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6052A - 회전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6052A
KR20160066052A KR1020167013744A KR20167013744A KR20160066052A KR 20160066052 A KR20160066052 A KR 20160066052A KR 1020167013744 A KR1020167013744 A KR 1020167013744A KR 20167013744 A KR20167013744 A KR 20167013744A KR 20160066052 A KR20160066052 A KR 20160066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ing
spring
neutral position
engaged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3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1928B1 (ko
Inventor
히로후미 우츠노미야
슈우지 히라이
야스하루 카키모토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66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01R39/08Sli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between relatively movable parts of the vehicle, e.g. between steering wheel and colum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01R35/025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having a flexible conductor wound around a rotation ax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254Lockable at fixed 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975Rotatable

Abstract

스테이터에 대한 로테이터의 중립위치를 임시 고정하는 것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도록 하면서 임시 고정을 위해 힘을 더하는 상태가 균등하게 이루어지도록 해서 로테이터로의 스티어링 휠의 적절한 착탈을 가능하게 한다. 스테이터(21)와 로테이터(31)를 구비하고, 임시 고정 기구(41)가 중앙홀(42)을 가지면서 동시에 로테이터(31)의 하부에 일체로 고정되어 내장된 스프링부재(43)의 탄성력으로 위로 움직이게 한 걸림부재(44)의 걸림부(47)를 스테이터(21)의 피걸림부(22a)에 걸리게 하여서 임시 고정을 행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11)에 있어서, 걸림부(47)와 피걸림부(22a)를 이들이 서로 걸렸을 때에 로테이터(31)를 중립위치에 위치시키는 한 곳의 중립위치와 이와는 반대쪽의 반대측 위치에 형성한다. 걸림부(44)에서의 상기 스프링 부재(43)의 상단부가 맞닿는 스프링 접촉면(44a)의 근방에 스프링 부재(43)의 상단부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수단(49)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회전 커넥터 장치 {ROTARY CONNECTOR DEVICE}
본 발명은 회전 조작구(操作具)와 고정체 사이에서 신호 전달이나 전력 공급을 수행하기 위해 이용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회전 조작구의 적절한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회전 커넥터 장치는, 고정체에 고정되는 고정측 부재와, 이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회전 조작구로 회전되는 회전측 부재를 구비한다.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부분에 구비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고정측 부재는 고정체로서의 콤비네이션 스위치에 고정되고 회전측 부재에는 회전 조작구로서의 스티어링 휠이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다.
스티어링 휠 부분에 구비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에서는, 특히 회전측 부재의 회전을 좌우 양방향으로 균등하게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고정측 부재에 대해서 상대 회전 가능한 회전측 부재는, 고정측 부재에 대해서 왼쪽 방향으로도 오른쪽 방향으로도 치우치지 않는 균등한 중립 위치로 한 상태에서 스티어링 휠을 장착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러한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로서 아래 특허문헌 1에 공개된 장치를 제안했다. 이 회전 커넥터 장치는 미리 중립 위치에 설정된 회전측 부재의 회전방향의 방향을 임시 고정하고, 이 상태의 회전 커넥터 장치에 대해서 스티어링 휠을 장착하면 자동적으로 회전측 부재의 임시 고정이 해제되어서, 스티어링 휠의 적절한 장착 상태가 얻어진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고정측 부재와, 이 고정측 부재 상에서 좌우 양방향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중앙의 감합홀에 끼워 넣어진 스티어링 휠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측 부재와, 이 회전측 부재를 고정측 부재 상에서의 중립 위치에 임시 고정하는 임시 고정 기구를 구비한다. 