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3064A - 근육 트레이닝 방법 및 근육 트레이닝 시스템 - Google Patents

근육 트레이닝 방법 및 근육 트레이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3064A
KR20160043064A KR1020167006648A KR20167006648A KR20160043064A KR 20160043064 A KR20160043064 A KR 20160043064A KR 1020167006648 A KR1020167006648 A KR 1020167006648A KR 20167006648 A KR20167006648 A KR 20167006648A KR 20160043064 A KR20160043064 A KR 20160043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force
specific
belt
motion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6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0829B1 (ko
Inventor
요시아키 사토
Original Assignee
가아쯔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아쯔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아쯔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43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 A63B21/008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using pneumatic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8User-manipulated weights anchored at one e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7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upp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3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the user operating the resistance directly, without additional interface
    • A63B21/4025Resistance devices worn on the user'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09Involving a bending of elbow and shoulder join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Visualisation of specific exercise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8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 A63B2071/0661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arranged on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75Input for modifying training controls during workou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75Input for modifying training controls during workout
    • A63B2071/068Input by voice recogn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1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with adhesive type surfaces, i.e. hook and loop-type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사용자의 사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벨트를 권취하여 특정 가압력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의 근육의 혈류를 멈추는 일 없이 제한하면서, 사용자의 근육에 특정 중량의 부하를 부여하기 위한 부하 운동을 사용자에게 실시시키는 가압 운동 공정(S30, S50, S70, S90)과, 특정 가압력의 부여를 속행한 채, 부하 운동의 실시를 휴지시키는 운동 휴지 공정(S40, S60, S80, S100)을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사용자의 근육을 트레이닝하는 방법이며, 특정 중량을, 사용자의 최대 근력을 발휘시키는 것에 필요한 최대 중량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한다.

Description

근육 트레이닝 방법 및 근육 트레이닝 시스템 {MUSCLE TRAINING METHOD AND MUSCLE TRAINING SYSTEM}
본 발명은, 근육 트레이닝 방법 및 근육 트레이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적절한 혈류 제한에 의한 부하를 근육에 부여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근육의 증강을 행할 수 있는 가압 근력 트레이닝 방법이 제안되고, 실용화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근력 트레이닝 방법에 있어서는, 체결구로 사용자의 사지(팔이나 다리)의 소정 부위를 조여 근육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근육 증강 기구가 사용되고 있다.
일본 특허 제2670421호 공보
그런데, 근육을 증강시키기 위해서는, 뇌하수체로부터 통상 시보다 많은 성장 호르몬을 분비시킬 필요가 있고, 이것을 위해서는, 효율적으로 혈중 젖산 농도를 증대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 최근의 연구로부터 밝혀져 있다. 본원 발명자는, 상기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종래의 가압 근력 트레이닝 방법을 발전시키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극히 효율적으로 혈중 젖산 농도를 증대시켜 근육을 증강시킬 수 있는 방법을 새롭게 발견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복수의 사용자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가압 근력 트레이닝 방법을 일제히 실시하고 싶다고 하는 요청이 있다. 그러나, 가압 근력 트레이닝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가압 근력 트레이닝 방법을 숙지한 지도자(인스트럭터)가 사용자 한 사람 한 사람에게 벨트를 권취하고, 사용자 한 사람 한 사람에게 적정 가압력을 설정하여 부여하는 작업이 필요해지므로, 복수의 사용자에게 가압 근력 트레이닝 방법을 일제히 실시시키는 것은 곤란하였다. 이로 인해, 복수의 사용자로 이루어지는 그룹에 가압 근력 트레이닝 방법을 일제히 실시시키기 위한 시스템 구축이 이루어지길 바라고 있었다.
본 발명은, 극히 효율적으로 근육을 증강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은, 사용자의 사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벨트를 권취하여 특정 가압력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의 근육의 혈류를 멈추는 일 없이 제한하면서, 사용자의 근육에 특정 중량의 부하를 부여하기 위한 부하 운동을 사용자에게 실시시키는 가압 운동 공정과, 특정 가압력의 부여를 속행한 채, 부하 운동의 실시를 휴지시키는 운동 휴지 공정을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사용자의 근육을 트레이닝하는 방법이며, 특정 중량을, 사용자의 최대 근력을 발휘시키는 것에 필요한 최대 중량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채용하면, 가압 운동 공정에 있어서, 사용자의 사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특정 가압력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의 근육의 혈류를 멈추는 일 없이 제한하면서, 사용자의 근육에 특정 중량의 부하를 부여하기 위한 부하 운동을 사용자에게 실시시킬 수 있다. 이때, 특정 중량을, 사용자의 최대 근력을 발휘시키는 것에 필요한 최대 중량(사용자가 한 번밖에 부하 운동을 행할 수 없는 중량)보다 작은 값(예를 들어, 최대 중량의 20∼30%의 값)으로 설정하므로, 사용자에게 과대한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부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가압 운동 공정에 있어서는, 특정 가압력의 부여에 의해 사용자의 근육의 혈류가 적절하게 제한되므로, 특정 가압력을 부여하고 있지 않은 상태보다 혈중 젖산 농도를 높일 수 있고, 그 결과, 성장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가벼운 부하에서도 높은 근육 증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운동 휴지 공정에 있어서는, 부하 운동을 휴지시켜도 특정 가압력의 부여에 의한 적절한 혈류 제한을 속행할 수 있으므로, 외관상은 운동을 휴지하고 있는 것 같아도, 실제로는 혈중 젖산 농도가 저하되지 않는 상태를 의도적으로 만들어 낼 수 있어, 그 결과, 높은 근육 증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에 있어서, 특정 중량을, 최대 중량의 20∼3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의 근력 트레이닝에서는, 최대 중량의 70∼80%의 부하를 부여하기 위한 부하 운동을 복수 회 사용자에게 실시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러한 부하를 채용해도, 사용자가 느끼는 (육체적·정신적) 고통에 비해서는 혈중 젖산 농도를 효율적으로 높일 수 없는 것이 최근 밝혀졌다. 본원 발명의 발명자는, 특정 가압력의 부여에 의한 적절한 혈류 제한과, 비교적 가벼운 부하(최대 중량의 20∼30%의 부하)에서의 부하 운동을 조합함으로써, 사용자의 고통을 경감시키면서 효율적으로 혈중 젖산 농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에 있어서, 가압 운동 공정을 복수 회 실시할 때, 제1회째의 가압 운동 공정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를, 제2회째 이후의 가압 운동 공정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보다 많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회째의 가압 운동 공정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를, 제2회째 이후의 가압 운동 공정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보다 많게 설정함으로써, 본 방법의 실시 당초부터 극히 효율적으로 혈중 젖산 농도를 높일 수 있어, 근육 증강 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에 있어서, 제1회째의 가압 운동 공정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를 20∼60회(바람직하게는 25∼30회)로 설정하고, 제2회째의 가압 운동 공정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를 12∼15회(제1회째의 가압 운동 공정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의 1/2 이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가압 운동 공정을 3회 이상 실시할 때에는, 제3회째의 가압 운동 공정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를 7∼8회(제2회째의 가압 운동 공정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의 1/2 이하)로 설정할 수 있고, 또한 가압 운동 공정을 4회 실시할 때에는, 제4회째의 가압 운동 공정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를 2∼3회(제3회째의 가압 운동 공정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의 1/2 이하)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에 있어서, 가압 운동 공정에서 사용자의 팔에 벨트를 권취하여 특정 가압력을 부여하는 경우에, 운동 휴지 공정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휴지 시간을 10∼20초(예를 들어, 15초)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의 팔에 특정 가압력을 부여하는 경우에, 부하 운동의 휴지 시간을 특정 시간(10∼20초)으로 설정함으로써, 더욱 높은 근육 증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사용자의 팔에 특정 가압력을 부여하는 경우에 있어서, 부하 운동의 휴지 시간이 10초 미만이면 사용자는 운동을 휴지한 기분이 들지 않아, 그 후의 부하 운동에의 의욕이 생기지 않게 되고, 부하 운동의 휴지 시간이 20초를 초과하면, 혈류 제한 상태가 비교적 길게 계속됨으로써 그 후의 부하 운동이 육체적으로 곤란해지므로, 모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에 있어서, 가압 운동 공정에서 사용자의 다리에 벨트를 권취하여 특정 가압력을 부여하는 경우에, 운동 휴지 공정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휴지 시간을 25∼35초(예를 들어 30초)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의 다리에 특정 가압력을 부여하는 경우에, 부하 운동의 휴지 시간을 특정 시간(25∼35초)으로 설정함으로써, 더욱 높은 근육 증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사용자의 다리에 특정 가압력을 부여하는 경우에 있어서, 부하 운동의 휴지 시간이 25초 미만이면 사용자는 운동을 휴지한 기분이 들지 않아, 그 후의 부하 운동에의 의욕이 생기지 않게 되고, 부하 운동의 휴지 시간이 35초를 초과하면, 혈류 제한 상태가 비교적 길게 계속됨으로써 그 후의 부하 운동이 육체적으로 곤란해지므로, 모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에 있어서, 특정 가압력을 설정하기 위한 가압력 설정 공정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력 설정 공정은, 사용자의 사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벨트를 권취하여 특정 장착압으로 벨트를 장착하는 장착 공정과, 특정 장착압보다 높은 가압력을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가압 공정과, 가압 공정에서 부여한 가압력을 제거하여 특정 장착압까지 복귀시키는 제압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가압 공정에 있어서의 가압력의 값을 직전의 가압 공정에 있어서의 가압력의 값보다 크게 설정하면서 가압 공정 및 제압 공정을 교대로 복수 회씩 반복하여 실시하고, 가압 공정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바닥의 색이 적색 내지 적갈색으로 되었을 때의 가압력을 특정 가압력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채용하면, 개인차나 사용자의 컨디션을 고려하면서, 사용자에게 있어서 적정한 특정 가압력을 안전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적정한 특정 가압력을 찾을 때, 약간 낮은 압으로부터 서서히 설정압을 올리면서 가압과 제압을 반복함으로써, 그 과정에서 혈관을 강화할 수도 있다. 본원 발명의 발명자는, 사용자의 손바닥이 적색 내지 적갈색으로 되었을 때의 가압력으로 특정 부하 운동을 행하면 가장 근육 증강 효과가 높아지는 것을, 오랜 연구에 의해 발견하였다. 