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889B1 - 이온풍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이온풍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889B1
KR102079889B1 KR1020187025854A KR20187025854A KR102079889B1 KR 102079889 B1 KR102079889 B1 KR 102079889B1 KR 1020187025854 A KR1020187025854 A KR 1020187025854A KR 20187025854 A KR20187025854 A KR 20187025854A KR 102079889 B1 KR102079889 B1 KR 102079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body
discharge
counter electrode
protrusions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5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0078A (ko
Inventor
아키오 가타노
Original Assignee
가타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0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0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23/00Apparatus for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e.g. into the atmosp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19/087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electric or magnetic energy
    • B01J19/08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electric or magnetic energy giving rise to electric dischar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1/00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14Plasma, i.e. ionis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2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04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with the help of a non-organic comp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10Preparation of ozone
    • C01B13/11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 discharg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10Preparation of ozone
    • C01B13/11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 discharge
    • C01B13/115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 discharge characterised by the electrical circuits producing the electrical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9/00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 H01T19/04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having pointed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5Rooms in buildings, passenger compar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6Connections to a HVAC un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2Use of ozone, e.g. generated by UV radiation or electrical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2219/0803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electric or magnetic energy
    • B01J2219/0805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electric or magnetic energy giving rise to electric discharges
    • B01J2219/0807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electric or magnetic energy giving rise to electric discharges involving electrodes
    • B01J2219/0824Details relating to the shape of the electrodes
    • B01J2219/0832Details relating to the shape of the electrodes essentially toroidal
    • B01J2219/0833Details relating to the shape of the electrodes essentially toroidal forming part of a full cir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2219/0803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electric or magnetic energy
    • B01J2219/0805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electric or magnetic energy giving rise to electric discharges
    • B01J2219/0845Details relating to the type of discharge
    • B01J2219/0849Corona pulse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2219/0894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a plasma
    • B01J2219/0896Cold plasma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1/00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al discharge
    • C01B2201/20Electrodes used for obtaining electrical discharge
    • C01B2201/2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1/00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al discharge
    • C01B2201/60Feed streams for electrical dischargers
    • C01B2201/62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0Process efficiency
    • Y02P20/133Renewable energy sources, e.g. sunl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이온을 광범위하게 송달 가능하고, 필터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분출구 근방에서의 오존 농도가 낮아진 이온풍을 송풍 가능한 이온풍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방전부를 갖는 방전 전극체와 복수 개의 단부를 갖는 대향 전극체로 이루어지는 전극 쌍을 구비하고, 방전부와 단부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켜 코로나 방전에 의해 이온풍을 발생시키는 이온풍 발생 장치이며, 복수 개의 단부는, 단일의 평면 내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또한 평면 내에 있어서 방전 전극체의 축선을 주회하여 배치되거나, 또는 평면 내에 있어서 직선상을 따라 배치된다.

Description

이온풍 발생 장치
본 발명은, 코로나 방전에 의해 이온풍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오존 농도가 낮아진 이온풍을 송풍 가능한, 이온풍 발생 장치이다. 또한, 어떤 측면에서는 본 발명은, 먼지 등의 대상물을 살균·소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상물이 배치되는 공간과는 다른 공간에서 코로나 방전을 행하고, 이온을 발생시켜 대상물이 배치되어 있는 공간에 이온풍을 송급하고, 살균·소취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기밀성이 높은 박스, 예를 들어 음식물 쓰레기나 기저귀 등 오물함,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처리 냄새·신발·부츠 등이나 수납하기 위한 박스·화장실 및 화장실 탱크, 기밀성이 높은 냉동·냉장 장치를 구비한 컨테이너 및 냉동·냉장 장치를 구비한 차량, 냉장고, 실내·차량 내의 공조 장치 등에 장착하여 살균·소취를 목적으로 한 환경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령화 사회에 수반하여, 요개호 인구와 비례하여 기저귀 등의 오물함의 수요도 높아지고 있지만, 개방 시마다 악취를 풍기기 때문에, 개호인 및 주위에의 부담이나 불쾌감이 있는 데다 비위생적이다. 또한, 각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보관 박스도 존재하지만, 개방 시마다, 잡균 증식에 수반하여 악취를 풍기기 때문에, 주부 등 종사자의 부담이 크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도 바이오 기술의 성장에 수반하여 증가하고 있지만 가동 중에는 처리기 주변에서 풍기는 악취가 매우 문제로 되고 있다. 또한, 해외·국내의 냉동·냉장·상온품 등의 물류에는 수송용 컨테이너 및 트럭 등에서의 수송이 주류이며 공조 장치를 구비한 해상 컨테이너·육상 컨테이너·컨테이너형 트럭 등이 다수 있지만, 적재 화물품의 잔냄새·공조 장치 내의 곰팡이 냄새가 문제로 되고 있다. 또한, 창고·냉장고·실내·차량 등의 공조 장치도, 보관 물질 등 사용 상황에 따라 악취가 문제로 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문제의 한 해결 방법으로서, 종래부터 스프레이식 등, 간이형의 살균 탈취제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오물함이나 음식물 쓰레기의 보관 박스에 사용한 경우, 당해 용기를 개방했을 때 악취를 풍기는 것이 현 상황이다. 또한, 공조 장치에 사용(예를 들어 살포나 순환 살균 방식)한 경우, 공조 장치 내부에 세정할 수 없는 부위, 또는 세정하여도 이상한 냄새·곰팡이 냄새가 남는 경우, 차기 적재 화물로 악취가 옮겨가는 등, 문제로 되고 있다. 또한, 별도의 해결 방법으로서, 살균 소취의 대상으로 되는 공간으로부터 공기를 흡인하여 필터에 의해 오염 물질을 흡착 혹은 제거하는 방법이나 고가의 악취 제거 촉매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장기 사용에 의해 필터의 교환 등의 메인터넌스가 불가결하며, 게다가 필터의 성능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만족할만한 성능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나 예를 들어 성능이 좋아도 대형이며 고가의 촉매 본체, 나아가서는 유지 관리비가 고액인 경우가 많다.
그런데 최근 들어, 실내의 공기 청정이나 리프레시를 위해 마이너스 이온이나 오존을 발생하는 공기청정기나 에어컨 등이 보급되어 있다. 그리고, 소취 효과가 있는 마이너스 이온과 오존을 동시 발생시키는 마이너스 이온·오존 발생 장치를 사용하여 대상 공간을 소취하는 등의 기술이 다수 제안되어 있다.
우선, 특허문헌 1에 따른 마이너스 이온·오존 발생 장치는, 방의 천장에 설치하는 것을 상정한 장치이며, 양전극이 음전극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팬이나 모터를 사용하지 않아도 마이너스 이온과 오존을 포함한 하향의 기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특허문헌 2에 따른 마이너스 이온·오존 발생 장치는, 끝 부분이 바늘 형상인 마이너스 전극과, 그에 평행하게 동심원 형상으로 설치된 원통형의 접지 전극을 구비하고, 마이너스 전극과 접지 전극을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마이너스 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마이너스 전극의 선단부와 접지 전극의 단부면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마이너스 이온 또는 오존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특허문헌 3에 따른 마이너스 이온·오존 발생 장치는, 바늘 전극과 접지 전극 간에 직류 고전압을 인가하여 바늘 전극 첨단부에서 코로나 방전을 생기시키고, 오존 및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다음으로, 특허문헌 4에 따른 마이너스 이온·오존 발생 장치는, 주위에 입상부를 갖는 구멍을 1개소 또는 복수 개소 구비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양전극을 갖고, 음전극의 끝 부분이 상기 양전극의 구멍 근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방전에 의해 충분한 기류가 발생하기 때문에, 팬, 펌프 등의 송풍 장치를 별도 사용하지 않아도 발생한 마이너스 이온과 오존을 공간 내에 확산시키는 기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특허문헌 1 내지 4에 따른 발명은, 이온 및 오존을 발생시켜서 대상물에 적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지만, 이들 기술은 예를 들어 쓰레기통의 내부 등의 살균 또는 탈취의 대상이 되는 공간 내에 배치하여 방전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예를 들어, 쓰레기통 안이면, 악취를 풍기는 유기물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메탄가스 등, 인화성 가스를 생성하는 경우가 있고, 이와 같은 상황하에서 방전을 행하면, 불꽃의 발생에 의해 화재나 폭발이 일어날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위험성을 제거하기 위해서, 대상물이 배치된 공간 외에서 방전을 행하여 이온·오존을 발생시키고, 대상물이 배치된 공간 내에 이들 생성물을 도입하는 외장형 살균·소취 장치의 개발이 검토되고 있다(특허문헌 5).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3100754호 일본 특허공개 제2003-34200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4-1834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5-13831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3155540호
그러나 특허문헌 1 내지 5에 따른 발명에서는, 이온 및 오존을 발생시킬 수는 있지만, 당해 발생시킨 이온을 방 전체에 골고루 미치게 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곤란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들 기술로는, 당해 발생시킨 이온 및 오존을 포함하는 이온풍의 풍력 자체가 약한 것이며, 이온 및 오존을 방 전체에 골고루 미치게 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송풍기 등을 설치하여 이온풍을 밀어줄 필요성이 있고, 그 결과, 이온풍을 밀어줄 수 있는 한편, 이온풍 중에 포함되는 이온이 희석되어 버린다고 하는 난점이 있다. 또한, 이들 기술에 있어서는, 분출구의 근방에 있어서 오존 농도가 높아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당해 장치에서 이온풍을 발생시켰을 때에 동시에 발생하는 오존에 의해, 장치 근방의 물품을 의도치 않게 표백해 버리는 경우 등이 있었다. 이러한 경우, 오존 농도를 저하시키는 수단으로서는 필터 등을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만, 이온풍 중의 이온 농도도 저하시켜 버리거나, 필터의 교환이 필요해지는 것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관점에서 이루어진 것이며, 이온을 광범위하게 송달 가능하고, 필터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분출구 근방에서의 오존 농도가 낮아진 이온풍을 송풍 가능한, 이온풍 발생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온풍 발생 장치의 실시 양태는,
방전부를 갖는 방전 전극체와 복수 개의 단부를 갖는 대향 전극체로 이루어지는 전극 쌍을 구비하고, 상기 방전부와 상기 단부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켜 코로나 방전에 의해 이온풍을 발생시키는 이온풍 발생 장치이며,
상기 복수 개의 단부는, 단일의 평면 내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또한 상기 평면 내에 있어서 방전 전극체의 축선을 주회하여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평면 내에 있어서 직선상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다.
복수 개의 단부는, 단일의 평면 내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복수 개의 단부는, 평면 내에 있어서 방전 전극체의 축선을 주회하여 배치되거나, 직선상을 따라 배치된다. 이 때문에, 방전 전극체는, 복수 개의 단부와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방전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고, 오존 농도를 조정하여 이온풍을 송풍할 수 있다.
이온을 광범위하게 송달 가능하고, 필터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분출구 근방에서의 오존 농도가 낮아진 이온풍을 송풍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이온풍 발생 장치(110)의 개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대향 전극체(210)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대향 전극체(220)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대향 전극체(230)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대향 전극체(240, 250 및 260)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대향 전극체(270)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대향 전극체(280)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대향 전극체(290 및 300)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대향 전극체(310)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대향 전극체(320)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대향 전극체(330)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대향 전극체(340)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대향 전극체(350, 360, 370 및 380)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대향 전극체(390, 400, 410 및 420)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대향 전극체(430)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대향 전극체(440, 450 및 460)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7은 대향 전극체(470 및 480)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8은 대향 전극체(500 및 510)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9는 내측 단부(216)가 예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는 부분 정면도이다.
도 20은 내측 단부(216)가 볼록 형상으로 만곡된 형상을 갖는 경우를 도시하는 부분 정면도이다.
