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1383A - 유기/식물 재료의 소편으로부터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 - Google Patents

유기/식물 재료의 소편으로부터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1383A
KR20160091383A KR1020167016982A KR20167016982A KR20160091383A KR 20160091383 A KR20160091383 A KR 20160091383A KR 1020167016982 A KR1020167016982 A KR 1020167016982A KR 20167016982 A KR20167016982 A KR 20167016982A KR 20160091383 A KR20160091383 A KR 20160091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container
cooling
wood pellets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6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발레리 데트첼
Original Assignee
세브콘 테크놀로지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브콘 테크놀로지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세브콘 테크놀로지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091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3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01J2/2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by expressing the material, e.g. through sieves and fragmenting the extruded length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06Methods of shaping, e.g. pelletizing or briquet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34Other details of the shaped fuels, e.g. briquettes
    • C10L5/36Shape
    • C10L5/363Pellets or granu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4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vegetable substances
    • C10L5/442Wood or forestry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4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vegetable substances
    • C10L5/445Agricultural waste, e.g. corn crops, grass clippings, nut shells or oil pressing resid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004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ly one medium being tubes having parts touching each other or tubes assembled in panel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08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otherwise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28D7/08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otherwise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with serpentine or zig-zag configuration
    • F28D7/08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otherwise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with serpentine or zig-zag configuration in the form of parallel conduits coupled by bent portions
    • F28D7/08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otherwise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with serpentine or zig-zag configuration in the form of parallel conduits coupled by bent portions assembled in arrays, each array being arranged in the same plan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00/00Components of fuel compositions
    • C10L2200/04Organic compounds
    • C10L2200/0461Fractions defined by their origin
    • C10L2200/0469Renewables or materials of biological origi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06Heat exchange, direct or indirect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08Drying or removing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30Pressing, compressing or compac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034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iquid heat storage material
    • F28D20/0039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iquid heat storage material with stratification of the heat storag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45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granular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Debarking, Splitting, And Disintegration Of Timber (AREA)

Abstract

목재 펠릿 또는 다른 유기 재료의 소편으로부터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에서 에너지-효율적인 열 회수를 특징으로 하는 펠릿 냉각 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상기 플랜트는 재료의 공급 장치, 처리 장치, 건조 장치, 압착 장치, 냉각 장치 및 배출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의 적어도 일부는 컨테이너 내에 배치되고, 이 컨테이너는 개별적으로 수송될 수 있고, 플랜트의 적어도 상당 부분을 형성하도록 모듈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식물 재료의 소편으로부터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PLANT FOR THE PRODUCTION OF WOOD PELLETS OR OTHER SOLID GRANULATES FROM SMALL PIECES OF ORGANIC/PLANT MATERIAL}
본 발명은 에너지 발생 플랜트 또는 기타 소모부에 자동적으로 공급하기에 적합한 유기질 및/또는 식물성 재료의 소편으로부터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에 관한 것으로, 이 플랜트는 플랜트의 적어도 일부를 위한 모듈처럼 조립될 수 있는 개별 수송가능한 용기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재료를 추가하기 위한 장치, 준비하기 위한 장치, 건조하기 위한 장치, 압착하기 위한 장치, 냉각하기 위한 장치 및 배출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목재 펠릿은 톱밥 또는 대팻밥, 목재 칩, 목재 파쇄기 재료 또는 기타 부산물, 또는 수목 및 삼림 산업의 폐기물로 이루어지는 봉 형상의 과립이다. 다른 유기질 및/또는 식물성 재료의 소편으로 이루어지는 고체 과립은, 예를 들면, 밀짚, 해바라기 씨 껍질, 올리브 씨 및 올리브 압착 잔류물, 예를 들면, 농업 및 식품 산업으로부터의 왕겨 및 기타 생물학적 잔류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목재 펠릿의 제조에서, 공급되는 재료는,예를 들면, 전환, 건조 및 컨디셔닝에 의해 펠릿화되도록 준비된다. 이 펠릿은 준비된 재료로부터 압착된다. 이를 위해, 원하는 펠릿 직경에 따라 구멍을 구비하는 다이를 통해 재료를 압착시키는 에지 러너 프레스(edge runner press)가 사용된다. 재료 내에 포함된 리그닌은 컨디셔닝 중이나 압착 공정 중에 유리되고, 개별 목재 입자를 서로 접착시킨다. 목재 내에 존재하는 이 리그닌에 더하여, 추가의 결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나이프는 펠릿 스트랜드(strand)가 다이로부터 배출된 후에 원하는 길이로 절단한다. 다음에 펠릿은 냉각되고, 그 결과 응고된다.
유기질 또는 식물성 재료의 소편으로부터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는 일반적으로 특정의 위치에 대한 개별 프로젝트로서 엔지니어링 사무실이나 플랜트 건설업자에 의해 입안되어 개발된다. 그 공정에서, 다양한 제작회사의 기계 및 조립체가 결합되고, 재료의 계면과 재료의 이송은 각각의 상황에 따라 개별적으로 계획된다. 종종 이것은 조립 중에 적합성 및 개선을 필요로 하고, 시스템의 운전 중에 증가된 운전 비용을 필요로 한다.
종래의 펠릿화 플랜트는 기본적인 엔지니어링, 세부 계획 및 건축상의 서비스가 구성(setup)의 장소에서 수행되어야 하므로 높은 투자 비용이 단점이다. 이것은 개별적 주문(경우에 따라 단발(one-off) 제조)을 수반하므로 비용 리스크를 증가시킨다. 더욱이, 적합성을 필요로 하는 상이한 업계 사이에서 문제가 존재한다. 각각의 플랜트에서, 공정을 최적화함으로써 안전 운전 관리가 확립되어야 한다. 이들은 개별적으로 입안된 플랜트이므로 예비 부품을 비축하기 위한 비용이 크다. 현장에서의 관리 프로젝트는 오랜 입안 및 준비 단계를 필요로 한다. 또한, 조립 시간이 길고, 개시 시간이 불확실하다.
EP 1 849 851 A2는 설치 및 그 후의 운전이 의도적으로 용이하고 경제적이고, 또한 수송될 수 있는 분쇄된 목재 재료로 목재 펠릿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를 기술한다. 이것은 처리량의 변화와 같은 새로운 요건에 쉽게 적합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이 장치는 호퍼, 프레스, 냉각기 및 제진(dedusting) 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지지 패널 또는 지지 랙을 구비하는 프레임 스캐폴드(framd scaffold)를 갖는다. 프레임 스캐폴드에는 커버 패널이 부착될 수 있다. 프레임 스캐폴드 및 이것에 부착될 수 있는 플랜트 부품은 사전결정된 처리능력을 갖는 수송가능한 제조 모듈을 구성한다. 필요에 따라, 제조 모듈의 플랜트 부품의 치수를 변화시키지 않고 처리능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복수의 이들 제조 모듈이 조합될 수 있다. 단점은 일체로 전체의 플랜트를 수송하는 것, 및 복수의 완전한 제조 모듈을 조합함으로써 필요에 적응하는 것에 큰 노력이 소요되는 것이다.