이 임시 고정 기구는, 스티어링 휠에 따라 회전되는 스티어링 칼럼을 받아들이는 중앙홀을 가지면서 상기 회전측 부재의 하부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중앙홀을 둘러싼 상태로 내장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스프링부재(되돌림 스프링(18). 부호는 특허문헌 1에서의 것. 이하 본 항에서는 동일)의 탄성력으로 위로 움직이게 한 걸림부재(록킹체(17))의 걸림부(록킹 돌기(47))를 상기 고정측 부재의 피걸림부(걸림부(66))에 걸리게 하여서 상기 임시 고정을 하는 구성이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스프링 부재의 하단부를 받는 스프링 받이부재(스프링 받이 슬리브(16))에 대해서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하기 위해 스프링 받이부재의 일부를 안에서 밖으로 관통하도록 외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형성 위치는 중앙홀의 중심점을 사이에 두고 직선상으로 나란한 두 곳에 한 쌍으로 구비된다. 이 걸림부가 걸리는 피걸림부는 고정측 부재에서의 중앙홀의 외주부분에 둘레 전체(全周)에 걸쳐 다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에서의 상기 스프링부재의 상단부가 맞닿는 스프링 접촉면과 그 근방은 한결같은 평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 커넥터 장치를 콤비네이션 스위치에 고정한 후, 스티어링 휠을 회전측 부재에 장착하면, 임시 고정 기구의 걸림부재가 스프링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해서 밀어 내려져, 걸림부와 피걸림부의 걸림이 해제되어서 스티어링 휠이 좌우 양방향으로 균등하게 회전 가능해진다.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10-129187호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부(係止部)의 수에 대해서 피걸림부(被係止部)의 수가 많고, 둘레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부재의 탄성력에 맡겨져 걸림부재를 위로 움직이게 했을 때에는 걸림부재가 중립위치 이외의 위치에서 걸리는 일이 있다. 중립 위치인지 아닌지는 다른 수단으로 판단하지 않으면 안 되며, 정확한 중립위치에서 간단하게 임시고정하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니었다.
이 때문에 걸림부와 피걸림부를 하나씩 형성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지만, 걸림부를 가지는 걸림부재는, 스프링 받이부재와의 사이에서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면서 동시에 스프링 부재에 의해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균등하게 힘이 주어지지 않으면, 걸림부재가 기울어져 걸림이 해제되는 등의 우려가 생긴다. 걸림이 해제된 경우에는 중립 위치에 설정한 작업이 헛되이 되거나, 작업을 다시 해야할 필요가 있다.
또한, 걸림부재에 힘을 가하는 스프링 부재의 상단부를 받는 스프링 접촉면이 평면형상이기 때문에 스프링 부재의 상단부의 스프링 접촉면에 대한 위치가 안정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스티어링 휠을 장착하거나 이탈시키거나 해서 스프링 부재가 신축할 때에 신축의 중심 위치가 벗어나 걸림부재의 스프링 접촉면이 균일하게 힘이 가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전술과 마찬가지로 걸림부재가 기울면서 걸림이 끌러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프링 부재에 의해 힘이 균등하게 가해져, 걸림 상태에서 힘이 가해지는 상태도, 스프링 부재의 신축시 힘이 가해지는 상태도 균형적이며, 회전 조작구의 적절한 장착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수단은, 고정체에 고정되는 고정측 부재와, 그 고정측 부재 상에서 좌우 양방향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중앙 감합홀에 끼워 넣어진 회전 조작구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측 부재와, 그 회전측 부재를 고정측 부재 상에서의 중립 위치에 임시 고정하는 임시 고정 기구를 구비하고, 그 임시 고정 기구가, 상기 회전 조작구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을 받아들이는 중앙홀을 가지면서 동시에 상기 회전측 부재의 하부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중앙 홀을 둘러싼 상태에서 내장한 스프링 부재의 탄성력으로 위로 움직이게 한 걸림부재의 걸림부를 상기 고정측 부재의 피걸림부에 걸려서 상기 임시 고정을 행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로서, 상기 걸림부와 상기 피걸림부가 이들이 서로 걸렸을 때에 상기 회전측 부재를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시키는 한 군데의 중립 위치와, 그 중립 위치에 대해 상기 중앙홀의 중심점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 위치에 형성되면서 동시에 상기 걸림부재에서의 상기 스프링 부재의 상단부가 맞닿는 스프링 접촉면의 근방에는 상기 스프링부재의 상단부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수단이 마련된 회전 커넥터 장치이다.
