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4256A - 편광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편광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4256A
KR20160094256A KR1020150129447A KR20150129447A KR20160094256A KR 20160094256 A KR20160094256 A KR 20160094256A KR 1020150129447 A KR1020150129447 A KR 1020150129447A KR 20150129447 A KR20150129447 A KR 20150129447A KR 20160094256 A KR20160094256 A KR 20160094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laminate
outer edge
adhesive film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티엔 첸
아이-링 후앙
옌-니엔 첸
콰이-쳉 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미카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미카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미카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160094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2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7/00Lapp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7/00Lapp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 B24B37/005Control means for lapping machine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9/0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 B24B9/1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of plate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광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해당 편광판의 제조방법은 연삭(grinding) 기기의 고정 장치 및 베이스(base)를 이용하여 적층체를 클램핑한 후, 연삭 기기의 연삭 장치의 연삭면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입구각으로 적층체의 가장자리를 연삭함으로써 접착제의 넘침(overflow) 현상이 없이 우수한 치수 정밀도를 갖는 편광판을 제조한다.

Description

편광판 및 그 제조방법{ POLARIZ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편광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고, 특히 우수한 치수 정밀도를 가지며 접착제의 넘침 현상이 없는 편광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display) 중의 편광판은 광선의 편광 방향을 개변시킬 수 있어, 디스플레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상이한 디스플레이 기술을 달성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3차원 디스플레이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디스플레이 기술을 달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편광판은 편광필름, 접착제층 및 이형층을 포함하고, 접착제층은 편광필름 및 이형층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편광필름은 접착제층에 의해 기타 광학필름과 접합될 수 있고, 이형층은 편광판의 접착제층과 기타 물체의 접착을 방지할 수 있어, 편광판의 운송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양산 및 다양한 치수의 광학필름의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먼저 복수 개의 편광판을 적층체로 적층시킨 후, 다시 적층체를 적합한 치수로 재단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의 재단 공정을 진행할 경우, 편광판은 기계적 성질상 비교적 유연하므로, 재단 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적층체의 편광판마다 약간의 미소 변위가 발생되어, 재단 후의 치수 정밀도를 감소시키므로, 이에 따라 후속의 제조되는 디스플레이의 효율을 감소시킨다. 이 밖에, 재단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재단 후의 편광판의 접착제층은 측변에서 접착제의 넘침 현상이 쉽게 발생되므로, 편광판이 서로 접착되거나 또는 기타 물체와 접착되어 편광판의 품질을 저하시킨다.
상기 내용을 감안하여, 기존의 편광판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른 결점을 개선하기 위한 편광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극히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연삭 기기로 적층체를 연삭 하여, 우수한 치수 정밀도를 가지며 접착제의 넘침 현상이 없는 편광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편광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베이스 상부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고정 장치, 및 연삭면, 중심축 및 중심축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기준선을 포함하고, 반경을 갖는 연삭 장치를 포함하는 연삭(grinding) 기기를 제공하는 단계; 편광 수단, 가장자리 및 연삭 시작 위치를 포함하는 적층체를 베이스의 베이스 상부면에 배치하는 단계; 고정 장치 및 베이스를 이용하여 적층체를 클램핑하는 단계 - 고정 장치에서 베이스 상부면까지는 중점 위치를 가질 수 있는 최소 클램핑 거리를 갖고, 중점 위치, 중심축과 기준선은 동일 평면에 위치함 - 및 연산하는 단계 - 적층체의 일부 가장자리를 제거하도록, 연삭면을 이용하여 연삭 시작 위치로부터 적층체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를 연삭하여, 적어도 하나의 편광판을 얻음 -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편광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연삭 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연삭 기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적층체를 연삭 기기의 베이스에 배치한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편광 수단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연삭 단계를 진행할 경우의 연삭 기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고정 장치와 베이스가 적층체를 클램핑한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고정 장치와 베이스가 적층체를 클램핑한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편광판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른 편광판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조와 사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지만, 실시예는 응용 가능한 다양한 발명 개념을 제공하는 바, 이는 다양한 특정 내용에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설명되는 특정 실시예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 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 도 2a 및 도 2b를 동시에 참조하면,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편광판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연삭 기기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1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100)에 있어서, 우선 연삭 기기(200)를 제공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해당 연삭 기기(200)는 베이스(210), 고정 장치(220) 및 연삭 장치(230)를 포함한다. 상기의 연삭 장치(230)는 연삭면(231), 중심축(232) 및 기준선(233)을 포함하고, 기준선(233)은 중심축(232)의 연장 방향(232a)에 수직한다. 구체적 예에서, 연삭 장치(230)는 롤러(roller), 휠 디스크(wheel disc), 디스크(disk), 상기 장치의 임의의 조합 또는 기타 적합한 연삭 장치일 수 있다.
