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4021A - 양면 점착 시트 및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양면 점착 시트 및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44021A KR20160044021A KR1020167007099A KR20167007099A KR20160044021A KR 20160044021 A KR20160044021 A KR 20160044021A KR 1020167007099 A KR1020167007099 A KR 1020167007099A KR 20167007099 A KR20167007099 A KR 20167007099A KR 20160044021 A KR20160044021 A KR 201600440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dhesive sheet
- meth
- sensitive adhesive
- layer
- acrylat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 C08F216/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by an alcohol radical
- C08F216/04—Acyclic compounds
- C08F216/06—Polyvinyl alcohol ; Vinyl alcohol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8—C8-(meth)acrylate, e.g. isooctyl (meth)acrylate or 2-ethylhexyl (meth)acrylat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04—Polymers of olefins
- C08G18/6208—Hydrogenated 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Unsaturated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71—Unsaturated 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2—Esters of acrylic or alkyl acrylic acid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1/00—Adhesive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51/003—Adhesive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09J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175/16—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having terminal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09J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J159/00 - C09J187/00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 C09J2201/36—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layer being constituted by at least two or more adjacent or superposed adhesive layers, e.g. multilayer adhesive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51/00—Presence of graft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저유전율화를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럼에도 불구하고 점착 시트로서의 핸들링성이나 신뢰성도 우수한, 새로운 양면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주파수 100kHz에서의 비유전율이 3.0 이하인 아크릴계 화합물(A)와, 직쇄 또는 분기된 탄소수 1∼9의 알킬기를 측쇄에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모노머 및/또는 바이닐 에터 모노머를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를 제안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전율이 낮은 양면 점착 시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 예컨대 터치 센서를 갖는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 등을 첩합(貼合)하는 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양면 점착 시트, 및 이것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상 표시 장치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전기 발광 디스플레이(ELD) 등의 화상 표시 패널과, 그의 전면측(시인측)에 배치하는 보호 패널이나 터치 패널 부재 사이의 공극을, 점착 시트나 액상의 접착제 등으로 충전하여, 입사광이나 표시 화상으로부터의 출사광의 공기층 계면에서의 반사를 억제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 사이의 공극을, 점착제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방법으로서,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액상의 접착 수지 조성물을 해당 공극에 충전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에서는, 액을 충전할 때의 작업이 번잡하여 생산성이 뒤떨어질 뿐만 아니라, 인쇄 은폐층에 은폐되는 부분 등, 자외선이 도달하기 어려운 개소는 접착제를 경화시키기 곤란하여, 안정된 품질을 얻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과제를 안고 있었다.
그래서,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 사이의 공극을, 점착 시트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방법이나, 그를 위한 점착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2에는, 화상 표시 패널에 보호 패널이나 터치 패널 등의 투명 패널을 첩합하는 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투명 점착 시트로서, 상이한 점탄성 거동을 갖는 제 1 점착층 및 제 2 점착층을 각각 1층 이상 갖고, 또한 이들 층을 적층하여 일체화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갖춘 점착 시트이고, 주파수 1Hz의 온도 분산에서 측정한 동적 전단 저장 탄성률 G'의 값이, 특정한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점착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중간 수지층(A)와, 표리면층으로서의 감압 접착제층(B)를 갖는 양면 점착 시트로서, 각 층은 어느 것도, 1종류 이상의 (메트)아크릴산 에스터계 (공)중합체를 베이스 수지로 하는 층이며, 온도 범위 0℃∼100℃에 있어서, 주파수 1Hz에서의 중간 수지층(A)의 저장 전단 탄성률(G'(A))이, 감압 접착제층(B)보다 높고, 또한 시트 전체의 압입 경도(아스카 C2 경도)가 10∼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 휴대 전화나 휴대 단말 등을 중심으로 터치 센서 기능을 탑재한 화상 표시 장치, 특히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 기능을 탑재한 화상 표시 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는, 절연막을 통해서 대향한 2개의 전극 사이에서 형성되는 콘덴서의 정전 용량이, 표면 보호 패널측으로부터 손가락 등의 도전체가 접근하여 변화되는 것을 검출하여 위치 검출하는 방식의 터치 센서이다.
그런데, 최근의 부재의 박육화에 따라, 전극과 보호 패널 표면의 간격이 좁아져, 터치에 응한 정전 용량 변화가 커지면, 검출 신호에 노이즈가 발생하기 쉬워진다는 과제가 생기고 있다. 그 때문에, 전극과 표면 보호 패널 사이의 충전에 이용하는 점착 시트에 대하여, 터치 검출 감도의 변화를 흡수하여 검출 신호의 노이즈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점착 시트의 저유전율화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전극의 경량화나 저비용화에 수반하여, 전극 기판이 유리로부터 수지 필름으로 치환되고 있다. 편면에만 도전성 박막을 패턴 형성한 전극의 경우는, 점착 시트 등을 통해서, 2개의 필름 전극끼리, 또는 유리 전극과 필름 전극을 적층할 필요가 있어, 그 때에 이용하는 점착 시트에도 저유전율화가 요구되고 있다.
저유전율의 점착 시트에 관해서는, 예컨대 특허문헌 4에 있어서, 터치 패널의 첩합에 적합한 점착제 조성물로서, 측쇄에 특정한 탄소수 범위를 갖는 메타크릴산 에스터 모노머를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를 이용한 저유전율의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점착 시트의 저유전율화를 도모할 수 있었다고 해도, 점착 시트 본래의 기능, 즉, 온도나 습도 등의 환경 변화 등에 따라, 발포나 박리를 일으킴이 없이, 적절한 탄성이나 함몰 회복성은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의 특허문헌 4가 개시하는 바와 같이, 측쇄 길이가 긴 메타크릴산 에스터를 주성분으로 하는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는, 측쇄가 결정성을 갖는 경우, 결정화에 따른 광학 특성의 저하나, 긴 알킬 측쇄 유래의 강도 부족에 기인하는 응집력 부족 등 때문에, 가공성이나 첩합 신뢰성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저유전율화를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럼에도 불구하고 점착 시트로서의 핸들링성이나 신뢰성도 우수한, 새로운 양면 점착 시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주파수 100kHz에서의 비유전율이 3.0 이하인 아크릴계 화합물(A)와, 직쇄 또는 분기된 탄소수 1∼9의 알킬기를 측쇄에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모노머 및/또는 바이닐 에터 모노머를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를 제안한다.
