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756B1 - 원형 에어벤트 - Google Patents

원형 에어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756B1
KR101850756B1 KR1020160171617A KR20160171617A KR101850756B1 KR 101850756 B1 KR101850756 B1 KR 101850756B1 KR 1020160171617 A KR1020160171617 A KR 1020160171617A KR 20160171617 A KR20160171617 A KR 20160171617A KR 101850756 B1 KR101850756 B1 KR 101850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coupled
damper
knob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1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주
김병조
Original Assignee
한국아이티더블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아이티더블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아이티더블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1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7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35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a pivoting frame
    • B60H1/3442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a pivoting frame the frame being sphe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B60H2001/3478Details of actuators acting on additional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92Manufacturing; Assemb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중공의 삽입부를 가지며, 공기의 토출을 유도하는 덕트; 상기 덕트의 일단에 결합되며, 공기 토출을 개폐하는 댐퍼;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결합되는 축기어 및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형성되는 볼조인트를 갖는 축조립체; 일단이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며, 상기 볼조인트와 결합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와 결합되며, 상기 댐퍼의 개폐를 제어하는 노브; 상기 캐리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삽입부에 회전 결합되는 캡; 및 상기 덕트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캐리어와 결합되는 노즐을 포함하는 원형 에어벤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원형 에어벤트{ROUND AIR-VENT}
본 발명은 원형 에어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내부에 냉·온기를 토출하며 풍향 및 풍량을 조절하는 자동차용 원형 에어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실내 공기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공기조화 시스템이 구비가 되는데, 상기 공기조화 시스템에서 발생된 냉·온기는 자동차 실내에 설치된 통풍구를 통해 내부로 토출된다.
오늘날, 상기 통풍구에는 유입되는 풍량 및 풍향을 조절하기 위한 에어벤트가 구비가 되며, 상기 에어벤트는 내측에 구비되는 댐퍼의 개폐를 통해서 냉·온기의 토출을 단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댐퍼의 개폐를 위해서는 다수의 링크를 이용하거나, 기어를 통해서 개폐를 하고 있는데, 다수의 부품으로 인해 조립이 어려우며, 잦은 이용으로 인한 고장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특히, 기어를 이용한 댐퍼의 개폐에 있어서, 노브와 기어를 연결하기 위한 부재들의 이탈이 일어나면서, 운전자 및 탑승자들이 댐퍼의 개폐를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공조시스템에서 발생되는 냉·온기를 적절하게 이용을 하지 못하게 되며, 풍향을 조절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30682호(2013.12.02)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성이 용이하며, 부품들의 이탈이 방지되는 원형 에어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중공의 삽입부를 가지며, 공기의 토출을 유도하는 덕트, 상기 덕트의 일단에 결합되며, 공기 토출을 개폐하는 댐퍼,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결합되는 축기어 및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형성되는 볼조인트를 갖는 축조립체, 일단이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며, 상기 볼조인트와 결합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와 결합되며, 상기 댐퍼의 개폐를 제어하는 노브, 상기 캐리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삽입부에 회전 결합되는 캡 및 상기 덕트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캐리어와 결합되는 노즐을 포함하는 원형 에어벤트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브레이크 캐리어 및 상기 브레이크 캐리어에 삽입되며, 상기 노브와 연결되는 컨넥 캐리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일측면에 절개부가 형성되며 실리콘러버 소재를 포함하는 받침부; 및 상기 브레이크 캐리어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스톱퍼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가 받침부에 삽입되며, 상기 스톱퍼와 상기 절개부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캐리어는 구형의 볼, 상기 노즐과 연결되며 원형판 형상의 원판부 및 상기 볼과 상기 원판부를 연결하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회전방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브레이크 캐리어의 스톱퍼가 상기 회전방지홈에 삽입되어, 상기 브레이크 캐리어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상측에는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캡의 측면에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캡의 회전결합이 완료되면,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결합부가 상기 결합공에 구속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노브의 회전운동을 통해 개폐가 되며, 상기 노브의 상하 또는 좌우방향 움직임을 통해 풍향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원형 에어벤트의 조립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구성품의 이탈을 방지하여, 공조시스템의 사용을 효율적이며,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캐리어 부품들을 강제 삽입하는 방식으로 체결되었으나, 본 발명은 캡을 통해서 삽입 구조가 간단해지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원형 에어벤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원형 에어벤트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2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풍향이 변경될 때의 도2의 B-B' 단면도이다.
도 5는 원형 에어벤트의 분해조립도이다.