이 구성에서는 걸림부재를 스프링 부재의 탄성력에 맡겨져 위로 움직이게 하여도 걸림부와 피걸림부가 걸릴 수 있는 방향은, 회전측 부재를 고정측 부재에 대해서 중립 위치로 하는 적절한 방향을 포함한 한정된 것이 된다. 또한, 걸림부와 피걸림부는 중립위치와 반대편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걸림부와 피걸림부를 구비한 경우에 비해서 스프링부재에 의한 탄성력을 균형적으로 받아서 상하 움직인다. 게다가, 스프링 부재의 상단부의 위치는 걸림부재에 마련된 규제 수단에 의해서 규제되고, 스프링 부재의 신축시, 즉 회전 조작구의 착탈시에 스프링 부재나 걸림부재가 쏠리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규제 수단을, 스프링 부재의 상단부를 끼워 넣는 삽입홈으로 구성할 수 있다. 삽입홈이 스프링 부재의 상단부를 확실하게 규제하기 때문에 신축의 안정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규제수단은 스프링 부재의 내주측에 위치한 통(筒)형상부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스프링 부재의 상단부의 위치가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 외에 이물질이 혼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상기 통형상부의 내경을, 상기 스프링 부재를 받는 스프링 받이부재의 중앙에 마련된 중앙홀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회전 커넥터 장치의 고정체에 대한 착탈시에 회전 커넥터 장치가 기울어져도 걸림부재가 회전축에 접촉해서 문질러져, 탈락하거나 파손되거나 하는 불편을 피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와 피걸림부를, 회전측 부재를 고정측 부재에 대한 중립 위치로 하는 방향으로만 걸리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적정한 방향으로만 임시 고정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중립 맞추기 작업이 보다 간단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걸림부와 피걸림부의 걸림방향이 중립 위치를 포함한 한정된 방향으로 제한되기 때문에 중립 위치에 맞추기가 쉬워서, 회전 조작구의 적절한 장착이 용이하다. 게다가, 걸림부와 피걸림부의 형성 위치가 중립 위치와 반대측 위치인 데에 걸림부재에는 스프링 부재의 상단부의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 수단을 구비하였기 때문에 걸림상태에서의 탄성상태도 스프링 부재의 신축시의 가압상태도 균형적이며, 이 점에서도 회전 조작구의 적절한 장착이 가능해진다.
도 1은 회전 커넥터 장치의 걸림부 및 피걸림부 위치(도 4의 A-A부분)에서 절단한 종단면도이고,
도 2는 회전 커넥터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회전 커넥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회전 커넥터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5는 회전 커넥터 장치의 로테이터를 빼낸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6은 임시 고정을 해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한 형태를 아래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차량의 스티어링 부분에 이용되는 회전 커넥터 장치(11)의 종단면도이며, 회전 커넥터 장치(11)에 있어서 회전 조작구의 적절한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는 목적을, 로테이터(31)를 스테이터(21) 상에서의 중립 위치에 임시 고정하는 임시 고정 기구(41)의 걸림부(47)와 피걸림부(22a)를, 이들이 서로 걸렸을 때에 상기 로테이터(31)를 상기 중립 위치에 위치시키는 한 곳의 중립 위치와, 그 중립 위치에 중앙홀(42)의 중심점을 사이에 두고 반대 측의 반대쪽 위치에 형성하면서 동시에 걸림부재(44)의 스프링 부재(43)의 상단부가 맞닿는 스프링 접촉면(44a)의 근방에 상기 스프링 부재(43)의 상단부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 수단(49)을 마련하는 구성으로 실현했다.
우선, 회전 커넥터 장치(11) 전체의 개략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회전 커넥터 장치(11)를 상면 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3은 회전 커넥터 장치(11)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커넥터 장치(11)는 하면 쪽에 위치한 고정측 부재로서 스테이터(21)와, 상면 측에 위치하는 회전측 부재로서의 로테이터(31)와, 이들 스테이터(21) 및 로테이터(31) 사이에서 스테이터(21)에 대한 로테이터(31)의 중립위치(회전 코넥터 장치(11)의 중립위치)를 유지하는 임시 고정기구(41)를 구비한다.
상기 스테이터(21)는 도 1의 종단면도에서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에 원형의 홀을 가지고 대략 환형(環狀)을 이루는 고정측 링판 부재(22)와, 이 고정측 링판 부재(22)의 외주측 부위의 상면과 결합해서 일체화되는 평면에서 보아 원형을 이루는 외주 통(筒)부재(23)로 구성된다.
고정측 링판 부재(22)는, 고정체로서 미도시의 콤비네이션 스위치에 고정하는 고정손톱(24) 등의 고정 수단을 가진다. 또한, 외주 통부재(23)를 고정하는 위치보다도 외주 측에는 적당히 외방으로 튀어나가는 커넥터 하우징(25)이 형성되어 있다.
