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8701A - 캡 및 작업 기계 - Google Patents

캡 및 작업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8701A
KR20160048701A KR1020157001752A KR20157001752A KR20160048701A KR 20160048701 A KR20160048701 A KR 20160048701A KR 1020157001752 A KR1020157001752 A KR 1020157001752A KR 20157001752 A KR20157001752 A KR 20157001752A KR 20160048701 A KR20160048701 A KR 20160048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ain body
back panel
controller main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1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6196B1 (ko
Inventor
노리히로 이와하시
아키히데 나무라
마사시 호시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60048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8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17Drivers' cabs for tractors or off-the-road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1Surveying the work-site to be tre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캡에서, 베이스(4)는 백 패널(12)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브래킷(4d)을 갖는다. 컨트롤러 본체(1)는, 베이스(4)와 백 패널(12)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제2 브래킷(4d)에 고정되어 있다. 평면에서 보아, 컨트롤러 본체(1) 중 적어도 일부는 베이스(4)와 중첩되도록 베이스(4)와 플로어부(13)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컨트롤러 본체(1)를 제2 브래킷(4d)에 고정하는 볼트(9)는 베이스(4)의 후단(4aa)과 백 패널(1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캡 및 작업 기계{CAB AND WORK MACHINE}
본 발명은 캡 및 작업 기계에 관한 것이다.
작업 차량의 컨트롤러는, 차량의 조작에 따른 컨트롤러의 작동 상황을 즉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종종 운전실 내의 운전석 후방에 집중 배치된다. 컨트롤러는, 특정 기능에 관한 MPU(Micro Processing Unit) 등의 기기류를 통합하여 가로로 긴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다. 컨트롤러는, 다른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케이블 등을 잇는 커넥터를 외면에 구비한다.
이러한 컨트롤러의 배치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3695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 있어서는, 2개의 컨트롤러가 운전석의 후방의 패널부에 세로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36951호 공보
그러나, 최근의 작업 차량의 고기능화(예컨대 정보화 시공, 주위 감시 기능 등)에 의해 컨트롤러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의해 컨트롤러의 부착 및 배치가, 스페이스 확보 등의 관점에서 곤란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이 목적은 컨트롤러의 수가 증가한 경우라도 컨트롤러의 부착 및 배치가 용이한 캡 및 작업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캡은, 플로어부와, 베이스와, 운전석과, 백 패널과, 컨트롤러 본체를 구비한다. 베이스는, 플로어부 상에 배치되어 있다. 운전석은, 베이스 상에 배치되어 있다. 백 패널은, 운전석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는 백 패널을 향하여 연장되는 브래킷을 갖는다. 컨트롤러 본체는, 베이스와 백 패널 사이에 배치되며, 또한 브래킷에 고정되어 있다. 평면에서 보아, 컨트롤러 본체 중 적어도 일부는 베이스와 중첩되도록 베이스와 플로어부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컨트롤러 본체를 브래킷에 고정하는 고정부는 베이스의 후단과 백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캡에 따르면, 컨트롤러 본체 중 적어도 일부가 평면에서 보아 베이스에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컨트롤러 본체를 캡의 전방측에 배치할 수 있어, 컨트롤러 본체와 백 패널 사이의 간극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간극에 케이블을 배치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컨트롤러 본체를 브래킷에 고정하는 고정부는, 베이스의 후단과 백 패널 사이로서 베이스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방으로부터 컨트롤러 본체를 브래킷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에 의해 컨트롤러 본체를 운전석과 백 패널 사이의 간극에 배치할 수 있으며, 운전석과 백 패널 사이가 좁은 공간 내에 있어서도 컨트롤러 본체의 부착 작업이 용이해진다.
상기 캡에 있어서는, 평면에서 보아 베이스의 후단과 백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컨트롤러 본체의 부분의 상방을 덮는 커버가 더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컨트롤러 본체에 물 또는 먼지가 붙는 것을 커버에 의해 억제할 수 있어, 컨트롤러 본체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캡에 있어서는, 커버는, 베이스에 마련된 제1 통풍 구멍과 백 패널에 마련된 제2 통풍 구멍을 접속하는 덕트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컨트롤러 본체의 보호 부재와, 제1 통풍 구멍 및 제2 통풍 구멍을 접속하는 덕트를 일체의 커버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커버를 부착함으로써, 컨트롤러 본체를 보호하는 보호 부재와 덕트를 동시에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져, 조립이 용이해진다.
