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5506A -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5506A
KR20160025506A KR1020157034997A KR20157034997A KR20160025506A KR 20160025506 A KR20160025506 A KR 20160025506A KR 1020157034997 A KR1020157034997 A KR 1020157034997A KR 20157034997 A KR20157034997 A KR 20157034997A KR 20160025506 A KR20160025506 A KR 20160025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ounter electrode
electrodes
pair
cou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4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2308B1 (ko
Inventor
아키오 가타노
Original Assignee
가타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25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9/00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 H01T19/04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having point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23/00Apparatus for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e.g. into the atmosp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71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 B60H3/0078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comprising electric purifying means
    • F24F3/16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9/00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 H01T19/02Corona rings
    • F24F2003/168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the Coanda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4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ozoni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0Process efficiency
    • Y02P20/133Renewable energy sources, e.g. sun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Oxygen, Ozone, And Oxid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너스 이온·오존 발생 장치를 소형화(휴대화)했다고 하여도, 이온풍을 양호하게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으로 과제로 한다. 바늘 형상 전극과 대향 전극을 갖는 전극 쌍을 복수 조 구비하고, 각각의 전극 쌍의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켜서 코로나 방전에 의해 이온, 오존 및 이온풍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전극 쌍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은, 평면 형상 또한 환 형상 또는 소용돌이 형상을 이루고, 1조의 전극 쌍인 주 전극 쌍, 및 주 전극 쌍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의 외주를 따라서 주 전극 쌍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을 둘러싸도록, 규칙적으로 또한 서로 인접 또는 근접하는 형태로 대향 전극이 위치하는 전극 쌍인 부 전극 쌍을 복수 조 구비하고 있으며, 모든 대향 전극에 있어서의 평면 형상의 법선 벡터가 대략 동일 방향으로 되도록 구성된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

Description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 및 방법{ION/OZONE WIND GENERATION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코로나 방전에 의해 이온풍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큰 풍량의 이온풍을 발생시키는 이온풍 발생 장치이다. 또한, 어떤 측면에서는 본 발명은, 쓰레기 등의 대상물을 살균·소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상물이 배치되는 공간과는 별도의 공간에서 코로나 방전을 행하고, 이온 및 오존을 발생시켜서 대상물이 배치되어 있는 공간에 이온·오존풍을 송급하여 살균·소취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기밀성이 높은 박스, 예를 들어 음식물 쓰레기나 기저귀 등의 오물함,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처리 냄새·신발·부츠 등을 수납하기 위한 박스·변기 및 변기 탱크, 기밀성이 높은 냉동·냉장 장치가 부착된 컨테이너 및 냉동·냉장 장치 부착 차량, 냉장고, 실내·차량 내의 공조 장치 등에 장착하여 살균·소취를 목적으로 한 환경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령화 사회에 수반하여, 간병을 요구하는 인구와 비례해서 기저귀 등의 오물함의 수요도 높아지고 있지만, 개방 시마다 악취를 풍기기 때문에 간병인 및 주위에의 부담이나 불쾌감이 있는 데다 비위생적이다. 또한, 각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보관 박스도 존재하고 있지만, 개방 시마다 잡균 증식에 수반하여 악취를 풍기기 때문에, 주부 등 종사자의 부담이 크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도 바이오 기술의 성장에 수반하여 증가하고 있지만 가동 중에는 처리기 주변에 풍기는 악취가 큰 문제로 되고 있다. 또한, 해외 및 국내의 냉동·냉장·상온품 등의 물류에는 수송용 컨테이너 및 트럭 등에서의 수송이 주류이며 공조 장치 부착 해상 컨테이너·육상 컨테이너·컨테이너형 트럭 등이 다수 있지만, 적재 화물품의 잔냄새·공조 장치 내의 곰팡이 냄새가 문제로 되고 있다. 또한, 창고·냉장고·실내·차량 등의 공조 장치도, 보관 물질 등의 사용 상황에 따라 악취가 문제로 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문제의 하나의 해결 방법으로서, 종래부터 스프레이식 등, 간이형 살균 탈취제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오물함이나 음식물 쓰레기의 보관 박스에 사용한 경우, 당해 용기를 개방했을 때 악취를 풍기는 것이 현 상황이다. 또한, 공조 장치에 사용(예를 들어 살포나 순환 살균 방식)한 경우, 공조 장치 내부에 세정할 수 없는 부위, 또는 세정해도 이상한 냄새·곰팡이 냄새가 남는 경우, 차기 적재 화물로 악취가 옮겨가는 등, 문제로 되고 있다. 또한, 다른 해결 방법으로서, 살균 소취의 대상이 되는 공간으로부터 공기를 흡인해서 필터에 의해 오염 물질을 흡착 혹은 제거하는 방법이나 고가의 악취 제거 촉매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장기 사용에 따라 필터의 교환 등의 메인터넌스가 불가결하며, 게다가 필터의 성능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만족할만한 성능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나 예를 들어 성능이 좋아도 대형이고 고가인 촉매 본체, 나아가 유지 관리비가 고액인 경우가 많다.
그런데 최근 들어, 실내의 공기 청정이나 리프레시를 위해서 마이너스 이온이나 오존을 발생하는 공기 청정기나 에어컨 등이 보급되고 있다. 그리고, 소취 효과가 있는 마이너스 이온과 오존을 동시 발생시키는 마이너스 이온·오존 발생 장치를 사용하여 대상 공간을 소취하는 등의 기술이 다수 제안되고 있다.
우선, 특허문헌 1에 따른 마이너스 이온·오존 발생 장치는, 방의 천장에 설치하는 것을 상정한 장치이며, 양전극이 음전극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팬이나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마이너스 이온과 오존을 포함한 하향의 기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특허문헌 2에 따른 마이너스 이온·오존 발생 장치는, 선단이 바늘 형상인 마이너스 전극과, 그에 평행하게 동심원 형상으로 설치된 원통형의 그라운드 전극을 구비하고, 마이너스 전극과 그라운드 전극을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마이너스 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마이너스 전극의 선단부와 그라운드 전극의 단부면과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마이너스 이온 또는 오존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특허문헌 3에 따른 마이너스 이온·오존 발생 장치는, 바늘 전극과 어스 전극 간에 직류 고전압을 인가하여 바늘 전극 첨단부에서 코로나 방전을 생기시켜서, 오존 및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다음으로, 특허문헌 4에 따른 마이너스 이온·오존 발생 장치는, 주위에 입상부를 갖는 구멍을 1개소 또는 복수개소 구비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양전극을 갖고, 음전극의 선단이 상기 양전극의 구멍 근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방전에 의해 충분한 기류가 발생하기 때문에, 팬, 펌프 등의 송풍 장치를 별도 사용하지 않고도 발생한 마이너스 이온과 오존을 공간 내에 확산시키는 기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특허문헌 1 내지 4에 따른 발명은, 이온 및 오존을 발생시켜서 대상물에 적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지만, 이들 기술은 예를 들어 쓰레기통의 내부 등의 살균 또는 탈취의 대상이 되는 공간 내에 배치하여 방전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예를 들어, 쓰레기통 속이면, 악취를 풍기는 유기물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메탄가스 등, 인화성 가스를 생성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와 같은 상황하에서 방전을 행하면, 불꽃의 발생에 의해 화재나 폭발이 일어날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위험성을 제거하기 위해서, 대상물이 배치된 공간 외에서 방전을 행하여 이온·오존을 발생시켜서, 대상물이 배치된 공간 내에 이들 생성물을 도입하는 외장형 살균·소취 장치의 개발이 검토되고 있다(특허문헌 5).
또한, 특허문헌 6에 따른 에어 클리너는, 바늘 형상 전극과 평면 형상의 포집 전극을, 복수 배열한 이온 발생 장치이다. 그러나, 이 기술은, 이온을 발생시키는 것을 의도하고 있기 때문에, 이온 「바람」을 발생시킨 경우에 있어서의 당해 이온풍의 풍력에 관해서는 고려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특허문헌 6(특히 그 도 1, 도 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전극의 위치가 크게 떨어져 있으면, 이온풍을 발생시킨 경우, 그 풍력이 크게 저하되어 버려서, 이온풍이 대상물까지 도달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7 내지 9에는, 바늘 형상 전극과 평면 형상의 대향 전극에 의해 이온풍을 발생시키는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기술에서는, 발생시킨 이온풍의 풍력이 실용상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0 및 11에는, 바늘 형상 전극과 통 형상의 대향 전극을 복수 배열한 이온풍 발생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기술과 같이, 대향 전극이 통 형상인 경우에는, 가령 복수의 전극을 조합했다고 해도, 발생시킨 이온풍의 풍력이 실용상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2에는, 세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대향 전극의 형상을 통 형상으로부터 판 형상으로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2의 기술도, 상기 특허문헌 7 내지 9와 마찬가지로, 발생시킨 이온풍의 풍력이 실용상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3100754호 일본 특허공개 제2003-34200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4-1834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5-13831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3155540호 일본 특허공개 제2002-13689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7-250786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9-03852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소59-19315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10-286303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5-14990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10-025103호 공보
이들 특허문헌에 나타낸 바와 같은 마이너스 이온·오존 발생 장치는, 사용자가 휴대하기 쉽도록 소형화할 수 있으면, 그 용도의 폭이 갑자기 확대되는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휴대하기 쉽도록 소형화할 때에는,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필수로 되는 전극 구성에 스페이스 상의 엄격한 제한이 부과되게 되어, 당해 전극 구성의 소형화에 의해 필연적으로 코로나 방전의 방전량 및 코로나 방전에 의해 발생하는 이온풍의 풍력이 저감되어 버린다. 또한, 휴대 전화와 같이 배터리(예를 들어, 리튬이온전지) 구동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되지만, 배터리로부터는 고전압을 얻기 어렵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코로나 방전의 방전량 및 코로나 방전에 의해 발생하는 이온풍의 풍력이 저감되어 버린다는 문제점도 있다. 즉, 마이너스 이온·오존 발생 장치는, 소형화(휴대화)=이온풍의 소풍력화로 되는 사태가 불가피하기 때문에, 코로나 방전에 의해 발생하는 이온풍의 풍력이 최대한 상쇄되지 않고 대상물까지 송달되도록 하는 어떠한 고안이, 상품화를 위해서는 긴요하게 된다. 단, 어디까지나 소형화(휴대화)를 목표로 하는 이상, 송풍 장치나 승압형 컨버터 등의 부가 장치를 형성하지 않고, 마이너스 이온·오존 발생 장치의 필수 구성인 전극 구성에 연구를 집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관점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마이너스 이온·오존 발생 장치를 소형화(휴대화)하였다고 해도, 이온풍을 양호하게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 (1)은,
바늘 형상 전극과 대향 전극을 갖는 전극 쌍을 복수 조 구비하고, 각각의 전극 쌍의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켜서 코로나 방전에 의해 이온, 오존 및 이온풍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전극 쌍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은, 평면 형상 또한 환 형상 또는 소용돌이 형상을 이루고,
1조의 전극 쌍인 주(主) 전극 쌍, 및 주 전극 쌍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의 외주를 따라서 주 전극 쌍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을 둘러싸도록, 규칙적으로 또한 서로 인접 또는 근접하는 형태로 대향 전극이 위치하는 전극 쌍인 부(副) 전극 쌍을 복수 조 구비하고 있으며, 적어도 부 전극 쌍에 있어서 인접하는 대향 전극의 외주 간의 최단 거리는 대향 전극의 직경 이하이며 또한 모든 대향 전극에 있어서의 평면 형상의 법선 벡터가 대략 동일 방향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주 전극 쌍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 및 부 전극 쌍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은, 평판 형상의 도전 부재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에 의해 성형되어 있으며, 당해 평판 형상의 도전 부재에는, 부 전극 쌍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의 외주를 따라서 관통 구멍이 더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이다.
본 발명 (2)는,
대향 전극이 평면 형상의 주(主) 환 형상 대향 전극과, 주 환 형상 대향 전극을 둘러싸는 평면 형상의 부(副) 환 형상 대향 전극을 갖고,
어떤 전극 쌍에 있어서의 바늘 형상 전극의 선단과 당해 어떤 전극 쌍에 있어서의 주 환 형상 대향 전극의 최장 거리가, 당해 어떤 전극 쌍에 있어서의 바늘 형상 전극의 선단과 당해 어떤 전극 쌍에 있어서의 부 환 형상 대향 전극의 최단 거리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본 발명 (1)에 기재된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이다.
