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1805B1 -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 그것을 실장한 배선기판, 및 그 배선기판을 갖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 그것을 실장한 배선기판, 및 그 배선기판을 갖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1805B1
KR100601805B1 KR1020040051723A KR20040051723A KR100601805B1 KR 100601805 B1 KR100601805 B1 KR 100601805B1 KR 1020040051723 A KR1020040051723 A KR 1020040051723A KR 20040051723 A KR20040051723 A KR 20040051723A KR 100601805 B1 KR100601805 B1 KR 100601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ock
wiring board
contact
lock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1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4133A (ko
Inventor
나카시마테루미
수야마타카시
테라시마토시히로
Original Assignee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4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4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1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1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록구조를 가지면서, 자동실장을 위한 피흡착면을 확보한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는, 록결합부를 갖는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맞춤 가능한 커넥터 하우징과, 이 커넥터 하우징에 수용되어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함과 아울러, 배선기판에 접합되는 컨택트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 하우징은, 배선기판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택트를 수용하는 컨택트 수용부와, 이 컨택트 수용부를 구획하는 중간벽과, 이 중간벽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상기 록결합부와 결합하는 록부와, 이 록부의 윗쪽에 형성되어 그 상면에 흡착부재에 의한 흡착을 위한 평탄한 피흡착면을 갖는 상면벽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 그것을 실장한 배선기판, 및 그 배선기판을 갖는 표시장치{LOCKABLE CONNECTOR, WIRING BOARD MOUNT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WIRING BOARD}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를 적용한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해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2의 (a)는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의 평면도, (b)는 그 정면도, (c)는 그 우측면도, (d)는 그 저면도, (e)는 그 배면도이다.
도3은, 도2의 (b)의 A-A선 단면도이다.
도4는, 배선기판측의 커넥터인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와 전선이 부착된 커넥터를 끼워맞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는,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의 자동실장기에 의한 실장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6은, 다른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7은, 록부의 다른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배선기판에 실장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대측 커넥터의 록결합부와 결합하는 록부를 갖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이러한 커넥터가 실장된 배선기판, 및 이러한 배선기판을 구비한 전자·전기기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실장에 대응한 표면실장형의 커넥터는, 엠보싱 캐리어 테이프에 수용된 상태로 시장에 공급된다. 엠보싱 캐리어 테이프는, 표면실장형 커넥터를 한개씩 수용하는 용기형상의 케이스부를 연결한 띠형상의 캐리어 테이프본체와, 케이스부를 덮도록 캐리어 테이프본체에 박리가능하게 점착된 띠형상의 보호시트로 이루어진다.
표면실장형 커넥터를 배선기판상에 자동실장하기 위한 자동실장기는, 표면실장형 커넥터를 흡착 유지하는 흡착부재(예를 들면 에어노즐)를 구비하고 있다. 이 자동실장기는, 보호시트를 박리하면서 엠보싱 캐리어 테이프를 순차 이송시키는 한편, 흡착부재에 의해, 케이스부내의 표면실장형 커넥터를 꺼내서 배선기판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하도록 동작한다.
표면실장형 커넥터를 흡착부재에 의해 확실하게 흡착 유지하기 위해서는, 표면실장형 커넥터에는, 흡착부재에 의한 상방으로부터의 액세스가 가능한 위치에 2㎜∼3㎜사방정도 이상의 크기의 평탄한 피흡착면이 확보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한편, 액정표시장치 등의 전자·전기기기에서는, 배선기판상에서의 커넥터의 점유면적을 최소화할 목적으로, 컨택트간 피치가 좁은 (예를 들면 1.25㎜피치) 표면실장형 커넥터가 이용되는 일이 많다. 액정표시장치에 이용되는 표면실장형 커넥 터는, 현재에 이르기까지, 상대측 커넥터(전선측 커넥터)와의 록구조가 없고,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에 의해 전기접속을 유지하는 것이 이용되어 오고 있다. 이것은, 액정표시장치가, 통상의 사용상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큰 충격을 받는 일이 없다라고 생각되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액정표시장치의 대화면화에 따라, 장치내의 배선수가 증대해 오면, 배선의 선회에 의해, 배선으로부터의 큰 힘이 커넥터에 작용하여, 전선측 커넥터가 기판측의 커넥터로부터 빠져 버리는 사태가 우려되기에 이르렀다.
