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3362A -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3362A
KR20160043362A KR1020140137646A KR20140137646A KR20160043362A KR 20160043362 A KR20160043362 A KR 20160043362A KR 1020140137646 A KR1020140137646 A KR 1020140137646A KR 20140137646 A KR20140137646 A KR 20140137646A KR 20160043362 A KR20160043362 A KR 20160043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wing body
housing
knob wing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7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5971B1 (ko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7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971B1/ko
Publication of KR20160043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57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means connecting the initiating means, e.g. control lever, to the damper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B60H2001/3478Details of actuators acting on additional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92Manufacturing; Assembling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과, 사용자의 회전 조작을 수용하는 노브윙본체와, 상기 노브윙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노브고정부를 포함하는 댐퍼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고정부는 상기 노브윙본체의 회전축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기준평면과 각을 이루도록 상기 노브윙본체에 끼워지는 차량용 에어벤트를 제공하여, 통상적으로 노브윙본체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AIR VENTING APPARATUS FOR A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댐퍼 노브의 조립구조의 개선을 통해 외부 충격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고 조립공정 및 부품수를 간소화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공조시스템이 구비되어 자동차 실내의 온도를 조절한다. 이러한 공조시스템에서 생성되는 냉기나 온기를 자동차 실내에 배출하기 위해 에어벤트가 구비된다. 에어벤트는 자동차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변경시키거나 통로의 폐쇄하여 공기가 배출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에어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어벤트(10)는 하우징(11)과 블레이드(12)와, 댐퍼 노브(13)와 댐퍼(14)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은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전면의 일부가 개방영역(11a)으로 형성된다. 블레이드(12)는 개방영역(11a)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공기의 배출 방향을 결정한다. 댐퍼 노브(13)는 하우징(11)의 전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댐퍼(도 2의 14)는 덕트(15)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여 공기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댐퍼(도 2의 14)는 댐퍼 노브(13)와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댐퍼 노브(13)가 회전하는 경우 이에 연동하여 회전함으로써 덕트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게 된다.
도 2를 댐퍼 노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댐퍼 노브(13)는 노브하우징(13a)과, 노브하우징(13a)에 삽입되어 사용자의 회전 조작을 수용하는 노브윙본체(13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오링(13c)은 노브윙본체(13b)에 안착된다. 노브하우징(13a)은 노브윙본체(13b)을 하우징(도 1의 11)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댐퍼 노브의 조립 방향을 작용하는 외부 충격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회전 조작 또는 기타 외력에 의해 통상적으로 도 3의 화살표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방향으로 댐퍼 노브(13)에 충격이 부가된다. 이때, 도 2에서 살펴보았듯이 노브윙본체(13b)의 힌지축은 노브하우징(13a)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조립되며 그 조립 방향이 충격 방향과 동일하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노브하우징(13a)을 하우징(도 1의 11)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결합부재가 추가되어야 하며, 이 결합부재를 사용하는 결합공정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외부 충격에 효과적으로 대항할 수 있는 조립 구조를 갖는 댐퍼 노브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벤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댐퍼 노브를 조립하는데 있어서,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 공정을 줄일 수 있는 차량용 에어벤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과, 사용자의 회전 조작을 수용하는 노브윙본체와, 상기 노브윙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노브고정부를 포함하는 댐퍼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고정부는 상기 노브윙본체의 회전축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기준평면과 각을 이루도록 상기 노브윙본체에 끼워지는 차량용 에어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브고정부는 상기 노브윙본체의 회전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브고정부는, 상기 노브윙본체의 하면에 