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3742A - 댁내 기기, 홈 시스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댁내 기기, 홈 시스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3742A
KR20160033742A KR1020167004038A KR20167004038A KR20160033742A KR 20160033742 A KR20160033742 A KR 20160033742A KR 1020167004038 A KR1020167004038 A KR 1020167004038A KR 20167004038 A KR20167004038 A KR 20167004038A KR 20160033742 A KR20160033742 A KR 20160033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mote operation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4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9400B1 (ko
Inventor
마사유키 코마츠
사토시 미네자와
마사아키 야베
사토시 엔도
이치로 마루야마
히로아키 우시로사코
히로토시 야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33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3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01R31/0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20Binding and programming of remote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40Remote control systems using repeaters, converters, gateways
    • G08C2201/42Transmitting or receiving remote control signals via a net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50Receiving or transmitting feedback, e.g. replies, status updates, acknowledgements, from the controlled devices
    • G08C2201/51Remote controlling of devices based on replies, status thereof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원격 조작 접수부(111)는, 통신 단말과 통신을 행하고, 댁외로부터의 원격 조작을 접수한다. 원격 조작에 의거한 동작의 실행 중에, 원격 조작 감시부(112)는, 원격 조작 접수부(111)에서의 통신 단말과의 통신 상황을 감시한다. 원격 조작 감시부(112)에 의해 통신 단말과의 통신 두절이 검출되면, 통보부(114)는, 수동 조작 접수부(121)에의 수동 조작을 유저에게 촉구하는 안내를 댁내에 통보한다. 그리고, 기준 시간 내에 수동 조작을 접수하면, 댁내 기기(10)는, 통상 조작으로 이행한다. 기준 시간이 경과하여도 수동 조작을 접수하지 않은 경우에, 원격 조작 이상 처리부(124)는, 동작 상황에 응한 유예 시간을 설정 후, 댁내 기기(10)를 안전 동작으로 천이시킨다.

Description

댁내 기기, 홈 시스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INDOOR DEVICE, HOME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본 발명은, 원격 조작이 불능으로 된 경우에도,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댁내 기기를 적절하게 제어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근래, 일반 가정에서, 댁내(宅內)에 배치한 여러가지의 가전 기기나 주택 설비 기기(이하, 통합하여 댁내 기기로 기재한다)를 규정의 통신 규격으로 접속한 홈 시스템(한 예로서, 에너지 매니지먼트 시스템 등)이 보급되고 있다. 이 홈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면, 에어컨, 조명 기기, 밥솥, IH 조리기, 제습기, 환기 팬, 급탕기라는 여러가지의 댁내 기기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고, 각 댁내 기기의 관리(모니터링이나 제어)가 적절하게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 폰 등의 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이와 같은 홈 시스템에 댁외(宅外)로부터 액세스하고, 외출처 등의 유저가, 댁내 기기를 원격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래도, 현실에서는, 통신 단말 주변에서의 통신 환경의 악화나, 통신 단말의 배터리의 소모 등을 요인으로 하여 통신이 두절되어, 원격 조작이 불가능하게 되어 버리는 일도 일어날 수 있다. 그 때, 댁내 기기는, 원격 조작시의 최종 지시에 의거한 동작을 계속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지시 계통이 없어져 버린 것을 고려하면, 그러한 동작의 계속은, 안전상의 문제가 될 수 있다고 하여 우려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홈 시스템의 선행 기술로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이상 검지를 가능하게 한 HA(홈 오토메이션) 원격 조작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개2006-163669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특허 문헌 1에서는, HA 단자 계통에 고장(단선이나 단락)이 생긴 경우에, 그 고장을 관리 센터 등에서 검출하는 기술의 개시에 그치고 있고, 원격 조작이 불능으로 된 댁내 기기(특허 문헌 1의 경우, HA 풍로)의 제어에 관해서는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원격 조작이 불능으로 된 때에, 예를 들면, 무조건 댁내 기기를 정지시키는 것도 생각되지만, 원격 조작의 효과가 저해되고, 편리성을 크게 저하시켜 버린다고 예상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원격 조작이 불능으로 된 경우에도,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적정한 제어를 행할 수 있는 댁내 기기, 홈 시스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댁내 기기는,
댁내에 배치되고, 미리 정하여진 주기능(主機能)을 동작시키는 댁내 기기로서,
통신 단말과 통신을 행하고, 댁외로부터의 원격 조작을 접수하는 원격 조작 접수부와,
댁내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 접수부와,
상기 원격 조작 접수부가 접수한 원격 조작, 또는, 상기 조작 접수부가 접수한 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주기능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기능 제어부와,
상기 원격 조작에 의거한 동작의 실행 중에, 상기 원격 조작 접수부에서의 상기 통신 단말과의 통신 상황을 감시하는 통신 감시부와,
상기 통신 감시부가 상기 통신 단말과의 통신 두절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조작 접수부에의 조작을 유저에게 촉구하는 안내를 댁내에 통보하는 통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격 조작이 불능으로 된 경우에도,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적정한 제어를 행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한 홈 시스템의 전체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한 댁내 기기의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댁내 기기의 원격 조작 이상시 천이 정의 기억부에 기억되는 천이 정의의 한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한 컨트롤러의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한 감시 제어 처리의 한 예를 도시하는 플로 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에 관한 홈 시스템의 전체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에 관한 댁내 기기의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에 관한 컨트롤러의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에 관한 감시 제어 처리의 한 예를 도시하는 플로 차트.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제1의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한 홈 시스템(1)의 전체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이 홈 시스템(1)은, 외출처 등으로부터, 유저가 통신 단말(40)을 조작하여, 주택(H) 내에 배치되어 있는 댁내 기기(10)를 원격 조작 가능한 시스템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 시스템(1)은, 댁내 기기(10)와, 컨트롤러(20)와, 통신 단말(40)과, 서버(5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댁내 기기(10)와 컨트롤러(20)는, 댁내 네트워크(30)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서버(50)와 컨트롤러(20)는, 댁외 네트워크(60)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댁내 기기(10)는, 주택(H) 내에 배치된 가전 기기나 주택 설비 기기이고, 예를 들면, 에어컨, 조명 기기, 밥솥, IH 조리기, 제습기, 환기 팬, 급탕기 등이다. 또한, 급탕기 등은, 일부가 주택(H) 밖에도 배치될 수 있지만, 댁내 기기(10)에 포함하여 설명한다. 이 댁내 기기(10)의 구성의 한 예에 관해, 이하, 도 2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댁내 기기(10)는, 원격 조작 접수부(111)와, 원격 조작 감시부(112)와, 패스(113)와, 통보부(114)(표시부(115), 음성 출력부(116))와, 원격 조작 로그 기억부(117)와, 기기 상태 감시부(118)와, 수동 조작 접수부(121)와, 리모콘 조작 접수부(122)와, 입력 배타(排他) 처리부(123)와, 원격 조작 이상(異常) 처리부(124)와, 타이머(125)와, 주기능 제어부(126)와, 원격 조작 이상시 천이(遷移) 정의(定義) 기억부(127)와, 기기 제어 데이터베이스(128)를 구비한다. 또한, 원격 조작 접수부(111)∼기기 상태 감시부(118)는, A유닛(110)으로서 구성되고, 또한, 수동 조작 접수부(121)∼기기 제어 데이터베이스(128)는, B유닛(120)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즉, A유닛(110)의 각 구성과 B유닛(120)의 각 구성은, 서로 독립하여 있고, 예를 들면, 일방의 유닛에서 장애 등이 발생한 경우에도, 타방의 유닛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원격 조작 감시부(112), 기기 상태 감시부(118), 원격 조작 이상 처리부(124), 및, 주기능 제어부(126)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등(어느 것이나 도시 생략)에 의해 실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CPU가, RAM을 워크 메모리로서 이용하여, ROM에 기억되어 있는 각종 프로그램을 적절히 실행함에 의해,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원격 조작 감시부(112), 기기 상태 감시부(118), 원격 조작 이상 처리부(124), 및, 주기능 제어부(126)가 각각 실현된다. 또한, A유닛(110)의 원격 조작 감시부(112) 및 기기 상태 감시부(118)와, B유닛(120)의 원격 조작 이상 처리부(124) 및 주기능 제어부(126)는, 다른 CPU에 의해, 실현되도록 하여도 좋다.
