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9711A - 차량의 배기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배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9711A
KR20160079711A KR1020150186198A KR20150186198A KR20160079711A KR 20160079711 A KR20160079711 A KR 20160079711A KR 1020150186198 A KR1020150186198 A KR 1020150186198A KR 20150186198 A KR20150186198 A KR 20150186198A KR 20160079711 A KR20160079711 A KR 20160079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wall surface
discharge
discharge type
exhaus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6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7786B1 (ko
Inventor
도시오 다나하시
요지 가네하라
고시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79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9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6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removing electrostatic char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6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11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01N13/1822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for fixing exhaust pipes or devices to vehicle bod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4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spark gaps or other discharg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40/0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 F01N2240/04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an electric, e.g. electrostatic, device other than a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30/00Selection of materials for tubes, chambers or housings
    • F01N2530/18Plastics material, e.g. polyester resin
    • F01N2530/20Plastics material, e.g. polyester resin reinforced with mineral or metallic fib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30/00Selection of materials for tubes, chambers or housings
    • F01N2530/22Flexible elastomer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차량에 있어서, 엔진의 배기계 부품이, 비도전성의 고무편(5)을 통해 차량 보디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차량 보디 및 엔진의 배기계 부품에는 정의 전하가 대전되다. 비도전성 벽면 상에 설치하면 설치 개소를 중심으로 한 한정된 범위 내의 비도전성 벽면 상의 대전 전하량을 저하시킬 수 있는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가 비도전성의 고무편(5)에 설치되고, 그것에 의해 배기계 부품이 제전된다.

Description

차량의 배기 장치{VEHICLE ENGINE EXHAUST SYSTEM}
본 발명은 차량의 배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엔진 또는 엔진과 관련되는 부재에 방전 안테나 등의 방전 장치를 설치하여, 엔진부에 발생하고 또는 축적되는 고압 전기, 정전기 등을 외부에 방전, 방출시키고, 그것에 의하여 연비를 향상시키도록 한 차량이 공지이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 5-238438을 참조).
상기 일본 특허 공개 평 5-238438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량에 정전기가 대전되는 것 및 이 차량에 대전된 정전기가 차량의 운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은, 종래로부터 알려져 있다. 그러나, 차량에 대전된 정전기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이유에서 어떤 영향을 차량의 운전에 미치고 있는지는 잘 모르고 있으며, 차량에의 정전기의 대전에 대한 적절한 대처에 대해 검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엔진의 배기계 부품을 제전함으로써, 기관 출력을 향상시킴과 함께 차량의 운전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배기 장치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의 배기계 부품이, 비도전성의 지지 부재를 통해 차량 보디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차량 보디 및 엔진의 배기계 부품에 정의 전하가 대전되는 차량에 있어서, 비도전성 벽면 상에 설치하면 설치 개소를 중심으로 한 한정된 범위 내의 비도전성 벽면 상의 대전 전하량을 저하시킬 수 있는 자기 방전식 제전기를 구비하고 있고, 자기 방전식 제전기를 비도전성의 지지 부재 상에 설치하고, 그것에 의해 배기계 부품을 제전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자기 방전식 제전기를 비도전성의 지지 부재 상에 설치함으로써 엔진의 배기계 부품이 제전되고, 그것에 의해 기관 출력이 향상됨과 함께 차량의 운전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특성과, 이점과, 기술적 및 산업적인 의의는 동등한 부호가 동등한 요소를 나타내는 이하에 첨부하는 도면에 의해 설명된다.
도 1은 엔진의 배기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되는 지지 부재, 즉 고무편 주위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되는 지지 부재, 즉 고무편의 단면도.
도 4a 및 4b는, 각각 지지 부재, 즉 고무편의 정면도 및 측면 단면도.
도 5a 및 5b는, 각각 소음기 내에 있어서의 배기류 및 소음기 주위의 공기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및 6b는, 공기류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 7b 및 7c는, 자기 방전식 제전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8a 및 8b는, 자기 방전식 제전기에 의한 제전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a 및 9b는, 자기 방전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에 차량의 바닥 하부에 배치된 배기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에는, 촉매 컨버터(1), 촉매 컨버터(1)에 접속된 배기관(2), 접속부(2a)를 통해 배기관(2)에 접속된 소음기(3), 테일 파이프(4)를 각각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기관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는 촉매 컨버터(1) 내에 보내지고, 계속해서 배기 가스는 배기관(2)을 통하여 소음기(3)에 보내지고, 계속해서 배기 가스는테일 파이프(4)로부터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들 촉매 컨버터(1), 배기관(2), 소음기(3) 및 테일 파이프(4)를, 엔진의 배기계 부품이라고 칭하고 있다. 또한,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 엔진의 배기계 부품에는, 차량의 바닥 하부에 배치되는 그 외의 배기 처리 장치나 열회수 장치가 포함된다.
