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8959A - 스루 앵커 - Google Patents

스루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8959A
KR20160048959A KR1020167008454A KR20167008454A KR20160048959A KR 20160048959 A KR20160048959 A KR 20160048959A KR 1020167008454 A KR1020167008454 A KR 1020167008454A KR 20167008454 A KR20167008454 A KR 20167008454A KR 20160048959 A KR20160048959 A KR 20160048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anchor
anchor plate
guide piece
bod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8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다오 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슈
Publication of KR20160048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89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4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ide, door, or roof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8Belt guides
    • B60R2022/1831Belt guides comprising a slotted plate sliding in its plane, e.g. inside circula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루 앵커(10)에서는, 앵커 플레이트(12)의 관통구멍(16)의 주위에 가이드 피스(20)가 성형되어 있으며, 가이드 피스(20)의 삽입통과 구멍(22)에 웨빙(24)이 삽입통과되어, 가이드 피스(20)에 웨빙(24)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가이드 피스(20)가 앵커 플레이트(12)의 외주 단면(12A) 전체에 고정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 앵커 플레이트(12)의 관통구멍(16) 주위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후육부(厚肉部, 18)가 앵커 플레이트(12)의 다른 부분에 비해 앵커 플레이트(12) 두께방향 치수가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앵커 플레이트(12)에 대한 가이드 피스(20)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스루 앵커{THROUGH ANCHOR}
본 발명은, 차량의 탑승자에게 장착되는 웨빙(webbing)이 삽입통과되는 스루 앵커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3-91446호에 기재된 스루 앵커에서는, 금속판에 웨빙 삽입통과 구멍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수지 몰드부가 금속판의 외주 단면(端面) 전체를 남기고 웨빙 삽입통과 구멍의 주위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루 앵커에서는, 수지 몰드부가 금속판의 외주 단면 전체에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금속판에 대한 수지 몰드부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3-91446호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슬라이딩 지지 부재가 본체 부재의 외주 단면 전체에 고정되지 않는 경우에서도 본체 부재에 대한 슬라이딩 지지 부재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는 스루 앵커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스루 앵커는, 차량의 탑승자에게 장착되는 웨빙이 삽입통과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본체 부재와, 상기 본체 부재의 상기 관통구멍 주위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 부재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기 본체 부재의 두께방향 치수를 크게 한 후육부(厚肉部, 두꺼운 부분)와, 상기 본체 부재의 외주 단면 전체를 남기고 상기 관통구멍의 주위에 고정되며, 상기 웨빙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딩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스루 앵커는,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스루 앵커에 있어서, 상기 후육부의 둘레면이 만곡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의 스루 앵커는, 본 발명의 제 1 양태 또는 제 2 양태의 스루 앵커에 있어서, 상기 후육부의 상기 관통구멍과는 반대측 부분에 평면부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의 스루 앵커는, 본 발명의 제 1 양태~제 3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스루 앵커에 있어서, 상기 후육부의 상기 관통구멍과는 반대측의 둘레면이 상기 본체 부재의 두께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와(延出) 있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의 스루 앵커는, 본 발명의 제 1 양태~제 4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스루 앵커에 있어서, 상기 후육부의 상기 관통구멍과는 반대측의 둘레면이 상기 관통구멍 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본체 부재의 두께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의 스루 앵커는, 본 발명의 제 1 양태~제 5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스루 앵커에 있어서, 상기 후육부의 상기 관통구멍 측의 둘레면이 상기 관통구멍 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본체 부재의 두께방향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의 스루 앵커는, 본 발명의 제 1 양태~제 6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스루 앵커에 있어서, 상기 후육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 부재의 두께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모서리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8 양태의 스루 앵커는, 본 발명의 제 1 양태~제 7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스루 앵커에 있어서, 상기 후육부의 상기 관통구멍 측의 단면(端面)이 평면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스루 앵커에서는, 본체 부재에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차량의 탑승자에게 장착되는 웨빙이 관통구멍에 삽입통과된다. 또한, 슬라이딩 지지 부재가 본체 부재의 외주 단면 전체를 남기고 관통구멍의 주위에 고정되어 있으며, 슬라이딩 지지 부재가 웨빙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한다.