도 1과 도 3a를 동시에 참조하면,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적층체를 연삭 기기의 베이스에 배치한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단계(110) 이후, 단계(120)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체(300)를 베이스(210)의 베이스 상부면(210a)에 배치한다. 해당 적층체(300)는 적어도 하나의 편광 수단(310)을 포함할 수 있고, 이어서 적어도 하나의 편광 수단(310)의 연장면을 베이스 상부면(210a)에 평행시킨다. 다음, 단계(130)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장치(220) 및 베이스(210)를 이용하여 적층체(300)를 클램핑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의 고정 장치(220)에서 베이스 상부면(210a)까지는 최소 클램핑 거리(D)를 갖고, 적층체(300)는 클램핑 거리(D)보다 작거나 같은 제1 높이(H1)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클램핑 거리(D)의 중점 위치(즉, D/2의 위치), 연삭 장치(230)의 중심축(232) 및 연삭 장치(230)의 기준선(233) 등 3자는 동일 평면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삭 장치의 중심축(232)의 2배 반경(2R)과 클램핑 거리(D)의 비율은 1/15~1/3 사이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편광 수단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적층체(300) 중의 매 하나의 편광 수단(310)은 적어도 하나의 광학필름(310a), 적어도 하나의 접착필름(310b) 및 적어도 하나의 이형층(310c)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접착필름(310b)은 광학필름(310a) 및 이형층(310c) 사이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학필름(310a) 또는 이형층(310c)은 베이스 상부면(210a) 또는 고정 장치(220)와 접촉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편광 수단도 2층 이상의 접착필름 및 2층 이상의 이형층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접착필름은 광학필름 및 이형층 중 어느 하나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편광 수단도 2층 이상의 광학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 장치(220) 및 베이스(210)가 적층체(300)를 클램핑할 경우, 이러한 클램핑 상태에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적층체(300)의 편광 수단(310) 중의 접착필름(310b)에 대한 약간의 압출은 접착제의 넘침을 초래한다.
계속하여 도 1을 참조하면, 단계(1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130) 이후, 상기의 적층체(300)의 제1 높이(H1)가 클램핑 거리(D)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1 높이(H1)가 클램핑 거리(D)와 동일한 경우, 단계(1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삭 단계를 진행한다.
단계(140)에서 상기의 제1 높이(H1)가 클램핑 거리(D)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 고정 장치(220) 및 베이스(210)는 적층체(300)를 효과적으로 클램핑할 수 없으므로, 방법(100)은 단계(140a)를 더 진행함으로써, 후속의 연삭 단계(150)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 도 4a 및 도 4b를 동시에 참조하면, 여기서,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및 또 다른 실시예의 고정 장치와 베이스가 적층체를 클램핑한 것을 각각 도시한 측면도이다. 단계(140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계(140)에서 상기의 제1 높이(H1)가 클램핑 거리(D)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될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 부재(400)를 적층체(300)의 상면(300a)에 배치할 수 있거나 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300b)에 배치할 수 있어, 적층 부재(400)의 제2 높이(H2)와 제1 높이(H1)의 합이 클램핑 거리(D)와 동일하게 함으로써, 고정 장치(220) 및 베이스(210)가 적층 부재(400)에 의해 적층체(300)를 효과적으로 클램핑하여, 후속의 연삭 단계(150)를 진행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3c를 참조하면, 여기서,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연삭 단계를 진행할 경우의 연삭 기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연삭 단계(150)를 진행할 경우, 사용자는 제조하고자 하는 편광판의 치수 요구에 따라 고정 장치(220), 및/또는 베이스(210), 및/또는 연삭 장치(230)의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에서의 이동 거리를 조정할 수 있고, 적층체(300)의 위치를 연동하여 이동시킴으로써, 클램핑 거리(D)의 중점 위치(즉, D/2의 위치), 연삭 장치(230)의 중심축(232) 및 연삭 장치(230)의 기준선(233) 등 3자를 동일 평면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적층체(300)의 연삭량을 조정하기 위하여 연삭 장치(230)의 연삭면(231)을 상기 설정된 입구각(θ)으로 적층체(300)의 가장자리(300c)를 연삭하여, 적층체(300)의 일부 가장자리(300c)를 제거한다.
