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526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526B1
KR101366526B1 KR1020130030053A KR20130030053A KR101366526B1 KR 101366526 B1 KR101366526 B1 KR 101366526B1 KR 1020130030053 A KR1020130030053 A KR 1020130030053A KR 20130030053 A KR20130030053 A KR 20130030053A KR 101366526 B1 KR101366526 B1 KR 101366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eld
locking
holding
operatio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0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0042A (ko
Inventor
타카히로 야마지
타카미츠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0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comprising a handle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의 저배(low-profile)화가 진행되어도 기판 등의 대상물에 설치된 도전 부재와 조작 레버와의 단락(short-circuit)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조작 태그가 없어도 조작 레버를 조작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걸림부(170)가 피(被)걸림부(202)에 걸려 있는 록(lock) 상태에 있어서, 기판(50)과 조작부(172)와의 사이의 거리는, 기판(50)과 걸림부(170)와의 사이의 거리보다도 크다. 록 상태에 있어서, 조작부(172)는 기판 상에 위치하는 SMT 단자(212) 및 도체 패턴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 레버(160)가 SMT 단자(212) 및 도체 패턴과 단락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기판과 같은 대상물에 탑재된 상대측 커넥터와 접속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 가능한 조작 레버를 갖고 그리고 당해 조작 레버를 회전함으로써 상대측 커넥터와 커넥터와의 접속을 록(lock) 가능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커넥터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공보 2009-193916호 또는 일본공개특허공보 2010-67378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개시되어 있는 커넥터의 각각은, 조작부를 갖는 조작 레버를 구비하는 것이다. 커넥터가 상대측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는 접속 상태에 있어서는, 조작 레버의 조작부가 기판의 바로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조작부를 직접 조작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래서, 조작 레버의 조작성 향상을 위해 조작 레버에 대하여 조작 태그가 부착되어 있다.
접속 상태에 있어서, 조작 레버의 조작부는, 기판에 탑재된 상대측 커넥터의 콘택트의 SMT 단자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조작부와 SMT 단자와의 사이, 또는 조작부와 기판에 형성된 도체 패턴과의 사이에 있어서 단락(short-circuit)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는, 저배(low-profile) 커넥터에 있어서는 보다 심각하게 된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9-193916호 또는 일본공개특허공보 2010-67378호의 커넥터에는 조작 태그가 필수이다. 그러나, 커넥터의 용도나 설치 스페이스 등에 따라서는, 조작 태그의 존재가 방해가 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기판 등의 대상물에 설치된 도전 부재와 조작 레버와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조작 태그가 없어도 조작 레버를 조작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피(被)걸림부를 갖고 그리고 대상물에 탑재된 상대측 커넥터와 접속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커넥터는, 보유지지부와; 조작부, 피보유지지부, 걸림부 및 규제부(stopper portion)를 갖고 그리고 상기 조작부를 움직임으로써 회전하도록 상기 보유지지부에 보유지지된 조작 레버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조작부 및 상기 피보유지지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접속되는 접속 상태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상기 피걸림부와 걸림으로써 상기 접속 상태를 록한다. 상기 규제부는, 상기 접속 상태가 록된 록 상태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상기 대상물로 향하는 이동을 규제한다. 상기 록 상태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과 상기 조작부와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대상물과 상기 걸림부와의 사이의 거리보다도 크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상면(top)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저면(bottom)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상대측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커넥터와 도 3의 상대측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커넥터 조립체의 VI-VI선을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커넥터의 조작 레버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8은 변형예에 의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상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커넥터의 일부의 XI-XI선을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최량의 실시 형태의 설명을 검토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올바르게 이해되고, 그리고 그 구성에 대해서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이나 여러 가지 형태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 일 예로서,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특정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및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여기에 개시한 특정의 형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첨부의 청구의 범위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 있어서 이루어지는 모든 변형예, 균등물, 대체예를 그 대상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 조립체는,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20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100)는, 케이블(10)에 접속되는 케이블측 커넥터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상대측 커넥터(200)는, 기판(대상물)(50)에 탑재된 기판측 커넥터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커넥터(100)는, 상대측 커넥터(200)에 대하여 +X방향에 있어서 삽입되고, -X방향에 있어서 발거(ejection)된다. 또한, X방향은, 커넥터(100)의 삽입 발거 방향이면서 또한 전후 방향이다.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대측 커넥터(200)는, 복수의 상대측 콘택트(210)와, 상대측 콘택트(210)를 보유지지하는 상대측 보유지지 부재(220)와, 상대측 보유지지 부재(220)를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상대측 쉘(shell; 230)을 구비하고 있다. 상대측 콘택트(210)는, 상대측 보유지지 부재(220)에 대하여 +X측면으로부터 압입(press fitting)되고, 상대측 보유지지 부재(220)에 보유지지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대측 콘택트(210)의 SMT 단자(212)는 상대측 보유지지 부재(220)의 +X측면으로부터 +X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대측 쉘(230)은, 상대측 보유지지 부재(220)의 성형시에 상대측 보유지지 부재(220) 내에 조입된다.