여기서, 본체 부재의 관통구멍 주위의 가장자리부에 후육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후육부는, 본체 부재의 다른 부분에 비해 본체 부재의 두께방향 치수가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딩 지지 부재의 본체 부재와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본체 부재에 대한 슬라이딩 지지 부재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스루 앵커에서는, 후육부의 둘레면이 만곡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딩 지지 부재의 본체 부재와의 접촉 면적을 효과적으로 크게 할 수 있어, 본체 부재에 대한 슬라이딩 지지 부재의 위치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의 스루 앵커에서는, 후육부의 관통구멍과는 반대측 부분에 평면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체 부재에 대한 슬라이딩 지지 부재의 위치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의 스루 앵커에서는, 후육부의 관통구멍과는 반대측의 둘레면이 본체 부재의 두께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다. 이 때문에, 본체 부재에 대한 슬라이딩 지지 부재의 위치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의 스루 앵커에서는, 후육부의 관통구멍과는 반대측의 둘레면이 관통구멍 측을 향함에 따라 본체 부재의 두께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 때문에, 본체 부재에 대한 슬라이딩 지지 부재의 위치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의 스루 앵커에서는, 후육부의 관통구멍 측의 둘레면이 관통구멍 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본체 부재의 두께방향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 때문에, 후육부의 관통구멍 측 부분에 고정되는 슬라이딩 지지 부재의 두께 치수를 용이하게 크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의 스루 앵커에서는, 후육부에 설치된 모서리부가 본체 부재의 두께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체 부재에 대한 슬라이딩 지지 부재의 위치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 8 양태의 스루 앵커에서는, 후육부의 관통구멍 측의 단면이 평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체 부재에 대한 슬라이딩 지지 부재의 위치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스루 앵커를 나타내는 차량 부착 상태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내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스루 앵커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스루 앵커의 앵커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차량 부착 상태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내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스루 앵커를 나타내는 단면도(도 1의 4-4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관한 스루 앵커를 나타내는 단면도(도 1의 4-4선 위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관한 스루 앵커를 나타내는 단면도(도 1의 4-4선 위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스루 앵커를 나타내는 단면도(도 1의 7-7선 위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스루 앵커를 나타내는 단면도(도 1의 7-7선 위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스루 앵커를 나타내는 단면도(도 1의 7-7선 위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스루 앵커를 나타내는 단면도(도 1의 7-7선 위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스루 앵커를 나타내는 단면도(도 1의 7-7선 위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스루 앵커를 나타내는 단면도(도 1의 7-7선 위치 단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스루 앵커(10; 웨빙 서스펜더(suspender, 吊持具))가 차량 부착 상태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내측에서 본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스루 앵커(10)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스루 앵커(10)가 차량에 부착된 경우의 차량 전방(前方)을 화살표 FR로 나타내고, 차폭 방향 내측을 화살표 IN으로 나타내며, 상방을 화살표 UP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스루 앵커(10)는, 이른바 슬립 조인트(slip joint)(숄더 앵커(shoulder anchor))로서 이른바 3점식 안전벨트 장치에 이용되고 있으며, 스루 앵커(10)는, 차량(자동차)의 탑승자 착좌(着座)용 시트(도시 생략)의 차폭 방향 외측이면서 또한 차량 후방측에 있어서의 차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루 앵커(10)는, 본체 부재(강도(强度) 부재)로서 금속(강재(鋼材))제이며 판 형상인 앵커 플레이트(anchor plate, 12)를 가지고 있으며, 앵커 플레이트(12)는, 프레스 펀칭 가공에 의해 제작되어 있다. 앵커 플레이트(12)의 상하 중간부는, 굴곡되어 있으며, 앵커 플레이트(12)의 굴곡부보다 하측 부분은, 하측을 향함에 따라 차폭 방향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앵커 플레이트(12)의 상부에는, 부착부로서의 원형상의 고정 구멍(14)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앵커 플레이트(12)는, 고정 구멍(14)에 끼워 넣어진 볼트(도시 생략)에 의해, 차체에 고정된다(부착된다). 이 때문에, 스루 앵커(10)는, 볼트를 중심으로 하여 차량 전후 방향으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된다.
앵커 플레이트(12)의 상하방향 중간부의 굴곡부에는, 차폭 방향에서 볼 때 U자 형상인 관통구멍(16)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구멍(16)의 중앙부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신(延伸)되는 동시에, 관통구멍(16)의 차량 전방측 단부(端部) 및 차량 후방측 단부는, 상방으로 대략 직각으로 연신되어 있다.
