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4369A - 신생아 운반에 적합한 폴더블 유모차 - Google Patents

신생아 운반에 적합한 폴더블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4369A
KR20160084369A KR1020167009442A KR20167009442A KR20160084369A KR 20160084369 A KR20160084369 A KR 20160084369A KR 1020167009442 A KR1020167009442 A KR 1020167009442A KR 20167009442 A KR20167009442 A KR 20167009442A KR 20160084369 A KR20160084369 A KR 20160084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ller
baby carriage
backrest
folding
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9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9841B1 (ko
Inventor
길레스 헨리
진-미첼 차우델지
Original Assignee
베이비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비젠 filed Critical 베이비젠
Publication of KR20160084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B62B9/142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by flexible canopies, covers or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Abstract

신생아 운반에 적합한 폴더블 유모차
펼친 위치와 접힌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유모차는, 특히 두 개의 핸들 직립부(1,1')들, 전방 다리(3, 3')들, 후방 다리(5, 5')들, 시트 서포트(7, 7')들, 백레스트(2), 및 유모차를 평평하게 접기 위한 힌지(31-35, 41-47)들을 구비한 구조물을 포함한다. 유모차는 또한 직물 베이스(16), 직물 베이스(16)의 전방부(16a)를 긴장시키기 위한 텐셔너(18, 18')들, 적어도 하나의 주 휘어짐부(20)를 구비한 커버(19), 텐션너들에 근접한 직물 베이스(16)의 전방 부분(16a)의 예컨대 하나의 고정점에 주 휘어짐부(20)의 각 측면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 부재(23, 23')를 포함한다. 펼친 위치에서, 백레스트(2)는 유모차의 후방을 향하는 누운 위치에 적어도 신생아를 유지할수 있도록 서포트(7, 7')에 접촉 유지된다. 펼친 위치에서, 텐셔너(18, 18')들은 긴장되고 상기 직물 베이스(16)와 상기 보호 커버(19)의 전방부(16a)를 펼칠 수 있도록 동작한다. 접을 때, 상기 핸들 직립부(1, 1')의 전방 선회가 상기 텐셔버(18, 18')들을 이완시켜, 상기 직물 베이스(16)와 상기 보호 커버(19)의 전방부(16a)를 접히게 한다.

Description

신생아 운반에 적합한 폴더블 유모차{FOLDABLE STROLLER THAT CAN BE ADAPTED FOR TRANSPORTING NEW-BORNS}
본 발명은 태어나면서부터 바로 사용할 수 있으며, 펼처지거나, 전개된 위치와 접힌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폴더블 유모차에 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는 많은 형태의 폴더블(foldable) 유모차들이 있다. 특히, 우리는 평평하게-접는(flat-folding) 유모차들의 카테고리를 구별하는 데, 여기서는 구조물이 접히도록 하는 모든 힌지들이 유모차의 이동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향하는 평행인 회전 축들을 가진다.
미국 특허 5087066은 펼친 위치(unfolded position)에서 접힌 위치로 그리고 역으로 전환하는 것이 간단한 평평하게-접는 유모차의 예를 개시한다.
도 1은 유모차가 펼친 위치에 도시된 제1 형태의 접음에 따라 평평하게-접는 유모차의 예의 도식적인(diagrammatical) 측면도를 도시한다.
유모차 구조물은 핸들 직립부(1, 1'), 경사가능한 백레스트(2), 회전 수단(4, 4')으로 고정된 후방 다리(5, 5'), 시트 서포트(7, 7'), 핸들 직립부(1, 1')의 연장부에 장착된 핸들(8)을 포함하는 많은 부재들을 포함한다. 도 1의 측면도에는 부재(1, 3, 4, 6, 7)들이 보이지 않는다. 또한 유모차 구조물은 많은 힌지(31, 32, 33, 34, 35)들을 포함하는 데, 그의 회전축은 도면에 수직이므로, 유모차가 접힐 수 있다. 마지막으로, 구조물은 생태공학 및 신생아의 편안함을 위해 직물 부재, 특히 직물 베이스(10)로 고정된다. 경사가능한 백레스트(2)는 힌지(13)에 의하여 유모차 구조물 위에 선회하도록 장착되며, 힌지의 회전 축은 유모차를 접기 위한 힌지(31, 32, 33, 34, 35, 36)들에 평행이다.
이와 같은 유모차는, 유모차의 이동 방향으로 전방을 향하는 앉혀진 또는 경사 위치에서, 신생아를 운반하기에 적합하다.
특허출원 FR 293336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또 다른 형태의 유모차를 개시하는 데, 이는 접힌 위치에서 특히 컴팩하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실제로 이 공보는 접을 수 있는 유모차를 설명하며, 접힌 위치에서 백레스트의 상부 에지는 후방 다리의 하단부와 전방 다리의 상단부 위에 놓이게 된다. 이와 같이, 백레스트, 전방 다리 및 후방 다리의 실질적으로 유사한 길이를 가지는 3개는 접힌 위치에서 중첩된다. 따라서, 접힌 위치에서의 그러한 유모차의 최대 크기는 백레스트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같다.
도 2A 내지 2C는 도식적인 측면도로서 제2의 접힌 형태에 따른 평평하게-접은 유모차의 예를 도시하는 데, 유모차들은 각각 펼친 위치(도 2A), 반-접힘 위치(도 2B), 및 접힌 위치(도 2C)에 도시된다.
