 상 유지체의 표면에 접촉함과 함께 상기 스크레이핑 부재의 길이 방향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청소 용기와 상기 상 유지체의 극간을 봉지하는 단부 봉지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단부 봉지 부재의 상기 상 유지체의 표면에 접촉하는 면은, 주위로부터 고립되는 영역에 형성된 공동을 갖는다.

Description

청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그리고 청소 장치용의 단부 봉지 부재{CLEA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END SEALING MEMBER FOR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청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그리고 청소 장치용의 단부(端部) 봉지(封止) 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화상 형성 장치에 이용되는 청소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다음의 것이 알려져 있다.
일본국 특개2001-356600호 공보의 실시형태 1 및 도 3에는, 클리닝 블레이드의 양 단부측 각각에 시일 부재를 구비하며, 이 시일 부재에 감광 드럼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하류측을 향함에 따라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홈을 설치해서, 토너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2002-328574호 공보의 실시형태 2 및 도 8에는, 클리닝 블레이드의 양 단부측 각각에 시일 부재를 구비하며, 이 시일 부재 중, 감광 드럼 위의 충돌 위치(트래킹 위치)에 대해서는 감광 드럼을 따른 원호 형상으로 되도록, 그 경계에 슬릿을 설치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회전하는 상(像) 유지체 표면의 축 방향 단부의 오염을 장기에 걸쳐서 포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방안에 따르면, 회전하는 상 유지체 위의 잔류물을 청소하는 청소 장치로서, 상기 상 유지체에 대향하는 개구를 가지며 또한 상기 상 유지체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내부에 상기 상 유지체의 잔류물을 수용하는 청소 용기와, 상기 청소 용기의 개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상 유지체에 접촉함으로써 당해 상 유지체 위의 잔류물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핑 부재와, 상기 청소 용기의 개구의 길이 방향 양단 가장자리의 적어도 한쪽에 고착되며, 상기 상 유지체의 표면에 접촉함과 함께 상기 스크레이핑 부재의 길이 방향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청소 용기와 상기 상 유지체의 극간(隙間)을 봉지하는 단부 봉지 부재와, 상기 단부 봉지 부재의 상기 상 유지체의 표면에 접촉하는 면 내에서 주위로부터 고립되는 영역에 형성된 공동(void)을 구비하는 청소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방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방안에 따른 청소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상기 상 유지체의 회전 방향 하류측을 향해서 폭 치수가 순차적으로 좁아지는 협폭 부분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3 방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방안에 따른 청소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부 봉지 부재의 상기 상 유지체의 표면에 접촉하는 면은, 상기 상 유지체의 회전 방향을 따라 아래쪽으로 내려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 방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방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청소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상기 청소 용기 내에 연통하며 또한 상기 단부 봉지 부재를 관통하는 구멍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5 방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4 방안에 따른 청소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청소 용기 내에는, 상기 스크레이핑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또한 상기 청소 용기 내에 수용된 상기 잔류물을 상기 청소 용기 밖으로 반송하는 반송 부재를 더 갖고, 상기 공동으로서의 구멍부는 상기 반송 부재측에 연통해 있다.
본 발명의 제6 방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5 방안에 따른 청소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 부재는, 상기 공동으로서의 구멍부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제7 방안에 따르면, 정전 잠상을 유지 가능한 상 유지체와, 상기 상 유지체의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제를 유지하는 현상제 유지체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방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청소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8 방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7 방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동에 있어서의 상기 상 유지체의 축 방향을 따르는 최대 폭 치수는, 상기 상 유지체와 상기 현상제 유지체 사이에서 미리 정해진 간극을 유지하기 위한 간극 유지 부재의 상기 상 유지체에의 접촉 영역을 덮는 폭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9 방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7 또는 제8 방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청소 장치의 아래쪽에는, 상기 상 유지체를 대전하는 대전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0 방안에 따르면, 토너상을 유지하는 상 유지체에 대향하는 개구를 가지며 또한 상기 상 유지체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내부에 상기 상 유지체의 잔류물을 수용하는 청소 용기와, 상기 청소 용기의 개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상 유지체에 접촉함으로써 당해 상 유지체 위의 잔류물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핑 부재를 구비하는 청소 장치에 이용되는 부재로서, 상기 청소 용기의 개구의 길이 방향 양단 가장자리의 적어도 한쪽에 고착되고, 상기 상 유지체의 표면에 접촉하며 또한 당해 접촉하는 면 내에서 주위로부터 고립되는 영역에 형성된 공동을 갖고, 상기 스크레이핑 부재의 길이 방향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청소 용기와 상기 상 유지체의 극간을 봉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부 봉지 부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 방안에 따르면, 회전하는 상 유지체 표면의 축 방향 단부의 오염을 장기에 걸쳐서 포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방안에 따르면, 공동에 협폭 부분을 갖지 않는 태양에 비해서, 공동에 잔류물을 수용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3 방안에 따르면, 단부 봉지 부재에 경사부를 갖지 않는 태양에 비해서, 공동에 잔류물을 한층 더 수용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4 방안에 따르면, 공동이 오목부인 태양에 비해서, 잔류물의 수용량을 대폭적으로 늘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방안에 따르면, 공동이 오목부인 태양에 비해서, 잔류물의 수용량을 대폭적으로 늘릴 수 있음과 함께, 수용한 잔류물을 반송 부재에 의해 반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방안에 따르면, 공동으로서의 구멍부로부터 반송 부재측에의 잔류물의 흐름이 원활해진다.
본 발명의 제7 방안에 따르면, 회전하는 상 유지체 표면의 축 방향 단부의 오염을 장기에 걸쳐서 포착하는 것이 가능한 청소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방안에 따르면, 상 유지체와 현상제 유지체의 간극을 유지하는 간극 유지 부재의 상 유지체에의 접촉을 안정하게 유지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방안에 따르면, 대전 부재가 청소 장치보다 아래쪽에 있어도, 상 유지체와 대전 부재의 접촉이 안정됨으로써 상 유지체에서의 안정된 대전 성능이 확보된다.
