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396Y1 - 낚시바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낚시바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396Y1
KR200215396Y1 KR2019980020443U KR19980020443U KR200215396Y1 KR 200215396 Y1 KR200215396 Y1 KR 200215396Y1 KR 2019980020443 U KR2019980020443 U KR 2019980020443U KR 19980020443 U KR19980020443 U KR 19980020443U KR 200215396 Y1 KR200215396 Y1 KR 2002153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it
barb
support
bent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04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4183U (ko
Inventor
황성만
Original Assignee
황성만
주식회사 유벨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만, 주식회사 유벨라 filed Critical 황성만
Priority to KR20199800204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396Y1/ko
Publication of KR199900041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1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3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396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바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낚시바늘의 다리부에 미끼고정용 미늘을 복수개 용이하게 형성하는 낚시바늘 제조장치를 제공하여 미끼의 고정을 신속,용이하게 하면서 그 고정상태를 견고히 하여 미끼의 유동 및 흘러내림을 방지하고, 이로인해 낚시바늘이 수중의 어류로부터 완전히 은폐될수 있도록하여 어류의 유인 및 낚음작용을 상승시킬수 있게하는 낚시바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낚시바늘 제조장치
본 고안은 낚시바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낚시바늘의 다리부에 미끼고정용 미늘을 복수개 용이하게 형성하는 낚시바늘 제조장치를 제공하여 미끼의 고정을 신속,용이하게 하면서 그 고정상태를 견고히 하여 미끼의 유동 및 흘러내림을 방지하고, 이로인해 낚시바늘이 수중의 어류로부터 완전히 은폐될수 있도록하여 어류의 유인 및 낚음작용을 상승시킬수 있게하는 낚시바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바늘은 어류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하고는 있으나, 대체적으로 낚시줄을 매어주기 위한 꼭지, 낚시를 구성하는 다리, 어류를 직접낚는 끝 및 낚여진 어류를 놓치지 않기위한 미늘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낚시바늘은 이를 구성하는 꼭지가 원통형의 파이프 또는 핀의 끝단을 납작하게 성형하는 단조공정에 의해 제조되고, 끝과 미늘을 형성시킨다음, 다리 하부측을 변형된 호형으로 완곡시켜 이룬다.
또한 최근에는 낚시바늘에 낚시줄을 더욱 견고하고 신속,용이하게 매어줄수 있도록 꼭지를 링형태, 즉 고리로 형성하여 이룬것도 등장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통상적 형태의 낚시바늘은 완곡된 다리의 상부측과 꼭지 사이가 일정 길이를 유지하는 채로 성형된다.
이때 상기의 낚시바늘을 구성하는 다리부에는 미늘이 형성되어 있는 끝을 통해 소정의 미끼가 끼워져서 완곡부와 직선부를 은폐시키고, 상기의 끝은 미끼의 일측으로 예리하게 노출된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서 수중의 어류를 유인하여 조사, 즉 어류를 낚을수 있게 하고있다.
한편, 상기의 낚시바늘은 어류가 미끼를 물어 낚여졌을 때 요동이나 도주시 발생할수 있는 절단 및 변형방지, 즉 강도유지를 위해 제조시 통상적으로 열처리등의 표면가공을 취하기 때문에 낚시바늘의 표면은 매끄러운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또한, 동물성 미끼의 체액이 윤할작용을 일으켜 이로부터 잘 흘러내리게 되므로 별도의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있지않은 낚시바늘의 다리부에 미끼를 고정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며,
특히, 수중에서의 낚시바늘은 수직으로 입설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고정되지 못하고 단순히 다리부에 끼워져 있기만 한 미끼가 수직상태의 다리부를 따라 용이하게 흘러내려 낚시바늘의 다리와 끝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호형의 완곡부 하사점에 위치하게 되므로 금속성 낚시바늘이 수중에서 쉽게 노출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낚시바늘의 노출은 수중에 미끼가 있다하여도 어류가 금속성 낚시바늘의 다리부를 인식하는 순간 본능적으로 이를 회피하게 되기 때문에 어류를 낚는 시간이 장구히 소요되게 되고, 결국은 낚시가 용이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결국 낚시바늘의 구조적 결함에 의해 미끼를 최초 고정된 상태로 유지할수 없었기 때문에 수중에서의 낚시바늘에 대한 노출이 불가피하게 되고, 이를 인식한 어류는 본능적으로 미끼를 회피하게 되므로 낚시가 용이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본 고안자는 상기의 종래 낚시바늘이 갖는 구조적 결함에서 야기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고안과 동일자로 낚시바늘을 구성하는 다리부에 미끼고정용 미늘이 형성된 개량된 구조의 낚시바늘을 출원 개시하고 있다.
