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5091A - 스텐트 - Google Patents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5091A
KR20160065091A KR1020167007451A KR20167007451A KR20160065091A KR 20160065091 A KR20160065091 A KR 20160065091A KR 1020167007451 A KR1020167007451 A KR 1020167007451A KR 20167007451 A KR20167007451 A KR 20167007451A KR 20160065091 A KR20160065091 A KR 20160065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portion
stent
connection
helical
ax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7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아키 미츠도
다카유키 기토
Original Assignee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65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0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89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the wire-like elements comprising two or more adjacent rings flexibly connected by separate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58Inflatable balloons for placing stents or 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2Inorganic materials
    • A61L31/022Metals or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4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6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88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the wire-like elements formed as helical or spiral co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61F2002/9155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61F2002/91575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connected peak to troug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61F2002/9155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61F2002/91591Locking connectors, e.g. using male-female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0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bioabsorb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02Two-dimensional shapes, e.g. cross-sections
    • A61F2230/0004Rounded shapes, e.g. with rounded corners
    • A61F2230/0015Kidney-shaped, e.g. bean-shap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63Three-dimensional shapes
    • A61F2230/0071Three-dimensional shapes sphe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6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form
    • A61L2300/602Type of release, e.g. controlled, sustained, slow
    • A61L2300/604Biodegrad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스텐트의 확장 유지력 및 높은 유연성을 발휘하면서, 스텐트를 구성하는 선상 구성 요소끼리의 접속이 예기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스텐트를 제공한다. 선상 구성 요소에 의해 구성되어서 전체로서 간극을 갖는 통형상을 나타내는 스텐트 기체(20)와, 통형상을 나타내는 상기 스텐트 기체(20)의 축 방향(X)으로 나란히 인접하는 상기 선상 구성 요소의 각각에 상기 스텐트 기체(20)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축 방향(X) 및 스텐트의 둘레 방향(Y)으로의 위치가 겹치면서 서로 접속되는 제1 접속부(31) 및 제2 접속부(32)와, 상기 제1 접속부(31) 및 제2 접속부(32)를 접속하는 생분해성 재료를 함유하는 접속 부재(40)를 갖는 스텐트(10)이다.

Description

스텐트{STENT}
본 발명은 생체 관강 내에 발생한 협착부나 폐색부 등에 유치해서 생체 관강의 개존 상태를 유지하는 스텐트(stent)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예를 들어, 심근경색이나 협심증의 치료에서는, 관동맥의 병변부(협착부)에 스텐트를 유치하여, 관동맥 내의 공간을 확보하는 방법이 행하여지고 있고, 다른 혈관, 담관, 기관, 식도, 요도, 기타 생체 관강 내에 발생한 협착부의 치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방법이 행하여지는 경우가 있다. 스텐트는 기능 및 유치 방법에 따라, 벌룬 확장형 스텐트와, 자기 확장형 스텐트로 구별된다.
벌룬 확장형 스텐트는 스텐트 자체에 확장 기능은 없고, 확장 가능한 벌룬을 구비하는 벌룬 카테터의 벌룬 외측에 설치해서 목적 부위에 삽입 후, 벌룬에 의해 확장하고,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혈관 등의 생체 관강 내에 밀착 고정하는 것이다. 이에 비해, 자기 확장형 스텐트는 스텐트 자체가 확장 기능을 갖고, 카테터 내에 미리 직경 축소한 상태로 수납하여, 목적 부위에 도달한 후, 카테터로부터 압출해서 직경 축소 상태를 해방해서 확장시킴으로써 혈관 등의 생체 관강 내에 밀착 고정하는 것이다.
스텐트는 혈관을 확장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충분한 혈관 확장 유지력을 구비할 필요가 있지만, 스텐트가 유지하는 혈관 확장 유지력(강도)이 부하가 되어서 혈관 재협착의 한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혈관 내에 유치해서 소정 기간 경과 후에는, 유연한 것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물결 형상으로 접으면서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금속 선상체의 인접하는 부위를 생분해성 선상체로 연결한 스텐트가 기재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스텐트는 충분한 혈관 확장 유지력을 구비해서 협착부를 양호하게 개선할 수 있고, 또한 소정 기간 경과 후에는, 생분해성 선상체가 분해되어서 유연한 것이 되어, 혈관의 변형에 대한 높은 추종성을 발휘한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물결 형상으로 접으면서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나선체의 인접하는 정점끼리가 대향하고 있고, 대향하는 정점끼리를 용접이나 납땜 등에 의해 접속한 접속부가, 나선이 1회 감기는 사이에 적어도 1개 설치되는 스텐트가 기재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스텐트는 나선 형상으로 유연한 나선체에, 접속부에 따라 어느 정도의 강도가 부여되기 때문에, 충분한 혈관 확장 유지력을 구비하면서, 혈관의 변형에 대한 추종성을 발휘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82245호 공보 미국 특허 제8366765호 명세서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스텐트는 벌룬 등에의 크림프 시, 혈관에 삽입해서 병변부를 통과시킬 때, 또는 확장 조작할 때 등에, 생분해성 선상체가 금속 선상체에서 분리되어, 스텐트의 혈관 확장 유지력의 저하가 발생되고, 또한 스텐트의 바람직한 형상으로의 확장이 저해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스텐트는 대향하는 정점끼리를 용접이나 납땜 등에 의해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벌룬 등에의 크림프 시, 혈관에 삽입해서 병변부를 통과시킬 때, 또는 확장 조작할 때 등에 접속부는 분리되기 어렵지만, 혈관의 변형에 대한 추종성이 불충분해질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스텐트의 확장 유지력 및 높은 유연성을 발휘하면서, 스텐트를 구성하는 선상 구성 요소끼리의 접속이 예기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는 선상 구성 요소에 의해 구성되어서 전체로서 간극을 갖는 통형상을 나타내는 스텐트 기체와, 통형상을 나타내는 상기 스텐트 기체의 축 방향으로 나란히 인접하는 상기 선상 구성 요소의 각각에 상기 스텐트 기체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축 방향 및 상기 스텐트 기체의 둘레 방향으로의 위치가 겹치면서 서로 접속되는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와, 상기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를 접속하는 생분해성 재료를 함유하는 접속 부재를 갖는 스텐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스텐트는 스텐트를 구성하는 선상 구성 요소가 접속 부재에 의해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높은 확장 유지력을 구비함과 함께, 접속 부재가 생분해성 재료를 함유하기 때문에, 생체 관강 내에 유치되어서 소정 기간 경과 후에 접속 부재가 분해되어서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 간의 접속이 해제되어, 높은 유연성을 발휘한다. 그래서, 서로 접속되는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의 축 방향 및 둘레 방향으로의 위치가 겹쳐 있기 때문에, 벌룬 등에의 크림프 시, 생체 관강 내에 삽입해서 병변부를 통과시킬 때 또는 확장 조작할 때 등에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의 접속이 예기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접속 부재는, 서로 접속되는 상기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 사이에 충전되는 충전 부재가 되도록 하면,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에 대한 접속 부재의 접속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서로 접속되는 상기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스텐트 기체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의 적어도 다른 쪽은, 상기 돌출부가 수용되는 오목 형상의 수용부를 갖도록 하면, 돌출부를 수용부에 수용함으로써,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의 접속을 견고하게 하여, 접속을 더욱 분리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상기 스텐트 기체가, 당해 스텐트 기체의 축 방향을 중심으로 해서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나선형상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는 인접하는 상기 나선형상체끼리를 접속하도록 하면, 나선 형상의 나선형상체에 의해 스텐트에 유연성이 부여됨과 함께, 접속부에 의해 스텐트에 적당한 강성이 부여된다. 이에 의해, 스텐트는 충분한 혈관 확장 유지력을 구비하면서, 혈관의 변형에 대한 높은 추종성을 발휘한다.
