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6883A - 블레이드 작동력 규제 장치 - Google Patents

블레이드 작동력 규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6883A
KR20080036883A KR1020060103701A KR20060103701A KR20080036883A KR 20080036883 A KR20080036883 A KR 20080036883A KR 1020060103701 A KR1020060103701 A KR 1020060103701A KR 20060103701 A KR20060103701 A KR 20060103701A KR 20080036883 A KR20080036883 A KR 20080036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topper
spacer
slot hole
elastic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3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3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36883A/ko
Publication of KR20080036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68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1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pivoting sh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64Details of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블레이드 작동력 규제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양단부의 일측에 돌출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공기의 흐름 방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블레이드 및 이 블레이드를 조작하기 위하여 블레이드 상에 설치된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벤트에 있어서, 노브가 설치된 블레이드 단부의 타측에 돌출되어 블레이드의 회동에 따라 이동하는 스토퍼와; 일측에 회전축이 삽입되는 결합 홀이 다수 형성되며, 타측에 스토퍼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슬롯 홀이 형성된 스페이서; 및 슬롯 홀에 삽입된 스토퍼와 스페이서 사이에 개재되어 스토퍼의 임의적인 이동을 억제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수단이 장착된 스토퍼를 스페이서 내부에 삽입함으로써, 스토퍼와 스페이서가 각각 정확한 치수와 형상을 갖도록 제작되지 않아도 되므로, 까다로운 공차 관리를 통해 제작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블레이드를 장착하기 위한 각 부품의 제작 과정이 용이해지고 제작 비용이 저렴해지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에어벤트, 블레이드, 스페이서, 탄성수단

Description

블레이드 작동력 규제 장치{APPARATUS FOR REGULATING OPERATING FORCE}
도 1은 종래 에어벤트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 에어벤트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작동력 규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토퍼 및 탄성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수평 블레이드와 스페이서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블레이드 111: 회전축
120: 스토퍼 130: 스페이서
131: 결합 홀 132: 슬롯 홀
133: 내주면 140: 탄성부재
본 발명은 에어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에어벤트에 구비되는 블레이드 작동력 규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실내의 냉난방을 위하여 온기 또는 냉기를 발생시켜 실내로 공급시키는 공조시스템이 장착된다.
이와 같은 공조시스템은 공기를 송풍시키는 블로어 유닛과,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히터유닛과 에바유닛, 그리고 이와 연통되어 온기 또는 냉기를 실내측으로 유도하는 덕트와, 이 덕트의 단부에 설치되어 풍향을 조절하는 에어벤트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 에어벤트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종래 에어벤트는, 인스트루먼트 패널(미도시)에 장착되는 케이스(10), 이 케이스(10)의 개방된 전방에 등 간격으로 상하 배치되는 다수의 수평 블레이드(20), 이 수평 블레이드(20) 후측에 등 간격으로 좌우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윙(30), 케이스(10)의 개방된 전방의 네 가장자리에 고정되도록 구비되어 수평 블레이드(20)과 수직윙(30)을 지지하는 스페이서(40)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 에어벤트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종래의 수평 블레이드(20) 장착 구조에 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수평 블레이드(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단부 일측에 회전축(21)이 돌출되어 있어 스페이서(40)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수평 블레이드(20)를 상하로 조작할 수 있도록 대략 중앙에 노브(22)가 구비되며, 단부 타측에는 스토퍼(2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스토퍼(23)는 수평 블레이드(20)가 임의로 회동하지 않고 사용자가 조작한 위치에 정지해 있을 수 있도록 수평 블레이드(20)의 작동력을 규제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서, 수평 블레이드(20)의 단부 타측에 돌출 형성된다.
한편, 스페이서(4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블레이드(20)의 회전축(21)이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결합 홀(41)이 등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중 어느 하나의 결합 홀(41)에 인접한 소정 부분에는 스토퍼(23)가 삽입되는 공간인 슬롯 홀(42)이 형성되어 있어, 이 슬롯 홀(42)에 형성된 공간을 따라 스토퍼(23)가 삽입되어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평 블레이드 장착 구조에 따르면, 사용자가 노브(22)를 상하로 조작하면, 수평 블레이드(20)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토퍼(23)가 슬롯 홀(42)에 형성된 공간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런 다음, 사용자가 조작을 멈추게 되면, 슬롯 홀(42) 상을 이동하던 스토퍼(23)는 그 이동을 멈추고 정지하며, 이에 따라 수평 블레이드(20)는 그 회동을 멈추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임의의 위치에 정지하게 된다.
