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5623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5623A
KR20160025623A KR1020167002806A KR20167002806A KR20160025623A KR 20160025623 A KR20160025623 A KR 20160025623A KR 1020167002806 A KR1020167002806 A KR 1020167002806A KR 20167002806 A KR20167002806 A KR 20167002806A KR 20160025623 A KR20160025623 A KR 20160025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ever
locking position
pair
engaging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2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1150B1 (ko
Inventor
다카시 이이다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60025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1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1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5Pivoting lever comprising supplementary/additional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8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Abstract

본 발명의 커넥터(1)는, 제2 하우징(3)의 삽입 취출 방향에 대하여 누운 자세의 비 록킹 위치와, 제2 하우징(3)의 삽입 취출 방향으로 선 자세의 록킹 위치 사이를 선회 가능한 레버(4)를 구비하며, 레버(4)에는, 제2 하우징(3)의 삽입이 완료되기 전에, 인접한 제1 하우징(2)의 개구 가장자리(23)와 접촉하여 레버(4)를 록킹 위치로 접근시키는 돌출부(43)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록킹을 위한 레버를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1 및 2에는, 오목형의 하우징에 삽입되는 볼록형의 하우징에 설치된 레버가, 볼록형의 하우징의 삽입 취출 방향에 대하여 누운 자세인 비 록킹 위치와, 볼록형의 하우징의 삽입 취출 방향으로 선 자세인 록킹 자세 사이를 선회 가능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1: 일본공개특허 특개2003-151683호 특허문헌2: 일본공개특허 특개2001-185283호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비 록킹 위치에 있어서 레버가 오목형의 하우징 및 그 주위 물체에 접근하는 것이기 때문에, 레버에 손가락을 거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특히, 상기 배경기술과 같이 오목형의 하우징이 복수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 삽입 대상이 아닌 오목형의 하우징 단자에 손가락이 닿아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레버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삽입되는 제2 하우징과, 레버를 구비한다. 상기 레버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된 축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2 하우징의 삽입 취출 방향에 대하여 누운 자세의 비 록킹 위치와, 상기 제2 하우징의 삽입 취출 방향으로 선 자세의 록킹 위치 사이를 선회 가능하다.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레버의 일측에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삽입이 완료되기 전에 타측과 접촉하여 상기 레버를 상기 록킹 위치에 접근시키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레버에, 선회 방향의 상기 제1 하우징에 가까운 측으로 돌출된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상기 제1 하우징이 병렬되고, 복수의 상기 제1 하우징 중, 상기 제2 하우징이 삽입되는 제1 하우징에 인접하는 제1 하우징의 개구 가장자리에, 상기 돌출부가 접촉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레버는, 상기 제2 하우징을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암 부와, 상기 한 쌍의 암 부의 선단부 사이에 걸쳐 가설된 브릿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한 쌍의 암 부의 일측에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레버는, 상기 제2 하우징을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암 부와, 상기 한 쌍의 암 부의 선단부 사이에 걸쳐 가설된 브릿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브릿지부 중, 선회 방향의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떨어진 측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손가락 걸이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레버에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된 결합 멈춤편과 결합하는 결합 멈춤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삽입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레버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 멈춤편이 상기 결합 멈춤홈으로부터 상기 제2 하우징의 삽입 취출 방향으로 취출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레버에는, 상기 레버가 상기 비 록킹 위치일 때 상호 결합하고, 상기 레버의 상기 록킹 위치를 향하는 선회를 규제하는 결합 멈춤편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 하우징이 삽입될 때의 상기 돌출부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결합 멈춤편이 상호 타고 넘어서, 상기 레버가 상기 록킹 위치에 근접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하우징이 삽입될 때에 돌출부의 접촉에 의하여 레버가 록킹 위치로 접근하므로, 레버에 손가락을 거는 것이 용이하게 됨과 함께, 레버가 조작되는 거리를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동일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c는 동일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동일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동일 커넥터에 포함된 제2 하우징 및 레버의 측면도이다.
도 4a는 동일 커넥터의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동일 커넥터의 레버의 정면도이다.