본 발명 (3)은,
모든 전극 쌍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의 형상이, 대략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본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이다.
본 발명 (4)는,
바늘 형상 전극과 대향 전극을 갖는 전극 쌍을 복수 조 구비하고, 각각의 전극 쌍의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켜서 코로나 방전에 의해 이온, 오존 및 이온풍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전극 쌍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은, 평면 형상 또한 환 형상 또는 소용돌이 형상을 이루고,
1조의 전극 쌍인 주 전극 쌍, 및 주 전극 쌍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의 외주를 따라서 주 전극 쌍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을 둘러싸도록, 규칙적으로 또한 서로 인접 또는 근접하는 형태로 대향 전극이 위치하는 전극 쌍인 부 전극 쌍을 복수 조 구비하고 있으며, 적어도 부 전극 쌍에 있어서 인접하는 대향 전극의 외주 간의 최단 거리는 대향 전극의 직경 이하이며 또한 모든 대향 전극에 있어서의 평면 형상의 법선 벡터가 대략 동일 방향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대향 전극이 평면 형상의 주 환 형상 대향 전극과, 주 환 형상 대향 전극을 둘러싸는 평면 형상의 부 환 형상 대향 전극을 갖고,
어떤 전극 쌍에 있어서의 바늘 형상 전극의 선단과 당해 어떤 전극 쌍에 있어서의 주 환 형상 대향 전극의 최장 거리가, 당해 어떤 전극 쌍에 있어서의 바늘 형상 전극의 선단과 당해 어떤 전극 쌍에 있어서의 부 환 형상 대향 전극의 최단 거리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이다.
본 발명 (5)는,
주 전극 쌍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 및 부 전극 쌍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은, 평판 형상의 도전 부재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에 의해 성형되어 있으며, 당해 평판 형상의 도전 부재에는, 부 전극 쌍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의 외주를 따라서 관통 구멍이 더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본 발명 (4)에 기재된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이다.
본 발명 (6)은,
모든 전극 쌍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의 형상이, 대략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본 발명 (4) 또는 (5)에 기재된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이다.
<부기>
또한, 전술한 본 발명에 관한 사항과 관련된 사항에 대하여, 이하에 열기해 두지만, 이들에는 전혀 한정되는 일 없이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 (1)은,
바늘 형상 전극과 대향 전극을 갖는 전극 쌍을 복수 조 구비하고, 각각의 전극 쌍의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켜서 코로나 방전에 의해 이온, 오존 및 이온풍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전극 쌍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은, 평면 형상 또한 환 형상 또는 소용돌이 형상을 이루고,
1조의 전극 쌍인 주 전극 쌍, 및 주 전극 쌍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의 외주를 따라서 주 전극 쌍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을 둘러싸도록, 규칙적으로 또한 서로 인접 또는 근접하는 형태로 대향 전극이 위치하는 전극 쌍인 부 전극 쌍을 복수 조 구비하고 있으며, 적어도 부 전극 쌍에 있어서 인접하는 대향 전극의 외주 간의 최단 거리는 대향 전극의 직경 이하이며 또한 모든 대향 전극에 있어서의 평면 형상의 법선 벡터가 대략 동일 방향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예를 들어, 도 11 및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한 형태)이다.
본 발명 (2)는,
주 전극 쌍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 및 부 전극 쌍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은, 평판 형상의 도전 부재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에 의해 성형되어 있으며, 당해 평판 형상의 도전 부재에는, 부 전극 쌍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의 외주를 따라서 관통 구멍이 더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 (1)에 기재된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예를 들어, 도 26의 우측에 도시한 형태)이다.
본 발명 (3)은,
대향 전극이 평면 형상의 주 환 형상 대향 전극과, 주 환 형상 대향 전극을 둘러싸는 평면 형상의 부 환 형상 대향 전극을 갖고,
어떤 전극 쌍에 있어서의 바늘 형상 전극의 선단과 당해 어떤 전극 쌍에 있어서의 주 환 형상 대향 전극의 최장 거리가, 당해 어떤 전극 쌍에 있어서의 바늘 형상 전극의 선단과 당해 어떤 전극 쌍에 있어서의 부 환 형상 대향 전극의 최단 거리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예를 들어, 도 11 및 도 13 내지 도 16, 또는 도 11에 도시한 형태)이다.
본 발명 (4)는,
모든 전극 쌍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의 형상이, 대략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한 형태)이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용되는 각 용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살균·소취 대상물」이라 함은, 균이 번식하는 것 또는 악취를 풍기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신선 식품 등의 음식물 쓰레기, 분뇨, 기저귀 등의 오물, 저수된 물 등의 구체예를 들 수 있다. 「살균·소취 대상물이 배치된 공간」이라 함은, 상기 살균·소취 대상물이 배치되어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기밀성이 높은 박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음식물 쓰레기나 기저귀 등의 오물함, 기밀성이 높은 냉동·냉장 장치가 부착된 컨테이너 및 냉동·냉장 장치 부착 차량 등을 들 수 있다. 「환 형상」이란, 예를 들어 삼각형 이상(바람직하게는 육각형 이상)의 다각형 또는 원형 혹은 대략 원 형상이며, 중심부가 개구한 형상을 의미한다. 「소용돌이 형상」이란, 예를 들어 삼각형 이상(바람직하게는 육각형 이상)의 다각형 또는 원형 혹은 대략 원 형상이며, 중심을 향해 소용돌이치는 것을 가리키고, 소용돌이의 형태(예를 들어, 감기 수나 감기 폭, 혹은 종점의 유무)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평면 형상」이란, 일반적으로 평면이라 간주할 수 있을 정도로, 환 형상 전극에 있어서 환 내의 총 면적에 비해 두께가 작은 전극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두께(㎜)]/[환 내 총 면적(㎠)]이,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0.8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0.0001이다. 또한, 왜곡(평면에 대한 비뚤어짐)은 두께 정도까지여도 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주 환 형상 대향 전극의 총 면적은 7㎠, 두께 7㎜ 이하, 왜곡에 있어서도 7㎜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바늘 형상 전극의 선단과 주 환 형상 대향 전극의 최장 거리」란, 바늘 형상 전극의 선단과, 주 환 형상 대향 전극의 환의 내측 단부이며 두께 방향에서 가장 가까운 부분과의 거리에 있어서, 가장 긴 거리를 의미한다. 「상기 바늘 형상 전극의 선단과 부 환 형상 대향 전극과의 최단 거리」란, 바늘 형상 전극의 선단과, 부 환 형상 대향 전극의 환의 내측 단부이며 두께 방향에서 가장 가까운 부분과의 거리에 있어서, 가장 짧은 거리를 의미한다. 「주 이온풍」이란, 주 환 형상 대향 전극의 중심 개구부로부터 발해지는 이온풍을 의미한다. 「부 이온풍」이란, 부 환 형상 대향 전극으로부터 발해지는 이온풍을 의미한다. 「전극 쌍의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이란, 예를 들어 바늘 형상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고, 대향 전극을 접지로 한 경우에 발생하는 전위차를 들 수 있으며, 그 경우, 바늘 형상 전극의 극성(양극, 음극)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에 의하면, 부 전극 쌍에 의해 발생된 이온풍의 순풍에 의해, 주 전극 쌍에 의해 발생된 이온풍이 뒤에서 밀리는 형태로 전면(前面)으로 밀려나오기 때문에, 각각의 전극 쌍을 소형화했다고 해도, 코로나 방전에 의해 발생하는 이온풍의 풍력이 최대한 상쇄되지 않고 대상물까지 송달된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각각의 전극 쌍에 의해 발생된 이온풍은, 인접하는(근접하는) 이온풍과 맞닿는 비율[환언하면, 대향 전극끼리가 인접하는(근접하는) 비율]이, 정지하고 있는 외기와 맞닿는 비율[환언하면, 대향 전극끼리가 인접하지 않는(근접하지 않는) 비율]보다도 증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고, 그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 효과를 더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 환 형상 대향 전극으로부터 비교적 풍압이 강한 이온풍을 발생시키고, 주 환 형상 대향 전극을 둘러싸는 부 환 형상 대향 전극으로부터 비교적 풍압이 약한 이온풍을 발생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이온풍을 체류시키지 않고 내측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온풍이, 외측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온풍을 끌어들이도록 하여 전면으로 밀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대풍량이며 풍압이 강한 이온풍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주 환 형상 대향 전극으로부터 발생하는 비교적 강한 풍압의 이온풍에 비해 부 환 형상 대향 전극으로부터 발생하는 비교적 약한 풍압의 이온풍을 발생시킴으로써, 부 환 형상 전극으로부터 발해지는 이온풍이 주 환 형상 대향 전극으로부터 발해지는 이온풍을 서포트한다. 즉, 주 환 형상 대향 전극으로부터 발해지는 이온풍은, 순풍 중에 발생하는 이온풍으로 되므로, 강하고 큰 풍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온풍 발생 장치는, 코로나 방전에 의해, 살균·소취 작용을 갖는 이온 및 오존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을 이용하여 살균·소취 장치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장치에 의하면, 대풍량의 이온풍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외장형 살균·소취 장치이더라도, 에어 펌프 등의 기재를 사용하지 않고 대상 공간 내에 이온 및 오존을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펌프나 팬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저소음의 살균·소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부 환 형상 대향 전극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온풍을 끌어넣을 수 있으므로, 이들 전극으로부터 발생한 이온 및 오존을 끌어넣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고농도의 이온 및 오존을 포함하는 이온풍을 송출할 수 있으므로 보다 높은 효율로 탈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의 (a)는, 당해 장치의 대향 전극의 개념 정면도이며, 도 1의 (b)는,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100)의 개념 측면도이다.
도 2의 (a)는, 최 내부에 위치하는 고리 형상 전극(131)의 단면을 사용하여, 고리 형상 전극(131)과 바늘 형상 전극(120)의 선단부 P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의 (b)는, 고리 형상 전극(132)과 선단 P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a)는, 당해 장치의 대향 전극(130)의 개념 정면도이며, 도 3의 (b)는,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100)의 개념 측면도이다.
도 4의 (a)는, 당해 장치의 대향 전극의 개념 정면도이며, 도 4의 (b)는,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100)의 개념 측면도이다.
도 5의 (a)는, 당해 장치의 대향 전극의 개념 정면도이며, 도 5의 (b)는,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100)의 개념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향 전극으로서 사용 가능한 판 형상 대향 전극의 개략도이다.
도 7은,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100)의 개념 평면도이다.
도 8의 (a)는, 당해 장치의 대향 전극(130)의 개념 정면도이며, 도 8의 (b)는,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100)의 개념 측면도이다.
도 9는,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100)의 개념 평면도이다.
도 10의 (a)는,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의 개념 평면도이며, 도 10의 (b)는,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의 개념 측면도이며, 도 10의 (c)는,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의 분출구측에서 본 개념 정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바늘 형상 전극 및 대향 전극의 개념도이다.
도 12는,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의 개념 작용도이다.
도 13은,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바늘 형상 전극 및 대향 전극의 개념도이다.
도 14는,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바늘 형상 전극 및 대향 전극의 개념도이다.
도 15는,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바늘 형상 전극 및 대향 전극의 개념도이다.
도 16은,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바늘 형상 전극 및 대향 전극의 개념도이다.
도 17은,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바늘 형상 전극 및 대향 전극의 개념도이다.
도 18은,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의 개념도이다.
도 19는,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바늘 형상 전극의 개념도이다.
도 20은, 실험 장치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의 구조도 1이다.
도 21은, 실험 장치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의 구조도 2이다.
도 22는, 실험 장치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의 구조도 3이다.
도 23은, 실험 장치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의 구조도 4이다.
도 24는, 실험 장치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의 구조도 5이다.
도 25는, 실험 장치를 사용한 측정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26은, 대향 전극에 있어서의 변형예의 개념도이다.