DE 10 2006 061 340 B3은 추가, 건조, 압착 및 배출용의 적어도 하나의 조립체 모듈을 구비하는 목재 펠릿 제조 설비를 기술하고 있다. 이 조립체 모듈은 국제적 표준 컨테이너(12 또는 20 피트의 컨테이너) 내의 수직 배열의 각각의 기능적 조립체 내에 도입된다. 횡렬 및/또는 종렬을 형성하는 복수의 컨테이너는 전기 및/또는 공압 매질 라인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이 컨테이너 중 하나는 현지에서 이용할 수 있는 매질 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준비된 조립체 모듈로 이루어지는 플랜트의 용이하고 신속한 조립이 장점이다. 이 플랜트는 다양한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고, 잠시 동안 국부적으로 고정되어야 할 뿐이다. 단점은 수송 중에는 서로 분리되어 있고, 사용 장소에서는 함께 결합되어야 하는 적층된 복수의 컨테이너 상에 건조 샤프트가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다른 단점은 카운터 공기 냉각기의 제한된 출력 및 목재 분진의 흡인 및 분리를 위한 큰 에너지 요건이다. 이것은 상측으로부터 펠릿이 충전될 수 있는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이를 통해 냉각 공기는 하측으로부터 유동될 수 있고, 이것으로부터 펠릿은 냉각 후에 저부에서 방출된다. 다른 단점은 화재 시에 손상의 위험이 상당히 증가하고, 화재진압을 곤란하게 하는 조립체 모듈의 공간적 배분 및 제안된 구성이다. 특히 여분의 발생된 에너지를 공급함으로써 경화용 컨테이너 내에서 원료를 가열하기 위한 높은 에너지 사용도 또한 단점이다.
이와 같은 배경 하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노력으로 다른 장소에 수송, 구성 및 이동될 수 있고, 에너지-최적화된 운전이 가능한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가진 플랜트로 달성된다.
유기질 및/또는 식물성 재료의 소편으로부터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랜트는 상기 플랜트의 적어도 주요 부품을 위한 모듈처럼 조립될 수 있는 개별의 수송가능한 컨테이너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상기 재료의 추가 장치, 준비 장치, 건조 장치, 압착 장치, 냉각 장치 및 배출 장치를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냉각 장치는, 샤프트 냉각기로서 설계된 경우에, 완전히 상기 컨테이너 내에 배치된다.
이 목적은 또한 청구항 2의 특징을 가진 플랜트에 의해 달성된다.
유기질 및/또는 식물성 재료의 소편으로부터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랜트는 상기 플랜트의 적어도 주요 부품을 위한 모듈처럼 조립될 수 있는 개별의 수송가능한 컨테이너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상기 재료의 추가 장치, 준비 장치, 건조 장치, 압착 장치, 냉각 장치 및 배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트는 열 버퍼 저장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열 버퍼 저장 탱크는 상기 냉각 장치의 냉각 매질 유출구로부터 가열된 냉각 매질을 공급받고, 상기 열 버퍼 저장 탱크로부터 냉각된 냉각 매질은 제거되어 상기 냉각 장치의 냉각 매질 유입구로 공급되고, 상기 열 버퍼 저장 탱크로부터 가열된 가열 매질은 제거되어 열 소모부의 가열 매질 유입구로 공급되고, 상기 열 버퍼 저장 탱크는 상기 열 소모부의 가열 매질 유출구로부터 냉각된 가열 매질을 공급받는다.
이 목적은 또한 청구항 3의 특징을 가진 플랜트에 의해 달성된다.
유기질 및/또는 식물성 재료의 소편으로부터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랜트는 상기 플랜트의 적어도 일 부품을 위한 모듈처럼 조립될 수 있는 개별의 수송가능한 컨테이너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상기 재료의 추가 장치, 준비 장치, 건조 장치, 압착 장치, 냉각 장치 및 배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추가 장치, 준비 장치, 건조 장치, 압착 장치, 냉각 장치 및 배출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수직으로 배향된 길이방향 축선을 가진 컨테이너 내에 배치된다.
이 목적은 또한 청구항 4의 특징을 가진 플랜트에 의해 달성된다.
유기질 및/또는 식물성 재료의 소편으로부터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랜트는 상기 플랜트의 적어도 주요 부품을 위한 모듈처럼 조립될 수 있는 개별의 수송가능한 컨테이너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상기 재료의 추가 장치, 준비 장치, 건조 장치, 압착 장치, 냉각 장치 및 배출 장치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셸(shell)을 갖고, 상기 추가 장치, 준비 장치, 건조 장치, 압착 장치, 냉각 장치 및 배출 장치 중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구조적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컨테이너 셸의 요소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플랜트는 희망대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의 여러 개의 청구항의 특징을 갖는다. 여러 개의 청구항의 특징의 모든 조합은 본 발명의 일부이다. 임의의 2 개의 청구항의 특징의 조합, 임의의 3 개의 청구항의 특징의 조합, 뿐만 아니라 4 개 모두의 청구항의 특징의 조합은 본 발명의 요소이다.
이들 모든 해결책은 플랜트의 기계, 집합체, 운반 장치, 제어 장치 및/또는 기타 구성요소에 기초한다. 이 컨테이너는 개별적으로 수송될 수 있고, 플랜트의 주요 부품 내에 조립될 수 있다. 하나의 컨테이너 또는 복수의 컨테이너는 함께 플랜트의 유닛(모듈)을 형성한다. 플랜트의 모듈은 재료의 추가 장치, 준비 장치, 건조 장치, 압착 장치, 냉각 장치 및 배출 장치이다. 본 발명은 표준화 컨테이너로 이루어지는 표준화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컨테이너는 현재의 발전 상황에 대응하는 플랜트의 구성요소를 구비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컨테이너 내에 견고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다양한 기계적 및 전기적 구성요소는 몇 개의 유형으로 감소될 수 있다. 이 구성요소를 선택 및 조립함으로써 에너지 효율 및 질이 최적화되고, 보장될 수 있다. 이 유닛은 고도의 사전제작된 상태로 또는 순차적으로 즉석에서 플랜트 내에서 제작될 수 있다. 컨테이너는 플랜트로부터 사용 장소까지, 또는 초기 사용 장소로부터 새로운 사용 장소까지 철도, 도로 또는 수로로 경제적으로 수송될 수 있다. 컨테이너는 사용 장소의 각각의 조건 및 요건에 따라 모듈식 접근방법에 기초하여 완전한 플랜트로 결합된다. 이 구성의 배치는 각각의 사용 장소에 대해 탄력적으로 적응될 수 있다.
