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9171A - 낚시바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낚시바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9171A
KR20160099171A KR1020150021039A KR20150021039A KR20160099171A KR 20160099171 A KR20160099171 A KR 20160099171A KR 1020150021039 A KR1020150021039 A KR 1020150021039A KR 20150021039 A KR20150021039 A KR 20150021039A KR 20160099171 A KR20160099171 A KR 20160099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wire
bending
fishing needl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1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3485B1 (ko
Inventor
황성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벨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벨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벨라
Priority to KR1020150021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485B1/ko
Publication of KR20160099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9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45/00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F45/12Wire-working in the manufacture of other particular articles of fishing hoo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3/00Feeding wire in wire-working machine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9/0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 B24B19/16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for grinding sharp-pointed workpieces, e.g. needles, pens, fish hooks, tweezers or record player styl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인트를 형성하기 전에 와이어의 단부를 미리 단조 가공하여 포인트의 조직을 조밀하게 해 둠으로써, 포인트의 충분한 강도 등을 얻을 수 있도록 한 낚시바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인트를 형성하기면서 컷팅한 면을 연마하여 가공함으로써, 컷팅면을 깔끔하게 정리하여 첨예한 포인트를 얻을 수 있게 함으로써, 낚시바늘로서 어류의 입에 걸리는 관통력을 높일 수 있게 한 낚시바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포인트의 끝단부를 다시 한번 더 연마하여 줌으로써, 이러한 관통력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게 한 낚시바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낚시바늘 및 그 제조방법{FISHING HOOK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낚시바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인트 형성 전에 단조를 통해 포인트 및 포인트 미늘을 형성하는데 충분한 면적을 확보하고, 특히 포인트의 절단면과 그 선단을 연마함으로써, 낚시바늘을 낚아챌 때에 관통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 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낚시바늘을 제조하는 제조장치에 관하여 특허문헌1과 같이, 한국에서 출원하여 특허등록을 받은 바 있다. 특허문헌1에 개시된 낚시바늘 제조장치는,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 소재를 이송 공급하여 낚시바늘을 제조하는 경우 낚시바늘의 첨예부 형성을 위한 그라인딩 및 컷팅공정이 고리를 형성하는 절곡성형공정, 미늘성형공정, 컷팅공정 및 벤딩공정과 일련의 작업공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작업자의 안전성 도모 및 제품의 규격화에 부응할 수 있도록 한 낚시바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하지만, 종래의 낚시바늘 제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1) 포인트를 형성함에 있어서, 와이어에 연마석으로 연마하여 포인트를 형성하고 난 다음에 바로 포인트 미늘을 형성하기 때문에, 한정된 와이어의 굵기(직경)에 대하여 포인트 또는 포인트 미늘의 강도가 약화될 우려가 있었다.