유모차 구조물은 핸들 직립부(1, 1'), 경사가능한 백레스트(2), 전방 다리(3, 3'), 후방 다리(5, 5'), 시트 서포트(7, 7') 및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핸들(8), 백레스트 연결봉(51, 51'), 전방 다리 연결봉(61, 61') 및 다수의 힌지(41, 42, 43, 44, 45, 46, 47)들을 포함하며, 힌지 회전축은 도면에 수직이므로, 유모차가 평평하게 접힐 수 있다. 전방 다리(3, 3')의 상단부는 힌지(41) 위에서 선회 장착되며, 그 축은 시트 서포트(7, 7')들 사이에 형성된 시트의 전방 에지(9)에 대응한다. 후방 다리(5, 5')의 상단부는 핸들 직립부(1, 1')의 하부 위에 위치된 힌지(44) 위에 선회 장착된다. 백레스트 연결봉(51)은 먼저 힌지(41) 위에 이어서 핸들 직립부(1, 1')의 중간 지점 위에 위치된 힌지(43) 위에 선회 장착된다. 전방 다리 연결봉(61)은 먼저 전방 다리(3, 3')의 중간 지점에 위치된 힌지(42)에 다음에 핸들 직립부(1, 1')의 하단부에 위치된 힌지(46) 위에 선회 장착된다. 핸들(8)은 힌지(47) 둘레로 핸들 직립부(1, 1')위에 선회 장착된다.
측면도에서, 힌지(41, 43, 44, 45)들에 의하여 형성된 형상은 유모차 구조물의 중심부에 위치된 변형가능한 사변형(50)이다. 펼친 위치에서(도 2A), 이 사변형(50)은 화살촉 형상을 가진다. 유모차가 접힐 때(도 2B와 2C), 이 사변형(50)은 힌지(41)로부터 멀리 있는 힌지(44)의 상대 운동에 의하여 변형된다.
또한, 힌지(41, 43, 46, 42)들에 의하여 형성된 형상은 변형가능한 유사-평행사변형(60)이다. 유사-평행사변형(60)은 유모차의 동일한 구조 부재, 즉, 핸들 직립부(1, 1') 위에 힌지(43, 44)들이 고정되는 한 사변형(50)에 의존한다. 이와 같이, 위에 설명된 사변형(50)의 변형은 유사-평행사변형(60)의 동시적인 변형을 발생한다.
펼친 위치에서 접힌 위치로 유모차가 이동할 때, 이와 같이 설명된 구조물의 결과, 후방 다리(5, 5')의 하단부의 전방으로 선회하고, 전방 다리(4, 4')의 하단부가 후방으로 선회하며, 시트 서포트(7, 7')에 대해 핸들 직립부(1, 1')가 접히므로 핸들 직립부(1, 1')의 상부 에지들은 시트 서포트(7, 7')의 전방 단부(9), 및 전방 다리(3, 3')의 상단부를 향하게 되어, 특히 밀착된(compact) 접힘을 발생할 수 있다.
직물 베이스(10)는 핸들 직립부(1, 1')를 시트 서포트(7, 7')들 사이에 형성된 시트의 전방 에지(9)에 연결하는 텐셔너(12, 12')들에 의하여 유모차 구조물에 고정된다(도 2A 내지 2C에서 요소(12')는 도시 안됨). 이들 텐셔너(12, 12')들에 의하여 직물 베이스(10)의 측면들이 전개될 수 있으며, 유모차에 앉혀진 신생아의 효과적인 측면 보호를 형성할 수 있다. 유모차를 접을 때(도 2B), 핸들 직립부(1)의 상단부는 시트의 전방 에지(9)로 근접하여 이동한다. 유모차가 완전히 접힐 때(도 2C), 백레스트(2)의 상부 부분 - 따라서 백레스트의 상부 에지(2) - 는 접힌 위치에서 시트의 전방 에지(9)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폴더블 유모차는 그의 최대 크기가 핸들 직립부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같으므로 컴팩트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유모차는 신생아의 운반에 충분히 만족스럽지 못하다. 실제로 유모차는 전방을 향하는 신생아(newborn infant)를 운반하기 위하여 고안된다. 6개월 미만의 신생아의 경우, 가장 좋은 운반 위치는 평평하게 눕히거나 매우 경사진 위치에서 유모차를 미는 부모를 향하는 것임이 일반적으로 동의되었다.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기술에서는 새로 태어난 신생아를 운반할 수 있도록 유모차를 보충하는, 유모차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폴더블 신생아 침대(crib)들이 있다. 특허 출원 DE 1974890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폴더블 신생아 침대의 예를 도시한다. 그러나, 그러한 장치는 설명된 형태의 유모차의 경우, 충분히 만족스럽지 못한 데, 접기 전에 그러한 장치가 제거되어야 하거나, 또는 밀착해서 접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모차와 같이 동시에 접혀져야 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태양의 영향으로부터 신생아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보호 커버를 구비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호 커버가 구비되고 펼친 위치와 접힌 위치 사이에서 용이하게 이동가능한, 탄생시부터 사용할 수 있는 평평하게-접는 유모차를 제공함으로써 이들 결점들을 해소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펼친 위치와 접힌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평평하게-접을 수 있는 신생아의 유모차로서:
- 두 개의 핸들 직립부, 적어도 하나의 전방 다리, 적어도 하나의 후방 다리, 시트 서포트, 백레스트, 및 유모차를 평평하게 접기 위한 힌지들을 포함하는 구조물;
- 직물 베이스;
- 각각 핸들 직립부의 상단부를 유모차의 전방에 위치된 구조 부재에 연결하고 직물 베이스의 전방부를 긴장시키기 위한 텐셔너들;
- 적어도 하나의 주 휘어짐부(main bow)를 구비한 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 상기 보호 커버는 또한 상기 주 휘어짐부의 각 측면을 각 텐션너들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점 또는 직물 베이스의 전방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점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 펼친 위치에서, 상기 백레스트는 유모차의 후방을 향하는 누운 위치에 적어도 신생아를 유지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백레스트는 또한 고정 시스템에 의하여 시트 서포트에 접촉 유지되며;
- 펼친 위치에서, 상기 텐셔너들은 긴장되고 상기 직물 베이스와 상기 보호 커버의 전방부를 펼칠 수 있도록 하며;
- 접을 때, 상기 핸들 직립부의 전방 선회가 상기 텐셔너들을 이완시켜, 상기 직물 베이스와 상기 보호 커버의 전방부가 접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설명된 유모차는 부모를 향하는 신생아 운반에 적합한 평평하게-접히는 유모차로서, 또한 유모차가 펼처질 때 자동으로 긴장되고 전개되는 신생아용 보호 커버를 가진다.
