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1328A - 가스곤로장치 - Google Patents

가스곤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1328A
KR20160071328A KR1020150173854A KR20150173854A KR20160071328A KR 20160071328 A KR20160071328 A KR 20160071328A KR 1020150173854 A KR1020150173854 A KR 1020150173854A KR 20150173854 A KR20150173854 A KR 20150173854A KR 20160071328 A KR20160071328 A KR 20160071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burner
ignition switch
forced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8908B1 (ko
Inventor
타이슈 소우치
세이지 모리구치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71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2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solely by flame
    • F24C3/027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0Arrangement or mounting of igni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 Cookers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종래의 가스곤로장치에서는, 버너상에 조리용구를 재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버너에 점화하는 경우, 통상의 점화조작을 실시해도 버너는 점화되지 않고, 그 후에 강제 점화스위치(3)를 누름으로써 버너에 점화된다. 이 때문에, 통상의 점화조작과는 전혀 다른 강제점화스위치(3)에 대한 누름 조작에 의해 버너가 점화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함을 느끼게 한다.
강제점화스위치(3)를 누름조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점소화버튼(2)을 눌러서 점화조작이 된 경우에, 점화금지수단에 의한 점화금지를 해제하여 버너의 점화를 허가하도록 했다.

Description

가스곤로장치{Gas Range}
본 발명은, 버너상에 조리용구가 재치된 것을 검지하는 냄비바닥센서를 구비하고, 이 냄비바닥센서가 조리용구가 재치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버너에 대한 점화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 버너로의 점화를 금지하는 점화금지수단을 구비한 가스곤로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스곤로장치에서는, 장치의 상면인 천판에 버너가 노출되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버너상에 조리용구를 재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점화되면, 불꽃 전체가 노출되어 안전상 바람직하지 않다. 그 때문에, 버너상에 조리용구가 재치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는 냄비바닥센서를 구비하고, 조리용구가 재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점화조작이 이루어져도 버너에 점화되지 않는 점화금지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가령, 예를 들면 김을 말리는 경우 등, 조리용구를 버너상에 재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버너를 일시적으로 점화하고자 하는 경우가 생긴다. 이와 같은 경우를 위해서, 강제점화스위치를 설치하고, 통상의 점화조작을 선행하여 실시하고, 점화금지수단에 의해 버너의 점화가 금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강제점화스위치를 누름조작하면, 점화금지수단에 의한 점화금지를 해제하여 버너로의 점화를 실시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JP 2013-234764 A
상기 종래의 가스곤로장치에서는, 버너상에 조리용구를 재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버너에 점화하는 경우, 통상의 점화조작을 실시해도 버너는 점화되지 않고, 그 후에 강제점화스위치를 누름으로써 버너에 점화된다. 이 때문에, 점소화버튼을 누르는 습관적으로 익숙해져 있는 점화조작으로는 버너는 점화되지 않고, 통상의 점화조작과는 전혀 상이한 강제점화스위치를 누름조작하여 버너가 점화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특히, 조리용구가 버너에 재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점화에 의해 발생하는 불꽃이 갑자기 발생되는 것처럼 느껴지기 때문에, 사용감이 매우 나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버너상에 조리용구가 재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불편함없이 버너에 점화가 실시되는 가스곤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스곤로장치는, 버너상에 조리용구가 재치된 것을 검지하는 냄비바닥센서를 구비하고, 이 냄비바닥센서가 조리용구가 재치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버너에 대한 점화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 버너로의 점화를 금지하는 점화금지수단을 구비한 가스곤로장치에 있어서, 버너로의 점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점화조작의 도중에 제어부로의 통전이 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누름조작하고 있는 동안만 온상태가 되는 강제점화스위치를 설치하며, 이 강제점화스위치를 누름조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점화조작이 이루어지고, 제어부에 통전이 개시된 시점에서 상기 강제점화스위치가 온상태인 경우에, 상기 점화금지수단에 의해 점화금지를 해제하여 상기 버너의 점화를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강제점화스위치 단독으로 점화를 실시하는 것이 아닌, 철저하게 점화조작의 보조로서 강제점화스위치를 누름조작하고, 강제점화스위치가 누름조작되고 있는 상태에서 통상의 점화조작과 동일한 조작이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제어부로의 통전이 개시되며, 제어부는 통전이 개시된 시점에서 상기 강제점화스위치가 온상태인 경우에, 버너의 점화를 허가하도록 했다.
