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5638A - 안전벨트의 버클의 프레임 부재 - Google Patents

안전벨트의 버클의 프레임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5638A
KR20100035638A KR1020097027536A KR20097027536A KR20100035638A KR 20100035638 A KR20100035638 A KR 20100035638A KR 1020097027536 A KR1020097027536 A KR 1020097027536A KR 20097027536 A KR20097027536 A KR 20097027536A KR 20100035638 A KR20100035638 A KR 20100035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frame
belt strap
buckl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7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올레 샤른베르그
아나톨리 노이만
디트마르 레드게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100035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56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46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8Belt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벨트의 벨트 버클을 위한 프레임 부분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 부분은 벨트 끈을 위한 개구부를 가지고, 그에 의해서 프레임 부분은 벨트 끈(15)이 유지되는 개구(14)의 에지 섹션(16)에서 굽힘의 방식으로 형상화된다.
안전 벨트, 벨트 버클

Description

안전벨트의 버클의 프레임 부재{Frame section for a buckle of a safety belt}
본 발명은 벨트 끈(belt webbing)을 삽입하기 위한 벨트 끈 개구부를 구비한 안전벨트용 벨트 버클의 프레임 부재에 관한 것이다.
벨트 버클을 차체에 매는데 쓰이는 벨트 끈을 통해서 안전벨트에 인장 하중(tensile load)이 가해질 때 높은 힘이 상기 차체에 전달된다. 벨트 끈에 전달된 하중을 가능한 한 넓은 면적에 퍼지게 하면서 요구되는 파단 하중(breaking load)에 이르기 위해서 합성수지로 형성된 벨트 보호부재가 사용되는데, 상기 벨트 보호부재는 독일특허 DE 35 39 538 A1에 개시된 것처럼 프레임 부재의 벨트 끈 개구부 내의, 하중을 받은 모서리 상에 장착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특히 상기 벨트 끈 개구부가 벨트 끈보다 폭이 좁고 상기 벨트 끈이 엄청난 힘에 의해서 상기 벨트 끈 개구부 내로 배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벨트 보호부재가 분실될 염려가 있다. 벨트 보호부재가 없어질 경우, 최악의 경우에는 벨트 끈 개구부의 비어있는 모서리에 의해서 벨트 끈이 손상되어 안전벨트의 기능에 장애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높은 기능안전성을 가지며 낮은 제조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는 안전벨트의 벨트 버클용 프레임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수단에 의해서 달성된다. 벨트 끈과 접촉 상태인 인장 하중 하에 있는 영역에서 상기 프레임 부재는 스스로 굽혀지도록(bending)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벨트 끈 상에 영향을 미치는 면적은 추가적인 벨트 보호부재 없이 확장될 수 있다. 분실 불가능한, 확장된 벨트 홀딩 면적에 의해서 안전성이 증가되고 동시에 제조 비용도 감소되는데, 이는 상기 조립체에서 추가적인 벨트 보호 부재가 생략되기 때문이다. 굽힘의 형태는 특히 주름(crimp)을 굽히하거나, 회전시키거나, 플랜지(flange)를 형성하거나 몰딩(molding)에 의해서 형성 가능하다.
벨트 끈에 고정된 벨트 끈 개구부의 에지(edge)는, 안전 벨트에 인장 하중이 가해질 때 상기 벨트 끈이 상기 프레임 부재에 의해서 고정되거나 상기 프레임 부재와 접촉하는 영역인 상기 벨트 끈 개구부의 전체 가장자리 부분을 가리킨다.
상기 벨트 끈에 힘이 부드럽게 가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해당하는 에지에 프레임 부재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20도, 더 바람직하게는 150도로 굽혀지고, 곡률 반경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mm,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 mm 이고 그리고/또는 상기 벨트 끈과의 접촉영역에서 모서리 없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벨트 버클의 프레임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부재의 중앙평면을 따라 자른 단 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부재의 중앙평면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프레임(10)은 차량용 안전벨트의 벨트 버클의 부재이고 도시하지 않은, 상기 벨트 버클에서의 벨트 래치(belt latch)의 잠금 및 해제 버클 시스템을 수용하고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레임(10)은, 역시 도시하지 않은 하우징,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로 형성한 두 개의 하우징 외피들을 구비하는 하우징으로 둘러싸여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기본적으로, 평면형태의 중간부재(11) 및, 두 개의 서로 마주하여 배치된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중간부재(11)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평면형태의 측면 부재(12,13)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10)은 단면에서 보았을 때 U자 형태이고, 전체적으로 잠금 시스템을 수용하는 채널을 형성하는데, 이때 상기 채널은 상기 중간부재(11)에 대해서 열린 상태이다. 중간부재(11) 및 측면 부재(12,13)는 주조 또는 성형된 강철로 하나의 유니트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 구성요소들(11, 12, 13)은 버클 시스템 및 하우징을 장착하고 고정하기 위한, 더 상세히 설명되지 않은 기능 개구부 및 기능 구성요소들을 구비한다. 상기 중간부재(11)는 벨트 끈(belt webbing, 15)이 그 안으로 삽입되는 벨트 끈 개구부(14)를 구비한다. 상기 벨트 끈(14)의 버클 쪽 단부는 고정 루프(holding loop)(16)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벨트 끈(15)과 박음질되고, 다른 쪽 단부는 차량의 차체에 고정하기 위해서 구비된다. 상기 벨트 끈 개구부(14)는 에지(16)를 구비한다. 상기 에지(16)의 길이는 대략 상기 벨트 끈(15)의 폭에 상응하고, 상기 안전 벨트 및 상기 프레임(10)에 인장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에지(16)에는 상기 벨트 끈(15)이 배치된다. 이로써 상기 에지(16)는 상기 벨트 끈 개구부(14)의 인장 하중을 받은 에지로서 간주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두 측면 부재(12,13) 사이의 중앙평면을 따라 자른 프레임(10)의 다양한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따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10)의 중간부재(11)는 상기 벨트 끈 개구부(14)의 에지(16)에서 채널의 내측 쪽으로 굽혀지거나 플랜지가 형성되어서, 둥글게 된 벨트 끈 지지부(17)를 형성하는 신장부(18)가 만들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벨트 끈 지지부(17)는 상기 중간부재(11) 및 프레임(10)과 함께 하나의 유니트로 형성된다. 상기 벨트 끈 지지부(17)의 곡률 반경(r)은 적어도 상기 프레임(10)의 중간부재(11)의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mm, 더 바람직하게는 4 mm 이다. 상기 벨트 끈 지지부(17)를 모서리 없이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프레임(10)의 중간부재(11)는 상기 벨트 끈 개구부(14)의 에지(16)에 대해서 각도(α)로, 바람직하게는 120도, 더 바람직하게는 150도로 벤딩된다.
도 3에 따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10)의 중간부재(11)는 상기 벨트 끈 개구부(14)의 인장 하중이 가해진 에지(16)의 영역에서 주름(19)을 구비하며, 마찬가지로 상기 주름(19)을 통해서 둥글게 된 벨트 끈 지지부(17)가 충분한 반경으로 형성된다.
도 4에 따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10)의 고정측면의 단부(20)에 위치한 중간부재(11)는 상기 벨트 끈 개구부(14)까지 신장되고, 신장된 부분에서 둥글게 된 벨트 끈 지지부(17)를 형성하기 위해서 또다시 굽혀진다. 따라서, 이중으로 둘러싸여진 프레임 요소(21)가 형성된다. 이것은 도 2에 따른 한 번의 벤딩보다 더 쉽게 제조가능하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 따르면, 벨트 끈 개구부의 인장 하중이 가해진 에지에 배치된 상기 프레임의 굽혀진 형상(bent shape)은 안전벨트용 벨트 래치에도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8)