이와 같은 양면 점착 시트로서는, 예컨대,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A)를 포함하는 층(I층)과, 상기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를 포함하는 층(II층)을 구비한 적층 구성의 양면 점착 시트여도 되고,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A) 및 상기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를 포함하는 층(I층)과, 상기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를 포함하는 층(II층)을 구비한 적층 구성의 양면 점착 시트여도 되고, 또한,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A)와 상기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를 포함하는 층(II층)으로 이루어지는 단층의 양면 점착 시트여도 되고, 또한, 그 밖의 적층 구성의 양면 점착 시트여도 된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양면 점착 시트는, 주파수 100kHz에서의 비유전율이 3.0 이하라는 저유전율의 아크릴계 화합물(A)를 함유시키는 것에 의해, 시트 전체의 비유전율을 저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착 시트 전체를 가교체 구조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가열되더라도 시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등, 핸들링성(취급 용이성)도 높일 수 있다.
또한, 직쇄 또는 분기된 탄소수 1∼9의 알킬기를 측쇄에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모노머 및/또는 바이닐 에터 모노머를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를 함유시키는 것에 의해, 적합한 점착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예컨대, 온도나 습도 등의 환경 변화 등에 따라, 첩합된 부재가 발포나 박리를 일으키는 경우가 없고, 더구나 적절한 탄성이나 함몰 회복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제안하는 양면 점착 시트는, 저유전율화를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럼에도 불구하고 점착 시트로서의 핸들링성이나, 접착 신뢰성의 면에서도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실시의 형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이 다음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양면 점착 시트>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따른 양면 점착 시트(「본 양면 점착 시트」라고 칭한다)는, 주파수 100kHz에서의 비유전율이 3.0 이하인 아크릴계 화합물(A)와, 직쇄 또는 분기된 탄소수 1∼9의 알킬기를 측쇄에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모노머 및/또는 바이닐 에터 모노머를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를 함유하는 것이다.
본 양면 점착 시트는, 주파수 100kHz에서의 비유전율이 3.0 이하라는 저유전율의 아크릴계 화합물(A)를 함유하는 것에 의해, 시트 전체의 비유전율의 저하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본 양면 점착 시트의 비유전율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본 양면 점착 시트에 있어서의 아크릴계 화합물(A)의 함유량은 10∼9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5질량% 이상 또는 90질량% 이하, 그 중에서도 20질량% 이상 또는 85질량%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화합물(A)>
아크릴계 화합물(A)는, 비유전율이 적합하게 낮다는 관점에서, 주파수 100kHz에서의 비유전율이 3.0 이하인 것이 중요하고, 바람직하게는 비유전율이 2.9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8 이하인 것이다.
아크릴계 화합물(A)는, 폴리올레핀 골격을 갖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100000인 다작용 (메트)아크릴산 에스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화합물(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 이상인 것에 의해, 아크릴계 화합물(A)의 비유전율이 지나치게 높아지거나, 경화물이 취성이 되거나 하는 등의 우려가 없다. 다른 한편, 아크릴계 화합물(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 이하인 것에 의해, 충분한 경화 반응 효율이 얻어질 뿐만 아니라,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아, 조성물을 작성할 때의 작업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당해 분자량은 600 이상 또는 8000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특히 700 이상 또는 600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계 화합물(A)가 상기와 같이 폴리올레핀 골격을 갖는 것에 의해, 아크릴계 화합물(A)의 비유전율을 저하시킬 수 있고, 다작용 (메트)아크릴산 에스터인 것에 의해, 가교하는 데 바람직한 조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아크릴계 화합물(A)로서는, 예컨대 에틸렌, 프로필렌, 뷰텐, 아이소뷰틸렌, 뷰타다이엔, 아이소프렌, 수첨 뷰타다이엔이나 수첨 아이소프렌, 수첨 스타이렌의 단독중합체 또는, 2성분 이상의 공중합체 골격 및 2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다작용 (메트)아크릴산 에스터를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A) 중에서도, 말단 또는 측쇄에 수산기를 갖는 폴리올레핀(a-1)과, 지방족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a-2)와,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a-3)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우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가 한층 더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골격을 갖는 다작용 (메트)아크릴산 에스터는, 유전율이 낮기 때문에, 이와 같은 다작용 (메트)아크릴산 에스터를 배합함으로써, 시트 전체의 유전율을 낮출 수는 있다. 그런데, 많은 종류의 다작용 (메트)아크릴산 에스터를 사용하여 시험해본 결과,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와 혼합하면, 양자가 잘 분산 혼합되지 않기 때문에, 가교 후에 헤이즈가 높아져 버리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 중에서, 상기의 3성분(a-1)∼(a-3)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우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와 잘 분산 혼합되어, 가교 후의 헤이즈를 낮게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투명성이 요구되는 화상 표시 장치에 이용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이와 같은 우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에 있어서, 말단 또는 측쇄에 수산기를 갖는 폴리올레핀(a-1)은, 비유전율을 저하시키는 성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당해 폴리올레핀(a-1)로서는, 예컨대 에틸렌, 프로필렌, 뷰텐, 아이소뷰틸렌, 뷰타다이엔, 아이소프렌, 수첨 뷰타다이엔이나 수첨 아이소프렌, 수첨 스타이렌의 단독중합체 또는, 2성분 이상의 공중합체를 줄기 구조로서 갖는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투명성이나 인성 등도 얻는 관점에서, 말단 수산기 변성 수첨 폴리뷰타다이엔, 말단 수산기 변성 수첨 폴리아이소프렌이 바람직하다.
우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에 있어서, 지방족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a-2)는, 1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이며, 광학 특성의 관점에서 지방족 골격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트라이메틸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다이머산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라이신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아이소포론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사이클로헥실아이소사이아네이트), 메틸사이클로헥세인-2,4-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메틸사이클로헥세인-2,6-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1,3-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토메틸)사이클로헥세인, 1,4-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토메틸)사이클로헥세인, 1,4-사이클로헥세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1,3-사이클로펜테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1,2-사이클로헥세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화합물 및 이들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의 바이우렛 타입 부가물 및 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환 부가물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광학 특성과 기계 강도의 관점에서, 아이소포론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사이클로헥실아이소사이아네이트), 메틸사이클로헥세인-2,4-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메틸사이클로헥세인-2,6-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1,3-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토메틸)사이클로헥세인, 1,4-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토메틸)사이클로헥세인, 1,4-사이클로헥세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1,3-사이클로펜테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1,2-사이클로헥세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의 지환 구조를 가지는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우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에 있어서,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a-3)은, 가교성 성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즉,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해당 우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를 가교시켜 가교 구조로 할 수 있다.
