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2069A - 작업 차량 및 운전사 보호 가드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및 운전사 보호 가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72069A KR20160072069A KR1020157005762A KR20157005762A KR20160072069A KR 20160072069 A KR20160072069 A KR 20160072069A KR 1020157005762 A KR1020157005762 A KR 1020157005762A KR 20157005762 A KR20157005762 A KR 20157005762A KR 20160072069 A KR20160072069 A KR 201600720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cap
- vertical frame
- guard
- dri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3—Structures to protect drivers, e.g. cabins, doors for cabins; Falling object protection structure [FOPS]; Roll over protection structure [ROP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운전사 보호 가드가 설치된 캡 내부로부터의 시야를 확대할 수 있는 작업 차량을 제공한다. 캡의 전방에 설치된 프런트 가드(100)는, 프런트 가드(100)의 바깥 가장자리를 구성하는 프레임(130)을 갖고 있다. 프레임(130)은, 상측 프레임(140)과 하측 프레임(150)과 우측 세로 프레임(160)과 좌측 세로 프레임(170)이 틀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우측 세로 프레임(160)은, 세로 프레임 굴곡부(161)를 지니고, 세로 프레임 굴곡부(161)로부터 하측 프레임(150)에 근접함에 따라서, 캡을 향하여 후방으로 뻗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작업 차량 및 운전사 보호 가드에 관한 것이다.
유압 셔블, 스크랩 로더 등의 작업 차량은, 작업 차량을 조작하는 운전사가 탑승하는 캡을 갖추고 있다. 캡에는, 캡의 앞쪽 또는 위쪽에서 캡으로 날라오는 물체에 대하여 운전사를 적절히 보호하기 위한 운전사 보호 가드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운전사 보호 가드는 예컨대 일본 특허 5355831호 명세서(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에 개시된 프런트 가드에서는, 종횡으로 교차하는 판 부재가, 캡 내에 착석하는 운전사의 시계(視界)를 가로막지 않도록, 운전사의 시점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일본 특허 5355831호 명세서(특허문헌 1)에 개시된 프런트 가드에서는, 격자형으로 조합한 판형 부재의 각각을 운전사의 시선과 평행하게 배치함으로써, 운전석으로부터의 시계를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운전사 보호 가드를 갖추고 있는 가드를 지닌 캡에는, 캡 내의 운전석으로부터의 시계를 한층더 향상시킬 것이 요구되고 있으며, 종래의 운전사 보호 가드의 구조로는 반드시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어 여전히 개량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사 보호 가드가 설치된 캡 내부로부터의 시야를 확대할 수 있는 작업 차량 및 운전사 보호 가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작업 차량은, 작업기와, 작업기의 측방에 배치된 캡과, 캡의 전방에 설치된 운전사 보호 가드를 구비하고 있다. 운전사 보호 가드는, 운전사 보호 가드의 바깥 가장자리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있다. 프레임은, 상측 프레임과, 하측 프레임과, 우측 세로 프레임과, 좌측 세로 프레임을 갖고 있다. 프레임은, 상측 프레임과 하측 프레임과 우측 세로 프레임과 좌측 세로 프레임이 틀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우측 세로 프레임과 좌측 세로 프레임 중 작업기에 가까운 한쪽의 세로 프레임은, 세로 프레임 굴곡부를 지니고, 세로 프레임 굴곡부로부터 하측 프레임에 근접함에 따라서 캡을 향하여 후방으로 뻗어 있다.
상기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측 프레임은 판재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측 프레임은, 광폭부를 양끝에 지니고, 광폭부보다 폭이 좁은 협폭부를 중앙 부분에 갖고 있다.
상기한 작업 차량에 있어서, 하측 프레임과, 우측 세로 프레임과, 좌측 세로 프레임은 파이프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작업 차량에 있어서, 우측 세로 프레임과 좌측 세로 프레임 중 작업기에 가까운 한쪽의 세로 프레임에, 운전사 보호 가드를 캡에 부착하는 복수의 부착부가 마련되어 있다. 한쪽의 세로 프레임은 하측 프레임에 연결되는 하단부를 갖고 있다. 가장 하측의 부착부보다도 하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세로 프레임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작업 차량에 있어서, 부착부는 힌지 구조를 갖고 있다. 운전사 보호 가드는, 힌지 구조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캡에 대하여 상대 회전한다.
상기한 작업 차량에 있어서, 하측 프레임은 하측 프레임 굴곡부를 갖고 있다. 하측 프레임은, 하측 프레임 굴곡부로부터 우측 세로 프레임과 좌측 세로 프레임 중 작업기에 가까운 한쪽의 세로 프레임에 근접함에 따라서, 캡을 향하여 후방으로 뻗어 있다.
본 발명의 운전사 보호 가드는, 작업 기계의 캡의 전방에 설치되는 운전사 보호 가드이며, 운전사 보호 가드의 바깥 가장자리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갖추고 있다. 프레임은, 상측 프레임과, 하측 프레임과, 우측 세로 프레임과, 좌측 세로 프레임을 갖고 있다. 상측 프레임은 판재로 형성되어 있다. 하측 프레임, 우측 세로 프레임 및 좌측 세로 프레임은 파이프로 형성되어 있다. 우측 세로 프레임 및 좌측 세로 프레임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세로 프레임 굴곡부를 갖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사 보호 가드가 설치된 캡 내부로부터의 시야를 확대할 수 있는 작업 차량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차량의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드를 지닌 캡의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런트 가드의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제1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런트 가드의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제2 사시도이다.
도 5는 가드를 지닌 캡의, 프런트 가드의 상측 프레임 부근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프런트 가드의 상측 프레임 부근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프런트 가드의 상측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가드를 지닌 캡의, 프런트 가드의 하측 프레임 부근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가드를 지닌 캡의 일부의 하면도이다.
도 10은 프런트 가드를 캡에 로크하는 로크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하는 로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캡에 대하여 열린 상태의 프런트 가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형태의 가드를 지닌 캡의, 프런트 가드의 하측 프레임 부근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형태의 가드를 지닌 캡의 일부의 하면도이다.
도 15는 가드를 지닌 캡에 있어서의 캡 내부로부터의 시야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드를 지닌 캡의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런트 가드의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제1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런트 가드의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제2 사시도이다.
도 5는 가드를 지닌 캡의, 프런트 가드의 상측 프레임 부근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프런트 가드의 상측 프레임 부근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프런트 가드의 상측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가드를 지닌 캡의, 프런트 가드의 하측 프레임 부근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가드를 지닌 캡의 일부의 하면도이다.
도 10은 프런트 가드를 캡에 로크하는 로크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하는 로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캡에 대하여 열린 상태의 프런트 가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형태의 가드를 지닌 캡의, 프런트 가드의 하측 프레임 부근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형태의 가드를 지닌 캡의 일부의 하면도이다.
도 15는 가드를 지닌 캡에 있어서의 캡 내부로부터의 시야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차량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사상을 적용할 수 있는 작업 차량의 일례인 유압 셔블에 관해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캡을 갖춘 작업 차량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차량으로서의, 유압 셔블(1)의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유압 셔블(1)은, 주행체(2)와, 선회체(3)와, 작업기(4)와, 가드를 지닌 캡(15)을 주로 구비하고 있다. 주행체(2)와 선회체(3)에 의해 작업 차량 본체가 주로 구성되어 있다.
주행체(2)는 좌우 한 쌍의 크롤러 벨트(2a)를 갖고 있다. 주행체(2)는, 한 쌍의 크롤러 벨트(2a)가 회전함으로써 자주(自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선회체(3)는, 주행체(2)에 대하여 선회가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선회체(3)는, 전방 좌측에, 운전사가 유압 셔블(1)을 조작하기 위한 공간인 캡(5)을 포함하고 있다. 선회체(3)는, 후방 측에, 엔진을 수납하는 엔진 룸(6) 및 카운터 웨이트(7)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캡(5) 내에 운전사가 착석한 상태에서, 운전사의 전방 측(정면 측)을 선회체(3)의 전방 측으로 하고, 이것과 반대쪽, 즉 운전사의 후방 측을 선회체(3)의 후방 측으로 하고, 착석한 상태에서의 운전사의 좌측을 선회체(3)의 좌측으로 하고, 착석한 상태에서의 운전사의 우측을 선회체(3)의 우측으로 한다. 이후에는, 선회체(3)의 전후좌우와 작업 차량의 전후좌우는 일치하고 있다고 하자.