도 21은 내측 단부(216)가 평탄면인 경우를 도시하는 부분 정면도이다.
도 22는 내측 단부(216)가 오목 형상으로 만곡된 형상인 경우를 도시하는 부분 정면도이다.
도 23은 대향 전극체(610)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4는 대향 전극체(620)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5는 대향 전극체(630)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6은 대향 전극체(700 및 710)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양태의 개요>>>
본 발명의 실시 양태에 의하면,
방전부를 갖는 방전 전극체(예를 들어, 후술하는 방전 전극체(150 내지 170) 등)와 복수 개의 단부를 갖는 대향 전극체(예를 들어, 후술하는 대향 전극체(210 내지 510, 610 내지 630) 등)로 이루어지는 전극 쌍을 구비하고, 상기 방전부와 상기 단부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켜 코로나 방전에 의해 이온풍을 발생시키는 이온풍 발생 장치이며,
상기 복수 개의 단부(예를 들어, 후술하는 내측 단부(216) 등)는, 단일의 평면 내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또한 상기 평면 내에 있어서 방전 전극체의 축선(예를 들어, 후술하는 축선 X 등)을 주회하여 배치되는 이온풍 발생 장치가 제공된다.
<<이온풍 발생 장치>>
이온풍 발생 장치는, 방전 전극체와 대향 전극체를 갖는다. 방전 전극체는, 방전극으로서 기능하고, 방전부를 갖는다. 대향 전극체는, 수전극으로서 기능하고, 복수 개의 단부를 갖는다.
<코로나 방전의 발생>
방전 전극체의 방전부와 대향 전극체의 단부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키고, 전위차에 의해 코로나 방전을 일으켜, 이온풍을 발생시킨다. 전위차에 의해,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기 쉬운 전장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방전 전극체의 방전부와 대향 전극체의 단부의 상대적인 위치나 거리나, 방전부의 형상이나 단부의 형상이나, 방전부와 단부 사이의 전위차 등에 의해,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기 쉬운 전장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코로나 방전에 의해 오존이 발생한다.
<방전 전극체>
상술한 바와 같이, 방전 전극체는, 방전극으로서 기능하고, 방전부를 갖는다. 또한, 방전 전극체는, 소정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축선을 획정할 수 있는 형상이나 배치나 수를 가지면 된다. 예를 들어, 방전 전극체가 긴 형상을 갖는 경우(후술하는 도 1 참조)에는, 긴 쪽 방향을 축선의 방향으로 하면 된다. 또한, 방전 전극체가 대칭성을 갖는 경우에는, 대칭 축을 방전 전극체의 축선으로 할 수 있다. 대칭성은, 선 대칭이나 점 대칭이나 회전 대칭 등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판상의 형상이나 환상의 형상을 갖는 경우(후술하는 도 23 내지 도 25 참조)에는, 중심이나 무게 중심을 통과함과 함께 원판이나 환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을 축선으로 하면 된다.
또한, 축선은, 방전 전극체의 중심 등을 통과할 필요는 없고, 치우친 위치에 존재하는 축이라도, 방전 전극체의 외형이나 배치의 특징과 관련된 축이면 된다.
이와 같이, 방전 전극체는, 축선을 획정할 수 있는 형상이나 배치를 가지면 되고, 특정한 형상이나 수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향 전극체>
대향 전극체는 복수 개의 단부를 갖는다. 복수 개의 단부는 단일의 평면 내에 배치된다. 대향 전극체의 전체가 단일의 평면 내에 배치될 필요는 없고, 복수 개의 단부만이 단일의 평면 내에 포함되어 배치되면 된다. 복수 개의 단부를 단일의 평면 내에 배치함으로써, 복수 개의 단부 중 어느 단부에서도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여, 대향 전극체의 전체적으로 방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복수 개의 단부가 단일의 평면 내에 배치되면 되고, 대향 전극체의 전체의 형상에 대해서는 적절하게 정할 수 있다. 즉, 대향 전극체의 전체의 형상이 평탄할 필요는 없고, 대향 전극체가 입체적으로 요철을 갖는 형상이어도 되고, 복수 개의 단부가 단일의 평면 내에 포함되면 된다. 또한, 방전 전극체도, 이 평면 내에 포함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복수 개의 단부가 포함되는 평면과 상이한 위치에 방전 전극체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방전 전극체의 전체의 형상도 평탄할 필요는 없다.
대향 전극체의 복수 개의 단부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또한 방전 전극체의 축선을 주회하도록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방전 전극체의 축선은, 방전 전극체의 외형이나 배치의 특징과 관련된 축이면 된다. 복수 개의 단부를 이격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서로 이격되는 단부에서 코로나 방전을 선택적으로 발생하기 쉽게 하여, 오존을 간헐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대향 전극체의 전체적으로 발생하는 오존의 농도를 억제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단부는, 방전 전극체의 축선을 주회하도록 이격되어 배치되면 되고, 반드시 일정한 원주 형상이나 원호상을 따라 배치될 필요는 없다. 또한, 복수 개의 단부는, 등간격(등거리나 등각도)마다 배치될 필요도 없다.
또한, 복수 개의 단부를, 일정한 반경을 갖는 원주 형상으로 배치한 경우에는, 복수 개의 단부 전부와 방전 전극체 사이의 거리를 동등하게 할 수 있고, 복수 개의 단부 전부에서 코로나 방전이 균등하게 발생하도록 할 수 있어, 대향 전극체 전체적으로 방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복수 개의 단부 및 비단부>
또한, 대향 전극체는, 복수 개의 단부와, 단부와는 상이한 비단부를 갖는다. 복수 개의 단부는, 비단부보다 돌출되어 방전 전극체의 방전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즉, 복수 개의 단부와 방전부의 거리가, 비단부와 방전부의 거리보다 짧아지도록 복수 개의 단부와 비단부가 배치된다.
단부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내측 단부(216) 등이 있다.
비단부는, 대향 전극체 중 단부와는 상이한 부분이면 된다. 예를 들어, 비단부로서, 후술하는 외주부(212) 외에, 돌기 부재(214(214a, 214b, 214S, 214L), 274(274a, 274b), 334, 354, 364, 374(374a, 374b), 384, 394, 404, 414, 424, 437a, 477a) 등의 반경 방향의 부분이 있다.
복수 개의 단부를 방전부에 근접시켜 배치함으로써, 비단부보다 복수 개의 단부에서 코로나 방전이 적극적으로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향 전극체에 있어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기 쉬운 복수 개의 단부와,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기 어려운 비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단부에서 코로나 방전을 발생하기 쉽게 하고, 비단부에서는, 코로나 방전을 발생하기 어렵게 한다. 따라서, 복수 개의 단부에서는,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오존도 발생하기 쉽다. 한편, 비단부에서는,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기 어려우므로, 오존도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전 전극체에 있어서, 오존이 발생하기 쉬운 개소와 오존이 발생하기 어려운 개소를 선택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오존을 간헐적으로 발생시키거나, 오존의 농도의 농담을 조정하거나 할 수 있어, 대향 전극체의 전체적으로 발생하는 오존의 농도를 정할 수 있다.
<근위부 및 원위부>
상술한 바와 같이, 코로나 방전의 발생 용이성을, 방전 전극체의 방전부와의 거리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복수 개의 단부를 방전부에 가까운 근위부로 함과 함께, 비단부를 단부보다 방전부로부터 이격된 원위부로 하도록 방전 전극체를 구성할 수 있다.
<단부 및 비단부의 형상>
또한, 코로나 방전의 발생 용이성을, 방전 전극체의 방전부와의 거리에 의해 제어하는 것 외에, 단부의 형상에 의해서도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단부를 축선을 향해 뾰족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단부의 주위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기 쉬운 전장을 형성할 수 있어, 코로나 방전을 단부에서 발생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이에 비해, 비단부를 매끄러운 형상으로 함으로써, 코로나 방전을 비단부에서 발생시키기 어렵게 할 수도 있다.
<비단부에 있어서의 코로나 방전>
상술한 바와 같이, 비단부는, 단부와 비교하면 방전 전극체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기 어렵다. 그러나 코로나 방전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것은 아니고, 비단부 중 단부에 가까운 부분은, 방전 전극체와의 거리가 비교적으로 가까워,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기 쉽다. 이 때문에, 비단부에서도 코로나 방전이 발생됨으로써, 이온풍의 양을 보완할 수 있어, 방전 전극체의 전체에서 발생하는 이온풍의 양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단부가, 방전 전극체로부터 점차 이격되는 부분(예를 들어, 후술하는 돌기 부재(214(214a, 214b, 214S, 214L), 274(274a, 274b), 334, 354, 364, 374(374a, 374b), 384, 394, 404, 414, 424, 437a, 477a) 등의 반경 방향의 부분 등)인 경우에는, 단부에 가까운 개소에서는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기 쉽고, 방전 전극체로부터 점차 이격됨에 따라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러한 경우라도, 단부에 가까운 개소에서는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기 쉽고, 이온풍을 발생시킬 수 있어, 이온풍의 양을 보완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단부를 직선상을 따라 배치하는 경우>
또한, 복수 개의 단부(예를 들어, 후술하는 내측 단부(616) 등)를 단일의 평면 내에 있어서 서로 이격시켜 위치하고, 또한 직선상(예를 들어, 후술하는 가상 직선 L 등)을 따라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복수 개의 단부를 직선상을 따라 이격시켜 배치하는 경우도, 복수 개의 단부를 방전 전극체(예를 들어, 후술하는 방전 전극체(160이나 170) 등)의 방전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고, 단부와는 상이한 비단부를 방전 전극체의 방전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비단부보다 복수 개의 단부에서 코로나 방전이 선택적으로 발생하게 할 수 있고, 오존을 간헐적으로 발생시켜, 대향 전극체(예를 들어, 후술하는 대향 전극체(610 내지 630) 등)의 전체적으로 발생하는 오존의 농도를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도, 대향 전극체의 전체가 단일의 평면 내에 배치될 필요는 없고, 복수 개의 단부만이 단일의 평면 내에 포함되어 배치되면 된다. 복수 개의 단부를 단일의 평면 내에 배치함으로써, 복수 개의 단부 중 어느 단부에서도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여, 대향 전극체의 전체적으로 방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단부가 단일의 평면 내에 배치되면 되고, 대향 전극체의 전체의 형상에 대해서는 적절하게 정할 수 있다. 즉, 대향 전극체의 전체의 형상이 평탄할 필요는 없고, 대향 전극체가 입체적으로 요철을 갖는 형상이어도 되고, 복수 개의 단부가 단일의 평면 내에 포함되면 된다. 또한, 방전 전극체도, 이 평면 내에 포함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복수 개의 단부가 포함되는 평면과 상이한 위치에 방전 전극체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방전 전극체의 전체의 형상도 평탄할 필요는 없다.
<비단부에 있어서의 코로나 방전>
상술한 바와 같이, 비단부는, 단부와 비교하면 방전 전극체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기 어렵다. 그러나 코로나 방전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것은 아니고, 비단부 중 단부에 가까운 부분은, 방전 전극체와의 거리가 비교적 가까워,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기 쉽다. 이 때문에, 비단부에서도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킴으로써, 이온풍의 양을 보완할 수 있어, 방전 전극체의 전체에서 발생하는 이온풍의 양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단부가, 방전 전극체로부터 점차 이격되는 부분(예를 들어, 후술하는 돌기 부재(614) 등의 반경 방향 등)인 경우에는, 단부에 가까운 개소에서는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기 쉽고, 방전 전극체로부터 점차 이격됨에 따라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러한 경우라도, 단부에 가까운 개소에서는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기 쉽고, 이온풍을 발생시킬 수 있어, 이온풍의 양을 보완할 수 있다.