제 1 해결책에서, 수송 및 조립을 위한 노력이 감소되고, 샤프트 냉각기로서 설계되는 냉각 장치(냉각기)가 완전히 단일의 컨테이너 내에 배치되므로 요구되는 공간이 감소된다. 제 2 해결책에서, 최소의 노력으로 수송 및 구축될 수 있고, 열을 열 소모부로 제공하는 열 버퍼 저장 탱크(버퍼 저장 탱크) 내에서 냉각기로부터의 열 회수에 기인되어 에너지-최적화된 운전을 허용하는 펠릿화 플랜트가 제작된다. 제 3 해결책에서, 수직으로 배향된 길이방향 축선을 갖는 컨테이너 내에서 장치의 통합은 건조기, 냉각기 또는 기타 긴 구성요소의 수송의 용이성, 경제적 조립 및 공간-절약형 배열을 촉진하고, 그렇지 않으면 이들은 복수의 컨테이너 내에 분배되어 현장에서 조립되어야 한다. 이 플랜트의 요구되는 설치면적은 수직으로 배향된 길이방향 축선으로 인해 감소된다. 제 4 해결책에서, 컨테이너 셸 및 그 안에 배치되는 장치의 일체적 설계에 기인되어 재료 및 중량이 절감되고, 그 결과 용이한 수송, 경제적 조립 및 공간-절약적 배치가 촉진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인터페이스의 문제를 포함함이 없이 조립될 수 있는 컨테이너로 구성되고, 최신 발전 상황에 대응하는 입증되고, 시험되고, 협조되는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표준화 플랜트의 제조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개별 구성요소의 특수한 제조가 생략될 수 있다.
이 플랜트는 구조적으로 거의 동일하고, 바람직하게는 표준화 제어 시스템을 가지므로, 모델 플랜트(마스터)를 사용하여 시스템의 조업 개시 전에 직원은 훈련을 받아서 친숙해 질 수 있다. 구성요소의 최적화 및 구성요소의 예방 정비에 의해 운전 관리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현장에서의 예비 부품의 비축은 감소될 수 있고, 또는 항상 동일한 더 적은 수의 종류를 사용함으로써, 그리고 중앙 창고를 사용함으로써 최적화될 수 있다. 현장에서 프로젝트를 관리하기 위한 입안 및 준비 단계는 상당히 감소된다. 마찬가지로, 긴 현장 조립 시간이 감소된다. 기본적 엔지니어링, 세부적 입안 및 대부분의 건축상의 서비스가 생략되므로 투자 비용도 또한 감소된다. 대량 생산 또는 소량 연속 생산으로부터의 기술이 고정된 가격으로 제공될 수 있으므로 투자 비용의 위험이 감소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컨테이너는 20 피트 또는 40 피트의 컨테이너 치수, 또는 다른 표준 컨테이너 치수를 갖는다. 이것은 가용의 수송 수단을 사용하여 컨테이너를 수송하기 위해 유리하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컨테이너는 표준 컨테이너의 특징(예를 들면, 적층성, 수송성, 상호 고박(lashing))을 갖는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컨테이너는 개방 벽 또는 하나 이상의 폐쇄 벽을 구비하는 프레임 구조이다. 이 프레임 구조는 복수의 프레임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을 갖는다. 프레임 구조가 개방된 경우, 프레임 부품은 벽으로 메워지지 않은 개구에 의해 둘러싸인다. 프레임 구조가 폐쇄된 경우, 프레임 부품들 사이의 개구는 벽에 의해 메워지거나 벽에 의해 폐쇄된다. 부분적으로 개방되고, 부분적으로 폐쇄된 프레임 구조를 가진 혼합된 형태도 본 발명의 요소이다. 이 프레임 구조는 직육면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여기서 프레임 부품은 정육면체의 연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설계의 프레임 구조는 중량 및 비용을 감소시킨다. 또한, 이것은 플랜트의 조립, 운전 및 보수점검을 더 용이하게 한다.
대안적으로, 컨테이너는 폐쇄 벽을 구비하는 종래의 표준 컨테이너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컨테이너는 연부가 연결된 벽에 의해 형성된다. 이 벽 및/또는 서로 인접하는 벽들의 연결부는 컨테이너의 모서리 및/또는 연부에서 보강될 수 있다.
컨테이너가 개방 벽을 구비하는 프레임 구조로서 설계된 경우, 프레임 부품이 컨테이너 셸을 형성한다. 컨테이너가 하나 이상의 폐쇄 벽을 구비하는 프레임 구조로서 설계된 경우, 프레임 부품 및 이들을 채우고 있는 벽이 컨테이너 셸을 형성한다. 컨테이너가 연부에서 서로 연결되는 벽으로 이루어지는 박스로서 설계된 경우, 벽이 컨테이너 셸을 형성한다. 제 4 해결책에서, 컨테이너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구조적 요소는 컨테이너 슬리브 셸의 요소이다. 이 장치는 재료의 소편의 추가 장치, 준비 장치, 건조 장치, 압착 장치, 냉각 장치 및 배출 장치 중 하나이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구조적 요소는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벽의 요소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부품이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측벽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부품은 컨테이너의 벽의 요소 및/또는 프레임 부품이다. 예를 들면, 냉각될 과립이 냉각되는 공간의 경계를 형성하는 냉각기의 냉각기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의 측벽은 컨테이너의 벽의 요소이고, 또는 컨테이너의 전체의 벽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건조기의 하우징 또는 열 버퍼 저장 탱크의 적어도 하나의 면은 컨테이너의 벽의 요소이고, 또는 컨테이너의 전체의 벽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이 장치의 복수의 벽은 동시에 컨테이너 또는 그 요소의 벽이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건조 장치는 수평으로 배향된 길이방향 축선을 갖는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 내에 배치되는 벨트 건조기이다. 이것은 컨테이너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을 최적으로 유용한 상태가 되게 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냉각 장치는 수직으로 배향된 길이방향 축선을 갖는 컨테이너 내에 배치된다. 특히 이 냉각 장치가 샤프트 냉각기로서 설계된 경우, 이것은 컨테이너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을 최적으로 유용한 상태가 되게 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다음의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완전히 컨테이너 내에 위치된다. 재료의 추가 장치, 체, 습식 펄프제조기, 버퍼 및 계량 탱크, 건조 장치(예를 들면, 배스(bath) 건조기), 건식 분쇄기, 컨디셔너, 혼합 스크류, 압착 장치, 냉각 장치(예를 들면, 샤프트 냉각기), 열 버퍼 저장 탱크, 저장 장치 또는 배출 장치. 인용된 장치는 단지 하나의 컨테이너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충분히 컴팩트하게 설계될 수 있다. 복수의 이들 장치는 단일의 컨테이너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큰 플랜트는 동시에 운전되는 별개의 컨테이너 내에 각각 수용되는 복수의 동일한 장치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플랜트는 각각 완전히 하나의 컨테이너 내에 배치되는 샤프트 냉각기로서 설계되는 복수의 냉각 장치를 갖는다. 이것은 표준화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매우 높은 처리능력을 구비하는 플랜트의 경우에 유효하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다음의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수평으로 배향된 길이방향 축선을 갖는 컨테이너 내에 배치된다. 추가 장치, 준비 및 압착 장치, 생성물의 배출 장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다음의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수직으로 배향된 길이방향 축선을 갖는 컨테이너 내에 수용된다. 중간 저장 장치, 또는 저장 장치. 인용된 장치는 각각 수평으로 또는 수직으로 배향된 길이방향 축선을 갖는 컨테이너 내에 수용되기에 적합하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샤프트 냉각기는 복수의 파이프 굴곡부를 포함하고, 이 복수의 파이프 굴곡부는 서로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고, 그 수평 파이프 섹션의 거리의 1/2 만큼 높이가 어긋나 있다. 이 파이프 굴곡부는 수직으로 배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료는 파이프 굴곡부에 의해 형성된 샤프트 냉각기의 샤프트를 통과하면서 파이프 굴곡부의 수평 파이프 섹션에 의해 일 방향 및 타 방향으로 교번하여 수평으로 편향된다. 이 샤프트 냉각기는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의 유동가능한 바이오연료를 (특히 분진 및 다량의 배기를 형성하지 않고) 매우 효과적이고 알뜰하게 냉각시키고, 작은 설치면적 및 공간 요건을 갖는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각의 파이프 굴곡부의 수평 파이프 섹션은 수직 바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 수직 바는 파이프 굴곡부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이것은 재료를 균일한 냉각을 위해 유리한 방식으로 안내되도록 하고, 열교환기의 표면을 확대시킨다.
