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8612B1 -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 및 인조미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 및 인조미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8612B1
KR101668612B1 KR1020140174867A KR20140174867A KR101668612B1 KR 101668612 B1 KR101668612 B1 KR 101668612B1 KR 1020140174867 A KR1020140174867 A KR 1020140174867A KR 20140174867 A KR20140174867 A KR 20140174867A KR 101668612 B1 KR101668612 B1 KR 101668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artificial bait
unit
bait material
cu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9199A (ko
Inventor
최명길
Original Assignee
최명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명길 filed Critical 최명길
Priority to KR1020140174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8612B1/ko
Publication of KR20160069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1897Lure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05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out hoo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8Artificial fli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12Artificial bait for fishing comprising a body rotating around its longitudinal axis, e.g. dev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6Apparatus on l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utomatic hookers
    • A01K91/065Jiggling devices, i.e. devices for moving the l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1/00Combinations of several similar cutting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 및 인조미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손쉽게 인조미끼를 제조할 수 있는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 및 인조미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는, 베이스 테이블부; 베이스 테이블부 상에 마련되며, 가요성을 가지는 호스 형상의 인조미끼재를 이송하는 이송부; 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인조미끼재의 길이 방향으로 커팅하되, 일단을 제외한 부분부터 타단까지 복수의 가닥이 되도록 커팅하는 제1 커팅부; 및 제1 커팅부와 이웃하여 마련되며, 제1 커팅된 인조미끼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여 커팅하되, 서로 이웃하는 인조미끼재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커팅하는 제2 커팅부를 포함하며, 제2 커팅부의 커팅 동작에 의해 완성되는 인조미끼는 일단이 원통 형상을 이루며 낚시바늘에 장착되며, 일단을 제외한 부분부터 타단까지가 복수 가닥의 가요성 다리 형상을 이루며 어류를 유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 및 인조미끼의 제조 방법{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BA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BAIT}
본 발명은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 및 인조미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손쉽게 인조미끼를 제조할 수 있는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 및 인조미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 미끼에는 천연 미끼와 인조미끼가 사용되고 있으며, 인조미끼는 일회 사용으로 소모되는 천연 미끼와는 달리 재사용 및 반복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인조미끼는 대상어나 포인트의 여건 등에 따라 그 특성에 적합한 것을 사용함으로써 최적의 조과를 거둘 수 있다.
이러한 인조미끼는 유인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실제 자연적 생물 등과 흡사한 형태 등으로 구성되고, 야광발색 등의 다양한 색상과 무늬로 구성된다. 즉, 인조미끼는 대상어의 유인에 유리한 형상과 색채 등으로 구성됨으로써 매우 높은 조과를 거둘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는 한편, 사용자가 임의로 그 형상이나 색상에 변화를 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 등이 제공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인조미끼는 낚시바늘에 고정상태로 결합되어진 구조로 되어 사용자가 임의로 탈착하여 사용할 수 없게 됨으로써 이미 고정된 형태로만 사용할 수 있을 뿐 사용자가 원하는 채비에 원하는 인조미끼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인조미끼를 수작업에 의해 제작되어, 많은 수고와 노력이 들며 생산량 및 생산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7643호(2006년01월25일)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인조미끼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사람의 손을 거치지 않고 모든 공정을 자동화하여 생산량과 생산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 및 