서로 접속되는 상기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는, 나선이 조이는 방향으로 비틀어질 때에 접근하도록 배치되게 하면,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에 있어서 나선이 조이는 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할 때에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접속이 분리되기 어려워진다.
서로 접속되는 상기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는, 나선이 풀리는 방향으로 비틀어질 때에 접근하도록 배치되게 하면,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에 있어서 나선이 풀리는 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할 때에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접속이 분리되기 어려워진다.
축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나선형상체끼리는, 동일한 나선을 구성하기 위해서 둘레 방향으로 접속되는 부위를 제외하고, 상기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만에 의해 접속되도록 하면, 나선형상체끼리가 축 방향으로 일체적인 구조로 접속되지 않고, 충전 부재를 개재한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만에 의해 축 방향으로 접속된다. 이로 인해, 스텐트의 유연성을 향상시켜서, 생체 관강의 변형에 대한 추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스텐트 기체는, 상기 나선형상체의 양단에서 무단으로 형성된 환형상체를 더 구비하도록 하면, 스텐트의 양단부에서의 혈관 확장 유지력을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가, 상기 접속 부재가 충전되는 관통 구멍을 갖도록 하면,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에 대한 접속 부재의 접속을 보다 견고하게 하여, 접속을 더욱 분리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상기 충전 부재가 약제를 함유하도록 하면, 접속 부재의 분해와 함께 약제가 서서히 용출하여, 혈관의 재협착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스텐트 기체는 비생분해성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도록 하면, 스텐트는 보다 충분한 혈관 확장 유지력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텐트가 수축했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텐트가 수축했을 때의 전개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텐트가 수축했을 때의 일부를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4-4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텐트가 확장했을 때의 전개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텐트가 확장했을 때의 일부를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텐트가 수축했을 때의 일부를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텐트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텐트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텐트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스텐트를 생체 관강 내에 유치하기 위한 벌룬 카테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벌룬 카테터의 선단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벌룬을 확장했을 때의 벌룬 카테터 선단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텐트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도면의 치수 비율은 설명의 사정상, 과장되어서 실제 비율과는 다른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텐트(10)는 혈관, 담관, 기관, 식도, 요도 또는 기타 생체 관강 내에 발생한 협착부 또는 폐색부를 치료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관강에 삽입하는 측을 「선단」 또는 「선단측」, 조작하는 손측을 「기단부」 또는 「기단부측」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스텐트(10)는 벌룬의 확장력에 의해 확장되는, 소위 벌룬 확장형 스텐트이며, 도 1 내지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상 구성 요소에 의해 구성되어서 전체로서 간극을 갖는 통형상을 나타내는 스텐트 기체(20)와, 통형상을 나타내는 스텐트 기체(20)의 축 방향(X)으로 나란히 인접하는 선상 구성 요소끼리를 접속하는 접속부(30)와, 접속부(30)를 접속하는 접속 부재(4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텐트(10)에서는, 접속 부재(40)는 서로 접속되는 접속부(30)끼리 사이에 충전되는 충전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스텐트 기체(20)는 물결 형상으로 접힌 지그재그 형상의 선상 구성 요소에 의해, 스텐트(10)의 축 방향(X)을 중심으로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나선형상체(21)와, 나선형상체(21)의 양단에서 무단으로 형성된 환형상체(23, 24)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나선형상체(21)는 360°의 나선을 그려 형성되어 있고, 모든 나선형상체(21)가 직렬로 배열되어 1개의 나선을 구성하고 있다. 각각의 나선형상체(21)는 물결 형상으로 접어짐으로써 돌출되는 폴딩부(2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나선형상체(21)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각각의 나선형상체(21)에 설치되는 폴딩부(25)의 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스텐트 기체(20)가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나선형상체(21)를 구비함으로써, 스텐트(10)에 유연성이 부여되어, 혈관 등의 생체 관강의 변형에 대하여 스텐트(10)가 추종해서 변형되기 쉬워져, 생체에 미치는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스텐트(10)의 일단부측에 설치되는 나선형상체(21) 및 당해 나선형상체(21)와 인접하는 환형상체(23)는, 선상 구성 요소인 링크 부재(26)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스텐트(10)의 타단부측에 설치되는 나선형상체(21) 및 당해 나선형상체(21)와 인접하는 환형상체(24)는 선상 구성 요소인 링크 부재(27)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스텐트 기체(20)의 양단부에, 무단으로 형성된 환형상체(23, 24)를 구비함으로써, 접속 부재(40)가 분해된 후라도 스텐트(10)의 양단부에서의 혈관 확장 유지력이 높은 것이 된다.