상기의 입구각(θ)은 연삭 장치(230)의 연삭면(231)이 적층체를 연삭하는 시작 위치(C 또는 C')와 연삭 장치(230)의 중심축(232)의 연결선 및 기준선(233)에 의해 형성된 끼인각을 말한다. 또한 상기 정의에 근거하면, 적층체의 시작 위치(C 또는 C')와 기준선(233)이 평행할 경우 입구각(θ)은 0°이다.
상기의 시작 위치가 C일 경우, 연삭 장치(230)의 연삭면(231)은 제1 회전 방향(230a)으로 적층체(300)의 가장자리(300c)를 연삭한다. 제1 회전 방향(230a)은 적층체(300)의 상면(300a)에서 하면(300b)으로 향하는 방향을 말하고, 또한 입구각(θ)을 양의 값으로 정의한다.
다른 일 양태에서, 상기의 시작 위치가 C'일 경우, 연삭 장치(230)의 연삭면(231)은 제2 회전 방향(230b)으로 적층체(300)의 가장자리(300c)를 연삭한다. 제2 회전 방향(230b)은 적층체(300)의 하면(300b)에서 상면(300a)으로 향하는 방향을 말하고, 또한 입구각(θ)을 음의 값으로 정의한다.
상기의 입구각은 하기의 수학식 1을 만족시킨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θ는 입구각을 표시하고, D는 클램핑 거리를 표시하며, R은 연삭 장치의 반경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입구각(θ)은 -70° 내지 70°사이일 수 있다.
상기의 클램핑 거리(D)의 중점 위치, 중심축(232) 및 기준선(233)이 동일 평면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연삭 장치(230)의 중심축(232)은 클램핑 거리(D)의 중점 위치보다 높거나 낮다. 중심축(232)이 클램핑 거리(D)의 중점 위치보다 높을 경우, 적층체(300)의 상부의 편광 수단(310)에 있어서, 그 입구각(θ)의 각도는 70°보다 작고, 적층체(300)의 하부의 편광 수단(310)에 있어서, 그 입구각(θ)의 각도는 70°보다 크다. 상기의 동일한 이동 거리에 기반하여 보면, 적층체(300)의 상부 및 하부의 편광 수단(310)은 상이한 양의 연삭 부분을 가질 수 있고, 즉 상부의 편광 수단(310)과 하부의 편광 수단(310)은 상이한 연삭량을 가져, 연삭에 의해 제조되는 편광판의 치수 정밀도가 감소되고, 또한 제조되는 편광판은 접착제의 넘침 결함이 존재하게 된다.
상기의 적층체(300)의 상부의 편광 수단(310)은 적층 위치가 클램핑 거리(D)의 중점 위치보다 높은 편광 수단(310)을 말하고, 반대로, 적층체(300)의 하부의 편광 수단(310)은 적층 위치가 클램핑 거리(D)의 중점 위치보다 낮은 편광 수단(310)을 말한다.
반대로, 중심축(232)이 클램핑 거리(D)의 중점 위치보다 낮을 경우, 적층체(300)의 상부의 편광 수단(310)에 있어서, 그 입구각(θ)의 각도는 70°보다 크고, 적층체(300)의 하부의 편광 수단(310)에 있어서, 그 입구각(θ)의 각도는 70°보다 작다. 상기 내용에 근거하여, 연삭에 의해 제조되는 편광판도 치수 정밀도가 양호하지 않고 접착제의 넘침 결점이 존재한다.
