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6352A - 자동차 생산라인의 대차 이송시스템 및 이송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생산라인의 대차 이송시스템 및 이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6352A
KR20160076352A KR1020140186455A KR20140186455A KR20160076352A KR 20160076352 A KR20160076352 A KR 20160076352A KR 1020140186455 A KR1020140186455 A KR 1020140186455A KR 20140186455 A KR20140186455 A KR 20140186455A KR 20160076352 A KR20160076352 A KR 20160076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gie
rail
unit
carriage
produc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6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중
서근배
강성칠
권오원
장창옥
김길호
차병락
윤석우
류상기
허태욱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6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6352A/ko
Publication of KR20160076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3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9/00Apparatus for assisting manual handling having suspended load-carriers movable by hand or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생산라인의 대차 이송시스템 및 이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 생산라인에 있어 대차를 이송하는 설비를 간소화시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대차 이송시스템 및 이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자동차 생산라인의 공간에 설치되고, 제 1 레일과 제 2 레일이 형성된 서포트; 상기 제 1 레일 상에 복수개가 배치되고 자체적으로 주행이 가능하며 대차를 작업공정으로 이송하는 주행부; 자동차 프레임을 탑재한 상태로 상기 제 2 레일 상에서 주행하는 대차; 상기 제 2 레일 일측에 설치되고 대차가 제 2 레일 상에서 주행할 수 있도록 이송시키는 제 1 이송부; 및 상기 제 2 레일 타측에 설치되고 대차를 개별적으로 일정 위치까지 이송시키기 위한 제 2 이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차 생산라인의 대차 이송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생산라인의 대차 이송시스템 및 이송방법{Carrier transfer systems and methods of the automobile production line}
본 발명은 자동차 생산라인의 대차 이송시스템 및 이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 생산라인에 있어 대차를 이송하는 설비를 간소화시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대차 이송시스템 및 이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수많은 부품의 결합체로 이루어지는바, 자동차를 조립생산할 경우에는 각각 특징이 있는 부분 예컨대 프레임부분, 바디부분, 구동부분 등을 각각 전문화된 조립공장에서 조립하게 된다.
이러한 각각의 조립공장은 통상 조립 시작단계부터 완성단계에 이르기까지 연속되는 공정라인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면서 조립이 완성되고 있으며, 상기한 조립생산 라인의 이동방식은 크게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는 방식과 트랜스퍼방식 등이 있다.
통상 자동차 생산라인을 보면 자동차 프레임을 대차에 탑재하여 조립/도장 작업 등으로 나뉘어 공정별로 연속 이송시키면서 자동차 프레임에 각종 부속장치들을 탑재하거나 부품들을 조립/도장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생산라인의 대차 이송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로서, 생산공정이 이루어지는 장소에 레일(1)이 설치되고, 상기 레일(1)에 대차(2)가 탑재되어 각 공정라인을 순차적으로 지나면서 생산이 진행된다.
한편, 종래의 경우 각 대차(2)에는 모터, 감속기, 브레이크 등이 구비된 주행부(3)가 레일(1) 상에 탑재되고 주행부마다 설치된 컨트롤러(5)의 신호에 따라 대차(2)가 주행하게 된다.