상기 본 고안자의 동일자 출원되는 낚시바늘을 간략히 살펴보면 이는 일반적인 형태를 띤 낚시바늘의 다리 중간외측 외면에 상,하 일정거리로 이격된 미끼고정용 미늘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전술한 종래 낚시바늘이 갖는 문제를 해소 할수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본 고안자의 동일자 출원되는 낚시바늘을 성형제조하는 낚시바늘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주 목적이 있고,
다른 목적은 기대의 일측에서 공급장치를 통해 연속 공급되는 소재의 상단의 절곡 성형공정과, 중간 상부측 외면에 복수개의 미끼고정용 미늘을 순차적으로 형성시키는공정과, 낚여진 어류를 놓치지 않기위한 미늘의 형성 공정과, 고리성형공정 및 밴딩성형하는 일련의 작업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작업성과 생산성을 우수하게 하려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 제조장치의 개략적 평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 장치의 절곡 성형부에 대한 정면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미끼고정용 미늘성형부에 대한 각각의 단면구성도,
도 5는 낚시바늘의 끝 부에 형성되는 미늘성형부에 대한 단면구성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고리성형부에 대한 정단면 및 평면구성도,
도 8은 본 고안의 밴딩 가공부에 대한 정면구성도,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낚시바늘을 보여주는
참고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재공급부 2 : 소재이송부
3 : 절곡성형부 4 : 고정다이
5,5' : 미끼고정용미늘성형부 6 : 소재전환부
7 : 미늘성형부 8 : 고리성형부
9 : 회동부 10 : 낚시바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의 낚시바늘 제조장치는 별도의 절단장치(미도시)와 그라인딩장치(미도시)를 통해 일정길이로 절단된 소재(P)의 일측단이 첨예부(P1)를 이룬 상태로 적재되는 소재공급부(1)와,
상기 소재공급부(1)로부터 공급되는 소재(P)를 간헐적으로 이송공급하는 소재 이송부(2)와, 상기 소재이송부(2)에 의해 이송되는 소재(P)가 각 성형공정을 통과하면서 순차가공되어 미끼고정용 미늘이 형성된 낚시바늘을 이루되,
돌출부(31)를 갖는 펀치(32)와 절곡홈(41)을 갖는 고정다이(4)에 의한 가압작동으로 소재(P) 일측에 절곡부(P2)를 형성하는 절곡성형부(3)와,
소재(P)의 절곡부(P2) 일측면에 형성된 절곡단(P3)이 고정다이(4)의 상면에 당접, 안내되어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로 회동된 상태에서 지지펀치(51),(51')의 상,하작동에 의한 소재(P) 첨예부(P1)의 지지작동과 동시에 일정각도의 경사를 이루는 장, 단의 절개칼(52),(52')에 의해 소재(P)의 중간 상부측에 일정각도로 미끼고정용 미늘(10a)을 복수개 각각 순차 가공하는 미끼고정용 미늘성형부(5),(5')와,
고정다이(4)에 형성된 수용홈(42)에 절곡부(P2)가 수용, 위치되어 수직상태를 이룸과 동시에 상부의 반전펀치(미도시)가 절곡부(P2) 끝단을 진행방향으로 밀어 소재를 180°반전시키는 소재전환부(6)와,
상기 소재전환부(6)를 통과한 반전된 소재(P)의 첨예부(P1)가 지지펀치(71)의 상,하작동에 의한 소재(P)의 지지작동과 동시에 그 첨예부(P1)의 내측 상면에 일정각도의 경사를 이루는 절개칼(71)이 일정각도로 비스듬히 절개가공하여 미늘(10b)을 형성하는 미늘성형부(7)와,
