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2956B1 -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 - Google Patents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956B1
KR102552956B1 KR1020210087505A KR20210087505A KR102552956B1 KR 102552956 B1 KR102552956 B1 KR 102552956B1 KR 1020210087505 A KR1020210087505 A KR 1020210087505A KR 20210087505 A KR20210087505 A KR 20210087505A KR 102552956 B1 KR102552956 B1 KR 102552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 wind
emitter
collector
air purifier
lifting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6751A (ko
Inventor
김철
Original Assignee
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 filed Critical 김철
Priority to KR1020210087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956B1/ko
Publication of KR20230006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6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51Catch- space electrodes, e.g. slotted-box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는, 코로나 방전에 의해 전하를 발생시키는 에미터; 상기 에미터의 상방에 배치되며, 복수 개가 서로 이격 배치되고, 전원 인가 시 이온풍을 발생시키는 콜렉터; 복수 개로 마련되어 상기 콜렉터와 교호 배치되며, 상기 콜렉터에 하전된 입자가 집진되도록 하는 비포집부; 상기 에미터와, 상기 콜렉터 및 상기 비포집부가 장착되며, 실내 공간의 천장 또는 벽의 상부인 장착지점에 위치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를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의 지점에서 상기 장착지점까지 승하강시키는 리프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팅부는, 상기 장착지점에 장착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양측단이 결합되는 롤러바; 일단부는 상기 롤러바에 연결되며 타단부는 상기 케이스와 연결되는 견인줄; 상기 롤러바를 회전시켜 상기 견인줄을 와인딩시키는 작동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며, 상기 견인줄이 통과하는 관통부가 형성되되 상기 견인줄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코로나 방전에 의해 하전된 입자를 포집하되 코로나 방전에 의해 생성되는 오존의 농도를 감소시켜 실내와 같은 밀폐 공간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용이한 승하강을 통해 유지보수가 편리한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LIFTING TYPE IONIC WIND AIR CLEANER}
본 발명은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코로나 방전에 의해 하전된 입자를 포집하되 코로나 방전에 의해 생성되는 오존의 농도를 감소시켜 실내와 같은 밀폐 공간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편리한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미세먼지는 국민건강을 위협하는 당면문제이며 미세먼지에 대한 전 국민의 인식은 시간이 지날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우리나라가 당면한 미세먼지 문제 해결책의 하나는 대형공기정화기를 실외에 설치하여 직접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방법이다. 이 아이디어를 정책당국인 환경부가 제시했으나 전문가들은 실효성을 의심했고, 결국 환경부 장관이 나서서 언젠가는 민간에서 꼭 나와야 하는 기술로 정리하였다.
한편 서울시내 대기의 미세먼지 중 7% 정도가 고기나 생선구이와 같은 구이음식점에서 배출되고, 초미세먼지의 농도가 ‘매우 나쁨’ 기준치의 13배(1013㎍/㎥)까지 치솟는 업소도 있어서 종업원과 손님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지만 현재로써는 정부 차원의 대책이 요원하다.
코로나방전을 이용하여 송풍기가 생성한 1m/s 정도의 공기유동 속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전기집진기는 구이음식점이 배출하는 미세먼지 및 냄새공해를 둘러싼 업소 주변의 민원에 효과적인 대응책이 될 수 있지만, 인체에 유해한 오존을 발생하는 결정적인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전기집진기의 코로나 방전에서 인가되는 전류 증가에 따라 포집효율이 증가하지만 오존농도가 증가하는 문제점에 의해 실내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송풍소음 때문에 업소 내부에 설치하여 사용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나아가 높은 설치비도 또다른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10-2020-0041628호 "실내용 이온풍 공기정화기"를 통해 미세먼지의 집진 효율이 우수하면서도 실내에서의 오존 농도를 감소시켜 실내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실내용 이온풍 공기정화기를 개시한 바 있다. 본 개시는 집진 효율 및 실내 오존 농도를 감소시키는 데에는 우수한 효과가 있으나, 유지보수 측면에서 불편함이 발생되었다. 구체적으로, 실내 공간의 천장 또는 벽의 상부에 고정되는 이온풍 공기정화기의 필터(콜렉터) 교체, 청소 등을 할 때 사다리를 이용하는 경우 안전상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작업공간이 과다하게 소요될 수 있으며, 특히 식당 등의 경우 설치장소 주변인들에게 피해를 줄 여지가 있다.
미국 공개특허 제2019-0111405호 일본 등록실용신안 제310075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6537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5452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는, 코로나 방전에 의해 하전된 입자를 포집하되 코로나 방전에 의해 생성되는 오존의 농도를 감소시켜 실내와 같은 밀폐 공간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용이한 승하강을 통해 유지보수가 편리한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는, 설치위치 및 기류제어만으로 미세먼지 제거를 극대화하면서 실내공기를 탈취/살균함과 동시에 기준치 이하의 오존농도가 되도록 하여 실내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는, 경량화 구조를 통해 실내공간의 천장이나 벽의 상부에 쉽게 장착될 수 있으며 용이하게 승하강될 수 있는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는, 사용자의 손 등이 에미터 측에 닿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하면서도 공기정화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그릴 구조를 갖는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는, 코로나 방전에 의해 전하를 발생시키는 에미터; 상기 에미터의 상방에 배치되며, 복수 개가 서로 이격 배치되고, 전원 인가 시 이온풍을 발생시키는 콜렉터; 복수 개로 마련되어 상기 콜렉터와 교호 배치되며, 상기 콜렉터에 하전된 입자가 집진되도록 하는 비포집부; 상기 에미터와, 상기 콜렉터 및 상기 비포집부가 장착되며, 실내 공간의 천장 또는 벽의 상부인 장착지점에 위치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를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의 지점에서 상기 장착지점까지 승하강시키는 리프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팅부는, 상기 장착지점에 장착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양측단이 결합되는 롤러바; 일단부는 상기 롤러바에 연결되며 타단부는 상기 케이스와 연결되는 견인줄; 상기 롤러바를 회전시켜 상기 견인줄을 와인딩시키는 작동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며, 상기 견인줄이 통과하는 관통부가 형성되되 상기 견인줄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여기서, 외부전원과 연결되며 서로 접촉되는 두 개 이상의 전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견인줄은 상기 두 개 이상의 전선 사이를 관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미터 하방에 배치되는 그릴;을 더 포함하며, 상기 그릴은, 제1절개부와 제2절개부가 형성되는 복수 개의 단편파트와, 제3절개부가 형성되는 복수 개의 장편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단편파트와 상기 복수 개의 장편파트가 격자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는, 코로나 방전에 의해 하전된 입자를 포집하되 코로나 방전에 의해 생성되는 오존의 농도를 감소시켜 실내와 같은 밀폐 공간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용이한 승하강을 통해 유지보수가 편리한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가 제공된다.