원격 조작 접수부(111)는, 예를 들면, 통신 유닛 등으로 이루어지고, 통신 단말(40)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여, 주택(H) 밖으로부터의 원격 조작 등을 접수한다. 예를 들면, 원격 조작 접수부(111)는, 컨트롤러(20)와 서버(50)와의 사이에서 통신 접속이 확립하고 있는 상태에서, 서버(50)를 통하여 통신 단말(40)로부터 보내지는 원격 조작을 위한 통신 프레임(보다 상세하게는, 원격 조작 프레임)을 수신한다. 이 밖에도, 원격 조작 접수부(111)는, 통신 단말(40)로부터 보내지는 기기 상태를 요구하는 통신 프레임(보다 상세하게는, 상태 취득 요구 프레임)을 수신한다. 이 상태 취득 요구 프레임은, 원격 조작의 실행 중에 있어서, 통신 단말(40)로부터 일정 시간마다 순차적으로 송신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상태 취득 요구 프레임에 응답하여, 원격 조작 접수부(11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주기능 제어부(126)가 취득한 현재의 기기 상태를, 통신 단말(40)에 송신한다. 원격 조작 접수부(111)는, 수신한 통신 프레임의 정보를, 입력 배타 처리부(123)에 공급한다(후술하는 바와 같이, 패스(113)가 도통(폐)하고 있는 경우).
원격 조작 감시부(112)는, 원격 조작의 실행 중에, 원격 조작 접수부(111)에서의 통신 단말(40)과의 통신 상황을 감시한다. 예를 들면, 원격 조작 감시부(112)는, 원격 조작 접수부(111)가, 상술한 상태 취득 요구 프레임, 즉, 일정 시간마다 통신 단말(40)로부터 송신되어야 할 통신 프레임을, 미리 정하여진 기준 시간 내에 통신 단말(40)로부터 수신하였는지의 여부에 의해, 통신 단말(40)과의 통신 상황을 감시한다. 한 예로서, 원격 조작 접수부(111)가 상태 취득 요구 프레임을, 일정 시간 내에 수신한 경우에, 원격 조작 감시부(112)는, 통신 단말(40)과의 통신이 유지되고 있다(원격 조작이 가능하다)고 판별한다. 한편, 일정 시간을 크게 경과(예를 들면, 2회송신분의 시간을 경과)하여도 원격 조작 접수부(111)가 상태 취득 요구 프레임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 원격 조작 감시부(112)는, 통신 단말(40)과의 통신이 두절되었다(원격 조작이 불능(不能)으로 된)고 판별한다. 원격 조작 감시부(112)는, 원격 조작이 불능으로 된 것을 판별하면, 통보부(114)를 제어하여, 주택(H) 내의 유저(거주자가 있는 경우, 그 거주자)에게 그 취지 등(상세는, 후술한다)를 통보한다. 또한 그 때, 원격 조작 감시부(112)는, 기기 상태 감시부(118)에, 기기 상태의 감시를 요구함과 함께, 이하에 설명한 패스(113)를 차단(개)한다.
패스(113)는, 예를 들면, 제어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지고, 원격 조작 접수부(111)와 입력 배타 처리부(123)를 잇는 전달 경로를 개폐(차단/도통)한다. 패스(113)는, 원격 조작 감시부(112)에 제어되어, 예를 들면, 원격 조작의 실행 중에만 도통하도록 제어되다. 또한, 원격 조작의 실행 중이라도, 상술한 바와 같이, 원격 조작이 불능으로 된(통신 두절이 검출된) 때에, 패스(113)는, 전달 경로를 차단하도록 제어된다.
통보부(114)는, 원격 조작의 실행 중에, 원격 조작이 불능으로 된(통신 단말(40)과의 통신 두절이 검출된) 때에, 주택(H) 내에 있는 유저(거주자)를 향하여, 원격 조작이 불능으로 된 취지나, 수동 조작 접수부(121)에의 조작을 촉구하기 위한 안내를 통보한다. 구체적으로 통보부(114)는, 표시부(115)와 음성 출력부(116)를 구비하고 있고, 표시 및 음성(또는, 어느 일방)으로, 이하와 같은 안내를 통보한다. 표시부(115)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등으로 이루어지고, 원격 조작이 불능으로 된 취지나, 수동 조작 접수부(121)에의 조작을 촉구하기 위한 문자 메시지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15)는, 통보 내용을 규정한 LED를 발광시키는 표시기 등이라도 좋다. 또한, 음성 출력부(116)는, 예를 들면, 음성 안내 유닛 등으로 이루어지고, 원격 조작이 불능으로 된 취지나, 수동 조작 접수부(121)에의 조작을 촉구하기 위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다. 또한, 음성 출력부(116)는, 통보 내용을 규정한 알람 소리를 출력하는 버저 등이라도 좋다.
원격 조작 로그 기억부(117)는, 원격 조작 접수부(111)가 접수한 원격 조작의 로그를 축적하여 기억한다.
기기 상태 감시부(118)는, 원격 조작이 불능으로 된 때에, 댁내 기기(10)의 기기 상태를 감시한다. 예를 들면, 기기 상태 감시부(118)는, 원격 조작의 실행 중에, 원격 조작 감시부(112)에 의해 통신 단말(40)과의 통신 두절이 검출되면, 기기 상태의 감시를 시작한다. 구체적으로 기기 상태 감시부(118)는, 통신 단말(40)로부터 수집되어야 할 것이었던 기기 상태를, 통신 단말(40)에 대신하여 수집하고, 기기측에 이상이 생겨 있지 않은지의 여부를 감시한다. 한 예로서, 수집하는 기기 상태에 온도나 전압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하면, 기기 상태 감시부(118)는, 수집한 온도가 미리 정하여진 상한 온도(하한 온도이라도 좋다)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나, 수집한 전압이 미리 정하여진 상한 전압(하한 전압이라도 좋다)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 기기측에 이상이 생겼다고 판별한다. 그와 같이 기기측의 이상을 판별하면, 기기 상태 감시부(118)는, 후술하는 원격 조작 이상 처리부(124)에, 기기 이상을 통지한다.
수동 조작 접수부(121)는, 예를 들면, 스위치 패널 등으로 이루어지고, 주택(H) 내에 있는 유저(거주자)로부터의 수동 조작을 접수한다. 수동 조작 접수부(121)는, 접수한 조작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신호 등)를, 입력 배타 처리부(123)나 상술한 원격 조작 감시부(112)에 공급한다.
리모콘 조작 접수부(122)는, 예를 들면, 적외선 수신 유닛 등으로 이루어지고, 마찬가지로, 주택(H) 내에 있는 유저로부터의 리모콘 조작을 접수한다. 즉, 리모콘 조작 접수부(122)는, 댁내 기기(10)의 리모콘이 조작된 때에 보내지는 적외선 신호 등을 수신하고, 복호 등 하여 얻어지는 리모콘 조작을 접수한다. 리모콘 조작 접수부(122)는, 접수한 조작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신호 등)를, 입력 배타 처리부(123)에 공급한다.
입력 배타 처리부(123)는, 원격 조작, 수동 조작, 및, 리모콘 조작 중에서 하나의 조작을 배타적으로 처리한다. 예를 들면, 입력 배타 처리부(123)는, 원격 조작, 수동 조작, 및, 리모콘 조작의 동시 입력에 의한 모순 처리나, 우선도에 응한 처리 등에 의해, 1회의 조작으로 원격 조작, 수동 조작, 및, 리모콘 조작 중에서 하나의 조작을 선정하고, 그 조작 내용을 주기능 제어부(126)나 원격 조작 이상 처리부(124)에 공급한다.