이들 엔진의 배기계 부품은 비도전성의 지지 부재(5)를 통해 차량 보디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섀시도 포함하여 차량 보디라고 칭하고 있다. 이 지지 부재는 비도전성의 고무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실시예에서는, 이 지지 부재(5)는 비도전성의 고무편으로 이루어지고, 이 고무편(5)의 상방부는 지지 막대(6)를 통해 차량 보디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한편, 이 고무편(5)의 하방부에 의해 배기계 부품, 즉 촉매 컨버터(1), 배기관(2) 및 소음기(3)가 지지되어 있고, 따라서, 촉매 컨버터(1), 배기관(2) 및 소음기(3)는 이 고무편(5)을 통해 차량 보디에 의해 지지되어 있게 된다.
도 2는 소음기(3)에 설치되어 있는 고무편(5)의 확대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4a는 고무편(5)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4b는 고무편(5)의 측면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편(5)은 타원형 단면의 통 형상체를 이루고 있고, 고무편(5)은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관통 구멍(8a, 8b)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차량 보디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지지 막대(6)가 한쪽의 관통 구멍(8a) 내에 삽입되어 있고, 배기계 부품, 즉, 소음기(3)의 외벽에 고정된 지지 막대(7)가 다른 쪽의 관통 구멍(8b) 내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고무편(5)에는 관통 구멍(8a, 8b) 사이에 슬릿(8c)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기(3)는 4개의 고무편(5)을 통해 차량 보디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또한 촉매 컨버터(1)도 4개의 고무편(5)(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통해 차량 보디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한편, 배기관(2)도 고무편(5)을 통해 차량 보디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차량을 주행시키면, 타이어의 각 부가 노면에 대해 접촉, 박리를 반복함으로써 정전기가 발생하고, 또한 엔진의 구성 부품이나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 부품이 상대 운동하는 것에 의해서도 정전기가 발생한다. 또한, 차량의 주행 시에 공기가 차량의 외주면 상을 마찰 접촉하면서 흐르는 것에 의해서도 정전기가 발생한다. 이들 발생한 정전기에 의해 차량의 보디, 엔진 등에는 전하가 대전된다. 이때, 배기계 부품, 즉 촉매 컨버터(1), 배기관(2) 및 소음기(3)에 정의 전하가 대전됨과 함께 고무편(5)에도 정의 전하가 대전되는 것이 확인되어 있고, 또한 촉매 컨버터(1), 배기관(2), 소음기(3) 및 고무편(5)의 벽면의 전압값은 1000v 이상의 고전압으로 되는 경우가 있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그런데, 박육 벽의 표면의 전압값이 높아지면, 박육 벽의 표면을 따르는 공기의 흐름이 변화되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 따라서, 먼저 처음에, 박육 벽의 표면을 따르는 공기의 흐름이, 박육 벽의 표면의 전압값에 의해 어떻게 변화되는지에 대해, 실험에 의해 확인한 현상으로부터 설명을 행한다. 도 6a는 정의 전하가 대전되어 있는 박육 벽(9)의 표면을 따라 공기가 흐르고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공기는 정으로 대전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도 6a는 정으로 대전된 공기가, 정의 전하가 대전되어 있는 박육 벽(9)의 표면을 따라 흐르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6a에 있어서, 실선의 화살표는, 박육 벽(9)의 표면의 전압값이 낮은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이 경우에는 공기는 박육 벽(9)의 표면을 따라 흐른다. 이에 대해, 파선의 화살표는, 박육 벽(9)의 표면의 전압값이 높은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이 경우에는 공기는 박육 벽(9)의 표면이 하방을 향해 만곡된 곳에서, 즉 공기류가 박육 벽(9)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기 쉬운 곳에서, 박육 벽(9)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흐른다.
도 6b는, 도 6a에 있어서 박육 벽(9)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공기의 주류의 유속 U와, 박육 벽(9)의 표면으로부터 거리 S만큼 이격된 위치에서의 유속 U의 속도비 U/U의 X 지점(도 6a)에 있어서의 실측값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b에 있어서 흑색의 마름모형으로 나타내어지는 각 점은, 박육 벽(6)의 표면에 정의 전하가 대전되어 있지 않은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도 6b에 있어서 흑색의 사각형으로 나타내어지는 각 점은, 박육 벽(9)의 표면에 정의 전하가 대전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6b로부터, 박육 벽(9)의 표면에 정의 전하가 대전되어 있는 경우에는 박육 벽(9)의 표면에 정의 전하가 대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속도 경계층이 박육 벽(9)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고, 따라서 박육 벽(9)의 표면에 정의 전하가 대전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6a에 있어서 파선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가 박육 벽(6)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흐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는 정으로 대전되는 경향이 있고, 따라서 공기의 일부는 정의 공기 이온(동그라미 안에 +로 표시)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박육 벽(9)의 표면에 정의 전하가 대전되어 있으면 정의 공기 이온과 박육 벽(9)의 표면 사이에는 척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도 6a에 있어서 파선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는 박육 벽(9)의 표면이 하방을 향해 만곡된 곳에서, 즉 공기류가 벽면(9)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기 쉬워진 곳에서, 박육 벽(9)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박육 벽(9)의 표면에의 정의 전하의 대전에 의해 박육 벽(9)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공기류가 박육 벽(9)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은 실험에 의해 확인되어 있고, 이 경우, 박육 벽(9)의 표면의 전압값이 높아질수록, 박육 벽(9)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공기류가 박육 벽(9)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박육 벽(9)의 표면 형상이 공기류의 박리를 발생시키기 쉬운 형상을 갖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박육 벽(9)의 표면에 정의 전하가 대전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공기류의 박리가 발생하지 않지만, 박육 벽(9)의 표면에 정의 전하가 대전되면, 공기류의 박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 또한, 박육 벽(9)의 표면에 정의 전하가 대전되어 있는 경우에는 박육 벽(9)의 표면에 정의 전하가 대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공기류의 박리의 크기가 증대하는 것도 확인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박육 벽(9)의 표면에 정의 전하가 대전되면, 전기적인 반발력에 기초하여, 공기류가 박육 벽(9)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고, 또는 공기가 박리를 발생시키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촉매 컨버터(1), 배기관(2) 및 소음기(3)의 벽면의 전압값은 1000v 이상의 고전압으로 되는 경우가 있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 이 경우, 도 6a 및 6b에 나타내어지는 실험 결과로부터 판단하면, 이 고전압에 의해 촉매 컨버터(1), 배기관(2) 및 소음기(3) 내를 흐르는 배기 가스의 흐름이 변화되어 있고, 그것에 의해 배기 작용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추측된다. 또한, 도 6a 및 6b에 나타내어지는 실험 결과로부터 판단하면, 이 고전압에 의해 촉매 컨버터(1), 배기관(2) 및 소음기(3)의 주위를 흐르는 공기의 흐름이 변화되어 있고, 그것에 의해 차량의 운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추측된다.
