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652B1 - 표면 실장형 클램프 - Google Patents

표면 실장형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652B1
KR101387652B1 KR1020120115618A KR20120115618A KR101387652B1 KR 101387652 B1 KR101387652 B1 KR 101387652B1 KR 1020120115618 A KR1020120115618 A KR 1020120115618A KR 20120115618 A KR20120115618 A KR 20120115618A KR 101387652 B1 KR101387652 B1 KR 101387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over
locking
side member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희석
임종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Priority to KR1020120115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652B1/ko
Priority to PCT/KR2013/009290 priority patent/WO201406201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01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by means of a mounting stru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25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abutting or pinching, i.e. without alloying process; mechanical auxiliary par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356Cab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393Clamping a component by an element or a set of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431Details of mounted components
    • H05K2201/10439Position of a single component
    • H05K2201/10446Mounted on an e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tallurg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과 같은 외부 케이블과 인쇄 회로 기판을 직접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클램프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는 프레임 형태로 연결된 전방 부재, 후방 부재 그리고 측면 부재를 가지며, 측면 부재는 록킹 부재가 설치된 베이스; 및 측면 부재, 측면 부재에 연결되고 베이스의 공간부에 대응하는 플레이트 부재, 플레이트 부재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한 종단이 플레이트 부재에서 연장되어 플레이트 부재에 인접한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압편 및 측면 부재에 형성된 록킹편을 갖는 커버로 이루어져, 인쇄 회로 기판 상에 고정된 베이스의 공간부에 케이블이 위치할 때, 커버가 베이스를 향하여 회전하여 커버의 가압편이 외부 케이블을 인쇄 회로 기판을 향하여 가압하고 커버는 록킹 부재와 록킹편에 의하여 베이스에 록킹된다.

Description

표면 실장형 클램프{Surface-mounting type clamp}
본 발명은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인쇄 회로 기판의 표면 상에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인쇄 회로 기판 상의 도전성 패턴과 외부 케이블의 터미널을 전기적으로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표면 실장형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부의 장치와 인쇄 회로 기판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구현하기 위하여 보드 투 보드 방식의 컨넥터(Board To Board type connector)가 사용된다. 이 보드 투 보드 방식의 컨넥터는 도전성 패턴이 포함된 플렉시블 인쇄 회로 기판("FPCB")과 인쇄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일반적인 보드 투 보드 컨넥터는 하우징 및 하우징 내에 고정적으로 배치된 다수의 콘택트(또는 "터미널"로도 칭함)를 포함한다. 각 콘택트는 도전성 재료, 즉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다. FPCB와 컨넥터의 결합시, FPCB의 각 도전성 패턴은 컨넥터의 대응 콘택트와 접촉하여 케이블과 컨넥터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컨넥터의 다른 일측에는 도시되지 않은 장치를 구성하는 인쇄 회로 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FPCB와 인쇄 회로 기판은 컨넥터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FPCB를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컨넥터는 비교적 부피가 크기 때문에 컨넥터가 장착되는 전자 장치의 부피가 커진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또한, 하우징 내에 다수의 콘택트를 미세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배치시켜야 하며, 또한 어느 한 콘택트에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FPCB와 인쇄 회로 기판의 완전한 전기적 접속을 기대할 수 없다.
한편, 외부 케이블의 하나로써 위와 같은 컨넥터를 이용하지 않고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직접 실장되어 인쇄 회로 기판의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포저(interposer; 물론 외부 장치에 연결)가 개발, 사용화되고 있다. 인터포저는 도전성 패턴이 형성된 플렉서블 인쇄 회로 기판(FPCB) 및 플렉서블 인쇄 회로 기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기판을 포함한다.