접속부(30)는 도 3,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텐트 기체(20)의 축 방향(X)으로 나란히 인접하는 나선형상체(21)의 한쪽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제1 접속부(31)와, 인접하는 나선형상체(21)의 다른 쪽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제2 접속부(3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접속부(31) 및 제2 접속부(32)는 인접하는 나선형상체(21)가 대향하는 폴딩부(25)에 각각 형성된다. 접속부(30)는 각각의 나선형상체(21)(나선에서의 360° 범위 내)에 1개 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 방향(X)으로 인접하는 나선형상체(21)끼리는, 동일한 나선을 구성하도록 둘레 방향(Y)으로 접속되어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둘레 방향(Y)으로 접속되는 부위를 제외하면, 접속 부재(40)를 개재한 접속부(30)만에 의해 축 방향(X)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축 방향(X)으로 인접하는 나선형상체(21)끼리는, 링크 부재(26, 27)와 같은 스텐트 기체(20)와의 일체적인 구성에 의해 축 방향(X)으로 가로지르도록 접속되지 않고, 접속 부재(40)를 개재한 접속부(30)만에 의해 축 방향(X)으로 접속된다. 또한, 일부의 축 방향(X)으로 인접하는 나선형상체(21)끼리를, 링크 부재(26, 27)와 같은 스텐트 기체(20)와의 일체적인 구성에 의해 축 방향(X)으로 가로지르도록 접속할 수도 있다.
제1 접속부(31)는 스텐트 기체(20)의 물결 형상으로 형성된 지그재그 형상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는 제1 돌출부(33)와,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수용부(34)를 구비하고, 제2 접속부(32)는 스텐트 기체(20)의 물결 형상으로 형성된 지그재그 형상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어서 제1 수용부(34)에 수용되는 제2 돌출부(35)와, 제1 돌출부(33)가 수용되는 오목 형상의 제2 수용부(36)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돌출부(33)는 제2 수용부(36)에 대하여 간극을 갖도록 수용되고, 제2 돌출부(35)는 제1 수용부(34)에 대하여 간극을 갖도록 수용된다. 또한, 제1 돌출부(33)는 제2 수용부(36)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접촉해도 되고, 제2 돌출부(35)는 제1 수용부(34)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접촉해도 된다.
제1 접속부(31) 및 제2 접속부(32)는 수축된 상태에서, 스텐트(10)의 축 방향(X)으로의 위치가 축 방향 중복 길이 L1만 겹친다. 축 방향 중복 길이 L1은, 스텐트(10)를 확장할 때에 변화해도 되지만, 수축 상태로부터 확장 상태(도 5, 6 참조)까지의 모든 상태에서 축 방향 중복 길이 L1이 존재하는(겹쳐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접속부(31) 및 제2 접속부(32)는 수축한 상태에서, 스텐트(10)의 둘레 방향(Y)으로의 위치가 둘레 방향 중복 길이 L2만 겹쳐 있다. 둘레 방향 중복 길이 L2는 스텐트(10)를 확장할 때에 변화해도 되지만, 수축 상태로부터 확장 상태(도 5, 6 참조)까지의 모든 상태에서 둘레 방향 중복 길이 L2가 존재하는(겹쳐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접속부(31) 및 제2 접속부(32)가, 스텐트(10)의 축 방향(X) 및 둘레 방향(Y)으로의 위치에서 겹쳐있음으로써, 스텐트(10)를 확장시킬 때, 제1 접속부(31) 및 제2 접속부(32)의 접속이 걸리도록 해서 양호하게 유지되어, 제1 접속부(31) 및 제2 접속부(32)가 분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텐트(10)는, 스텐트(10)를 확장시킬 때, 제1 접속부(31) 및 제2 접속부(32)에, 축 방향(X)에 대하여 각도 θ로 경사지는 인장 방향 T로 인장력이 작용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도 7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범위 내와 같이, 1개의 접속부(30)를 중심으로 해서 인접하는 다른 접속부(30)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폴딩부(25)의 수가, 제1 범위 A1에서는 2개인 것에 대해, 제2 범위 A2에서는 4개인 것으로, 확장할 때에 폴딩부(25)의 수가 적은 제1 범위 A1 쪽이 제2 범위 A2보다도 큰 반대 힘을 발생시키는 것을 요인의 하나로서 들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텐트(10)를 확장시킬 때 접속부(30)에 작용하는 인장력의 인장 방향 T는, 스텐트 기체(20)의 나선이 조이는 방향으로 각도 θ로 기울어져 있다. 각도 θ는 예를 들어, 30 내지 80도이다. 이와 같이, 스텐트(10)는 구조 등의 조건에 따라, 접속부(30)에 작용하는 인장력의 인장 방향 T가 규정된다. 또한, 인장 방향 T는 해석이나 실험에 의해 특정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텐트(10)의 서로 접속되는 제1 접속부(31) 및 제2 접속부(32)는, 나선이 조이는 방향으로 비틀어질 때에 접근하게 겹쳐서 배치된다. 이로 인해, 스텐트(10)를 확장시킬 때, 접속부(30)에서 나선이 조이는 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해도, 제1 접속부(31) 및 제2 접속부(32)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기 때문에, 접속이 분리되기 어렵다.
또한, 제1 접속부(31)는 제1 돌출부(33)에 스텐트(10)의 중심축을 향해서 관통하는 제1 관통 구멍(37)이 형성되고, 제2 접속부(32)는 제2 돌출부(35)에 스텐트(10)의 중심축을 향해서 관통하는 제2 관통 구멍(38)이 형성된다.
접속 부재(40)는 생분해성 재료를 포함하고, 제1 접속부(31) 및 제2 접속부(32)를 덮음과 함께, 제1 돌출부(33) 및 제2 수용부(36) 사이의 간극, 제2 돌출부(35) 및 제1 수용부(34) 사이의 간극, 제1 관통 구멍(37) 및 제2 관통 구멍(38)에 충전된다. 접속 부재(40)는 스텐트 기체(20) 및 접속부(30)를 구성하는 재료보다도 부드러운 생분해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서, 나선 형상의 스텐트 기체(20)에 적당한 강성을 부여해서 스텐트(10)에 충분한 혈관 확장 유지력을 부여하면서, 혈관 등의 생체 관강의 변형에 대한 추종성을 부여한다. 또한, 접속 부재(40)가 제1 접속부(31) 및 제2 접속부(32)를 덮음과 함께, 제1 관통 구멍(37) 및 제2 관통 구멍(38)에 충전됨으로써, 접속 부재(40)의 제1 접속부(31) 및 제2 접속부(32)에 대한 접합력이 향상되고, 제1 접속부(31) 및 제2 접속부(32)가 분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접속 부재(40)가 생분해성 재료를 포함하기 때문에, 스텐트(10)가 생체 관강 내에 유치된 후에 접속 부재(40)가 분해되어, 접속부(30)에서의 접속이 해제됨으로써, 스텐트(10)가 높은 유연성을 발휘해서 생체 관강의 변형에 대한 높은 추종성을 발휘한다.