변형예에 따르면, 보호 커버의 주 휘어짐부는 유모차의 이동 방향에 수직인 축을 가진 힌지에 의하여 구조 부재 위에 장착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유모차가 펼친 때 커버의 우수한 팽창력이 보장된다.
변형예에 따르면, 보호 커버용 고정 부재들은 분리가능하고 텐셔너들 또는 직물 베이스의 다른 위치들에 임의적으로 다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모차가 펼처질 때, 보호 커버는 접기 전에 유지된 위치로 전개된다.
변형예에 따르면, 보호 커버의 전방 부분은 백레스트의 상부 부분에 고정 유지되므로, 유모차가 펼친 때 보호 커버의 우수한 팽창을 보장하도록 돕는다.
변형예에 따르면, 텐셔너들은 신생아를 측면에서 더욱 잘 보호하도록 각각 핸들 직립부의 상단부를 백레스트의 상부 부분에 연결한다.
변형예에 따르면, 백레스트는 유모차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인 축을 가진 힌지에 의하여 구조 부재 위에 선회 장착된다. 이로써 백레스트 위치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접을 수 있다.
변형예에 따르면, 백레스트는 유모차의 펼친 위치에서 유모차의 후방을 향하는 누운 위치에 신생아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제1 위치로부터 유모차의 전방을 향하는 앉은 위치에 신생아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가역적이다. 이러한 특히 효과적인 구조에 의하여, 부모를 향하는 신생아의 운반에 적합한 유모차와 전방을 향하는 신생아의 운반에 적합한 다른 유모차의 두 가지 유모차에 대해 하나의 동일한 구조물이 유지될 수 있다.
변형예에 따르면, 직물 베이스의 후방 부분은 신생아를 지지하도록 단단한 판으로 고정된다.
변형예에 따르면, 신생아는 또한 단단하거나 또는 반-강성인 등판을 포함하며, 유모차에서 신생아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직물 베이스의 뒤에서 등판의 후방 단부가 선회 장착된다.
변형예에 따르면, 유모차는 도 2A 내지 2C에 의하여 설명된 방식으로 접히며, 펼친 위치로부터 접힌 위치로 유모차가 이동할 때, 힌지들에 의하여 후방 다리의 하단부들이 전방으로 선회할 수 있으며, 전방 다리들의 하단부들이 후방으로 선회할 수 있으며, 시트 서포트에 대해 핸들 직립부들이 접혀질 수 있으며, 핸들 직립부의 상부 에지들은 시트 서포트의 전방 단부 및 전방 다리들의 상단부들을 향하게 된다. 이러한 형태의 접힘은 직물 베이스와 커버에도 불구하고 접힌 위치의 매우 밀착된 유모차에 특히 효과적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보호 커버의 주 휘어짐부는 유모차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인 축을 가진 힌지에 의하여 유모차의 각 측면 위에서 후방 다리의 상단부 위에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주 휘어짐부의 힌지축은 핸들 직립부 위의 후방 다리의 힌지에 관련해서 오프셋된다. 유모차를 접을 때, 이러한 특수한 구조에 의하여 주 휘어짐부의 힌지는 시트 서포트들 사이에 형성된 시트의 에지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유모차의 구조물에 대해 힌지는 최소 공간을 차지한다.
유사하게, 백레스트는 바람직하게 유모차의 이동 방향에 수직인 축을 가지는 힌지에 의하여 핸들 직립부의 하단부에 선회하도록 장착되므로 접을 때, 백레스트의 힌지는 시트 에지로부터 멀리 이동할 수 있으므로 백레스트는 유모차의 구조물에 대해 최소 공간을 점유한다.
기재 없음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 동안 명확해질 것이며, 여기서:
도 1은 펼친 위치(이미 설명된)에서 제1 형태의 접음을 이용한 종래기술에 따른 유모차의 예의 도식적인 측면도이며;
도 2A 내지 2C는 각각 펼친, 반-접힌 그리고 접힌 위치(이미 설명된)들에서 제2 형태의 접음을 이용하는 종래기술에 따른 유모차의 예의 도식적인 측면도들이며;
도 3A 내지 3B는 각각 펼친 위치와 반-접힌 위치들에서 제1 형태의 접음을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예의 도식적인 측면도이며;
4A 및 4B는 각각 펼친 위치와 반-접힌 위치들에서 제2 형태의 접음을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의 예의 도식적인 측면도이며;
도 5A와 5B는 각각 직물 부재가 없는 예와 직물 부재가 있는 예의 제2의 접힘 형태를 이용한 도 4A 및 4B 도시의 유모차의 예의 사시도들이며;
도 6은 제2 형태의 접음을 이용한 유모차 구조물 위에 보호 커버의 고정 시스템의 실시예의 유형의 세부를 도시하며;
도 7A와 7B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의 길이방향 단면의 도식적인 측면도들이다.