도 4c는 동일 커넥터의 레버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커넥터(1)의 측면도이다. 이 중, 도 1a는 제2 하우징(3)의 삽입 개시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b 및 도 2는 제2 하우징(3)의 삽입 완료시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1c는 제2 하우징(3)의 삽입 완료 후에 레버(4)가 록킹 위치(L)까지 선회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커넥터(1)에 포함된 제2 하우징(3) 및 레버(4)의 측면도이다. 이 도 3은, 레버(4)가 비 록킹 위치(U)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레버(4)의 사시도,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1a 내지 도 3 중 실선 화살표 id는, 제2 하우징(3)의 삽입 취출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삽입 취출 방향(id) 중 i가 삽입측이며, d가 취출측이다. 또한, 도 1a 내지 도 3 중 실선 화살표 k와 실선 화살표 w는, 삽입 취출 방향(id)와 직교하는, 제1 하우징(2)의 긴 변 방향과 짧은 변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도 1c 및 도 3 중 일점 쇄선 화살표는, 레버(4)의 선회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커넥터(1)는, 복수인 오목형의 제1 하우징(2)과, 제1 하우징(2)에 삽입되는 복수인 볼록형의 제2 하우징(3)과, 각각의 제2 하우징(3)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4)와, 각각의 제2 하우징(3)에 설치되는 커버(5)를 구비하고 있다. 도 1a 내지 도 2에서는, 한 개의 제2 하우징(3)만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에서는, 커버(5)가 분리되었을 때의 제2 하우징(3) 및 레버(4)를 나타내고 있다.
제1 하우징(2)은, 직사각 통 형상의 외곽부(21)를 구비하며, 외곽부(21)의 내측에는, 취출측(d)으로 연신되는 복수의 단자(29)가 지지되고 있다. 외곽부(21)는, 짧은 변 방향(w)에 대향하여, 긴 변 방향(k)으로 연신되는 한 쌍의 장판부(211)와, 긴 변 방향(k)에 대향하여, 짧은 변 방향(w)으로 연신되는 한 쌍의 단판부(212)를 구비하고 있다. 외곽부(21)에는, 취출측(d)을 향하여 개방된 개구(2a)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2a)의 가장자리(23)는, 긴 변 방향(k)과 짧은 변 방향(w)을 포함하는 평면 내에서 직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외곽부(21)의 장판부(211)의 내주면에는, 삽입 취출 방향(id)으로 연신되는 볼록 돌조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외곽부(21)의 장판부(211)의 외주면에는, 레버(4)에 결합 멈춤 시키기 위한 결합 멈춤편(27)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 멈춤편(27)은, 대략 원판 형상의 대경부(271)와, 장판부(211)와 대경부(271)의 사이에 위치하는, 대경부(271)보다도 작은 직경의 소경부(273)를 구비하고 있다(도 2를 참조).
복수인 제1 하우징(2)은, 긴 변 방향(k)으로 병렬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제1 하우징(2)이 긴 변 방향(k)에 인접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셋 이상의 제1 하우징(2)이 긴 변 방향(k)에 병렬되어 있어도 된다.
제2 하우징(3)은, 제1 하우징(2)에 삽입되는 직사각 기둥 형상의 삽입부(31)를 구비하고 있으며, 삽입부(31)의 내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단자가 지지되고 있다(도 3을 참조). 삽입부(31)가 제1 하우징(2)에 삽입될 때, 삽입부(31)에 지지되는 도시하지 않은 단자가, 제1 하우징(2)에 지지된 단자(29)에 접촉한다. 삽입부(31)에 지지된 도시하지 않은 단자는, 제2 하우징(3)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와이어 하니스(9)에 접속되어 있다.
제2 하우징(3)에는, 삽입부(31)를 에워싸도록 위치하는 직사각 통 형상의 커버(5)가 설치되어 있다. 삽입부(31)가 제1 하우징(2)에 삽입되면, 커버(5)는 제1 하우징(2)을 에어싸도록 위치한다. 즉, 삽입부(31)가 제1 하우징(2)에 삽입되면, 제1 하우징(2)은 삽입부(31)와 커버(5)의 틈에 삽입된다.