기판의 일부 표면 상에는 다수의 터미널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터미널은 솔더 범프(solder bump)를 통하여 플렉서블 인쇄 회로 기판의 도전성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인터포저는 컨넥터의 사용 없이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직접 실장되며, 이 상태에서 기판의 터미널이 인쇄 회로 기판의 도전성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인터포저가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될 때, 인터포저를 흔들림 없이 고정시켜 줌과 동시에 인터포저를 구성하는 기판에 형성된 터미널과 인쇄 회로 기판 상의 도전성 패턴이 견고하게 그리고 안정적으로 접촉되도록 외력을 가해주는 수단/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또는 인터포저와 같은 외부 케이블을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컨넥터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잡한 구조를 갖는 컨넥터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외부 케이블과 인쇄 회로 기판을 직접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인터포저를 가압하여 인쇄 회로 기판 상에서 인터포저를 고정시키면서 인터포저를 구성하는 기판 상에 형성된 터미널과 인쇄 회로 기판 표면 상의 도전성 패턴을 직접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는 프레임 형태로 연결된 전방 부재, 후방 부재 그리고 측면 부재를 가지며, 측면 부재는 록킹 부재가 설치된 베이스; 및 측면 부재, 측면 부재에 연결되고 베이스의 공간부에 대응하는 플레이트 부재, 플레이트 부재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한 종단이 플레이트 부재에서 연장되어 플레이트 부재에 인접한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압편 및 측면 부재에 형성된 록킹편을 갖는 커버로 이루어져, 인쇄 회로 기판 상에 고정된 베이스의 공간부 내에 외부 케이블이 위치할 때, 커버가 베이스를 향하여 회전하여 커버의 가압편이 외부 케이블을 인쇄 회로 기판을 향하여 가압하고 커버는 록킹 부재와 록킹편에 의하여 베이스에 록킹된다.
여기서, 베이스는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며, 전방 부재, 후방 부재 그리고 양 측면 부재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편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고정편이 인쇄 회로 기판의 소정 영역에 용접 등을 통하여 고정됨으로써 베이스는 인쇄 회로 기판 상에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록킹 부재는 베이스의 서로 마주하는 2개의 측면 부재의 외부면에 각각 고정되며, 각 록킹 부재는 하단이 측면 부재의 외부면에 고정되며, 중앙부는 측면 부재의 외부면과 소정 간격을 유지하며, 상단부는 측면 부재를 향하여 절곡되어 절곡 부재가 측면 부재의 외부면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여 커버의 측면 부재가 측면 부재와 절곡 부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록킹편은 커버의 마주보는 2개의 측면 부재의 외부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각각 형성되며, 상단은 수평면으로 이루어져, 커버가 베이스에 대하여 완전히 회전될 때, 록킹편의 상단 수평면과 록킹 부재의 절곡 부재의 하단 수평면이 서로 접촉한다.
한편, 커버는 플레이트 부재의 후방에서 연장되어 베이스의 후방 부재에 일체로 연결된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여 연결 부재의 절곡에 의하여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이와 달리, 커버와 베이스는 독립적인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커버의 측면 부재의 후방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베이스의 측면 부재의 후단부 외부면에는 측면 부재와 소정 간격을 두고 지지 부재가 배치되되, 지지 부재의 하단은 측면 부재에 고정되고, 지지 부재의 내부 표면 및 측면 부재의 후단부 외부 표면에는 돌기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커버의 측면 부재가 베이스의 지지 부재와 측면 부재에 사이에 삽입될 때, 베이스의 지지 부재와 측면 부재에 형성된 돌기가 커버의 측면 부재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어 커버는 베이스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에서, 커버의 플레이트 부재의 중앙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절개부의 에지에는 절개부를 향하여 연장된 가압편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커버의 하향 회전 및 커버와 베이스의 록킹 상태 해제시 가압편은 절개부 내에서 상하 회전할 수 있다. 이때, 가압편은 절개부의 엣지로부터 베이스를 향하여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구조에서, 커버의 플레이트 부재의 중앙부에는 브릿지 부재에 의하여 구분된 2개의 절개부가 형성되며, 브릿지 부재의 양 에지에는 각 절개부를 향하여 연장된 가압편이 각각 고정되어 있어 커버의 하향 회전 및 커버와 베이스의 록킹 상태 해제시 각 가압편은 절개부 내에서 상하 회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는 복잡한 구조를 갖는 컨넥터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기판에 실장된 상태에서 인터포저와 같은 외부 케이블을 인쇄 회로 기판에 직접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는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외부 케이블, 특히 인터포저를 가압하여 인터포저의 터미널을 기판 표면 상의 도전성 패턴을 직접적으로 그리고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사시도, 평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선 A-A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 부분의 상세도로서, 커버가 베이스에 결합되기 직전 상태에서의 록킹 부재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의 대응 도면으로서, 커버가 베이스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사시도, 평면도 및 측면도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는 인쇄 회로 기판(도시되지 않음)의 소정 위치에 고정적으로 배치되는 베이스(100) 및 베이스(100)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된 커버(200)를 포함한다.