도면들에서, 동일한 부재들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본 출원에서 “힌지(hinge)", 또는 ”힌지 시스템(hinge system)"은 두 부분들 사이에서 선회 자유를 허용하는 특정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유모차의 “전방”및 “후방”은 정상 이동 방향으로 정의된다.
도 3A와 3B는 각각 펼친 위치와 반-접음 위치에서 도 1에 설명된 바와 같은 제1 형태의 접음을 이용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백레스트(2)는 시트 서포트(7, 7')들 사이에 형성된 시트 위에 접히거나 아래로 당겨진다. 그것은 고정 시스템(15)에 의하여 상기 시트에 대해 유지된다. 예컨대, 고정 시스템(15)은 시트 서포트(7, 7')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고정 시스템은 스트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른 유형의 고정 시스템이 아래로 당겨진 백레스트(2)를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백레스트(2)는 가역적으로, 즉, 핸들의 직립부(1, 1')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되고, 이어서 유모차의 이동 방향으로 유모차의 전방을 향하여 향해지거나 또는 유모차의 후방을 향하여 반대방향으로 향해져서, 구조물의 힌지(13) 위에 필요한 대로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 시스템(15)의 스트랩(들)은 시트 서포트(7, 7')들로부터 분리가능하고 및/또는 탄성일 수 있다. 특히, 이로써 백레스트(2)를 더욱 용이하게 제거 및/또는 재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펼친 위치에서, 백레스트(2)는 경사지거나 누운 위치에 위치되어, 유모차를 미는 부모를 향할 수 있는 6개월 이하의 신생아의 상부 몸체 부분에 적합할 수 있는 서포트를 제공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유모차의 구조물은 전방부(16a)와 후방부(16b)로 구성되는 직물 베이스(16)에 의하여 고정된다.
후방부(16b)는 신생아의 하부 몸체 부분에 적합한 서포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방부(16b)의 베이스는 단단한 판(17)으로 고정된다.
직물 베이스(16)의 전방부(16a)는 핸들의 직립부(1, 1')의 상단부를 유모차의 전방, 예컨대, 시트 서포트(7, 7')의 전방에 위치된 구조 부재에 연결하는 텐셔너(18, 18')(도 3A와 도 3B의 측면들에서 단지 텐셔너(18)만이 도시)들에 의하여 유모차의 구조물에 고정된다. 유모차가 펼친 위치에 있으면, 텐셔너(18, 18')들은 긴장된다.
이와 같이, 펼친 위치에서, 직물 베이스(16)의 측면들이 신생아의 운반을 위한 효과적인 횡방향 보호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는 또한 견인 평면에 수직인 회전축을 가지는 힌지(21)에 의하여 유모차의 구조 부재 위에 선회하도록 장착되는 단단하거나 반-강성인 주 휘어짐부(main bow)(20)를 포함하는 보호 커버에 의하여 고정된다. 대신해서, 주 휘어짐부(20)는 직물 베이스(16) 위에 장착될 수 있거나, 커버는 펼친 위치에서 덜 긴장될 것이다.
바람직하게, 보호 커버(16)는 또한 펼친 위치에서 보호 커버(19)의 내부 용적을 증가시키는 하나 이상의 단단하거나 또는 반-강성 휘어짐부(22)를 포함한다.
또한 보호 커버(19)는 주 휘어짐부(20)의 각 측면을 직물 베이스(16)에, 바람직하게 텐셔너(18, 18')들에 근접하게 또는 텐셔너들 위에 직접 고정할 수 있는 고정 부재(23, 23')들을 포함한다. 또한, 보호 커버(19)의 전방부는 바람직하게 백레스트(2)의 상부 부분에 고정되어 유지된다. 이와 같이, 텐셔너(18, 18')들의 긴장에 의하여 시트 서포트(7, 7')들 사이에 형성된 시트에 대해 백레스트(2)를 유지하는 고정 시스템(15)의 작용에 의하여 보호 커버(19)는 긴장될 수 있다.
유모차를 접을 때(도 3B), 핸들 직립부(1, 1')의 상단부는 시트 서포트(7, 7')들의 전방 단부들 사이에 형성된 시트의 전방 에지(9)에 근접하게 이동한다. 이러한 결과로서 텐셔너(18, 18')들이 이완되고, 이는 동시에 직물 베이스(16)의 전방부(16a)를 접을 수 있으며 커버(19)를 접을 수 있으므로, 이들 두 개의 부재들은 접힌 위치에서 축소된 공간을 점유한다.
또한, 이러한 접는 동작 동안, 직물 베이스(16)의 후방 부분(16b)은 예컨대 단단한 판(17)을 들어올리는 것에 의하여 용이하게 접힐 수 있다.