외주 통부재(23)는 내외 이중 벽 구조로 구성되고,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벽부(26) 쪽이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벽부(27)보다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외측벽부(27)의 외주측으로서 상기 고정측 링판 부재(22)의 커넥터 하우징(25)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그 고정측 링판 부재(22)의 커넥터 하우징(25)과 조합되는 커넥터 하우징(28)이 형성되고, 이들 커넥터 하우징(25,28) 내에는 커넥터(29)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로테이터(31)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스테이터(21)의 고정측 링판 부재(22)의 상면측과 외주 통부재(23)의 내주측 사이에 미도시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환형을 이루는 수용공간(S)을 형성할 수 있도록, 평면에서 보아 링모양을 이루는 천판부(32)와, 천판부(32)의 내주연에서 매달려 설치된 내주 통부(33)를 일체로 갖는다. 이 내주 통부(33)의 하단에서는 내주방향으로 내밀어지는 돌출부(33a)가 형성되어 있다.
천판부(32)의 크기는, 상기 외주 통부재(23)의 내주 벽부(26)의 상단에 덮이지만, 외측 벽부(27)에는 접촉되지 않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천판부(32)에는 커넥터 하우징(34)이 일체 형성되고, 커넥터(35)가 내장되어 있다.
내주 통부(26)의 내주면에는 회전 조작구로서의 스티어링 휠(51)(도 6 참조)의 회전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두 개의 결합 돌기(36,37)(도 4 참조)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결합돌기(36,37)는 스티어링 휠(51)에서의 심금(芯 金)인 보스부(52)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홈(미도시)에 맞춰지는 것이다.
즉, 로테이터(31)의 내주 통부(33)의 내주측은 스티어링 휠(51)을 받는 받이부가 되고, 상면측에서 상기 보스부(52)를 삽입하면, 상기 결합홈과 결합돌기(36,37)가 서로 걸어 맞춰져서 상대 회전 불가능해진다.
상기 수용공간(S)에는 후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리테이너(61)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리테이너(61)는 환형을 이루는 판모양이고, 상면에 복수의 롤러(62)를 갖는다. 한 개의 롤러(62)는 다른 롤러(62)와 외관상 식별 가능하도록 색을 다르게 하며, 상기 중립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로테이터(31)의 상면에 형성한 창문부(32a)에서 투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도2, 도4 참조).
상기 임시 고정 기구(41)는, 로테이터(31)를 스테이터(21) 상에서의 중립 위치에 임시 고정하는 것으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스티어링 휠(51)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으로서의 스티어링 칼럼(미도시)을 받아들이는 중앙홀(42)을 가지면서 상기 로테이터(31)의 하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임시 고정 기구(41)는 상기 중앙홀(42)을 둘러싼 상태로 내장된 상기 스프링 부재(43)의 탄성력으로 상기 걸림부재(44)를 위로 움직이게 했을 때에 상기 스테이터(21)에 의해 걸려서 상기 임시고정을 행하는 한편, 상기 스프링 부재(43)의 탄성력에 대항해서 눌렀을 때에 상기 임시 고정 상태가 해제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는 임시 고정 기구(41)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로테이터(31)의 내주 통부(33)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매달려 설치되도록 고정 일체화되는 스프링 받이부재(45)와, 이 스프링 받이부재(45)에 의해 하단이 유지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스프링 부재(43)와, 상기 스프링 받이부재(45)와 상대 회전 불가하고, 또한 상기 스프링 받이부재(45)에 대해서 상하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 부재(43)에 의해 위쪽으로 힘이 가해지는 상기 걸림부재(44)를 가진다.
상기 스프링 받이부재(45)는, 상측 부분이 내외 이중 통(筒) 모양이며, 스테이터(21)의 고정측 링판 부재(22)의 내주연에 아래에서 접촉하는 플랜지부(45a)를 외주연에 갖는다. 또한, 전술한 이중 통 모양을 이루는 부분 중 외측의 통 형상부(46)의 상단에는 상기 로테이터(31)에 대한 고정수단으로서 복수의 걸림편(46a)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들 걸림편(46a)은, 상기 로테이터(31)의 내주 통부(33)의 내주면에 돌출 설치된 걸림 손톱(33b)에 의해 걸린다.