걸리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노브윙본체의 중심홀에 삽입되는 힌지축부와, 상기 힌지축부에 형성되어 상기 노브윙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걸리는 후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후크부의 걸림돌기가 걸리는 후크홈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크부는 일측 단부가 고정단 형태로 상기 힌지축부에 결합하고, 타측 단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마주 보고 배치되는 한 쌍의 후크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브고정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에 돌출되어 상기 노브윙본체에 형성된 걸림부에 걸려 상기 노브윙본체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부는 상기 노브윙본체의 내측 일부에 형성된 중공영역에 인접하여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부는 상기 중공영역을 걸쳐 형성되며 걸림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의 외측에는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토퍼는 상기 중공영역에 삽입되어 상기 중공영역 안에서 움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브윙본체의 중심홀 내측면과 상기 힌지축부 사이에는 오링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브윙본체에 노브고정부를 연결하는데 있어서, 노브윙본체의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노브고정부가 노브윙본체에 끼워져 하우징에 결합함으로써, 통상적으로 노브윙본체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브고정부의 베이스가 노브윙본체의 하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외력을 받는 노브윙본체의 작동 안전성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노브윙본체의 중심홀과 노브고정부의 힌지축부 사이에 오링이 개재됨으로써, 노브윙본체에 대한 사용자의 회전 조작 방향으로, 오링과 노브윙본체의 접촉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여 사용 조작감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에어벤트를 도시한 도면,
도 2를 댐퍼 노브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댐퍼 노브의 조립 방향을 작용하는 외부 충격 방향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로서, 하우징에 수직 조립된 댐퍼 노브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수직 방향으로 조립되는 오링과 노브윙본체와 노브고정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노브고정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하우징에 형성된 후크홈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노브고정부의 스토퍼와 노브윙본체의 걸림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노브윙본체의 중심홀과 노브고정부의 힌지축부 사이에 개재되는 오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로서, 하우징에 수직 조립된 댐퍼 노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는 하우징(100)과, 댐퍼노브(200)를 포함하되, 댐퍼노브(200)가 하우징(100)의 결합보스부(110)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특징이 있다. 이는 댐퍼노브(200)의 회전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하여 구조적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먼저, 댐퍼노브(200)는 노브윙본체(210)와, 노브고정부(220)와, 오링(2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댐퍼노브(200)의 회전축(CL)을 기준할 때, 회전축(CL)의 축방향으로 오링(230), 노브윙본체(210), 노브고정부(220) 순으로 배치되어 하우징(100)의 결합보스부(11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회전축(CL)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노브윙본체(210) 상에 형성되는 가상의 기준평면(F)을 기준할 때, 오링(230)은 기준평면(F) 위쪽에서 노브윙본체(210)로 장착되며, 노브고정부(220)는 기준평면(F) 아래쪽에서 노브윙본체(210)로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노브고정부(220)가 노브윙본체(210)를 관통하여 하우징(100)의 결합보스부(110)에 결합되는 형태를 갖게 되는데, 대체적으로 댐퍼노브(200)에 작용하는 외력이 기준평면(F) 방향으로 작용하는 점을 고려하면 이러한 댐퍼노브(200)의 구성은 외력에 대한 구조적 안전성이 높다.
이러한 댐퍼노브(200)의 구성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로서, 하우징에 수직 조립된 댐퍼 노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노브윙본체(210)의 아래 쪽에서 관통한 노브고정부(220)에 의해 노브윙본체(210)가 하우징(100)에 결합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노브윙본체(210)는 노브고정부(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데 구체적인 결합 구성은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수직 방향으로 조립되는 오링과 노브윙본체와 노브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노브윙본체(210)는 사용자의 회전 조작을 직접 수용하는 부재로서, 대체적으로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노브윙본체(210)의 전면에는 마찰력을 높이는 돌기영역이 형성될 수 있으며 중심부에는 회전 중심이 되는 중심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중심홀(211)에는 노브고정부(220)의 힌지축부(도 7의 222)가 관통하여 삽입된다.
그리고 중심홀(211)과 노브윙본체(210)의 둘레 사이에는 중공 영역(212)이 형성될 수 있다. 중공 영역(212)을 가로 질러 걸림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213)는 노브윙본체(210)의 스토퍼(224)에 걸려 노브윙본체(210)의 회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은 노브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노브고정부(220)는 노브윙본체(210)를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시킨다.
