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3701A -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3701A
KR20110043701A KR1020117003895A KR20117003895A KR20110043701A KR 20110043701 A KR20110043701 A KR 20110043701A KR 1020117003895 A KR1020117003895 A KR 1020117003895A KR 20117003895 A KR20117003895 A KR 20117003895A KR 20110043701 A KR20110043701 A KR 20110043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lever
insulating housing
support mechanism
connector device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3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8116B1 (ko
Inventor
테츠야 타가와
히로하루 이카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펙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이펙스
Publication of KR20110043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comprising a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Abstract

절연 하우징을 부분적으로 덮는 도전성 쉘에 의해 지지된 양단부를 가지고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계합하는 조작 레버를 구비하고, 조작 레버의 양단부의 도전성 쉘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이 확실히 저지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조작 레버(16)의 양단부(22a, 22b)의 각각이, 본체부(21)에 굴곡하여 이어지는 신장 부분(23a, 23b)과 거기에 더 이어지는 선단 부분(24a, 24b)을 가지고 절연 하우징(13)의 단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한 제1의 방향을 가지고 뻗고, 선단 부분이 신장 부분에 대해서 신장 부분의 중심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평행 변위한 것으로 되어 신장 부분과의 경계에 단부(25a, 25b)를 형성하는 것으로 되고, 지지 기구(30a, 30b)에 의해 지지된 하에서 제1의 방향과는 반대의 제2의 방향을 가지고 변위시켜지게 될 때, 단부에 지지 기구에 구비된 계지부(32a, 32b)가 계합하여 지지 기구로부터의 발탈이 저지된다.

Description

커넥터 장치{CONNECTOR DEVICE}
본 발명은 케이블이나 플렉시블 인쇄 배선 기판(FPC :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등이 연결된 하에서, 예를 들면 솔리드(solid) 인쇄 배선 기판 등의 주기판에 장착된 상대측 커넥터 장치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지고, 케이블이나 FPC 등과 상대측 커넥터 장치와의 전기적 접속을 완수하는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비교적 가는 케이블이나 비교적 소형인 FPC를 각종의 전기 부품이 장착되는 솔리드 인쇄 배선 기판 등의 주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데 즈음해서는, 복수의 케이블 혹은 FPC가 연결되는 케이블 등 측의 커넥터 장치로 되는 제1의 커넥터 장치와, 주기판에 장착되어 주기판과의 전기적 접속이 되고, 제1의 커넥터 장치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지는 기판측 커넥터 장치로 되는 제2의 커넥터 장치가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제1의 커넥터 장치로부터 보면, 제2의 커넥터 장치는 제1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의 상대측 커넥터(connector) 장치로 되고, 제2의 커넥터 장치로부터 보면, 제1의 커넥터 장치는 제2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의 상대측 커넥터 장치로 된다.
이러한 경우, 제1의 커넥터 장치는, 예를 들면 감합 볼록부(engaging protrusion portion)로 되는 감합부(engaging portion)가 설치되는 절연 하우징(housing)을 구비하고, 그 감합부에, 복수의 케이블 등과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도전 콘택트(contact)의 부분이 배열 배치되는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를 이루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제1의 커넥터 장치는, 통상, 외부로부터의 전자파 잡음(noise) 대책을 위해 절연 하우징을 부분적으로 덮는 금속 판재제의 도전성 쉘(shell)이나 도전성 커버(cover)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제1의 커넥터 장치의 상대측 커넥터 장치로 되는 제2의 커넥터 장치는, 예를 들면 제1의 커넥터 장치의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감합부에 감합하는 감합 오목부로 되는 감합부가 설치되는 절연 하우징을 구비하고, 그 절연 하우징에 있어서의 감합부에, 각각의 일단부가 단자부로 되어 주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도전 콘택트의 부분이 배열 배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를 이루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제2의 커넥터 장치도, 통상, 외부로부터의 전자파 잡음 대책을 위해 절연 하우징을 부분적으로 덮는 금속 판재제(板材製)의 도전성 쉘(shell)이나 도전성 커버(cover)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하에서, 제1의 커넥터 장치의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감합부가 제2의 커넥터 장치의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감합부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질 때, 제1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의 복수의 도전 콘택트가, 제2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의 복수의 도전 콘택트에 각각 접촉 접속된다.
상술과 같은 케이블 등 측의 커넥터 장치로 되는 제1의 커넥터 장치 및 기판측 커넥터 장치로 되는 제2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제2의 커넥터 장치가 주기판에 장착된 하에서, 복수의 케이블 혹은 플렉시블 인쇄 배선 기판이 연결된 제1의 커넥터 장치의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감합부가, 제2의 커넥터 장치의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감합부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질 때, 그 감합 상태가 적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제1의 커넥터 장치 및 제2의 커넥터 장치와 같이, 각각의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감합부가 상호 감합 상태에 놓여져 사용되는 2개의 커넥터 장치에 대해서, 각각의 감합부의 감합 상태가 적정하게 유지되도록 이루기 위한 방책이 종래 몇인가 보여진다.
이러한 방책의 하나로서, 각각의 절연 하우징에 감합부가 설치된 제1 및 제2의 커넥터 장치 중의 일방을 그 절연 하우징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된 조작 레버(manipulative lever) 혹은 조작 로드(manipulative rod)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고, 제1의 커넥터 장치의 절연 하우징 및 제2의 커넥터 장치의 절연 하우징에 각각 설치된 감합부가 상호 감합 상태에 놓여질 때, 제1 및 제2의 커넥터 장치 중의 일방이 구비하는 조작 레버 혹은 조작 로드를 회동 조작하여, 상대측 커넥터 장치로 되는 제1 및 제2의 커넥터 장치 중의 타방의 절연 하우징과 계합시키고, 이에 의해 제1 및 제2의 커넥터 장치 중의 일방의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감합부로부터 제1 및 제2의 커넥터 장치 중의 타방의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감합부가 발탈(拔脫)하는 사태를 저지하려고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상술의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것 같은, 종래 제안되어 있는 방책이 적용된 종래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제1의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와 상대측 커넥터로 되는 제2의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가 상호 감합하는 것으로 되는 하에서, 제1의 커넥터가, 외표면을 부분적으로 덮는 도전성 쉘을 수반한 절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된 조작 레버(잠금 레버(lock lever))가 설치된 것으로 되고, 또 제2의 커넥터가, 절연 하우징의 외표면을 부분적으로 덮는 도전성 쉘에, 제1의 커넥터가 구비하는 조작 레버를 계지(係止)하는 잠금 계지부가 설치된 것으로 되어 있다. 제1의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 레버는, 막대 모양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 중앙 부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된 주조작부와 주조작부의 양단에 배치되는 한 벌의 단부를 가지는 것으로 된다. 이러한 주조작부 및 한 벌의 단부 중의 한 벌의 단부는, 주조작부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되접어 꺾여 각각의 선단 부분이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한 벌의 회전축부를 이루는 것으로 되고, 이들의 한 벌의 회전축부는, 절연 하우징의 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부분에, 각각이 회전이 자유롭게 되도록 유동 감합 상태를 가지고 삽입되어 장착된다. 한편, 제2의 커넥터의 도전성 쉘에 설치된 잠금 계지부는, 도전성 쉘의 일부(홀드다운부(hold down portion))가 잘라 일으켜져 형성된 편지(片持) 구조의 스프링 모양 부재를 이루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제1의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와 제2의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가 상호 감합 상태에 놓여질 때, 제1의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조작 레버가, 회동 조작되어, 그 주조작부가 제2의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에 있어서의 감합 오목부와는 반대측으로 되는 부분에 근접시켜지게 되고, 제2의 커넥터의 도전성 쉘에 설치된 잠금 계지부에 그것을 넘어 계합하는 것으로 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의 주조작부가 잠금 계지부에 의해 계지되어, 제1의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과 제2의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의 상호 맞닿음 상태가 유지되게 되어, 제1의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의 제2의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로부터의 발탈이 저지된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2008-112700호 공보(제4~6페이지, 도 1~5)
