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6419B1 - 혁대를 겸한 운동 벨트 - Google Patents

혁대를 겸한 운동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6419B1
KR101356419B1 KR1020110141797A KR20110141797A KR101356419B1 KR 101356419 B1 KR101356419 B1 KR 101356419B1 KR 1020110141797 A KR1020110141797 A KR 1020110141797A KR 20110141797 A KR20110141797 A KR 20110141797A KR 101356419 B1 KR101356419 B1 KR 101356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band
cap
exercis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1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3778A (ko
Inventor
최병학
Original Assignee
최병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학 filed Critical 최병학
Priority to KR1020110141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6419B1/ko
Publication of KR20130073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편하게 허리에 혁대로 착용하고 다니다가 장소에 상관없이 혁대를 풀러 간편하게 운동할 수 있는 혁대를 겸한 운동 벨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혁대를 겸한 운동벨트는 내부에 공간이 스프링 삽입을 위한 공간이 형성된 밴드;, 상기 밴드의 내부에 삽입되는 스프링;, 상기 밴드의 양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체인 삽입을 위한 공간이 형성된 엔드;, 상기 각각의 엔드의 단부가 삽입되고 단부에 관통구가 형성된 캡;, 상기 각각의 엔드의 내부에 삽입되고 일측 단부는 상기 스프링과 체결되고, 타측 단부는 캡의 관통공을 통해 고리와 체결된 체인; 및 상기 체인의 단부에 형성된 각각의 고리 중 어느 하나의 고리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혁대를 겸한 운동 벨트 {Belt serving both as a belt and exercise elastic band}
본 발명은 간편하게 허리에 혁대로 착용하고 다니다가 장소에 상관없이 혁대를 풀러 간편하게 운동할 수 있는 혁대를 겸한 운동 벨트에 관한 것이다.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성인병 및 비만 증가로 건강을 위한 운동에 관심이 나날이 높아가고 있다.
현대인들의 건강을 위한 운동 형태를 살펴보면 가까운 공원을 빠르게 걷거나 헬스클럽을 이용하거나 간단한 운동기구를 구입하여 집안에서 간편하게 운동하고 있는데, 대부분의 운동기구는 운동형태가 단순하여 쉽게 지루함을 느끼고, 부피가 커서 사용과 보관의 문제점으로 있으며, 휴대가 불편하여 사용장소에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근래에 들어 간편하게 휴대하며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운동할 수 있는 운동기구로서 저항 운동기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저항 운동기구는 고무줄, 탄성밴드 또는 스프링을 이용하여 저항체를 구성하고 근력을 이용하여 상기 저항체를 늘리는 동작을 통해 근,골격계를 단련하고 재활프로그램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저항 운동기구는 휴대와 사용이 간편하기는 하지만 핸드백이나 가방에 넣어 다녀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수납기구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평소에 가방에 수납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도 있고, 혁대로 착용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으며,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혁대를 겸한 운동 벨트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혁대를 겸한 운동벨트는 내부에 공간이 스프링 삽입을 위한 공간이 형성된 밴드;, 상기 밴드의 내부에 삽입되는 스프링;, 상기 밴드의 양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체인 삽입을 위한 공간이 형성된 엔드;, 상기 각각의 엔드의 단부가 삽입되고 단부에 관통구가 형성된 캡;, 상기 각각의 엔드의 내부에 삽입되고 일측 단부는 상기 스프링과 체결되고, 타측 단부는 캡의 관통공을 통해 고리와 체결된 체인; 및 상기 체인의 단부에 형성된 각각의 고리 중 어느 하나의 고리에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엔드의 외부에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밴드는 실리콘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밴드는 섬유와 고무줄이 혼사되어 직조된 탄성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 엔드 및 밴드는 단면이 원형의 파이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평소에 가방에 수납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있음은 물론이거니와 가방에 수납할 필요 없이 혁대로 착용하고 있다가 필요시에 혁대를 풀러 운동 벨트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혁대를 겸한 운동 벨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운동 벨트를 늘렸을 때를 도시한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을 혁대로 착용하기 위해 고리를 당겼을 때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을 혁대로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혁대를 겸한 운동 벨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운동 벨트를 늘렸을 때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을 혁대로 착용하기 위해 고리를 당겼을 때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을 혁대로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혁대를 겸한 운동벨트(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혁대와 같은 형상으로 성형되어 평상시에는 혁대로 착용하다가 필요시에 풀러서 저항 운동기구로 사용할 수 있는 운동벨트이다.