본 발명의 제10 방안에 따르면, 회전하는 상 유지체 표면의 축 방향 단부의 오염을 장기에 걸쳐서 포착하는 것이 가능한 단부 봉지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이 적용된 청소 장치의 실시형태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의 (b)는 도 1의 (a)의 요부 확대도, 도 1의 (c)는 후술하는 봉지 부재의 공동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실시형태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의 (a)는 감광체 유닛과 현상 유닛의 주된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3의 (b)는 도 3의 (a)의 요부 확대도, 도 3의 (c)는 도 3의 (b)의 부분 사시도.
도 4는 실시형태 1에서의 감광체 유닛과 현상 유닛의 외관 사시도.
도 5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 감광체 유닛으로부터 감광체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있어서의 스크레이핑 부재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측을 확대한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5에 있어서의 스크레이핑 부재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부측을 확대한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감광체, 현상 롤, 스크레이핑 부재, 봉지 부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9는 구멍부의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9의 (a)는 구멍부를 갖는 태양이고, 도 9의 (b)는 비교를 위하여 구멍부를 갖지 않는 태양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실시형태의 변형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10의 (a)는 감광체와 청소 용기, 스크레이핑 부재, 단부 봉지 부재의 배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10의 (b)는 그 작용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1의 (a)∼(d)는 각종 공동의 형상을 나타내는 설명도.
◎ 실시형태의 개요
도 1의 (a)는 본 발명이 적용된 청소 장치의 실시형태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의 (b)는 도 1의 (a)의 요부 확대도, 도 1의 (c)는 도 1의 (b)의 c-c 단면을 나타낸다.
동 도면에 있어서, 본 태양은, 회전하는 상 유지체(1) 위의 잔류물을 청소하는 청소 장치(2)로서, 상 유지체(1)에 대향하는 개구(3)를 가지며 또한 상 유지체(1)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내부에 상 유지체(1)의 잔류물을 수용하는 청소 용기(4)와, 청소 용기(4)의 개구(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 유지체(1)에 접촉함으로써 상 유지체(1) 위의 잔류물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핑 부재(5)와, 청소 용기(4)의 개구(3)의 길이 방향 양단 가장자리의 적어도 한쪽에 고착되며, 상 유지체(1)의 표면에 접촉함과 함께 스크레이핑 부재(5)의 길이 방향 단부에 있어서의 청소 용기(4)와 상 유지체(1)의 극간을 봉지하는 단부 봉지 부재(6)와, 단부 봉지 부재(6)의 상 유지체(1)의 표면에 접촉하는 면(도면 중 접촉 영역(6a)에 상당하는 부위) 내에서 주위로부터 고립되는 영역에 형성된 공동(7)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수단에 있어서, 잔류물로서는 상 유지체(1) 위의 토너뿐만 아니라, 슬라이딩 마모에 의해 발생하는 부스러기 등도 포함된다. 또한, 스크레이핑 부재(5)로서는 판상(板狀) 부재가 바람직하며, 통상적으로 탄성 블레이드가 이용되지만, 이에 한하지 않으며, 롤 형상이어도 되고, 브러쉬 롤이 이용되어도 된다. 또한, 단부 봉지 부재(6)는, 상 유지체(1) 위의 잔류물을 긁어내며 또한 상 유지체(1)에 대해서 흠집을 내지 않는 것이면 되며, 예를 들면 펠트재가 이용된다. 그리고, 본 예에서 말하는 공동(7)은, 단부 봉지 부재(6)에 대하여 바닥부를 갖는 오목부나 관통하는 구멍부(도 1의 (c)에 나타내는 태양도 포함함)를 의미하는 것이며, 그 형상이나 수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공동(7)의 표면 형상으로서는, 직사각형, 원형, 삼각형 등이 적용되며, 또한 오목부 및 구멍부가 혼재하는 태양도 포함되고, 공동(7)이 복수일 경우에는 상 유지체(1)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의 공동(7)이 배치되면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개요에서 이용되는 대표적 태양 또는 바람직한 태양에 대하여 더 설명한다.
상 유지체(1)로부터의 잔류물을 공동(7)에 수용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공동(7)은, 상 유지체(1)의 회전 방향 하류측을 향하여 폭 치수가 순차적으로 좁아지는 협폭 부분을 갖는 편이 바람직하다. 이 태양에 따르면, 공동(7)이 회전하는 상 유지체(1)에 접함으로써, 공동(7)의 폭 치수가 넓은 부위에 있어서의 상 유지체(1) 위의 넓은 영역의 잔류물이, 공동(7)의 하류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부위에 있어서 접촉 길이가 긴 부위에 의해 긁어내어짐으로써, 잔류물이 순차적으로 공동(7) 내에 수용되기 쉬워진다.
또한, 공동(7)에 잔류물을 한층 더 수용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부 봉지 부재(6)의 상 유지체(1)의 표면에 접촉하는 면(도면 중 접촉 영역(6a)에 상당)은, 상 유지체(1)의 회전 방향을 따라 아래쪽으로 내려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사면으로 함으로써, 긁어내어진 잔류물이 중력의 작용도 거들어서 공동(7) 내에 수용되기 쉬워지며, 공동(7)의 이용 효율도 향상된다.
또한, 공동(7)에의 잔류물을 보다 많게 하는 관점에서 보면, 공동(7)은, 청소 용기(4) 내에 연통하며 또한 단부 봉지 부재(6)를 관통하는 구멍부를 갖는 편이 좋다. 이러한 구멍부는 공동(7)이 복수 설치되는 태양에 있어서는 1개소 이상 있으면 된다. 단부 봉지 부재(6)의 공동(7)이 청소 용기(4) 내에 연통함으로써, 잔류물은 공동(7)을 경유해서, 청소 용기(4) 내에 수용되게 되어, 잔류물에 의하여 공동(7)이 충전되어 버릴 우려는 없어진다.