그리고, 점화후에 대해서는, 상기 냄비바닥센서는 조리용구의 냄비바닥온도를 검지하는 온도센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버너의 화력을 증감하여 냄비바닥온도를, 미리 설정된 복수의 설정온도 중 어느 하나로 되는 온도조절기능을 갖고, 상기 강제점화스위치를 누름조작한 상태로 점화한 후, 추가로 강제점화스위치를 소정시간 계속해서 누름조작하면, 냄비바닥온도를 상기 복수의 설정온도 내의 가장 높은 온도로 되는 고온모드로 이행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그 때에는, 상기 버너상에 조리용구를 재치한 상태에서 강제점화스위치를 누름조작하지 않고 점화조작을 실시한 경우에는, 냄비바닥온도를 상기 미리 설정된 설정온도 내의 통상 조리용의 설정온도로 되는 통상모드로 설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강제점화스위치를 누름조작한 상태로 점화한 후, 상기 소정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강제점화스위치의 누름조작이 해제되면, 상기 통상모드로 설정되도록 해도 좋다.
한편, 상기 강제점화스위치를 누름조작한 상태로 점화조작을 실시하고, 추가로 강제점화스위치의 누름조작을 계속해서 소정시간 경과한 시점에서 상기 버너에 점화를 실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밝힌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강제점화스위치가 누름조작되고 있는 상태에서 통상의 점화조작을 함으로써, 버너의 점화를 허가하기 때문에, 버너상에 조리용구가 재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불편함없이 버너에 점화가 행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곤로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임.
도 2는, 버너까지의 가스관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임.
도 3은, 제어부 주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임.
도 4는, 제어부에 의한 제어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임.
도 1을 참조하여,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스곤로장치이다. 이 가스곤로장치(1)의 천판(11)에는 좌우 2개의 버너(12)가 설치되어 있다. 양 버너(12)는 환형상이고, 중심의 공간에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냄비바닥센서(13)가 설치되어 있다. 이 냄비바닥센서(13)의 상단에는 온도센서가 내장되어 있고, 상방으로 부세(付勢)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유지되어 있다. 조리용구로서 예를 들면 프라이팬(FP)이 버너(12)의 상방에 재치되면, 냄비바닥센서(13)의 상단은 프라이팬(FP)의 냄비바닥(B)에 부세력에 의해 밀착된채로 하방으로 눌려내려가게 된다.
이와 같이 프라이팬(FP)이 재치된 상태에서 조리를 개시하는 경우에는, 점소화버튼(2)을 누른다. 그러면, 버너(12)가 점화되고, 조리를 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버너(12)의 근방에는 열전대(14)배치되어 있고, 버너(12)의 불꽃을 이 열전대(14)에서 검지함으로써 버너(12)의 점화의 확인, 및 타다꺼짐의 발생 등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10은 전지박스로서, 가스곤로장치(1)의 작동전력을 이 전지박스(10)내에 수납되어 있는 건전지로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점소화버튼(2)의 상방에는 강제점화스위치(3)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강제점화스위치(3)는 버너(12)상에 조리용구가 재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버너(12)의 점화를 허가하기 위한 스위치이고, 예를 들면 「구이」를 실시하는 경우에 누름조작된다. 「구이」란 조리용구를 재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예를 들면, 김을 굽는 것과 같은 작업을 말한다. 또한, 이 강제점화스위치(3)는 「고온볶음」조리시에도 누름조작된다.
「고온볶음」조리란, 통상적으로라면 냄비바닥(B)의 온도가 물없이 끓이는 것에 해당하는 정도의 고온이 되는 조리로서, 예를 들면, 프라이팬(FP)에 극히 소량의 조리물을 넣은 상태로 볶음음식을 할 경우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31은 LED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점소화버튼(2)를 누르면, 화력조절장치(22)의 조작지렛대(22a)가 화력조절장치(22)내로 밀려들어간다. 화력조절장치(22)에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2개의 마이크로스위치(SW1, SW2)가 설치되어 있고, 조작지렛대(22a)가 이동되는 도중에 SW1이 선행하여 온이되고, 계속해서 점소화버튼(2)의 꽉 눌리는 위치에서 SW2가 온이된다. 그리고, SW2가 온이 되는 꽉 눌리는 위치에서는 전자안전밸브(23)의 밸브체가 강제적으로 개시되고, 그 상태에서 전자안전밸브(23)내의 전자석에 의해 밸브체는 밸브열림상태로 흡착유지된다.
전자안전밸브(23)가 열리면, 가스가 화력조절장치(22) 내로 유입되고, 화력조절장치(22) 내를 통해서 버너(12)를 향하여 유출된다. 그 유출유량은 화력조절레버(21)를 조작함으로써 증감된다.