선회체(3)는 선회 프레임(10)을 포함하고 있다. 선회 프레임(10)은 작업 차량 본체에 포함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10)은, 주행체(2)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고, 주행체(2)에 대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선회가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작업기(4),가드를 지닌 캡(15) 및 카운터 웨이트(7)는, 선회 프레임(10)에 탑재되어 있으며, 선회 프레임(10)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토사를 굴착하거나 하는 등의 작업을 행하는 작업기(4)는, 상하 방향으로 작동 가능하게, 선회체(3)에 의해 피봇 지지되어 있다. 작업기(4)는, 선회체(3)의 전방 측의 대략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작동 가능하게 부착된 붐(4a)과, 붐(4a)의 선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작동 가능하게 부착된 아암(4b)과, 아암(4b)의 선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작동 가능하게 부착된 버킷(4c)을 갖고 있다. 붐(4a), 아암(4b) 및 버킷(4c)은 각각 유압 실린더(4d)에 의해서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드를 지닌 캡(15)은 선회체(3)의 전방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작업기(4)는, 가드를 지닌 캡(15)에 대하여, 가드를 지닌 캡(15)의 측방의 한쪽인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드를 지닌 캡(15)의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가드를 지닌 캡(15)은, 유압 셔블(1)을 조작하는 운전사가 탑승하는 캡(5)과, 운전사를 보호하는 운전사 보호 가드를 포함하고 있다. 운전사 보호 가드는 프런트 가드(100)를 포함하고 있다. 프런트 가드(100)는 캡(5)에 부착되어 있다. 프런트 가드(100)는, 캡(5)의 전방으로부터 날라오는 물체에 대해 운전사를 보호할 목적이며, 캡(5)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프런트 가드(100)는, 복수의 제1 판 부재(110)와, 복수의 제2 판 부재(120)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제1 판 부재(110)는 1장의 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제2 판 부재(120)는 1장의 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프런트 가드(100)는, 복수의 제1 판 부재(110)의 각각의 길이 방향(DR1)과, 복수의 제2 판 부재(120)의 각각의 길이 방향(DR2)이 교차하도록 복수의 제1 판 부재(110)와 복수의 제2 판 부재(120)가 격자형으로 조립된 구성을 갖고 있다.
복수의 제1 판 부재(110) 및 복수의 제2 판 부재(120)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격자를 둘러싸도록 틀로서의 프레임(130)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격자는, 프레임(130)에 의해서 그 주위가 지지된다. 프런트 가드(100)는, 격자형으로 조립된 복수의 제1 판 부재(110) 및 복수의 제2 판 부재(120)를 둘러싸는 프레임(130)을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130)은 프런트 가드(100)의 바깥 가장자리를 구성하고 있다. 복수의 제1 판 부재(110)와 복수의 제2 판 부재(120)는, 프레임(130)을 개재시켜, 캡(5)의 전방 측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런트 가드(100)의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제1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런트 가드(100)의 구성의 개략을 도시하는 제2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프런트 가드(100)의 프레임(130)은, 상측 프레임(140)과, 하측 프레임(150)과, 우측 세로 프레임(160)과, 좌측 세로 프레임(170)을 갖고 있다. 프레임(130)은, 상측 프레임(140)과 하측 프레임(150)과 우측 세로 프레임(160)과 좌측 세로 프레임(170)이 틀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하측 프레임(150), 우측 세로 프레임(160) 및 좌측 세로 프레임(170)은, 파이프를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구부려 변형하여 적절하게 연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측 프레임(140)은 판재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한 것을 후술하는 것과 같이, 상측 프레임(140)은,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광폭부(141, 142)를 양끝에 갖고 있고,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협폭부(143)를 중앙 부분에 갖고 있다.
하측 프레임(150)은, 우측 프레임 부분(153)과, 중앙 프레임 부분(154)과, 좌측 프레임 부분(155)을 갖고 있다. 하측 프레임(150)은 하측 프레임 굴곡부(151, 152)를 갖고 있다. 하측 프레임 굴곡부(151)는, 우측 프레임 부분(153)과 중앙 프레임 부분(154)과의 연결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하측 프레임 굴곡부(152)는, 좌측 프레임 부분(155)과 중앙 프레임 부분(154)과의 연결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하측 프레임(150)은, 하측 프레임 굴곡부(151) 및 하측 프레임 굴곡부(152)에 있어서 굴곡된 형상을 갖고 있다. 우측 프레임 부분(153)이 뻗는 방향과, 중앙 프레임 부분(154)이 뻗는 방향은 상호 교차하고 있다. 좌측 프레임 부분(155)이 뻗는 방향과, 중앙 프레임 부분(154)이 뻗는 방향은 상호 교차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프런트 가드(100)는 5장의 제1 판 부재(110)를 갖고 있다. 하측 프레임 굴곡부(151)는, 오른쪽에서부터 2번째의 제1 판 부재(110)의 우측에 형성되어 있다. 하측 프레임 굴곡부(152)는, 좌측에서부터 2번째의 제1 판 부재(110)의 좌측에 형성되어 있다.
우측 세로 프레임(160)은, 하측 프레임 부분(163)과, 중앙 프레임 부분(164)과, 상측 프레임 부분(165)을 갖고 있다. 우측 세로 프레임(160)은 세로 프레임 굴곡부(161, 162)를 갖고 있다. 세로 프레임 굴곡부(161)는, 하측 프레임 부분(163)과 중앙 프레임 부분(164)과의 연결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세로 프레임 굴곡부(162)는, 상측 프레임 부분(165)과 중앙 프레임 부분(164)과의 연결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우측 세로 프레임(160)은, 세로 프레임 굴곡부(161) 및 세로 프레임 굴곡부(162)에 있어서 굴곡된 형상을 갖고 있다. 하측 프레임 부분(163)이 뻗는 방향과, 중앙 프레임 부분(164)이 뻗는 방향은 상호 교차하고 있다. 상측 프레임 부분(165)이 뻗는 방향과, 중앙 프레임 부분(164)이 뻗는 방향은 상호 교차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프런트 가드(100)는 4장의 제2 판 부재(120)를 갖고 있다. 세로 프레임 굴곡부(161)는, 가장 아래의 제2 판 부재(120)에 대하여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세로 프레임 굴곡부(162)는, 가장 위의 제2 판 부재(120)에 대하여 상측에 형성되어 있다.
우측 세로 프레임(160)은 하단부(166)와 상단부(167)를 갖고 있다. 우측 세로 프레임(160)은, 하단부(166)에 있어서, 하측 프레임(150)에 연결되어 있다. 우측 세로 프레임(160)은, 상단부(167)에 있어서, 상측 프레임(140)에 연결되어 있다.
우측 세로 프레임(160)의 하측 프레임 부분(163)은, 세로 프레임 굴곡부(161)로부터 하측 프레임(150)에 근접함에 따라서, 캡(5)을 향하여 후방으로 뻗어 있다. 우측 세로 프레임(160)은, 세로 프레임 굴곡부(161)에 있어서, 하측 프레임(150)에 연결되는 하단부(166)가 캡(5)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가드를 지닌 캡(15)이 선회 프레임(10)에 탑재된 상태에서, 우측 세로 프레임(160)의 하단부(166)는, 세로 프레임 굴곡부(161)보다도 선회체(3)의 후방 측에 배치되어 있다.