그리고, 공동(7)이 구멍부인 태양에 있어서, 잔류물의 양을 대폭적으로 늘리는 관점에서 보면, 청소 용기(4) 내에는, 스크레이핑 부재(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또한 청소 용기(4) 내에 수용된 잔류물을 청소 용기(4) 밖으로 반송하는 반송 부재(8)를 더 가지며, 구멍부는 반송 부재(8)측에 연통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반송 부재(8)를 이용함으로써 잔류물이 청소 용기(4)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또, 반송 부재(8)는 구멍부에 대해서 아래쪽 위치에 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수평 방향으로 겹쳐지는 위치여도 상 유지체(1)와의 접촉에 의해 구멍부 내의 잔류물은 반송 부재(8)측으로 밀려나온다.
또한, 구멍부로부터 반송 부재(8)측으로의 잔류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관점에서, 반송 부재(8)는 구멍부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청소 장치(2)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는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즉, 정전 잠상을 유지 가능한 상 유지체(1)와, 상 유지체(1)의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제를 유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현상제 유지체와, 전술한 청소 장치(2)를 구비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상 유지체(1)와 현상제 유지체의 간극을 유지하는 간극 유지 부재가 상 유지체(1)에 접촉할 때의 안정된 접촉을 도모하는 관점에서 보면, 공동(7)에 있어서의 상 유지체(1)의 회전 방향에 교차하는 최대 폭 치수(w)는, 상 유지체(1)와 현상제 유지체 사이에서 미리 정해진 간극을 유지하기 위한 간극 유지 부재의 상 유지체(1)에의 접촉 영역을 덮는 폭 치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최대 폭 치수(w)가 간극 유지 부재의 상 유지체(1)에의 접촉 영역을 덮는 폭 치수로 됨으로써, 이 영역의 상 유지체(1) 위의 잔류물이 단부 봉지 부재(6)의 공동(7)에 의하여 청소되고, 이 부위에 간극 유지 부재를 위치시켜도, 상 유지체(1) 위의 청정화가 이루어짐으로써, 간극 유지 부재의 상 유지체(1)에 대한 접촉이 안정되는 결과, 상 유지체(1)와 현상제 유지체의 간극이 안정된다. 이에 따라, 안정된 현상 조건에서 상 유지체(1) 위의 정전 잠상이 현상되게 된다.
또한, 전술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 유지체(1)를 대전하는 대전 부재의 배치로서는, 청소 장치(2)의 아래쪽에 대전 부재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통상, 청소 장치(2)에 대한 대전 부재의 배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청소 장치(2)의 아래쪽에 대전 부재를 배치했을 때, 공동(7)을 갖지 않는 단부 봉지 부재(6)를 이용하면, 상 유지체(1)로부터의 잔류물이 아래쪽으로 낙하하기 쉬워진다. 이 경우, 특히, 대전 부재로서 롤 부재를 이용하는 태양에 있어서는, 대전 부재의 표면 오염이나 축부 오염이 대전 성능을 변화시켜 화질 결함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그러나, 공동(7)을 갖는 단부 봉지 부재(6)를 이용함으로써, 잔류물은 이 공동(7)들에 수용되어 대전 부재에서의 오염 발생이 억제된다. 그 때문에, 본 태양을 채용함으로써, 대전 부재의 레이아웃의 자유도도 크게 향상되게 된다. 또, 대전 부재로서는 롤 부재에 한하지 않으며 코로나 방전을 이용하는 태양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단부 봉지 부재(6)로서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 경우,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즉, 단부 봉지 부재(6)는, 토너상을 유지하는 상 유지체(1)에 대향하는 개구(3)를 가지며 또한 상 유지체(1)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내부에 상 유지체(1)의 잔류물을 수용하는 청소 용기(4)와, 청소 용기(4)의 개구(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 유지체(1)에 접촉함으로써 상 유지체(1) 위의 잔류물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핑 부재(5)를 구비하는 청소 장치(2)에 이용되는 부재로서, 청소 용기(4)의 개구(3)의 길이 방향 양단 가장자리의 적어도 한쪽에 고착되고, 상 유지체(1)의 표면에 접촉하며 또한 당해 접촉하는 면 내에서 주위로부터 고립되는 영역에 형성된 공동(7)을 갖고, 스크레이핑 부재(5)의 길이 방향 단부에 있어서의 청소 용기(4)와 상 유지체(1)의 극간을 봉지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의거해서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 실시형태 1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요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토너 및 캐리어를 포함하는 4색의 2성분 현상제를 사용하는 컬러 프린터의 구성이며, 각 색의 화상 형성부(10)(10a∼10d)를 대략 수평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하고, 화상 형성부(10)의 위쪽에는, 3개의 텐션 롤(51∼53)에 걸쳐진 무단(無端) 형상의 중간 전사 벨트(50)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 색의 화상 형성부(10a∼10d)는 마찬가지의 구성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하나의 화상 형성부(10a)에 대하여 대표적으로 설명한다. 화상 형성부(10)는, 표면에 감광층이 형성되어 정전 잠상을 유지 가능한 상 유지체로서의 감광체(12)를 갖고, 감광체(12)의 주위에는 화상 형성을 위한 각종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감광체(12)를 대전하는 대전 부재로서의 대전롤(13), 대전된 감광체(12)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도록 노광하는 노광기(15), 감광체(12) 위의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장치(21), 현상되어 형성된 감광체(12) 위의 토너상을 중간 전사 벨트(50) 위에 일차 전사하는 일차 전사기(16), 전사된 후의 감광체(12) 위의 잔류물을 청소하는 청소 장치(30) 등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광기(15)는 4개의 화상 형성부(10a∼10d)에 공통된 것이며, 폴리곤 미러나 렌즈 등에 의하여 레이저광을 4개의 감광체(12)에 배분하여 노광하는 태양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으며, 각 화상 형성부(10a∼10d)에 각각의 노광기를 설치하도록 해도 되고, 예를 들면 LED를 사용한 노광기여도 무방하다. 또한, 대전 부재로서 대전롤(13)을 사용하는 태양을 나타냈지만 코로나 방전을 이용하는 타입의 것이어도 된다.
