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8383A -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8383A
KR20160018383A KR1020150109923A KR20150109923A KR20160018383A KR 20160018383 A KR20160018383 A KR 20160018383A KR 1020150109923 A KR1020150109923 A KR 1020150109923A KR 20150109923 A KR20150109923 A KR 20150109923A KR 20160018383 A KR20160018383 A KR 20160018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plate portion
connector
fatigue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1519B1 (ko
Inventor
시로 스나가
하루히코 무라카미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18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금속판을 굴곡 가공하여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폐쇄 위치에서 안정적인 로크 걸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간단하게 로크 해제할 수 있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회동 부재 (3) 와 커넥터 본체 (2) 가 피로크부 (33D-1) 와 로크부 (76) 를 각각 갖고 있어 회동 부재의 폐쇄 위치에서 서로 로크 걸림되고, 회동 부재 (3) 는, 피지지부가 형성되는 기부 (35) 와, 피로크부 (33D-1) 와 조작부 (33A) 가 형성되는 가동부 (33) 와, 기부와 가동부를 전후 방향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하는 탄성부 (34X) 를 갖고, 탄성부 (34X) 의 탄성 변형에 의해 기부와 가동부는 전후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고, 회동 부재를 폐쇄 위치측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피로크편 (33D) 과 커넥터 본체 (2) 의 로크부 (76) 가 간섭하고, 더욱 폐쇄 위치측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로크 걸림이 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함께, 조작부를 탄성 변형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피로크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된다.

Description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본 발명은,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심선을 평행하게 나열하여 1 개의 평대 (平帶) 상으로 한 FPC, FFC 나 다극 세선 동축선 등의 평형 도체가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는, 상기 복수의 심선의 배열 피치에 대응하여 접촉부가 위치하도록 단자가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이와 같은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는, 평형 도체의 일단부에 형성된 접속 부분을 커넥터에 접속시키는 데에, 그 접속 부분을 평형 도체의 길이 방향에서 하우징의 수용구에 삽입하는 삽입 형식과,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는 하우징에 단자의 접촉부가 노정 (露呈) 배치되어 있는 그 접촉부 상에 상방으로부터 평형 도체의 면에 직각 방향이 되는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접속 부분을 재치 (載置) 하는 개방 형식이 있다. 어느 형식에 있어서도, 접속 부분이 소정 위치에서 접촉부 상에 가져와진 후, 커넥터에 회동 (回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회동 부재를 회동시켜, 평형 도체를 가압하여 접속 부분의 단자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접압을 확보하고 있다.
삽입 형식에 있어서는, 평형 도체의 삽입시의 그 평형 도체의 폭 방향 그리고 높이 방향 (평형 도체의 두께 방향) 의 위치가 수용구에 의해 저절로 정해져, 삽입 위치가 정확해지지만, 평형 도체의 선단을 수용구에 정확하게 위치시키고 나서 삽입해야만 하므로, 삽입하기 어렵다는 점,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단자와의 마찰 저항에 저항하여 압입해야만 하는 점에서, 취급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한편, 개방 형식에 있어서는, 회동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하우징이 상방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고, 거기에 단자의 접촉부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평형 도체의 접속 부분을 상방으로부터 접촉부 상에 재치하기만 하면 되며, 상방으로부터의 평형 도체에 대한 가압이 없으므로, 다소 불안정하지만, 상방으로 넓게 개방되어 있어 잘 보이므로, 매우 취급하기 쉽다.
본 발명은, 후자의 개방 형식의 커넥터에 관련되어 있는데, 이 개방 형식의 것으로서,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단자의 접촉부가 배열되어 있는 범위 및 그 주변을 포함하여 하우징이 상방을 향한 개방역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평형 도체 (플렉시블 배선 기판) 의 대응하는 측의 접속 부분을 상방으로부터 상기 접촉부 상에 재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개방역은, 평형 도체가 연장되는 방향으로도 개방되어 있고, 이 개방역에 근접한 위치에서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를 회동 가능한 덮개 부재 (회동 부재) 가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덮개 부재는, 금속판을 굴곡시켜 제조되어 있고,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짧은 원기둥상의 회전축에 대하여, 덮개 부재의 측벽부에 형성된 대략 원형의 베어링 부분이 끼워 맞춰져 있고, 그 회전축 둘레에 회동 안내 지지되어 있다. 이 덮개 부재는, 그 덮개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 개방역에 재치된 평형 도체를 단자의 접촉부에 가압하는 폐쇄 위치까지 회동 조작된다.
특허문헌 1 에서는, 하우징에 형성된 회전축은 짧은 원기둥상을 이루고, 그 둘레면에는, 둘레 방향의 1 개 지점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덮개 부재의 측벽부에 형성된 베어링 부분은, 대략 원형공으로서 상기 회전축의 반경과 동일한 내경의 부분과, 둘레 방향의 특정 각의 범위에서는,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반경 방향 간극을 호상의 슬릿으로서 형성하도록 반경이 커진 부분을 갖고 있다. 이 슬릿을 형성하는 부분은, 등 (等) 반경 부분과, 반경을 점차 줄이는 경사진 직선 부분을 갖고 있고, 덮개 부재가 조작부에서의 회동 조작력을 받아 폐쇄 위치로까지 회동하면, 상기 회전축의 돌기가 상기 슬릿의 직선 부분과 걸어 맞춰져, 반경이 줄어든 분량만큼, 그 돌기로 덮개 부재에 전방으로의 탄성력을 부여한다. 이 덮개 부재에는, 갈고리부를 가진 걸림 아암이 형성되어 있고, 폐쇄 위치에서는, 이 갈고리부가 평형 도체의 보강판의 후방 단부 (段部) 에 걸려, 상기 탄성력하에서 평형 도체를 전방을 향하여 당겨, 평형 도체의 후방으로의 탈락을 방지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덮개 부재는, 금속판을 가공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그 측벽부에 형성된 베어링 부분이 대략 원형상을 이루고, 둘레 방향의 일부에 슬릿의 형식을 위해 하우징의 회전축보다 반경을 크게 한 등직경 부분과, 등직경 부분으로부터 반경을 점차 줄이도록 경사진 직선 부분을 갖고 있고, 상기 직선 부분이 회전축의 돌기에 가압되고, 그 결과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덮개 부재는 폐쇄 위치에 유지된다. 그러나, 이 마찰력을 발생시키고 있는 베어링 부분의 직선 부분은 경사져 있기 때문에, 쐐기의 원리에 의해, 덮개 부재를 개방 위치 쪽으로 되돌리려고 하는 회전력을 가져오는 분력을 받고 있다. 즉, 이 분력이 상기 마찰력보다 커지는 관계의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폐쇄 위치에 유지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어, 덮개 부재는 안정적으로 폐쇄 위치에 있다고는 할 수 없다.