도 7을 참조하면, 노브고정부(220)는 베이스(221)와 힌지축부(222)와, 후크부(223)와, 스토퍼(22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221)와 힌지축부(222)와, 후크부(223)와, 스토퍼(224)는 그 형상 및 기능적 특성에 따라 구분되어 설명될 수 있을 뿐, 서로 연결된 하나의 수단임을 미리 언급하는 바이다.
베이스(221)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노브윙본체(210)의 하면과 접촉하여 노브윙본체(210)를 구조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힌지축부(222)는 노브윙본체(210)의 중심홀(211)에 삽입되어 노브윙본체(210)의 회전축 역할을 한다. 힌지축부(222)는 베이스(221)에서 상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원통형 부재로 실시될 수 있다.
후크부(223)는 노브윙본체(210)의 중심홀(211)을 관통하여 하우징(도 4의 100)의 결합보스부(도 4의 110)에 결합된다. 후크부(223)는 일측 단부가 고정단 형태로 힌지축부(222)에 결합하고, 타측 단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후크부(223)는 마주 보고 배치되는 한 쌍의 후크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하우징에 형성된 후크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러한 후크부(223)의 걸림돌기는 하우징(100)의 결합보스부(110)에 형성된 후크홈(111)에 걸리게 된다. 작업자가 노브고정부(220)를 노브윙본체(210)를 관통하도록 노브윙본체(210)의 아래에서 결합보스부(110)로 밀어 올리면 후크부(223)의 결림돌기가 후크홈(111)에 걸리면서, 별도의 결합용 부품의 사용 없이, 자연스럽게 노브고정부(220)가 하우징(100)에 고정된다.
도 9는 노브고정부의 스토퍼와 노브윙본체의 걸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노브고정부(220)가 노브윙본체(210)에 장착된 경우, 스토퍼(224)는 중공 영역(212)에 위치한다. 이때, 스토퍼(224)의 외측에는 노브윙본체(210)의 걸림부(213)의 걸림돌기(214)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홈(225)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노브윙본체의 중심홀과 노브고정부의 힌지축부 사이에 개재되는 오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오링(230)이 노브윙본체(210)의 중심홀(211) 내측면과 힌지축부(222) 사이에 배치된다. 그 결과, 오링(230)이 노브윙본체(210)의 회전방향을 따라 노브윙본체(210)와 접촉하기 때문에 댐퍼노브(200)의 조작감이 크게 증가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하우징
110: 결합보스부
200: 댐퍼노브
210: 노브윙본체
211: 중심홀
212: 중공영역
213: 걸림부
214: 걸림돌기
220: 노브고정부
221: 베이스
222: 힌지축부
223: 후크부
224: 스토퍼
230: 오링

Claims (10)

  1. 하우징;
    사용자의 회전 조작을 수용하는 노브윙본체와, 상기 노브윙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노브고정부를 포함하는 댐퍼 노브를 포함하고,
    상기 노브고정부는 상기 노브윙본체의 회전축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기준평면과 각을 이루도록 상기 노브윙본체에 끼워지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고정부는 상기 노브윙본체의 회전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고정부는,
    상기 노브윙본체의 하면에 걸리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노브윙본체의 중심홀에 삽입되는 힌지축부와,
    상기 힌지축부에 형성되어 상기 노브윙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걸리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후크부의 걸림돌기가 걸리는 후크홈이 형성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일측 단부가 고정단 형태로 상기 힌지축부에 결합하고, 타측 단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마주 보고 배치되는 한 쌍의 후크바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고정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에 돌출되어 상기 노브윙본체에 형성된 걸림부에 걸려 상기 노브윙본체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노브윙본체의 내측 일부에 형성된 중공영역에 인접하여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중공영역을 걸쳐 형성되며 걸림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의 외측에는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중공영역에 삽입되어 상기 중공영역 안에서 움직이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10.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윙본체의 중심홀 내측면과 상기 힌지축부 사이에는 오링이 설치되는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KR1020140137646A 2014-10-13 2014-10-13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KR102205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646A KR102205971B1 (ko) 2014-10-13 2014-10-13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646A KR102205971B1 (ko) 2014-10-13 2014-10-13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362A true KR20160043362A (ko) 2016-04-21