중간 전사 벨트(50)는, 3개의 텐션 롤(51∼53) 중, 예를 들면 텐션 롤(52)을 구동 롤로 하여 도면 중 화살표 방향으로 순환 이동하게 되어 있다. 또한, 텐션 롤(53)과 중간 전사 벨트(50)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는, 도시하지 않은 기록재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기록재(P) 위에 중간 전사 벨트(50) 위의 토너상을 일괄 전사하기 위한 이차 전사기(54)가 설치되어 있다. 또, 기록재(P) 위에 일괄 전사된 토너상은, 도시하지 않은 정착기에 의하여 정착된 후, 화상 형성 장치밖으로 배출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감광체(12), 대전롤(13), 청소 장치(30) 등이 감광체 유닛으로서 유닛화되는 한편, 현상 장치(21) 등이 현상 유닛(20)으로서 유닛화되어, 이들 감광체 유닛(11)과 현상 유닛(20)이 조합되게 되어 있다. 도 3의 (a)는, 감광체 유닛(11)과 현상 유닛(20)의 주된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3의 (b)는 도 3의 (a)의 요부 확대도, 도 3의 (c)는 도 3의 (b)의 부분 사시도로 되어 있다.
<감광체 유닛의 구성>
감광체 유닛(11)은, 감광체(12), 대전롤(13), 청소 장치(30) 등으로 구성되며, 대전롤(13)은 감광체(12)의 회전에 수반해서 종동(從動) 회전하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 대전롤(13)에 대하여, 감광체(12)와는 반대측의 위치에 도시하지 않은 가압 부재에 의하여 대전롤(13)측을 향해서 가압된 클리너(14)가 설치되어, 종동 회전하는 대전롤(13)의 표면을 청소하게 되어 있다.
-청소 장치의 구성-
청소 장치(30)는, 감광체(12)에 대향하는 개구(32)를 가지며 또한 감광체(12)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내부에 감광체(12)의 잔류물을 수용하는 청소 용기(31)와, 개구(32)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일측 가장자리에 기부(基部)가 고착되며, 개구(32)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타측 가장자리를 향해서 연장되는 선단부가 감광체(12)에 접촉함으로써 감광체(12) 위의 잔류물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핑 부재(33)와, 청소 용기(31)의 개구(32)의 길이 방향 양단 가장자리에 고착되며, 스크레이핑 부재(33)의 길이 방향 단부 및 감광체(12)의 표면에 접촉함과 함께 스크레이핑 부재(33)의 길이 방향 단부에 있어서의 청소 용기(31)와 감광체(12)의 극간을 봉지하는 단부 봉지 부재(34)와, 개구(3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감광체(12)의 회전 방향 상류측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류측을 향해서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그 양단부가 단부 봉지 부재(34)에 접촉함과 함께 양단부 이외는 감광체(12)에 가볍게 접촉하며, 개구(32) 중, 감광체(12)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의 일측 가장자리와 감광체(12)의 극간을 봉지하는 장척(長尺) 봉지 부재(3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청소 장치(30)는, 청소 용기(31) 내에, 스크레이핑 부재(3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또한 청소 용기(31) 내에 수용된 잔류물을 청소 용기(31) 밖으로 반송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회전축에 나선 형상의 블레이드가 설치된 반송 부재(36)를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청소 장치(30)가 대전롤(13)의 위쪽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단부 봉지 부재(34)는, 스크레이핑 부재(33)의 양단부보다 바깥쪽에 감광체(12)에 접촉하는 접촉 영역(34a)을 가지며 또한 이 접촉 영역(34a) 내에서 주위로부터 고립되는 영역에 1개소의 공동으로서의 단부 봉지 부재(34)를 관통시키는 구멍부(4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접촉 영역(34a)은, 감광체(12)의 회전 방향을 따라 아래쪽으로 내려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구멍부(40)는 단면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단부 봉지 부재(34)는, 감광체(12)에의 접촉 시에 감광체(12) 표면에 흠집을 내지 않도록 부드럽고, 어느 정도 잔류물을 긁어낼 수 있음과 함께 어느 정도의 탄성을 구비한 소재의 것이 적용되며, 예를 들면 펠트 부재가 사용되고 있다. 단부 봉지 부재(34)는, 펀칭 가공 등의 방법에 의하여 외형이나 구멍부(40)가 형성된 것이며, 편면에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 처리가 실시된 상태의 것을 청소 용기(31)에 고착한 것이다. 그 때문에, 본 예의 공동으로서는 구멍부(40)가 바닥부를 가지는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장척 봉지 부재(35)는, 감광체(12)에 흠집을 내지 않을 정도로 부드럽고, 가요성이 있는 필름 시트가 이용되고 있으며, 그 일부가 청소 용기(31)에 고착되어 있다.
<현상 유닛의 구성>
한편, 본 예의 현상 유닛(20)은, 현상 장치(21)의 외장 용기인 현상 용기(22)의 개구에 맞춰서, 감광체(12)와 미리 정해진 간극을 유지하고 토너 및 캐리어를 포함하는 2성분 현상제를 유지해서 반송하는 현상제 유지체로서의 현상 롤(23)을 갖고 있다. 또한, 현상 용기(22) 내이며 현상 롤(23)의 아래쪽에는, 현상 용기(22)의 일부로 구성된 칸막이벽(22a)에 의하여 둘로 칸막이된 2개의 현상제 반송로(24, 25)에, 현상제를 교반하면서 반송하는 2개의 교반 반송 부재(26, 2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현상제 반송로(24, 25)들의 길이 방향 양단부의 칸막이벽(22a)에는 2개의 현상제 반송로(24, 25)의 사이를 잇는 연통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어, 현상제는 교반 반송 부재(26, 27)의 회전에 수반해서 2개의 현상제 반송로(24, 25) 사이에서 순환 이동되게 되어 있다. 또한, 현상 용기(22) 내에는, 현상 롤(23)의 아래쪽에 현상 롤(23) 위의 현상제의 층 두께를 규제하는 층 두께 규제 부재(2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현상 롤(23)의 회전축(도시하지 않음)의 양단측에는, 각각 현상 롤(23)과 감광체(12)의 간극을 유지하기 위한 간극 유지 부재로서, 후술하는 트래킹 롤이 한 쌍 설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이 트래킹 롤들이 감광체(12)의 양단부, 즉 감광체(12)의 감광층이 없는 소관(素管, element tube) 부분(상세는 후술함)에 접촉함으로써, 감광체(12)와 현상 롤(23)의 간극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결과, 안정된 현상 조건이 유지되게 되어 있다.