우측 세로 프레임(160)의 상측 프레임 부분(165)은, 세로 프레임 굴곡부(162)로부터 상측 프레임(140)에 근접함에 따라서, 캡(5)을 향하여 후방으로 뻗어 있다. 우측 세로 프레임(160)은, 세로 프레임 굴곡부(162)에 있어서, 상측 프레임(140)에 연결되는 상단부(167)가 캡(5)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가드를 지닌 캡(15)이 선회 프레임(10)에 탑재된 상태에서, 우측 세로 프레임(160)의 상단부(167)는, 세로 프레임 굴곡부(162)보다도 선회체(3)의 후방 측에 배치되어 있다.
우측 세로 프레임(160)의 하측 프레임 부분(163)과, 우측 세로 프레임(160)의 상측 프레임 부분(165)은, 중앙 프레임 부분(164)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1점쇄선은 중앙 프레임 부분(164)이 뻗는 방향을 나타내고, 도 3에 도시하는 화살표는 중앙 프레임 부분(164)이 뻗는 방향에 대하여 하측 프레임 부분(163)이 굴곡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우측 세로 프레임(160)의 중앙 프레임 부분(164)에는, 볼트 장착부(168)가 두 곳 마련되어 있다. 두 곳의 볼트 장착부(168)는, 우측 세로 프레임(160)이 뻗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어 있다.
두 곳의 볼트 장착부(168) 중 하단부(166)에 보다 가까운 한쪽에 대하여 하단부(166) 측에, 세로 프레임 굴곡부(161)가 형성되어 있다. 세로 프레임 굴곡부(161)는, 가장 아래쪽의 볼트 장착부(168)보다도 하단부(166)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두 곳의 볼트 장착부(168) 중 상단부(167)에 보다 가까운 한쪽에 대하여 상단부(167) 측에, 세로 프레임 굴곡부(162)가 형성되어 있다. 세로 프레임 굴곡부(162)는, 가장 위쪽의 볼트 장착부(168)보다도 상단부(167)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볼트 장착부(168)에는 힌지부(320)가 고정된다. 볼트가 힌지부(320)를 관통하여 볼트 장착부(168)에 고정됨으로써, 힌지부(320)는 프런트 가드(100)에 고정된다.
힌지부(320)는 또한 브래킷(310)에 고정된다. 볼트가 힌지부(320)를 관통하여 브래킷(310)에 고정됨으로써 힌지부(320)는 브래킷(310)에 고정된다. 브래킷(310)은 캡(5)의 우측 프런트 필라(pillar)의 앞면에 부착된다. 프런트 가드(100)는, 브래킷(310) 및 힌지부(320)를 개재하여, 캡(5)에 부착되어 있다.
브래킷(310), 힌지부(320) 및 볼트 장착부(168)는, 프런트 가드(100)를 캡(5)에 개폐 가능하게 부착하는 부착부를 구성하고 있다. 볼트 장착부(168)가 우측 세로 프레임(160)의 두 곳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부착부가 마련되게 된다. 프런트 가드(100)는, 힌지부(320)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캡(5)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우측 세로 프레임(160)이 굴곡된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우측 세로 프레임(160)의 중앙 프레임 부분(164)과 캡(5)의 앞면과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에, 프런트 가드(100)를 캡(5)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가 배치되어 있다. 우측 세로 프레임(160)은, 우측 세로 프레임(160)의 중앙 프레임 부분(164)과 캡(5)과의 사이에 부착부의 설치를 가능하게 하면서 또한 우측 세로 프레임(160)의 하단부(166) 및 상단부(167)가 캡(5)의 앞면 근처에 배치되도록, 두 곳의 세로 프레임 굴곡부(161, 162)에 있어서 굴곡된 형상을 갖고 있다. 우측 세로 프레임(160)의 양단부는, 중앙 프레임 부분(164)보다도 캡(5)의 앞면에 보다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좌측 세로 프레임(170)은, 하측 프레임 부분(173)과, 중앙 프레임 부분(174)과, 상측 프레임 부분(175)을 갖고 있다. 좌측 세로 프레임(170)은 세로 프레임 굴곡부(171, 172)를 갖고 있다. 세로 프레임 굴곡부(171)는, 하측 프레임 부분(173)과 중앙 프레임 부분(174)과의 연결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세로 프레임 굴곡부(172)는, 상측 프레임 부분(175)과 중앙 프레임 부분(174)과의 연결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좌측 세로 프레임(170)은, 세로 프레임 굴곡부(171) 및 세로 프레임 굴곡부(172)에 있어서 굴곡된 형상을 갖고 있다. 하측 프레임 부분(173)이 뻗는 방향과, 중앙 프레임 부분(174)이 뻗는 방향은 상호 교차하고 있다. 상측 프레임 부분(175)이 뻗는 방향과, 중앙 프레임 부분(174)이 뻗는 방향은 상호 교차하고 있다.
세로 프레임 굴곡부(171)는, 가장 아래의 제2 판 부재(120)에 대하여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다. 세로 프레임 굴곡부(172)는, 가장 위의 제2 판 부재(120)에 대하여 위쪽에 형성되어 있다.
좌측 세로 프레임(170)은 하단부(176)와 상단부(177를) 갖고 있다. 좌측 세로 프레임(170)은, 하단부(176)에 있어서, 하측 프레임(150)에 연결되어 있다. 좌측 세로 프레임(170)은, 상단부(177)에 있어서, 상측 프레임(140)에 연결되어 있다.
좌측 세로 프레임(170)의 하측 프레임 부분(173)은, 세로 프레임 굴곡부(171)로부터 하측 프레임(150)에 근접함에 따라서, 캡(5)을 향하여 후방으로 뻗어 있다. 좌측 세로 프레임(170)은, 세로 프레임 굴곡부(171)에 있어서, 하측 프레임(150)에 연결되는 하단부(176)가 캡(5)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가드를 지닌 캡(15)이 선회 프레임(10)에 탑재된 상태에서, 좌측 세로 프레임(170)의 하단부(176)는, 세로 프레임 굴곡부(171)보다도, 선회체(3)의 후방 측에 배치되어 있다.
좌측 세로 프레임(170)의 상측 프레임 부분(175)은, 세로 프레임 굴곡부(172)로부터 상측 프레임(140)에 근접함에 따라서, 캡(5)을 향하여 후방으로 뻗어 있다. 좌측 세로 프레임(170)은, 세로 프레임 굴곡부(172)에 있어서, 상측 프레임(140)에 연결되는 상단부(177)가 캡(5)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가드를 지닌 캡(15)이 선회 프레임(10)에 탑재된 상태에서, 좌측 세로 프레임(170)의 상단부(177)는, 세로 프레임 굴곡부(172)보다도, 선회체(3)의 후방 측에 배치되어 있다.
좌측 세로 프레임(170)의 하측 프레임 부분(173)과, 좌측 세로 프레임(170)의 상측 프레임 부분(175)은, 중앙 프레임 부분(174)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1점쇄선은 중앙 프레임 부분(174)이 뻗는 방향을 나타내고, 도 4에 도시하는 화살표는 중앙 프레임 부분(174)이 뻗는 방향에 대하여 하측 프레임 부분(173)이 굴곡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좌측 세로 프레임(170)의 중앙 프레임 부분(174)에는 핀 삽입 관통부(181, 182)가 형성되어 있다. 핀 삽입 관통부(181, 182)는, 좌측 세로 프레임(170)이 뻗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배치되어 있다.
두 곳의 핀 삽입 관통부(181, 182) 중 하단부(176)에 보다 가까운 핀 삽입 관통부(182)에 대하여 하단부(176) 측에, 세로 프레임 굴곡부(171)가 형성되어 있다. 세로 프레임 굴곡부(171)는, 가장 아래쪽의 핀 삽입 관통부(182)보다도 하단부(176)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두 곳의 핀 삽입 관통부(181, 182) 중 상단부(177)에 보다 가까운 핀 삽입 관통부(181)에 대하여 상단부(177) 측에, 세로 프레임 굴곡부(172)가 형성되어 있다. 세로 프레임 굴곡부(172)는, 가장 위쪽의 핀 삽입 관통부(181)보다도 상단부(177)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캡(5)의 좌측 프런트 필라의 앞면에는 브래킷(210)이 부착된다. 브래킷(210)에는 핀 고정부(220)가 고정된다. 볼트가 핀 고정부(220)를 관통하여 브래킷(210)에 고정됨으로써, 핀 고정부(220)는 브래킷(210)에 고정된다.