도 6은 캐리어가 삽입부에 삽입되기 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삽입부에 캐리어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삽입부에 캡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결합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벤트는 자동차의 실내로 냉/온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에어벤트의 토출방향을 다양한 각도로 조절하며, 토출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원형 에어벤트의 사시도로, 실내로 공기 토출을 유도하기 위한 덕트(100)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100)에는 일단에 토출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노브(500) 및 노즐(700)이 형성된다. 노즐(700)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그릴 형상의 부재로, 종래에 공지된 그릴 형상의 노즐을 이용할 수 있으며, 그릴의 형태는 자유롭게 이용을 할 수 있다.
덕트(100)의 타단에는 개폐가 가능한 댐퍼(200)가 구비되어, 댐퍼(200)의 상태에 따라 공기 토출이 제어될 수 있다.(도5 참조)
덕트(100)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자석과 조수석 앞에 설치되나, 설치되는 위치는 변경이 가능하다.
도 2는 원형 에어벤트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4는 풍향이 변경될 때의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 2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댐퍼(200)의 개폐를 조절하기 위한 부재들이 덕트(100)에 형성이 되어 있다.
댐퍼(200)는 덕트(100)의 일단에 결합이 되며, 상기 댐퍼(200)에는 댐퍼기어(210)를 형성하고 있다.
댐퍼기어(210)의 동작에 따라 댐퍼(200)는 펼쳐지거나 오므려질 수 있으며, 펼쳐질 경우는 덕트(100)가 폐쇄되면서 공기 토출이 차단 될 수 있으며, 오므려질 경우는 덕트(100)가 개방되면서 차량 내부로 공기가 토출되게 된다.
사용자 및 탑승자는 노브(500)를 조작하여, 댐퍼(200)의 개폐를 자유롭게 조절 할 수 있다.
노브(500)의 동작은 축조립체(300) 및 캐리어(400)를 통하여 댐퍼기어(210)에 전달된다. 댐퍼기어(210)에 전달된 동작에 따라서 댐퍼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축조립체(300)는 덕트(100)에 형성되는 중공의 삽입부(110)에 삽입되어 있으며, 노브(500)의 회전운동을 댐퍼(200)에 전달하게 된다. 축조립체(300)에는 회전축(310)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310)의 일단에는 축기어(320)가 결합되고, 타단에는 볼조인트(330)가 형성되고 있다.
축조립체(300)의 축기어(320)는 댐퍼기어(210)와 맞물려서 작동을 하게 되며, 축기어(320)의 회전에 따라서 댐퍼(200)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축조립체(300)의 회전축(310)에는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부재가 형성되어, 회전할 때 발생되는 삽입부(110)와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캐리어(400)는 축조립체(300)의 볼조인트(330)와 연결이 되고, 일단은 덕트(100)의 삽입부(110)에 삽입되며, 타단은 노브(500)와 연결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노브(500)를 회전 조작을 하면, 회전력이 캐리어(400) 및 축조립체(300)에 전달이 되고 댐퍼(200)가 개폐하게 된다.
캐리어(400)는 삽입부(110)에 삽입된 후 오랜 기간 사용되게 되면 삽입부(110)를 이탈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르면,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삽입부(110)에 캡(600)이 결합되게 된다.
캡(600)이 결합되는 구성은 이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캐리어(400)는 브레이크 캐리어(410)와 컨넥 캐리어(420)를 포함하고, 브레이크 캐리어(410)는 중공 형태로 삽입부(110)에 삽입 되며, 컨넥 캐리어(420)는 브레이크 캐리어(410)에 삽입 되고, 일단은 노브(500)와 연결되고, 타단은 볼조인트(330)와 연결된다.
노브(500)가 회전을 하게 되면, 컨넥 캐리어(420)가 회전을 하고, 이에 따라 축조립체(300)의 축기어(320)가 동작을 하게 된다. 컨넥 캐리어(420)는 장방향의 핀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설명된 형상이나 형태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5는 원형 에어벤트의 분해조립도이다.
브레이크 캐리어(410)는 받침부(430)를 형성하여 결합될 수 있다. 받침부(430)의 일측면에는 절개부(431)가 형성되며, 덕트(100)의 삽입부(110)에 삽입된다. 받침부(430)는 실리콘러버 소재로 이루어져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브레이크 캐리어(410)에는 일측면에 스톱퍼(411)가 형성되어, 받침 부(430)가 결합될 때, 스톱퍼(411)가 받침부(430)의 절개부(431)에 삽입되어, 결합이 완료된다.
또한, 브레이크 캐리어(410)는 스톱퍼(411)가 형성되는 구형의 볼(412)과 원형판 형상의 원판부(413)를 포함하며, 볼(412)과 원판부(413) 사이를 연결하는 오목부(414)를 추가로 포함한다. 원판부(413)는 앞서 언급한 노즐(700)과 연결이 되어, 노브(500)를 사용자가 좌우로 이동을 하면, 노즐(700)이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브(500)가 상하좌우로 이동을 하게 되면, 브레이크 캐리어(410)와 컨넥 캐리어(420)가 이동을 하게 되고, 브레이크 캐리어(410)에 연결된 노즐(700)이 상하좌우로 이동한다.