앵커 플레이트(12)에는, 관통구멍(16) 둘레 방향 전체의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후육부(18; 팽출부(膨出部))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육부(18)는, 앵커 플레이트(12)의 다른 부분에 비해, 앵커 플레이트(12)의 두께방향 치수가 크게 되어 있다. 후육부(18)의 둘레면 전체는, 볼록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으며, 후육부(18)는, 차폭 방향 내측 및 차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과는 반대측 부분의 앵커 플레이트(12) 두께방향 치수는, 관통구멍(16)측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크게 되어 있으며,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과는 반대측 부분의 둘레면은, 관통구멍(16) 측을 향함에 따라 앵커 플레이트(12) 두께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측 부분의 앵커 플레이트(12) 두께방향 치수는, 관통구멍(16)측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작게 되어 있으며,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측 부분의 둘레면은, 관통구멍(16)측을 향함에 따라 앵커 플레이트(12) 두께방향 내측을 향하는 방향(관통구멍(16)과는 반대측을 향함에 따라 앵커 플레이트(12) 두께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도 1,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앵커 플레이트(12)의 상하방향 중간부에는, 슬라이딩 지지 부재(삽입통과부)로서의 수지제의 가이드 피스(20)가 일체 성형(인서트 성형(insert molding))에 의해 성형(고정)되어 있으며, 가이드 피스(20)는, 앵커 플레이트(12)의 관통구멍(16)의 전체 둘레(관통구멍(16) 둘레방향 전체의 가장자리부 및 내주면)를 차폭 방향 내측, 차폭 방향 외측 및 관통구멍(16)측으로부터 피복하고 있다. 가이드 피스(20)는, 관통구멍(16)의 전체 둘레 근방에만 배치되어 있으며, 가이드 피스(20)는, 앵커 플레이트(12)의 외주 단면(12A) 전체를 피복하고 있지 않다. 가이드 피스(20)는, 앵커 플레이트(12)의 후육부(18)의 둘레면 전체를 피복하고 있으며, 가이드 피스(20)는, 후육부(18)에 걸림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 피스(20)에는, 차폭 방향에서 볼 때 U자 형상인 삽입통과 구멍(22)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통과 구멍(22)은, 앵커 플레이트(12)의 관통구멍(16) 내에 배치되어 있다. 삽입통과 구멍(22)은, 관통구멍(16)에 대하여 작은 대략 서로 유사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삽입통과 구멍(22)의 중앙부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신되는 동시에, 관통구멍(16)의 차량 전방측 단부 및 차량 후방측 단부는, 상방으로 대략 직각으로 연신되어 있다.
삽입통과 구멍(22)의 중앙부의 하측면은, 슬라이딩 면(22A; 지지면)으로 되어 있으며, 슬라이딩 면(22A)은,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볼 때 단면(斷面)이 대략 반원호 형상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만곡되어, 앵커 플레이트(12)의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측 부분의 둘레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삽입통과 구멍(22)의 중앙부의 상측면은, 평면형상의 대향면(22B)으로 되어 있으며, 대향면(22B)은, 슬라이딩 면(22A)의 대략 차폭 방향 중앙부에 대향되어 있다.
삽입통과 구멍(22)의 중앙부(관통구멍(16)의 중앙부)에는, 길이가 긴(長尺) 띠 형상의 웨빙(24)이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통과(통과)된다. 웨빙(24)의 삽입통과 구멍(22)으로부터 차폭 방향 외측(차 외측)인 기단측은, 스루 앵커(10)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나와(延出), 권취(卷取) 장치(도시 생략)에 감겨 있고, 권취 장치는, 탑승자 착좌용 시트의 차폭 방향 외측이면서 또한 하측에 고정되는 동시에, 웨빙(24)을 권취 방향으로 가세(付勢, bias)하고 있다. 웨빙(24)의 삽입통과 구멍(22)으로부터 차폭 방향 내측(차실(車室)측)인 선단측은, 스루 앵커(10)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나와, 시트의 차폭 방향 외측이면서 또한 하측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웨빙(24)이 권취 장치에 의한 가세력(付勢力, biasing force)에 의해 삽입통과 구멍(22)의 슬라이딩 면(22A)에 접촉되어 되접어 꺾인 상태로 지지(서스펜딩)되어 있으며, 웨빙(24)이 삽입통과 구멍(22)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때에는, 웨빙(24)이 슬라이딩 면(22A)을 슬라이딩하여 안내된다.
또한, 삽입통과 구멍(22)의 중앙부의 폭 치수(L; 앵커 플레이트(12)의 삽입통과 구멍(22)보다 하측 부분의 두께방향과 삽입통과 구멍(22) 중앙부의 길이방향(차량 전후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치수, 도 4 참조)는, 삽입통과 구멍(22)의 중앙부의 길이방향 전체(길이방향 중앙부만이어도 또는 길이방향 양단부만이어도 무방함)에 있어서, 웨빙(24)의 두께 치수 이상이면서 또한 웨빙(24)의 두께 치수의 2배 이하로 되어 있다.
웨빙(24)은, 스루 앵커(10)(삽입통과 구멍(22))으로부터 선단측에 있어서, 텅(tongue)(도시 생략)에 삽입통과되어 있으며, 텅은, 웨빙(2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시트의 차폭 방향 내측이면서 또한 하측에는, 버클(buckle, 도시 생략)이 부착되어 있으며, 웨빙(24)이 권취 장치로부터 가세력에 대항하여 인출되어, 버클에 텅이 걸림 결합함으로써, 웨빙(24)이 시트에 착좌한 탑승자(도시 생략)에게 장착된다.
