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5007A - 락킹 텅 - Google Patents

락킹 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5007A
KR20160075007A KR1020140184388A KR20140184388A KR20160075007A KR 20160075007 A KR20160075007 A KR 20160075007A KR 1020140184388 A KR1020140184388 A KR 1020140184388A KR 20140184388 A KR20140184388 A KR 20140184388A KR 20160075007 A KR20160075007 A KR 20160075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bing
tongue
locking
end portion
tongu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4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창섭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4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5007A/ko
Publication of KR20160075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50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2Connections between seat belt and buckle tong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락킹 텅은 버클에 체결되는 버클체결공이 전단부에 형성되고, 웨빙이 삽입되도록 웨빙 삽입공이 형성된 텅 플레이트와, 상기 전단부를 노출하도록 상기 텅 플레이트를 감싸도록 결합되며, 상기 텅 플레이트의 웨빙 삽입공과 함께 상기 웨빙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장공을 갖는 텅 몸체 및 상기 웨빙 삽입공의 후단 부위의 텅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장공의 전단 부위의 텅 몸체와 인접하도록 돌출되며, 상기 웨빙의 양단에 가해지는 장력에 의해 변형되면서 상기 장공을 막아 상기 웨빙의 이동을 제한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락킹 텅은 상기 웨빙을 고정하는 구조가 단순하다.