한편, 도 1, 도 2 및 도 3은 커버(200)가 베이스(100)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개방된 상태의 클램프를 각각 도시한다.
베이스(100)는 서로 연결된 다수의 단위 부재, 예를 들어 전방 부재(110), 후방 부재(140) 그리고 전방 부재(110)와 후방 부재(140)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2개의 측면 부재(120 및 130)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베이스(100)는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된 프레임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후방"은 후술한 외부 케이블(예를 들어, 인터포저)의 선단부(인터포저에서는 터미널이 배치된 부분)와 대응하는 부분이며, "전방"은 "후방"의 반대 부분을 칭한다.
베이스(100)의 전방 부재(110), 양 측면 부재(120 및 130) 그리고 후방 부재(140)의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며, 전방 부재(110), 양 측면 부재(120 및 130) 및 후방 부재(140)의 하단에는 인쇄 회로 기판(도시되지 않음)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는 고정편(111, 121, 131 및 14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서로 마주하는 2개의 측면 부재(120 및 130)의 외부면에는 록킹 부재(122 및 132)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각 록킹 부재(122 및 132)는 하단이 양 측면 부재(120 및 130)의 외부면에 각각 고정되며, 중앙부는 측면 부재(120 및 130)의 외부면과 소정 간격을 유지한다.
또한, 각 록킹 부재(122 및 132)의 상단부는 내측, 즉 측면 부재(120 및 130)를 향하여 절곡되며, 절곡 부재는 측면 부재(120 및 130)의 외부면과 평행한 상태가 된다 (도 5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함).
커버(200)는 베이스(100)의 내부 공간(즉, 전방 부재(110), 측면 부재(120 및 130) 그리고 후방 부재(140)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대응하는 플레이트 부재(210), 플레이트 부재(210)의 양 측면 에지에서 하향 연장되어 베이스(100)의 양 측면 부재(120 및 130)에 각각 대응하는 2개의 측면 부재(220 및 230) 그리고 플레이트 부재(210)의 후방 에지에서 연장되어 베이스(100)의 후방 부재(140)에 일체로 연결된 연결 부재(240)를 포함한다.
이 연결 부재(240)에 의하여 커버(200)와 베이스(100)는 서로 연결되며, 특히 커버(200)는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베이스(100)에 대하여 이 연결 부재(240)를 중심으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커버(200)의 플레이트 부재(210)의 중앙부에는 소정 방향, 바람직하게는 장착될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의 폭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개부는 플레이트 부재(210)에 고정된 브릿지 부재(213)에 의하여 분리되어 서로 이격된 2개의 절개부(211, 212)로 구분된다.
브릿지 부재(213)의 양 에지에는 각 절개부(211, 212)를 향하여 연장된 2개의 가압편(213-1 및 213-2)이 각각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가압편(213-1 및 213-2)은 대응하는 절개부(211, 212)의 크기(면적)보다 작으며, 따라서, 가압편(213-1 및 213-2)은 각 절개부(211, 212)에서 브릿지 부재(213)의 에지부를 중심으로 상하 회전이 가능하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편(213-1 및 213-2)은 브릿지 부재(213)의 에지로부터 하향 경사, 즉 베이스(100)를 향하여 경사져 있다.