본 방법에서는, 사용자의 손바닥이 적색 내지 적갈색으로 되었을 때의 가압력을 특정 가압력으로서 설정함으로써, 높은 근육 증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시스템은, 가스 주머니를 갖고, 사용자의 사지의 특정 부분에 권취된 상태에서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양에 기초한 가압력을 특정 부분에 부여하도록 구성되는 벨트와, 벨트의 가스 주머니에 대한 기체의 공급량 및 배출량을 제어함으로써 벨트가 특정 부분에 부여하는 가압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며, 제어 장치는, 본 발명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에 있어서의 특정 가압력을 벨트로 특정 부분에 부여하도록 벨트의 가스 주머니에 대한 기체의 공급량 및 배출량을 제어하는 급배 제어부를 갖고, 급배 제어부는, 벨트에 장착 가능한 크기를 갖는 하우징에 수납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벨트에 장착 가능한 크기를 갖는 비교적 소형의 제어 장치를 벨트에 장착하고, 제어 장치의 급배 제어부에서 벨트의 가스 주머니에 대한 기체의 공급량 및 배출량을 제어함으로써, 특정 가압력을 벨트로 사용자의 특정 부분에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벨트와 제어 장치로 이루어지는 세트를 복수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에게 일제히 특정 가압력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그룹에서의 근육 트레이닝(그룹 레슨)을 실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 장치는, 특정 가압력을 기록하는 정보 기록부를 가질 수 있고, 급배 제어부는, 정보 기록부로부터 판독한 특정 가압력을 벨트로 특정 부분에 부여하도록 벨트의 가스 주머니에 대한 기체의 공급량 및 배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사용자마다의 특정 가압력을 미리 정보 기록부에 기록시켜 둘 수 있고, 정보 기록부로부터 판독한 특정 가압력을 사용하여 기체의 공급량 및 배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자리에서 특정 가압력을 입력하는 수고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 장치는, 외부 장치에서 설정된 특정 가압력을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를 가질 수 있고, 정보 기록부는,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한 특정 가압력을 기록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외부 장치에서 설정된 특정 가압력을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하고, 수신한 특정 가압력을 정보 기록부에 기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특정 가압력의 갱신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 장치는, 특정 가압력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가질 수 있고, 정보 기록부는, 입력부에서 입력한 특정 가압력을 기록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특정 가압력을 입력부에서 입력하고, 입력한 특정 가압력을 정보 기록부에 기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특정 가압력의 갱신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시스템에 있어서, 정보 기록부를, 하우징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정보 기록부를 하우징으로부터 제거하고, 외부 장치를 사용하여 정보 기록부에 특정 가압력을 기입하고, 특정 가압력이 기입된 정보 기록부를 하우징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가압력의 갱신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 장치는, 특정 가압력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가질 수 있고, 급배 제어부는, 입력부에서 입력된 특정 가압력을 벨트로 특정 부분에 부여하도록 벨트의 가스 주머니에 대한 기체의 공급량 및 배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특정 가압력을 입력부에서 입력하고, 입력한 특정 가압력을 사용하여 기체의 공급량 및 배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장치에 정보 기록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어 장치의 구성을 간소화하고, 제어 장치의 저렴화를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에 설치된 정보 기록부에 특정 가압력이 미리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사용자의 컨디션 등에 따라서 특정 가압력을 임기응변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 장치는, 특정 부분에 소정의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 동작과, 가압 동작에 의해 특정 부분에 부여된 가압력을 제거하는 제압 동작을 교대로 반복하도록 벨트가 특정 부분에 부여하는 가압력의 제어를 행할 수 있고, 복수 회의 가압 동작을 실현시킬 때, 각 가압 동작에 있어서의 가압력을 직전의 가압 동작에 있어서의 가압력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본 발명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의 준비 운동이 되는 가압/제압 프로그램을, 제어 장치를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인스트럭터의 작업 부담을 대폭 경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극히 효율적으로 근육을 증강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에서 사용되는 벨트의 평면도(외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벨트의 저면도(내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벨트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벨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에서 사용되는 가압/제압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에 있어서의 가압 설정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에 있어서 설정되는 장착압 및 적정압을 대상자마다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에서 사용되는 벨트의 평면도(외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에서 사용되는 장착식 제어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것으로, (A)는 표면측으로부터 본 경우의 사시도, (B)는 이면측으로부터 본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에서 사용되는 장착식 제어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에서 사용되는 장착식 제어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된 메뉴 화면의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에서 사용되는 장착식 제어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된 장착압 확인 화면의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에서 사용되는 장착식 제어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된 패스 코드 입력 화면의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에서 사용되는 장착식 제어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된 가압력 입력 화면의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에서 사용되는 장착식 제어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된 장착압 확인 화면의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에서 사용되는 장착식 제어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된 서브 메뉴 화면의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에서 사용되는 장착식 제어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된 팔용의 특정 가압력 입력 화면의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에서 사용되는 장착식 제어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된 팔용의 가압/제압 프로그램 화면의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에서 사용되는 장착식 제어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된 팔용의 가압/제압 프로그램 종료 화면의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에서 사용되는 장착식 제어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된 장착압 확인 화면의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에서 사용되는 장착식 제어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된 서브 메뉴 화면의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에서 사용되는 장착식 제어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된 팔용의 가압 모니터 화면의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을 채용한 경우의 근육 증강 효과와, 통상의 근육 트레이닝 방법을 채용한 경우의 근육 증강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각 실시 형태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을, 「가압 트레이닝」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제1 실시 형태>
먼저, 도 1∼도 8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가압 트레이닝)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1∼도 5를 사용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가압 트레이닝에서 사용되는 벨트(1) 및 가압/제압 제어 장치(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벨트(1)의 외면(외측에 노출되는 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벨트(1)의 내면(근육 측의 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벨트(1)의 측면도이다.
벨트(1)는, 사용자(P)(도 4)의 사지 중 적어도 하나에 권취되어 근육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띠 형상의 부재이며, 예를 들어 신축성을 갖는 소재(바람직하게는 네오프렌 고무)로 구성되어 있다. 벨트(1)가 권취되는 부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팔의 근원부의 부근(도 4) 또는 다리의 근원부의 부근 중, 외부로부터 조임을 행함으로써 혈류를 멈추는 일 없이 제한하는 것에 적절한 부분을 채용할 수 있다.
벨트(1)의 외면(외측에 노출되는 면)(2)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면 파스너(10)가 설치되어 있다. 면 파스너(10)는, 근육에 가압력을 부여한 상태에 있어서의 벨트(1)의 루프 형상을 유지하는 것이다. 면 파스너(10)를 설치하는 위치는 벨트(1)의 길이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벨트(1)의 내면(3)에 면 파스너(10)를 설치해도 된다.
벨트(1)의 한쪽 단부(1a)에는, 연결 부재(20)를 통해 버클(30)이 장착되어 있다. 버클(30)은, 벨트(1)의 체결 시에 벨트의 다른 쪽 단부(1b)를 통과시켜 벨트(1)를 되접기 위한 것이다. 연결 부재(20)는 벨트(1)의 한쪽 단부(1a)와 버클(30)을 연결하기 위한 부재이며, 예를 들어 인공 피혁 등의 가요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되어 있다.
벨트(1)의 내부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가스 주머니가 설치되어 있다. 가스 주머니는, 기밀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망셰트에 사용되는 고무 주머니와 마찬가지의 신축성을 구비한 고무로 가스 주머니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가스 주머니의 소재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소재를 적절하게 선택하면 충분하다. 가스 주머니의 길이는, 반드시 그렇게 할 필요는 없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벨트(1)가 권취되는 부분의 외주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가스 주머니의 폭 치수는, 벨트(1)가 권취되는 부분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하면 된다.
가스 주머니에는, 가스 주머니 내부와 연통되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접속구가 설치되어 있고, 예를 들어 고무 튜브 등의 적당한 관에 의해 구성되는 접속관(200)(도 5)을 통해, 가압/제압 제어 장치(100)(도 5)와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접속구를 통해, 가스 주머니 내에 기체(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기)가 송입되거나 또는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가 외부로 빠지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벨트(1)를 복수(더욱 상세하게는 4개) 채용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벨트(1)를 4개로 하고 있는 것은, 근육 트레이닝을 행하는 사람의 양손, 양발에 대해 가압을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벨트(1)의 수는 반드시 4개일 필요는 없고, 1개 이상이면 몇 개라도 상관없다. 팔용의 벨트(1)와 다리용의 벨트(1)는 반드시 동일 수일 필요는 없다. 복수 명에 대해 한 번에 가압 트레이닝을 행하는 경우에는, 벨트(1)는 4개를 초과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벨트(1)의 길이는, 가압 트레이닝을 행하는 사람의 벨트(1)가 권취되는 부분의 외주의 길이에 따라서 결정하면 된다. 벨트(1)의 길이는, 권취되는 부분의 외주의 길이보다 길면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팔용의 벨트(1)의 길이는, 가압 트레이닝을 행하는 사람의 팔의 권취되는 부분의 외주의 길이가 26㎝인 것을 고려하여 결정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40㎝로 되어 있다. 또한, 다리용의 벨트(1)의 길이는, 가압 트레이닝을 행하는 사람의 다리의 권취되는 부분의 외주의 길이가 45㎝인 것을 고려하여 결정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70㎝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벨트(1)의 폭 치수는, 벨트(1)가 권취되는 부분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하면 된다. 예를 들어, 팔용의 벨트(1)이면 폭 치수를 2.5∼3㎝의 범위 내로 설정할 수 있고, 다리용의 벨트(1)이면 폭 치수를 5∼6㎝의 범위 내로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팔용의 벨트(1)를 사용자(P)의 팔의 근원부에 권취하여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팔용의 벨트(1)를 사용자(P)의 팔의 근원부에 장착할 때에는, 먼저 벨트(1)를 팔의 근원부에 권취하여 루프 형상을 만들고,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벨트(1)의 한쪽 단부(1a)에 장착된 버클(30)에 벨트(1)의 다른 쪽 단부(1b)를 통과시켜 벨트(1)를 되접고, 버클(30)에 통과시킨 벨트(1)의 다른 쪽 단부(1b)를 파지하면서 벨트(1)를 체결한다. 그리고, 벨트(1)의 체결에 의해 소정의 가압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면 파스너(10)를 이용하여 벨트(1)의 루프 형상을 유지한다. 이에 의해, 소정의 가압력이 원하는 근육에 부여된 상태에서 벨트(1)가 사용자(P)의 팔의 근원부에 장착되게 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벨트(1)를 사용자(P)의 팔의 근원부에 장착한 상태에서 가스 주머니에 공기가 송입되면, 벨트(1)가 근육을 조여, 가압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반대로, 그 상태에서 가스 주머니 내의 공기가 빠지면, 벨트(1)가 근육에 부여하는 가압력이 작아진다.
가압/제압 제어 장치(100)는, 가스 주머니에 기체를 공급함과 함께, 가스 주머니로부터 기체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또한, 가압/제압 제어 장치(100)는, 가스 주머니에 기체를 공급하거나, 혹은 기체를 제거하는 것에 대한 제어를 행한다. 가스 주머니에 기체를 공급함과 함께, 가스 주머니로부터 기체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상술한 자동적인 제어를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면, 가압/제압 제어 장치(100)의 구성은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일례로 되는 가압/제압 제어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 도 5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제압 제어 장치(100)는 4개의 펌프(110)와, 제어부(12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압/제압 제어 장치(100)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고, 그 내부에 펌프(110) 및 제어부(120)를 내장하도록 되어 있다. 케이스의 외측에는, 제어부(120)에 접속되는 입력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만, 그 도시는 생략한다.
4개의 펌프(110)는, 4개의 벨트(1)와 각각 대응되어 있다. 펌프(110)는, 그 주위에 있는 기체(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기)를 도입하고, 이것을, 펌프 접속구(111)를 통해 외부로 보내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펌프(110)는 또한, 밸브(112)를 구비하고 있고, 밸브(112)를 개방함으로써, 펌프(110)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4개의 펌프(110)는 모두, 펌프 접속구(111)를 구비하고 있고, 이것에 접속된 접속관(200)과, 접속구(111)를 통해, 벨트(1)에 설치된 가스 주머니에 접속되어 있다. 펌프(110)가 기체를 보내면, 가스 주머니에 기체가 공급되고, 펌프(110)가 밸브(112)를 개방하면 가스 주머니로부터 기체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밸브(112)는 반드시 펌프(110)에 설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펌프(110)로부터 가스 주머니에 이르는 경로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있으면 충분하다.