여기서, 이와 같이 수평 블레이드(20)가 임의로 회동하지 않고 사용자가 조작한 위치에 정지해 있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스토퍼(23)와 스페이서(40) 사이에 충분한 마찰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스토퍼(23)가 슬롯 홀(42) 내부에서 스페이서(40)와 밀착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수평 블레이드(20)는 적절한 회동 억제력 에 의한 안정된 조작감을 갖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평 블레이드 장착 구조에 따르면, 스토퍼(23)가 슬롯 홀(42) 내부에서 스페이서(40)와 밀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스토퍼(23)가 슬롯 홀(42)에 정확히 맞물리게 삽입되도록 제작되어야 하므로, 공차 관리의 어려움으로 인해 부품 제조 과정이 까다롭고, 제조 비용이 많이 들며, 정확한 치수와 형상을 갖는 부품을 제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뿐 아니라, 반복된 조작으로 인한 스토퍼(23)와 스페이서(40)의 슬롯 홀(42) 부분에서의 마모에 의해 수평 블레이드(20)의 조작감이 떨어지게 되며, 더 나아가 수평 블레이드(20)가 회전 억제력을 잃고 사용자의 조작과 상관없이 임의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조작이 어려워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까다롭고 비용이 많이 드는 공차 관리를 거쳐 부품을 제조하지 않더라도, 스토퍼가 슬롯 홀 내부에서 스페이서와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블레이드가 안정된 조작감을 갖도록 할 뿐 아니라, 블레이드와 스페이서의 슬롯 홀 부분에서의 마모로 인해 수평 블레이드의 조작감이 저하될 염려가 없도록 하는 블레이드 작동력 규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 작동력 규제 장치는: 양단부의 일측에 돌출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공기의 흐름 방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를 조작하기 위하여 상기 블레이드 상에 설치된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벤트에 있어서, 상기 노브가 설치된 상기 블레이드 단부의 타측에 돌출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회동에 따라 이동하는 스토퍼와; 일측에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결합 홀이 다수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스토퍼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슬롯 홀이 형성된 스페이서; 및 상기 슬롯 홀에 삽입된 스토퍼와 상기 스페이서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스토퍼의 임의적인 이동을 억제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한다.
또는,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스토퍼 상에 고정되어 상기 스토퍼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슬롯 홀 내부를 미끄러져 이동하는 판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스토퍼 상에 고정되어 상기 스토퍼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슬롯 홀 내부를 미끄러져 이동하는 볼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 작동력 규제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수평 블레이드에 적용되는 블레이드 작동력 규제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작동력 규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토퍼 및 탄성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과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부재를 나타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작동력 규제 장치는, 블레이드(110) 및 블레이드(110) 상에 설치된 노브(22; 도 1 참조)를 구비하는 에어벤트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스토퍼(120)와, 스페이서(130) 및 탄성수단(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블레이드(110)는, 자동차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상하로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양단부의 일측에 돌출된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며, 노브(22)는 사용자가 블레이드(110)를 상하로 조작할 수 있도록 블레이드(110) 상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작동력 규제 장치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스토퍼(120)는 블레이드(110) 단부에 돌출된 것으로, 블레이드(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스페이서(130) 내부에 삽입되어 블레이드(110)의 회동에 따라 이동하는 것이다.
스페이서(130)는, 케이스(10; 도 1 참조)의 개방된 전방의 가장자리에 고정 되도록 구비되어 블레이드(110)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일측에 회전축(111)이 삽입되는 결합 홀(131)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스토퍼(120)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슬롯 홀(132)이 형성된다.