승,하강하는 지지핀(81)과 지지펀치(82)에 의한 소재(P) 절곡부(P2)의 지지작동과 전,후 이송실린더(83)와 좌우이송실린더(84)에 의해 전,후,좌,우 이송하는 가이더(85) 선단의 툴(86)에 의한 소재절곡부(P2)의 절곡성형으로 고리(10c)를 형성하는 고리성형부(8) 및 승,하강 작동하는 지지실린더(91)에 의한 소재첨예부(P1)의 지지작동과 왕복 회동작동하는 회동부(9)의 회동핀(92)이 라운드면(93)을 갖는 라운딩금형(94)에서의 회동작동으로 소재(P)를 밴딩성형할수 있도록 상호 조합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미끼고정용 미늘성형부(5),(5')는 소재이송부(2)의 중간측과 후방측에 고정다이(4)가 일정 이격거리를 유지한채 복수 구성되어 있는데, 장,단의 절개칼(52),(52')이 그 상부에서 이송되고 있는 소재(P)의 상면 중간측 상부를 일정 각도를 유지한채 캠구동방식에 의해 일정구간을 왕복작동하여 미끼고정용 미늘(10a)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의 미끼고정용 미늘성형부(5),(5')가 중간측에 구성되어 있는 소재이송부(2)는 나선홈(21'),(22')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이송스크류(21),(22)가 기체의 일측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모터등의 구동원으로부터 그 동력을 전달받아 일측으로 지속적으로 회전하므로써 이송스크류(21),(22)의 나선홈(21'),(22')을 따라 상기의 소재(P)가 간헐적으로 이송되는것이며, 상기 소재(P)의 이송동작과 위치에 따라 각 성형부에서 캠 구동방식에 의한 작동순서에 따라 순차 가공하여 미끼고정용 미늘(10a)이 형성된 낚시바늘(10)을 완성하게 된다.
또한 이때 상기의 회동부(9)는 직선 왕복작동하는 래크(91)에 치합되어 있는 피니언(91')과 축결합되어 회전 왕복작동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별도의 절단장치를 통해 일정길이로 절단된 소재(P)를 그라인딩장치로 공정 이동하여 소재(P)의 일측을 가공함으로서 첨예부(P1)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별도의 절단장치와 그라인딩장치를 순차적으로 거쳐 소재(P)의 일측에 첨예부(P1)가 형성되면 이를 본 고안 장치의 소재공급부(1)에 적재한다.
이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한다.
상기의 소재(P)가 소재공급부(1)에 적재되면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소재이송부(2)에 의해 간헐적으로 순차 공급되면서 각 공정을 거쳐 미끼고정용 미늘(10a)이 형성된 낚시바늘(10)이 연속 제조되게 되는데,
이때, 소재이송부(2)를 이루고 있는 한쌍의 이송스크류(21),(22)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선홈(21'),(22'), 즉 공급홈을 따라 소재(P)가 낱낱히 일정 간격으로, 즉 간헐적으로 이송, 공급되게 된다.
물론 이때 이송스크류(21),(22)의 상부측에는 상기 이송 스크류(21),(22)와 미세간극을 유지한채 고정되어 있는 지지판(20)에 의해 이송되는 소재(P)의 유동 및 낙하를 방지하게 되고, 절곡성형부(3)에서는 펀치(32)의 상,하작동시 이를 고정,지지하는 작용을 하게된다.
상기의 소재(P)가 이동하여 그 한쪽이 고정다이(4)의 절곡홈(41)에 위치하게되면 상,하 왕복작용을 행하는 펀치(32)에 의하여 소재(P)의 일측을 절곡하는 작업을 하게된다.
이러한 작업은 소재(P)가 이동할 때 절곡단(P3)에 의해 항상 동일한 상태로 이동되게함에 있다.