또한, 각 개별의 대차(2)간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거리감지센서, 충돌방지센서, 비상정지스위치 등의 많은 안전장치들이 설치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각 대차(2)에 각종 센서를 포함하는 주행부(3)를 설치하고, 주행부(3)의 주행을 조종하기 위해 별도의 컨트롤러(5)를 구비하여 대차 이송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많은 수의 전기적 장치가 결합됨으로써 기기의 오작동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에 대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 생산라인의 대차를 이송하는 설비를 간소화시키고, 전기장치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대차 이송시스템 및 이송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공간에 설치되고, 제 1 레일과 제 2 레일이 형성된 서포트; 상기 제 1 레일 상에 복수개가 배치되고 자체적으로 주행이 가능하며 대차를 작업공정으로 이송하는 주행부; 자동차 프레임을 탑재한 상태로 상기 제 2 레일 상에서 주행하는 대차; 상기 제 2 레일 일측에 설치되고 대차가 제 2 레일 상에서 주행할 수 있도록 이송시키는 제 1 이송부; 및 상기 제 2 레일 타측에 설치되고 대차를 개별적으로 일정 위치까지 이송시키기 위한 제 2 이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2 레일에는, 각각의 대차가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토크모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레일에는, 공정이 끝나는 지점에 대차가 위치한 것을 감지하기 위해 위치센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상기 자동차 생산라인의 대차 이송시스템으로 구성되는 대차 이송방법에 있어서, 주행부에 결합된 대차를 제 1 이송부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대차가 제 1 이송부의 작동에 따라 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주행부에 의해 후속 대차가 연속적으로 제 1 이송부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주행부의 작동에 의해 후속 대차가 선행 대차를 밀면서 대차가 주행하는 단계; 토크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레일 상에서 주행하는 대차 간의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단계; 제 2 이송부를 이용하여 각 대차를 일정 위치 앞으로 이송시키는 단계; 대차가 위치센서 위치에 도착하면 상기 주행부가 대차의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주행부에 대차를 결합하여 후속 공정 위치로 대차를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생산라인의 대차 이송시스템 및 이송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자동차 프레임을 싣고 생산라인을 이동하는 대차를 별도의 동력에 의해 주행하지 않고 무동력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각 대차는 뒤따르는 대차의 밀림에 의해 선행하는 대차가 앞으로 나가게 됨에 따라 대차의 주행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각 대차가 개별적으로 주행하기 위한 주행부를 마련하지 않고 이에 필요한 센서 등을 갖추지 않고도 대차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 대차를 이송하기 위한 설비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전기적 장치의 사용을 줄임으로써 기기의 오작동 비율을 낮출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생산라인의 대차 이송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생산라인의 대차 이송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생산라인의 대차 이송시스템의 정면도.
도 4는 A부분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주행부에서 대차가 분리되어 진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선행 대차부터 후속 대차까지 연속적으로 주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제 2 이송부에 의해 대차가 일정거리 앞으로 보내지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주행부에 대차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생산라인의 대차 이송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생산라인의 대차 이송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생산라인의 대차 이송시스템의 정면도.
도 4는 A부분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주행부에서 대차가 분리되어 진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선행 대차부터 후속 대차까지 연속적으로 주행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제 2 이송부에 의해 대차가 일정거리 앞으로 보내지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주행부에 대차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생산라인의 대차 이송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생산라인의 대차 이송시스템은 크게, 서포트(100), 주행부(200), 대차(300), 제 1 이송부(400), 제 2 이송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서포트(100)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공간에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상기 서포트는 (100) 자동차 생산의 공정이 이루어지는 공간에 수평상으로 기준이 되는 프레임이 설치되며, 이에 대하여 일정 간격마다 수직으로 프레임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서포트(100)에 있어서 상부 하부에 각각 수평상으로 연속되게 후술하는 주행부(200)가 주행하기 위한 제 1 레일(110)와 대차(300)가 안착되어 주행하기 위한 제 2 레일(120)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레일(120) 상부에는 대차(300)가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프리롤러(121)가 설치된다.
상기 프리롤러(121)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롤러가이드(121a)가 위쪽으로 개방되도록 고정되고, 상기 롤러가이드(121a)에는 복수개의 구름부(121b)가 축결합된다.
이렇게 상기 프리롤러(211)에 대차(300)가 올려지고 구름부(211b)의 회전에 따라 대차(300)가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정이 끝나는 지점의 레일(210)의 일측으로 대차(30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센서(130)가 설치되며, 상기 위치센서(130)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는 대차(300)와 관련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 2 레일(120)에는 각각의 대차(300)가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토크모터(140)가 설치된다.
상기 토크모터(140)는 대차의 주행 반대방향으로 모터가 회전하여 대차(300) 진행의 저항을 주어 대차(300) 간의 서로 간격이 벌어지지 않고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제 2 레일(120) 상에 설치된다.