(2) 이처럼 연마석으로 연마하여 포인트를 연마함에 따라 연마시 발생되는 마찰열에 의하여 탈탄 현상이 생겨 포인트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3) 포인트의 형성시 포인트는 절단기 등을 이용하여 컷팅하게 되는데, 컷팅면이 깨끗하게 다듬질되지 않아 낚시바늘의 관통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62016(등록일자 2008년 09월 30일)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포인트를 형성하기 전에 와이어의 단부를 미리 단조 가공하여 포인트의 조직을 조밀하게 해 둠으로써, 포인트의 충분한 강도 등을 얻을 수 있도록 한 낚시바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인트를 형성하기면서 컷팅한 면을 연마하여 가공함으로써, 컷팅면을 깔끔하게 정리하여 첨예한 포인트를 얻을 수 있게 함으로써, 낚시바늘로서 어류의 입에 걸리는 관통력을 높일 수 있게 한 낚시바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포인트의 끝단부를 다시 한번 더 연마하여 줌으로써, 이러한 관통력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게 한 낚시바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바늘 제조방법은, 미리 정해진 길이로 와이어를 절단하는 제1단계; 상기 와이어의 일단을 아이(Eye)를 형성하기 위해 넥부를 1차 벤딩하는 제2단계; 상기 넥부의 선단부가, 아이를 벤딩시 와이어와 접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2차로 벤딩하는 제3단계; 상기 와이어의 길이 중간 부분에 등미늘을 형성하는 제4단계; 상기 와이어의 타단을 단조가공하여 단조면을 형성하는 제5단계; 상기 단조면에 컷팅가공하여 그 끝단이 첨예하게 포인트를 형성하는 제6단계; 상기 포인트에 미늘을 형성하는 제7단계; 상기 포인트를 형성하면서 생긴 절단면에 대하여 연마하는 제8공정; 상기 포인트가 낚시바늘의 축부를 향하도록 벤딩하여 포인트를 교정하는 제9단계; 상기 포인트의 선단부를 첨예하게 연마하는 제10단계; 상기 넥부를 둥글게 3차로 벤딩하여 아이를 형성하는 제11단계; 및 상기 와이어를 낚시바늘 형태로 벤딩 및 리버스드 처리하여 마무리하는 제1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2단계는 2차로 벤딩된 와이어의 단부에 안쪽으로 곡면을 함께 형성함으로써, 아이의 벤딩시 이 곡면이 와이어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제3단계는, 2차로 벤딩한 다음, 넥부가 반대로 뒤집어질 수 있도록 방향을 전환시켜 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4단계는 2개의 등미늘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4단계는, 등미늘의 형성으로 휜 와이어를 길게 펴주기 위한 직선교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6단계는, 포인트 가공후 이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불량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낚시바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낚시바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낚시바늘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와이어의 일단을 단조가공함으로써, 포인트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2) 이에 포인트의 형상 및 포인트 미늘의 크기와 형태 등을 원하는 대로 형성하고, 이들이 필요로 하는 강성을 확보하는데에도 유리하다.
(3) 포인트의 절단면에 대하여 연마가공을 하여 깔끔하게 가공함으로써, 낚시바늘의 관통력, 즉 어류의 입에 쉽게 걸리게 하여 낚시바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4) 특히, 이러한 관통력은 포인트의 양단에도 각각 한번 더 포인트 끝단 연마를 함으로써,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바늘 제조방법이 적용된 낚시바늘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바늘 제조방법이 적용된 낚시바늘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낚시바늘이 제조되어 가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조방법)
본 발명에 따른 낚시바늘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이 12단계에 걸쳐 수행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조방법이 적용된 제조장치(도 1 및 도 2)의 도면부호를 그대로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단계는 와이어(10)를 절단하는 단계이다. 와이어(10)의 절단은 와이어 공급장치(100)에 의해 수행된다. 와이어 공급장치는, 코일 형태로 권취된 와이어를 지속적으로 풀어가면서 미리 정해진 길이로 절단하여 제공한다.
도 3의 (a)는 이렇게 절단된 와이어(10)의 일예를 보여준다. 이때, 와이어(10)의 길이는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을 통해 완성되는 낚시바늘의 길이를 고려하여 결정하게 된다.
제2단계는, 도 3의 (b)와 같이, 넥부(11)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넥부(11)는 낚시바늘에 구성되는 아이(Eye; 15)를 형성하기 위해 1차로 벤딩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아이(15)는 낚시줄을 낚시바늘에 묶어서 고정시키 위한 구멍을 말한다.