스텐트 기체(20)는 유치 대상 부위에 따라 상이하지만, 일반적으로, 확장시(비직경 축소시)의 외경이 1.5 내지 30mm,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mm이고, 두께가 0.04 내지 1.0mm, 바람직하게는 0.06 내지 0.5mm인 것이고, 길이는 5 내지 250mm,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00mm이다. 나선의 피치(인접하는 나선형상체(21)의 간격)는 0.5 내지 3mm,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5mm이다. 축 방향 중복 길이 L1은 0.01 내지 1mm,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mm이다. 둘레 방향 중복 길이 L2는 0.005 내지 0.2mm,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05mm이다. 접속 부재(40)의 두께, 즉 제1 돌출부(33) 및 제2 수용부(36) 간의 간극 길이, 및 제2 돌출부(35) 및 제1 수용부(34) 간의 간극 길이는 0.005 내지 0.1mm,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05mm이다.
그리고 스텐트 기체(20), 접속부(30) 및 링크 부재(26, 27)는, 비생분해성 금속 재료,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 코발트-크롬 합금 등의 코발트기 합금, 플라티나-크롬 합금 등의 탄성 금속, 니켈-티타늄 합금 등의 초탄성 합금 등의 금속 재료에 의해 대략 원통형상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텐트 기체(20), 접속부(30) 및 링크 부재(26, 27)는, 금속 파이프를 사용하여, 스텐트 기체(20) 등의 비구성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제작되고, 이에 의해, 일체 형성물이 된다. 금속 파이프에 의한 스텐트 기체(20), 접속부(30) 및 링크 부재(26, 27)의 형성은, 절삭 가공(예를 들어, 기계 연마, 레이저 절삭 가공), 방전가공, 화학 에칭 등에 의해 행할 수 있고, 또한 그들의 병용에 의해 행해도 된다.
접속 부재(40)는 생분해성 고분자 재료 또는 생분해성 금속 재료 등의 생분해성 재료로 형성된다. 생분해성 고분자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락트산-글리콜산 공중합체, 폴리카프로락톤, 락트산-카프로락톤 공중합체, 글리콜산-카프로락톤 공중합체, 폴리-γ-글루탐산 등의 생분해성 합성 고분자 재료, 또는 셀룰로오스, 콜라겐 등의 생분해성 천연 고분자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생분해성 금속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마그네슘, 아연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 부재(40)를 접속부(30)에 충전 및 피복시킬 때는, 접속 부재(40)를 용매에 용해시킨 코팅액을 예를 들어, 피봇(Pivot) 등에 의해 도포하고, 용매를 증발시켜서 접속 부재(40)를 건조 고화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용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메탄올, 에탄올,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디메틸포름아미드, 아세토니트릴, 디메틸술폭시드, 아세톤 등의 유기 용매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텐트(10)의 변형예로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 부재(40)는 제1 접속부(31) 및 제2 접속부(32)의 주위를 덮지 않고, 제1 돌출부(33) 및 제2 수용부(36) 사이의 간극, 제2 돌출부(35) 및 제1 수용부(34) 사이의 간극, 제1 관통 구멍(37) 및 제2 관통 구멍(38)에 충전되어도 된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 부재(40)는 제1 접속부(31) 및 제2 접속부(32)의 외표면만 덮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접속 부재(40)는 제1 접속부(31) 및 제2 접속부(32)의 외표면 외에 스텐트 기체(20)의 외표면 전체를 덮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텐트(10)의 변형예로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텐트 기체(20), 접속부(30) 및 접속 부재(40)의 생체 관강과 접하는 측의 외표면에, 약제를 함유하는 피복체(50)가 피복되어도 된다.
피복체(50)는 약제와, 약제를 담지하기 위한 약제 담지체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피복체(50)는 약제 담지체를 포함하지 않고 약제만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피복체(50)는 스텐트(10)의 외표면 전체에 피복되어도 되지만, 외표면의 일부에만 피복되어도 된다. 또한, 피복체(50)는 접속 부재(40) 등의 외표면을 사이에 두는 양측면이나, 외표면의 반대측 내표면에도 피복되어도 된다.
피복체(50)에 함유되는 약제로서는 예를 들어, 항암제, 면역억제제, 항생 물질, 항류마티스제, 항혈전약, HMG-CoA 환원효소 저해제, 인슐린 저항성 개선제, ACE 저해제, 칼슘 길항제, 항고지혈증약, 인테그린 저해약, 항알레르기제, 항산화제, GPIIb/IIIa 길항약, 레티노이드, 플라보노이드, 카로티노이드, 지질개선약, DNA 합성 저해제, 티로신 키나아제 저해제, 항혈소판약, 항염증약, 생체 유래 재료, 인터페론, 일산화질소 생산 촉진 물질을 들 수 있다.
항암제는 예를 들어, 빈크리스틴, 빈블라스틴, 빈데신, 이리노테칸, 피라루비신, 파클리탁셀, 도세탁셀, 메토트렉세이트이다. 면역억제제는 예를 들어, 시로리무스, 에베로리무스, 피메크로리무스, 조타로리무스, 바이오리무스, AP23573, CCI-779 등의 시로리무스 유도체, 타크로리무스, 아자티오프린, 시클로스포린, 시클로포스파미드, 미코페놀산 모페틸, 구스페리무스, 미조리빈, 독소루비신이다.
항생 물질은 예를 들어, 마이토마이신, 액티노마이신, 다우노루비신, 이다루비신, 피라루비신, 아클라루비신, 에피루비신, 페플로마이신, 지노스타틴 스티말라머, 반코마이신이다. 항류마티스제는 예를 들어, 메토트렉세이트, 티오말산 나트륨, 페니실라민, 로벤자릿(lobenzarit)이다. 항혈전약은 예를 들어 헤파린, 아스피린, 항트롬빈 제제, 티클로피딘, 히루딘이다.
HMG-CoA 환원효소 저해제는 예를 들어, 세리바스타틴, 세리바스타틴 나트륨, 아트로바스타틴, 아트로바스타틴 칼슘, 로스바스타틴, 로스바스타틴 칼슘, 피타바스타틴, 피타바스타틴 칼슘, 플루바스타틴, 플루바스타틴 나트륨, 심바스타틴, 로바스타틴, 프라바스타틴, 프라바스타틴 나트륨이다.
인슐린 저항성 개선제는 예를 들어, 트로글리타존, 로시글리타존, 피오글리타존 등의 티아졸리딘 유도체이다. ACE 저해제는 예를 들어, 퀴나프릴, 페린도프릴 에르부민, 트란돌라프릴, 실라자프릴, 테모카프릴, 델라프릴, 말레산 에날라프릴, 리시노프릴, 캡토프릴이다. 칼슘 길항제는 예를 들어, 니페디핀, 닐바디핀, 딜티아젬, 베니디핀, 니솔디핀이다.