또한, 경량화 구조를 통해 실내공간의 천장이나 벽의 상부에 쉽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롤러바와 견인줄, 작동부를 통해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승하강시켜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에 의해 견인줄의 좌우 이동이 제한되어 용이하게 승하강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접촉된 두 개 이상의 전선 사이로 견인줄이 통과되어 승하강되는 과정에서 전선의 위치가 제한되고 서로 꼬이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며 외관상 미려하다.
또한, 송풍기, 오존필터 등 추가 구성 없이 설치위치 및 이온풍의 기류 제어만으로 미세먼지 제거를 극대화하면서 실내공기를 탈취/살균함과 동시에 인체에 흡입되는 오존농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천장이나 벽의 상부에 고정되며 이온풍이 상승기류가 되도록 함으로써, 이온풍이 천장에 부딪힌 후 벽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오존 농도가 감소되어 실내 공간에서 오존 농도가 기준치 보다 높지 않아 안정적이면서도 미세먼지 등의 입자 집진 효율이 우수하다.
또한, 에미터 하방의 그릴을 통해 사람의 손이 공기정화기 내부로 투입되는 것이 차단되어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그릴은 얇은 재질로 마련되는 장편파트와 단편파트가 끼움방식을 통해 서로 격자형태로 결합되어 제조됨으로써 유체항력이 최소화된다.
또한, 유체항력이 최소화되는 그릴의 구조를 통해 출구풍속 즉, 공기정화량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적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의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의 리프팅부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의 케이스의 리프팅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의 케이스의 전선 정리 설명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의 케이스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의 케이스의 요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의 입자 포집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가 적용된 실내공간에서의 공기유동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의 콜렉터의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의 비포집부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의 비포집부 간의 연결관계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의 콜렉터 교체 설명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의 그릴의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의 그릴의 요부 확대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의 그릴의 조립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이에 대해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설명에 앞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는, 코로나 방전에 의해 하전된 입자를 포집하되 코로나 방전에 의해 생성되는 오존의 농도를 감소시켜 실내와 같은 밀폐 공간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용이한 승하강을 통해 유지보수가 편리한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의 리프팅부의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의 케이스의 리프팅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1000)는, 리프팅부(100)와, 케이스(200)와, 에미터(300)와, 콜렉터(400)와, 비포집부(500)를 포함한다.
리프팅부(100)는 케이스(200)를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의 지점에서부터 상기 장착지점까지 승하강시키는 구성이다.
케이스(200)는 코로나 방전을 통하여 발생된 이온을 통해 미세먼지, 대기오염물질 등 입자를 하전시켜 집진하며 이온풍이 생성되도록 하는 구성인 에미터(300)와 콜렉터(400), 비포집부(500) 등의 구성이 장착되는 구성이다.
케이스(200)는 실내공간의 천장 또는 측벽 상부에 위치된다. 이하, 실내공간의 천장 또는 측벽 상부를 장착지점이라고 한다. 케이스(200)의 장착위치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리프팅부(100)는 프레임부(110)와, 롤러바(120)와, 견인줄(130)과, 작동부(140)와, 브라켓(150)을 포함한다.
프레임부(110)는 메인 프레임(111)과 측면 프레임(112)을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111)은 장착지점 상에 고정설치된 천장브라켓(미도시)에 삽입 설치되어 장착지점에 고정된다. 측면 프레임(112)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각각 메인 프레임(111)의 양단에 형성된다.
롤러바(120)는 메인 프레임(111)의 하방에 배치되며 양단은 측면 프레임(112)에 각각 결합된다. 롤러바(120)에는 견인줄(130)의 일단부가 연결되며, 견인줄(130)의 타단부는 케이스(200)와 연결된다. 이 때, 연결된다는 것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것 뿐만 아니라 다른 매개체를 통해 연결되는 것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견인줄(130)의 타단부에는 후크가 연결되고, 후크가 케이스(200)와 연결됨으로써 견인줄(130)과 케이스(20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작동부(140)는 롤러바(120)를 회전시켜 견인줄(130)을 롤러바(120)에 감거나 푸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작동부(140)는 작동줄로 마련될 수 있다. 작동줄은 롤러바(120)에 감겨 일방향으로 당겨지는 경우 견인줄(130)을 롤러바(120)에 감으며, 타방향으로 당겨지는 경우 견인줄(130)을 롤러바(120)로부터 풀 수 있다.
견인줄(130)이 롤러바(120)에 감기는 경우 케이스(200)는 롤러바(120) 측 즉, 장착지점으로 상승되며, 견인줄(130)이 롤러바(120)로부터 풀리는 경우 케이스(200)는 장착지점으로부터 멀어진다. 즉 작동줄을 통해 롤러바(120)를 회전시킴으로써 케이스(200)를 승하강시킨다.
한편, 메인 프레임(111)에는 브라켓(150)이 장착된다. 브라켓(150)과 메인 프레임(111) 사이에는 롤러바(120)가 배치된다. 롤러바(120)의 하면에는 관통부(151)가 형성되며, 롤러바(120)에 일단부가 감겨진 견인줄(130)은 관통부(151)를 통과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줄을 통해 롤러바(120)를 회전시키는 경우 견인줄(130)이 롤러바(120)로부터 감기거나 풀리게되는데, 이 과정에서 견인줄(130)이 좌·우측(롤러바(1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는 케이스(200)의 기울어짐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견인줄(130)은 브라켓(150)의 하면에 형성된 관통부(151)를 통과함으로써 관통공(151)의 폭의 범위 내에서만 움직임이 허용된다. 즉, 브라켓(150)은 견인줄(130)의 좌·우측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의 케이스의 전선 정리 설명도이다.