펌프(110)에는 또한, 도시하지 않은 압력계가 내장되어 있고, 그것에 의해 펌프(110) 내의 기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펌프(110) 내의 기압은, 당연히 가스 주머니 내의 기압과 동등하다. 이 가스 주머니 내의 기압은, 벨트(1)가 근육에 부여하는 가압력에 상당하는 것이다.
제어부(120)는, 펌프(110)를 제어하는 것이다. 제어부(120)는, 압력계에서 측정된 펌프(110) 내의 기압이 소정의 설정값으로 되도록, 밸브(112)를 폐쇄한 상태에서 펌프(110)를 구동시켜 공기를 벨트(1)의 가스 주머니로 보내거나, 혹은 펌프(110)가 구비하는 밸브(112)를 개방하여 가스 주머니 내의 공기를 뺀다고 하는 제어를 행한다. 즉, 제어부(120)는, 밸브(112)의 개폐를 포함한 펌프(110)의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가압 트레이닝의 지도자(인스트럭터)가 입력 장치에서 입력 조작을 행하여 압력을 설정하고 제어부(120)를 기동시킴으로써, 제어부(120)가 펌프(110)를 구동 제어하여, 벨트(1)의 가스 주머니 내의 기압을 그 설정값에 일치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6 및 도 7의 흐름도 및 도 8의 테이블 등을 사용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가압 트레이닝)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가압 트레이닝)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P)(도 4)의 사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벨트(1)를 권취하여 특정 가압력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P)의 근육의 혈류를 멈추는 일 없이 제한하면서, 사용자(P)의 근육에 특정 중량의 부하를 부여하기 위한 부하 운동을 사용자(P)에게 복수 회 실시시키는 가압 운동 공정(S30 등)과, 특정 가압력의 부여를 속행한 채, 부하 운동의 실시를 휴지시키는 운동 휴지 공정(S40 등)을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사용자(P)의 근육을 증강시키는 방법이다. 이하, 각 공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가압 운동 공정(S30 등)을 실시하기 전에, 사용자(P)의 사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여되는 특정 가압력을 설정한다(가압력 설정 공정: S10). 여기서, 가압력 설정 공정(S10)에 대해, 도 7의 흐름도 및 도 8의 테이블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가압력 설정 공정(10)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처음에, 사용자(P)의 사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벨트(1)를 권취하여, 특정 장착압으로 벨트(1)를 장착한다(장착 공정: S11). 특정 장착압은, 사용자(P)의 연령이나 운동 경험 등에 따라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8의 테이블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1)를 팔에 장착하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P)가 고령자(70세 이상)인 경우에는 특정 장착압을 15∼20mmHg로 설정하고, 사용자(P)가 중노년(50세 이상 69세 이하)인 경우에는 특정 장착압을 20∼30mmHg로 설정하고, 사용자(P)가 일반(49세 이하)인 경우에는 특정 장착압을 30∼30mmHg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벨트(1)를 다리에 장착하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P)가 운동 경험이 풍부한 선수인 경우에는, 특정 장착압을 50∼60mmHg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장착 공정(S11)에서는, 인스트럭터가 가압/제압 제어 장치(100)의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특정 장착압을 설정하고, 가압/제압 제어 장치(100)의 제어부(120)를 기동시킨다. 이에 의해, 제어부(120)가 펌프(110)를 구동 제어하고, 가스 주머니 내의 기압(벨트(1)가 근육에 부여하는 가압력)을 그 특정 장착압에 일치시킬 수 있다.
장착 공정(S11)에 이어서, 특정 장착압보다 높은 가압력을 사용자(P)에게 부여한다(가압 공정: S12). 최초의 가압 공정(S12)에서 부여하는 가압력의 값은, 벨트(1)를 팔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특정 장착압보다 10mmHg 정도 높은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벨트(1)를 다리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특정 장착압보다 20mmHg 정도 높은 값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 공정(S12)에 있어서도, 인스트럭터가 가압/제압 제어 장치(100)의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가압력의 값을 설정하고, 가압/제압 제어 장치(100)의 제어부(120)를 기동시킴으로써, 벨트(1)가 근육에 부여하는 가압력을 그 설정값에 일치시킬 수 있다.
이어서, 가압 공정(S12)에 있어서 사용자(P)의 손바닥(또는 발등)의 색이 적색 내지 적갈색으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판정 공정: S13). 판정 공정(S13)에 있어서 사용자(P)의 손바닥(발등)의 색이 아직 핑크색인 경우에는, 가압 공정(S12)에서 부여한 가압력을 제거하여 특정 장착압까지 복귀시키고(제압 공정: S14), 가압력의 설정값을 상승시킨 후(설정압 상승 공정: S15), 가압 공정(S12)을 다시 실시한다. 설정압 상승 공정(S15)에서 상승시키는 가압력은, 벨트(1)를 팔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10mmHg 정도로 하고, 벨트(1)를 다리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20mmHg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압 공정(S14)에 있어서는, 인스트럭터가 가압/제압 제어 장치(100)의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제어부(120)에 제압을 행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게 함으로써, 제압을 행할 수 있다. 설정압 상승 공정(S15)에 있어서는, 인스트럭터가 가압/제압 제어 장치(100)의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가압력의 값을 설정하고, 가압/제압 제어 장치(100)의 제어부(120)를 기동시킴으로써, 벨트(1)가 근육에 부여하는 가압력을 그 설정값에 일치시킬 수 있다.
그 후, 판정 공정(S13)에 있어서 사용자(P)의 손바닥(발등)의 색이 적색 내지 적갈색으로 될 때까지 가압 공정(S12), 제압 공정(S14) 및 설정압 상승 공정(S15)을 복수 회씩 반복하여 실시하고, 판정 공정(S13)에 있어서 사용자(P)의 손바닥(발등)의 색이 적색 내지 적갈색으로 된 경우에는, 그때의 가압력을 특정 가압력으로서 설정한다(설정 공정: S16).
이들 공정군을 거쳐 설정되는 특정 가압력은, 도 8의 테이블에 나타내어져 있는 「적정압」의 범위 내에 거의 들어가는 것이 본원 발명의 발명자의 연구에 의해 밝혀져 있다. 예를 들어, 벨트(1)를 팔에 장착하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P)가 고령자(70세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공정 군을 거쳐 설정되는 특정 가압력은 40∼60mmHg의 범위 내에 거의 들어간다. 단, 사용자(P)의 컨디션 등에 따라 특정 가압력은 변화되므로, 도 8에 나타내어진 값에 좌우되는 일 없이, 어디까지나 판정 공정(S13)에 의한 판정(사용자(P)의 손바닥의 색이 적색 내지 적갈색으로 되었는지 여부)을 거쳐 특정 가압력을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원 발명의 발명자는, 사용자(P)의 손바닥(발등)이 적색 내지 적갈색으로 되었을 때의 가압력으로 가압 트레이닝을 행하면 가장 근육 증강 효과가 있는 것을, 오랜 연구에 의해 발견하였다. 또한, 본원 발명의 발명자는, 사용자(P)의 손바닥이 핑크색으로 되었을 때의 가압력은 특정 가압력보다 낮은 값이고, 사용자(P)의 손바닥이 자색으로 되었을 때에는 지혈 직전의 상태이고, 사용자(P)의 손바닥이 백색으로 되었을 때는 지혈 상태이며 신속하게 제압을 행할 필요가 있는 것도 발견하였다. 또한, 본원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손바닥의 색에 의한 특정 가압력 판정 방법이 사용자(P)의 인종에 관계없이 유효한 것도 발견하였다.
사용자(P)의 손바닥의 색의 판정은, 인스트럭터의 육안 확인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P)의 손바닥의 색을 인식하는 장치(화상 처리 장치 등)를 사용하여 사용자(P)의 손바닥의 색을 판정해도 된다.
가압력 설정 공정(S10)을 거쳐 사용자(P)의 특정 가압력을 설정한 후에,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P)의 사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벨트(1)를 권취하여 장착한다(벨트 장착 공정: S20). 그리고, 가압력 설정 공정(S10)에서 설정한 특정 가압력을 사용자(P)에게 부여함으로써 사용자(P)의 근육의 혈류를 멈추는 일 없이 제한하면서, 사용자(P)의 근육에 특정 중량의 부하를 부여하기 위한 부하 운동을 사용자(P)에게 실시시킨다(제1 가압 운동 공정: S30). 제1 가압 운동 공정(S30)에 있어서는, 인스트럭터가 가압/제압 제어 장치(100)의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특정 가압력을 설정하고, 가압/제압 제어 장치(100)의 제어부(120)를 기동시킴으로써, 벨트(1)가 근육에 부여하는 가압력을 그 설정한 특정 가압력에 일치시킬 수 있다.
부하 운동으로서는, 예를 들어 팔의 경우에는, 한쪽 팔로 잡은 덤벨(D)(도 4)을 들어올리는 덤벨 컬 운동이나, 옆으로 누운 자세인 채로 양손으로 바벨을 들어올리는 벤치 프레스 운동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사용자(P)의 근육에 부여되는 특정 중량(예를 들어, 부하 운동이 덤벨 컬 운동인 경우에는 덤벨의 중량)은, 사용자(P)의 최대 근력을 발휘시키는 것에 필요한 최대 중량(사용자(P)가 한 번밖에 부하 운동을 행할 수 없는 중량)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된다. 특히, 특정 중량을 최대 중량의 20∼30%의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가압 운동 공정(S30)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예를 들어, 부하 운동이 덤벨 컬 운동인 경우에는 덤벨을 들어올리는 횟수)는 20∼60회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25∼30회로 설정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1 가압 운동 공정(S30)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는, 후술하는 제2 가압 운동 공정(S50) 이후의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보다 많게 설정된다.
제1 가압 운동 공정(S30)은, 혈중 젖산 농도를 높게 하는 환경을 만들어 내기 위한 예비 운동을 행하는 공정이다. 사용자(P)가 비선수(운동 경험이 비교적 적은 사람)인 경우에는, 특정 가압력이 부여된 상태에서 부하 운동을 25∼30회 정도 행하게 함으로써, 충분히 혈중 젖산 농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을 본원 발명의 발명자는 발견하였다. 한편, 사용자(P)가 운동 경험이 풍부한 선수인 경우에는, 특정 가압력이 부여된 상태에서 부하 운동을 비교적 많이 실시하지 않으면 혈중 젖산 농도를 충분히 높일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선수에게는, 부하 운동을 예를 들어 40∼60회 행하게 하도록 한다.
제1 가압 운동 공정(S30)을 거친 후, 특정 가압력의 부여를 속행한 채, 부하 운동의 실시를 휴지시킨다(제1 운동 휴지 공정: S40). 제1 가압 운동 공정(S30)에 있어서 팔에 특정 가압력을 부여하는 경우에는, 제1 운동 휴지 공정(S40)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휴지 시간을 10∼20초(예를 들어, 15초)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가압 운동 공정(S30)에 있어서 다리에 특정 가압력을 부여하는 경우에는, 제1 운동 휴지 공정(S40)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휴지 시간을 25∼35초(예를 들어, 30초)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운동 휴지 공정(S40)을 거친 후, 제1 가압 운동 공정(S30)과 마찬가지로 특정 가압력을 사용자(P)에게 부여하면서, 사용자(P)의 근육에 특정 중량의 부하를 부여하기 위한 부하 운동을 사용자(P)에게 실시시킨다(제2 가압 운동 공정: S50). 제2 가압 운동 공정(S50)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는, 제1 가압 운동 공정(S30)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의 1/2 이하(예를 들어, 12∼15회)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가압 운동 공정(S50)을 거친 후, 특정 가압력의 부여를 속행한 채, 부하 운동의 실시를 휴지시킨다(제2 운동 휴지 공정: S60). 제2 운동 휴지 공정(S60)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휴지 시간은, 제1 운동 휴지 공정(S40)과 마찬가지로 설정된다.