그래서, 액정표시장치 등의 전자·전기기기에 있어서, 록구조가 형성된 커넥터의 채용이 검토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판측의 커넥터의 하우징의 상면에 록부를 돌출형성함과 아울러, 전선측 커넥터에 상기 록부와 결합하는 록클로부(록결합부)를 형성하고, 양 커넥터의 끼워맞춤시에 록클로부(록결합부)와 록부를 결합할 수 있는 구조가 생각되어진다.
그러나, 컨택트간 피치가 좁은 기판측 커넥터의 하우징의 상면에 록부를 돌출형성하면, 이 하우징의 상면에, 자동실장기의 흡착부재에 의한 흡착을 위한 피흡착면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곤란해진다. 특히, 컨택트 수가 적고 폭이 좁은 커넥터의 경우에는, 피흡착면을 확보할 수 없어, 자동실장이 불가능하게 되어 버리므로, 전자·전기기기의 조립성이 현저하게 악화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기판측 커넥터의 하우징의 측부에 록부를 형성하는 것이 생각되지만, 이것으로는, 배선기판상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점유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배선기판상에 있어서의 전자·전기부품의 레이아웃이 크게 제한된다.
또한, 하우징의 배선기판측에는, 배선기판에 땜납접합되는 컨택트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배선기판측에 록부를 형성할 수는 없다. 무엇보다, 배선기판측에 록부를 형성하면, 전선측 커넥터의 록클로부(록결합부)도 배선기판측에 배치되게 되므로, 록클로부(록결합부)와 록부의 결합해제가 현저하게 곤란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록구조를 가지면서, 자동실장을 위한 피흡착면을 확보한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가 실장된 배선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배선기판을 갖는 전자·전기기기(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는, 록결합부를 갖는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맞춤 가능한 커넥터 하우징과, 이 커넥터 하우징에 수용되어,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함과 아울러, 배선기판에 접합되는 컨택트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배선기판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택트를 수용하는 컨택트 수용부와, 이 컨택트 수용부를 구획하는 중간벽과, 이 중간벽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상기 록결합부와 결합하는 록부와, 이 록부의 윗쪽에 형성되어 그 상면에 흡착부재에 의한 흡착을 위한 평탄한 피흡착면을 갖는 상면벽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배선기판에서 볼 때 록부의 윗쪽에 상면벽이 형성되어 있고, 이 상면벽의 상면에 평탄한 피흡착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 피흡착면을 자동실장기의 흡착부재로 흡착 유지함으로써, 본 발명의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의 자동실장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록부는, 컨택트 수용부를 구획하는 중간벽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록부로서, 중간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록부를 형성한 경우라도, 배선기판상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점유면적이 커지는 일도 없다.
상기 중간벽과 상기 상면벽 사이에는,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록결합부를 수용하는 록결합부 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대측 커넥터를 끼워맞추면, 중간벽과 상면벽 사이에 형성된 록결합부 삽입구멍에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록결합부가 수용되고, 이 록결합부와 록부가 결합되어서, 양 커넥터가 록상태로 된다. 따라서, 록상태에 있어서, 록결합부가 상면벽에 의해 덮여지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록결합부와 록부의 결합상태가 뜻하지 않게 해제되는 일이 없다.