그래서, 특허문헌 1 에서는, 하우징에 장착된 금속 쉘과 덮개 부재 사이에 로크 기능을 갖게 하여, 폐쇄 위치에 있어서의 덮개 부재가 의도치 않게 열리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 로크 기능은, 금속 쉘의 단부에 돌출 형성된 대략 삼각 갈고리상의 로크부와, 덮개 부재의 조작부에 근접하여 2 개의 다리부를 갖는 U 자상의 탄성부에 있어서의 일방의 다리부에 형성된 창상 (窓狀) 의 피로크부를 가짐으로써, 상기 일방의 다리부가 로크부에 맞닿았을 때의 탄성 휨에 의해 로크부에 대하여 피로크부가 걸리도록 하여 얻어진다. 따라서, 덮개 부재를 상방으로부터 폐쇄 위치에 가져오기만 해도, 상기 피로크부가 로크부에 걸린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044904호
특허문헌 1 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덮개 부재가 폐쇄 위치에 가져와진 상태에서는, 평형 도체가 의도치 않게 당겨져도 그 발출이 상기 베어링 부분에서의 마찰력에 의해 방지되고, 또, 이것에 추가하여, 로크부 그리고 피로크부에 의해 덮개 부재의 개방이 방지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 에는, 의도적으로 덮개 부재를 열어 개방 위치에 가져오는 구성 그리고 기능에 대해서는 일절 개시가 없고, 덮개 부재를 어떻게 하면 개방 위치를 향한 회동을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는지 불분명하다. 이 개방 위치를 향한 회동을 위해서는, 덮개 부재의 피로크부를 금속 쉘의 로크부로부터 떼어내야만 한다. 특허문헌 1 의 도면으로부터 추량하면, 적절히 공구를 꽂아 상기 피로크부를 형성하는 탄성부를 이루는 일방의 다리부를 일시적으로 휨 변형시킬 수는 있다. 그러나, 이 조작은 매우 곤란하고, 공구에 의해 주변에 손상을 줄 가능성이 있으며, 또한 공구를 준비해 두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금속판을 굴곡 가공하여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쇄 위치에서 안정적인 로크 걸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간단하게 로크 해제할 수 있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는, 평형 도체와의 접촉 접속을 위한 단자가 하우징에 의해 커넥터 폭 방향으로 배열 유지되어 있는 커넥터 본체와, 그 커넥터 본체에 의해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까지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금속판제의 회동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방을 향하여 노정되어 있는 상기 단자의 접촉부 상에 평형 도체를 상방으로부터 재치 가능하게 하고,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는 평형 도체를 그 접촉부에 대하여 가압한다.
이러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회동 부재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지지부를 커넥터 본체에 갖고, 그리고 피지지부를 회동 부재에 갖고 있음과 함께, 회동 부재와 커넥터 본체가 피로크부와 로크부를 각각 갖고 있어 회동 부재의 폐쇄 위치에서 서로 로크 걸림되도록 되어 있고, 회동 부재는, 피지지부가 형성되는 기부와, 피로크부와 조작부가 형성되는 가동부와, 상기 기부와 상기 가동부를 전후 방향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하는 탄성부를 갖고 있고, 그 탄성부의 탄성 변형에 의해 기부와 가동부는 전후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고, 회동 부재를 폐쇄 위치측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피로크부와 커넥터 본체의 로크부가 간섭하고, 더욱 폐쇄 위치측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로크 걸림이 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함께, 조작부를 상기 탄성 변형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피로크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 본체에 형성된 지지부에 의해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피지지부가 기부에 형성되고, 커넥터 본체측의 로크부와 걸리는 피로크부와 해제 조작을 위한 조작부가 가동부에 형성되고, 탄성부에 의해 기부와 가동부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전후 방향에서, 커넥터 본체에 대하여 피지지부가 정위치에 위치하는 반면, 피로크부와 조작부는 탄성부에서의 탄성 변형분만큼 이동 가능하다. 그 결과, 피로크부가 걸리는 로크부의 걸림 가능 부분을 전후로 길게 확보하여 걸림을 확실하게 해도, 로크 해제시에는, 조작부를 상기 탄성부의 탄성 변형 방향에서 조작하는 것만으로, 피로크부를 상기 걸림 가능부로부터 벗어나는 위치에 가져올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회동 부재는 필요시에 용이하게 개방 위치를 향하여 회동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로크부와 피로크부는, 조작부에서의 로크 해제 조작시에, 탄성부에서의 탄성 변형에 기초하여, 피로크부가 로크부를 타고넘어 로크 해제 위치에 가져와지는 위치 관계에 있도록 할 수도 있고, 혹은 로크부가 피로크부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위치 관계에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회동 부재는, 폐쇄 위치에서 단자의 접촉부에 대하여 가까운 순서로 내판부와 외판부를 갖고, 내판부와 외판부 중 일방에 피지지부가 형성되고, 내판부와 외판부는 전후 방향에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부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고, 그 탄성부에서의 탄성 변형에 의해 외판부와 내판부는 전후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고, 내판부와 외판부 중 타방은 피로크부가 형성되고, 회동 부재를 폐쇄 위치에 가져옴으로써 상기 탄성부에 있어서의 탄성 변형에 의해 피로크부가 탄성 변형 방향으로 이동하여 커넥터 본체의 로크부와의 걸림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형태로 할 수 있다.
이러한 회동 부재는, 금속판의 영역을 전후 방향에서 구분하도록 3 장 중첩을 이루도록 굴곡되어 있고, 금속판의 일방의 자유단측을 전측 가장자리부로 하는 외판부와, 타방의 자유단부를 후측 가장자리부로 하는 내판부와, 외판부와 내판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외판부의 후측 가장자리 그리고 내판부의 전측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있는 중판부를 갖고, 상기 외판부의 옆측 가장자리부에 피지지부가 형성되고, 내판부의 후측 가장자리부에 피로크부가 그리고 전측 가장자리부에 조작부가 각각 형성되고, 또한, 중판부에 탄성부가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회동 부재는 1 장의 금속 부재에 외형 가공을 실시한 후에 굴곡 가공을 실시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얻어지고, 전후 방향에서도 상하 방향에서도 컴팩트한 형태가 된다. 게다가, 탄성부는 전후 방향에서 중판부의 넓은 범위를 차지하도록 설계할 수 있으므로, 탄성 변형량도 크게 할 수 있고, 로크부의 걸림 가능 부분을 길게 하여 로크를 확실하게 해도, 용이하게 로크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회동 부재의 피로크부는 외판부의 후측 가장자리부로부터 굴곡된 피로크편에 형성된 피로크창으로서 형성되고, 커넥터 본체의 로크부는 그 커넥터 본체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로크 돌출부로서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조작부는, 회동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커넥터 본체의 외면에 대하여 매우 가깝거나 혹은 맞닿아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개방 위치에 있는 회동 부재가, 정규의 개방 위치보다 더욱 열리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의도치 않은 힘을 받아도, 상기 조작부가 커넥터 본체의 외면과의 맞닿음에 의한 반력을 받고 이 반력을 탄성부에서 흡수하므로, 회동 부재 그리고 이것을 지지하고 있는 커넥터 본체의 지지부를 손상시키는 경우는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커넥터 본체는, 회동 부재가 폐쇄 위치인 상태하에서, 조작부가 로크 해제 방향으로 조작되었을 때, 그 회동 부재를 개방 위치를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갖고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조작부를 로크 해제 방향으로 조작하는 것만으로, 로크 해제와 회동 부재의 개방 위치를 향한 회동 개시를 동시에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회동 부재는, 그 회동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커넥터의 무게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이 외판부와 교차하는 점을 포함하는 범위에서 외판부의 외면에 평탄면 영역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커넥터를 전자 기기로의 실장시, 상기 평탄면 영역을 흡착 부재로 들어올림으로써, 실장 위치에 자동 반송 배치를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평형 도체를 단자의 접촉부에 대하여 가압하기 위해 폐쇄 위치를 향하여 회동 조작되는 회동 부재가, 기부에 피지지부를 갖고, 피로크부와 조작부를 가동부에 갖고, 상기 기부와 가동부가 전후 방향에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부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고, 그 탄성부에서의 탄성 변형에 의해 기부와 가동부는 전후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하였으므로, 상기 탄성부에서의 전후 방향에서의 탄성 변형을 크게 확보할 수 있게 되고, 피로크부에 대한 로크부에서의 로크 걸림 가능 부분의 길이를 크게 하여 로크를 확실한 것으로 하고, 나아가서는 로크 해제시에는, 피로크부가 상기 탄성 변형 방향으로 크게 이동하여 용이하게 로크부로부터 빠져 로크 해제 상태가 되어, 로크 기능의 향상 그리고 로크 해제의 조작 용이화의 양면에서 사용 편리성이 양호해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커넥터를 나타내며, 회동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고 커넥터 사용시 상태에 있어서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커넥터의 회동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어서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커넥터의 회동 부재가 폐쇄 위치 직전에 있어서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커넥터의 회동 부재만을 각 부가 편의적으로 분리된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커넥터의 회동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고, 회동 부재의 상판부를 생략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1 의 커넥터의 회동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전원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도로서, (A) 는 평형 도체가 없는 경우, (B) 는 평형 도체 삽입시의 경우를 나타낸다.