항고지혈증제는 예를 들어, 베자피브레이트, 페노피브레이트, 에제티미브, 토르세트라피브, 파크티미브, K-604, 임플리타피드, 프로부콜이다.
인테그린 저해약은 예를 들어, AJM300이다. 항알레르기제는 예를 들어, 트라닐라스트이다. 항산화제는 예를 들어, α-토코페롤, 카테킨(Catechin),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이다. GPIIb/IIIa 길항약은 예를 들어, 아브식시마브(Abciximab)이다. 레티노이드는 예를 들어, 올 트랜스 레티노산(all trans retinoic acid)이다. 플라보노이드는 예를 들어, 에피갈로카테킨, 안토시아닌, 프로안토시아니딘이다. 카로티노이드는 예를 들어, β-카로틴, 리코펜이다.
지질 개선약은 예를 들어, 에이코사펜타엔산이다. DNA 합성 저해제는 예를 들어, 5-FU이다. 티로신 키나아제 저해제는 예를 들어, 게니스테인, 티르포스틴, 아브스타틴, 스타우로스포린이다. 항혈소판약은 예를 들어, 티클로피딘, 실로스타졸, 클로피도그렐이다. 항염증제는 예를 들어, 덱사메타손, 프레드니솔론 등의 스테로이드이다.
생체 유래 재료는 예를 들어, EGF(epidermal growth factor),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HGF(hepatocyte growth factor), PDGF(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BFGF(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이다. 인터페론은 예를 들어, 인터페론-γ1a이다. 일산화질소 생산 촉진 물질은 예를 들어, L-아르기닌(arginine)이다.
또한, 혈관의 협착부 치료용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또한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세포 내로 이행시킬 수 있다는 관점에서, 파클리탁셀, 도세탁셀, 시로리무스, 에베로리무스가 바람직하고, 특히, 시로리무스 및 파클리탁셀이 바람직하다.
약제 담지체는 고분자 재료가 바람직하고, 특히, 생체 내에서 분해되는 생분해성 고분자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생체 관강 내에 스텐트(10)를 유치한 후, 약제를 담지하고 있는 생분해성 고분자 재료가 생분해됨으로써, 약제가 서방되어, 스텐트 유치부에서의 재협착이 방지되게 된다. 생분해성 고분자 재료로서는, 상술한 접속 부재(40)와 마찬가지의 재료를 적용할 수 있다.
피복체(50)를 피복시킬 때는, 약제 및 약제 담지체를 용매에 용해시킨 코팅액을 스텐트 기체(20), 접속부(30) 및 접속 부재(40)의 외표면에 코팅하고, 용매를 증발시켜서 약제 및 약제 담지체를 건조 고화시켜서 피복시킬 수 있다.
용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메탄올, 에탄올,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디메틸포름아미드, 아세토니트릴, 디메틸술폭시드, 아세톤 등의 유기 용매가 바람직하다.
피복체(50)의 두께는 1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30㎛이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텐트(10)를 생체 관강 내에 유치하는 방법을, 혈관 내에 유치할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스텐트(10)를 유치할 때에는, 도 11, 12에 나타내는 벌룬 카테터(100)를 사용한다.
벌룬 카테터(100)는 긴 카테터 본체부(120)와, 카테터 본체부(120)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벌룬(130)과, 카테터 본체부(120)의 기단부에 고착된 허브(140)를 갖고 있다.
카테터 본체부(120)는 선단 및 기단부가 개구된 관상체인 외부관(150)과, 외부관(150)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관(160)을 구비하고 있다. 외부관(150)은 벌룬(130)을 확장하기 위한 확장용 유체가 유통하는 확장용 루멘(151)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내부관(160)에는 가이드 와이어(W)가 삽입 관통되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161)이 형성되어 있다. 확장용 유체는 기체여도 액체여도 되고, 예를 들어, 헬륨 가스, CO2 가스, O2 가스 등의 기체나, 생리 식염수, 조영제 등의 액체를 들 수 있다.
내부관(160)은 선단부가 벌룬(130)의 내부를 관통해서 벌룬(130)보다도 선단측에서 개구되어 있고, 기단부측이 외부관(150)의 측벽을 관통하여, 외부관(150)에 접착제 또는 열 융착에 의해 액밀하게 고착되어 있다.
허브(140)는 외부관(150)의 확장용 루멘(151)과 연통해서 확장용 유체를 유출입시키는 포트로서 기능하는 기단 개구부(141)를 구비하고 있고, 외부관(150)의 기단부가 접착제, 열 융착 또는 고정구(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액밀하게 고착되어 있다.
외부관(150), 내부관(160)은 어느 정도의 가요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러한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의 폴리올레핀이나, 연질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 불소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 실리콘 고무, 라텍스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허브(140)의 구성 재료로서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폴리술폰, 폴리아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벌룬(130)은 확장함으로써 소정의 범위를 효율적으로 펴 넓힐 수 있도록, 축 방향 중앙부에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서 거의 동일한 직경의 통형상부(131)를 갖고 있다. 벌룬(130)의 통형상부(131)의 선단측에는, 선단측을 향해서 직경이 테이퍼 형상으로 축소해서 형성되는 제1 직경 축소부(132)가 설치되고, 기단부측에는 기단부측을 향해서 직경이 테이퍼 형상으로 축소해서 형성되는 제2 직경 축소부(133)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직경 축소부(132)의 선단측은 내부관(160)의 외벽 면에 접착제 또는 열 융착 등에 의해 액밀하게 고착되어 있고, 제2 직경 축소부(133)의 기단부측은 외부관(150)의 선단부 외벽 면에 접착제 또는 열 융착 등에 의해 액밀하게 고착되어 있다. 따라서, 벌룬(130)의 내부는 외부관(150)에 형성되는 확장용 루멘(151)과 연통하고, 이 확장용 루멘(151)을 개재하여, 기단부측에서 확장용 유체를 유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벌룬(130)은 확장용 유체의 유입에 의해 확장되고, 유입된 확장용 유체를 배출함으로써 접힌 상태로 된다.
벌룬(130)은 확장시키지 않는 상태에서는, 내부관(160)의 외주면에 둘레 방향으로 권취되게 접힌 상태로 되도록, 형상화되어 있다. 이러한 벌룬(130)은 금형 내에서, 소재가 되는 튜브를 가열하고, 내측으로부터 유체에 의해 팽창되게 가압해서 금형에 가압하는 블로우 성형에 의해 성형할 수 있다.