상대측 보유지지 부재(220)는, Y방향(피치 방향)의 양단에 형성된 장출부(222)를 갖고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상대측 보유지지 부재(220)는, 2개의 장출부(222)를 갖고 있다. 각 장출부(222)는, 상대측 보유지지 부재(220)의 +X측면의 (+Z방향에 있어서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X방향으로 장출되어 있다. 상대측 쉘(230)은, 보강부(232)를 갖고 있다. 보강부(232)는, 상대측 쉘(230)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보강부(232)는, 당해 보강부(232)의 일부가 장출부(222) 상에서 노출되도록 하여 장출부(222)에 끼워져 있다. 상대측 쉘(230)에 있어서는, 보강부(232)와 장출부(222)로 하나의 피걸림부(202)가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대측 커넥터(200)는 2개의 피걸림부(202)를 갖고 있다. Y방향에 있어서, 이들 피걸림부(202)의 사이에, 상대측 콘택트(210)가 나열 설치 보유지지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대측 커넥터(200)를 상방(+Z측)으로부터 본 경우에, 모든 SMT 단자(212)가 피걸림부(202)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도 6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각 피걸림부(202)는, 경기용 트랙을 절반으로 한 것과 같은 형상(가로를 향한 U 형상)의 단면을 갖고 있고, +X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피걸림부(202)의 하측(-Z측)에는 스페이스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커넥터(100)는, 상대측 커넥터(200)에 삽입되는 판 형상의 끼워맞춤부(102)를 갖고 있다. 이 끼워맞춤부(102)를 상대측 커넥터(200)에 대하여 +X방향을 따라서 삽입 끼워맞춤함으로써(도 4 참조), 커넥터(100)와 상대측 커넥터(200)는 접속된다.
상세하게는, 커넥터(100)는, 복수의 도전성의 콘택트(110)와, 그들 복수의 콘택트(110)를 보유지지하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보유지지 부재(120)와, 보유지지 부재(120)를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금속제의 쉘(130)과, 금속제의 조작 레버(16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콘택트(110)는, 인서트 몰드(insert-mold)법에 의해 보유지지 부재(120)가 성형될 때에, 당해 보유지지 부재(120) 내에 조입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보유지지 부재(120)는, 2개의 수용부(122)를 갖고 있다. 수용부(122)는, Y방향에 있어서 보유지지 부재(120)의 양단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수용부(122)는, Y방향과 직교하는 ZX 평면 내에 있어서 U자 형상(하프 파이프(half pipe)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수용부(122)의 단면은, 반원부와 그 반원부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2개의 직선부를 갖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수용부(122)는, 반원부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저면과, 직선부에 대응하는 평면을 갖고 있다. 수용부(122)의 각각은, 조작 레버(160)의 한쪽의 단부(피보유지지부(162, 164): 후술)를 회전 가능하게 보유지지하는 보유지지부(104)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쉘(130)은, 제1 쉘(140) 및 제2 쉘(150)을 갖고 있다. 제1 쉘(140)은, 인서트 몰드법에 의해, 보유지지 부재(120)의 성형시에 보유지지 부재(120) 내에 끼워져 있다.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쉘(140)의 일부는, 저부(142)를 구성한다. 저부(142)는, 수용부(122)의 하부에 배치되어, 수용부(122)를 보강한다. 한편, 제2 쉘(150)은, 케이블(10)을 커넥터(100)로 접속한 후에, 보유지지 부재(120) 등에 부착된다.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2 쉘(150)은, 2개의 덮개부(152)를 갖고 있다. 덮개부(152)는, 제2 쉘(150)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덮개부(152)는, 수용부(122)를 덮고 있다. 덮개부(152)와 수용부(122)는, 전술한 보유지지부(104)를 구성한다.