인조미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조미끼를 자동으로 제조하되,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정확한 위치에 커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 및 인조미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조미끼의 종류에 따라 굵기 및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낚시바늘에 대해 손쉽게 교체가 가능하도록 탈착이 용이한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 및 인조미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는, 베이스 테이블부; 베이스 테이블부 상에 마련되며, 가요성을 가지는 호스 형상의 인조미끼재를 이송하는 이송부; 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인조미끼재의 길이 방향으로 커팅하되, 일단을 제외한 부분부터 타단까지 복수의 가닥이 되도록 커팅하는 제1 커팅부; 및 제1 커팅부와 이웃하여 마련되며, 제1 커팅된 인조미끼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여 커팅하되, 서로 이웃하는 인조미끼재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커팅하는 제2 커팅부를 포함하며, 제2 커팅부의 커팅 동작에 의해 완성되는 인조미끼는 일단이 원통 형상을 이루며 낚시바늘에 장착되며, 일단을 제외한 부분부터 타단까지가 복수 가닥의 가요성 다리 형상을 이루며 어류를 유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송부는, 제1 커팅부의 외측에 마련되며, 이송 방향 또는 이송반대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1 이송유닛과, 베이스 테이블부의 하측에서 상면에 관통하여 형성되며, 제1 이송유닛을 회동시키는 제1 이송모터와, 제1 이송유닛의 끝단 내측에서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끝단 내측면을 향하여 왕복 운동이 가능한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이송유닛이 인조미끼재를 파지하거나 파지동작을 해제시키는 제1 파지 돌기와, 제2 커팅부의 외측에 마련되며, 제1 이송유닛과 동일하게 이송 방향 또는 이송반대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2 이송유닛과, 베이스 테이블부의 하측에서 상면에 관통하여 형성되며, 제2 이송유닛을 회동시키는 제2 이송모터와, 제2 이송유닛의 끝단 내측에서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끝단 내측면을 향하여 왕복 운동이 가능한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이송유닛이 인조미끼재를 파지하거나 파지동작을 해제시키는 제2 파지 돌기를 포함하며, 제1 이송유닛과 제2 이송유닛은 제1 커팅부 및 제2 커팅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인조미끼재를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는, 인조미끼재를 권취하여 보관하는 권취부; 및 권취부 및 이송부의 사이에 마련되어, 인조미끼재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되 인조미끼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인조미끼재의 처짐을 방지하며, 이송시 이송부의 회동 동작에 따라 좌우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탄성유지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커팅부는, 상면에 복수의 가닥 개수에 맞추어 복수개의 커팅홈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커팅 받침대와, 제1 커팅 받침대의 상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커팅홈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원판형 칼날이 형성되어, 하방 이동시 제1 커팅 받침대의 커팅홈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커팅 나이프와, 제1 커팅 나이프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유압실린더와, 제1 커팅 나이프의 하측에 마련되며 제1 커팅 나이프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커팅부는, 제1 커팅 받침대의 좌우 방향 양측에 마련되며 중앙에 이송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이송가이드 받침대와, 일단이 회동축이 되고 타단이 이송가이드 받침대의 상측에서 상하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제1 커팅부의 커팅 동작시 하방 이동 동작으로 인조미끼재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 바와, 고정 바의 타단을 회동시키는 제3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며, 이송부에 의해 인조미끼재가 이송되어오면, 제3 유압실린더의 동작으로 고정 바의 타단이 이송가이드 받침대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회동하여 인조미끼재를 고정하고, 제2 유압실린더의 동작으로 제1 커팅 나이프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커팅홈에 접촉되며 제1 유압실린더의 동작으로 제1 커팅 나이프가 제1 커팅 받침대 상면을 따라 이동하며 인조미끼재의 길이 방향으로 커팅하되, 일단을 제외한 부분부터 타단까지 복수의 가닥이 되도록 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커팅부는, 이송부의 내측 또는 이송부 상에 마련되며, 인조미끼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커팅홀이 형성되는 제2 커팅 받침대와, 제2 커팅 받침대의 상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하방 이동시 커팅홀에 수용되도록 원판형 칼날이 형성되는 제2 커팅 나이프와, 제2 커팅 나이프를 제2 커팅 받침대의 상측에서 지지하는 제2 나이프 지지대와, 제2 커팅 나이프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4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며, 이송부에 의해 제1 커팅 동작이 이루어진 인조미끼재가 이송되어오면, 제4 유압실린더의 