전술의 종래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제1의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에 설치되고, 제1 및 제2의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에 각각 설치된 감합부가 상호 감합 상태에 놓여질 때, 그 주조작부가 제2의 커넥터의 도전성 쉘에 설치된 잠금 계지부에 의해 계지되는 것으로 되는 조작 레버는, 그 한 벌의 단부가 이루는 한 벌의 회전축부가, 제1의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의 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부분에, 각각이 회전이 자유롭게 되도록 유동 감합 상태를 가지고 삽입되어 장착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조작 레버의 한 벌의 회전축부를 이루는 한 벌의 단부는, 각각이, 제1의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의 외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제1의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으로부터 용이하게 발탈되어 버린다. 따라서, 제1의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조작 레버에, 그 한 벌의 단부의 양자 혹은 일방을 제1의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의 외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게 하는 외력이 작용할 때에는, 당해 단부가 제1의 커넥터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을 일으켜 버려, 조작 레버가 본래의 역할을 완수할 수가 없는 것으로 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또, 전술의 종래의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는, 제1의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조작 레버의 한 벌의 단부가 이루는 한 벌의 회전축부가, 제1의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의 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부분에, 각각이 회전이 자유롭게 되도록 유동 감합 상태를 가지고 삽입되어 장착됨으로써, 당해 조작 레버의 주조작부가, 제2의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에 있어서의 감합 오목부와는 반대측으로 되는 부분에 근접시켜지게 되어 제2의 커넥터의 도전성 쉘에 설치된 잠금 계지부에 그것을 넘어 계합할 때, 한 벌의 단부가 이루는 한 벌의 회전축부의 각각과 그것이 유동 감합 상태를 가지고 삽입되는 제2의 커넥터의 절연 하우징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이에 의해 조작 레버의 주조작부와 제2의 커넥터와의 사이의 간극이 형성되어, 조작 레버가 “흔들리게” 되어 버려, 이상한 소리가 발생하게도 된다고 하는 좋지 않은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절연 하우징과, 절연 하우징을 부분적으로 덮는 도전성 쉘과, 절연 하우징에 설치되어 복수의 도전 콘택트가 배치되어 상대측 커넥터 장치의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상대측 감합부와의 감합 상태를 취하는 것으로 되어, 복수의 도전 콘택트에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배치된 복수의 도전 콘택트와의 접속 상태를 취하게 하는 감합부와, 도전성 쉘에 양단부가 지지되어 설치되어,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감합부의 상대측 감합부와의 감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계합하는 조작 레버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조작 레버의 양단부의 도전성 쉘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을 확실히 저지할 수가 있고, 또한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계합한 조작 레버와 상대측 커넥터 장치와의 사이의 간극이 형성되어 조작 레버가 “흔들리게” 되는 상태를 확실히 회피할 수도 있게 되는 커넥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 즉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청구항 1로부터 청구항 9까지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는,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제1의 감합부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지는 제2의 감합부가 설치된 절연 하우징과, 제2의 감합부에 배열 배치되는 부분을 가지고 절연 하우징에 배치되고, 제2의 감합부가 제1의 감합부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질 때,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배치된 복수의 제1의 도전 콘택트에 접속되는 복수의 제2의 도전 콘택트와, 절연 하우징을 부분적으로 덮는 도전성 쉘과, 본체부와 그 양단에 각각 연결된 한 벌의 단부를 가지고, 한 벌의 단부가 도전성 쉘에 설치된 한 벌의 지지 기구에 의해 각각 지지되어 절연 하우징에 대해서 회동(回動) 가능하게 되고, 제2의 감합부가 제1의 감합부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질 때 회동 조작되어, 본체부가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계합하는 것으로 되는 조작 레버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조작 레버의 한 벌의 단부의 각각이, 본체부에 굴곡하여 이어지는 신장 부분과 거기에 더 이어지는 선단 부분을 가지고, 전체적으로 절연 하우징의 단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한 제1의 방향을 가지고 뻗게 되는 것으로 됨과 아울러, 선단 부분이 신장 부분에 대해서 신장 부분의 중심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평행 변위 혹은 돌출된 것으로 되고, 지지 기구에 의해 지지된 하에서 제1의 방향과는 반대의 제2의 방향을 가지고 변위시켜지게 될 때, 선단 부분에 지지 기구에 구비된 계지부가 계합하여 지지 기구로부터의 발탈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 중의 청구항 2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는, 조작 레버의 한 벌의 단부의 각각을 형성하는 신장 부분 및 선단 부분이, 도전성 쉘에 설치된 지지 기구에 의해 지지된 하에서, 본체부가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계합하는 상태에 놓여진 조작 레버에, 본체부가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꽉 눌리게 되는 방향의 부세력(付勢力)을 작용시키는 부세력 부여부를 이루는 것으로 된다.
또,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 중의 청구항 4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는, 조작 레버의 한 벌의 단부의 각각이, 선단 부분이 신장 부분에 대해서 그 중심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평행 변위한 것으로 되어 신장 부분과의 경계에 단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되고, 이에 의해 지지 기구에 의해 지지된 하에서 제1의 방향과는 반대의 제2의 방향, 즉 절연 하우징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을 가지고 변위시켜지게 될 때, 단부에 지지 기구에 구비된 계지부가 계합하여 지지 기구로부터의 발탈이 저지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 중의 청구항 5 혹은 청구항 6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는, 조작 레버의 한 벌의 단부의 각각이, 선단 부분이 신장 부분에 대해서 그 중심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굴곡하여 돌출하는 것, 혹은 조작 레버의 한 벌의 단부의 각각이, 선단 부분이, 신장 부분의 중심축 방향에 직교하는 제1의 방향으로 꽉 눌리게 되어, 신장 부분에 대해서 그 중심축 방향 및 제1의 방향의 각각에 직교하는 제2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으로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에 대해서는, 본체부와 그 양단에 각각 연결된 한 벌의 단부를 가지고, 한 벌의 단부가 도전성 쉘에 설치된 한 벌의 지지 기구에 의해 각각 지지되어 회동 가능하게 되고, 절연 하우징에 설치된 제2의 감합부가 상대측 커넥터 장치의 제1의 감합부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질 때 회동 조작되어, 본체부가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계합하는 상태에 놓여지는 조작 레버가, 그 한 벌의 단부의 각각이, 본체부에 굴곡하여 이어지는 신장 부분과 거기에 더 이어지는 선단 부분을 가지고, 전체적으로 절연 하우징의 단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한 제1의 방향을 가지고 뻗게 되는 것으로 됨과 아울러, 선단 부분이 신장 부분에 대해서 신장 부분의 중심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평행 변위 혹은 돌출된 것으로 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는, 그 한 벌의 단부의 각각이, 지지 기구에 의해 지지된 하에서 제1의 방향과는 반대의 제2의 방향을 가지고 변위시켜지게 될 때, 선단부에 지지 기구에 구비된 계지부가 계합하여 지지 기구로부터의 발탈이 저지되게 된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 중의 청구항 2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는, 도전성 쉘에 설치된 지지 기구에 의해 지지된 조작 레버의 한 벌의 단부의 각각을 형성하는 신장 부분 및 선단 부분이, 제2의 감합부가 제1의 감합부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질 때 회동 조작되어 본체부를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계합시키는 것으로 된 조작 레버에, 본체부가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꽉 눌리게 되는 방향의 부세력을 작용시킨다. 이러한 조작 레버의 한 벌의 단부의 각각을 형성하는 신장 부분 및 선단 부분에 의한 조작 레버에 대한 부세력의 부여는, 예를 들면 도전성 쉘에 설치된 한 벌의 지지 기구의 각각이, 계지부에 더하여, 조작 레버의 한 벌의 단부의 각각을 형성하는 신장 부분 및 선단 부분을, 선단 부분의 신장 부분에 대한 평행 변위 방향을 조작 레버의 회동 조작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상태를 가지고 보지(保持)하는 보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 초래된다.