슬롯 홀(132)에 삽입된 스토퍼(120)와 스페이서(130) 사이에는 탄성수단(140)이 구비되는데, 이 탄성수단(140)은, 스토퍼(120)와 함께 슬롯 홀(132)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슬롯 홀(132) 내부에 형성된 스페이서(130)의 내주면(133)에 가압력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탄성수단(140)으로서 판 스프링이 적용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판 스프링 외에 볼 스프링과 같이 스페이서(130)의 내주면(133)에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을 가진 수단은 어느 것이나 적용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탄성수단(140)은, 스토퍼(120) 상에 고정결합하여 스토퍼(120)와 함께 슬롯 홀(132) 내부에 삽입되는데, 스토퍼(120)와 별도로 제작된 후 스토퍼(120)에 끼움 결합함으로써 스토퍼(12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수평 블레이드와 스페이서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작동력 규제 장치에 구비된 각 구성 요소의 작동 관계를 간략히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스토퍼(120)는, 블레이드(110) 단부 타측에 회전축(111)과 이격 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블레이드(110)가 회전축(111)을 중심으로 회동하면, 회전축(111)을 공전하는 궤도를 그리며 스페이서(130)에 형성된 슬롯 홀(132) 내부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스토퍼(120)는 슬롯 홀(132) 내부에서 스페이서(130)의 내주면(133)과 밀착되도록 형성될 필요가 없으며, 오히려 스페이서(130)의 내주면(133)과의 사이에 탄성부재(140)가 개재될 수 있는 소정의 여유공간이 생기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토퍼(120)와 스페이서(130)가 서로 정확히 맞물리도록 제작되지 않아도 되므로, 다시 말해, 각각 정확한 치수와 형상을 갖도록 제작되지 않아도 되므로, 까다로운 공차 관리를 통해 스토퍼(120) 및 스페이서(130)가 제작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블레이드를 장착하기 위한 각 부품의 제작 과정이 용이해지고 제작 비용이 저렴해지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스토퍼(120)와 스페이서(130) 사이에는 스토퍼(120)의 이동을 억제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140)이 개재되는데, 이 탄성수단(140)은 슬롯 홀(132) 내부에 형성된 스페이서(130)의 내주면(133)과 맞닿아 밀착됨으로써 스페이서(130)의 슬롯 홀(132) 내부에 형성된 내주면(133)에 가압력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탄성수단(140)은, 스페이서(130)의 내주면(133)과 맞닿게 되는 부분이 스페이서(130)의 내주면(133)에 대하여 오버랩(Overlap)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오버랩되는 정도는 0.2∼0.4㎜ 정도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탄성수단(140)은, 스페이서(130)의 슬롯 홀(132) 내부에 삽입되면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변형되어 스페이서(130)의 내주면(133)을 가압함으로써, 블 레이드가 임의로 회동하지 않고 사용자가 조작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스토퍼(120)와 스페이서(130)의 내주면(133) 사이에 탄성수단(14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까다로운 공차 관리를 통해 스토퍼(120) 및 스페이서(130)가 제작될 필요가 없게 되며, 사용자가 블레이드를 반복하여 상하로 조작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스토퍼(120)와 스페이서(130)의 내주면(133) 부분에서 마모에 대한 염려가 없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작동력 규제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의 반복된 조작으로 인해 스토퍼(120)와 스페이서(130)의 내주면(133) 부분에서 마모가 발생하더라도 마모된 탄성수단(140)만을 교체하면 되며, 스페이서(130) 내주면(133) 부분의 마모가 심할 때에는 오버랩되는 구간이 커지도록 탄성수단(140)의 크기를 달리하여 교체하면 되므로, 마모에 대한 염려 없이, 사용자가 블레이드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으면서도 블레이드를 사용자가 조작한 위치에 확실히 고정하는 안정된 조작감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수평 블레이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수직 블레이드와 같은 다른 블레이드에도 본 발명의 블레이드 작동력 규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벤트의 블레이드 장착 구조는, 탄성수단이 장착된 스토퍼를 스페이서 내부에 삽입함으로써, 스토퍼와 스페이서가 각각 정확한 치수와 형상을 갖도록 제작되지 않아도 되므로, 까다로운 공차 관리를 통해 제작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블레이드를 장착하기 위한 각 부품의 제작 과정이 용이해지고 제작 비용이 저렴해지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의 반복된 조작으로 인해 스토퍼와 스페이서의 내주면 부분에서 마모가 발생하더라도 마모된 탄성수단만을 교체하면 되며, 스페이서 내주면 부분의 마모가 심할 때에는 오버랩되는 구간이 커지도록 탄성수단의 크기를 달리하여 교체하면 되므로, 마모에 대한 염려 없이 안정된 조작감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양단부의 일측에 돌출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공기의 흐름 방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를 조작하기 위하여 상기 블레이드 상에 설치된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벤트에 있어서,
