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442Y1 - 다용도 아령 - Google Patents

다용도 아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442Y1
KR200437442Y1 KR2020060031358U KR20060031358U KR200437442Y1 KR 200437442 Y1 KR200437442 Y1 KR 200437442Y1 KR 2020060031358 U KR2020060031358 U KR 2020060031358U KR 20060031358 U KR20060031358 U KR 20060031358U KR 200437442 Y1 KR200437442 Y1 KR 2004374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mbbell
handle
exercise
present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13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수
Original Assignee
김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수 filed Critical 김명수
Priority to KR20200600313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4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4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4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Exercising devices moving as a whole during exerci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63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7Counting, e.g. counting periodical movements, revolutions or cycles, or including further data processing to determine distances o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09Weight-lif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용도 아령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가 일일히 횟수를 헤아리지 않아도 정확한 횟수로 아령운동을 할 수 있고, 하나의 아령으로 다양한 운동이 가능한 다용도 아령을 널리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 손잡이와,상기 손잡이의 양측에 동일한 무게의 중량체가 설치된 아령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아령은, 상기 중량체의 외부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는 지압돌기가 다수 형성된 외피가 둘러 쌓여 있으며,
상기 중량체중 어느 하나의 외피에 계수장치가 일체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일일히 횟수를 헤아리지 않아도 정확한 횟수로 아령운동을 할 수 있고, 하나의 아령으로 다양한 운동이 가능한 다용도 아령을 널리 제공한 이점이 있다.
아령

Description

다용도 아령{MULTIPURPOSE DUMBBELLS}
도 1은 종래 아령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아령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의 가)와 나)는 도 2 "A"-"A"선과 "B"-"B"에 따른 일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아령의 작용, 효과를 보인 일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아령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아령의 작용, 효과를 보인 일측면도이고,
도 7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아령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아령의 작용, 효과를 보인 일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아령 11;손잡이
13;중량체 15;외피
20;계수장치
본 고안은 아령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 양측에 동일중량 1쌍으로 배치된 중량체의 외주면에는 지압돌기가 다수 형성된 고무재질의 외피가 둘러 쌓여 있으며, 상기 중량체중 어느 하나의 외피에 계수장치가 일체로 배치된 다용도 아령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팔과 어깨, 가슴근육을 발달시키도록 행하는 운동기구인 아령에 대해서는 여러가지가 알려져 오고 있다.
아령의 형태로는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수평으로 손잡이가 배치되고, 그 손잡이의 양측에 동일 중량의 중량체가 1쌍으로 배치된 게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단순한 외형을 좀 더 고급스럽게 하기 위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 즉, 플라스틱재로 외피를 씌운 아령도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아령은 사용자의 체형이나 발달시키고자 하는 부위에 따라 1세트 15회 3세트, 1세트 20회 5세트등 정확한 횟수로 운동을 하여야 운동효과를 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일일히 횟수를 헤아리며 운동을 할 때, 잠시 다른 사람들과 대화하거나 다른 생각을 하는 과정에서 헤아리던 횟수를 잊게 되므로서 정확한 횟수로 운동을 할 수 없게 되는 몹시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가 반복될 경우, 자신의 근력상태에 맞지 않게 무리하게 횟수가 넘어가는 운동이 행해질 경우, 근력운동에 있어서 치명적인 늑막염등의 질병에 걸리게 되는 문제를 수반하게 된다.
또한, 아령운동이 단순, 반복운동이므로 운동을 행하는 사용자가 쉽게 지루해 하므로서, 지속적인 운동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일일히 횟수를 헤아리지 않아도 정확한 횟수로 아령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따른 목적은 하나의 아령으로 다양한 운동이 가능한 다용도 아령을 널리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한손으로 잡을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양측에 동일한 중량의 중량체가 설치된 아령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아령은;
상기 중량체의 외부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는 지압돌기가 다수 형성된 외피가 둘러 쌓여 있으며,
상기 중량체중 어느 하나의 외피에 계수장치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예시도를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아령 하나의 바 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아령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의 가)와 나)는 도 2 "A"-"A"선과 "B"-"B"에 따른 일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아령의 작용, 효과를 보인 일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아령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아령의 작용, 효과를 보인 일측면도이고, 도 7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아령을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아령의 작용, 효과를 보인 일측면도이다.(이하,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을 붙여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아령(10)(이하, "아령"이라 칭한다.)은 손잡이(11)와 중량체(13)와 외피(15)와 계수장치(20)로 대별된다.