또, 상기 상대측 커넥터는, 배선기판에 전기접속해야 할 전선이 결합된 전선이 부착된 커넥터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컨택트 수용부는, 배선기판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고,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상기 배선기판을 따르는 방향으로의 삽입을 수용함으로써,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와 상기 컨택트의 전기접속을 달성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록부는, 중간벽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록부이어도 좋다. 또, 상기 록부는, 중간벽의 상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록부는, 중간벽의 도중부(상대측 커넥터의 삽입방향 도중부)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의 삽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록단차부이어도 좋다. 이 록단차부는, 상기 중간벽에 있어서, 상대측 커넥터의 삽입방향에 관해서 상류측에 제1면을 배치하고, 그 하류측에 제1면보다 낮은 제2면을 배치하고, 이들 제1면 및 제2면의 경계부에 단차를 형성한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배선기판은,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가 그 표면에 실장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전기기기(표시장치)는, 이러한 배선기판과, 상기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에 결합되어, 상기 록부와 결합하는 록결합부를 갖는 전선이 부착된 커넥터와, 상기 배선기판, 상기 전선이 부착된 커넥터 및 이 전선이 부착된 커넥터에 결합된 배선을 수용하는 하우징체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전자·전기기기의 배선기판상에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가 실장되어 있고, 이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에 전선이 부착된 커넥터의 록결합부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다수의 전선이 하우징체내에서 선회되어, 전선이 부착된 커넥터에 큰 힘이 가해지는 경우이어도, 이 전선이 부착된 커넥터와 배선기판상에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 사이의 전기접속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전자·전기기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전기기기에 구비되는 배선기판상에 있어서,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가 큰 면적을 차지하는 일이 없으므로, 배선기판상에 있어서의 전기·전자부품의 레이아웃이 크게 제한되는 일이 없다.
상기 전자·전기기기는, 상술의 특징을 갖는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가 실장된 배선기판과, 상기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에 결합되어, 상기 록부와 결합하는 록결합부를 갖는 전선이 부착된 커넥터와, 상기 배선기판과 함께 하우징체내에 수용된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이어도 좋다. 이 경우, 표시패널상에서의 화상표시를 위해 필요로 되는 다수의 전선을 하우징체내에서 선회시켜도, 전선과 배선기판과의 전기접속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술의, 또는 또 다른 목적, 특징 및 효과는,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다음에 서술하는 실시형태의 설명에 의해 밝혀지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를 적용한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이 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 등의 표시패널(1)과, 이 표시패널(1)상에서의 화상표시를 위한 전기·전자부품이 실장된 배선기판(2)과, 이들을 수용한 하우징체(3)를 갖고 있다. 하우징체(3)는 표시패널(1)의 표시면을 표시장치의 전방에서 시인하기 위한 창이 형성된 전측부(3A)와, 이 전측부(3A)와 결합됨으로써 표시패널(1) 및 배선기판(2)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후측부(3B)를 갖고 있다.
배선기판(2)상에는, 각종의 전자부품 및 전기부품(2A)이 실장되어 있고, 또한, 복수의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1,12,13)가 표면실장되어 있다. 이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1,12,13)에, 전선이 부착된 커넥터(21,22,23)가 결합되어 있다. 전선이 부착된 커넥터(21,22,23)에는, 전선(31,32,33)이 결합되어 있고, 이 전선(31,32,33 은), 하우징체(3)내에서 선회되게 된다.
복수의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1,12,13)는 컨택트의 수(핀수)가 다르지만, 공통의 기본구성을 갖고 있다. 예를 들면,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1)는, 컨택트수가 8개(8극)의 것이고,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2)는 컨택트수가 2개(2극)의 것이고,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3)는, 컨택트수가 15개(15극)의 것이다. 따라서,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2)는 가장 좁은 폭으로 구성되어 있고,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3)는 가장 폭이 넓게 구성되어 있고,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1)는, 이들의 중간적인 폭을 갖고 있다.
도2의 (a)는,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1)의 평면도, (b)는 그 정면도, (c)는 그 우측면도, (d)는 그 저면도, (e)는 그 배면도, 도3은 도2의 (b)의 A-A선 단면도이다. 또, 이하에서는, 배선기판(2)을 수평자세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1)의 자세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즉, 배선기판(2)에 표면실장된 상태로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1)를 평면에서 본 상태가 도2의 (a)에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1)에 있어서, 상대측의 커넥터인 전선이 부착된 커넥터(21)에 대향하는 쪽을 정면(전방)으로서 설명한다.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1)는 대략 직육면체형상의 외형을 갖는 수지제의 커넥터 하우징(50)과, 이 커넥터 하우징(50)에 압입된 금속제의 복수의 컨택트(60)를 갖고 있다.