원격 조작 이상 처리부(124)는, 원격 조작의 실행 중에 통신 두절이 생겨, 원격 조작이 불능으로 된 때에, 통신 단말(40)에 대신하여 주기능 제어부(126)를 제어하면서, 최종적으로, 미리 정하여진 기기의 안전 동작으로 천이시킨다. 이 안전 동작이란, 댁내 기기(10)(기기의 종류 등)에 응하여 정하여져 있는 안전상에 적합한 동작이고, 후술하는 원격 조작 이상시 천이 정의 기억부(127)에 정의되어 기억되어 있다. 또한, 기기에 따라서는, 안전 동작이 복수 정의되어 있는 것도 있다. 구체례를 들어 설명하면, 댁내 기기(10)가 에어컨이라면, 안전 동작으로서, 송풍과 정지가 정의되어 있다. 또한, 댁내 기기(10)가 급탕기라면, 안전 동작으로서, 정지가 정의되어 있다. 또한, 댁내 기기(10)가 환기 팬이라면, 안전 동작으로서, 저소비 운전이 정의되어 있다. 이 밖에도, 댁내 기기(10)가 밥솥이라면, 안전 동작으로서, 보온(기기 이상시에는 정지)이 정의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안전 동작은 한 예이고, 현실의 댁내 기기(10)에 응하여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원격 조작 이상 처리부(124)는, 원격 조작이 불능으로 된 때에, 이와 같은 안전 동작으로 천이시킬 때까지의 유예(猶豫) 시간을, 기기측의 동작 상황에 응하여 설정하고, 그 유예 시간이 경과한 후에, 주기능 제어부(126)를 제어하여 안전 동작으로 천이시킨다. 예를 들면, 댁내 기기(10)가 급탕기이고, 더운물의 생성이 진행되고 있고, 생성 완료까지의 시간이 미리 정하여진 시간 내라면, 원격 조작 이상 처리부(124)는, 유예 시간으로서, 생성 완료까지 필요로 하는 나머지 시간을 설정한다. 그리고, 이 유예 시간이 경과한 후에, 원격 조작 이상 처리부(124)는, 주기능 제어부(126)를 제어하여 안전 동작(이 경우, 정지)으로 천이시킨다. 한 예로서, 원격 조작 이상 처리부(124)는, 유예 시간을 정지 타이머(후술하는 타이머(125))에 세트하여, 타이머 동작시켜도 좋다. 이 밖에도, 예를 들면, 댁내 기기(10)가 밥솥이고, 취사 동작이 시작되어 있는 상황이라면, 원격 조작 이상 처리부(124)는, 유예 시간으로서, 취사 완료까지 필요로 하는 나머지 시간을 설정한다. 그리고, 이 유예 시간이 경과 후에, 원격 조작 이상 처리부(124)는, 주기능 제어부(126)를 제어하여 안전 동작(이 경우, 보온)으로 천이시킨다. 또한, 이와 같은 유예 시간의 설정 수법은 한 예이고, 댁내 기기(10)의 종류나 보다 상세한 동작 상황 등에 응하여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타이머(125)는, 계시(計時) 유닛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술한 유예 시간 등을 계시한다. 또한, 타이머(125)는, 타이머 동작(예를 들면, 기동 타이머나 정지 타이머)에도 사용된다.
주기능 제어부(126)는, 댁내 기기(10)의 주기능(예를 들면, 에어컨이라면 공조 기능, 급탕기라면 급탕 기능, 밥솥이라면 취사 기능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주기능 제어부(126)는, 원격 조작이나 수동 조작 등으로 지시된 동작을, 후술하는 기기 제어 데이터베이스(128)에 기억되는 시퀀스 등을 기초로 제어한다. 또한, 주기능 제어부(126)는, 현재의 기기 상태를 순서대로 취득하고, 기기 제어 데이터베이스(128)에서 상태 정보로서 관리한다.
원격 조작 이상시 천이 정의 기억부(127)는, 원격 조작 이상시(즉, 원격 조작이 불능으로 된 때)에, 상술한 안전 동작을 포함하는 천이하여야 할 동작에 관한 정의 정보를 기억한다. 한 예로서, 원격 조작 이상시 천이 정의 기억부(127)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천이 정의를 기억한다. 또한 도 3은, 천이의 양상을 알기 쉽게 도시한 모식도이고, 실제의 천이 정의는, 코드값이나 수치 등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이 도 3에서는, 원격 조작 이상시에 있어서의 댁내 기기(10)(주기능)의 동작 상황(A∼D)에 응하여, 천이하여야 할 안전 동작 등이 정하여져 있다. 또한, 이 도면에서는, 복수의 안전 동작(안전 동작(A, B) 등)이 정의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 도 3에서는, 예를 들면, 원격 조작 이상시에 댁내 기기(10)가 동작 상황(A) 또는 동작 상황(B)이였던 경우에, 유예 시간(T1) 경과 후에 안전 동작(A)으로 천이하고, 그 후, 유예 시간(T2) 경과 후에 안전 동작(B)으로 천이하여야 할 것이 정의되어 있다. 또한, 원격 조작 이상시에 댁내 기기(10)가 동작 상황(C)이였던 경우에, 유예 시간(T1) 경과 후에 조작 상황(C) 감시(모니터)로 천이하고, 그 후, 유예 시간(T2) 경과 후에 안전 동작(B)으로 천이하여야 할 것이 정의되어 있다. 이 밖에도, 원격 조작 이상시에 댁내 기기(10)가 동작 상황(D)이였던 경우에, 유예 시간(T3) 경과 후에 안전 동작(B)으로 천이하여야 할 것이 정의되어 있다. 또한, 이들 유예 시간(T1∼T3)은, 고정치가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원격 조작 이상 처리부(124)에 의해, 실제의 동작 상황 등에 응하여 설정된다.
도 2로 되돌아와, 기기 제어 데이터베이스(128)는, 예를 들면, 주기능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여러가지의 시퀀스 등이 기억되어 있다. 또한, 기기 제어 데이터베이스(128)는, 현재의 기기 상태 등도 주기능 제어부(126)에 의해 순서대로 갱신되어 기억된다.
도 1로 되돌아와, 컨트롤러(20)는, 주택(H) 내에 배치되고, 댁내 네트워크(30)를 통하여 댁내 기기(10)와 통신하고, 댁내 기기(10)를 관리한다. 또한, 컨트롤러(20)는, HGW(Home Gateway) 기능도 갖고 있고, 댁외 네트워크(60)와 댁내 기기(10) 사이의 통신을 중계한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20)는, 서버(50)와의 통신 접속을 확립한 상태에서, 통신 단말(40)로부터 보내진 통신 프레임(상술한 원격 조작 프레임이나 상태 취득 요구 프레임 등)을, 댁내 기기(10)에 송신한다. 한편, 컨트롤러(20)는, 댁내 기기(10)로부터 보내진 정보(기기 상태 등의 데이터)를 통신 단말(40)에 송신한다. 이 컨트롤러(20)의 구성의 한 예에 관해, 이하, 도 4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20)는, 댁내 통신부(201)와, 댁외 통신부(202)와, 제어부(203)와, 데이터 기억부(204)를 구비한다.
댁내 통신부(201)는, 예를 들면, 유선 LAN(Local Area Network)이나 무선 LAN의 통신 유닛 등으로 이루어지고, 제어부(203)에 제어되어, 댁내 네트워크(30)를 통하여, 댁내 기기(10)와 통신한다. 한 예로서, 댁내 통신부(201)는, 댁내 기기(10)로부터 보내진 정보(기기 상태 등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댁외 통신부(202)는, 예를 들면, 통신 유닛 등으로 이루어지고, 제어부(203)에 제어되어, 댁외 네트워크(60)를 통하여, 통신 단말(40)과 통신한다. 한 예로서, 댁외 통신부(202)는, 통신 단말(40)로부터 보내진 통신 프레임(상술한 원격 조작 프레임이나 상태 취득 요구 프레임 등)을 수신한다.
제어부(203)는, 예를 들면, CPU, ROM, RAM 등(어느 것이나 도시 생략)을 구비하고, 컨트롤러(20) 전체를 제어한다. 한 예로서, 제어부(203)는, 댁외 통신부(202)가 통신 단말(40)로부터 보내진 통신 프레임(상술한 원격 조작 프레임이나 상태 취득 요구 프레임 등)을 수신하면, 댁내 통신부(201)를 제어하여, 그 통신 프레임을 댁내 기기(10)에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203)는, 댁내 통신부(201)가 댁내 기기(10)로부터 보내진 기기 상태 등의 데이터를 수신하면, 댁외 통신부(202)를 제어하여, 그 데이터를 통신 단말(40)에 송신한다.
데이터 기억부(204)는, 이른바 2차 기억 장치(보조 기억 장치)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등의 판독기록 가능한 불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구성된다. 데이터 기억부(204)는, 댁내 기기(10)를 관리하기 위한 여러가지의 정보를 기억한다.