따라서, 배기 작용에 대해 실험을 행한 결과, 촉매 컨버터(1), 배기관(2) 및 소음기(3)의 벽면의 전압값이 고전압으로 되면 배압이 높아지고, 그 결과, 기관 출력이 저하되는 것이 판명된 것이다. 또한, 차량의 운전에의 영향에 대해 실험을 행한 결과, 촉매 컨버터(1), 배기관(2) 및 소음기(3)의 벽면의 전압값이 고전압으로 되면 차량의 운전이 불안정해지는 것이 판명된 것이다.
그런데, 먼저 처음에, 촉매 컨버터(1), 배기관(2) 및 소음기(3)의 벽면의 전압값이 고전압으로 되면 기관 출력이 저하되는 이유에 대해, 소음기(3)의 벽면의 전압값이 고전압으로 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 5a를 참조하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 5a는 소음기(3)의 내부의 일부를 도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기(3)의 내부에는, 배기 가스 유통구(B)를 갖는 복수의 격벽(A)이나 복수의 배기 가스 유통관(C)이 배치되어 있고, 기관 운전 시에는, 이들 배기 가스 유통구(B) 및 배기 가스 유통관(C) 내를 배기 가스가 흐른다. 도 5a에 있어서 실선의 화살표는, 소음기(3)의 벽면의 전압이 낮을 때의 배기 가스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에는, 배기 가스는 실선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 가스 유통구(B)의 내주벽면을 따라 흐르고, 배기 가스 유통관(C)의 내주벽면을 따라 흐른다.
이에 대해, 정전기의 대전에 의해 소음기(3)의 벽면의 전압이 높아지면, 도 5a에 있어서 파선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 가스 유통구(B)의 내주벽면을 따라 흐르는 배기 가스는, 배기 가스가 정으로 대전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전기적인 반발력에 의해, 배기 가스 유통구(B)의 내주벽면으로부터 분리되고, 그 결과, 배기 가스는 배기 가스 유통구(B)의 내주벽면으로부터 이격된 곳을 흐를 수 밖에 없게 된다. 또한, 정전기의 대전에 의해 소음기(3)의 벽면의 전압이 높아지면, 도 5a에 있어서 파선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 가스 유통관(C)의 내주벽면을 따라 흐르는 배기 가스는, 전기적인 반발력에 의해, 배기 가스 유통관(C)의 내주벽면으로부터 분리되고, 그 결과, 배기 가스는 배기 가스 유통관(C)의 내주벽면으로부터 이격된 곳을 흐르를 수 밖에 없게 된다.
배기 가스가 배기 가스 유통구(B)의 내주벽면 및 배기 가스 유통관(C)의 내주벽면으로부터 이격된 곳을 흐를 수 밖에 없게 되면, 배기 가스의 유로 단면이 축소됨으로써, 배기 저항이 증대한다. 그 결과, 배압이 상승하고, 기관 출력이 저하되게 된다. 벽면의 전압이 높아지면, 촉매 컨버터(1) 및 배기관(2)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배기 저항이 증대한다. 따라서, 이 경우, 촉매 컨버터(1), 배기관(2) 및 소음기(3)의 벽면의 전압이 저하되면, 도 5a에 있어서의 실선의 화살표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배기 가스의 유로 단면이 증대하고, 기관 출력이 향상되게 된다.