또,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 중의 청구항 4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는, 조작 레버의 한 벌의 단부의 각각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이, 신장 부분에 대해서 그 중심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평행 변위한 것으로 되어 신장 부분과의 경계에 단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되고, 이에 의해 조작 레버의 한 벌의 단부의 각각이, 지지 기구에 의해 지지된 하에서 제1의 방향과는 반대의 제2의 방향을 가지고 변위시켜지게 될 때, 선단 부분이 형성하는 단부에 지지 기구에 구비된 계지부가 계합하여 지지 기구로부터의 발탈이 저지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 중의 청구항 5 혹은 청구항 6에 기재된 것에 있어서는, 조작 레버의 한 벌의 단부의 각각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이 신장 부분에 대해서 신장 부분의 중심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상태가, 선단 부분이 신장 부분에 대해서 그 중심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굴곡시켜지게 됨으로써, 혹은 선단 부분이, 신장 부분의 중심축 방향에 직교하는 제1의 방향으로 꽉 눌리게 되어, 신장 부분에 대해서 그 중심축 방향 및 제1의 방향의 각각에 직교하는 제2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으로 됨으로써 얻어진다.
상술의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에 의하면, 도전성 쉘에 설치된 지지 기구에 의해 지지된 조작 레버의 단부가, 본체부에 굴곡하여 이어지는 신장 부분과 거기에 더 이어지는 선단 부분을 가지고, 전체적으로 절연 하우징의 단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한 제1의 방향을 가지고 뻗게 되는 것으로 됨과 아울러, 선단 부분이 신장 부분에 대해서 신장 부분의 중심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평행 변위 혹은 돌출된 것으로 되고, 이에 의해 조작 레버의 단부가, 지지 기구에 의해 지지된 하에서 제1의 방향과는 반대의 제2의 방향을 가지고 변위시켜지게 될 때, 선단 부분에 지지 기구에 구비된 계지부가 계합하여 지지 기구로부터의 발탈이 저지되게 되므로, 조작 레버에 그 단부를 절연 하우징의 외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외력이 작용할 때에도, 당해 단부의 도전성 쉘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을 확실히 저지할 수가 있어, 조작 레버를 본래의 역할을 완수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 중의 청구항 2에 기재된 것에 의하면, 도전성 쉘에 설치된 지지 기구에 의해 지지된 조작 레버의 한 벌의 단부의 각각을 형성하는 신장 부분 및 선단 부분이, 제2의 감합부가 제1의 감합부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질 때 회동 조작되어 본체부를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계합시키는 것으로 된 조작 레버에, 본체부가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꽉 눌리게 되는 방향의 부세력을 작용시키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에 그 단부를 절연 하우징의 외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외력이 작용할 때에도, 당해 단부의 도전성 쉘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을 확실히 저지할 수 있어, 조작 레버를 본래의 역할을 완수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본체부를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계합시킨 조작 레버와 상대측 커넥터 장치와의 사이의 간극이 형성되어 조작 레버가 “흔들리게” 되는 상태를 확실히 회피할 수도 있고, 또 이에 수반하여 “흔들리는” 조작 레버에 기인하는 이상한 소리의 발생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 중의 청구항 4에 기재된 것에 의하면, 조작 레버의 한 벌의 단부의 각각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이, 신장 부분에 대해서 그 중심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평행 변위한 것으로 되어 신장 부분과의 경계에 단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되므로, 이러한 단부는, 비교적 작은 스페이스(space) 내에 넣어지는 하에서 지지 기구에 구비된 계지부를 확실히 계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조작 레버의 단부에 용이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용이하게 형성되어 비교적 작은 스페이스 내에 넣어지는 단부를 형성하는 선단 부분에 의해, 조작 레버의 단부의 도전성 쉘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이 확실히 저지되게 되고, 또한 본체부를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계합시킨 조작 레버가 “흔들리게” 되는 상태가 확실히 회피됨과 아울러, “흔들리는” 조작 레버에 기인하는 이상한 소리의 발생도 회피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 중의 청구항 5 혹은 청구항 6에 기재된 것에 의하면, 조작 레버의 한 벌의 단부의 각각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이, 신장 부분에 대해서 그 중심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굴곡시켜지게 됨으로써, 혹은 신장 부분의 중심축 방향에 직교하는 제1의 방향으로 꽉 눌리게 되어, 신장 부분에 대해서 그 중심축 방향 및 제1의 방향의 각각에 직교하는 제2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으로 되는 것에 의해, 신장 부분에 대해서 신장 부분의 중심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으로 되므로, 이러한 선단 부분은, 비교적 작은 스페이스 내에 넣어지는 하에서 지지 기구에 구비된 계지부를 확실히 계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조작 레버의 단부에 용이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용이하게 형성되어 비교적 작은 스페이스 내에 넣어지는 단부를 형성하는 선단 부분에 의해, 조작 레버의 단부의 도전성 쉘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이 확실히 저지되게 되고, 또한 본체부를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계합시킨 조작 레버가 “흔들리게” 되는 상태가 확실히 회피됨과 아울러, “흔들리는” 조작 레버에 기인하는 이상한 소리의 발생도 회피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거기에 연결된 복수의 케이블과 함께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거기에 연결된 복수의 케이블과 함께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커넥터 장치에 구비되는 조작 레버를 단체(單體)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난 원 C1 내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난 커넥터 장치에 대한 도전성 커버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난 원 C2 내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있어서의 A-A선을 따른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있어서의 B-B선을 따른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가 감합하는 상대측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이루는 기판측 커넥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가 감합하는 상대측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이루는 기판측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나타난 커넥터 장치가 도 9 및 도 10에 나타난 기판측 커넥터 장치에 감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나타난 커넥터 장치가 도 9 및 도 10에 나타난 기판측 커넥터 장치에 감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다른 예에 구비되는 조작 레버를 단체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난 원 C3 내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다른 예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다른 예에 있어서의 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다른 예에 있어서의 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또 다른 예에 구비되는 조작 레버를 단체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나타난 원 C4 내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또 다른 예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또 다른 예에 있어서의 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또 다른 예에 있어서의 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는 이하에 서술되는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가지고 설명된다.