상기 캡에 있어서는, 컨트롤러 본체는 커넥터를 갖고, 이 커넥터는 컨트롤러 본체의 백 패널측의 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캡에 따르면, 컨트롤러 본체와 백 패널 사이의 간극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컨트롤러 본체의 백 패널측의 면에 마련한 커넥터를 마련하여도, 이 커넥터에 케이블을 접속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 캡에 있어서는, 베이스는, 운전석측으로부터 플로어부측으로 연장되는 세로판을 포함한다. 브래킷은, 세로판을 따라 연장되어 세로판에 부착된 세로판부와, 세로판부의 상단으로부터 백 패널을 향하여 연장되는 가로판부를 갖는다.
이 가로판부 상에 컨트롤러 본체를 부착함으로써, 컨트롤러 본체를 플로어부로부터 떨어진 높이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컨트롤러 본체의 높이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플로어부를 물로 세정할 때에 컨트롤러 본체가 물에 잠기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컨트롤러 본체를 브래킷에 고정할 때에, 컨트롤러 본체를 가로판부 상에 배치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컨트롤러 본체를 브래킷에 고정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상기 캡에 있어서는, 컨트롤러 본체에 접속되며, 또한 카메라로부터 취득된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이 더 구비되어 있다. 케이블은, 플로어부를 관통하여 캡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이에 의해 캡의 외부에서 촬영된 영상의 신호를 캡 내부에 배치된 컨트롤러 본체에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작업 기계는, 상기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캡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작업 기계에 따르면, 컨트롤러의 수가 증가한 경우라도 컨트롤러의 부착 및 배치가 용이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컨트롤러의 수가 증가한 경우라도 컨트롤러의 부착 및 배치가 용이한 캡 및 작업 기계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압 굴착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압 굴착기의 캡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컨트롤러 본체를 조립한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컨트롤러 본체를 조립한 구성을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컨트롤러 본체를 조립한 구성의 일부를 도 4의 화살표 A 방향(바닥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컨트롤러 본체를 조립한 구성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Ⅶ선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유압 굴착기에 부착된 카메라의 위치를 나타내는 유압 굴착기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업 기계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사상을 적용 가능한 작업 기계의 일례로서 유압 굴착기와, 이 유압 굴착기에 이용되는 캡에 대해서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압 굴착기 이외에 불도저, 휠 로더 등의 캡을 갖는 작업 기계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압 굴착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압 굴착기의 캡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 굴착기(20)는, 하부 주행체(22)와, 상부 선회체(23)와, 작업기(24)와, 컨트롤러 본체(1)를 주로 갖는다.
하부 주행체(22)는 좌우 한 쌍의 무한 궤도(22a)가 회동함으로써 자주(自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23)는 하부 주행체(22)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작업기(24)는, 상부 선회체(23)의 전방측에 기복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다. 이 작업기(24)는, 붐(boom)(24a), 디퍼스틱(dipper stick)(24b), 버킷(24c), 유압 실린더(24d, 24e, 24f) 등을 갖는다.
상기 하부 주행체(22)와 상부 선회체(23)로, 작업 차량 본체가 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23)는, 차량 본체의 예컨대 전방 좌측에 캡(10)을 갖고, 차량 본체의 후방측에 엔진을 수납하는 엔진 룸(26), 카운터 웨이트(27) 등을 갖는다. 상부 선회체(23)의 상면에는 안테나(29)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10)은 내부 공간을 갖는다. 캡(10)의 내부 공간에는, 오퍼레이터가 착석하기 위한 운전석(11)이 배치되어 있다. 운전석(11)은 베이스(4) 상에 배치되어 있고, 베이스(4)는 캡(10)의 플로어부(13) 상에 배치되어 있다. 운전석(11)의 후방에는 백 패널(12)이 배치되어 있다. 백 패널(12)의 후방에는, 공기 조화 유닛(14)이 배치되어 있다.
