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7082A - 핸들 조립체 - Google Patents

핸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7082A
KR20160037082A KR1020150131316A KR20150131316A KR20160037082A KR 20160037082 A KR20160037082 A KR 20160037082A KR 1020150131316 A KR1020150131316 A KR 1020150131316A KR 20150131316 A KR20150131316 A KR 20150131316A KR 20160037082 A KR20160037082 A KR 20160037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arm
mounting
mounting por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2482B1 (ko
Inventor
미앙 친 고
웬 인 리
휘 윈 로
Original Assignee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filed Critical 시마노 컴포넌츠 (말레이지아) 에스디엔. 비에이치디.
Publication of KR20160037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06Hand crank featur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10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Abstract

[과제] 핸들 축에 장착하는 부분의 강도(强度)를 향상할 수 있는 핸들 조립체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핸들 조립체(1)는, 낚시용 릴의 핸들 축(10)에 장착된다. 핸들 조립체(1)는, 핸들 암(20)과 핸들 손잡이(5)를 구비한다. 핸들 암(20)은, 핸들 축(10)에 장착된다. 핸들 손잡이(5)는, 핸들 암(20)에 장착된다. 여기에서, 핸들 암(20)은, 금속제의 암 본체(21)와 수지부(31)를 가진다. 금속제의 암 본체(21)는, 핸들 축(10)에 장착되는 장착부(25), 및 장착부(25)에 일체로 형성되는 암부(22)를 포함한다. 수지부(31)는, 암부(22) 중 적어도 일부 및 장착부(25)를 덮는다.

Description

핸들 조립체{HANDLE ASSEMBLY}
본 발명은, 핸들 조립체, 특히, 낚시용 릴의 핸들 축에 장착되는 핸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로서, 낚시용 릴의 핸들 축에 장착되는 핸들 조립체가 개시(開示)되어 있다(특허 문헌 1을 참조). 이 핸들 조립체는, 핸들 암과 핸들 암에 장착되는 핸들 손잡이를 가지고 있다. 핸들 암은, 암 본체와 금속제의 보강 부재(部材)(상자 형체)를 가지고 있다. 암 본체는, 경량인 합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암 본체의 중앙부에는, 그 강성(剛性)을 확보하기 위하여, 금속제의 보강 부재가 박아 넣어져 있다. 또한, 암 본체의 일단부(一端部)에는, 핸들 손잡이가 장착되어 있다. 암 본체의 타단부(他端部)는, 핸들 축에 장착되어 있다.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소52-008716호
종래의 핸들 조립체에서는, 암 본체가, 경량인 합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경량인 합성 수지제의 암 본체는, 그 외 단부(장착부)에 있어서, 핸들 축에 장착되어 있다. 즉, 암 본체의 장착부는, 경량인 합성 수지제이기 때문에, 암 본체의 장착부를 핸들 축에 장착하였을 경우, 암 본체의 장착부의 강도(强度)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는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들 축에 장착하는 부분의 강도를 향상할 수 있는 핸들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핸들 조립체는, 낚시용 릴의 핸들 축에 장착된다. 핸들 조립체는, 핸들 암과 핸들 손잡이를 구비한다. 핸들 암은, 핸들 축에 장착된다. 핸들 손잡이는, 핸들 암에 장착된다. 여기에서, 핸들 암은, 금속제의 암 본체와 수지부를 가진다. 금속제의 암 본체는, 핸들 축에 장착되는 장착부, 및 장착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암부를 포함한다. 수지부는, 암부 중 적어도 일부 및 장착부를 덮는다.
이 핸들 조립체에서는, 핸들 암이, 금속제의 암 본체와 수지부를 가지고 있다. 금속제의 암 본체는, 장착부에 있어서, 핸들 축에 장착된다. 즉, 이 핸들 조립체에서는, 암 본체의 장착부가 금속제이기 때문에, 핸들 암과 핸들 축과의 접합 강도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수지부가, 암 본체의 암부 중 적어도 일부, 및 암 본체의 장착부를 덮고 있기 때문에, 핸들 암과 핸들 축과의 접합 강도를 한층 더 향상할 수 있다. 나아가, 핸들 암의 강도 및 강성을 확보하는데 있어서 필요 최소한의 부분만큼을, 금속제의 암 본체로서 형성하고, 그 외의 부분을, 수지부로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경량화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다.
발명 2에 관련되는 핸들 조립체에서는, 발명 1에 기재된 핸들 조립체에 있어서, 암 본체의 장착부가, 제1 장착부와, 제1 장착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 장착부를 가진다. 핸들 축은, 제1 장착부와 제2 장착부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핸들 축은, 제1 장착부 및 제2 장착부에 장착된다. 수지부는, 제1 장착부 및 제2 장착부의 외측에 일체 성형(成型)된다.