도 6은, 브레이크 캐리어(410)가 삽입부(110)에 삽입되기 전의 사시도이다.
브레이크 캐리어(410)에 컨넥 캐리어(420)가 결합이 된 후에 삽입부(110)에 삽입이 된다. 이때, 컨넥 캐리어(420)가 브레이크 캐리어(410)에 결합된 후, 브레이크 캐리어(410)의 볼(412)을 감싸도록 받침부(430)가 삽입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받침부(430)는 삽입부(110)에 미리 결합을 시켜 놓을 수도 있고, 브레이크 캐리어(410)와 결합된 후 삽입부(110)에 삽입될 수도 있다. 조립하는 단계는 따로 한정하지 않고, 변경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이어서, 받침부(430)는 삽입부(110) 상단에 걸쳐지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받침부(430)의 형상이나 삽입부(110)와 결합되는 형태 또한 특정예에 구속되지 않는다.
한편,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덕트(100)의 삽입부(110)에는 길이방향으로 회전방지홈(1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브레이크 캐리어(410)에 형성되는 스톱퍼(411)가 회전방지홈(11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노브(500)가 회전 하더라도 브레이크 캐리어(410)가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컨넥 캐리어(420)만 회전을 하게 된다.
이는, 브레이크 캐리어(410)의 원판부(413)에 연결되는 노즐(700)의 회전이 방지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노브(500)의 회전 동작에 따라 노즐(700)이 회전 될 경우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고 회전 동작을 하는데 필요 이상의 무리한 힘이 가해져야 하는데, 이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사용자가 노브(500)를 회전시키게 되면, 브레이크 캐리어(410)는 고정이 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컨넥 캐리어(420)만 회전을 하게 되고, 컨넥 캐리어(420)에 연결되어 있는 볼조인트(330)와 축조립체(300)가 최종적으로 회전하게 되어, 댐퍼기어(210)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노브(500)를 제어하는 간단한 동작을 통해서 댐퍼(200)의 개폐 및 토출되는 풍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캐리어(400)가 덕트(100)의 삽입부(110)에 삽입되고 나면, 이탈을 방지 하기 위해 캡(600)이 삽입부(110)의 상단에 결합된다.
캡(600)의 측면에는 결합공(610)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삽입부(110) 상단에는 결합부(112)가 돌출 형성되어, 양 구성은 서로 결합하게 된다.
또한, 캡(600)은 횡방향으로 탄성절개부(620)를 형성하고 있는데, 탄성절개부(620)는 “ㄷ” 형태로 절개되어 있어, 결합공(610)과 결합부(112)가 회전결합될 때 클릭감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캡(600)의 상단부에는 개구부(630)가 형성되어 있고, 이를 통해 컨넥 캐리어(420)와 브레이크 캐리어(410)가 노출이 될 수 있다.
개구부(630)의 직경은 브레이크 캐리어(4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브레이크 캐리어(410)의 이탈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도 8은 캡(600)이 삽입부(110)에 체결이 완료된 상태도이다.
캡(600)을 회전 결합하게 되면, 캡(600)의 일부분이 받침부(430)를 밀착하게 되고, 이로 인해서 캐리어(40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 에어벤트는 캐리어(400)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경우, 간단하게 조립되어 조립공정이 단순화 되는 효과가 있으며, 캡(600)이 삽입부(110)에 체결되어, 캐리어(400)의 이탈 방지를 기대할 수 있다.