웨빙(24)이 탑승자에게 장착되었을 때에는, 웨빙(24)의 스루 앵커(10)(삽입통과 구멍(22))으로부터 선단측이 스루 앵커(10)로부터 차량 전방의 비스듬한 하방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동시에, 스루 앵커(10)가 차량 전방 측으로 회동된다. 또한, 차량의 긴급시(충돌시 등)에는, 웨빙(24)의 권취 장치로부터의 인출이 권취 장치에 의해 로크(lock)된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앵커 플레이트(12)에는, 피복 부재로서의 수지제이며 대략 횡(橫)으로 C자형인 판 형상의 커버(26)가 조립 부착되어 있으며, 커버(26)는, 앵커 플레이트(12)의 차폭 방향 내측을 피복하고 있다. 커버(26)는, 앵커 플레이트(12)의 고정 구멍(14)(고정 구멍(14)의 전체 둘레를 포함함)을 피복하고 있지 않으며, 커버(26)는, 고정 구멍(14)을 차폭 방향 내측으로 노출시키고 있다. 커버(26)의 상하방향 중간부에는, 차폭 방향에서 볼 때 대략 U자 형상인 통과 구멍(28)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통과 구멍(28)은, 가이드 피스(20)의 삽입통과 구멍(22)(삽입통과 구멍(22)의 전체 둘레를 포함함)을 차폭 방향 내측으로 노출시켜, 웨빙(24)이 통과(삽입통과)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의 스루 앵커(10)에서는, 앵커 플레이트(12)의 관통구멍(16)의 주위에 가이드 피스(20)가 성형되어 있으며, 가이드 피스(20)의 삽입통과 구멍(22)에 웨빙(24)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삽입통과되어, 가이드 피스(20)의 슬라이딩 면(22A)에 웨빙(24)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가이드 피스(20)가, 앵커 플레이트(12)의 관통구멍(16)의 전체 둘레에만 배치되어, 앵커 플레이트(12)의 외주 단면(12A) 전체를 노출시키고 있다.
여기서, 앵커 플레이트(12)의 관통구멍(16) 둘레 방향 전체의 가장자리부에 후육부(18)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육부(18)는, 앵커 플레이트(12)의 다른 부분에 비해 앵커 플레이트(12) 두께방향 치수가 크게 되어, 가이드 피스(20)가 걸림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이드 피스(20)의 앵커 플레이트(12)와의 접촉 면적을 후육부(18)에 의해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만일 앵커 플레이트(12)의 관통구멍(16) 주위의 가장자리부에 후육부(18) 대신에 오목부가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도, 가이드 피스(20)의 앵커 플레이트(12)와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가이드 피스(20)의 성형 후(후결정화(後結晶化)시)의 수축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스루 앵커(10)의 온도 변화에 따른 변형(팽창 및 수축) 등을 억제할 수 있어, 앵커 플레이트(12)에 대한 가이드 피스(20)의 삽입통과 구멍(22)측 및 삽입통과 구멍(22)과는 반대측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가 있다.
이로써, 앵커 플레이트(12)에 대한 가이드 피스(20)의 상하방향(삽입통과 구멍(22)의 중앙부의 폭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어, 가이드 피스(20)의 삽입통과 구멍(22) 중앙부의 폭 치수(L)의 정밀도를 높게 할 수 있으며, 웨빙(24)의 삽입통과 구멍(22)에 대한 길이방향으로의 이동 성능을 높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웨빙(24)이 삽입통과 구멍(22) 내에서 접혀 포개지거나 삽입통과 구멍(22)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치우치는 일(이른바 재밍(jamming))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나아가, 앵커 플레이트(12)에 대한 가이드 피스(20)의 차량 전후 방향(삽입통과 구멍(22)의 중앙부의 길이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도 억제할 수 있어, 삽입통과 구멍(22) 중앙부의 길이방향 치수의 정밀도도 높게 할 수 있으며, 웨빙(24)의 삽입통과 구멍(22)에 대한 길이방향으로의 이동 성능을 한층 높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웨빙(24)이 삽입통과 구멍(22) 내에서 접혀 포개지거나 삽입통과 구멍(22)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치우치는 일(이른바 재밍)이 발생하는 것을 한층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후육부(18)의 둘레면이 만곡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이드 피스(20)의 앵커 플레이트(12)와의 접촉 면적을 후육부(18)에 의해 효과적으로 크게 할 수 있어, 앵커 플레이트(12)에 대한 가이드 피스(20)의 삽입통과 구멍(22)측 및 삽입통과 구멍(22)과는 반대측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또,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과는 반대측 부분의 둘레면이 관통구멍(16)측을 향함에 따라 앵커 플레이트(12) 두께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 때문에, 앵커 플레이트(12)에 대한 가이드 피스(20)의 삽입통과 구멍(22)측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측 부분의 둘레면이 관통구멍(16)과는 반대측을 향함에 따라 앵커 플레이트(12) 두께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 때문에, 앵커 플레이트(12)에 대한 가이드 피스(20)의 삽입통과 구멍(22)과는 반대측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또,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측 부분의 둘레면이 관통구멍(16)측을 향함에 따라 앵커 플레이트(12) 두께방향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 때문에, 가이드 피스(20)의 슬라이딩 면(22A) 위치의 두께 치수를 용이하게 크게 할 수 있어, 차량의 긴급시(충돌시 등)에 탑승자로부터 웨빙(24)을 통해 가이드 피스(20)의 슬라이딩 면(22A)에 입력되는 하중에 대한 가이드 피스(20)의 슬라이딩 면(22A) 위치의 필요 강도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가 있다. 이로써, 앵커 플레이트(12)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할 수가 있다.