<감광체 유닛과 현상 유닛의 조합>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감광체 유닛(11)과 현상 유닛(20)의 조합을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현상 유닛(20)의 현상 롤(23)의 양단측에는, 현상 롤(23)의 회전축에 트래킹 롤(29)(도면에서는 한쪽만)이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 도 4는, 감광체 유닛(11)과 현상 유닛(20)이 이간한 상태로 나타나 있지만, 양자는 서로 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로서는, 감광체 유닛(11)과 현상 유닛(20)을 상호 조합함으로써, 현상 유닛(20)측의 트래킹 롤(29)이 감광체 유닛(11)측의 감광체(12)에 접촉하게 되어, 감광체(12)와 현상 롤(23) 사이에서 미리 정해진 간극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된다.
도 5는 감광체 유닛(11)으로부터 감광체(12)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감광체(12)의 안쪽(현상 유닛(20)측과는 반대측)에는, 스크레이핑 부재(33), 스크레이핑 부재(33)의 길이 방향 양단측에 설치된 2개의 단부 봉지 부재(34), 및 장척 봉지 부재(35)가 청소 용기(31)에 고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청소 용기(31)가 감광체 유닛(11)의 유닛 케이싱(11a)과 일체화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청소 용기(31) 내의 길이 방향 일단측이며 유닛 케이싱(11a)의 바깥쪽에는, 청소 용기(31) 내에 회수된 토너 등의 잔류물을 반송 부재(36)에 의하여 청소 용기(31) 밖으로 배출하는 배출구(3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6, 7은 도 5에 있어서의 스크레이핑 부재(33)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측을 각각 확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부 봉지 부재(34)는, 청소 용기(31)의 개구(32)의 길이 방향 양단 가장자리에 각각 고착되어 있지만(도 6에서는 한쪽만 나타냄), 감광체(12)와는 스크레이핑 부재(33)에 가까운 측에서 접촉하며, 그 접촉하는 접촉 영역에 직사각형 형상의 공동으로서의 구멍부(4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단부 봉지 부재(34)는, 장척 봉지 부재(35)의 일부에 접촉함과 함께, 스크레이핑 부재(33)와는 그 단부에서 접촉하게 되어 있다.
한편, 도 7에서는 단부 봉지 부재(34)가 청소 용기(31)에 부착되기 전의 상태로 나타나 있으며, 단부 봉지 부재(34)는 청소 용기(31)의 개구(32)의 일단 가장자리측을 따르도록 부착된다(구체적으로는, 단부 봉지 부재(34)를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고착됨).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감광체(12), 현상 롤(23), 스크레이핑 부재(33), 단부 봉지 부재(34)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의 감광체(12)는, 소관(12a) 위에 우선 밀착성 향상을 위한 하지 처리층(12b)을 형성하고, 이 하지 처리층(12b)의 표면에 OPC(Optical Photo Conductor)로 이루어지는 감광층(12c)을 형성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감광체(12)와 현상 롤(23)의 간극은, 현상 롤(23)의 회전축(23a)에 설치된 트래킹 롤(29)에 의해 유지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트래킹 롤(29)이 감광체(12)의 소관(12a) 부분에 접촉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트래킹 롤(29)이 감광층(12c)에 직접 접촉하지 않아, 감광층(12c)에 직접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한편, 단부 봉지 부재(34)의 구멍부(40)는, 감광체(12)의 회전축을 따르는 방향으로의 길이, 즉 최대 폭 치수(w)가 트래킹 롤(29)의 폭(w0)보다 큰 폭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즉, 트래킹 롤(29)이 감광체(12)에 접촉하는 영역은 단부 봉지 부재(34)의 구멍부(40)와는 축 방향 위치가 중복되며, 또한 구멍부(40)가 트래킹 롤(29)보다 축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감광층(12c)으로서 OPC를 이용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러한 유기계의 피막에 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아모퍼스 실리콘과 같은 무기계의 피막을 이용하도록 해도 마찬가지이다.
<화상 형성 장치의 작동>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이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색의 화상 형성부(10)(10a∼10d)에 의해 각 색의 토너상이 각각의 감광체(12) 위에 형성되고, 각 감광체(12) 위에 형성된 각 색의 토너상은 일차 전사기(16)에 의해 각각 중간 전사 벨트(50) 위에 순차적으로 일차 전사된다. 일차 전사된 각 색의 토너상은 중간 전사 벨트(50) 위에서 다중화되고, 그 다중화된 토너상이 이차 전사기(54)에 의하여 기록재(P) 위에 일괄 전사된 후, 도시하지 않은 정착기를 경유해서 장치 밖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각 화상 형성부(10)의 청소 장치(30)는, 감광체(12) 위에 형성된 토너상이 중간 전사 벨트(50) 위에 일차 전사된 후의 감광체(12)의 표면을 청소하는 것이며, 감광체(12) 위에 남은 토너 등의 잔류물이 청소 장치(30)에 회수된다.