캡(10)의 내부 공간에 있어서 운전석(11)과 백 패널(12) 사이에는, 컨트롤러 본체(1)가 배치되어 있다. 이 컨트롤러 본체(1)는 베이스에 고정되어 있다. 컨트롤러 본체(1)의 상방은, 커버(5)에 의해 덮어져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의 전후·좌우는, 캡(10)의 운전석(11)에 착석하는 오퍼레이터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전후 방향이란, 운전석(11)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전후 방향을 말한다. 좌우 방향이란, 운전석(11)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좌우 방향을 말한다. 상하 방향이란, 운전석(11)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상하 방향을 말한다. 운전석(11)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에 정면으로 마주한 방향을 전방 방향으로 하고, 전방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을 후방 방향으로 하고 있다. 운전석(11)에 착석한 오퍼레이터가 정면에 마주한 측방향의 우측, 좌측을 각각 우측 방향, 좌측 방향으로 하고 있다. 운전석(11)에 착석한 오퍼레이터의 발밑측을 하측으로 하고, 머리 위측을 상측으로 하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컨트롤러 본체의 부착에 이용되는 각 부재의 구성에 대해서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컨트롤러 본체를 조립한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 본체(1)와 제1 브래킷(2)의 조립체(3)가, 베이스(4)에 부착되어 있고, 컨트롤러 본체(1)의 상방이 커버(5)에 의해 덮어져 있다.
컨트롤러 본체(1)는, 본체부(1a)와, 예컨대 4개의 고정부(1b)를 갖는다. 본체부(1a)는 MPU 등의 처리 장치를 내부에 갖는다. 본체부(1a)의 백 패널(12)(도 2)과 대면하는 면에는, 예컨대 2개의 케이블용 커넥터(1c)가 마련되어 있다.
4개의 고정부(1b)의 각각은, 본체부(1a)에 접속되어 있고, 본체부(1a)로부터 외방으로 뻗어 있다. 2개의 고정부(1b)는 본체부(1a)의 한변으로부터 뻗어 있고, 나머지 2개의 고정부(1b)는 본체부의 상기 한변에 대향하는 대변으로부터 뻗어 있다. 4개의 고정부(1b)가 뻗는 상기 한변 및 그 대변은, 모두 케이블용 커넥터(1c)가 마련된 면과는 상이한 면이다. 4개의 고정부(1b)의 각각에는, 관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고정부(1b)의 개수는 4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1개 이상이면 좋다.
제1 브래킷(2)은, 컨트롤러 본체(1)를 베이스(4) 및 플로어부(13)에 부착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 제1 브래킷(2)은, 평판부(2a)와, 예컨대 2개의 다리부(2b)와, 예컨대 2개의 돌출부(2e)를 갖는다. 평판부(2a)는, 관통 구멍(2c, 2d)을 갖는다.
예컨대 2개의 다리부(2b) 모두는, 평판부(2a)에 접속되어 있고, 평판부(2a)로부터 플로어부(13)(하방)를 향하여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예컨대 2개의 돌출부(2e) 모두는, 평판부(2a)에 접속되어 있고, 평판부(2a)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돌출부(2e)가 평판부(2a)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은, 다리부(2b)가 평판부(2a)로부터 연장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이다. 돌출부(2e)의 선단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다리부(2b) 및 돌출부(2e)의 각각의 개수는 2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1개 이상이면 좋다.
베이스(4)는, 운전석(11)(도 1, 도 2)의 높이를 확보하기 위한 부재이다. 베이스(4)는, 운전석(11)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을 부착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슬라이드 레일은, 레일 위치 결정용의 스토퍼가 레일의 설치면보다 하측으로 돌출한 구성을 갖는다. 이 때문에, 슬라이드 레일을 플로어부(13)에 직접 설치할 수 없고, 슬라이드 레일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베이스(4)가 요구된다. 또한 베이스(4)를 마련함으로써, 공기 조화 유닛(14)(도 2)으로부터 보내진 바람을 베이스(4)와 플로어부(13) 사이의 공간으로 유도하여 오퍼레이터의 발밑으로부터 송출할 수도 있다.
베이스(4)는, 천장면부(4a)와, 측면부(4b)와, 플랜지부(4c)와, 제2 브래킷(4d)과, 세로판(4e)을 주로 갖는다. 천장면부(4a)는, 운전석(11)이 배치되는 부분이다. 측면부(4b)의 상단은 천장면부(4a)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측면부(4b)의 하단은 플랜지부(4c)에 접속되어 있다. 플랜지부(4c)는, 측면부(4b)보다 측방으로 뻗어 있다. 천장면부(4a), 측면부(4b) 및 플랜지부(4c)는 1장의 판재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세로판(4e)은, 베이스(4)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세로판(4e)은, 베이스(4)의 후방을 폐쇄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공기 조화 유닛(14)에 의해 베이스(4)와 플로어부(13) 사이의 공간에 보내진 바람은, 세로판(4e)에 의해 베이스(4)의 후방으로부터 나오지 않고, 베이스(4)의 전방으로부터 나온다.