동작으로 제2 커팅 나이프가 제2 나이프 지지대로부터 제2 커팅 받침대로 이동하여 서로 이웃하는 인조미끼재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인조미끼의 제조 방법은, 베이스 테이블부, 베이스 테이블부 상에 마련되며, 가요성을 가지는 호스 형상의 인조미끼재를 이송하는 이송부, 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인조미끼재의 길이 방향으로 커팅하되, 일단을 제외한 부분부터 타단까지 복수의 가닥이 되도록 커팅하는 제1 커팅부 및 제1 커팅부와 이웃하여 마련되며, 제1 커팅된 인조미끼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여 커팅하되, 서로 이웃하는 인조미끼재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커팅하는 제2 커팅부를 포함하는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를 구비하는 제1 단계; 가요성을 가지는 호스 형상의 인조미끼재를 파지하여 이송하는 제2 단계; 인조미끼재의 길이 방향으로 커팅하되, 일단을 제외한 부분부터 타단까지 복수의 가닥이 되도록 커팅하는 제3 단계; 및 인조미끼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여 커팅하되, 서로 이웃하는 인조미끼재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커팅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 및 인조미끼의 제조 방법은 인조미끼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사람의 손을 거치지 않고 모든 공정을 자동화하여 생산량과 생산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 및 인조미끼의 제조 방법은 인조미끼를 자동으로 제조하되,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정확한 위치에 커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 및 인조미끼의 제조 방법은 인조미끼의 종류에 따라 굵기 및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낚시바늘에 대해 손쉽게 교체가 가능하도록 탈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의 정면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의 좌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의 이송부의 동작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의 제1 커팅부 및 파지부의 동작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의 제2 커팅부의 동작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미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 및 인조미끼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인조미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의 실제 제작된 사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의 정면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의 좌측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의 이송부의 동작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의 제1 커팅부 및 파지부의 동작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의 제2 커팅부의 동작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 및 인조미끼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인조미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는, 베이스 테이블부(110), 이송부(120), 제1 커팅부(130) 및 제2 커팅부(140)를 포함한다.
베이스 테이블부(110)는 테이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송부(120), 제1 커팅부(130) 및 제2 커팅부(140)를 형성시키기 위한 토대가 된다.
이송부(120)는 베이스 테이블부(110) 상에 마련되며, 가요성을 가지는 호스 형상의 인조미끼재(10)를 이송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부(120)는, 제1 커팅부(130)의 외측에 마련되며, 이송 방향 또는 이송반대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1 이송유닛(121)과, 베이스 테이블부(110)의 하측에서 상면에 관통하여 형성되며, 제1 이송유닛(121)을 회동시키는 제1 이송모터(122)와, 제1 이송유닛(121)의 끝단 내측에서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끝단 내측면을 향하여 왕복 운동이 가능한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이송유닛(121)이 인조미끼재를 파지하거나 파지동작을 해제시키는 제1 파지 돌기(123)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송부(120)는, 제2 커팅부(140)의 외측에 마련되며, 제1 이송유닛(121)과 동일하게 이송 방향 또는 이송반대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2 이송유닛(124)과, 베이스 테이블부(110)의 하측에서 상면에 관통하여 형성되며, 제2 이송유닛(124)을 회동시키는 제2 이송모터(125)와, 제2 이송유닛(124)의 끝단 내측에서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끝단 내측면을 향하여 왕복 운동이 가능한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이송유닛(124)이 인조미끼재를 파지하거나 파지동작을 해제시키는 제2 파지 돌기(126)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이송부(120)의 제1 이송유닛(121)과 제2 이송유닛(124)은 제1 커팅부(130) 및 제2 커팅부(140)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인조미끼재를 이송시킬 수 있다. 