도 7 은 도 1 의 피로크부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회동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는 도 8 의 회동 부재를 고정 부재와 가동 부재의 조립 전의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은 도 8 의 회동 부재를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로 나타내며, (A) 는 신호 단자 위치에서의 단면도, (B) 는 신호 단자 위치에서 단면을 취한 사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그리고 도 2 는 본 실시형태의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이하,「커넥터」) 의 외관을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 은 평형 도체의 배치 후로서 회동 부재가 폐쇄 위치 상태, 도 2 는 회동 부재가 개방 위치이고 평형 도체가 미배치 상태, 평형 도체의 배치 위치가 가상선 (이점쇄선) 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3 은 평형 도체의 배치 후로서 회동 부재가 폐쇄 위치 직전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커넥터 (1) 는 커넥터 본체 (2) 와 회동 부재 (3) 를 갖고 있다. 회동 부재 (3) 는, 금속판을 가공하여 제조되어 있고, 도 2 에 나타내는 개방 위치와 도 1 에 나타내는 폐쇄 위치 사이를 회동할 수 있도록 하여, 커넥터 본체 (2) 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 (2) 는, 도 2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전기 절연재로 제조된 하우징 (4) 이 단자, 예를 들어 도시의 예와 같이, 전원 단자 (5) 그리고 신호 단자 (6) 와, 고정 금구 (7) 를 유지하며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1) 는, 배터리 접속용의 FPC 등을 접속시키는 평형 도체용 커넥터의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복수의 전원 단자 (5) 와 그 제어용으로서의 1 개의 신호 단자 (6) 를 갖는 형태를 이루고 있는데,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전원 단자와 신호 단자의 수, 배열 형태에 한정은 없으며, 자유롭게 선정해도 된다. 전원 단자 (5) 는, 커넥터 폭 방향으로 복수 배열되어 있고, 신호 단자 (6) 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전원 단자 (5) 의 배열 중에서 중앙에 위치하며 1 개만 형성되어 있다. 전원 단자 (5) 는 커넥터가 접속되는 배터리 간에서 전원 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한 단자이고, 신호 단자 (6) 는 그 전원 전류를 제어하는 신호를 위한 단자이다. 이러한 전원 단자 (5), 신호 단자 (6) 상에 배치되는 평형 도체 (F) 는, 도 2 의 실선으로는 아직 전원 단자 (5) 와 신호 단자 (6) 상에 배치되지 않고 커넥터 (1) 의 후방 (도 2 에서 좌방) 에 놓여져 있는 상태로서, 가상선으로는 평형 도체 (F) 의 면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강하하여 전원 단자 (5) 그리고 신호 단자 (6) 상에 배치된 상태로서 도시되어 있고, 평형 도체 (F) 는, 전단 (도면에서 우단) 이 하우징 (4) 에 의해 위치가 정해지고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평형 도체 (F) 는, 상기 전원 단자 (5) 와 신호 단자 (6) 의 각각에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배선군이 형성된 평형 도체 본체부 (F1) 의 전단 부분의 하면에 접속 부분을, 그리고 상면에 보강판 부재 (F2) 를 갖고 있다.
상기 평형 도체 (F) 는, 도 2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이 전단측에서 단상 (段狀) 을 이루고 폭이 커진 귀상의 피걸림부 (FA) 를 갖고 있다. 그 피걸림부 (FA) 는, 그 전단 가장자리와 측단 가장자리가 후술하는 하우징에 형성된 프레임상의 후술하는 규제부에 의해 위치 규제되고, 한편, 단상을 이루는 그 후측 가장자리가 후술하는 하우징의 걸림부와 걸리는 피걸림 가장자리 (FA-1) 를 형성하고 있다.
하우징 (4) 은, 도 2 와 같이, 바닥판부 (41) 와, 폭 방향 양단 위치에서, 그 바닥판부 (41) 의 전부 (前部) 로부터 세워 형성된 규제부 (42) 와, 바닥판부 (41) 의 후부로부터 세워 형성된 걸림부 (43) 를 갖고 있다. 규제부 (42) 는 평면 형상이 L 자상으로 굴곡된 벽을 이루고 있고,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측 규제벽부 (42A) 와, 전후로 연장되는 옆측 규제벽부 (42B) 를 갖고 있고, 그 굴곡 내면을 이루는 전측 내면과 옆측 내면이 각각 상기 평형 도체 (F) 의 피걸림부 (FA) 의 전단과 측단을 규제한다. 걸림부 (43) 는 블록상의 벽을 이루고, 그 전측 내면이 상기 평형 도체 (F) 의 피걸림부 (FA) 의 후측 가장자리와 걸려 평형 도체 (F) 의 탈락을 방지한다. 이러한 평형 도체 (F) 는 피걸림부 (FA) 를 갖는 접속 부분이 하우징 (4) 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상기 규제부 (42) 와 걸림부 (43) 사이의 전후 방향 범위에, 도 2 의 가상선과 같이, 상방으로부터 강하 배치되어, 전후 방향 그리고 측 방향에서 위치된다.
하우징 (4) 의 바닥판부 (41) 에는, 도 2 와 같이, 폭 방향에서 3 위치에 평면 형상이 사각형인 관통 창부 (41A, 41B, 41A) 가 나열되어 형성되어 있고, 전원 단자 (5) 의 접촉부 (52) 가 관통 창부 (41A) 내에, 그리고 신호 단자 (6) 의 접촉부 (62) 가 관통 창부 (41B) 내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전원 단자 (5) 그리고 신호 단자 (6) 는, 도 2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가는 띠상 금속편을 굴곡시킴으로써, 동일 형상·동일 치수로 제조되어 있다. 전원 단자 (5) 그리고 신호 단자 (6) 는 직상 (直狀) 의 기부 (51, 61) 와, 그 기부 (51, 61) 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방을 향하여 그리고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굴곡되어 탄성이 부여된 접촉부 (52, 62) 를 갖고 있고, 상기 전원 단자 (5) 의 기부 (51) 그리고 신호 단자 (6) 의 기부 (61) 가 관통 창부 (41A, 41B) 의 후측 가장자리가 되는 하우징 부분을 전후로 관통하여 몰드 일체 성형에 의해 그 하우징 부분에서 각각 유지되어 있고, 접촉부 (52, 62) 가 관통 창부 (41A, 41B) 내에 있고 하우징의 바닥판부 (41) 의 상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다.