아크릴계 화합물(A)에 가교성을 가지게 함으로써, 경화 후의 탄성 업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장기 보관이나 환경 시험 하에서 저분자량 성분으로서 용출되는 등의 우려가 없어지기 때문에, 핸들링성이나 신뢰성이 우수한 점착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당해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a-3)으로서는, 예컨대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3-하이드록시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세인다이메탄올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에테인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메트)아크릴산 부가물,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등 각종의 수산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우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비유전율을 낮추는 효과와 높은 반응성을 양립시키는 관점에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10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800 이상 또는 80000 이하, 그 중에서도 1000 이상 또는 6000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우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와 조성물로 했을 때의 투명성을 유지하는 관점에서, D선에 있어서의 굴절률이 1.40∼1.60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44 이상 또는 1.55 이하, 그 중에서도 1.46 이상 또는 1.5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우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합성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기지의 합성법을 적절히 이용하면 된다. 예컨대, 상기 (a-1)과 상기 (a-2)를 반응시켜 얻은 우레테인 프리폴리머에, 상기 (a-3)을 반응시키는 것으로 우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얻을 수 있다. 단, 이 방법으로 한정할 의도는 없다.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는, 본 양면 점착 시트에 적합한 점착 특성을 부여하는 성분이며, 예컨대, 온도나 습도 등의 환경 변화 등에 따라, 첩합된 부재가 발포나 박리를 일으키는 경우가 없고, 더구나 적절한 탄성이나 함몰 회복성을 가질 수 있다.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에 있어서의 주성분인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모노머는, 점착 시트로서의 적절한 끈적거림(택성) 부여의 관점에서, 직쇄 또는 분기된 알킬기를 측쇄에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모노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에 대해서는, 탄소수가 10 이상인 알킬기를 측쇄에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성분을 포함하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를 이용하면, 가교제로서 첨가하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모노머, 올리고머나, 기타 첨가제 등과의 상용성이 뒤떨어지게 되어, 점착 조성물이 백탁되어 점착 시트의 광학 특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장쇄 알킬기 유래의 기계 강도 부족 때문에 점착 시트로서 필요한 접착력이나 유지력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특히, 당해 알킬기의 탄소수가 많아지면, 아크릴계 화합물(A)와의 상용성이 나빠져, 헤이즈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측쇄의 알킬기의 탄소수는 1∼9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 이상 또는 8 이하, 그 중에서도 3 이상 또는 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직쇄 또는 분기된 탄소수 1∼9의 알킬기를 측쇄에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상기 알킬기로서, n-노닐, 아이소노닐, n-옥틸, 아이소옥틸, 2-에틸헥실, n-뷰틸, 아이소뷰틸, tert-뷰틸, 메틸, 에틸, 프로필, 아이소프로필 중의 어느 하나를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의 1종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을 공중합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아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n-옥틸 아크릴레이트, n-뷰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 아크릴레이트 중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이나, 또는, 아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n-옥틸 아크릴레이트, n-뷰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등 중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과, 아세트산 바이닐을 공중합시킨 것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공중합 성분으로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및 아세트산 바이닐을 포함하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는, 상기 이외의 성분으로서, 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아마이드, (메트)아크릴로나이트릴, 불소 (메트)아크릴레이트, 실리콘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유기 작용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외에, 아이소보닐 (메트)아크릴레이트나 4-tert뷰틸사이클로헥산올 아크릴레이트, 3,5,5-트라이메틸사이클로헥산올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지방족 환상 구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공중합 성분으로서 포함해도 된다.
또한, 상기 아크릴 모노머나 메타크릴 모노머와 공중합 가능한 아세트산 바이닐이나 스타이렌, 알킬 바이닐 에터, 하이드록시알킬 바이닐 에터 등의 각종 바이닐 모노머도 적절히 중합에 이용할 수 있다.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는, 가공 적성 및 점착 시트를 피착체에 첩합한 후의 신뢰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70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20000∼600000, 그 중에서도 150000∼50000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는, 그 비유전율을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단, 시트 전체의 유전율을 높이지 않기 위해서, 주파수 100kHz에서의 비유전율은 3.0∼6.0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3 이상 또는 5.5 이하, 그 중에서도 3.5 이상 또는 5.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의 중합 방법으로서는, 상기와 같은 모노머를 이용하여 예컨대 용액 중합, 유화 중합, 괴상 중합, 현탁 중합 등의 공지된 중합 방법을 채용 가능하고, 그 때에 중합 방법에 따라 열중합 개시제나 광중합 개시제 등의 중합 개시제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C))
본 양면 점착 시트를 광가교하기 위해서, 광중합 개시제(C)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C)로서는, 개열형 광개시제 및 수소 인발형 광개시제의 어느 1종을 사용해도 되고, 양자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개열형 광개시제로서는, 예컨대 벤조인 뷰틸 에터, 벤질 다이메틸 케탈, 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등을 들 수 있다.
수소 인발형 광개시제로서는, 예컨대 벤조페논, 미힐러 케톤, 2-에틸안트라퀴논, 싸이옥산톤이나 그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단, 광개시제로서 상기에 든 물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모노머(D))
본 양면 점착 시트는, 가교제로서의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모노머를 첨가하여, 가교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모노머는, 경화 반응의 감도를 높이거나, 아크릴계 화합물(A)와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의 상용성을 높이거나 할 수 있다. 특히 다작용의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모노머를 첨가하는 것에 의해, 희석 효과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한 한편, 단작용의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모노머를 첨가하는 것에 의해, 희석 효과와 함께 상용화 효과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관점에서, 필요에 따라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모노머(D)를 첨가해도 된다.
상기 다작용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1,4-뷰테인다이올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세인다이올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1,9-노네인다이올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사이클로데케인 다이메탄올 (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폴리에톡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프로폭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F 폴리에톡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트라이옥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ε-카프로락톤 변성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화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펜타에리트리톨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화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아크릴옥시에틸)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펜타에리트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펜타에리트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피발산 네오펜틸 글리콜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피발산 네오펜 글리콜의 ε-카프로락톤 부가물의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폴리에톡시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자외선 경화형의 다작용 모노머류를 들 수 있다. 특히, 반응성이나 얻어지는 경화물의 강도의 점에서, (메트)아크릴로일기를 3개 이상 갖는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필수 성분(A) (B)의 상용성을 높여, 조성물의 점도를 조정하는 관점에서, 추가로 필요에 따라, 성분(A) 또는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와 공경화 가능한 성분으로서의, 단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또는 바이닐 모노머를 1종 또는 2종 이상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단작용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 아크릴레이트, 아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미리스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세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비히닐 (메트)아크릴레이트, n-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sec-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4-tert-뷰틸사이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석신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헥사하이드로프탈산, 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나이트릴, 페닐 (메트)아크릴레이트, 톨루일 (메트)아크릴레이트, 2-나프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카보닐페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사이클로펜타다이엔일 (메트)아크릴레이트, 4-에톡시화 큐밀페놀 (메트)아크릴레이트, 3,3,5-트라이메틸사이클로헥산올 (메트)아크릴레이트, 환상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폼알 (메트)아크릴레이트, tert-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에틸렌 글리콜 모노뷰틸 에터 (메트)아크릴레이트, 2-(2-에톡시에톡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노닐페놀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페놀 (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 6-하이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터 (메트)아크릴레이트, 아이소보닐 (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푸릴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노닐페놀 (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트)아크릴레이트, 페네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마이드,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마이드, N,N-다이메틸아크릴아마이드, N,N-다이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아마이드, 메틸올아크릴아마이드, 스타이렌, 아세트산 바이닐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모노머(D)의 함유량에 관해서는, 가교제의 양이 많으면 반응이 급속히 진행되어 반응 제어가 곤란해질 뿐만 아니라, 경화 후에 점착 시트로서 필요한 택이나 유연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모노머(D)의 함유량은, 점착 시트를 구성하는 조성물 100질량%에 대하여 0∼30질량%가 바람직하고, 25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 밖의 성분)
본 양면 점착 시트는, 상기 이외의 성분을 함유해도 된다. 예컨대, 경화제 또는 가교성 재료로서, 필요에 따라,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 수지나, 유기 과산화물,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이나 아민 화합물 등의 열경화제 등을 함유해도 된다.