  1. 안전 벨트의 벨트 버클을 위한 프레임 부분(10)로서, 상기 프레임 부분(10)은 벨트 끈(15)을 위한 개구부(14)를 가지고,
    프레임 부분(10)은, 벨트 끈(15)이 유지되는 개구부(14)의 에지 섹션(16)에서 굽힘의 방식으로 형상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부분.
  2.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 부분(10)은 개구부(14)의 섹션(16)에서 적어도 약 120°로 굽혀지고, 바람직스럽게는 약 150°로 굽혀지는, 프레임 부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벨트 끈(15)에 작용하는 프레임 부분(10)의 일부는 모서리(arris) 없이 만들어지는, 프레임 부분.
  4.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벨트 끈(15)에 작용하는 프레임 부분(10)의 일부는 적어도 2.5 mm 의 굽힘 반경을 가지며, 바람직스럽게는 적어도 4 mm 의 굽힘 반경을 가지는, 프레임 부분.
  5.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임 부분(10)은 프레임 부분(10)의 내측으로 굽혀지는, 프레임 부분.
  6.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임 부분(10)은 일측으로 개방된 채널의 형상을 기본적으로 나타내는, 프레임 부분.
  7.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임 부분은 박판 강철(sheet steel)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부분.
  8.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프레임 부분을 포함하는 벨트 버클을 가진 자동차용 안전 벨트.
KR1020097027536A 2007-05-31 2008-05-09 안전벨트의 버클의 프레임 부재 KR201000356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25481.6 2007-05-31
DE102007025481A DE102007025481B4 (de) 2007-05-31 2007-05-31 Rahmenteil für ein Gurtschloss eines Sicherheitsgurt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638A true KR20100035638A (ko) 2010-04-05