세로판(4e)은, 천장면부(4a) 및 측면부(4b)에 예컨대 용접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세로판(4e)은, 천장면부(4a)(운전석)측으로부터 플로어부(13)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세로판(4e)은, 천장면부(4a)의 2개의 변(4aa, 4ab) 중 한쪽의 변(4aa)으로부터 다른쪽의 변(4ab)측에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 천장면부(4a)에 부착되어 있다. 2개의 변(4aa, 4ab)의 각각은, 천장면부(4a)의 4개의 변 중 측면부(4b)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변이다. 또한 한쪽의 변(4aa)은 베이스(4)의 후단에 해당하고, 다른쪽의 변(4ab)은 베이스(4)의 전단에 해당한다.
세로판(4e)에는 관통 구멍(제1 통풍 구멍)(4f)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4f)은, 베이스(4)와 플로어부(13) 사이의 공간에 공기 조화 유닛(14)(도 2)으로부터 보내진 바람을 통과시키기 위한 통풍 구멍이 되는 부분이다. 세로판(4e)은 포위부(4ea)를 갖는다. 포위부(4ea)는, 관통 구멍(4f) 중 적어도 세 방면(상방 및 측방)을 둘러싸고, 또한 백 패널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포위부(4ea)는, 그 포위부(4ea)를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본 경우에 있어서(후방에서 보아), 역 U자형상을 갖는다.
제2 브래킷(4d)은, 조립체(3)를 베이스(4)에 고정하기 위한 부분이다. 제2 브래킷(4d)은, 가로판부(4da)와, 세로판부(4db)를 갖고, 측면에서 보아 L자형상을 갖는다. 가로판부(4da) 및 세로판부(4db)는 1장의 판재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세로판부(4db)는, 세로판(4e)을 따라 연장되고, 이 세로판(4e)에 예컨대 용접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가로판부(4da)는, 세로판부(4db)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으며, 백 패널(12)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 가로판부(4da)는, 플로어부(13)에 수직인 방향에서 본 경우에 있어서(평면에서 보아), 천장면부(4a)와 중첩되는 부분과, 천장면부(4a)의 변[베이스(4)의 후단](4aa)으로부터 백 패널(12)측으로 비어져 나온 부분을 갖는다. 가로판부(4da)의 상기 천장면부(4a)로부터 비어져 나온 부분[평면에서 보아 베이스(4)의 후단(4aa)과 백 패널(12) 사이의 부분]에는, 관통 구멍(4d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위부(4ea)에는 구획 부재(6)가 부착되어 있다. 구획 부재(6)는, 컨트롤러 본체(1)가 배치되는 영역과, 공기 조화 유닛(14)으로부터 보내지는 바람을 통과시키기 위한 영역을 구획하기 위한 부재이다. 구획 부재(6)는, 포위부(4ea)로부터 백 패널(12)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세로판(4e)의 관통 구멍(4f)과 제2 브래킷(4d)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구획 부재(6)는, 구획부(6a)와, 상단 절곡부(6b)와, 하단 절곡부(6c)를 갖는다. 구획부(6a)는, 컨트롤러 본체(1)가 배치되는 영역과, 공기 조화 유닛(14)으로부터 보내지는 바람을 통과시키기 위한 영역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상단 절곡부(6b)는, 구획부(6a)의 상단에 있어서 공기 조화 유닛(14)으로부터 보내지는 바람을 통과시키기 위한 영역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 상단 절곡부(6a)에는 관통 구멍(6ba)이 형성되어 있다. 하단 절곡부(6c)는, 구획부(6a)의 하단에 있어서 컨트롤러 본체(1)가 배치되는 영역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커버(5)는, 보호부(5a)와, 덕트 천장면부(5b)와, 덕트 측면부(5c)를 주로 갖는다. 보호부(5a)는, 컨트롤러 본체(1)를 보호하기 위한 부분이다. 보호부(5a) 및 덕트 천장면부(5b)는, 커버(5)의 천장면부를 구성하고 있다. 보호부(5a) 및 덕트 천장면부(5b) 사이에는 단차가 있어도 좋다.