핀 삽입 관통부(181, 182)의 각각이 핀 고정부(220)에 조합된 상태에서, 핀(230)이 핀 고정부(220)와 핀 삽입 관통부(181, 182) 양쪽을 관통하여 배치됨으로써, 핀 삽입 관통부(181, 182)는 브래킷(210)에 고정된다. 프런트 가드(100)는, 브래킷(210) 및 핀 고정부(220)를 개재하여, 캡(5)에 조립 부착되어 있다.
핀(230)을 이용하여 핀 삽입 관통부(181, 182)와 핀 고정부(220)를 일체로 고정함으로써, 프런트 가드(100)는 캡(5)에 조립 부착되어, 캡(5)에 대한 프런트 가드(100)의 이동이 규제된다.
핀 삽입 관통부(181, 182) 및 핀 고정부(220)로부터 핀(230)을 뽑아냄으로써, 캡(5)에 대한 프런트 가드(100)의 이동 규제가 해제된다. 이 때, 프런트 가드(100)의 좌측 세로 프레임(170)은 캡(5)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지만, 우측 세로 프레임(160)은 힌지부(320)를 통해 캡(5)의 우측 프런트 필라에 부착된 채로이다. 프런트 가드(100)는, 핀(230)을 제거함으로써, 힌지부(320)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된다. 이에 따라, 프런트 가드(100)가 캡(5)의 앞면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된다.
브래킷(210), 핀 고정부(220) 및 핀 삽입 관통부(181, 182)는, 프런트 가드(100)를 닫힌 상태로 로크하는 로크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핀 삽입 관통부(181) 및 핀 삽입 관통부(182)가 좌측 세로 프레임(170)의 두 곳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로크 장치가 설치되게 된다.
좌측 세로 프레임(170)이 굴곡된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좌측 세로 프레임(170)의 중앙 프레임 부분(174)과 캡(5)의 앞면과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에, 닫힌 상태의 프런트 가드(100)를 로크하기 위한 로크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좌측 세로 프레임(170)은, 좌측 세로 프레임(170)의 중앙 프레임 부분(174)과 캡(5)과의 사이에 로크 장치를 설치할 수 있게 하면서 또한 좌측 세로 프레임(170)의 하단부(176) 및 상단부(177)가 캡(5)의 앞면 근처에 배치되도록, 두 곳의 세로 프레임 굴곡부(171, 172)에 있어서 굴곡된 형상을 갖고 있다. 좌측 세로 프레임(170)의 양단부는, 중앙 프레임 부분(174)보다도, 캡(5)의 앞면에 보다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5는, 가드를 지닌 캡(15)의, 프런트 가드(100)의 상측 프레임(140) 부근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프런트 가드(100)의 상측 프레임(140) 부근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프런트 가드(100)의 상측 프레임(140)의 사시도이다.
도 5~도 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프런트 가드(100)의 상측 프레임(140)은 판재로 형성되어 있다. 상측 프레임(140)은 제1 판부(144)와 제2 판부(145)를 갖고 있다. 제2 판부(145)는 제1 판부(144)에 대하여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측 프레임(140)은 굴곡부(148)를 지닌 가늘고 긴 판상(板狀)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측 프레임(140)의 제1 판부(144)는, 광폭부(141, 142)를 양끝에 갖고 있고, 광폭부(141, 142)보다도 폭이 좁은 협폭부(143)를 중앙 부분에 갖고 있다. 제2 판부(145)는, 판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146)를 갖고 있다. 각각의 돌출부(146)에는 슬릿(147)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46) 및 슬릿(147)은 프런트 가드(100)의 제1 판 부재(110)와 동일한 개수로 마련되어 있다.
제1 판 부재(110)의 상단부는 슬릿(147)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우측 세로 프레임(160)의 상단부(167)는 광폭부(141)에 접합되어 있다. 좌측 세로 프레임(170)의 상단부(177)는 광폭부(142)에 접합되어 있다. 우측 세로 프레임(160)의 상단부(167)와 광폭부(141)는, 예컨대 용접에 의해서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좌측 세로 프레임(170)의 상단부(177)와 광폭부(142)는, 예컨대 용접에 의해서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제1 판부(144)는, 양끝의 광폭부(141, 142)에 있어서, 우측 세로 프레임(160) 및 좌측 세로 프레임(170)을 구성하고 있는 관재의 외경보다도 큰 치수를 갖고 있다. 제1 판부(144)는, 중앙 부분의 협폭부(143)에 있어서, 우측 세로 프레임(160) 및 좌측 세로 프레임(170)을 구성하고 있는 관재의 외경보다도 작은 치수를 갖고 있다.
도 8은, 가드를 지닌 캡(15)의, 프런트 가드(100)의 하측 프레임(150) 부근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가드를 지닌 캡(15)의 일부의 하면도이다. 도 8, 도 9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프런트 가드(100)의 하측 프레임(150)은, 하측 프레임 굴곡부(151) 및 하측 프레임 굴곡부(152)에 있어서 굴곡된 형상을 갖고 있다.
하측 프레임(150)의 우측 프레임 부분(153)은, 하측 프레임 굴곡부(151)로부터 우측 세로 프레임(160)에 근접함에 따라서, 캡(5)을 향하여 후방으로 뻗어 있다. 하측 프레임(150)은, 하측 프레임 굴곡부(151)에 있어서, 우측 세로 프레임(160)에 연결되는 단부가 캡(5)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가드를 지닌 캡(15)이 선회 프레임(10)에 탑재된 상태에서, 우측 세로 프레임(160)에 연결되는 하측 프레임(150)의 단부는, 하측 프레임 굴곡부(151)보다도 선회체(3)의 후방 측에 배치되어 있다.
하측 프레임(150)의 좌측 프레임 부분(155)은, 하측 프레임 굴곡부(152)로부터 좌측 세로 프레임(170)에 근접함에 따라서, 캡(5)을 향하여 후방으로 뻗어 있다. 하측 프레임(150)은, 하측 프레임 굴곡부(152)에 있어서, 좌측 세로 프레임(170)에 연결되는 단부가 캡(5)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가드를 지닌 캡(15)이 선회 프레임(10)에 탑재된 상태에서, 좌측 세로 프레임(170)에 연결되는 하측 프레임(150)의 단부는, 하측 프레임 굴곡부(152)보다도 선회체(3)의 후방 측에 배치되어 있다.
하측 프레임(150)의 우측 프레임 부분(153)과, 하측 프레임(150)의 좌측 프레임 부분(155)은, 중앙 프레임 부분(154)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1점쇄선은 중앙 프레임 부분(154)이 뻗는 방향을 나타내고, 도 8에 도시하는 화살표는 중앙 프레임 부분(154)이 뻗는 방향에 대하여 우측 프레임 부분(153) 및 좌측 프레임 부분(155)이 굴곡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하측 프레임(150)이 굴곡된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하측 프레임(150)의 중앙 프레임 부분(154)과 캡(5)의 앞면과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에, 캡(5)의 앞창을 청소하기 위한 와이퍼(400)가 배치되어 있다. 하측 프레임(150)은, 하측 프레임(150)의 중앙 프레임 부분(154)과 캡(5)과의 사이에 와이퍼(400)의 설치를 가능하게 하면서 또한 하측 프레임(150)의 단부가 캡(5)의 앞면 근처에 배치되도록, 두 곳의 하측 프레임 굴곡부(151, 152)에 있어서 굴곡된 형상을 갖고 있다. 하측 프레임(150)의 양단부는, 중앙 프레임 부분(154)보다도 캡(5)의 앞면에 보다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10은 프런트 가드(100)를 캡(5)에 로크하는 로크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하는 로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도 1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브래킷(210)은 판부(211, 212)를 갖고 있다. 판부(211, 212)는, 가늘고 긴 판의 형상을 갖고 있고, 서로의 긴 변이 접합되어 있다. 판부(211, 212)는 상호 직교하고 있다.