나아가, 상술한 바와 같이, 앵커 플레이트(12)의 관통구멍(16) 둘레 방향 전체의 가장자리부에 후육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앵커 플레이트(12)의 성형 후(후결정화시) 수축, 온도 변화에 따른 변형(팽창 및 수축) 및 경년열화(經年劣化) 등에 의해 앵커 플레이트(12)의 관통구멍(16) 주위의 가장자리부 위치에 있어서 가이드 피스(20)에 응력이 집중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앵커 플레이트(12)가 깨지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차량의 긴급시(충돌시 등)에 탑승자로부터 웨빙(24)을 통해 가이드 피스(20)에 하중이 입력되어도, 앵커 플레이트(12)의 관통구멍(16) 주위의 가장자리부 위치에 있어서 가이드 피스(20)에 응력이 집중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앵커 플레이트(12)가 깨지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만일 앵커 플레이트(12)가 파괴된 경우라 하더라도, 앵커 플레이트(12)의 관통구멍(16) 주위의 가장자리부에 의해 웨빙(24)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앵커 플레이트(12)의 관통구멍(16) 둘레 방향 전체의 가장자리부에 후육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만일 앵커 플레이트(12)의 관통구멍(16) 주위의 가장자리부에 후육부(18) 대신에 오목부가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가이드 피스(20)의 성형시에 있어서의 수지의 유동성을 높게 할 수 있어, 가이드 피스(20)의 성형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스루 앵커(40; 웨빙 서스펜더)가 단면도(도 1의 7-7선 위치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스루 앵커(40)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거의 같은 구성이지만,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스루 앵커(40)에서는, 앵커 플레이트(12)에 있어서,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과는 반대측 부분의 둘레면이 평면부(18A)로 되어 있으며, 평면부(18A)는, 관통구멍(16)측을 향함에 따라 앵커 플레이트(12) 두께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스루 앵커(40)에서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낼 수가 있다.
특히,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과는 반대측 부분의 둘레면이, 평면부(18A)로 되어, 관통구멍(16) 측을 향함에 따라 앵커 플레이트(12) 두께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 때문에, 앵커 플레이트(12)에 대한 가이드 피스(20)의 삽입통과 구멍(22)측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스루 앵커(50; 웨빙 서스펜더)가 단면도(도 1의 7-7선 위치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스루 앵커(50)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거의 같은 구성이지만,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스루 앵커(50)에서는, 앵커 플레이트(12)에 있어서, 후육부(18)의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본 단면이 반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측 부분의 둘레면은, 단면이 반원호(半圓弧) 형상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과는 반대측의 단면(端面)은, 평면부(18A)로 되어 있으며, 평면부(18A)는, 앵커 플레이트(12) 두께방향 외측으로 직각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다.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측 부분의 둘레면과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과는 반대측의 단면(端面)(평면부(18A)) 사이의 부분은, 모서리부(角部, 18B)로 되어 있으며, 모서리부(18B)는, 앵커 플레이트(12) 두께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동시에, 내각(內角)이 예각 또는 직각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스루 앵커(50)에서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낼 수가 있다.
특히,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과는 반대측의 단면이, 평면부(18A)로 되어, 앵커 플레이트(12) 두께방향 외측으로 직각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다. 이 때문에, 앵커 플레이트(12)에 대한 가이드 피스(20)의 삽입통과 구멍(22)측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측 부분의 둘레면과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과는 반대측의 단면(평면부(18A)) 사이의 부분이 모서리부(18B)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이드 피스(20)가 모서리부(18B)에 효과적으로 걸림 고정됨에 따라, 앵커 플레이트(12)에 대한 가이드 피스(20)의 삽입통과 구멍(22)측 및 삽입통과 구멍(22)과는 반대측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스루 앵커(60; 웨빙 서스펜더)가 단면도(도 1의 7-7선 위치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스루 앵커(60)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거의 같은 구성이지만,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스루 앵커(60)에서는, 앵커 플레이트(12)에 있어서, 후육부(18)의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본 단면이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측의 단면(端面)은, 볼록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측 부분의 둘레면(관통구멍(16)측의 단면을 제외함)은, 평면 형상이 되어, 관통구멍(16)측을 향함에 따라 앵커 플레이트(12) 두께방향 내측을 향하는 방향(관통구멍(16)과는 반대측을 향함에 따라 앵커 플레이트(12) 두께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과는 반대측의 단면은, 평면부(18A)로 되어 있으며, 평면부(18A)는, 앵커 플레이트(12) 두께방향 외측으로 직각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다.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측 부분의 둘레면과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과는 반대측의 단면(평면부(18A)) 사이의 부분은, 모서리부(18B)로 되어 있으며, 모서리부(18B)는, 앵커 플레이트(12) 두께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동시에, 내각이 예각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스루 앵커(60)에서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낼 수가 있다.