삽입부(31)의 외주면 중, 제1 하우징(2)의 볼록 돌조부(25)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삽입 취출 방향(id)으로 연신되는 오목 홈부(31d)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31)가 제1 하우징(2)에 삽입될 때, 오목 홈부(31d)에 제1 하우징(2)의 볼록 돌조부(25)가 끼워지고, 삽입부(31)가 삽입 취출 방향(id)으로 안내된다.
삽입부(31)의 취출측(d)에는, 와이어 하니스(9)의 접속 부분을 에워싸는 배면 커버(33)가 배치되어 있다. 배면 커버(33)는, 긴 변 방향(k)의 한쪽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와이어 하니스(9)는, 배면 커버(33)로부터 긴 변 방향(k)의 한쪽 또한 삽입 취출 방향(id)의 취출측(d)을 향하여 연장되어 돌출되어 있다.
배면 커버(33)의 취출측(d)에는, 레버(4)를 록킹 위치(L)에 고정시키기 위한, 취출측(d)으로 돌출된 결합 멈춤편(3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삽입부(31)와 배면 커버(33) 사이에는, 레버(4)를 비 록킹 위치(U)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 멈춤편(331)이 형성되어 있다(도 3을 참조). 결합 멈춤편(331)은, 긴 변 방향(k)의 타측 단부에서, 짧은 변 방향(w)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31)와 배면 커버(33)의 사이에는, 레버(4)를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짧은 변 방향(w)으로 돌출된 축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축부(37)는, 긴 변 방향(k)의 중앙부에서, 짧은 변 방향(w)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축부(37)의 선단부는, 삽입 취출 방향(id)으로 연장되어 돌출되고 대략 φ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레버(4)는, 제2 하우징(3)에 형성된 축부(37)를 중심으로 비 록킹 위치(U)와 록킹 위치(L) 사이를 선회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끼움 결합된 제1 하우징(2)과 제2 하우징(3)을 상호 고정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레버(4)는, 정면에서 보아 대략 U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도 4b를 참조), 측면에서 보아 대략 L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도 4c를 참조).
레버(4)는, 서로 평행하게 연신되는 한 쌍의 판 형상인 암 부(41)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암 부(41)는, 제2 하우징(3)을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어 있다. 암 부(41)의 기단부에는, 제2 하우징(3)의 축부(37)가 삽입되는 축 홀(40a)이 형성되어 있다. 축 홀(40a)은, 축부(37)의 선단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대략 φ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 쌍의 암 부(41)의 선단부 사이에는, 판 형상의 브릿지부(44)가 가설되어 있다. 브릿지부(44)는, 축 홀(40a)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암 부(41)의 선단부는, 브릿지부(44)보다도 반경 방향의 선단부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브릿지부(44) 중, 선회 방향의 비 록킹 위치(U)에 가까운 측(즉, 제1 하우징(2)에 가까운 측)에는, 반경 방향의 기단측으로 돌출된 결합 멈춤편(441)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 멈춤편(441)은, 제2 하우징(3)의 결합 멈춤편(35)와 서로 맞물림으로써, 레버(4)를 록킹 위치(L)에 고정시킨다.
브릿지부(44) 중, 선회 방향의 록킹 위치(L)에 가까운 측(즉, 제1 하우징(2)으로부터 떨어진 측)에는, 반경 방향의 선단측으로 돌출된 판 형상의 손가락 걸이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손가락 걸이부(45)는, 선회 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암 부(41)의 선단부와도 연속하고 있다. 손가락 걸이부(45)에는, 레버(4)를 조작하는 조작자의 손가락이 걸린다.
한 쌍의 암 부(41)의 한쪽 선단부에는, 선회 방향의 비 록킹 위치(U)에 가까운 측(즉, 제1 하우징(2)에 가까운 측)으로 돌출된 돌출부(43)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43)는, 암 부(41)와 브릿지부(44)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43)는, 상대측과 접촉하는 부분인 접촉부(432)와, 접촉부(432)의 반경 방향의 선단측에 형성된, 선회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신되는 2개의 보강부(431, 433)를 구비하고 있다. 2개의 보강부(431, 433) 사이에는, 선회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신되는 홈(43a)이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432)는, 브릿지부(44)와 동일면 내에 연속하여 있으며, 보강부(431)는, 암 부(41)와 동일면 내에 연속하여 있다.