<<<이온풍 발생 장치의 설명>>>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온풍 발생 장치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예시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본 명세서 중에서 일례로서 언급하고 있는 실시 형태나 변경예는, 특정한 것에 대해 적용된다고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 되며, 어떠한 조합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어느 실시 형태에 대한 변경예는, 다른 실시 형태의 변경예라고 이해해야 하고, 또한 어느 변경예와 다른 변경예가 독립적으로 기재되어 있었다고 해도, 당해 어느 변경예와 당해 다른 변경예를 조합한 것도 기재되어 있다고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전극체」와 「전극」을 구별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제1 실시 형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이온풍 발생 장치(110)는, 방전 전극체(150)와, 대향 전극체(210 내지 510) 중 어느 것으로 이루어지는 전극 쌍을 구비한다. 방전 전극체(150)와, 대향 전극체(210 내지 510) 모두, 금속 등의 도전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이온풍 발생 장치(110)는, 대향 전극체(210 내지 510) 중 어느 하나의 대향 전극체를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대향 전극체(210 내지 510) 각각은, 도 2 내지 도 18에 도시한 형상을 갖는다.
제1 실시 형태의 이온풍 발생 장치(110)의 이온풍 발생의 원리는, 기존의 이온풍 발생 장치와 마찬가지이다. 즉, 방전 전극체(150)와 대향 전극체(210 내지 510)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함으로써, 이들 전극체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한다. 코로나 방전 시에는, 방전 전극체(150)로부터 방출되는 이온이, 대향 전극체(210 내지 510)를 향해 영동하는, 그 영동 시에 공기 분자와의 충돌을 반복하고, 방전 전극체(150)로부터 대향 전극체(210 내지 510)를 향하는 이온을 포함하는 공기류, 즉 이온풍이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 내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 전극체(210 내지 510)를 특정한 구성으로 한다. 코로나 방전의 발생의 빈도나 분포를 제어함과 함께, 코로나 방전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이온풍의 풍량을 담보하면서, 이온풍에 포함되는 오존 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대향 전극체(210 내지 510) 및 방전 전극체(15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의 이온풍 발생 장치(110)는, 대향 전극체(210 내지 510) 중 어느 하나의 대향 전극체를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는, 대표적으로 대향 전극체(210)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대향 전극체(210)의 외형은, 전체적으로 대략 환상 또는 원 형상의 형상을 갖는다. 대향 전극체(210)는, 복수 개의 돌기 부재(214)를 갖는다. 돌기 부재(214) 각각은, 대향 전극체(210)의 환 중심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내측 단부(216)를 갖는다. 따라서, 대향 전극체(210)에 있어서, 복수 개의 내측 단부(216)가 단일의 평면 내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또한 당해 단일의 평면 내에 있어서 방전 전극체(150)의 축선 X를 주회하여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대향 전극체(210)는, 금속 등의 도전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대향 전극체(210)는, 환상의 외주부(212)를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환상이라 함은, 주회하는 형상이면 되고, 곡선만이나 직선이나 곡선의 조합이나 직선과 곡선의 조합 등에 의해 외형을 획정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대향 전극체(210)는, 복수 개의 돌기 부재(214)를 갖는다. 복수 개의 돌기 부재(214)는, 대향 전극체(210)의 외주부(212)에 설치되고, 대향 전극체(210)의 중심 O를 향해 연장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향 전극체(210)의 중심 O는, 방전 전극체(150)의 축선 X 상에 위치하고, 방전 전극체(150)의 축선 X에 포함된다.
복수 개의 돌기 부재(214) 각각은, 외주부(21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등전위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복수 개의 돌기 부재(214) 중 어느 것이 외주부(21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면 된다. 이하, 대향 전극체(210 내지 510)의 구체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종의 대향 전극체>>
도 2 내지 도 5는, 제1종의 대향 전극체(210 내지 260)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제1종의 대향 전극체(210 내지 260)의 돌기 부재(214)는, 모두 단일의 선상의 형상을 갖는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 전극체(210)는, 원환상의 외주부(212)를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환상이나 원환상이라 함은, 바퀴의 모양을 한 형상을 말하며, 반경이 서로 다른 2개의 동심원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의 형상을 말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대향 전극체(210)는, 16개의 돌기 부재(214)가, 대향 전극체(210)의 반경 또는 직경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16개의 돌기 부재(214)의 각각의 긴 쪽 방향의 길이는, 동일한 길이이며, 선상의 형상을 갖는 부재이다. 또한, 선상이라 함은, 직선상의 형상을 말한다. 또한, 돌기 부재(214)는, 대향 전극체(210)의 외주부(212)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외측 단부(218)를 갖는다. 외측 단부(218)는 외주부(212)를 따라, 등각도 간격을 갖고(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모든 외측 단부(218)가, 외주부(21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일부의 외측 단부(218)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외주부(212)와 등전위가 되면 된다.
복수 개의 돌기 부재(214)는, 내측 단부(216)가 서로 이격되어 동일 평면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인접하는 내측 단부(216)를 가상적으로 매끄럽게 연결함으로써 대향 전극체(210)의 중심부에, 대향 전극체(210)와 동일 평면 내에 가상 원 C가 형성된다.
내측 단부(216)는, 대향 전극체(210)와 동일 평면 상에서, 방전 전극체(150)의 축선 X를 주회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방전 전극체(150)의 축선 X가, 대향 전극체(210)의 가상 원 C가 연장되는 평면이 수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상 원 C의 중심으로부터, 16개의 내측 단부(216)의 각각까지의 거리는 모두 균일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방전 전극체(150)로부터 대향 전극체(210)으로 방전하는 경우에는, 방전 전극체(150)와 16개의 내측 단부(216)의 각각에서 간헐적(선택적)으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고, 코로나 방전에 의해 발생하는 이온풍은, 축선 X를 따른 방향으로 송풍된다.
방전 전극체(150)와 16개의 내측 단부(216)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킴으로써, 오존을 간헐적으로 발생시켜, 발생하는 오존의 양을 적게 하여, 전체적으로 오존의 농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내측 단부(216)의 형상이, 예리해짐에 따라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기 쉬운 전장을 형성할 수 있어, 내측 단부(216)로부터 발생되는 이온의 풍량을 많게 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내측 단부(216)의 형상이 끝이 가늘어질수록, 내측 단부(216)의 형상이 평면인 경우에 비해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여기서, 내측 단부(216)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용도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8개의 돌기 부재(214)를 갖는 대향 전극체(290 및 300)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즉, 도 2 및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수 개의 선상의 돌기 부재(214)를 갖는 대향 전극체(210, 290 및 3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선상의 돌기 부재(214)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선상의 돌기 부재(214)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단부(216)를 가상적으로 매끄럽게 연결하여 가상 원 C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3개 이상의 돌기 부재(214)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상 원 C의 중심으로부터 내측 단부(216)까지의 거리, 즉, 가상 원 C의 반경은 외주부(212)의 반경의 절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상 원 C의 반경이 작아질수록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기 쉬워져, 이온의 풍량을 많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돌기 부재(214)의 긴 쪽 방향의 길이는, 외주부(212)의 반경의 적어도 절반 이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용도에 따라서, 돌기 부재(214)의 수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외주부(212)의 반경의 길이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 부재(214)가, 외주부(212)를 따라, 등각도 간격을 갖고(균등하게)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도 3에 도시한 대향 전극체(220)에서는, 2개의 돌기 부재(214a 및 214b)를 쌍으로 하고 있고, 쌍이 되는 2개의 돌기 부재(214a 및 214b)가 서로 평행이 되도록, 외주부(212)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쌍이 되는 2개의 돌기 부재(214a 및 214b)로 이루어지는 8개의 돌기 부재군이 외주부(212)에, 등각도 간격을 갖고(균등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대향 전극체(220)에서는, 합계 16개의 돌기 부재(214)가 설치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대향 전극체(220)에서는, 2개의 돌기 부재(214a 및 214b)를 1세트의 돌기 부재군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의 돌기 부재(214a, 214b 및 214c)를 1세트의 돌기 부재군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돌기 부재군의 수도 한정되지 않는다. 나아가, 일부의 돌기 부재(214)만이 돌기 부재군을 형성하고, 나머지 돌기 부재(214)는 돌기 부재군을 형성하지 않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돌기 부재(214) 각각이 외주부(212)를 따라 등각도 간격을 갖고(균등하게)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긴 쪽 방향의 길이가 동등한 돌기 부재(214)의 내측 단부(216)의 조합에 의해 가상 원 C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도 2 및 도 3에서는, 돌기 부재(214)의 모든 내측 단부(216)가, 방전 전극체(150)의 축선 X를 주회하도록,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대향 전극체(230)에서는, 8개의 돌기 부재(214)이 대향 전극체에 배치되어 있다. 8개의 돌기 부재(214) 중 4개의 돌기 부재(214L)의 긴 쪽 방향의 길이가 동일하고, 나머지 4개의 돌기 부재(214S)의 긴 쪽 방향의 길이는 돌기 부재(214L)보다 짧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4개의 긴 돌기 부재(214L)의 내측 단부(216)에 의해 가상 원 C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4에서는, 대향 전극체(210, 220 및 230)의 외주부(212)의 형상을 원환상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 전극체(240)의 외형을 팔각 형상으로 하거나,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 전극체(250)의 외형을 십각 형상으로 하거나,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 전극체(260)의 외형을 십이각 형상으로 하거나 할 수 있다. 외주부(212)의 형상을 각종 환상의 다각형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5A, 도 5B 및 도 5C에 도시한 예에서는, 돌기 부재(214)를 다각형의 정점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연장하도록 배치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각형의 변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연장되도록 배치해도 된다.
<<제2종의 대향 전극체>>
상술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제1종의 대향 전극체(210 내지 260)는, 선상의 형상을 갖는 돌기 부재(214)를 갖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돌기 부재(214)의 형상은, 외주부(212)와 등전위가 되고, 또한 내측 단부(216)를 가지면, 선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상을 가져도 된다. 이하에 그 밖의 형상의 예를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대향 전극체(270)에는, 복수의 판상의 돌기 부재(274)가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판상의 돌기 부재(274)의 각각은, 원환의 형상을 갖는 외주부(212)의 중심 O(축심 X)를 향해 연장된다. 도 6에 도시한 예에서는, 대향 전극체(270)는, 16개의 돌기 부재(274)를 갖고, 돌기 부재(274) 각각은 판상이며 부채 형상의 형상을 갖는다.
선상의 형상을 갖는 돌기 부재(214)와 마찬가지로, 내측 단부(216)는, 외주부(212)로부터 대향 전극체(270)의 중심 C(축심 X)를 향해 연장된다. 내측 단부(216)의 정점(279)을 가상적으로 매끄럽게 연결함으로써 가상 원 C가 형성된다.