복수의 컨택트(60)는, 커넥터 하우징(50)의 전후방향을 따르는 자세로, 대략 등간격으로 좌우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컨택트(60)는 금속판을 천공하여 형성되는 전기접속부재이며, 상대측의 커넥터인 전선이 부착된 커넥터(21)의 단자금속부재를 상하에서 끼워 유지하는 한쌍의 끼움부(61,62)와, 이 한쌍의 끼움부(61,62)를 결합하는 기단부(63)와, 이 기단부(63)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또한 배선기판(2)의 표면을 따르도록 굴곡된 기판접속부(64)를 갖고 있다. 이 기판접속부(64)가, 배선기판(2)상의 랜드부에 땜납접합되게 된다.
한쌍의 끼움부(61,62) 중, 상방측의 끼움부(61)는, 커넥터 하우징(50)에 장착된 상태로, 상하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요동가능한 요동편이며, 그 선단부에는, 전선이 부착된 커넥터(21)의 단자금속부재에 압접하는 압접부(61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방측의 끼움부(62)는 상방측의 끼움부(61)와 협동해서 전선이 부착된 커넥터(21)의 단자금속부재를 끼워유지하는 기능을 가짐과 아울러, 기단부(63)부근의 위치에 커넥터 하우징(50)의 컨택트 유지부(52)에 끼워지는 걸림돌기(62a)를 갖고 있다.
커넥터 하우징(50)은, 복수의 컨택트(60)를 각각 전후방향을 따르는 자세로 수용하는 컨택트 수용구멍(55)과, 이 컨택트 수용구멍(55)을 상방으로부터 구획하는 중간벽(56)과, 이 중간벽(56)의 상면에 돌출형성된 록부(57)와, 이 록부(57)의 윗쪽에 형성된 상면벽(58)을 구비하고 있다.
컨택트 수용구멍(55)은 커넥터 하우징(50)의 배면측에 형성되어 복수의 컨택트(60)가 각각 압입되는 복수의 압입구멍(51)과, 이 압입구멍(51)의 전방에 형성되어 전선이 부착된 커넥터(21)가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구멍(53)을 갖고 있다.
각 압입구멍(51)은 컨택트(60)의 한쌍의 끼움부(61,62)가 삽입되는 대략 평 행한 상하 한쌍의 삽입구멍(51a,51b)과, 컨택트(60)의 기단부(63)를 수용하는 기단부 수용부(51c)를 갖고 있다. 그리고, 한쌍의 삽입구멍(51a,51b)을 분리하도록 컨택트 유지부(52)가 설치되어 있다.
컨택트(60)를 커넥터 하우징(50)의 후면으로부터 압입구멍(51)에 압입하면, 컨택트(60)의 기단부(63)의 상단가장자리가 기단부 수용부(51c)의 상면에 접촉함과 아울러, 하측의 끼움부(62)의 하방가장자리가 삽입구멍(51b)의 저면 및 끼워맞춤구멍(53)의 저면에 접촉하고, 또한, 걸림돌기(62a)가 컨택트 유지부(52)에 끼워진다. 이것에 의해, 컨택트(60)가 커넥터 하우징(50)에 확실하게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끼움부(61,62)는 끼워맞춤구멍(53)안으로 돌출되어 있다.
중간벽(56)은, 배선기판(2)과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2의 (b) 및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50)에 있어서 컨택트 수용구멍(55)의 윗쪽에는, 전선이 부착된 커넥터(21)의 록결합부를 수용하기 위한 록결합부 삽입구멍(59)이 전후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있다. 중간벽(56)은, 이 록결합부 삽입구멍(59)과 컨택트 수용구멍(55)을 상하로 분리하고 있으며, 그 하면에 의해 컨택트 수용구멍(55)을 구획하고, 그 상면에 의해 록결합부 삽입구멍(59)을 구획하고 있다. 이 록결합부 삽입구멍(59)의 상면이 상면벽(58)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중간벽(56)의 상면에는, 록결합부 삽입구멍(59)내에, 록부(57)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 록부(57)는 전선이 부착된 커넥터(21)의 삽입탈락방향인 전후방향 도중부에 있어서 커넥터 하우징(50)의 폭방향(컨택트(60)의 병설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록부(57)에는, 전선이 부착된 커넥터(21)의 삽입방향(커넥터 삽입방향) 상류측에는 록결합부를 안내하는 안내경사면(57a)이 형성되고 있고, 커넥터 삽입방향 하류측에는 록결합부와 결합해서 전선이 부착된 커넥터(21)의 뜻하지 않은 탈락을 방지하는 빠짐방지면(57c)이 형성되고 있고, 안내경사면(57a)과 빠짐방지면(57c) 사이는 배선기판(2)을 따르는 평탄면(57b)으로 되어 있다.