또한 소재(P)가 회전하는 이송스크류(21),(22)의 나선홈(21'),(22')을 따라 이동할 때 그 회전력에 의해 구르면서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와같이 이송공급되는 소재(P)가 절곡성형부(3)를 통과하여 소재(P)의 일측이 절곡성형되고 나면 이송스크류(21),(22)의 회전작동에 따라 수직상태를 이루고 있는 소재(P)의 절곡단(P3)이 유동, 이송되면서 절곡부(P2) 및 절곡단(P3)의 일측면이 고정다이(4)에 뉘어지는 상태, 즉 수평상태로 전환되면서 그 이동작동이 이루어진다.
상기와같이 절곡성형부(3)를 통과한 소재(P)는 이송스크류(21),(22)의 회전에 따라 미끼고정용 미늘성형부(5),(5')에 이르게 되어 지지펀치(51),(51')가 첨예부(P1)를 지지고정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그 길이가 길고, 짧은 장단의 절단칼(52),(52')이 일정경사각도로 소재(P)의 상면중간부 상부측에 일정 거리로 이격 형성되는 미끼고정용 미늘(10a)을 상,하 순차적으로 각각 형성하게된다.
상기와같은 절단칼(52),(52')의 작동은 미도시 되었으나 기기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있는 캠작동에 의해 순차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작동하여 이를 형성하게 되는것이고, 이와같이 소재(P)상면에 미끼고정용 미늘(10a)의 형성 작업이 완료되고 나면 소재(P)가 이송스크류(21),(22)의 회전에 따라 전진 이동하여 소재전환부(6)에 이르게된다.
상기의 소재전환부(6)는 메인 고정다이(4)의 중간부에 수용홈(42)이 형성되어 있고, 이를 통과하는 소재(P)의 절곡부(P2)가 상기 수용홈(42)에 안착됨과 동시 수평상태에 있던 소재(P)의 절곡단(P3)이 수직으로 전환되게되며, 이때 그 상부에 작동대기하고 있던 전환펀치(미도시)가 캠구동에 의해 작동하여 수직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소재(P)의 절곡단(P3)을 진행방향, 즉 도 1에서 보아 우측에서 좌측으로 밀어 소재를 반전시킨후 상승, 원위치되고, 절곡단(P3)의 타측면이 고정다이(4)에 면접되는 상태로 이동하게 되어 결국, 전 공정에서 기 형성되어 있는 미끼고정용 미늘(10a)은 하부를 향하는채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미끼고정용 미늘(10a)이 형성되어 있는 소재(P)가 소재전환부(6)를 통과하여 소재(P)가 반전되므로서 미끼고정용 미늘(10a)의 위치가 하부를 향하는채로 첨예부(P1)에 미늘(10b)을 형성하는 미늘성형부(7)에 이르게 된다.
상기한 미늘성형부(7)는 첨부한 도면 도 5 에 도시는 하고 있으나, 이는 통상적으로 사용되어온 것으로써,
이송되어온 소재(P)는 고정판에 위치된 첨예부(P1)를 상,하작동하는 지지펀치(71)가 소재(P) 첨예부(P1)의 상부 일부분을 고정한 상태에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작동하는 절개칼(2)이 소재(P)의 첨예부(P1) 상면을 일정한 각도로 비스듬히 삽입하는 형태로 끝의 일부분을 절개하므로서 미늘(10b)을 성형하게 된다.
이때 미늘성형부(7)의 지지판(20) 형상은 도시된바와같이, 절개칼(72)의 이동에 저해되지 않도록 일측에서부터 칼날통과홈(20')이 경사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공정에서 미늘(10b)이 형성된 소재(P)는 이송스크류(21),(22)의 회전에 따라 이송되어 고리성형부(8)에 다다르게 된다.
상기의 고리성형부(8)는 첨부한 도면 도 6 및 7 에 도시는 하고 있으나, 이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어온 것으로써,
고리성형부(8)에 이송되온 소재(P)는 상기 소재(P)의 절곡부(P2)에 승,하강 작동하는 지지핀(81)이 끼워져 지지되고, 그 상부에서 지지펀치(82)가 하강작동하여 절곡부(P2)의 일측을 지지하게 되면 전,후이송실린더(83)에 의해 가이더(85)의 툴(86)이 전진작동하여 절곡부(P2)의 끝단, 즉 절곡단(P3)을 지지핀(81)을 중심으로 절곡시키게되고, 그와동시에 좌,우이송실린더(84)에 의해 상기의 툴(86)이 좌,우이송하여 절곡단(P3)의 끝이 상기의 지지핀(81)을 중심으로 감아지는 형태로 절곡되어 고리(10c)를 형성하게된다.