이 경우, 핸들 축이, 암 본체에 있어서의 제1 장착부와 제2 장착부와의 사이에 있어서, 제1 장착부와 제2 장착부에 장착된다. 이 때문에, 핸들 암이 핸들 축 둘레로 회전하는 경우에, 제1 장착부 및 제2 장착부의 양자(兩者)가 서로 이반(離反)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그렇지만, 이 핸들 조립체에서는, 수지부가, 제1 장착부 및 제2 장착부의 외측에 일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이 수지부에 의하여, 제1 장착부 및 제2 장착부의 이반 방향으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 3에 관련되는 핸들 조립체에서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핸들 조립체에 있어서, 수지부가, 암부 중 적어도 일부 및 장착부를 덮도록, 암 본체에 대하여 아웃 서트(outsert) 성형된다.
이 경우, 금속제의 암 본체의 형상이 같아도, 아웃 서트의 금형을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외관이 다른 핸들 암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금속제의 암 본체의 치수가 같은 경우, 다양한 외관을 가지는 핸들 암을, 같은 타입의 낚시용 릴의 핸들 축에 장착할 수 있다.
발명 4에 관련되는 핸들 조립체에서는, 발명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핸들 조립체에 있어서, 암부가, 수지부로 덮이는 피복부(被覆部)와, 피복부를 제외한 노출부를 가진다.
이 경우, 암 본체에 있어서, 암부의 피복부는, 수지부로 덮이는 부분이다. 또한, 암부의 노출부는, 피복부를 제외한 부분, 즉 외부에 노출한 부분이다. 이와 같이, 암부를 부분적으로 수지부로 덮는 것에 의하여, 암부의 강도 및 강성의 확보와 경량화를 동시에 도모할 수 있다.
발명 5에 관련되는 핸들 조립체에서는, 발명 4에 기재된 핸들 조립체에 있어서, 수지부와 노출부가 면일(面一)이 되도록, 수지부가 피복부에 일체 성형된다.
이 경우, 핸들 암에 있어서, 수지부와 암 본체의 암부의 노출부가 면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수지부와 노출부와의 사이의 경계에는 단차(段差)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핸들 암의 외관을 향상할 수 있고, 핸들 암의 표면에 낚싯줄이 휘감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발명 6에 관련되는 핸들 조립체에서는, 발명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핸들 조립체에 있어서, 핸들 축이 제1 구멍부를 가진다. 장착부는, 제1 구멍부에 연통(連通)하는 제2 구멍부를 가진다. 수지부는, 제2 구멍부에 연통하는 제3 구멍부를 가진다. 제3 구멍부로부터 제1 및 제2 구멍부로, 축 부재를 삽통(揷通)하는 것에 의하여, 장착부는 핸들 축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경우, 축 부재를, 핸들 축의 제1 구멍부, 장착부의 제2 구멍부, 및 수지부의 제3 구멍부에 삽통하는 것에 의하여, 장착부가, 핸들 축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것에 의하여, 장착부가 수지부에 의하여 덮여 있었다고 하여도, 장착부를 핸들 축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축 부재의 양단부가 수지부의 제3 구멍부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축 부재의 길이를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축 부재는, 수지부의 외측에 노출하는 것 없이, 장착부를 핸들 축에 장착할 수 있다. 즉, 핸들 암의 외관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핸들 축에 장착하는 부분의 강도를 향상할 수 있는 핸들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피닝 릴의 측면도.
도 2A는 핸들 암의 외관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절단선II-II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3은 핸들 암에 있어서의 암 본체의 외관 사시도.
도 4는 도 2A의 절단선IV-IV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피닝 릴(100)에서는, 낚싯줄이 전방(前方)(도 1 좌방(左方))으로 방출 가능하다.
스피닝 릴(100)은, 핸들 조립체(1)와 핸들 조립체(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2)와 로터(3)와 스풀(4)을 구비하고 있다.
핸들 조립체(1)는, 로터(3)를 회전시키고, 또한 스풀(4)을 전후 이동시킨다. 핸들 조립체(1)의 상세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로터(3)는, 릴 본체(2)의 전부(前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여기에서, 핸들 조립체(1)의 회전이 로터 구동 기구(도시하지 않는다)를 통하여 로터(3)에 전달되는 것에 의하여, 로터(3)는 회전한다. 덧붙여, 로터 구동 기구는, 핸들 조립체(1)가 연결되는 핸들 축(10)을 통하여 구동된다.
스풀(4)은, 낚싯줄을 외주면에 감기 위한 것이고, 로터(3)의 전부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핸들 조립체(1)의 회전이 오실레이팅 기구(도시하지 않는다)를 통하여 스풀(4)에 전달되는 것에 의하여, 스풀(4)은 전후로 왕복 이동한다. 덧붙여, 오실레이팅 기구는, 핸들 조립체(1)가 연결되는 핸들 축(10)을 통하여 구동된다.