이 파이프 굴곡부는, 예를 들면, 굴곡 파이프로부터 형성되고, 이들 굴곡 파이프 사이에는 바가 삽입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파이프 굴곡부 및 바는 (예를 들면, 딥 드로잉 공정 또는 액압성형 공정에 의해) 성형된 금속 플레이트 및 강판으로 제조되는 공지된 패널 방열기와 유사한 서로 연결된 금속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샤프트 냉각기는 저부에 샤프트 내의 재료의 충전 수준을 조절하기 위해 조절가능한 개구 단면을 가진 배출 플로어를 갖고, 및/또는 샤프트 냉각기는 상부에 다양한 샤프트에 재료를 균일하게 분배하기 위한 공급 장치를 갖는다. 이 샤프트 냉각기는 배출 플로어 및/또는 공급 장치에 의해 매우 효과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열 버퍼 저장 탱크가 사용될 수 있고, 이 열 버퍼 저장 탱크는 냉각 장치의 냉각 매질 유출구로부터 가열된 냉각 매질을 공급받고, 열 버퍼 저장 탱크로부터 냉각된 냉각 매질이 인출되어 냉각 장치의 냉각 매질 유입구로 공급되고, 열 버퍼 저장 탱크로부터 가열된 공급 매질이 인출되어 열 소모부의 가열 매질 유입구로 공급되고, 열 버퍼 저장 탱크에 열 소모부의 가열 매질 유출구로부터 냉각된 공급 매질이 공급된다. 냉각 매질로부터 흡수된 열 에너지를 소모부를 위해 사용함으로써 플랜트의 매우 에너지-효율적인 운전이 달성된다. 열 버퍼 저장 탱크는 열교환기의 열 요건이 변동되는 경우에 효율적인 플랜트의 운전을 촉진시킨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열 버퍼 저장 탱크는 층상의 저장 탱크이고, 이 층상의 저장 탱크는 저부에 냉각된 냉각 매질을 위한 배출구, 상부에 가열된 가열 매질을 위한 유출구, 전술한 2 개의 유출구들 사이의 가열된 냉각 매질을 위한 유입구, 및 가열된 가열 매질을 위한 유출구와 가열된 냉각 매질을 위한 유입구 사이에 냉각된 가열 매질을 위한 유입구를 갖는다. 열 버퍼 저장 탱크는 가열 기술에서 사용되는 탱크와 유사한 종래의 층상의 저장 탱크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냉각 회로와 가열 회로는 층상의 저장 탱크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냉각 매질은 동시에 가열 매질이다. 이 실시형태는 복잡하지 않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열 버퍼 저장 탱크는 열교환기를 구비하는 버터 저장 탱크이고, 열교환기는 냉각기의 가열된 냉각 매질을 위한 냉각 매질 유입구에 연결되는 유입구 및 냉각기의 냉각 매질 유입구에 연결되는 배출구를 갖고, 열 버퍼 저장 탱크는 상부에 열 소모부의 가열 매질 유입구에 연결되는 가열된 가열 매질을 위한 유출구를 갖고, 저부에 열 소모부의 가열 매질 유출구에 연결되는 냉각된 가열 매질을 위한 유입구를 갖는다. 이 설계에서, 냉각 매질 및 가열 매질의 회로는 서로 분리되어 있다. 이것은 냉각기 내에서 강하게 가열된 냉각 매질의 증발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냉각 회로 내에 과압을 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열 소모부는 재료의 작은 부분을 컨디셔닝하기 위한 장치(컨디셔너), 또는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의 다른 열 소모부이다. 열 소모부의 열 요건은 특히 사용되는 출발 재료의 변화로부터, 또는 처리능력의 차이에 기인되어 변동될 수 있다.
다른 유리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냉각 회로 및/또는 가열 회로는 순환 펌프이다. 이 순환 펌프를 조절함으로써, 냉각기 내의 재료의 냉각이나 컨디셔너 내의 재료의 가열이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방화 및 소화 시스템이 사용된다. 방화 시스템은, 예를 들면, 온도 센서, 스파크 검출기 및 스파크 소화기를 갖는다. 이 소화 시스템은, 예를 들면, 질소 저장 및 송풍 시스템을 포함하는 질소 플러딩(flooding) 시스템을 포함한다. 질소는 배출 플로어(슬롯을 가진 플로어)를 통해 하측으로부터 일시적으로 도입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냉각기는 증기 및 잔류 수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장치에 연결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냉각기는 증기 및 잔류 수증기의 배출 장치에 연결되고, 배출 장치 내로 열 회수가 통합된다. 이것은 플랜트의 에너지 효율을 더 향상시킨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컨테이너는 다음의 매질 및 흐름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특별한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고전압 전류, 저전압 전류, 제어 전류, 공급수, 압축 공기, 공기 배기, 냉각제, 열매질, 습윤 원료, 건조 원료, 미세한 재료, 펠릿, 미립자/체로 친 재료. 이 특별한 인터페이스는 플랜트의 컨테이너의 모듈형 조립체, 또는 그것의 상당한 부분을 단순화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컨테이너는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수평으로 배치되거나 수직으로 배치된다. 이것은 상이한 구성요소들 사이의 연결 라인의 복잡성을 감소시키고, 공간 절약형 수용을 촉진시킨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저장 장치는 컨테이너와 별개로 배치되는 신속-설치 사일로 또는 신속-설치 홀(hall)을 갖는다. 신속-설치 사일로 또는 신속-설치 홀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경제적이다. 또한, 컨테이너와 별개의 신속-설치 사일로 또는 신속-설치 홀 내에 재료를 저장하는 것은 화재 및 폭발의 보호의 이유로 유리하다.