상기 고정 금구 (7) 는, 도 2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우징 (4) 의 측부에 일체 성형으로 유지되어 있다. 그 고정 금구 (7) 는, 금속판을 가공하여 제조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4) 의 측부 외면을 따라 위치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판부 (71) 와, 전단 위치에서 굴곡되어 회로 기판에 접면하는 고정 다리부 (72) 와, 그 고정 다리부 (72) 의 측방에서 세워져 역 U 자상부를 이루고, 그 내측 다리 부분에 형성되는 지지부 (73) 와, 상기 측판부 (71) 의 중간부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세워져 횡 V 자상을 이루는 가이드부 (74) 와, 상기 측판부 (71) 의 상측 가장자리부에서 후단쪽 위치에서 하우징 (4) 의 걸림부 (43) 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압부 (75) 와, 후단부에서 상기 걸림부 (43) 의 후단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로크부 (76) 를 갖고 있다.
상기 고정 금구 (7) 의 고정 다리부 (72) 는, 그 바닥부가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상에 위치하고 그 회로 기판의 대응부에 땜납 고정되어, 커넥터 본체 (2) 의 회로 기판에 대한 고정 강도를 확보한다.
지지부 (73) 는, 역 U 자상부의 내측 다리에 구멍부로서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회동 부재의 돌출편상의 축부를 수용하여 그 축부를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부에서 측판부 (71) 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세워지는 가이드부 (74) 는, 커넥터의 폭 방향 (단자 배열 방향) 에서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횡 V 자상을 이루고, 그 상부면이 하방을 향하여 내측으로 경사지는 가이드면 (74A) 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면 (74A) 으로 평형 도체의 배치시에 그 평형 도체에 대하여 상기 폭 방향에서 가이드하고, 그리고 다른 사면에서 평형 도체를 임시 유지한다.
상기 고정 금구 (7) 는, 그 후부에 하우징 (4) 의 걸림부 (43) 의 후단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로크부 (76) 와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압부 (75) 를 갖고 있다. 상기 가압부 (75) 는, 상면 구멍부 (43A) 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이 대략 사다리꼴을 이루고, 그 전측 가장자리가 경사 가장자리 (75A) 를 이루고 있다.
또 로크부 (76) 는, 상측 가장자리를 경사 안내 가장자리 (76A) 그리고 하측 가장자리가 수평 로크 가장자리 (76B) 를 이루는 대략 삼각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로크부 (76) 가, 상기 수평 로크 가장자리 (76B) 에서 후술하는 회동 부재의 피로크부와 상하 방향에서 걸리는 로크 기능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형태의 고정 금구 (7) 의 지지부 (73) 로 회동 안내 지지되는 회동 부재 (3) 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일례가 도 4 그리고 도 5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금속판을 굴곡시켜 3 장 중첩의 형태를 이루는 가공을 받아 제조되어 있다. 그 회동 부재 (3) 는, 도 1 에 보여지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적어도 전원 단자 (5) 의 접촉부 (52) 와 신호 단자 (6) 의 접촉부 (62) 의 범위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크기를 갖는 사각 평면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4 는 회동 부재 (3) 의 3 장 중첩의 각 층판 (외판부, 중판부, 내판부) 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일점쇄선으로 보여지도록 분리하여 나타내고 있으며, 도 5 에서는 상판부를 생략하여 도시되어 있다.
상기 회동 부재 (3) 는, 도 4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전부 굴곡부 (31) 와 후부 굴곡부 (32) 에서 S 자상으로 굴곡된 3 장 중첩 형태를 이루고, 회동 부재 (3) 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 커넥터 본체 (2) 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내판부 (33) 와, 그 바로 위에 위치하는 중판부 (34) 와, 또한 그 바로 위이고 외측에 위치하는 외판부 (35) 를 갖고 있다. 즉, 내판부 (33) 와 중판부 (34) 가 전부 굴곡부 (31) 에서 접속되어 있고, 중판부 (34) 와 외판부 (35) 가 후부 굴곡부 (32) 에서 접속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외판부 (35) 는 하우징 본체에 축지지되는 축부를 갖고 있고 기부를 이루며, 내판부 (33) 는 탄성부를 갖는 중판부 (34) 를 개재하여 기부와 접속되어 있고 가동부를 이루고 있다.
내판부 (33) 는, 전방으로 연장되고 전측 가장자리부가 상방으로 굴곡된 단면이 L 자상인 조작부 (33A) 와, 후측 가장자리부가 상방으로 굴곡되어 단면이 횡 U 자상인 보호 가장자리부 (33B) 와,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양 옆측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굴곡되어 세워지는 단면이 역 L 자상을 이루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아암부 (33C) 와, 그 측아암부 (33C) 의 후측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굴곡된 피로크편 (33D) 을 갖고 있다.
상기 조작부 (33A) 는, 상기 피로크편 (33D) 과 커넥터 본체 (2) 의 로크부 (76) 의 로크 해제를 위해, 조작자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되기 위한 부위를 이루고 있다. 또, 이 조작부 (33A) 는, 회동 부재 (3) 가 도 2 의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커넥터 본체 (2) 의 전단면에 맞닿거나 또는 근접하고 있고, 소정의 개방 위치를 초과하는 회동력을 받았을 때에는, 상기 조작부 (33A) 가 커넥터 본체 (2) 의 전단면에 맞닿아 그 전단면으로부터의 반력을 받고, 후술하는 탄성 휨 작용을 실시하도록 되어 있어, 파손이 방지되고 있다.
상기 측아암부 (33C) 는, 회동 부재 (3) 가 폐쇄 위치에 왔을 때, 커넥터 본체 (2) 의 대응부를 덮도록 하여 위치하고, 커넥터 본체 (2) 측의 고정 금구 (7) 의 가압부 (75) 가 상방으로 관통 돌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상면 창부 (33C-1) 가 형성되어 있다. 그 상면 창부 (33C-1) 는, 고정 금구 (7) 가 지지되어 있는 하우징 (4) 의 걸림부 (43) 에 형성된 가압부 (75) 와 대응하여 위치하고 있다. 또, 상기 측아암부 (33C) 의 후측 가장자리로부터 수하 (垂下) 하는 피로크편 (33D) 에는, 창부를 이루는 피로크부 (33D-1) 가 형성되어 있고, 그 피로크부 (33D-1) 의 창부 내주 하측 가장자리가 상기 커넥터 본체 (2) 측의 로크부 (76) 의 하측 가장자리를 이루는 수평 로크 가장자리 (76B) 와 걸린다. 피로크편 (33D) 은, 로크 위치로의 이동 과정에서, 그 피로크편 (33D) 의 하단 가장자리가 로크부 (76) 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경사 안내 가장자리 (76A) 에 맞닿고 (도 3 참조) 후방으로의 힘을 그 경사 안내 가장자리 (76A) 로부터 받아 후술하는 탄성부 (34X) 의 탄성 변형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여 로크 위치로의 추가적인 회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내판부 (33) 에는, 그 평탄면부에 폭 방향에 걸쳐서 접촉부 (52, 62) 측으로 엠보싱 가공에 의해 돌출되는 가압부 (33E), 그 가압부 (33E) 의 내부에 전원 단자 (5) 의 접촉부 (52) 와 신호 단자 (6) 의 접촉부 (62) 에 대응하는 위치에 창부 (33E1 과 33E2) 가 형성되어 있고, 회동 부재 (3) 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즉, 전원 단자 (5) 와 신호 단자 (6) 가 자유 상태에 있을 때, 상방으로 산형으로 굴곡되어 있는 양 접촉부 (52, 62) 와 회동 부재 (3) 의 내판부 (33) 의 접촉을 회피하여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있고, 이 점에서, 회동 부재 (3) 의 높이 방향에서의 치수의 소형화, 이른바 저배화 (低背化) 에 알맞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창부 (33E1, 33E2) 와 보호 가장자리부 (33B) 사이에는, 전후 방향에 걸쳐서 접촉부 (52, 62) 측으로 엠보싱 가공을 실시한 보강부 (33F) 가 커넥터 폭 방향에서 3 개 지점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판부 (33) 의 전측 가장자리에는, 커넥터 폭 방향 양단에 기출 (旣出) 의 전부 굴곡부 (31) 가 위치하고 있고, 내판부 (33) 와 중판부 (34) 를 접속시키고 있다.