도 1, 도 2 및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조작 레버(160)는, 단면 원형의 봉(원형봉)을 절곡하여 형성된 것이다. 조작 레버(160)는, 피보유지지부(162, 164)와, 2개의 아암(166)과, 2개의 걸림부(170)와, 조작부(172)를 갖고 있다. 피보유지지부(162, 164)는, 조작 레버(160)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다. 아암(166)은, 각각, 피보유지지부(162, 164)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걸림부(170)는, 아암(166)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조작부(172)는, 걸림부(170)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즉, 걸림부(170)의 각각은, 대응하는 아암(166)과, 대응하는 조작부(172)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피보유지지부(162)는 아암(166)으로부터 +Y방향으로 연장되는 한편, 피보유지지부(164)는 아암(166)으로부터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리고, 피보유지지부(162) 및 피보유지지부(164)는,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피보유지지부(162)와 피보유지지부(164)는 Y방향에 있어서 서로 가까워지도록 연장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조작 레버(160)는, Z방향에 있어서 비대칭의 형상(V자 형상)을 갖고 있다. 조작 레버(160)가 Z방향에 있어서 반대 방향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피보유지지부(162)는, Y방향에 있어서 피보유지지부(164)보다도 길다. 즉, Y방향에 있어서, 피보유지지부(162)의 길이와 피보유지지부(164)의 길이는 서로 상이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조작 레버(160)를 올바르게(도 5 참조) 커넥터(100)에 부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피보유지지부(162) 및 피보유지지부(164)는, 커넥터(100)의 보유지지부(104)에 회전 가능해지도록 보유지지되어 있다.
도 7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아암(166)은, Y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아암(166)은, Y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아암(166)은, Y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V자 형상의 형상을 갖도록 절곡된 절곡부를 갖고 있다. 도 1 및 도 5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16)가 커넥터(100)에 부착된 상태에서, 절곡부의 정점은 V형상의 양단보다도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절곡부의 형상은, 역(逆) V자 형상이 아니다.
도 7을 참조하면, 걸림부(170)의 각각은, 대응하는 아암(166)의 단부로부터 Y방향의 안쪽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걸림부(170)는, 피보유지지부(162)와도, 피보유지지부(164)와도 평행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걸림부(170), 피보유지지부(162) 및 피보유지지부(164)는 Y방향과 평행하다.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커넥터(100)가 상대측 커넥터(200)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인 접속 상태에 있어서, 걸림부(170)는, 상대측 커넥터(200)의 피걸림부(202)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접속 상태에 있어서, 걸림부(170)는, 피걸림부(202)의 비스듬히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걸림부(170)와 피걸림부(202)는, 서로 걸려 접속 상태를 유지한다. 걸림부(170)가 예기치 않게 상방으로 이동하는 경우라도, 걸림부(170)가 피걸림부(202)에 걸림으로써, 커넥터(100)가 상대측 커넥터(200)로부터 빠져 버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가령, 커넥터(100)가 -X방향에 있어서 의도하지 않은 힘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접속 상태가 유지된다.