<실시예 1>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일례(실시예 1)를 거기에 연결된 복수의 케이블과 함께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실시예 1을 이루는 커넥터 장치(11)는, 예를 들면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에서, 예를 들면 솔리드(solid) 인쇄 배선 기판으로 되는 기판에 거기에 설치된 전기 회로 구성부와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져 장착된, 기판측 커넥터 장치로 되는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감합하는, 케이블 등 측의 커넥터 장치로서 이용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커넥터 장치(11)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된 절연 하우징(13), 외부로부터의 전자파 잡음 대책을 위해 절연 하우징(13)의 외면부를 부분적으로 덮는 것으로 된, 예를 들면 각각이 탄성을 가진 금속판 재료가 굴곡되어 이루는 도전성 쉘(14) 및 도전성 커버(15), 및 금속 막대 모양 부재가 굴곡되어 형성되고, 절연 하우징(13)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조작 레버(16)를 구비하고 있다.
절연 하우징(13)에는, 상대측 커넥터 장치(기판측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지는, 절연 하우징(13)의 긴 방향(화살표 L에 의해 나타나는 방향으로서, 이하 L방향이라고 함)으로 뻗은 감합 볼록부(17)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절연 하우징(13)에는, 각각이, 예를 들면 탄성을 가진 금속재료가 굴곡되어 형성된 복수의 도전 콘택트(18)가, 각각의 일부분이 감합 볼록부(17)에 L방향을 따라 배열 배치되는 것으로 되어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도전 콘택트(18)의 각각에 있어서의 감합 볼록부(17)에 배치된 부분은, 감합 볼록부(17)가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질 때, 그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배치되어 기판과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 복수의 도전 콘택트 중의 대응하는 것에 접촉 접속되고, 이에 의해 복수의 도전 콘택트(18)가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의 복수의 도전 콘택트에 각각 접속되게 된다. 또, 복수의 도전 콘택트(18)의 각각에는, 복수의 동축 케이블(12) 중의 대응하는 것의 신호 도체가 접속된다.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의 각각은, 그 신호 도체가 도전 콘택트(18)에 접속됨과 아울러, 그 접지 도체가 도전성 쉘(14) 및 도전성 커버(15)에 접촉 접속되어 커넥터 장치(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조작 레버(16)는, 도 3에 단체로 나타나듯이, 한 벌의 굴곡완부(19a, 19b)가 L방향을 따라 뻗은 연결부(20)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되는 본체부(21)와, 본체부(21)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한 벌의 단부(22a, 22b)를 가지고 있다. 단부(22a)는, 본체부(21)의 일단을 형성하는 굴곡완부(19a)에 연결되어 있고, 굴곡완부(19a)에 굴곡하여 이어지는 신장 부분(23a)과 신장 부분(23a)에 더 이어지는 선단 부분(24a)을 가지고 있어, L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뻗은 것으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단부(22b)는, 본체부(21)의 타단을 형성하는 굴곡완부(19b)에 연결되어 있고, 굴곡완부(19b)에 굴곡하여 이어지는 신장 부분(23b)과 신장 부분(23b)에 더 이어지는 선단 부분(24b)을 가지고 있어, L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뻗은 것으로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난 조작 레버(16)의 단부(22a)를 둘러싸는 원 C1 내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 4에 나타나듯이, 조작 레버(16)의 단부(22a)가 가지는 신장 부분(23a)과 선단 부분(24a)은, 선단 부분(24a)이 신장 부분(23a)에 대해서 신장 부분(23a)의 중심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평행 변위한 것으로 되어 신장 부분(23a)과의 경계에 단부(25a)를 형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선단 부분(24a)의 중심축 방향은 신장 부분(23a)의 중심축 방향과 평행한 것으로 되고, 신장 부분(23a)의 중심축 방향은 L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되므로, 선단 부분(24a)의 중심축 방향도 L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나듯이, 신장 부분(23a)과 선단 부분(24a)은, L방향을 따라 뻗은 신장 부분(23a)의 가상 중심축선(26a)에 대해서, 마찬가지로 L방향을 따라 뻗은 선단 부분(24a)의 가상 중심축선(27a)이, L방향에 직교하는 방향(화살표 S에 의해 나타나는 방향으로서, 이하 S방향이라고 함)으로 평행 변위한 것으로 되는 관계에 놓여진다.
마찬가지로 조작 레버(16)의 단부(22b)가 가지는 신장 부분(23b)과 선단 부분(24b)은, 선단 부분(24b)이 신장 부분(23b)에 대해서 신장 부분(23b)의 중심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평행 변위한 것으로 되어 신장 부분(23b)과의 경계에 단부(25b)를 형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선단 부분(24b)의 중심축 방향은 신장 부분(23b)의 중심축 방향과 평행한 것으로 되고, 신장 부분(23b)의 중심축 방향은 L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되므로, 선단 부분(24b)의 중심축 방향도 L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된다. 그리고, 신장 부분(23b)과 선단 부분(24b)은,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L방향을 따라 뻗은 신장 부분(23b)의 가상 중심축선에 대해서, 마찬가지로 L방향을 따라 뻗은 선단 부분(24b)의 가상 중심축선이, L방향에 직교하는 S방향으로 평행 변위한 것으로 되는 관계에 놓여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조작 레버(16)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듯이, 그 한 벌의 단부(22a, 22b),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신장 부분(23a)과 선단 부분(24a)을 가진 단부(22a) 및 신장 부분(23b)과 선단 부분(24b)을 가진 단부(22b)가, 도전성 쉘(14)에 있어서의 L방향의 양단부에 의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단부(22a, 22b)는, 각각이 L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단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한 방향을 가지고 뻗어, 각각의 선단 부분(24a, 24b)을 상호 대향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16)는, 절연 하우징(13)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조작 레버(16)의 본체부(21)를 형성하는 연결부(20)에는, 조작 레버(16)에 대한 회동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조작 태그(16A)가 장착되어 있다.
도전성 쉘(14)은, 절연 하우징(13)에 있어서의 도 1 및 도 2의 각각에 있어서 하측으로 되는 외면(이하, 저면이라고 함)을 부분적으로 덮는 것으로 되고, 또 도전성 커버(15)는, 절연 하우징(13)에 있어서의 도 1 및 도 2의 것에 각각에 있어서 상측으로 되는 외면(이하, 상면이라고 함)을 부분적으로 덮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커넥터 장치(11)에 대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이 연결된 하에서 도전성 커버(15)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도 5에 나타나듯이, 도전성 쉘(14)에 있어서의 L방향의 양단부에는, 조작 레버(16)의 한 벌의 단부(22a, 22b), 즉 신장 부분(23a)과 선단 부분(24a)을 가진 단부(22a) 및 신장 부분(23b)과 선단 부분(24b)을 가진 단부(22b)를 각각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벌의 지지 기구(30a, 30b)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도 5에 나타나듯이,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의 각각은, 그 신호 도체(12A)가, 도전 콘택트(18)에 접속됨과 아울러, 그 접지 도체(12B)가 접지용 공통 도체(13X)에 접속된다. 접지용 공통 도체(13X)는 도전성 쉘(14) 및 도전성 커버(15)에 접촉 접속된다.