도 1로 되돌아와, 통신 단말(40)은, 예를 들면, 스마트 폰 등의 휴대형 통신 단말이고, 외출처 등, 주택(H) 밖에서 유저에 의해 사용된다. 통신 단말(40)은, 댁외 네트워크(60)에 접속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 등을 구비하고 있고, 서버(50) 등을 통하여 댁내 기기(10)와 통신을 행한다. 예를 들면, 통신 단말(40)은, 댁외 네트워크(60)상의 서버(50)에 액세스하고, 미리 정하여진 인증 처리를 행한 후에, 서버(50)와 컨트롤러(20)와의 통신 접속을 확립시킨다. 이 상태에서, 통신 단말(40)은, 서버(50) 및 컨트롤러(20)를 통하여, 댁내 기기(10)와의 통신을 행한다. 즉, 통신 단말(40)은, 이와 같이 주택(H) 밖에서 댁내 기기(10)의 원격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서버(50)는, 댁외 네트워크(60)를 통하여, 통신 단말(40)이나 컨트롤러(20)와 통신 가능한 서버이다. 서버(50)는, 예를 들면, 계약하고 있는 유저를 식별하기 위한 여러가지의 정보(한 예로서, 등록 유저명, 등록 패스워드, 통신 단말(40)의 식별 정보, 컨트롤러(20)의 식별 정보 등)를 기억한다. 그리고, 서버(50)는, 통신 단말(40)과의 사이에서 미리 정하여진 인증 처리를 행한 후에, 설정되는 접속 정보 등에 의거하여, 컨트롤러(20)와의 통신 접속을 확립한다. 그 상태에서, 서버(50)는, 통신 단말(40)로부터 보내진 정보(원격 조작 프레임이나 상태 요구 프레임 등)을 컨트롤러(20)를 통하여 댁내 기기(10)에 송신하고, 또한, 댁내 기기(10)로부터 보내진 정보(기기 상태 등의 데이터)를 통신 단말(40)에 송신한다.
이하, 이와 같은 구성의 홈 시스템(1)에서의 댁내 기기(10)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 조작의 실행 중에 있어서의 댁내 기기(10)의 동작에 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한 댁내 기기(10)의 감시 제어 처리의 한 예를 도시하는 플로 차트이다. 이 감시 제어 처리는, 댁내 기기(10)가 통신 단말(40)에 의해 원격 조작이 실행되고 있는 동안, 그 원격 조작의 감시로서 실행된다.
우선, 댁내 기기(10)는, 통신 단말(40)과의 통신이 두절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1). 즉, 원격 조작 감시부(112)는, 원격 조작 접수부(111)에서의 통신 단말(40)과의 통신 상황을 감시하고, 통신이 두절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구체적으로 원격 조작 감시부(112)는, 일정 시간마다 통신 단말(40)로부터 송신되어야 할 상태 취득 요구 프레임을, 일정 시간을 크게 경과(예를 들면, 2회 송신분의 시간을 경과)하여도 원격 조작 접수부(111)가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 통신 단말(40)과의 통신이 두절되었다고 판별한다. 댁내 기기(10)는, 통신 단말(40)과의 통신이 두절되지 않았다고 판별하면(스텝 S11 ; No), 재차, 통신 두절의 유무를 판별한다. 즉, 댁내 기기(10)는, 원격 조작이 실행 중이라면, 통신 단말(40)과의 통신 상황을 계속 감시한다.
한편, 통신 단말(40)과의 통신이 두절되었다고 판별한 경우(스텝 S11 ; Yes)에, 댁내 기기(10)는, 원격 조작 불능 등을 통보한다(스텝 S12). 즉, 원격 조작 감시부(112)가 통신 두절을 검출하면, 통보부(114)는, 주택(H) 내의 유저(거주자가 있는 경우, 그 거주자)를 향하여, 원격 조작이 불능으로 된 취지나, 수동 조작 접수부(121)로부터의 조작을 촉구하기 위한 안내를 통보한다. 예를 들면, 통보부(114)는, 표시부(115)로부터의 표시 및 음성 출력부(116)로부터의 음성 출력(또는, 어느 일방)에 의해, 원격 조작이 불능으로 된 취지나, 수동 조작 접수부(121)에의 조작을 촉구하기 위한 메시지를 통보한다.
댁내 기기(10)는, 패스(113)를 차단한다(스텝 S13). 즉, 원격 조작 감시부(112)는, 원격 조작 접수부(111)와 입력 배타 처리부(123)를 잇는 전달 경로의 패스(113)를 차단한다.
댁내 기기(10)는, 수동 조작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4). 즉, 원격 조작 감시부(112)는, 통보부(114)로부터의 통보에 응하여, 주택(H) 내에 있는 유저(거주자)가, 수동 조작 접수부(121)로부터 조작을 행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댁내 기기(10)는, 수동 조작이 없다고 판별하면(스텝 S14 ; No), 기준 시간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5). 그리고, 기준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별하면(스텝 S15 ; No), 상술한 스텝 S14로 처리를 되돌린다. 즉, 댁내 기기(10)는, 기준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 주택(H) 내에 있는 유저(거주자)로부터의 수동 조작을 대기한다.
상술한 스텝 S14에서, 수동 조작이 있었다고 판별하면(스텝 S14 ; Yes), 댁내 기기(10)는, 원격 조작으로부터 통상 조작(거주자에 의한 수동 조작)으로 이행한다(스텝 S16). 즉, 주기능 제어부(126)는, 수동 조작 접수부(121)로부터의 수동 조작에 응하여, 주기능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원격 조작이 불능으로 되어도, 주택(H) 내의 유저(거주자)에 의해, 계속해서 댁내 기기(10)가 조작되게 된다. 또한, 통상 조작으로의 이행에 수반하여, 댁내 기기(10)는, 감시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이와 같은 수동 조작이 없는 채로, 상술한 스텝 S15에서, 기준 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별하면(스텝 S15 ; Yes), 댁내 기기(10)는, 천이하여야 할 안전 동작과, 그때까지의 유예 시간을 결정한다(스텝 S17). 즉, 원격 조작 이상 처리부(124)는, 원격 조작 이상시 천이 정의 기억부(127)를 참조하여 천이하여야 할 안전 동작을 선정함과 함께, 그 안전 동작으로 천이시킬 때까지의 유예 시간을 기기의 동작 상황 등에 응하여 설정한다. 예를 들면, 댁내 기기(10)가 급탕기라면, 상술한 바와 같이, 천이하여야 할 안전 동작으로서, 정지가 정의되어 있고, 원격 조작 이상 처리부(124)는, 그 안전 동작(정지)을 결정함과 함께, 급탕기의 동작 상황에 응하여, 유예 시간을 결정한다. 한 예로서, 급탕기에서의 더운물의 생성이 진행되고 있고, 생성 완료까지의 시간이 미리 정하여진 시간 내라면, 원격 조작 이상 처리부(124)는, 유예 시간으로서, 생성 완료까지 필요로 하는 나머지 시간을 설정한다. 이 밖에도, 예를 들면, 댁내 기기(10)가 밥솥이라면, 상술한 바와 같이, 천이하여야 할 안전 동작으로서, 보온(기기 이상시에는 정지)가 정의되어 있고, 원격 조작 이상 처리부(124)는, 밥솥의 동작 상황에 응하여, 안전 동작과 유예 시간을 결정한다. 한 예로서, 취사 동작이 시작되어 있는 상황이라면, 원격 조작 이상 처리부(124)는, 안전 동작으로서 보온을 선정하고, 유예 시간으로서, 취사 완료까지 필요로 하는 나머지 시간을 설정한다.
댁내 기기(10)는, 기기 상태를 감시한다(스텝 S18). 즉, 기기 상태 감시부(118)는, 원격 조작이 계속되고 있으면 통신 단말(40)로부터 수집되어야 할 것이었던 기기 상태를, 통신 단말(40)에 대신하여 수집하고, 기기측에 이상이 생겨 있지 않은지의 여부를 감시한다.
댁내 기기(10)는, 기기 이상이 생겨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9). 즉, 기기 상태 감시부(118)는, 통신 단말(40)에 대신하여 수집한 기기 상태로부터, 기기측에 이상이 생겨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한 예로서, 수집한 기기 상태에 온도나 전압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하면, 기기 상태 감시부(118)는, 수집한 온도가 미리 정하여진 상한 온도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나, 수집한 전압이 미리 정하여진 상한 전압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 기기측에 이상이 생겼다고 판별한다.
댁내 기기(10)는, 기기 이상이 생겨 있지 않다고 판별하면(스텝 S19 ; No), 유예 시간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20). 그리고, 유예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별하면(스텝 S20 ; No), 댁내 기기(10)는, 상술한 스텝 S18로 처리를 되돌린다. 즉, 댁내 기기(10)는, 유예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스스로 기기 상태를 감시하면서, 이상이 생겨 있지 않은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상술한 스텝 S19에서, 기기 이상이 생겼다고 판별하면(스텝 S19 ; Yes), 댁내 기기(10)는, 유예 시간의 경과를 기다리는 일 없이, 이하에 설명하는 스텝 S21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이와 같은 기기 이상이 생기는 일 없이, 상술한 스텝 S20에서, 유예 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별하면(스텝 S20 ; Yes), 댁내 기기(10)는, 안전 동작으로 천이시킨다(스텝 S21). 즉, 원격 조작 이상 처리부(124)는, 주기능 제어부(126)를 제어하여 안전 동작으로 천이시킨다. 예를 들면, 댁내 기기(10)가 급탕기이고, 상술한 스텝 S17에서, 천이하여야 할 안전 동작으로서 정지가 결정되어 있는 경우, 원격 조작 이상 처리부(124)는, 주기능 제어부(126)를 제어하여 주기능의 동작을 정지로 천이시킨다. 이 밖에도, 예를 들면, 댁내 기기(10)가 밥솥이고, 상술한 스텝 S17에, 천이하여야 할 안전 동작으로서 보온이 결정되어 있는 경우, 원격 조작 이상 처리부(124)는, 주기능 제어부(126)를 제어하여 주기능의 동작을 보온으로 천이시킨다. 또한, 상술한 스텝 S19에서, 기기 이상이 생겨 있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원격 조작 이상 처리부(124)는, 주기능 제어부(126)를 제어하여 주기능의 동작을 정지로 천이시킨다.