즉, 인조미끼재를 파지한 상태에서 제1 이송유닛(121)과 제2 이송유닛(124)이 회동하여 인조미끼재를 이송한 후, 제1 커팅부와 제2 커팅부가 커팅동작을 하는 시간 동안 대기 하고, 제1 이송유닛(121)과 제2 이송유닛(124)이 다시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여 되돌려진 다음, 다시 인조미끼재를 파지하여 회동하는 이송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거치며, 커팅동작시간 동안의 시간 간격을 두고 이송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제1 이송유닛(121)과 제2 이송유닛(124)의 회동 각도만큼 인조미끼재가 이송된다. 또한, 제1 이송모터(122) 및 제2 이송모터(125)는 전기 또는 유압으로 회전 운동되도록 마련되며, 그 자체가 제1 이송유닛(121) 및 제2 이송유닛(124)과 함께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는, 인조미끼재를 권취하여 보관하는 권취부(150)와, 권취부(150) 및 이송부(120)의 사이에 마련되어, 인조미끼재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되 인조미끼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인조미끼재의 처짐을 방지하며, 이송시 이송부(120)의 회동 동작에 따라 좌우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탄성유지 가이드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커팅부(130)는 이송부(120)로부터 이송되는 인조미끼재의 길이 방향으로 커팅하되, 일단을 제외한 부분부터 타단까지 복수의 가닥이 되도록 커팅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커팅부(130)는, 상면에 복수의 가닥 개수에 맞추어 복수개의 커팅홈(131a)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커팅 받침대(131)와, 제1 커팅 받침대(131)의 상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커팅홈(131a)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원판형 칼날(132a)이 형성되어, 하방 이동시 제1 커팅 받침대(131)의 커팅홈(131a)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커팅 나이프(132)와, 제1 커팅 나이프(132)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유압실린더(133)와, 제1 커팅 나이프(132)의 하측에 마련되며 제1 커팅 나이프(132)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유압실린더(134)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커팅부(130)는, 제1 커팅 받침대(131)의 좌우 방향 양측에 마련되며 중앙에 이송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이송가이드 받침대(135)와, 일단이 회동축이 되고 타단이 이송가이드 받침대(135)의 상측에서 상하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제1 커팅부(130)의 커팅 동작시 하방 이동 동작으로 인조미끼재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 바(136)와, 고정 바(136)의 타단을 회동시키는 제3 유압실린더(137)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이송부(120)에 의해 인조미끼재가 이송되어오면, 제3 유압실린더(137)의 동작으로 고정 바(136)의 타단이 이송가이드 받침대(135)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회동하여 인조미끼재를 고정한다.
이후, 제2 유압실린더(134)의 동작으로 제1 커팅 나이프(132)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커팅홈(131a)에 접촉되며 제1 유압실린더(133)의 동작으로 제1 커팅 나이프(132)가 제1 커팅 받침대(131) 상면을 따라 이동하며 인조미끼재의 길이 방향으로 커팅하되, 일단을 제외한 부분부터 타단까지 복수의 가닥이 되도록 커팅할 수 있다.
제2 커팅부(140)는 제1 커팅부(130)와 이웃하여 마련되며, 제1 커팅된 인조미끼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여 커팅하되, 서로 이웃하는 인조미끼재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커팅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커팅부(140)는, 이송부(120)의 내측 또는 이송부(120) 상에 마련되며, 인조미끼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커팅홀(141a)이 형성되는 제2 커팅 받침대(141)와, 제2 커팅 받침대(141)의 상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하방 이동시 커팅홀(141a)에 수용되도록 원판형 칼날(142a)이 형성되는 제2 커팅 나이프(142)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제2 이송유닛(124)을 따라 부채꼴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2 커팅 받침대(141)를 구비하여 제2 이송유닛(124)의 회동에 따라 이송되는 인조미끼재를 용이하게 지지한다. 즉, 제2 커팅 받침대(141)는 이송시 표면을 따라 인조미끼재가 이송되므로, 이송 가이드 기능도 가진다.
또한, 제2 커팅부(140)는, 제2 커팅 나이프(142)를 제2 커팅 받침대(141)의 상측에서 지지하는 제2 나이프 지지대(143)와, 제2 커팅 나이프(142)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4 유압실린더(144)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이송부(120)에 의해 제1 커팅 동작이 이루어진 인조미끼재가 이송되어오면, 제4 유압실린더의 동작으로 제2 커팅 나이프(142)가 제2 나이프 지지대(143)로부터 제2 커팅 받침대(141)로 이동하여 서로 이웃하는 인조미끼재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커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를 참조하면 제2 커팅부(140)의 커팅 동작에 의해 완성되는 인조미끼(20)는 일단이 원통 형상을 이루며 낚시바늘에 장착되며, 일단을 제외한 부분부터 타단까지가 복수 가닥의 가요성 다리 형상을 이루며 어류를 유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미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미끼의 제조 방법은 다음의 단계에 따라 이루어진다.