<청소 장치에서의 작동>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청소 장치(30)의 작동에 대하여 도 3∼도 8 등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스크레이핑 부재(33)에 의하여 긁어내어진 감광체(12) 위의 잔류물은 청소 용기(31)의 개구(32)로부터 청소 용기(31) 내에 회수된다. 청소 용기(31) 내에 회수된 잔류물은 청소 용기(31) 내의 반송 부재(36)의 회전에 의하여 배출구(39)측으로 순차 반송되어 배출구(39)로부터 배출된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스크레이핑 부재(33)의 길이 방향 양단측에는 감광체(12)로부터 긁어내어진 잔류물이 서서히 바깥쪽으로 퍼지기 쉬워, 감광체(12) 위에서는 청소 용기(31)의 개구(32)의 양단을 넘는 부위에도 잔류물이 퍼질 우려가 있다. 또한, 청소 용기(31)의 개구(32)의 길이 방향 양단부로부터도 잔류물이 누출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잔류물을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두면, 잔류물의 비산 등에 의해 화질 오염 등의 화질 열화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감광체(12)와 트래킹 롤(29) 사이의 슬라이딩에 의해서도 마모분 등이 발생할 우려도 있다. 이러한 마모분이나 잔류물이 감광체(12)의 특히 트래킹 롤(29)이 접하는 부위에 퇴적되면, 감광체(12)와 현상 롤(23)의 간극이 변화하게 되어 현상 조건을 변화시키게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크레이핑 부재(33)의 양단측 및 개구(32)의 길이 방향 양단측에 단부 봉지 부재(34)를 설치하며, 이 단부 봉지 부재(34)를 감광체(12)에도 접촉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감광체(12)의 양단측에서의 잔류물이나 마모분은 단부 봉지 부재(34)에 의하여 청소되게 된다.
이렇게 단부 봉지 부재(34)에 의하여 감광체(12)의 양단측이나, 개구(32)의 양단측은 청소되지만, 이러한 청소가 반복되면, 단부 봉지 부재(34) 자체에 잔류물이 퇴적되어 청소 성능은 서서히 저하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부 봉지 부재(34)에 공동으로서 구멍부(40)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단부 봉지 부재(34)에 구멍부(40) 등의 공동을 설치하지 않는 태양에 비해서, 단부 봉지 부재(34)의 청소 성능이 길게 유지된다. 가령, 단부 봉지 부재(34)에 구멍부(40) 등의 공동을 구비하지 않는 태양에 있어서는, 단부 봉지 부재(34)의 표면(감광체(12)와 접촉하는 접촉 영역)에 오염이 퇴적된 채로 되어, 예를 들면 단부 봉지 부재(34)에 의한 감광체(12)의 표면을 청정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기능하지 않게 되는 것이 상정된다. 그 결과, 잔류물의 비산을 일으키거나, 트래킹 롤(29)에 의한 감광체(12)와 현상 롤(23)의 간극도 불안정해져 화질 열화를 일으키게 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멍부(40)의 작용에 대하여 도 9를 이용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도 9의 (a)로서 구멍부(40)를 갖는 태양, 도 9의 (b)로서 비교를 위하여 구멍부(40)를 갖지 않는 태양을 나타낸다.
우선, 도 9의 (b)에 나타내는 비교 태양에 대하여 설명한다.
감광체(12)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 경우, 감광체(12) 위의 잔류물(주로 토너이며, 도면 중 검은 동그라미로 나타냄)은 감광체(12)에 접촉하는 단부 봉지 부재(34')에 의하여 긁어내어져, 단부 봉지 부재(34') 내에 순차 축적되게 된다(축적된 잔류물은 도면 중 점선 흰 동그라미로 나타냄). 이러한 단부 봉지 부재(34')로서는, 예를 들면 펠트재가 이용되지만, 예를 들면 펠트재의 섬유 사이가 잔류물에 의해 서서히 충전되게 된다. 또한 잔류물의 긁어내기가 계속되면, 단부 봉지 부재(34')의 내부에는 잔류물이 충분히 충전되고, 그 후에는 출구측(감광체(12)의 회전 방향 하류측)으로부터 외부로 누출되며, 이러한 누출에 의한 잔류물은, 감광체(12)와 청소 용기(31) 사이로부터 외부로 비산하여 화질 열화 등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된다.
한편, 도 9의 (a)에 나타내는 본 예와 같이, 단부 봉지 부재(34)에 구멍부(40)를 설치하면, 감광체(12) 위의 잔류물은 단부 봉지 부재(34)의 구멍부(40)로부터 상류측 부위(341)에 의해 주로 긁어내어지고, 이 상류측 부위(341)가 충전된 후에는 구멍부(40)에 수용된다. 통상, 단부 봉지 부재(34)에의 잔류물의 충전은 두께 방향으로 균등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표면(본 예에서는 감광체(12)측)에 가까울수록 충전되기 쉽고, 깊어질수록 충전되기 어려워진다. 그러나, 구멍부(40)에는 두께 방향은 관계없으며, 또한 잔류물은 구멍부(40)의 아래쪽으로부터 수용되기 때문에, 구멍부(40) 전체에 수용할 수 있는 잔류물의 양은 구멍부(40)가 없는 경우에 비하여 대폭적으로 증가한다. 또한, 가령 구멍부(40)가 잔류물에 의해 충전되어 버렸을 경우에는, 그 후, 단부 봉지 부재(34)의 하류측 부위(342)에 의하여 잔류물의 긁어내기가 이루어지므로, 감광체(12)와 청소 용기(31)의 극간으로부터의 잔류물의 비산이 대폭적으로 억제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부 봉지 부재(34)에 구멍부(40)를 설치함으로써, 단부 봉지 부재(34)의 접촉 영역에 퇴적된 잔류물은 서서히 구멍부(40) 내에 수용되어, 단부 봉지 부재(34)에의 잔류물의 퇴적은 억제된다. 그 결과, 단부 봉지 부재(34)가 접촉하는 감광체(12)측에서는, 그 표면이 청정화된 면으로서 길게 유지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부 봉지 부재(34)의 구멍부(40)의 최대 폭 치수가, 트래킹 롤(29)의 감광체(12)에의 접촉 폭을 넘는 크기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트래킹 롤(29)이 감광체(12)에 접촉하는 부위에 있어서의 오염이 단부 봉지 부재(34)에 의하여 청소되며, 또한 청소된 잔류물 등은 구멍부(40)에 수용되어 모이기 때문에, 감광체(12)와 현상 롤(23)의 간극은 적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크레이핑 부재(33)의 아래쪽에 대전롤(13)을 설치하는 태양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러한 태양에 있어서도, 본 예의 청소 장치(30)를 이용함으로써 잔류물의 비산 등에 기인하는 대전 조건의 악화는 억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컬러 타입의 것을 나타냈지만 이에 한하지 않으며, 모노크롬 타입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감광체(12)와 현상 롤(23)의 간극을 유지하는 간극 유지 부재로서 트래킹 롤(29)을 이용하는 태양을 나타냈지만 예를 들면 현상 롤(23) 이외의 부위에 다른 간극 유지 부재와 동등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트래킹 롤(29)의 한쪽측을 감광체(12) 이외의 부위에 접촉시키도록 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부 봉지 부재(34)에 설치하는 공동으로서 구멍부(40)를 구비하는 태양을 나타냈지만 구멍부(40)가 아닌, 바닥부를 갖는 오목부여도 무방하다. 