Description

락킹 텅{Locking tongue}
본 발명은 락킹 텅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점식 시트 벨트에서 웨빙을 고정하여 버클에 체결되기 위한 락킹 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운전자 등 탑승자의 운행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 좌석에 시트벨트를 구비하고 있다. 즉, 차량에 설치되는 시트벨트는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몸을 구속하여 2차 충돌 방지 및 충격 완화를 꾀하면서 탑승자가 차체 밖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시트벨트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는 어깨 구속용의 숄더벨트와 허리 구속용의 랩벨트가 조합된 3점식 시트벨트가 주로 적용되고 있다.
상기 시트벨트는 일반적으로 탑승자를 고정시켜 주는 띠 형태의 웨빙과, 상기 웨빙이 감겨 있는 리트랙터와, 상기 웨빙의 인출된 단부에 결합된 락킹 텅과, 상기 락킹 텅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버클로 구성된다.
상기 시트벨트는 사고 발생 또는 급정차시에는 상기 리트랙터에 의해 웨빙의 인출이 억제된다. 그러나, 상기 웨빙의 숄더벨트 및 랩벨트로 분기되는 단부에 걸린 락킹 텅의 웨빙 삽입홀에 상기 웨빙이 삽입되어 있어, 탑승자의 어깨 및 허리의 상대적 움직임에 따라 숄더벨트 또는 랩벨트가 상기 락킹 텅을 기준으로 입출된다. 이러한 상기 웨빙의 입출 움직임은 탑승자를 시트에 견고하게 고정시키지 못하게 되어 탑승자를 불안하게 하고, 탑승자의 안전을 담보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웨빙의 락킹 텅을 기준으로 한 양방향의 상대적인 인입출 움직임을 방지하고자 락킹 텅에 상기 웨빙을 락킹하는 구조를 추가하고 있다. 상기 락킹 텅의 락킹 방식은 슬라이드 락킹방식과 회전 락킹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락킹 텅은 상기 슬라이드 락킹방식이나 회전 락킹방식 모두 구조가 복잡하여 가공 및 조립이 어렵고, 락킹 텅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교체 및 수리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45716호 (2011.05.04. 공개)
본 발명은 웨빙을 락킹하는 단순한 구조를 갖는 락킹 텅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락킹 텅은 버클에 체결되는 버클체결공이 전단부에 형성되고, 웨빙이 삽입되도록 웨빙 삽입공이 형성된 텅 플레이트와, 상기 전단부를 노출하도록 상기 텅 플레이트를 감싸도록 결합되며, 상기 텅 플레이트의 웨빙 삽입공과 함께 상기 웨빙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장공을 갖는 텅 몸체 및 상기 웨빙 삽입공의 후단 부위의 텅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장공의 전단 부위의 텅 몸체와 인접하도록 돌출되며, 사기 웨빙의 양단에 가해지는 장력에 의해 변형되면서 상기 장공을 막아 상기 웨빙의 이동을 제한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락킹 텅은 텅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가 상기 웨빙의 양단에 가해지는 장력에 의해 변형되면서 텅 몸체의 장공을 막아 상기 웨빙의 이동을 제한한다. 상기 락킹 텅은 상기 웨빙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가 단순하므로, 상기 락킹 텅의 가공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락킹 텅은 차량 충돌이나 급정거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웨빙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 텅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락킹 텅이 웨빙을 고정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락킹 텅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락킹 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 텅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락킹 텅이 웨빙을 고정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락킹 텅(100)은 텅 플레이트(110), 텅 몸체(120) 및 돌출부(130)를 포함한다.
텅 플레이트(110)는 버클(미도시)에 체결되는 버클 체결공(112)이 형성되고, 웨빙(10)이 삽입되도록 웨빙 삽입공(114)이 형성된다. 텅 플레이트(110)는 웨빙 삽입공(114)을 기준으로 전단부(116)와 후단부(118)로 구분할 수 있다. 버클 체결공(112)은 전단부(116)에 형성될 수 있다.
텅 플레이트(110)는 버클 체결공(112)을 통하여 상기 버클에 반복적으로 탈착되고, 견고히 체결되어 강한 충격에도 쉽게 이탈되거나 파손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므로, 텅 플레이트(110)는 스틸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텅 몸체(120)는 텅 플레이트(110)의 전단부를 노출하면서 텅 플레이트(110)을 감싸도록 결합된다. 또한, 텅 몸체(120)는 텅 플레이트(110)의 웨빙 삽입공(114)과 함께 웨빙(10)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장공(122)을 갖는다. 텅 몸체(120)는 장공(122)을 기준으로 전단부(124)와 후단부(126)로 구분할 수 있다.
텅 몸체(12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텅 몸체(120)는 상기 스틸재질의 텅 플레이트(110)를 인서트 성형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텅 몸체(120)와 텅 플레이트(110)가 아주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돌출부(130)는 웨빙 삽입공(114)의 후단 부위의 텅 플레이트(110), 즉, 텅 플레이트(110)의 후단부(118)로부터 장공(122)의 전단 부위의 텅 몸체(120), 즉, 텅 몸체(120)의 전단부(124)와 인접하도록 돌출된다. 돌출부(130)는 차량 충돌이나 차량의 급정거로 인해 웨빙(10)의 양단에 강한 장력이 가해지는 경우, 돌출부(130)는 상기 장력에 의해 변형되면서 텅 몸체(120)의 전단부(124)와 더욱 인접하면서 장공(122)을 막는다. 따라서, 웨빙(10)이 돌출부(130)와 텅 몸체(120)의 전단부(124)에 의해 고정되면서 웨빙(10)의 이동이 제한된다. 그러므로, 웨빙(10)의 이동으로 인해 상기 차량의 탑승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돌출부(130)는 스틸재질로 이루어지며, 텅 플레이트(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30)는 텅 플레이트(110)와 연결되는 부위의 단면적이 다른 부위의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30)가 상기 장력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락킹 텅(100)은 돌출부(130)를 이용하여 웨빙(10)을 고정할 수 있으므로, 웨빙(10)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가 단순하다. 따라서, 락킹 텅(100)의 가공이 용이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락킹 텅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락킹 텅(200)은 텅 플레이트(210), 텅 몸체(220) 및 돌출부(230)를 포함한다.
텅 플레이트(210) 및 텅 몸체(220)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한 텅 플레이트(110) 및 텅 몸체(120)에 대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돌출부(230)의 구조를 제외한 기능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한 돌출부(130)의 기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돌출부(230)는 코어(232) 및 커버(234)를 포함한다.
코어(232)는 스틸재질로 이루어지며, 텅 플레이트(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코어(232)는 텅 플레이트(110)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다. 따라서, 코어(232)가 웨빙(10)에 가해지는 장력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커버(234)는 코어(232)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웨빙(10)과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커버(234)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며, 텅 몸체(2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코어(232)가 텅 플레이트(110)와 일체로 형성되고, 커버(234)가 텅 몸체(220)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돌출부(230)의 제작이 용이하다.
또한, 락킹 텅(200)은 돌출부(230)를 이용하여 웨빙(20)을 고정할 수 있으므로, 웨빙(20)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가 단순하다. 따라서, 락킹 텅(200)의 가공이 용이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락킹 텅은 돌출부를 이용하여 웨빙을 고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락킹 텅의 구조가 단순하다. 따라서, 상기 락킹 텅의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락킹 텅 110 : 텅 플레이트
120 : 텅 몸체 130 : 돌출부
10 : 웨빙