도 5 및 도 6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걸림부(170)가 피걸림부(202)에 걸려 있는 록 상태에 있어서, 기판(50)과 조작부(172)와의 사이의 거리는, 기판(50)과 걸림부(170)와의 사이의 거리보다도 크다. 「록 상태」에는, 걸림부(170)가 피걸림부(202)에 걸려 있는 상태뿐만 아니라, 걸림부(170)가 피걸림부(202)에 걸림 가능한 상태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부(172)를 용이하게 조작하여 움직일 수 있어, 록 상태가 해제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록 상태에 있어서, 조작부(172)는 SMT 단자(212)로부터 Z방향(상하 방향)에 있어서 떨어져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 레버(160)는 SMT 단자(212)에 접촉하지 않는다. 게다가, 록 상태에 있어서, 조작부(172)는 기판(50) 위에 형성된 도전 패턴(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도 Z방향에 있어서 떨어져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 레버(160)는 도전 패턴(도시하지 않음)에도 접촉하지 않는다.
도 7을 참조하면, 조작부(172)는, 2개의 걸림부(170)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172)는, 피보유지지부(162, 16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다. 도 4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록 상태에 있어서, 조작부(172)가 SMT 단자(2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조작부(172)는, X방향(전후 방향) 및 Z방향(상하 방향)에 있어서, SMT 단자(212)로부터 떨어져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 레버(160)가 SMT 단자(212)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조작부(172)는, 주부(main portion; 174)와, 그 주부(174)의 양단에 위치하는 연결부(176)를 갖고 있다. 주부(174)는, Y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주부(174)는, 피보유지지부(162, 164)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주부(174)는, 걸림부(170)와도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연결부(176)는, 걸림부(170)가 주부(174)와 피보유지지부(162, 164)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주부(174)와 걸림부(170)와의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피보유지지부(162(164))와 걸림부(170)와의 거리보다도, 피보유지지부(162(164))와 주부(174)와의 거리의 쪽이 크다. 따라서,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걸림부(170)의 위치와 주부(174)의 위치는 X방향에 있어서 상이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주부(174)를 SMT 단자(212)로부터 떨어져 위치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6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록 상태에 있어서, 아암(166)의 절곡부의 정점은 기판(50) 상 또는 기판(50) 근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걸림부(170)를 기판(50)측으로 이동하면, 아암(166)의 정점이 기판(50)에 맞닿아, 걸림부(170)의 기판(50)측을 향하는 이동을 규제한다. 즉, 아암(166)의 절곡부의 정점은, 접속 록 상태에 있어서, 걸림부(170)의 기판(50)측으로 향하는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168)로서 기능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록 상태에 있어서, 규제부(168)와 기판(50)과의 사이의 거리는, 걸림부(170)와 기판(50)과의 사이의 거리보다도 작다. 즉, 규제부(168)는, Z방향에 있어서, 걸림부(170)보다도 하측(기판(50)의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걸림부(170)가 기판(50)에 맞닿기도 전에 규제부(168)가 기판(50)에 맞닿는 점에서, 규제부(168)는 걸림부(170)의 하향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록 상태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규제부(168)는, 기판(50)에 맞닿아 있다(도 5 참조). 그러나, 록 상태에 있어서 규제부(168)는 기판(50)으로부터 떨어져 있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록 상태에 있어서는, 조작 레버(160)와 SMT 단자(212) 및 기판(50)의 도전 패턴(도시하지 않음)과는 접촉하고 있지 않기(즉, 조작 레버(160)는, SMT 단자(212) 및 기판(50)의 도전 패턴으로부터 떨어져 있음) 때문에, 조작 레버(160)가 SMT 단자(212) 및 기판(50)의 도전 패턴(도시하지 않음)과 쇼트하는 일은 없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규제부(168)는 아암(166)에 형성되어 있었지만, 규제부(168)는 다른 부위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대측 보유지지 부재(220)의 장출부(222) 하방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당해 돌출부를 규제부(168)로서 이용해도 좋다. 단, 조작부(172)를 기판(50)으로부터 멀리하기 위해서는, 아암(166)을 V자 형상으로 절곡하고, 그 정점을 규제부(168)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커넥터(100A)는, 전술한 커넥터(100)(도 1 내지 도 7 참조)의 변형예이다. 커넥터(100A)는, 보유지지부(104A)를 제외하고, 전술한 커넥터(100)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이하에 있어서는, 주로, 보유지지부(104A)에 대해서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도시된 커넥터(100A)는, 보유지지 부재(120A)에 형성된 2개의 수용부(122A)와, 제1 쉘(140A)에 형성된 2개의 스프링부(144)와, 제2 쉘(150)에 형성된 덮개부(152)를 구비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수용부(122A)는, 2개의 벽부를 갖고 있다. 한쪽의 벽부는, 피보유지지부(162(164))의 지름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다른 한쪽의 벽부로부터 떨어져 있다. 스프링부(144)는, 고정단과, 자유단을 갖고 있고, 2개의 벽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스프링부(144)의 고정단은, 제1 쉘(140A)에 고정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스프링부(144)는, 제1 쉘(140A)로부터 Y방향에 있어서 비스듬하게(외측 그리고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에 따라, 스프링부(144)는, Z방향에 있어서 탄성 변형 가능하다. 