캐리어(400)가 이탈이 되면, 사용자가 개폐 및 풍향 조절을 하지 못하는 일이 발생하는데, 본 발명의 캡(600) 구조만으로 에어밴트의 사용 수명을 늘리는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삽입부(110)에 강제 삽입 되던 캐리어(400)를 캡(600)으로 인해 단순하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덕트 110: 삽입부
111: 회전방지홈 112: 결합부
200: 댐퍼 210: 댐퍼기어
300: 축조립체 310: 회전축
320: 축기어 330 볼조인트
400: 캐리어 410: 브레이크 캐리어
411: 스톱퍼 412: 볼
413: 원판부 414: 오목부
420: 컨넥 캐리어 430: 받침부
431: 절개부 500: 노브
600: 캡 610: 결합공
620: 탄성절개부 630: 개구부
700: 노즐

Claims (7)

  1. 중공의 삽입부를 가지며, 공기의 토출을 유도하는 덕트;
    상기 덕트의 일단에 결합되며, 공기 토출을 개폐하는 댐퍼;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결합되는 축기어 및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형성되는 볼조인트를 갖는 축조립체;
    일단이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며, 상기 볼조인트와 결합되는 캐리어;
    상기 캐리어와 결합되며, 상기 댐퍼의 개폐를 제어하는 노브;
    상기 캐리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삽입부에 회전 결합되는 캡; 및
    상기 덕트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캐리어와 결합되는 노즐을 포함하는 원형 에어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브레이크 캐리어; 및
    상기 브레이크 캐리어에 삽입되며, 상기 노브와 연결되는 컨넥 캐리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에어벤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일측면에 절개부가 형성되며 실리콘러버 소재를 포함하는 받침부; 및
    상기 브레이크 캐리어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스톱퍼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어가 받침부에 삽입되며, 상기 스톱퍼와 상기 절개부가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에어벤트.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캐리어는 구형의 볼;
    상기 노즐과 연결되며 원형판 형상의 원판부; 및
    상기 볼과 상기 원판부를 연결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에어벤트.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회전방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브레이크 캐리어의 스톱퍼가 상기 회전방지홈에 삽입되어, 상기 브레이크 캐리어의 회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에어벤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상측에는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캡의 측면에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캡의 회전결합이 완료되면,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결합부가 상기 결합공에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에어벤트.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노브의 회전운동을 통해 개폐가 되며, 상기 노브의 상하 또는 좌우방향 움직임을 통해 풍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에어벤트.
KR1020160171617A 2016-12-15 2016-12-15 원형 에어벤트 KR101850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617A KR101850756B1 (ko) 2016-12-15 2016-12-15 원형 에어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617A KR101850756B1 (ko) 2016-12-15 2016-12-15 원형 에어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0756B1 true KR101850756B1 (ko) 2018-04-23

Family

ID=62089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1617A KR101850756B1 (ko) 2016-12-15 2016-12-15 원형 에어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7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52596A (zh) * 2020-04-16 2020-07-28 上海延锋金桥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一种调风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2940A (ja) * 2000-11-20 2002-07-10 Trw Automot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 Co Kg 換気システム用エアベント
US20100230627A1 (en) * 2009-03-13 2010-09-16 Jones Roderick M Noise reducing poppet valve
KR20130130682A (ko) * 2010-07-26 2013-12-02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공기 디퓨저
JP2014091377A (ja) 2012-11-01 2014-05-19 Howa Kasei Kk レジスタ
KR101526808B1 (ko) 2014-07-23 2015-06-08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의 에어벤트
KR101535039B1 (ko) 2014-09-24 2015-07-07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의 에어벤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2940A (ja) * 2000-11-20 2002-07-10 Trw Automot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 Co Kg 換気システム用エアベント
US20100230627A1 (en) * 2009-03-13 2010-09-16 Jones Roderick M Noise reducing poppet valve
KR20130130682A (ko) * 2010-07-26 2013-12-02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공기 디퓨저
JP2014091377A (ja) 2012-11-01 2014-05-19 Howa Kasei Kk レジスタ
KR101526808B1 (ko) 2014-07-23 2015-06-08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의 에어벤트
KR101535039B1 (ko) 2014-09-24 2015-07-07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의 에어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52596A (zh) * 2020-04-16 2020-07-28 上海延锋金桥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一种调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6808B1 (ko) 자동차의 에어벤트
KR102269827B1 (ko) 차량용 에어벤트
US20050048905A1 (en) Device for opening or closing car air vents
KR100935074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101850756B1 (ko) 원형 에어벤트
KR200457556Y1 (ko) 차량용 에어벤트
KR20160062556A (ko)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
JP2003312245A (ja) 車両用ベントグリル
CN110997373B (zh) 汽车用的通风装置
JP6459935B2 (ja) 空調用レジスタの操作機構
KR200457979Y1 (ko) 차량용 에어벤트
KR101528579B1 (ko) 차량용 소음방지부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공조기
KR20140126604A (ko) 차량의 에어벤트
US10427502B1 (en) Vehicle air freshener module
KR20100058374A (ko) 에어벤트
KR101982019B1 (ko) 상이한 작동 각을 구현하는 자동차용 에어벤트
KR101906725B1 (ko) 자동차용 에어덕트의 풍향제어장치
KR20080036883A (ko) 블레이드 작동력 규제 장치
KR20160057201A (ko) 차량용 에어 벤트
KR200404464Y1 (ko) 자동차용 에어벤트
KR20040049377A (ko) 차량용 에어밴트 구조
KR20190129550A (ko) 차량용 에어 벤트
JP2011016513A (ja) 車両用空調装置のダンパ構造
KR102523593B1 (ko)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KR200452035Y1 (ko) 건설중장비용 에어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