도 27은,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바늘 형상 전극 및 대향 전극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는, 바늘 형상 전극과 대향 전극을 갖는 전극 쌍을 갖고, 상기 바늘 형상 전극과 상기 대향 전극의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켜서 코로나 방전에 의해 이온, 오존 및 이온풍을 발생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는, 상기 대향 전극이 평면 형상의 주 환 형상 대향 전극과, 상기 주 환 형상 대향 전극을 둘러싸는 평면 형상의 부 환 형상 대향 전극을 갖고, 상기 바늘 형상 전극의 선단과 상기 주 환 형상 대향 전극의 최장 거리가, 상기 바늘 형상 전극의 선단과 상기 부 환 형상 대향 전극의 최단 거리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당해 구성에 의해 대풍량의 이온풍이 얻어진다. 단순한 통 형상 혹은 하나의 평면 원형의 대향 전극의 경우, 방전은 최단 거리에 있는 대향 전극의 통 형상 전극 내측이나 평면 원형 전극의 내측을 따라서 도넛 형상으로 방전하고 도넛형 이온풍이 발생하므로, 이온풍 중심의 도넛 중심부는 무풍 상태이다. 따라서 발한 이온풍이 무풍 중심부에 바람을 유도하는 에너지를 사용하는 손실이 있는 결과, 이온풍은 약해진다. 본 발명과 같이 주 환 형상 대향 전극과, 부 환 형상 대향 전극을 설치함으로써 당해 문제는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는, 바늘 형상 전극과 대향 전극을 갖는 전극 쌍을 갖고, 상기 바늘 형상 전극과 상기 대향 전극의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켜서 코로나 방전에 의해 이온·오존 및 이온풍을 발생시킨다. 또한, 이온풍은, 일반적으로, 코로나 방전 시에 바늘 형상 전극으로부터 방출되는 이온이 대향 전극을 향해서 영동하는 사이에 공기 분자와의 충돌을 반복함으로써, 바늘 형상 전극으로부터 대향 전극을 향해서 발생하는 공기류로 되어 있다. 즉, 방전 시에 발생하는 이온의 흐름 방향에 따라서 발생하는 기류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의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의 개략 구조를, 도 1에 도시하였다. 여기서, 도 1의 (a)는 당해 장치의 대향 전극의 개념 정면도이며, 도 1의 (b)는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100)의 개념 측면도이다. 본 형태에 따른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100)는, 바늘 형상 전극(120)과 대향 전극(130)을 갖는 전극 쌍(110)을 갖는다. 여기서, 대향 전극(130)은, 바늘 형상 전극(120)의 연장선 축 상에 배치된 최 내부에 위치하는 원형 환 형상 전극(131)과, 당해 전극과 동축 상에 배치된 반경이 서로 다른 외측 원형 환 형상 전극(132)을 갖는다. 즉, 이들 환 형상 전극은, 환 형상 평면에 대하여 수직이며, 또한 당해 환의 무게 중심(원 중심)을 통과하는 축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환 형상의 대향 전극 중에서도 이와 같이 원형 형상을 갖는 대향 전극을 사용함으로써, 바늘 형상 대향 전극의 선단으로부터, 대향 전극의 각 부분과의 거리가 대략 동등해지기 때문에, 방전 불균일이 적어지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바늘 형상 전극이 환의 축 상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특히 주 환 형상 대향 전극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온풍이 강해진다.
이들 환 형상 전극(131 및 132)은, 브리지(139) 등의 연결 부재에 의해 통전 가능하게 가교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각 환 형상 전극을 등전위로 할 수 있음과 함께, 이들 전극의 위치 관계를 조정하기 쉬워진다. 예를 들어, 물결 형상 부재로 연결한 경우, 주 환 형상 대향 전극과, 부 환 형상 대향 전극의 사이에 대략 삼각형의 형상을 갖는 부분이 형성되어버리기 때문에, 코로나 방전에 불균일이 발생하여 이온풍이 대량으로 전방으로 밀려나오지 않게 된다. 그로 인해, 이온풍 발생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연결 부재와 부 환 형상 대향 전극과의 접속부와, 연결 부재와 주 환 형상 대향 전극과의 접속부를 연결하는 개념 직선이 상기 주 환 형상 대향 전극의 무게 중심을 통과하도록 연결 부재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연결함으로써, 방전 불균일에 기인하는, 이온풍의 발생 불균일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대향 전극을 구성하는 주 환 형상 대향 전극 및 부 환 형상 대향 전극은, 동일 평면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 환 형상 대향 전극보다 부 환 형상 대향 전극의 방전 효율을 서서히 약하게 하고 있는 것은 거리이기 때문에, 동일 평면에 배치함으로써 당해 거리의 변화를 주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3차원에서는 거리 비가 올바르더라도 예를 들어 돔 형상 등의 형상과 이온풍이 발하는 방향이 주 이온풍이 발하는 직진풍에 비해 평행풍으로 발하지 않기 때문에, 효율이 나빠진다.
또한, 바늘 형상 전극(120)과 대향 전극(130)은, 각각 전압 인가 수단 또는 접지에 접속되어 있으며, 사용 시에는 당해 전극 간에 전위차를 발생시켜서 방전이 행해진다. 여기서, 바늘 형상 전극(120)의 선단부 P와 최 내부의 주 환 형상 대향 전극(131)과의 위치 관계가, 가장 이온풍을 발하는 데 적합한 위치 관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거리에 배치함으로써, 대향 전극의 보다 중심에 위치하는 반경이 작은 환 형상 대향 전극으로 됨에 따라서 비교적 강한 이온풍이 발해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대풍량의 이온풍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 관계에 있으면, 환 형상 대향 전극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며, 별도의 평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면 중 선단부 P로부터 환 형상 대향 전극에 나타낸 파선 화살표는 코로나 방전에 의한 이온의 영동 방향을 나타낸다.
이온풍을 발하는 데 적합한 위치 관계에 대하여 도 2의 모식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의 (a)에 있어서는, 최 내부에 위치하는 환 형상 대향 전극(131)의 단면을 사용하여, 환 형상 대향 전극(131)과 바늘 형상 전극(120)의 선단부 P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도 2의 (b)에 있어서는 환 형상 대향 전극(132)과 선단부 P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었다.
처음에, 선단부 P와 환 형상 대향 전극(131)의 위치 관계에 있는 경우, 이온은 전극을 향해서 화살표의 방향에 따라서 영동한다. 즉 이온풍은, 이론상, 선단부 P로부터 θ1의 각도를 갖고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보면, 선단부 P를 정점으로 하는 원추의 정점으로부터 저면의 단부를 연결하는 모선 방향으로 이온풍이 발생하게 된다. 즉, 환 형상 대향 전극의 외 방향을 향해도 이온풍이 발생하지만, 전체로서는 주로 환 형상 대향 전극의 중심으로부터 이온풍이 전면 방향으로 밀려나오게 된다. 한편, 도 2의 (b)에 도시한 환 형상 대향 전극(132)과 같이 비교적 큰 반경을 갖는 고리 형상 전극인 경우, 이온풍은, 이론상 선단부 P로부터 θ2의 각도를 갖고 발생하게 된다. 즉, 당해 각도가 보다 커지게 되기 때문에, 이 전극에서 유래되는 이온풍은 환 형상 대향 전극의 외측 방향으로 발해지는 성분이 많아지고, 전면 방향으로 밀려나오는 이온풍의 풍량이 작아진다.
또한, 코로나 방전은 바늘 형상 전극으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있는 대향 전극에 대하여 일어나기 쉬워진다. 환 형상 대향 전극은 중심에 위치함에 따라서, 바늘 형상 전극의 선단부 P로부터의 거리가 가까워진다. 즉, 코로나 방전이 일어날 확률도 중심에 위치하는 환 형상 대향 전극의 쪽이 높아지므로, 발생하는 이온풍의 절대적 풍압도 중심에 위치하는 환 형상 대향 전극의 쪽이 커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최 내부에 위치하는 환 형상 대향 전극(131)은, 이온풍이 발생하는 방향으로서도 유리하며, 나아가 이온풍이 발생하는 절대적인 풍압도 크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대향 전극은, 환 형상 전극의 반경이 작아짐에 따라서 환 형상 대향 전극으로부터 발해지는 이온풍이 강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됨으로써, 외부의 전극으로부터 발해지는 이온풍에 의해 체류가 일어나지 않고, 중심으로부터 발해지는 이온풍으로 끌어넣게 되므로 풍량이 커짐과 함께, 방전에 의해 발생한 이온 및 오존을 이온풍에 의해 전면으로 밀어내는 작용이 얻어지기 때문에, 살균·소취의 효과도 높아진다. 또한, 최 내부에 위치하는 환 형상 대향 전극(131)과 선단부 P의 거리가, 코로나 방전에 있어서 가장 양호하게 방전하기 쉬운 거리로 유지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 대향 전극의 환 형상부의 직경을 단순히 큰 직경으로 하면 크게 방전 반응하지만 도넛 형상으로 방전하기 때문에, 대향 전극의 환 형상 중심에 대향 전극부를 갖지 않는 것을 기인으로 한, 무풍 중심부도 커져서 방전 불균일이 생겨서 도넛 형상 이온풍이 발생하고, 결과 발생 이온풍 외주와 중심부가 무풍 상태로 되어 도넛 형상 이온풍이 무풍 영역에 바람을 유도하기 위해서 강풍을 발하지 않는다. 환 형상부의 직경이 소직경과 풍압이 강한 이온풍을 발하지만 발생량은 적기 때문에, 주 환 형상 대향 전극 외주에 2차 발생극인 부 환 형상 대향 전극을 배치함으로써, 중심은 주류풍을 소직경으로 풍압을 강하게 발하면서 외주는 직경이 크고 풍압은 약하지만 풍량이 있는 부류풍을 발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대향 전극은, 대직경이면 풍압은 약하지만 풍량은 많고, 소직경이면 풍압은 강하지만 풍량은 적은 현황의 문제를 해결한, 이온풍의 발생을 동일 전위로 대풍압과 대발생량이 양립한 형상으로 된다.
대향 전극을 평면 형상으로 함으로써, 대향 전극으로부터 발생한 이온풍이, 벽면 등의 장해물과 이온풍의 반작용의 영향에 의해 감속되지 않고, 주 환 형상 대향 전극으로부터 발생한 주 이온풍과, 부 환 형상 대향 전극으로부터 발생한 부 이온풍이, 바로 합성되기 때문에, 주 이온풍은 발생 직후에 주위의 부 이온풍에 의해 순풍에 의한 상승 효과를 빠르게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대풍량의 이온풍을 얻을 수 있다. 한편, 대향 전극이 예를 들어 통 형상 등인 경우에는, 대향 전극 내에 벽면이 존재하기 때문에, 대향 전극으로부터 발생한 이온풍이, 벽면과 이온풍의 반작용의 영향에 의해 감속되어 버린다. 이와 같이, 대향 전극을 평면 형상으로 함으로써, 통 형상 등으로 한 경우와 달리, 대풍량의 이온풍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대향 전극의 형상을 통 형상 등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평면 형상으로 함으로써, 장치를 소형화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장치를 소형화시켰다고 해도, 종래와 같이 이온풍의 풍량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없다. 또한, 평면 형상으로 함으로써, 대향 전극의 세정이 용이해진다. 또한, 예를 들어 전술한 특허문헌 9에 있어서와 같은 금망 형상의 대향 전극으로 한 경우에도, 각 대향 전극이 환 형상이 아니며 또한 각 대향 전극에 있어서의 평면 형상의 법선 벡터가 대략 동일 방향이지 않기 때문에, 각 대향 전극에 있어서의 방전 불균일이 발생하기 쉽고 또한 대향 전극으로부터 발해지는 이온풍의 풍력이 균일화되지 않는 등의 영향에 의해, 대향 전극으로부터 발생한 이온풍이 감속되어 버리기(각 대향 전극에서 발생한 이온풍이 최적으로 합성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는, 상기 바늘 형상 전극의 선단과 상기 주 환 형상 대향 전극의 최장 거리가, 상기 바늘 형상 전극의 선단과 상기 부 환 형상 대향 전극의 최단 거리보다도 짧다. 이와 같은 거리 관계에 바늘 형상 전극과 대향 전극이 배치됨으로써, 주 환 형상 대향 전극의 중심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가장 풍압이 강한 이온풍이 발생하고, 주변의 부 환 형상 대향 전극으로부터 풍압이 약한 이온풍이 발생하기 때문에, 대량의 이온풍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바늘 형상 전극과 대향 환 형상 전극의 위치 관계로부터 벗어나면, 이온풍은 주 환 형상 대향 전극과 부 환 형상 대향 전극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주로 이온풍이 발생되어 버려서, 균등풍으로 되어버리기 때문에, 공중 방출 이온풍은 약해지고, 나아가 가이드 부재를 설치한 경우에도 반작용이 일어난다.