또한, 외측 통 형상부(46)에서의 중심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결홈(46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홈(46b)에 상기 걸림부재(44)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부(47)가 상하 움직일 수 있게 끼워진다. 걸림부(47)의 선단은 절결홈(46b)의 외주면 위치에보다 더 바깥으로 돌출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걸림부(47)가 걸리는 피걸림부(22a)는, 로테이터(31)를 제외한 상태의 평면도인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스테이터(21)에서의 상기 고정측 링판부재(22)의 중앙의 원형 홀의 내주면에서 중심을 향해 튀어나오도록 형성된 환형의 돌출편(22b)의 일부를 절결해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편(22b)은,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스프링부재(43)의 탄성력으로 위로 밀어 올려지는 걸림부재(44)가 다 올라갔을 때에 그 걸림부(47)와 간섭하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피걸림부(22a)와, 상기 걸림부(47) 및 상기 걸림홈(46b)은, 걸림부(47)와 피걸림부(22a)가 서로 걸렸을 때에 상기 로테이터(31)를 상기 중립위치에 위치시키는 한 군데의 중립위치와, 이 중립위치에 대해서 상기 중앙홀(42)의 중심점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 받이부재(45)에서의 내측의 통 형상부(48)는, 도 1, 도 3에서와 같이 외측의 통 형상부(46)보다 더 낮게 형성되고, 하단부의 내주에는 콤비네이션 스위치에 대한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단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 면(48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부재(43)는 이 내측의 통 형상부(48)의 외부에 유지된다.
또한, 스프링 받이부재(45)의 하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타각(舵角) 센서와 결합하는 타각 센서 결합부(45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로테이터(31)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로테이터(31) 회전을 타각 센서로 입력하게 된다.
상기 걸림부재(44)는 대략 환형을 이루는 판 모양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의 서로 마주 향하는 두 군데에 상기 걸림부(47)가 매달려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 부재(43)의 상단부가 맞닿는 스프링 접촉면(44a)의 근방에는 스프링 부재 (43)의 상단부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 수단(49)이 마련되어 있다.
즉, 상기 규제수단(49)으로서, 스프링 부재(43)의 상단부를 끼워 넣는 삽입홈(49a)과, 스프링 부재(43)의 내주측에 위치하는 통 형상부(49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 형상부(49b)는, 상기 스프링 받이부재(45)의 내측의 통 형상부(48)보다 외주측으로 후퇴한 위치에 형성된다. 바꿔 말하면,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통 형상부(49b)의 내경(d1)이, 상기 스프링 받이부재(45)의 중앙에 마련된 상기 중앙홀(42)의 내경(d2)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통 형상부(49b)는, 상기 스프링 받이부재(45)의 내측의 통 형상부(48)의 길이나 내외 방향의 형성위치, 통 형상부(49b)의 이동 거리 등의 조건에 따라 임시 고정 기구(41)의 내부에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길이 등이 설정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회전 커넥터 장치(11)에서는 후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수용하는 조립시에 있어서는 로테이터(31)를 스테이터(21)에 대한 중립 위치로 하는 중립 맞춤을 실시한다.
이때, 로테이터(31)와 일체의 걸림부재(44)의 걸림부(47)와, 스테이터(21)의 피걸림부(22a)는, 한 곳의 중립위치와, 이 반대측 위치의 두 곳에 형성되어 있어서, 이 두 곳 이외에서 끼워 맞춰져 임시 고정 상태가 되는 일은 없다. 즉, 걸림부재(44)를 스프링부재(43)의 탄성력에 맡겨 위로 움직이게 하여도 걸림부(47)와 피걸림부(22a)가 걸릴 수 있는 방향이, 로테이터(31)를 스테이터(21)에 대해서 중립 위치로 하는 적절한 방향을 포함한 두 가지 패턴으로 한정된 것이 된다. 이 때문에 방향이 적절한지 여부는 창문부(32a)에서 눈으로 확인하면 되며, 중립 맞춤 작업이 용이하다.