다음으로, 주행부(200)는 이전 단계의 공정으로부터 자동차 프레임(F)이 탑재된 대차(300)를 인수받아 본 공정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주행부(200)는 자체적으로 주행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 1 레일(110) 상에 주행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부(210), 상기 모터부(210)를 제어하는 제어부(220), 승, 하강을 위한 승하강부(230) 및 대차(300)와 결합되는 체결부(240)로 구성된다.
상기 주행부(200)는 지상측 작업자가 전압레벨를 통해 조종이 이루어지는데, 주행부(200)는 전압을 전달받아 주행 속도를 제어하거나 작동하게 된다.
이때, 외부의 조종에 의해 신호를 받아 작동되는 제어부(22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220)는 유선케이블로 연결된 별도의 펜던트스위치(미도시)로 작동되거나, 무선 통신을 통해 작동될 수 있다.
한편, 주행부(200)에는 대차(300)를 체결하기 위해 하부에 체결부(240)가 설치되며, 체결부(240)와 연결된 승하강부(230)를 통해 대차(300)가 승, 하강하여 제 2 레일(120)로 안착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대차(300)는 해당 공정에 있어서 자동차 프레임(F)을 공정의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대차(300)는 제 2 레일(120)에 안착되고 복수개가 배치된다.
여기서 대차(300)는 크게, 제 2 레일(120)의 프리롤러(121)에 안착되는 안착부(310), 자동차 프레임(F)이 탑재되는 탑재부(320) 및 주행부(200)와 체결되는 결합부(330)로 구성된다.
상기 안착부(310)는 제 2 레일(120)의 프리롤러(121) 얹혀지도록 설치되어 대차(300)가 제 2 레일(120) 상에서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탑재부(320)에 자동차 프레임(F)을 탑재한 상태로 제 2 레일(120) 상에서 이동하면서 각 공정에 필요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결합부(330)는 주행부(200)의 체결부(24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데, 상기 체결부(240)가 걸린 상태에서 이탈되지 못하도록 상부가 꺾인 걸림턱(331)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제 1 이송부(400)는 상기 대차(300)가 레일(210) 상에서 최초에 동력의 전달을 받아 주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이송부(400)는 공정이 시작되는 지점의 레일(210)의 양측에 설치된다.
제 1 이송부(400)는 크게 동력을 생산하는 모터(410), 상기 모터(4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고 회전 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감속기(420), 상기 모터(410)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을 대차(300)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하는 기어박스(430)로 구성된다.
상기 모터(410)는 수직되도록 설치되고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감속기(420)는 모터(410)로부터 발생된 회전에 대해 회전 수를 감속시키고 회전력 상승을 위해 모터(410)와 연동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감속기(420)의 감속비는 특정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기어박스(430)는 감속기(420)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 1 스프로킷(431), 제 1 스프로킷(431)에 연결되는 체인(432), 상기 제 1 스프로킷(431) 반대측에 설치되어 체인(432)을 지지하는 지지축(43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스프로킷(431)은 일반적인 톱니가 형성된 기어(Gear) 형태이다.
상기 제 1 스프로킷(431)에는 상기 체인(432)이 체결되어 제 1 스프로킷(431)의 회전에 의해 체인(432)이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스프로킷(431)과 이격된 거리에는 체인(432)이 걸어져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축(433)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축(433)은 중심이 축 고정되고, 상기 지지축(433)에는 체인(432)이 걸어지는 제 2 스프로킷(433a)이 설치되며, 상기 제 2 스프로킷(433a) 상부에는 지지축(433)에 고정되는 롤러(433b)가 구비된다.
상기 롤러(433b)는 대차(300)의 안착부(310) 양측 부분과 접하도록 위치된다.
한편, 상기 기어박스(430)는 제 1 스프로킷(431), 체인(432), 지지축(433)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커버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제 1 이송부(400)는 자동차 프레임(F)이 탑재되는 대차(300) 위치의 제 2 레일(120)에 설치되어 무동력의 대차(300)를 제 2 레일(120) 상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한다.