벌룬(130)은 어느 정도의 가요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러한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의 폴리올레핀이나, 연질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 불소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 실리콘 고무, 라텍스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스텐트(10)를 벌룬 카테터(100)에 의해 혈관 내에 유치할 때에는 먼저, 예를 들어, 혈관의 협착부를 치료하기 전에, 벌룬(130) 및 확장용 루멘(151) 내의 공기를 가능한 한 발취하고, 벌룬(130) 및 확장용 루멘(151) 내를 확장용 유체로 치환해 둔다. 이때, 벌룬(130)은 접힌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내부관(160) 내를 생리 식염수로 치환해 둔다.
이어서, 환자의 혈관에, 예를 들어, 셀딩거법에 의해 외피를 유치하고, 가이드 와이어 루멘(161) 내에 가이드 와이어(W)를 삽입 관통시킨 상태로, 가이드 와이어(W) 및 벌룬 카테터(100)를 시스의 내부로부터 혈관 내에 삽입한다. 계속해서, 가이드 와이어(W)를 선행시키면서 벌룬 카테터(100)를 진행시켜, 벌룬(130)을 협착부에 도달시킨다.
이어서, 벌룬(130)이 협착부에 위치한 상태로, 허브(140)의 기단 개구부(141)로부터, 인디플레이터, 시린지 또는 펌프 등을 사용해서 확장용 유체를 소정량 주입하고, 확장용 루멘(151)을 통해서 벌룬(130)의 내부에 확장용 유체를 밀어넣어, 접힌 벌룬(130)을 확장시킨다. 이에 의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벌룬(130)의 통형상부(131)가, 협착부를 벌리는 동시에 스텐트(10)를 소성 변형시키면서 벌리고, 협착부를 스텐트(10)에 의해 펴 넓힌 상태로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후, 확장용 유체를 기단 개구부(141)로부터 흡인해서 배출하고, 벌룬(130)을 수축시켜서 접힌 상태로 한다. 스텐트(10)는 벌려진 상태 그대로 협착부에 유치된다. 이 후, 시스를 개재해서 혈관으로부터 가이드 와이어(W) 및 벌룬 카테터(100)를 제거하고, 절차가 종료된다. 생체 관강 내에 유치된 스텐트(10)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전체가 내피세포에 의해 덮이고, 피복체(50)가 설치되어 있으면 피복체(50)에 함유되는 약제가 서서히 용출됨으로써, 재협착의 발생을 억제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텐트(10)는 스텐트(10)를 구성하는 선상 구성 요소가 접속부(30)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높은 확장 유지력을 구비함과 함께, 제1 접속부(31) 및 제2 접속부(32)를 접속하는 접속 부재(40)가 생분해성 재료를 함유하기 때문에, 생체 관강 내에 유치되어서 소정 기간 경과 후에 접속 부재(40)가 분해되어서 접속부(30)에 의한 접속이 해제되고, 높은 유연성을 발휘해서 혈관 등의 변형에 대한 높은 추종성을 발휘한다. 그리고 서로 접속되는 제1 접속부(31) 및 제2 접속부(32)의 축 방향(X) 및 둘레 방향(Y)으로 위치가 겹쳐 있기 때문에, 벌룬(130) 등에의 크림프 시, 혈관 등의 생체 관강 내에 삽입해서 병변부를 통과시킬 때 또는 확장 조작을 할 때 등에, 제1 접속부(31) 및 제2 접속부(32)의 접속이 예기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접속부(31) 및 제2 접속부(32)의 접속이 예기하지 않게 분리되기 어려워짐으로써, 스텐트(10)의 혈관 확장 유지력을 양호하게 유지하고, 스텐트(10)를 바람직한 형상으로 확장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접속 부재(40)는 서로 접속되는 제1 접속부(31) 및 제2 접속부(32) 사이에 충전되는 충전 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접속부(31) 및 제2 접속부(32)에 대한 접속 부재(40)의 접속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서로 접속되는 제1 접속부(31) 및 제2 접속부(32)가 스텐트 기체(20)로부터 돌출되어서 형성되는 제1 돌출부(33) 및 제2 돌출부(35)와, 제1 돌출부(33) 및 제2 돌출부(35)가 수용되는 오목 형상의 제2 수용부(36) 및 제1 수용부(34)를 갖기 때문에, 제1 돌출부(33) 및 제2 돌출부(35)를 각각 제2 수용부(36) 및 제1 수용부(34)에 수용함으로써, 제1 접속부(31) 및 제2 접속부(32)의 접속을 견고하게 하여, 접속을 더욱 분리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텐트 기체(20)가 스텐트(10)의 축 방향(X)에 대하여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나선형상체(21)를 구비하고, 제1 접속부(31) 및 제2 접속부(32)는 인접하는 나선형상체(21)끼리를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나선 형상의 나선형상체(21)에 의해 스텐트(10)에 유연성이 부여됨과 함께, 접속부(30)에 의해 스텐트(10)에 적당한 강성이 부여된다. 이에 의해, 스텐트(10)는 충분한 혈관 확장 유지력을 구비하면서, 혈관 등의 생체 관강의 변형에 대한 높은 추종성을 발휘한다.
또한, 서로 접속되는 제1 접속부(31) 및 제2 접속부(32)가, 나선이 조이는 방향으로 비틀어질 때에 접근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제1 접속부(31) 및 제2 접속부(32)에 있어서 나선이 조이는 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해도, 제1 접속부(31) 및 제2 접속부(32)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접속이 분리되기 어렵다.