이 밖에, 적층체(300)의 제1 높이(H1)가 클램핑 거리(D)보다 클 경우, 고정 장치(220)와 베이스(210)가 적층체(300)를 클램핑하기 어려운 결점 이 외에, 적층체(300)의 편광 수단(310) 중의 접착필름이 완전히 압출되어, 제조되는 편광판이 접착필름을 갖지 않아, 응용할 수 없게 된다.
그 다음, 제1 높이(H1)가 클램핑 거리(D)보다 클 경우, 연삭면(231)도 더 큰 입구각(θ)(예를 들면, 70°보다 큰 입구각)으로 적층체(300)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300c)를 연삭 하여, 제조되는 편광판의 치수 정밀도를 저하시킨다.
도 1을 참조하면, 연삭 단계(150) 이후, 단계(160) 및 단계(17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삭 기기(200) 및 고정 장치(220)를 제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편광판을 얻는다. 이에 근거하여, 연삭 후의 편광 수단(310)이 편광판을 형성하도록, 본 발명은 연삭 단계를 이용하여 적층체의 매 하나의 편광 수단(310)을 연삭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편광판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여기서, 편광판(500a)은 광학필름(510), 이형층(520) 및 접착필름(530)을 포함한다. 해당 이형층(520)의 2개의 외연부(520a 또는 520b)를 광학필름(510)의 2개의 외연부(510a 또는 510b)와 일치시키고, 접착필름(530)은 광학필름(510) 및 이형층(52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의 고정 장치(220)가 제거된 후, 클램핑 압력의 해제 및 자체 응집력의 영향으로 인해, 접착필름(530)의 외연부(530a 또는 530b)는 광학필름(510)의 2개의 외연부(510a 또는 510b)에 비하여 각각 내부로 더 수축된다.
다음, 연삭 장치의 연삭면의 거친 표면 및 상기의 응집력의 영향으로 인해, 접착필름(530)이 내부로 수축될 경우, 접착필름(530)의 연삭을 거친 외연부(530a 또는 530b)는 불규칙한 면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불규칙한 면은 연속적인 곡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불규칙한 면은 적어도 하나의 곡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접착필름(530)의 외연부(530a 또는 530b)는 원호면 또는 톱니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불규칙한 면은 연속적인 곡면일 수 있다.
광학필름(510)의 2개의 외연부(510a 또는 510b)를 시작점으로 하는 것에 기반하여 보면, 접착필름(530)의 2개의 외연부(530a 또는 530b)의 불규칙한 면은 최대 내부 수축 거리(d1 및 d2)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최대 내부 수축 거리(d1)는 접착필름(530)의 최대 내부 축소 위치에서 광학필름(510)의 외연부(510a)와 이형층(520)의 동일측의 외연부(520a)의 연결선까지 측정하여 획득한 수직거리이다. 최대 내부 수축 거리(d2)의 측정 방법은 상기 방법과 동일한 바,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여기서, 임의의 최대 내부 수축 거리(d1 또는 d2)와 접착필름(530)의 두께(T)의 비율은 1.8을 초과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임의의 최대 내부 수축 거리(d1 또는 d2)와 접착필름(530)의 두께(T)의 비율은 0.25 내지 1.8 사이이다.
상기의 최대 내부 수축 거리(d1 또는 d2)와 두께(T)의 비율이 1.8을 초과할 경우, 제조되는 편광판의 접착필름(530)의 접착면적이 감소되어, 편광판이 기타 광학필름과 쉽게 접합되지 않거나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누광을 초래하여 그 응용에 영향을 미친다.