화력조절장치(22)로부터 유출된 가스는 제1개폐밸브(24)로 흐른다. 이 제1개폐밸브(24)에는 오리피스(25)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고, 제1개폐밸브(24)가 밸브열림상태이면 가스는 조금도 조여지는 경우가 없이, 하류로 흐르지만, 제1개폐밸브(24)가 닫히면 오리피스(25)에 의해 규정되는 소량의 가스가 하류로 흐르게 된다. 그리고 하류에는 제2개폐밸브(26)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제2개폐밸브(26)가 닫혀있으면 버너(12)에는 절대 가스가 공급되지 않는다. 그리고, 냄비바닥센서(13)에는 마이크로스위치(13a)가 설치되어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프라이팬(FP) 등의 조리용구를 재치하여 냄비바닥센서(13)가 눌러내려지면, 이 마이크로스위치(13a)가 온이 되며, 조리용구가 버너(12) 상에 재치된 것을 검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가스곤로장치(1)내에는 제어부(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자안전밸브(23)의 밸브열림 유지 및 제1개폐밸브(24), 제2개폐밸브(26)의 개폐, 점화기(15)의 작동을 실시함과 동시에, 마이크로스위치(SW2) 및 마이크로스위치(13a)의 온신호의 입력, 및 냄비바닥센서(13)나 열전대(14)에 의한 온도검지신호의 입력이 이루어진다.
도 4를 참조하여, 제어부(4)에 의한 제어내용을 설명한다. 점화조작을 실시할 때에는, 통상의 조리를 실시하는 경우라면 점소화버튼(2)을 누름조작하고, 조리용구가 재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점화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강제점화스위치(3)(구이고온볶음SW)를 누름조작한 상태로 점소화버튼(2)을 누름조작한다(이상, PS). 어느 경우라도, 제어부(4)는 미통전 상태이기 때문에, 제어부(4)는 PS로 어떠한 조작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검지할 수 없다.
점소화버튼(2)이 누름조작되면, 그 누름조작 도중에 SW1이 온이 되어 그 시점에서 제어부(4)에 건전지로부터의 전력이 투입된다. 그러면, 제어부(4)는 즉시 강제점화스위치(3)(구이고온볶음SW)이 온상태인지를 확인한다(S1). 이 강제점화스위치(3)(구이고온볶음SW)는 모멘터리동작을 하는 비잠금스위치(non-lock switch)이고, 누름조작하고 있는 동안만 온상태가 되며, 누름조작을 멈추면 오프상태로 되돌아오는 것이다. 통상의 조리시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강제점화스위치(3)(구이고온볶음SW)는 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S2로 진행하여, 마이크로스위치(13a)(냄비없음검지스위치)가 온으로 되어 있는가를 확인한다. 또한, 가령 강제점화스위치(3)(구이고온볶음SW)를 계속해서 누르고 있어도 점화조작시에 손을 뗀것으로는, 강제점화스위치(3)(구이고온볶음SW)를 누르지 않고 점화조작을 실시하는 통상의 점화조작과 동일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S2로 진행된다. 여기에서, 마이크로스위치(13a)(냄비없음검지스위치)가 오프라면, 조리용구를 재치하지 않고 점화조작이 이루어진 것으로 되기 때문에, 버너(12)의 점화는 실행되지 않고, 점화를 금지한다(S3). 이것이 점화금지수단에 해당한다.
한편, 마이크로스위치(13a)(냄비없음검지스위치)가 온이라면, 조리용구가 버너(12)상에 재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개폐밸브(24)를 열어서 화력을 강한 불로 하는 동시에 제2개폐밸브(26)를 열어서, 추가로 점화기(15)를 작동시켜서 버너(12)의 점화를 실시한다(S4). 열전대(14)로부터의 검지신호에 의해 버너(12)의 점화가 확인되면(S5), 통상의 화력제어(ND)로 이행된다. 이 통상의 화력제어(ND)에서는, 마이크로스위치(13a)(냄비없음검지스위치)를 항상 감시하고(S6), 조리용구가 들어올려져서 마이크로스위치(13a)(냄비없음검지스위치)가 오프로 되면, 통상의 화력제어(ND)를 벗어나서 제1개폐밸브(24)를 열고, 오리피스(25)로 가스유량을 빼내어 화력을 약한 불로 한다(S8). 또한, 통상의 화력제어(ND)에서는, 강제점화스위치(3)(구이고온볶음SW)도 항상 감시하고 있고, 강제점화스위치(3)(구이고온볶음SW)가 3초간 계속해서 누름조작되면, 후술하는 고온의 화력제어(HD)로 이행된다(S7).