역으로, 유모차(도 3B로부터 도 3A로의 전이)를 펼칠 때, 텐셔너(18, 18')들이 다시 긴장된다. 실제로 이들 텐셔너(18, 18')들의 고정 지점들은 - 이 경우, 핸들 직립부(1,1')의 상단부 및 시트의 전방 에지(9) - 펼치는 동안 멀어지게 이동하는 유모차의 두 개의 구조 부재들이다. 따라서, 유모차의 펼침은:
- 먼저, 직물 베이스(16)의 전방 부분(16a)이 전개되고, 그리고
- 다음에, 주 휘어짐부(20) 위의 고정 부재(23, 23')들의 작용에 의하여, 커버(19)가 전개되고 자동으로 긴장되며, 이로써 유모차의 사용자는 유모차를 펼친 후에 상기 커버를 손으로 들어올릴 필요가 없는 이점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고정 부재(23, 23')들은 분리가능하며 또한 상기 고정 부재(23, 23')들에 대해 텐셔너(18, 18')들을 따라 아래에 위치된 중간 고정 지점(도시 없음)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모차가 펼친 위치에 있을 때, 고정 부재(23, 23')를 분리함으로써 커버(19)를 완전히 하강시킬 수 있으며, 또는 중간 고정 지점으로 고정 부재(23, 23')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커버(19)를 부분적으로 접을 수 있다. 이들 구조는 도 3B에 설명된 바와 같은 유모차의 접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반대로, 유모차를 펼칠 때, 커버(19)는 고정 부재(23, 23')들이 중간 위치 또는 높은 위치에서 분리되어 유지되는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하강 위치, 반-하강 위치 또는 상승된 위치에 유지될 것이다. 이와 같이, 접기/펼침 동작시 커버 위치를 효과적으로 기억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도 4A와 4B는 각각 펼친 위치와 반-접음 위치에 있는 도 2A와 2C에 의하여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형태의 접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A와 5B는 각각 직물 부재, 즉 직물 베이스(16)와 보호 커버(19) 없이 그리고 이어서 직물 부재를 구비한 도 4 및 4B 도시의 예시적인 유모차 형태의 구조물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전과 같이, 펼친 위치에서, 백레스트(2)는 유모차의 후방을 향하는 누운 위치에 신생아를 유지하도록 위치된다. 백레스트는 고정 시스템(15)에 의하여 시트 서포트(7, 7')에 대해 유지된다. 이 예에서, 예컨대, 고정 시스템(15)인 스트랩은 시트 서포트(7, 7')를 고정하여 시트 서포트(7, 7')를 따라 백레스트(2)를 병진 운동시킬 수 있다. 특히, 도면(예컨대, 도 5A 참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서포트(7, 7')들은 각각 시트(2)의 양 측면들 위에서 신장할 수 있으며, 시트(2)는 시트 서포트(7, 7')에 고정되고 시트(2) 위로 신장하는 스트랩 아래 병진 운동 또는 슬라이드 운동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텐셔너(18, 18')들이 핸들 직립부(1, 1')의 상단부를 경사가능한 백레스트(2)의 상부 부분에 연결한다. 유모차가 펼친 위치(도 4A)에 있을 때, 텐셔너(18, 18')들은 시트에 대해 백레스트(2)를 접촉 유지시키는 고정 시스템(15)의 작용에 의하여 긴장된다.
이 예에서, 백레스트(2)는 유모차의 이동 방향에 수직인 축을 가진 힌지(13)에 의하여 구조 부재 위에, 바람직하게, 핸들 직립부(1, 1')의 하부 부분 위에서 선회 장착된다. 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유모차(도 4B)를 접을 때, 횡방향 단면을 가진 힌지(41, 43, 44, 45)들의 교차 지점들에 의하여 형성된 사변형(50)이 변형되고, 이는 - 핸들 직립부의 하부 부분 위에 백레스트(2)의 힌지(13)가 위치되므로 - 힌지(13)를 시트 서포트(7, 7')의 단부들에 의하여 규정된 시트의 전방 에지(9) 위에 바람직하게 겹처진 힌지(41)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킨다. 따라서, 백레스트(2)는 고정 시스템(15)에 의하여 상기 시트 서포트(7, 7')에 대해 유지되면서 시트 서포트(7, 7')를 따라 슬라이드 복귀 이동한다. 유모차가 완전히 접힐 때, 백레스트(2)는 도 2C에서 설명된 유모차 구조와 같은 위치로 실질적으로 복귀되고, 즉, 백레스트(2)의 상부 부분은 다시 핸들 직립부(1, 1')의 상부 부분과 그리고 시트의 전방 단부(9)에서 힌지(41)와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에서 접혀진다.
또한, 이러한 접힘 작동 동안, 핸들 직립부(1, 1')의 상단부들은 경사가능한 백레스트(2)의 상부 부분에 근접하게 이동한다. 이러한 결과 텐셔너(18, 18')들이 이완되고 직물 베이스(16)를 접을 수 있으므로 유모차는 접힌 위치에서 축소된 공간을 차지한다.
이전의 예에서와 같이, 유모차는 또한 힌지(21)에 의하여 유모차 구조물에 효과적으로 고정된 단단하거나 또는 반-강성의 주 휘어짐부(20)를 포함하는 보호 커버(19)에 의하여 고정된다.
도 4A, 4B 도시 예에서, 힌지(21)는 후방 다리(5, 5')의 상단부들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유모차가 펼친 위치에 있을 때, 힌지축(21)은 상기 힌지(44) 뒤에 위로 위치되고 백레스트(1)의 서포트에 대해 후방다리(5, 5')의 힌지축(44)에 대해 오프셋된다. 이와 같이, 유모차를 접을 때(도 4B), 주 휘어짐부(20)는 힌지(21) 둘레로 자유로이 선회한다. 또한, 이러한 작동 동안, 시트 서포트(7)에 대한 후방 다리(5)의 회전에 기인하여 그리고 힌지축(44)에 대한 힌지축(21)의 오프셋 위치에 기인하여, 힌지(21)는 시트의 전방 에지로부터 멀리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접힌 위치에서, 주 휘어짐부(20)는 유모차 구조물에 대해 최소 공간을 차지한다. 그러므로 주 휘어짐부(20)가 접힌 위치에서 유모차의 크기를 상당히 증가시킴이 없이 펼친 위치에서 커버(19)에 대해 최적의 용적을 제공하도록 충분한 높이로 이러한 주 휘어짐부(20)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단 완전히 접혀지면,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는 어떤 요소도 제거할 필요 없이, 도 3C 도시와 같은 종래 기술의 유모차의 공간과 실질적으로 같은 용적을 차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을 수 있는 유모차의 구조의 세부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의하면 후방 다리(5)의 상단부들에서 힌지(44)에 근접해서 유모차 구조물 위에 주 휘어짐부(20)의 힌지(21)를 예시적으로 고정하는 것을 도시한다.