광학필름(510)의 접착필름(530)의 두께에 관하여 일반적으로 특별한 제한이 없지만, 일 실시예에서, 접착필름(530)은 예를 들어 5㎛ 내지 5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광학필름(510)으로서 편광 변환 어셈블리, 반사판, 또는 반투과판, 위상차판, 시야각 보상필름, 휘도향상 필름, 보호필름, 배향 액정층, 접합 용이 처리층, 하드 코팅층, 반사 방지층, 접착 방지층, 확산층, 눈부심 방지층 등 다양한 표면 처리층을 예로 들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광학필름(510)은 상기로부터 선택되는 조합일 수 있는 복수층 구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형층(520)의 재료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합성수지 필름일 수 있고, 고무 시트, 종이, 천, 부직포, 그물망, 폼 시트, 금속박 및 이들의 적층체의 적절한 박층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접착필름(530)의 재료는 아크릴계 폴리머(Acryl Polymer)에 아크릴 올리고머(acrylic oligomer)와 실란 커플링제(Silane Coupling Agent)를 조제하여 획득한 것, 또는 아크릴계 폴리머에 광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여 자외선(UV) 조사를 거쳐 얻는 것, 또는 아크릴계 폴리머에 정전기 방지 성분을 첨가한 화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이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다른 편광판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여기서, 편광판(500b)은 광학필름(510), 2개의 이형층(520), 제1 접착필름(531)과 제2 접착필름(533)을 포함한다. 2개의 이형층(520)의 2개의 외연부(520a 또는 520b)는 광학필름(510)의 2개의 외연부(510a 또는 510b)와 각각 일치되고, 또한 광학필름(51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제1 접착필름(531)과 제2 접착필름(533)은 광학필름(510) 및 2개의 이형층(520)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동일하게, 응집력의 영향으로 인해, 제1 접착필름(531)의 외연부(531a 또는 531b) 및 제2 접착필름(533)의 외연부(533a 또는 533b)는 모두 광학필름(510)의 2개의 외연부(510a 또는 510b)에 비하여 각각 내부로 수축되고, 또한 제1 접착필름(531) 또는 제2 접착필름(533)의 외연부(531a, 531b, 533a 또는 533b)는 불규칙한 면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불규칙한 면은 곡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불규칙한 면은 연속적인 곡면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접착필름(531) 또는 제2 접착필름(533)의 외연부(531a, 531b, 533a 또는 533b)는 원호면 또는 톱니면일 수 있다.
광학필름(510)의 2개의 외연부(510a 또는 510b)를 시작점으로 하는 것에 기반하여 보면, 제1 접착필름(531) 또는 제2 접착필름(533)의 외연부(531a, 531b, 533a 또는 533b)의 불규칙한 면은 최대 내부 수축 거리(d1, d2, d1' 및 d2')를 가질 수 있다. 최대 내부 수축 거리(d1, d2, d1' 및 d2')의 측정 방법은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한 바,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접착필름(531)의 두께(T)와 제2 접착필름(533)의 두께(T')는 상이하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접착필름(531)의 두께(T)는 약 50㎛ 내지 250㎛이고, 제2 접착필름(533)의 두께(T')는 약 5㎛ 내지 50㎛이다.
그 중, 최대 내부 수축 거리(d1 또는 d2)와 제1 접착필름(531)의 두께(T)의 비율은 1.8을 초과하지 않고, 또한 내부 수축 거리(d1' 또는 d2')와 제2 접착필름(533)의 두께(T')의 비율은 1.8을 초과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내부 수축 거리(d1 또는 d2) 중의 최대 내부 수축 거리와 두께(T)의 비율은 0.25 내지 1.8 사이일 수 있고, 또한 내부 수축 거리(d1' 또는 d2') 중의 최대 내부 수축 거리와 두께(T')의 비율은 0.25 내지 1.8 사이일 수 있다.
동일하게, 제1 접착필름(531) 또는 제2 접착필름(533)의 내부 수축 거리와 두께(T 또는 T')의 비율이 1.8을 초과할 경우, 제조되는 편광판(500b)의 제1 접착필름(531) 또는 제2 접착필름(533)의 접착제 접착 면적이 감소되어, 편광판이 기타 광학필름과 쉽게 접합되지 않거나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의 누광을 초래하여 그 응용에 영향을 미친다.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응용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지 위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이탈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을 할 수 있다.
편광판 제조
실시예1
도 3a 내지 도 3c를 동시에 참조하면, 우선 적층체(300)를 베이스(210) 위에 배치하고, 고정 장치(220) 및 베이스(210)를 이용하여 적층체(300)를 클램핑하며, 여기서, 적층체(300)는 복수 개의 편광 수단(310)을 포함하고, 이러한 편광 수단(310)들은 모두 적어도 한 층의 접착필름(310b)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필름(310b)은 광학필름(310a) 및 이형층(310c)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적층체(300)의 제1 높이(H1)는 고정 장치(220)와 베이스(210)의 클램핑 거리(D)와 같다.