지지 기구(30a)는, 조작 레버(16)의 신장 부분(23a)과 선단 부분(24a)을 가진 단부(22a)를 보지하는, 탄성을 가진 보지부(31a)를 구비하고 있고, 또 지지 기구(30b)는, 조작 레버(16)의 신장 부분(23b)과 선단 부분(24b)을 가진 단부(22b)를 보지하는, 탄성을 가진 보지부(31b)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 레버(16)의 한 벌의 단부(22a, 22b)의 각각은, L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단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한 방향을 가지고 뻗어 있으므로, 이들의 단부(22a, 22b)를 지지하는 지지 기구(30a, 30b)에 각각 구비된 보지부(31a, 31b)의 각각도 L방향으로 뻗은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레버(16)는, 보지부(31a, 31b)에 의해 각각 보지된 단부(22a, 22b)를 회동 중심으로 하고, 절연 하우징(13)에 대해서 회동시켜지고, 도 1에 나타나는 것 같이 본체부(21)가, 커넥터 장치(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와, 도 2에 나타나는 것 같이 본체부(21)가,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를 선택적으로 취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지지 기구(30a)에는, 조작 레버(16)의 신장 부분(23a)과 선단 부분(24a)을 가진 단부(22a)에 있어서의 단부(25a)에 계합하여 단부(22a)를 계지하는 상태를 취하는 계지부(32a)가 구비되어 있고, 또 지지 기구(30b)에는, 조작 레버(16)의 신장 부분(23b)과 선단 부분(24b)을 가진 단부(22b)에 있어서의 단부(25b)에 계합하여 단부(22b)를 계지하는 상태를 취하는 계지부(32b)가 구비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난 조작 레버(16)의 단부(22b) 및 도전성 쉘(14)의 일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b)를 포함하는 부분을 둘러싸는 원 C2 내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 6에 나타나듯이,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보지부(31b)는, L방향으로 뻗어 조작 레버(16)의 단부(22b)에 있어서의 신장 부분(23b), 선단 부분(24b) 및 단부(25b)를 포함하는 부분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홈형상부(groove-like portion)를 형성하고 있고, 또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계지부(32b)는, S방향에 있어서 조작 레버(16)의 단부(22b)에 있어서의 신장 부분(23b)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한 벌의 굴곡 벽모양부(curved wall portion)를 형성하고 있다.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보지부(31b)가 형성하는 홈형상부는, 거기에 배치된 단부(22b)에 있어서의 신장 부분(23b), 선단 부분(24b) 및 단부(25b)를 포함하는 부분에 대해 S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규제를 행한다. 또,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계지부(32b)가 형성하는 굴곡 벽모양부는,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b)측의 단면이, 단부(22b)에 있어서의 단부(25b)에 계합하는 상태를 취한다.
마찬가지로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보지부(31a)는, L방향으로 뻗어 조작 레버(16)의 단부(22a)에 있어서의 신장 부분(23a), 선단 부분(24a) 및 단부(25a)를 포함하는 부분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홈형상부를 형성하고 있고, 또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계지부(32a)는, S방향에 있어서 조작 레버(16)의 단부(22a)에 있어서의 신장 부분(23a)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한 벌의 굴곡 벽모양부를 형성하고 있다.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보지부(31a)가 형성하는 홈형상부는, 거기에 배치된 단부(22a)에 있어서의 신장 부분(23a), 선단 부분(24a) 및 단부(25a)를 포함하는 부분에 대해 S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규제를 행한다. 또,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계지부(32a)가 형성하는 굴곡 벽모양부는,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a)측의 단면이, 단부(22a)에 있어서의 단부(25a)에 계합하는 상태를 취한다.
도전성 커버(15)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듯이 절연 하우징(13)에 있어서의 상면을 부분적으로 덮는 것으로 될 때, 그 L방향의 양단부(35a, 35b)가, 도전성 쉘(14)에 있어서의 L방향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조작 레버(16)의 한 벌의 단부(22a, 22b)를 각각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기구(30a, 30b)를 각각 덮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도전성 커버(15)에 있어서의 L방향의 양단부(35a, 35b)에는, 누름편부(36a, 36b)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 이들의 누름편부(36a, 36b)는, 양단부(35a, 35b)가 지지 기구(30a, 30b)를 각각 덮을 때, 지지 기구(30a, 30b)에 의해 지지된 조작 레버(16)의 단부(22a, 22b)에 각각 맞닿고, 이들을 억제하는 역할을 완수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전성 커버(15)의 양단부(35a, 35b)가 지지 기구(30a, 30b)를 각각 덮음으로써, 지지 기구(30a)가 구비하는 보지부(31a) 및 계지부(32a)의 각각의 내부, 및 지지 기구(30b)가 구비하는 보지부(31b) 및 계지부(32b)의 각각의 내부로의 먼지나 이물질의 침입이 방지된다.
또, 도전성 커버(15)에는, 그 양단부(35a, 35b)의 근방에, 절연 하우징(13)의 감합 볼록부(17)가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질 때, 상대측 커넥터 장치의 도전성 쉘에 설치된 계합구멍에 계합하는 계합 돌기(37a, 37b)가 설치되어 있다. 계합 돌기(37a, 37b)의 각각은, 도전성 커버(15)의 일부가 형성하는 탄성편(彈性片)에 형성되어 있어, 상대측 커넥터 장치의 도전성 쉘에 설치된 계합구멍과의 계합 및 그 계합구멍으로부터의 이탈을 탄성편의 탄성변형을 수반하여 행한다.
이러한 하에서,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탄성을 가진 보지부(31a)가, 그것이 형성하는 홈형상부에 배치된 조작 레버(16)의 단부(2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23a) 및 선단 부분(24a)을 선단 부분(24a)의 신장 부분(23a)에 대한 평행 변위 방향을 조작 레버(16)의 회동 조작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상태를 가지고 보지한다. 마찬가지로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탄성을 가진 보지부(31b)가, 그것이 형성하는 홈형상부에 배치된 조작 레버(16)의 단부(2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23b) 및 선단 부분(24b)을 선단 부분(24b)의 신장 부분(23b)에 대한 평행 변위 방향을 조작 레버(16)의 회동 조작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상태를 가지고 보지한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나듯이, 조작 레버(16)가, 절연 하우징(13)에 대해서 회동시켜지게 되어, 본체부(21)가 커넥터 장치(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될 때는, 도 1에 나타나는 A-A선을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 7에 나타나듯이,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b)에 있어서, 보지부(31b)에 의해 보지된 조작 레버(16)의 단부(2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23b) 및 선단 부분(24b)이, 보지부(31b)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 있어서, 선단 부분(24b)이, 신장 부분(23b)에 대해, S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평행 변위한 상태에 놓여진다. 이에 의해 보지부(31b)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서, 신장 부분(23b)이 S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선단 부분(24b)이 S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되게 된다.
이러한 하에서, 조작 레버(1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22b)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22b)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계지부(32b)가,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b)측의 단면을 가지고, 단부(22b)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24b)에 의해 형성되는 단부(25b)에 계합하여 단부(25b)를 계지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16)에 있어서의 단부(22b)의 지지 기구(30b)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된다.