또한, 축 방향(X)으로 인접하는 나선형상체(21)끼리는, 1개의 나선을 구성하도록 둘레 방향(Y)으로 접속되는 부위를 제외하고, 제1 접속부(31) 및 제2 접속부(32)만에 의해 접속되기 때문에, 링크 부재(26, 27)와 같은 스텐트 기체(20)와의 일체적인 구성에 의해 축 방향(X)으로 가로지르도록 접속되지 않고, 충전 부재(40)를 개재한 제1 접속부(31) 및 제2 접속부(32)만에 의해 축 방향(X)으로 접속된다. 이로 인해, 스텐트(10)의 유연성을 향상시켜서, 혈관 등의 생체 관강의 변형에 대한 스텐트(10)의 추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텐트 기체(20)는 나선형상체(21)의 양단에서 무단으로 형성된 환형상체(23, 24)를 더 구비하고 있으므로, 스텐트(10)의 양단부에서의 혈관 확장 유지력을 높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속부(31) 및 제2 접속부(32)가, 접속 부재(40)가 충전되는 제1 관통 구멍(37) 및 제2 관통 구멍(38)을 각각 갖기 때문에, 제1 접속부(31) 및 제2 접속부(32)에 대한 접속 부재(40)의 접속을 보다 견고하게 하여, 제1 접속부(31) 및 제2 접속부(32)의 접속을 더욱 분리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텐트 기체(20)는 비생분해성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텐트(10)가 보다 충분한 혈관 확장 유지력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접속 부재(40)를 구성하는 생분해성 재료에 약제가 함유되어도 된다. 약제로서는, 상술한 피복체(50)에 적용 가능한 약제를 적용할 수 있다. 접속 부재(40)에 약제가 함유되면, 접속 부재(40)의 분해와 함께 약제가 서서히 용출하여, 혈관의 재협착 발생을 억제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서로 접속되는 제1 접속부(31) 및 제2 접속부(32)가, 나선이 조이는 방향으로 비틀어질 때에 접근하게 배치되지만, 나선이 풀리는 방향으로 비틀어질 때에 접근하게 배치되어도 된다. 이러한 형태로 하면,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에 있어서 나선이 풀리는 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할 때에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접속이 분리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스텐트 기체는 1개의 나선 형상의 선재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2개 이상의 선재가 병렬적으로 배열해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스텐트 기체는 나선 형상이 아니라, 무단 형상의 환형상체가 스텐트의 축 방향(X)으로 배열하여, 접속부에서 접속되어도 된다. 이 경우, 충전 부재가 분해된 후에 환형상체끼리가 분리하지 않도록, 환 형상체끼리를 접속하는 생분해되지 않는 링크 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텐트(10)는 제1 돌출부(33)가 제2 수용부(36)에 수용되고, 제2 돌출부(35)가 제1 수용부(34)에 수용되어 있고, 1개의 접속부(30)에 2조의 돌출부 및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지만, 1개의 접속부에 1조만의 돌출부 및 수용부를 구비해도 되고, 또는 3조 이상의 돌출부 및 수용부를 구비해도 된다.
또한, 도 14에 도시하는 스텐트의 변형예, 제1 접속부(61)에 돌출부(63)가 형성되고, 제2 접속부(62)에 수용부(64)가 형성되어, 돌출부(63)가 수용부(64)에 대하여 면 내 방향(제1 접속부(61) 및 제2 접속부(62)가 위치하는 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탈 불가능하게 수용되어도 된다. 돌출부(63)의 선단부에는, 기단부보다도 폭이 넓은 광폭부(65)가 형성되어 있고, 수용부(64)의 바닥부에는, 광폭부(65)를 이탈 불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66)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접속부(61)와 제2 접속부(62)는 생분해성 재료를 함유하는 접속 부재(70)에 의해 접속된다(구체적으로는, 제1 접속부(61)와 제2 접속부(62) 사이에, 생분해성 재료를 포함하는 충전 부재가 충전됨).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1 접속부(61) 및 제2 접속부(62)의 접속을 견고하게 하여, 더욱 분리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에, 접속 부재가 충전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스텐트는 자기의 탄성력에 의해 확장하는 자기 확장형 스텐트여도 된다.
10 스텐트
20 스텐트 기체
21 나선형상체
25 폴딩부
30 접속부
31, 61 제1 접속부
32, 62 제2 접속부
33 제1 돌출부(돌출부)
34 제1 수용부(수용부)
35 제2 돌출부(돌출부)
36 제2 수용부(수용부)
37 제1 관통 구멍(관통 구멍)
38 제2 관통 구멍(관통 구멍)
40, 70 접속 부재
63 돌출부
64 수용부
L1 축 방향 중복 길이
L2 둘레 방향 중복 길이
T 인장 방향
X 축 방향
Y 둘레 방향

Claims (11)

  1. 선상 구성 요소에 의해 구성되어서 전체로서 간극을 갖는 통형상을 나타내는 스텐트 기체와,
    통형상을 나타내는 상기 스텐트 기체의 축 방향으로 나란히 인접하는 상기 선상 구성 요소의 각각에 상기 스텐트 기체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축 방향 및 상기 스텐트 기체의 둘레 방향으로의 위치가 겹치면서 서로 접속되는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와,
    상기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를 접속하는 생분해성 재료를 함유하는 접속 부재를 갖는 스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서로 접속되는 상기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 사이에 충전되는 충전 부재인 스텐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서로 접속되는 상기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스텐트 기체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의 적어도 다른 쪽은, 상기 돌출부가 수용되는 오목 형상의 수용부를 갖는 스텐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 기체는, 당해 스텐트 기체의 축 방향을 중심으로 해서 나선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나선형상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는 인접하는 상기 나선형상체끼리를 접속하는 스텐트.
  5. 제4항에 있어서,
    서로 접속되는 상기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는, 나선이 조이는 방향으로 비틀어질 때에 접근하게 배치되는 스텐트.
  6. 제4항에 있어서,
    서로 접속되는 상기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는, 나선이 풀리는 방향으로 비틀어질 때에 접근하게 배치되는 스텐트.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기 나선형상체끼리는, 동일한 나선을 구성하기 위해서 둘레 방향으로 접속되는 부위를 제외하고, 상기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만에 의해 접속되는 스텐트.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 기체는, 상기 나선형상체의 양단에서 무단으로 형성된 환형상체를 더 구비하는 스텐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는, 상기 접속 부재가 충전되는 관통 구멍을 갖는 스텐트.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약제를 함유하는 스텐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 기체는, 비생분해성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스텐트.