또한, 통상의 점착제 조성물에 배합되어 있는 공지된 성분을 함유해도 된다. 예컨대, 필요에 따라, 점착 부여 수지나 산화 방지제, 노화 방지제, 흡습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적절히 함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적층 구성>
본 양면 점착 시트는, 점착층으로 이루어지는 단층의 점착 시트여도 되고, 중간 수지층(I층)과 접착층(II층)을 구비한 다층 구성의 점착 시트여도 된다.
예컨대,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A) 및 상기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를 포함하는 층(II층)으로 이루어지는 단층의 양면 점착 시트여도 되고, 또한,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A)를 포함하는 층(I층)과, 상기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를 포함하는 층(II층)을 구비한 적층 구성의 양면 점착 시트여도 되고,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A) 및 상기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를 포함하는 층(I층)과, 상기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를 포함하는 층(II층)을 구비한 적층 구성의 양면 점착 시트여도 되고, 그 밖의 적층 구성의 양면 점착 시트여도 된다.
본 양면 점착 시트가,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A) 및 상기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를 포함하는 층(II층)으로 이루어지는 단층 시트인 경우, 아크릴계 화합물(A)은, 가교성을 가져, 경화 후에 높은 탄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점착 시트에 전기 특성뿐만 아니라, 우수한 핸들링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와 같은 단층 시트의 경우, 아크릴계 화합물(A)를 10∼99질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0질량% 이상 또는 99질량% 이하, 그 중에서도 30질량% 이상 또는 99질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특히 50질량%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상기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는, 점착재로 되게 하는 택성 및 접착력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와 같은 단층 시트의 경우,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의 함유량은 10∼8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5질량% 이상 또는 80질량% 이하, 그 중에서도 20질량% 이상 또는 70질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본 양면 점착 시트가 상기와 같은 적층 구성인 경우, 상기와 같이 I층과 II층을 구비한 적층 구성으로서는, I층/II층의 2층 구성, II층/I층/II층의 3층 구성, 추가로 다른 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점착 시트의 구성에 관계 없이, 점착 시트의 일측 또는 양측에 이형 시트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A)는, 가교성을 가져, 경화 후에 높은 탄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상기의 각종 적층 구성에 있어서는, 아크릴계 화합물(A)를 함유하는 층을 중간층, 즉 심재로서 이용함으로써, 점착 시트에 전기 특성뿐만 아니라, 우수한 핸들링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의 각종 적층 구성에 있어서의 「I층」에서는, 아크릴계 화합물(A)를 10∼99질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0질량% 이상 또는 99질량% 이하, 그 중에서도 30질량% 이상 또는 99질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상기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는, 시트 표면에 점착 시트로서의 택성이 부여되어, 피착체에의 높은 접착성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의 각종 적층 구성에 있어서의 「II층」에서는, 상기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를 10∼99질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0질량% 이상 또는 99질량% 이하, 그 중에서도 50질량% 이상 또는 99질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두께>
본 양면 점착 시트의 두께의 하한으로서는, 10μm 이상이 바람직하고, 30μ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50μm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상한으로서는, 1mm 이하가 바람직하고, 500μ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50μm 이하가 더 바람직하다.
특히, 본 접착성 시트의 두께가 30μm 이상이면, 가령 첩합 부재 표면에 요철부가 있더라도, 단차 주위에 기포를 남기지 않고 첩합하는 것이 가능하고, 1mm 이하이면, 박육화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다.
본 양면 점착 시트가, I층 및 II층을 구비한 상기 각종 적층 구성인 경우, I층의 두께와 II층의 두께의 비(I/II)는 0.25∼10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5 이상 또는 5 이하, 그 중에서도 특히 1 이상 또는 3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유전율>
양면 점착 시트를 이용하여 터치 패널 기능 부착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를 첩합하는 경우, 특히 터치 패널 기능층끼리 또는 터치 패널 기능층과 표면 보호 부재를 첩합하는 경우, 당해 점착 시트에는 절연층으로서의 기능이 요구된다. 터치 신호와 같은 고주파의 전기 신호의 손실을 저감하는 관점에서, 점착 시트에는 비유전율이 작을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주파수 100kHz에서의 본 양면 점착 시트의 비유전율은, 3.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2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적층 구성의 경우는, I층 및 II층의 두께 비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본 양면 점착 시트의 비유전율을 조정할 수 있다.
<접착력>
본 양면 점착 시트는, 양면 점착 시트의 일면을 소다 라임 유리에 겹치고 압착하여, 23℃, 60mm/분의 박리 속도로 해당 소다 라임 유리로부터 해당 양면 점착 시트를 박리했을 때의 180° 박리력이 5.0N/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180° 박리력이 규정된 범위인 것에 의해, 본 발명의 양면 점착 시트가, 점착 시트로서 충분한 피착체에의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보이고 있다.
<투명성>
본 양면 점착 시트는,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할 것을 고려하면,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양면 점착 시트의 양면을 두께 0.5mm의 소다 라임 유리로 협지한 것에 대하여, JIS K7361-1에 준하여 측정한 전광선 투과율은 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광선 투과율과 마찬가지의 이유에 의해, JIS K7136에 준하여 측정한 본 양면 점착 시트의 헤이즈는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
2개의 대면하는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2개의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 사이를 본 양면 점착 시트로 충전하는 것에 의해, 화상 표시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로서는, 예컨대 터치 패널, 화상 표시 패널, 표면 보호 패널 및 위상차 필름, 편광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군 중의 어느 1종 또는 2종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들 수 있다.
본 양면 점착 시트를 이용하여,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를 첩합할 때,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가교)하여 얻어지는 점착 시트를 그대로 이용해도 되고, 미가교 상태 또는 경화의 여지를 남긴 상태로 형성되는 B 스테이지 상태의 점착 시트여도 된다.