이 예에서, 유모차의 각 측면 위에, 힌지(21)는 주 휘어짐부(20)를 수용하기 위한 오리피스를 가진 제1 슬리브(71)와 그 축이 제1 슬리브(71)의 축에 수직인 제2 슬리브(72)를 포함한다. 슬리브(71)는 후방 다리(5)의 상단부에 고정된 원통형 하우징(73)에 리세스가 형성되고, 다리 축은 힌지(44) 축 뒤로 다소 그 위에 위치한다.
도 7A와 7B는 본 발명의 일 변형에서 도 5B 도시의 유모차의 중간면(X-X)을 따른 길이방향 단면을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이 변형에서, 직물 베이스(16)는 단단하거나 또는 반-강성 재료로 형성된 특히 등판(24)을 포함하는 추가적인 장치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등판(24)의 전방 단부(24a)는 자유로우며 그 후방 단부(24b)는 직물 베이스(16)의 후방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등판(24)은 직물 베이스(16)의 후방에 대해 회전하여 선회할 수 있다. 하강 위치에서, 등판(24)은 백레스트(2)에 대해 실질적으로 접혀진다.
또한 등판(24)은 직물 베이스(16)의 내부 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예컨대 직물 베이스(16) 내측에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케이블 또는 스트랩 형태의 견인 부재(25, 25')를 포함하는 리프팅 시스템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각각의 견인 부재(25, 25')들은 특히 직물 베이스(16)에 구비된 구멍(26, 26')을 관통해서 통과할 수 있다. 견인 부재(25, 25')의 하단부(27, 27')들은 또한 등판(24)에 고정된다.
견인 부재(25, 25')(도 7B)의 상단부(28, 28')에 견인력이 가해질 때, 등판(24)은 후방 단부(24b)에서 선회함으로써 들어 올려지고 이어서 고정 시스템(도시 없음)에 의하여 상승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직물 베이스(16)는 이어서 신생아에게 앉혀진 또는 반-앉혀진 위치를 제공한다.
등판(24)이 상부 위치에 유지될 때, 도 3B 또는 4B의 예에 설명된 바와 같은 유모차의 접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실제로 텐셔너(18, 18')들이 더 이상 인장되지 않을 때, 등판(24)은 일단 자유로워져서 백레스트(2)에 대해 지지된다. 반대의 경우, 유모차의 펼침 동안, 견인 부재(25, 25')들이 하부 또는 상부 위치에 유지되는 여부에 따라, 등판(24)은 각각 텐셔너(18, 18')들의 긴장에 의하여 하강 위치 또는 상승위치를 점유한다. 이와 같이 접힘/펼침 작동 동안 시트 위치를 기억하는 효과적인 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방금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어떤 부재도 제거할 필요가 없이 펼치고 접는 것이 매우 간단하며 효과적인 보호 커버에 의하여 고정되는, 부모를 향하는 신생아의 운반에 적합한 유모차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장치는 또한 유모차를 펼칠 때, 보호 커버가 접기 전에 유지되던 위치로 자동으로 전개하는 이점을 가진다. 유사하게, 이 장치에 조정가능한 등판이 제공되면, 펼칠 때, 이 등판이 접기 전에 유지되던 위치를 차지한다. 도 2A 내지 2C에 의하여 설명된 접는 형태를 구비한 유모차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우, 본 발명은 또한 직물 베이스와 커버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접힌 위치에서 매우 컴팩트한 디자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일 예로서 위에 설명된다.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변형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위에 설명된 장치를 예컨대 위에 설명된 미국 특허 508706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평평하게-접는 다른 형태의 유모차들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여기 개시된 실시예들, 변형들 또는 예들의 특징들은 홀로 또는 서로 결합된 다양한 결합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 개시된 특정 결합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2: 백레스트 7, 7': 시트 서포트

Claims (15)

  1. 펼친 위치와 접힌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평평하게 접는 유모차로서, 상기 유모차는:
    - 두 개의 핸들 직립부(1,1'), 적어도 하나의 전방 다리(3, 3'), 적어도 하나의 후방 다리(5, 5'), 시트 서포트(7, 7'), 백레스트(2), 및 유모차를 평평하게 접기 위한 힌지(31-35, 41-47)들을 포함하는 구조물;
    - 직물 베이스(16);
    - 각각 핸들 직립부(1,1')의 상단부를 유모차의 전방에 위치된 구조 부재에 연결하고 직물 베이스(16)의 전방부(16a)를 긴장시키기 위한 텐셔너(18, 18')들;
    - 적어도 하나의 주 휘어짐부(20)를 구비한 보호 커버(19)를 포함하는 유모차에 있어서,
    - 상기 보호 커버(19)는 또한 상기 휘어짐부(20)의 각 측면을 각각의 텐션너(18, 18')들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점 또는 직물 베이스(16)의 전방 부분(16a)의 적어도 하나의 고정점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부재(23, 23')를 포함하며;
    - 펼친 위치에서, 상기 백레스트(2)는 유모차의 후방을 향하는 누운 위치에 적어도 신생아를 유지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백레스트는 또한 고정 시스템(15)에 의하여 시트 서포트(7, 7')에 접촉 유지되며;
    - 펼친 위치에서, 상기 텐셔너(18, 18')들은 긴장되고 상기 직물 베이스(16)와 상기 보호 커버(19)의 전방부(16a)를 펼칠 수 있도록 하며;
    - 접을 때, 상기 직립 핸들(1, 1')의 전방 선회가 상기 텐셔버(18, 18')들을 이완시켜, 상기 직물 베이스(16)와 상기 보호 커버(19)의 전방부(16a)를 접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펼친 위치와 접힌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평평하게-접는 유모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 커버(19)의 주 휘어짐부(20)는 유모차의 이동 방향에 수직인 축을 가진 힌지에 의하여 구조 부재 위에 장착되는 평평하게-접는 유모차.