내측 단부(216)의 정점(279)은, 예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방전 전극체(150)와 정점(279)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기 쉬운 전장을 형성할 수 있다. 16개의 돌기 부재(274)는, 외주부(212)를 따라 등각도 간격을 갖고(균등하게) 배치되고, 16개의 돌기 부재(274) 각각은 외주부(212)를 따라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대향 전극체(270)의 돌기 부재(274)의 수를 변경해도 문제없고, 또한 내측 단부(216)의 형상을 변경해도 문제없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대향 전극체(280)는, 8개의 돌기 부재(274)가 설치되고, 또한 내측 단부(216)의 형상이 예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다. 즉, 도 7에 도시한 돌기 부재(274)는, 부채 형상의 돌기 부재(274)의 정점의 부근을 직선으로 절단한 형상을 갖는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내측 단부(216)의 형상이 예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돌기 부재(274)의 내측 단부(216)의 2개의 각을 포함하도록 가상적으로 매끄럽게 연결함으로써, 대향 전극체(280)의 중심부에, 대향 전극체(280)와 동일 평면 내에 포함되는 가상 원 C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판상의 돌기 부재(274)의 형상은 변경해도 되고,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한 대향 전극체(290)나 도 8B에 도시한 대향 전극체(300)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 부재(274)를 직사각 형상의 형상으로 해도 된다. 돌기 부재(274)의 짧은 쪽 방향의 길이, 즉, 굵기나 폭은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대향 전극체(290)의 돌기 부재(274)의 굵기는, 대향 전극체(300)의 돌기 부재(274)의 굵기보다 굵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 부재(274)의 형상으로서, 외주부(212)로부터 대향 전극체(310)의 중심 C(축심 X)를 향해, 내측 단부(216)의 굵기가 점차 가늘어지도록 하고, 내측 단부(216)의 선단이 각을 갖지 않는 형상으로 해도 된다. 특히,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단부(216)의 최선단부가 만곡되어 둥그스름한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 부재(274)의 형상으로서, 선상인 돌기 부재(274a)와 판상인 돌기 부재(274b)를 조합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도, 돌기 부재(274)가 갖는 단부의 각을 가상적으로 매끄럽게 연결함으로써, 대향 전극체(320)의 중심부에는, 대향 전극체(320)와 동일 평면 상에 가상 원 C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인접하는 돌기 부재(214나 274)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경우를 나타냈다. 도 11에 도시한 대향 전극체(330)와 같이, 인접하는 돌기 부재(334)의 일부가 서로 접속되도록 형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채 형상의 돌기 부재(334)가 외주부(212)에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그러한 경우에도, 인접하는 내측 단부(216)를 매끄럽게 연결함으로써, 대향 전극체(330)의 중심부에는, 대향 전극체(330)와 동일 평면 상에 가상 원 C가 형성된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대향 전극체(340)와 같이, 돌기 부재(334)의 수나 형상을 변경해도 된다. 예를 들어, 판상의 돌기 부재의 수를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1의 대향 전극체(330)보다 많게 해도 된다. 또한, 내측 단부(216)의 수가 많을수록, 내측 단부(216)의 정점을 가상적으로 곡선으로서 연결하였을 때에 형성되는 공간의 형상이, 보다 원(가상 원 C)에 근접하도록 할 수 있다.
이 제2종의 대향 전극체에서는, 대향 전극체(270 내지 340)에 있어서의 내측 단부(216)와, 방전 전극체(150)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면, 대향 전극체(270 내지 340)의 내측 단부(216)에서 발생한 이온풍은, 대향 전극체(270 내지 340)에 있어서의 방전 전극체(150)와 대향하지 않는 측으로 방출되어, 대향 전극체(270 내지 340)에 있어서의 방전 전극체(150)와 대향하지 않는 측으로 부압이 발생한다. 부압이 발생한 공간을 향해, 대향 전극체(270 내지 340)의 주위를 둘러 싸는 공기가 흡인되고, 흡인된 공기에 의해, 대향 전극체(270 내지 340)에 있어서의 방전 전극체(150)와 대향하지 않는 측으로 압출되는 이온풍의 풍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 제2종의 대향 전극체에 있어서도 제1종의 대향 전극과 마찬가지로, 가상 원 C의 반경은 외주부(212)의 반경의 절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 부재(274(274a 및 274b)를 포함함))와 돌기 부재(334)의 형상은 적절하게 변경해도 되지만, 상기 돌기 부재(274(274a 및 274b)를 포함함))와 돌기 부재(334)의, 각 대응하는 대향 전극(270 내지 340)에 있어서의 반경 방향의 길이는, 외주부(212)의 반경의 적어도 절반 이상이다.
<<제3종의 대향 전극체>>
상술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대향 전극체(210 내지 260)에서는, 단일의 선상의 돌기 부재(214)가 설치된 경우를 나타냈다. 이에 비해, 복수의 선상의 부재를 연결하여 형성한 돌기 부재를 사용한 대향 전극체로 해도 된다. 복수의 선상의 부재를 연결함으로써,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상의 돌기 부재의 내부를 도려내어, 복수의 선상의 부재로 둘러싸인 공간이 형성된 돌기 부재를 갖는 대향 전극체로 해도 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돌기 부재의 형상을 도려낸 판상이라고 칭한다. 도 13A 내지 도 13D에 도시한 바와 같은 대향 전극체(350 내지 380)의 돌기 부재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도 13A에 도시한 대향 전극체(350)의 돌기 부재(354)는, 윤곽이 대략 사다리꼴 형상이며,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판을 도려내거나, 3개의 선상의 부재를 조합하거나 하여 형성할 수 있다. 4개의 돌기 부재(354)가 90도마다 외주부(212)에 배치된다.
도 13B에 도시한 대향 전극체(360)의 돌기 부재(364)는, 윤곽이 대략 직사각 형상이며, 대략 직사각 형상의 판을 도려내거나, 3개의 선상의 부재를 조합하거나 하여 형성할 수 있다. 8개의 돌기 부재(364)가 45도마다 외주부(212)에 배치된다.
도 13C에 도시한 대향 전극체(370)의 돌기 부재(374)는, 윤곽이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돌기 부재(374a)와 선상의 돌기 부재(374b)로 이루어진다. 4개의 돌기 부재(374a)와 4개의 돌기 부재(374b)가 교대로 외주부(212)에 배치된다.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돌기 부재(374a)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판을 도려내거나, 3개의 선상의 부재를 조합하거나 하여 형성할 수 있다. 8개의 돌기 부재(374)가 45도마다 외주부(212)에 배치된다.
도 13D에 도시한 대향 전극체(380)의 돌기 부재(384)는, 윤곽이 대략 사다리꼴 형상이며,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판을 도려내거나, 3개의 선상의 부재를 조합하거나 하여 형성할 수 있다. 8개의 돌기 부재(384)가 45도마다 외주부(212)에 배치된다.
도 13A 내지 도 13D에 도시한 대향 전극체(350 내지 380)의 돌기 부재의 내측 단부(216)를 가상적으로 매끄럽게 연결함으로써 가상 원 C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도려낸 판상의 돌기 부재의 윤곽의 형상을, 부채 형상의 정점을 직선으로 절단한 형상으로 해도 되고, 직사각 형상의 형상으로 해도 된다. 도려낸 판상의 돌기 부재의 윤곽은, 직선의 조합이나 곡선의 조합이나 직선 및 곡선의 조합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돌기 부재의 형상이 선상인 것과 도려낸 판상인 것을 조합한 대향 전극체로 해도 된다.
또한,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복수의 부채 형상의 돌기 부재의 내부를 도려낸 형상의 돌기 부재를 갖는 대향 전극체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4A 내지 도 14D에 도시한 바와 같은 대향 전극체(390 내지 420)의 돌기 부재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모두, 돌기 부재는, 인접하는 선상의 부재를 연결함으로써, 대략 부채 형상의 윤곽을 갖는다.
도 14A에 도시한 대향 전극체(390)는, 5개의 돌기 부재(394)를 갖고, 돌기 부재(394)는, 인접하는 선상의 부재를 연결함으로써, 대략 부채 형상의 윤곽을 갖는다.
도 14B에 도시한 대향 전극체(400)는, 10개의 돌기 부재(404)를 갖고, 돌기 부재(404)는, 인접하는 선상의 부재를 연결함으로써, 대략 부채 형상의 윤곽을 갖는다.
도 14C에 도시한 대향 전극체(410)는, 16개의 돌기 부재(414)를 갖고, 돌기 부재(414)는, 인접하는 선상의 부재를 연결함으로써, 대략 부채 형상의 윤곽을 갖는다.
도 14D에 도시한 대향 전극체(420)는, 36개의 돌기 부재(414)를 갖고, 돌기 부재(414)는, 인접하는 선상의 부재를 연결함으로써, 대략 부채 형상의 윤곽을 갖는다.
도 14A 내지 도 14D에 도시한 대향 전극체(390 내지 420)의 돌기 부재의 내측 단부(216)를 가상적으로 매끄럽게 연결함으로써, 가상 원 C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제3종의 대향 전극체에 있어서도 제1종의 대향 전극과 마찬가지로, 가상 원 C의 반경은 외주부(212)의 반경의 절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 부재(354 내지 424)의 형상은 적절하게 변경해도 되지만, 상기 돌기 부재(354 내지 424)의 각 대향 전극(350 내지 420)에 있어서의 반경 방향의 길이는, 외주부(212)의 반경의 적어도 절반 이상이다.
<<제4종의 대향 전극체>>
또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 전극체(430)는, 4개의 돌기 부재(437)가 주위 방향을 따라 90도마다 배치되어 있다. 돌기 부재(437)는, 선상 부재(437a)와 내측 원호상 부재(437b)와 외측 원호상 부재(437c)를 갖는다. 선상 부재(437a)는 직선상의 형상을 갖고, 반경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내측 원호상 부재(437b)는, 원호상의 형상을 갖고, 선상 부재(437a)의 내측 단부(216)에 배치되어 있다. 외측 원호상 부재(437c)는, 원호상의 형상을 갖고, 선상 부재(437a)의 대략 중간에 배치되어 있다.
4개의 돌기 부재(437) 각각에 설치된 내측 원호상 부재(437b)는 각각 90도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4개의 내측 원호상 부재(437b)를 연결함으로써, 대향 전극체(430)와 동일 평면 상에 가상 원 C1을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4개의 외측 원호상 부재(437c)도, 각각 90도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4개의 외측 원호상 부재(437c)를 연결함으로써 대향 전극체(430)와 동일 평면 상에 가상 원 C2를 형성할 수 있다. 외측 원호상 부재(437c)로 형성된 가상 원 C2의 직경은, 내측 원호상 부재(437b)로 형성된 가상 원 C1의 직경보다 길다. 가상 원 C1 및 C2는, 동심 형상으로 배치된다.
또한, 내측 원호상 부재(437b)와 외측 원호상 부재(437c)는, 중심 O를 중심으로 한 평면각 θ가 동등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외측 원호상 부재(437c)의 원호 방향을 따른 길이는, 내측 원호상 부재(437b)의 원호 방향을 따른 길이보다 길다.
도 15에 도시한 대향 전극체(430)에서는, 4개의 내측 원호상 부재(437b) 각각이, 방전 전극체(150)(도 1 참조)와의 거리가 가장 짧게 위치하여, 코로나 방전이 가장 발생하기 쉽다. 또한, 4개의 외측 원호상 부재(437c) 각각은, 방전 전극체(150)와의 거리가, 4개의 내측 원호상 부재(437b)보다 길고, 방전 전극체(150)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여, 코로나 방전은 발생하기 어렵다. 그러나 외측 원호상 부재(437c)의 원호 방향의 길이가, 내측 원호상 부재(437b)의 원호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어, 어느 개소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기 쉽게 할 수 있다.
4개의 내측 원호상 부재(437b)에 의해 코로나 방전을 선택적으로 발생시켜 오존을 간헐적으로 발생시킨다. 또한, 4개의 외측 원호상 부재(437c)에 의해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킴으로써, 이온풍의 양을 보완할 수 있어, 대향 전극체(430) 전체에서 발생하는 이온풍의 양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6A에 도시한 대향 전극체(440)에서는, 8개의 돌기 부재(437)가 주위 방향을 따라 45도마다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도, 8개의 내측 원호상 부재(437b)에 의해 코로나 방전을 선택적으로 발생시켜 오존을 간헐적으로 발생시킨다. 또한, 8개의 외측 원호상 부재(437c)에 의해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킴으로써, 이온풍의 양을 보완할 수 있어, 대향 전극체(440) 전체에서 발생하는 이온풍의 양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6B에 도시한 대향 전극체(450)도, 8개의 돌기 부재(437)가 주위 방향을 따라 45도마다 배치되어 있다. 돌기 부재(437)는, 선상 부재(437a)와 내측 원호상 부재(437b)와 제1 외측 원호상 부재(437c)와 제2 외측 원호상 부재(437d)를 갖는다.