접촉부(432)의 반경 방향의 선단측에 보강부(431, 433)가 형성됨으로써, 접촉부(432)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강부(431, 433)를 홈(43a)을 두고 띄워서 폭 방향으로 나눔으로써, 접촉부(432)의 접촉 폭을 넓히는 것이 가능하다.
암 부(41)가 연신 방향의 도중에는, 레버(4)를 비 록킹 상태(U)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 멈춤부(47)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 멈춤부(47)는, 선회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신되는 띠 형상의 탄성보(471)와, 탄성보(471)의 내측(즉, 제2 하우징(3)이 있는 측)으로 돌출된 결합 멈춤편(472)을 구비하고 있다. 탄성보(471)는, 암 부(41)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절단 분리되어 있으며, 판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결합 멈춤편(472)은, 제2 하우징(3)의 결합 멈춤편(331)과 서로 맞물림으로써, 레버(4)를 비 록킹 위치(U)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레버(4)는, 축 홀(40a)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방향 중, 암 부(41)의 연신 방향과 다른 방향을 향하여 돌출된 판 형상의 작용부(42)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작용부(42)는, 돌출부(43)와 같은 방향, 즉 암 부(41)의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작용부(42)는, 암 부(41)의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부(43)보다도 더 돌출되어 있다.
작용부(42)에는, 제1 하우징(2)에 형성된 결합 멈춤편(27)과 결합하는 슬릿 형상의 결합 멈춤홈(42a)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 멈춤편(27)은, 결합 멈춤홈(42a)에 따른 방향으로 안내됨과 함께, 그 이외의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결합 멈춤홈(42a)은, 작용부(42)의 선단부로부터, 축 홀(40a)을 사이에 둔 암 부(41)와는 반대측으로 만곡되면서 연신되어 있다. 결합 멈춤홈(42a)은, 작용부(42)의 선단부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축 홀(40a)에 서서히 접근하는 궤도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작용부(42)는, 외측부(421), 중간부(422) 및 내측부(423)를 포함한 3층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중, 외측부(421) 및 중간부(422)는, 결합 멈춤홈(42a)의 일부를 형성하는 안내 가장자리(427)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안내 가장자리(427)에는, 제1 하우징(2)에 형성된 결합 멈춤편(27)의 대경부(271)가 끼워진다. 또한, 내측부(423)는, 결합 멈춤홈(42a)의 다른 부분을 형성하는 안내 가장자리(428)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안내 가장자리(428)에는, 제1 하우징(2)에 형성된 결합 멈춤편(27)의 소경부(273)가 끼워진다.
중간부(422) 및 내측부(423) 중, 작용부(42)의 선단부에는, 제1 하우징(2)에 형성된 결합 멈춤편(27)을 결합 멈춤홈(42a)에 수용하여 넣기 위한 수용 삽입 가장자리(425, 426)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 삽입 가장자리(425, 426)는, 작용부(42)의 돌출 방향을 따라 연신되어 있으며, 안내 가장자리(427, 428)과 각각 연속되어 있다.
외측부(421) 중, 작용부(42)의 선단부에는, 작용부(42)의 내측(즉, 제2 하우징(3)이 있는 측)으로 돌출된 돌기부(429)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하우징(2)에 형성된 결합 멈춤편(27)의 대경부(271)는, 수용 삽입홈(425)과 돌기부(429)의 간격을 통하여 결합 멈춤홈(42a)의 내측으로 진입한다.
레버(4)는, 축 홀(40a)에 삽입되는 제2 하우징(3)의 축부(37)를 중심으로 하여, 비 록킹 위치(U)와 록킹 위치(L) 사이를 선회 가능하다(도 1a 내지 도 3을 참조).