핸들 조립체(1)는, 도 1에 도시하는 릴 본체(2)의 좌측과 우측의 어느 쪽에도 장착 가능하다. 여기에서, 좌우는, 스피닝 릴(100)을 후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좌우이다. 또한, 상하는, 도 1에 있어서의 상하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 조립체(1)는, 핸들 축(10)에 장착된다. 핸들 축(10)은, 로터 구동 기구 및 오실레이팅 기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축(도시하지 않는다)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핸들 축(10)은, 구동 축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구동 축을 회전시킨다. 한편으로, 핸들 축(10)과 구동 축과의 계합은 해제 가능하다. 이 계합의 해제는, 예를 들어, 핸들 조립체(1)가 접어개지는 경우나, 핸들 조립체(1)가 릴 본체(2)로부터 떼어내지는 경우에 행하여진다. 덧붙여, 핸들 축(10)과 구동 축과의 계합에는, 예를 들어, 나합 계합이나 비원형 계합 등이 이용된다.
핸들 축(10)은, 핸들 장착용의 제1 구멍부(10a)를 가지고 있다(도 4를 참조). 이 제1 구멍부(10a)를 통하여, 핸들 조립체(1)는 핸들 축(10)에 장착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 조립체(1)는, 핸들 손잡이(5)와 핸들 암(20)을 구비한다. 핸들 손잡이(5)는, 핸들 암(20)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핸들 손잡이(5)는, 핸들 암(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 암(20)은, 핸들 축(10)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핸들 암(20)은, 핸들 축(10)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덧붙여, 핸들 암(20)을 핸들 축(10)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형태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도 2A, 도 2B,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 암(20)은, 금속제의 암 본체(21)와 수지부(31)를 가지고 있다. 덧붙여, 도 2A에서는, 수지부(31)를 암 본체(21)와 구별하기 위하여, 수지부(31)에는 해칭이 되어 있다. 또한, 도 2A에서는, 핸들 축(10)은 생략하고 있다.
금속제의 암 본체(21)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합금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제의 암 본체(21)는, 암부(22)와 장착부(25)를 가지고 있다. 암부(22)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암부(22)의 단면(斷面)은, 실질적으로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암부(22)는, 노출부(23)와 피복부(24)를 가지고 있다. 노출부(23)는, 피복부(24)를 제외한 부분이다. 노출부(23)는, 일 방향으로 긴 판상(板狀)의 제1 본체부(23a)와, 핸들 손잡이(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1 본체부(23a)의 외주부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측부(23b)를 가지고 있다. 노출부(23)의 일단부, 예를 들어 노출부(23)의 제1 본체부(23a)의 일단부에는, 손잡이용의 구멍부(23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손잡이용의 구멍부(23c)에는 고정 부재(도시하지 않는다)가 삽통되고, 이 고정 부재에 의하여 핸들 손잡이(5)가 노출부(23)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피복부(24)는, 수지부(31)로 덮이는 부분이다. 피복부(24)는, 노출부(23)의 타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피복부(24)의 일단부가, 노출부(23)의 타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피복부(24)는, 일 방향으로 긴 판상의 제2 본체부(24a)와, 핸들 손잡이(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2 본체부(24a)의 외주부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측부(24b)를 가지고 있다. 제2 본체부(24a)는, 제1 본체부(23a)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측부(24b)는, 제1 측부(23b) 및 제2 본체부(24a)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피복부(24)는, 수지부(31)를 일체 성형하기 위한 적어도 1개의 성형용의 구멍부(24c)를 더 가지고 있다. 상세하게는, 제2 본체부(24a)에는, 복수(예를 들어 2개)의 성형용의 구멍부(24c)가 설치되어 있다. 제2 본체부(24a)에서는, 2개의 성형용의 구멍부(24c)가, 제2 본체부(24a)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측부(24b)에도, 복수(예를 들어 2개)의 성형용의 구멍부(24c)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측부(24b)에서는, 2개의 성형용의 구멍부(24c)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덧붙여, 도 3의 제2 측부(24b)에는, 1개의 성형용의 구멍부(24c)만이 도시되어 있다.
피복부(24)의 일단부에서는, 피복부(24)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 예를 들어 피복부(24)의 제2 본체부(24a)의 폭 D1(피복부(24)의 한 쌍의 측부의 간격)이, 노출부(23)의 타단부로부터 이반하는 것에 따라 서서히 작아지고 있다. 또한, 피복부(24)의 일단부에서는, 노출부(23)를 형성하는 면, 예를 들어 노출부(23)의 제1 본체부(23a)의 외면을 기준으로 하여 피복부(24)의 외면이, 노출부(23)에 있어서의 제1 본체부(23a)의 타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서서히 경사하고 있다.