이하에서 첨부한 예시적 실시형태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설명한다.
도 1은 플랜트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2는 열 회수의 제 1 변형례의 부분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3은 열 회수의 제 2 변형례의 부분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4는 샤프트 냉각기의 제 1 수직 섹션을 도시하고;
도 5는 샤프트 냉각기의 제 2 수직 섹션을 도시하고;
도 6은 샤프트 냉각기의 파이프 굴곡부의 측면을 도시하고;
도 7은 샤프트 냉각기의 파이프 굴곡부의 정면을 도시하고;
도 8은 샤프트 냉각기의 다른 파이프 굴곡부의 정면을 도시하고;
도 9는 샤프트 냉각기의 개관도(외면도)를 도시하고;
도 10는 샤프트 냉각기의 개관도(내면도)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형태의 개략도이다. 상이한 모듈(800 내지 808)이 점선으로 둘러싸여 있다. 바람직하게, 이들 모듈은 플랜트의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모듈(800, 801, 802, 804, 805 ,807, 808)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모듈(803, 806)은 사일로이다.
톱밥과 같은 원료는 트럭으로 운반되어 원료 수용 유닛(1) 내로 하역된다. 이 원료는 현장에서 품질 또는 특징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고, 예를 들면, 휠 로더(wheel loader)를 사용하여 적절한 혼합물로 플랜트에 공급된다.
플랜트에서, 원료는 체(2)로 분별되고, 큰 획분은 습식 펄프제조기(3) 내에서 눅여지고, 미세한 획분은 버퍼 및 계량 탱크(5)에 추가된다. 습식 펄프제조기(3) 내에서 눅여지고, 체(4)를 통과한 미세한 획분도 또한 버퍼 및 계량 탱크(5)에 추가된다.
다음에 건조기(6)에서 건조되고, 다음에 저장 사일로(7) 내에 중간 저장된다. 다음에 건식 분쇄기(8)로 계량되어 운반되고, 이곳에서 재료는 최적의 입자 크기로 분쇄된다. 다음에 이 재료는 압착되기 위해 컨디셔너(9) 내에서 준비된다. 준비된 원료는 결합제가 공급될 수 있는 혼합 스크류(10)를 통과한 후에 프레스(11)에 유입된다.
프레스(11)에서의 압착 공정 후에 고온의 펠릿은 냉각기(12)에서 냉각되고, 저장을 위해 저장 사일로(13) 내로 도입된다. 냉각 공정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은 열 버퍼 저장 탱크(14)를 통해 컨디셔너(9)에 계량되는 방식으로 공급된다. 저장된 펠릿은 포장 설비(15)에서 작은 포장으로 포장되거나 하역 설비(16)에서 벌크 재료로서 직접 하역된다.
도 2를 참조하여 펠릿의 냉각 및 방출되는 열의 용도를 설명한다.
냉각기(12) 내의 열교환기 표면을 통해 펠릿으로부터의 열은 열매질(물 또는 열 오일)로 전달되고, 열 버퍼 저장 탱크(14)로 수송된다. 열 버퍼 저장 탱크(14)에서, 고온의 열매질은 상방으로 상승되고, 저온의 열매질은 하방으로 가라 앉는다. 열매질로부터의 열 에너지는 필요에 따라 컨디셔너 내에서 준비된 원료를 예열시키고 컨디셔닝시키기 위해 전달된다. 열 버퍼 저장 탱크(14)는 층상의 탱크로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출발 시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전기적 가열봉 또는 다른 외부 히터를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대안적인 열 회수를 설명한다.
냉각기(12) 내의 열교환기 표면을 통해 펠릿으로부터의 열은 열매질(물 또는 열 오일)로 전달되고, 열 버퍼 저장 탱크(14)로 수송된다. 이 공정에서, 열매질(A)은 냉각기(12) 및 버퍼 저장 탱크(14)를 통해 폐회로 내에서 이동되고, 열 버퍼 저장 탱크(14) 및 컨디셔너(9)를 통해 폐회로로부터의 열매질(B)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는다. 요구되는 공급 속도의 적용범위는 순환 펌프(101)에 의해 보장된다.
열매질(A)로서 물을 사용하는 설계 변형례에서, 순환 펌프(101)의 조절은 공급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파이프 시스템 내에서 어떤 수증기의 형성도 방지되도록 구현된다. 다른 설계 변형례는 수증기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약간 과압을 사용하여 작동시킨다. 이 경우, 열교환기 및 라인의 내압 설계가 제공된다.
열 버퍼 저장 탱크(14)에서, 열 에너지는 열 버퍼 저장 탱크의 탱크 내에 위치되는 열매질(B)(물)에 튜브 열교환기(102)에 의해 전달된다. 이 열 에너지는 필요에 따라 컨디셔너 내의 플레이트 열교환기(103)에 의해 준비된 원료를 예열 및 컨디셔닝하기 위해 전달된다. 요구되는 공급 속도는 순환 펌프(104)에 의해 보장된다.
열 버퍼 저장 탱크(14)는 층상의 탱크로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출발 시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외부 히터(예를 들면, 전기적 가열봉)(105)을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열 버퍼 저장 탱크(14) 및 시스템 제어기의 크기는 냉각기(12)로부터의 열이 한번에 확실하게 흡인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샤프트 냉각기(도 9 및 도 10 참조)로서 설계되는 냉각기(12)의 설계 및 기능을 설명한다.
고온 펠릿(약 90-100℃)(110)이 박스-형상의 냉각기 하우징(410)의 커버 벽(412) 내의 충전 개구(100)를 통해 도입되고, 커버 벽의 하측에 배치된 드레그 체인 컨베이어(200)를 이용하여 냉각기 하우징(410)의 4 개의 측벽(411) 내의 평행한 수직 샤프트(300) 상으로 분배된다. 샤프트(300)의 하측의 이동가능한 슬롯을 가진 플로어(350)는 이 샤프트(300)가 충만될 때까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냉각제(450)는 열교환기 본체(400)를 통해 안내되어, 펠릿(11)의 열 에너지를 흡수한다. 펠릿(110)은 샤프트(300) 내로 하방으로 연속적으로 균일하게 슬라이딩되고, 여기서 그 속도는 슬롯을 가진 플로어(350) 내의 간극 크기에 의해 조절된다. 냉각된 펠릿(110)은 슬롯을 가진 플로어(350)를 통과한 후에 배출 깔때기(720)에 의해 배출 스크류(500)에 공급되고, 이곳으로부터 배출된다. 배출 깔때기(720)는 냉각기 하우징(410)의 저부에 인접해 있다. 커버 벽(410) 내의 개구(600)는 고온의 펠릿(110)으로부터 증기 및 잔류 증기를 방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더욱이, 커버 벽(412)에는 점검 플랩(416)이 있다.