B 스테이지 상태의 점착 시트로 하는 경우, 2개의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를 해당 점착 시트를 이용하여 첩합한 후에, 첩합 부재를 통해서 점착 시트에 광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보다 강고하게 부재끼리를 접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첩합 시점에서는 점착 시트 또는 점착 시트를 구성하는 일부의 층이 미가교 또는 가교의 여지를 남긴 고유동성을 가지는 상태이기 때문에, 첩합 시에 시트 내에 생기는 변형을 완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본 양면 점착 시트를 통해서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를 적층하여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를 형성하고, 이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에 대하여,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를 통해서 상기 양면 점착 시트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본 양면 점착 시트를 자외선 가교시키도록 하여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를 형성할 수 있고, 이와 같은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를 이용하여 화상 표시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로서는, 터치 패널, 화상 표시 패널, 표면 보호 패널, 위상차 필름, 및 편광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군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들 수 있다.
<어구의 설명>
본 명세서에 있어서 「X∼Y」(X, Y는 임의의 숫자)로 표현하는 경우, 특별히 예고하지 않는 한 「X 이상 Y 이하」의 뜻과 함께, 「바람직하게는 X보다 크다」 또는 「바람직하게는 Y보다 작다」의 뜻도 포함한다.
또한, 「X 이상」(X는 임의의 숫자) 또는 「Y 이하」(Y는 임의의 숫자)로 표현한 경우, 「X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Y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는 취지의 의도도 포함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초하여 더 상술한다.
(I층 형성용 조성물 1)
아크릴계 화합물(A)로서, 수첨 폴리뷰타다이엔 골격을 갖는 우레테인 아크릴레이트(A-1)(CN9014NS, 사토머사제)를 0.5kg,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로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77질량부, 아세트산 바이닐 19질량부 및 아크릴산 4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1)을 0.5kg, 광중합 개시제(C)로서, 2,4,6-트라이메틸벤조페논과 4-메틸벤조페논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광중합 개시제(에자큐어 TZT, Lanberti사제)(C-1)을 10g, 균일하게 혼합하여, I층 형성용 조성물 1을 작성했다.
한편, 상기 수첨 폴리뷰타다이엔 골격을 갖는 우레테인 아크릴레이트(A-1)는,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수소첨가 폴리뷰타다이엔(a-1)과, 지방족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a-2)와,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a-3)을 반응시켜 얻어진 우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은 12000이며, 주파수 100kHz에서의 비유전율은 2.5이고, D선에 있어서의 굴절률은 1.48이었다.
다른 한편,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1)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40만이며, 주파수 100kHz에서의 비유전율은 3.8이었다.
(I층 형성용 조성물 2)
아크릴계 화합물(A)로서, 폴리뷰타다이엔 골격 함유 우레테인 아크릴레이트(A-2)(CN310, 사토머사제)를 이용하고, 이 아크릴계 화합물(A-2) 1kg에 대하여, 광중합 개시제(C)로서,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C-2)(이르가큐어 184, BASF사제) 20g을 균일 혼합하여, I층 형성용 조성물 2를 작성했다.
상기 폴리뷰타다이엔 골격 함유 우레테인 아크릴레이트(A-2)는,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폴리뷰타다이엔(a-1)과, 지방족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a-2)와,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a-3)을 반응시켜 얻어진 우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은 13000이며, 주파수 100kHz에서의 비유전율은 2.6이고, D선에 있어서의 굴절률은 1.51이었다.
(I층 형성용 조성물 3)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로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77질량부, 아세트산 바이닐 19질량부, 아크릴산 4질량부를 랜덤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1)을 이용하고, 이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1) 1kg에 대하여,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모노머(D)로서의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트라이아크릴레이트(D-1)을 200g, 광중합 개시제(C)로서의 4-메틸벤조페논(C-3)(Speedcure MBP, Lambson사제)을 15g 균일 혼합하여, I층 형성용 조성물 3을 작성했다.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1)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40만이며, 주파수 100kHz에서의 비유전율은 3.8이었다.
(II층 형성용 조성물 1)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로서의,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77질량부, 아세트산 바이닐 19질량부, 아크릴산 4질량부를 랜덤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1) 1kg에 대하여, 광중합 개시제(C)로서, 2,4,6-트라이메틸벤조페논과 4-메틸벤조페논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광중합 개시제(에자큐어 TZT, Lanberti사제)(C-1) 15g을 균일 혼합하여, II층 형성용 조성물 1을 작성했다.
(II층 형성용 조성물 2)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로서,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1) 대신에, 뷰틸 아크릴레이트 83질량부, 아세트산 바이닐 15질량부, 아크릴산 2질량부를 랜덤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2)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II층 형성용 조성물 1과 마찬가지로 하여, II층 형성용 조성물 2를 작성했다.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2)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35만이며, 주파수 100kHz에서의 비유전율은 4.6이었다.
(II층 형성용 조성물 3)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로서의,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55중량부와 아세트산 바이닐 40중량부, 아크릴산 5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3) 1kg에 대하여, 아크릴계 화합물(A)로서, 수첨 폴리뷰타다이엔 골격을 갖는 우레테인 아크릴레이트(A-1)(CN9014NS, 사토머사제, 주파수 100kHz에서의 비유전율: 2.5)을 200g, 광중합 개시제(C)로서, 2,4,6-트라이메틸벤조페논과 4-메틸벤조페논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광중합 개시제(에자큐어 TZT, Lanberti사제)(C-1) 20g을 균일 혼합하여, II층 형성용 조성물 3을 작성했다.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3)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4만이며, 주파수 100kHz에서의 비유전율은 3.7이었다.
(II층 형성용 조성물 4)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 B로서의,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70질량부,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20질량부, 메타크릴산 10질량부를 랜덤 공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4) 1kg에 대하여, 아크릴계 화합물(A)로서, 폴리뷰타다이엔 다이아크릴레이트(A-3)(CN307, 사토머사제, 주파수 100kHz에서의 비유전율: 2.6)을 600g, 광중합 개시제(C)로서, 2,4,6-트라이메틸벤조페논과 4-메틸벤조페논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광중합 개시제(에자큐어 TZT, Lanberti사제)(C-1) 15g을 균일 혼합하여, II층 형성용 조성물 4를 작성했다.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4)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37만이며, 주파수 100kHz에서의 비유전율은 4.0이었다.
(실시예 1)
박리 처리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쓰비시수지사제, 다이아호일 MRA, 두께 100μm) 상에,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II층 형성용 조성물 1, I층 형성용 조성물 1의 순서로 시트상으로 도공하는 것에 의해, II층/I층으로 이루어지는 2종류 2층(각 층의 두께: II층/I층=30μm/90μm)의 시트상 적층체를 작성했다.
또한, 박리 처리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쓰비시수지사제, 다이아호일 MRF, 두께 75μm) 상에,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II층 형성용 조성물 1을 도포하여, II층 형성용 조성물 1의 두께가 30μm인 시트를 작성했다.