여기서, 커버(200)의 플레이트 부재(210)의 중앙부에는 단일의 절개부만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일의 가압편이 절개부의 에지에 연결되어 절개부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커버(200)의 양 측면 부재(220 및 230)의 외부 표면에는 소정 높이의 록킹편(222; 한 측면 부재(230)에 형성된 록킹편은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록킹편(222)은 커버(100)의 측면 부재(120 및 130)의 외부 표면 상에 형성된 록킹 부재(122 및 132)와 대응한다.
도 5는 도 1의 "B" 부분의 상세도로서, 커버(200)의 어느 한 측면 부재(220)에 형성된 록킹편(222)을 베이스(100)의 어느 한 측면 부재(120)에 형성된 록킹 부재(122)와 함께 도시하고 있다.
커버(200)의 측면 부재(220)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록킹편(222)은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부재로서, 상단은 수평면(222a)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측면 부재(120)에 고정된 록킹 부재(122)는 그 상단부가 측면 부재(120)를 향하여 절곡되며, 절곡 부재(122-1)의 하단은 수평면(122-2)으로 이루어진다.
커버(200)의 측면 부재(220)는 베이스(100)의 측면 부재(120)와 록킹 부재(122) 사이의 공간에 대응되며, 특히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커버(200)의 측면 부재(220) 외부 표면과 베이스(100)의 록킹 부재(122)의 절곡 부재(122-1)의 표면은 서로 대응한다 (도 5의 상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동작 및 기능을 각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4의 대응 도면으로서, 인쇄 회로 기판(C) 상에 고정된 베이스(100)에 커버(20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클램프는 베이스(100)를 통하여 인쇄 회로 기판(도 7의 C)의 표면에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즉, 베이스(100)의 전방 부재(110), 양 측면 부재(120 및 130) 및 후방 부재(140) 하단에 형성된 고정편(111, 121, 131 및 141)을 인쇄 회로 기판(도 7의 C)의 소정 영역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시킴으로써 클램프는 인쇄 회로 기판(C) 상에 실장된다.
이때, 클램프의 커버(200)는 베이스(100)와 록킹되지 않은, 즉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0)가 베이스(100)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갖고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인쇄 회로 기판(C)에 형성된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또는 인터포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도전성 패턴은 베이스(100)의 전방 부재(110), 양 측면 부재(120 및 130) 그리고 후방 부재(140) 사이의 영역에 위치한 상태로 외부로 노출된다.
클램프를 인쇄 회로 기판(C)에 고정시킨 후, 작업자는 외부 케이블, 예를 들어 인터포저(도 6의 F)의 제 1 부분(F1)을 베이스(100)의 전방 부재(110), 양 측면 부재(120 및 130) 그리고 후방 부재(140)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부에 위치시킨다. 여기서, 도 6에서는 인터포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으며, 인터포저의 형상은 도 6에 도시된 형상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포저(F)는 인쇄 회로 기판(C) 상의 도전성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터미널이 형성된 부분인 제 1 부분(F1)과 외부 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된 플렉서블 인쇄 회로 기판만이 존재하는 제 2 부분(F2)으로 구분된다. 인터포저(F)의 제 1 부분(F1)과 제 2 부분(F2)은 소정의 높이 차이(H)를 가질 수 있으며, 이 높이 차이(H)는 베이스(100)의 전방 부재(110)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인터포저(F)의 제 1 부분(F1)이 베이스(100) 내에 위치하면, 제 1 부분(F1)의 도전성 패턴과 인쇄 회로 기판(C) 상의 도전성 패턴은 서로 대응된 상태가 되며, 제 2 부분(F2)은 클램프의 외부에 위치한다.