고리(10c)의 형성작업이 완료되고 나면 상승되었던 지지핀(81)은 하강하고 전,후 및 좌,우이송실린더(83),(84)는 원위치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이송스크류(21),(22)의 회전에 따라 순차이송되는 소재(P)는 회동부(9)에 이르게 된다.
회동부(9)에 이송된 소재(P)는 지지실린더(91)의 승,하강작동에 의해 첨예부(P1)를 지지하게된다.
이상태에서 왕복 직선운동하는 래크(91)와 치합되어 있는 피니언(91')이 왕복 회전작동하여 이와동시에 회전하는 편심 설치된 회동핀(92)이 상기 소재(P)의 일측을 지지한 상태로 회전 작동하게 되는데, 이때 라운드면(93)을 갖는 라운딩금형(94)을 중심으로 회전작동하게 되어 소재(P)의 다리(10d)를 라운드로 즉 호형으로 형성하게 된다.
이와같은 일련의 제조공정에 의해 첨부된 도 9 및 도 10 에 도시되어 있는바와같은 고리(10c), 미늘(10b) 및 라운드로된 다리(10d)와, 상기 다리(10d)의 상부 외측에 복수개의 미끼고정용 미늘(10a)이 형성되어 있는 낚시바늘(10)을 연속적으로 다량 제조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일반적인 낚시바늘의 다리부에 미끼고정용 미늘을 형성하여줌으로써, 미끼의 고정을 신속,용이하게 하면서 그 고정상태를 견고히 하여 미끼의 유동 및 흘러내림이 방지되었고, 이로인해 낚시바늘이 수중의 어류로부터 완전히 은폐될수 있도록하여 어류의 유인 및 낚음작용을 상승시킬수 있게되었을뿐 아니라, 특히 기대의 일측에서 공급장치를 통해 연속 공급되는 소재의 상단을 절곡성형하는 공정과, 중간 상부측 외면에 복수개의 미끼고정용 미늘을 순차적으로 형성시키는공정과, 낚여진 어류를 놓치지 않기위한 미늘의 형성 공정과, 고리성형공정 및 밴딩성형하는 일련의 작업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작업성과 생산성이 우수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를 함께 얻을수 있다.

Claims (1)

  1. 일정길이로 절단된 소재(P)의 일측단이 첨예부(P1)를 이룬 상태로 적재되는 소재공급부(1)와,
    상기 소재공급부(1)로부터 공급되는 소재(P)를 간헐적으로 이송공급하는 소재 이송부(2)와, 상기 소재이송부(2)에 의해 이송되는 소재(P)가 각 성형공정을 통과하면서 순차가공되어 미끼고정용 미늘이 형성된 낚시바늘을 이루되,
    돌출부(31)를 갖는 펀치(32)와 절곡홈(41)을 갖는 고정다이(4)에 의한 가압작동으로 소재(P) 일측에 절곡부(P2)를 형성하는 절곡성형부(3)와,
    소재(P)의 절곡부(P2) 일측면에 형성된 절곡단(P3)이 고정다이(4)의 상면에 당접, 안내되어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로 회동된 상태에서 지지펀치(51),(51')의 상,하작동에 의한 소재(P) 첨예부(P1)의 지지작동과 동시에 일정각도의 경사를 이루는 장, 단의 절개칼(52),(52')에 의해 소재(P)의 중간 상부측에 일정각도로 미끼고정용 미늘(10a)을 복수개 각각 순차 가공하는 미끼고정용 미늘성형부(5),(5')와,
    고정다이(4)에 형성된 수용홈(42)에 절곡부(P2)가 수용, 위치되어 수직상태를 이룸과 동시에 상부의 반전펀치가 절곡부(P2) 끝단을 진행방향으로 밀어 소재를 180°반전시키는 소재전환부(6)와,
    상기 소재전환부(6)를 통과한 반전된 소재(P)의 첨예부(P1)가 지지펀치(71)의 상,하작동에 의한 소재(P)의 지지작동과 동시에 그 첨예부(P1)의 내측 상면에 일정각도의 경사를 이루는 절개칼(71)이 일정각도로 비스듬히 절개가공하여 미늘(10b)을 형성하는 미늘성형부(7)와,
    승,하강하는 지지핀(81)과 지지펀치(82)에 의한 소재(P) 절곡부(P2)의 지지작동과 전,후 이송실린더(83)와 좌우이송실린더(84)에 의해 전,후,좌,우 이송하는 가이더(85) 선단의 툴(86)에 의한 소재절곡부(P2)의 절곡성형으로 고리(10c)를 형성하는 고리성형부(8) 및 승,하강 작동하는 지지실린더(91)에 의한 소재첨예부(P1)의 지지작동과 왕복 회동작동하는 회동부(9)의 회동핀(92)이 라운드면(93)을 갖는 라운딩금형(94)에서의 회동작동으로 소재(P)를 밴딩성형할수 있도록 상호 조합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낚시바늘 제조장치.