전술한 II층/I층으로 이루어지는 2종류 2층의 시트상 적층체의 I층측과, 두께 30μm의 II층 형성용 조성물 1 시트를 적층하여, 2종 3층(각 층의 두께: II층/I층/II층=30μm/90μm/30μm)의 시트상 적층체를 작성했다.
그리고, 표리 양측으로부터,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통해서, 고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365nm의 자외선을, 적산 광량이 1000mJ/cm2가 되도록 조사하여, II층/I층/II층으로 이루어지는 양면 점착 시트 1(두께 150μm)을 제작했다.
(실시예 2)
박리 처리한 2장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쓰비시수지사제, 다이아호일 MRF, 두께 38μm/MR, 두께 50μm)으로 I층 형성용 조성물 2를 끼우고,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두께를 100μm가 되도록 한 후, 표리 양측으로부터, 당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통해서, 고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365nm의 자외선을 적산 광량이 1000mJ/cm2가 되도록 조사하여 I층 2-1을 작성했다.
이와는 별도로, 박리 처리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쓰비시수지사제, 다이아호일 MRA100, 두께 100μm) 상에,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II층 형성용 조성물 2를 두께 25μm가 되도록 도공한 후, 그 위에, 박리 처리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쓰비시수지사제, 다이아호일 MRF, 두께 75μm)을 겹쳐 피복했다. 그리고, 표리 양측으로부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통해서, 고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365nm의 자외선을, 적산 광량이 1000mJ/cm2가 되도록 조사하여 II층 2-1을 작성했다.
또한, 상기 II층 2-1을 작성할 때에 이용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대신에, 다이아호일 MRF(미쓰비시수지사제, 두께 75μm) 및 다이아호일 MRE(미쓰비시수지사제, 두께 50μm)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II층 2-2를 작성했다.
그리고, 상기 I층 2-1의 표리의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순차적으로 박리하여, 노출된 I층 2-1의 양 표면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벗기고 II층 2-1 및 II층 2-2를 각각 적층하여, II층/I층/II층으로 이루어지는 양면 점착 시트 2(두께 150μm, 각 층의 두께: II층/I층/II층=25μm/100μm/25μm)를 제작했다.
(실시예 3)
박리 처리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쓰비시수지사제, 다이아호일 MRA100, 두께 100μm) 상에,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II층 형성용 조성물 3을, 두께가 100μm가 되도록 시트상으로 도공한 후, 이 위에, 박리 처리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쓰비시수지사제, 다이아호일 MRF75, 두께 75μm)을 겹쳐 피복하여, 양면 점착 시트 3(두께 100μm)을 제작했다.
(실시예 4)
박리 처리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쓰비시수지사제, 다이아호일 MRA100, 두께 100μm) 상에,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II층 형성용 조성물 4를, 두께가 100μm가 되도록 시트상으로 도공한 후, 이 위에, 박리 처리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쓰비시수지제, 다이아호일 MRF75, 두께 75μm)을 겹쳐 피복하여, 양면 점착 시트 4(두께 100μm)를 작성했다.
(비교예 1)
I층 형성용 조성물 1 대신에, I층 형성용 조성물 3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II층/I층/II층으로 이루어지는 양면 점착 시트 5(두께 150μm)를 제작했다.
(비교예 2)
I층 형성용 조성물 2를, 박리 처리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쓰비시수지사제, 다이아호일 MRA100, 두께 100μm) 상에, 두께가 150μm가 되도록 시트상으로 형성한 후, 박리 처리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쓰비시수지제, 다이아호일 MRF75, 두께 75μm)을 피복했다. 박리 처리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통해서, 양 표면측으로부터, 고압 수은 램프를 이용하여 365nm의 자외선을 적산 광량이 1000mJ/cm2가 되도록 조사하여, 양면 점착 시트 6(두께 150μm)을 제작했다.
<평가>
(비유전율)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작성한 양면 점착 시트 1∼6의 한쪽의 이형 필름을 벗기고, SUS판(65mm×65mm×1mm 두께)에 첩착했다. 나머지 박리 필름을 벗기고 45mmφ의 알루미늄박을 롤 압착하여, 비유전율 측정 샘플을 작성했다. 작성한 시료를 이용하여, LCR 미터(아질런트테크놀로지사제, HP4284A)로 JIS K6911에 준거하여 23℃ 50% RH, 주파수 100kHz에서의 비유전율을 측정했다.
주파수 100kHz에서의 비유전율이 3.5 이상인 경우를 「×(poor)」라고 평가하고, 3.5 미만인 경우를 「○(good)」이라고 평가했다.
(재단 가공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작성한 양면 점착 시트 1∼6을, 이형 필름을 적층한 채로 톰슨 타발기를 이용하여 50mm×80mm의 톰슨 블레이드로 100장 절단하여, 단부의 형상을 관찰했다. 단부의 찌그러짐이나 이형 필름의 들뜸이 10장 이상 있었던 경우를 「×(poor)」라고 평가하고, 10장 미만 있었던 경우를 「○(good)」이라고 판정했다.
(접착력)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작성한 양면 점착 시트 1∼6의 한쪽의 이형 필름을 벗기고, 뒷받침 필름으로서 50μm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쓰비시수지사제, 다이아호일 T100, 두께 50μm)을 첩합하여 적층품을 작성했다.
당해 적층품을 길이 150mm, 폭 10mm로 재단한 후, 남는 이형 필름을 벗겨 노출된 점착면을 소다 라임 유리에 롤 압착했다. 첩합품에 오토클레이브 처리(80℃, 게이지압 0.2MPa, 20분)를 실시하여 마무리 첩착하여, 접착력 측정용 샘플을 제작했다.
실시예 3에서 작성한 양면 점착 시트 3에 대해서는, 오토클레이브 처리를 실시한 후, 자외선을 365nm의 적산 광량이 2000mJ/cm2가 되도록 경화시킨 후에 23℃, 50% RH에서 15시간 양생하여, 박리력 측정 시료로 했다.
상기 박리력 측정 샘플을, 박리 각 180°, 박리 속도 60mm/분으로 박리했을 때의 유리에 대한 박리력(N/cm)을 측정했다.
(전광선 투과율·헤이즈)
가공성 평가에서 재단한 양면 점착 시트 1∼6의 이형 필름을 순차적으로 벗기고, 소다 라임 유리(82mm×53mm×0.5mm 두께) 표리 양면에 롤 첩합했다. 첩합품에 오토클레이브 처리(80℃, 게이지압 0.2MPa, 20분)를 실시하여 마무리 첩착하여, 광학 특성 측정 샘플로 했다. 작성한 시료에 대하여, 헤이즈미터(닛폰덴쇼쿠공업주식회사제, NDH5000)를 이용하여 JIS K7361-1에 준한 전광선 투과율 및 JIS K7136에 준하여 측정한 헤이즈치를 구했다.
이 때, 헤이즈치가 5% 미만인 것을 「◎(very good)」, 5% 이상 50% 미만인 것을 「○(good)」, 50% 이상인 것을 「×(poor)」라고 판정했다.