댁내 기기(10)는, 안전 동작에의 천이를 마치면, 감시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안전 동작이 복수 정의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그 경우, 댁내 기기(10)는, 상술한 스텝 S17로 처리를 되돌려, 다음에 천이하여야 할 안전 동작과 유예 시간을 결정하고, 스텝 S18∼S21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그리고, 다음에 천이하여야 할 안전 동작이 없어지면, 댁내 기기(10)는, 감시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은 감시 제어 처리에 의해, 원격 조작이 불능으로 된 경우에도, 주택(H) 내에 거주자가 있는 경우는, 그 거주자에게의 통보에 의해, 댁내 기기(10)의 계속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그와 같은 거주자가 없는 경우에도, 필요한 유예 시간이 경과한 후에, 안전 동작으로 천이시키기 때문에, 그때까지의 원격 조작이 헛되게는 되지 않고, 편리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조작이 불능으로 된 상황에서, 댁내 기기(10)가 스스로 기기 상태를 감시함으로써, 원격 조작시와 동등한 안전 관리를 행할 수가 있다. 이 결과, 원격 조작이 불능으로 된 경우에도,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적정한 제어를 행할 수가 있다.
상기한 제1의 실시 형태에서는, 댁내 기기(댁내 기기(10))가 유저 인터페이스(수동 조작 접수부(121)나 통보부(114) 등)를 구비하여, 단독으로 통보 등을 행할 수 있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댁내 기기측이, 이와 같은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컨트롤러(컨트롤러(20))측이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으면, 댁내 기기는, 컨트롤러와 연휴하여 통보 등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하, 댁내 기기와 컨트롤러가 연휴하여 통보 등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에 관한 홈 시스템에 관해 설명한다.
(제2의 실시 형태)
도 6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에 관한 홈 시스템(2)의 전체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이 홈 시스템(2)도, 외출처 등으로부터, 유저가 통신 단말(40)을 조작하여, 주택(H) 내에 배치되어 있는 댁내 기기(70)를 원격 조작 가능한 시스템이다. 또한, 도 6에서, 상술한 도 1의 홈 시스템(1)과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나타냄과 함께 적절히 설명을 간략화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 시스템(2)은, 댁내 기기(70)와, 컨트롤러(80)와, 통신 단말(40)과, 서버(5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댁내 기기(70)와 컨트롤러(80)는, 댁내 네트워크(30)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서버(50)와 컨트롤러(80)는, 댁외 네트워크(60)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 댁내 기기(70)는, 제1의 실시 형태에 관한 댁내 기기(10)와 마찬가지로, 주택(H) 내에 배치된 가전 기기나 주택 설비 기기이고, 예를 들면, 에어컨, 조명 기기, 밥솥, IH 조리기, 제습기, 환기 팬, 급탕기 등이다. 이 댁내 기기(70)의 구성의 한 예에 관해, 이하, 도 7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댁내 기기(70)는, 원격 조작 접수부(111)와, 원격 조작 감시부(112)와, 패스(113)와, 통보 의뢰부(714)와, 원격 조작 로그 기억부(117)와, 기기 상태 감시부(118)와, 댁내 조작 접수부(721)와, 입력 배타 처리부(723)와, 원격 조작 이상 처리부(124)와, 타이머(125)와, 주기능 제어부(126)와, 원격 조작 이상시 천이 정의 기억부(127)와, 기기 제어 데이터베이스(128)를 구비한다. 또한, 도 7에서, 상술한 도 2의 댁내 기기(10)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나타냄과 함께 적절히 설명을 간략화한다.
이 댁내 기기(70)는, 도 2의 댁내 기기(10)로부터 통보부(114)(표시부(115), 음성 출력부(116))를 삭제하고, 대신에 통보 의뢰부(714)를 추가하고 있다. 또한, 도 2의 댁내 기기(10)로부터 수동 조작 접수부(121)와 리모콘 조작 접수부(122)를 삭제하고, 대신에 댁내 조작 접수부(721)를 추가하고 있다. 또한, 입력 배타 처리부(123)를 입력 배타 처리부(723)로 고치고 있다. 댁내 기기(70)에서의 다른 구성, 즉, 원격 조작 접수부(111), 원격 조작 감시부(112), 원격 조작 로그 기억부(117), 기기 상태 감시부(118), 원격 조작 이상 처리부(124), 타이머(125), 주기능 제어부(126), 원격 조작 이상시 천이 정의 기억부(127), 및, 기기 제어 데이터베이스(128)는, 도 2의 댁내 기기(10)와 같은 구성이다. 또한 마찬가지로, A유닛(710)의 각 구성과 B유닛(720)의 각 구성은, 서로 독립하여 있고, 예를 들면, 일방의 유닛에서 장애 등이 발생한 경우에도, 타방의 유닛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통보 의뢰부(714)는, 원격 조작 감시부(112)에 제어되어, 댁내 네트워크(30)를 통하여, 컨트롤러(80)에 미리 정하여진 내용의 통보를 의뢰한다. 즉, 통보 의뢰부(714)는, 원격 조작의 실행 중에, 원격 조작이 불능으로 된(통신 단말(40)과의 통신 두절이 검출된) 때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통보부(806)를 갖는 컨트롤러(80)에, 원격 조작이 불능으로 된 취지 등의 통보를 의뢰한다.
댁내 조작 접수부(721)는, 예를 들면, 통신 유닛 등으로 이루어지고, 컨트롤러(80)가 수동 조작된 때에, 그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댁내 조작)를 컨트롤러(80)로부터 접수한다. 즉, 댁내 조작 접수부(721)는, 컨트롤러(80)로부터 보내지는 댁내 조작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입력 배타 처리부(723)는, 원격 조작, 및, 댁내 조작 중에서 하나의 조작을 배타적으로 처리한다. 예를 들면, 입력 배타 처리부(723)는, 원격 조작, 및, 댁내 조작의 동시 입력에 의한 모순 처리나, 우선도에 응한 처리 등에 의해, 1회의 조작으로 원격 조작, 및, 댁내 조작 중에서 하나의 조작을 선정하고, 그 조작 내용을 주기능 제어부(126)나 원격 조작 이상 처리부(124)에 공급한다.
도 6으로 되돌아와, 컨트롤러(80)는, 제1의 실시 형태에 관한 컨트롤러(20)와 마찬가지로, 주택(H) 내에 배치되고, 댁내 네트워크(30)를 통하여 댁내 기기(70)와 통신하고, 댁내 기기(70)를 관리한다. 또한, 컨트롤러(80)는, HGW 기능도 갖고 있고, 댁외 네트워크(60)와 댁내 기기(70) 사이의 통신을 중계한다. 이 컨트롤러(80)의 구성의 한 예에 관해, 이하, 도 8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80)는, 댁내 통신부(201)와, 댁외 통신부(202)와, 제어부(203)와, 데이터 기억부(204)와, 조작 패널(805)과, 통보부(806)를 구비한다. 또한, 도 8에서, 상술한 도 4의 컨트롤러(20)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나타냄과 함께 적절히 설명을 간략화한다.
이 컨트롤러(80)는, 도 4의 컨트롤러(20)의 구성에, 조작 패널(805)과, 통보부(806)를 더욱 가하고 있다. 그 때문에, 댁내 통신부(201)∼데이터 기억부(204)는, 도 4의 컨트롤러(20)와 같은 구성이다.
조작 패널(805)은, 예를 들면, 패널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지고, 주택(H) 내의 유저(거주자가 있는 경우, 그 거주자)에 의해 조작된다.