덕트 측면부(5c)는, 덕트 천장면부(5b)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된 부분이다. 덕트 천장면부(5b) 및 덕트 측면부(5c)는 베이스(4)에 마련된 관통 구멍(4f)과 백 패널측에 마련된 통풍 구멍(12a)(도 6)을 잇는 덕트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 커버(5)에는 관통 구멍(5d, 5e)이 마련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컨트롤러 본체(1), 커버(5) 등의 부착에 대해서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컨트롤러 본체를 조립한 구성을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1b)의 관통 구멍과 평판부(2a)의 관통 구멍(2d) 양자 모두에 볼트 등의 체결 부재가 삽입되어 있다. 이 볼트와 너트(도시하지 않음)로 컨트롤러 본체(1)와 제1 브래킷(2)을 체결함으로써, 컨트롤러 본체(1)는 제1 브래킷(2)에 고정되어 있다. 컨트롤러 본체(1)와 제1 브래킷(2)으로 조립체(3)가 구성되어 있다.
이 조립체(3)에 있어서의 평판부(2a)의 관통 구멍(2c)과 제2 브래킷(4d)의 관통 구멍(4dc) 양자 모두에 볼트(9) 등의 체결 부재가 삽입되어 있다. 이 볼트(9)와 너트(도시하지 않음)로 평판부(2a)와 제2 브래킷(4d)을 체결함으로써, 조립체(3)는 베이스(4)의 제2 브래킷(4d)에 고정되어 있다. 이 볼트(9)(고정부)는, 평면에서 보아 베이스(4)의 후단(4aa)과 백 패널(12) 사이로서, 베이스(4)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조립체(3)가 제2 브래킷(4d)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평판부(2a)는 제2 브래킷(4d)의 가로판부(4da) 상에 배치되어 있다.
커버(5)는,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커버(5)의 관통 구멍(5d)에 삽입한 뒤에 돌출부(2e)의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제1 브래킷(2)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커버(5)는, 커버(5)의 관통 구멍(5e)과 구획 부재(6)의 관통 구멍(6ba) 양자 모두에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삽입하여, 이 볼트와 너트(도시하지 않음)로 커버(5)와 구획 부재(6)를 체결함으로써 구획 부재(6)에 고정되어 있다.
제1 브래킷(2)은 다리부(2b)를 플로어부(13)에 볼트 체결하는 등에 의해 플로어부(13)에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4)는, 플랜지부(4c)를 플로어부(13)에 볼트 체결하는 등에 의해 플로어부(13)에 고정되어 있다. 구획 부재(6)는, 하단 절곡부(6b)를 플로어부(13)에 볼트 체결하는 등에 의해 플로어부(13)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커버(5)도 볼트 체결하는 등에 의해 플로어부(13)에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컨트롤러 본체(1), 커버(5) 등의 부착 상태에 대해서 도 5~도 7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컨트롤러 본체를 조립한 구성의 일부를 도 4의 화살표 A 방향(바닥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컨트롤러 본체를 조립한 구성의 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Ⅶ선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 본체(1)가 베이스(4)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평면에서 보아 컨트롤러 본체(1) 중 적어도 일부[도 5 중의 해칭 영역(RA)]는, 베이스(4)와 중첩되어 있다. 이 베이스(4)와 중첩되어 있는 컨트롤러 본체(1)의 부분은, 베이스(4)의 천장면부(4a)와 플로어부(13)의 사이에 놓이는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다.
평면에서 보아, 컨트롤러 본체(1) 중 베이스(4)와 중첩되지 않는 부분[컨트롤러 본체(1) 중 해칭 영역(RA) 이외의 부분]은, 베이스(4)의 후단(4aa)과 백 패널(12)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평면에서 보아, 조립체(3)[컨트롤러 본체(1)]를 제2 브래킷(4d)에 고정하기위한 볼트(고정부)(9)는, 베이스(4)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베이스(4)의 후단(4aa)과 백 패널(12)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컨트롤러 본체(1)의 백 패널(12)측의 면에 배치된 2개의 커넥터(1c)(도 3, 도 4)에는, 각각 케이블(8a)의 단자(7a) 및 케이블(8b)의 단자(7b)가 접속되어 있다.