피복부(24)의 일단부와 피복부(24)의 타단부와의 사이에서는, 피복부(24)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이, 노출부(23)의 타단 측의 폭보다 작아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피복부(24)의 일단부와 피복부(24)의 타단부와의 사이에서는, 피복부(24)의 제2 본체부(24a)의 폭 D2가, 노출부(23)의 타단 측에 있어서의 제1 본체부(23a)의 폭 D1(피복부(24)의 일단 측에 있어서의 제2 본체부(24a)의 폭)보다 작아지고 있다. 피복부(24)의 타단부에는, 장착부(2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부(25)는, 핸들 축(10)에 장착되는 부분이다. 장착부(25)는, 제1 장착부(25a)와 제2 장착부(25b)를 가지고 있다. 제1 장착부(25a)와 제2 장착부(25b)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1 장착부(25a)는, 피복부(24)의 타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장착부(25a)는, 피복부(24)의 타단부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하도록, 한 쌍의 제2 측부(24b)의 일방(一方)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장착부(25a)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장착부(25b)는, 피복부(24)의 타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장착부(25b)는, 피복부(24)의 타단부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하도록, 한 쌍의 제2 측부(24b)의 타방(他方)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장착부(25b)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장착부(25a)와 제2 장착부(25b)와의 사이에는, 핸들 축(10)이 배치된다. 핸들 축(10)은, 제1 장착부(25a) 및 제2 장착부(25b)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장착부(25a) 및 제2 장착부(25b) 각각은, 핸들 축 장착용의 제2 구멍부(25c)를 가지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한 쌍의 핸들 축 장착용의 제2 구멍부(25c)가, 제1 장착부(25a) 및 제2 장착부(25b)에 각각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핸들 축 장착용의 제2 구멍부(25c)는, 서로 대향하도록, 제1 장착부(25a) 및 제2 장착부(25b)에 각각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2 구멍부(25c)의 구멍 직경은, 핸들 축(10)의 제1 구멍부(10a)의 구멍 직경보다 크다.
장착부(25)(제1 장착부(25a) 및 제2 장착부(25b))의 한 쌍의 핸들 축 장착용의 제2 구멍부(25c)와 상술한 핸들 축(10)의 제1 구멍부(10a)를 통하여, 핸들 조립체(1)는, 핸들 축(10)에 장착된다. 핸들 조립체(1)를 핸들 축(10)에 장착하는 형태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도 2A, 도 2B,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지부(31)는, 암부(22) 중 적어도 일부와 장착부(25)를 덮는다. 여기에서는, 수지부(31)는, 합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합성 수지에는, 폴리아미드(나일론)가 포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합성 수지에는, 유리 섬유 및/또는 탄소 섬유 등에 의하여 강화된 폴리아미드(나일론)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수지부(31)는, 암부(22)에 있어서의 피복부(24)와 장착부(25)를 덮는다(도 3을 참조). 상세하게는, 수지부(31)는, 피복부(24)와 제1 장착부(25a) 및 제2 장착부(25b)와 제1 장착부(25a) 및 제2 장착부(25b)의 사이를 덮는다.
수지부(31)는, 피복부(24)와 장착부(25)에 일체 성형된다. 구체적으로는, 수지부(31)는, 피복부(24)와 제1 장착부(25a) 및 제2 장착부(25b)에 일체 성형된다. 또한, 수지부(31)와 노출부(23)가 면일이 되도록, 수지부(31)가 피복부(24)와 장착부(25)에 일체 성형된다.
상세하게는, 수지부(31)는, 피복부(24)와 제1 장착부(25a) 및 제2 장착부(25b)(제1 장착부(25a) 및 제2 장착부(25b)의 사이를 포함한다)를 덮도록, 암 본체(21)에 대하여 아웃 서트 성형된다.
예를 들어, 수지부(31)는, 피복부(24)(제2 본체부(24a) 및 제2 측부(24b))의 성형용의 구멍부(24c)를 통하여, 피복부(24)에 계지(係止)된다(도 3을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지부(31)는, 커버부(32)와 계지부(33)를 가지고 있다. 커버부(32)는, 피복부(24)의 외측과 제1 장착부(25a) 및 제2 장착부(25b)(제1 장착부(25a) 및 제2 장착부(25b)의 사이를 포함한다)의 외측을 덮는 부분이다.