판부(212)에는, 판부(212)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214)이 형성되어 있다. 판부(211)에는, 도시하지 않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볼트(215)는 그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판부(212)에는 스토퍼 고정부(216)가 고정되어 있다. 스토퍼 고정부(216)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볼트(217)가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볼트(217)의 머리 부분에 고무제의 스토퍼(218)가 부착되어 있다.
핀 고정부(220)는 본체부(221)를 갖고 있다. 본체부(221)에는 도시하지 않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볼트(227, 227)는 그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핀 고정부(220)는 핀 삽입 관통부(222, 224)를 갖고 있다. 핀 삽입 관통부(222)에는 핀 삽입 관통 구멍(223)이 형성되어 있다. 핀 삽입 관통부(224)에는 핀 삽입 관통 구멍(225)이 형성되어 있다. 핀 삽입 관통 구멍(223, 225)은 핀(230)의 외경보다도 약간 큰 내경을 갖고 있다.
브래킷(210)의 판부(211)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볼트(215)가 관통하여, 볼트(215)가 캡(5)의 좌측 프런트 필라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브래킷(210)이 캡(5)에 고정된다. 핀 고정부(220)의 본체부(221)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볼트(227)가 관통하고, 또한 브래킷(210)의 판부(212)에 형성된 관통 구멍(214)을 볼트(227)가 관통하여, 핀 고정부(220)가 브래킷(210)에 고정된다.
프런트 가드(100)를 닫으면, 프런트 가드(100)에 형성된 핀 삽입 관통부(181)는, 핀 고정부(220)에 형성된 핀 삽입 관통부(222, 224) 사이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핀(230)을, 핀 삽입 관통부(222), 핀 삽입 관통부(181) 및 핀 삽입 관통부(224)를 순차 관통하여 배치함으로써, 핀 삽입 관통부(181)는 핀 고정부(220)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프런트 가드(100)가, 브래킷(210)과 핀 고정부(220)의 2개의 부재를 개재하여, 캡(5)에 조립 부착된다.
핀 삽입 관통부(222, 224) 및 핀 삽입 관통부(181)에 핀(230)을 빼고 꽂을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도 4에 도시하는 힌지부(320)의 회전축과, 핀 삽입 관통부(222, 224)에 형성된 핀 삽입 관통 구멍(223, 225) 및 핀 삽입 관통부(181)에 형성된 핀 삽입 관통 구멍의 중심축을, 평행하게 할 필요가 있다. 핀 삽입 관통 구멍(223, 225)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 핀 고정부(220)의 브래킷(210)에의 고정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브래킷(210)에 형성된 관통 구멍(214)은, 관통 구멍(214)에 삽입 관통되는 볼트(227)의 외경보다도 큰 내경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브래킷(210)에 대한 핀 고정부(220)의 고정 위치의 조정이 가능하게 되고 있다. 아울러, 볼트(215)가 삽입 관통되는 관통 구멍은, 판부(211)의 짧은 길이 방향으로 뻗는 긴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210)이 캡(5)에 부착된 상태에서, 긴 구멍이 뻗는 방향은 캡(5)의 좌우 방향이다. 이에 따라, 캡(5)에 대한 브래킷(210)의 고정 위치의 조정이 가능하게 되고 있다.
이와 같이, 브래킷(210)과 핀 고정부(220)를 별도의 부재로서 설치하여, 캡(5)에 대한 브래킷(210)의 고정 위치 및 브래킷(210)에 대한 핀 고정부(220)의 고정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핀 삽입 관통 구멍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어, 핀 삽입 관통 구멍에 핀(230)을 보다 확실하게 삽입 관통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핀(230)을 핀 삽입 관통 구멍에 삽입 관통하여 프런트 가드(100)를 닫은 상태에서, 스토퍼(218)가 프런트 가드(100)의 좌측 세로 프레임(170)에 접촉하고 있다. 이 때 스토퍼(218)가 탄성 변형되고 있고, 스토퍼(218)로부터 프런트 가드(100)에 대하여 응력이 작용하고 있다. 핀 삽입 관통 구멍의 내경은, 핀(230)의 삽입 관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핀(230)의 외경보다도 조금 크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스토퍼(218)를 이용하여 프런트 가드(100)를 위치 결정함으로써, 프런트 가드(100)를 닫은 상태에서의 프런트 가드(100)의 덜걱거림(rattling)이 억제되고 있다.
도 12는 캡(5)에 대하여 열린 상태의 프런트 가드(100)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상술한 것과 같이, 핀(230)을 핀 고정부(220) 및 핀 삽입 관통부(181, 182)로부터 뽑아냄으로써, 프런트 가드(100)는, 힌지부(320)를 중심으로 하여 캡(5)의 앞면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된다. 도 12에는, 힌지부(320)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캡(5)에 대하여 평면에서 봤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프런트 가드(100)가 도시되어 있다.
프런트 가드(100)가 캡(5)의 앞면에서 떨어져 배치됨으로써, 운전사가 캡(5)의 앞면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게 된다. 프런트 가드(100)를 열린 상태로 함으로써, 운전사는, 캡(5)의 앞창의 청소 등 메인터넌스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프런트 가드(100)를 개폐식으로 함으로써, 캡(5)의 메인터넌스 용이성이 향상되고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13은, 제2 실시형태의 가드를 지닌 캡(15)의, 프런트 가드(100)의 하측 프레임(150) 부근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형태의 가드를 지닌 캡(15)의 일부의 하면도이다.
제2 실시형태의 가드를 지닌 캡(15)은, 도 8, 도 9에 도시하는 와이퍼(400)를 갖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와이퍼(400)가 설치되지 않았기 때문에, 프런트 가드(100)의 하측 프레임(150)과 캡(5)의 앞면과의 사이에 와이퍼(40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필요는 없다. 그 때문에, 제2 실시형태의 하측 프레임(150)은 직관(直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의 하측 프레임(150)은, 하측 프레임 굴곡부를 갖고 있지 않으며, 캡(5)의 앞면을 따라서, 좌우 방향으로 뻗어 있다.
제1 실시형태의 하측 프레임(150)과 비교하여, 제2 실시형태의 하측 프레임(150)은, 전체적으로 캡(5)의 앞면에 보다 접근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제2 실시형태에서는, 하측 프레임(150)과 캡(5)의 앞면과의 간격이 보다 작게 되어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의, 가드를 지닌 캡(15)를 갖추고 있는 작업 차량의 구성 및 작용 효과에 관해서 정리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유압 셔블(1)의 작업기(4)는 캡(5)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2~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캡(5)의 전방에 설치된 프런트 가드(100)는 프레임(130)을 갖고 있다. 프레임(130)은 프런트 가드(100)의 바깥 가장자리를 구성하고 있다. 프레임(130)은, 상측 프레임(140)과, 하측 프레임(150)과, 우측 세로 프레임(160)과, 좌측 세로 프레임(170)을 갖고 있다. 프레임(130)은, 상측 프레임(140)과 하측 프레임(150)과 우측 세로 프레임(160)과 좌측 세로 프레임(170)이 틀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우측 세로 프레임(160)은 세로 프레임 굴곡부(161)를 갖고 있다. 우측 세로 프레임(160)은, 세로 프레임 굴곡부(161)로부터 하측 프레임(150)에 근접함에 따라서, 캡(5)을 향하여 후방으로 뻗어 있다.