빠짐방지면(57c)은 중간벽(56)의 상면으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튀어나와 있고, 평탄면(57b)과 중간벽(56)의 상면 사이에 고저차가 있는 단차부를 형성하고 있다.
상면벽(58)은, 그 상면에, 자동실장기의 흡착부재(예를 들면 에어노즐)(70)에 의한 흡착을 위한 피흡착면(58a)을 갖고 있다. 이 피흡착면(58a)은 배선기판(2)의 표면을 따르는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도4는, 배선기판(2)측의 커넥터인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1)와 전선이 부착된 커넥터(21)를 끼워맞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전선이 부착된 커넥터(21)는 수지제의 하우징(80)과, 이 하우징(80)에 장착된 복수개의 단자금속부재(90)를 갖고 있다. 단자금속부재(90)는 미리 전선(31)이 압착되어, 그 상태로 하우징(80)에 압입됨으로써 하우징(80)에 장착된다.
하우징(80)은, 단자금속부재(90)를 수용하기 위한 단자금속부재 수용구멍(83)이 형성된 본체부(81)를 배선기판(2)측에 갖고,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1)의 록부(57)와의 록결합을 위한 록결합부(82)를 상면측에 갖고 있다.
록결합부(82)는 전후방향 중간부에 형성된 지점부(82a)를 통해 본체부(81)에 결합되어 있다. 이 록결합부(82)는 지점부(82a)보다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1)측(전선(31)과는 반대측)의 선단부에, 아래쪽으로 돌출된 록클로(82b)를 가지며, 지점부(82a)보다 전선(31)측의 후단부에, 록상태의 해제를 위한 조작부(82c)를 갖고 있다. 지점부(82a)는 록클로(82b)가 상하이동하는 방향으로의 록결합부(82)의 탄성적인 요동을 허용하는 상태로, 이 록결합부(82)를 본체부(81)에 결합하고 있다.
전선이 부착된 커넥터(21)를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1)에 삽입할 때, 하우징(80)에 있어서 단자금속부재(90)를 유지하고 있는 끼워맞춤부(85)를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1)의 끼워맞춤구멍(53)에 맞춘다. 그러면, 록결합부(82)가 록결합부 삽입구멍(59)에 정확히 맞춰진다. 이 상태로, 전선이 부착된 커넥터(21)를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1)를 향해서 삽입하면, 단자금속부재(90)는 컨택트(60)의 상측의 끼움부(61)를 상방(끼움부(61,62)사이를 확개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시키면서, 한쌍의 끼움부(61,62) 사이에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끼움부(61)의 압접부(61a)가 단자금속부재(90)에 압접되고, 배선기판(2)과 전선(31) 사이에는 단자금속부재(90) 및 컨택트(60)를 개재하는 전로(電路)가 형성된다.