특히,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과는 반대측의 단면이, 평면부(18A)로 되어, 앵커 플레이트(12) 두께방향 외측으로 직각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다. 이 때문에, 앵커 플레이트(12)에 대한 가이드 피스(20)의 삽입통과 구멍(22)측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측 부분의 둘레면과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과는 반대측의 단면(평면부(18A)) 사이의 부분이 모서리부(18B)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이드 피스(20)가 모서리부(18B)에 효과적으로 걸림 고정됨에 따라, 앵커 플레이트(12)에 대한 가이드 피스(20)의 삽입통과 구멍(22)측 및 삽입통과 구멍(22)과는 반대측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또,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측 부분의 둘레면(관통구멍(16)측의 단면을 제외함)이, 평면 형상이 되어, 관통구멍(16)측을 향함에 따라 앵커 플레이트(12) 두께방향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 때문에, 가이드 피스(20)의 슬라이딩 면(22A) 위치의 두께 치수를 한층 용이하게 크게 할 수 있어, 차량의 긴급시(충돌시 등)에 탑승자로부터 웨빙(24)을 통해 가이드 피스(20)의 슬라이딩 면(22A)에 입력되는 하중에 대한 가이드 피스(20)의 슬라이딩 면(22A) 위치의 필요 강도를 한층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앵커 플레이트(12)의 소형화를 한층 가능하게 할 수가 있다.
[제 5 실시형태]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스루 앵커(70; 웨빙 서스펜더)가 단면도(도 1의 7-7선 위치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스루 앵커(70)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거의 같은 구성이지만,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스루 앵커(70)에서는, 앵커 플레이트(12)에 있어서, 후육부(18)의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본 단면(斷面)이 대략 역(逆)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측의 단면(端面)은, 평면형상이 되어, 앵커 플레이트(12)의 판 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과는 반대측 부분의 둘레면은, 평면부(18A)로 되어 있으며, 평면부(18A)는, 관통구멍(16)측을 향함에 따라 앵커 플레이트(12) 두께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측의 단면과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과는 반대측 부분의 둘레면(평면부(18A)) 사이의 부분은, 모서리부(18B)로 되어 있으며, 모서리부(18B)는, 앵커 플레이트(12) 두께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동시에, 내각이 예각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스루 앵커(70)에서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낼 수가 있다.
특히,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과는 반대측 부분의 둘레면이, 평면부(18A)가 되어, 관통구멍(16)측을 향함에 따라 앵커 플레이트(12) 두께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 때문에, 앵커 플레이트(12)에 대한 가이드 피스(20)의 삽입통과 구멍(22)측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후육부(18)의 앵커 플레이트(12) 두께방향 외측으로의 돌출 치수에 대한 평면부(18A)의 폭 치수(W)(도 10 참조)를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평면부(18A)의 폭 치수(W)를 효과적으로 크게 할 수 있어, 앵커 플레이트(12)에 대한 가이드 피스(20)의 삽입통과 구멍(22)측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또,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측의 단면이, 평면 형상이 되어, 앵커 플레이트(12)의 판 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앵커 플레이트(12)에 대한 가이드 피스(20)의 삽입통과 구멍(22)과는 반대측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측의 단면과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과는 반대측 부분의 둘레면(평면부(18A)) 사이의 부분이 모서리부(18B)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이드 피스(20)가 모서리부(18B)에 효과적으로 걸림 고정됨에 따라, 앵커 플레이트(12)에 대한 가이드 피스(20)의 삽입통과 구멍(22)측 및 삽입통과 구멍(22)과는 반대측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또,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측 단부가,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과는 반대측 단부에 비해, 앵커 플레이트(12) 두께방향 치수가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앵커 플레이트(12)의 두께 치수와 가이드 피스(20)(특히 슬라이딩 면(22A) 위치)의 두께 치수의 조합에 대응시킨 평면부(18A)의 앵커 플레이트(12) 판면에 대한 경사 각도 및 평면부(18A)의 폭 치수(W)를 임의로 설정할 수가 있다.
[제 6 실시형태]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스루 앵커(80; 웨빙 서스펜더)가 단면도(도 1의 7-7선 위치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스루 앵커(80)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거의 같은 구성이지만,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스루 앵커(80)에서는, 앵커 플레이트(12)에 있어서, 후육부(18)의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본 단면이 대략 육각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측의 단면은, 평면 형상이 되어, 앵커 플레이트(12)의 판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측 부분의 둘레면(관통구멍(16)측의 단면을 제외함)은, 평면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관통구멍(16)측을 향함에 따라 앵커 플레이트(12) 두께방향 내측을 향하는 방향(관통구멍(16)과는 반대측을 향함에 따라 앵커 플레이트(12) 두께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과는 반대측 부분의 둘레면은, 평면부(18A)로 되어 있으며, 평면부(18A)는, 관통구멍(16)측을 향함에 따라 앵커 플레이트(12) 두께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측 부분의 둘레면과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과는 반대측 부분의 둘레면(평면부(18A)) 사이의 부분은, 모서리부(18B)로 되어 있으며, 모서리부(18B)는, 앵커 플레이트(12) 두께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동시에, 내각이 예각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스루 앵커(80)에서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낼 수가 있다.