KR2019980020443U 1998-10-24 1998-10-24 낚시바늘 제조장치 KR2002153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443U KR200215396Y1 (ko) 1998-10-24 1998-10-24 낚시바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443U KR200215396Y1 (ko) 1998-10-24 1998-10-24 낚시바늘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183U KR19990004183U (ko) 1999-01-25
KR200215396Y1 true KR200215396Y1 (ko) 2001-11-16

Family

ID=69504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0443U KR200215396Y1 (ko) 1998-10-24 1998-10-24 낚시바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3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9171A (ko) * 2015-02-11 2016-08-22 주식회사 유벨라 낚시바늘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782B1 (ko) * 2007-07-09 2008-04-08 대양조침공업 주식회사 낚시바늘 제조장치
KR101708106B1 (ko) * 2015-02-11 2017-02-20 주식회사 유벨라 낚시바늘 제조장치
CN107983890B (zh) * 2017-12-06 2023-09-29 天津兴美机械设备有限公司 鱼钩线材打弯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9171A (ko) * 2015-02-11 2016-08-22 주식회사 유벨라 낚시바늘의 제조방법
KR101653485B1 (ko) 2015-02-11 2016-09-12 주식회사 유벨라 낚시바늘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183U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0304B1 (ko) 낚시바늘 제조기
KR200215396Y1 (ko) 낚시바늘 제조장치
KR200205878Y1 (ko) 낚시바늘 제조장치
US2254595A (en) Apparatus for orientating fruits having a long axis
KR101080655B1 (ko) 낚시바늘 제조기에 있어서 단조를 위한 낚시바늘 공급장치
KR101178629B1 (ko) 낚시바늘 제조기에 있어서 단조공정을 위한 낚시바늘 공급장치
KR101773504B1 (ko) 낚시바늘 제조장치
US32489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nching flexible strip stock
KR20110043128A (ko) 낚시바늘 성형장치
US3919874A (en) Heading machines
KR100497342B1 (ko) 체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819782B1 (ko) 낚시바늘 제조장치
KR20150061313A (ko) 2개의 피가공물 가공이 가능한 트랜스퍼 금형
KR100191124B1 (ko) 참치잡이용 낚시바늘의 제조방법
CN213728853U (zh) 一种高效的稳定杆热压成型机
CN214919467U (zh) 一种大型弧形管道加工装置
CN111215574B (zh) 单粒成型装置及全自动元宝链扣链机
KR100316970B1 (ko) 낚시바늘의제조방법및그장치
JPH0451001Y2 (ko)
KR200249356Y1 (ko) 참치용 낚시바늘의 가공장치
KR101668612B1 (ko)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 및 인조미끼의 제조 방법
KR200210117Y1 (ko) 낚시바늘 제조용 공급장치
JPH05337550A (ja) 細長連続材料加工機
CN209660648U (zh) 元宝链扣链机的自动送料装置
KR100186905B1 (ko) 도금걸이대 자동성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