다음, 연삭 장치(230)의 연삭면(231)이 70°의 입구각(θ)으로 적층체(300)를 연삭한다. 연삭 단계를 진행한 이후, 구조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1의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얻은 편광판은 하기의 평가 방식에 따라 평가하고, 그 평가 결과는 표1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여기서, 연삭 품질 및 내부 수축 수준의 측정 방법은 후술에서 다시 설명한다.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편광판을 제조한다. 상이한 것은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는 상이한 입구각을 이용하여 상이한 구조의 적층체(300)를 연삭하는 것으로, 그 중에서 편광 수단(310)이 2층의 접착필름을 포함할 경우, 이러한 접착필름들은 광학필름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또한 접착필름에 있어서, 광학필름과 멀리하는 타측에는 이형층이 배치되며, 이의 제조 완성 후의 구조도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다.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6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의 조건 및 평가 결과는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 여기서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평가 방식
1. 연삭 품질
상기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에 의해 제조되는 편광판에 대하여, 연삭 후의 치수 정밀도 및 접착제 넘침 상황에 따라, 편광판의 연삭 품질을 평가할 수 있다.
아울러, 편광판의 치수 정밀도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에 의해 제조되는 편광판을 수평 스탠드에 놓고, 편광판의 평평한 상태를 유지시키며, 버니어 캘리퍼스(vernier calipers)로 편광판의 치수를 측정하여, 제조하고자 하는 치수와의 오차값을 계산한다. 계산된 치수의 오차값은 하기의 기준에 따라 평가한다.
◎ : 치수의 오차값 ≤ ±0.1밀리미터;
○ : ±0.1 밀리미터 < 치수의 오차값 ≤ ±0.2밀리미터;
× : ±0.2밀리미터 < 치수의 오차값.
상기의 접착제 넘침 상태에 대한 평가 방식은 육안에 의해 편광판의 접착필름에 접착제 넘침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2. 내부 수축 정도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편광판의 접착필름의 내부 수축 수준은 하기의 수학식 2에 따라 계산하고, 여기서, 접착필름의 최대 내부 수축 거리는 광학 현미경으로 측정하며, 여기서, 접착필름의 최대 내부 수축 거리의 측량 방법은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식과 동일한 바, 중복 설명하지 않는다.
Figure pat00002
표 1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삭 장치의 연삭면이 70° 내지 -70°의 입구각(θ)으로 적층체를 연삭할 경우, 제조되는 편광판은 우수한 치수 정밀도를 갖고, 또한 편광판의 접착필름에도 접착제 넘침이 쉽게 발생하지 않아, 접착제에 따른 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편광판과 기타 필름이 접착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편광판의 제조공정의 합격률 및 편광판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다음, 상기의 70° 내지 -70°의 입구각(θ)으로 적층체를 연삭할 경우, 제조되는 편광판의 접착필름의 내부 수축 수준, 즉 접착필름의 내부 수축 거리와 두께의 비율은 0보다 크고 1.8을 초과하지 않으므로, 편광판과 기타 광학 필름과의 효과적인 접합을 확보한다.
이 밖에, 입구각(θ)이 70° 내지 -70°가 아닐 경우, 제조되는 편광판의 치수 정밀도가 낮고, 편광판의 접착필름이 내부로 수축되지 않아, 편광판의 접착필름에 접착제 넘침이 쉽게 발생하여, 편광판의 품질을 저하시킨다.