계지부(33)는, 축부(33a)와 축부(33a)에 일체로 형성되는 테두리부(33b)를 가지고 있다. 축부(33a)는, 커버부(32)에 일체로 형성된다. 축부(33a)는, 피복부(24)(제2 본체부(24a) 및 제2 측부(24b))의 성형용의 구멍부(24c)에 배치된다. 테두리부(33b)는, 피복부(24)(제2 본체부(24a) 및 제2 측부(24b))에 있어서 커버부(32)와는 반대 측, 즉 피복부(24)의 이측(裏側)에 당접한다. 이것에 의하여, 테두리부(33b)는, 축부(33a)를 통하여, 커버부(32)를 피복부(24)에 계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커버부(32)가 계지부(33)에 의하여 피복부(24)에 계지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수지부(31)와 노출부(23)가 면일이 되도록, 수지부(31)는, 피복부(24)의 외측과 제1 장착부(25a) 및 제2 장착부(25b)(제1 장착부(25a) 및 제2 장착부(25b)의 사이를 포함한다)의 외측을 덮고 있다. 수지부(31) 및 노출부(23)를 면일하게 형성하는 구성(수지부(31)와 노출부(23)와의 사이에 단차를 일으키게 하지 않는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피복부(24)의 일단부의 폭 및 피복부(24)의 일단부의 경사에 의하여 실현되어 있다.
도 2A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지부(31)는, 한 쌍의 핸들 축 장착용의 제3 구멍부(31a)를 더 가지고 있다. 한 쌍의 핸들 축 장착용의 제3 구멍부(31a)는, 장착부(25)에 있어서의 핸들 축 장착용의 제2 구멍부(25c)에 연통하도록, 수지부(31)에 설치되어 있다. 덧붙여, 제3 구멍부(31a)의 구멍 직경은, 핸들 축(10)의 제1 구멍부(10a)의 구멍 직경보다 크다. 또한, 제3 구멍부(31a)의 구멍 직경은, 장착부(25)의 제2 구멍부(25c)의 구멍 직경보다 크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핸들 조립체(1)를, 핸들 축(10)에 장착하는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핸들 축(10)이, 암 본체(21)의 제1 장착부(25a)와 제2 장착부(25b)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핸들 축(10)의 제1 구멍부(10a)와, 제1 장착부(25a) 및 제2 장착부(25b)의 제2 구멍부(25c)와, 수지부(31)의 제3 구멍부(31a)가, 동심(同心)으로 되도록, 핸들 축(10)이, 제1 장착부(25a)와 제2 장착부(25b)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축 부재(40)가, 제1 내지 제3 구멍부(31a)에 삽통되고, 제1 구멍부(10a)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축 부재(40)의 양단부가, 제2 구멍부(25c) 및 제3 구멍부(31a)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축 부재(40)의 중앙부가, 핸들 축(10)의 제1 구멍부(10a)에 압입(壓入)된다. 이와 같이 하여, 핸들 조립체(1)는, 핸들 축(10)에 장착된다.
여기에서, 축 부재(40)의 양단부는, 암 본체(21)에 있어서의 장착부(25)의 제2 구멍부(25c)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암 본체(21)가 회전하면, 축 부재(40)를 통하여, 핸들 축(10)이 회전한다. 즉, 핸들 조립체(1)는, 핸들 축(10)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핸들 축(10)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핸들 축(10)에 장착된다. 이것에 의하여, 핸들 축(10)이 구동 축에 계합하고 구동 축을 구동 가능한 상태에서, 핸들 조립체(1)가 핸들 축(10)과 함께 회전하면, 구동 축을 통하여, 로터 구동 기구 및 오실레이팅 기구가 구동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장착부(25)의 제2 구멍부(25c)의 구멍 직경은, 핸들 축(10)의 제1 구멍부(10a)의 구멍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축 부재(40)가 핸들 축(10)의 제1 구멍부(10a)에 고정되면, 장착부(25)는, 축 부재(40)의 둘레로 요동 가능하다. 즉, 핸들 조립체(1)는, 축 부재(40)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핸들 축(10)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것에 의하여, 핸들 축(10)과 구동 축과의 계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핸들 조립체(1)를 축 부재(40) 둘레로 요동 시키면, 핸들 조립체(1)가 접어개진다.
<특징>
상기 실시예는, 하기와 같이 표현 가능하다.
(A) 핸들 조립체(1)는, 낚시용 릴(스피닝 릴(100))의 핸들 축(10)에 장착된다. 핸들 조립체(1)는, 핸들 암(20)과 핸들 손잡이(5)를 구비한다. 핸들 암(20)은, 핸들 축(10)에 장착된다. 핸들 손잡이(5)는, 핸들 암(20)에 장착된다. 여기에서, 핸들 암(20)은, 금속제의 암 본체(21)와 수지부(31)를 가진다. 금속제의 암 본체(21)는, 핸들 축(10)에 장착되는 장착부(25), 및 장착부(25)에 일체로 형성되는 암부(22)를 포함한다. 수지부(31)는, 암부(22) 중 적어도 일부(피복부(24)) 및 장착부(25)를 덮는다.