비 록킹 위치(U)에 있어서, 레버(4)는, 삽입 취출 방향(id)에 대하여 누운 자세가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비 록킹 위치(U)에 있어서, 레버(4)의 암 부(41)의 연신 방향이, 삽입 취출 방향(id)과 직교하는 긴 변 방향(k)에 비교적 가까워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비 록킹 위치(U)에 있어서, 암 부(41)의 연신 방향이, 삽입 취출 방향(id)과 직교하는 긴 변 방향(k)과 평행이다. 또한, 비 록킹 위치(U)에 있어서, 암 부(41)의 선단부는, 긴 변 방향(k) 중, 배면 커버(33)로부터 와이어 하니스(9)가 연장하여 돌출된 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비 록킹 위치(U)에 있어서, 레버(4)의 작용부(42)는, 삽입측(i)으로 돌출되어 있다.
록킹 위치(L)에 있어서, 레버(4)는, 삽입 취출 방향(id)으로 선 자세가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록킹 위치(L)에 있어서, 레버(4)의 암 부(41)의 연신 방향이, 삽입 취출 방향(id)에 비교적 가까워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록킹 위치(L)에 있어서, 암 부(41)의 연신 방향이, 삽입 취출 방향(id)과 평행이다. 또한, 록킹 위치(L)에 있어서, 암 부(41)의 선단부는, 취출측(d)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록킹 위치(L)에 있어서, 레버(4)의 작용부(42)는, 긴 변 방향(k) 중, 배면 커버(33)로부터 와이어 하니스(9)가 연장하여 돌출된 측과는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하, 제2 하우징(3)이 제1 하우징(2)에 삽입되어, 레버(4)에 의하여 고정되는 일련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2 하우징(3)의 삽입 전에 있어서, 레버(4)는 비 록킹 위치(U)에 있다(도 1a 및 도 3을 참조). 즉, 레버(4)의 암 부(41)의 연신 방향은, 삽입 취출 방향(id)과 직교하는 긴 변 방향(k)과 평행하게 되어 있으며, 암 부(41)의 선단부에 형성된 돌출부(43)는, 삽입측(i)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레버(4)의 작용부(42)도 삽입측(i)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수용 삽입 가장자리(425)와 돌기부(429)의 간격은 삽입측(i)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용 삽입 가장자리(425, 426)의 연신 방향이, 삽입측(i)을 향함에 따라 삽입 취출 방향(id)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약간 경사져 있다.
제2 하우징(3)은, 레버(4)가 비 록킹 위치(U)에 있는 상태에서, 제1 하우징(2)을 향하여 삽입측(i)에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삽입을 개시한다(도 1a를 참조).
제2 하우징(3)의 삽입 중에 있어서, 제1 하우징(2)의 결합 멈춤편(27)은, 레버(4)의 작용부(42)에 형성된 수용 삽입 가장자리(425)와 돌기부(429)의 간격을 통하여, 결합 멈춤홈(42a)의 내측으로 진입한다(도 3을 참조). 그리고, 레버(4)의 돌출부(43)는, 제2 하우징(3)을 삽입 중의 제1 하우징(2)과 인접하는 제1 하우징(2)의 개구(2a)의 가장자리(23)에 접촉한다(도 1b를 참조).
본 실시 형태에서는, 레버(4)의 돌출부(43)는, 제2 하우징(3)을 삽입 중의 제1 하우징(2)에 대하여, 긴 변 방향(k) 중 암 부(41)의 선단부가 위치하는 측에 인접하는 제1 하우징(2)의 개구(2a)의 가장자리(23)에 접촉한다. 구체적으로는, 레버(4)의 돌출부(43)는, 인접하는 제1 하우징(2)의 개구(2a)의 가장자리(23) 중, 짧은 변 방향(w)에 대향하고, 긴 변 방향(k)으로 연신된 한 쌍의 변 부의 한쪽과 접촉한다.
그리고, 레버(4)의 돌출부(43)는, 제2 하우징(3)을 삽입하는 힘에 대한 반작용의 힘을, 인접하는 제1 하우징(2)의 개구(2a)의 가장자리(23)로부터 받는다. 이러한 반작용의 힘은, 레버(4)를 록킹 위치(L)를 향하여 선회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레버(4)가 비 록킹 위치(U)에 있는 상태에서는, 제2 하우징(3)에 형성된 결합 멈춤편(331)과, 레버(4)에 형성된 결합 멈춤편(472)이 서로 결합하고, 레버(4)의 록킹 위치(L)를 향하는 선회가 규제되어 있지만(도 3을 참조), 상기 반작용의 힘이 레버(4)에 작용하면, 결합 멈춤편(331, 473)이 서로 타고 넘어서, 레버(4)는 록킹 위치(L)를 향하는 방향으로 선회를 개시한다.
