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6682A - 복수 단의 회전 조작부재를 구비한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복수 단의 회전 조작부재를 구비한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6682A
KR20160026682A KR1020150110502A KR20150110502A KR20160026682A KR 20160026682 A KR20160026682 A KR 20160026682A KR 1020150110502 A KR1020150110502 A KR 1020150110502A KR 20150110502 A KR20150110502 A KR 20150110502A KR 20160026682 A KR20160026682 A KR 20160026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ck
operating member
rotation operating
dial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0346B1 (ko
Inventor
카츠히로 도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26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서로 독립하여 회전 조작가능한 복수 단의 회전 조작부재의 축방향의 치수를 짧게 해서, 전자기기의 치수 축소를 달성하는 메카니즘을 제공한다. 전자기기는, 외장부재에 고정되는 홀더와, 홀더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모드 다이얼과, 모드 다이얼에 축방향으로 대향해서 배치되고, 홀더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노출 보정 다이얼을 구비한다. 제1 클릭 기구는 모드 다이얼을 회전 조작할 때 클릭 력을 발생하고, 제2 클릭 기구는 노출 보정 다이얼을 회전 조작할 때 클릭 력을 발생한다. 제1 클릭 기구 및 제2 클릭 기구는, 모드 다이얼과 노출 보정 다이얼이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공간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복수 단의 회전 조작부재를 구비한 전자기기{ELECTRONIC APPARATU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IERS OF ROTATION OPERATION MEMBERS}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 및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촬상장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 단의 회전 조작부재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장치로서, 상하 2단의 조작 다이얼을 서로 독립하여 회전 조작 가능하게 설치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특개 2010-67391호 공보).
이 제안에서는, 상단의 조작 다이얼과 일체로 회전하는 판금부재에 복수의 클릭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의 조작 다이얼에는 이 상단의 조작 다이얼의 축방향으로 볼과 볼을 판금부재를 향해서 부세하는(urge)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상단의 조작 다이얼을 회전 조작하면, 볼이 판금부재의 클릭 구멍들 중에서 한개를 타고 넘고, 이에 따라, 클릭 력(click force)을 발생시키고 있다.
한편, 하단의 조작 다이얼에는, 조작 다이얼의 이면측에 복수의 클릭 홈이 형성되어 있고, 하단의 조작 다이얼의 축방향으로 설치된 볼을 스프링에 의해 하단의 조작 다이얼을 향해서 부세하고 있다. 하단의 조작 다이얼을 회전 조작하면, 볼이 클릭 홈들 중에서 한개를 타고 넘고, 이에 따라, 클릭 력을 발생시키고 있다.
상기 일본국 특개 2010-67391호 공보에서는, 상하 2단의 조작 다이얼 모두에 대해, 클릭 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조작 다이얼의 축방향으로 볼과 스프링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상하 2단의 조작 다이얼의 전체 치수가 축방향으로 증가한다. 예를 들면, 카메라 본체의 상면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상하 2단의 조작 다이얼을 설치한 경우, 카메라의 높이 방향으로 전체 카메라의 치수의 증가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서로 독립하여 회전 조작가능한 복수 단의 회전 조작부재의 축방향의 치수를 짧게 해서, 전자기기의 치수 축소를 달성하는 메카니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외장부재에 고정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회전 조작부재와, 상기 제1 회전 조작부재에 축방향으로 대향해서 배치되고, 상기 홀더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회전 조작부재와, 상기 제1 회전 조작부재를 회전 조작할 때 클릭 력을 발생하도록 구성된 제1 클릭 기구와, 상기 제2 회전 조작부재를 회전 조작할 때 클릭 력을 발생하도록 구성된 제2 클릭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클릭 기구 및 상기 제2 클릭 기구는, 상기 제1 회전 조작부재와 상기 제2 회전 조작부재가 상기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독립하여 회전 조작가능한 복수 단의 회전 조작부재의 축방향의 치수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전자기기의 치수 축소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이하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로서의 디지털 카메라를 정면측(피사체측)에서 본 사시도다.
도 2는, 모드 다이얼 및 노출 보정 다이얼의 회전 조작 기구의 분해 사시도다.
도 3은, 카메라 본체에 모드 다이얼 및 노출 보정 다이얼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다.
도 4는, 노출 보정 다이얼, 홀더 및 판형부재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데 유용한 분해 사시도다.