이후, 커버(200)에 외력이 가해지면, 커버(200)는 플레이트 부재(210)의 후방 에지에서 연장되어 베이스(100)의 후방 부재(140)에 고정된 연결 부재(240)를 중심으로 회전(도 1 및 도 2의 화살표 "가" 방향)으로 회전하며, 따라서 커버(200)의 플레이트 부재(210)는 베이스(100)에 고정적으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커버(200)의 회전 과정에서, 플레이트 부재(210)에 형성된 2개의 가압편(213-1 및 213-2)은 인터포저(F)의 제 1 부분(F1)을 가압하게 되며, 동시에 플레이트 부재(210)의 절개부(211, 212) 내에서 상향 회전한다.
이후, 커버(200)가 베이스(100)에 완전히 고정적으로 결합될 때, 커버(200)의 2개의 가압편(213-1 및 213-2)은 플레이트 부재(210)와 실질적으로 동일 표면 상에 위치하는 상태로 회전한다. 따라서,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2개의 가압편(213-1 및 213-2)은 그 전체 표면이 인터포저(F)의 제 1 부분(F1)의 표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가압편(213-1 및 213-2)이 탄성력(복원력)으로 인터포저 (F)의 제 1 부분(F1)을 견고하게 가압하게 되며, 그 결과 인터포저(F)의 제 1 부분(F1)에 형성된 터미널은 인쇄 회로 기판(C) 상의 도전성 패턴과 안정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커버(200)의 회전 과정에서, 커버(200)의 측면 부재(220 및 230)에 형성된 록킹편(222)과 베이스(100)의 측면 부재(120 및 130)에 고정된 록킹 부재(122)에 록킹된다.
즉, 커버(200)가 베이스(100)를 향하여 회전(하향 이동)함에 따라 커버(200)의 측면 부재(220 및 230)는 베이스(100)의 측면 부재(120 및 130)와 록킹 부재(122 및 132) 사이의 공간으로 진입하며, 이 과정에서 커버(200)의 측면 부재(220 및 230)의 외부 표면 상에 형성된 록킹편(222)과 베이스(100)의 록킹 부재(122 및 132)의 절곡 부재(122-1)와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커버(200)의 진입(회전)이 진행되면, 베이스(100)의 록킹 부재(122 및 132)는 커버(200)의 록킹편(222)에 의하여 외측으로 휘어지며, 커버(200)의 진입이 완료, 즉 베이스(100)의 록킹 부재(122 및 132)와 커버(200)의 록킹편(222)의 접촉이 해제되면, 록킹 부재(122 및 132)는 그 복원력에 의하여 최초 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록킹 부재(122 및 132)의 절곡 부재(122-1)의 하단 수평면(122-2)이 록킹편(222)의 상단 수평면(222a)과 접촉한다. 결과적으로 커버(200)와 베이스(100)는 록킹편(222)과 록킹 부재(122 및 132)를 통하여 견고하게 록킹되어 의도하지 않은 외력이 커버(200)에 가해져도 커버(200)와 베이스(100)의 결합 상태는 해제되지 않는다.
반대로, 인터포저(F)를 인쇄 회로 기판(C)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베이스(100)의 록킹 부재(122 및 132)를 외측으로 잡아당기면, 록킹편(222)과 록킹 부재(122 및 132) 간의 록킹 상태가 해제된다.
이와 같이 커버(200)의 2개의 가압편(213-1 및 213-2)을 구속하는 힘이 제거됨으로써 커버(200)는 가압편(213-1 및 213-2)의 복원력에 의하여 회전(도 1 및 도 3의 화살표 "나" 방향)하며, 따라서 커버(200)와 베이스(100)의 결합 상태가 회전됨과 동시에 인터포저(F)의 제 1 부분(F1)을 누르는 힘이 제거되어 인터포저(F)를 클램프로부터 쉽게 분리, 제거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로서, 제 2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전체적인 구성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전체적인 구성과 동일하다.