이 때,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a)에 있어서, 보지부(31a)에 의해 보지된 조작 레버(16)의 단부(2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23a) 및 선단 부분(24a)도, 보지부(31a)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 있어서, 선단 부분(24a)이, 신장 부분(23a)에 대해, S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평행 변위한 상태에 놓여진다. 이에 의해 보지부(31a)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서, 신장 부분(23a)이 S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선단 부분(24a)이 S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되게 된다.
이러한 하에서, 조작 레버(1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22a)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22a)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계지부(32a)가,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a)측의 단면을 가지고, 단부(22a)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24a)에 의해 형성되는 단부(25a)에 계합하여 단부(25a)를 계지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16)에 있어서의 단부(22a)의 지지 기구(30a)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된다.
또, 도 2에 나타나듯이, 조작 레버(16)가, 절연 하우징(13)에 대해서 회동시켜지게 되어, 본체부(21)가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될 때는, 도 2에 나타나는 B-B선을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 8에 나타나듯이,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b)에 있어서, 보지부(31b)에 의해 보지된 조작 레버(16)의 단부(2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23b) 및 선단 부분(24b)이, 보지부(31b)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 있어서, 선단 부분(24b)이, 신장 부분(23b)에 대해, S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과는 반대측)으로 평행 변위한 상태에 놓여진다. 이에 의해 보지부(31b)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서, 신장 부분(23b)이 S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선단 부분(24b)이 S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된다.
이러한 하에서, 조작 레버(1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22b)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22b)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계지부(32b)가,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b)측의 단면을 가지고, 단부(22b)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24b)에 의해 형성되는 단부(25b)에 계합하여 단부(25b)를 계지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16)에 있어서의 단부(22b)의 지지 기구(30b)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된다.
이 때,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a)에 있어서, 보지부(31a)에 의해 보지된 조작 레버(16)의 단부(2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23a) 및 선단 부분(24a)도, 보지부(31a)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 있어서, 선단 부분(24a)이, 신장 부분(23a)에 대해, S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과는 반대측)으로 평행 변위한 상태에 놓여진다. 이에 의해 보지부(31a)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서, 신장 부분(23a)이 S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선단 부분(24a)이 S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된다.
이러한 하에서, 조작 레버(1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22a)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外方)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22a)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계지부(32a)가,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a)측의 단면을 가지고, 단부(22a)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24a)에 의해 형성되는 단부(25a)에 계합하여 단부(25a)를 계지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16)에 있어서의 단부(22a)의 지지 기구(30a)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된다.
또, 조작 레버(16)가, 도 1에 나타나는 것 같이 본체부(21)가 커넥터 장치(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와, 도 2에 나타나는 것 같이 본체부(21)가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와의 사이의 회동 위치를 취하는 하에 있어서도, 조작 레버(1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22a) 혹은 단부(22b)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22a) 혹은 단부(22b)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계지부(32a)가,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a)측의 단면을 가지고, 단부(22a)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24a)에 의해 형성되는 단부(25a)에 계합하고, 또한 도전성 커버(15)에 있어서의 L방향의 단부(35a)에 설치된 누름편부(36a)가 단부(25a)에 계합하여 단부(25a)를 계지함과 아울러,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계지부(32b)가,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b)측의 단면을 가지고, 단부(22b)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24b)에 의해 형성되는 단부(25b)에 계합하고, 또한 도전성 커버(15)에 있어서의 L방향의 단부(35b)에 설치된 누름편부(36b)가 단부(25b)에 계합하여 단부(25b)를 계지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16)에 있어서의 단부(22a) 혹은 단부(22b)의 지지 기구(30a) 혹은 지지 기구(30b)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된다.
도 9(사시도) 및 도 10(정면도)은 커넥터 장치(11)가 감합하는 상대측 커넥터 장치의 일례를 이루는 기판측 커넥터 장치(40)를 나타낸다.
도 9 및 도 10에 있어서, 기판측 커넥터 장치(40)는, 예를 들면 솔리드 인쇄 배선 기판으로 되는 기판에 거기에 설치된 전기 회로 구성부와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져 장착된 상태 하에서, 커넥터 장치(11)가 감합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기판측 커넥터 장치(40)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된 절연 하우징(41), 및 외부로부터의 전자파 잡음 대책을 위해 절연 하우징(41)의 외면부의 대부분을 덮는 것으로 된, 예를 들면 탄성을 가진 금속판 재료가 굴곡되어 이루는 도전성 쉘(42)을 구비하고 있다.
절연 하우징(41)에 있어서의 도 10에 있어서의 하부측의 면으로부터는, 기판측 커넥터 장치(40)가 장착되는 기판에 설치된 투공(透孔)에 감합하는 위치 결정용의 돌기(41a, 41b)가 돌출되어 있다.
절연 하우징(41) 및 도전성 쉘(42)에는, 커넥터 장치(11)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지는, 절연 하우징(41)의 긴 방향(화살표 L′에 의해 나타나는 방향으로서, 이하 L′방향이라고 함)으로 뻗은 감합 오목부(43)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절연 하우징(41)에는, 각각이, 예를 들면 탄성을 가진 금속재료가 굴곡되어 형성된 복수의 도전 콘택트(44)가, L′방향을 따라 배열 배치되는 것으로 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도전 콘택트(44)의 각각에 있어서의 절연 하우징(41)으로부터 그 외방으로 돌출하는 일단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가 장착되는 기판에 설치된 배선 패턴부에 접속되는 접속 단자를 형성하고 있다. 또, 복수의 도전 콘택트(44)의 각각에 있어서의 타단측의 부분은, 감합 오목부(43) 내에 배치되어 커넥터 장치(11)의 감합 볼록부(17)가 감합 오목부(43)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질 때, 커넥터 장치(11)에 배치된 복수의 도전 콘택트(18) 중의 대응하는 것이 접촉 접속되는 것으로 된다.
도전성 쉘(42)에는, L′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45a, 45b)에, 커넥터 장치(11)의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가 절연 하우징(41)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43)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질 때, 커넥터 장치(11)의 도전성 커버(15)에 설치된 계합 돌기(37a, 37b)가 각각 계합하는 계합구멍(46a, 46b)이 설치되어 있다.
또, 도전성 쉘(42)에는, 배열 배치된 복수의 도전 콘택트(44)를 사이에 두는 위치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41)으로부터 그 외부로 돌출하고, 기판측 커넥터 장치(40)가 장착되는 기판에 설치된 접지 접속부에 접속되는 접지 접속 단자(47a, 47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전성 쉘(42)에 있어서의 단부(45a)에는, 커넥터 장치(11)의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가 절연 하우징(41)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43)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질 때, 커넥터 장치(11)에 구비되어 회동 조작된 조작 레버(16)에 있어서의 굴곡완부(19a)에 계합하는 탄성 계합부(48a)가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전성 쉘(42)에 있어서의 단부(45b)에도, 커넥터 장치(11)의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가 절연 하우징(41)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43)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질 때, 커넥터 장치(11)에 구비되어 회동 조작된 조작 레버(16)에 있어서의 굴곡완부(19b)에 계합하는 탄성 계합부(48b)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기판측 커넥터 장치(40)는, 복수의 도전 콘택트(44)의 각각의 일단이, 기판측 커넥터 장치(40)가 장착되는 기판에 설치된 배선 패턴부에 접속되어 또, 접지 접속 단자(47a, 47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가 장착되는 기판에 설치된 접지 접속부에 접속되어, 기판에 거기에 설치된 전기 회로 구성부와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져 장착된 상태에 놓여진다.