손잡이(11)는 단면상 환형의 금속재 봉(棒)으로서 사람이 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직경이 대략 25mm 이상 30mm 이하로 형성되며, 그 길이는 한손 또는 양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손잡이(11)의 양측에 중량체(13)가 배치되는데, 이 중량체(13) 역시 금속재로서, 그 외형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이 중량체(13)의 무게에 따라 아령(10)의 크기가 정해진다.
또한, 중량체(13)는 상기한 손잡이(1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나사결합하여 다른 크기의 중량체(13)로 교체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량체(13)의 외부면에는 외피(15)가 덮혀 있다.
이 외피(15)는 탄성력이 있는 고무재질로서, 외주면에는 다수의 지압돌기(14)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형은 자동차의 타이어모양으로 형성하여 어린이를 포함한 대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자칫 지루할 수 있는 아령운동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이 외피(15)와 중량체(13)를 일체로 형성하는 방법은 이중성형(Co-Injection Molding)에 의해서 가능하다.
즉, 외피(15)를 형성할 수 있는 금형(미도시)에 중량체(13)를 삽입한 상태에서 점상(點狀)의 고무원료를 고압으로 발포하여 경화시키면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외피(15)중 어느 일측에 배치된 외피(15)에는 계수장치(20)가 일체로 배치된다.
도 3의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수장치(20)는 상기한 외피(15)에 케이스(21)가 묻혀 있는 상태이고, 이 케이스(21)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 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구(22)가 내장된 가이더(23)가 마련된다.
이 가이더(23)의 일측에는 상기한 작동구(22)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24)가 배치되며, 이 센서(24)는 동작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25)에 전달하면, 제어부(25)에서 이 동작신호를 연산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25)에서 연산된 신호는 외측으로 노출된 표시부(26)에서 숫자화하여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이다.
계속해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 아령(10)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본 고안에 따른 아령(10)을 한손으로 잡고, 어깨에서 팔꿈치까지는 몸 에 밀착시키고, 팔꿈치 부터 본 고안에 따른 아령을 잡고 있는 손까지 상, 하 방향으로 반복하여 1세트 15회 또는 20회를 반복하고, 잠시 쉰뒤, 이 운동을 약 3~5세트 정도 반복하면 이두박근(二頭膊筋)과 가슴근육("a"표시부위)의 근력운동을 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계수장치(20;도 3참조)에서는 상, 하로 한번씩 회동될 때 마다 표시부(26)에서 숫자로 횟수를 표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운동 편의를 제공하였다.
또한, 운동중 잠시 다른 생각을 하여도 아령(10)에 일체로 배치된 계수장치(20)를 볼 수 있으므로, 꼭 필요한 횟수만큼 운동을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것은 본 고안 아령(10)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이하, 외피(15)와 계수장치(20)가 마련된 아령(10)의 기술적 구성은 상기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한 바를 참조하면, 본 고안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령(10)은 탭(11a)과 체결되는 제 1고리(31)와 연결장치(33)와 제 2고리(35)와 보조 손잡이(30)로 이루어진다.
제 1고리(3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손잡이(11) 중간부분에 형성된 탭(11a)과 체결되는 나사부(31a)가 일단에 형성되며, 그 나사부(31a)의 대향하는 타단에 후술하는 연결장치(33)의 일단과 연결되는 연결링(31b)으로 이루어진다.
연결장치(33)는 양단에 각 제 1, 2고리(31)(35)와 연결될 수 있도록 원형고리(33a)가 마련된 인장(引張)스프링으로서, 일단은 상기한 제 1고리(31)와 연결되 고, 타단은 제 2고리(35)와 연결된다.