덮개부(152)의 각각은, 수용부(122A)의 2개의 벽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2개의 벽부 및 피보유지지부(162(164))를 덮고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 도 11을 참조하면, 피보유지지부(162, 164)가 보유지지부(104A)에 보유지지되어 있지 않을 때, 덮개부(152)와 스프링부(144)의 상단과의 사이의 거리는, 피보유지지부(162(164))의 지름보다도 약간 작다. 따라서,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피보유지지부(162(164))를 보유지지부(104A)에 삽입하여 보유지지시키면, 스프링부(압압부;144)는, 피보유지지부(162(164))를 상방으로 압압한다. 도 4, 도 8 및 도 11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접속 상태에 있어서, 피보유지지부(162(164))는, 상방(기판(5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여 압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걸림부(170)는, 피걸림부(202)에 밀어붙여진다. 도 10을 참조하여, 록 상태에 있어서 규제부(168)가 기판(50)(도시하지 않음)과 맞닿아 있는 경우에는, 스프링부(144)가 피보유지지부(162(164))를 상방으로 압압함으로써, 걸림부(170)는 하방으로의 힘을 받는다. 따라서, 걸림부(170)는, 피걸림부(202)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록 상태가 유지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커넥터(100, 100A)는, 케이블측 커넥터이며, 상대측 커넥터(200)는, 기판측 커넥터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커넥터(100, 100A)는, 케이블(10)에 접속되는 것이 아니라도 좋고, 또한, 상대측 커넥터(200)는 기판(50) 이외의 대상물에 탑재되는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은 2012년 3월 27일에 일본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특허출원 제2012-071450호에 기초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참조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룬다.
본 발명의 최량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당업자에게는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 형태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러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1)

  1. 피(被)걸림부를 갖고 그리고 대상물에 탑재된 상대측 커넥터와 접속하는 커넥터로서:
    보유지지부와;
    조작부, 피보유지지부, 걸림부 및 규제부를 갖고 그리고 상기 조작부를 움직임으로써 회전하도록 상기 보유지지부에 보유지지된 조작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조작부 및 상기 피보유지지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에 접속되는 접속 상태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상기 피걸림부와 걸림으로써 상기 접속 상태를 록하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접속 상태가 록된 록 상태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상기 대상물로 향하는 이동을 규제하고, 상기 록 상태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과 상기 조작부와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대상물과 상기 걸림부와의 사이의 거리보다도 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 상태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과 상기 규제부와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대상물과 상기 걸림부와의 사이의 상기 거리보다도 작은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와는 접속 방향을 따라서 접속하는 것이고,
    상기 피보유지지부는, 상기 접속 방향과 직교하는 피치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피보유지지부로부터 상기 피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아암에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V형상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절곡부의 정점은, 상기 규제부로서 기능하여, 상기 걸림부를 상기 대상물을 향하여 이동시켰을 때에 상기 대상물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걸림부의 상기 대상물로 향하는 이동을 규제하는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아암과 상기 조작부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피치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는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 상태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대상물에 상시(常時) 맞닿아 있는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콘택트와, 상기 복수의 콘택트를 보유지지하는 보유지지 부재이며 상기 보유지지부의 일부로서 기능하고 그리고 U형상의 수용부를 갖는 보유지지 부재와, 상기 보유지지 부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쉘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2개의 상기 걸림부를 갖고 있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걸림부 사이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피보유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는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1개의 봉 형상의 부재를 절곡하여 형성된 것이고, 그리고, 상기 피보유지지부를 2개 갖고 있고,
    상기 피보유지지부의 길이는, 서로 상이한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상태에 있어서, 상기 피보유지지부를 상기 대상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압압하는 압압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커넥터.