  3. 상기 항들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커버(19)의 고정 부재(23, 23')들은 분리가능한 평평하게-접는 유모차.
  4. 상기 항들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커버(19)의 전방 부분은 상기 백레스트(2)의 상부에 고정 유지되는 평평하게-접는 유모차.
  5. 상기 항들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셔너(18, 18')들은 각각 핸들 직립부(1, 1')의 상단부를 상기 백레스트(2)의 상단부에 연결하는 평평하게-접는 유모차.
  6. 상기 항들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레스트(2)는 유모차의 이동방향에 수직인 축을 가진 힌지(13)에 의하여 구조부재 위에 선회하도록 장착되는 평평하게-접는 유모차.
  7. 상기 항들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레스트(2)는, 유모차의 펼친 위치에서 유모차의 후방을 향하는 누운 위치에 신생아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제1 위치로부터 유모차의 전방을 향하는 앉혀진 위치에 신생아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역전가능한 평평하게-접는 유모차.
  8. 상기 항들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베이스(16)의 후방 부분(16b)은 단단한 판(17)으로 고정되는 평평하게-접는 유모차.
  9. 상기 항들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또한 단단하거나 또는 반-강성 등판(24)을 포함하며, 그 후방 단부(24b)는 상기 직물 베이스(16)의 뒤에서 선회하도록 장착되는 평평하게-접는 유모차.
  10. 상기 항들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의 펼친 위치로부터 접힌 위치로의 이동 중에, 상기 힌지(41-47)들은 상기 후방 다리들의 하단부들을 전방으로 선회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전방 다리들의 하단부들을 후방으로 선회시킬 수 있으며, 상기 시트 서포트(7)에 대해 상기 핸들 직립부(1, 1')들을 접을 수 있으며, 상기 핸들 직립부(1, 1')들의 상부 에지들은 상기 전방 다리(3, 3')들의 상단부들 및 상기 시트 서포트(7)의 전방 단부를 향하게 되는 평평하게-접는 유모차.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보호 커버(19)의 주 휘어짐부(20)는 유모차의 이동 방향에 수직인 축을 가진 힌지(21)에 의하여 유모차의 각 측면에서 상기 후방 다리(3, 3')의 상단부에 장착되는 평평하게-접는 유모차.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주 휘어짐부(20)의 힌지(21) 축은 상기 후방 다리의 힌지(44)에 대해 오프셋되는 평평하게-접는 유모차.
  13. 청구항 11 또는 12에 있어서, 상기 백레스트(2)는 유모차의 이동 방향에 수직인 축을 가진 힌지(13)에 의하여 핸들 직립부(1, 1')의 하단부 위에 선회하게 장착되는 유모차.
  14. 청구항 1 내지 13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시스템(15)에 의하여 상기 백레스트(2)는 상기 시트 서포트(7, 7')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평평하게-접는 유모차.
  15. 청구항 1-14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시스템(15)은 상기 시트 서포트(7, 7')에 고정된 스트랩을 포함하는 평평하게-접는 유모차.
KR1020167009442A 2013-09-13 2014-09-09 신생아 운반에 적합한 폴더블 유모차 KR1018198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358847 2013-09-13
FR1358847A FR3010682B1 (fr) 2013-09-13 2013-09-13 Poussette pliable adaptable au transport des nouveau-nes
PCT/EP2014/069177 WO2015036395A1 (fr) 2013-09-13 2014-09-09 Poussette pliable adaptable au transport des nouveau-n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369A true KR20160084369A (ko) 2016-07-13
KR101819841B1 KR101819841B1 (ko) 2018-02-28

Family

ID=49876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9442A KR101819841B1 (ko) 2013-09-13 2014-09-09 신생아 운반에 적합한 폴더블 유모차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US (1) US9463820B2 (ko)
EP (1) EP3044070B8 (ko)
JP (1) JP6283421B2 (ko)
KR (1) KR101819841B1 (ko)
CN (2) CN104442981B (ko)
AU (1) AU2014320499B2 (ko)
BR (1) BR112016005400B1 (ko)
CA (1) CA2924147C (ko)
CL (1) CL2016000591A1 (ko)
DK (1) DK3044070T3 (ko)
ES (1) ES2746802T3 (ko)
FR (1) FR3010682B1 (ko)
IL (1) IL244479B (ko)
MA (1) MA38899B1 (ko)
MX (1) MX367906B (ko)
MY (1) MY176730A (ko)
PL (1) PL3044070T3 (ko)
PT (1) PT3044070T (ko)
RU (1) RU2673911C2 (ko)
SG (1) SG11201601876UA (ko)
UA (1) UA116578C2 (ko)
WO (1) WO2015036395A1 (ko)
ZA (1) ZA2016016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10682B1 (fr) * 2013-09-13 2015-10-23 Babyzen Poussette pliable adaptable au transport des nouveau-nes
KR20210107443A (ko) 2020-02-24 2021-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유모차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8108A (en) * 1919-11-04 1921-02-03 Leslie Washburne Taylor Improvements in folding carriages