에미터(300), 콜렉터(400) 등의 구성에 고전압 인가를 위해 외부전원과의 연결이 필요하며 이에 전선(160)이 필요하다. 고전압 인가는 외부전원과 직접 연결되어 이루어지거나 또는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파워 서플라이로부터 인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200)에는 파워 서플라이가 내장되며 파워 서플라이는 외부전원과 전선(160)을 통해 연결된다. 전선(160)은 두 개 이상이 서로 접촉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선(160)은 3개가 서로 접촉되며, 전선(160) 중 하나는 접지선이며 나머지 두 개는 전원선일 수 있다.
에미터(300), 콜렉터(400) 등의 구성에 고전압 인가를 위해 전선(160)이 필수적인데, 케이스(200)의 승하강에 따라 전선이 제대로 정리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견인줄(130)이 서로 접촉되는 두 개 이상의 전선(160) 사이를 관통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케이스(200)가 승하강하는 경우에도 전선(160)이 견인줄(130)을 벗어날 수 없으며 견인줄(130) 또한 브라켓(15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전선의 위치가 제한될 수 있어 상술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전선(160)은 브라켓(150)의 하면에도 고정되어 상술한 문제점이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의 케이스의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의 케이스의 요부 확대도이다.
케이스(200)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측벽(210)과, 에미터 장착부(600)와, 고정부(700)를 포함한다. 고정부(700)는 콜렉터(400)와 비포집부(500)가 장착되는 구성이다. 고정부(700)는 콜렉터 고정부(800) 및 비포집부 고정부(900)를 포함한다.
에미터 장착부(600)는 측벽(210)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에미터 장착부(600)는 양 단부가 한 쌍의 측벽(210)의 내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양한 결합예가 있을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결합방법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에미터(300)는 콜렉터(400)의 하방에 배치되므로, 에미터 장착부(600)는 측벽(210)의 하부에 장착된다.
에미터 장착부(600)는 에미터(300)가 관통하여 장착되거나, 장착홈이 형성되어 에미터(300)가 놓여질 수도 있다.
콜렉터 고정부(800)는 에미터 장착부(600)의 상방에 배치된다. 콜렉터 고정부(800)에는 복수 개의 홈부(810)가 각각 이격 형성되며, 각각의 콜렉터(400)의 하단이 각 홈부(810)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에미터 장착부(600)와 콜렉터 고정부(800) 사이에는 이격공간(A)이 형성된다. 이격공간(A)은 에미터(300)가 장착되는 장착홈과 홈부(810) 사이에 형성된다. 이격공간(A)은 절연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이격공간(A)이 없는 경우 아주 낮은 전압(2~3kV)에서도 절연파괴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낮은 전압에서 에미터(300)에서 콜렉터(400) 측으로의 연면방전이 발생할 수 있으며, 표면이 오염되면 절연파괴전압이 더욱 낮아진다. 따라서 이격공간(A)이 형성됨으로써 연면방전이 방지된다.
에미터 장착부(600)와 콜렉터 고정부(800)는 분리된 구성이며 각각 측벽(210)에 고정되어 이격공간(A)이 형성될 수 있다.
에미터(300)와 콜렉터(400)와의 거리를 전극간격이라고 하면, 인가된 전압이 일정할 때 전류는 대략 전극간격의 세제곱에 반비례하여 변화한다. 따라서 전극간격이 조금만 변해도 전류가 많이 변화하는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에미터 장착부(600)와 콜렉터 고정부(800) 사이의 이격공간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에미터(300)와 콜렉터(400)와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는, 에미터 장착부(600)와 콜렉터 고정부(8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에미터 장착부(600)와 콜렉터 고정부(800)가 서로 연결된 일체형이되 이격공간(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에미터 장착부(600)와 콜렉터 고정부(800)는 양단부가 서로 일체형으로 마련되어 그 사이에 이격공간(A)이 형성될 수 있다. 에미터 장착부(600)와 콜렉터 고정부(800)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에미터(300)와 콜렉터(400)와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비포집부 고정부(900)는 콜렉터 고정부(800)의 상면에 형성된다. 비포집부 고정부(900) 또한 복수 개로 마련되며, 각각의 홈부(810)들 사이 형성된다.
비포집부 고정부(900)는 높이방향으로 긴 대략 판형이며, 관통공(910)이 형성된다. 관통공(910)의 상방과 하방에는 끼움홈(920)이 형성되어 비포집부(500)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끼워진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공(910)의 폭은 비포집부(50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다. 이는 상술한 연면방전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관통공(910)의 폭이 비포집부(50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비포집부(500)의 양측에 공기절연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공기절연 두께를 최대화하여 연면방전이 방지된다.
또한, 비포집부 고정부(900)가 서로 이격 배치됨으로써 비포집부 고정부(900) 사이에 공간(940)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콜렉터(400)가 배치되는데, 비포집부 고정부(900) 간의 간격은 상기 콜렉터(40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다. 다시말해, 비포집부 고정부(900)의 폭은 홈부(810)들의 간격보다 작다. 즉, 콜렉터(400)의 양측에도 공기절연 공간이 형성된다. 비포집부(500) 양측의 공기절연 공간과 동일하게, 콜렉터(400)의 양측에도 공기절연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공기절연 두께가 최대화되어 연면방전이 방지된다.
한편 비포집부 고정부(900)의 상부에는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930)가 형성된다. 돌출부(930)는 콜렉터(400)를 삽입할 때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이웃하는 비포집부 고정부(900)의 돌출부(930) 사이의 공간인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이 가이드 홈을 통해 콜렉터(400)를 삽입/분리함으로써 착탈이 간편하다.