도 4 내지 도 8에는 열교환기 본체(400)의 설계가 도시되어 있다.
이 열교환기 본체(400)는 연결된 구불구불한 파이프 시스템으로서 설계된다. 열교환기 본체(400)는 평행한 수평 파이프 섹션(401)을 갖고, 이것은 그 양단부에서 파이프 굴곡부(403)를 형성하는 파이프 엘보(402)에 의해 연결된다. 더욱이, 열교환기 본체는 인접하는 수평 파이프 섹션(401)들 사이에 수직 바(404)를 갖는다.
2 개의 그룹(405, 406)의 열교환기 본체(400)가 설치되고, 여기서 상이한 그룹(405, 406)의 열교환기 본체(400)의 수평 파이프 섹션(401)은 열교환기 본체(400)의 2 개의 인접하는 수평 파이프 섹션(401)들 사이의 거리(D)의 1/2 만큼 서로로부터 어긋난다. 이것은 샤프트(300) 내에서 펠릿(110)의 횡방향 이동 및 접촉면의 확대를 유발한다. 동시에, 샤프트(300) 내에서 냉각의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펠릿(110)의 비례 순환이 존재한다.
각각의 파이프 굴곡부(403)는 저부에서는 저부 매니폴드(440)에서, 그리고 상부에서는 상부 매니폴드(441)에서 끝난다. 저부 매니폴드(440)는 냉각 매질 유입구의 역할을 하는 냉각기(12)의 측벽(411) 내의 저부 개구(442)를 갖는다. 상부 매니폴드(441)는 냉각 매질 유출구의 역할을 하는 냉각기(12)의 측벽(411) 내의 상단부에 상부 개구(443)를 갖는다. 냉각제(450)는 저부 개구(442)를 통해 냉각기(12) 내로 유입되고, 이곳으로부터 상부 개구(443)를 통해 배출된다.
이 플랜트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수평으로 또는 수직으로 배향된 컨테이너 내에 완전히 수용된다.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는 플랜트(도 1 참조)의 모듈(800 내지 808)을 형성한다.
도 9 및 도 10은 완전한 샤프트 냉각기(712)를 수용하는 수직으로 배향된 컨테이너(700)를 도시한다. 냉각기 하우징(410)의 측벽(411) 및 커버 벽(412)은 동시에 컨테이너(700)의 외벽이다. 이 측벽(411)은 컨테이너(700)의 저단부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테이너(700)는 저부에 저벽(413)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컨테이너(700)는 프레임(414)을 갖고, 측벽(411), 커버 벽(412) 및 플로어 벽(413)은 프레임(414)의 프레임 부품(415)들 사이의 측면 상의 개구(417) 내에 유지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된 프레임을 형성한다. 냉각기 하우징(410)과 컨테이너(700)의 벽(411, 412) 및 프레임 부품(415)의 일체적 설계에 기인되어 컨테이너(700)의 지지용 구조 요소는 동시에 냉각기(12)의 요소이고, 이것은 재료 및 중량을 절감시킨다.
도 4, 도 9 및 도 10에 따르면, 제어 캐비넷(730, 740)은 냉각된 펠릿을 배출 스크류(500)로 공급하는 배출 깔때기(720)의 양측 상의 컨테이너(700) 내의 공간 내에 배치된다. 에너지 및 데이터를 위한 인터페이스(750)는 제어 캐비넷(730, 740) 상에 위치된다. 그 위치에서 컨테이너(700)의 벽은 점검 플랩 또는 점검 개구(731, 741)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원료 수용 유닛
2: 체
3: 습식 펄프제조기
4: 체
5: 버퍼 및 계량 탱크
6: 건조기
7: 저장 사일로
8: 건식 분쇄기
9: 컨디셔너
10: 혼합 스크류
11: 프레스
12: 냉각기
13: 저장 사일로
14: 열 버퍼 저장 탱크
15: 포장 시스템
16: 하역 설비
100: 충전 개구
101: 순환 펌프
102: 파이프 열교환기
103: 플레이트 열교환기
104: 순환 펌프
105: 외부 히터
110: 펠릿
200: 드레그 체인 컨베이어
300: 샤프트
350: 슬롯을 가진 플로어
400: 열교환기 본체
401: 수평 파이프 섹션
402: 파이프 엘보
403: 파이프 굴곡부(meander)
404: 수직 바
405: 그룹
406: 그룹
410: 냉각기 하우징
411: 측벽
412: 커버 벽
413: 플로어 벽
414: 프레임
415: 프레임 부품
416: 점검 플랩
417: 개구
440: 저부 매니폴드
441: 상부 매니폴드
442: 저부 개구
443: 상부 개구
450: 냉각제
500: 배출 스크류
600: 개구
700: 컨테이너
712: 샤프트 냉각기
720: 배출 깔때기
730: 제어 캐비넷
731: 점검 개구
740: 제어 캐비넷
741: 점검 개구
750: 에너지 및 데이터를 위한 인터페이스
800-808: 모듈

Claims (23)

  1. 유기질 및/또는 식물성 재료의 소편으로부터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로서, 상기 플랜트의 적어도 주요 부품을 위한 모듈처럼 조립될 수 있는 개별의 수송가능한 컨테이너(700)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상기 재료의 추가 장치(1), 준비 장치(2 내지 4), 건조 장치(6), 압착 장치(11), 냉각 장치(12) 및 배출 장치(16)를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냉각 장치(12)는, 샤프트 냉각기(712)로서 설계된 경우에, 완전히 상기 컨테이너(700) 내에 배치되는,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
  2. 유기질 및/또는 식물성 재료의 소편으로부터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로서, 상기 플랜트의 적어도 주요 부품을 위한 모듈처럼 조립될 수 있는 개별의 수송가능한 컨테이너(700)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상기 재료의 추가 장치(1), 준비 장치(2 내지 4), 건조 장치(6), 압착 장치(11), 냉각 장치(12) 및 배출 장치(16)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트는 열 버퍼 저장 탱크(14)를 포함하고, 상기 열 버퍼 저장 탱크(14)는 상기 냉각 장치(12)의 냉각 매질 유출구로부터 가열된 냉각 매질을 공급받고, 상기 열 버퍼 저장 탱크(14)로부터 냉각된 냉각 매질은 제거되어 상기 냉각 장치(12)의 냉각 매질 유입구로 공급되고, 상기 열 버퍼 저장 탱크(14)로부터 가열된 가열 매질은 제거되어 열 소모부(9)의 가열 매질 유입구로 공급되고, 상기 열 버퍼 저장 탱크(14)는 상기 열 소모부(9)의 가열 매질 유출구로부터 냉각된 가열 매질을 공급받는,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
  3. 유기질 및/또는 식물성 재료의 소편으로부터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로서, 상기 플랜트의 적어도 일 부품을 위한 모듈처럼 조립될 수 있는 개별의 수송가능한 컨테이너(700)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상기 재료의 추가 장치(1), 준비 장치(2 내지 4), 건조 장치(6), 압착 장치(11), 냉각 장치(12) 및 배출 장치(16)를 포함하고, 상기 추가 장치(1), 준비 장치(2 내지 4), 건조 장치(6), 압착 장치(11), 냉각 장치(12) 및 배출 장치(16) 중 적어도 하나는 수직으로 배향된 길이방향 축선을 가진 컨테이너 내에 배치되는,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
  4. 유기질 및/또는 식물성 재료의 소편으로부터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로서, 상기 플랜트의 적어도 주요 부품을 위한 모듈처럼 조립될 수 있는 개별의 수송가능한 컨테이너(700)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상기 재료의 추가 장치(1), 준비 장치(2 내지 4), 건조 장치(6), 압착 장치(11), 냉각 장치(12) 및 배출 장치(16)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셸(shell)을 갖고, 상기 추가 장치(1), 준비 장치(2 내지 4), 건조 장치(6), 압착 장치(11), 냉각 장치(12) 및 배출 장치(16) 중 하나의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구조적 요소(41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컨테이너 셸의 요소인,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의 임의의 조합에 따른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700)는 20-피트 또는 40-피트의 컨테이너 치수, 또는 다른 표준 컨테이너 치수를 갖는,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700)는 복수의 프레임 부품(415)을 구비하는 프레임(414)을 갖고, 상기 프레임 부품(415)들 사이의 개구(417)는 벽(711)에 의해 메워지지 않고, 및/또는 상기 프레임 부품(415)들 사이의 개구(417)는 벽에 의해 메워져 있는,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