대향 전극(130)을 구성하는 환 형상 대향 전극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 형상 대향 전극(131 내지 133)과 같이, 환 형상 대향 전극이 다수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3의 (a)는 당해 장치의 대향 전극(130)의 개념 정면도이며, 도 3의 (b)는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100)의 개념 측면도이다. 여기에서는, 3개의 환 형상 대향 전극을 사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이 대향 전극을 구성하는 환 형상 대향 전극은 바늘 형상 전극과의 거리 관계를 충족하면 몇 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다수의 전극을 설치함으로써, 하나의 전극이 더러워져서 방전되지 않게 되었다고 해도 다른 전극에 의해 방전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동작 안정성의 향상으로 이어진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늘 형상 전극(121 내지 123)과 같이, 바늘 형상 전극이 복수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모든 바늘 형상 전극과 대향 전극이, 상기 바늘 형상 전극의 선단과 상기 주 환 형상 대향 전극의 최장 거리가, 상기 바늘 형상 전극의 선단과 상기 부 환 형상 대향 전극의 최단 거리보다도 짧은 위치로 되어 있다. 또한, 도 4의 (a)는 당해 장치의 대향 전극의 개념 정면도이며, 도 4의 (b)는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100)의 개념 측면도이다. 이와 같이 바늘 형상 전극을 복수 설치함으로써, 단극의 경우보다, 절연 파괴가 많이 발생하여 분자의 충돌이 일어나기 쉬워져서 밀어내는 능력이 높아지므로, 대량의 오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향 전극은, 다각형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각 바늘 형상 전극과 대향 전극이, 상기 바늘 형상 전극의 선단과 상기 주 환 형상 대향 전극의 최장 거리가, 상기 바늘 형상 전극의 선단과 상기 부 환 형상 대향 전극의 최단 거리보다도 짧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5의 (a)는 당해 장치의 대향 전극의 개념 정면도이며, 도 5의 (b)는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100)의 개념 측면도이다. 이와 같이 삼각형의 형상이더라도, 주 환 형상 대향 전극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온풍이 부 환 형상 대향 전극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온풍보다도 작아져서, 대풍량의 이온풍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주 환 형상 대향 전극은 원 형상으로 표현하였지만,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이더라도 된다. 또한 환 형상 대향 전극은, 다각형인 경우, 변수가 많은 쪽이, 바늘 형상 전극과의 최단 거리로 되는 포인트가 많아지기 때문에, 방전 불균일이 발생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유리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향 전극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여기에서는, 판에 구멍을 설치함으로써, 대향 전극을 형성하고 있다. 도 6의 (c)는, 원 형상의 대향 전극을 갖는 판 형상 대향 전극(130c)의 개념도이다. 당해 대향 전극은, 제1 대향 전극[130c(1)]과, 제2 대향 전극[130c(2)]을 갖는다. 제1 대향 전극[130c(1)]은, 원 형상의 주 환 형상 대향 전극[131c(1)]이 중심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주위에, 원 형상의 부 환 형상 대향 전극[132c(1)]이 형성되어 있으며, 부 환 형상 대향 전극[132c(1)]의 외주에는, 또한, 부 환 형상 대향 전극[133c(1), 134c(1), 135c(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대향 전극의 사이에는, 연결 부재[139c(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대향 전극도 마찬가지로, 원 형상의 주 환 형상 대향 전극[131c(2)]이 중심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주위에, 원 형상의 부 환 형상 대향 전극[132c(2)]이 형성되어 있으며, 부 환 형상 대향 전극[132c(2)]의 외주에는, 또한, 부 환 형상 대향 전극[133c(2), 134c(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대향 전극의 사이에는, 연결 부재[139c(2)]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판 형상 대향 전극에 대하여 적절한 위치에 바늘 형상 전극을 배치해서 사용한다.
도 6의 (b)는, 판 형상 대향 전극(130b)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판 형상 대향 전극(130b)은, 주 환 형상 대향 전극의 형상이 원 형상이며, 주위의 부 환 형상 대향 전극의 형상이 육각형이다. 판 형상 대향 전극(130b)은, 제1 대향 전극[130b(1)]과, 제2 대향 전극[130b(2)]을 갖는다. 제1 대향 전극[130b(1)]의 중심부에는, 원 형상의 주 환 형상 대향 전극[131b(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주위에는 육각 형상의 부 환 형상 대향 전극[132b(1)]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그 외주에는, 부 환 형상 대향 전극[133b(1), 134b(1), 135b(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대향 전극의 사이는, 연결 부재[139b(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2 대향 전극[130b(2)]도 마찬가지로, 중심에 원 형상의 주 환 형상 대향 전극[131b(2)]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주위에, 육각 형상의 부 환 형상 대향 전극[132b(2) 내지 134b(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전극은 연결 부재[139b(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도 6의 (a)는, 판 형상 대향 전극(130a)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판 형상 대향 전극(130a)에 있어서는, 원 형상의 주 환 형상 대향 전극과, 그 주변에 환 형상의 부 환 형상 대향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판 형상 대향 전극(130a)은, 제1 대향 전극[130a(1)]과, 제2 대향 전극[130a(2)]을 갖는다. 제1 대향 전극[130a(1)]의 중심부에는, 원 형상의 주 환 형상 대향 전극[131a(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주변에 복수의 부 환 형상 대향 전극[132a(1)]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의 (a)에 있어서는, 부 환 형상 대향 전극[132a(1)]의 대표적인 일례를 나타내었지만, 주 환 형상 대향 전극[131a(1)]의 주변에 형성되어 있는 132a(1)도 마찬가지로 부 환 형상 대향 전극이다. 이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부 환 형상 대향 전극의 사이에 형성되는 부재가, 주 환 형상 대향 전극으로부터 방사선 형상으로 확대되어 있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주 환 형상 대향 전극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온풍에 추가로, 당해 주 환 형상 대향 전극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이온풍의 풍량이 작아진다. 제2 대향 전극[132a(2)]도 제1 대향 전극과 마찬가지로 중심에 주 환 형상 대향 전극[131a(2)] 및 부 환 형상 대향 전극[132a(2)]을 갖는다.
또한, 도 6의 (d)는, 상기의 판 형상 대향 전극(130a 내지 130c)의 공통의 측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형태에 따른 전극 쌍(110)을 복수 갖는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가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은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100)의 개념 평면도이다. 중심에 배치된 전극 쌍의 좌우로 2개의 전극 쌍이 배치되어 있으며, 중심에 배치된 전극 쌍의 이온풍 발생 방향에 대하여 상기 좌우로 배치된 2개의 전극 쌍의 이온풍 발생 방향이 각각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전극 쌍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온풍이, 일점 집중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각 전극 쌍으로부터 발해지는 이온풍을 합류시킬 수 있어, 보다 대풍량의 이온풍을 얻을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두원추 형상의 이온풍 가이드 부재(14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의 (a)는 당해 장치의 대향 전극(130)의 개념 정면도이며, 도 8의 (b)는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100)의 개념 측면도이다. 대향 전극(130)의 최 내부에 위치하는 환 형상 대향 전극(131)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온풍에 비해 외측에 위치하는 환 형상 대향 전극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온풍을 집약하여(합류시켜서) 이온풍 분출구(141)로 보냄으로써, 전면으로 밀려나오는 이온풍의 풍량이 커진다. 또한, 이와 같이 가이드 부재를 설치했다고 해도, 외측에서 발생한 이온풍은, 최 내부에서 발생하는 이온풍보다도 작으므로 체류하지 않고 중심의 이온풍에 인입되도록 전방으로 밀려나온다. 가이드 부재는, 서서히 개구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갖는 가이드 부재를 설치한 경우, 대향 전극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온풍이 균등풍이나 중심은 풍압을 발하지 않는 도넛풍에서는 송풍 작용에 대하여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이기 때문에, 직진한 이온풍이 가이드 부재의 내벽에 충돌해 난기류가 발생하여 가이드 부재 내부에 반작용이 일어나 미풍이 되지만, 주 이온풍이 강하고 부 이온풍은 약하면 가이드 부재가 소직경으로 조여졌을 때라도 부 이온풍이 약하기 때문에 가이드 부재 내벽으로의 충돌도 당연히 약해져서 주 이온풍은, 부 이온풍을 끌어넣어 이온풍을 집약해서 분출한다.
또한, 가이드 부재(140)의 분출구(141)에는, 송풍 경로(150)가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송부 경로는, 분출되는 이온풍의 풍향을 조정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분출구(141)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관 형상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송풍 경로는, 그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호스, 염화비닐관 등을 들 수 있다. 당해 송풍 경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전극 쌍을 설치하는 경우, 이 전극 쌍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온풍이 집약되기 쉽도록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당해 전극 쌍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당해 송부 경로에 의해, 살균·소취 대상 공간 등에 이온 및 오존을 보내도 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가이드 부재(140)가 설치된 전극 쌍(110)을 복수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 쌍(110)을 3개 설치한 경우, 중심에 배치된 전극 쌍의 좌우에 2개의 전극 쌍이 배치되어 있으며, 중심에 배치된 전극 쌍의 이온풍 발생 방향에 대하여 좌우에 배치된 2개의 전극 쌍의 이온풍 발생 방향이 각각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전극 쌍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온풍이, 일점 집중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각 전극 쌍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온풍을 합류시킴으로써 대풍량의 이온풍을 얻을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140)가 설치된 전극 쌍(110)(여기에서는 도면의 용이를 위해 바늘 형상 전극을 생략함)을 6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의 (a)는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의 개념 평면도이며, 도 10의 (b)는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의 개념 측면도이며, 도 10의 (c)는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의 분출구측에서 본 개념 정면도이다. 이 경우, 전극 쌍을 3조마다 상하의 2단 구성으로 하고, 이들 상하단 각각에 대하여 먼저 나타낸 3개의 전극 쌍에 있어서의 배치법에 따라서 배치하고[도 10의 (a)], 이들 3개의 전극 쌍의 군을 당해 전극 쌍의 군에서 발생되는 이온풍을 합류시키도록 배치한다[도 10의 (b)]. 여기서 각 전극 쌍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온풍이, 일점 집중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하단의 중심에 위치하는 전극 쌍으로부터 발생되는 이온풍이 집약되는 각도로 배치함으로써, 각 전극 쌍으로부터의 이온풍을 합류시킬 수 있어 대풍량의 이온풍을 얻을 수 있다.