도 5는, 모드 다이얼을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다.
도 6은, 패턴 기판의 전개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로서의 디지털 카메라를 정면측(피사체측)에서 본 사시도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정면측 커버(102), 배면측 커버(107), 상면측 커버(106), 우측면측 커버(104)와, 미도시의 좌측면측 커버 및 저면측 커버에 의해 카메라 본체(101)의 외장이 형성된다.
카메라 본체(101)의 정면측에는 렌즈 경통(10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카메라 본체(101)의 상면부에는, 전원 버튼(109), 모드 다이얼(110), 노출 보정 다이얼(111), 줌 레버(112), 릴리즈 버튼(113) 및 팝업식의 스트로보 유닛(105)이 설치되어 있다. 카메라 본체(101)의 배면측에는, LCD 등의 표시 유닛(108)이 카메라 본체(101)에 대해 개폐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모드 다이얼(110)은, (상하) 2단의 회전 조작부재 중 상단의 회전 조작부재로서, 본 발명의 제1 회전 조작부재에 해당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모드 다이얼(110)은 촬영자가 회전 조작에 의해 카메라의 촬영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노출 보정 다이얼(111)은, (상하) 2단의 회전 조작부재 중 하단의 회전 조작부재로서, 본 발명의 제2 회전 조작부재에 해당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노출 보정 다이얼(111)은 촬영자가 회전 조작에 의해 촬영시의 노출 보정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모드 다이얼(110) 및 노출 보정 다이얼(111)의 회전 조작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모드 다이얼(110) 및 노출 보정 다이얼(111)의 회전 조작 기구의 분해 사시도다. 도 3은, 카메라 본체(101)에 모드 다이얼(110) 및 노출 보정 다이얼(111)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다. 도 4는, 노출 보정 다이얼(111), 홀더(202) 및 판형부재(208)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데 유용한 분해 사시도다. 도 5는, 모드 다이얼(110)을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다. 도 6은, 패턴 기판(213)의 전개도다.
도 2를 참조하면, 톱 베이스(201)는, 카메라 본체(101)의 상면부의 외장의 일부를 형성하고, 나사를 사용하여 카메라 본체(101)의 미도시의 샤시와 상면측 커버(106)에 고정되어 있다. 이때, 톱 베이스(201)는 본 발명의 외장부재에 해당한다.
톱 베이스(201)에는, 모드 다이얼(110) 및 노출 보정 다이얼(111)의 후술하는 각각의 모드 인자부(110a) 및 노출 보정 인자부(111b)를 조정하기 위한 표지로서 기능하는 지표(201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톱 베이스(201)에는, 축부(202a)를 갖는 홀더(202)가 베이스 판금(206) 및 접지 판금(207)과 함께 나사 203 내지 205를 사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홀더(202)의 축부(202a)는, 축부(202a)의 직경방향으로 서로 대향해서 2개의 오목부(202b)가 형성된 선단을 갖는다. 오목부(202b)에는, 판형부재(208)의 볼록부(208a)가 끼워맞추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판형부재(208)는, 홀더(202)에 대해 회전이 규제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판형부재(208)는, 금속 등에 의해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볼록부(208a)는, 판형부재(208)의 내주부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208a)는, 오목부(202b)의 개소에 각각 대응해서 판형부재(208)의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해서 2개소 배치되어 있다.
또한, 2개소의 볼록부(208a) 중 한쪽을 향하는 판형부재(208)의 일측은 모드 다이얼(110)을 향해(도 4에서 볼 때 상부 방향) 절곡되어 있고, 이에 따라, 판형부재(208)에 제1 탄성 변형부(208c)를 형성하고 있다.
제1 탄성 변형부(208c)에는 제1 볼 수납부(208d)가 형성되고, 제1 볼 수납부(208d)와 클릭 판금(209)(도 2 및 도 3 참조) 사이에는, 제1 볼(210)이 배치되어 있다. 클릭 판금(209)은 모드 다이얼(110)의 이면측에 고정되고, 슬릿(209a)이 모드 다이얼(110)의 회전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제1 볼(210)은 판형부재(208)의 제1 탄성 변형부(208c)에 의해 클릭 판금(209)(도 3 참조)을 향해 부세되어 있다.