  8. 제 4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2)의 하나 이상의 구조적 요소는 상기 컨테이너(706)의 프레임(414)의 하나 이상 프레임 부품(415) 및/또는 하나 이상의 벽의 요소인,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2)의 하나 이상의 측벽(411)은 상기 컨테이너(700)의 벽의 요소인,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장치(6)는 수평으로 배향된 길이방향 축선을 가진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 내에 배치되는 벨트 건조기이고, 및/또는 상기 냉각 장치(12)는 수직으로 배향된 길이방향 축선을 가진 컨테이너(700) 내에 배치되는,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장치(1), 체(2, 4), 습식 펄프제조기(3), 버퍼 및 계량 탱크(5), 상기 건조 장치(6), 건식 분쇄기(8), 컨디셔너(9), 혼합 스크류(10), 상기 압착 장치(11), 상기 냉각 장치(12), 열 버퍼 저장 탱크(14), 저장 장치(13) 또는 재료 추가 장치(16)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컨테이너(700) 내에 완전히 수용되는,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장치(1), 상기 준비 장치(2, 3, 4), 상기 건조 장치(6), 상기 압착 장치(11), 상기 배출 장치(16) 중 하나 이상은 수평으로 배향된 길이방향 축선을 가진 컨테이너 내에 배치되고, 및/또는 중간 저장 장치(3), 상기 냉각 장치(12) 또는 상기 저장 장치(13) 중 하나 이상은 수직으로 배향된 길이방향 축선을 가진 컨테이너(700) 내에 위치되는,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냉각기(712)는 서로로부터 거리를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파이프 굴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료가 파이프 굴곡부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샤프트 냉각기(712)의 샤프트(300)를 통과하는 중에 상기 파이프 굴곡부(403)의 상기 수평 파이프 섹션(401)에 의해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교번하여 수평으로 편향되도록 상기 복수의 파이프 굴곡부는 상기 수평 파이프 섹션(401)의 거리의 1/2 만큼 높이가 어긋나는,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
  14. 제 13 항에 있어서,
    각각의 파이프 굴곡부의 상기 수평 파이프 섹션(401)은 수직 바(404)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냉각기(712)는 저부에 상기 샤프트(300) 내의 재료의 충전 수준을 조절하기 위해 조절가능한 개구 단면을 가진 배출 플로어(350)를 갖고, 및/또는 상기 샤프트 냉각기는 상부에 다양한 샤프트(300)에 재료를 균일하게 분배하기 위한 공급 장치(200)를 갖는,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
  16. 제 2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 버퍼 저장 탱크(14)는 층상의 저장 탱크이고, 상기 층상의 저장 탱크는 저부에 냉각된 냉각 매질을 위한 배출구, 상부에 가열된 가열 매질을 위한 유출구, 상부에 가열된 냉각 매질을 위한 유입구, 저부에 냉각된 가열 매질을 위한 유입구를 갖는,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열 버퍼 저장 탱크(14)는 열교환기(102)를 구비하는 층상의 저장 탱크이고, 상기 열교환기(102)는 상기 냉각기(12)의 가열된 냉각 매질을 위한 냉각 매질 유입구에 연결되는 유입구 및 냉각된 냉각 매질을 위한 유입구에 연결되는 배출구를 갖고, 상기 열 버퍼 저장 탱크(14)는 상부에 상기 열 소모부(9)의 가열 매질 유입구에 연결되는 가열된 가열 매질을 위한 유출구를 갖고, 저부에 상기 열 소모부(9)의 가열 매질 유출구에 연결되는 냉각된 가열 매질을 위한 유입구를 갖는,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소모부는 상기 재료의 소편의 컨디셔닝 장치(9) 또는 상기 플랜트의 다른 열 소모부인,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기(12)는 증기 및 잔류 수증기의 배출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 장치 내로 열 회수가 통합되는,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트는 복수의 건조 장치(6)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건조 장치(6)는 각각 완전히 상기 컨테이너(700) 내에 배치되고, 및/또는 완전히 상기 컨테이너(700) 내에 배치되는 샤프트 냉각기(712)로서 설계되는 복수의 냉각 장치(12)를 갖는,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700)는 고전압 전류, 저전압 전류, 제어 전류, 공급수, 압축 공기, 공기 배기, 냉각제, 열매질, 습윤 원료, 건조 원료, 톱밥, 펠릿 및 미립자 중 하나 이상의 매질 및 흐름을 위한 특별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수평의 집단으로 및/또는 수직의 집단으로 배치되는,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트는 상기 컨테이너(700)로부터 분리되어 배치되는 신속-설치 사일로 또는 신속-설치 홀(hall)을 갖도록 설계되는 하나 이상의 저장 장치(3, 7, 13)를 갖는,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
KR1020167016982A 2013-11-27 2014-11-26 유기/식물 재료의 소편으로부터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 KR201600913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224204.2A DE102013224204A1 (de) 2013-11-27 2013-11-27 Anlage zur Herstellung von Holzpellets oder anderen festen Granulaten aus kleinstückigem Material organischen/pflanzlichen Ursprungs
DE102013224204.2 2013-11-27
PCT/EP2014/075692 WO2015078925A2 (de) 2013-11-27 2014-11-26 Anlage zur herstellung von holzpellets oder anderen festen granulaten aus kleinstückigem material organischen/pflanzlichen ursprung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383A true KR20160091383A (ko) 2016-08-02

Family

ID=52003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6982A KR20160091383A (ko) 2013-11-27 2014-11-26 유기/식물 재료의 소편으로부터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9688932B2 (ko)
EP (1) EP3074118B1 (ko)
JP (1) JP6479802B2 (ko)
KR (1) KR20160091383A (ko)
CN (1) CN106102892B (ko)