이 때 콜렉터(400)의 양 측면은 돌출부(930)와 접촉될 수 있다. 즉, 콜렉터(400)는 하단부는 홈부(810)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단부는 양 측면이 돌출부(930)에 접촉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의 입자 포집 설명도이다.
에미터(300)와 콜렉터(400)는 코로나 방전을 통하여 발생된 이온을 통해 미세먼지, 대기오염물질 등 입자를 하전시켜 집진하며 이온풍이 생성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에미터(300)는 에미터 장착부(600)에 장착된다. 에미터(300)는 가는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얇은 금속판을 가공하여 톱니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에미터(300)와 콜렉터(400) 사이에는 고전압이 인가되는데, 콜렉터(400)를 기준으로 에미터(300) 전압이 높은 경우 양방전(+방전)이며 에미터(300) 전압이 낮은 경우 음방전(-방전)이다. 이 때, 고전압의 인가는 고전압 전원(미도시)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에미터(300)는 0.05mm 직경의 텅스텐 와이어일 수 있다.
콜렉터(400)는 에미터(300)의 상방에 배치되며, 복수 개가 서로 이격 배치된다. 콜렉터(400)는 연결부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콜렉터(400)는 콜렉터(400) 고정부에 장착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하단부가 홈부(810)에 끼워지고 돌출부(930)가 가이드하는 구조를 갖는다.
에미터(300)에 고전압이 공급되면 에미터(300)의 표면 부근에 높은 강도의 전기장이 형성되며, 이 전기장의 강도가 특정치를 넘는 경우에는 에미터(300)의 주위에 양이온과 음이온이 공존하는 플라즈마 영역이 형성된다. 이 영역 내에서는 전자가 빠른 속도로 가속되어 공기분자와 충돌하여 공기분자를 양이온과 전자로 분리하는 이온화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순식간에 다량의 전자와 양이온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전자사태(Electron avalanche)라고도 불린다.
한편 에미터(300)와 콜렉터(400)에 인가된 고전압의 차이가 코로나방전 개시전압이라고 불리는 전압에 도달하면 양이온이 에미터(300) 주변의 플라즈마 영역에서 전기력선을 따라 콜렉터(400)로 이동하는 코로나방전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양이온의 이동은 에미터(300)와 콜렉터(400) 사이의 이격공간에서 이온이 콜롱의 힘
Figure 112021076956752-pat00001
(
Figure 112021076956752-pat00002
,
Figure 112021076956752-pat00003
:전하밀도,
Figure 112021076956752-pat00004
:전기장의 강도)을 받기 때문인데, 이러한 힘의 작용은 이온이 중성분자와 충돌할 때 발생하는 반작용과 힘의 평형을 이룬다. 이온과의 충돌로 인하여 이온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중성 공기분자의 전체적인 이동이 바로 이온풍이다.
에미터(300)가 콜렉터(400)의 하방에 배치됨으로써 이온풍은 상승기류를 형성하게 된다. 이온풍의 상승기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에미터(300)에서 콜렉터(400)로 이동하는 양이온은 대기 중의 입자와 충돌하여 부착됨으로써 입자를 양(+)전하로 하전한다. 이온과 중성분자의 충돌에 의하여 공기가 출구 쪽인 콜렉터(400) 측으로 이동하면 이 공간에는 음압이 형성되므로 입구 쪽인 에미터(300) 측으로부터 외부 공기가 재차 유입되어 일정한 유속이 발생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가 적용된 실내공간에서의 공기유동 설명도이다.
케이스(200)는 장착지점인 실내공간의 천장 또는 측벽 상부에 위치된다. 이는 공기정화기로부터 배출되는 이온풍이 천장에 부딪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리프팅부(100)의 고정구조, 콜렉터(400)와 비포집부(300)의 후술하는 경량화 구조에 의해 천장이나 벽의 상부에 설치하여도 고정이 용이하며 낙하 등의 위험이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에미터(300) 주변의 플라즈마 영역에서는 매우 강한 전기장으로 인해 공기 중에 존재하는 자유전자가 순식간에 높은 속도로 가속되어 공기분자와 충돌함으로써 양이온을 생성한다. 에미터(300) 주변의 플라즈마영역에서 양이온이 발생하여 콜렉터(400)로 이동하는 코로나방전이 발생하며, 이동하는 이온이 중성 공기분자와 연속충돌하여 위로 향하는 이온풍을 생성하고 이에 따라 먼지입자가 아래에서 유입되어 위로 이동한다. 이 때 이온이 먼지입자에 충돌하여 표면에 부착되므로 먼지입자는 양전하가 되어 전기장이 인가된 포집부에 들어가면 쿨롱의 힘에 의하여 (-)전극인 콜렉터(400)로 이동하여 포집된다.
생성된 양이온이 산소 분자(O2)와 충돌해 해리(dissociation)시켜 산소 원자(O)가 만들어지면 산소 원자가 두 개의 산소 분자와 만나 3체 충돌(three-body collision)로서 오존이 생성되는 반응(O+O2+O2→O3+O2)이 동반되므로, 이온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다량의 오존 생성이 불가피하다.
플라즈마 영역에서 생성된 오존은 전기적 극성이 없기 때문에 이온풍의 유선을 따라 공기정화기 밖으로 배출된다.
즉, 밀폐된 실내 공간에서 오존 농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인체흡입 오존 농도는 0.03ppm 이하가 바람직하다.(환경부의 실외 오존농도 기준으로 ‘좋음’ 수준, (사)한국공기청정협회의 실내 오존발생농도 규격)
정리하면, 실내에서 미세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해 코로나 방전을 통한 집진을 이용하는 경우 실내공간에서 오존의 농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오존은 살균/탈취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실제로 사람이 오존을 흡입했을 경우 맥박과 혈압이 감소하고, 어지러움을 호소하는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정도가 심할 경우 폐 손상을 유발시킬 수 있고, 눈에 노출되면 염증이 생기기도 한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아이들이 오존에 장기간 노출되게 되면 호흡곤란과 어지럼증을 호소하고 심하면 천식과 호흡기 만성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200)의 장착 위치 및 이온풍의 상승기류에 의해 코로나 방전 시 생성된 오존의 농도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실내 공간에서 오존 농도가 감소하는 원인은 다음과 같다.