이어서, 촉매 컨버터(1), 배기관(2) 및 소음기(3)의 벽면의 전압값이 고전압으로 되면 차량의 운전이 불안정해지는 이유에 대해, 소음기(3)의 벽면의 전압값이 고전압으로 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 5b를 참조하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 5b는 소음기(3)의 단면을 도해적으로 도시하고 있고, 또한 도 5b에 있어서 실선의 화살표는, 소음기(3)의 벽면의 전압이 낮을 때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에는, 공기는 실선의 화살표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소음기(3)의 외주 벽면을 따라 흐른다. 또한, 이와 같이 공기가 소음기(3)의 외주 벽면을 따라 흐르면, 소음기(3)의 외주 벽면 상의 압력이 저하되고, 이때 소음기(3)에는 소음기(3)를 압력이 저하된 측으로 끌어당기는 힘이 작용한다. 이 힘은 소음기(3)를 통해 차량에 작용한다.
한편, 정전기의 대전에 의해 소음기(3)의 벽면의 전압이 높아지면, 도 5b에 있어서 파선의 화살표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공기류는, 전기적인 반발력에 의해, 소음기(3)의 외주 벽면으로부터 박리된다. 이와 같이 공기류가 소음기(3)의 외주 벽면으로부터 박리되면, 공기의 흐름 방향이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소음기(3)의 외주 벽면 상에 있어서의 압력의 저하량이 변동되고, 소음기(3)를 압력의 저하측으로 끌어당기는 힘이 변동된다. 그 결과, 소음기(3)를 통해 차량에 작용하는 힘이 변동되고, 차량의 운전이 불안정해진다. 벽면의 전압이 높아지면, 촉매 컨버터(1) 및 배기관(2)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촉매 컨버터(1) 및 배기관(2)의 외벽면 상에 있어서 공기의 박리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이 경우, 촉매 컨버터(1), 배기관(2) 및 소음기(3)의 벽면의 전압이 저하되면, 도 5a에 있어서의 실선의 화살표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공기의 흐름이 안정되고, 그것에 의해 차량의 운전 안정성이 향상되게 된다.
이와 같이 배기계 부품, 즉 촉매 컨버터(1), 배기관(2) 및 소음기(3)의 벽면의 전압을 저하시키면, 기관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차량의 운전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배기계 부품의 지지 부재, 즉 고무편(5)에 대전되어 있는 전하를 감소시키면, 즉 고무편(5)을 제전하면, 촉매 컨버터(1), 배기관(2) 및 소음기(3)의 벽면의 전압을 저하시킬 수 있다.
고무편(5)을 제전하면 고무편(5)의 벽면의 전압이 저하된다. 고무편(5)의 벽면의 전압이 저하되면, 고무편(5)을 통해 지지되어 있는 배기계 부품, 즉 촉매 컨버터(1), 배기관(2) 및 소음기(3)의 벽면의 전압이 저하된다. 따라서, 고무편(5)을 제전하면, 촉매 컨버터(1), 배기관(2) 및 소음기(3)의 벽면의 전압이 저하되고, 그것에 의하여 기관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차량의 운전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자기 방전식 제전기를 사용함으로써, 배기계 부품의 지지 부재, 즉 고무편(5)을 간편하게 제전할 수 있다. 이 자기 방전식 제전기의 일례가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7a 및 도 7b는, 대표적인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평면도 및 측면 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고, 도 7c는 다른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측면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는 가늘고 긴 직사각 형상의 평면 형상을 이룸과 함께, 제전해야 하는 비도전성 부재(15)의 비도전성 벽면 상에 도전성 접착제(12)에 의해 접착되는 금속박(11)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7c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는 제전해야 하는 비도전성 부재(15)의 비도전성 벽면 상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도전성 박막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를 사용하여, 배기계 부품의 지지 부재, 즉 고무편(5)을 제전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배기계 부품의 제전 방법에 대해 설명을 행하기 전에, 본 발명에 의한,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를 사용한 기본적인 제전의 방법에 대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에 의해 비도전성 부재(15)의 비도전성 벽면[이하, 간단히 비도전성 부재(15)의 벽면이라고 함]을 제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먼저 설명한다.
도 8a는, 도 7a 및 7b에 도시되는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를 비도전성 부재(15)의 벽면 상에 설치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를 비도전성 부재(15)의 벽면 상에 설치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설치 개소를 중심으로 한 파선으로 나타내는 한정된 범위 내의 비도전성 부재(15)의 벽면의 대전 전하량이 저하되고, 그 결과 도 8b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한정된 범위 내의 비도전성 부재(15)의 벽면의 전압이 저하되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
이 경우,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에 의해 비도전성 부재(15)의 벽면의 제전이 행해질 때의 제전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명백하지 않지만,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로부터의 정의 전하의 방전 작용에 의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설치 개소 주위의 비도전성 부재(15)의 벽면의 제전 작용이 행해지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이어서, 도 8a에 도시되는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확대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 9a와, 도 9a에 나타내는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단부의 확대도를 도시하는 도 9b를 참조하면서, 비도전성 부재(15)의 벽면에 있어서 행해지고 있다고 추측되는 제전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한다.