이 핸들 조립체(1)에서는, 핸들 암(20)이, 금속제의 암 본체(21)와 수지부(31)를 가지고 있다. 금속제의 암 본체(21)는, 장착부(25)에 있어서, 핸들 축(10)에 장착된다. 즉, 이 핸들 조립체(1)에서는, 암 본체(21)의 장착부(25)가 금속제이기 때문에, 핸들 암(20)과 핸들 축(10)과의 접합 강도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수지부(31)가, 암 본체(21)의 암부(22) 중 적어도 일부, 및 암 본체(21)의 장착부(25)를 덮고 있기 때문에, 핸들 암(20)과 핸들 축(10)과의 접합 강도를 한층 더 향상할 수 있다. 나아가, 핸들 암(20)의 강도 및 강성을 확보하는데 있어서 필요 최소한의 부분만큼을, 금속제의 암 본체(21)로서 형성하고, 그 외의 부분을, 수지부(31)로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경량화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다.
(B) 핸들 조립체(1)에서는, 암 본체(21)의 장착부(25)가, 제1 장착부(25a)와, 제1 장착부(25a)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 장착부(25b)를 가진다. 핸들 축(10)은, 제1 장착부(25a)와 제2 장착부(25b)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핸들 축(10)은, 제1 장착부(25a) 및 제2 장착부(25b)에 장착된다. 수지부(31)는, 제1 장착부(25a) 및 제2 장착부(25b)의 외측에 일체 성형된다.
이 경우, 핸들 축(10)이, 암 본체(21)에 있어서의 제1 장착부(25a)와 제2 장착부(25b)와의 사이에 있어서, 제1 장착부(25a)와 제2 장착부(25b)에 장착된다. 이 때문에, 핸들 암(20)이 핸들 축(10) 둘레로 회전하는 경우에, 제1 장착부(25a) 및 제2 장착부(25b)의 양자가 서로 이반하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그렇지만, 이 핸들 조립체(1)에서는, 수지부(31)가, 제1 장착부(25a) 및 제2 장착부(25b)의 외측에 일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이 수지부(31)에 의하여, 제1 장착부(25a) 및 제2 장착부(25b)의 이반 방향으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C) 핸들 조립체(1)에서는, 수지부(31)가, 암부(22) 중 적어도 일부 및 장착부(25)를 덮도록, 암 본체(21)에 대하여 아웃 서트 성형된다.
이 경우, 금속제의 암 본체(21)의 형상이 같아도, 아웃 서트의 금형을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외관이 다른 핸들 암(20)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금속제의 암 본체(21)의 치수가 같은 경우, 다양한 외관을 가지는 핸들 암(20)을, 같은 타입의 낚시용 릴의 핸들 축(10)에 장착할 수 있다.
(D) 핸들 조립체(1)에서는, 암부(22)가, 수지부(31)로 덮이는 피복부(24)와, 피복부(24)를 제외한 노출부(23)를 가진다.
이 경우, 암 본체(21)에 있어서, 암부(22)의 피복부(24)는, 수지부(31)로 덮이는 부분이다. 또한, 암부(22)의 노출부(23)는, 피복부(24)를 제외한 부분, 즉 외부에 노출한 부분이다. 이와 같이, 암부(22)를 부분적으로 수지부(31)로 덮는 것에 의하여, 암부(22)의 강도 및 강성의 확보와 경량화를, 동시에 도모할 수 있다.
(E) 핸들 조립체(1)에서는, 수지부(31)와 노출부(23)가 면일이 되도록, 수지부(31)가 피복부(24)에 일체 성형된다.