ⓐ 오존은 200∼300nm 파장대의 자외선(UV)에 의하여 잘 분해되지만 더 긴 파장의 적외선(IR)에 의해서도 분해된다. ⓑ 오존은 고체상태(유리 등)의 표면에서 촉매물질(귀금속이나 금속산화물 등)을 매개로 하여 산소로 분해된다. ⓒ 오존은 산소와 함께 고체상 탄소(
Figure 112021076956752-pat00005
)나 유기화합물의 특정 탄소구조(
Figure 112021076956752-pat00006
,
Figure 112021076956752-pat00007
,
Figure 112021076956752-pat00008
)에 작용하여 일산화탄소(
Figure 112021076956752-pat00009
)나 이산화탄소(
Figure 112021076956752-pat00010
)를 발생시키고 자신은 소멸된다. ⓓ 오존은 강력한 산화력으로 인하여 공기를 살균하고 탈취하는 장점이 있다. ⓔ 오존은 Aerosol입자(미세먼지인 Saharan dust, 화산재 등)와 충돌하여 분해된다. ⓕ 발생된 오존은 공기와 함께 대류하므로 대기중으로 분산되고 그 속에서 확산하므로 농도가 감소한다. 이 현상은 공기중에 존재하는 기체의 일반적인 성질로써 수송방정식에 지배된다.
본 실시예에서 실내 공간에서 오존 농도가 감소하는 원인은 다음의 메커니즘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에미터(300)는 콜렉터(400)의 하방에 배치되는데, 에미터(300) 주변의 플라즈마영역에서 양이온이 발생하여 콜렉터(400)로 이동하는 코로나방전이 발생하며, 이동하는 이온이 중성 공기분자와 연속충돌하여 이온풍이 상승기류를 형성하게 된다.
케이스(400)는 실내공간의 천장 또는 측벽 상부에 장착되며, 위로 배출된 이온풍은 천장에 부딪친 다음 벽을 따라 이동하여 체류시간이 증가되는데, ⓕ 메커니즘에 의해 농도가 감소하고, 그 과정에서 ⓐ 메커니즘에 의해 실외의 태양빛이나 실내의 조명에 의하여 일부가 소멸된다.
또한, 공기정화기가 설치된 실내공간은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데, 이로 인해 추가적으로 오존이 소멸된다. 즉, 무기물 미세먼지인 경우에는 ⓔ메커니즘에 의하여, 유기물 미세먼지인 경우에는 ⓒ메커니즘에 의하여 소멸된다.
그리고 오존분자가 천장, 벽, 가구, 집기, 인체 등에 충돌하므로 ⓑ와 ⓒ메커니즘에 의하여 추가적으로 소멸된다.
즉, 이온풍이 공기정화기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향하는 등 일반적인 공기정화기와 같이 이온풍이 실내 공간에 직접적으로 배출되는 경우 오존이 사람의 코에 도달하는 시간이 훨씬 단축되므로 오존 농도가 거의 감소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이온풍이 상승기류를 형성하여, 천장에 부딪친 후 벽을 따라 이동하면서 인체에 흡입 전 체류시간을 증가시키는데, 이는 위의 ⓐ, ⓑ, ⓒ와 같은 소멸 메커니즘을 고려하기 때문에 “오존은 밀폐된 공간에서 장시간 노출될 경우 축적될 가능성이 있다.”는 국내 일부 학계의 관점을 극복하는 연구 가설로 판단된다.
특히 구이 음식점과 같이 알데히드, 카본블랙과 같은 맹독성 발암물질이 고농도로 발생하는 장소에서는 이온풍 공기정화기를 이용하여 이러한 맹독성 물질을 신속하게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되, 흡입 오존농도는 안전수준(0.03ppm) 이하이어야 한다. 이에 미세먼지가 심한 공간에서는 미세먼지 제거효과와 더불어 ⓓ메커니즘에 의한 오존의 살균과 탈취효과가 오존의 위해성을 상쇄한다.
한편, 공기정화기의 출구에서 배출되는 오존의 농도를 낮추기 위해 오존 필터를 추가로 장착하는 것은 위 ⓑ와 ⓒ메커니즘을 이용하는 것인데, 필요한 공기정화량을 얻기 위해서는 오존필터에서 발생하는 압력강하를 극복하기 위하여 송풍기를 추가해야 된다. 이는 제조원가도 높고 송풍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코로나방전에서는 전류증가에 따라 직선적으로 오존농도가 증가하고 전류의 제곱근에 비례하여 이온풍의 속도가 증가한다. 그리고 전류가 증가할수록 미세입자에 부착되는 이온수가 증가하므로 포집효율이 증가한다. 그러므로 정해진 이온풍 공기정화기에서는 전류를 감소시켜 오존농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손쉬운 해결책이지만 이온풍의 속도가 작아져서 공기정화량이 작아지고 미세입자 포집효율이 저하되므로 적절한 수준 이상의 전류공급이 필수적이다.
즉, 미세먼지 집진 효율을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인가되는 전류가 높아야되나 이 경우 그만큼 오존 농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오존필터를 장착하는 경우 압력강하를 극복하기 위해 송풍기를 추가로 설치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온풍이 상승기류가 되도록 하며 케이스(400)의 장착 위치에 의해 공기정화기로부터 배출된 이온풍이 천장에 부딪힌 후 벽을 따라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실내 공간의 오존이 감소하며 인체에 흡입되기 전에 소멸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오존의 살균 및 탈취 프로세스는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1000) 내에서만 진행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의 콜렉터의 종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의 비포집부 설명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의 비포집부 간의 연결관계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콜렉터(400)는 경량화 구조를 가진다.