단, 오목부의 경우에는 구멍부(40)보다 수용할 수 있는 잔류물의 양이 적어지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청소 용기(31) 내에 반송 부재(36)를 구비하는 태양을 나타냈지만 반송 부재(36)를 구비하지 않고, 잔류물을 청소 용기(31) 내에 모으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부 봉지 부재(34)에 구멍부(40)를 설치하는 태양을 나타냈지만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는 편이 더 바람직하다. 도 10은 전술한 실시형태의 변형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10의 (a)는 감광체(12)와 청소 용기(31), 스크레이핑 부재(33), 단부 봉지 부재(34)의 배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10의 (b)는 그 작용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본 예에서는, 단부 봉지 부재(34)의 구멍부(40)의 바로 아래에는 청소 용기(31)에도 관통 구멍(311)이 뚫려 있어, 구멍부(40)가 청소 용기(31)에 연통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단부 봉지 부재(34)의 상류측 부위(341)에서 긁어내어진 잔류물(도면 중 검은 동그라미로 나타냄)은, 이 상류측 부위(341)에 퇴적(도면 중 점선 흰 동그라미로 나타냄)된 후, 서서히 구멍부(40) 내에 수용되지만, 구멍부(40)가 청소 용기(31)에 연통해 있기 때문에, 구멍부(40) 내로부터 곧바로 청소 용기(31) 내에 수용되게 된다. 또한, 청소 용기(31) 내에 수용된 잔류물(도면 중 검은 동그라미로 나타냄)은 반송 부재(36)에 의하여 배출구(39)측으로 반송되기 때문에, 단부 봉지 부재(34)에 의한 청소 능력은 대폭적으로 길게 유지되게 된다.
또한, 지금까지는, 단부 봉지 부재(34)에 설치하는 공동으로서 직사각형의 구멍부(40)를 설치하는 태양을 나타냈지만 도 11의 (a)∼(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의 공동을 적용해도 된다. 또, 여기에서는 알기 쉽게 하기 위해, 공동을 부호 40으로 나타낸다. 또한, 도면 중 화살표(d)는 도시하지 않은 감광체의 회전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에 있어서, 도 11의 (a)는 공동(40)이 원형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원형의 공동(40)의 경우, 잔류물의 회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상정된다.
이 경우, 공동(40)의 외주는, d 방향에 있어서의 상류측의 반원 부분(41)과 하류측의 반원 부분(42)이 조합된 것으로 된다. 여기에서, 상류측의 반원 부분(41)은 잔류물을 긁어내어 공동(40) 내에 잔류물을 수용하려고 한다. 그러나, 그 상태에서는, 상류측의 반원 부분(41) 뒤에 공동(40)이 따라오기 때문에, 공동(40) 내에 잔류물을 밀어넣는 작용이 부족하다. 그 때문에, 하류측의 반원 부분(42)에 의해 잔류물을 공동(40) 내에 밀어넣을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하류측의 반원 부분(42)은, d 방향을 따르는 하류측을 향해서 돌출되며, 또한 d 방향에 교차하는 폭 방향의 폭 치수가 d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좁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하류측의 반원 부분(42)이 단순히 d 방향에 교차하는 직선 형상인 경우에 비해, 능선이 길어지는 만큼 긁어내기 작용이 강하며, 또한 d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중앙부에 긁어모으는 작용이 기능하여, 잔류물은 공동(40) 내에 수용되게 된다.
도 11의 (b)는 공동(40)이 삼각형인 태양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도 마찬가지이다. 공동(40)의 상류측의 직선 부분(43)에서는 잔류물을 폭넓게 긁어내고, 하류측의 삼각 부분(44)(d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는 부분)은 그 능선이 길어 잔류물을 공동(40) 내에 수용하기 쉬워진다.
또한, 도 11의 (c)는 도 11의 (b)의 변형예이며, 공동(40)이 오각형인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상류측의 직선 부분(45)에서 잔류물을 폭넓게 긁어내고, 하류측의 삼각 부분(46)에서 긁어내어진 잔류물을 공동(40) 내에 수용하기 쉬워진다.
또한, 도 11의 (d)는 2개의 공동(40)(40a, 40b)이 d 방향을 따라 나열되어 있다. 이 태양에 있어서는, 같은 부위에 부착되어 있는 잔류물을 2개의 공동(40a, 40b)에서 차례로 긁어내는 작용이 기능하여, 잔류물이 효과적으로 공동(40) 내에 수용되게 된다.

Claims (10)

  1. 회전하는 상(像) 유지체 위의 잔류물을 청소하는 청소 장치로서,
    상기 상 유지체에 대향하는 개구를 가지며 또한 상기 상 유지체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내부에 상기 상 유지체의 잔류물을 수용하는 청소 용기와,
    상기 청소 용기의 개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상 유지체에 접촉함으로써 당해 상 유지체 위의 잔류물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핑 부재와,
    상기 청소 용기의 개구의 길이 방향 양단 가장자리의 적어도 한쪽에 고착되며, 상기 상 유지체의 표면에 접촉함과 함께 상기 스크레이핑 부재의 길이 방향 단부(端部)에서의 상기 청소 용기와 상기 상 유지체의 극간(隙間)을 봉지(封止)하는 단부 봉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단부 봉지 부재의 상기 상 유지체의 표면에 접촉하는 면은, 주위로부터 고립되는 영역에 형성된 공동(void)을 갖는
    청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상기 상 유지체의 회전 방향 하류측을 향해서 폭 방향의 폭 치수가 순차적으로 좁아지는 협폭 부분을 갖는 청소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봉지 부재의 상기 상 유지체의 표면에 접촉하는 면은, 상기 상 유지체의 회전 방향을 따라 아래쪽으로 내려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청소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상기 청소 용기 내에 연통하며 또한 상기 단부 봉지 부재를 관통하는 구멍부를 갖는 청소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용기 내에는, 상기 스크레이핑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또한 상기 청소 용기 내에 수용된 상기 잔류물을 상기 청소 용기 밖으로 반송하는 반송 부재를 더 갖고,
    상기 공동으로서의 구멍부는 상기 반송 부재의 주변 영역에 연통해 있는 청소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부재는, 상기 공동으로서의 구멍부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청소 장치.