(내발포 신뢰성)
재단 가공성의 평가에서 재단한 양면 점착 시트 1∼6의 한쪽의 박리 필름을 벗겨 노출된 점착면을, 소다 라임 유리(82mm×53mm×0.5mm 두께)의 편면에 핸드 롤러로 첩착했다. 이어서, 남는 박리 필름을 벗기고, 제오노아 필름(닛폰제온제 100μm 두께)을 롤 첩합한 후, 오토클레이브 처리(80℃, 게이지압 0.2MPa, 20분)를 실시하여 마무리 첩착하여, 신뢰성 평가용 적층체를 제작했다.
실시예 3에서 작성한 시트 3에 대해서는, 오토클레이브 처리를 실시한 후, 자외선을 365 nm의 적산 광량이 2000mJ/cm2가 되도록 소다 라임 유리면으로부터 조사하여 시트를 경화시킨 것을 동 시료로 했다.
작성한 신뢰성 평가용 적층체를, 85℃ 6시간 양생하여, 점착 시트에 발포 또는 들뜸이 발생한 것을 「×(poor)」, 발포 또는 들뜸이 없었던 것을 「○(good)」이라고 판정했다.
실시예 1∼4에서 작성한 시트 1∼4는, 낮은 비유전율치를 확보하면서, 우수한 점착 특성과 광학 특성을 양립시킨 것이었다.
이에 반하여, 비교예 1에서는 100kHz에서의 비유전율이 3.0 이하인 아크릴계 화합물(A)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비유전율치가 높아, 전기 특성을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비교예 2는, 비유전율이 3.0 이하인 아크릴계 화합물(A)만으로 작성한 시트이며, 점착 시트로서의 택성이나 접착력이 모자라고, 가공성이나 부재 첩합 후의 신뢰성이 얻어지지 않았다.
Claims (19)
- 주파수 100kHz에서의 비유전율이 3.0 이하인 아크릴계 화합물(A)와, 직쇄 또는 분기된 탄소수 1∼9의 알킬기를 측쇄에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모노머 및/또는 바이닐 에터 모노머를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A)가, 폴리올레핀 골격을 갖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100000인 다작용 (메트)아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A)가, 말단 또는 측쇄에 수산기를 갖는 폴리올레핀(a-1)과, 지방족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a-2)와,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a-3)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우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7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광중합 개시제(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메트)아크릴산 에스터 모노머(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크릴계 화합물(A)를, 시트 전체의 10∼95질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A)를 포함하는 층(I층)과, 상기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를 포함하는 층(II층)을 구비한 양면 점착 시트.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II층은,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A) 및 상기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 -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I층은, 아크릴계 화합물(A)를 10∼99질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 -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II층은, 상기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를 10∼99질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A)와 상기 아크릴산 에스터 공중합체(B)를 포함하는 층(II층)으로 이루어지는 양면 점착 시트. -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면 점착 시트의 일면을 소다 라임 유리에 겹쳐 압착하고, 23℃, 60mm/분의 박리 속도로, 해당 소다 라임 유리로부터 해당 양면 점착 시트를 박리했을 때의 180° 박리력이 5.0N/c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 -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면 점착 시트의 양면을 두께 0.5mm의 소다 라임 유리로 협지한 것에 대하여, JIS K7361-1에 준하여 측정한 전광선 투과율이 85% 이상이며, 또한 JIS K7136에 준하여 측정한 헤이즈가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 -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양면 점착 시트와, 이형 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양면 점착 시트 적층체.
-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양면 점착 시트를 통해서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
-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양면 점착 시트를 통해서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에 대하여,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를 통해서 상기 양면 점착 시트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양면 점착 시트를 자외선 가교시켜 이루어지는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
-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표시 장치 구성 부재가, 터치 패널, 화상 표시 패널, 표면 보호 패널, 위상차 필름, 및 편광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군 중 어느 하나, 또는 2종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인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 -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적층체를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3-171200 | 2013-08-21 | ||
JP2013171200A JP6340765B2 (ja) | 2013-08-21 | 2013-08-21 |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画像表示装置 |
PCT/JP2014/069090 WO2015025652A1 (ja) | 2013-08-21 | 2014-07-17 |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画像表示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4021A true KR20160044021A (ko) | 2016-04-22 |
KR101933284B1 KR101933284B1 (ko) | 2018-12-27 |
Family
ID=52483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07099A KR101933284B1 (ko) | 2013-08-21 | 2014-07-17 | 양면 점착 시트 및 화상 표시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160208148A1 (ko) |
JP (1) | JP6340765B2 (ko) |
KR (1) | KR101933284B1 (ko) |
CN (2) | CN110079219B (ko) |
WO (1) | WO2015025652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85771A (ko) * | 2018-01-11 | 2019-07-1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점착 조성물, 점착 필름 및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043268A1 (ja) | 2014-09-18 | 2016-03-24 | 三菱樹脂株式会社 | 光架橋性透明粘着材、透明粘着材積層体及び光学装置構成用積層体 |
KR101999583B1 (ko) | 2015-05-08 | 2019-07-12 |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 광학투명점착시트, 광학투명점착시트의 제조방법, 적층체, 및 터치패널을 갖는 표시장치 |
JP6252624B2 (ja) * | 2015-06-02 | 2017-12-27 |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 光硬化型粘着シート、粘着シート及び画像表示装置 |
US20180244963A1 (en) * | 2015-09-01 | 2018-08-30 | Lintec Corporation | Adhesive agent composition and adhesive sheet |
US11530337B2 (en) | 2015-09-29 | 2022-12-20 | Bando Chemical Industries, Ltd. | Optically transparent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laminate, process for producing laminate, and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
KR102049588B1 (ko) * | 2015-10-27 | 2019-11-2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광경화성 점접착제 조성물 및 점착 필름 |
US11447662B2 (en) | 2015-11-26 | 2022-09-20 | Bando Chemical Industries, Ltd. | Optical transparent adhesive sheet,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transparent adhesive sheet, laminated body, and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
KR102021449B1 (ko) * | 2016-01-05 | 2019-09-1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터치스크린 패널용 광학 점착 필름 |
JP6235756B1 (ja) | 2016-02-26 | 2017-11-22 | バンドー化学株式会社 | 光学透明粘着シート、光学透明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積層体、及び、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