제1 탄성 변형부(208c)는 본 발명의 제1 부세부에 해당하고, 제1 볼(210)은 본 발명의 제1 클릭부재에 해당하고, 슬릿(209a)은, 본 발명의 제1 맞물림부에 해당한다. 그리고, 제1 볼(210), 슬릿(209a) 및 제1 탄성 변형부(208c)는 본 발명의 제1 클릭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2개소의 볼록부(208a) 중 다른쪽의 볼록부를 향하는 판형부재(208)의 다른 측은, 모드 다이얼(110)의 방향과 반대의 방향(도 4에서 볼 때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고, 이에 따라, 판형부재(208)에 제2 탄성 변형부(208e)를 형성하고 있다.
제2 탄성 변형부(208e)에는 제2 볼 수납부(208f)가 형성되고, 제2 볼 수납부(208f)와 노출 보정 다이얼(111)의 클릭 홈(111a) 사이에는, 제2 볼(211)이 배치되어 있다. 클릭 홈(111a)은, 노출 보정 다이얼(111)의 회전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다. 제2 볼(211)은, 판형부재(208)의 제2 탄성 변형부(208e)에 의해 노출 보정 다이얼(111)을 향해 부세되어 있다.
제2 탄성 변형부(208e)는 본 발명의 제2 부세부에 해당하고, 제2 볼(211)은 본 발명의 제2 클릭부재에 해당하고, 클릭 홈(111a)은 본 발명의 제2 맞물림부에 해당한다. 그리고, 제2 볼(211), 클릭 홈(111a) 및 제2 탄성 변형부(208e)에 의해 본 발명의 제2 클릭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노출 보정 다이얼(111)에는, 촬영자가 노출 보정값을 선택가능하게 하기 위해 노출 보정 인자부(111b)가 원주를 따라 인쇄되어 있다. 노출 보정 다이얼(111)은, 홀더(202)의 축부(202a)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끼워 맞춰지고, 홀더(202)는 톱 베이스(201)의 관통구멍부(201b)에 끼워맞춤 고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노출 보정 다이얼(111)은, 모드 다이얼(110)과 톱 베이스(201) 사이에서 홀더(202)의 축부(202a)를 중심으로 회전 조작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전술한 노출 보정 다이얼(111)의 클릭 홈(111a)은, 노출 보정 다이얼(111)의 모드 다이얼(110)과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측(표면측)면에, 노출 보정 다이얼(111)의 정지 위치에 대응해서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클릭 홈(111a)은, 제2 볼(211)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기 위해, 경사면으로 각각 형성된 대향하는 측벽들을 갖는다.
노출 보정 다이얼(111)의 이면측에는, 제2 접촉편(212)이 예를 들어 열용착으로 고정된다. 제2 접촉편(212)은 패턴 기판(21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노출 보정 다이얼(111)과 일체로 회전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노출 보정 다이얼(111)이 수지 부품으로 형성되므로, 제2 접촉편(212)을 노출 보정 다이얼(111)에 직접 열용착으로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노출 보정 다이얼(111)이 예를 들면 금속 부품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스페이서 등의 수지 부품을 개재하여 제2 접촉편(212)을 노출 보정 다이얼(111)에 고정해도 된다.
제2 볼(211)은, 노출 보정 다이얼(111)의 클릭 홈(111a) 중에서 한 개에 맞물림으로써, 노출 보정 다이얼(111)의 회전 조작시에 원하는 위치에서 노출 보정 다이얼(111)을 정지시키고, 또한 클릭 력을 발생시킨다. 전술한 것과 같이, 제2 볼(211)은 판형부재(208)의 제2 탄성 변형부(208e)에 의해 클릭 홈(111a) 중에서 한 개를 향해 부세되어 있다.
촬영자가 노출 보정 다이얼(111)을 회전 조작하면, 제2 탄성 변형부(208e)에 의해 클릭 홈(111a) 중에서 한 개를 향해 부세되어 있었던 제2 볼(211)은, 제2 탄성 변형부(208e)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한 개의 클릭 홈(111a)의 측벽 경사면을 상승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촬영자가 노출 보정 인자부(111b)의 이전에 선택된 노출 보정값에 인접하는 노출 보정값을 톱 베이스(201)의 지표(201a)에 맞춘 후 노출 보정 다이얼(111)의 회전을 멈추면, 제2 볼(211)은, 제2 탄성 변형부(208e)의 부세력에 의해 클릭 홈(111a) 중에서 인접하는 한 개의 클릭 홈의 측벽 경사면을 하강한다. 이에 따라, 제2 볼(211)이, 노출 보정 다이얼(111)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클릭 홈(111a) 중에서 인접하는 클릭 홈에 맞물려, 정지한다.