이러한 넥부(11)는 제1벤딩기(110)에 의해 수행되며, 그 벤딩 위치는 아이(15)의 내경 등을 고려하여 와이어(10)의 일단으로부터 미리 정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단계에서는 상기 넥부(11)의 끝단부에 안쪽으로 곡면(11b)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곡면(11b)은 넥부(11)를 완전히 벤딩시켜 아이(15)를 형성하게 되면, 이 넥부(11)의 단부가 와이어(10)의 외주면에 닿게 된다. 이때, 이 곡면(11b)이 와이어(10)의 외주 형상과 비슷하게 연마하여 둠으로써 이들 사이에 간격이 없이 일체감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3단계는, 도 3(c)의 (1)과 같이, 넥부(11)를 2차로 벤딩하는 단계이다. 이는 상기 곡면(11b)이 형성된 넥부(11)의 선단부를 미리 벤딩시켜 놓음으로써, 아이(15)의 벤딩 성형시 와이어(10)와의 틈새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2차 벤딩은, 제2벤딩기(120)에 의해 수행된다. 이는 아이(15)가 넥부(11)를 직선 형태로 밀어서 벤딩하기 때문에 이 넥부(11)의 단부가 와이어(10)와 이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이격을 없앨 줄 수 있도록 미리 2차로 벤딩해 놓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3단계에서는, 도 3(c)의 (2)와 같이, 와이어(10)를 뒤집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이는, 와이어(10)가 이송시 벤딩된 넥부(11)에 의해 어느 한 면이 가이드와 맞닿은 상태로 이송되게 된다. 이때, 그 다음 단계에서 수행되는 등미늘(12)의 성형이 이처럼 가이드와 맞닿은 면에 형성해야 하는 경우 필요한 단계이다. 이러한 뒤집기 단계는 제조장치의 뒤집음장치(130)에 의해 수행된다.
제4단계는 등미늘(12)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등미늘(12)은, 도 3의 (d)와 같이, 와이어(10)의 외주면에 길이 중간 부분에 형성한다. 이러한 등미늘(12)의 형성 위치와 형성방법은 통상적인 기술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등미늘(12)은 등미늘 형성장치(140)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등미늘(12)은 와이어(10)에 3(d)의 (1)과 같이 첫 번째 등미늘을 먼저 형성하고, 3(d)의 (2)와 같이 두 번째 등미늘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 3(d)의 (3)과 같이 와이어(10)을 곧게 펴주는 직선교정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와이어(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각도로 컷터 등으로 등미늘(12)을 형성하다 보면, 와이어(10)에 휨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이러한 휨 등을 직선교정기(150)를 이용하여 와이어(10)를 직선 형태로 펴주게 되는 것이다.
제5단계는, 도 3의 (e)와 같이, 단조면(13)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단조면(13)은 와이어(10)의 타단, 즉 아이(15) 형성을 위해 넥부(11)가 형성되지 않은 단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단조가공은 단조장치(160)에 의해 수행되며, 단조공정은 통상의 기술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단조면(13)은 넥부(11)에 의해 형성되는 면과 수직이 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6단계는, 도 3의 (f)와 같이, 포인트(14)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포인트(14)는 상기 단조면(13)을 컷팅기(170)로 첨예하게 컷팅하여 형성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6단계에서는, 보조컷팅기(170')를 더 이용하여 불량부분(13a)를 제거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컷팅기(170)에 의해 컷팅시 도 3(f)의 (1)과 같이 포인트(14)가 한번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3(f)의 (2)와 같이 포인트(14)를 제외한 단조면(13)의 나머지 부분이 불량부분(13a)으로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처럼 불량부분(13a)이 남아 있는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한 공정을 더 추가할 수 있다.
제7단계는 포인트(14)에 포인트 미늘(14a)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포인트 미늘(14a)은 포인트(14)가 어류의 입에 관통되게 걸어짐에 따라 다시 빠지지 않게 하는 구성요소로서 통상의 기술에 의해 수행된다.
도 3의 (g)에는 포인트(14)에는, 통상의 미늘형성장치(180)를 이용하여 포인트 미늘(14a)이 형성된 상태의 와이어(10)의 정면도와 측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제8단계는, 도 3의 (h)와 같이, 포인트 연마기(190)를 이용하여 포인트(14)의 절단면에 대하여 연마가공을 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포인트(14)는 한쌍의 커터 등을 이용하여 컷팅하기 때문에 포인트(14)에는 2개의 절면면(14b,14c)이 형성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포인트 연마가공에서는 각 절단면(14b,14c)에 대하여 연마가공을 수행한다.
도 3(h)의 (1)은 어느 한쪽의 절단면(14b)을 연마한 상태를 보여주고, 도 3(h)의 (2)은 다른 한쪽의 절단면(14c)을 연마한 상태를 보여준다.