통보부(806)는, 표시부(807)와 음성 출력부(808)를 구비하고 있고, 제어부(203)에 제어되어, 표시 및 음성(또는, 어느 일방)으로, 이하와 같은 안내를 통보한다. 표시부(807)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등으로 이루어지고, 댁내 기기(70)의 원격 조작이 불능으로 된 취지나, 조작 패널(805)에의 조작을 촉구하기 위한 문자 메시지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807)는, 통보 내용을 규정한 LED를 발광시키는 표시기 등이라도 좋다. 또한, 음성 출력부(808)는, 예를 들면, 음성 안내 유닛 등으로 이루어지고, 댁내 기기(70)의 원격 조작이 불능으로 된 취지나, 조작 패널(805)에의 조작을 촉구하기 위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다. 또한, 음성 출력부(808)는, 통보 내용을 규정한 알람 소리를 출력하는 버저 등이라도 좋다.
또한, 제어부(203)는, 댁내 통신부(201)가 댁내 기기(70)로부터 보내진 통보 의뢰를 수신하면, 통보부(806)를 제어하여, 주택(H) 내에 있는 유저(거주자)를 향하여, 댁내 기기(70)의 원격 조작이 불능으로 된 취지나 조작 패널(805)에의 조작을 촉구하기 위한 안내를 통보한다. 또한, 제어부(203)는, 조작 패널(805)로부터 댁내 기기(70)를 향한 조작이 이루어지면, 그 내용을 댁내 조작으로서, 댁내 통신부(201)로부터 댁내 기기(70)에 송신시킨다.
도 6으로 되돌아와, 통신 단말(40)는, 제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스마트 폰 등의 휴대형 통신 단말이고, 외출처 등, 주택(H) 밖에서 유저에 의해 사용된다. 또한, 서버(50)도, 제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댁외 네트워크(60)를 통하여, 통신 단말(40)이나 컨트롤러(80)와 통신 가능한 서버이다.
이하, 이와 같은 홈 시스템(2)에서의 댁내 기기(70)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 조작의 실행 중에 있어서의 댁내 기기(70)의 동작에 관해,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에 관한 댁내 기기(70)의 감시 제어 처리의 한 예를 도시하는 플로 차트이다. 또한, 도 9에서, 상술한 도 5의 플로 차트와 동일한 처리에 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나타냄과 함께 적절히 설명을 간략화한다. 이 감시 제어 처리도, 제1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댁내 기기(70)가 통신 단말(40)에 의해 원격 조작이 실행되고 있는 동안, 그 원격 조작의 감시로서 실행된다.
우선, 댁내 기기(70)는, 통신 단말(40)과의 통신이 두절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1). 즉, 원격 조작 감시부(112)는, 원격 조작 접수부(111)에서의 통신 단말(40)과의 통신 상황을 감시하고, 통신이 두절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댁내 기기(70)는, 통신 단말(40)과의 통신이 두절되어 있지 않다고 판별하면(스텝 S11 ; No), 재차, 통신 두절의 유무를 판별한다. 즉, 댁내 기기(70)는, 원격 조작이 실행 중이라면, 통신 단말(40)과의 통신 상황을 계속 감시한다.
한편, 통신 단말(40)과의 통신이 두절되었다고 판별한 경우(스텝 S11 ; Yes)에, 댁내 기기(70)는, 컨트롤러(80)에, 원격 조작 불능 등의 통보를 의뢰한다(스텝 S72). 즉, 원격 조작 감시부(112)가 통신 두절을 검출하면, 통보 의뢰부(714)는, 원격 조작이 불능으로 된 취지 등의 통보를 컨트롤러(80)에 의뢰한다.
댁내 기기(70)는, 패스(113)를 차단한다(스텝 S13). 즉, 원격 조작 감시부(112)는, 원격 조작 접수부(111)와 입력 배타 처리부(123)를 잇는 전달 경로의 패스(113)를 차단한다.
댁내 기기(70)는, 댁내 조작을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74). 즉, 원격 조작 감시부(112)는, 컨트롤러(80)의 통보부(806)(표시부(807), 음성 출력부(808))로부터의 통보에 응하여, 주택(H) 내에 있는 유저(거주자)가, 조작 패널(805)에 조작을 행하여, 그 댁내 조작을 댁내 조작 접수부(721)에서 접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댁내 기기(70)는, 댁내 조작이 없다고 판별하면(스텝 S74 ; No), 기준 시간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5). 그리고, 기준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별하면(스텝 S15 ; No), 상술한 스텝 S74로 처리를 되돌린다. 즉, 댁내 기기(70)는, 기준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 주택(H) 내에 있는 유저(거주자)로부터의 컨트롤러(80)를 통한 댁내 조작을 대기한다.
상술한 스텝 S74에서, 댁내 조작이 있었다고 판별하면(스텝 S74 ; Yes), 댁내 기기(70)는, 원격 조작으로부터 댁내 조작(거주자에 의한 컨트롤러(80)의 조작 패널(805)의 조작)으로 이행한다(스텝 S76). 즉, 주기능 제어부(126)는, 댁내 조작 접수부(721)에 접수한 댁내 조작에 응하여, 주기능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댁내 기기(70)의 원격 조작이 불능으로 되어도, 주택(H) 내의 유저(거주자)에 의한 컨트롤러(80)를 통한 댁내 조작이, 계속해서 행하여지게 된다. 또한, 댁내 조작으로의 이행에 수반하여, 댁내 기기(70)는, 감시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이와 같은 댁내 조작이 없는 채로, 상술한 스텝 S15에서, 기준 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별하면(스텝 S15 ; Yes), 댁내 기기(70)는, 천이하여야 할 안전 동작과, 그때까지의 유예 시간을 결정한다(스텝 S17).
댁내 기기(70)는, 기기 상태를 감시한다(스텝 S18). 즉, 기기 상태 감시부(118)는, 원격 조작이 계속해서 의치 통신 단말(40)로부터 수집되어야 할 것이었던 기기 상태를, 통신 단말(40)에 대신하여 수집하고, 기기측에 이상이 생기지 않았는지의 여부를 감시한다.
댁내 기기(70)는, 기기 이상이 생겨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19). 즉, 기기 상태 감시부(118)는, 통신 단말(40)에 대신하여 수집한 기기 상태에서, 기기측에 이상이 생겨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댁내 기기(70)는, 기기 이상이 생겨 있지 않다고 판별하면(스텝 S19 ; No), 유예 시간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20). 그리고, 유예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별하면(스텝 S20 ; No), 댁내 기기(70)는, 상술한 스텝 S18에 처리를 되돌린다. 즉, 댁내 기기(70)는, 유예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스스로 기기 상태를 감시하면서, 이상이 생기지 않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상술한 스텝 S19에서, 기기 이상이 생겼다고 판별하면(스텝 S19 ; Yes), 댁내 기기(70)는, 유예 시간의 경과를 기다리는 일 없이, 스텝 S21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이와 같은 기기 이상이 생기는 일 없이, 상술한 스텝 S20에서, 유예 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별하면(스텝 S20 ; Yes), 댁내 기기(70)는, 안전 동작으로 천이시킨다(스텝 S21). 즉, 원격 조작 이상 처리부(124)는, 주기능 제어부(126)를 제어하여 안전 동작으로 천이시킨다.
댁내 기기(70)는, 안전 동작으로의 천이를 마치면, 감시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안전 동작이 복수 정의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그 경우, 댁내 기기(70)는, 상술한 스텝 S17로 처리를 되돌려, 다음에 천이하여야 할 안전 동작과 유예 시간을 결정하고, 스텝 S18∼S20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그리고, 다음에 천이하여야 할 안전 동작이 없어지면, 댁내 기기(70)는, 감시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은 감시 제어 처리에 의해, 원격 조작이 불능으로 된 경우에도, 주택(H) 내에 거주자가 있는 경우는, 그 거주자에게의 통보에 의해, 컨트롤러(80)를 통한 댁내 기기(70)의 계속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그와 같은 거주자가 있지 않은 경우에도, 필요한 유예 시간이 경과한 후에, 안전 동작으로 천이시키기 때문에, 그때까지의 원격 조작이 헛되게는 되지 않고, 편리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조작이 불능으로 된 상황에서, 댁내 기기(70)가 스스로 기기 상태를 감시함으로써, 원격 조작시와 동등한 안전 관리를 행할 수가 있다. 이 결과, 원격 조작이 불능으로 된 경우에도,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적정한 제어를 행할 수가 있다.