즉, 제 2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역시 커버(2000)와 베이스(1000)를 포함하며, 커버(2000)와 베이스(1000)의 세부 구성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를 구성하는 커버(200)와 베이스(100)의 세부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이 클램프에 의하여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인터포저(F)의 형상도 제 1 실시예에서 설명된 인터포저의 형상과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특징적인 구성 및 그 기능만을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후단부"는 인터포저(F)의 제 1 부분(F1)에 대응하는 부분으로 정의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가장 큰 특징은 커버(2000)와 베이스(1000)가 독립적인 부재로 이루어지며, 분리 가능하게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는 것이다.
커버(2000)는 양 측면 부재(2100 및 2200)를 포함하며, 양 측면 부재(2100 및 220)의 후단부(장착된 인터포저(F)의 제 1 부분(F1)이 대응하는 부분)에는 소정 직경의 관통공(2101 및 2201)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1000)의 양 측면 부재(1100 및 1200)의 후단부 외부면에는 양 측면 부재(1100 및 1200)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지지 부재(1110 및 1210)가 배치되며, 이 지지 부재(1110 및 1210)의 하단은 측면 부재(1100 및 1200)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 부재(1110 및 1210)의 내부 표면(즉, 측면 부재에 대응하는 표면)에는 소정 직경의 반구형 돌기(실질적으로 도시되지 않지만, 도면에서는 점선으로 도시하고 도면 부호 "1111"을 부여함)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측면 부재(1100 및 1200)의 후단부 외부 표면에도 소정 직경의 반구형 돌기(실질적으로는 도시되지 않지만, 도면에서는 점선으로 도시하고 도면 부호 "1211"을 부여함)가 형성되어 있다.
(인쇄 회로 기판 상에 고정된) 베이스(1000)에 커버(2000)를 고정하기 위하여, 커버(2000)의 양 측면 부재(2100 및 2200)의 후단부를 양 측면 부재(2100 및 220)와 지지 부재(1110 및 1210) 사이의 공간에 삽입한다.
커버(2000)의 양 측면 부재(2100 및 2200)의 후단부에 형성된 관통공(2101 및 2201)의 양 방향으로 지지 부재(1110 및 1210)의 내부 표면(즉, 측면 부재에 대응하는 표면)에 형성된 반구형 돌기(1111)와 측면 부재(1100 및 1200)의 후단부 외부 표면에 형성된 반구형 돌기(1211)가 삽입, 수용되며, 따라서, 커버(2000)는 베이스의 양 측면 부재(1100 및 1200)에 형성된 돌기(1211)와 지지 부재(1110 및 1210)에 형성된 돌기(111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에서 인터포저(F)를 가압하는 수단 및 기능 그리고 커버(2000)와 베이스(1000)를 록킹하는 수단 및 기능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가압 수단과 록킹 수단과 동일하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와 비교하여,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는 다음과 같은 사용상 이점/효과를 갖는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를 구성하는 커버(200)와 베이스(100)는 커버(220)의 연결 부재(240)를 통하여 서로 일체화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 부재(240)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커버(200)는 베이스(100)에 대하여 설정 각도(예를 들어, 30° 이상 회전하기 어려우며, 특히 커버(200)가 베이스(100)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회전, 즉 연결 부재(240)가 반복적으로 굽혀질 때, 연결 부재(240)에 피로 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클램프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커버(200)와 베이스(100)가 분리되어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제 2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커버와 베이스는 독립적인 부재로 제조되어 구조적인 결합 수단을 통하여 서로 결합 그리고 회전함으로써 장기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그 기능을 완전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 2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에서는 베이스와 커버가 록킹되지 않은 상태에서 베이스에 대한 커버의 개폐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있기 