도 1과 같이 밴드(101)의 양측에 손잡이(103)가 외면에 형성된 엔드(102)가 결합되고, 상기 각각의 엔드(102)는 캡(104)이 삽입 체결되며, 상기 각각의 엔드(102)에는 고리(106)가 형성되되, 상기 고리(106) 중 어느 하나의 고리(106)에는 돌기(107)가 형성되어 벨트로 사용가능한 운동 벨트(100)이다.
본 발명의 혁대를 겸한 운동벨트의 구성을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밴드(101) 내부에 스프링(109)이 수납된다.
상기 밴드(101)는 고무관, 실리콘 튜브 또는 섬유와 고무줄이 혼사되어 직조된 탄성밴드로서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튜브 또는 고무줄이 혼사되어 직조된 탄성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밴드(101)로서 고무관을 사용하는 경우 고무가 자외선엔 노출되어 부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스프링(109)이 삽입된 밴드(101)의 양측 단부에 비탄성 재질의 엔드(102)를 결합,고정한다. 상기 엔드(102)의 내부에는 체인(108)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엔드(102) 부분을 파지하여 밴드(101)와 밴드(101) 내부의 스프링(109)을 늘리는 저항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손잡이 역할을 한다.
상기 엔드(102)는 비탄성재질로 성형되어 밴드(101)의 양측에 결합되는데 가죽, 합성수지 또는 섬유 등으로 성형된다.
또한, 상기 엔드(102)의 외부에는 엔드(102)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손잡이(103)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손잡이(103) 위치를 조절하여 손잡이(103)를 파지한 채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손잡이(103)는 엔드(102)의 외경보다 다소 크게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큰 손잡이(103)를 통해 보다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03)를 움켜쥐면 손잡이(103)의 내면이 엔드(102)를 강하게 압착하므로 운동하는 과정에서 손잡이(103)가 슬라이드 되지 않는다.
상기 밴드(101)의 양측에 체결된 각각의 엔드(102)가 캡(104)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각각의 엔드(102)의 내부에는 일측 단부가 밴드(101)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109)의 단부와 체결된 체인(108)이 수납된다.
상기 체인(108)의 타측 단부는 캡(104)의 관통구(105)를 통해 캡(104) 외부의 고리(106)와 체결,고정된다.
상기 밴드(101)의 양측에 형성된 고리(106) 중 어느 하나의 고리(106)에는 돌기(107)가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가 운동벨트(100)를 혁대로 사용할 때 돌기(107)를 다른 고리(106)에 걸어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혁대를 겸한 운동벨트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운동벨트(100)를 저항 운동기구로 사용할 때는 엔드(102)의 외부에 형성된 손잡이(103)를 파지하여 스프링(109)을 늘리는 운동을 통해 근,골격계를 단련시킨다.
도 4와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103)를 잡고 양측으로 당기면 캡(104)의 좁은 관통구(105) 외부에 고리(106)가 체인(108)을 당기게 되고, 체인(108)은 체인(108)의 단부에 체결된 스프링(109)에 인장력을 작용하기 때문에 밴드(101) 내부의 공간에서 스프링(109)이 탄성 변형하며 늘어난다.
이때, 상기 밴드(101)는 실리콘 튜브 또는 고무줄과 섬유가 혼사되어 직조된 탄성밴드이므로 스프링(109)의 탄성 변형량과 동일하게 탄성 변형하며 늘어나므로 사용자는 저항 운동을 하여 근,골격계를 단련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밴드(101)이 중간에 발을 걸치고 양손으로 밴드(101)를 당기는 운동을 통해 허리와 상체의 근력을 단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운동벨트(100) 양측에 형성된 고리(106)에 발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다른 한 손을 당기는 운동을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운동벨트(100) 양측에 형성된 고리(106)를 이용하여 벽의 고리, 발가락, 문고리 등에 한 고리(106)를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운동자세가 가능하여 신체의 다양한 부위를 단련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운동벨트(100)를 이용하여 운동을 마친 후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운동벨트(100)를 혁대로 착용하여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닐 수 있다.
사용자는 밴드(101)를 허리에 두른 후 운동벨트(100) 양측에 형성된 고리(106) 중 어느 하나의 고리(106)에 형성된 돌기(107)를 다른 고리(106)에 걸음으로써 운동벨트(100)가 혁대로서 허리에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저항 운동기구는 탄성력을 크게 하기 위해 길이를 짧게 구성하는데 대부분 혁대의 길이보다는 짧다.
때문에 사용자의 허리둘레에 비해 운동벨트(100)의 길이가 짧은 경우라면 도 6과 같이 양측의 고리(106)를 당겨서 운동벨트(100)의 길이를 늘려 혁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리(106)를 당기면 엔드(102) 내부의 체인(108)이 당겨지고 상기 체인(108)의 단부는 밴드(101) 내부의 스프링(109) 단부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109)에 인장력이 작용하여 스프링(109)이 탄성 변형하며 체인(108)이 캡(104)의 관통구(105)를 통해 당겨져 사용자의 허리에 맞도록 연장되어 벨트로 착용할 수 있다.