Family

ID=39671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7536A KR20100035638A (ko) 2007-05-31 2008-05-09 안전벨트의 버클의 프레임 부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20100035638A (ko)
CN (1) CN101678813A (ko)
DE (1) DE102007025481B4 (ko)
RU (1) RU2486081C2 (ko)
WO (1) WO200814524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9910A (ko) * 2009-03-04 2010-09-15 (주)한국기능공사 안전벨트 버클용 벨트결합구
DE102010025714B4 (de) * 2010-06-30 2013-07-18 Autoliv Development Ab Schnellverschluss für ein fahrzeugfestes Ende eines Sicherheitsgurtes in einem Kraftfahrzeug
CN102874207A (zh) * 2012-10-22 2013-01-16 宜兴市奥华汽配有限公司 一种汽车安全带单端片及其制备方法
DE102012223453B4 (de) * 2012-12-17 2019-06-27 Autoliv Development Ab Schnellverschluss für ein fahrzeugfestes Ende eines Sicherheitsgurtes in einem Kraftfahrzeug
US9586558B2 (en) 2013-10-30 2017-03-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uckle assembly for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814486U1 (de) * 1978-05-12 1979-01-18 Repa Feinstanzwerk Gmbh, 7071 Alfdorf Umlenkung fuer sicherheitsgurte
SE426018B (sv) * 1980-03-12 1982-12-06 Safety Transport Int Dev Spenne for sekerhetsbelte
JPS6185551U (ko) * 1984-11-12 1986-06-05
UA5995A1 (uk) * 1987-11-17 1994-12-29 Народне Підприємство "Норма" Регулятор довжини лямки ременю безпек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засобу
US6324730B1 (en) * 1998-08-27 2001-12-04 Takata Corporation Webbing insertion member
US6490764B1 (en) * 1999-12-08 2002-12-10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Anti-roping latch plate
JP3445241B2 (ja) * 2000-06-30 2003-09-08 株式会社遠州 シートベルト吊持具及びその製造方法
DE10052920C1 (de) * 2000-10-25 2002-03-14 Autoliv Dev Befestigungsendbeschlag für einen Sicherheitsgu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45249A2 (de) 2008-12-04
DE102007025481B4 (de) 2009-05-14
DE102007025481A1 (de) 2008-12-04
RU2486081C2 (ru) 2013-06-27
RU2009149222A (ru) 2011-07-10
CN101678813A (zh) 2010-03-24
WO2008145249A3 (de) 200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8756B2 (en) Fixing device for cables
CN107921922B (zh) 紧固件、用于安全气囊的覆盖面板和相应的车辆
KR101496369B1 (ko) 좌석 벨트 앵커 조립체
US20070138783A1 (en) Guide for seat belt webbing having a deformable insert
KR20100035638A (ko) 안전벨트의 버클의 프레임 부재
KR20080069124A (ko) 케이블 고정 장치
TWI598274B (zh) 低輪廓夾具
US6491347B2 (en) Webbing insertion member
JPS5873304A (ja) 安全ベルト用の錠止装置
CN110622376B (zh) 线束导向件
JP3150704B2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US20160214567A1 (en) Buckle device
US8960723B2 (en) Quick-release closure for a vehicle-fixed end of a seat belt in a motor vehicle
US20060123604A1 (en) Boot band
US9638225B2 (en) Closure element for a fire-protection sleeve
US9517748B2 (en) Quick-release fastener for one end of a seat belt fastened to a vehicle in a motor vehicle
US20100226713A1 (en) Belt coupling for safety belt buckle
CN111094080B (zh) 具有盖板的锁舌
US20050071959A1 (en) Tether clip
US20160137159A1 (en) Seatbelt device bezel
JP3427552B2 (ja) ワイヤハーネス取付用バンド
JP2006292117A (ja) ベルトクランプ
JP2010052731A (ja) 特に、エアバッグ装置のアレスタストラップを固定するためのファスナ
US6755060B2 (en) Method and device for fastening a lock body
KR20160048959A (ko) 스루 앵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222

Effective date: 2016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