상기와 같이 실시양태에 의해 본 발명에 대하여 개시하였지만, 이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편광수단의 접착층 층수 1 2 1 2 2 1 1 1 2 2
연삭 공정의 입구각 70 45 5 -5 -45 -70 71 -71 71 -71

평가




치수
정밀도
× × × ×
접착제
넘침 상태

접착제 넘침 없음

접착제 넘침 있음
내부 수축 정도 1.8 1.8 0.25 0.4 0.3 1.8 0 0 0 0
200: 연삭 기기 210: 베이스
210a: 베이스 상부면 220: 고정 장치
230: 연삭 장치 230a: 제1 회전 방향
230b: 제2 회전 방향 231: 연삭면
232: 중심축 232a: 연장 방향
233: 기준선 300: 적층체
300a: 상면 300b: 하면
300c: 가장자리 310: 편광
310a: 광학필름 310b: 접착필름
310c: 이형층 400: 적층 부재
500a/500b: 편광판 510: 광학필름
510a/510b: 외연부 520: 이형층
520a/520b: 외연부 530: 접착필름
530a/530b: 외연부 531: 제1 접착필름
531a/531b: 외연부 533: 제2 접착필름
533a/533b: 외연부 θ : 입구각
D: 클램핑 거리 H1: 제1 높이
H2: 제2 높이 C/C': 시작 위치
T/T': 두께 d1/d1'/d2/d2': 내부 수축 거리

Claims (9)

  1. 베이스(base) 상부면을 포함하는 베이스,
    고정 장치 및
    연삭면, 중심축 및 상기 중심축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기준선을 포함하고, 반경을 갖는 연삭 장치를 포함하는 연삭(grinding) 기기를 제공하는 단계;
    편광 수단, 가장자리 및 연삭 시작 위치를 포함하는 적층체를 상기 베이스의 베이스 상부면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고정 장치 및 상기 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적층체를 클램핑(clamping) 하는 단계 - 상기 고정 장치에서 상기 베이스 상부면까지는 중점 위치를 가질 수 있는 클램핑 거리를 갖고, 상기 중점 위치, 상기 중심축과 상기 기준선은 동일 평면에 위치함 -; 및
    연삭하는 단계 - 상기 적층체의 일부 가장자리를 제거하도록, 상기 연삭면을 이용하여 상기 연삭 시작 위치로부터 상기 적층체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를 연삭하여, 적어도 하나의 편광판을 얻음 -;를 포함하고,
    상기 연삭 시작 위치와 상기 중심축의 연결선 및 상기 기준선에 의해 형성된 끼인각은 하기와 같은 수학식을 만족하는 입구각(θ)으로 정의할 수 있고,
    Figure pat00003

    상기 수학식에서, 상기 D는 클램핑 거리를 표시하고, 상기 R은 상기 연삭 장치의 상기 반경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각(θ)은 -70° 내지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상기 클램핑 거리보다 작거나 같은 제1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는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과 하면은 각각 상기 가장자리와 인접하며, 상기 연삭면은 상기 적층체의 상기 상면에서 상기 적층체의 상기 하면 방향으로 상기 가장자리를 연삭하거나 상기 적층체의 상기 하면에서 상기 적층체의 상기 상면 방향으로 상기 가장자리를 연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의 2배 반경과 상기 클램핑 거리의 비율은 1/15~1/3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의 제조방법.
  6. 제1 외연부를 갖는 광학필름;
    상기 제1 외연부와 일치되는 제2 외연부를 갖는 이형층; 및
    상기 광학필름 및 상기 이형층 사이에 배치되고, 제3 외연부 및 제1 두께를 갖는 접착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필름의 제3 외연부는 상기 제1 외연부 또는 상기 제2 외연부에 비하여 각각 내부로 수축되며, 제1 최대 내부 수축거리를 갖고, 상기 제1 최대 내부 수축거리와 상기 접착필름의 상기 제1 두께의 비율은 0보다 크고 1.8을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필름의 상기 제3 외연부는 불규칙한 면, 연속적인 곡면, 원호면 또는 톱니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3 외연부는 곡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필름과 마주하는 상기 광학필름의 타측에 배치되고, 제4 외연부 및 제2 두께를 갖는 제2 접착필름; 및
    상기 광학필름과 마주하는 상기 제2 접착필름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외연부와 일치되는 제5 외연부를 갖는 제2 이형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접착필름의 제4 외연부는 상기 제1 외연부 또는 상기 제5 외연부에 비하여 각각 내부로 수축되며, 제2 최대 내부 수축거리를 갖고, 상기 제2 최대 내부 수축거리와 상기 제2 접착필름의 상기 제2 두께의 비율은 0보다 크고 1.8을 초과하는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두께와 상기 제2 두께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KR1020150129447A 2015-01-30 2015-09-14 편광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942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4103248 2015-01-30
TW104103248A TWI499814B (zh) 2015-01-30 2015-01-30 偏光板及其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256A true KR20160094256A (ko) 2016-08-09