제2 운동 휴지 공정(S60)을 거친 후, 제1 가압 운동 공정(S30)과 마찬가지로 특정 가압력을 사용자(P)에게 부여하면서, 사용자(P)의 근육에 특정 중량의 부하를 부여하기 위한 부하 운동을 사용자(P)에게 실시시킨다(제3 가압 운동 공정: S70). 제3 가압 운동 공정(S70)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는, 제2 가압 운동 공정(S50)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의 1/2 이하(예를 들어, 7∼8회)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가압 운동 공정(S70)을 거친 후, 특정 가압력의 부여를 속행한 채, 부하 운동의 실시를 휴지시킨다(제3 운동 휴지 공정: S80). 제3 운동 휴지 공정(S80)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휴지 시간은, 제1 운동 휴지 공정(S40)과 마찬가지로 설정된다.
제3 운동 휴지 공정(S80)을 거친 후, 제1 가압 운동 공정(S30)과 마찬가지로 특정 가압력을 사용자(P)에게 부여하면서, 사용자(P)의 근육에 특정 중량의 부하를 부여하기 위한 부하 운동을 사용자(P)에게 실시시킨다(제4 가압 운동 공정: S90). 제4 가압 운동 공정(S90)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는, 제3 가압 운동 공정(S70)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의 1/2 이하(예를 들어, 2∼3회)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가압 운동 공정(S90)을 거친 후, 특정 가압력의 부여를 속행한 채, 부하 운동의 실시를 휴지시킨다(제4 운동 휴지 공정: S100). 제4 운동 휴지 공정(S100)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휴지 시간은, 제1 운동 휴지 공정(S40)과 마찬가지로 설정된다. 이 후, 사용자(P)로부터 벨트(1)를 제거하고(벨트 제거 공정: S110), 가압 트레이닝을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에 있어서는, 가압 운동 공정(S30, S50, S70, S90)에 있어서, 사용자(P)의 사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특정 가압력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P)의 근육의 혈류를 멈추는 일 없이 제한하면서, 사용자(P)의 근육에 특정 중량의 부하를 부여하기 위한 부하 운동을 사용자(P)에게 실시시킬 수 있다. 이때, 특정 중량을, 사용자(P)의 최대 근력을 발휘시키는 것에 필요한 최대 중량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하므로, 사용자(P)에게 과대한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부상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가압 운동 공정(S30, S50, S70, S90)에 있어서는, 특정 가압력의 부여에 의해 사용자(P)의 근육의 혈류가 적절하게 제한되므로, 특정 가압력을 부여하고 있지 않은 상태보다 혈중 젖산 농도를 높일 수 있고, 그 결과, 성장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가벼운 부하에서도 높은 근육 증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운동 휴지 공정(S40, S60, S80, S100)에 있어서는, 부하 운동을 휴지시켜도 특정 가압력의 부여에 의한 적절한 혈류 제한을 속행할 수 있으므로, 외관상은 운동을 휴지하고 있는 것 같아도 실제로는 혈중 젖산 농도가 저하되지 않는 상태를 의도적으로 만들어 낼 수 있고, 그 결과, 높은 근육 증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에 있어서는, 가압 운동 공정(S30, S50, S70, S90)에서 채용하는 특정 중량을, 최대 중량의 20∼30%로 설정하고 있으므로, 더욱 높은 근육 증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통상의 근력 트레이닝에서는, 최대 중량의 70∼80%의 부하를 부여하기 위한 부하 운동을 복수 회 사용자(P)에게 실시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러한 부하를 채용해도, 사용자(P)가 느끼는 (육체적·정신적) 고통에 비해서는 혈중 젖산 농도를 효율적으로 높일 수 없는 것이 최근에 명백해졌다. 본원 발명의 발명자는, 특정 가압력의 부여에 의한 적절한 혈류 제한과, 비교적 가벼운 부하(최대 중량의 20∼30%의 부하)에서의 부하 운동을 조합함으로써, 사용자(P)의 고통을 경감시키면서 효율적으로 혈중 젖산 농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또한,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에 있어서는, 제1 가압 운동 공정(S30)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를, 제2 가압 운동 공정(S50)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보다 많게 설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본 방법의 실시 당초부터 극히 효율적으로 혈중 젖산 농도를 높일 수 있어, 근육 증강 효과를 한층 높일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에 있어서는, 사용자(P)의 팔에 특정 가압력을 부여하는 경우에, 부하 운동의 휴지 시간을 특정 시간(10∼20초)으로 설정함으로써, 더욱 높은 근육 증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팔에 특정 가압력을 부여하는 경우에 있어서, 부하 운동의 휴지 시간이 10초 미만이면, 사용자(P)는 운동을 휴지한 기분이 들지 않아, 그 후의 부하 운동에의 의욕이 생기지 않게 되고, 부하 운동의 휴지 시간이 20초를 초과하면, 혈류 제한 상태가 비교적 길게 계속됨으로써 그 후의 부하 운동이 육체적으로 곤란해지므로, 모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사용자(P)의 다리에 특정 가압력을 부여하는 경우에, 부하 운동의 휴지 시간을 특정 시간(25∼35초)으로 설정함으로써, 더욱 높은 근육 증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리에 특정 가압력을 부여하는 경우에 있어서, 부하 운동의 휴지 시간이 25초 미만이면 사용자(P)는 운동을 휴지한 기분이 들지 않아, 그 후의 부하 운동에의 의욕이 생기지 않게 되고, 부하 운동의 휴지 시간이 35초를 초과하면, 혈류 제한 상태가 비교적 길게 계속됨으로써 그 후의 부하 운동이 육체적으로 곤란해지므로, 모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에 있어서는, 개인차나 사용자(P)의 컨디션을 고려하면서, 사용자(P)에게 있어서 적정한 특정 가압력을 안전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적정한 특정 가압력을 찾을 때, 약간 낮은 압으로부터 서서히 설정압을 올리면서 가압과 제압을 반복함으로써, 그 과정에서 혈관을 강화할 수도 있다. 본원 발명의 발명자는, 사용자(P)의 손바닥이 적색 내지 적갈색으로 되었을 때의 가압력으로 특정한 부하 운동을 행하면 가장 근육 증강 효과가 높아지는 것을, 오랜 연구에 의해 발견하였다. 본 방법에서는, 사용자(P)의 손바닥이 적색 내지 적갈색으로 되었을 때의 가압력을 특정 가압력으로서 설정함으로써, 높은 근육 증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9∼도 24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가압 트레이닝)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가압 트레이닝은, 제1 실시 형태에서 사용한 가압/제압 제어 장치(100)와는 다른 장치(장착식 제어 장치(100A)를 포함하는 근육 트레이닝 시스템)를 사용하여 실시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당해 시스템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9∼도 11을 사용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가압 트레이닝에서 사용되는 근육 트레이닝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근육 트레이닝 시스템은, 벨트(1A)와, 장착식 제어 장치(100A)를 구비하고 있다. 도 9는, 벨트(1A)의 외면(외측에 노출되는 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벨트(1A)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벨트(1)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사지 중 적어도 하나에 권취되어 근육에 가압력을 부여하는 띠 형상의 부재이며, 그 내부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가스 주머니가 설치되어 있다. 벨트(1A) 및 가스 주머니를 구성하는 재료나 벨트(1A) 및 가스 주머니의 폭·길이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벨트(1A)의 외면에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벨트(1)와 마찬가지로, 면 파스너(1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벨트(1A)의 한쪽 단부(1a)에는, 연결 부재(20A)를 통해 버클(30)이 장착되어 있다. 버클(30)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것과 마찬가지이다. 연결 부재(20A)는, 벨트(1A)의 한쪽 단부(1a)와 버클(30)을 연결하기 위한 부재이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인공 피혁 등의 가요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결 부재(20A)에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식 제어 장치(100A)를 장착시키는 장착부(21A)가 설치되어 있고, 장착부(21A)에는, 장착식 제어 장치(100A)의 접속구(111A)(도 10의 (B))에 접속되는 벨트측 접속구(22A)가 설치되어 있다. 벨트측 접속구(22A)는, 가스 주머니 내부에 연통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벨트측 접속구(22A)를 통해, 가스 주머니 내에 기체(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기)가 송입되거나, 또는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가 외부로 빠지게 된다.
예를 들어 팔용의 벨트(1A)를 사용자의 팔의 근원부에 장착할 때에는, 제1 실시 형태(도 4)와 마찬가지로, 먼저 벨트(1A)를 팔의 근원부(특정 부분)에 권취하여 루프 형상을 만들고, 벨트(1A)의 한쪽 단부(1a)에 장착된 버클(30)에 벨트(1)의 다른 쪽 단부(1b)를 통과시켜 벨트(1A)를 되접고, 버클(30)에 통과시킨 벨트(1A)의 다른 쪽 단부(1b)를 파지하면서 벨트(1A)를 조인다. 그리고, 벨트(1A)의 조임에 의해 소정의 가압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면 파스너(10)를 사용하여 벨트(1A)의 루프 형상을 유지한다. 이에 의해, 소정의 가압력이 원하는 근육에 부여된 상태에서 벨트(1A)가 사용자의 팔 근원부에 장착되게 된다. 벨트(1A)를 사용자의 팔의 근원부(특정 부분)에 장착한 상태에서 가스 주머니로 공기가 송입되면, 벨트(1A)가 근육을 조여, 가압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반대로, 그 상태에서 가스 주머니 내의 공기가 빠지면, 벨트(1A)가 근육에 부여하는 가압력이 작아진다.
장착식 제어 장치(100A)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가압/제압 제어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벨트(1A)에 설치된 가스 주머니에 대한 기체의 공급량 및 배출량을 제어함으로써, 벨트(1A)가 사용자의 특정 부분에 부여하는 가압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도 10의 (A)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장착식 제어 장치(100A)를 표면측(표시부(116A) 측)으로부터 본 경우의 사시도이고, (B)는 장착식 제어 장치(100A)를 이면측(접속구(111A) 측)으로부터 본 경우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장착식 제어 장치(100A)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장착식 제어 장치(100A)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가압 트레이닝)에 있어서의 특정 가압력을 벨트(1A)로 특정 부분에 부여하도록 벨트(1A)의 가스 주머니에 대한 기체의 공급량 및 배출량을 제어하는 급배 제어부(펌프(110A) 및 제어부(120A))를 갖고 있다. 펌프(110A) 및 제어부(120A)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나타내는 하우징(101A)에 수납되어 있다. 하우징(101A)은, 벨트(1A)의 장착부(21A)에 장착 가능한 크기(예를 들어, 세로 7∼8㎝, 가로 약 4∼5㎝, 두께 약 2∼3㎝)를 갖고 있다. 또한, 하우징(101A)의 형상은 직육면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벨트(1A)에 장착 가능한 다른 형상을 채용할 수도 있다.