한편, 록결합부(82)의 록클로(82b)는 록부(57)의 안내경사면(57a)에 의해 평탄면(57b)으로 안내됨으로써, 록부(57)를 통과한다. 이것에 의해, 록클로(82b)의 규제면(86)이 록부(57)의 빠짐방지면(57c)과 결합하여, 도4에 나타내는 록상태에 이른다. 이것에 의해, 전선이 부착된 커넥터(21)와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1)의 결합상태가 록된다. 이때, 록결합부(82)는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1)의 상면벽(58)에 의해 덮여지기 때문에, 록결합부(82)와 록부(57)의 결합이 뜻하지 않게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선이 부착된 커넥터(21)를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1)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조작자는, 록결합부(82)의 조작부(82c)를 본체부(81)를 향해서 (배선기판(2)측을 향해서) 밀어 내린다. 이것에 의해, 록결합부(82)가 지점부(82a)를 중심으로 회동하고, 록클로(82b)는 커넥터 하우징(50)의 중간벽(56)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상방으로 들어올려져, 록부(57)와의 결합상태가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자가, 전선이 부착된 커넥터(21)를 탈락방향으로 인출하면, 끼워맞춤부(85)와 끼워맞춤구멍(53)의 끼워맞춤상태가 해제되어 전선이 부착된 커넥터(21)와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1)를 분리할 수 있다.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1)는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엠보싱 캐리어 테이프(100)에 유지된 상태로 시장에 공급된다. 엠보싱 캐리어 테이프(100)는 캐리어 테이프본체(101)와, 이 캐리어 테이프본체(101)에 박리가능하게 점착된 보호시트(102)를 구비하고 있다. 캐리어 테이프본체(101)는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1)를 1개씩 수용하는 용기형상의 케이스부(103)를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연결한 띠형상체이다.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1)는 배선기판(2)을 수평으로 배치했을 때의 상기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1)의 실장상태의 자세와 같은 자세로 캐리어 테이프본체(101)의 케이스부(103)에 수용되어 있다. 즉,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1)는 캐리어 테이프(100)를 보호시트(102)가 상방에 위치하도록 수평으로 연장시킨 상태로, 상면벽(58)의 상면에 형성된 피흡착면(58a)이 케이스부(103)의 상부개구로부터 상방을 향하도록 수용되어 있다.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1)를 배선기판(2)에 자동실장하기 위한 자동실장기는, 엠보싱 캐리어 테이프(100)를 릴로부터 인출해서 수평으로 순서대로 보내는 순차이송기구와, 이 순차이송기구의 동작과 타이밍을 맞춰서 보호시트(102)를 감는 보호시트 권취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순차이송기구는, 보호시트(102)가 상측이 되도록 엠보싱 캐리어 테이프(100)를 수평으로 연장시킨다. 그 상태에서, 보호시트 권취기구에 의해 보호시트(102)가 권취됨으로써 보호시트(102)가 캐리어 테이프본체(101)로부터 박리되어 가고, 케이스부(103)의 상부개구로부터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1)의 피흡착면(58a)이 상방측으로 노출되게 된다. 이 노출된 피흡착면(58a)이 자동실장기의 흡착부재(70)에 의해 흡착 유지된다. 흡착부재(70)는 흡착부재 구동기구에 결합되어 있고, 이 흡착부재 구동기구는, 소정의 흡착위치로 안내된 케이스부(103)에 흡착부재(70)를 이동시켜서 상기 케이스부(103)에 수용된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1)를 흡착 유지시킨 후, 흡착부재(70)를 상방으로 이동시켜서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1)를 케이스부(103)로부터 꺼낸다. 그 후, 흡착부재 구동기구는 흡착부재(70)를 배선기판 배치부로 이동시키고, 이 배선기판 배치부에 미리 배치되어 있는 배선기판(2)상의 소정 위치에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1)를 반송한다. 그 후, 흡착부재(70)에 의한 피흡착면(58a)의 흡착이 해제됨으로써,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1)가 배선기판(2)상에 실장되게 된다.
배선기판(2)상의 랜드에는 미리 크림 땜납이 배치되어 있고, 이 크림 땜납에 컨택트(60)가 접촉하도록,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1)가 실장된다. 이 상태의 배선기판(2)을 리플로조에 통과시킴으로써, 크림 땜납이 용융되고, 그 후의 냉각공정을 거쳐 땜납이 경화됨으로써, 컨택트(60)와 배선기판(2)의 영구접합이 달성된다.