특히,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과는 반대측의 단면이, 평면부(18A)가 되어, 관통구멍(16)측을 향함에 따라 앵커 플레이트(12) 두께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 때문에, 앵커 플레이트(12)에 대한 가이드 피스(20)의 삽입통과 구멍(22)측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측의 단면이, 평면 형상으로 되어, 앵커 플레이트(12)의 판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앵커 플레이트(12)에 대한 가이드 피스(20)의 삽입통과 구멍(22)과는 반대측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측 부분의 둘레면과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과는 반대측 부분의 둘레면(평면부(18A)) 사이의 부분이 모서리부(18B)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이드 피스(20)가 모서리부(18B)에 효과적으로 걸림 고정됨에 따라, 앵커 플레이트(12)에 대한 가이드 피스(20)의 삽입통과 구멍(22)측 및 삽입통과 구멍(22)과는 반대측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또,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측 부분의 둘레면(관통구멍(16)측의 단면을 제외함)이, 평면 형상으로 되어, 관통구멍(16)측을 향함에 따라 앵커 플레이트(12) 두께방향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 때문에, 가이드 피스(20)의 슬라이딩 면(22A) 위치의 두께 치수를 한층 용이하게 크게 할 수 있어, 차량의 긴급시(충돌시 등)에 탑승자로부터 웨빙(24)을 통해 가이드 피스(20)의 슬라이딩 면(22A)에 입력되는 하중에 대한 가이드 피스(20)의 슬라이딩 면(22A) 위치의 필요 강도를 한층 용이하게 확보할 수가 있다. 이로써, 앵커 플레이트(12)의 소형화를 한층 가능하게 할 수가 있다.
[제 7 실시형태]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스루 앵커(90; 웨빙 서스펜더)가 단면도(도 1의 7-7선 위치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스루 앵커(90)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거의 같은 구성이지만,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스루 앵커(90)에서는, 앵커 플레이트(12)에 있어서, 후육부(18)의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본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으며,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측의 단면은, 평면 형상으로 되어, 앵커 플레이트(12)의 판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과는 반대측의 단면은, 평면부(18A)로 되어 있으며, 평면부(18A)는, 앵커 플레이트(12) 두께방향 외측으로 직각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다.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측의 단부 및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과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앵커 플레이트(12) 두께방향 양단부에 있어서, 모서리부(18B)가 형성되어 있으며, 모서리부(18B)는, 앵커 플레이트(12) 두께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동시에, 내각이 직각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스루 앵커(90)에서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낼 수가 있다.
특히,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과는 반대측의 단면이, 평면부(18A)가 되어, 앵커 플레이트(12) 두께방향 외측으로 직각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다. 이 때문에, 앵커 플레이트(12)에 대한 가이드 피스(20)의 삽입통과 구멍(22)측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측의 단면이, 평면 형상이 되어, 앵커 플레이트(12)의 판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앵커 플레이트(12)에 대한 가이드 피스(20)의 삽입통과 구멍(22)과는 반대측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또한,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측의 단부 및 후육부(18)의 관통구멍(16)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앵커 플레이트(12) 두께방향 양단부에 있어서, 모서리부(18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이드 피스(20)가 모서리부(18B)에 효과적으로 걸림 고정됨에 따라, 앵커 플레이트(12)에 대한 가이드 피스(20)의 삽입통과 구멍(22)측 및 삽입통과 구멍(22)과는 반대측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제 7 실시형태에서는, 앵커 플레이트(12)의 관통구멍(16) 둘레방향 전체의 가장자리부에 후육부(18)를 설치하였다. 그러나, 앵커 플레이트(12)의 관통구멍(16) 중앙부의 상측 및 하측의 가장자리부에만 후육부(18)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더욱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제 7 실시형태에서는, 앵커 플레이트(12)의 후육부(18)를 차폭 방향 내측 및 차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시켰다. 그러나, 앵커 플레이트(12)의 후육부(18)를 차폭 방향 내측으로만 돌출시켜도 무방하며(예컨대 도 5 참조), 또, 앵커 플레이트(12)의 후육부(18)를 차폭 방향 외측으로만 돌출시켜도 무방하다(예컨대 도 6 참조). 나아가, 관통구멍(16)의 상측 및 하측 중 일방(一方)의 후육부(18)를 차폭 방향 내측 및 차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동시에, 관통구멍(16)의 상측 및 하측 중 타방(他方)의 후육부(18)를 차폭 방향 내측으로만 또는 차폭 방향 외측으로만 돌출시켜도 무방하다. 또한, 관통구멍(16)의 상측 및 하측 중 일방의 후육부(18)를 차폭 방향 내측으로만 돌출시키는 동시에, 관통구멍(16)의 상측 및 하측 중 타방의 후육부(18)를 차폭 방향 외측으로만 돌출시켜도 무방하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제 7 실시형태에서는, 스루 앵커(10, 40, 50, 60, 70, 80, 90)를 슬립 조인트에 적용하였다. 그러나, 스루 앵커(10, 40, 50, 60, 70, 80, 90)를 텅에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10; 스루 앵커
12; 앵커 플레이트(본체 부재)
12A; 외주 단면
16; 관통구멍
18; 후육부(厚肉部)
18A; 평면부
18B; 모서리부