전술한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100)에 의하면, 충분한 풍량의 이온풍이 얻어지는 것이지만, 소형화나 휴대화라는 점에서는 더욱 개량의 여지가 있었다. 따라서, 전술한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100)와 비교하여, 보다 낮은 전압이라도 이온풍을 발생 가능함(즉, 보다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함)과 함께, 보다 강한 이온풍을 안정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한, 본 발명에 따른 살균·소취 장치의 다른 형태인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10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일례이며, 당업자가 상도할 수 있는 다른 형태 또는 각종 변경예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구체적인 변경예에 대해서는 후술함). 또한, 본 명세서 중에서 일례로서 들고 있는 실시 형태나 변경예는, 특정한 것에 대하여 적용되면 한정적으로 이해해야만 하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조합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어떤 실시 형태에 따른 변경예는, 다른 실시 형태의 변경예로 이해해야 하며, 또한 어떤 변경예와 다른 변경예가 독립적으로 기재되어 있었다고 해도, 당해 어떤 변경예와 당해 다른 변경예를 조합한 것도 기재되어 있다고 이해해야 한다. 또한, 실시 형태나 변경예에 있어서 나타내는 구체적 일례로서의 수치[예를 들어, 방전 전극이나 대향 전극의 직경이나 길이·두께, 방전 전극과 대향 전극과의 전압차, 방전 전극과 대향 전극과의 이격 거리 등]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각 실시 형태나 변경예의 취지를 크게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는, 적절히 변경해도 되는 것이라고 이해해야 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100)의 개략 구조를 도 11에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100)는, 1개의 주 전극 쌍과, 주 전극 쌍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6개의 부 전극 쌍으로 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극 쌍이란, 방전 전극(본 실시 형태에서는 바늘 형상 전극)과 대향 전극을 갖는 1조의 전극이며, 주 전극 쌍은, 그 대향 전극으로서, 환 형상 대향 전극(130a)[이후, 제1 대향 전극(130a)으로 함]을 갖고, 6개의 부 전극 쌍은, 그 대향 전극으로서, 환 형상 대향 전극(130b 내지 130g)[이후, 제2 대향 전극(130b 내지 130g) 등으로 함]을 갖는다. 또한, 어떠한 대향 전극도, 판 형상 부재 및/또는 선 형상 부재로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100)에 있어서는, 제1 대향 전극(130a) 및 6개의 제2 대향 전극(130b 내지 130g)을 모두 동등한 형상(직경이 동등한 대략 환 형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100)에 있어서는, 제2 대향 전극(130b 내지 130g)이, 제1 대향 전극(130a)의 외주를 따라서 또한 서로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이들 제2 대향 전극(130b 내지 130g)의 외측에는, 이들 제2 대향 전극(130b 내지 130g)과 내접하는 가상 원 S(도 11에서, 파선으로 도시된 개소)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략 정육각형 형상을 가정했을 때, 6개의 제2 대향 전극(130b 내지 130g)의 중심이 당해 대략 정육각형 형상의 각 정점을 이루도록, 각각이 인접하도록 제2 대향 전극(130b 내지 130g)을 설치한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100)에 있어서는, 제2 대향 전극(130b 내지 130g)은, 서로 인접하는 대향 전극의 외주끼리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2 대향 전극(130b)의 외주는, 당해 제2 대향 전극(130b)에 인접하는 제2 대향 전극(130c 및 130g)의 외주와, 각각 접촉하고 있다. 또한, 제1 대향 전극(130a)을, 당해 제2 대향 전극(130b 내지 130g)의 각각에 더 접하도록[즉, 제2 대향 전극(130b 내지 130g)에 의해 가정된 대략 정육각형 형상의 중심에 배치되도록] 설치하는 것으로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제2 대향 전극(130b 내지 130g)은, 반드시 인접하는 대향 전극과 인접(접촉)하고 있지 않아도 되며, 근접한 상태이어도 되지만, 너무 지나치게 이격하고 있으면,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100)로부터 발생하는 풍력이 저하되어버린다. 그로 인해, 제각기 제2 대향 전극(130b 내지 130g)은, 인접하는 대향 전극의 외주 간의 거리(특히, 최단이 되는 거리)가 제2 대향 전극(130b 내지 130g)의 직경 이하(혹은 직경의 1/n 이하; n은 자연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대향 전극(130a)은, 반드시 모든 제2 대향 전극(130b 내지 130g)과 접하고 있지 않아도 되며, 근접하고 있는 상태이어도 되지만, 제2 대향 전극(130b 내지 130g)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그 경우에 있어서도, 외주 간의 최단으로 되는 거리가 제1 대향 전극(130a)이나 제2 대향 전극(130b 내지 130g)의 직경 이하 혹은 직경의 1/n 이하; n은 자연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대향 전극(130a) 및 제2 대향 전극(130b 내지 130g)에는, 쌍으로 되는 방전측의 전극으로서, 바늘 형상 전극(120)[특히, 각각의 대향 전극에 있어서의 방전부로 되는 바늘 형상 전극(120a 및 120b 내지 120g)]이 설치됨으로써, 주 전극 쌍 및 부 전극 쌍을 이루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각 대향 전극[제1 대향 전극(130a) 및 제2 대향 전극(130b 내지 130g)]은, 전술한 바와 같은 2중 환 형상 구조이며, 주 환 형상 전극과 주 환 형상 전극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부 환 형상 전극이, 브리지에 의해 도통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각각의 전극 쌍에 있어서의, 주 환 형상 전극, 부 환 형상 전극 및 브리지의 각각의 역할이나, 이들을 갖는 2중 환 형상 전극에 의한 이온풍의 발생 원리에 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기 때문에 생략한다. 또한, 각 대향 전극[제1 대향 전극(130a) 및 제2 대향 전극(130b 내지 130g)]은, 2중 환 형상 구조인 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일부 또는 전부가 1중 환 형상 구조(또는, 3중 이상의 환을 갖는 다중 환 형상 구조)나 소용돌이 형상 구조(소용돌이 형상 구조의 구체적 형태에 대해서는 후술함)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100)의 이온풍 발생에 있어서의 작용 및 효과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는, 작용 및 효과를 이미지하기 쉽도록, 각 대향 전극이 서로 다른 평면 형상으로 위치하도록 도시되어 있는 경우가 있지만, 각 대향 전극이 동일한 평면 형상으로 위치한 경우이더라도,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를 초래하는 것임을 보충해 둔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100)에 의하면, 제1 대향 전극(130a)을 대략 중심(가상 원 S의 중심 부근)으로 하고, 그 주위를 둘러싸도록 제2 대향 전극(130b 내지 130g)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부 전극 쌍에서 발생한 이온풍의 순풍에 의해, 주 전극 쌍에서 발생한 이온풍이 뒤에서 밀리는 형태로 전면으로 밀려나오기 때문에, 주 전극 쌍에서 발생한 이온풍의 풍력이 상쇄되지 않고, 대상물까지 송달되게 된다(부 전극 쌍에 의한 보호 효과). 즉, 각 전극 쌍을 보다 작은 형상으로 한 경우에도[예를 들어, 대향 전극의 직경이 1㎝ 정도(바람직한 범위는, 5㎜ 내지 5㎝), 바늘 형상 전극과 대향 전극과의 이격 거리를 1 내지 2㎝ 정도(바람직한 범위는, 1㎜ 내지 2㎝), 바늘 형상 전극과 대향 전극과의 전위차가 3 내지 100볼트 정도], 충분한 풍량의 이온풍이 얻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100)에 있어서는, 제1 대향 전극(130a)의 주위를, 인접한 제2 대향 전극(130b 내지 130g)으로 둘러싸는 구성[가능한 한의 제2 대향 전극을, 제1 대향 전극(130a)과 인접시키도록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각각의 전극 쌍에 의해 발생한 이온풍은, 인접하는 전극 쌍으로부터 발생한 이온풍과 맞닿는 비율이, 정지하고 있는 외기와 맞닿는 비율보다도 증대하게 된다(즉, 발생한 이온풍은, 정지하고 있는 외기와 맞닿기 어려워져서, 외기와의 마찰에 의한 저항이 적어짐).
또한, 특히 제1 대향 전극(130a)에서 발생한 이온풍은, 그 주위 전부를 다른 이온풍에 의해 둘러싸게 되기 때문에, 보다 외기와 맞닿기 어려워져서, 전술한 부 전극 쌍에 의한 보호 효과가 더 높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100)는, 분출하는 이온풍 전체에서 볼 때에도,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100)로부터 분출한 이온풍이, 정지한 외기와 닿는 영역이 적어져서 외기와의 마찰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짐과 함께, 중심의 이온풍(주 대향 전극 쌍에서 발생한 이온풍)이 주위의 이온풍(부 대향 전극 쌍에서 발생한 이온풍)에 의해 보호되는 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보다 강한 이온풍을 먼 대상물까지 송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각 대향 전극을 인접시켜서, 각 대향 전극 간에 존재하는 간극을 가능한 한 적게 함으로써 한정된 공간에서, 보다 큰 대향 전극을 설치함(또는 대향 전극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보다 큰 풍량의 이온풍을 발생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100)와 같이, 대향 전극[제1 대향 전극(130a) 및 제2 대향 전극(130b 내지 130g)]을 모두 동등한 형상과 함으로써, 주 전극 쌍 및 부 전극 쌍의 각각의 전극 쌍에서 발생하는 이온풍은, 그 각각이 어느 정도 풍량이 크게 된다(국소적으로 풍량이 적은 개소 등이 발생하지 않음). 나아가, 이 제2 대향 전극(130b 내지 130g)을 동등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부 전극 쌍[특히, 각각 제2 대향 전극(130b 내지 130g)]에서 발생한 이온풍은, 외기와 닿는 영역이, 부 전극 쌍의 설치 개소에 의하지 않고 대략 동등해지기 때문에, 이온풍 전체에 있어서의 국소적인 풍량의 불균일이 보다 적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100) 전체에서 보았을 때에도, 보다 안정적이고 또한 풍량이 큰 이온풍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1과 같이, 본 형태에 따른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100)는, 주 전극 쌍 및 부 전극 쌍에 있어서의 각 대향 전극끼리를 인접시켜서, 각각이 도통 가능하게 하고 있다[각 바늘 형상 전극(120a 내지 120g)도, 마찬가지로 각각이 도통 가능하게 하고 있음].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각 대향 전극(각 바늘 형상 전극)을 등전위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살균·소취 장치 전체에 있어서의 전압의 제어를 행하기 쉽게 함과 함께 이온풍의 발생을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단, 이것으로는 한정되지 않으며, 각 대향 전극(각 바늘 형상 전극)을 도통 불가능하게 해도 된다].
또한, 본 형태에 따른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100)에 의하면, 하나의 대향 전극(2중 환 형상 대향 전극)에 대하여 하나의 바늘 형상 전극이 존재하고(일대일 대응이 되도록 존재하고), 각각의 전극 쌍에서 코로나 방전이 행해질 수 있는(복수의 전극 쌍에서 이온풍이 발생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100) 전체의 동작 안정성이 유지됨과 함께, 각각의 전극 쌍에서 큰 풍량의 이온풍이 얻어지고 또한 그들이 합산되는 점에서, 안정적으로 대풍량의 이온풍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100)에 의하면, 이온풍이 발해질 수 있는 가상 원을 상정하고, 당해 가상 원의 원주 상에서 서로 인접 또는 근접하는 형태로 대향 전극이 위치하는 전극 쌍인 부 전극 쌍을 복수 조 구비하고, 당해 가상 원의 원주 내에서 대향 전극이 위치하는 전극 쌍인 주 전극 쌍을 구비함으로써, 더 강한 이온풍을, 보다 안정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도 11에 있어서는, 주 전극 쌍에 있어서의 환 형상 대향 전극 및 부 전극 쌍에 있어서의 환 형상 대향 전극의 크기를 모두 동등한 것으로 하고, 부 전극 쌍에 있어서의 6개의 환 형상 대향 전극을, 주 전극 쌍에 있어서의 환 형상 대향 전극에 외접하도록 설치한 구성이지만, 각 대향 전극 쌍의 형상 및 위치 관계는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으며, 전술한 효과(예를 들어, 부 전극 쌍에 의한 보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고려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 전극 쌍에 있어서의 환 형상 대향 전극을 주 전극 쌍에 있어서의 환 형상 대향 전극보다도 작은 직경(환 직경)으로 하고, 주 전극 쌍에 있어서의 환 형상 대향 전극에 외접하도록, 부 전극 쌍에 있어서의 환 형상 대향 전극을 (각 환 형상 대향 전극끼리가 인접하도록) 배치해도 된다.
한편으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 전극 쌍에 있어서의 환 형상 대향 전극을 주 전극 쌍에 있어서의 환 형상 대향 전극보다도 큰 직경(환 직경)으로 하고, 주 전극 쌍에 있어서의 환 형상 대향 전극에 외접하도록, 부 전극 쌍에 있어서의 환 형상 대향 전극을 (각 환 형상 대향 전극끼리가 인접하도록) 배치해도 된다.