유압 셔블(1)의 캡(5)으로부터의 시계성(視界性)에 있어서는, 작업기(4)에 의한 작업 빈도가 높은 우측 아래쪽의 시계성이 가장 중요하다. 종래의 프런트 가드에서는, 프런트 가드의 바깥 가장자리를 구성하고 있는 프레임이 운전사의 시계를 방해하고 있다. 그 때문에, 캡(5) 내의 운전석으로부터의 시계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그래서, 프레임(130)의 한 쌍의 세로 프레임 중, 작업기(4)에 가까운 우측 세로 프레임(160)을 굴곡시켜, 우측 세로 프레임(160)의 하부를 캡(5)에 가깝게 하여 배치한다. 이에 따라, 프레임(130)이 캡(5) 내에 착석한 운전사의 우측 아래쪽의 시계를 보다 방해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프런트 가드(100)가 설치된 캡(5) 내부로부터의 운전사의 시야를 확대할 수 있다.
시계성이 향상되는 결과, 캡(5) 내에 착석한 운전사는, 버킷(4c)을 보다 보기 쉽게 되어, 작업기(4)에 의한 노면의 굴착 등의 작업 상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압 셔블(1)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프레임(130)의 좌측 세로 프레임(170)도 또한 세로 프레임 굴곡부(171)를 갖고 있다. 좌측 세로 프레임(170)은, 세로 프레임 굴곡부(171)로부터 하측 프레임에 근접함에 따라서, 캡(5)을 향하여 후방으로 뻗어 있다. 좌측 세로 프레임(170)을 굴곡시켜, 좌측 세로 프레임(170)의 하부를 캡(5)에 가깝게 하여 배치함으로써, 프레임(130)이 캡(5) 내부에 착석한 운전사의 좌측 아래쪽의 시계를 보다 방해하기 어렵게 된다. 그 때문에, 프런트 가드(100)가 설치된 캡(5) 내부로부터의 운전사의 시야가 보다 확대된다.
유압 셔블(1)에서는, 작업기(4)에 더하여, 크롤러 벨트(2a)의 전방에 블레이드가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캡(5) 내에 착석한 운전사의 시계를, 우측 아래쪽에 더하여 좌측 아래쪽으로도 확대함으로써, 운전사는 블레이드를 보다 보기 쉽게 되어, 블레이드에 의한 작업 상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압 셔블(1)의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도 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프레임(130)의 상측 프레임(140)은 판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의 상측 프레임 부분이 관재로 형성되어 있는 종래의 프레임과 비교하여, 캡(5) 내에 착석한 운전사 자리에서 상측 프레임(140)이 보다 보이기 어렵게 되어, 상측 프레임(140)이 운전사의 위쪽의 시계를 보다 방해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프런트 가드(100)가 설치된 캡(5) 내부로부터의 운전사의 시야를 보다 확대할 수 있다.
도 15는 가드를 지닌 캡에 있어서의 캡(5) 내부로부터의 시야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5의 (a)는 종래의 가드를 지닌 캡에 있어서의 캡(5) 내부로부터의 시야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종래의 가드를 지닌 캡은, 도 15의 (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관 형상의 상측 프레임(140C)과, 관 형상의 하측 프레임(150C)을 갖고 있다. 종래의 가드를 지닌 캡에서는, 캡(5) 내에 착석하는 운전사의 시점(EP)을 중심으로 하여, 수직 방향에서의 사람의 시야각은 각도(α)이다.
도 15의 (b)는 실시형태의 가드를 지닌 캡(15)에 있어서의 캡(5) 내부로부터의 시야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실시형태의 가드를 지닌 캡(15)은, 도 15(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판재로 형성되어 있는 상측 프레임(140)과, 관 형상의 하측 프레임(150)을 갖고 있다. 도 15의 (a)와 비교하여, 프런트 가드(100) 전체가 캡(5)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고, 하측 프레임(150)은 굴곡되어 있기 때문에 캡(5)에 보다 가깝게 배치되어 있다. 실시형태의 가드를 지닌 캡(15)에서는, 캡(5) 내에 착석하는 운전사의 시점(EP)을 중심으로 하여, 수직 방향에서의 사람의 시야각은 각도(β)이다.
도 15의 (a)와 도 15의 (b)를 비교하면, 종래의 시야각(α)보다도, 실시형태에서의 시야각(β)은 보다 크게 되어 있다. 예컨대 시야각(β)은 시야각(α)보다도 8%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형태의 프런트 가드(100)에 의해서, 프런트 가드(100)가 설치된 캡(5) 내부로부터의 운전사의 시야를 확대할 수 있음이 분명해졌다.
또한 도 5~도 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프레임(130)의 상측 프레임(140)은, 광폭부(141, 142)를 양끝에 갖고 있고, 광폭부(141, 142)보다 폭이 좁은 협폭부(143)를 중앙 부분에 갖고 있다. 광폭부(141, 142)와 협폭부(143)를 비교하면, 광폭부(141, 142)는 상대적으로 폭이 넓고, 협폭부(143)는 상대적으로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광폭부(141)에 우측 세로 프레임(160)의 상단부(167)를 용접하고, 광폭부(142)에 좌측 세로 프레임(170)의 상단부(177)를 용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우측 세로 프레임(160) 및 좌측 세로 프레임(170)을 상측 프레임(140)의 양끝의 광폭부(141, 142)에 각각 고정하여, 틀이 형성된다. 따라서, 프레임(130)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프레임(130)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중앙 부분의 협폭부(143)를, 양끝의 광폭부(141, 142)보다 폭을 좁게 형성함으로써, 협폭부(143)가 운전사의 위쪽의 시계를 더욱 방해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프런트 가드(100)가 설치된 캡(5) 내부로부터의 운전사의 시야를 더욱 확대할 수 있다.
상측 프레임(140)은, 캡(5) 내에 착석한 운전사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측 프레임(140)을 관재가 아니라 판재로 형성하더라도, 프런트 가드(100)에 요구되는 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가느다란 판재를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절곡한 형상으로 상측 프레임(140)을 구성함으로써, 상측 프레임(140)의 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프런트 가드(100)의 강도를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2~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하측 프레임(150)과, 우측 세로 프레임(160)과, 좌측 세로 프레임(170)은 파이프로 형성되어 있다. 하측 프레임(150)과, 우측 세로 프레임(160)과, 좌측 세로 프레임(170)을 파이프로 형성함으로써, 상측 프레임(140)을 판재로 형성하더라도, 요구되는 강도를 충분히 확보한 프런트 가드(100)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우측 세로 프레임(160)에는, 복수의 볼트 장착부(168)가 마련되어 있다. 볼트 장착부(168)는, 힌지부(320) 및 브래킷(310)과 함께, 프런트 가드(100)를 캡(5)에 부착하는 부착부를 구성하고 있다. 우측 세로 프레임(160)은, 하측 프레임(150)에 연결되는 하단부(166)를 갖고 있다. 두 곳의 볼트 장착부(168) 중, 아래쪽의 볼트 장착부(168)보다도 하단부(166)에 가까운 위치에, 세로 프레임 굴곡부(161)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볼트 장착부(168)가 마련되어 있는 중앙 프레임 부분(164)과 캡(5)의 앞면과의 사이에, 부착부를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우측 세로 프레임(160) 중, 부착부의 배치를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는 부분을 굴곡시켜 캡(5)에 가깝게 하여 배치함으로써, 캡(5) 내부로부터의 운전사의 시야를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프런트 가드(100)를 캡(5)에 부착하는 부착부는 힌지부(320)를 갖고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프런트 가드(100)는, 힌지부(320)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캡(5)에 대하여 상대 회전한다. 이에 따라, 프런트 가드(100)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캡(5)의 앞창의 청소 등, 가드를 지닌 캡(15)의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프레임(130)의 우측 세로 프레임(160)에 힌지부(320)를 갖는 부착부가 마련되고, 한편, 프레임(130)의 좌측 세로 프레임(170)에는, 도 10, 도 1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프런트 가드(100)를 닫힌 상태로 로크하는 로크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좌측 세로 프레임(170)에는, 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복수의 핀 삽입 관통부(181, 182)가 형성되어 있다. 핀 삽입 관통부(181, 182)는, 핀 고정부(220) 및 브래킷(210)과 함께 로크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좌측 세로 프레임(170)은, 하측 프레임(150)에 연결되는 하단부(176)를 갖고 있다. 두 곳의 핀 삽입 관통부(181, 182) 중, 아래쪽의 핀 삽입 관통부(182)보다도 하단부(176)에 가까운 위치에, 세로 프레임 굴곡부(171)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핀 삽입 관통부(181, 182)가 형성되어 있는 중앙 프레임 부분(174)과 캡(5)의 앞면과의 사이에, 로크 장치를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좌측 세로 프레임(170) 중, 로크 장치의 배치를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는 부분을 굴곡시켜 캡(5)에 가깝게 하여 배치함으로써, 캡(5) 내부로부터의 운전사의 시야를 확대할 수 있다.