그런데, 비도전성 부재(15)에 전하가 대전되는 경우에는, 전하는 비도전성 부재(15)의 내부에 대전되지 않고, 비도전성 부재(15)의 벽면 상에 대전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되는 고무편(5)은 비도전성 고무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도 1에 도시되는 고무편(5)은 비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고무편(5)에 전하가 대전되면, 전하는 고무편(5)의 벽면에 대전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되는 배기계 부품, 즉 촉매 컨버터(1), 배기관(2) 및 소음기(3)에는 정의 전하가 대전되는 것이 확인되어 있고, 또한 고무편(5)의 벽면에는 정의 전하가 대전되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배기계 부품, 즉 촉매 컨버터(1), 배기관(2) 및 소음기(3)를 제전하기 위해, 고무편(5)의 벽면을 제전한다. 따라서 고무편(5)의 벽면을 제전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도 9a에는, 비도전성 부재(15)의 벽면에 정의 전하가 대전되어 있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는 도전성 접착제(12)에 의해 비도전성 부재(15)의 벽면 상에 접착된 금속박(11)으로 이루어진다. 금속박(11) 및 도전성 접착제(12)는 모두 도전성이며, 따라서, 금속박(11)의 내부, 즉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내부에는 정의 전하가 대전되게 된다.
그런데,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전압은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주위의 비도전성 부재(15)의 벽면의 전압과 거의 동등하게 되어 있고, 따라서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전압은 상당히 높게 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는 정으로 대전되는 경향이 있고, 따라서 공기의 일부는 정의 공기 이온(동그라미 안에 +로 표시)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공기 이온의 전위와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전위를 비교하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전위 쪽이 공기 이온의 전위에 비해 상당히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공기 이온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코너부(13)에 접근하면, 공기 이온과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코너부(13) 사이의 전계 강도가 높아지고, 그 결과, 공기 이온과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코너부(13)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게 된다.
공기 이온과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코너부(13)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이온의 전자의 일부가 자기 방전식 제전기(10) 내로 이동하기 때문에, 공기 이온의 정의 대전량이 증대하고(동그라미 안에 ++로 표시), 자기 방전식 제전기(10) 내로 이동한 전자에 의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에 대전되어 있는 정의 전하가 중화된다. 일단, 방전이 행해지면 방전이 발생하기 쉬워져, 다른 공기 이온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코너부(13)에 접근하면 공기 이온과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코너부(13) 사이에서 즉시 방전이 발생하게 된다. 즉,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주위의 공기가 이동하고 있으면, 공기 이온이 잇따라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코너부(13)에 접근하고, 따라서 공기 이온과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코너부(13) 사이에서 계속적으로 방전이 발생하게 된다.
공기 이온과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코너부(13) 사이에서 계속적으로 방전이 발생하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에 대전되어 있는 정의 전하가 잇따라 중화되고, 그 결과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에 대전되어 있는 정의 전하량이 감소한다.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에 대전되어 있는 정의 전하량이 감소하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주위의 비도전성 부재(15)의 벽면에 대전되어 있는 정의 전하가 자기 방전식 제전기(10) 내로 이동하고, 따라서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주위의 비도전성 부재(15)의 벽면에 대전되어 있는 정의 전하도 감소한다. 그 결과, 자기 방전식 제전기(10) 및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주위의 비도전성 부재(15)의 벽면의 전압이 서서히 저하되어 가게 된다. 이와 같은 자기 방전식 제전기(10) 및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주위의 비도전성 부재(15)의 벽면의 전압의 저하 작용은,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전압이 낮아져 방전 작용이 정지할 때까지 계속되고, 그 결과,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설치 개소를 중심으로 한 파선으로 나타내는 한정된 범위 내의 비도전성 부재(15)의 벽면의 전압이 저하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 이온과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코너부(13) 사이에서 방전이 발생하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의 대전량이 증대한 공기 이온(동그라미 안에 ++로 표시)이 생성되고, 이 정의 대전량이 증대한 공기 이온은 주위의 공기 중에 비산한다. 이 정의 대전량이 증대한 공기 이온의 양은,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주위를 유동하는 공기의 양에 비하면 극히 소량이다. 또한,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주위의 공기가 정체되어 있고, 공기 이온이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계속해서 방전이 발생하지 않고, 비도전성 물체(15)의 표면의 전압은 저하되지 않는다. 즉, 비도전성 물체(15)의 표면의 전압을 저하시키기 위해서는,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주위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것이 필요해진다.