또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부 전극 쌍에 있어서의 환 형상 대향 전극을 각각 동일한 형상으로 하지 않아도 되며, 일부의 부 전극 쌍에 있어서의 환 형상 대향 전극을 큰 직경(환 직경)으로 하고, 다른 부 전극 쌍에 있어서의 환 형상 대향 전극을 보다 작은 직경(환 직경)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전극 쌍에 있어서의 환 형상 대향 전극과, 부 전극 쌍에 있어서의 환 형상 대향 전극을, 동일한 평면 상(주 전극 쌍에 있어서의 환 형상 대향 전극을 포함하는 평면)이 아니라, 서로 다른 평면 상에 배치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예를 들어, 도 16에서는 주 전극 쌍이, 부 전극 쌍보다도 전면측(이온풍의 분출 방향측)으로 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전극 쌍은 하나로는 한정되지 않으며, 주 전극 쌍을 복수 설치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예를 들어, 도 16에서는 제1 대향 전극(130a)을 3개라고 하고 있음].
여기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전극 쌍 및/또는 부 전극 쌍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은, 다각 형상이나 원 형상 및 대략 원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소용돌이 형상으로 한 형태(감기 수나 감기 폭은, 어디까지나 일례임)이어도 된다. 여기서, 도 1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소용돌이 형상과 도 1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소용돌이 형상과의 상이점은, 중심을 향해 소용돌이 형상을 이뤘을 때에 있어서의 소용돌이의 종점의 유무이다. 특히, 각 대향 전극을, 도 1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소용돌이 형상으로 한 경우, 각 대향 전극끼리를 도통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대향 전극을, 이러한 소용돌이 형상으로 한 경우, 다중 환 형상 구조의 경우와 비교하여, 코로나 방전에 불균일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 우려되지만, 대향 전극 자체가 소형화하면 할수록(예를 들어, 대향 전극의 직경이 1㎝ 정도), 당해 불균일의 발생 요인으로 되는 소용돌이 형상의 도선 각 부와 바늘 형상 전극과의 거리 오차(다중 환 형상 구조로부터의 박리)가 작아지기 때문에, 다중 환 형상 구조와 동등한 효과가 얻어지기 쉬워진다는 사실을 보충해 둔다.
또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전측의 전극(예를 들어 바늘 형상 전극)을 환 형상 방전 전극(120)[도 19의 (b)]으로 하거나, 단순히, 바늘 형상 전극이 환 형상으로 브리지된 환 형상 방전 전극(120)[도 19의 (a)]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는, 살균·소취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온수/살균수 생성 장치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코로나 방전에 의해 이온 및/또는 오존이 발생하고, 또한, 대풍량의 이온풍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들을 이온풍에 의해 운반, 살균·소취 대상물에 접촉시켜서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대풍량의 이온풍이 발생하기 때문에,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이온 및 오존을 발생시켜서 살균·소취 대상물이 배치된 공간으로 보내오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외장형 살균·소취 장치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는, 에어 스톤·나노 버블 급기원에 의한 해수 및 담수의 살균·소취용으로서도 사용 가능하다. 즉, 나노 버블의 발생기에는 에어의 도입은 필수적이기 때문에, 이온풍 가이드 부재와 송급 경로를 결합해서 나노 버블의 에어 급기원으로서 사용함으로써, 이온·오존풍을 수중에서 반응시켜서 이온수/살균수를 간이하게 만들 수 있다. 이에 의해, 오존수와 나노 버블의 상승 효과에 의한 피부의 살균 세정에 의해 모공 속 깊숙한 피지 제거나 오존의 특성인 표백 작용을 이용한 미백 효과 등, 미용에의 이용, 어패류 사육 수조 내의 살균, 소취 외에, 수경 재배의 배양액의 살균 등이나, 주방 등에서도 수도의 토출압을 동력원으로서 살균수를 생성하고, 유효한 살균·소취나 오존수에 의해 피지의 분해 등을 간이하고 저렴하며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의 소형화[예를 들어,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의 외형 치수를, 길이 7㎝×폭 7㎝×높이 3㎝ 정도, 즉, 한 손으로 파지 용이한 정도까지 소형화]를 목적으로 하고, 전극 구성을 공간 절약화한 경우[예를 들어, 직경 1㎝ 정도의 대향 전극(바람직한 범위는, 5㎜ 내지 5㎝)을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치하고, 바늘 형상 전극과 대향 전극과의 이격 거리를 1 내지 2㎝ 정도(바람직한 범위는, 1㎜ 내지 2㎝)로 한 경우]에는,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를 옷 주머니나 가방에 넣고 들고 다니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필요할 때(예를 들어, 자신의 신체나 옷에 부착된 악취원을 제거하고 싶을 때) 혹은 가능한 한 살균·소취 대상물에 근접시켜서,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를 소형화한 경우, 음식점이나 게임 센터 혹은 파칭코 홀과 같은 오락 시설에 있어서는 시설 설비에 상설하고(예를 들어, 음식점에 있어서의 카운터, 오락 시설에 있어서의 유기기 설비 간의 간극), 옆 사람으로부터의 악취원(예를 들어, 담배의 간접 흡연)을 칸을 막아 손님마다의 개인적인 공기 청정 공간을 제공한다고 하는 용법도 용이하게 된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측정 방법 및 측정 조건)
이하의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에 대하여, 각각, 도 20, 21, 22, 23, 24에 도시한 형상의 대향 전극을 구비하는 이온풍 발생 장치를 사용해서 이온풍을 발생시키고, 도 25에 도시한 방법에 의해 이온풍의 풍속을 측정하였다. 각 장치의 전극 사이즈는 하기 표 1과 같다. 또한, 이온풍을 발생시킬 때의 바늘 형상 전극과 대향 전극과의 전위차(인가 전압)를 7000[V](전류: 500㎂)로 하고, 도 5에 도시한 풍속계를 적재한 대의 높이를 39㎜로 하였다. 또한, 측정 환경으로서는, 온도를 25℃로 하고, 습도를 60%로 하고 있다.
(실시예 1)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구조는, 주 전극 쌍과, 당해 주 전극 쌍을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복수 조의 부 전극 쌍을 갖고, 각각의 전극 쌍을 평면 형상 또한 환 형상 등으로 한 것이다.
(실시예 2)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구조는, 각 대향 전극이 주 환 형상 대향 전극과 부 환 형상 대향 전극을 갖도록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구조를 갖는 것이다.
(비교예 1)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구조는, 1조의 전극 쌍을 둘러싸도록 인접하는 복수 조의 전극 쌍을 설치한 것이다. 또한, 대향 전극은, 원통 형상이다.
(비교예 2)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구조는, 직렬로 배치된 복수 조의 전극 쌍을 설치한 것이다. 또한, 대향 전극은, 원통 형상이다.
(비교예 3)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구조는, 직렬로 배치된 복수 조의 전극 쌍을 설치한 것이다. 또한, 각각의 전극 쌍은, 평면 형상 또한 환 형상이다.
Figure pct00001
(측정 결과)
상기의 측정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이온풍 발생 장치에서 발생한 이온풍의 풍속은, 비교예 1 내지 3의 이온풍 발생 장치에서 발생한 이온풍의 풍속보다도 현저하게 커지게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하에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측정의 결과로부터, 본원 발명과 같이, (A) 주 전극 쌍과, 당해 주 전극 쌍을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복수 조의 부 전극 쌍을 갖고, 또한 (B) 각각의 전극 쌍을 평면 형상 또한 환 형상 등으로 함으로써 비로소, 현저하게 풍력을 증폭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어, (A), (B)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부족해도 풍력의 증폭 효과는 작다는 사실은 명확하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교예 1과 비교예 2를 대비하면, 대향 전극이 원통 형상의 경우에는, 복수의 전극 쌍의 배치를 직렬형 배치로부터 주 전극 쌍을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복수 조의 부 전극 쌍을 갖는 배치로 변경하여도, 풍속은 0.1m/s밖에 커지지 않아, 풍력의 증폭 효과는 작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한편, 실시예 1과 비교예 3을 대비하면, 각각의 전극 쌍을 평면 형상 또한 환 형상 등으로 한 경우에는, 복수의 전극 쌍의 배치를 직렬형으로부터 주 전극 쌍을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복수 조의 부 전극 쌍을 갖는 배치로 변경하면, 풍속은 0.3m/s로 대폭 커지게 되어, 풍력의 증폭 효과가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2와 비교예 3을 대비하면, 복수의 전극 쌍의 배치가 직렬형 배치의 경우에는, 대향 전극의 형상을 원통 형상으로부터 평면 형상 또한 환 형상 등으로 변경하여도, 풍속은 0.1m/s밖에 커지지 않아, 풍력의 증폭 효과는 작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한편, 실시예 1과 비교예 1을 대비하면, 복수의 전극 쌍의 배치가 주 전극 쌍을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복수 조의 부 전극 쌍을 갖는 배치의 경우에는, 대향 전극의 형상을 원통 형상으로부터 평면 형상 또한 환 형상 등으로 변경하면, 풍속은 0.3m/s로 대폭으로 커지게 되어, 풍력의 증폭 효과가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원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는,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장치의 경우와 비교하여, 발생하는 풍력이 현저하게 커지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주 전극 쌍을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복수 조의 부 전극 쌍을 설치하는 배치에 의한 이온풍의 증폭 효과는, 각각의 전극 쌍을 평면 형상 또한 환 형상 등으로 함으로써 현저해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과 본 실시예 2의 대비로부터, 각 대향 전극이 주 환 형상 대향 전극과 부 환 형상 대향 전극을 가짐으로써, 현저한 풍력의 증폭 효과를 더 발휘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Figure pct00002
또한, 특허문헌 6(특히, 도 2)의 기재에 기초하여 대향 전극을 구현화하여, 마찬가지의 측정 방법 및 측정 환경에서 이온풍의 풍속을 측정한 바, 풍속은, 0.5m/s 정도로 되었다. 이것은, 대향 전극끼리가 지나치게 이격하고 있기 때문에(환언하면, 대향 전극의 외주 간의 최단 거리가 대향 전극의 직경 이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각 대향 전극으로부터 발생한 이온풍이 합성되기 어려움에 기인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9(특히, 도 1)의 기재에 기초하여 대향 전극을 구현화하여, 마찬가지의 측정 방법 및 측정 환경에서 이온풍의 풍속을 측정한 바, 풍속은, 0.7m/s 정도로 되었다. 이것은, 대향 전극이 환 형상이 아니며 또한 각 대향 전극에 있어서의 평면 형상의 법선 벡터가 대략 동일 방향이 아니기 때문에, 각 대향 전극에 있어서의 방전 불균일이 발생하기 쉽고 또한 대향 전극으로부터 발해지는 이온풍의 풍력이 균일화되지 않는 등의 영향에 의해, 각 대향 전극에서 발생한 이온풍이 최적으로 합성되지 않음에 기인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대향 전극에 따른 변경예)
또한, 지금까지의 설명에 있어서 개념도로서 나타낸 대향 전극(예를 들어, 도 11)은, 제1 대향 전극(130a) 및 제2 대향 전극(130b 내지 130g)의 각각을 평면 형상 또한 환 형상으로 되도록 다른 도전 부재로서 성형하고, 당해 다른 도전 부재를 서로 인접하도록 접합함(예를 들어, 납땜함)으로써 가공해 가는 이미지이다(이하, 이 가공 이미지를 접합 가공이라 함). 한편, 실시예에 있어서 구조도로서 나타낸 대향 전극(예를 들어, 도 20 내지 도 21)은, 1매의 평판 형상 도전 부재에 환 형상의 관통 구멍을 뚫음으로써 가공해 가는 이미지이다(이하, 이 가공 이미지를 천공 가공이라 함). 이와 같이, 가공 방법의 차이가 기인하여, 본 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대향 전극의 전체적인 구조가 상이한 것으로 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을 이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코로나 방전 발생의 근본적인 메커니즘을 고려하면, 바늘 형상 전극과 대향 전극과의 거리가 최 접근하고 있는 대향 전극의 부위(즉, 환 형상의 대향 전극에 있어서의 내주 에지부)에 있어서 가장 코로나 방전이 발생할 비율이 높아지는 것이기 때문에, 접합 가공 및 천공 가공 중 어느 하나로 가공한 대향 전극에 있어서도, 환 형상의 대향 전극에 있어서의 내주 에지부에서 양호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는 것에는 변함없다. 그리고, 실제로 대향 전극을 제조할 때에는, 접합 가공보다도 천공 가공의 쪽이, 대향 전극을 성형 용이하게 되는 것이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대향 전극으로서 평판 형상의 것을 상정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가령, 대향 전극으로서 원통 형상의 것을 상정한 경우, 천공 가공에 의해 대향 전극을 성형하면 대향 전극 자체가 대형화해버린다고 한 낭비가 발생하기 쉽고, 또한 천공 가공 자체도 곤란해진다고 할 수 있다). 즉, 실제로 대향 전극을 제조할 때도, 대향 전극을 평판 형상의 것으로 한 쪽이, 대향 전극을 원통 형상이 것으로 하는 것보다도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단, 코로나 방전에 기초하는 이온풍 발생의 메커니즘을 고려한 경우, 접합 가공에 의해 대향 전극을 성형한 경우보다도 천공 가공에 의해 대향 전극을 성형한 경우의 쪽이, 발생하는 이온풍이 저감해버리는 사태가 상정된다. 여기서, 이온풍 발생의 메커니즘으로서 일반적으로는, 코로나 방전 시에 바늘 형상 전극으로부터 방출되는 이온이 대향 전극을 향해서 영동하는 동안에 공기 분자와의 충돌을 반복함으로써, 바늘 형상 전극으로부터 대향 전극을 향해서 발생하는 공기류인 것으로 되어 있지만, 본원 발명에 있어서는, 당해 공기류에 의해 발생하는 부압 및 당해 부압이 발생한 공간으로의 외기의 흡기류에 의한 이온풍의 증대 효과에도 착안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도시된 이온풍의 발생 개소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환 형상의 대향 전극에 있어서의 내주 에지부에 있어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했을 때, 당해 내주 에지부 근방으로부터 이온풍이 전면 방향으로 밀려나오게 되지만, 그 때, 대향 전극의 환 형상부 이측(바늘 형상 전극과 대향하지 않는 측의 면)에는 부압이 발생한다. 그리고, 당해 부압이 발생한 공간을 향하여, 특히 대향 전극의 외주를 둘러싸는 외기가 흡인되게 되어, 당해 흡인된 외기에 의해 전면 방향으로 밀려나오는 이온풍의 풍력이 증대하는 것이다(이 점에 있어서도, 대향 전극을 평판 형상의 것으로 한 쪽이, 대향 전극을 원통 형상의 것으로 하는 것보다도 유리하다고 할 수 있음).