제 2고리(35)는 상기한 제 1고리(31)와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보조 손잡이(30)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탭(미도시)과 나사결합되는 나사부(35a)가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한 연결장치(33)의 타단과 결합하는 연결링(35b)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 2고리(35)는 보조 손잡이(30) 중간 부분의 탭(미도시)과 연결된다.
보조 손잡이(30)는 원형봉 또는 원형파이프로서 양단에 합성수지재 손잡이 커버(37)가 배치되는데, 이 손잡이 커버(37)의 외부표면에는 무수히 많은 지압돌기(37a)가 형성되어 본 고안에 따른 아령 운동시 손가락부를 포함한 손바닥을 지압할 수 있는 지압효과가 있다.
계속해서,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령(10)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바닥에 다리를 쭉 펴고 앉는다.
그런 다음 발바닥에 본 고안에 따른 아령(10)을 발바닥으로 고정하고, 보조손잡이(30)를 양손으로 꽉 잡는다.
이 상태가 운동하기 전 초기상태이고, 몸을 뒤로 제끼면서 팔을 가슴부분까지 잡아 당기는 동작을 1세트 15회 3~4회 반복한다.
그러면, 삼각근, 팔의 이두근, 척주, 승모근, 후배근 부위("a"표시부위)의 근육을 발달시킨다.
나아가, 보조 손잡이(30)의 손잡이 커버(37)와 아령(10)의 외피(15) 표면에 다수 형성된 지압돌기(14)(37a)에 의해 손바닥과 발바닥의 지압효과까지 겸비한다.
이와 같은 운동방법은 일반적인 헬스기구인 롱풀머쉰(Long Pull Machine)의 동작을 응용한 것으로, 집안에서도 간단하게 상기한 롱풀머쉰과 동일한 운동효과를 거둘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연결장치(33)는 인장스프링(TS) 이외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경(대략 3mm이하)이 가는 와이어 로프(Wire Rope)를 이용하면 또 다른 운동효과를 볼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안에 도르레(RR)를 설치하고, 이 도르레(RR)에 본 고안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33)인 와이어로프(WR)를 감듯이 설치한다.
그런 다음, 보조손잡이(30)를 양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양팔을 겨드랑이에 밀착시킨후, 팔꿈치에서 손목까지만, 하측으로 회동하여 끌어 내려 팔을 쭉 뻗는다.
이 상태에서 팔꿈치에서 손목까지만 천천히 들어 올려 최초 상태가 되면 1회 운동이 완료되는 운동법으로, 일반적인 헬스기구에서는 체스트 웨이트라 칭하는 운동법이다.
이 운동역시 1세트 15~20회 3~4세트 정도 반복하면, 대흉근과 팔근육("a"표시부위)을 발달시킬 수 있는 다양한 복합운동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아령(10)은 계수장치(20)가 일체로 배치되므로서, 꼭 필요한 횟수 만큼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효과를 극대화하였으며, 하나의 아령으로서 다양한 복합운동이 가능하고, 그 외형도 자동차 타이어 형 상을 갖추므로서, 어린이들뿐 아니라 남며노소 누구나 흥미를 갖고 운동에 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실시는 본 고안 청구항의 기재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아령에 의하면, 계수장치가 일체로 배치되므로서 사용자가 일일히 횟수를 헤아리지 않아도 꼭 필요한 횟수 만큼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효과를 극대화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아령으로 다양한 복합운동이 가능한 다용도 아령을 널리 공급한 효과가 있다.
또한, 그 외형도 자동차 타이어 형상을 갖추므로서, 어린이들뿐 아니라, 남녀노소 누구나 흥미를 갖고 운동에 임할 수 있도록 저변을 확대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 손잡이와,상기 손잡이의 양측에 동일한 중량의 중량체가 설치된 아령에 있어서,
    상기 아령은;
    상기 중량체의 외부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는 지압돌기가 다수 형성된 외피가 둘러 쌓여 있으며,
    상기 중량체중 어느 하나의 외피에 계수장치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탭에 체결되는 제 1고리와, 상기 제 1고리에 일단이 결합되는 연결장치와, 상기 연결장치의 타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제 2고리를 중간부분에 갖춘 보조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아령.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손잡이는 양측에 지압돌기가 형성된 손잡이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아령.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연결선 또는 인장스프링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아령.