GB1362160A (en) * 1973-01-24 1974-07-30 Perego Pines Spa Baby carriage
JPS5228849U (ko) * 1975-08-20 1977-02-28
FR2327129A1 (fr) * 1975-10-09 1977-05-06 Eurolando Support tel que siege ou nacelle adaptable sur poussette ou voiture d'enfant
JPS5515163U (ko) * 1978-07-17 1980-01-30
US5087066A (en) 1989-02-16 1992-02-11 Baby Trend, Inc. Foldable baby stroller
GB8922624D0 (en) * 1989-10-07 1989-11-22 Britax Teutonia Kinderwagen Pushchair
JP3236514B2 (ja) * 1996-09-24 2001-12-10 コンビ株式会社 幼児用着座装置
GB9705450D0 (en) * 1997-03-17 1997-05-07 Babysphere Limited Buggies for infants
DE19725958C2 (de) 1997-06-19 1999-07-29 Michael Fleischmann Fußsack für Kindersportwagen
JP4028040B2 (ja) * 1997-09-26 2007-12-26 コンビ株式会社 着座装置の側板の可変機構
CA2304410A1 (en) * 1999-10-21 2001-04-21 Richard C. Everett Collapsible baby jogging stroller
JP4119717B2 (ja) * 2002-09-26 2008-07-16 株式会社アシスト 折り畳み式ベビーカー
FR2850073B1 (fr) * 2003-01-17 2006-03-17 Gh Solutions Siege deployable
JP2006021737A (ja) * 2004-07-08 2006-01-26 Yukio Yoshinaga 紫外線防止日除け付きベビーカー
JP5230317B2 (ja) * 2007-10-22 2013-07-10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折畳式手押し車および折畳式乳母車
FR2933362B1 (fr) * 2008-07-04 2011-01-21 Gilles Henry Poussette pliable
JP5889551B2 (ja) * 2011-06-27 2016-03-22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合同会社 乳母車
JP3174471U (ja) * 2012-01-10 2012-03-22 穩正企業股▲ふん▼有限公司 乳母車
WO2014061296A1 (ja) * 2012-10-15 2014-04-24 コンビ株式会社 乳母車
FR3010682B1 (fr) * 2013-09-13 2015-10-23 Babyzen Poussette pliable adaptable au transport des nouveau-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Z717989A (en) 2020-09-25
BR112016005400B1 (pt) 2021-11-30
IL244479A0 (en) 2016-04-21
CA2924147C (en) 2021-10-05
AU2014320499A1 (en) 2016-04-07
MX2016003250A (es) 2016-09-21
MA38899A1 (fr) 2016-10-31
JP6283421B2 (ja) 2018-02-21
CN104442981B (zh) 2018-06-05
SG11201601876UA (en) 2016-04-28
MA38899B1 (fr) 2017-07-31
EP3044070B8 (fr) 2019-09-11
PL3044070T3 (pl) 2020-03-31
CL2016000591A1 (es) 2016-09-30
UA116578C2 (uk) 2018-04-10
US9463820B2 (en) 2016-10-11
US20160214635A1 (en) 2016-07-28
JP2016533967A (ja) 2016-11-04
KR101819841B1 (ko) 2018-02-28
FR3010682B1 (fr) 2015-10-23
EP3044070A1 (fr) 2016-07-20
PT3044070T (pt) 2019-10-18
DK3044070T3 (da) 2019-10-14
ZA201601669B (en) 2017-06-28
AU2014320499B2 (en) 2017-11-02
ES2746802T3 (es) 2020-03-06
MY176730A (en) 2020-08-20
EP3044070B1 (fr) 2019-07-31
CN204548197U (zh) 2015-08-12
BR112016005400A8 (pt) 2020-02-18
FR3010682A1 (fr) 2015-03-20
WO2015036395A1 (fr) 2015-03-19
RU2673911C2 (ru) 2018-12-03
CA2924147A1 (en) 2015-03-19
MX367906B (es) 2019-09-11
IL244479B (en) 2018-08-30
RU2016113842A (ru) 2017-10-16
CN104442981A (zh) 2015-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21453B (en) Nursing equipment
JP4757594B2 (ja) ベビーカー
ES2324550T3 (es) Inserto convertible de asiento o tumbona para cochecitos de niños o muñecas.
JP4855035B2 (ja) ベビーカー
RU2011103912A (ru) Складная прогулочная коляска
KR20120121394A (ko) 절첩 가능한 유모차
TWI611963B (zh) 車輪保持單元及嬰兒車
KR101819841B1 (ko) 신생아 운반에 적합한 폴더블 유모차
JP3981027B2 (ja) 育児器具の座席ハンモック
JP6735195B2 (ja) ベビーカー
JP4184071B2 (ja) ベビーカーの幌
JP5953123B2 (ja) 押し棒スライド式乳母車
CN114206167A (zh) 可折叠的婴儿床和婴儿车
JP5946875B2 (ja) ベビーカー
TWI547402B (zh) Baby carriage
JP4173120B2 (ja) ベビーカー及びベビーカー用補助椅子
NZ717989B2 (en) Foldable pushchair suitable for transporting newborns
JP2021084624A (ja) 折り畳んだ状態で自立可能なベビーカー装置
KR101052238B1 (ko) 해먹형 유모차
TWI642578B (zh) Baby carriage
KR940010625B1 (ko) 유모차겸용 유아 카시트
CN117141563A (zh) 儿童载具
TW202348481A (zh) 嬰兒車
JP2011225037A (ja) 折り畳み式乳母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