8개의 내측 원호상 부재(437b)는, 각각 45도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8개의 내측 원호상 부재(437b)를 연결함으로써 대향 전극체(450)와 동일 평면 상에 가상 원 C1을 형성할 수 있다.
8개의 제1 외측 원호상 부재(437c)는, 각각 45도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8개의 제1 외측 원호상 부재(437c)를 연결함으로써 대향 전극체(450)와 동일 평면 상에 가상 원 C2를 형성할 수 있다.
8개의 제2 외측 원호상 부재(437d)는, 각각 45도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8개의 제2 외측 원호상 부재(437d)를 연결함으로써 대향 전극체(450)와 동일 평면 상에 가상 원 C3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도, 8개의 내측 원호상 부재(437b)에 의해 코로나 방전을 선택적으로 발생시켜 오존을 간헐적으로 발생시킨다. 또한, 8개의 제1 외측 원호상 부재(437c)와 8개의 제2 외측 원호상 부재(437d)에 의해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킴으로써, 이온풍의 양을 더 보완할 수 있어, 대향 전극체(450) 전체에서 발생하는 이온풍의 양을 유지할 수 있다.
제1 외측 원호상 부재(437c)로 형성된 가상 원 C2의 직경은, 내측 원호상 부재(437b)로 형성된 가상 원 C1의 직경보다 길다. 또한, 제2 외측 원호상 부재(437d)로 형성된 가상 원 C3의 직경은, 제1 외측 원호상 부재(437c)로 형성된 가상 원 C2의 직경보다 길다. 가상 원 C1, C2 및 C3은, 동심 형상으로 배치된다.
또한, 도 16C에 도시한 대향 전극체(460)와 같이, 원호상 부재(437b)의 형상을 직선상으로 함과 함께 폭을 굵게 해도 된다.
4개의 내측 원호상 부재(437b)에 의해 코로나 방전을 선택적으로 발생시켜 오존을 간헐적으로 발생시킨다. 또한, 4개의 외측 원호상 부재(437c)에 의해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킴으로써, 이온풍의 양을 보완할 수 있어, 방전 전극체 전체에서 발생하는 이온풍의 양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7A에 도시한 대향 전극체(470)는, 8개의 돌기 부재(477)가 주위 방향을 따라 90도마다 배치되어 있다. 돌기 부재(477)는, 선상 부재(477a)와 내측 원호상 부재(477b)와 제1 외측 환상 부재(477c)와 제2 외측 환상 부재(477d)를 갖는다.
선상 부재(477a)는, 직선상의 형상을 갖고, 반경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내측 원호상 부재(477b)는, 원호상의 형상을 갖고, 선상 부재(477a)의 내측 단부(216)에 배치된다.
제1 외측 환상 부재(477c)와 제2 외측 환상 부재(477d)는, 환상의 형상을 갖는다. 제1 외측 환상 부재(477c)에 의해, 대향 전극체(430)와 동일 평면 상에 가상 원 C2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외측 환상 부재(477d)에 의해, 대향 전극체(470)와 동일 평면 상에 가상 원 C3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도, 8개의 내측 원호상 부재(437b)에 의해 코로나 방전을 선택적으로 발생시켜 오존을 간헐적으로 발생시킨다. 또한, 제1 외측 환상 부재(477c)와 제2 외측 환상 부재(477d) 중 어느 개소에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킴으로써, 이온풍의 양을 더 보완할 수 있어, 대향 전극체(470) 전체에서 발생하는 이온풍의 양을 유지할 수 있다.
제1 외측 환상 부재(477c)로 형성된 가상 원 C2의 직경은, 내측 원호상 부재(437b)로 형성된 가상 원 C1의 직경보다 길다. 또한, 제2 외측 환상 부재(477d)로 형성된 가상 원 C3의 직경은, 제1 외측 환상 부재(477c)로 형성된 가상 원 C2의 직경보다 길다. 가상 원 C1, C2 및 C3은, 동심 형상으로 배치된다.
도 17B에 도시한 대향 전극체(480)는, 16개의 돌기 부재(477)가 주위 방향을 따라 22.5도마다 배치되어 있다. 돌기 부재(477)는, 선상 부재(477a)와 환상 부재(477b)를 갖는다.
선상 부재(477a)는, 직선상의 형상을 갖고, 반경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선상 부재(477a)는, 내측 단부(216)를 갖는다. 환상 부재(477b)는, 환상의 형상을 갖는다.
선상 부재(477a)의 내측 단부(216)에 의해, 대향 전극체(480)와 동일 평면 상에 가상 원 C1을 형성할 수 있다. 환상 부재(477b)에 의해, 대향 전극체(480)와 동일 평면 상에 가상 원 C2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도, 16개의 내측 단부(216)에 의해 코로나 방전을 선택적으로 발생시켜 오존을 간헐적으로 발생시킨다. 또한, 환상 부재(477b)의 어느 개소에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킴으로써, 이온풍의 양을 더 보완할 수 있어, 대향 전극체(480) 전체에서 발생하는 이온풍의 양을 유지할 수 있다.
환상 부재(477b)로 형성된 가상 원 C2의 직경은, 16개의 내측 단부(216)로 형성된 가상 원 C1의 직경보다 길다. 가상 원 C1 및 C2는, 동심 형상으로 배치된다.
이 제4종의 대향 전극체에 있어서도 제1종의 대향 전극에 있어서의 가상 원 C와 마찬가지로, 가상 원 C1의 반경은 외주부(212)의 반경의 절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돌기 부재(437a 및 477a)의 형상은 적절하게 변경해도 되지만, 상기 돌기 부재(437a 및 477a)의 각 대향 전극(440 내지 480)에 있어서의 반경 방향의 길이는, 외주부(212)의 반경의 적어도 절반 이상이다.
<<제5종의 대향 전극체>>
이상과 같이, 하나의 대향 전극체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 전극체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8A에 도시한 대향 전극체(500)와 같이, 7개의 대향 전극체(290)를 모두 동등한 형상(직경이 동등한 대략 환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제2 대향 전극체(290b)가 제1 대향 전극체(290a)의 외주부를 따라, 또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략 정육각 형상을 가정하였을 때, 6개의 제2 대향 전극체(290b)의 중심이 당해 대략 정육각 형상의 각 정점을 이루도록, 각각이 인접하도록 제2 대향 전극체(290b)를 설치한다. 제1 대향 전극체(290a)를, 제2 대향 전극체(290b)의 각각에 또한 접하도록, 즉, 제2 대향 전극체(290b)에 의해 가정된 대략 정육각 형상의 중심에 배치되도록 설치하는 것으로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제2 대향 전극체(290b)는, 반드시 인접하는 대향 전극과 인접하고 있지는 않아도 되고, 근접하고 있는 상태여도 되지만, 너무 이격되어 있으면, 발생하는 이온풍의 풍량이 저하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각 제2 대향 전극체(290b)는, 인접하는 대향 전극체의 외주 사이의 거리, 특히 최단이 되는 거리가, 제2 대향 전극체(290b)의 직경 이하, 또는, 혹은 직경의 1/n 이하; n은 자연수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제1 대향 전극체(290a)는, 반드시 모든 제2 대향 전극체(290b)와 접하고 있지는 않아도 되고, 근접하고 있는 상태여도 되지만, 제2 대향 전극체(290b)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고 있는 것이 적합하다. 그 경우에 있어서도, 외주 사이의 최단이 되는 거리가 제1 대향 전극체(290a)나 제2 대향 전극체(290b)의 직경 이하 혹은 직경의 1/n 이하; n은 자연수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도 1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대향 전극체(290)를 횡방향으로 나열하고, 3개의 대향 전극체(290)를 종방향으로 나열하여, 합계 12개의 대향 전극체(290)를 평면 내에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방전 전극체(150)>>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방전 전극체(150)에 관한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방전 전극체(150)는, 상술한 각종 대향 전극체와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는 한, 그 형상이나 수나 크기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방전 전극체(150)는, 단일의 바늘 형상의 형상을 갖는 전극체로 할 수 있다.
또한, 단일뿐만 아니라, 복수의 바늘 형상의 형상을 갖는 전극체로 해도 된다. 대향 전극체의 수나 형상이나 배치에 따라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기 쉬운 위치에 복수의 바늘 형상 각각이 위치하도록 하면 된다. 예를 들어, 도 18A에 도시한 예에서는, 7개의 대향 전극체(290) 각각의 중심을 향하도록 7개의 바늘 형상의 형상을 갖는 전극체를 배치하면 된다. 또한, 도 18B에 도시한 예에서는, 12개의 대향 전극체(290) 각각의 중심을 향하도록 12개의 바늘 형상의 형상을 갖는 전극체를 배치하면 된다.
바늘 형상의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선단을 뾰족하게 한 것이 바람직하다. 선단을 뾰족하게 함으로써 방전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방전 전극체(150)로서, 바늘 형상의 형상을 갖는 전극체가 아닌, 원판상이나 환상의 형상을 갖는 전극체를 사용해도 된다.
원판상이나 환상의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외주측을 뾰족하게 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두께가 외측을 향해 점차 얇아지도록 나이프 에지상(예각을 이루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주측을 뾰족하게 함으로써 외주의 모든 개소에서 방전시키기 쉽게 할 수 있어, 방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환상의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가느다란 금속선 등으로 환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피아노선 등의 가느다란 금속선 등의 도전체를 사용함으로써 나이프 에지상으로 형성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외주의 모든 개소에서 방전시키기 쉽게 할 수 있어, 방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방전 전극체(150)에 의해 정해지는 축선과, 대향 전극체에 의해 정해지는 축선이 일치하도록 서로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전되기 쉬운 개소를 증가시켜 방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방전 전극체(150)는, 소정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축선을 획정할 수 있는 형상이나 배치나 수를 가지면 된다. 예를 들어, 방전 전극체(150)가 긴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긴 쪽 방향을 축선의 방향으로 하면 된다. 또한, 방전 전극체(150)가 대칭성을 갖는 경우에는, 대칭 축을 방전 전극체(150)의 축선으로 할 수 있다. 대칭성은, 선 대칭이나 점 대칭이나 회전 대칭 등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판상의 형상이나 환상의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중심이나 무게 중심을 통과함과 함께 원판이나 환이 포함되는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을 축선으로 하면 된다.
또한, 축선은, 방전 전극체(150)의 중심 등을 통과할 필요는 없고, 치우친 위치에 존재하는 축이라도, 방전 전극체(150)의 외형이나 배치의 특징과 관련된 축이면 된다.
이와 같이, 방전 전극체(150)는, 축선을 획정할 수 있는 형상이나 배치를 가지면 되고, 특정한 형상이나 수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상 원 C의 형성과 코로나 방전>>
상술한 바와 같이, 코로나 방전은, 대향 전극체(210 내지 510)에서 발생한다. 대향 전극체(210 내지 510)는, 내측 단부(216)를 갖고, 코로나 방전의 용이성은, 내측 단부(216)의 형상에 따라 정해진다.
<내측 단부(216)가 예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단부(216)가 예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예각으로 형성된 선단부 P의 개소가, 방전 전극체(150)와의 거리가 가장 짧아지고, 내측 단부(216)의 선단부 P 이외의 개소는, 방전 전극체(150)와의 거리가 길어진다. 이러한 내측 단부(216)의 형상과, 방전 전극체(150)로부터의 거리의 관계로부터, 코로나 방전은, 선단부 P에서 가장 발생하기 쉬워지고, 선단부 P 이외의 개소에서는, 선단부 P보다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구체적으로는, 선단부 P로부터 이격되어 방전 전극체(150)와의 거리가 길어짐에 따라서 코로나 방전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와 같이, 내측 단부(216)의 형상을 예각으로 형성함으로써, 선단부 P에서 코로나 방전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선단부 P에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기 쉽게 함으로써, 오존도 선단부 P의 부근에서 발생하기 쉬워진다.