먼저, 제1 단계(S110)에서는 베이스 테이블부, 베이스 테이블부 상에 마련되며, 가요성을 가지는 호스 형상의 인조미끼재를 이송하는 이송부, 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인조미끼재의 길이 방향으로 커팅하되, 일단을 제외한 부분부터 타단까지 복수의 가닥이 되도록 커팅하는 제1 커팅부 및 제1 커팅부와 이웃하여 마련되며, 제1 커팅된 인조미끼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여 커팅하되, 서로 이웃하는 인조미끼재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커팅하는 제2 커팅부를 포함하는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를 구비한다.
다음으로, 제2 단계(S120)에서는 가요성을 가지는 호스 형상의 인조미끼재를 파지하여 이송한다.
다음으로, 제3 단계(S130)에서는 인조미끼재의 길이 방향으로 커팅하되, 일단을 제외한 부분부터 타단까지 복수의 가닥이 되도록 커팅한다.
다음으로, 제4 단계(S140)에서는 인조미끼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여 커팅하되, 서로 이웃하는 인조미끼재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커팅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 및 인조미끼의 제조 방법은 인조미끼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사람의 손을 거치지 않고 모든 공정을 자동화하여 생산량과 생산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 및 인조미끼의 제조 방법은 인조미끼를 자동으로 제조하되,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정확한 위치에 커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 및 인조미끼의 제조 방법은 인조미끼의 종류에 따라 굵기 및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낚시바늘에 대해 손쉽게 교체가 가능하도록 탈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인조미끼재
20 : 인조미끼
110 : 베이스 테이블부
120 : 이송부
121 : 제1 이송유닛
122 : 제1 이송모터
123 : 제1 파지 돌기
124 : 제2 이송유닛
125 : 제2 이송모터
126 : 제2 파지 돌기
130 : 제1 커팅부
131 : 제1 커팅 받침대
131a : 커팅홈
132 : 제1 커팅 나이프
132a, 142a : 원판형 칼날
133 : 제1 유압실린더
134 : 제2 유압실린더
135 : 이송가이드 받침대
136 : 고정 바
137 : 제3 유압실린더
140 : 제2 커팅부
141 : 제2 커팅 받침대
141a : 커팅홀
142 : 제2 커팅 나이프
143 : 제2 나이프 지지대
144 : 제4 유압실린더
150 : 권취부
160 : 탄성유지 가이드부

Claims (7)

  1. 삭제
  2. 베이스 테이블부;
    상기 베이스 테이블부 상에 마련되며, 가요성을 가지는 호스 형상의 인조미끼재를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인조미끼재의 길이 방향으로 커팅하되, 일단을 제외한 부분부터 타단까지 복수의 가닥이 되도록 커팅하는 제1 커팅부; 및
    상기 제1 커팅부와 이웃하여 마련되며, 제1 커팅된 상기 인조미끼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여 커팅하되, 서로 이웃하는 상기 인조미끼재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커팅하는 제2 커팅부;를 포함함에 있어,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1 커팅부의 외측에 마련되며, 이송 방향 또는 이송반대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1 이송유닛과,
    상기 베이스 테이블부의 하측에서 상면에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1 이송유닛을 회동시키는 제1 이송모터와,
    상기 제1 이송유닛의 끝단 내측에서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끝단 내측면을 향하여 왕복 운동이 가능한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이송유닛이 상기 인조미끼재를 파지하거나 파지동작을 해제시키는 제1 파지 돌기와,
    상기 제2 커팅부의 외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이송유닛과 동일하게 이송 방향 또는 이송반대 방향으로 회동하는 제2 이송유닛과,
    상기 베이스 테이블부의 하측에서 상면에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2 이송유닛을 회동시키는 제2 이송모터와,
    상기 제2 이송유닛의 끝단 내측에서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끝단 내측면을 향하여 왕복 운동이 가능한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이송유닛이 상기 인조미끼재를 파지하거나 파지동작을 해제시키는 제2 파지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이송유닛과 상기 제2 이송유닛은 상기 제1 커팅부 및 상기 제2 커팅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인조미끼재를 이송시키고,