    상기 노브가 설치된 상기 블레이드 단부의 타측에 돌출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회동에 따라 이동하는 스토퍼와;
    일측에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결합 홀이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스토퍼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슬롯 홀이 형성된 스페이서; 및
    상기 슬롯 홀에 삽입된 스토퍼와 상기 스페이서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스토퍼의 임의적인 이동을 억제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작동력 규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스토퍼 상에 고정되어 상기 스토퍼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슬롯 홀 내부를 미끄러져 이동하는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작동력 규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스토퍼 상에 고정되어 상기 스토퍼의 이동에 따라 상기 슬롯 홀 내부를 미끄러져 이동하는 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드 작동력 규제 장치.
KR1020060103701A 2006-10-24 2006-10-24 블레이드 작동력 규제 장치 KR200800368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701A KR20080036883A (ko) 2006-10-24 2006-10-24 블레이드 작동력 규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701A KR20080036883A (ko) 2006-10-24 2006-10-24 블레이드 작동력 규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6883A true KR20080036883A (ko) 2008-04-29

Family

ID=39575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3701A KR20080036883A (ko) 2006-10-24 2006-10-24 블레이드 작동력 규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3688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487A (ko) * 2018-06-05 2019-12-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벤트
WO2021139961A1 (de) * 2020-01-09 2021-07-15 Dr. Schneider Kunststoffwerke Gmbh Luftdüse mit in einen aufnahmeraum einer lamelle eingesetztem federelement
US20220314747A1 (en) * 2021-04-01 2022-10-06 Hyundai Motor Company Slim air vent for vehic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487A (ko) * 2018-06-05 2019-12-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벤트
WO2021139961A1 (de) * 2020-01-09 2021-07-15 Dr. Schneider Kunststoffwerke Gmbh Luftdüse mit in einen aufnahmeraum einer lamelle eingesetztem federelement
US20220314747A1 (en) * 2021-04-01 2022-10-06 Hyundai Motor Company Slim air vent for vehicle
US11820205B2 (en) * 2021-04-01 2023-11-21 Hyundai Motor Company Slim air vent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86462A1 (en) Vent assembly with adjustable air guide vanes
US9046277B2 (en) Curved air vent
JP2013071616A (ja) 風向調整装置
CN111055657A (zh) 用于汽车的通风口
KR20080036883A (ko) 블레이드 작동력 규제 장치
JP5631123B2 (ja) 空気調和機
CN103363639B (zh) 出风机构、空调器和车辆
JP6079655B2 (ja) 空調用レジスタ
KR200457556Y1 (ko) 차량용 에어벤트
US11173770B2 (en) Register
KR101542853B1 (ko) 차량의 에어벤트
CN202494200U (zh) 出风机构、空调器和车辆
CN115139755A (zh) 出风装置及包括其的车辆
CN205026799U (zh) 空调器
JP3333922B2 (ja) ベンチレータのグリル回動構造
KR101982019B1 (ko) 상이한 작동 각을 구현하는 자동차용 에어벤트
JP2005199898A (ja) 車両用風向調整装置
KR101850756B1 (ko) 원형 에어벤트
CN218972897U (zh) 一种暖风机及其悬停结构
JP2017177979A (ja) レジスタ
KR102523593B1 (ko) 차량용 내부 패널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US20160272041A1 (en) Dampe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vehicle air-conditioning device
KR20100006368A (ko) 에어벤트
JP2019130991A (ja) 風向調整装置
CN211372725U (zh) 面框组件和具有其的窗式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