장착식 제어 장치(100A)의 펌프(110A)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펌프(110)와 마찬가지로, 그 주위에 있는 기체(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기)를 도입하고, 이것을, 접속구(111A)를 통해 외부로 보내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펌프(110A)는, 또한 밸브(112A)를 구비하고 있고, 밸브(112A)를 개방함으로써, 펌프(110A) 내부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펌프(110A)는, 접속구(111A)(도 10의 (B))를 갖고 있고, 이것에 접속되는 벨트측 접속구(22A)(도 9)를 통해, 벨트(1A)에 설치된 가스 주머니와 접속된다. 펌프(110A)가 기체를 보내면 가스 주머니에 기체가 공급되고, 펌프(110A)가 밸브(112A)를 개방하면 가스 주머니로부터 기체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밸브(112A)는 반드시 펌프(110A)에 설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펌프(110A)로부터 가스 주머니에 이르는 경로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있으면 충분하다. 또한, 펌프(110A)에는, 도시하지 않은 압력계가 내장되어 있고, 그것에 의해 펌프(110A) 내의 기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펌프(110A) 내의 기압은, 당연히 가스 주머니 내의 기압과 동등하다. 이 가스 주머니 내의 기압은, 벨트(1A)가 근육에 부여하는 가압력에 상당하는 것이다.
장착식 제어 장치(100A)의 제어부(120A)는, 펌프(110A)를 제어하는 것이다. 제어부(120A)는, 압력계에서 측정된 펌프(110A) 내의 기압이 소정의 설정값으로 되도록, 밸브(112A)를 폐쇄한 상태에서 펌프(110A)를 구동시켜 공기를 벨트(1A)의 가스 주머니로 보내거나, 혹은 펌프(110A)가 구비하는 밸브(112A)를 개방하여 가스 주머니 내의 공기를 뺀다고 하는 제어를 행한다. 즉, 제어부(120A)는, 밸브(112A)의 개폐를 포함한 펌프(110A)의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장착식 제어 장치(100A)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종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정보 기록부(113A)를 갖고 있다. 정보 기록부(113A)는, 사용자마다의 특정 가압력 등의 각종 정보를 기록할 수 있고, 또한 기록한 정보를 소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120A)는, 정보 기록부(113A)로부터 판독한 특정 가압력을 벨트(1A)로 특정 부분에 부여하도록 벨트(1A)의 가스 주머니에 대한 기체의 공급량 및 배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정보 기록부(113A)로서, 하우징(101A)에 대해 착탈 가능한 메모리 카드를 채용하고 있다. 정보 기록부(113A)로서의 메모리 카드를 하우징(101A)으로부터 제거하고, 도시하지 않은 외부 장치(본체)를 사용하여 메모리 카드에 특정 가압력을 기입하고, 특정 가압력이 기입된 메모리 카드를 하우징(101A)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가압력을 수시로 갱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장착식 제어 장치(100A)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종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정보 송수신부(114A)를 갖고 있다. 정보 송수신부(114A)는, 도시하지 않은 외부 장치에서 설정된 특정 가압력 등의 각종 정보를 수신하거나, 가압 트레이닝의 실시 이력 등의 각종 정보를 외부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정보 기록부(113A)는, 정보 송수신부(114A)에서 수신한 특정 가압력 등의 각종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장착식 제어 장치(100A)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종 정보의 입력을 행하기 위한 조작 입력부(115A)를 갖고 있다. 조작 입력부(115A)는, 각종 동작 지령을 입력하거나, 특정 가압력 등의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정보 기록부(113A)는, 조작 입력부(115A)에서 입력한 특정 가압력 등의 각종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A)는, 조작 입력부(115A)에서 입력된 특정 가압력을 벨트(1A)로 특정 부분에 부여하도록 벨트(1A)의 가스 주머니에 대한 기체의 공급량 및 배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장착식 제어 장치(100A)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출력)하기 위한 표시부(116A)를 갖고 있다. 표시부(116A)는, 조작 입력부(115A)에 의해 입력된 특정 가압력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표시부(116A)로서, 도 10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1A)의 일 표면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을 채용하고 있다. 이 표시 화면은, 조작 입력부(115A)로서도 기능하는 터치 패널로 되어 있다. 또한,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16A) 대신에(또는 표시부(116A)와 함께), 각종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를 설치해도 된다. 또한, 각종 동작 지령을 음성으로 입력할 수 있는 조작 입력부(115A)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장착식 제어 장치(100A)는, 특정 부분에 소정의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 동작과, 가압 동작에 의해 특정 부분에 부여된 가압력을 제거하는 제압 동작을 교대로 반복하도록 벨트(1A)가 특정 부분에 부여하는 가압력의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장착식 제어 장치(100A)의 제어부(120A)는, 소정의 동작 지령이 입력되면, 펌프(110A)를 구동 제어하여 가스 주머니에 기체를 공급하거나(가압 동작), 밸브(112A)를 개방하여 가스 주머니로부터 기체를 제거하거나(제압 동작) 할 수 있다. 또한, 장착식 제어 장치(100A)는, 복수 회의 가압 동작을 실현시킬 때, 각 가압 동작에 있어서의 가압력을 직전의 가압 동작에 있어서의 가압력보다 높게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도 12∼도 24를 사용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시스템을 사용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가압 트레이닝)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가압 트레이닝)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사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벨트(1A)를 권취하여 특정 가압력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의 근육의 혈류를 멈추는 일 없이 제한하면서, 사용자의 근육에 특정 중량의 부하를 부여하기 위한 부하 운동을 사용자에게 복수 회 실시시키는 가압 운동 공정(도 12, S30A 등)과, 특정 가압력의 부여를 속행한 채, 부하 운동의 실시를 휴지시키는 운동 휴지 공정(도 12, S40A 등)을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사용자의 근육을 증강시키는 방법이다. 이하, 각 공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가압 운동 공정(도 12, S30A 등)을 실시하기 전에, 가압 트레이닝의 인스트럭터는, 사용자의 사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여되는 특정 가압력을 설정한다(가압력 설정 공정: S10A).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가압력 설정 공정(S10A)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가압력 설정 공정(S10)(도 7)과 마찬가지의 공정 등을 채용하여, 미리 사용자마다 특정 가압력을 설정해 두는 것으로 한다.
가압력 설정 공정(S10A)에 이어서, 인스트럭터는, 사용자의 사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벨트(1A)를 권취하여 장착함과 함께, 벨트(125A)의 장착부(21A)에 장착식 제어 장치(100A)를 장착한다(도 12, 시스템 장착 공정: S20A). 시스템 장착 공정(S20A)에 있어서는, 벨트(1A)의 벨트측 접속구(22A)에, 장착식 제어 장치(100A)의 접속구(111A)를 접속한다. 또한, 시스템 장착 공정(S20A)에 있어서, 인스트럭터는, 예를 들어 제1 실시 형태의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적절한 장착압으로 벨트(1A)가 사용자에게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장착압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는, 장착압을 적절한 값으로 설정함과 함께, 가압력 설정 공정(S10A)에서 설정한 특정 가압력을 장착식 제어 장치(100A)에 입력한다. 이하, 도 13∼도 16을 사용하여, 장착압의 확인·설정 및 특정 가압력의 입력의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장착식 제어 장치(100A)의 표시부(116A)에 표시된 메뉴 화면을 나타내는 것이다. 조작 입력부(115A)(터치 패널)로서도 기능하는 이 메뉴 화면에는, 「가압력 입력」, 「가압/제압 프로그램 시작」, 「가압 트레이닝 시작」 및 「패스 코드 변경」이라고 각각 명명된 조작 입력용 버튼이 표시되어 있고, 이들 중 「가압력 입력」 버튼을 누름 조작하면, 도 14에 도시하는 장착압 확인 화면이 표시된다. 도 14의 화면에 있어서의 「장착압 확인」이라고 명명된 조작 입력용 버튼을 누름 조작하면, 「실제의 장착압」이라고 표시된 모니터 프레임의 내부에, 벨트(1A)의 현재의 장착압(장착식 제어 장치(100A)의 압력계에서 계측된 값)이 표시된다. 도 14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왼팔의 실제의 장착압이 10mmHg라고 표시되고, 오른팔의 실제 장착압이 12mmHg라고 표시되어 있다. 표시된 실제의 장착압이 적절한 값보다 낮은 경우에는, 인스트럭터는 벨트(1A)를 다시 조여, 적절한 값까지 장착압을 상승시킨다. 한편, 표시된 실제의 장착압이 적절한 값보다 높은 경우에는, 인스트럭터는, 도 14의 화면에 있어서의 「릴리스」라고 명명된 조작 입력용 버튼을 누름 조작하여 장착식 제어 장치(100A)의 밸브(112A)를 개방하여 공기를 뺌으로써, 적절한 값까지 장착압을 하강시킨다.
상기 순서를 거쳐 장착압을 적절한 값으로 설정한 후, 도 14의 화면에 있어서의 「가압력 입력」이라고 명명된 조작 입력용 버튼을 누름 조작하면, 도 15에 나타내는 패스 코드 입력 화면이 표시된다. 인스트럭터가, 자신에게 할당된 패스 코드를, 도 15의 화면에 표시된 텐 키를 누름 조작하여 입력하면, 도 16에 나타내는 가압력 입력 화면이 표시된다. 도 16의 화면에는, 「팔」, 「다리」, 「좌」, 「우」라고 각각 명명된 조작 입력용 버튼이 표시되어 있고, 인스트럭터는, 이들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누름 조작함으로써, 입력 대상이 되는 부위(예를 들어, 오른팔)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인스트럭터는, 도 16의 화면에 있어서 「상」, 「하」라고 명명된 조작 입력용 버튼을 누름 조작함으로써, 입력 대상으로 되는 부위마다 특정 가압력을 입력한다. 도 1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왼팔 및 왼팔의 특정 가압력이 모두 150mmHg라고 입력되어 있다. 어느 대상 부위의 특정 가압력의 입력을 종료하면, 도 16의 화면에 있어서 「결정」이라고 명명된 조작 입력용 버튼을 누름 조작하여, 다음 대상 부위의 특정 가압력의 입력을 행한다. 그리고, 모든 대상 부위의 특정 가압력의 입력을 종료하면, 도 16의 화면에 있어서 「종료」라고 명명된 조작 입력용 버튼을 누름 조작하여, 특정 가압력의 입력을 종료한다. 도 16의 「종료」 버튼이 누름 조작되면, 도 13의 메뉴 화면이 표시된다. 입력된 특정 가압력은, 장착식 제어 장치(100A)의 정보 기록부(113A)에 기록되고, 후술하는 가압 운동 공정에서 사용되게 된다.