공기 이온과 자기 방전식 제전기(10) 사이의 방전은, 공기 이온과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코너부(13) 사이, 또는 공기 이온과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주변부의 첨단부(14) 사이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공기 이온과 자기 방전식 제전기(10) 사이에서 방전을 발생시키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주변부에 코너부(13) 외에, 다수의 첨단부(14)를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를 작성할 때에는, 큰 치수의 금속박을 절단함으로써 금속박(11)을 작성할 때에, 절단면에 첨단부(14)와 같은 버어가 발생하도록, 금속박을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도 7a 및 7b에 도시되는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의 금속박(11)은 연성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구리로 이루어지고,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금속박(11)은 알루미늄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알루미늄박(11)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50㎜ 내지 100㎜ 정도이고, 두께는 0.05㎜ 내지 0.2㎜ 정도이다. 이 경우, 도 8b에 있어서 전압이 저하되는 파선으로 나타내는 한정된 범위의 직경 D는, 150㎜ 내지 200㎜ 정도로 된다. 또한,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로서, 알루미늄박(11)에 도전성 접착제(12)의 층이 형성되어 있는 알루미늄 테이프를 절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도전성 물체(15)의 표면 상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도전성 박막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도전성 박막의 주변부에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코너부(13) 외에, 다수의 첨단부(14)를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편(5)의 외주면 상에 자기 방전식 제전기(1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고무편(5)의 외주면 상에 자기 방전식 제전기(10)가 설치되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에 의한 제전 작용에 의해,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를 중심으로 한 일정 범위 내의 대전 전하가 제거되기 때문에, 고무편(5)의 외주 벽면 전체가 제전된다. 그 결과, 고무편(5)의 외주 벽면 전체의 전압이 저하된다. 고무편(5)의 외주 벽면 전체의 전압이 저하되면, 고무편(5)을 통해 지지되어 있는 배기계 부품, 즉 촉매 컨버터(1), 배기관(2) 및 소음기(3)의 벽면의 전압이 저하된다. 그 결과, 기관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차량의 운전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를 배기계 부품의 지지 부재, 즉 고무편(5) 상에 설치함으로써 배기계 부품, 즉 촉매 컨버터(1), 배기관(2) 및 소음기(3)를 제전하고, 촉매 컨버터(1), 배기관(2) 및 소음기(3)의 벽면의 전압을 저하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의 배기계 부품이, 비도전성의 지지 부재를 통해 차량 보디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차량 보디 및 엔진의 배기계 부품에 정의 전하가 대전되는 차량의 배기 장치에 있어서, 비도전성 벽면 상에 설치하면 설치 개소를 중심으로 한 한정된 범위 내의 비도전성 벽면 상의 대전 전하량을 저하시킬 수 있는 자기 방전식 제전기를 구비하고 있고, 이 자기 방전식 제전기를 비도전성의 지지 부재 상에 설치하고, 그것에 의해 배기계 부품을 제전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되는 실시예에서는, 촉매 컨버터(1)와 배기관(2)은 접속부(1a)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고, 배기관(2)과 소음기(3)는 접속부(2a)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접속부(1a, 2a)가 존재하면, 촉매 컨버터(1)와 배기관(2) 사이 및 배기관(2)과 소음기(3) 사이에 있어서의 전기적인 연결이 약해지고, 예를 들어 소음기(3)의 벽면의 전압의 변화가, 인접하는 배기관(2)의 전압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도, 촉매 컨버터(1), 배기관(2) 및 소음기(3)의 벽면의 전압을 저하시킬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되는 실시예에서는, 촉매 컨버터(1), 배기관(2) 및 소음기(3)의 각각이 대응하는 고무편(5)을 통해 차량 보디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각 고무편(5)의 외주벽면 상에 각각 자기 방전식 제전기(10)가 설치되어 있다.

Claims (9)

  1. 배기계 부품(1, 2, 3, 4)과 비도전성의 지지 부재(5)를 구비하고, 배기계 부품이, 비도전성의 지지 부재를 통해 차량 보디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차량 보디 및 엔진의 배기계 부품에 정의 전하가 대전되는, 차량의 엔진의 배기 장치이며, 상기 배기 장치는,
    비도전성 벽면 상에 설치하면 상기 설치 개소를 중심으로 한 한정된 범위 내의 비도전성 벽면 상의 대전 전하량을 저하시키는 자기 방전식 제전기이며, 상기 비도전성의 지지 부재 상에 설치됨으로써 배기계 부품을 제전하도록 하는 자기 방전식 제전기(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의 배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가 고무 재료로 이루어지는, 차량의 엔진의 배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가 고무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무편의 상방부가 차량 보디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상기 고무편의 하방부에 의해 배기계 부품이 지지되어 있고,
    상기 자기 방전식 제전기가 상기 비도전성의 지지 부재의 벽면 상에 설치되어 있는, 차량의 엔진의 배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편이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관통 구멍(8a, 8b)을 구비하고 있고,
    차량 보디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제1 지지 막대(6)가 한쪽의 관통 구멍(8a) 내에 삽입되어 있고, 배기계 부품에 고정된 제2 지지 막대(7)가 다른 쪽의 관통 구멍(8b) 내에 삽입되어 있는, 차량의 엔진의 배기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배기계 부품은, 소음기(3), 촉매 컨버터(1) 및 배기관(2)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차량의 엔진의 배기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방전식 제전기는, 상기 지지 부재의 벽면 상에 도전성 접착제(12)에 의해 접착된 금속박(11)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의 엔진의 배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방전식 제전기는, 자기 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한 코너부(13)를 갖고 있는, 차량의 배기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방전식 제전기는, 가늘고 긴 직사각 형상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는, 차량의 엔진의 배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방전식 제전기는, 상기 지지 부재의 벽면 상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도전성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의 엔진의 배기 장치.