도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50)의 폭방향 양단부에는, 커넥터 하우징(50)의 전방으로부터 보강탭(75,75)이 압입되어 있다. 이들 보강 탭(75,75)도 또, 배선기판(2)상의 도체패턴에 땜납접합된다. 따라서, 커넥터 하우징(50)은, 컨택트(60) 및 보강탭(75,75)의 땜납접합에 의해, 배선기판(2)상에 강고하게 접합되게 된다. 보강탭(75,75)은 커넥터 하우징(50)에 가해지는 외력에 저항하여, 컨택트(60)가 배선기판(2)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1)는 상면에 평탄한 피흡착면(58a)을 갖고 있기 때문에, 자동실장기의 흡착부재(70)에 의한 상방으로부터의 흡착 유지가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록구조를 구비하고 있으면서, 자동실장에도 양호하게 적합가능하다.
또한, 록부(57)는 중간벽(56)의 상면에 돌출되어 있으므로, 배선기판(2)상에 있어서의 커넥터 하우징(50)의 점유면적에는 영향이 없고, 배선기판(2)상의 전자·전기부품의 레이아웃에 큰 제한이 가해질 우려는 없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1)를 채용한 표시장치에서는, 배선기판(2)에의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의 실장공정을 자동실장기를 사용해서 행할 수 있으므로, 그 생산성이 좋고, 또한, 배선기판(2)상에 있어서의 전자·전기부품의 레이아웃에 관한 설계의 자유도가 높다. 또한,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1)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하우징체(3)내에서의 배선의 선회에 기인해서, 전선이 부착된 커넥터(21)와 배선기판(2)의 전기접속이 뜻하지 않게 해제되어 버리는 일이 없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은 표시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도6의 (a), (b)는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1)과 함께 배선기판(2)상에 실장되는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2,13)의 각 평면도이다. 2극형의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2)는 그 폭(컨택트 병설방향의 길이)이 짧지만, 록부(57)(도3참조)의 상방에 상면벽(58)을 형성해서 그 상면을 피흡착면(58a)으로 하고 있으므로, 이 피흡착면(58a)은 흡착부재(70)에 의한 흡착에 필요로 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다른 형태로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11)의 중간벽(56)에 형성되는 록부는, 도7의 (a)에 나타내는 록오목부(77)이어도 좋고, 도7의 (b)에 나타내는 록단차부(78)이어도 좋다. 록오목부(77)는 중간벽(56)의 상면에 돌출형성되어 있고, 록클로(82b)의 빠짐을 방지하는 빠짐방지면(77a)을 전선이 부착된 커넥터(21)의 삽입방향 상류측에 갖고 있다. 또한, 록단차부(78)는 중간벽(56)의 커넥터 삽입방향 도중부에 있어서, 커넥터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커넥터 삽입방향 상류측의 제1면(56A)과, 커넥터 삽입방향 하류측의 제2면(제1면보다 낮은 면)(56B) 사이에, 록클로(82b)에 결합해서 전선이 부착된 커넥터(21)의 빠짐방지를 실현하는 단차면(빠짐방지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중간벽(56)에 어떤 형태의 록단차부(록부(57), 록오목부(77), 또는 록단차부(78))를 형성한 구성이어도, 그 상방의 상면벽(58)의 상면의 피흡착면(58a)에 있어서, 흡착부재(70)에 의한 흡착 유지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표시장치에 이용되는 표시패널로서, 액정표시패널을 예로 들었지만, 액정표시패널 뿐만 아니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EL표시패널 등의 플랫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한 표시장치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 뿐만 아니라,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를 실장한 배선기판을 하우징체내에 수용한 구성의 전자·전기기기에 있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은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를 적용함으로써, 신뢰성이 높고, 또한 설계의 자유도가 높은 기기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해 왔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밝히기 위해서 이용된 구체예에 지나치지 않고, 본 발명은 이들의 구체예에 한정해서 해석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첨부의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본 출원은, 2003년 7월 4일에 일본국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특허출원 2003--192218호에 대응하고 있으며, 그 출원의 전체개시 내용은 본원에 인용에 의해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에 의해, 신뢰성이 높고, 또한 설계의 자유도가 높은 기기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4)

  1. 배선기판상에 실장되는 커넥터로서,
    록결합부를 갖는 상대측 커넥터와 끼워맞춤 가능한 커넥터 하우징; 및
    이 커넥터 하우징에 수용되어,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함과 아울러, 배선기판에 접합되는 컨택트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배선기판측에 배치되어 상기 컨택트를 수용하는 컨택트 수용부와, 이 컨택트 수용부를 구획하는 중간벽과, 이 중간벽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상기 록결합부와 결합하는 록부와, 이 록부의 윗쪽에 형성되어 그 상면에 흡착부재에 의한 흡착을 위한 평탄한 피흡착면을 갖는 상면벽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벽과 상기 상면벽 사이에는,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록결합부를 수용하는 록결합부 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가 표면에 실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기판.