KR102205971B1 KR102205971B1 (ko) 2021-01-21

Family

ID=55917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7646A KR102205971B1 (ko) 2014-10-13 2014-10-13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9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9547A1 (ko) * 2017-07-06 2019-01-10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의 에어벤트용 댐퍼 다이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8731Y2 (ja) * 1992-01-31 1998-01-14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自動車用空気吹出し口のダイヤル取付構造
JP2003237361A (ja) * 2002-02-15 2003-08-27 Nifco Inc 空気吹き出し口の調節装置
KR20050018112A (ko) * 2003-08-13 2005-02-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벤트의 다이얼노브 스토퍼구조
JP2006306323A (ja) * 2005-04-28 2006-11-09 Nippon Plast Co Ltd 操作ダイヤル装置及びベンチレー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8731Y2 (ja) * 1992-01-31 1998-01-14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自動車用空気吹出し口のダイヤル取付構造
JP2003237361A (ja) * 2002-02-15 2003-08-27 Nifco Inc 空気吹き出し口の調節装置
KR20050018112A (ko) * 2003-08-13 2005-02-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벤트의 다이얼노브 스토퍼구조
JP2006306323A (ja) * 2005-04-28 2006-11-09 Nippon Plast Co Ltd 操作ダイヤル装置及びベンチレータ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9547A1 (ko) * 2017-07-06 2019-01-10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의 에어벤트용 댐퍼 다이얼
KR20190005418A (ko) * 2017-07-06 2019-01-16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의 에어벤트용 댐퍼 다이얼
CN110831797A (zh) * 2017-07-06 2020-02-21 株式会社利富高韩国 用于车辆通风口的风门拨盘
US11273683B2 (en) 2017-07-06 2022-03-15 Nifco Korea Inc. Damper dial for vehicle air vent
DE112018003475B4 (de) 2017-07-06 2022-03-17 Nifco Korea Inc. Klappeneinstellscheibe für die Belüftung von Fahrzeugen
CN110831797B (zh) * 2017-07-06 2023-04-04 株式会社利富高韩国 用于车辆通风口的风门拨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5971B1 (ko) 202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3711B1 (ko) 차량의 에어 벤트
US10071616B2 (en) Cardan mounting for an air vent
JP6503602B2 (ja) 空気調和装置
KR102040800B1 (ko) 블레이드 체결구조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JP4675651B2 (ja) 換気扇
KR20160043362A (ko) 차량용 에어벤트 장치
JP2012102870A (ja) 制御ケーブルの鞘を取付けブラケットに固定するためのクイックフィット固定装置
KR101610290B1 (ko) 기밀유지용 공조기 댐퍼
JP2015217927A (ja) 風向調整装置
JP6592860B2 (ja) 空気調和装置
EP3030437B1 (en) Vehicle air vent damper
JP6033188B2 (ja) ゲーム機用蝶番
EP3178684B1 (en) Airflow direction adjustment device
ES2574995B1 (es) Sistema de ventilación para un vehículo
KR101850756B1 (ko) 원형 에어벤트
KR101986732B1 (ko) 회전형 온풍기
KR20180049405A (ko) 자동차용 고감성 에어벤트
KR102112854B1 (ko) 차량용 콘솔 암레스트의 힌지 유닛
TW201228543A (en) Mounting apparatus for fan
CN107237093B (zh) 门盖阻尼装置和具有其的波轮洗衣机
KR100839924B1 (ko) 차량용 에어벤트
KR200486045Y1 (ko) 도어록의 손잡이 조절장치
KR102190526B1 (ko) 차량의 에어벤트 커버 장착구조
KR102610164B1 (ko) 무선 써큘레이터
JP2020522431A (ja) 自動車のエアベント用ダンパーダイヤ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