그리고, 제2 하우징(3)의 삽입이 완료되었을 때, 레버(4)는, 인접하는 제1 하우징(2)의 개구(2a)의 가장자리(23)에 의하여 취출측(d)으로 가압된 결과, 비 록킹 위치(U)와 록킹 위치(L) 사이의 중간 위치(P)까지 이동한다(도 1b 및 도 2를 참조). 중간위치(P)는, 제2 하우징(3)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레버(4)의 돌출부(43)가, 인접하는 제1 하우징(2)의 개구(2a)의 가장자리(23)에 접촉하는 위치이다.
이와 같이, 제2 하우징(3)의 삽입이 완료되었을 때 레버(4)가 중간위치(P)까지 이동하고, 인접한 제1 하우징(2)의 개구(2a)의 가장자리(23)와, 레버(4)의 손가락 걸이부(45)와의 간격이 커지게 됨으로써, 레버(4)의 손가락 걸이부(45)에 손가락을 거는 것이 용이하게 됨과 함께, 레버(4)가 조작되는 거리를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인접한 제1 하우징(2)에 지지된 단자(29)에 손가락이 닿아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 레버(4)의 조작성 향상이 실현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레버(4)가 중간 위치(P)에 있을 때, 수용 삽입 가장자리(425, 426)의 연신 방향이 삽입 취출 방향(id)과 평행하게 된다. 즉, 레버(4)가 중간 위치(P)에 있을 때에도, 제1 하우징(2)의 결합 멈춤편(27)은, 레버(4)의 작용부(42)에 형성된 수용 삽입 가장자리(425)와 돌기부(429)의 간격을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2 하우징(3)에 형성된 결합 멈춤편(331)과, 레버(4)에 형성된 결합 멈춤편(473)의 결합 정도나, 결합 멈춤편(331)을 지지하는 탄성보(471)의 탄성 정도 등에 의하면, 상기 반작용의 힘이 레버(4)에 작용하여 결합 멈춤편(331, 473)이 서로를 타고 넘을 때에, 그 힘으로 레버(4)가 중간 위치(P)보다도 더욱 록킹 위치(L)에 가까운 위치(N)까지 회전하는 경우도 있다(도 2를 참조). 이 경우, 인접한 제1 하우징(2)의 개구(2a)의 가장자리(23)와, 레버(4)의 손가락 걸이부(45)의 간격이 더욱 커지므로, 레버(4)의 조작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하우징(3)의 삽입이 완료된 후, 조작자는, 중간 위치(P)까지 이동한 레버(4)의 손가락 걸이부(45)에 손가락을 걸고, 레버(4)를 중간 위치(P)로부터 록킹 위치(L)까지 선회시킨다(도 1c를 참조). 이에 의해, 제1 하우징(2)과 제2 하우징(3)이 서로 고정된다. 즉, 레버(4)가 록킹 위치(L)까지 선회함으로써, 제1 하우징(2)의 결합 멈춤편(27)은, 레버(4)의 결합 멈춤홈(42a)의 안측에 지지되고, 삽입 취출 방향(id)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손가락 걸이부(45)는, 레버(4)가 선회하는 방향의 록킹 위치(L)에 가까운 측(즉, 제1 하우징(2)으로부터 떨어지는 측)으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레버(4)를 조작하는 조작의 손가락을 더욱 제1 하우징(2)으로부터 멀어지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인접하는 제1 하우징(2)에 지지된 단자(29)에 손가락이 닿아버리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레버(4)를 록킹 위치(L)로부터 중간 위치(P)까지 되돌리면, 제2 하우징(3)을 제1 하우징(2)으로부터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레버(4)가 중간 위치(P)에 있을 때, 수용 삽입 가장자리(425, 426)의 연신 방향이 삽입 취출 방향(id)과 평행하게 되므로, 제1 하우징(2)의 결합 멈춤편(27)은, 레버(4)의 작용부(42)에 형성된 수용 삽입 가장자리(425)와 돌기부(429)의 간격을 통하여, 결합 멈춤홈(42a)의 내측으로부터 취출 가능하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1)의 사시도이다. 상기 실시 형태와 중복되는 구성에 관하여는, 같은 번호를 붙임으로써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a의 예에서는, 양측의 암 부(41)의 선단부에 돌출부(43)가 형성되어 있으며, 2개의 돌출부(43) 사이에는, 절개부(43b)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43)는, 브릿지부(44)와 동일면 내에 연속하는 접촉부(435)와, 암 부(41)와 동일면 내에 연속하는 보강부(434)를 구비하고 있다. 2개의 돌출부(43)는, 인접하는 제1 하우징(2)의 개구(2a)의 가장자리(23) 중, 짧은 변 방향(w)에 대향하고, 긴 변 방향(k)으로 연신되는 양측의 변 부와 접촉한다. 