그리고, 통상의 화력제어(ND)로 조리용구가 들어올려지고, 그 상태가 60초 계속되면(S9), 냄비없음에러로서 버너(12)를 소화하지만(S12), 60초 이내에 조리용구가 다시 재치되면, 제1개폐밸브(24)를 열어서 화력을 강한 불로 되돌려, 통상의 화력제어(ND)로 복귀한다(S10, S11).
본 흐름의 최초로 되돌아가서, 제어부(4)에 전원이 투입된 시점에서 강제점화스위치(3)(구이고온볶음SW)이 온으로 되어 있으면, S100으로 진행하여 제1개폐밸브(24)가 열린 상태에서의 점화가 실시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아직 기름과열방지기능은 통상모드로 설정되어 있다. 이 기름과열방지기능이란, 냄비바닥센서(13)로 조리용구의 냄비바닥온도를 감시하고, 냄비바닥온도가 과열온도 이상이 되지 않도록 제1개폐밸브(24)를 개폐하여 화력을 조절하는 기능이다.
계속해서, 강제점화스위치(3)(구이고온볶음SW)이 3초 이상 온상태이면(S101, S102), 상기 기름과열방지기능에 의해서 온도조절되는 온도를 끌어 올리고, 고온볶음조리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고온모드로 전환된다(S103). 그리고, 마이크로스위치(13a)(냄비없음검지스위치)가 오프로 되면 화력을 약한 불로 한다고 하는 기능을 해제하여 강한 불을 그대로 유지한다(S104). 이 흐름에는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이와 같은 고온의 화력제어(HD)는 30분 계속되면 자동적으로 버너(12)를 소화시킨다. 또한, 고온의 화력제어(HD)로 이행되고 있는 동안은 상기 LED(31)를 점등 혹은 점멸시켜서, 고온의 화력제어(HD) 상태가 되는 것을 통지한다.
고온의 화력제어(HD) 상태에서 강제점화스위치(3)(구이고온볶음SW)가 누름조작되면(S105), 고온의 화력제어(HD)를 탈출하여, 기름과열방지기능을 통상모드로 되돌린 후(S106), 상술한 통상의 화력제어(ND)로 이행된다.
또한, 상기 S101에서, 3초 경과하기 전에 강제점화스위치(3)(구이고온볶음SW)가 오프가 되면, S5에서 착화확인을 한 후, 통상의 화력제어(ND)로 이행되도록 했다.
그리고, 이 경우, S5로 진행되는 것은 아니고, 점화조작시에 한하여 S3으로 진행되어 점화를 금지하도록 제어해도 좋다.
그런데, 도 4에 나타내는 흐름에서는, S102에서 강제점화스위치(3)(구이고온볶음SW)가 3초 계속해서 누름조작되는 것을 확인하기 전에 선행하여 S100에서 버너(12)에 점화를 실시했지만, 이 타이밍에서는 점화를 실시하지 않고, S102에서 강제점화스위치(3)(구이고온볶음SW)가 3초 계속해서 누름조작된 것을 확인 한 후에 버너(12)에 점화하도록 변경해도 좋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경을 해도 상관없다.
1: 가스곤로장치 2: 점소화버튼 3: 강제점화스위치
4: 제어부 12: 버너 13: 냄비바닥센서
21: 화력조절레버 22: 화력조절장치 23: 전자안전밸브
24: 제1개폐밸브 25: 오리피스 26: 제2개폐밸브

Claims (4)

  1. 버너상에 조리용구가 재치된 것을 검지하는 냄비바닥센서를 갖고, 이 냄비바닥센서가 조리용구가 재치되어 있는 것을 검지하지 못하는 상태로 버너에 대한 점화조작이 되었을 경우에, 버너로의 점화를 금지하는 점화금지수단을 구비한 가스곤로장치에 있어서, 버너로의 점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점화조작의 도중에 제어부로의 통전이 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누름조작하고 있는 동안만 온상태가 되는 강제점화스위치를 설치하고, 이 강제점화스위치를 누름조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점화조작이 이루어지고, 제어부로 통전이 개시된 시점에서 강제점화스위치가 온상태인 경우에, 상기 점화금지수단에 의한 점화금지를 해제하여 상기 버너의 점화를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곤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냄비바닥센서는 조리용구의 냄비바닥온도를 검지하는 온도센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버너의 화력을 증감하여 냄비바닥온도를, 미리 설정된 복수의 설정온도 중 어느 하나로 갖는 온도조절기능을 갖고, 상기 강제점화스위치를 누름조작한 상태로 점화한 후, 그리고 강제점화스위치를 소정시간 계속해서 누름조작하면, 냄비바닥온도를 상기 복수의 설정온도의 내의 가장 높은 온도로 갖는 고온모드로 이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곤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상에 조리용구를 재치한 상태로 강제점화스위치를 누름조작하지 않고 점화조작을 실시한 경우에는, 냄비바닥온도를 상기 미리 설정된 설정온도의 내의 통상조리용 설정온도로 갖는 통상모드로 설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강제점화스위치를 누름조작한 상태로 점화한 후, 상기 소정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강제점화스위치의 누름조작이 해제되면, 상기 통상모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곤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점화스위치를 누름조작한 상태로 점화조작을 실시하고, 그리고 강제점화스위치의 누름조작을 계속해서 소정시간 경과한 시점에서 상기 버너에 점화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곤로장치.