이때, 제2 볼(211)이 맞물리는 클릭 홈(111a)의 위치와 노출 보정 인자부(111b)의 선택된 노출 보정값의 위치는, 톱 베이스(201)의 지표(201a)와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2 볼(211)이 클릭 홈(111a)의 측벽 경사면을 타고넘어 인접하는 클릭 홈(111a)에 맞물릴 때, 촬영자의 손가락에 클릭 력이 전해지게 된다.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모드 다이얼(110)의 표면측에는, 원주를 따라 인쇄된 모드 인자부(110a)가 설치되어 있다. 모드 다이얼(110)은, 홀더(202)의 축부(202a)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지는 축부(110b)를 갖고,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모드 다이얼(110)이 홀더(202)의 축부(202a)에 의해 회전 조작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모드 다이얼(110)의 회전축과 노출 보정 다이얼(111)의 회전축은 동축 배치되어 있다.
모드 다이얼(110)의 축부(110b)의 선단부(도 3에서 볼 때 하단부)에는, 모드 다이얼(110)과 일체로 회전하는 제1 홀더(214)가 나사(215)를 사용하여 위치 결정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1 홀더(214)의 모드 다이얼(110)을 향하는 측의 면은 예를 들어 열용착으로 고정된 제1 접촉편(216)을 갖는다. 제1 접촉편(216)은 패턴 기판(21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모드 다이얼(110) 및 제1 홀더(214)와 일체로 회전한다.
제1 볼(210)은, 제1 클릭 판금(209)의 슬릿(209a) 중 한 개에 맞물림으로써, 모드 다이얼(110)의 회전 조작시에 원하는 위치에서 모드 다이얼(110)을 정지시키고, 또한 클릭 력을 발생시킨다. 전술한 것과 같이, 제1 볼(210)은, 판형부재(208)의 제1 탄성 변형부(208c)에 의해 제1 클릭 판금(209)을 향해 부세되어 있다.
촬영자가 모드 다이얼(110)을 회전 조작하면, 제1 탄성 변형부(208c)의 부세력에 의해 슬릿(209a) 중 한 개에 맞물린 제1 볼(210)이 한 개의 슬릿(209a)을 타고넘어, 하강하여, 인접하는 슬릿(209a)으로 이끄는 평면부(209b)를 미끄러져 움직인다. 그리고, 촬영자가 모드 다이얼(110)의 모드 인자부(110a)의 이전에 선택된 표시에 인접하는 표시를 톱 베이스(201)의 지표(201a)에 맞춘 후 회전을 멈추면, 제1 볼(210)은 제1 탄성 변형부(208c)의 부세력에 의해 인접하는 슬릿(209a)에 맞물려, 상승한 후, 정지한다.
이때, 제1 볼(210)이 맞물리는 슬릿(209a)의 위치와 모드 인자부(110a)의 선택된 표시의 위치는 톱 베이스(201)의 지표(201a)와 일치하고 있다. 제1 볼(210)이 슬릿(209a)을 타고넘어 인접한 슬릿(209a)에 맞물릴 때, 촬영자의 손가락에 클릭 력이 전해지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모드 다이얼(110) 및 노출 보정 다이얼(111)은 360도(전체 원주를 따라) 회전 조작이 가능하다. 촬영자는, 톱 베이스(201)의 지표(201a)에 대하여, 모드 다이얼(110)의 모드 인자부(110a)의 원하는 표시 혹은 노출 보정 다이얼(111)의 노출 보정 인자부(111b)의 원하는 노출 보정값을 맞춤으로써, 촬영 모드 혹은 노출 보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1 볼(210) 및 제2 볼(211)의 외경, 판형부재(208)의 재질, 형상, 절곡 치수 등을 조정함으로써, 제1 볼(210)과 제1 클릭 판금(209) 사이의 접촉력과, 제2 볼(211)과 노출 보정 다이얼(111) 사이의 접촉력을 변경가능하다. 