경량화를 위한 방안으로 본 실시예에서 콜렉터(400)는 가벼운 제1폼(Foam)(410)에 제1도전성 부재(420)가 씌워진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1폼(410)은 발포폴리스티렌(EPS : expanded polystyrene 또는 스티로폼), 발포폴리프로필렌(EPP : expanded polyprop), 발포폴리올레핀(EPO : expanded polyolefin), 우드락(Woodrock), 데프론(Deprone, closed cell polystyren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제1도전성 부재(420)는 알루미늄 호일(Al foil)이나 도전성 필름일 수 있다. 도전성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PET필름에 알루미늄이 증착된 것일 수 있다. 콜렉터(400)의 경량화를 위해 얇은 도전성 부재만 사용하는 경우 구조 형성이 어렵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우드락과 같은 밀도가 낮은 폼에 알루미늄 호일이나 알루미늄이 증착된 PET필름을 씌움으로써 아주 가벼우면서도 구조 형성이 용이하며, 알루미늄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전극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나아가, 콜렉터(400)는 제1폼(410)에 제1도전성 부재(420)가 씌워지는데, 도 5의 (b)와 같이 제1도전성 부재(420)는 제1폼(410)의 일단으로부터 라운드(430)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라운드(430)는, 제1폼(410)의 일단에 위치한 돌출된 형상을 의미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라운드(430)는 단면이 반지름 R을 갖는 반원형을 의미한다.
콜렉터(400)에 라운드(430)를 형성하는 경우 역방전 현상이 최소화되며, 먼지입자 포집 성능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라운드(430)가 형성됨으로써 스파크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여기서 역방전 현상이란, 전압증가에 따라 음이온이 콜렉터(400)에서 에미터(300)를 향하여 주행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소정 크기 이상의 전기장이 되면 역방전이 발생할 수 있는데 라운드(430) 표면의 전기장의 강도는 R에 반비례하므로 이 전압이 안되도록 R을 가능하면 최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포집부(500)는 하전된 입자가 콜렉터(400)에 집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비포집부(500)는 비포집부(500) 고정부에 장착된다. 비포집부(500)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콜렉터(400)와 교호(교대로) 배치된다. 비포집부(500)에 고전압이 인가되어 양이온으로 하전된 입자가 콜렉터(400)에 집진되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콜렉터(400)는 에미터(300)와의 관계에서는 코로나 방전을 통해 입자를 하전하며 이온풍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며, 비포집부(500)와의 관계에서는 하전된 입자가 포집되는 구성이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서 콜렉터(400)와 포집전극은 일체화된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콜렉터(400)의 길이는 비포집부(50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콜렉터(400) 중 에미터(300)에 대응되는 영역은 collector로서의 기능을 하며, 비포집부(500)에 대응되는 영역은 포집전극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이 때, 콜렉터(400)의 단부는 비포집부(500)의 단부에 비해 에미터(300) 측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돌출된다는 의미는 콜렉터(400)의 말단이 비포집부(500)의 말단보다 에미터(300)에 보다 가까운 것을 의미한다.(도 8 참조) 콜렉터(400)의 단부가 비포집부(500)의 단부에 비해 에미터(300) 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에미터(300) 주위의 전기장이 강해진다.
비포집부(500) 또한 콜렉터(400)와 같이 경량화 구조를 가진다.
비포집부(500)는 전극에 PVC필름(520)이 씌워진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비포집부(500)에서 전극은 제2도전성 부재(510)로 마련되며, 제2도전성 부재(510)에 PVC필름(520)이 씌워진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씌워졌다라고 함은 PVC필름(520)이 제2도전성 부재를 감싸는 것 뿐만 아니라, PVC필름(520)이 투입공간을 갖도록 마련되어 제2도전성 부재가 PVC필름(520) 내부에 수용된 것도 포함한다.
그리고 제1도전성 부재(410)와 제2도전성 부재(510)는 도전성 필름이나 알루미늄 호일(Al foil)일 수 있다. 도전성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PET필름에 알루미늄이 증착된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비포집부(500)는 콜렉터(400)와 달리 폼 재질을 이용하여 경량화되지 않는다. 이는 폼의 두께로 인해 이온풍에 영향을 주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제2도전성 부재(510)에 PVC필름(520)이 씌워진 구조를 가짐으로써 전극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스파크가 방지되어 절연파괴전압이 높아진다. 전극에 전압을 인가할 때 낮은 전압에서 스파크가 발생될 수 있다. 전압을 높여서 전기장의 세기가 클수록 미세먼집의 포집 효율이 높아지는데, 전압을 인가하면 스파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금속의 단부에서는 절연파괴 전압 이하에서도 누설전류가 발생하여 에너지 소모가 많을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투입공간을 갖는 PVC필름(520)에 제2도전성 부재가 수용되어 전극 특히 단부에서의 스파크가 방지되며 절연파괴전압이 극대화되어 미세먼지의 포집 효율이 우수하다.
에미터(300)와 콜렉터(400)에 인가되는 전압차에 의해 콜렉터(400)에 입자가 포집된다. 즉, 에미터(300)는 양극이고 콜렉터(400)는 음극이므로, 코로나 방전시 양이온으로 하전된 입자가 콜렉터(400)에 포집된다. 또한, 비포집부(500)의 전극( 제2도전성 부재(510))와 콜렉터(400)에 인가되는 전압차에 의해 콜렉터(400)에 입자가 포집된다. 에미터(300)와 콜렉터(400)에 인가되는 전압차에 의해 에미터(300)에 면하는 콜렉터(400) 단부에 입자가 포집되지만, 이 메커니즘만으로는 입자포집량이 불충분할 수 있다. 이에 비포집부(500)의 전극을 에미터(300)와 동일한 양극으로 하면 비포집부(500)에 면한 음극인 콜렉터(400) 표면에 대부분의 입자가 포집된다. 이 메커니즘에 의한 입자포집량이 콜렉터(400) 단부의 입자 포집량보다 훨씬 크고 콜렉터(400) 면적 증가에 따라 초미세입자도 포집효율이 증가된다.