AU (1) AU2014356525B2 (ko)
CA (1) CA2931003A1 (ko)
DE (1) DE102013224204A1 (ko)
DK (1) DK3074118T3 (ko)
EA (1) EA033763B1 (ko)
ES (1) ES2749155T3 (ko)
MX (1) MX2016006912A (ko)
PE (1) PE20160957A1 (ko)
PL (1) PL3074118T3 (ko)
WO (1) WO201507892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1019A1 (de) 2015-07-02 2017-01-05 Ceneco Ug Haftungsbeschränkt Verfahren und anlage zum aufbereiten und trocknen von festen kleinstückigen materialien
KR200483363Y1 (ko) * 2016-03-17 2017-05-08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발전용 우드 펠릿 성형 공급장치
CN108126629A (zh) * 2017-11-09 2018-06-08 溧阳日进农牧装备有限公司 一种用于农林牧废弃物的制粒装置
FR3076286A1 (fr) * 2017-12-28 2019-07-05 Green Research Installation de production de granules
CN109745740A (zh) * 2019-01-10 2019-05-14 广东金松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式环保清淤系统
JP6539421B1 (ja) * 2019-01-23 2019-07-03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ペレット状木質バイオマス燃料の受発注システム
JP6578077B1 (ja) * 2019-02-13 2019-09-18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パーム椰子殻を含むバイオマス燃料の物流方法、及びパーム椰子殻を含むバイオマス燃料の物流基地
DE102019131263B4 (de) * 2019-11-19 2023-03-02 T&B electronic GmbH Detektionseinrichtung mit Sprühwasserlöschanlage
CN111890512A (zh) * 2020-08-05 2020-11-06 王宇豪 一种环保型刨花板辊压成型工艺
RU2771393C1 (ru) * 2021-08-03 2022-05-0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еверный (Арктиче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М. В. Ломоносова»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олучения брикетированного нефтесорбента
CN114909898A (zh) * 2022-05-31 2022-08-16 启东市芯成新材料科技有限公司 乳胶粉干燥塔余热回收装置
CN115106017B (zh) * 2022-07-12 2023-12-29 江西康恩贝中药有限公司 一种草本植物固体颗粒成型装置
CN115289830B (zh) * 2022-08-17 2023-08-01 吉林农业大学 一种玉米粉真空冷冻干燥机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2520U (zh) * 1989-04-18 1990-02-07 黑龙江省农垦科学院红兴隆科研所 一种组合式多用谷物干燥机
ATE95147T1 (de) * 1990-06-08 1993-10-15 Ciba Geigy Ag Vorrichtung zur nassoxidation.
US6256902B1 (en) * 1998-11-03 2001-07-10 John R. Flaherty Apparatus and method for desiccating and deagglomerating wet, particulate materials
DE20119451U1 (de) * 2000-12-19 2002-05-02 Walter Heilit Verkehrswegebau Betonmischanlage mit Containern
CN1312260C (zh) * 2004-11-30 2007-04-25 中南林学院 一种环保木质颗粒燃料及其生产方法
EP1849851B1 (de) 2006-04-24 2016-04-13 Teccon Engineering GmbH Pellettieranlage
DE102006061340B3 (de) 2006-12-22 2008-05-08 Gausling, Ludger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Herstellen von Holzpellets sowie Einrichtung zum Trocknen
JP3151435U (ja) * 2009-02-12 2009-06-25 株式会社アイ電子工業 移動式ペレット造粒プラント
JP2011084713A (ja) * 2009-10-16 2011-04-28 Sk Forest Co Ltd 木質ペレット製造方法
EP2330371A1 (en) 2009-12-07 2011-06-08 P System S.r.l. System for drying bioma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074118T4 (pl) 2020-03-31
WO2015078925A2 (de) 2015-06-04
US20160298045A1 (en) 2016-10-13
CA2931003A1 (en) 2015-06-04
AU2014356525B2 (en) 2018-07-26
DK3074118T3 (da) 2019-10-14
MX2016006912A (es) 2016-10-28
AU2014356525A8 (en) 2016-07-07
JP2017501050A (ja) 2017-01-12
CN106102892A (zh) 2016-11-09
AU2014356525A1 (en) 2016-06-30
US9688932B2 (en) 2017-06-27
EA201691037A1 (ru) 2016-11-30
EA033763B1 (ru) 2019-11-22
DE102013224204A1 (de) 2015-05-28
EP3074118A2 (de) 2016-10-05
EP3074118B1 (de) 2019-07-03
WO2015078925A3 (de) 2015-12-10
CN106102892B (zh) 2019-12-17
ES2749155T3 (es) 2020-03-19
PE20160957A1 (es) 2016-09-28
PL3074118T3 (pl) 2020-03-31
JP6479802B2 (ja)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1383A (ko) 유기/식물 재료의 소편으로부터 목재 펠릿 또는 기타 고체 과립을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
CN1312260C (zh) 一种环保木质颗粒燃料及其生产方法
CN106390904B (zh) 一种可粉碎筛料的一体化反应装置
CN203058230U (zh) 葡萄干自动化精加工生产线
NO20160293A1 (en) System and process for drying loose bulk material
JP2010100813A (ja) バイオコークス製造装置
EP1849851B1 (de) Pellettieranlage
CN209230245U (zh) 一种流动层造粒干燥器
CN103934919A (zh) 一种空中热切粒设备
US20180187973A1 (en) Process and Plant for Processing and Drying of Solid Materials in Small Pieces
CN201177446Y (zh) 组合式谷物干燥机
EP3648621B1 (en) Feed and food production system
CN112728919A (zh) 一种可调节的烘干装置
CN208852856U (zh) 一种有机肥挤压造粒机
CN208994466U (zh) 一种物料防碎装置
CN209027190U (zh) 一种集干燥冷却一体化的流化床造粒设备
CN215709512U (zh) 一种连续式中药自动炒制系统
CN206570183U (zh) 干化污泥的组合装置
EP2315496B1 (en) Apparatus for continuous drying of bulk materials
CN116710199A (zh) 包括冷却元件的漏斗
AT503111B1 (de) Pellettieranlage
CN106376872A (zh) 手动调味式恒温式分选干燥机
WO2014106864A2 (en) Pellet feed manufacturing plant
PL219023B1 (pl) Układ suszenia zużytej wyściółki z hodowli pochodzenia zwierzęcego oraz biomasy
IE20190136A1 (en)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