Family

ID=53934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447A KR20160094256A (ko) 2015-01-30 2015-09-14 편광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6143054A (ko)
KR (1) KR20160094256A (ko)
CN (1) CN105834884B (ko)
TW (1) TWI4998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34008B (zh) * 2015-04-30 2016-05-21 住華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學膜片、光學膜片之製造方法及應用其之顯示面板
TWI602652B (zh) * 2016-11-09 2017-10-21 住華科技股份有限公司 翻轉裝置及應用其之光學膜的製造方法
WO2018193975A1 (ja) * 2017-04-20 2018-10-25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JP6634417B2 (ja) * 2017-07-20 2020-01-22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9760A (ja) * 1986-08-06 1988-02-20 Kawasaki Steel Corp 金属板のエツジ研削方法および装置
JP3483505B2 (ja) * 1999-08-11 2004-01-06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の周縁の仕上げ方法
JP2005224935A (ja) * 2004-01-15 2005-08-25 Nitto Denko Corp 積層シートの切削加工方法及び切削加工装置、積層シート、光学素子、画像表示装置
CN100426077C (zh) * 2004-11-13 2008-10-1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偏光片制造装置
JP4954662B2 (ja) * 2006-01-27 2012-06-20 日東電工株式会社 シート状部材の切削加工方法と製造方法
CN101755226A (zh) * 2007-07-06 2010-06-23 日东电工株式会社 偏振光板
CN201077021Y (zh) * 2007-09-21 2008-06-25 沛鑫科技有限公司 溢胶研磨结构
CN100579755C (zh) * 2008-06-16 2010-01-13 太原风华信息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加工偏光片的压紧装置
CN100579722C (zh) * 2008-07-03 2010-01-13 太原风华信息装备股份有限公司 偏光片磨边设备
WO2011040639A1 (ja) * 2009-09-30 2011-04-07 住友化学株式会社 フィルムの端面加工用カッターおよびこれを備える加工機、並びに、フィルムの端面加工方法
JP5876990B2 (ja) * 2011-03-25 2016-03-02 住友化学株式会社 端面加工偏光板の製造方法
JP2012203210A (ja) * 2011-03-25 2012-10-22 Sumitomo Chemical Co Ltd 端面加工偏光板の製造方法
JP5743291B2 (ja) * 2013-04-09 2015-07-01 住友化学株式会社 切削加工方法
CN204094586U (zh) * 2014-10-29 2015-01-14 深圳市新昂慧科技有限公司 偏光片自动磨边机
CN104308689B (zh) * 2014-10-29 2017-10-27 深圳市新昂慧科技有限公司 偏光片自动磨边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143054A (ja) 2016-08-08
CN105834884B (zh) 2017-12-12
TWI499814B (zh) 2015-09-11
CN105834884A (zh) 2016-08-10
TW201520613A (zh) 2015-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07338B2 (en) Polarizing plate for minimizing reflecting properties i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WI735579B (zh) 偏光板、影像顯示裝置及偏光板的製造方法
JP4954662B2 (ja) シート状部材の切削加工方法と製造方法
KR20160094256A (ko) 편광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743884B1 (ko)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826465B1 (ko) 편광자,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CN114846371A (zh) 光学层叠体的制造方法
JP2019204121A5 (ko)
TWI830879B (zh) 切削加工膜的製造方法
KR20130126524A (ko) 다층형 광학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KR20170054403A (ko) 편광판, 및 액정 패널의 제조 방법
KR102284883B1 (ko) 광학 시트 및 광학 시트의 제조 방법
TW202128321A (zh) 光學構件的製造方法
KR20220148805A (ko) 적층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TW202128320A (zh) 光學構件的製造方法
JP6756106B2 (ja) 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TWI840577B (zh) 加工積層體的端面的方法、端面加工膜的製造方法及端面加工裝置
JP7213834B2 (ja) 積層体の端面を加工する方法、及び、端面加工フィルムの製造方法
TW201637872A (zh) 光學膜片、光學膜片之製造方法及應用其之顯示面板
CN113703085A (zh) 偏光板结构及其制造方法与评价方法、以及显示装置
KR20220149510A (ko) 적층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TW202200377A (zh) 光學積層體
JP2015215596A (ja) 光学フィルム用転写体、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