때문에 그리고 베이스로부터 커버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클램프와 인쇄 회로 기판 사이로의 인터포저의 투입 공정을 위한 공간을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1 및 제 2 실시예는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들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7a 및 그와 관련된 설명에서는 제 2 실시예에서 커버(2000)의 양 측면 부재(2100 및 2200)의 후단부에 관통공(2101 및 2201)이 형성되고, 베이스(1000)의 지지 부재(1110 및 1210)의 내부 표면과 측면 부재(1100 및 1200)의 후단부 외부 표면에 반구형 돌기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반대로 커버(2000)의 양 측면 부재(2100 및 2200)의 후단부 내부면 및 외부면에 반구형 돌기를 각각 형성하고, 베이스(1000)의 지지 부재(1110 및 1210)와 측면 부재(1100 및 1200)에 관통공을 형성하여도 동일한 기능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9)

  1. 프레임 형태로 연결된 전방 부재, 후방 부재 그리고 측면 부재를 가지며, 측면 부재에는 록킹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 및
    측면 부재, 측면 부재에 연결되고 베이스의 공간부에 대응하는 플레이트 부재, 플레이트 부재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한 종단이 플레이트 부재에서 연장되어 플레이트 부재에 인접한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압편 및 측면 부재에 형성된 록킹편을 갖는 커버;를 포함하여,
    인쇄 회로 기판 상에 고정된 베이스의 공간부에 외부 케이블이 위치할 때, 커버가 베이스를 향하여 회전하여 커버의 가압편이 외부 케이블을 인쇄 회로 기판을 향하여 가압하고 커버는 록킹 부재와 록킹편에 의하여 베이스에 록킹되는 클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베이스는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며, 전방 부재, 후방 부재그리고 측면 부재의 하단에 각각 형성된 고정편을 더 포함하여, 고정편을 통하여 베이스가 인쇄 회로 기판의 소정 영역에 고정되는 클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록킹 부재는 베이스의 서로 마주하는 2개의 측면 부재의 외부면에 각각 고정되며, 각 록킹 부재는 하단이 베이스의 측면 부재의 외부면에 고정되고, 중앙부는 베이스의 측면 부재의 외부면과 소정 간격을 유지하며, 상단부는 베이스의 측면 부재를 향하여 절곡되어 절곡 부재가 베이스의 측면 부재의 외부면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여 커버의 측면 부재가 측면 부재와 절곡 부재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록킹편은 커버의 마주보는 2개의 측면 부재의 외부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각각 형성되되, 상단은 수평면으로 이루어져 커버가 베이스에 대하여 완전히 회전될 때, 록킹편의 상단 수평면과 록킹 부재의 절곡 부재의 하단 수평면이 서로 접촉하는 클램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커버는 플레이트 부재의 후방에서 연장되어 베이스의 후방 부재에 일체로 연결된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여, 커버는 연결 부재의 절곡에 의하여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는 클램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커버와 베이스는 독립적인 부재로 이루어지며,
    커버의 측면 부재의 후방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베이스의 측면 부재의 후단부 외부면에는 베이스의 측면 부재와 소정 간격을 두고 지지 부재가 배치되되, 지지 부재의 하단은 베이스의 측면 부재에 고정되고, 베이스의 지지 부재의 내부 표면 및 측면 부재의 후단부 외부 표면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커버의 측면 부재가 베이스의 지지 부재와 측면 부재 사이로 삽입될 때, 베이스의 지지 부재와 측면 부재에 형성된 돌기가 커버의 측면 부재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어 커버는 베이스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하는 클램프.
  6. 제 1 항에 있어서, 커버의 플레이트 부재의 중앙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절개부의 에지에는 절개부를 향하여 연장된 가압편이 형성되어 있어 커버의 하향 회전 및 커버와 베이스 간의 록킹 상태 해제시 가압편은 절개부 내에서 상하 회전할 수 있는 클램프.
  7. 제 6 항에 있어서, 가압편은 절개부의 엣지로부터 베이스를 향하여 경사져 있는 클램프.
  8. 제 1 항에 있어서, 커버의 플레이트 부재의 중앙부에는 브릿지 부재에 의하여 구분된 2개의 절개부가 형성되며, 브릿지 부재의 양 에지에는 각 절개부를 향하여 연장된 가압편이 각각 고정되어 있어 커버의 하향 회전 및 커버와 베이스의 록킹 상태 해제시 각 가압편은 절개부 내에서 상하 회전할 수 있는 클램프.