상기 중판부 (34) 는,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4 개의 띠상부 (34A, 34B, 34C, 34D) 가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순서대로 위치하고 있고, 상기 띠상부 (34A, 34B) 끼리 그리고 띠상부 (34C, 34D) 끼리가 각각 커넥터 폭 방향 중앙 위치의 중앙 연결부 (34E) 에서 연결되고, 띠상부 (34B, 34C) 가 커넥터 폭 방향 양단 위치의 단부 연결부 (34F) 에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띠상부 (34A, 34B, 34C, 34D) 그리고 중앙 연결부 (34E) 및 단부 연결부 (34F) 는, 이들 이외의 부분을 홈으로 하여 타발 (打拔) 함으로써 형성 가능하다. 상기 띠상부 (34A, 34B, 34C, 34D) 는, 중앙 연결부 (34E) 그리고 단부 연결부 (34F) 에서의 국부적 연결에 의해 전체적으로 탄성부 (34X) 를 형성하고, 그 탄성부 (34X) 는 전후 방향 즉, 도 4 에서의 X 방향에서 띠상부 (34A, 34B, 34C, 34D) 의 간격을 변경하는 탄성 변형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조작부 (33A) 를 후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탄성부 (34X) 는 압축되어 내판부 (33) 가 후방으로 이동 가능해지고, 따라서, 그 내판부 (33) 의 측아암부 (33C) 도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피로크편 (33D) 의 피로크부 (33D-1) 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로크부 (76) 로부터 빠짐과 함께, 상면 창부 (33C-1) 의 전측 가장자리가 상기 가압부 (75) 에 그 경사 가장자리 (75A) 를 거쳐 올라앉고, 상기 상면 창부 (33C-1) 보다 전방 부분의 판면 부분의 하면으로 형성되는 피가압면 (33C-2) 에서, 가압부 (75) 로부터 상방을 향한 반력을 받아 상기 측아암부 (33C) 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진다.
상기 중판부 (34) 의 후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띠상부 (34D) 에는, 커넥터 폭 방향 양단에 기출의 후부 굴곡부 (32) 가 위치하고 있고, 중판부 (34) 와 외판부 (35) 를 접속시키고 있다.
상기 외판부 (35) 는, 대략 평판상을 이루고, 커넥터가 자동 실장시에 흡착 반송되는 흡착면이 되는 평탄면 영역 (35C) 을 중앙부에 갖고 있음과 함께, 전측 가장자리 위치에 커넥터 폭 방향 외측으로 크랭크상을 이루면서 돌출된 돌출편상의 축부 (35A) 를 갖고 있다. 그 축부 (35A) 는, 기출의 고정 금구 (7) 에 형성된 구멍상의 지지부 (73) 에 돌입하여 그 지지부 (73) 로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상기 외판부에는, 커넥터 폭 방향 양단쪽 위치에 전후로 연장되고 중판부 (34) 측으로 돌출되도록 엠보싱 가공된 보강부 (35B) 를 갖고 있다.
다음으로, 도 6 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사용 요령을 설명한다.
<평형 도체의 배치>
먼저, 회동 부재 (3) 를 이미 서술한 도 2 의 개방 위치에 가져와, 그 회동 위치를 유지한 상태로 해두고, 평형 도체 (F) 의 피걸림부 (FA) 를 상방으로부터 강하시켜 커넥터 본체 (2) 의 전원 단자 (5) 그리고 신호 단자 (6) 상에 배치한다. 평형 도체 (F) 는, 그 옆측 가장자리가 강하 과정에서 고정 금구 (7) 의 경사되는 가이드면 (74A) 에 안내되면서, 정규의 폭 방향으로 가져와진다. 평형 도체 (F) 가 정규 위치에 배치되면, 그 평형 도체 (F) 는 그 피걸림부 (FA) 의 옆측 가장자리가 하우징 (4) 의 옆측 규제벽부 (42B) 에 의해 폭 방향에서의 상기 정규 위치를 유지하면서, 전단 가장자리가 전측 규제벽부 (42A) 에 의해, 그리고 후단 가장자리가 걸림부 (43) 의 전면 (前面) 에 의해 규제되어, 전후 방향에서도 정규 위치가 유지됨과 함께 후방으로의 탈락도 방지된다.
<회동 부재의 폐쇄 위치로의 회동>
다음으로, 평형 도체 (F) 가 커넥터 본체 (2)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회동 부재 (3) 를 폐쇄 위치를 향하여 회동시킨다. 회동 부재 (3) 는, 도 2 에 나타내는 개방 위치로부터, 도 3 에 보여지는 폐쇄 위치 직전 위치를 거쳐 도 1 의 폐쇄 위치의 상태가 된다. 도 6 은 회동 부재 (3) 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전원 단자 (5) 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종단면으로서, (A) 는 평형 도체를 배치하지 않고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 (B) 는 평형 도체를 배치하였을 때의 동 위치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며, (A) 는 전원 단자의 탄성 변위량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한 도면이다.
회동 부재 (3) 가 도 3 의 폐쇄 위치 직전 위치에까지 도달하면, 회동 부재 (3) 의 내판부 (33) 에 형성된 측아암부 (33C) 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굴곡된 피로크편 (33D) 의 하단이 커넥터 본체 (2) 측의 로크부 (76) 의 상측 가장자리인 경사 안내 가장자리 (76A) 에 맞닿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동 부재 (3) 를 더욱 폐쇄 위치를 향하게 하고, 즉 도 3 에 있어서 외판부 (35) 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회동 부재 (3) 는 피로크편 (33D) 이 상기 경사 안내 가장자리 (76A) 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후방을 향한 수평 분력을 받는다. 이 후방을 향한 수평 분력은 내판부 (33) 로부터 전부 굴곡부 (31) 를 거쳐 중판부 (34) 에 전달되고, 중판부 (34) 에 형성된 탄성부 (34X) 에 압축력을 가하여 그 탄성부 (34X) 에 탄성 압축 변형을 발생시키고, 내판부 (33) 스스로는 그 중판부 (34) 에서의 탄성 압축 변형량만큼 중판부 (34) 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회동 부재 (3) 는, 피로크편 (33D) 이 상기 로크부 (76) 를 용이하게 타고넘어 추가적인 회동이 가능해진다.