프레임(130)의 한 쌍의 세로 프레임 중, 작업기(4)로부터 보다 떨어져 있는 좌측 세로 프레임(170)에 있어서, 캡(5)에 대한 프런트 가드(100)의 로크 및 로크 해제가 전환된다.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좌측 세로 프레임(170)은, 우측 세로 프레임(160)과 비교하여, 선회 프레임(10)의 옆 가장자리에 보다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좌측 세로 프레임(170)에 있어서 프런트 가드(100)의 로크 및 로크 해제를 전환하도록 하면, 로크 작업 및 로크 해제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운전사가 프런트 가드(100)를 열린 상태로 하여 캡(5)의 앞창을 청소할 때, 운전사는 크롤러 벨트(2a) 위에 올라타고서 작업을 한다. 그 때문에, 우측 세로 프레임(160)에 설치한 힌지부(320)를 중심으로 프런트 가드(100)가 회전하도록 하면, 열린 상태의 프런트 가드(100)가 운전사의 작업의 방해가 되는 일이 없어,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8, 도 9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프런트 가드(100)의 하측 프레임(150)은 하측 프레임 굴곡부(151)를 갖고 있다. 하측 프레임(150)은, 하측 프레임 굴곡부(151)로부터 우측 세로 프레임(160)에 근접함에 따라서, 캡(5)을 향하여 후방으로 뻗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하측 프레임(150)의 중앙 프레임 부분(154)과 캡(5)의 앞면과의 사이에, 와이퍼(400)를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하측 프레임(150) 중, 와이퍼(400)의 배치를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는 부분을 굴곡시켜 캡(5)에 가깝게 하여 배치함으로써, 캡(5) 내부로부터의 운전사의 시야를 확대할 수 있다.
한편, 가드를 지닌 캡(15)이 와이퍼를 갖추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13, 도 1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하측 프레임(150)에 하측 프레임 굴곡부를 형성하지 않고, 하측 프레임(150)을 직관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측 프레임(150) 전체를 캡(5)에 가깝게 하여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캡(5) 내부로부터의 운전사의 시야를 한층 더 확대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제1 판 부재(110) 및 복수의 제2 판 부재(120)에 의해서 격자가 형성되고, 이 격자를 프레임(130)이 둘러싸는 프런트 가드(100)에 관해서 설명했다. 실시형태의 프런트 가드(100)는, 높은 강도를 지니고,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10262에 정해져 있는 운전사 보호 가드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성능 요구 사항 중, 레벨 II의 허용 기준을 만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프레임(130)에 관련한 특징은, ISO10262에 정해져 있는 레벨 I의 허용 기준을 만족하는 운전사 보호 가드에 적용되어도 좋다. 예컨대, 운전사 보호 가드는, 상술한 프레임에 망체(網體)가 조립 부착되어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선회체(3)의 전방 좌측에 배치된 가드를 지닌 캡(15)의 우측에 작업기(4)가 배치되어 있는 예에 관해서 설명했다. 가드를 지닌 캡(15)과 작업기(4)의 배치는 도 1에 도시하는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선회체(3)의 전방 우측에 배치된 가드를 지닌 캡(15)의 좌측에 작업기(4)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프레임(130)의 한 쌍의 세로 프레임 중 작업기(4)에 가까운 좌측 세로 프레임(170)이, 세로 프레임 굴곡부(171)로부터 하측 프레임(150)에 근접함에 따라서 캡(5)을 향하여 후방으로 뻗어 있음으로써, 운전사가 캡(5) 내에서 버킷(4c)을 보기 쉽게 되는 효과를, 마찬가지로 얻을 수 있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어지며,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을 의도한다.
1: 유압 셔블 2: 주행체
2a: 크롤러 벨트 3: 선회체
4: 작업기 4a: 붐
4b: 아암 4c: 버킷
5: 캡 10: 선회 프레임
15: 가드를 지닌 캡 100: 프런트 가드
110; 제1 판 부재 120; 제2 판 부재
130: 프레임 140: 상측 프레임
141, 142: 광폭부 143: 협폭부
144: 제1 판부 145: 제2 판부
146: 돌출부 147: 슬릿
148: 굴곡부 150: 하측 프레임
151, 152: 하측 프레임 굴곡부 153: 우측 프레임 부분
154, 164, 174: 중앙 프레임 부분 155: 좌측 프레임 부분
160: 우측 세로 프레임
161, 162, 171, 172: 세로 프레임 굴곡부
163, 173: 하측 프레임 부분 165, 175: 상측 프레임 부분
166, 176: 하단부 167, 177: 상단부
168: 볼트 장착부 170: 좌측 세로 프레임
181, 182, 222, 224: 핀 삽입 관통부
210, 310: 브래킷 211, 212: 판부
214: 관통 구멍 215, 217, 227: 볼트
216: 스토퍼 고정부 218: 스토퍼
220: 핀 고정부 221: 본체부
222, 224: 핀 삽입 관통부 223, 225: 핀 삽입 관통 구멍
230: 핀 320: 힌지부
400: 와이퍼 EP: 시점
2a: 크롤러 벨트 3: 선회체
4: 작업기 4a: 붐
4b: 아암 4c: 버킷
5: 캡 10: 선회 프레임
15: 가드를 지닌 캡 100: 프런트 가드
110; 제1 판 부재 120; 제2 판 부재
130: 프레임 140: 상측 프레임
141, 142: 광폭부 143: 협폭부
144: 제1 판부 145: 제2 판부
146: 돌출부 147: 슬릿
148: 굴곡부 150: 하측 프레임
151, 152: 하측 프레임 굴곡부 153: 우측 프레임 부분
154, 164, 174: 중앙 프레임 부분 155: 좌측 프레임 부분
160: 우측 세로 프레임
161, 162, 171, 172: 세로 프레임 굴곡부
163, 173: 하측 프레임 부분 165, 175: 상측 프레임 부분
166, 176: 하단부 167, 177: 상단부
168: 볼트 장착부 170: 좌측 세로 프레임
181, 182, 222, 224: 핀 삽입 관통부
210, 310: 브래킷 211, 212: 판부
214: 관통 구멍 215, 217, 227: 볼트
216: 스토퍼 고정부 218: 스토퍼
220: 핀 고정부 221: 본체부
222, 224: 핀 삽입 관통부 223, 225: 핀 삽입 관통 구멍
230: 핀 320: 힌지부
400: 와이퍼 EP: 시점
Claims (8)
- 작업기와,
상기 작업기의 측방에 배치된 캡과,
상기 캡의 전방에 설치된 운전사 보호 가드를 구비하고,
상기 운전사 보호 가드는 상기 운전사 보호 가드의 바깥 가장자리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측 프레임과, 하측 프레임과, 우측 세로 프레임, 그리고 좌측 세로 프레임을 지니고, 상기 상측 프레임과, 상기 하측 프레임과, 상기 우측 세로 프레임, 그리고 상기 좌측 세로 프레임이 틀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측 세로 프레임과 상기 좌측 세로 프레임 중 상기 작업기에 가까운 한쪽의 세로 프레임은, 세로 프레임 굴곡부를 지니고, 상기 세로 프레임 굴곡부로부터 상기 하측 프레임에 근접함에 따라서 상기 캡을 향하여 후방으로 뻗어 있는 것인 작업 차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프레임은 판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작업 차량.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프레임은 광폭부를 양끝에 지니고, 상기 광폭부보다 폭이 좁은 협폭부를 중앙 부분에 갖는 것인 작업 차량.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프레임과, 상기 우측 세로 프레임, 그리고 상기 좌측 세로 프레임은 파이프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작업 차량.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세로 프레임에, 상기 운전사 보호 가드를 상기 캡에 부착하는 복수의 부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쪽의 세로 프레임은, 상기 하측 프레임에 연결되는 하단부를 지니고,
가장 아래쪽의 상기 부착부보다도 상기 하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상기 세로 프레임 굴곡부가 형성되는 것인 작업 차량.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힌지 구조를 지니고, 상기 운전사 보호 가드는 상기 힌지 구조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캡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는 것인 작업 차량.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프레임은 하측 프레임 굴곡부를 지니고, 상기 하측 프레임 굴곡부로부터 상기 한쪽의 세로 프레임에 근접함에 따라서 상기 캡을 향하여 후방으로 뻗어 있는 것인 작업 차량.