(다른 실시 형태)
상기한 제1 및, 제2의 실시 형태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컨트롤러(20, 80)가 댁내 기기(10, 70)의 정보를 수집하지 않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실제로는, 컨트롤러(20, 80)가 댁내 기기(10, 70)로부터 기기 정보 등을 수집하여 관리하는 일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댁내 기기(10, 70)가 통신 단말(40)로부터 원격 조작되고 있는 동안에 있어서, 컨트롤러(20, 80)로부터도 일정 시간마다 상태 취득 요구 프레임이 댁내 기기(10, 70)에 송신되게 된다. 그 경우, 원격 조작 감시부(112)는, 원격 조작 접수부(111)가 수신한 상태 취득 요구 프레임이, 통신 단말(40)로부터 보내진 것인지, 컨트롤러(20, 80)로부터 보내진 것인지를 명확하게 구별하면서, 통신 단말(40)과의 통신 상황을 감시한다. 예를 들면, 원격 조작 감시부(112)는, 상태 취득 요구 프레임 중의 송신원 어드레스를 체크하고, 그 상태 취득 요구 프레임이 통신 단말(40)로부터 보내진 것인지, 컨트롤러(20, 80)로부터 보내진 것인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상기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일정 시간을 크게 경과(예를 들면, 2회송신분의 시간을 경과)하여도 원격 조작 접수부(111)가 통신 단말(40)로부터 보내진 상태 취득 요구 프레임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 원격 조작 감시부(112)는, 통신 단말(40)과의 통신이 두절되었다(원격 조작이 불능으로 된)고 판별한다.
또한, 이 밖에도, 컨트롤러(20, 80)가, 중계하는 통신 단말(40)로부터의 상태 취득 요구 프레임을 수신하지 않게 되면, 자신으로부터의 상태 취득 요구 프레임의 송신을 정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20, 80)는, 통신 단말(40)로부터 보내진 상태 취득 요구 프레임을 수신하고, 그 상태 취득 요구 프레임을 댁내 기기(10, 70)에 송신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자신으로부터의 상태 취득 요구 프레임의 송신을 댁내 기기(10, 70)에 송신하도록 한다. 그 때문에, 통신 단말(40)로부터의 상태 취득 요구 프레임을 수신하지 않게 되면, 컨트롤러(20, 80)는, 자동적으로, 자신으로부터의 상태 취득 요구 프레임의 송신도 정지한다. 이 경우, 댁내 기기(10, 70)(원격 조작 감시부(112))는, 상태 취득 요구 프레임의 송신원을 판별하는 일 없이, 상술한 제1 및, 제2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상태 취득 요구 프레임을 기준 시간 내에 수신하지 못하면, 통신 단말(40)과의 통신이 두절되었다(원격 조작이 불능으로 되었다)고 판별한다.
상기한 제1 및, 제2의 실시 형태에서는, 통신 단말(40)이 서버(50)를 통하여, 컨트롤러(20, 80)와의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서버(50)를 사용하지 않고서, 통신 단말(40)이 직접, 컨트롤러(20, 80)와의 통신 접속을 확립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한 제1 및, 제2의 실시 형태에서는, 전용의 댁내 기기(10, 70)를 이용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이들 댁내 기기(10, 70)의 동작을 규정하는 동작 프로그램을 기존의 퍼스널 컴퓨터나 정보 단말기기 등에 적용함으로써, 당해 퍼스널 컴퓨터 등을 본 발명에 관한 댁내 기기(10, 70)로서 기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은 프로그램의 배포 방법은 임의이고, 예를 들면, CD-ROM(Compact Disk Read-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k), MO(Magneto Optical Disk),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격납하여 배포하여도 좋고,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배포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광의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 다양한 실시 형태 및 변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범위는, 실시 형태가 아니라,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난다. 그리고, 청구의 범위 내 및 그것과 동등한 발명의 의의의 범위 내에서 행하여지는 다양한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 내로 간주된다.
본 발명은, 2013년 8월 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2013-164235호에 의거한다. 본 명세서 중에 일본 특허출원2013-164235호의 명세서, 특허청구의 범위, 도면 전체를 참조로서 받아들이는 것으로 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원격 조작이 불능으로 된 경우에도,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적정한 제어를 행할 수 있는 댁내 기기, 홈 시스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알맞게 채용될 수 있다.
1, 2 : 홈 시스템
10, 70 : 댁내 기기
20, 80 : 컨트롤러
30 : 댁내 네트워크
40 : 통신 단말
50 : 서버
60 : 댁외 네트워크
111 : 원격 조작 접수부
112 : 원격 조작 감시부
113 : 패스
114, 806 : 통보부
115, 807 : 표시부
116, 808 : 음성 출력부
117 : 원격 조작 로그 기억부
118 : 기기 상태 감시부
121 : 수동 조작 접수부
122 : 리모콘 조작 접수부
123, 723 : 입력 배타 처리부
124 : 원격 조작 이상 처리부
125 : 타이머
126 : 주기능 제어부
127 : 원격 조작 이상시 천이 정의 기억부
128 : 기기 제어 데이터베이스
714 : 통보 의뢰부
721 : 댁내 조작 접수부
201 : 댁내 통신부
202 : 댁외 통신부
203 : 제어부
204 : 데이터 기억부
805 : 조작 패널

Claims (9)

  1. 댁내에 배치되고, 미리 정하여진 주기능을 동작시키는 댁내 기기로서,
    통신 단말과 통신을 행하고, 댁외로부터의 원격 조작을 접수하는 원격 조작 접수부와,
    댁내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 접수부와,
    상기 원격 조작 접수부가 접수한 원격 조작, 또는, 상기 조작 접수부가 접수한 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주기능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기능 제어부와,
    상기 원격 조작에 의거한 동작의 실행 중에, 상기 원격 조작 접수부에서의 상기 통신 단말과의 통신 상황을 감시하는 통신 감시부와,
    상기 통신 감시부가 상기 통신 단말과의 통신 두절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조작 접수부에의 조작을 유저에게 촉구하는 안내를 댁내에 통보하는 통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부가 상기 안내를 통보하고 나서 기준 시간 내에, 상기 조작 접수부가 조작을 접수하면, 상기 주기능 제어부는, 상기 원격 조작을 마치고, 상기 주기능의 동작을 상기 조작 접수부가 접수한 조작에 의거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부가 상기 안내를 통보하고 나서 기준 시간을 경과하여도 상기 조작 접수부가 조작을 접수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주기능 제어부를 제어하여, 미리 정하여진 상기 주기능의 안전 동작으로 천이시키는 이상 처리부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이상 처리부는, 상기 주기능의 동작 상황에 의거하여, 상기 안전 동작으로 천이시킬 때까지의 유예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주기능 제어부는, 상기 유예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안전 동작으로 천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수집될 수 있는 기기 상태를, 상기 통신 단말에 대신하여 수집하는 기기 감시부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이상 처리부는, 상기 기기 감시부가 수집한 기기 상태에서 기기의 이상이 판별되면, 상기 유예 시간의 경과를 기다리는 일 없이, 상기 주기능 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안전 동작으로 곧바로 천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감시부는, 상기 통신 단말과의 통신 두절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원격 조작 접수부와 상기 주기능 제어부를 잇는 전달 경로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원격 조작 접수부, 상기 통신 감시부, 및, 상기 통보부와, 상기 조작 접수부, 및, 상기 주기능 제어부는, 다른 유닛에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댁내 기기.
  7. 댁내에 배치되고 미리 정하여진 주기능을 동작시키는 댁내 기기와, 당해 댁내 기기를 댁내에서 관리하는 컨트롤러와, 댁외에서 사용되는 통신 단말을 포함한 홈 시스템으로서,
    상기 댁내 기기는,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의 원격 조작을 접수하는 원격 조작 접수부와,
    상기 컨트롤러를 통하여 댁내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는 댁내 조작 접수부와,
    상기 원격 조작 접수부가 접수한 원격 조작, 또는, 상기 댁내 조작 접수부가 접수한 댁내 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주기능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기능 제어부와,
    상기 원격 조작에 의거한 동작의 실행 중에, 상기 원격 조작 접수부에서의 상기 통신 단말과의 통신 상황을 감시하는 통신 감시부와,
    상기 통신 감시부가 상기 통신 단말과의 통신 두절을 검출한 경우에, 댁내 조작을 촉구하는 안내의 통보를 상기 컨트롤러에 의뢰하는 통보 의뢰부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통신 단말과 상기 댁내 기기와의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는 댁외 통신부와,
    댁내의 유저에 조작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의 조작을 응한 상기 댁내 조작을 상기 댁내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댁내 기기로부터 보내지는 통보 의뢰를 수신하는 댁내 통신부와,
    상기 댁내 통신부가 상기 통보 의뢰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조작부에의 조작을 유저에게 촉구하는 안내를 댁내에 통보하는 통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시스템.