KR1020130030053A 2012-03-27 2013-03-21 커넥터 KR1013665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71450A JP5871683B2 (ja) 2012-03-27 2012-03-27 コネクタ
JPJP-P-2012-071450 2012-03-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042A KR20130110042A (ko) 2013-10-08
KR101366526B1 true KR101366526B1 (ko) 2014-02-24

Family

ID=49235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0053A KR101366526B1 (ko) 2012-03-27 2013-03-21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76544B2 (ko)
JP (1) JP5871683B2 (ko)
KR (1) KR101366526B1 (ko)
CN (1) CN103368006B (ko)
TW (1) TWI5481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1490B1 (ko) 2014-02-06 2020-08-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CN208797213U (zh) * 2018-06-08 2019-04-26 安费诺电子装配(厦门)有限公司 一种带旋转锁杆的线端连接器及连接器组件
CN110611221B (zh) * 2018-06-14 2021-02-26 鸿富锦精密电子(天津)有限公司 锁固结构及采用该锁固结构的线缆接头组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3916A (ja) * 2008-02-18 2009-08-27 I-Pex Co Ltd コネクタ装置
JP2011028921A (ja) * 2009-07-22 2011-02-10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組立体
KR20110043701A (ko) * 2008-09-09 2011-04-27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펙스 커넥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4441B2 (ja) * 2007-07-03 2010-06-3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327461B2 (ja) * 2009-05-13 2013-10-30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CN201498773U (zh) * 2009-09-07 2010-06-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电连接器组件
JP5182334B2 (ja) * 2010-08-02 2013-04-17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826654B2 (ja) * 2012-02-01 2015-12-0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93916A (ja) * 2008-02-18 2009-08-27 I-Pex Co Ltd コネクタ装置
KR20110043701A (ko) * 2008-09-09 2011-04-27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펙스 커넥터 장치
JP2011028921A (ja) * 2009-07-22 2011-02-10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組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206584A (ja) 2013-10-07
TW201405967A (zh) 2014-02-01
US20130260601A1 (en) 2013-10-03
CN103368006B (zh) 2016-01-13
KR20130110042A (ko) 2013-10-08
CN103368006A (zh) 2013-10-23
TWI548156B (zh) 2016-09-01
JP5871683B2 (ja) 2016-03-01
US8876544B2 (en) 2014-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7651B2 (en) Connector
TWI434466B (zh) 連接器組合體
US8512058B2 (en) Electrical connector
JP4834147B2 (ja) 施錠機構を備えた電子コネクタ
JP4678887B2 (ja) コネクタ組立体
US8979570B2 (en) Connector configured to temporarily hold an object being connected while an actuator which is closed to lock the object is in an open state
CN104205518A (zh) 具有连接器位置保险装置的电连接器
US8876543B2 (en) Connector
US20120289093A1 (en) Connector
US10833439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mated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US881458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ocking portions for an inserting component
KR101366526B1 (ko) 커넥터
KR20110135352A (ko) 결합검지수단을 가지는 커넥터
US8523603B2 (en) Connector assembly
US9190757B2 (en) Connector, connector assembly, and cable for use in the connector assembly
KR101292278B1 (ko) 락킹 구조가 개선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JP2010146761A (ja) 電気コネクタ
CN109802263B (zh) 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JP5600523B2 (ja) コネクタ構造
KR101121506B1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보강부재 및 이를 수용하기 위한 커넥터
JP2008311100A (ja) 電気コネクタ
JP6270156B2 (ja) コネクタ
KR101561044B1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JP5779004B2 (ja) コネクタ
KR101260320B1 (ko) 락킹 구조가 개선된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