복수 개의 비포집부(500)의 전극은 리드선(340)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절연 성능의 향상을 위해 리드선(340) 또한 절연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 때 리드선(340)은 이중 절연튜브(35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이중 절연튜브(350)는 열수축튜브 또는 실리콘튜브일 수 있다. 이중 절연튜브(350)와 절연부재(330)는 고주파 접합 또는 초음파 접합을 통해 서로 접합될 수 있다. 이중 절연튜브(350)를 사용함으로써 콜렉터(400)의 날카로운 단부와의 스파크가 방지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의 콜렉터 교체 설명도이다.
케이스(200)는 상방과 하방이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하방은 코로나 방전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이며, 상방은 이온풍이 배출되는 통로이다. 케이스(200)는 상방과 하방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콜렉터(400)는 하단부가 홈부(810)에 삽입되며 상단부는 양 측면이 돌출부(930)에 가이드되므로, 콜렉터(400)는 상하 착탈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콜렉터(400)는 케이스(200)에 장착할 때 상단부를 파지한 뒤 하단부를 돌출부(930) 사이의 공간인 가이드 홈으로 삽입하여 홈부(810)에 끼워넣고, 탈착할 때에는 상단부를 파지한 뒤 위로 빼어냄으로써 케이스(200)로부터 완전히 분리해낼 수 있다. 따라서, 매우 간편한 착탈구조를 갖는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콜렉터(400) 모듈은 복수 개의 콜렉터(400)가 연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 때 연결부재는 악어클립과 같이 단부에 집게 타입의 단자가 있어 콜렉터(400) 간의 연결이 간편하며 모듈화도 간편하다.
콜렉터(400)는 코로나 방전에 의해 하전된 입자가 표면에 집진되는 구성이므로, 어느 정도 집진이 된 후에는 집진력이 낮아져 교체가 필요한 소모품이며 주기적으로 세척이나 교체가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서 콜렉터(400)는 하단부가 홈부(810)에 끼워지고 돌출부(930)가 가이드하는 구조이므로 착탈이 편리하며, 이로 인해 다른 콜렉터(400) 모듈과의 교체가 용이하다. 즉 1회용으로 사용하며 교체를 통한 유지보수가 쉽다. 또는, 착탈이 편리하기 때문에 케이스(200)로부터 위쪽으로 빼내어 세척한 뒤 다시 하단부를 돌출부(930) 사이의 공간인 가이드 홈으로 삽입하여 홈부(810)에 끼워넣는 방식으로 간편한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는, 코로나 방전에 의해 하전된 입자를 포집하되 코로나 방전에 의해 생성되는 오존의 농도를 감소시켜 실내와 같은 밀폐 공간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용이한 승하강을 통해 유지보수가 편리하며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하면서도 공기정화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그릴 구조를 갖는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2000)는, 리프팅부(100)와, 케이스(200)와, 에미터(300)와, 콜렉터(400)와, 비포집부(500) 및 그릴(10)을 포함한다. 리프팅부(100)와, 케이스(200)와, 에미터(300)와, 콜렉터(400)와, 비포집부(50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그릴(10)은 사용자 등의 손이 공기정화기 내부 특히 고전압이 인가되는 구성 측으로 투입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그릴(10)은 에미터(100)의 하방에 배치된다.
그릴(10)은 복수 개의 단편파트(11)와 복수 개의 장편파트(12)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단편파트(11)와 장편파트(12)들이 서로 격자형태로 조립됨으로써 그릴(10)이 제작된다.
안전한 사용을 위해 에미터(100) 하방에 그릴(10)이 배치되는 경우, 그릴(10)은 구조에 따른 유체항력의 차이로 인하여 출구풍속, 즉 공기정화량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유체항력을 최소로하는 그릴(10) 구조가 필요하며, 개구도(유동통과면적/전체면적)가 증가할수록 유체항력이 작아진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두께 0.3mm의 PVC필름으로 마련되는 단편파트(11)와 장편파트(12)를 서로 끼움방식을 통해 격자형태로 조립한다. 즉 접착을 통해 그릴(10)이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구조적 형태를 통한 끼움 결합을 통해 제작되어 유체항력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적다.
단편파트(11)는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마련되며 제1절개부(11a)와 제2절개부(11b)가 형성된다. 제1절개부(11a)는 일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며, 제2절개부(11b)는 타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제1절개부(11a)와 제2절개부(11b)는 단편파트(11)의 폭방향과 나란하다. 제1절개부(11a)는 제2절개부(11b)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제1절개부(11a)와 제2절개부(11b)는 가상의 동일 선상에 형성된다. 제1절개부(11a)와 제2절개부(11b)의 길이의 합은 단편파트(11)의 폭보다 짧다. 따라서 제1절개부(11a)와 제2절개부(11b) 사이에는 비절개부(11c)가 형성된다.
한편, 장편파트(12)와의 용이한 조립을 위해 제1절개부(11a)와 제2절개부(11b)는 모따기 가공이 될 수 있다.
장편파트(12)는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마련되며 제3절개부(12a)가 형성된다. 제3절개부(12a)는 경사절개부(12b)와 끼움절개부(12c)를 포함한다. 경사절개부(12b)는 장편파트(12)의 일측면으로부터 경사를 형성하며 내측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끼움절개부(12c)는 장편파트(12)의 폭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끼움절개부(12c)의 일단부는 장편파트(12)로부터 연장되어 서로 연통된다. 이 때 끼움절개부(12c)의 상부에는 걸림턱(12d)이 형성된다. 즉, 끼움절개부(12c)는 장편파트(12)의 내부에 형성되며 일단으로부터 형성되지 않는다.