운동 벨트(100)를 봉 형태로 구성하면 같은 길이의 납작한 운동벨트(100)에 비해 더 큰 저항량을 가진 운동벨트(100)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저항 운동체로 평소에는 혁대로서 간편하게 휴대하고 다니다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수시로 풀러서 운동을 통해 사용자의 근,골격계를 단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혁대를 겸한 운동벨트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운동벨트
101 : 밴드
102 : 엔드
103 : 손잡이
104 : 캡
105 : 관통구
106 : 고리
107 : 돌기
108 : 체인
109 : 스프링

Claims (5)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밴드(101);,
    상기 밴드(101)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스프링(109);,
    상기 밴드(101)의 양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엔드(102);,
    상기 각각의 엔드(102)의 단부가 삽입되고 단부에 관통구(105)가 형성된 캡(104);,
    상기 각각의 엔드(102)의 내부에 삽입되고 일측 단부는 상기 스프링(109)과 체결되고, 타측 단부는 캡(104)의 관통구(105)를 통해 고리(106)와 체결된 체인(108);
    상기 체인(108)의 단부에 형성된 각각의 고리(106) 중 어느 하나의 고리(106)에 형성된 돌기(10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혁대를 겸한 운동 벨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102)의 외부에서 엔드(102)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손잡이(10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혁대를 겸한 운동 벨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101)는 실리콘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혁대를 겸한 운동 벨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101)는 섬유와 고무줄이 혼사되어 직조된 탄성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혁대를 겸한 운동 벨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104), 엔드(102) 및 밴드(101)는 단면이 원형의 파이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혁대를 겸한 운동 벨트.
KR1020110141797A 2011-12-23 2011-12-23 혁대를 겸한 운동 벨트 KR101356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797A KR101356419B1 (ko) 2011-12-23 2011-12-23 혁대를 겸한 운동 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1797A KR101356419B1 (ko) 2011-12-23 2011-12-23 혁대를 겸한 운동 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778A KR20130073778A (ko) 2013-07-03
KR101356419B1 true KR101356419B1 (ko) 2014-01-27

Family

ID=48988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1797A KR101356419B1 (ko) 2011-12-23 2011-12-23 혁대를 겸한 운동 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64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69523B (zh) * 2020-12-03 2021-12-14 林小煦 一种弹力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9647A (en) 1990-12-24 1992-07-14 Edward Castellanos Elastic resistance exerciser secured at the waist
KR20030025725A (ko) * 2001-09-22 2003-03-29 김수원 운동용 벨트
KR200416413Y1 (ko) 2006-02-09 2006-05-16 한상복 벨트형 복부 운동 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9647A (en) 1990-12-24 1992-07-14 Edward Castellanos Elastic resistance exerciser secured at the waist
KR20030025725A (ko) * 2001-09-22 2003-03-29 김수원 운동용 벨트
KR200416413Y1 (ko) 2006-02-09 2006-05-16 한상복 벨트형 복부 운동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778A (ko) 201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1284B2 (en) Exercise device
US4019734A (en) Elastic pull type isotonic/isometric exerciser
CN107148297B (zh) 弹性训练装置
US6921357B2 (en) Tensile exercise device
US9259605B1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US8157712B1 (en) Resistance exercise and physical therapy apparatus
US20160206914A1 (en) Grab-and-use exercise strap
KR100905049B1 (ko) 다용도 운동기구
US7618356B1 (en) Exercise apparatus including a resistance training assembly coupled within an exercising shoe
US20100197470A1 (en) Exercise Grip Device
US20130045842A1 (en) Tension exercise device
US20120295777A1 (en) Grab-And-Use Exercise Strap
US9914010B2 (en) Personal, multiple muscle resistance, and balance train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US20190069650A1 (en) Stick Burner Muscle Exercise Apparatus
US20090197742A1 (en) Exercise Grip Device
US20040185990A1 (en) Portable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US20170291058A1 (en) Multifaceted exercise system
US9468802B2 (en) Personal, multiple muscle resistance, and balance train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US20230398405A1 (en) Equipment for strengthening swing motion ability
US880158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exercise mechanism
KR101356419B1 (ko) 혁대를 겸한 운동 벨트
KR200437442Y1 (ko) 다용도 아령
CA2801763A1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EP2799119A1 (en) Exerci device
US11745052B2 (en) Exercise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