내측 단부(216)의 형상을 예각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단부(216) 각각의 선단부 P를 가상적으로 매끄럽게 연결함으로써 중심 O를 갖는 가상 원 C를 형성할 수 있다. 가상 원 C의 원주상의 모든 위치가, 방전 전극체(150)와 등거리가 되지만, 가상 원 C의 원주상에서 돌기 부재(214) 등이 존재하는 개소는, 선단부 P 뿐이다. 이 때문에, 가상 원 C의 원주상에서는,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는 개소는, 선단부 P 뿐이며, 오존을 간헐적으로 발생시키게 되어, 오존의 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내측 단부(216)가 볼록 형상으로 만곡된 형상을 갖는 경우>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단부(216)가 볼록 형상으로 만곡된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만곡된 개소 중 가장 돌출된 돌출부 P의 개소가, 방전 전극체(150)와의 거리가 가장 짧아지고, 내측 단부(216)의 돌출부 P 이외의 개소는, 방전 전극체(150)와의 거리가 길어진다. 이러한 내측 단부(216)의 형상과, 방전 전극체(150)로부터의 거리의 관계로부터, 코로나 방전은, 돌출부 P에서 가장 발생하기 쉬워지고, 돌출부 P 이외의 개소에서는, 돌출부 P보다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구체적으로는, 돌출부 P로부터 이격되어 방전 전극체(150)와의 거리가 길어짐에 따라서 코로나 방전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와 같이, 내측 단부(216)의 형상을 볼록 형상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돌출부 P에서 코로나 방전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돌출부 P에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기 쉽게 함으로써, 오존도 돌출부 P의 부근에서 발생하기 쉬워진다.
내측 단부(216)의 형상을 볼록 형상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단부(216) 각각의 돌출부 P를 가상적으로 매끄럽게 연결함으로써 중심 O를 갖는 가상 원 C를 형성할 수 있다. 가상 원 C의 원주상의 모든 위치가, 방전 전극체(150)와 등거리가 되지만, 가상 원 C의 원주상에서 돌기 부재(214) 등이 존재하는 개소는, 돌출부 P 뿐이다. 이 때문에, 가상 원 C의 원주상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는 개소는, 돌출부 P 뿐이며, 오존을 간헐적으로 발생시키게 되어, 오존의 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내측 단부(216)가 평탄면인 경우>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단부(216)가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평탄면에 포함되는 소정의 개소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예를 들어, 내측 단부(216)의 2개의 단부 A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거나, 평탄면의 중점 M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거나 한다. 2개의 단부 A는, 대략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고, 2개의 단부 A의 주변에서는,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기 쉬운 전장이 생성된다. 또한, 평탄면의 중점 M은, 방전 전극체(150)와의 거리가 가장 짧아지고, 내측 단부(216)의 중점 M 이외의 개소는, 방전 전극체(150)와의 거리가 길어진다.
이와 같이, 코로나 방전은, 2개의 단부 A나 중점 M에서 발생하기 쉬워지고, 단부 A나 중점 M 이외의 개소에서는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구체적으로는, 단부 A나 중점 M으로부터 이격되어 방전 전극체(150)와의 거리가 길어짐에 따라서 코로나 방전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와 같이, 내측 단부(216)의 형상을 평탄면으로 형성함으로써, 단부 A나 중점 M 등에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단부 A나 중점 M에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기 쉽게 함으로써, 오존도 단부 A나 중점 M의 부근에서 발생하기 쉬워진다.
내측 단부(216)의 형상을 평탄면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단부(216) 각각의 2개의 단부 A를 가상적으로 매끄럽게 연결함으로써 중심 O를 갖는 가상 원 C를 형성할 수 있다. 가상 원 C의 원주상에서 돌기 부재(214) 등이 존재하는 개소는, 단부 A이다. 이 때문에, 가상 원 C의 원주상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는 개소는, 단부 A이며, 단부 A에서 오존을 간헐적으로 발생시키게 되어, 오존의 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2개의 단부 A가 아닌, 내측 단부(216) 각각의 중점 M을 가상적으로 매끄럽게 연결함으로써 가상 원 C를 형성해도 된다. 가상 원 C는, 코로나 방전이 가장 발생하는 개소를 포함하도록 하여 형성하면 된다.
또한, 코로나 방전이, 단부 A와 중점 M의 양쪽에서 발생해도, 오존은, 간헐적으로 발생하여, 오존의 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내측 단부(216)가 오목 형상으로 만곡된 형상인 경우>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단부(216)가 오목 형상으로 만곡되어 구면의 일부의 형상인 경우에는, 만곡면 S의 전체가, 방전 전극체(150)와의 거리가 가장 짧아지고, 내측 단부(216)의 만곡면 S 이외의 개소는, 방전 전극체(150)와의 거리가 길어진다. 이러한 내측 단부(216)의 형상과, 방전 전극체(150)로부터의 거리의 관계로부터, 코로나 방전은, 만곡면 S의 어느 개소에서 발생하기 쉬워지고, 만곡면 S 이외의 개소에서는, 만곡면 S보다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구체적으로는, 만곡면 S로부터 이격되어 방전 전극체(150)와의 거리가 길어짐에 따라서 코로나 방전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와 같이, 내측 단부(216)의 형상을 오목 형상으로 만곡하여 구면의 일부의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만곡면 S에서 코로나 방전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만곡면 S에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기 쉽게 함으로써, 오존도 만곡면 S에서 발생하기 쉬워진다.
내측 단부(216)의 형상을 오목 형상으로 만곡하여 구면의 일부의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단부(216) 각각의 만곡면 S를 가상적으로 매끄럽게 연결함으로써, 중심 O를 갖는 가상 원 C를 형성할 수 있다. 가상 원 C의 원주상의 모든 위치가, 방전 전극체(150)와 등거리가 되지만, 가상 원 C의 원주상에서 돌기 부재(214) 등이 존재하는 개소는, 만곡면 S 뿐이다. 이 때문에, 가상 원 C의 원주상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는 개소는, 만곡면 S 뿐이며, 오존을 간헐적으로 발생시키게 되어, 오존의 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이온풍 발생 장치(110)에 있어서는, 방전 전극체(150)와 대향 전극체(210) 등의 한쪽 면(전방면)이 대향하고 있고, 대향 전극체(210) 등의 한쪽 면(전방면)측으로부터 대향 전극체(210) 등의 다른 쪽 면(배면)측을 향해 이온풍이 발생하는 구성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이와 같이, 전방면측으로부터 배면측을 향하도록 전체적으로 어떤 일방향으로 흐름을 갖는 이온풍으로 함으로써, 보다 멀리까지 이온풍을 확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어떤 공간에서 대략 반경 방향을 따라 넓어지도록(360°에 걸쳐) 이온풍을 확산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이온풍 발생 장치(110)와는 상이한 구조로 하는 것이 적합한 경우가 있다.
이하, 이러한 이온풍 발생 장치를, 제2 실시 형태로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풍 발생 장치(120)는,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전 전극체(160)와, 복수의 돌기 부재(614)를 갖는 환상의 대향 전극체(610)로 이루어진다. 방전 전극체(160)와, 환상의 대향 전극체(610)는 동심 형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복수의 돌기 부재(614)는, 인접하는 돌기 부재(614)의, 대향 전극체(610)의 환 중심측의 선단인 내측 단부(616)끼리를 가상적으로 매끄럽게 연결함으로써 대향 전극체(610)의 중심부에, 대향 전극체(610)와 동일 평면 상에 가상 원 C가 형성된다.
도 23 내지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의 방전 전극체(160 및 170)는, 원판상의 형상을 갖는다. 방전 전극체(160)의 외주부는, 두께가 외측을 향해 점차 얇아지도록 에지상(예각을 이루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방전 전극체(160)의 에지상의 외주부로부터 방전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대향 전극체(610, 620 및 630)는 주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2종의 대향 전극체를 사용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대향 전극체(610, 620 및 630)로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종, 제3종 또는 제4종의 대향 전극체를 사용해도 된다.
<대향 전극체(610)>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 전극체(610)는, 판상의 돌기 부재(614)를 갖고, 돌기 부재(614)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돌기 부재(614)는, 판상의 형상을 가지면 되고, 직사각 형상의 형상이나 부채 형상의 형상 등의 각종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돌기 부재(614)는 환상의 외주부(212)의 주위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도 23에 도시한 방전 전극체(160)와 대향 전극체(610)를 사용함으로써, 방전 전극체(160)의 외주부와, 돌기 부재(614)의 내측 단부(616)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킴으로써, 방전 전극체(160) 및 대향 전극체(610)의 반경 방향을 따라 넓어지도록 이온풍을 확산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의 대향 전극체(610)는, 복수 매가 겹쳐져 있다. 도 23B에 도시한 예에서는, 6매의 대향 전극체(610)가 겹쳐져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방전 전극체(160)의 외주부와 6매의 대향 전극체(610) 중 어느 돌기 부재(614)의 내측 단부(616)와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는 개소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어, 원하는 양이 되도록 이온풍(W)을 확산시킬 수 있다.
<가상 원 C와 오존 농도의 저감>
도 2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단부(616)가 오목 형상으로 만곡되어 구면의 일부의 형상인 경우에는, 만곡면 S 전체가, 방전 전극체(160)와의 거리가 가장 짧아지고, 내측 단부(616)의 만곡면 S 이외의 개소는, 방전 전극체(160)와의 거리가 길어진다. 이러한 내측 단부(616)의 형상과, 방전 전극체(160)로부터의 거리의 관계로부터, 코로나 방전은, 만곡면 S의 어느 개소에서 발생하기 쉬워지고, 만곡면 S 이외의 개소에서는, 만곡면 S보다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구체적으로는, 만곡면 S로부터 이격되어 방전 전극체(160)와의 거리가 길어짐에 따라서 코로나 방전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와 같이, 내측 단부(616)의 형상을 오목 형상으로 만곡하여 구면의 일부의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만곡면 S에서 코로나 방전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만곡면 S에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기 쉽게 함으로써, 오존도 만곡면 S에서 발생하기 쉬워진다.
내측 단부(616)의 형상을 오목 형상으로 만곡하여 구면의 일부의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도 2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단부(616)의 각각의 만곡면 S를 가상적으로 매끄럽게 연결함으로써 가상 원 C를 형성할 수 있다. 가상 원 C의 원주상의 모든 위치가, 방전 전극체(160)와 등거리가 되지만, 가상 원 C의 원주상에서 돌기 부재(614) 등이 존재하는 개소는, 만곡면 S 뿐이다. 이 때문에, 가상 원 C의 원주상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는 개소는, 만곡면 S 뿐이며, 오존을 간헐적으로 발생시키게 되어, 오존의 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대향 전극체(620)>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 전극체(620)는, 판상의 돌기 부재(614)를 갖고, 돌기 부재(614)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돌기 부재(614a)와 대략 반타원 형상의 돌기 부재(614b)를 갖는다.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돌기 부재(614a)와 대략 반타원 형상의 돌기 부재(614b)는, 환상의 외주부(212)의 주위 방향을 따라 교대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방전 전극체(170)의 외주부(172)에는,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174)가 주위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74)의 선단으로부터 방전할 수 있다.