<폐쇄 위치에 있어서의 로크>
피로크편 (33D) 은 그 창상의 피로크부 (33D-1) 의 하측 내측 가장자리가 로크부 (76) 의 하단 가장자리인 수평 로크 가장자리 (76B) 의 위치까지 도달하면, 피로크편 (33D) 이 로크부 (76) 로부터 받는 반력이 급격하게 감소하므로, 도 1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피로크부 (33D-1) 는 자유 상태를 향하여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대적으로 그 로크부 (76) 가 피로크부 (33D-1) 에 돌입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피로크편 (33D) 은 그 피로크부 (33D-1) 에서 상기 로크부 (76) 의 수평 로크 가장자리 (76B) 에 의해, 회동 부재 (3) 가 개방 위치로 되돌아가는 방향에 대하여 로크된다. 피로크부 (33D-1) 와 수평 로크 가장자리 (76B) 의 전후 방향에서의 로크 가능 범위 길이는, 상기 피로크편 (33D) 의 이동량, 즉, 중판부 (34) 의 탄성부 (34X) 에 있어서의 탄성 변형량이다. 따라서, 로크 가능 범위 길이는, 예를 들어 종래의 피로크편 자체의 탄성 휨량에 의한 경우에 비해, 훨씬 커서 로크가 빠지기 어려워지고, 또한 피로크편에 대한 하중 부담이 매우 작다.
상기 피로크편 (33D) 의 자유 상태를 향한 전방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내판부 (33) 의 측아암부 (33C) 에 형성된 상면 창부 (33C-1) 도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 상면 창부 (33C-1) 에 고정 금구 (7) 의 가압부 (75) 가 돌입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회동 부재 (3) 가 폐쇄 위치에 가져와지면, 신호 단자 (6) (및 전원 단자 (5)) 는, 도 6(A) 의 상태보다 평형 도체 (F) 에 가압되는 분량만큼 탄성 변위되어 도 6(B) 의 상태가 되고, 그 탄성 변위에 의해 평형 도체 (F) 와의 접촉압을 확보한다.
<로크 해제>
다음으로, 평형 도체 (F) 를 의도적으로 발출하려면, 회동 부재 (3) 의 로크를 조작부 (33A) 의 해제 조작에 의해 해제하고 나서 회동 부재 (3) 를 개방 위치로 회동시킨다.
조작부 (33A) 에 대하여 후방을 향하여 조작력을 가하면, 이 조작력은 내판부 (33) 로부터 전부 굴곡부 (31) 를 거쳐 중판부 (34) 에 대하여 후방으로의 가압력으로서 전달되고, 이 가압력에 의해 중판부 (34) 는 그 탄성부 (34X) 에서 압축 방향의 탄성 변위를 발생시키고, 그 결과, 내판부 (33) 는 중판부 (34) 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 중판부 (34) 의 후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피로크편 (33D) 이 후방으로 이동하고 로크부 (76) 로부터 빠져 로크 해제된다. 이 로크 해제와 함께, 내판부 (33) 의 측아암부 (33C) 에 형성된 상면 창부 (33C-1) 도 후방으로 이동하므로, 그 상면 창부 (33C-1) 의 전측 가장자리가 가압부 (75) 의 경사 가장자리 (75A) 에 대하여 올라앉고, 그 상면 창부 (33C-1) 보다 전방역의 피가압면 (33C-2) 에서 가압부 (75) 로부터 상방으로의 반력으로서 가압력을 받고, 로크 해제된 회동 부재 (3) 는 가압부 (75) 의 높이분만큼 자동적으로 들어올려진다. 따라서, 피로크부 (33D-1) 가 로크 위치로 다시 되돌아오지 않고 로크 해제 위치에 있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한 후, 회동 부재 (3) 는 조작자에 의해 용이하게 개방 위치를 향하여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 (33A) 에 있어서의 조작력을 해제하면, 중판부 (34) 의 탄성부 (34X) 는 자유 상태로 되돌아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고정 금구 (7) 의 로크부 (76) 는 다른 부에 대하여 휨 변형 가능해도 되고 가능하지 않아도 된다는 내용을 서술하였지만, 그 로크부 (76) 는 전후 방향에서 다른 부에 대하여 탄성 변형 가능하게 해도 된다. 도 7 에는 로크부 (76) 에 인접하여 탄성부 (77) 가 형성되어 있어 다른 부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전출 (前出) 의 도 1 내지 도 6 의 예와 공통 부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 에 있어서, 고정 금구 (7) 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측판부 (71) 의 내측에, 평면 형상이고 S 자상으로 굴곡된 내측 부분의 선단 (후단) 에 로크부 (76) 를 갖고, 그 로크부 (76) 에 인접한 전방 부위에 중판부 (34) 의 탄성부 (34X) 와 유사하고 이것을 소형화한 형상의 탄성부 (77) 를 갖고 있다. 이 탄성부 (77) 는, 전후 방향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고, 탄성 변형시에 로크부 (76) 의 위치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고정 금구 (7) 를 도 1 의 커넥터에 채용하면, 회동 부재 (3) 의 피로크편 (33D) 에 대한 로크부 (76) 는, 그 로크시에 상기 피로크편 (33D) 과의 맞닿음에 의해, 전방으로 탄성 변형됨으로써 회동 부재 (3) 의 중판부 (34) 의 탄성부 (34X) 에 있어서의 탄성 변형과 더불어 로크가 매우 용이해진다.
상기 로크부 (76) 는, 전후 방향의 탄성 변형에 추가하여, 고정 금구 (7) 의 후부에서의 탄성 휨에 의해 로크부 (76) 가 변위됨으로써, 피로크부 (33D-1) 와의 로크 걸어맞춤을 가능하게 해도 된다. 나아가서는, 로크부 (76) 와 연결되어 있는 가압부 (75) 도 함께 변위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 금구 (7) 를 지지하는 하우징 (4) 은, 그 하우징 (4) 의 걸림부 (43) 의 내부에서, 고정 금구 (7) 의 후단측에 형성된 가압부 (75) 와 로크부 (76) 에 대하여 간극을 형성함으로써, 그 고정 금구 (7) 의 후단을 자유단으로 하여 탄성 휨을 가능하게 한다. 즉, 걸림부 (43) 는, 가압부 (75) 에 대하여 간극을 갖는 상면 구멍부 (43A) 를, 그리고 로크부 (76) 에 대하여 간극을 갖는 후면 구멍부 (43B) 를 형성한다.
상기 가압부 (75) 는, 고정 금구 (7) 의 일부로서 형성되었지만, 고정 금구 (7) 와는 별도 부재의 가압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되며, 그 경우에는, 가압 부재만을 상하로 탄성을 갖고, 로크부 (76) 를 걸림부 (43) 로 고정 지지시켜 둘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0 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 의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회동 부재는 3 장 중첩의 형태였지만 1 부재로서 제조되었던 반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2 부재로서 제조되어 있다.