KR1020150186198A 2014-12-26 2015-12-24 차량의 배기 장치 KR1017677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65749 2014-12-26
JP2014265749A JP6115559B2 (ja) 2014-12-26 2014-12-26 車両の排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711A true KR20160079711A (ko) 2016-07-06
KR101767786B1 KR101767786B1 (ko) 2017-08-11

Family

ID=55027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6198A KR101767786B1 (ko) 2014-12-26 2015-12-24 차량의 배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196959B2 (ko)
EP (1) EP3037638B1 (ko)
JP (1) JP6115559B2 (ko)
KR (1) KR101767786B1 (ko)
CN (1) CN105736110B (ko)
BR (1) BR102015032657A8 (ko)
RU (1) RU2614399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68157B2 (ja) 2013-10-30 2017-07-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124020B2 (ja) 2014-08-29 2017-05-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帯電電荷低減装置
JP6128093B2 (ja) 2014-10-16 2017-05-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吸気装置
JP6160603B2 (ja) 2014-12-19 2017-07-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冷却装置
JP6201980B2 (ja) 2014-12-25 2017-09-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吸気装置
JP6146405B2 (ja) * 2014-12-26 2017-06-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およびエンジンの製造方法
JP6183383B2 (ja) 2015-01-13 2017-08-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JP6365316B2 (ja) 2015-01-19 2018-08-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潤滑油又は燃料の供給装置
EP3048017B1 (en) 2015-01-23 2017-11-0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Damping force generation device for vehicle
JP6281501B2 (ja) * 2015-01-29 2018-02-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車輪支持装置
JP6248962B2 (ja) 2015-02-10 2017-12-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動力発生装置
JP6380211B2 (ja) * 2015-04-02 2018-08-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
JP6344292B2 (ja) * 2015-04-03 2018-06-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CN106246309A (zh) * 2016-08-28 2016-12-21 桂林新艺制冷设备有限责任公司 一种高效排气管装置
JP2018179053A (ja) * 2017-04-06 2018-11-15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インシュレータ
CN107933463B (zh) * 2017-11-07 2019-09-20 纳恩博(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的静电释放方法及车辆
CN108010090B (zh) * 2018-01-12 2024-03-29 深圳市道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车载夜视摄像装置标定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24448A (en) 1956-09-22 1959-12-02 Ernesto Mario Conconi Electro-statically acting air purifier, particularly adapte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2925874A (en) * 1958-02-13 1960-02-23 Pacific Car & Foundry Co Exhaust stack for tilting-cab vehicles
US3597668A (en) 1968-10-17 1971-08-03 Goro Fujii Electrostatic charger for liquid fuel by friction
GB1356769A (en) 1973-03-27 1974-06-12 Cit Alcatel Apparatus and method for depositing thin layers on a substrate
DE2749575A1 (de) 1977-11-05 1979-05-10 Bosch Gmbh Robert Messonde mit mindestens einem temperaturabhaengigen widerstand zur messung der masse eines stroemenden mediums
JPS6229323Y2 (ko) * 1981-04-06 1987-07-28
JPS61194999A (ja) 1985-02-23 1986-08-29 Terumo Corp 超音波探触子
JPS61194999U (ko) 1985-05-28 1986-12-04
AU6229486A (en) 1985-09-06 1987-03-24 Eastman Kodak Company Conductive filter cartridge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S63243720A (ja) 1987-03-30 1988-10-11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吸入空気量検出装置
JPH0610259Y2 (ja) 1987-12-25 1994-03-16 マツダ株式会社 熱線式流量センサ
JPH01169323A (ja) 1987-12-25 1989-07-04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吸入空気量検出装置
US5095400A (en) 1988-12-06 1992-03-10 Saito Kohki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static electricity
JP2851960B2 (ja) 1991-12-24 1999-01-27 日本碍子株式会社 内燃機関の吸入空気量測定装置
JPH05238438A (ja) 1992-02-28 1993-09-17 Shizuo Kawai 自動車、オートバイ等車輛の燃費向上方法
US5212451A (en) 1992-03-09 1993-05-18 Xerox Corporation Single balanced beam electrostatic voltmeter modulator
US5382359A (en) 1993-05-13 1995-01-17 Parr Manufacturing, Inc. Plastic fuel filter with conductive coating for providing an evaporative barrier and for dissipating electrostatic charges
RU2078965C1 (ru) * 1994-02-08 1997-05-10 Евгений Леонидович Блинков Система выхлопа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CA2186644A1 (en) * 1996-09-27 1998-03-28 Colin A. Sutherland Electrostatic shock prevention device for use in vehicles
JP3226889B2 (ja) 1998-05-06 2001-11-05 シンワ プロダクト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導電性粘着テープ
KR200190697Y1 (ko) 1999-12-23 2000-08-01 김기완 정전기 자체 방전구
EP1116621A1 (de) * 2000-01-12 2001-07-18 WEGU Gummi- und Kunststoffwerke GmbH & Co. KG Elastisches Pendellager, insbesondere zur Aufh-ngung einer Abgasanlage an einem Fahrzeugboden