이에 따라, 모드 다이얼(110)과 노출 보정 다이얼(111) 각각의 회전 토크의 변경과 조정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 2,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패턴 기판(213)에 대해 설명한다. 패턴 기판(213)은, 홀더(202)의 축부(202a)의 축방향에 있어서 제1 홀더(214)와 노출 보정 다이얼(111) 사이에 배치된다. 패턴 기판(213)에는, 제1 접촉편(216)에 접촉하는 제1 패턴부(213a)와, 제2 접촉편(212)에 접촉하는 제2 패턴부(213b)가 동일한 면(한쪽 면)(도 6의 전개도 참조)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패턴 기판(213)은, 제1 패턴부(213a)가 제1 접촉편(216)에 대향해서 접촉하고, 제2 패턴부(213b)가 제2 접촉편(212)에 대향해서 접촉하도록, 홀더(202)의 축방향의 대향 면들(도 3에서 볼 때 상하면)을 끼운 상태로 절곡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패턴부(213a)가 형성되는 패턴 기판(213)의 부분은, 홀더(202)의 이면(도 3에서 볼 때 밑면)(202c)에 양면 테이프(217)(도 2 참조)를 사용하여 고정된다. 또한, 제2 패턴부(213b)가 형성되는 패턴 기판(213)의 부분은, 홀더(202)의 표면(도 3에서 볼 때 윗면)(202d)에 양면 테이프(218)(도 2 참조)를 사용하여 고정된다.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1 패턴부(213a)가 형성되는 패턴 기판(213)의 부분에는 대략 중앙부에 제1 위치 결정 구멍(213c)이 형성되고, 외주부에는 제1 회전 멈춤부(213d)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1 위치 결정 구멍(213c)은 홀더(202)의 이면(202c)으로부터 뻗는 축부(202e)에 의해 끼워 맞춰져서 위치 결정되고, 제1 회전 멈춤부(213d)는 홀더(202)의 이면(202c)의 외주측에 돌출설치된 미도시의 보스(boss)에 의해 위치 결정된다.
제1 위치 결정 구멍(213c)을 제1 패턴부(213a)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함으로써, 제1 회전 멈춤부(213d)를 제1 패턴부(213a)의 외주측에서 U자 형상을 갖는 절결(cutout)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제1 패턴부(213a)의 직경 방향으로의 직경을 줄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패턴부(213b)가 형성되는 패턴 기판(213)의 부분은 대략 중앙부에 제2 위치 결정 구멍(213e)이 형성되고, 외주부에는 제2 회전 멈춤부(213f)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2 위치 결정 구멍(213e)은 홀더(202)의 표면(202d)으로부터 뻗는 축부(202a)에 의해 끼워 맞춰져서 위치 결정되고, 제2 회전 멈춤부(213f)는 홀더(202)의 표면(202d)의 외주측에 돌출설치된 보스(202f)에 의해 위치 결정된다.
제2 위치 결정 구멍(213e)을 제2 패턴부(213b)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함으로써, 제2 회전 멈춤부(213f)를 제2 패턴부(213b)의 외주측에서 U자 형상을 갖는 절결로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제2 패턴부(213b)의 직경 방향으로의 직경을 줄일 수 있다.