  9. 제 8 항에 있어서, 가압편은 브릿지 부재로부터 베이스를 향하여 경사져 있는 클램프.
KR1020120115618A 2012-10-17 2012-10-17 표면 실장형 클램프 KR101387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618A KR101387652B1 (ko) 2012-10-17 2012-10-17 표면 실장형 클램프
PCT/KR2013/009290 WO2014062014A1 (ko) 2012-10-17 2013-10-17 표면 실장형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618A KR101387652B1 (ko) 2012-10-17 2012-10-17 표면 실장형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7652B1 true KR101387652B1 (ko) 2014-04-24

Family

ID=50488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618A KR101387652B1 (ko) 2012-10-17 2012-10-17 표면 실장형 클램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87652B1 (ko)
WO (1) WO201406201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8383A (ko) * 2014-08-07 2016-02-17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WO2016032053A1 (ko) * 2014-08-25 2016-03-03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인터포저 조립체
KR20190027259A (ko) * 2017-09-06 2019-03-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컨넥터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210000899U (ko) * 2019-10-16 2021-04-27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박형화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67428B (zh) * 2020-11-02 2022-02-18 江苏占上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接口固定的电脑软排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8351A (ko) * 2005-09-26 2008-06-25 인텔 코포레이션 강성 인쇄 회로 기판에 플렉시블 회로를 부착하기 위한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95179B2 (ja) * 2006-09-11 2011-10-1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コネクタ
KR20080000559U (ko) * 2006-10-16 2008-04-21 위슨 테크널러지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오픈가능한 카바와 카바를 록킹하기 위한 슬라이딩 록킹플레이트를 가진 카드 커넥터
KR20100037688A (ko) * 2008-10-02 2010-04-12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체결기구를 구비한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8351A (ko) * 2005-09-26 2008-06-25 인텔 코포레이션 강성 인쇄 회로 기판에 플렉시블 회로를 부착하기 위한방법 및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8383A (ko) * 2014-08-07 2016-02-17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101961519B1 (ko) 2014-08-07 2019-03-22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WO2016032053A1 (ko) * 2014-08-25 2016-03-03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인터포저 조립체
KR101613512B1 (ko) 2014-08-25 2016-04-19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인터포저 조립체
KR20190027259A (ko) * 2017-09-06 2019-03-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컨넥터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448677B1 (ko) 2017-09-06 2022-09-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컨넥터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210000899U (ko) * 2019-10-16 2021-04-27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박형화 커넥터
KR200495099Y1 (ko) 2019-10-16 2022-03-04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박형화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62014A1 (ko) 2014-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1597B2 (en) Connector
KR101387652B1 (ko) 표면 실장형 클램프
US7467961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springs
SG191437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14524132A (ja) ポークイン型電線コンタクト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CN102637979A (zh) 连接器装置
JP2000195595A (ja)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を印刷回路基板に接続する為の電気コネクタ
US5199887A (en) Surface mounting connector
KR20150126226A (ko)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
CN107104302B (zh) 一种btb连接器的固定组件、电路板组件及电子设备
KR20090095471A (ko) 커넥터
KR101488962B1 (ko) 회로기판 고정용 집 커넥터
JP5067678B2 (ja) ソケット型コネクタ
US9004959B2 (en)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JP4035846B2 (ja) シールド構造及びその形成方法
US20120202361A1 (en) Electrical connector incorporated with circuit board facilitating interconnection
JP4837631B2 (ja) 電気接続部品
US20100203743A1 (en) Connection method for flexible board and a flexible board connector
KR20150095371A (ko) 표면 실장형 이중 접속단자
JP4249667B2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部品とケーブルの接続構造
KR100601805B1 (ko)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 그것을 실장한 배선기판, 및 그 배선기판을 갖는 표시장치
KR101613512B1 (ko) 인터포저 조립체
TWM551767U (zh) 軟性電路板連接器
KR100551228B1 (ko) 메모리 칩의 교체가 가능한 커넥터
JP2018018786A (ja) 配線基板連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