즉, 제 1 이송부(400)의 작동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이 대차(300)의 안착부(310) 양측 부분으로 전달됨으로써 대차(300)는 제 2 레일(120) 상에서 이동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대차(300)는 제 1 이송부(400)에 의해 제 2 레일(120)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전진하게 되고, 연속해서 후속 대차(300)가 제 1 이송부(400)에 위치되어 동력을 전달받으면서 후속 대차(300)는 선행 대차(300)의 뒷부분과 접촉되어 밀어냄으로써 순차적으로 선행 대차(300)부터 뒤따르는 후속 대차(300)가 줄지어 전진하면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설명한 서포트(200)의 위치센서(220)는 후술하는 제 2 이송부(500) 앞 부분의 제 2 레일(120)에 설치되어 선행 대차(300)가 위치센서(130)의 설치된 지점에 도달하면 이를 감지하여 주행부(200)가 선행 대차(300)의 위치로 배치되어 대차(3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제 2 이송부(500)는 해당 공정이 끝나는 지점까지 선행 대차(300)부터 순차적으로 일정위치 앞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 이송부(500)는 본 공정의 끝나는 지점 제 2 레일(120)에 설치된다.
상기 제 2 이송부(500)는 순차적으로 이동된 대차(300)를 선행 대차(300)부터 순차적으로 일정 위치 앞으로 보내는 작업을 수행한다.
즉, 무동력으로 제 2 레일(120) 상에서 이송된 대차(300)를 본 공정이 끝나면 제 2 이송부(500)의 동력을 이용하여 후속 대차와 거리를 둔 상태로 앞서 나가게 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이송부(500)는 상기 설명한 제 1 이송부(400)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하되, 본 공정의 끝나는 지점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즉, 제 2 이송부(500)는 모터(510), 감속기(520), 기어박스(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제 2 이송부(500)의 동력 발생 원리와 방법 또한 제 1 이송부(500)의 것과 동일하게 구성되게 된다.
상기 설명한 주행부(200)는 최초 본 공정으로 대차(300)를 이송하고, 경우에 따라 복수개가 제 2 레일(120) 상에 배치되어 제 2 이송부(500)를 거친 대차(300)를 후속 공정으로 보내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비교적 공정의 진행 속도가 느리게 진행되는 공정에서는 1대의 주행부(200)로 대차(300)를 본 공정으로 이송하거나 후속공정으로 보내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설명한 자동차 생산라인의 대차 이송시스템을 기준으로 구성되는 대차 이송방법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자동차 생산라인의 대차 이송방법은 크게, 주행부에 결합된 대차를 제 1 이송부로 이송하는 단계(S100), 상기 대차가 제 1 이송부의 작동에 따라 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단계(S200), 상기 주행부에 의해 후속 대차가 연속적으로 제 1 이송부로 이동하는 단계(S300), 상기 주행부의 작동에 의해 후속 대차가 선행 대차를 밀면서 대차가 주행하는 단계(S400), 토크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레일 상에서 주행하는 대차 간의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단계(S500), 제 2 이송부를 이용하여 각 대차를 일정 위치 앞으로 이송시키는 단계(S600), 대차가 위치센서 위치에 도착하면 상기 주행부가 대차의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S700) 및 상기 주행부에 대차를 결합하여 후속 공정 위치로 대차를 이송하는 단계(S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주행부에 결합된 대차를 제 1 이송부로 이송하는 단계(S100)는 주행부(200)에 결합된 자동차 프레임(F)이 탑재된 대차(300)를 본 작업 공정의 제 1 이송부(400)로 이송하는 단계이다.