벨트·장치 장착 공정(S20A)에 이어서, 가압 트레이닝의 준비 운동이 되는 「가압/제압 프로그램」을 실시한다(도 12, 가압/제압 실시 공정: S25A). 이하, 도 13 및 도 17∼도 21을 사용하여, 가압/제압 실시 공정(S25A)의 실시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3의 메뉴 화면에 있어서의 「가압/제압 프로그램 시작」 버튼을 누름 조작하고, 도 17에 나타내는 장착압 확인 화면을 표시한다. 도 17의 장착압 확인 화면에서는, 도 14의 화면과 마찬가지로, 「장착압 확인」이라고 명명된 조작 입력용 버튼을 누름 조작하면, 「실제의 장착압」이라고 표시된 모니터 프레임의 내부에, 벨트(1A)의 현재의 장착압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도 17의 화면에 있어서의 「가압/제압 프로그램 시작」이라고 명명된 조작 입력용 버튼을 누름 조작하면, 도 18에 나타내는 서브 메뉴 화면이 표시된다. 인스트럭터가, 도 18의 화면에 있어서 「팔용 가압/제압 프로그램 시작」이라고 명명된 조작 입력용 버튼을 누름 조작하면, 도 19에 나타내는 팔용의 특정 가압력 입력 화면이 표시된다. 인스트럭터는, 도 19의 화면에 있어서의 「좌」, 「우」 버튼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누름 조작함으로써, 입력 대상이 되는 부위(예를 들어, 오른팔)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인스트럭터는, 도 19의 화면에 표시된 텐 키를 누름 조작함으로써 입력 대상이 되는 부위마다 특정 가압력을 입력한다. 입력된 특정 가압력은, 도 19의 「특정 가압력」이라고 표시된 모니터 프레임의 내부에 표시된다. 그 후, 인스트럭터가, 도 19의 화면에 있어서 「시작」이라고 명명된 조작 입력용 버튼을 누름 조작하면, 도 20에 나타내는 팔용의 가압/제압 프로그램 화면이 표시된다.
도 20에 나타내는 팔용 가압/제압 프로그램 화면이 표시되면, 장착식 제어 장치(100A)의 제어부(120A)는, 가압과 제압을 교대로 복수 회 반복하도록 펌프(110A) 및 밸브(112A)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팔의 특정 가압력이 150mmHg라고 입력된 경우에는, 제어부(120A)는, 제1회째의 가압력을 자동적으로 70mmHg로 설정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예를 들어 10∼20초) 가압을 행하고, 그 후 가압력을 제거하여 장착압까지 복귀시킨다(스텝 1). 그 후, 제어부(120A)는, 제2회째의 가압력을 80mmHg로 설정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가압을 행하고, 그 후 가압력을 제거하여 장착압까지 복귀시킨다(스텝 2). 제어부(120A)는, 이와 같이 10mmHg씩 가압력을 상승시키면서, 가압/제압을 제8회째까지 반복한다(스텝 3∼8). 제8회째의 가압력은, 입력된 특정 가압력(150mmHg)과 동일해진다. 제어부(120A)는, 제8회째의 가압을 종료하면 자동적으로 도 21에 나타내는 종료 화면을 표시시켜, 사용자 및 인스트럭터에게 가압/제압 프로그램의 종료를 알린다. 다리용 가압/제압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가압/제압 실시 공정(S25A)에 계속해서, 가압 운동 공정(도 12, S30A 등)과, 운동 휴지 공정(도 12, S40A 등)을 교대로 반복하여 실시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가압 운동 공정(S30A, S50A, S70A, S90A) 및 운동 휴지 공정(S40A, S60A, S80A, S100A)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가압 운동 공정(S30, S50, S70, S90) 및 운동 휴지 공정(S40, S60, S80, S100)과 각각 실질적으로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들 가압 운동 공정 및 운동 휴지 공정을 실시할 때, 장착식 제어 장치(100A)의 표시부(116A)에 표시되는 정보에 대해, 도 13 및 도 22∼도 2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3의 메뉴 화면에 있어서의 「가압 트레이닝 시작」 버튼을 누름 조작하여, 도 22에 나타내는 장착압 확인 화면을 표시한다. 도 22의 장착압 확인 화면에서는, 도 14의 화면과 마찬가지로, 「장착압 확인」이라고 명명된 조작 입력용 버튼을 누름 조작하면, 「실제의 장착압」이라고 표시된 모니터 프레임의 내부에, 벨트(1A)의 현재의 장착압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도 22의 화면에 있어서의 「가압 트레이닝 시작」이라고 명명된 조작 입력용 버튼을 누름 조작하면, 도 23에 나타내는 서브 메뉴 화면이 표시된다. 인스트럭터가, 도 23의 화면에 있어서 「팔용 가압 트레이닝 시작」이라고 명명된 조작 입력용 버튼을 누름 조작하면, 도 24에 나타내는 팔용의 가압 모니터 화면이 표시된다. 도 24의 화면에 있어서 「특정 가압력」이라고 표시된 모니터 프레임의 내부에는, 시스템 장착 공정(S20A)에서 입력된 특정 가압력이 표시된다. 한편, 「실제의 가압력」이라고 표시된 모니터 프레임의 내부에는, 가압 운동 공정 및 운동 휴지 공정에서 실제로 부여되어 있는 가압력이 표시된다. 인스트럭터는, 이 가압 모니터 화면에 표시된 정보에 기초하여, 가압 운동 공정 및 운동 휴지 공정에서 정상적으로 가압이 행해지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리용의 가압 운동 공정 및 운동 휴지 공정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로부터 벨트(1A) 및 장착식 제어 장치(100A)를 제거하고(시스템 제거 공정: S110A), 가압 트레이닝을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에 의하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시스템에 있어서는, 비교적 소형의 장착식 제어 장치(100A)를 벨트(1A)에 장착하고, 장착식 제어 장치(100A)의 급배 제어부(펌프(110A) 및 제어부(120A))에서 벨트(1A)의 가스 주머니에 대한 기체의 공급량 및 배출량을 제어함으로써, 특정 가압력을 벨트(1A)로 사용자의 특정 부분에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벨트(1A)와 장착식 제어 장치(100A)의 세트를 복수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에게 일제히 특정 가압력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그룹에서의 근육 트레이닝(그룹 레슨)을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시스템에 있어서는, 사용자마다의 특정 가압력을 조작 입력부(115A)에 입력하고, 입력한 특정 가압력을 정보 기록부(113A)에 기록시켜, 정보 기록부(113A)로부터 판독한 특정 가압력을 사용하여 기체의 공급량 및 배출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특정 가압력을 조작 입력부(115A)에 입력하고, 입력한 특정 가압력을 사용하여 기체의 공급량 및 배출량을 제어할 수도 있으므로, 정보 기록부(113A)에 특정 가압력이 미리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사용자의 컨디션 등에 따라서 특정 가압력을 임기응변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시스템에 있어서는, 가압 트레이닝의 준비 운동이 되는 가압/제압 프로그램을, 장착식 제어 장치(100A)를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인스트럭터의 작업 부담을 대폭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상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가압 운동 공정 및 운동 휴지 공정을 4회씩 실시한 예를 나타냈지만, 가압 운동 공정 및 운동 휴지 공정의 실시 횟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가압 운동 공정 및 운동 휴지 공정을 3회(또는 5회) 실시할 수도 있다. 이때에도, 제1회째의 가압 운동 공정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를, 제2회째 이후의 가압 운동 공정의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보다 많게 설정하도록 한다.
<실시예>
다음으로, 도 25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12명의 피험자(남성 6명, 여성 6명)에게 각각, 본 발명에 관한 근육 트레이닝 방법(가압 트레이닝)과, 통상의 근육 트레이닝 방법(이하, 「통상 트레이닝」이라고 함)의 양쪽을 실시시키고, 양쪽의 트레이닝 중에 각 피험자의 상완 삼두근 및 흉근의 주위 길이를 근전도로 측정하여 평균값을 취득하고, 가압 트레이닝과 통상 트레이닝에 의해 어느 정도 근육 증대 효과가 다른지를 비교하였다.
<가압 트레이닝>
먼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압 트레이닝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압 트레이닝을 행할 때, 네오프렌 고무로 구성되는 벨트(1)(길이 70㎝, 폭 3.0cm)를 구비하는 팔용의 벨트(1)를 채용하였다. 가스 주머니(길이 25㎝, 폭 3.0cm)로서는 시판되는 고무 주머니를 채용하고, 면 파스너(10)로서는 시판되는 매직 테이프(등록 상표)를 채용하고, 접속관(200)으로서는 시판되는 고무 튜브를 채용하였다. 또한, 가압/제압 제어 장치(100)(펌프(110) 및 제어 장치(120))로서는, 다쿠미 덴시사제의 제품(상품명: 「가압 마스터」)를 채용하는 것으로 하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먼저, 각 피험자의 특정 가압력을 설정하였다(가압력 설정 공정 S10). 가압력 설정 공정(S10)에 있어서는, 각 피험자의 팔의 근원부에 벨트(1)를 권취하여 60mmHg의 장착압으로 벨트(1)를 장착하고(장착 공정 S11), 그 장착압보다 20mmHg 높은 가압력을 각 피험자에게 30초간 부여하고(가압 공정 S12), 그 후 제압하고(제압 공정 S14), 장착압을 10초간 유지한 후, 가압력의 설정값을 20mmHg만큼 상승시킨 후(설정압 상승 공정 S15), 가압 공정(S12)을 다시 실시하고, 이들 공정을 각 피험자의 손바닥 색이 적색 내지 적갈색으로 될 때까지 반복하여 실시하였다.
이어서, 각 피험자의 팔의 근원부에 벨트(1)를 권취하여 장착하고(벨트 장착 공정 S20), 가압력 설정 공정(S10)에서 설정한 특정 가압력을 각 피험자에게 부여함으로써 각 피험자의 근육의 혈류를 멈추는 일 없이 제한하면서, 각 피험자의 근육에 특정 중량의 부하를 부여하기 위한 부하 운동을 각 피험자에게 실시시켰다(제1 가압 운동 공정 S30).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부하 운동으로서, 옆으로 누운 자세인 채로 양손으로 바벨을 들어올리는 벤치 프레스 운동을 채용하였다. 각 피험자의 근육에 부여되는 특정 중량(바벨의 중량)은 미리 측정한 각 피험자의 최대 중량(각 피험자가 한 번밖에 바벨을 들어올릴 수 없는 중량)의 30%의 값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본원 발명의 발명자의 연구에 의하면, 특정 가압력을 부여한 상태에서의 부하 운동을 25∼30회 정도 행하면, 각 피험자의 혈중 젖산 농도는 충분히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가압 운동 공정(S30)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목표 실시 횟수(바벨을 들어올리는 횟수)를 30회로 설정하였다. 또한, 도 25의 (A) 및 도 25의 (B)의 횡축에 나타낸 횟수(30회)는, 12명의 피험자의 평균값이며, 실제의 실시 횟수는 피험자마다 다르다(30회를 초과하여 실시할 수 있었던 피험자도 있는가 하면, 30회 미만밖에 실시할 수 없었던 피험자도 있음).
제1 가압 운동 공정(S30)에 이어서, 특정 가압력의 부여를 속행한 채 부하 운동의 실시를 휴지시켰다(제1 운동 휴지 공정 S40).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운동 휴지 공정(S40)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휴지 시간을 30초로 설정하였다.
제1 운동 휴지 공정(S40)에 이어서, 특정 가압력을 각 피험자에게 부여하면서, 각 피험자의 근육에 특정 중량의 부하를 부여하기 위한 부하 운동을 각 피험자에게 실시시켰다(제2 가압 운동 공정 S50). 제2 가압 운동 공정(S50)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목표 실시 횟수는, 제1 가압 운동 공정(S30)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목표 실시 횟수의 1/2(15회)로 설정하였다. 도 25의 (A) 및 도 25의 (B)의 횡축에 나타낸 횟수(15회)는 12명의 피험자의 평균값이며, 실제의 실시 횟수는 피험자마다 다르다. 그 후, 특정 가압력의 부여를 속행한 채 부하 운동의 실시를 휴지시켰다(제2 운동 휴지 공정 S60). 제2 운동 휴지 공정(S60)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휴지 시간은, 제1 운동 휴지 공정(S40)과 동일(30초)하게 설정하였다.