그리고, 로테이터(21)가 중립 위치에서 임시 고정된 회전 커넥터 장치(11)를 스티어링 칼럼을 통과시켜서 콤비네이션 스위치에 고정한 후, 중립자세로 한 상태의 스티어링 휠(51)을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테이터(31)에 장착하면, 스티어링 휠(51)의 보스부(52)가 임시 고정 기구(41)의 걸림부재(44)를 스프링부재(43)의 탄성력에 대항해서 누르게 되고, 걸림부(47)는 피걸림부(22a)로부터 벗어나 임시 고정이 해제된다. 그러면, 스티어링 휠(51)이 좌우 양 방향으로 균등하게 회전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47)와 피걸림부(22a)는, 중립위치와 반대측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부(47)와 피걸림부(22a)를 한 쌍 마련한 경우에 비해서 스프링부재(43)에 의한 탄성력을 골고루 받아서 상하 움직이게 된다. 게다가 스프링부재 (43)의 상단부의 위치는, 걸림부재(44)에 마련된 삽입홈(49a)과 통 형상부(49b)에 의해 규제된다.
이 때문에 스티어링 휠(51)을 장착해서 스프링부재(43)를 압축 변형할 때에 스프링부재(43)나 걸림부재(44)의 기울어짐이 억제된다. 따라서, 걸림부재(44)의 아래 이동시에 이동의 중심위치가 어긋나는 일이 없이 걸림부재(44)의 스프링 접촉면(44a)에 균등하게 힘이 더해지며, 균형적으로 스티어링 휠(51)의 적절한 장착을 쉽게 행할 수 있다. 이 효과는 스프링 부재(43)를 신장시켜서 걸림부재(44)를 위로 움직이게 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스티어링 휠(51)을 교환할 때도 마찬가지로 스티어링 휠(51)의 적절한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전술한 이동의 중심위치가 벗어나지 않는다는 효과는 규제수단(49)을 삽입홈(49a)과 통 형상부(49b)로 구성하고 있어서 더 확실하게 얻어진다.
또한, 그 규제수단(49)을 구성하는 통 형상부(49b)는, 걸림부재(44)의 스프링 접촉면(44a)과 스프링 받이부재(45)의 내측의 통 형상부(48) 사이의 틈새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틈새를 입구로서 수용공간(S)에 모래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이 결과 스티어링 휠의 회전시에 이음(異音)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재(44)의 통 형상부(49b)의 내경(d1)이 스프링 받이부재(45)의 내경(d2)보다 크기 때문에, 회전 커넥터 장치(11)를 콤비네이션 스위치에 고정할 때에 회전 커넥터 장치(11)가 예측하지 못한 기울어진 상태가 되어도, 스티어링 칼럼이 걸림부재(44)에 접촉해서 걸림부재(44)가 문질러지는 사태를 일으키는 일은 없다. 따라서, 걸림부재(44)의 걸림이 풀어져 임시 고정 상태가 해제되거나, 걸림부재(44)가 파손될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과, 상기 한 형태의 구성과의 대응에 있어서,
본 발명의 고정체는, 콤비네이션 스위치에 대응하고,
이하 마찬가지로,
고정측 부재는, 스테이터(21)에 대응하고,
회전 조작구는, 스티어링 휠(51)에 대응하고,
회전측 부재는, 로테이터(31)에 대응하고,
회전축은, 스티어링 칼럼에 대응하는데,
이 발명은 전술된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른 구성을 채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걸림부(47)와 피걸림부(22a)는 전술된 두 곳에 형성되는 것 이외에도 형성하여서, 총 네 곳 이상의 짝수 개소를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앞서 말한 적절한 장착의 용이성과 같은 효과를 확보하기 위해 걸림 상태가 너무 많아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6군데 정도까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걸림부(47)와 피걸림부(22a)가, 로테이터(31)를 스테이터(21)에 대한 중립 위치로 하는 방향으로만 걸리도록, 예를 들면 걸림부(47)와 피걸림부의 크기나 형상에 차이를 둘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중립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수단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규제수단(49)은 삽입홈(49a) 또는 통 형상부(49b) 중 어느 한쪽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11; 회전 커넥터 장치
21; 스테이터
22a; 피걸림부
31; 로테이터
41; 임시 고정 기구
42; 중앙홀
43; 스프링부재
44; 걸림부재
44a; 스프링 접촉면
45; 스프링 받이부재
47; 걸림부
49; 규제수단
49a; 삽입홈
49b; 통(筒) 형상부
51; 스티어링 휠

Claims (6)

  1. 고정체에 고정되는 고정측 부재와, 그 고정측 부재 상에서 좌우 양 방향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중앙의 감합홀(嵌合穴)에 끼워 넣어진 회전 조작구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측 부재와, 그 회전측 부재를 고정측 부재 상에서의 중립 위치에 임시 고정하는 임시 고정 기구를 구비하며, 그 임시 고정 기구가, 상기 회전 조작구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을 받아들이는 중앙홀을 가지면서 상기 회전측 부재의 하부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중앙홀을 둘러싸는 상태로 내장된 스프링 부재의 탄성력으로 위로 움직이게 한 걸림부재의 걸림부(係止部)를 상기 고정측 부재의 피걸림부(被係止部)에 걸리게 하여서 상기 임시 고정을 행하는 회전 커넥터 장치로서,