JP2001355524A (ja) 2000-06-14 2001-12-26 Sigma Science Kk 燃費向上等の流体活性化方法およびそのシート
JP2002104106A (ja) 2000-09-27 2002-04-10 Achilles Corp 産業車両の除電装置
US20080036241A1 (en) 2001-02-15 2008-02-14 Integral Technologies, Inc. Vehicle body, chassis, and braking systems manufactured from conductive loaded resin-based materials
US6703557B2 (en) 2001-05-29 2004-03-09 Philip Alper Vehicle antistatic device
JP3912733B2 (ja) 2002-01-18 2007-05-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乗り物用の燃料配管構造
JP3953348B2 (ja) 2002-03-27 2007-08-08 日清紡績株式会社 ドラムブレーキ
TWI313054B (en) 2003-07-22 2009-08-01 Trinc Or Static eliminator
JP2006151298A (ja) * 2004-11-30 2006-06-15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自動車
JP2006183625A (ja) * 2004-12-28 2006-07-13 Kanagawa Toyota Motor Sales Co Ltd 車両の排気系統のアース方法及びアース部材
JP2006234093A (ja) 2005-02-25 2006-09-07 Nsk Ltd 車輪支持用転がり軸受装置
DE202005008665U1 (de) * 2005-06-03 2005-09-08 Wegu Gmbh & Co. Kg Elastische Schlaufe, insbesondere zur Aufhängung der Abgasanlage eines Kraftfahrzeugs
CN1913739A (zh) * 2005-08-12 2007-02-14 中华映管股份有限公司 消除静电的方法
EP1954533A1 (de) * 2005-11-30 2008-08-13 Horst Sonnendorfer Einkaufswagen
JP4474391B2 (ja) 2006-08-10 2010-06-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気体濾過装置
JP4369456B2 (ja) 2006-09-14 2009-11-18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静電気除去装置
JP4936372B2 (ja) 2007-01-23 2012-05-23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大気圧放電プラズマ発生装置
US7971689B2 (en) 2008-03-28 2011-07-05 Wayne-Ian Moore Hydraulic caliper brake assembly for a bicycle
CN102066103A (zh) 2008-06-16 2011-05-18 优泊公司 静电吸附片材
US7684169B1 (en) 2008-11-05 2010-03-23 Alpha Innovation, Inc. Protective ionizing surface for eliminating static
JP5431746B2 (ja) 2009-02-17 2014-03-05 徹 中井 電荷サプライヤ
US7832528B1 (en) 2009-06-16 2010-11-16 Amtai Medical Equipment, Inc. Brake mechanism for operating table
DE102010003789B4 (de) * 2010-04-09 2012-09-20 Wegu Gmbh & Co. Kg Elastisches Lager mit in seiner Hauptebene beidseitig eingeschnittener Grundplatte
CN201685772U (zh) * 2010-05-26 2010-12-29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的油管和包括该油管的油箱
US8432658B1 (en) * 2011-11-16 2013-04-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ntistatic coating of fuel cell exhaust systems made of plastic
US9261062B2 (en) 2012-05-03 2016-02-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queeze clip ground strap
JP6124020B2 (ja) 2014-08-29 2017-05-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帯電電荷低減装置
JP3194675U (ja) 2014-09-23 2014-12-04 株式会社エヌジーシージャパン 帯電除去装置
JP6128093B2 (ja) 2014-10-16 2017-05-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吸気装置
JP6160603B2 (ja) 2014-12-19 2017-07-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冷却装置
JP6201980B2 (ja) 2014-12-25 2017-09-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吸気装置
JP6146405B2 (ja) 2014-12-26 2017-06-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およびエンジンの製造方法
JP6183383B2 (ja) 2015-01-13 2017-08-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JP6365316B2 (ja) 2015-01-19 2018-08-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潤滑油又は燃料の供給装置
EP3048017B1 (en) 2015-01-23 2017-11-0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Damping force generation device for vehicle
JP6281501B2 (ja) 2015-01-29 2018-02-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車輪支持装置
JP6248962B2 (ja) 2015-02-10 2017-12-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動力発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37638A1 (en) 2016-06-29
JP6115559B2 (ja) 2017-04-19
JP2016125400A (ja) 2016-07-11
US20160186639A1 (en) 2016-06-30
US10196959B2 (en) 2019-02-05
BR102015032657A8 (pt) 2022-10-04
KR101767786B1 (ko) 2017-08-11
CN105736110B (zh) 2019-01-08
BR102015032657A2 (pt) 2018-03-13
EP3037638B1 (en) 2018-03-14
RU2614399C1 (ru) 2017-03-28
CN105736110A (zh) 201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7786B1 (ko) 차량의 배기 장치
KR101777013B1 (ko) 차량의 흡기 장치
KR101914880B1 (ko) 차량의 흡기 장치
KR101757072B1 (ko) 차량의 냉각 장치
EP2468411B1 (en) Electric precipitator
JP2016133032A (ja) 車両の潤滑油又は燃料の供給装置
JP6146405B2 (ja) エンジンおよびエンジンの製造方法
EP3067255A1 (en) Vehicle
WO20081366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ow control of a gas
EP3815791A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JP4772759B2 (ja) ディフューザ
JP2009295440A (ja) イオン発生装置
KR101616583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이온발생기
JP4543436B2 (ja) イオン発生装置及び除電装置
KR20220114086A (ko) 전기 집진기
JPH0636876B2 (ja) イオン風式空気清浄器
JP2007311229A (ja) 除電装置のルーバおよび除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