    상기 제2 커팅부의 커팅 동작에 의해 완성되는 인조미끼는 일단이 원통 형상을 이루며 낚시바늘에 장착되며, 일단을 제외한 부분부터 타단까지가 복수 가닥의 가요성 다리 형상을 이루며 어류를 유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미끼재를 권취하여 보관하는 권취부; 및
    상기 권취부 및 상기 이송부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인조미끼재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인조미끼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인조미끼재의 처짐을 방지하며, 이송시 상기 이송부의 회동 동작에 따라 좌우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탄성유지 가이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
  4. 베이스 테이블부;
    상기 베이스 테이블부 상에 마련되며, 가요성을 가지는 호스 형상의 인조미끼재를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인조미끼재의 길이 방향으로 커팅하되, 일단을 제외한 부분부터 타단까지 복수의 가닥이 되도록 커팅하는 제1 커팅부; 및
    상기 제1 커팅부와 이웃하여 마련되며, 제1 커팅된 상기 인조미끼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여 커팅하되, 서로 이웃하는 상기 인조미끼재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커팅하는 제2 커팅부;를 포함함에 있어,
    상기 제1 커팅부는,
    상면에 상기 복수의 가닥 개수에 맞추어 복수개의 커팅홈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커팅 받침대와,
    상기 제1 커팅 받침대의 상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커팅홈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원판형 칼날이 형성되어, 하방 이동시 상기 제1 커팅 받침대의 상기 커팅홈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커팅 나이프와,
    상기 제1 커팅 나이프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유압실린더와,
    상기 제1 커팅 나이프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커팅 나이프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커팅부의 커팅 동작에 의해 완성되는 인조미끼는 일단이 원통 형상을 이루며 낚시바늘에 장착되며, 일단을 제외한 부분부터 타단까지가 복수 가닥의 가요성 다리 형상을 이루며 어류를 유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팅부는,
    상기 제1 커팅 받침대의 좌우 방향 양측에 마련되며 중앙에 이송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이송가이드 받침대와,
    일단이 회동축이 되고 타단이 상기 이송가이드 받침대의 상측에서 상하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1 커팅부의 커팅 동작시 하방 이동 동작으로 상기 인조미끼재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 바와,
    상기 고정 바의 타단을 회동시키는 제3 유압실린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인조미끼재가 이송되어오면, 상기 제3 유압실린더의 동작으로 상기 고정 바의 타단이 상기 이송가이드 받침대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회동하여 상기 인조미끼재를 고정하고, 상기 제2 유압실린더의 동작으로 상기 제1 커팅 나이프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커팅홈에 접촉되며 상기 제1 유압실린더의 동작으로 상기 제1 커팅 나이프가 상기 제1 커팅 받침대 상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인조미끼재의 길이 방향으로 커팅하되, 일단을 제외한 부분부터 타단까지 복수의 가닥이 되도록 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
  6. 베이스 테이블부;
    상기 베이스 테이블부 상에 마련되며, 가요성을 가지는 호스 형상의 인조미끼재를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인조미끼재의 길이 방향으로 커팅하되, 일단을 제외한 부분부터 타단까지 복수의 가닥이 되도록 커팅하는 제1 커팅부; 및
    상기 제1 커팅부와 이웃하여 마련되며, 제1 커팅된 상기 인조미끼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여 커팅하되, 서로 이웃하는 상기 인조미끼재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커팅하는 제2 커팅부;를 포함함에 있어,
    상기 제2 커팅부는,
    상기 이송부의 내측 또는 상기 이송부 상에 마련되며, 상기 인조미끼재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커팅홀이 형성되는 제2 커팅 받침대와,
    상기 제2 커팅 받침대의 상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하방 이동시 상기 커팅홀에 수용되도록 원판형 칼날이 형성되는 제2 커팅 나이프와,