평면에서 보아 커버(5)는, 베이스(4)의 후단(4aa)과 백 패널(12) 사이에 위치하는 컨트롤러 본체(1)의 부분[베이스(4)와 중첩되지 않는 컨트롤러 본체(1)의 부분]의 상방을 덮고 있다. 이 커버(5)는, 평면에서 보아 케이블(8a)의 단자(7a) 및 케이블(8b)의 단자(7b)의 상방을 덮으며, 또한 케이블(8a) 및 케이블(8b)의 각각의 일부의 상방도 덮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5)는, 베이스(4)에 마련된 관통 구멍(제1 통풍 구멍)(4f)과 백 패널(12)에 마련된 통풍 구멍(제2 통풍 구멍)(12a)을 접속하는 덕트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제1 통풍 구멍)(4f)과 통풍 구멍(제2 통풍 구멍)(12a)을 접속하는 덕트의 천장면부는 커버(5)의 덕트 천장면부(5b)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덕트의 한쪽 측면부는 덕트 측면부(5c)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덕트의 다른쪽 측면부는 구획 부재(6)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덕트의 바닥면부는 플로어부(1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백 패널(12)에 마련된 통풍 구멍(12a)은, 공기 조화 유닛(14)(도 2)으로부터 보내진 바람을 송출하기 위한 부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 본체(1)에 접속된 케이블(8a)은, 플로어부(13)를 관통하여 캡(1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이 케이블(8a)은, 예컨대 카메라로부터 취득된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 굴착기(20)의 우측 측부에 예컨대 2개의 카메라(31, 32)가 배치되고, 좌측 측부에 예컨대 하나의 카메라(33)가 배치되며, 후방부의 카운터 웨이트(27)에 예컨대 하나의 카메라(34)가 부착되어 있다. 이들 카메라(31~34)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신호를 케이블(8a)로 컨트롤러 본체(1)에 보낼 수 있다. 컨트롤러 본체(1)에 있어서는, 이들 카메라(31~34)의 영상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캡(10) 내의 모니터에 예컨대 작업 기계(20)의 어라운드 뷰를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베이스(4)와 백 패널(12) 사이의 영역(RB)에 있어서 케이블(8a)을 플로어부(13)에 관통시킴으로써, 케이블(8a)이 캡(10) 내에서 컨트롤러 본체(1)에까지 가는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 본체(1) 중 적어도 일부[해칭 영역(RA)]가 평면에서 보아 베이스(4)에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컨트롤러 본체(1)를 베이스(4)와 중첩시키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컨트롤러 본체(1)를 캡(10)의 전방측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컨트롤러 본체(1)와 백 패널(12) 사이의 간극을 크게 확보할 수 있어, 그 간극에 케이블(8a, 8b) 및 케이블 단자(7a, 7b)를 배치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컨트롤러 본체(1)를 제2 브래킷(4d)에 고정하는 볼트(9)는, 베이스(4)의 후단(4aa)과 백 패널(12) 사이의 위치로서, 베이스(4)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방으로부터 볼트(9)를 체결하는 것이 용이해져, 컨트롤러 본체(1)를 제2 브래킷(4d)에 고정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상에 의해 컨트롤러 본체(1)를 운전석(11)과 백 패널(12) 사이의 간극에 배치할 수 있으며, 운전석(11)과 백 패널(12) 사이의 좁은 공간 내에 있어서도 컨트롤러 본체(1)의 부착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베이스(4)의 후단(4aa)과 백 패널(12) 사이에 위치하는 컨트롤러 본체(1)의 부분[베이스(4)와 중첩되지 않는 컨트롤러 본체(1)의 부분]의 상방이, 커버(5)에 의해 덮어져 있다. 이에 의해, 컨트롤러 본체(1)에 물 또는 먼지가 붙는 것을 커버(5)에 의해 억제할 수 있어, 컨트롤러 본체(1)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5)는, 베이스(4)에 마련된 관통 구멍(4f)과 백 패널(12)에 마련된 통풍 구멍(12a)을 접속하는 덕트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컨트롤러 본체(1)의 보호 부재와, 관통 구멍(4f) 및 통풍 구멍(12a)을 접속하는 덕트를 일체의 커버(5)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커버(5)를 부착함으로써, 컨트롤러 본체(1)를 보호하는 보호 부재와 덕트를 동시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해져, 조립이 용이해진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 본체(1)는 커넥터(1c)를 갖고, 커넥터(1c)는 컨트롤러 본체(1)의 백 패널(12)측의 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캡(10)에 의하면, 컨트롤러 본체(1)와 백 패널(12) 사이의 간극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컨트롤러 본체의 백 패널(12)측의 면에 커넥터(1c)를 마련하여도, 커넥터(1c)에 케이블(8a, 8b)(도 5~도 7)을 접속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4)는 세로판(4e)을 포함한다. 제2 브래킷(4d)은, 세로판(4e)을 따라 연장되어 세로판(4e)에 부착된 세로판부(4db)와, 세로판부(4db)의 상단으로부터 백 패널(12)을 향하여 연장되는 가로판부(4da)를 갖는다. 