제2 운동 휴지 공정(S60)에 이어서, 특정 가압력을 각 피험자에게 부여하면서, 각 피험자의 근육에 특정 중량의 부하를 부여하기 위한 부하 운동을 각 피험자에게 실시시켰다(제3 가압 운동 공정 S70). 제3 가압 운동 공정(S70)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목표 실시 횟수는, 제2 가압 운동 공정(S50)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목표 실시 횟수의 1/2 이하(7회)로 설정하였다. 도 25의 (A) 및 도 25의 (B)의 횡축에 나타낸 횟수(7회)는 12명의 피험자의 평균값이며, 실제의 실시 횟수는 피험자마다 다르다. 그 후, 특정 가압력의 부여를 속행한 채, 부하 운동의 실시를 휴지시켰다(제3 운동 휴지 공정 S80). 제3 운동 휴지 공정(S80)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휴지 시간은, 제1 운동 휴지 공정(S40)과 동일(30초)하게 설정하였다.
제3 운동 휴지 공정(S80)에 이어서, 특정 가압력을 각 피험자에게 부여하면서, 각 피험자의 근육에 특정 중량의 부하를 부여하기 위한 부하 운동을 각 피험자에게 실시시켰다(제4 가압 운동 공정 S90). 제4 가압 운동 공정(S90)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목표 실시 횟수는, 제3 가압 운동 공정(S70)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목표 실시 횟수의 1/2 이하(3회)로 설정하였다. 도 25의 (A) 및 도 25의 (B)의 횡축에 나타낸 횟수(3회)는 12명의 피험자의 평균값이며, 실제의 실시 횟수는 피험자마다 다르다. 그 후, 특정 가압력의 부여를 속행한 채, 부하 운동의 실시를 휴지시켰다(제4 운동 휴지 공정 S100). 제4 운동 휴지 공정(S100)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휴지 시간은, 제1 운동 휴지 공정(S40)과 동일(30초)하게 설정하였다. 이 후, 각 피험자로부터 벨트(1)를 제거하고(벨트 제거 공정 S110), 가압 트레이닝을 종료하였다.
<통상 트레이닝>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통상 트레이닝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압 트레이닝과 통상 트레이닝의 차이점은, 가압 트레이닝에서는 각 피험자에게 벨트(1)를 사용하여 특정 가압력을 부여하고 있는 것에 반해, 통상 트레이닝에서는 각 피험자에게 특정 가압력을 부여하고 있지 않은 것이다.
통상 트레이닝에 있어서는, 먼저, 각 피험자에게 특정 가압력을 부여하는 일 없이, 각 피험자의 근육에 특정 중량의 부하를 부여하기 위한 부하 운동을 각 피험자에게 실시시켰다(제1 운동 공정). 부하 운동으로서는, 가압 트레이닝과 마찬가지인 벤치 프레스 운동을 채용하였다. 각 피험자의 근육에 부여되는 특정 중량(바벨의 중량)도 가압 트레이닝과 마찬가지로 최대 중량의 30%의 값으로 설정하고,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바벨을 들어올리는 횟수)도 가압 트레이닝과 마찬가지로 30회로 설정하였다. 이어서, 부하 운동의 실시를 휴지시켰다(제1 운동 휴지 공정). 제1 운동 휴지 공정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휴지 시간이나, 가압 트레이닝과 마찬가지로 30초로 설정하였다.
제1 운동 휴지 공정에 이어서, 각 피험자에게 특정 가압력을 부여하는 일 없이, 제2회째의 부하 운동을 각 피험자에게 실시시켰다(제2 운동 공정). 제2 운동 공정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는, 가압 트레이닝의 제2 가압 운동 공정(S50)과 마찬가지로 15회로 설정하였다. 그 후, 부하 운동의 실시를 휴지시켰다(제2 운동 휴지 공정). 제2 운동 휴지 공정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휴지 시간도 30초로 설정하였다.
제2 운동 휴지 공정에 이어서, 각 피험자에게 특정 가압력을 부여하는 일 없이, 제3회째의 부하 운동을 각 피험자에게 실시시켰다(제3 운동 공정). 제3 운동 공정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는, 가압 트레이닝의 제3 가압 운동 공정(S70)과 마찬가지로 7회로 설정하였다. 그 후, 부하 운동의 실시를 휴지시켰다(제3 운동 휴지 공정). 제3 운동 휴지 공정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휴지 시간도 30초로 설정하였다.
제3 운동 휴지 공정에 이어서, 각 피험자에게 특정 가압력을 부여하는 일 없이, 제4회째의 부하 운동을 각 피험자에 실시시켰다(제4 운동 공정). 제4 운동 공정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는, 가압 트레이닝의 제4 가압 운동 공정(S90)과 마찬가지로 3회로 설정하였다. 그 후, 부하 운동의 실시를 휴지시켰다(제4 운동 휴지 공정). 제4 운동 휴지 공정에 있어서의 부하 운동의 휴지 시간도 30초로 설정하였다. 이 후, 각 피험자로부터 벨트(1)를 제거하고(벨트 제거 공정), 통상 트레이닝을 종료하였다.
도 25의 (A)는, 양쪽의 트레이닝의 각 운동 공정 실시 시에 각 피험자의 「상완 삼두근」의 주위 길이의 평균값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25의 (B)는 양쪽의 트레이닝의 각 운동 공정 실시 시에 각 피험자의 「흉근」의 주위 길이의 평균값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5의 (A) 및 도 25의 (B)에 있어서, 횡축은 시간(각 운동 공정)을, 종축은 측정 주위 길이(최대 주위 길이(최대 중량 부여시의 주위 길이)에 대한 비율)의 평균값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가압 트레이닝을 행한 경우에는, 통상 트레이닝을 행한 경우와 비교하여, 상완 삼두근 및 흉근의 주위 길이가 유의하게 증가하고 있는 것이 도 25의 (A) 및 도 25의 (B)로부터 명백하다. 예를 들어, 가압 트레이닝의 제4 가압 운동 공정(S90)(특정 가압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부하 운동을 3회 실시한 공정)과, 통상 트레이닝의 제4 운동 공정(특정 가압력 없이 부하 운동을 3회 실시한 공정)을 비교하면, 가압 트레이닝에 있어서는 상완 삼두근 및 흉근의 양쪽의 주위 길이가 최대 주위 길이의 60∼70%에 도달하고 있는 것에 반해, 통상 트레이닝에 있어서는 이들 양쪽의 주위 길이가 최대 주위 길이의 50% 정도에 도달해 있는 것에 불과하다.
본 발명은, 이상의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 실시 형태에 당업자가 적절하게 설계 변경을 가한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구비하고 있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즉, 상기 각 실시 형태가 구비하는 각 요소 및 그 배치, 재료, 조건, 형상, 사이즈 등은,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가 구비하는 각 요소는, 기술적으로 가능한 한에 있어서 조합할 수 있고, 이들을 조합한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포함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1A : 벨트
100A : 장착식 제어 장치
101A : 하우징
110A : 펌프(급배 제어부)
113A : 정보 기록부
114A : 정보 송수신부
115A : 조작 입력부
120A : 제어부(급배 제어부)
S10·S10A : 가압력 설정 공정
S11 : 장착 공정
S12 : 가압 공정
S14 : 제압 공정
S30·S30A : 제1 가압 운동 공정
S40·S40A : 제1 운동 휴지 공정
S50·S50A : 제2 가압 운동 공정
S60·S60A : 제2 운동 휴지 공정
S70·S70A : 제3 가압 운동 공정
S80·S80A : 제3 운동 휴지 공정
S90·S90A : 제4 가압 운동 공정
S100·S100A : 제4 운동 휴지 공정
P : 사용자

Claims (23)

  1. 사용자의 사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벨트를 권취하여 특정 가압력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근육의 혈류를 멈추는 일 없이 제한하면서, 상기 사용자의 근육에 특정 중량의 부하를 부여하기 위한 부하 운동을 상기 사용자에게 실시시키는 가압 운동 공정과,
    상기 특정 가압력의 부여를 속행한 채, 상기 부하 운동의 실시를 휴지시키는 운동 휴지 공정을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근육을 트레이닝하는 방법이며,
    상기 특정 중량을, 상기 사용자의 최대 근력을 발휘시키는 것에 필요한 최대 중량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하는, 근육 트레이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중량을, 상기 최대 중량의 20∼30%로 설정하는, 근육 트레이닝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운동 공정을 복수 회 실시할 때, 제1회째의 상기 가압 운동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를, 제2회째 이후의 상기 가압 운동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보다 많게 설정하는, 근육 트레이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제1회째의 상기 가압 운동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를, 20∼60회로 설정하는, 근육 트레이닝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제1회째의 상기 가압 운동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를,
    25∼30회로 설정하는, 근육 트레이닝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제2회째의 상기 가압 운동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를, 12∼15회로 설정하는, 근육 트레이닝 방법.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제2회째의 상기 가압 운동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를, 제1회째의 상기 가압 운동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의 1/2 이하로 설정하는, 근육 트레이닝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운동 공정을 3회 이상 실시할 때, 제3회째의 상기 가압 운동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를 7∼8회로 설정하는, 근육 트레이닝 방법.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운동 공정을 3회 이상 실시할 때, 제3회째의 상기 가압 운동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를, 제2회째의 상기 가압 운동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의 1/2 이하로 설정하는, 근육 트레이닝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운동 공정을 4회 실시할 때, 제4회째의 상기 가압 운동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를 2∼3회로 설정하는, 근육 트레이닝 방법.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운동 공정을 4회 실시할 때, 제4회째의 상기 가압 운동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를, 제3회째의 상기 가압 운동 공정에 있어서의 상기 부하 운동의 실시 횟수의 1/2 이하로 설정하는, 근육 트레이닝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운동 공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팔에 상기 벨트를 권취하여 상기 특정 가압력을 부여하고,
    상기 운동 휴지 공정에 있어서, 상기 부하 운동의 휴지 시간을 10∼20초로 설정하는, 근육 트레이닝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휴지 공정에 있어서, 상기 부하 운동의 휴지 시간을 15초로 설정하는, 근육 트레이닝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운동 공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다리에 상기 벨트를 권취하여 상기 특정 가압력을 부여하고,
    상기 운동 휴지 공정에 있어서, 상기 부하 운동의 휴지 시간을 25∼35초로 설정하는, 근육 트레이닝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휴지 공정에 있어서, 상기 부하 운동의 휴지 시간을 30초로 설정하는, 근육 트레이닝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가압력을 설정하기 위한 가압력 설정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가압력 설정 공정은, 상기 사용자의 사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벨트를 권취하여 특정 장착압으로 상기 벨트를 장착하는 장착 공정과, 상기 특정 장착압보다 높은 가압력을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가압 공정과, 상기 가압 공정에서 부여한 상기 가압력을 제거하여 상기 특정 장착압까지 복귀시키는 제압 공정을 포함하고, 각 가압 공정에 있어서의 가압력의 값을 직전의 가압 공정에 있어서의 가압력의 값보다 크게 설정하면서 상기 가압 공정 및 상기 제압 공정을 교대로 복수 회씩 반복하여 실시하고, 상기 가압 공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손바닥의 색이 적색 내지 적갈색으로 되었을 때의 상기 가압력을 상기 특정 가압력으로서 설정하는, 근육 트레이닝 방법.