    상기 피걸림부를 상기 고정측 부재의 상기 감합홀의 외주부분의 둘레 전체 중 일부에만 형성하면서,
    상기 걸림부와 상기 피걸림부가, 이들이 서로 걸렸을 때에 상기 회전측 부재를 상기 중립 위치에 위치시키는 한 곳의 중립 위치와, 그 중립 위치에 대해서 상기 중앙홀의 중심점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와 상기 피걸림부가, 상기 고정측 부재에 대해서 상대 회전 가능한 상기 회전측 부재를, 왼쪽방향으로도 오른쪽 방향으로도 치우치지 않는 균등한 중립 위치로 하는 방향과, 반전하는 방향에서 걸리게 하는 구성인 회전 커넥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중립 위치를 눈으로 확인하는 창문부를 설치한 회전 커넥터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係止部材)에서의 상기 스프링 부재의 상단부가 맞닿는 스프링 접촉면에는 상기 스프링 부재의 상단부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수단이 마련된 회전 커넥터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수단이, 스프링 부재의 상단부를 끼워넣는 삽입홈인 회전 커넥터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수단이, 스프링 부재의 내주측에 위치하는 통(筒)형상부인 회전 커넥터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부의 내경이 상기 스프링 부재를 받는 스프링 받이부재의 중앙에 마련된 중앙홀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된 회전 커넥터 장치.
KR1020167013744A 2011-09-29 2012-09-28 회전 커넥터 장치 KR1017219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14792A JP4974196B1 (ja) 2011-09-29 2011-09-29 回転コネクタ装置
JPJP-P-2011-214792 2011-09-29
PCT/JP2012/075007 WO2013047714A1 (ja) 2011-09-29 2012-09-28 回転コネクタ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3996A Division KR101625582B1 (ko) 2011-09-29 2012-09-28 회전 커넥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052A true KR20160066052A (ko) 2016-06-09
KR101721928B1 KR101721928B1 (ko) 2017-03-31

Family

ID=4665019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3744A KR101721928B1 (ko) 2011-09-29 2012-09-28 회전 커넥터 장치
KR1020147003996A KR101625582B1 (ko) 2011-09-29 2012-09-28 회전 커넥터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3996A KR101625582B1 (ko) 2011-09-29 2012-09-28 회전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986026B2 (ko)
EP (1) EP2763246B1 (ko)
JP (1) JP4974196B1 (ko)
KR (2) KR101721928B1 (ko)
CN (1) CN103262364B (ko)
WO (1) WO20130477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4196B1 (ja) * 2011-09-29 2012-07-1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JP6329845B2 (ja) * 2014-08-11 2018-05-2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JP6329844B2 (ja) * 2014-08-11 2018-05-2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US9413128B2 (en) * 2014-09-04 2016-08-09 Htc Corporation Connector module having a rotating element disposed within and rotatable relative to a case
JP6498893B2 (ja) * 2014-09-12 2019-04-1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JP6293088B2 (ja) * 2015-05-11 2018-03-1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6754377B2 (ja) * 2016-01-08 2020-09-0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KR102241322B1 (ko) * 2016-12-06 2021-04-16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완충 부재 및 회전 커넥터 장치
JP6943892B2 (ja) * 2017-02-10 2021-10-0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KR102450425B1 (ko) * 2018-03-19 2022-10-06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회전 커넥터 장치 및 회전 커넥터 장치의 조립 구조
WO2020121741A1 (ja) * 2018-12-13 2020-06-1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JP7394316B2 (ja) * 2019-10-29 2023-12-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アダプタ、照明装置及び照明器具
CN112271522A (zh) * 2020-11-09 2021-01-26 苏州港联机电有限公司 一种风力发电机取电滑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948Y2 (ko) * 1986-12-13 1991-01-25