도 9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동 부재 (3) 는, 고정 부재 (80) 와 가동 부재 (90) 의 2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 부재 (80) 는, 하판부 (81) 와, 그 하판부 (81) 의 후단 가장자리에서 단면이 횡 U 자상인 굴곡부 (83) 를 개재하여 그 하판부 (81) 에 연결되어 있고 그 하판부 (81) 의 상방에 간격을 갖고 위치하는 상판부 (82) 를 갖고 있다. 상판부 (82) 는, 도 1 에 있어서의 외판부 (35) 와 유사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전단 가장자리에 절결부 (82A) 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전단에서 측방으로 크랭크상으로 굴곡되어 돌출되어 있고 고정 금구 (7) 의 지지부 (73) 로 지지되는 축부 (82B) 를 갖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절결부 (82A) 에 상당하는 부분은, 조작부 (33A) 의 가동 범위를 확대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지만, 도 9 에 있어서는 절결부 (82A) 의 폭 방향 양단 가장자리는 후술하는 하판부 (81) 에 형성된 걸림편이 걸리는 부분이 되는 피걸림부 (82A-1) 를 형성한다는 다른 하나의 기능을 갖고 있다.
상기 하판부 (81) 의 전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상판부 (82) 의 피걸림부 (82A-1) 에 걸리는 걸림편 (81A) 이 세워져 형성되어 있다. 그 걸림편 (81A) 은 커넥터 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 돌기 (81A-1) 가 형성되어 있고, 그 걸림편 (81A) 의 탄성에 의해 걸림 돌기 (81A-1) 가 상기 피걸림부 (82A-1) 의 측단 가장자리을 타고넘어 그 피걸림부 (82A-1) 의 상면과 걸리게 되어 있고, 이 걸림에 의해 하판부 (81) 와 상판부 (82) 는 그 간격이 넓어지지는 않는다.
가동 부재 (90) 는, 기판부 (91) 와 그 위에 위치하는 탄성부 (92) 를 갖고,그 기판부 (91) 와 탄성부 (92) 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양단 위치에서 전단 가장자리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기판부 (91) 는, 커넥터 폭 방향 중앙 위치에서의 전단 가장자리에 조작부 (91A), 커넥터 폭 방향의 양 측단 위치에 측아암부 (91B) 를 갖고 있고, 도 4 에 도시된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조작부 (33A) 와 측아암부 (33C) 를 갖고 있는 내판부 (33) 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측아암부 (91B) 의 후단으로부터 피로크부 (91C-1) 를 갖는 피로크편 (91C) 이 수하하고 있는 점도, 도 4 의 측아암부 (33C) 의 후단으로부터 수하하는 피로크편 (33D) 과 동일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기판부 (91) 에 연결되고 그 기판부 (91) 의 상방에 위치하는 탄성부 (92) 자체의 형태는, 도 4 에 있어서의 탄성부 (34X) 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형태의 기판부 (91) 와 탄성부 (92) 를 갖는 가동 부재 (90) 가, 상기 서술한 고정 부재 (80) 의 하판부 (81) 의 걸림편 (81A) 과 상판부 (82) 의 피걸림부 (82A-1) 의 걸림 전에 간격을 크게 하고 있는 그 하판부 (81) 와 상판부 (82) 사이에 삽입된 후, 상기 걸림편 (81A) 과 피걸림부 (82A-1) 를 건다. 이렇게 함으로써, 가동 부재 (90) 는, 도 8 에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 (91A) 의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상기 걸림편 (81A) 에 의해 전방으로의 탈락이 방지되고, 고정 부재 (80) 와 더불어 하나의 유닛이 된다.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 가동 부재 (90) 의 탄성부 (92) 는 그 후단 (92A) 이 고정 부재 (80) 의 후단에 위치하는 굴곡부 (83) 의 내벽면에 대하여 맞닿음 가능한 위치에 있고, 조작부 (91A) 를 후방으로 가압하면, 상기 탄성부 (92) 의 후단 (92A) 이 상기 고정 부재 (80) 의 굴곡부 (83) 의 내벽면에 맞닿아 탄성부 (92) 가 압축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따라서, 가동 부재 (90) 의 조작부 (91A) 그리고 이것에 연결되는 측아암부 (91B) 그리고 피로크편 (91C) 도, 탄성부 (92) 의 탄성 변형량의 분량만큼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도, 회동 부재 (3) 의 고정 금구 (7) 에 대한 로크 그리고 로크 해제는, 로크시의 피로크편 (91C) 과 로크부 (76) 의 맞닿음에 의해, 그리고 로크 해제시의 조작부 (91A) 에서의 조작에 의해, 탄성부 (92) 에 있어서의 탄성 변형을 얻음으로써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 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회동 부재 (3) 는, 기출의 도 1 내지 도 7 의 형태에서는 1 부재로 3 장 중첩, 도 8 내지 도 10 의 형태에서는 2 부재에 의한 4 장 중첩으로 되어 있었지만, 도 11 에서는 단순한 1 장의 형태로 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도 11 에 있어서, 회동 부재 (3) 는, 금속판을 1 장의 것을 굴곡시켜 중첩시키거나, 2 장의 것을 사용하여 중첩시키거나 하지 않고 형성되어 있다. 회동 부재 (3) 는, 전후 방향 중간 위치를 경계로 하여, 전부측에 고정부 (100), 후부측에 가동부 (110), 중간부에 탄성부 (120) 를 갖고 있다.
고정부 (100) 는, 평탄 판상을 이루고, 그 전단 양 측부에 측방으로 돌출되는 피지지부 (101) 를 갖고, 후부에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 (102) 이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그 슬릿 (102) 이 상기 탄성부 (120) 와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
가동부 (110) 는, 후단에 상방으로 세워지도록 굴곡된 단면이 L 자상인 조작부 (111) 와, 커넥터 폭 방향 양단에서 세워지는 단면이 역 L 자상인 측아암부 (112) 와, 그 측아암부 (112) 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굴곡된 피로크편 (113) 을 갖고 있다. 상기 가동부 (110) 는 커넥터 폭 방향 중앙 위치에서 잘록상을 이루는 결합부 (121) 에 의해 그 탄성부 (120) 와 연결되어 있다. 탄성부 (120) 는, 상기 슬릿 (102) 과 결합부 (121) 의 존재에 의해, 전후 방향에서의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회동 부재 (3) 는, 고정부 (100) 에 피지지부 (101), 가동부 (110) 의 피로크편 (113) 에 피로크부 (113A) 를 갖고 있지만, 이들 피지지부 (101) 그리고 피로크부 (113A) 는, 기출의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형태를 갖고, 동일한 기능을 가져온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도 회동 부재 (3) 의 고정 금구 (7) 에 대한 로크 그리고 로크 해제는, 로크시의 피로크편 (113) 과 로크부 (76) 의 맞닿음에 의해, 그리고 로크 해제시의 조작부 (111) 에서의 후방측으로 당기는 조작에 의해, 탄성부 (120) 에 있어서의 탄성 변형을 얻음으로써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1 : 커넥터 33A : 조작부
2 : 커넥터 본체 33D : 피로크편
3 : 회동 부재 33D-1 : 피로크부
4 : 하우징 34 : 중판부
5 : (전원) 단자 34X : 탄성부
6 : (신호) 단자 35 : 외판부 (기부)
7 : 고정 금구 75 : 가압 부재 (가압부)
33 : 내판부 (가동부) 76 : 로크부

Claims (9)

  1. 평형 도체와의 접촉 접속을 위한 단자가 하우징에 의해 커넥터 폭 방향으로 배열 유지되어 있는 커넥터 본체와, 그 커넥터 본체에 의해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까지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금속판제의 회동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방을 향하여 노정되어 있는 상기 단자의 접촉부 상에 평형 도체를 상방으로부터 재치 가능하게 하고,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는 평형 도체를 그 접촉부에 대하여 가압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회동 부재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지지부를 커넥터 본체에 갖고, 그리고 피지지부를 회동 부재에 갖고 있음과 함께, 회동 부재와 커넥터 본체가 피로크부와 로크부를 각각 갖고 있어 회동 부재의 폐쇄 위치에서 서로 로크 걸림되도록 되어 있고,