도 24에 도시한 방전 전극체(170)와 대향 전극체(620)를 사용함으로써, 방전 전극체(170)의 외주부(172)의 돌출부(174)의 선단과, 돌기 부재(614a 및 614b)의 내측 단부(616)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킴으로써, 방전 전극체(170) 및 대향 전극체(620)의 반경 방향을 따라 넓어지도록 이온풍(W)을 확산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의 대향 전극체(620)는, 복수 매가 겹쳐져 있다. 도 24B에 도시한 예에서는, 6매의 대향 전극체(620)가 겹쳐져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방전 전극체(170)의 돌출부(174)의 선단과 6매의 대향 전극체(620)의 어느 돌기 부재(614a 및 614b)의 내측 단부(616)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는 개소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어, 원하는 양이 되도록 이온풍(W)을 확산시킬 수 있다.
<가상 원 C와 오존 농도의 저감>
도 2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 부재(614)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돌기 부재(614a)와 대략 반타원 형상의 돌기 부재(614b)를 갖는다.
코로나 방전은, 돌기 부재(614a)의 평탄면에 포함되는 소정의 개소에서 발생하기 쉬워진다. 예를 들어, 돌기 부재(614a)의 2개의 단부 A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거나, 평탄면의 중점 M 등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거나 한다. 2개의 단부 A는, 대략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고, 2개의 단부 A의 주변에서는,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기 쉬운 전장이 생성된다. 또한, 평탄면의 중점 M은, 방전 전극체(170)와의 거리가 가장 짧아지고, 돌기 부재(614a)의 중점 M 이외의 개소는, 방전 전극체(170)와의 거리가 길어진다.
이와 같이, 코로나 방전은, 2개의 단부 A나 중점 M에서 발생하기 쉬워지고, 단부 A나 중점 M 이외의 개소에서는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구체적으로는, 단부 A나 중점 M으로부터 이격되어 방전 전극체(170)와의 거리가 길어짐에 따라서 코로나 방전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와 같이, 돌기 부재(614a)의 형상을 평탄면으로 형성함으로써, 단부 A나 중점 M 등에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단부 A나 중점 M에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기 쉽게 함으로써, 오존도 단부 A나 중점 M 부근에서 발생하기 쉬워진다.
도 2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 부재(614a) 각각의 2개의 단부 A를 가상적으로 매끄럽게 연결함으로써 중심 O를 갖는 가상 원 C를 형성할 수 있다. 가상 원 C의 원주상에서 돌기 부재(214) 등이 존재하는 개소는, 단부 A이다. 이 때문에, 가상 원 C의 원주상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는 개소는, 단부 A이며, 단부 A에서 오존을 간헐적으로 발생시키게 되어, 오존의 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코로나 방전은, 돌기 부재(614b)의 가장 돌출된 돌출부 P의 개소에서도 발생하기 쉽다. 코로나 방전이, 단부 A뿐만 아니라, 중점 M이나 돌출부 P에서 발생해도, 오존은, 간헐적으로 발생하여, 오존의 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방전 전극체(170)는, 돌출부(174)를 갖고 있고, 돌출부(174)와의 거리에 의해서도 코로나 방전의 용이성이 결정되지만, 오존을 간헐적으로 발생시켜, 오존의 농도를 저감시키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대향 전극체(630)>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 전극체(630)는, 판상의 돌기 부재(614)를 갖고, 돌기 부재(614)는, 대략 부채 형상의 형상을 갖는다. 대략 부채 형상의 돌기 부재(614)는, 환상의 외주부(212)의 주위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도 25에 도시한 방전 전극체(160)와 대향 전극체(630)를 사용함으로써, 방전 전극체(160)의 외주부와, 대략 부채 형상의 돌기 부재(614)의 내측 단부(616) 사이에서 간헐적(선택적)으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킴으로써, 방전 전극체(160) 및 대향 전극체(630)의 반경 방향을 따라 넓어지도록 이온풍(W)을 확산시킬 수 있다.
<가상 원 C와 오존 농도의 저감>
도 2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단부(616)가 예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예각으로 형성된 선단부 P의 개소가, 방전 전극체(160)와의 거리가 가장 짧아지고, 내측 단부(616)의 선단부 P 이외의 개소는, 방전 전극체(160)와의 거리가 길어진다. 이러한 내측 단부(616)의 형상과, 방전 전극체(160)로부터의 거리의 관계로부터, 코로나 방전은, 선단부 P에서 가장 발생하기 쉬워지고, 선단부 P 이외의 개소에서는, 선단부 P보다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구체적으로는, 선단부 P로부터 이격되어 방전 전극체(160)와의 거리가 길어짐에 따라서 코로나 방전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와 같이, 내측 단부(616)의 형상을 예각으로 형성함으로써, 선단부 P에서 코로나 방전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선단부 P에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기 쉽게 함으로써, 오존도 선단부 P 부근에서 발생하기 쉬워진다.
내측 단부(616)의 형상을 예각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도 2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단부(216) 각각의 선단부 P를 가상적으로 매끄럽게 연결함으로써 가상 원 C를 형성할 수 있다. 가상 원 C의 원주상의 모든 위치가, 방전 전극체(160)와 등거리가 되지만, 가상 원 C의 원주상에서 돌기 부재(614) 등이 존재하는 개소는, 선단부 P 뿐이다. 이 때문에, 가상 원 C의 원주상에서는,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는 개소는, 선단부 P 뿐이며, 오존을 간헐적으로 발생시키게 되어, 오존의 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환상의 대향 전극체(610, 620 또는 630)에 있어서의 내측 단부(616)와, 방전 전극체(160 또는 170)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면, 대향 전극체(610, 620 또는 630)의 내측 단부(616)에서 발생한 이온풍은, 대향 전극체(610, 620 또는 630)에 있어서의 방전 전극체(160 또는 170)와 대향하지 않는 측으로 방출되어, 대향 전극체(610, 620 또는 630)에 있어서의 방전 전극체(160 또는 170)와 대향하지 않는 측으로 부압이 발생한다. 부압이 발생한 공간을 향해, 대향 전극체(610, 620 또는 630)의 주위를 둘러싸는 공기가 흡인되고, 흡인된 공기에 의해, 대향 전극체(610, 620 또는 630)에 있어서의 방전 전극체(160 또는 170)와 대향하지 않는 측으로 압출되는 이온풍의 풍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이온풍 발생 장치(120)는, 바꾸어 말하면,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이온풍 발생 장치(110)에 있어서, 방전 전극체(160 또는 170)의 형상을, 대향 전극체(210 내지 480)에 있어서의 가상 원 C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이 되는 환상으로 하고, 대향 전극체(210 내지 480)가 존재하는 평면에 의해 근접시킨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체(610, 620 또는 630)의 형상은,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대향 전극체(210 내지 480)의 형상과 마찬가지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이상, 환상을 이루는 대향 전극체에 있어서, 그 형상을 특정한 것으로 함으로써 이온풍 중에 포함되는 오존의 발생을 저감 가능한 다른 형태로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이온풍 발생 장치(110) 및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이온풍 발생 장치(12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다음으로 대향 전극체가 환상을 이루지 않는 경우에 대해,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이온풍 발생 장치(130)로서 설명한다.
상술한 예에서는, 대향 전극체인 수전극의 전극체의 형상이 대략 환상의 형상을 갖는 경우를 나타냈다. 수전극의 전극체의 형상은, 직선상의 형상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수전극의 전극체의 형상에 따라서, 방전극의 전극체의 형상도 직선상의 형상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풍 발생 장치(130)는, 도 26A 및 도 2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가 직선상으로 형성된 방전 전극체(180)와, 복수의 돌기 부재(714)가 직선상으로 배치된 대향 전극체(700 또는 710)로 이루어진다. 방전 전극체(180)와, 직선상의 대향 전극체(700 또는 710)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방전 전극체(180)는, 박판상이고, 또한 대향 전극체(700 또는 710)와 대향하는 면이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대향 전극체(700 또는 710)와 대향하는 면은, 두께가 외측을 향해 점차 얇아지도록 나이프 에지상(예각을 이루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향 전극체(700 또는 710)와 대향하는 면 측을 뾰족하게 함으로써, 모든 개소에서 방전시키기 쉽게 할 수 있어, 방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방전 전극체(180)는 박판상이 아닌, 가느다란 금속선 등으로 직선상의 도전체로 형성해도 된다. 피아노선 등의 가느다란 금속선을 사용함으로써 나이프 에지상으로 형성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모든 개소에서 방전시키기 쉽게 할 수 있어, 방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돌기 부재(714)는, 인접하는 돌기 부재(714)의 단부(716)를 가상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대향 전극체(700 또는 710)와 동일 평면 상에 가상 직선 L이 형성된다.
<대향 전극체(700)>
도 2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 전극체(700)는, 판상의 돌기 부재(714)를 갖고, 돌기 부재(714)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돌기 부재(714)는, 판상의 형상을 가지면 되고, 직사각 형상의 형상이나 부채 형상의 형상 등의 각종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도 26A에 도시한 방전 전극체(180)와 대향 전극체(700)를 사용함으로써, 방전 전극체(180)의 단부와, 돌기 부재(714)의 단부(716) 사이에서 간헐적(선택적)으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킴으로써, 방전 전극체(180)로부터 대향 전극체(700)를 향해 띠 형상으로 이온풍이 이동하도록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의 대향 전극체(700)는, 복수 매가 겹쳐져 있다. 도 26A에 도시한 예에서는, 6매의 대향 전극체(700)가 겹쳐져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방전 전극체(180)의 외주부와 6매의 대향 전극체(700)의 어느 돌기 부재(714)의 단부(716) 사이에서 (간헐적)선택적으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는 개소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어, 원하는 양이 되도록 이온풍(W)을 확산시킬 수 있다.
<가상 직선 L과 오존 농도의 저감>
도 2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716)가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평탄면에 포함되는 소정의 개소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예를 들어, 단부(716)의 2개의 단부 A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한다. 2개의 단부 A의 주변에서는,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기 쉬운 전장이 생성된다. 또한, 2개의 단부 A는, 방전 전극체(180)와의 거리가 가장 짧아지고, 단부(716)의 2개의 단부 A 이외의 개소는, 방전 전극체(180)와의 거리가 길어진다.
이와 같이, 코로나 방전은, 2개의 단부 A에서 발생하기 쉬워지고, 단부 A 이외의 개소에서는,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구체적으로는, 단부 A로부터 이격되어 방전 전극체(180)와의 거리가 길어짐에 따라서 코로나 방전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와 같이, 단부(716)의 형상을 평탄면으로 형성함으로써, 단부 A 등에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단부 A에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기 쉽게 함으로써, 오존도 단부 A의 부근에서 발생하기 쉬워진다.
단부(716)의 형상을 평탄면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도 2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716) 각각의 2개의 단부 A를 가상적으로 매끄럽게 연결함으로써 가상 직선 L을 형성할 수 있다. 가상 직선 L 상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는 개소는, 단부 A이며, 단부 A에서 오존을 간헐적으로 발생시키게 되어, 오존의 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대향 전극체(710)>
도 2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 전극체(710)는, 판상의 돌기 부재(714)를 갖고, 돌기 부재(714)는 대략 반타원 형상의 형상을 갖는다.
도 26B에 도시한 방전 전극체(180)와 대향 전극체(710)를 사용함으로써, 방전 전극체(180)의 단부와, 대략 반타원 형상의 돌기 부재(714)의 단부(716) 사이에서 (간헐적)선택적으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킴으로써, 방전 전극체(180)로부터 대향 전극체(710)를 향해 가느다란 띠 형상으로 이온풍이 이동하도록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의 대향 전극체(710)는, 복수 매가 겹쳐져 있다. 도 26B에 도시한 예에서는, 6매의 대향 전극체(710)이 겹쳐져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방전 전극체(180)의 외주부와 6매의 대향 전극체(710)의 어느 돌기 부재(714)의 단부(716) 사이에서 간헐적(선택적)으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는 개소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어, 원하는 양이 되도록 이온풍(W)을 확산시킬 수 있다.