이 경우, 핸들 암(20)에 있어서, 수지부(31)와 암 본체(21)의 암부(22)의 노출부(23)가 면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수지부(31)와 노출부(23)와의 사이의 경계에는 단차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핸들 암(20)의 외관을 향상하고, 핸들 암(20)의 표면에 낚싯줄이 휘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 핸들 조립체(1)에서는, 핸들 축(10)이, 제1 구멍부(10a)를 가진다. 장착부(25)는, 제1 구멍부(10a)에 연통하는 제2 구멍부(25c)를 가진다. 수지부(31)는, 제2 구멍부(25c)에 연통하는 제3 구멍부(31a)를 가진다. 축 부재(40)를 제3 구멍부(31a)의 일방으로부터, 제1 및 제2 구멍부(25c)를 거쳐, 제3 구멍부(31a)의 타방까지 삽통하는 것에 의하여, 장착부(25)는, 핸들 축(10)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경우, 축 부재(40)를, 핸들 축(10)의 제1 구멍부(10a), 장착부(25)의 제2 구멍부(25c), 및 수지부(31)의 제3 구멍부(31a)에 삽통하는 것에 의하여, 장착부(25)가, 핸들 축(10)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것에 의하여, 장착부(25)가 수지부(31)에 의하여 덮여 있었다고 하여도, 장착부(25)를 핸들 축(10)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축 부재(40)의 양단부가 수지부(31)의 제3 구멍부(31a)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축 부재(40)의 길이를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축 부재(40)는, 수지부(31)의 외측에 노출하는 것 없이, 장착부(25)를 핸들 축(10)에 장착할 수 있다. 즉, 핸들 암(20)의 외관을 향상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쓰여진 복수의 실시예 및 변형예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합 가능하다.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암부(22)에 있어서의 피복부(24)의 일단부에 있어서, 피복부(24)의 제2 본체부(24a)의 폭(피복부(24)의 한 쌍의 측부), 및 피복부(24)의 외면이 경사하도록 형성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다. 이 구성에 의하여, 수지부(31)가 피복부(24)와 장착부(25)를 덮어도, 수지부(31)와 노출부(23)와의 사이에는,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면일하게 형성된다. 이것에 대신하여, 피복부(24)의 일단부와 노출부(23)의 타단부와의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도록, 암부(22)를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이 단차를 메우도록, 수지부(31)를 피복부(24)와 장착부에 일체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수지부(31)와 노출부(23)와의 사이에는,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면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수지부(31)가 피복부(24)에 계지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수지부(31)는, 피복부(24)뿐만이 아니라, 장착부(25)에 계지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제1 장착부(25a) 및 제2 장착부(25b)의 사이의 공간에, 수지부(31)를 침입시키는 것에 의하여, 수지부(31)를 장착부에 의하여 확실히 계지시킬 수 있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계지부(33)가 테두리부(33b)를 가지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다. 이것에 대신하여, 계지부(33)가 축부(33a)만을 가지고, 이 축부(33a)에 의하여 수지부(31)를 피복부(24)에 계지시켜도 무방하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제2 구멍부(25c)의 양측에, 두 개의 제3 구멍부(31a)를 각각 별도로 배치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제2 구멍부(25c)의 일방 측에만 하나의 제3 구멍부(31a)를 배치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e) 상기 실시예에서는, 장착부(25)를 구성하는 제1 장착부(25a) 및 제2 장착부(25b) 각각을 독립하고, 암부(22)로부터 돌출시키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장착부(25)의 단면을 역 ㄷ자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장착부(25)를 암부(22)로부터 일체적으로 돌출시켜도 무방하다. 이 경우, 역 ㄷ자 단면을 가지는 장착부(25)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벽부가, 제1 장착부(25a) 및 제2 장착부(25b)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장착부(25)를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제1 장착부(25a)와 제2 장착부(25b)의 이반 방향으로의 변형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1: 핸들 조립체
5: 핸들 손잡이
10: 핸들 축
10a: 제1 구멍부
20: 핸들 암
21: 금속제의 암 본체
22: 암부
23: 노출부
24: 피복부
25: 장착부
25a: 제1 장착부
25b: 제2 장착부
25c: 제2 구멍부
31: 수지부
31a: 제3 구멍부

Claims (6)

  1. 낚시용 릴의 핸들 축에 장착되는 핸들 조립체이고,
    상기 핸들 축에 장착되는 핸들 암과,
    상기 핸들 암에 장착되는 핸들 손잡이
    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 암은, 상기 핸들 축에 장착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암부를 포함하는 금속제의 암 본체와, 상기 암부 중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장착부를 덮는 수지부를 가지는,
    핸들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제1 장착부와, 상기 제1 장착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 장착부를 가지고,
    상기 핸들 축은, 상기 제1 장착부와 상기 제2 장착부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장착부 및 상기 제2 장착부에 장착되고,
    상기 수지부는, 상기 제1 장착부 및 상기 제2 장착부의 외측에 일체 성형(成型)되는,
    핸들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부는, 상기 암부 중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장착부를 덮도록, 상기 암 본체에 대하여, 아웃 서트(outsert) 성형되는,
    핸들 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는, 상기 수지부로 덮이는 피복부(被覆部)와, 상기 피복부를 제외한 노출부를 가지는,
    핸들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부와 상기 노출부가 면일(面一)이 되도록, 상기 수지부는 상기 피복부에 일체 성형되는,
    핸들 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축은 제1 구멍부를 가지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1 구멍부에 연통(連通)하는 제2 구멍부를 가지고,
    상기 수지부는, 상기 제2 구멍부에 연통하는 제3 구멍부를 가지고,
    상기 제3 구멍부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구멍부로, 축 부재(部材)를 삽통(揷通)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장착부는, 상기 핸들 축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핸들 조립체.