즉, 제 1 레일(110) 상에서 주행부(200)가 대차(300)와 체결된 상태로 제 1 이송부(400) 위치로 이동한 뒤 주행부(200)와 대차(300)가 분리되어 제 1 이송부(400) 위치에 대차(300)가 위치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상기 대차가 제 1 이송부의 작동에 따라 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단계(S200)는 제 2 레일(120)에 안착된 자동차 프레임(F)이 탑재된 대차(300)가 제 1 이송부(400)의 작동에 의해 제 2 레일(120)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주행하는 단계로써, 최초 선행 대차(300)가 제 1 이송부(4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상기 주행부에 의해 후속 대차가 연속적으로 제 1 이송부로 이동하는 단계(S300)는 선행 대차(300)가 제 2 레일(120)에서 주행하고 난 뒤 그 다음 뒤따르는 후속 대차(300) 순차적으로 제 1 이송부(400)의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이다.
즉, 최초 선행 대차(300)가 제 1 이송부(400)에 의해 레일(210)에서 주행하고, 일정 시간 뒤 주행부(200)에 의해 후속 대차(300)가 제 1 이송부(400)의 위치로 이동하여 순차적으로 여러 대의 대차(300)가 공정에 투입되기 전 대기하는 상태이다.
다음으로, 상기 주행부의 작동에 의해 후속 대차가 선행 대차를 밀면서 대차가 주행하는 단계(S400)는 상기 선행 대차(300)를 뒤따르는 후속 대차(300)가 선행 대차(300)의 위치까지 도달하게 되면서 선행 대차(300)와 밀착된 상태로 놓이고 선행 대차(300)를 점점 앞으로 밀어내어 줄지어 선행 대차(300)부터 후속 대차(300)까지 주행하는 단계이다.
이렇게 최초 제 1 이송부(400)를 통해 선행 대차(300)가 전진하게 되면, 이를 뒤따르는 후속 대차(300)는 선행 대차(300)를 밀어내는 방식으로 선행 대차(300)부터 후속 대차(300)까지 무동력 상태에서 탄력을 받아 점점 앞으로 주행할 수 있게 된다.
토크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레일 상에서 주행하는 대차 간의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단계(S500)는 상기 선행 대차(300)부터 후속 대차(300)까지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단계이다.
상기 토크모터(140)는 대차(300)의 진행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모터로써, 선행 대차(300)부터 앞서 나가지 않도록 제어하여 후속 대차(300)까지 간격이 벌어지지 않도록 대차(300)의 밀착된 간격을 제어한다.
제 2 이송부를 이용하여 각 대차를 일정 위치 앞으로 이송시키는 단계(S600)는 선행 대차(300)부터 후속 대차(300)까지 줄지어 밀착되어 주행한 상태에서 선행 대차(300)를 후속 대차(300)와 일정 거리를 두고 앞서 가도록 하기 위해 대차(300)를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즉, 선행 대차(300)가 공정이 끝나는 지점에 도달하게 되면 위치센서(130가 이를 감지하여 주행부(200)를 제 2 이송부(500) 위치로 보내고, 선행 대차(300)와 후속 대차(300를 제 2 이송부(500)에 도착하는 시간차를 두어 주행부(200)가 대차(300)와 결합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주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대차가 위치센서 위치에 도착하면 상기 주행부가 대차의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S700)는 선행 대차부터(300) 위치센서(130) 위치에 도달하면 주행부(200)가 제 2 이송부(500)를 거친 대차(300)의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이다.
제 2 레일(120)에 배치되는 주행부(200)는 선행 대차(300)가 공정이 끝나는 지점에 도착한 것을 인식하여 후속 공정이 진행되는 곳으로 대차(300)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 2 이송부(500)의 위치에 있는 대차(300)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대차(300)의 진행 속도에 비례하여 복수개의 주행부(200)를 배치하여 시간차에 대비하여 운영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주행부에 대차를 결합하여 후속 공정 위치로 대차를 이송하는 단계(S800)는 상기와 같이 주행부(200)가 선행 대차(300)의 위치로 오게되면 주행부(200)와 대차(300)가 결합되어 주행부(200)의 주행에 의해 후속 공정이 이루어지는 곳을 이동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주행부(200)는 제 2 레일(120) 상에 배치되어 대차(300)를 본 공정으로 공급하거나 후속 공정으로 보내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와 같은 방법을 반복하는 과정을 통해 본 공정의 대차(300)가 자체 동력이 없음에도 제 2 레일(120) 상에서 주행이 가능케 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한 자동차 생산라인의 대차 이송시스템의 작용 및 이송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공정에 앞서 진행된 공정을 마친 자동차 프레임(F)이 탑재된 대차(300)는 주행부(200)에 의해 작업공정으로 배치된다.