  4. 제3항에 기재된 배선기판;
    상기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에 결합되어, 상기 록부와 결합하는 록결합부를 갖는 전선이 부착된 커넥터; 및
    상기 배선기판, 상기 전선이 부착된 커넥터 및 이 전선이 부착된 커넥터에 결합된 배선을 수용하는 하우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040051723A 2003-07-04 2004-07-02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 그것을 실장한 배선기판, 및 그 배선기판을 갖는 표시장치 KR1006018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92218A JP4523245B2 (ja) 2003-07-04 2003-07-04 ロック部付きコネクタ
JPJP-P-2003-00192218 2003-07-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4133A KR20050004133A (ko) 2005-01-12
KR100601805B1 true KR100601805B1 (ko) 2006-07-19

Family

ID=34189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1723A KR100601805B1 (ko) 2003-07-04 2004-07-02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 그것을 실장한 배선기판, 및 그 배선기판을 갖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523245B2 (ko)
KR (1) KR100601805B1 (ko)
CN (1) CN100342592C (ko)
TW (1) TWI2355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17448B2 (ja) * 2007-02-02 2012-04-18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4955439B2 (ja) 2007-03-29 2012-06-2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ベースコネクタおよびこれと対をなすソケットコネクタ
JP2013063682A (ja) * 2011-09-15 2013-04-11 Alps Electric Co Ltd 車載用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7958Y2 (ja) * 1993-12-07 1998-04-0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4083947B2 (ja) * 1999-12-27 2008-04-30 矢崎総業株式会社 二重係止コネクタ
JP3607878B2 (ja) * 2001-04-25 2005-01-0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2003173840A (ja) * 2001-12-05 2003-06-20 Jst Mfg Co Ltd 防水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03333A (en) 2005-01-16
JP2005026156A (ja) 2005-01-27
CN1578007A (zh) 2005-02-09
KR20050004133A (ko) 2005-01-12
TWI235525B (en) 2005-07-01
JP4523245B2 (ja) 2010-08-11
CN100342592C (zh) 2007-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9172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nti-mismating arrangement
US7300298B2 (en) Board securing device
JP4827971B2 (ja)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の固定構造
US7618270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597594B2 (en) Electrical connecting terminal
US7320605B2 (en) Board-to-board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 contacts
JP3575366B2 (ja)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を印刷回路基板に接続する為の電気コネクタ
EP1198033B1 (en) Flat cable connector
WO2012033881A2 (en) Board-to-board connector
US7806702B2 (en) Connector for an electric device such as a board
US7121880B2 (en) Surface-mounted connector
US20050130490A1 (en) High speed cable assembly including finger grips
KR101569822B1 (ko) 전자기기
JP2622528B2 (ja) Fpc接続用コネクタ
US20090149078A1 (en) Connector
KR100601805B1 (ko) 록부가 형성된 커넥터, 그것을 실장한 배선기판, 및 그 배선기판을 갖는 표시장치
JPH10308570A (ja) プリント基板間の接続手段
JP3172721B2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それに使用するコネクタ
US20120129376A1 (en) Electrical connector
JPS6322432B2 (ko)
JPH0334923Y2 (ko)
US6106311A (en)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spring mechanism for covering leads in open position
JPH06244572A (ja) 電子装置
JPH10172676A (ja) 電子機器のジャック取付構造
KR20120011811A (ko) 베이스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