EP2106973A1 (fr) * 2008-04-03 2009-10-07 Delphi Technologies, Inc. Module de commande sous volant et méthode d'assemblage associée
JP2010129187A (ja) 2008-11-25 2010-06-10 Toyota Motor Corp 回転コネク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1114Y2 (ja) * 1987-04-07 1995-09-2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ブラシレス伝送装置
JPH082948Y2 (ja) * 1988-06-20 1996-01-2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3296662B2 (ja) * 1994-06-13 2002-07-0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仮止め機構付回転コネクタ
JP3681623B2 (ja) * 2000-08-25 2005-08-1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JP2006309967A (ja) * 2005-04-26 2006-11-09 Advanex Inc スライダーユニット及びカードコネクタ
JP2006335318A (ja) * 2005-06-06 2006-12-14 Alps Electric Co Ltd 回転コネクタと舵角センサの連結構造
JP2006339109A (ja) * 2005-06-06 2006-12-14 Alps Electric Co Ltd 回転コネクタと舵角センサの連結構造
JP4330018B2 (ja) * 2006-03-28 2009-09-0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JP2009222422A (ja) * 2008-03-13 2009-10-01 Alps Electric Co Ltd ロック部材
KR101133890B1 (ko) * 2010-01-06 2012-04-0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 스티어링 롤 커넥트
KR20120007418A (ko) * 2010-07-14 2012-0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클럭스프링의 오토록 기구
JP4974196B1 (ja) * 2011-09-29 2012-07-1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948Y2 (ko) * 1986-12-13 1991-01-25
EP2106973A1 (fr) * 2008-04-03 2009-10-07 Delphi Technologies, Inc. Module de commande sous volant et méthode d'assemblage associée
JP2010129187A (ja) 2008-11-25 2010-06-10 Toyota Motor Corp 回転コネク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37600B2 (en) 2016-05-10
JP4974196B1 (ja) 2012-07-11
EP2763246A1 (en) 2014-08-06
KR20140066703A (ko) 2014-06-02
EP2763246B1 (en) 2018-05-30
US20150171582A1 (en) 2015-06-18
JP2013073926A (ja) 2013-04-22
EP2763246A4 (en) 2015-07-01
US20140212207A1 (en) 2014-07-31
CN103262364A (zh) 2013-08-21
WO2013047714A1 (ja) 2013-04-04
KR101721928B1 (ko) 2017-03-31
KR101625582B1 (ko) 2016-05-30
CN103262364B (zh) 2015-09-09
US8986026B2 (en) 2015-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582B1 (ko) 회전 커넥터 장치
JP5460029B2 (ja) 回転コネクタ装置
KR20150007294A (ko) 가압된 액체 또는 가스를 위한 라인을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 연결장치
TW201502724A (zh) 感光鼓的傳動組件
KR101568816B1 (ko) 커넥터 장치
WO2012086116A1 (ja) レバー式コネクタ、ワイヤカバー
JP2007239242A (ja) シリンダ錠装置及び係合解除機構
KR20120028814A (ko) 클러치 및 모터
US20200200983A1 (en) Connector assembly, plug connector and core unit thereof
JP4652950B2 (ja) 着脱式車両用アンテナ
US20120066870A1 (en) Quick-fit anchoring device for anchoring a sheath of a control cable to a mounting bracket
CN111937252B (zh) 具有锁定装置的电插塞连接器部件和电插塞连接系统
JP3897796B2 (ja) 車両用アンテナの取付構造
US9702171B2 (en) Locking device
JP6840572B2 (ja) コネクタ組立体
JP5703982B2 (ja) コネクタの取付構造
CN101983145B (zh) 方向盘下控制模块和相关联的组装方法
JP5731889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WO2009082063A1 (en) Dust proof strike for door fixing
JP2007120532A (ja) 回り止め構造及び電気モータの回転検出器の取付構造
JP6943813B2 (ja) ロック解除機構及び回転検出装置
WO2013087472A1 (en) Plug adapter
JP6329844B2 (ja) 回転コネクタ
KR101461616B1 (ko) 스티어링 록 장치
CN112049841A (zh) 安装结构、附加模块组件、三维扫描仪及三维扫描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