- 작업 기계의 캡의 전방에 설치되는 운전사 보호 가드에 있어서,
상기 운전사 보호 가드의 바깥 가장자리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갖고,
상기 프레임은,
판재로 형성되어 있는 상측 프레임과,
파이프로 형성되어 있는 하측 프레임, 그리고
파이프로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어느 한쪽이 세로 프레임 굴곡부를 갖는, 우측 세로 프레임 및 좌측 세로 프레임
을 갖는 것인 운전사 보호 가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4/082783 WO2015087950A1 (ja) | 2014-12-11 | 2014-12-11 | 作業車両および運転員保護ガード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2069A true KR20160072069A (ko) | 2016-06-22 |
KR101690436B1 KR101690436B1 (ko) | 2016-12-27 |
Family
ID=53371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05762A KR101690436B1 (ko) | 2014-12-11 | 2014-12-11 | 작업 차량 및 운전사 보호 가드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9441343B2 (ko) |
JP (1) | JP5827762B1 (ko) |
KR (1) | KR101690436B1 (ko) |
CN (1) | CN104903518B (ko) |
DE (1) | DE112014000177B4 (ko) |
IN (1) | IN2015DN01657A (ko) |
WO (1) | WO201508795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12012006544T5 (de) * | 2012-06-18 | 2015-03-05 |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 Führerhausschutzvorrichtung für eine Baumaschine |
DE112014000186B4 (de) * | 2014-12-11 | 2017-01-26 | Komatsu Ltd. | Mit Gitter versehene Kabine für Baufahrzeug und Hydraulikbagger |
JP7214519B2 (ja) | 2019-03-15 | 2023-01-30 | 株式会社クボタ | フロントガード及び作業機 |
IT202000002671A1 (it) * | 2020-02-11 | 2021-08-11 | Cnh Ind Italia Spa | Veicolo da lavoro provvisto con un assieme di pannello solare migliorato |
CN111335394B (zh) * | 2020-03-13 | 2022-01-28 | 三一重机有限公司 | 一种挖掘机前护网格栅的调整方法、调整装置及挖掘机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97250A (ja) * | 1999-09-30 | 2001-04-10 | Takahashiworks Co Ltd | 運転室の保護装置 |
JP2003191812A (ja) * | 2001-12-18 | 2003-07-09 |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Holding Sweden Ab | オペレータの保護構造物及びその支持装置 |
JP2013181317A (ja) * | 2012-03-01 | 2013-09-12 |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 建設機械の前ガード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87457U (ja) * | 1993-06-03 | 1994-12-22 |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 建設機械の昇降式運転室 |
JP2002194773A (ja) * | 2000-12-26 | 2002-07-10 | Hitachi Constr Mach Co Ltd | 建設機械用キャブ |
WO2011025874A1 (en) * | 2009-08-27 | 2011-03-03 | Adc Custom, Llc | Quick attach riser for cabin protection structure |
CN202627058U (zh) | 2012-06-13 | 2012-12-26 | 徐州博汇驾驶室制造有限公司 | 带防护结构的挖掘机驾驶室 |
DE112012006544T5 (de) | 2012-06-18 | 2015-03-05 |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 Führerhausschutzvorrichtung für eine Baumaschine |
IN2015DN04124A (ko) | 2013-03-29 | 2015-06-26 | Komatsu Mfg Co Ltd |
-
2014
- 2014-12-11 DE DE112014000177.5T patent/DE112014000177B4/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12-11 KR KR1020157005762A patent/KR10169043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12-11 CN CN201480002805.8A patent/CN104903518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12-11 WO PCT/JP2014/082783 patent/WO2015087950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12-11 US US14/422,234 patent/US9441343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12-11 JP JP2014561614A patent/JP5827762B1/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12-11 IN IN1657DEN2015 patent/IN2015DN01657A/en unknow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97250A (ja) * | 1999-09-30 | 2001-04-10 | Takahashiworks Co Ltd | 運転室の保護装置 |
JP2003191812A (ja) * | 2001-12-18 | 2003-07-09 |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Holding Sweden Ab | オペレータの保護構造物及びその支持装置 |
JP2013181317A (ja) * | 2012-03-01 | 2013-09-12 |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 建設機械の前ガード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IN2015DN01657A (ko) | 2015-08-14 |
DE112014000177T5 (de) | 2016-09-15 |
CN104903518B (zh) | 2017-10-10 |
US9441343B2 (en) | 2016-09-13 |
CN104903518A (zh) | 2015-09-09 |
JPWO2015087950A1 (ja) | 2017-03-16 |
DE112014000177B4 (de) | 2017-04-06 |
JP5827762B1 (ja) | 2015-12-02 |
WO2015087950A1 (ja) | 2015-06-18 |
KR101690436B1 (ko) | 2016-12-27 |
US20160168824A1 (en) | 2016-06-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90436B1 (ko) | 작업 차량 및 운전사 보호 가드 | |
KR101630586B1 (ko) | 운전자 보호 가드, 가드 부착 작업 기계용 캡, 및 작업 기계 | |
JP5043200B2 (ja) | 建設機械用のキャブ | |
EP1757738A1 (en) | Construction machine | |
KR101660658B1 (ko) | 가드 부착형 작업 차량용 캡 및 유압 셔블 | |
US20140175834A1 (en) | Wiper device, open/close guard with wiper device, and cab for construction machine | |
JP2013087466A (ja) | キャブおよび建設機械 | |
JP7214519B2 (ja) | フロントガード及び作業機 | |
JP5054802B2 (ja) | 建設機械 | |
JP4201186B2 (ja) | ホイール式建設機械 | |
US20160356016A1 (en) | Frame for supporting a radiator guard of a machine | |
WO2014065211A1 (ja) | 建設機械 | |
EP3812515B1 (en) | Rotary working vehicle | |
JP5054805B2 (ja) | 建設機械 | |
JP4073768B2 (ja) | 建設機械 | |
JP4703369B2 (ja) | 作業機械 | |
JP4415698B2 (ja) | 建設機械のキャノピ構造 | |
JP6539615B2 (ja) | 小型油圧ショベル | |
JP2004322980A (ja) | 建設機械の運転室 | |
JP2016048019A (ja) | 建設機械用キャブのヘッドガード | |
JP2004330806A (ja) | 運転室保護構造 | |
WO2017060983A1 (ja) | 作業車両及び施錠バー | |
JP2003096824A (ja) | 建設機械 | |
JP2003049447A (ja) | オフセットブーム式建設機械 | |
JPH1035294A (ja) | 油圧ショベルの運転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