    상기 제2 커팅 나이프를 상기 제2 커팅 받침대의 상측에서 지지하는 제2 나이프 지지대와,
    상기 제2 커팅 나이프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4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에 의해 제1 커팅 동작이 이루어진 상기 인조미끼재가 이송되어오면, 상기 제4 유압실린더의 동작으로 상기 제2 커팅 나이프가 상기 제2 나이프 지지대로부터 상기 제2 커팅 받침대로 이동하여 서로 이웃하는 상기 인조미끼재의 일단과 타단 사이를 커팅하며,
    상기 제2 커팅부의 커팅 동작에 의해 완성되는 인조미끼는 일단이 원통 형상을 이루며 낚시바늘에 장착되며, 일단을 제외한 부분부터 타단까지가 복수 가닥의 가요성 다리 형상을 이루며 어류를 유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
  7. 삭제
KR1020140174867A 2014-12-08 2014-12-08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 및 인조미끼의 제조 방법 KR101668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867A KR101668612B1 (ko) 2014-12-08 2014-12-08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 및 인조미끼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867A KR101668612B1 (ko) 2014-12-08 2014-12-08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 및 인조미끼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199A KR20160069199A (ko) 2016-06-16
KR101668612B1 true KR101668612B1 (ko) 2016-10-24

Family

ID=56354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867A KR101668612B1 (ko) 2014-12-08 2014-12-08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 및 인조미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86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043B1 (ko) * 2020-11-26 2022-12-07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끼 자동 끼움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868Y1 (ko) 2005-02-02 2005-04-19 최명길 낚시 유인 미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289B1 (ko) * 2001-03-29 2005-08-04 주식회사 스틸카스피 튜브절단장치
KR200407643Y1 (ko) 2005-11-10 2006-02-02 박성득 낚시용 탈착 인조미끼
KR20120002977U (ko) * 2010-10-22 2012-05-03 신명복 낚시용 인조미끼
KR101353017B1 (ko) * 2012-01-09 2014-01-17 정용락 알루미늄 튜브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868Y1 (ko) 2005-02-02 2005-04-19 최명길 낚시 유인 미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199A (ko) 201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85399B (zh) 自动往复刮除式竹青去除装置
JP3869453B1 (ja) 薄片製造装置及び薄片製造方法
CN106070516A (zh) 基于三维扫描的鱼皮切割分离装置
KR101668612B1 (ko) 인조미끼의 제조 장치 및 인조미끼의 제조 방법
JPS5824265B2 (ja) ダンセイバンドセイゾウソウチ
CN204763077U (zh) 一种全自动腰花肠切花机
KR20160070354A (ko) 인조미끼의 제조 방법
KR20160092208A (ko) 산업섬유를 이용한 인조미끼의 제조 방법
KR20190001003A (ko) 인조미끼 제조용 자동 절단 장치
CN104585855B (zh) 送料切料装置和自动穿串机
CN203141564U (zh) 烤肠刻花机
KR101907805B1 (ko) 나일론원사의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치간칫솔제작장치.
JP2024007360A (ja) ゴム製シールリング素材自動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JP6002726B2 (ja) 矢羽根加工装置
JP5976766B2 (ja) 擬似餌の製造装置および擬似餌の製造方法
KR20200033660A (ko) 두개의 띠톱을 이용한 왕복 절단형 띠톱 기계
CN103380807B (zh) 一种杀鱼装置
KR100819782B1 (ko) 낚시바늘 제조장치
CN205852875U (zh) 一种使用气动机械手上料的自动切割装置
JP6693281B2 (ja) ゴムシート切断方法、及びゴムシート切断装置
KR101773504B1 (ko) 낚시바늘 제조장치
JP3567236B2 (ja) ブロック肉の薄切装置
CN108301144B (zh) 一种玩具头发自动缝制机
KR200215396Y1 (ko) 낚시바늘 제조장치
KR101322199B1 (ko) 스팽글 모티브 제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