이와 같은 이온풍 발생의 메커니즘의 이해에 기초하여, 천공 가공에 의해 대향 전극을 성형할 경우에 있어서의 적합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26(좌측)은, 도 11의 (b)에서 도시한 대향 전극을 천공 가공에 의해 성형하는 경우의 개념도이며,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매의 평판 형상 도전 부재(130)에 대하여 제1 대향 전극(130a) 및 제2 대향 전극(130b 내지 130g)에 상당하는 환 형상의 관통 구멍을 뚫음으로써 대향 전극 전체가 성형되어 있다. 여기서, 본 예에서는, 환 형상의 관통 구멍을 뚫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오차에 감안하여 제1 대향 전극(130a) 및 제2 대향 전극(130b 내지 130g)의 각각이 적어도 수 ㎜(1 내지 3㎜) 정도 이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1매의 평판 형상 도전 부재(130)를 대략 사각형으로 함으로써, 예를 들어 당해 대략 사각형의 4 코너에서 도전 부재(130)를 축 지지하기 위한 구멍(도 20, 도 2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실험 장치를 조립하기 위한 구멍)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성형된 제1 대향 전극(130a) 및 제2 대향 전극(130b 내지 130g)에 있어서의 각각의 대향 전극에 대한 방전부로 되는 바늘 형상 전극을 설치하고, 당해 전극 간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면, 제1 대향 전극(130a) 및 제2 대향 전극(130b 내지 130g)에 있어서의 내주 에지부에서 주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한다(본 예에서는, 2중 환 형상 구조로 되어 있지만, 내측의 환 형상 구조에 있어서의 내주 에지부 및 외측의 환 형상 구조에 있어서의 내주 에지부의 양쪽에 있어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함). 그리고, 당해 내주 에지부 근방으로부터 이온풍이 전면 방향으로 밀려나올 때, 대향 전극의 환 형상부 이측(바늘 형상 전극과 대향하지 않는 측의 면)에는 부압이 발생한다(여기까지는, 도 12에서 도시된 작용과 마찬가지임). 그러나, 당해 부압이 발생한 공간을 향하여, 특히 대향 전극의 주위 S를 둘러싸는 외기이며 대향 전극과 바늘 형상 전극의 사이에 존재하는 외기를 흡인하려고 해도, 도전 부재(130)에 의해 차폐되어버리는 사태가 상정된다. 따라서, 도 26(우측)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흡인되어야 할 외기가 도전 부재(130)를 통과할 수 있도록, 흡인 구멍(130S)을 설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인 구멍(130S)과 제2 대향 전극(130b 내지 130g)의 외주 간과의 거리가, 너무 지나치게 이격되어 있으면, 당해 흡인되어야 할 외기와 당해 부압이 발생한 공간과의 거리가 커지게 되고 또한 이온풍의 발생 방향과 당해 흡인되어야 할 외기의 이동 방향과의 어긋남이 커지는 것에 기인하여, 이온풍의 풍력의 증대 효과가 저감해버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흡인 구멍(130S)과 제2 대향 전극(130b 내지 130g)의 외주 간과의 거리는, 제2 대향 전극(130b 내지 130g)의 직경 이하(혹은 직경의 1/n 이하; n은 자연수)인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이상으로부터, 천공 가공에 의해 대향 전극을 성형하는 경우에는, 제2 대향 전극(130b 내지 130g)의 외측(어떤 제2 대향 전극에 있어서 다른 대향 전극과 인접하지 않는 측)을 둘러싸도록, 흡인 구멍(130S)을 설치해 둠으로써, 본원 발명이 착안하고 있는 이온풍 발생의 메커니즘에 기초하는, 대향 전극의 외주를 둘러싸는 외기의 흡인 효과, 및 당해 흡인 효과에 의해 대향 전극으로부터 전면 방향으로 밀려나오는 이온풍의 풍력의 증대 효과를 예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온풍의 풍력의 증대 효과뿐만 아니라, 오존을 포함하는 이온풍이 외기에 의해 희석되는 것이기 때문에,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게 될 위험성도 저하된다고 하는 장점도 생긴다. 즉, 이온풍의 풍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장치나 오존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별도 형성하지 않고, 양호하게(양호한) 이온풍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한 대향 전극을 제공하는 것, 또한 실제로 대향 전극을 제조할 때도 대향 전극을 성형 용이하게 하는 것을, 본 변경예에 의해(특히, 대향 전극을 평판 형상의 것으로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는, 흡인 구멍(130S)을 원주 형상의 구멍으로 하는 점에 대해서만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접합 가공에 의해 성형한 대향 전극의 형상이, 보다 바람직한 것이기 때문에, 당해 형상에 접근하는 것을 취지로 한 다양한 성형 방법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대향 전극(130b 내지 130g)에 있어서, 다른 대향 전극과 인접하지 않는 측의 원호를 따라 만곡하는 형태로, 흡인 구멍(130S)을 설치해도 된다. 또한, 제2 대향 전극(130b 내지 130g)을 둘러싸도록 주회시켜서 설치해도 되며, 예를 들어 당해 원호를 따른 대략 삼각형의 구멍을 복수 설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도전 부재(130)를 사각형으로 할 필요성이 없는 것이면, 도전 부재(130) 자체를 원형으로 하여도 되며(예를 들어, 도 26에 있어서의 흡인 구멍(130S)보다도 외측 부분은 제거해버림), 당해 원형으로부터 더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해버린다[제2 대향 전극(130b 내지 130g)에 있어서, 다른 대향 전극과 인접하지 않는 측의 원호를 따라 제거해버린다]고 하는 성형 방법을 채용해도 된다. 단, 도 26(우측)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한 경우, 접합 가공에 의해 성형한 대향 전극의 형상과 비교하여, 대향 전극의 환 형상부 이측(바늘 형상 전극과 대향하지 않는 측의 면)에 있어서 부압이 발생한 공간에의 외기(특히 대향 전극의 주위 S를 둘러싸는 외기이며 대향 전극과 바늘 형상 전극의 사이에 존재하는 외기)의 흡인로를 좁힐 수 있기 때문에, 당해 외기의 흡인력을 강화할 수 있다(흡인하는 외기의 풍력이 증가함)는 효과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천공 가공에 의해 대향 전극을 성형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효과도 근거로 한 다음에 최적의 형상으로 되도록 디자인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또한, 도 27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언뜻 보면, 주 전극 쌍을 복수 조 갖고, 그것을 둘러싸도록 부 전극 쌍이 배치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 구성[도 27의 (b)에서 굵은 선으로 도시하고 있는 복수의 환 형상 대향 전극을, 주 전극 쌍에 있어서의 환 형상 대향 전극(또한, 외주에 배치된, 가는 선으로 도시한 환 형상 대향 전극을 부 전극 쌍에 있어서의 환 형상 대향 전극)으로서 파악할 수 있는 구성]이더라도, 주 전극 쌍을 1조 갖고, 그것을 둘러싸도록 부 전극 쌍이 배치되어 있는 것의 집합체로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즉, 도 27의 하단 포위 내의 「주 전극 쌍에 있어서의 환 형상 대향 전극 이미지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굵은 선으로 도시하고 있는 환 형상 대향 전극 중, 중앙에 위치하는 환 형상 대향 전극을 주 전극 쌍에 있어서의 환 형상 대향 전극, 그 주위의 굵은 선으로 도시하고 있는 환 형상 대향 전극을 부 전극 쌍에 있어서의 환 형상 대향 전극으로 파악하고, 그 집합체로서 이해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사실을 보충해 둔다. 따라서, 도 27의 (b)에서 도시한 부 전극 쌍의 외주를 따라서 흡인 구멍(130S)을 설치한 경우이더라도, 주 전극 쌍을 1조 갖고, 그것을 둘러싸도록 부 전극 쌍이 배치되어 있는 것의 외주를 따라서 흡인 구멍(130S)이 설치되어 있다는 개념의 범위 내라고 할 수 있다.