KR1020150131316A 2014-09-26 2015-09-17 핸들 조립체 KR1024624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96347A JP6505405B2 (ja) 2014-09-26 2014-09-26 ハンドル組立体
JPJP-P-2014-196347 2014-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082A true KR20160037082A (ko) 2016-04-05
KR102462482B1 KR102462482B1 (ko) 2022-11-03

Family

ID=54198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316A KR102462482B1 (ko) 2014-09-26 2015-09-17 핸들 조립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826724B2 (ko)
EP (1) EP3000318B1 (ko)
JP (1) JP6505405B2 (ko)
KR (1) KR102462482B1 (ko)
CN (1) CN105454174B (ko)
MY (1) MY177846A (ko)
TW (1) TWI6679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56602B2 (ja) * 2017-11-13 2021-11-02 株式会社シマノ 魚釣用リールのハンドルノブ及び魚釣用リール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716A (en) 1975-07-11 1977-01-22 Chiba Tsushin Kogyo Kk Synchronous system in simultaneous communication
JPH04133178U (ja) * 1991-05-31 1992-12-1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ツチ操作機構
KR20050027020A (ko) * 2003-09-11 2005-03-17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스피닝 릴의 로터
JP2010119355A (ja) * 2008-11-20 2010-06-03 Globeride Inc 魚釣用リール
JP2011147396A (ja) * 2010-01-22 2011-08-04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支持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716Y2 (ko) 1974-11-13 1977-02-23
JPS57181629A (en) * 1981-04-30 1982-11-09 Daiwa Seiko Co Handle folding apparatus of fishing reel
US4830306A (en) * 1986-08-25 1989-05-16 Ryobi Ltd. Fishing reel leg with soft cover
JPH068693Y2 (ja) * 1987-02-04 1994-03-09 リョービ株式会社 魚釣用リ−ルのハンドルカバ−
JP3457145B2 (ja) * 1996-08-08 2003-10-14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り用リール
JP2000333566A (ja) * 1999-05-25 2000-12-05 Ryobi Ltd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
US6364229B1 (en) * 2000-02-23 2002-04-02 Brunswick Corporation Fishing reel crank handle with dynamic balancing structure
JP2002281870A (ja) * 2001-03-28 2002-10-02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ル
DE20107254U1 (de) * 2001-04-26 2001-08-09 Chang Liang Jen Schwinghebel-Vorrichtung für Angelschnurrolle
JP4522067B2 (ja) * 2003-09-11 2010-08-11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JP2006217848A (ja) * 2005-02-09 2006-08-24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JP5236883B2 (ja) * 2007-02-13 2013-07-17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JP5479832B2 (ja) * 2009-09-30 2014-04-23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JP5231475B2 (ja) * 2010-04-23 2013-07-1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ハンドル
JP5869240B2 (ja) * 2011-06-28 2016-02-24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把手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716A (en) 1975-07-11 1977-01-22 Chiba Tsushin Kogyo Kk Synchronous system in simultaneous communication
JPH04133178U (ja) * 1991-05-31 1992-12-1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クラツチ操作機構
KR20050027020A (ko) * 2003-09-11 2005-03-17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스피닝 릴의 로터
JP2010119355A (ja) * 2008-11-20 2010-06-03 Globeride Inc 魚釣用リール
JP2011147396A (ja) * 2010-01-22 2011-08-04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支持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454174A (zh) 2016-04-06
TWI667956B (zh) 2019-08-11
EP3000318B1 (en) 2019-05-15
JP6505405B2 (ja) 2019-04-24
US9826724B2 (en) 2017-11-28
EP3000318A1 (en) 2016-03-30
MY177846A (en) 2020-09-23
KR102462482B1 (ko) 2022-11-03
US20160088823A1 (en) 2016-03-31
TW201620379A (zh) 2016-06-16
CN105454174B (zh) 2020-08-11
JP2016067206A (ja) 2016-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046037A (ja) アウターミラー
KR20140135322A (ko) 프로펠러샤프트용 장착장치
KR20160037082A (ko) 핸들 조립체
EP1304033A1 (en) Bait casting reel
JP2006088939A (ja) 鞍乗型車両
JP2016067206A5 (ko)
JP6565796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ES2831000T3 (es) Sistema de soporte para un sensor de rueda fónica
JP6029473B2 (ja) リコイルスタータ
JP2002335822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CN110313452B (zh) 钓鱼用旋压式卷线器
JP4015901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2013063686A (ja) ミラー本体の支持構造
KR200212280Y1 (ko) 낚시용 릴의 로터 구조
JP6335528B2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5451276B2 (ja) ケーブルガイド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自転車
JP2009227273A (ja) 自転車用付属品アセンブリー及び自転車
JP2015217818A (ja) 車両用サイドミラー
JP2004254534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
KR100344996B1 (ko) 낚시용 릴의 로터 구조
JP6113699B2 (ja) 車両用ミラー装置
JP4864751B2 (ja) ヘッドライト取付装置および自動二輪車
JP2006214432A (ja) リコイルスタータ
JP2007085110A (ja) 手摺りブラケット
BR102014032659B1 (pt) suporte modular para camara de frei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