이때, 주행부(200)에 결합된 대차(300)는 제 2 레일(120) 위치로 하강하여 제 2 레일(120)에 위치되고 주행부(200)는 대차(300)와 분리되어 최초 위치로 이동한다.
그 다음, 제 1 이송부(400)의 작동에 의해 자동차 프레임(F)을 탑재한 대차(300)는 제 2 레일(120) 상에서 전진하면서 주행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설명한 방법을 반복하여 후속 대차(300)를 제 1 이송부(400)의 위치로 배치한 뒤 제 1 이송부(400)를 작동시켜 전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후속 대차(300)는 선행 대차(300)의 뒷부분과 접촉하면서 선행 대차(300)를 점점 앞으로 밀어내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과정을 통해 선행 대차(300)부터 후속 대차(300)까지 줄지어 본 공정을 통과하면서 대차(300)가 주행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순차적으로 제 2 이송부(500)의 작동에 따라 선행 대차(300)부터 일정 거리 앞으로 이동한다.
이때, 주행부(200)는 제 2 이송부(500)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제 2 이송부(500)에 도착한 대차(300)는 주행부(200)와 결합되어 승강하여 제 1 레일(110)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그 다음, 자동차 프레임(F)을 탑재한 대차(300)와 결합된 주행부(200)는 후속 공정이 진행되는 위치로 대차(300)를 이송하는 단계를 끝으로 본 공정의 대차 이송방법이 완료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자동차 프레임(F)을 싣고 생산라인을 이동하는 대차(300)를 별도의 동력에 의해 주행하지 않고 무동력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각 대차(300)는 뒤따르는 대차(300)의 밀림에 의해 선행하는 대차(300)가 앞으로 나가게 됨에 따라 대차(300)의 주행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각 대차(300)가 개별적으로 주행하기 위한 주행부(200)를 마련하지 않고 이에 필요한 센서 등을 갖추지 않고도 대차(300)의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 대차(300)를 이송하기 위한 설비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전기적 장치의 사용을 줄임으로써 기기의 오작동 비율을 낮출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 특징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서포트 110: 제 1 레일
120: 제 2 레일 121: 프리롤러
121a: 롤러가이드 121b: 구름부
130: 위치센서 140: 토크모터
200: 주행부 210: 모터부
220: 제어부 230: 승하강부
240: 체결부 300: 대차
310: 안착부 320: 탑재부
330: 결합부 331: 걸림턱
400: 제 1 이송부 410: 모터
420: 감속기 430: 기어박스
431: 제 1 스프로킷 432: 체인
433: 지지축 433a: 제 2 스프로킷
433b: 롤러 500: 제 2 이송부
510: 모터 520: 감속기
530: 기어박스 F: 자동차 프레임

Claims (4)

  1. 자동차 생산라인의 공간에 설치되고, 제 1 레일과 제 2 레일이 형성된 서포트;
    상기 제 1 레일 상에 복수개가 배치되고 자체적으로 주행이 가능하며 대차를 작업공정으로 이송하는 주행부;
    자동차 프레임을 탑재한 상태로 상기 제 2 레일 상에서 주행하는 대차;
    상기 제 2 레일 일측에 설치되고 대차가 제 2 레일 상에서 주행할 수 있도록 이송시키는 제 1 이송부; 및
    상기 제 2 레일 타측에 설치되고 대차를 개별적으로 일정 위치까지 이송시키기 위한 제 2 이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대차 이송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레일에는, 각각의 대차가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토크모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대차 이송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레일에는, 공정이 끝나는 지점에 대차가 위치한 것을 감지하기 위해 위치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대차 이송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2항으로 구성되는 대차 이송방법에 있어서,
    주행부에 결합된 대차를 제 1 이송부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대차가 제 1 이송부의 작동에 따라 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주행부에 의해 후속 대차가 연속적으로 제 1 이송부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주행부의 작동에 의해 후속 대차가 선행 대차를 밀면서 대차가 주행하는 단계;
    토크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레일 상에서 주행하는 대차 간의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단계;
    제 2 이송부를 이용하여 각 대차를 일정 위치 앞으로 이송시키는 단계;
    대차가 위치센서 위치에 도착하면 상기 주행부가 대차의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주행부에 대차를 결합하여 후속 공정 위치로 대차를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생산라인의 대차 이송방법.