100: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
110: 전극 쌍
120(120a 내지 120g): 바늘 형상 전극
130(130a 내지 130g): 대향 전극
131 내지 133: 환 형상 대향 전극
139: 브리지
140: 이온풍 가이드 부재
141: 분출구
150: 송풍 경로
200: 이온풍 발생 장치
210: 전극 쌍
220: 바늘 형상 전극
230: 대향 전극
P: 선단부

Claims (6)

  1. 바늘 형상 전극과 대향 전극을 갖는 전극 쌍을 복수 조 구비하고, 각각의 전극 쌍의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켜서 코로나 방전에 의해 이온, 오존 및 이온풍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전극 쌍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은, 평면 형상 또한 환 형상 또는 소용돌이 형상을 이루고,
    1조의 전극 쌍인 주(主) 전극 쌍, 및 주 전극 쌍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의 외주를 따라서 주 전극 쌍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을 둘러싸도록, 규칙적으로 또한 서로 인접 또는 근접하는 형태로 대향 전극이 위치하는 전극 쌍인 부(副) 전극 쌍을 복수 조 구비하고 있으며, 적어도 부 전극 쌍에 있어서 인접하는 대향 전극의 외주 간의 최단 거리는 대향 전극의 직경 이하이며 또한 모든 대향 전극에 있어서의 평면 형상의 법선 벡터가 대략 동일 방향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주 전극 쌍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 및 부 전극 쌍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은, 평판 형상의 도전 부재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에 의해 성형되어 있으며, 당해 평판 형상의 도전 부재에는, 부 전극 쌍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의 외주를 따라서 관통 구멍이 더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대향 전극이 평면 형상의 주(主) 환 형상 대향 전극과, 주 환 형상 대향 전극을 둘러싸는 평면 형상의 부(副) 환 형상 대향 전극을 갖고,
    어떤 전극 쌍에 있어서의 바늘 형상 전극의 선단과 당해 어떤 전극 쌍에 있어서의 주 환 형상 대향 전극의 최장 거리가, 당해 어떤 전극 쌍에 있어서의 바늘 형상 전극의 선단과 당해 어떤 전극 쌍에 있어서의 부 환 형상 대향 전극의 최단 거리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모든 전극 쌍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의 형상이, 대략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
  4. 바늘 형상 전극과 대향 전극을 갖는 전극 쌍을 복수 조 구비하고, 각각의 전극 쌍의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켜서 코로나 방전에 의해 이온, 오존 및 이온풍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전극 쌍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은, 평면 형상 또한 환 형상 또는 소용돌이 형상을 이루고,
    1조의 전극 쌍인 주 전극 쌍, 및 주 전극 쌍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의 외주를 따라서 주 전극 쌍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을 둘러싸도록, 규칙적으로 또한 서로 인접 또는 근접하는 형태로 대향 전극이 위치하는 전극 쌍인 부 전극 쌍을 복수 조 구비하고 있으며, 적어도 부 전극 쌍에 있어서 인접하는 대향 전극의 외주 간의 최단 거리는 대향 전극의 직경 이하이며 또한 모든 대향 전극에 있어서의 평면 형상의 법선 벡터가 대략 동일 방향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대향 전극이 평면 형상의 주 환 형상 대향 전극과, 주 환 형상 대향 전극을 둘러싸는 평면 형상의 부 환 형상 대향 전극을 갖고,
    어떤 전극 쌍에 있어서의 바늘 형상 전극의 선단과 당해 어떤 전극 쌍에 있어서의 주 환 형상 대향 전극의 최장 거리가, 당해 어떤 전극 쌍에 있어서의 바늘 형상 전극의 선단과 당해 어떤 전극 쌍에 있어서의 부 환 형상 대향 전극의 최단 거리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주 전극 쌍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 및 부 전극 쌍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은, 평판 형상의 도전 부재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에 의해 성형되어 있으며, 당해 평판 형상의 도전 부재에는, 부 전극 쌍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의 외주를 따라서 관통 구멍이 더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모든 전극 쌍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의 형상이, 대략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
KR1020157034997A 2013-05-13 2013-12-20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 및 방법 KR1017123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00920 2013-05-13
JPJP-P-2013-100920 2013-05-13
JPJP-P-2013-173299 2013-08-23
JP2013173299A JP5461736B1 (ja) 2013-05-13 2013-08-23 イオン・オゾン風発生装置及び方法
PCT/JP2013/084370 WO2014184984A1 (ja) 2013-05-13 2013-12-20 イオン・オゾン風発生装置及び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506A true KR20160025506A (ko) 2016-03-08
KR101712308B1 KR101712308B1 (ko) 2017-03-03

Family

ID=50619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4997A KR101712308B1 (ko) 2013-05-13 2013-12-20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620936B2 (ko)
EP (1) EP2999066A4 (ko)
JP (1) JP5461736B1 (ko)
KR (1) KR101712308B1 (ko)
CN (1) CN105453355B (ko)
TW (1) TWI501491B (ko)
WO (1) WO20141849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3875A1 (ko) * 2022-09-08 2024-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전기 집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13347B1 (ja) * 2014-05-12 2014-10-22 株式会社 片野工業 イオン・オゾン風発生装置及び方法
WO2016035431A1 (ja) * 2014-09-02 2016-03-10 シャープ株式会社 放電装置
JP5773231B1 (ja) * 2014-12-18 2015-09-02 株式会社Mirai イオン及びオゾン風発生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6138644A1 (zh) * 2015-03-04 2016-09-09 深圳市同盛绿色科技有限公司 一种负离子空气净化器及其负离子发生装置
KR101708999B1 (ko) * 2015-05-27 2017-02-2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이온풍을 이용하는 방열장치
JP6581401B2 (ja) * 2015-06-17 2019-09-25 エクレール株式会社 イオン及びオゾンの風を発生する装置
JP6114430B1 (ja) * 2016-03-30 2017-04-12 株式会社 片野工業 イオン風発生装置
CN106095120A (zh) * 2016-06-06 2016-11-09 赵旭 一种具有空气净化功能的键盘
CN106016193A (zh) * 2016-06-06 2016-10-12 赵旭 一种可净化空气的灯泡转接头
CN107869764B (zh) * 2016-09-23 2020-05-2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室内机
CN107869762B (zh) * 2016-09-23 2020-05-2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室内机
CN107869772B (zh) * 2016-09-23 2019-07-0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室内机
CN107869773B (zh) * 2016-09-23 2019-07-02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室内机
CN108019817B (zh) * 2016-11-01 2020-11-0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室内机
CN106524303B (zh) * 2016-11-01 2020-05-2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室内机
CN106705216B (zh) * 2016-11-09 2020-05-2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室内机
CN108332283B (zh) * 2017-01-17 2021-05-25 青岛海尔智能技术研发有限公司 离子风空调
US11291102B2 (en) * 2017-04-20 2022-03-29 Airinspace S.E. Corona effect plasma device and plasma reactor
US11458223B2 (en) 2017-05-09 2022-10-04 Sharp Kabushiki Kaisha Discharge device and electric machine
KR101839556B1 (ko) * 2018-01-03 2018-03-16 배수하 공기정화시스템
JP2019192358A (ja) * 2018-04-19 2019-10-31 株式会社Soken イオン風発生装置
WO2019225017A1 (ja) * 2018-05-25 2019-11-28 株式会社Mirai イオン及びオゾンの少なくともいずれか一方を発生する装置
TWI667871B (zh) * 2018-08-07 2019-08-01 國立交通大學 風扇裝置
CN110430654A (zh) * 2019-06-27 2019-11-08 北京交通大学 一种针-环结构的大气压空气辉光放电等离子体射流装置
CA3096073A1 (en) 2019-10-15 2021-04-15 Op-Hygiene Ip Gmbh Foam dispenser with ionic wind driven ozone generation and air circulation
IT202000011512A1 (it) * 2020-05-19 2021-11-19 Ste Sanitizing Tech And Equipments Societa A Responsabilita Limitata Sistema di sanificazione microbiologica e purificazione dell'aria per impianto hvac di veicolo ferroviario
JP7215763B2 (ja) * 2020-11-20 2023-01-31 株式会社 リブレックス イオン発生装置
IT202100017885A1 (it) 2021-07-07 2023-01-07 New Energy Search 2 S R L S Sistema di purificazione dell’aria con azione antibatterica
JP7126636B1 (ja) * 2022-03-01 2022-08-26 三菱電機株式会社 殺菌またはウイルス不活性化装置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3158A (ja) 1983-04-18 1984-11-01 Nippon Soken Inc 空気清浄器
JPH03100754A (ja) 1989-09-13 1991-04-25 Rika Kogyo Kk Cpu制御方法
JPH03155540A (ja) 1989-08-15 1991-07-03 Fuji Photo Film Co Ltd ハロゲン化銀感光材料
JPH07250786A (ja) 1994-03-14 1995-10-03 Toto Ltd 便座の汚れ防止方法及び便座の汚れ防止装置
JPH0938524A (ja) 1995-07-26 1997-02-10 Hitachi Zosen Corp 風力静電選別装置
JPH1025103A (ja) 1996-07-05 1998-01-27 Koji Abu オゾン発生装置
JPH10286303A (ja) 1997-04-15 1998-10-27 Kyoritsu Denki Sangyo Kk 脱臭装置
JP2002136893A (ja) 2000-11-01 2002-05-14 Uchikawa Masayuki エアクリーナー
JP2003342005A (ja) 2002-05-28 2003-12-03 Hitachi Media Electoronics Co Ltd マイナスイオン及びオゾン発生装置
JP2004018348A (ja) 2002-06-19 2004-01-22 Tamachi Denki Kk オゾンおよびマイナスイオン発生装置
JP2005013831A (ja) 2003-06-25 2005-01-20 Masayuki Mita マイナスイオン・オゾン発生装置
JP2005149901A (ja) 2003-11-14 2005-06-09 Kenichi Hasegawa 空気清浄装置
KR20120087195A (ko) * 2010-01-26 2012-08-06 아끼오 가따노 이온ㆍ오존풍 발생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5540B2 (ja) 1990-06-05 2001-04-0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RU2026751C1 (ru) * 1992-05-13 1995-01-20 Елена Владимировна Володин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ерилизации и тонкой фильтрации газа
JP3100754B2 (ja) 1992-05-20 2000-10-23 三菱電機株式会社 固体高分子電解質膜を用いた電気化学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H10199653A (ja) 1997-01-09 1998-07-31 Mitsubishi Electric Corp 負イオンによる起風装置
US5733512A (en) * 1997-04-18 1998-03-3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Ozone generating device
US6544485B1 (en) * 2001-01-29 2003-04-08 Sharper Image Corporation Electro-kinetic device with enhanced anti-microorganism capability
US7695690B2 (en) * 1998-11-05 2010-04-13 Tessera, Inc. Air treatment apparatus having multiple downstream electrodes
US7771672B2 (en) * 2005-12-17 2010-08-10 Airinspace B.V. Air purification device
JP4503085B2 (ja) * 2008-07-07 2010-07-14 シャープ株式会社 イオン発生装置および電気機器
CN201438807U (zh) * 2009-06-29 2010-04-14 国琏电子(上海)有限公司 离子散热装置及系统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3158A (ja) 1983-04-18 1984-11-01 Nippon Soken Inc 空気清浄器
JPH03155540A (ja) 1989-08-15 1991-07-03 Fuji Photo Film Co Ltd ハロゲン化銀感光材料
JPH03100754A (ja) 1989-09-13 1991-04-25 Rika Kogyo Kk Cpu制御方法
JPH07250786A (ja) 1994-03-14 1995-10-03 Toto Ltd 便座の汚れ防止方法及び便座の汚れ防止装置
JPH0938524A (ja) 1995-07-26 1997-02-10 Hitachi Zosen Corp 風力静電選別装置
JPH1025103A (ja) 1996-07-05 1998-01-27 Koji Abu オゾン発生装置
JPH10286303A (ja) 1997-04-15 1998-10-27 Kyoritsu Denki Sangyo Kk 脱臭装置
JP2002136893A (ja) 2000-11-01 2002-05-14 Uchikawa Masayuki エアクリーナー
JP2003342005A (ja) 2002-05-28 2003-12-03 Hitachi Media Electoronics Co Ltd マイナスイオン及びオゾン発生装置
JP2004018348A (ja) 2002-06-19 2004-01-22 Tamachi Denki Kk オゾンおよびマイナスイオン発生装置
JP2005013831A (ja) 2003-06-25 2005-01-20 Masayuki Mita マイナスイオン・オゾン発生装置
JP2005149901A (ja) 2003-11-14 2005-06-09 Kenichi Hasegawa 空気清浄装置
KR20120087195A (ko) * 2010-01-26 2012-08-06 아끼오 가따노 이온ㆍ오존풍 발생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3875A1 (ko) * 2022-09-08 2024-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전기 집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11859A1 (en) 2016-04-21
TWI501491B (zh) 2015-09-21
CN105453355A (zh) 2016-03-30
JP2014241273A (ja) 2014-12-25
EP2999066A1 (en) 2016-03-23
WO2014184984A1 (ja) 2014-11-20
US9620936B2 (en) 2017-04-11
TW201444210A (zh) 2014-11-16
CN105453355B (zh) 2017-12-01
KR101712308B1 (ko) 2017-03-03
EP2999066A4 (en) 2016-12-28
JP5461736B1 (ja) 201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2308B1 (ko)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 및 방법
EP2530796B1 (en) Ion/ozone wind generation device and method
KR102079889B1 (ko) 이온풍 발생 장치
KR101808979B1 (ko)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 및 방법
US20170341088A1 (en) Low Temperature Plasma Air Purifier with High Speed Ion Wind Self-adsorption
US20110150710A1 (en) Ion generating apparatus and air purifying apparatus
KR101994202B1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온실용 살균 장치
JP5778360B1 (ja) イオン・オゾン風発生装置及び方法
JP5778361B1 (ja) イオン・オゾン風発生装置及び方法
CN211608620U (zh) 一种除菌衣柜
CN211290346U (zh) 一种室内空气杀菌器
CN111467553A (zh) 超声波银离子消毒器
WO2021205478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infecting surfaces and covered spaces
CN112773924A (zh) 一种生物消杀安全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