제9단계는, 도 3의 (i)와 같이, 포인트 교정기(200)를 이용하여, 포인트(14)를 벤딩하여 포인트를 교정하는 단계이다. 이때, 포인트(14)는 낚시바늘의 축부를 향하여 곡률지도록 벤딩처리하게 된다. 여기서, 축부(S)란, 도 3의 (l)과 같이, 낚시바늘의 몸통부분을 말한다.
도 3의 (i)에서, 도면부호 "14'"는 포인트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포인트 교정된 포인트(14')를 나타낸다.
제10단계는, 도 3의 (j)와 같이, 포인트선단 연마기(210)를 이용하여 교정된 포인트(14')의 선단부(P',P")를 첨예하게 연마하는 단계이다. 이때의 선단부(P',P")는 상기 각 절단면(14b,14c)의 선단을 보다 뾰쪽하게 가공함으로써, 포인트(14')의 관통력을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포인트 선단의 연마는, 도 3(j)의 (1)과 같이 어느 하나의 선단부(P')를 연마한 다음, 도 3(j)의 (2)과 같이 나머지 하나의 선단부(P")를 연마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선단부(P',P")는 한번에 연마하는 공정도 가능하다.
제11단계는, 도 3(k)와 같이, 아이 벤딩기(220)를 이용하여 아이(15)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아이(15)는 낚시줄을 묶기 위해 와이어(10)의 단부를 원형 형태로 벤딩하여 형성하게 된다. 이때, 아이(15)는 이미 2번에 걸쳐 벤딩처리한 넥부(11)를 3차로 마무리 벤딩하여 형성하게 된다.
이에, 상기 넥부(11)는 원형 형태로 벤딩이 되게 되고, 특히 곡면(11b) 부분이 와이어(10)의 표면과 맞닿게 되어 이들 사이의 틈새를 없앨 수 있게 된다.
제12단계는, 도 3(l)과 같이, 벤딩머신(230,240)을 이용하여 와이어(10)를 벤딩 및 리버스드 처리하여 완전한 낚시바늘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벤딩 및 리버스드 처리로 낚시바늘을 마무리하는 공정은 통상의 기술로 이루어진 것으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낚시바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낚시바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낚시바늘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아이 부분이 와이어와의 보다 정밀하게 밀착되게 하여 낚시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인트 및 포인트 단부 단조를 통해 낚시바늘의 관통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 와이어
11 : 넥부
11b : 곡면
12 : 등미늘
13 : 단조면
14 : 포인트
14a : 포인트 미늘
14b, 14c : 절단면
15 : 아이

Claims (7)

  1. 미리 정해진 길이로 와이어(10)를 절단하는 제1단계;
    상기 와이어(10)의 일단을 아이(Eye; 15)를 형성하기 위해 넥부(11)를 1차 벤딩하는 제2단계;
    상기 넥부(11)의 선단부가, 아이(15)를 벤딩시 와이어(10)와 접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2차로 벤딩하는 제3단계;
    상기 와이어(10)의 길이 중간 부분에 등미늘(12)을 형성하는 제4단계;
    상기 와이어의 타단을 단조가공하여 단조면(13)을 형성하는 제5단계;
    상기 단조면(13)에 컷팅가공하여 그 끝단이 첨예하게 포인트(14)를 형성하는 제6단계;
    상기 포인트(14)에 포인트 미늘(14a)을 형성하는 제7단계;
    상기 포인트(14)를 형성하면서 생긴 절단면(14b,14c)에 대하여 연마하는 제8공정;
    상기 포인트(14)가 낚시바늘의 축부를 향하도록 벤딩하여 포인트를 교정하는 제9단계;
    상기 포인트(14)의 선단부를 첨예하게 연마하는 제10단계;
    상기 넥부(11)를 둥글게 3차로 벤딩하여 아이(15)를 형성하는 제11단계; 및
    상기 와이어(10)를 낚시바늘 형태로 벤딩 및 리버스드 처리하여 마무리하는 제1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제2단계는 2차로 벤딩된 와이어(10)의 단부에 안쪽으로 곡면(11b)을 함께 형성함으로써, 아이(15)의 벤딩시 이 곡면(11b)이 와이어(10)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바늘의 제조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3단계는, 2차로 벤딩한 다음, 넥부(11)가 반대로 뒤집어질 수 있도록 방향을 전환시켜 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2개의 등미늘(1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등미늘(12)의 형성으로 휜 와이어(10)를 길게 펴주기 위한 직선교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는,
    포인트(14) 가공후 이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불량부분(13a)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의 제조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낚시바늘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낚시바늘.