그리고, 도 5b의 예와 같이, 절개부를 형성하지 않고, 접촉부(435)를 폭 방향으로 넓혀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 실시가 당업자에게 있어서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인 제1 하우징(2)을 배치하고, 삽입 대상인 제1 하우징(2)과는 별개의 제1 하우징(2)의 개구(2a)의 가장자리(23)에 레버(4)의 돌출부(43)를 접촉시키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하우징(2)을 하나로 하고, 이것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피접촉부에 레버(4)의 돌출부(43)를 접촉시켜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삽입 대상인 제1 하우징(2)과 긴 변 방향(k)으로 인접한 제1 하우징(2)의 개구(2a)의 가장자리(23)에 레버(4)의 돌출부(43)를 접촉시키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짧은 변 방향(w) 또는 경사 방향으로 인접한 제1 하우징(2)의 개구(2a)의 가장자리(23)에 레버(4)의 돌출부(43)를 접촉시켜도 된다.
그리고,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레버(4)에 돌출부(43)를 형성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하우징(2)에 일체적으로 돌출부를 형성하여, 그것을 레버(4)의 암 부(41)나 브릿지부(44) 등에 접촉시켜도 된다.

Claims (7)

  1.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삽입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된 축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2 하우징의 삽입 취출 방향에 대하여 누운 자세의 비 록킹 위치와, 상기 제2 하우징의 삽입 취출 방향으로 선 자세의 록킹 위치의 사이를 선회 가능한 레버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레버의 일측에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삽입이 완료되기 전에 타측과 접촉하여 상기 레버를 상기 록킹 위치에 접근시키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에, 선회 방향의 상기 제1 하우징에 가까운 측으로 돌출된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커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 하우징이 병렬되고,
    복수의 상기 제1 하우징 중, 상기 제2 하우징이 삽입되는 제1 하우징에 인접하는 제1 하우징의 개구 가장자리에,
    상기 돌출부가 접촉되는, 커넥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제2 하우징을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암 부와,
    상기 한 쌍의 암 부의 선단부 사이에 걸쳐 가설된 브릿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한 쌍의 암 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커넥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제2 하우징을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암 부와,
    상기 한 쌍의 암 부의 선단부 사이에 걸쳐 가설된 브릿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브릿지부 중, 선회 방향의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떨어진 측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손가락 걸이부가 형성되는, 커넥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에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외면에 형성된 결합 멈춤편과 결합하는 결합 멈춤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삽입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레버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 멈춤편이 상기 결합 멈춤홈으로부터 상기 제2 하우징의 삽입 취출 방향으로 취출 가능한, 커넥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레버에는, 상기 레버가 상기 비 록킹 위치일 때 상호 결합하고, 상기 레버의 상기 록킹 위치를 향하는 선회를 규제하는 결합 멈춤편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 하우징이 삽입될 때의 상기 돌출부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결합 멈춤편이 상호 타고 넘어서, 상기 레버가 상기 록킹 위치에 근접하는, 커넥터.