상술의 커넥터 장치(11) 및 기판측 커넥터 장치(40)는, 도 11에 나타나듯이, 기판측 커넥터 장치(40)가, 예를 들면 솔리드 인쇄 배선 기판으로 되는 기판에 거기에 설치된 전기 회로 구성부와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져 장착된 상태 하에서, 커넥터 장치(11)의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절연 하우징(41) 및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43)에, S방향을 따른 이동을 수반하는 삽입이 이루어져 감합하는 상태에 놓여지고, 이에 의해 커넥터 장치(11)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에 감합하는 것으로 된다. 이러한 때, 커넥터 장치(11)에 구비된 조작 레버(16)는, 도 11에 나타나듯이, 그 본체부(21)가 커넥터 장치(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된다.
도 11에 나타나듯이, 커넥터 장치(11)의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절연 하우징(41) 및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43)에 삽입되어 감합하는 상태에 놓여질 때는, 커넥터 장치(11)의 도전성 커버(15)에 설치된 계합 돌기(37a, 37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계합구멍(46a, 46b)에 각각 계합한다. 이에 의해 도전성 커버(15)와 도전성 쉘(42)이 서로 접촉 접속됨과 아울러, 커넥터 장치(11)에 있어서의 감합 볼록부(17)의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에 있어서의 감합 오목부(43)와의 감합 상태가 유지된다.
그 후, 커넥터 장치(11)의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절연 하우징(41) 및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43)에 삽입되어 감합하는 상태에 놓여진 하에서, 커넥터 장치(11)에 구비된 조작 레버(16)가, 본체부(21)가 커넥터 장치(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로부터, 본체부(21)가 커넥터 장치(11)에 있어서의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로 회동 조작되어 도 12에 나타나는 상태를 취하는 것으로 된다.
커넥터 장치(11)에 구비된 조작 레버(16)가 도 12에 나타나는 상태를 취하는 것으로 된 하에 있어서는, 조작 레버(16)의 굴곡완부(19a, 19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탄성 계합부(48a, 48b)에, 각각에 있어서의 돌출부를 넘어 각각 계합하는 것으로 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16)의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에 대한 위치 결정을 한다.
조작 레버(16)의 굴곡완부(19a, 19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탄성 계합부(48a, 48b)에 각각 계합한 하에 있어서는, 조작 레버(16)는, 그 본체부(21)가 커넥터 장치(11)에 있어서의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를 취하는 상태에 놓여진다. 따라서, 도 8이 참조되어 전술된 것처럼, 커넥터 장치(11)의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b)에 있어서,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보지부(31b)에 의해 보지된 조작 레버(16)의 단부(2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23b) 및 선단 부분(24b)이, 보지부(31b)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서, 신장 부분(23b)이 S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선단 부분(24b)이 S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되고, 또 커넥터 장치(11)의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a)에 있어서,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보지부(31a)에 의해 보지된 조작 레버(16)의 단부(2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23a) 및 선단 부분(24a)이, 보지부(31a)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서, 신장 부분(23a)이 S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선단 부분(24a)이 S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16)의 단부(22a, 22b)는, 지지 기구(30a, 30b)에 각각 구비된 탄성을 가진 보지부(31a, 31b)로부터, 각각의 탄성에 기초하여, 조작 레버(16)에 있어서의 굴곡완부(19a, 19b) 및 연결부(20)에 의해 형성되는 본체부(21)를 커넥터 장치(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부세력(付勢力)을 받아, 그 부세력을 조작 레버(16)에 전하게 된다. 즉, 조작 레버(16)의 단부(2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23a) 및 선단 부분(24a)과 조작 레버(16)의 단부(2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23b) 및 선단 부분(24b)이, 지지 기구(30a, 30b)에 각각 지지된 하에서, 본체부(21)를 형성하는 굴곡완부(19a, 19b)가 탄성 계합부(48a, 48b)에 각각 계합하는 것으로 된 조작 레버(16)에, 본체부(21)를 커넥터 장치(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부세력을 작용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조작 레버(16)의 단부(22a, 22b)가 조작 레버(16)에 미치는 부세력은, 본체부(21)를 형성하는 굴곡완부(19a, 19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탄성 계합부(48a, 48b)에 각각 계합하는 것으로 된 조작 레버(16)에, 그 본체부(21)를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에 꽉 누르는 방향의 부세력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조작 레버(16)의 단부(2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23a) 및 선단 부분(24a)과 조작 레버(16)의 단부(2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23b) 및 선단 부분(24b)이, 지지 기구(30a, 30b)에 각각 지지된 하에서, 본체부(21)를 형성하는 굴곡완부(19a, 19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탄성 계합부(48a, 48b)에 각각 계합하는 것으로 된 조작 레버(16)에, 그 본체부(21)를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에 꽉 누르는 방향의 부세력을 작용시키는 부세력 부여부를 이루고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체부(21)를 형성하는 굴곡완부(19a, 19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탄성 계합부(48a, 48b)에 각각 계합하는 것으로 된 조작 레버(16)는, 그 본체부(21)를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에 꽉 누르는 방향의 부세력이 작용하는 것으로 됨으로써, 그것과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와의 사이의 간극이 형성되어 “흔들리게” 되는 상태가 확실히 회피되게 된다.
또, 당연한 일이지만, 이러한 하에 있어서도, 전술된 것처럼, 조작 레버(1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22a)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22a)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계지부(32a)가,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a)측의 단면을 가지고, 단부(22a)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24a)에 의해 형성되는 단부(25a)에 계합하여 단부(25a)를 계지하고, 이에 의해 조작 레버(16)에 있어서의 단부(22a)의 지지 기구(30a)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되고, 또 조작 레버(1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22b)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22b)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계지부(32b)가,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b)측의 단면을 가지고, 단부(22b)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24b)에 의해 형성되는 단부(25b)에 계합하여 단부(25b)를 계지하고, 이에 의해 조작 레버(16)에 있어서의 단부(22b)의 지지 기구(30b)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조작 레버(16)가 도 12에 나타나는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되는 것에 의해, 커넥터 장치(11)의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의,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절연 하우징(41) 및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43)와의 감합 상태가 보다 한층 안정적으로 또한 확실히 유지되게 된다.
다음에, 커넥터 장치(11)의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절연 하우징(41) 및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43)로부터 발탈되는데 즈음해서는, 도 12에 나타나는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된 조작 레버(16)가, 회동 조작되어 그 본체부(21)를 형성하는 굴곡완부(19a, 19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탄성 계합부(48a, 48b)의 각각에 있어서의 돌출부를 넘어 탄성 계합부(48a, 48b)와의 계합을 해제하여, 도 11에 나타나는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된다. 그 후, 커넥터 장치(11)의 전체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지게 되고, 커넥터 장치(11)의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절연 하우징(41) 및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43)로부터 발탈된다.