KR1020150021039A 2015-02-11 2015-02-11 낚시바늘의 제조방법 KR101653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039A KR101653485B1 (ko) 2015-02-11 2015-02-11 낚시바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039A KR101653485B1 (ko) 2015-02-11 2015-02-11 낚시바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171A true KR20160099171A (ko) 2016-08-22
KR101653485B1 KR101653485B1 (ko) 2016-09-12

Family

ID=56854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1039A KR101653485B1 (ko) 2015-02-11 2015-02-11 낚시바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34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450B1 (ko) 2019-10-11 2020-06-24 정동명 알루미늄 합금 낚시 바늘
KR102562884B1 (ko) * 2022-02-09 2023-08-07 함정호 낚시바늘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878Y1 (ko) * 2000-06-23 2000-12-01 주식회사유벨라 낚시바늘 제조장치
KR200249357Y1 (ko) * 2001-06-26 2001-11-16 변용출 참치용 낚시바늘의 밴딩장치
KR200215396Y1 (ko) * 1998-10-24 2001-11-16 황성만 낚시바늘 제조장치
KR200432973Y1 (ko) * 2006-09-19 2006-12-07 주식회사 유벨라 낚시바늘 제조장치
KR100862016B1 (ko) 2006-09-14 2008-10-10 주식회사 유벨라 낚시바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396Y1 (ko) * 1998-10-24 2001-11-16 황성만 낚시바늘 제조장치
KR200205878Y1 (ko) * 2000-06-23 2000-12-01 주식회사유벨라 낚시바늘 제조장치
KR200249357Y1 (ko) * 2001-06-26 2001-11-16 변용출 참치용 낚시바늘의 밴딩장치
KR100862016B1 (ko) 2006-09-14 2008-10-10 주식회사 유벨라 낚시바늘 제조장치
KR200432973Y1 (ko) * 2006-09-19 2006-12-07 주식회사 유벨라 낚시바늘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450B1 (ko) 2019-10-11 2020-06-24 정동명 알루미늄 합금 낚시 바늘
KR102562884B1 (ko) * 2022-02-09 2023-08-07 함정호 낚시바늘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3485B1 (ko) 2016-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3485B1 (ko) 낚시바늘의 제조방법
JP2009285455A (ja) 医療用縫合針
US9032662B2 (en) Fish hook with multiple convex facets
JP2018134394A (ja) ねじりブラシ、ねじりブラシ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ならびにねじりブラシ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
US2146964A (en) Method of making guide holders
KR101660158B1 (ko) 낚시바늘 제조장치
JPS59500361A (ja) 精密リングを製造する方法、装置およびこの方法によって作った精密リングと精密リング素材
JP5731451B2 (ja) 歯間ブラシ
KR100985245B1 (ko) 낚시바늘 제조방법
CA2836408C (en) Fish hook with multiple convex facets
KR101708106B1 (ko) 낚시바늘 제조장치
KR102562884B1 (ko) 낚시바늘 및 이의 제조방법
JP6517506B2 (ja) ボールチェーンとボールチェーンの製造装置、およびボールチェーンの製造方法
CA2974782C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curved pieces from a continuous metal element
JP2006181830A (ja) ゲート処理成形品
US1851793A (en) Needle
JP2017140637A5 (ko)
JPH03309A (ja)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ボルトとその製造装置
JPH1181A (ja) 撞木型の釣針とその製造方法
JP3677204B2 (ja) 釣り針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147734A (ja) 医療用縫合針の成形方法
KR890002067B1 (ko) 봉합침의 제조방법
KR100942119B1 (ko) 낚시바늘 소재 성형용 프레스 장치.
US1200189A (en) File.
US847137A (en) Method of making drawing-kn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