  7. 정전 잠상을 유지 가능한 상 유지체와,
    상기 상 유지체의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제를 유지하는 현상제 유지체와,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청소 장치
    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에서의 상기 상 유지체의 축 방향을 따르는 최대 폭 치수는, 상기 상 유지체와 상기 현상제 유지체 사이에서 미리 정해진 간극을 유지하기 위한 간극 유지 부재의 상기 상 유지체에의 접촉 영역의 폭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장치의 아래쪽에는, 상기 상 유지체를 대전하는 대전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10. 토너상을 유지하는 상 유지체에 대향하는 개구를 가지며 또한 상기 상 유지체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내부에 상기 상 유지체의 잔류물을 수용하는 청소 용기와,
    상기 청소 용기의 개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상 유지체에 접촉함으로써 당해 상 유지체 위의 잔류물을 긁어내는 스크레이핑 부재
    를 구비하는 청소 장치에 이용되는 부재로서,
    상기 청소 용기의 개구의 길이 방향 양단 가장자리의 적어도 한쪽에 고착되고, 상기 상 유지체의 표면에 접촉하며 또한 당해 접촉하는 면 내에서 주위로부터 고립되는 영역에 형성된 공동을 갖고, 상기 스크레이핑 부재의 길이 방향 단부에서의 상기 청소 용기와 상기 상 유지체의 극간을 봉지하는 단부 봉지 부재.
KR1020150135315A 2015-02-24 2015-09-24 청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그리고 청소 장치용의 단부 봉지 부재 KR1020393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33452A JP6524698B2 (ja) 2015-02-24 2015-02-24 清掃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並びに清掃装置用の端部封止部材
JPJP-P-2015-033452 2015-0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490A true KR20160103490A (ko) 2016-09-01
KR102039391B1 KR102039391B1 (ko) 2019-11-04

Family

ID=56690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315A KR102039391B1 (ko) 2015-02-24 2015-09-24 청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그리고 청소 장치용의 단부 봉지 부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42453B1 (ko)
JP (1) JP6524698B2 (ko)
KR (1) KR102039391B1 (ko)
CN (1) CN1059118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08190B (zh) * 2017-10-24 2020-01-14 贵州云侠科技有限公司 一种激光硒鼓清理方法
JP7225990B2 (ja) * 2019-03-22 2023-02-21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3441A (ja) * 1992-05-09 1993-11-26 Canon Inc クリーニング装置、クリーニング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JPH0980906A (ja) * 1995-09-19 1997-03-28 Ricoh Co Ltd 現像装置
JPH10222036A (ja) * 1997-02-10 1998-08-21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H10319812A (ja) * 1997-05-19 1998-12-04 Katsuragawa Electric Co Ltd クリーニ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0411A (en) * 1986-04-10 1989-01-24 Ricoh Company, Ltd. Magnetic brush development device for electrostatic latent images
JPH03155576A (ja) * 1989-08-10 1991-07-0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の現像装置
JP3235697B2 (ja) * 1994-06-09 2001-12-04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JPH11237818A (ja) * 1998-02-20 1999-08-31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0132027A (ja) * 1998-10-23 2000-05-12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1356600A (ja) 2000-06-14 2001-12-26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328574A (ja) * 2001-04-27 2002-11-15 Canon Inc クリーニング部材、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454402B2 (ja) * 2004-06-14 2010-04-21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627265B2 (en) * 2007-01-15 2009-12-01 Lexmark International, Inc. Seal and seal assembly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4725527B2 (ja) * 2007-01-29 2011-07-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像保持体ユニット
JP4572921B2 (ja) * 2007-10-15 2010-11-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208000B2 (ja) * 2009-01-26 2013-06-1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3441A (ja) * 1992-05-09 1993-11-26 Canon Inc クリーニング装置、クリーニング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JPH0980906A (ja) * 1995-09-19 1997-03-28 Ricoh Co Ltd 現像装置
JPH10222036A (ja) * 1997-02-10 1998-08-21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H10319812A (ja) * 1997-05-19 1998-12-04 Katsuragawa Electric Co Ltd クリーニ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42453B1 (en) 2016-09-13
US20160246243A1 (en) 2016-08-25
CN105911839A (zh) 2016-08-31
JP2016156896A (ja) 2016-09-01
KR102039391B1 (ko) 2019-11-04
JP6524698B2 (ja) 2019-06-05
CN105911839B (zh) 2018-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28785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9829851B2 (en) Clea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3580612B1 (en) Developing device having air outlet
JP6241602B2 (ja) プロセス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
KR100846789B1 (ko) 대전롤러 클리닝 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KR20160103490A (ko) 청소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그리고 청소 장치용의 단부 봉지 부재
JP2003233283A (ja)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046141B1 (ja) 回転体清掃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61167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4109799A (ja) 画像形成装置
JP3795763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像担持体ユニット
JP2007101716A (ja) ベルト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6683151B2 (ja) クリーニング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6011071A (ja) 湿式画像形成装置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2010156778A (ja) 画像形成装置用の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772933B2 (ja) クリーニング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773999B2 (ja) シール部材、粉体収納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116119A (ja)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484543B2 (ja) 潤滑剤塗布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214920A (ja) 湿式画像形成装置
JP2008157989A (ja)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画像形成装置
JP2012013984A (ja)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H09325590A (ja) 現像装置
JP5915266B2 (ja) 清掃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271102A (ja) 潤滑性付与剤塗布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