패턴 기판(213)은, 카메라 본체(101)의 미도시의 제어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패턴 기판(213)의 제1 패턴부(213a) 및 제2 패턴부(213b)는 동박이 노출되는 부분이며, 각각 제1 접촉편(216) 및 제2 접촉편(212)에 대해 접촉 및 비접촉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베이스 판금(206)은 카메라 본체(101)의 샤시(미도시)에 나사(미도시)에 의해 체결되어 있고, 카메라 본체(101)의 그라운드에 전기적으로 도통하고 있다. 접지 판금(207)은, 모드 다이얼(110) 및 제1 홀더(214)를 체결하는 나사(215)를 부세하는 판 스프링이며, 모드 다이얼(11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접지 판금(207)은, 홀더(202) 및 베이스 판금(206)과 함께 나사 203 내지 205를 사용하여 톱 베이스(201)에 함께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모드 다이얼(110)은 접지 판금(207)을 개재하여 베이스 판금(206)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패턴 기판(213)과 동일한 그라운드 레벨에 놓인다. 그 결과, 모드 다이얼(110) 또는 그 부근에 정전기가 인가된 경우에도, 모드 다이얼(110)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신호 라인이 정전기에 의해 영향을 받기 어려워져, 카메라 전체의 내성을 향상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모드 다이얼(110)과 노출 보정 다이얼(111)이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공간에, 모드 다이얼(110) 및 노출 보정 다이얼(111) 중에서 관련된 다이얼이 회전 조작될 때 클릭 력을 각각 발생시키는 클릭 기구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서로 독립하여 회전 조작가능한 (상하) 2단의 회전 조작부재인 모드 다이얼(110) 및 노출 보정 다이얼(111)의 축방향의 치수를 줄일 수 있어, 카메라의 치수 축소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패턴 기판(213)의 제1 패턴부(213a) 및 제2 패턴부(213b)의 직경을 줄일 수 있으므로, 패턴 기판(213)을 유지하는 홀더(202)를 노출 보정 다이얼(111)의 내주 내부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드 다이얼(110) 및 노출 보정 다이얼(111)의 축방향의 치수를 더욱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모드 다이얼(110) 및 노출 보정 다이얼(111)은 서로 독립하여 360°회전 조작이 가능하므로, 촬영 모드 및 노출 보정값의 전환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파라미터 설정에 모드 다이얼(110) 및 노출 보정 다이얼(111)의 메카니즘을 적용할 수 있어, 설계상의 자유도를 향상시킨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는 가장 넓게 해석되어 모든 변형, 동등물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여야 한다.
본 출원은 2014년 8월 29일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4-175510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출원의 전체내용을 참조를 위해 본 출원에 원용한다.

Claims (8)

  1. 외장부재에 고정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회전 조작부재와,
    상기 제1 회전 조작부재에 축방향으로 대향해서 배치되고, 상기 홀더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회전 조작부재와,
    상기 제1 회전 조작부재를 회전 조작할 때 클릭 력(click force)을 발생하도록 구성된 제1 클릭 기구와,
    상기 제2 회전 조작부재를 회전 조작할 때 클릭 력을 발생하도록 구성된 제2 클릭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클릭 기구 및 상기 제2 클릭 기구는, 상기 제1 회전 조작부재와 상기 제2 회전 조작부재가 상기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전자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릭 기구는,
    제1 클릭부재와,
    상기 제1 회전 조작부재의 회전 방향으로 상기 제1 회전 조작부재에 복수 설치되고, 상기 제1 클릭부재와 맞물리는 제1 맞물림부와,
    상기 제1 클릭부재의 수납부를 갖고, 상기 제1 클릭부재를 상기 제1 맞물림부를 향해서 부세하는 제1 부세부(urging portion)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클릭 기구는,
    제2 클릭부재와,
    상기 제2 회전 조작부재의 회전 방향으로 상기 제2 회전 조작부재에 복수 설치되고, 상기 제2 클릭부재와 맞물리는 제2 맞물림부와,
    상기 제2 클릭부재의 수납부를 갖고, 상기 제2 클릭부재를 상기 제2 맞물림부를 향해서 부세하는 제2 부세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부세부 및 상기 제2 부세부는 상기 홀더에 고정된 판형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전자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부재에 형성된 상기 제1 부세부는 상기 제1 회전 조작부재를 향해 절곡되고,
    상기 판형부재에 설치된 상기 제2 부세부는 상기 제2 회전 조작부재를 향해 절곡되어 있는 전자기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맞물림부는 상기 제1 회전 조작부재에 고정된 클릭 판에 형성되어 있는 전자기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맞물림부는 상기 제2 회전 조작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전자기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조작부재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1 접촉편과,
    상기 제2 회전 조작부재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2 접촉편과,
    제1 패턴부 및 제2 패턴부가 동일한 면에 형성된 패턴 기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패턴 기판은, 상기 제1 패턴부가 상기 제1 접촉편에 접촉하고, 상기 제2 패턴부가 상기 제2 접촉편에 접촉하도록, 상기 홀더의 축방향의 대향 면을 상기 제1 패턴부 및 제2 패턴부 사이에 끼운 상태로 절곡되어 배치되어 있는 전자기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제2 회전 조작부재의 내주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전자기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조작부재의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 조작부재의 회전축은 동축 배치되어 있는 전자기기.