KR1020150173854A 2014-12-11 2015-12-08 가스곤로장치 KR1022989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50774A JP6086450B2 (ja) 2014-12-11 2014-12-11 ガスコンロ装置
JPJP-P-2014-250774 2014-12-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328A true KR20160071328A (ko) 2016-06-21
KR102298908B1 KR102298908B1 (ko) 2021-09-07

Family

ID=56141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854A KR102298908B1 (ko) 2014-12-11 2015-12-08 가스곤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086450B2 (ko)
KR (1) KR102298908B1 (ko)
CN (1) CN1056982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10581B (zh) * 2018-11-13 2024-01-23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燃气灶的火力控制装置、方法及燃气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0342A (ja) * 2005-04-15 2006-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燃焼加熱調理器
JP2011030728A (ja) * 2009-07-31 2011-02-17 Shinpo Co Ltd 加熱調理器具における加熱源の出力自動調節方法及び出力自動調節機能を備えた加熱調理器具
JP2011257021A (ja) * 2010-06-07 2011-12-22 Rinnai Corp ガスコンロ
JP2013234807A (ja) * 2012-05-10 2013-11-21 Paloma Co Ltd コンロ
JP2013234764A (ja) 2012-05-02 2013-11-21 Paloma Co Ltd ガスコンロ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6238B2 (ja) * 1996-02-16 2005-04-06 リンナイ株式会社 燃焼装置
JP2005069617A (ja) * 2003-08-27 2005-03-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調理器具
CN102538030B (zh) * 2012-02-24 2014-08-13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燃气灶具的点火和制动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0342A (ja) * 2005-04-15 2006-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燃焼加熱調理器
JP2011030728A (ja) * 2009-07-31 2011-02-17 Shinpo Co Ltd 加熱調理器具における加熱源の出力自動調節方法及び出力自動調節機能を備えた加熱調理器具
JP2011257021A (ja) * 2010-06-07 2011-12-22 Rinnai Corp ガスコンロ
JP2013234764A (ja) 2012-05-02 2013-11-21 Paloma Co Ltd ガスコンロ
JP2013234807A (ja) * 2012-05-10 2013-11-21 Paloma Co Ltd コン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698226B (zh) 2019-05-28
CN105698226A (zh) 2016-06-22
JP6086450B2 (ja) 2017-03-01
JP2016114257A (ja) 2016-06-23
KR102298908B1 (ko) 202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05397B2 (ja) ガスコンロ
JP6707323B2 (ja) ガスコンロ
JP5563900B2 (ja) コンロ
JP5819246B2 (ja) ガスコンロ
JP2015212591A (ja) ガスコンロ
KR102298908B1 (ko) 가스곤로장치
KR101799303B1 (ko) 가스곤로장치
JP5819248B2 (ja) コンロ
JP6602568B2 (ja) 加熱調理器
JP2006002989A (ja) 加熱調理器
JP5148570B2 (ja) こんろ
JP4452882B2 (ja) ガスこんろ
JP5897401B2 (ja) コンロ
KR101745312B1 (ko) 가스레인지에서 압력밥솥 자동검지에 따른 과열방지방법
JP4139270B2 (ja) 調理器
JP5897400B2 (ja) コンロ
JP4375795B2 (ja) コンロ
JP2019011919A (ja) ガス燃焼式調理器
JPH076633B2 (ja) こんろの制御装置
KR200358458Y1 (ko) 가스버너의 화력 자동 제어장치
JP4129250B2 (ja) 加熱調理器
JP5314325B2 (ja) 加熱調理器
JPH049523A (ja) こんろの制御装置
KR200455533Y1 (ko) 돌구이판용 자동 가스레인지
JPH076632B2 (ja) こんろ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