    회동 부재는, 피지지부가 형성되는 기부와, 피로크부와 조작부가 형성되는 가동부와, 상기 기부와 상기 가동부를 전후 방향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하는 탄성부를 갖고 있고, 그 탄성부의 탄성 변형에 의해 기부와 가동부는 전후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고, 회동 부재를 폐쇄 위치측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피로크부와 커넥터 본체의 로크부가 간섭하고, 더욱 폐쇄 위치측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로크 걸림이 가능하게 되어 있음과 함께, 조작부를 상기 탄성 변형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피로크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로크부와 피로크부는, 조작부에서의 로크 해제 조작시에, 탄성부에서의 탄성 변형에 기초하여, 피로크부가 로크부를 타고넘어 로크 해제 위치에 가져와지는 위치 관계에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로크부와 피로크부는, 조작부에서의 로크 해제 조작시에, 탄성부에서의 탄성 변형에 기초하여, 로크부가 피로크부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위치 관계에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회동 부재는, 폐쇄 위치에서 단자의 접촉부에 대하여 가까운 순서로 내판부와 외판부를 갖고, 내판부와 외판부 중 일방에 피지지부가 형성되고, 내판부와 외판부는 전후 방향에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부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고, 그 탄성부에서의 탄성 변형에 의해 외판부와 내판부는 전후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고, 내판부와 외판부 중 타방은 피로크부가 형성되고, 회동 부재를 폐쇄 위치에 가져옴으로써 상기 탄성부에 있어서의 탄성 변형에 의해 피로크부가 탄성 변형 방향으로 이동하여 커넥터 본체의 로크부와의 걸림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회동 부재는, 금속판의 영역을 전후 방향에서 구분하도록 3 장 중첩을 이루도록 굴곡되어 있고, 금속판의 일방의 자유단측을 전측 가장자리부로 하는 외판부와, 타방의 자유단부를 후측 가장자리부로 하는 내판부와, 외판부와 내판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외판부의 후측 가장자리 그리고 내판부의 전측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있는 중판부를 갖고, 상기 외판부의 옆측 가장자리부에 피지지부가 형성되고, 내판부의 후측 가장자리부에 피로크부가 그리고 전측 가장자리부에 조작부가 각각 형성되고, 또한, 중판부에 탄성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회동 부재의 피로크부는 외판부의 후측 가장자리부로부터 굴곡된 피로크편에 형성된 피로크창으로서 형성되고, 커넥터 본체의 로크부는 그 커넥터 본체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로크 돌출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작부는, 회동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커넥터 본체의 외면에 대하여 매우 가깝거나 혹은 맞닿아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8. 제 1 항, 제 6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넥터 본체는, 회동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하에서, 조작부가 로크 해제 방향으로 조작되었을 때, 그 회동 부재를 개방 위치를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갖고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동 부재는, 그 회동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커넥터의 무게 중심을 통과하는 연직선이 외판부와 교차하는 점을 포함하는 범위에서 외판부의 외면에 평탄면 영역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1020150109923A 2014-08-07 2015-08-04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1019615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61103A JP6085272B2 (ja) 2014-08-07 2014-08-07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JP-P-2014-161103 2014-08-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383A true KR20160018383A (ko) 2016-02-17
KR101961519B1 KR101961519B1 (ko) 2019-03-22

Family

ID=55377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923A KR101961519B1 (ko) 2014-08-07 2015-08-04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085272B2 (ko)
KR (1) KR101961519B1 (ko)
CN (1) CN105375142B (ko)
TW (1) TWI599121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59729A (zh) * 2018-11-28 2019-04-19 昆山长盈精密技术有限公司 连接端子及用于电池模组的支架组件
CN109659728A (zh) * 2018-11-28 2019-04-19 昆山长盈精密技术有限公司 连接端子及用于电池模组的支架组件
KR20210000899U (ko) * 2019-10-16 2021-04-27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박형화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62357A (zh) * 2017-12-22 2019-07-02 春源科技(深圳)有限公司 Fpc连接器及其与fpc线路的组合架构
CN109616797B (zh) * 2018-11-06 2020-06-30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连接器组件及其扣持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7410A (ja) * 2008-05-13 2009-11-26 Molex Inc コネクタ
JP2010044904A (ja) 2008-08-11 2010-02-25 Honda Tsushin Kogyo Co Ltd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KR101387652B1 (ko) * 2012-10-17 2014-04-24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표면 실장형 클램프
JP2015060633A (ja) * 2013-09-17 2015-03-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4174A (ja) * 1997-09-12 1999-03-26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内蔵型コネクタヘッド
WO2009069107A2 (en) * 2007-11-29 2009-06-04 Fci Electrical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JP5290074B2 (ja) * 2009-07-13 2013-09-1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光コネクタ
JP5393498B2 (ja) * 2010-01-19 2014-01-22 株式会社ヨコオ 中継コネクタ
JP5132002B2 (ja) * 2010-09-07 2013-01-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CN103001026B (zh) * 2011-09-15 2015-02-25 第一精工株式会社 连接器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7410A (ja) * 2008-05-13 2009-11-26 Molex Inc コネクタ
JP2010044904A (ja) 2008-08-11 2010-02-25 Honda Tsushin Kogyo Co Ltd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KR101387652B1 (ko) * 2012-10-17 2014-04-24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표면 실장형 클램프
JP2015060633A (ja) * 2013-09-17 2015-03-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59729A (zh) * 2018-11-28 2019-04-19 昆山长盈精密技术有限公司 连接端子及用于电池模组的支架组件
CN109659728A (zh) * 2018-11-28 2019-04-19 昆山长盈精密技术有限公司 连接端子及用于电池模组的支架组件
KR20210000899U (ko) * 2019-10-16 2021-04-27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박형화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75142B (zh) 2018-10-12
CN105375142A (zh) 2016-03-02
JP2016039015A (ja) 2016-03-22
JP6085272B2 (ja) 2017-02-22
KR101961519B1 (ko) 2019-03-22
TWI599121B (zh) 2017-09-11
TW201613197A (en) 2016-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1519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US7473125B2 (en) Electrical connector
US6755682B2 (en) Rotating actuator for cable connector with hook shaped pivot on terminal
US6726497B2 (en) Connector for flat flexible cable
US867884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one action automatic mechanism
US7445495B2 (en) Flat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JP2004165046A (ja) 平型導体の接続のための電気コネクタ
US20120289093A1 (en) Connector
KR20080087707A (ko) 케이블 커넥터
JP2011028921A (ja) コネクタ組立体
JP2009016266A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KR101302844B1 (ko) 커넥터
EP1557912B1 (en) A connector
JP5132002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11181439A (ja) コネクタ
TW200941844A (en) Connecting terminal for connector
JP5922627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5579652B2 (ja) コネクタ
JP2013054886A (ja) コネクタ
JP2011233487A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KR101366526B1 (ko) 커넥터
JP6860998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KR101512613B1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JP2006147157A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5391295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