KR1020150110502A 2014-08-29 2015-08-05 복수 단의 회전 조작부재를 구비한 전자기기 KR1019303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75510A JP6362106B2 (ja) 2014-08-29 2014-08-29 電子機器
JPJP-P-2014-175510 2014-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682A true KR20160026682A (ko) 2016-03-09
KR101930346B1 KR101930346B1 (ko) 2018-12-18

Family

ID=55404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502A KR101930346B1 (ko) 2014-08-29 2015-08-05 복수 단의 회전 조작부재를 구비한 전자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67844B2 (ko)
JP (1) JP6362106B2 (ko)
KR (1) KR101930346B1 (ko)
CN (1) CN10538868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502A (ko) * 2016-07-20 2019-02-22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카메라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59136B2 (ja) * 2015-12-17 2020-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JP6945140B2 (ja) * 2017-09-26 2021-10-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621900Y1 (ko) * 1967-10-23 1971-07-28
JPS579851Y2 (ko) * 1977-05-24 1982-02-25
JPH08201900A (ja) * 1995-01-31 1996-08-09 Minolta Co Ltd 2段ダイヤル装置
JP3576304B2 (ja) * 1996-02-23 2004-10-1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メラの動力伝達切り換え機構
JPH11109469A (ja) * 1997-10-03 1999-04-23 Asahi Optical Co Ltd カメラのダブルダイヤル機構
US6341202B1 (en) * 1999-06-22 2002-01-22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Operation dial with an illuminator for a camera
US7042510B2 (en) * 2000-09-14 2006-05-09 Canon Kabushiki Kaisha Setting operation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4588862B2 (ja) 2000-11-09 2010-12-01 マミヤ・デジタル・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カメラレンズの焦点調節モード切換装置
JP2002343192A (ja) * 2001-05-14 2002-11-29 Alps Electric Co Ltd 複合操作型入力装置
JP4264546B2 (ja) 2004-01-23 2009-05-20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JP4530689B2 (ja) * 2004-03-09 2010-08-25 Hoya株式会社 カメラのダイヤル切替装置
JP5317595B2 (ja) * 2008-09-09 2013-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CN201285488Y (zh) * 2008-10-22 2009-08-05 华晶科技股份有限公司 转盘模块
JP2011070169A (ja) * 2009-08-26 2011-04-07 Panasonic Corp 複合回転式スイッチ
US8686306B2 (en) * 2011-06-15 2014-04-0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Rotary knob assembly
JP2013097970A (ja) * 2011-10-31 2013-05-20 Canon Inc 電子機器
JP2013164484A (ja) * 2012-02-10 2013-08-22 Xacti Corp 操作部を有する電子機器
TWI475438B (zh) * 2012-08-13 2015-03-01 Wistron Corp 旋鈕控制裝置與觸控面板的操作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502A (ko) * 2016-07-20 2019-02-22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카메라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67844B2 (en) 2017-05-30
US20160065800A1 (en) 2016-03-03
JP6362106B2 (ja) 2018-07-25
JP2016051567A (ja) 2016-04-11
CN105388682B (zh) 2019-05-07
CN105388682A (zh) 2016-03-09
KR101930346B1 (ko) 201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1463B2 (en) Imaging device with two-stage dial
US8855478B2 (en) Lens barrel
KR101930346B1 (ko) 복수 단의 회전 조작부재를 구비한 전자기기
JP6639178B2 (ja) 電子機器
US20090097141A1 (en) Lens barrel
WO2004107007A1 (ja) 撮像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端末、並びに撮像装置の組立方法
JP2016029441A (ja) レンズ位置調整装置、及び光学機器
US9948836B2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rotationally-operated member
JP2012128347A (ja) 電子機器
US10303249B2 (en) Electronic apparatus equipped with eye sensor holding structure and image pickup apparatus equipped with electronic apparatus
JP6080444B2 (ja) 電子機器
JP2006086048A (ja) 電子機器
JP5212123B2 (ja) 電子機器および回転スイッチ機構
JP2013206662A (ja) 情報設定装置
JP7297554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影レンズ
JP2011164117A (ja) 電子機器
JP4707554B2 (ja) カメラ装置
JP7140596B2 (ja) 回転操作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JP2017102361A (ja) 電子機器
JP2020046606A (ja) 電子機器
JP6598586B2 (ja) 電子機器
JP6399875B2 (ja) 操作機構および電子機器
JP2020170106A (ja) 撮像装置
JP2019023684A (ja) レンズ交換式カメラ
JP2018148025A (ja) 撮像装置のダイヤ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