이 가로판부(4da) 상에 컨트롤러 본체(1)를 부착함으로써, 컨트롤러 본체(1)를 플로어부(13)로부터 떨어진 높이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컨트롤러 본체(1)의 높이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플로어부(13)를 물로 세정할 때에 컨트롤러 본체(1)가 물에 잠기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컨트롤러 본체(1)를 제2 브래킷(4d)에 고정할 때에, 컨트롤러 본체(1)를 가로판부(4da) 상에 배치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컨트롤러 본체(1)를 제2 브래킷(4d)에 고정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 본체(1)에 접속되고, 또한 카메라(31~34)(도 8)로부터 취득된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8a)은, 플로어부(13)를 관통하여 캡(1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이에 의해 캡(10)의 외부에서 촬영된 영상의 신호를 캡(10)의 내부에 배치된 컨트롤러 본체(1)에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컨트롤러 본체(1)를 포함하는 조립체(3)와 제2 브래킷(4d)을 고정하는 고정부가 볼트 및 너트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고정부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 고정부는, 예컨대 핀, 용접 등 다른 부재 또는 방법에 따라 고정하는 것이어도 좋다.
본원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청구의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되어 있다.
1 : 컨트롤러 본체 1a : 본체부
1b : 고정부 1b : 돌출부
1c : 케이블용 커넥터 2 : 제1 브래킷
2a : 평판부 2b : 다리부
2e : 돌출부 2c, 2d, 4dc, 4f, 5d, 5e, 6ba : 관통 구멍
3 : 조립체 4 : 베이스
4a : 천장면부 4b : 측면부
4c : 플랜지부 4d : 제2 브래킷
4da : 가로판부 4db : 세로판부
4e : 세로판 4ea : 포위부
5 : 커버 5a : 보호부
5b : 덕트 천장면부 5c : 덕트 측면부
6 : 구획 부재 6a : 구획부
6b : 상단 절곡부 6c : 하단 절곡부
7a, 7b : 케이블 단자 8a, 8b : 케이블
9 : 볼트 10 : 캡
11 : 운전석 12 : 백 패널
12a : 통풍 구멍 13 : 플로어부
14 : 공기 조화 유닛 20 : 작업 기계(유압 굴착기)
22 : 하부 주행체 22a : 무한 궤도
23 : 상부 선회체 24 : 작업기
24a : 붐 24b : 디퍼스틱
24c : 버킷 24d : 유압 실린더
26 : 엔진 룸 27 : 카운터 웨이트
29 : 안테나 31~34 : 카메라

Claims (7)

  1. 플로어부와,
    상기 플로어부 상에 배치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된 운전석과,
    상기 운전석의 후방에 배치된 백 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백 패널을 향하여 연장되는 브래킷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와 상기 백 패널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브래킷에 고정된 컨트롤러 본체를 구비하고,
    평면에서 보아, 상기 컨트롤러 본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베이스와 중첩되도록 상기 베이스와 상기 플로어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컨트롤러 본체를 상기 브래킷에 고정하는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의 후단과 상기 백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캡.
  2. 제1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아 상기 베이스의 후단과 상기 백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컨트롤러 본체의 부분의 상방을 덮는 커버를 더 구비하는 캡.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베이스에 마련된 제1 통풍 구멍과 상기 백 패널에 마련된 제2 통풍 구멍을 접속하는 덕트 중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것인 캡.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본체는 커넥터를 갖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컨트롤러 본체의 상기 백 패널측의 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캡.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운전석측으로부터 상기 플로어부측으로 연장되는 세로판을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세로판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세로판에 부착된 세로판부와, 상기 세로판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백 패널을 향하여 연장되는 가로판부를 갖는 것인 캡.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본체에 접속되며, 카메라로부터 취득된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을 더 구비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플로어부를 관통하여 상기 캡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있는 것인 캡.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캡를 구비하는 작업 기계.