KR1020167007451A 2013-09-27 2013-09-27 스텐트 KR201600650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76279 WO2015045101A1 (ja) 2013-09-27 2013-09-27 ステン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091A true KR20160065091A (ko) 2016-06-08

Family

ID=52742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7451A KR20160065091A (ko) 2013-09-27 2013-09-27 스텐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60206450A1 (ko)
EP (1) EP3034047A4 (ko)
JP (1) JP6082472B2 (ko)
KR (1) KR20160065091A (ko)
CN (1) CN105578995B (ko)
AU (1) AU2013401276A1 (ko)
SG (1) SG11201600641UA (ko)
WO (1) WO20150451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8670A1 (ko) * 2018-12-24 2020-07-0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생분해성 고분자 및 니티놀을 포함하는 스텐트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6104017A1 (ja) * 2014-12-26 2017-10-05 テルモ株式会社 ステント、およびステントの製造方法
JP6598152B2 (ja) * 2015-09-18 2019-10-30 テルモ株式会社 ステント
JP2019050836A (ja) * 2016-01-26 2019-04-04 テルモ株式会社 ステント
JP2019050838A (ja) * 2016-01-26 2019-04-04 テルモ株式会社 ステント
JP2019050837A (ja) * 2016-01-26 2019-04-04 テルモ株式会社 ステント
JP2017164323A (ja) * 2016-03-16 2017-09-21 テルモ株式会社 ステント
CN113143536B (zh) * 2016-05-16 2022-08-30 万能医药公司 撑开支架
US11622872B2 (en) 2016-05-16 2023-04-11 Elixir Medical Corporation Uncaging stent
JP2018038682A (ja) * 2016-09-08 2018-03-15 テルモ株式会社 ステントデリバリーシステム
JP2019195346A (ja) * 2016-09-14 2019-11-14 テルモ株式会社 ステントの製造方法
JP2018046934A (ja) 2016-09-20 2018-03-29 テルモ株式会社 ステント
US10842654B2 (en) * 2017-07-19 2020-11-24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Stent with segments capable of uncoupling during expansion
CN114983642A (zh) * 2017-08-11 2022-09-02 万能医药公司 撑开支架
US20210251783A1 (en) * 2020-02-19 2021-08-19 Medinol Ltd. Helical stent with enhanced crimping
EP4248918A4 (en) * 2021-02-25 2023-12-13 Polyrey Medical Tech. (Suzhou) Co., Ltd. PERIPHERAL VASCULAR STENT,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ITS APPLICATION
EP4376777A1 (en) * 2021-07-30 2024-06-05 Microvention, Inc. Stent with enhanced deployment characteristic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2245A (ja) 2007-09-27 2009-04-23 Terumo Corp 生体内留置用ステントおよび生体器官拡張器具
US8366765B2 (en) 2009-09-18 2013-02-05 Medtronic Vascular, Inc. Helical stent with connection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60351B1 (fr) * 1997-03-04 1999-05-28 Bernard Glatt Dispositif formant endoprothese helicoidal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US7445146B2 (en) * 1998-04-17 2008-11-04 Diebold, Incorporated Card activated cash dispensing automated banking machine system and method
US6551351B2 (en) * 1999-07-02 2003-04-22 Scimed Life Systems Spiral wound stent
US6409754B1 (en) * 1999-07-02 2002-06-25 Scimed Life Systems, Inc. Flexible segmented stent
GB0400571D0 (en) * 2004-01-12 2004-02-11 Angiomed Gmbh & Co Implant
US20050182479A1 (en) * 2004-02-13 2005-08-18 Craig Bonsignore Connector members for stents
US20050261757A1 (en) * 2004-05-21 2005-11-24 Conor Medsystems, Inc. Stent with contoured bridging element
US20070213810A1 (en) * 2005-03-14 2007-09-13 Richard Newhauser Segmented endoprosthesis
WO2007013102A1 (en) * 2005-07-25 2007-02-01 Invatec S.R.L. Endolumenal prosthesis with bioresorbable portions
EP2186492B1 (en) * 2007-09-27 2012-08-15 Terumo Kabushiki Kaisha Stent and living organ dilator
JP2009082244A (ja) * 2007-09-27 2009-04-23 Terumo Corp 生体内留置用ステントおよび生体器官拡張器具
US8221821B1 (en) * 2007-11-09 2012-07-17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Methods of modifying ablumenal/lumenal stent coating thicknesses
EP2355755B1 (en) * 2008-09-15 2017-10-18 Abbott Laboratories Vascular Enterprises Limited Stent with independent stent rings and transitional attachments
US20110066227A1 (en) * 2009-09-17 2011-03-1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tent with Dynamic Drug Reservoirs
US8845438B2 (en) * 2010-02-17 2014-09-30 Nsk Ltd. Yoke for a cross type universal joi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220615B2 (en) * 2011-02-23 2015-12-29 Celonova Stent, Inc. Stent having at least one connecting member configured to controllably sever in vivo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2245A (ja) 2007-09-27 2009-04-23 Terumo Corp 生体内留置用ステントおよび生体器官拡張器具
US8366765B2 (en) 2009-09-18 2013-02-05 Medtronic Vascular, Inc. Helical stent with connec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8670A1 (ko) * 2018-12-24 2020-07-02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생분해성 고분자 및 니티놀을 포함하는 스텐트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45101A1 (ja) 2015-04-02
AU2013401276A1 (en) 2016-02-25
CN105578995B (zh) 2018-05-18
JPWO2015045101A1 (ja) 2017-03-02
JP6082472B2 (ja) 2017-02-15
EP3034047A1 (en) 2016-06-22
EP3034047A4 (en) 2017-01-18
CN105578995A (zh) 2016-05-11
SG11201600641UA (en) 2016-04-28
US20160206450A1 (en) 2016-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65091A (ko) 스텐트
US8257425B2 (en) Stent with protruding branch portion for bifurcated vessels
US20040138737A1 (en) Stent with protruding branch portion for bifurcated vessels
WO2010035721A1 (ja) 生体内留置用ステントおよびステントデリバリーシステム
US9339630B2 (en) Retractable drug delivery system and method
JP5739337B2 (ja) 生体内留置用ステントおよびステントデリバリーシステム
JP5242979B2 (ja) 生体内留置用ステントおよび生体器官拡張器具
WO2012039291A1 (ja) 生体接着シートおよびシート接着用デバイス
JP5873238B2 (ja) 生体接着シートおよびシート接着用デバイス
JP5871457B2 (ja) 生体接着チューブ
US9155648B2 (en) Ste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JP2009082244A (ja) 生体内留置用ステントおよび生体器官拡張器具
MX2013001439A (es) Stent helicoidal flexible con caracteristica estructural intermedia.
JP2010233744A (ja) 生体内留置用ステントおよび生体器官拡張器具
JP5243080B2 (ja) 生体内留置用ステントおよび生体器官拡張器具
JP2021191559A (ja) メディカルデバイス
JP2005074154A (ja) 生体留置用補綴物組立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4162401A1 (ja) ステントおよびステントデリバリーシステム
JP2018079142A (ja) ステントデリバリーシステム
JP2009082243A (ja) 生体内留置用ステントおよび生体器官拡張器具
WO2015141400A1 (ja) ステント
JP6472155B2 (ja) ステントおよびステントデリバリーシステム
JP6072227B2 (ja) ステント
JP2010082012A (ja) 生体内留置用ステントおよび生体器官拡張器具
JP2011072393A (ja) 生体器官拡張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