  17. 가스 주머니를 갖고, 사용자의 사지의 특정 부분에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 주머니 내의 기체의 양에 기초한 가압력을 상기 특정 부분에 부여하도록 구성되는 벨트와,
    상기 벨트의 상기 가스 주머니에 대한 기체의 공급량 및 배출량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벨트가 상기 특정 부분에 부여하는 가압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근육 트레이닝 시스템이며,
    상기 제어 장치는,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근육 트레이닝 방법에 있어서의 특정 가압력을 상기 벨트로 상기 특정 부분에 부여하도록 상기 벨트의 상기 가스 주머니에 대한 기체의 공급량 및 배출량을 제어하는 급배 제어부를 갖고, 상기 급배 제어부는, 상기 벨트에 장착 가능한 크기를 갖는 하우징에 수납되어 있는, 근육 트레이닝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특정 가압력을 기록하는 정보 기록부를 갖고, 상기 급배 제어부는, 상기 정보 기록부로부터 판독한 상기 특정 가압력을 상기 벨트로 상기 특정 부분에 부여하도록 상기 벨트의 상기 가스 주머니에 대한 기체의 공급량 및 배출량을 제어하는, 근육 트레이닝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외부 장치에서 설정된 상기 특정 가압력을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를 갖고, 상기 정보 기록부는,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특정 가압력을 기록하는, 근육 트레이닝 시스템.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특정 가압력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갖고, 상기 정보 기록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한 상기 특정 가압력을 기록하는, 근육 트레이닝 시스템.
  21.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기록부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되는, 근육 트레이닝 시스템.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특정 가압력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갖고, 상기 급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상기 특정 가압력을 상기 벨트로 상기 특정 부분에 부여하도록 상기 벨트의 상기 가스 주머니에 대한 기체의 공급량 및 배출량을 제어하는, 근육 트레이닝 시스템.
  23. 제17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특정 부분에 소정의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 동작과, 상기 가압 동작에 의해 상기 특정 부분에 부여된 가압력을 제거하는 제압 동작을 교대로 반복하도록 상기 벨트가 상기 특정 부분에 부여하는 가압력의 제어를 행하는 것이며, 복수 회의 가압 동작을 실현시킬 때, 각 가압 동작에 있어서의 가압력을 직전의 가압 동작에 있어서의 가압력보다 높게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근육 트레이닝 시스템.
KR1020167006648A 2014-07-09 2014-08-19 근육 트레이닝 방법 및 근육 트레이닝 시스템 KR1018808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68299 WO2016006055A1 (ja) 2014-07-09 2014-07-09 筋肉増強方法
JPPCT/JP2014/068299 2014-07-09
PCT/JP2014/071678 WO2016006123A1 (ja) 2014-07-09 2014-08-19 筋肉トレーニング方法及び筋肉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064A true KR20160043064A (ko) 2016-04-20
KR101880829B1 KR101880829B1 (ko) 2018-07-20

Family

ID=55063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6648A KR101880829B1 (ko) 2014-07-09 2014-08-19 근육 트레이닝 방법 및 근육 트레이닝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10245458B2 (ko)
EP (1) EP3167941B1 (ko)
JP (2) JP6227006B2 (ko)
KR (1) KR101880829B1 (ko)
CN (1) CN105764577B (ko)
AU (1) AU2014400368B2 (ko)
CA (1) CA2919128C (ko)
MY (1) MY189065A (ko)
RU (1) RU2652320C1 (ko)
SG (1) SG11201600324QA (ko)
WO (2) WO201600605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412A (ko) 2017-12-29 2019-07-09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혈류제한 조정용 근육트레이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9690A1 (ja) * 2016-03-02 2017-09-08 Kaatsu Japan株式会社 筋肉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
DK201600116U4 (da) * 2016-10-12 2017-09-22 Videnform V/Thomas A Cortebeeck Udstyr til okklusionstræning
USD838941S1 (en) * 2017-04-25 2019-01-29 Lacie Leatherman Hat closure
AU2018344766A1 (en) * 2017-10-06 2020-05-21 VALD Pty Ltd Blood occlusion or restriction cuff
US10212499B1 (en) * 2018-02-06 2019-02-19 Cheryl Groomer Fetal communication system
JP2019170409A (ja) * 2018-03-26 2019-10-10 京セラ株式会社 負荷制御装置
EP3885008A4 (en) * 2018-12-18 2022-07-13 Calada Lab. Co., Ltd. METHOD OF CONTROLLING AN EXERCISE MACHINE
US20230140282A1 (en) * 2019-01-18 2023-05-04 Chett B. Paulsen Blood flow restriction device
WO2020159851A1 (en) * 2019-01-28 2020-08-06 Smart Tools Plus, LLC Blood flow restriction system
US20210228099A1 (en) * 2019-01-28 2021-07-29 Smart Tools Plus, LLC Blood Flow Restriction Systems Having Wireless Monitoring and Control
CN110227237A (zh) * 2019-05-25 2019-09-13 天津大学 一种下肢康复训练装置及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0421B2 (ja) 1993-11-22 1997-10-29 株式会社ベストライフ 筋力トレーニング方法
JP2004218135A (ja) * 2003-01-14 2004-08-05 Satou Sports Plaza:Kk バックル付き衣服
JP2006254960A (ja) * 2005-03-15 2006-09-28 Soma Kimitane トレーニング装置
KR200437442Y1 (ko) * 2006-12-09 2007-11-30 김명수 다용도 아령
JP2014028109A (ja) * 2012-06-28 2014-02-13 Kaatsu Japan株式会社 加除圧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血管強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6277B2 (ja) 1996-09-19 1998-09-10 義昭 佐藤 筋肉増強器具
JP2796276B2 (ja) 1996-09-19 1998-09-10 義昭 佐藤 筋肉増強器具
JP4392187B2 (ja) * 2003-04-15 2009-12-24 株式会社 サトウスポーツプラザ 筋肉増強器具
JP4426217B2 (ja) * 2003-06-13 2010-03-03 株式会社 サトウスポーツプラザ 筋肉増強器具
JP4342849B2 (ja) * 2003-06-19 2009-10-14 株式会社 サトウスポーツプラザ 加圧筋力増強装置、及び制御装置、並びに該制御装置にて実行される方法
JP2005006922A (ja) 2003-06-19 2005-01-13 Satou Sports Plaza:Kk 筋力増強装置
JP4322591B2 (ja) * 2003-08-15 2009-09-02 株式会社 サトウスポーツプラザ 筋力増強システム、及び筋力増強器具の加圧力制御装置
JP4283065B2 (ja) * 2003-08-21 2009-06-24 株式会社 サトウスポーツプラザ 筋力増強器具
US20060201522A1 (en) * 2005-03-10 2006-09-14 Yoshiaki Sato Method for lowering blood glucose levels, method of treating diabetes, and method of prevention of diabetes
JP4597840B2 (ja) * 2005-11-04 2010-12-15 株式会社 サトウスポーツプラザ 筋力トレーニング装置、並びに制御方法
JP4839179B2 (ja) * 2006-10-18 2011-12-21 敏明 中島 治療システム、治療装置、制御方法
JP2008161418A (ja) * 2006-12-28 2008-07-17 Terumo Corp 携帯型エアマッサージ装置
JP5121077B2 (ja) 2007-08-24 2013-01-16 Kaatsu Japan株式会社 加圧筋力トレーニング用のベルト
WO2009128561A1 (ja) * 2008-04-17 2009-10-22 株式会社サトウスポーツプラザ トレーニング装置、トレーニング用制御装置、制御方法
US8273001B2 (en) 2009-12-14 2012-09-25 Linda Karecki Exercise kit, apparel item and method of using same
JP2012223507A (ja) * 2011-04-22 2012-11-15 Satou Sports Plaza:Kk 筋力トレーニング装置
JP4919366B1 (ja) * 2011-11-17 2012-04-18 義昭 佐藤 筋肉増強器具及びその制御方法
CN202604947U (zh) * 2012-06-12 2012-12-19 吴风云 一种电动气压止血带
WO2015170422A1 (ja) * 2014-05-09 2015-11-12 Kaatsu Japan株式会社 筋肉増強方法
JP1520896S (ko) * 2014-05-09 2015-04-06
JP2016001418A (ja) * 2014-06-12 2016-01-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0421B2 (ja) 1993-11-22 1997-10-29 株式会社ベストライフ 筋力トレーニング方法
JP2004218135A (ja) * 2003-01-14 2004-08-05 Satou Sports Plaza:Kk バックル付き衣服
JP2006254960A (ja) * 2005-03-15 2006-09-28 Soma Kimitane トレーニング装置
KR200437442Y1 (ko) * 2006-12-09 2007-11-30 김명수 다용도 아령
JP2014028109A (ja) * 2012-06-28 2014-02-13 Kaatsu Japan株式会社 加除圧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血管強化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412A (ko) 2017-12-29 2019-07-09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혈류제한 조정용 근육트레이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19128A1 (en) 2016-01-14
EP3167941A4 (en) 2018-03-14
WO2016006055A1 (ja) 2016-01-14
MY189065A (en) 2022-01-24
AU2014400368B2 (en) 2017-06-15
EP3167941B1 (en) 2021-06-16
US10806961B2 (en) 2020-10-20
US20160193491A1 (en) 2016-07-07
WO2016006123A1 (ja) 2016-01-14
JP2017209519A (ja) 2017-11-30
KR101880829B1 (ko) 2018-07-20
JPWO2016006123A1 (ja) 2017-04-27
JP6227006B2 (ja) 2017-11-08
US20190217143A1 (en) 2019-07-18
CN105764577A (zh) 2016-07-13
JP6442573B2 (ja) 2018-12-19
RU2652320C1 (ru) 2018-04-25
US10245458B2 (en) 2019-04-02
CN105764577B (zh) 2018-07-24
AU2014400368A1 (en) 2016-02-04
SG11201600324QA (en) 2016-02-26
EP3167941A1 (en) 2017-05-17
CA2919128C (en) 201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0829B1 (ko) 근육 트레이닝 방법 및 근육 트레이닝 시스템
JP5255722B1 (ja) 加除圧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血管強化方法
JP6227127B2 (ja) 筋肉トレーニング方法
JP6770145B1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WO2009028430A1 (ja) 加圧筋力トレーニング装置、及び加圧筋力トレーニング用のベルト
US20140194262A1 (en) Electronic Exercise Monitor with Human Facsimile and Audible Feedback
JP2023174979A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RU2660300C1 (ru) Тренажёр и способ выполнения упражнений
KR100565952B1 (ko) 다기능 혈압계
CA3167924A1 (en) Blood flow restriction systems having wireless monitoring and control
JP7317772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20230277893A1 (en) Operating device for an exercise program
CN206152264U (zh) 一种新型舞蹈柔韧性训练装置
JPH1043326A (ja) 贅肉取、筋力増強、及び健康保持装置
CN117205510A (zh) 一种带有自控单元的康复训练用辅助装置
CN116808533A (zh) 一种3r型侧弯旋转成角式呼吸训练辅助锻炼装置
WO2016163254A1 (ja) 筋力測定装置および方法
JPWO2020116000A1 (ja) 運動器具
US2015037832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interface with breathing characteris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