KR1020167002806A 2013-07-02 2014-07-02 커넥터 KR1018111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39289A JP6117023B2 (ja) 2013-07-02 2013-07-02 コネクタ
JPJP-P-2013-139289 2013-07-02
PCT/JP2014/067632 WO2015002222A1 (ja) 2013-07-02 2014-07-02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623A true KR20160025623A (ko) 2016-03-08
KR101811150B1 KR101811150B1 (ko) 2017-12-20

Family

ID=52143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2806A KR101811150B1 (ko) 2013-07-02 2014-07-02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77378B2 (ko)
EP (1) EP3018765A4 (ko)
JP (1) JP6117023B2 (ko)
KR (1) KR101811150B1 (ko)
CN (1) CN105493355B (ko)
WO (1) WO20150022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45360B2 (ja) * 2016-05-30 2020-02-1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707229B2 (ja) * 2016-06-22 2020-06-1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7228501A (ja) * 2016-06-24 2017-12-28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
JP6618509B2 (ja) * 2017-06-06 2019-12-11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US9948030B1 (en) 2017-09-15 2018-04-17 Phoenix Contact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Inc. Lever-type electrical connector body and rela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6879231B2 (ja) * 2018-03-06 2021-06-0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EP3819998A1 (en) * 2019-11-11 2021-05-12 Connecteurs Electriques Deutsch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5283A (ja) 1999-12-27 2001-07-06 Sumitomo Wiring Syst Ltd カバー付きコネクタ
JP2003151683A (ja) 2001-09-24 2003-05-23 Fci 結合補助装置を有する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27846B1 (en) * 1993-11-05 2001-01-24 SUMITOMO WIRING SYSTEMS, Ltd. Lever type connector
JP3851026B2 (ja) * 1999-08-20 2006-11-29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US7175451B2 (en) * 2005-03-15 2007-02-1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Lever mated connector assembly with a position assurance device
JP4497038B2 (ja) 2005-07-05 2010-07-07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4579082B2 (ja) * 2005-07-29 2010-11-10 矢崎総業株式会社 回転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8262718A (ja) * 2007-04-10 2008-10-30 Yazaki Corp コネクタ
JP2009259442A (ja) * 2008-04-14 2009-11-05 Molex Inc コネクタ
JP2011023127A (ja) * 2009-07-13 2011-02-03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5408005B2 (ja) 2010-04-02 2014-02-05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5732315B2 (ja) * 2011-05-19 2015-06-10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源回路遮断装置
JP6193060B2 (ja) * 2013-09-02 2017-09-06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レバー式電気コネクタ
JP5905938B2 (ja) * 2014-08-22 2016-04-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5283A (ja) 1999-12-27 2001-07-06 Sumitomo Wiring Syst Ltd カバー付きコネクタ
JP2003151683A (ja) 2001-09-24 2003-05-23 Fci 結合補助装置を有する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11978A (ja) 2015-01-19
CN105493355B (zh) 2019-02-12
WO2015002222A1 (ja) 2015-01-08
CN105493355A (zh) 2016-04-13
US20160172788A1 (en) 2016-06-16
JP6117023B2 (ja) 2017-04-19
KR101811150B1 (ko) 2017-12-20
US9577378B2 (en) 2017-02-21
EP3018765A1 (en) 2016-05-11
EP3018765A4 (en) 201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1150B1 (ko) 커넥터
US9391408B2 (en) Receptacle connector that can easily obtain a desired friction lock without forming a large opening in a metal shell
US7699642B2 (en) Connector having a locking mechanism excellent in operability
JP5651652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2015072868A (ja) コネクタ
JP2006073464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5974091B2 (ja) バックル
JP2006156340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6375095B2 (ja) ケーブル保持具
JP2010170967A (ja) 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JP5990330B2 (ja) コネクタ
JP2005228731A (ja) 電気的接続装置
JP5538074B2 (ja) バックル
JP2021077599A5 (ko)
JP6278863B2 (ja) コネクタ
JP5626106B2 (ja) 電子装置の筐体構造
JP4428348B2 (ja) コネクタ
JP2009043464A (ja) コネクタ
JP5902739B2 (ja) バックル
JP6415955B2 (ja) 電線中継コネクタ
JP5902081B2 (ja) 筐体連結構造
KR20080038578A (ko) 커넥터 플러그
JP2018162793A (ja) 固定解除構造
JP2020161360A (ja) コネクタ
JP2020173987A (ja) コネクタ構造、及び、ロックアームによる係止の解除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