JP6882857B2 (ja) * | 2016-06-27 | 2021-06-02 | 日東電工株式会社 | 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および液晶表示装置 |
JP6502295B2 (ja) * | 2016-08-10 | 2019-04-17 | 株式会社有沢製作所 | Uv硬化型樹脂組成物 |
CN110050049B (zh) * | 2016-12-07 | 2021-12-07 | 三菱化学株式会社 | 粘合片及其制造方法 |
KR20240035646A (ko) | 2017-03-23 | 2024-03-15 |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 양면 점착 시트, 화상 표시 장치 구성용 부재를 가지는 적층체, 적층체 형성 키트 및 양면 점착 시트의 사용 |
JP6902377B2 (ja) * | 2017-03-30 | 2021-07-14 | アイカ工業株式会社 | 3層型粘着剤シートの製造方法 |
CN107011815B (zh) * | 2017-05-09 | 2020-05-05 | 东莞市纳利光学材料有限公司 | 一种oca光学胶及其制备方法 |
WO2018221109A1 (ja) | 2017-05-30 | 2018-12-06 |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 光学部材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粘着シート |
CN108977102B (zh) * | 2017-06-01 | 2021-03-09 | 株式会社有泽制作所 | 双面粘接片材、3d液晶面板及其制造方法 |
JP6979322B2 (ja) * | 2017-10-16 | 2021-12-08 | アイカ工業株式会社 | 3層型粘着剤シート |
KR102468725B1 (ko) * | 2017-11-16 | 2022-11-1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접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광학 디바이스 |
US11773202B2 (en) | 2019-01-11 | 2023-10-03 | Nitto Shinko Corporation | Curable compound, curable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curable composition |
JP7382214B2 (ja) * | 2019-01-11 | 2023-11-16 | 日東シンコー株式会社 | 硬化性化合物、硬化性組成物、及び、硬化性組成物の製造方法 |
WO2020145328A1 (ja) | 2019-01-11 | 2020-07-16 | 日東シンコー株式会社 | 硬化性組成物 |
JP7346907B2 (ja) * | 2019-05-21 | 2023-09-20 |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粘着シート、剥離シート付き粘着シート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
CN115247030A (zh) * | 2021-04-28 | 2022-10-28 | 王子控股株式会社 | 活性能量射线固化型粘合片和显示装置 |
JP7567644B2 (ja) | 2021-04-28 | 2024-10-16 |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粘着シート及び表示装置 |
JP7567645B2 (ja) | 2021-04-28 | 2024-10-16 |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粘着シート及び表示装置 |
CN114316174B (zh) * | 2021-12-29 | 2023-10-03 | 重庆交通大学 | 高分子量线型聚氨酯丙烯酸酯预聚物、介电弹性体及制备 |
CN114854235A (zh) * | 2022-05-05 | 2022-08-05 |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 一种组合物、功能层以及显示模组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4231607C2 (de) * | 1992-09-15 | 1994-09-01 | Neschen Hans Gmbh & Co Kg | Druckempfindlicher Haftkleber und dessen Verwendung zur Herstellung manuell einreißbarer Haftklebebänder für die Stickerei- und Textilindustrie |
JPH07173451A (ja) * | 1993-12-17 | 1995-07-11 | Toyo Ink Mfg Co Ltd | 硬化性粘着剤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もしくは テープ |
JP2001226442A (ja) * | 2000-02-15 | 2001-08-21 | Mitsubishi Chemicals Corp | 高分子可塑剤 |
JP2003138234A (ja) * | 2001-11-02 | 2003-05-14 |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 |
JP5409994B2 (ja) * | 2006-10-20 | 2014-02-05 |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 硬化性組成物 |
TWI485214B (zh) * | 2008-09-05 | 2015-05-21 | Kyoritsu Chemical Co Ltd | And a photohardenable resin composition for bonding an optical functional material |
CN103068945B (zh) * | 2010-08-18 | 2015-04-08 | 汉高知识产权控股有限责任公司 | 在高温应用中使用的辐射固化暂时性层合粘合剂 |
JP5758647B2 (ja) * | 2011-02-17 | 2015-08-05 | 日東電工株式会社 | 光学用粘着シート |
JP2013001761A (ja) * | 2011-06-14 | 2013-01-07 | Nitto Denko Corp |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および粘着シート |
JP2013129704A (ja) * | 2011-12-20 | 2013-07-04 | Nitto Denko Corp | 光学用粘着シート |
JP2013196551A (ja) * | 2012-03-22 | 2013-09-30 | Toray Advanced Film Co Ltd | タッチパネル用粘着シート、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
JP2014101457A (ja) * | 2012-11-21 | 2014-06-05 | Dainippon Printing Co Ltd | 粘着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
-
2013
- 2013-08-21 JP JP2013171200A patent/JP6340765B2/ja active Active
-
2014
- 2014-07-17 KR KR1020167007099A patent/KR10193328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07-17 CN CN201910030625.5A patent/CN110079219B/zh active Active
- 2014-07-17 CN CN201480044937.7A patent/CN105452410B/zh active Active
- 2014-07-17 US US14/912,766 patent/US20160208148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4-07-17 WO PCT/JP2014/069090 patent/WO2015025652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85771A (ko) * | 2018-01-11 | 2019-07-1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점착 조성물, 점착 필름 및 점착 필름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5452410A (zh) | 2016-03-30 |
CN105452410B (zh) | 2019-02-15 |
CN110079219B (zh) | 2021-06-15 |
JP6340765B2 (ja) | 2018-06-13 |
US20160208148A1 (en) | 2016-07-21 |
JP2015040240A (ja) | 2015-03-02 |
CN110079219A (zh) | 2019-08-02 |
WO2015025652A1 (ja) | 2015-02-26 |
KR101933284B1 (ko) | 2018-12-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33284B1 (ko) | 양면 점착 시트 및 화상 표시 장치 | |
KR102059234B1 (ko) | 점착제가 구비된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 |
KR102233056B1 (ko) | 화상 표시 장치용 투명 양면 점착 시트 및 이를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 | |
EP3093832B1 (en) | Image display device | |
TWI595066B (zh) | 光學壓感黏著片、光學膜及顯示裝置 | |
JP6265907B2 (ja) | 画像表示装置用粘着シート、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 |
JP6114648B2 (ja) | 粘着性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 |
TWI674198B (zh) | 圖像顯示裝置構成用積層體之製造方法 | |
KR102314959B1 (ko) |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시트 | |
KR20130005283A (ko) | 광학용 점착 시트 | |
KR102278242B1 (ko) |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시트 | |
KR20140094216A (ko) | 점착 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부재 | |
KR20110106796A (ko) | 평면판 접합용 수지적층체 및 적층평면판 | |
JP2014125524A (ja) | 画像表示装置用粘着シート、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 |
JP5863300B2 (ja) | 硬質平面板貼合用樹脂シート、それを用いた積層体及び該積層体の用途 | |
WO2016148208A1 (ja) | 画像表示装置用粘着シート、画像表示装置用粘着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 |
KR102018387B1 (ko) | 경질 평면판 첩합용 수지 시트, 적층체 및 표시체 | |
JP6502999B2 (ja) | 粘着性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 |
JP2016169304A (ja) | 粘着シート | |
JP2011218720A (ja) | 積層体、それに用いる樹脂シート及び該積層体の用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