KR1020140186455A 2014-12-22 2014-12-22 자동차 생산라인의 대차 이송시스템 및 이송방법 KR201600763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455A KR20160076352A (ko) 2014-12-22 2014-12-22 자동차 생산라인의 대차 이송시스템 및 이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455A KR20160076352A (ko) 2014-12-22 2014-12-22 자동차 생산라인의 대차 이송시스템 및 이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352A true KR20160076352A (ko) 2016-06-30

Family

ID=56352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455A KR20160076352A (ko) 2014-12-22 2014-12-22 자동차 생산라인의 대차 이송시스템 및 이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635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635B1 (ko) 2017-09-04 2019-03-1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이송대차
KR102125096B1 (ko) 2020-01-30 2020-06-19 주식회사 비엠피 제품 이송시스템
KR102330959B1 (ko) 2020-06-15 2021-11-25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이송대차
KR102528570B1 (ko) 2022-11-29 2023-05-04 (주)대경기계 차량의 바디를 이송하기 위한 이동대차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635B1 (ko) 2017-09-04 2019-03-1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이송대차
KR102125096B1 (ko) 2020-01-30 2020-06-19 주식회사 비엠피 제품 이송시스템
KR102330959B1 (ko) 2020-06-15 2021-11-25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이송대차
KR102528570B1 (ko) 2022-11-29 2023-05-04 (주)대경기계 차량의 바디를 이송하기 위한 이동대차장치
KR20240080084A (ko) 2022-11-29 2024-06-05 (주)대경기계 차량 바디를 틸팅할 수 있는 이동대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8220B1 (ko) 물품 반송 설비
KR20160076352A (ko) 자동차 생산라인의 대차 이송시스템 및 이송방법
JP5193336B2 (ja) 車体組立ライン
JP2011063044A (ja) ワーク搬送設備
JP2009067599A (ja) 輸送機を移動させるための二つの手段を持つ、輸送機内に乗り込んだ乗客を移送するための設備
KR100825117B1 (ko) 무정차 운행중에 여객과 화물을 상하차 시키는 전동열차자동 운행 시스템 및 방법
CN107814120A (zh) 一种轨道运输系统
JP4908384B2 (ja) ロープウェー設備
CN105217253A (zh) 一种生产线用货物运输车
JP5315221B2 (ja) ホームドア装置の設置方法および搬送装置
JP2016110193A (ja) 走行設備
JP2003072608A (ja) 自動車等の組立用搬送装置
JP5344366B2 (ja) 搬送システム
KR20220153744A (ko) 자동차 생산라인의 차량 이송 시스템 및 이송방법
JP3906900B2 (ja) 自動車の組立用搬送装置
JPH07317366A (ja) フォーク式立体駐車装置
JP4120257B2 (ja) 吊り下げ搬送設備
JPH03290599A (ja) シールド資材自動搬送方法及びシールド資材自動搬送装置
JP5470307B2 (ja) 作業ライン用コンベヤ設備
JPH03166027A (ja) 自動車等の組立搬送システム
CN205060753U (zh) 一种生产线用货物运输车
JP3273700B2 (ja) モノレール式搬送装置
CN111391942A (zh) 一种车门安装线及安装方法
JP2000229727A (ja) 台車移送装置
CN110259220A (zh) 一种升降横移载车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