20; 가이드 피스(슬라이딩 지지 부재)
24; 웨빙
40; 스루 앵커
50; 스루 앵커
60; 스루 앵커
70; 스루 앵커
80; 스루 앵커
90; 스루 앵커

Claims (8)

  1. 차량의 탑승자에게 장착되는 웨빙(webbing)이 삽입통과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본체 부재와,
    상기 본체 부재의 상기 관통구멍 주위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 부재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기 본체 부재의 두께방향 치수를 크게 한 후육부(厚肉部)와,
    상기 본체 부재의 외주 단면(端面) 전체를 남기고 상기 관통구멍의 주위에 고정되며, 상기 웨빙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딩 지지 부재
    를 구비한 스루 앵커(through anchor).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육부의 둘레면을 만곡시킨 스루 앵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후육부의 상기 관통구멍과는 반대측 부분에 평면부를 설치한 스루 앵커.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육부의 상기 관통구멍과는 반대측의 둘레면을 상기 본체 부재의 두께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게(延出) 한 스루 앵커.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육부의 상기 관통구멍과는 반대측의 둘레면을 상기 관통구멍 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본체 부재의 두께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한 스루 앵커.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육부의 상기 관통구멍 측의 둘레면을 상기 관통구멍 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본체 부재의 두께방향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한 스루 앵커.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육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 부재의 두께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모서리부를 구비한 스루 앵커.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육부의 상기 관통구멍 측의 단면(端面)을 평면 형상으로 한 스루 앵커.
KR1020167008454A 2013-12-18 2013-12-18 스루 앵커 KR201600489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83985 WO2015092890A1 (ja) 2013-12-18 2013-12-18 スルーアン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959A true KR20160048959A (ko) 2016-05-04

Family

ID=53402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8454A KR20160048959A (ko) 2013-12-18 2013-12-18 스루 앵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60159318A1 (ko)
EP (1) EP3015322A4 (ko)
JP (1) JPWO2015092890A1 (ko)
KR (1) KR20160048959A (ko)
CN (1) CN105683003A (ko)
MX (1) MX2016002434A (ko)
WO (1) WO20150928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81521B2 (ja) * 2015-05-28 2017-02-1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ガイド及びシートベルト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617276T2 (de) * 1995-01-11 2002-05-23 Yugengaisha Mutsumichi Kenkyuj Sicherheitsgurt-Verbindungsbeschla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JP3257589B2 (ja) * 1997-09-24 2002-02-18 株式会社遠州 シートベルト吊持具
JP2000085526A (ja) * 1998-09-14 2000-03-28 Nippon Seiko Kk シートベルト用スルーリング
JP3096029B2 (ja) * 1999-03-23 2000-10-10 三桜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挿通具
JP4524518B2 (ja) * 2000-09-21 2010-08-18 Tkj株式会社 ウェビング挿通部材
JP5839793B2 (ja) * 2010-11-09 2016-01-06 株式会社遠州 スルーアンカ
JP5845055B2 (ja) 2011-10-26 2016-01-20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スルーアンカ、スルーアンカの製造方法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EP2662251B1 (en) * 2012-05-08 2014-08-20 Fiat Group Automobiles S.p.A. seat belt connection device for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6002434A (es) 2016-06-24
US20160159318A1 (en) 2016-06-09
JPWO2015092890A1 (ja) 2017-03-16
EP3015322A1 (en) 2016-05-04
WO2015092890A1 (ja) 2015-06-25
EP3015322A4 (en) 2017-03-01
CN105683003A (zh) 201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2365B2 (en) Through anchor
KR101455497B1 (ko) 클립
CN107000676B (zh) 插接舌
JP2019202561A (ja) シートベルト用アンカー装置
WO2015092893A1 (ja) スルーアンカ
KR20160048959A (ko) 스루 앵커
US7325879B2 (en) Seat belt guide
US9783156B2 (en) Webbing guide
US20180220749A1 (en) Tongue for seatbelt device
JP6223393B2 (ja) スルーアンカ
JP5859618B2 (ja) スルーアンカ
JP5844466B2 (ja) スルーアンカ
JP2008260415A (ja) ベルトガイドアンカー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JP5260350B2 (ja) シートベルトガイドアンカー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JP7114334B2 (ja) シートベルト用アンカー装置
KR101867046B1 (ko) 케이블용 고정 장치를 구비한 벨트 버클
JP2021008232A (ja) スルーアンカ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US9827945B2 (en) Anchor for seatbelt device
JP2006142883A (ja) ウェビング挿通部材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