<가상 직선 L과 오존 농도의 저감>
도 2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716)가 볼록 형상으로 만곡된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만곡된 개소 중 가장 돌출된 돌출부 P의 개소가, 방전 전극체(180)와의 거리가 가장 짧아지고, 단부(716)의 돌출부 P 이외의 개소는, 방전 전극체(180)와의 거리가 길어진다. 이러한 단부(716)의 형상과, 방전 전극체(180)로부터의 거리의 관계로부터, 코로나 방전은, 돌출부 P에서 가장 발생하기 쉬워지고, 돌출부 P 이외의 개소에서는, 돌출부 P보다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구체적으로는, 돌출부 P로부터 이격되어 방전 전극체(180)와의 거리가 길어짐에 따라서 코로나 방전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와 같이, 단부(716)의 형상을 볼록 형상으로 만곡한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돌출부 P에서 코로나 방전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돌출부 P에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기 쉽게 함으로써, 오존도 돌출부 P의 부근에서 발생하기 쉬워진다.
단부(716)의 형상을 볼록 형상으로 만곡한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도 2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716) 각각의 돌출부 P를 가상적으로 매끄럽게 연결함으로써 가상 직선 L을 형성할 수 있다. 가상 직선 L의 모든 위치가, 방전 전극체(180)와 등거리가 되지만, 가상 직선 L에서 돌기 부재(714) 등이 존재하는 개소는, 돌출부 P 뿐이다. 이 때문에, 단부(716) 상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는 개소는, 돌출부 P 뿐이며, 오존을 간헐적으로 발생시키게 되어, 오존의 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110 : 이온풍 발생 장치
150 : 방전 전극체
210 : 대향 전극체
270 : 대향 전극체
320 : 대향 전극체
430 : 대향 전극체
610 : 대향 전극체
700 : 대향 전극체

Claims (10)

  1. 방전부를 갖는 방전 전극체와, 환상의 외주부와 상기 외주부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의 각각이 비단부와 상기 비단부와는 상이한 단부를 갖는 대향 전극체로 이루어지는 전극 쌍을 구비하고, 상기 방전부와 상기 대향 전극체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켜 코로나 방전에 의해 이온·오존풍을 발생시키는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이며,
    상기 복수의 돌기부의 단부는, 단일의 평면 내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또한 상기 평면 내에 있어서 상기 방전 전극체의 축선을 주회하고,
    상기 방전 전극체의 상기 방전부는, 상기 단일의 평면과는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의 각각은, 상기 대향 전극체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 각각의 길이는, 상기 대향 전극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당해 대향 전극체의 반경의 적어도 절반 이상이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는, 짧은 쪽 방향 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영역을 갖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의 단부는,
    상기 방전부와의 거리가 상기 비단부보다 짧고,
    코로나 방전이 상기 비단부보다 발생하기 쉽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의 단부와 상기 방전부의 거리에 기초하는 코로나 방전의 발생 용이성과, 상기 비단부와 상기 방전부의 거리에 기초하는 코로나 방전의 발생 용이성에 의해 상기 대향 전극체의 전체적으로 발생하는 오존 농도를 저감시키는,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
  2. 방전부를 갖는 방전 전극체와, 환상의 외주부와 상기 외주부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의 각각이 비단부와 상기 비단부와는 상이한 단부를 갖는 대향 전극체로 이루어지는 전극 쌍을 구비하고, 상기 방전부와 상기 대향 전극체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켜 코로나 방전에 의해 이온·오존풍을 발생시키는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이며,
    상기 복수의 돌기부의 단부는, 단일의 평면 내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또한 상기 평면 내에 있어서 방전 전극체의 축선을 주회하여 배치되고,
    상기 방전 전극체의 상기 방전부는, 상기 단일의 평면과는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의 각각은, 상기 대향 전극체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 각각의 길이는, 상기 대향 전극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당해 대향 전극체의 반경의 적어도 절반 이상인,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 전극체의 중심은, 상기 방전 전극체의 축선 상에 위치하는,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송풍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부 중 인접하는 돌기부가, 주위 방향을 따라 45도 간격 또는 90도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부의 단부는, 하나의 원주 상을 따라 위치하는,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전극체는, 바늘 형상 전극체를 갖는,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
  8. 방전부를 갖는 판상의 방전 전극체와, 직선상의 외변부와 상기 외변부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의 각각이 비단부와 상기 비단부와는 상이한 단부를 갖는 대향 전극체로 이루어지는 전극 쌍을 구비하고, 상기 방전부와 상기 대향 전극체 사이에 전위차를 발생시켜 코로나 방전에 의해 이온·오존풍을 발생시키는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이며,
    상기 복수의 돌기부의 단부는, 단일의 평면 내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방전부는, 상기 복수의 돌기부와 대향하는 측이 박판상이고, 또한 나이프 에지상 또는 직선상의 도전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의 각각은, 상기 외변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부의 단부는,
    상기 방전부와의 거리가 상기 비단부보다 짧고,
    코로나 방전이 상기 비단부보다 발생하기 쉽고,
    상기 복수의 돌기부의 단부와 상기 방전부의 거리에 기초하는 코로나 방전의 발생 용이성과, 상기 비단부와 상기 방전부의 거리에 기초하는 코로나 방전의 발생 용이성에 의해 상기 대향 전극체의 전체적으로 발생하는 오존 농도를 저감시키는, 이온·오존풍 발생 장치.
  10. 삭제
KR1020187025854A 2016-03-30 2017-02-08 이온풍 발생 장치 KR1020798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68853 2016-03-30
JP2016068853A JP6114430B1 (ja) 2016-03-30 2016-03-30 イオン風発生装置
PCT/JP2017/004602 WO2017169153A1 (ja) 2016-03-30 2017-02-08 イオン風発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078A KR20180110078A (ko) 2018-10-08
KR102079889B1 true KR102079889B1 (ko) 2020-02-20

Family

ID=58666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5854A KR102079889B1 (ko) 2016-03-30 2017-02-08 이온풍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70100B2 (ko)
EP (1) EP3439124A4 (ko)
JP (1) JP6114430B1 (ko)
KR (1) KR102079889B1 (ko)
CN (1) CN109075537B (ko)
TW (1) TWI617105B (ko)
WO (1) WO20171691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98074B2 (ja) * 2016-08-01 2019-10-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放電装置およびこれの製造方法
JP7037146B2 (ja) * 2017-10-18 2022-03-16 藤倉航装株式会社 収容方法、及び、被収容物の形成方法
JP2019188864A (ja) * 2018-04-19 2019-10-31 株式会社Soken 車室内空調システム
SE542019C2 (en) 2018-06-08 2020-02-11 Fumex Ab Support arm arrangement for a local gas extractor, and a local gas extractor with such a support arm arrangement
TWI667871B (zh) * 2018-08-07 2019-08-01 國立交通大學 風扇裝置
JP6890307B2 (ja) * 2018-08-29 2021-06-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放電装置、及びヘアケア装置
KR20200045600A (ko) * 2018-10-22 2020-05-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착 방법
JP7142243B2 (ja) * 2019-02-26 2022-09-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極装置、放電装置及び静電霧化システム
JP7228764B2 (ja) * 2019-09-24 2023-02-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放電装置及び電極装置
US20210290799A1 (en) * 2020-03-23 2021-09-23 University Of South Florida Corona discharge based treatments of articles
KR102300125B1 (ko) 2020-04-06 2021-09-07 김철 이온풍 공기 정화기
KR20210123871A (ko) 2020-04-06 2021-10-14 김철 실내용 이온풍 공기정화기
KR102552956B1 (ko) 2021-07-04 2023-07-06 김철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
KR102552955B1 (ko) 2021-07-04 2023-07-06 김철 이온풍 공기 정화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4926A (ja) * 2001-08-31 2003-03-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空気清浄機
JP5461736B1 (ja) * 2013-05-13 2014-04-02 株式会社 片野工業 イオン・オゾン風発生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1087A (ja) * 1992-12-14 1994-06-28 Ngk Spark Plug Co Ltd 電界装置
JP2003342005A (ja) 2002-05-28 2003-12-03 Hitachi Media Electoronics Co Ltd マイナスイオン及びオゾン発生装置
JP2004018348A (ja) 2002-06-19 2004-01-22 Tamachi Denki Kk オゾンおよびマイナスイオン発生装置
JP4407174B2 (ja) 2003-06-25 2010-02-03 有限会社アイ・テクノス マイナスイオン・オゾン発生装置
JP3100754U (ja) 2003-09-29 2004-05-27 正行 三田 マイナスイオン・オゾン発生装置
JP2006040702A (ja) * 2004-07-27 2006-02-09 Sumitomo Electric Ind Ltd イオン発生装置、そ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方法
US8004816B1 (en) * 2007-04-16 2011-08-23 Applied Energetics, Inc Disabling a target using electrical energy
JP2009123564A (ja) * 2007-11-16 2009-06-04 Panasonic Corp イオン発生装置、静電霧化装置及びこれらを用いた空調装置
JP5098883B2 (ja) * 2008-08-07 2012-12-12 Smc株式会社 放電電極清掃機構付きイオナイザ
FR2947416B1 (fr) 2009-06-29 2015-01-16 Univ Toulouse 3 Paul Sabatier Dispositif d'emission d'un jet de plasma a partir de l'air atmospherique a temperature et pression ambiantes et utilisation d'un tel dispositif
JP3155540U (ja) 2009-09-09 2009-11-19 明夫 片野 加圧式殺菌・消臭装置
RU2420742C1 (ru) * 2009-12-25 2011-06-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чреждение "Ростов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онколог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Федерального агентства по высокотехнологичной медицинской помощи" Способ прогнозирования развития метастазов у больных раком прямой кишки
RU2430742C1 (ru) * 2010-05-26 2011-10-10 Геннадий Алексеевич Копылов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диэлектрических сред от микроорганизм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CN203574224U (zh) * 2013-10-15 2014-04-30 南京华科皓纳电气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负氧离子发生装置
JP5613347B1 (ja) 2014-05-12 2014-10-22 株式会社 片野工業 イオン・オゾン風発生装置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4926A (ja) * 2001-08-31 2003-03-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空気清浄機
JP5461736B1 (ja) * 2013-05-13 2014-04-02 株式会社 片野工業 イオン・オゾン風発生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39124A4 (en) 2020-03-18
JP6114430B1 (ja) 2017-04-12
US20190111405A1 (en) 2019-04-18
TW201735481A (zh) 2017-10-01
EP3439124A1 (en) 2019-02-06
US10870100B2 (en) 2020-12-22
KR20180110078A (ko) 2018-10-08
CN109075537A (zh) 2018-12-21
JP2017183089A (ja) 2017-10-05
TWI617105B (zh) 2018-03-01
WO2017169153A1 (ja) 2017-10-05
CN109075537B (zh) 202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9889B1 (ko) 이온풍 발생 장치
KR101178346B1 (ko) 이온ㆍ오존풍 발생 장치 및 방법
TWI501491B (zh) 離子、臭氧風產生裝置及方法
TWI579514B (zh) 離子、臭氧風產生裝置
TWI543483B (zh) 離子、臭氧風產生裝置及方法
KR101572156B1 (ko) 플라즈마 발생 장치 및 플라즈마 발생 방법
CN105042753B (zh) 一种具有消毒功能的空气加湿器
CN202522007U (zh) 一种具有降解农药、杀菌、除臭、保鲜功能的冰箱
JP2005149901A (ja) 空気清浄装置
TW201634062A (zh) 離子、臭氧風產生裝置及方法
CN219375583U (zh) 一种等离子体消杀装置
CN113855842A (zh) 杀灭细菌、真菌或病毒的装置
CN219037288U (zh) 冰箱及其杀菌除味装置
CN118111176A (zh) 冰箱及其杀菌除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