Claims (1)

  1. 버클에 체결되는 버클체결공이 전단부에 형성되고, 웨빙이 삽입되도록 웨빙 삽입공이 형성된 텅 플레이트;
    상기 전단부를 노출하도록 상기 텅 플레이트를 감싸도록 결합되며, 상기 텅 플레이트의 웨빙 삽입공과 함께 상기 웨빙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장공을 갖는 텅 몸체; 및
    상기 웨빙 삽입공의 후단 부위의 텅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장공의 전단 부위의 텅 몸체와 인접하도록 돌출되며, 상기 웨빙의 양단에 가해지는 장력에 의해 변형되면서 상기 장공을 막아 상기 웨빙의 이동을 제한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킹 텅.
KR1020140184388A 2014-12-19 2014-12-19 락킹 텅 KR201600750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388A KR20160075007A (ko) 2014-12-19 2014-12-19 락킹 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388A KR20160075007A (ko) 2014-12-19 2014-12-19 락킹 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007A true KR20160075007A (ko) 2016-06-29

Family

ID=56365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4388A KR20160075007A (ko) 2014-12-19 2014-12-19 락킹 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50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42321A (zh) * 2019-05-14 2020-11-1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安全带锁舌、安全带和车辆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5716A (ko) 2009-10-27 2011-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시트벨트의 버클 텅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5716A (ko) 2009-10-27 2011-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시트벨트의 버클 텅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42321A (zh) * 2019-05-14 2020-11-1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安全带锁舌、安全带和车辆
CN111942321B (zh) * 2019-05-14 2022-03-1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安全带锁舌、安全带和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27249B2 (ja) ロッキングタング
JP4562085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5943512B2 (ja) タング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8056229A (ja) シートベルトショルダアンカ
CN106080497B (zh) 座椅安全带卷收器及座椅安全带装置
CN107000676B (zh) 插接舌
KR20160075007A (ko) 락킹 텅
JP2014218157A (ja) シートベルト用のベゼル
US9033369B2 (en) Holding covers for seat belt attachment
WO2013125442A1 (ja) タング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ベルト装置
KR20100035638A (ko) 안전벨트의 버클의 프레임 부재
KR101282527B1 (ko) 자동차용 3점식 시트벨트 웨빙의 끼임 방지구조
JP6176715B2 (ja) バック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US11572031B2 (en) Belt guide device for a passenger restraint belt of a motor vehicle
CN210539263U (zh) 防异物安全带锁扣及车辆
US10919418B2 (en) Car seat with belt guide
US10974689B2 (en) Biasing arrangement for seatbelt buckle
JP2016060458A (ja) ベルト挿通具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KR101316471B1 (ko) 웨빙가이드
JP2011162164A (ja) シートベルトガイド構造
JP2008260415A (ja) ベルトガイドアンカー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JP6483982B2 (ja) ベルト挿通具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KR100398096B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장착 구조
KR100448405B1 (ko) 차량의 후석 시트벨트
CN114987382A (zh) 车门构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