  8. 댁내에 배치되고, 미리 정하여진 주기능을 동작시키는 댁내 기기에서의 제어 방법으로서,
    통신 단말과 통신을 행하고, 댁외로부터의 원격 조작을 접수하는 원격 조작 접수 스텝과,
    댁내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 접수 스텝과,
    상기 원격 조작 접수 스텝에서 접수한 원격 조작, 또는, 상기 조작 접수 스텝에서 접수한 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주기능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기능 제어 스텝과,
    상기 원격 조작에 의거한 동작의 실행 중에, 상기 원격 조작 접수 스텝에서의 상기 통신 단말과의 통신 상황을 감시하는 통신 감시 스텝과,
    상기 통신 감시 스텝에서 상기 통신 단말과의 통신 두절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조작 접수 스텝에의 조작을 유저에게 촉구하는 안내를 댁내에 통보하는 통보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9. 댁내에 배치되고, 미리 정하여진 주기능을 동작시키는 컴퓨터를,
    통신 단말과 통신을 행하고, 댁외로부터의 원격 조작을 접수하는 원격 조작 접수부,
    댁내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 접수부,
    상기 원격 조작 접수부가 접수한 원격 조작, 또는, 상기 조작 접수부가 접수한 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주기능의 동작을 제어하는 주기능 제어부,
    상기 원격 조작에 의거한 동작의 실행 중에, 상기 원격 조작 접수부에서의 상기 통신 단말과의 통신 상황을 감시하는 통신 감시부와,
    상기 통신 감시부가 상기 통신 단말과의 통신 두절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조작 접수부에의 조작을 유저에게 촉구하는 안내를 댁내에 통보하는 통보부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KR1020167004038A 2013-08-07 2014-08-05 댁내 기기, 홈 시스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8194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64235A JP5667257B1 (ja) 2013-08-07 2013-08-07 宅内機器、ホーム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JP-P-2013-164235 2013-08-07
PCT/JP2014/070539 WO2015020022A1 (ja) 2013-08-07 2014-08-05 宅内機器、ホーム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4251156A JP5710063B2 (ja) 2013-08-07 2014-12-11 宅内機器、ホーム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3742A true KR20160033742A (ko) 2016-03-28
KR101819400B1 KR101819400B1 (ko) 2018-01-16

Family

ID=57136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4038A KR101819400B1 (ko) 2013-08-07 2014-08-05 댁내 기기, 홈 시스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28729B2 (ko)
EP (1) EP3032841B1 (ko)
JP (2) JP5667257B1 (ko)
KR (1) KR101819400B1 (ko)
CN (1) CN105474659B (ko)
WO (1) WO20150200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8397A1 (ko) * 2022-09-13 2024-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버 장치,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서버 장치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37791A (zh) * 2015-08-31 2015-12-09 成都科创城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智能家居系统的智能手环
KR20170029869A (ko) * 2015-09-08 2017-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실내 장치 관리 방법 및 장치
JP6240838B1 (ja) * 2016-09-26 2017-12-06 株式会社Robot Home 住宅管理システム
JP6891484B2 (ja) * 2016-12-22 2021-06-18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機器制御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WO2018150521A1 (ja) * 2017-02-16 2019-06-27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DE102017105584A1 (de) 2017-03-16 2018-09-20 Miele & Cie. Kg Daten-Management-System und Verfahren zum Regeln oder Steuern eines Haushaltsgeräts
JP6381719B1 (ja) * 2017-03-29 2018-08-29 三菱電機株式会社 居宅端末及び住宅管理システム
WO2023148866A1 (ja) * 2022-02-03 2023-08-10 三菱電機株式会社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および制御システム
JP7351457B1 (ja) 2023-04-03 2023-09-27 株式会社ウィズアース 遠隔操作制御システム、指示装置、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3669A (ja) 2004-12-06 2006-06-22 Tokyo Gas Co Ltd Ha遠隔操作システムの異常検知方法及び異常検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81092B1 (en) * 1999-09-29 2003-06-17 Ricoh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diagnostic, control and information collection based on various communication modes for sending messages to users
JPH04170895A (ja) * 1990-11-05 1992-06-18 Hitachi Ltd 家庭電化機器の遠隔制御装置
JP3460592B2 (ja) * 1998-08-27 2003-10-27 株式会社ノーリツ 機器遠隔制御方式
EP1100243A3 (en) * 1999-11-12 2004-03-17 Sony Corporation Telephone set, communication adaptor, home applian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recording medium
JP2003150462A (ja) * 2001-11-12 2003-05-23 Sony Corp 情報遠隔設定通信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WO2004034700A1 (ja) * 2002-10-11 2004-04-22 Sony Corporation ネットワーク制御確認システム、制御通信端末、サーバ装置およびネットワーク制御確認方法
JP4363835B2 (ja) * 2002-10-24 2009-11-11 株式会社東芝 電気機器の動作状態制御システム
JP4110296B2 (ja) * 2003-03-31 2008-07-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の盗難防止方法及び撮影システム
US20050132047A1 (en) * 2003-07-10 2005-06-16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Targeted messag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JP2005079647A (ja) 2003-08-28 2005-03-24 Toshiba Corp 通信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WO2005032203A1 (ja) 2003-09-26 2005-04-07 Kabushiki Kaisha Toshiba 家電遠隔制御操作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サーバ、ホームサーバ、家電機器、サービス提供サーバの家電遠隔制御操作支援方法及びサービス提供サーバの家電サービス提供支援方法
JP4217602B2 (ja) * 2003-12-19 2009-02-04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アダプタおよびこれに接続された電気機器
US7154862B2 (en) * 2003-12-31 2006-12-26 Openpeak Inc. Device control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er-based or peer-to-peer network environments
JP4377786B2 (ja) * 2004-09-22 2009-12-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化機器、サーバ装置、携帯端末、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787383B2 (en) * 2005-03-04 2010-08-31 Network Applianc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connection in a peer-to-peer network
US7155213B1 (en) * 2005-09-16 2006-12-26 James R. Almeda Remote control system
US8421597B2 (en) * 2005-10-14 2013-04-16 Kyocera Corporation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8124960A (ja) * 2006-11-15 2008-05-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遠隔機器制御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3669A (ja) 2004-12-06 2006-06-22 Tokyo Gas Co Ltd Ha遠隔操作システムの異常検知方法及び異常検知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8397A1 (ko) * 2022-09-13 2024-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버 장치, 가전기기 관리 시스템 및 서버 장치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46950A (ja) 2015-03-12
EP3032841B1 (en) 2019-09-25
US20160171878A1 (en) 2016-06-16
CN105474659B (zh) 2019-04-30
CN105474659A (zh) 2016-04-06
JP5710063B2 (ja) 2015-04-30
WO2015020022A1 (ja) 2015-02-12
KR101819400B1 (ko) 2018-01-16
US9928729B2 (en) 2018-03-27
JP2015035647A (ja) 2015-02-19
EP3032841A1 (en) 2016-06-15
JP5667257B1 (ja) 2015-02-12
EP3032841A4 (en) 2017-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9400B1 (ko) 댁내 기기, 홈 시스템,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EP3346674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WO2004098127A1 (en) Control unit, electrical equipment,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US10120352B2 (en) Remote control system, in-home device, relay apparatus, device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JP6028174B1 (ja) エアコン制御装置及びエアコン制御システム
JP2014033300A (ja) 家電制御装置、家電制御システムおよび家電制御方法
US10587996B2 (en) Retroactive messaging for handling missed synchronization events
JP2014212496A (ja) 冷凍サイクル機器の遠隔制御システム
JP2006345662A (ja) 集合住宅用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Ahmad et al. Remote Home Management: An alternative for working at home while away
JP2010288389A (ja) 電力制御システム
JP2019097090A (ja) 遠隔監視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利用される中継装置
JP2018121445A (ja) 冷凍サイクル機器の遠隔制御システムおよび家電機器の遠隔制御システム
US20160202676A1 (en) Apparatus controller and apparatus control method
JP6688954B2 (ja) メッセージ受信装置及び画面遷移方法
CN107431734B (zh) 屋内设备、通信适配器、控制方法以及记录介质
JP6058035B2 (ja) 遠隔制御システム、機器制御装置、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17369B2 (ja) 冷凍サイクル機器の遠隔制御システム
JP2008101799A (ja) 空調管理装置、空調管理方法および空調管理プログラム
JP2018195895A (ja) 制御装置、空気調和機、端末装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101655760B1 (ko) 사물 인터넷 기반의 홈오토메이션 시스템
JP6366416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KR100917604B1 (ko) 추론 기반 홈 네트워크 오류 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2022114041A (ja) 給湯システム及び給湯器
WO2019030999A1 (ja) 家電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