KR1020157001752A 2014-10-24 2014-10-24 캡 및 작업 기계 KR1016561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78330 WO2015056814A1 (ja) 2014-10-24 2014-10-24 キャブおよび作業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701A true KR20160048701A (ko) 2016-05-04
KR101656196B1 KR101656196B1 (ko) 2016-09-08

Family

ID=52828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1752A KR101656196B1 (ko) 2014-10-24 2014-10-24 캡 및 작업 기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27773B1 (ko)
JP (1) JP5697812B1 (ko)
KR (1) KR101656196B1 (ko)
CN (1) CN104619924B (ko)
DE (1) DE112014000148B4 (ko)
IN (1) IN2015DN00629A (ko)
WO (1) WO20150568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8905A1 (ja) 2015-02-23 2016-03-1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
CN105814261B (zh) * 2015-10-29 2018-07-27 株式会社小松制作所 控制器组装体以及作业车辆
JP7029436B2 (ja) * 2017-02-21 2022-03-03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
US11008731B2 (en) 2017-03-31 2021-05-18 Komatsu Ltd. Work vehicle
EP3612684B1 (en) 2017-04-19 2024-06-05 Doosan Bobcat North America, Inc. Loader cab
JP6824118B2 (ja) * 2017-06-26 2021-02-0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用キャブおよび作業車両
US10550546B2 (en) 2018-03-26 2020-02-04 Komatsu Ltd. Cover of work vehicle, cab of work vehicle, and work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2433A (ja) * 1997-04-14 1998-11-04 Hitachi Constr Mach Co Ltd 運転室付き作業機
JP2000170209A (ja) * 1998-12-04 2000-06-20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用キャブ
JP2005133495A (ja) * 2003-10-31 2005-05-26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2014136951A (ja) 2013-01-18 2014-07-28 Komatsu Ltd コントローラ組立体、作業機械のキャブおよび作業機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8572B2 (ja) 1999-04-19 2006-07-1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用キャブ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2433A (ja) * 1997-04-14 1998-11-04 Hitachi Constr Mach Co Ltd 運転室付き作業機
JP2000170209A (ja) * 1998-12-04 2000-06-20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用キャブ
JP2005133495A (ja) * 2003-10-31 2005-05-26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2014136951A (ja) 2013-01-18 2014-07-28 Komatsu Ltd コントローラ組立体、作業機械のキャブおよび作業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4000148B4 (de) 2015-12-03
JP5697812B1 (ja) 2015-04-08
CN104619924A (zh) 2015-05-13
IN2015DN00629A (ko) 2015-07-03
WO2015056814A1 (ja) 2015-04-23
CN104619924B (zh) 2016-03-23
KR101656196B1 (ko) 2016-09-08
JPWO2015056814A1 (ja) 2017-03-09
US20160114837A1 (en) 2016-04-28
DE112014000148T5 (de) 2015-07-23
US9327773B1 (en) 201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6196B1 (ko) 캡 및 작업 기계
AU2015313589B2 (en) Work vehicle
US20190077333A1 (en) Work vehicle
KR20150042245A (ko) 컨트롤러 조립체, 작업 기계의 캡 및 작업 기계
CN103527369A (zh) 用于燃料过滤器的支架
KR101733327B1 (ko) 컨트롤러 조립체 및 작업 기계용 캡
JP2024144708A (ja) 作業車両
JP2019027237A (ja) 建設機械
JP6342867B2 (ja) テールゲート
JP2021150829A (ja) 通信ユニット及び作業機
KR101765776B1 (ko) 컨트롤러 조립체 및 작업 차량
JP2017012040A (ja) 作業車両のカメラ設置構造
JP2008155886A (ja) 建設機械のトラックフレーム
JP5986278B2 (ja) コントローラ組立体および作業機械用キャブ
US20150115660A1 (en) Construction machine
TW201345769A (zh) 鐵道車輛
JP6877820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の固定構造
JP6326935B2 (ja) 建設機械
US20140345935A1 (en) Ground Structure of Controller Mounted in Construction Machine
JP2013036264A (ja) 建設機械の配管類通し構造
JP6098585B2 (ja) 建設機械の電装品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