KR2020060031358U 2006-12-09 2006-12-09 다용도 아령 KR2004374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358U KR200437442Y1 (ko) 2006-12-09 2006-12-09 다용도 아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358U KR200437442Y1 (ko) 2006-12-09 2006-12-09 다용도 아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442Y1 true KR200437442Y1 (ko) 2007-11-30

Family

ID=41638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1358U KR200437442Y1 (ko) 2006-12-09 2006-12-09 다용도 아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44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77604A3 (en) * 2009-07-08 2011-08-31 Escape Fitness Limited An exercise device weight for mounting to a lifting bar
WO2012020882A1 (ko) * 2010-08-09 2012-02-16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물리 치료기 및 이를 이용한 물리 치료 방법
EP2474342A1 (en) * 2011-01-05 2012-07-11 Escape Fitness Limited An exercise device for weightlifting and other fitness activities
KR20160043064A (ko) * 2014-07-09 2016-04-20 가아쯔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근육 트레이닝 방법 및 근육 트레이닝 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77604A3 (en) * 2009-07-08 2011-08-31 Escape Fitness Limited An exercise device weight for mounting to a lifting bar
GB2471690B (en) * 2009-07-08 2013-06-12 Escape Fitness Ltd An exercise device weight for mounting to a lifting bar
US8647243B2 (en) 2009-07-08 2014-02-11 Escape Fitness Ltd. Exercise device weight for mounting to a lifting bar
WO2012020882A1 (ko) * 2010-08-09 2012-02-16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물리 치료기 및 이를 이용한 물리 치료 방법
KR101174999B1 (ko) 2010-08-09 2012-08-17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물리 치료기 및 이를 이용한 물리 치료 방법
EP2474342A1 (en) * 2011-01-05 2012-07-11 Escape Fitness Limited An exercise device for weightlifting and other fitness activities
CN102580285A (zh) * 2011-01-05 2012-07-18 伊斯凯普健身有限公司 一种用于举重和其他健身活动的训练设备
US9039586B2 (en) 2011-01-05 2015-05-26 Escape Fitness Limited Exercise device for weightlifting and other fitness activities
KR20160043064A (ko) * 2014-07-09 2016-04-20 가아쯔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근육 트레이닝 방법 및 근육 트레이닝 시스템
KR101880829B1 (ko) * 2014-07-09 2018-07-20 가아쯔 재팬 가부시키가이샤 근육 트레이닝 방법 및 근육 트레이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3580A (en) Elastic type exercising
US4251071A (en) Exercising device with compressible hand grip on an elastic card
US8128541B2 (en) Exercise grip device
US6068580A (en) Exercise device
US8157709B2 (en) Universal multidirectional exerciser for exercising hand, wrist and forearm in multiple planes of motion with adjustable resistance
US5653664A (en) Variable weight exercise stick
US8021284B2 (en) Exercise device
US20120295777A1 (en) Grab-And-Use Exercise Strap
US20090197742A1 (en) Exercise Grip Device
JP2009502262A (ja) 運動装置及び運動方法
US20190069650A1 (en) Stick Burner Muscle Exercise Apparatus
US20050176561A1 (en) Club-weight(s)
KR200437442Y1 (ko) 다용도 아령
US5145473A (en) Polyurethane foam exercise device for upper body development
WO2013001314A2 (en) Physical exercise apparatus
US20120208683A1 (en) Exercise Grip Device
US20110130257A1 (en) Exercise Grip Device
KR101561144B1 (ko) 다기능성 아령
CN205323094U (zh) 多功能健身车
US20150217161A1 (en) Abdominal Exercise Device
US20040176225A1 (en) Swinging exerciser having movable weight
WO2014174475A1 (en) An exercise device
CN210302205U (zh) 一种大学生健美用多功能健腹轮
US11324985B2 (en) Resistance training belt
KR101356419B1 (ko) 혁대를 겸한 운동 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