한편, 제3절개부(12a)와 제2절개부(11b)에 의해 장편파트(12)와 단편파트(11)가 서로 수직으로 교차되고, 걸림턱(12d)이 제1절개부(11a)에 삽입됨으로써 장편파트(12)와 단편파트(11)가 서로 결합되므로, 끼움절개부(12c)의 길이는 비절개부(11c)의 길이에 대응되며 또한 걸림턱(12d)은 제1절개부(11a)의 길이에 대응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코로나 방전에 의해 하전된 입자를 포집하되 코로나 방전에 의해 생성되는 오존의 농도를 감소시켜 실내와 같은 밀폐 공간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용이한 승하강을 통해 유지보수가 편리한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0 : 이온풍 공기정화기
100 : 리프팅부 110 : 프레임부
111 : 메인 프레임 112 : 측면 프레임
120 : 롤러바 130 : 견인줄
140 : 작동부 150 : 브라켓
151 : 관통부 160 : 전선
200 : 케이스 210 : 측벽
300 : 에미터 400 : 콜렉터
420 : 제1폼 420 : 제1도전성 부재
430 : 라운드 500 : 비포집부
510 : 제2도전성 부재 520 : PVC필름
530 : 절연부재 540 : 리드선
600 : 에미터 장착부 700 : 고정부
800 : 콜렉터 고정부 810 : 홈부
900 : 비포집부 고정부 910 : 관통공
920 : 끼움홈 930 : 돌출부
10 : 그릴 11 : 단편파트
11a : 제1절개부 11b : 제2절개부
12 : 장편파트 12a : 제3절개부
12b : 경사절개부 12c : 끼움절개부
12d : 걸림턱

Claims (5)

  1. 코로나 방전에 의해 전하를 발생시키는 에미터;
    상기 에미터의 상방에 배치되며, 복수 개가 서로 이격 배치되고, 전원 인가 시 이온풍을 발생시키는 콜렉터;
    복수 개로 마련되어 상기 콜렉터와 교호 배치되며, 상기 콜렉터에 하전된 입자가 집진되도록 하는 비포집부;
    상기 에미터와, 상기 콜렉터 및 상기 비포집부가 장착되며, 실내 공간의 천장 또는 벽의 상부인 장착지점에 위치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를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의 지점에서 상기 장착지점까지 승하강시키는 리프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팅부는,
    상기 장착지점에 장착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양측단이 결합되는 롤러바; 일단부는 상기 롤러바에 연결되며 타단부는 상기 케이스와 연결되는 견인줄; 상기 롤러바를 회전시켜 상기 견인줄을 와인딩시키는 작동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되며, 상기 견인줄이 통과하는 관통부가 형성되되 상기 견인줄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브라켓;
    을 포함하는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외부전원과 연결되며 서로 접촉되는 두 개 이상의 전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견인줄은 상기 두 개 이상의 전선 사이를 관통하는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미터 하방에 배치되는 그릴;을 더 포함하며,
    상기 그릴은,
    제1절개부와 제2절개부가 형성되는 복수 개의 단편파트와, 제3절개부가 형성되는 복수 개의 장편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단편파트와 상기 복수 개의 장편파트가 격자형태로 조립되는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
KR1020210087505A 2021-07-04 2021-07-04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 KR102552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505A KR102552956B1 (ko) 2021-07-04 2021-07-04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7505A KR102552956B1 (ko) 2021-07-04 2021-07-04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751A KR20230006751A (ko) 2023-01-11
KR102552956B1 true KR102552956B1 (ko) 2023-07-06

Family

ID=84892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505A KR102552956B1 (ko) 2021-07-04 2021-07-04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95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48974A1 (zh) * 2017-02-20 2018-08-23 深圳埃鲨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新风净化设备的组合式电巢及新风治理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0754B2 (ja) 1992-05-20 2000-10-23 三菱電機株式会社 固体高分子電解質膜を用いた電気化学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H0747216A (ja) * 1993-08-10 1995-02-21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
JPH10296126A (ja) * 1997-04-23 1998-11-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空気清浄器
KR101655452B1 (ko) 2010-01-29 2016-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및 그 전극판
JP6114430B1 (ja) 2016-03-30 2017-04-12 株式会社 片野工業 イオン風発生装置
CN109803690A (zh) 2016-10-06 2019-05-24 卓水(北京)科技有限公司 放电处理装置及其放电处理单元
KR102346750B1 (ko) * 2019-05-28 2022-01-04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공기 정화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48974A1 (zh) * 2017-02-20 2018-08-23 深圳埃鲨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新风净化设备的组合式电巢及新风治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6751A (ko) 2023-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55620B2 (en) Electrical filter structure
US9138504B2 (en) Plasma driven catalyst system for disinfection and purification of gases
US7371354B2 (en) Treatment apparatus operable to adjust output based on variations in incoming voltage
US20040096376A1 (en) Electro-kinetic air transporter-conditioner
MX2008000989A (es) Sistema y metodo para reducir y acondicionar aire para reducir compuestos organicos volatiles y ozono.
CN102962131A (zh) 具有与空气速度相关的电晕接线中的电流的空气清洁器
US20150266033A1 (en) Semi-enclosed air cleaner used in an air-conditioner
EP2520315B1 (en) Metal belt-plate structure reactor
CN102962132A (zh) 具有划分成电隔离组的收集电荷板的静电除尘器
JP2020506504A (ja) 空気清浄に用いられる双極イオン発生器及び該双極イオン発生器を使用したサーキュラーディフューザー
JP2007021411A (ja) 電気集塵機および空気調和機
US7347888B2 (en) Air purifier
WO2021218994A1 (zh) 一种空气感染源防护机
CN103240182A (zh) 粒子空气净化机
CN202823622U (zh) 粒子空气净化机
KR102552956B1 (ko) 리프팅 타입의 이온풍 공기정화기
CN210320424U (zh) 一种移动式除氡机
CN103785054A (zh) 半导体空气净化消毒单元及空气净化消毒装置
KR102300125B1 (ko) 이온풍 공기 정화기
CN2926892Y (zh) 高效复合型空气净化机
KR20210123871A (ko) 실내용 이온풍 공기정화기
US20050095182A1 (en) Electro-kinetic air transporter-conditioner devices with electrically conductive foam emitter electrode
CN202942451U (zh) 半导体空气净化消毒单元及空气净化消毒装置
CN210675513U (zh) 一种风管除氡净化器
CN210522799U (zh) 一种吊顶式除氡净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