상술의 커넥터 장치(11)에 있어서는, 그 도전성 쉘(14)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지지 기구(30a)가, 홈형상부를 형성하는 보지부(31a)를 구비하는 구성을 취하고, 또 도전성 쉘(14)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지지 기구(30b)가, 홈형상부를 형성하는 보지부(31b)를 구비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지지 기구(30a, 30b)의 각각은, 조작 레버(16)의 단부(22a, 22b)의 각각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부세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른 여러가지 구체적 구성을 취할 수가 있는 것이다.
<실시예 2>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다른 예(실시예 2)에 구비되는 조작 레버(56)를 단체로 나타낸다.
도 13에 나타난 조작 레버(56)를 구비하는 실시예 2는, 조작 레버(56)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상술의 실시예 1(커넥터 장치(11))과 마찬가지로 구성된 것으로 된다. 그러므로,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구성된 부분에 관해서는 전체적인 상세 설명은 생략되고, 설명의 필요에 응한 부분이, 실시예 1에 있어서 대응하는 부분에 붙여진 부호와 같은 부호가 붙여진 것으로서 도시되고 또한 설명된다. 또, 실시예 2에는, 실시예 1과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동축 케이블(12)과 같은 복수의 동축 케이블이,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이 실시예 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태양과 마찬가지인 태양을 가지고,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실시예 2는 실시예 1이 감합하는 상대측 커넥터 장치인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와 같은 상대측 커넥터 장치인 기판측 커넥터 장치에, 실시예 1이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에 감합하는 태양과 마찬가지인 태양을 가지고 감합하는 것으로 된다.
도 13에 나타난 조작 레버(56)는, 한 벌의 굴곡완부(59a, 59b)가, L방향(실시예 2에 있어서의 절연 하우징의 긴 방향으로서, 화살표 L에 의해 나타남)을 따라 뻗은 연결부(60)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되는 본체부(61)와, 본체부(61)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한 벌의 단부(62a, 62b)를 가지고 있다. 단부(62a)는, 본체부(61)의 일단을 형성하는 굴곡완부(59a)에 연결되어 있고, 굴곡완부(59a)에 굴곡하여 이어지는 신장 부분(63a)과 신장 부분(63a)에 더 이어지는 선단 부분(64a)을 가지고 있어, 전체적으로 L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뻗은 것으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단부(62b)는, 본체부(61)의 타단을 형성하는 굴곡완부(59b)에 연결되어 있고, 굴곡완부(59b)에 굴곡하여 이어지는 신장 부분(63b)과 신장 부분(63b)에 더 이어지는 선단 부분(64b)을 가지고 있어, 전체적으로 L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뻗은 것으로 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난 조작 레버(56)의 단부(62a)를 둘러싸는 원 C3 내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 14에 나타나듯이, 조작 레버(56)의 단부(62a)가 가지는 신장 부분(63a)과 선단 부분(64a)은, 선단 부분(64a)이, 신장 부분(63a)에 대해서 신장 부분(63a)의 중심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굴곡하여 돌출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선단 부분(64a)의 중심축 방향은 신장 부분(63a)의 중심축 방향에 직교하는 것으로 되고, 신장 부분(63a)의 중심축 방향은 L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되므로, 선단 부분(64a)의 중심축 방향은 S방향(L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서, 화살표 S에 의해 나타남)을 따르는 방향으로 된다. 그리고, 도 14에 나타나듯이, 신장 부분(63a)과 선단 부분(64a)은, L방향을 따라 뻗은 신장 부분(63a)의 가상 중심축선(66a)과 S방향을 따라 뻗은 선단 부분(64a)의 가상 중심축선(67a)이 서로 직교하는 것으로 되는 관계에 놓여진다.
마찬가지로 조작 레버(56)의 단부(62b)가 가지는 신장 부분(63b)과 선단 부분(64b)은, 선단 부분(64b)이, 신장 부분(63b)에 대해서 신장 부분(63b)의 중심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굴곡하여 돌출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선단 부분(64b)의 중심축 방향은 신장 부분(63b)의 중심축 방향에 직교하는 것으로 되고, 신장 부분(63b)의 중심축 방향은 L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되므로, 선단 부분(64b)의 중심축 방향은 S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된다. 그리고, 신장 부분(63a)과 선단 부분(64a)은, L방향을 따라 뻗은 신장 부분(63a)의 가상 중심축선과 S방향을 따라 뻗은 선단 부분(64b)의 가상 중심축선이 서로 직교하는 것으로 되는 관계에 놓여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조작 레버(56)에 있어서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조작 레버(16)와 마찬가지로, 그 한 벌의 단부(62a, 62b),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신장 부분(63a)과 선단 부분(64a)을 가진 단부(62a) 및 신장 부분(63b)과 선단 부분(64b)을 가진 단부(62b)가, 도전성 쉘(14)에 있어서의 L방향의 양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a, 30b)에 의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단부(62a, 62b)는, 각각이, 전체적으로 L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단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한 방향을 가지고 뻗어 있어, 이에 의해 조작 레버(56)는, 절연 하우징(13)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조작 레버(56)의 본체부(61)를 형성하는 연결부(60)에는, 조작 레버(56)에 대한 회동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조작 태그(tag)가 장착된다.
도 15에 나타나듯이,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보지부(31b)는, L방향으로 뻗어 조작 레버(56)의 단부(6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63b) 및 선단 부분(64b)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홈형상부를 형성하고 있고, 또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계지부(32b)는, S방향에 있어서 조작 레버(56)의 단부(62b)에 있어서의 신장 부분(63b)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한 벌의 굴곡 벽모양부를 형성하고 있다.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보지부(31b)가 형성하는 홈형상부는, 거기에 배치된 단부(6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63b) 및 선단 부분(64b)에 대해서, S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규제를 행한다. 또,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계지부(32b)가 형성하는 굴곡 벽모양부는,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b)측의 단면이, 단부(62b)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64b)에 계합하는 상태를 취한다.
마찬가지로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보지부(31a)는, L방향으로 뻗어 조작 레버(56)의 단부(6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63a) 및 선단 부분(64a)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홈형상부를 형성하고 있고, 또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계지부(32a)는, S방향에 있어서 조작 레버(56)의 단부(62a)에 있어서의 신장 부분(63a)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한 벌의 굴곡 벽모양부를 형성하고 있다.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보지부(31a)가 형성하는 홈형상부는, 거기에 배치된 단부(6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63a) 및 선단 부분(64a)에 대해서, S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규제를 행한다. 또,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계지부(32a)가 형성하는 굴곡 벽모양부는,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a)측의 단면이, 단부(62a)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64a)에 계합하는 상태를 취한다.
이러한 하에서,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탄성을 가진 보지부(31a)가, 그것이 형성하는 홈형상부에 배치된 조작 레버(56)의 단부(6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63a) 및 선단 부분(64a)을 선단 부분(64a)의 신장 부분(63a)으로부터의 굴곡 방향을 조작 레버(56)의 회동 조작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상태를 가지고 보지한다. 마찬가지로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탄성을 가진 보지부(31b)가, 그것이 형성하는 홈형상부에 배치된 조작 레버(56)의 단부(6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63b) 및 선단 부분(64b)을 선단 부분(64b)의 신장 부분(63b)으로부터의 굴곡 방향을 조작 레버(56)의 회동 조작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상태를 가지고 보지한다.
그리고, 조작 레버(56)가, 절연 하우징(13)에 대해서 회동시켜지게 되어, 본체부(61)가 커넥터 장치(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될 때는, 도 16에 나타나듯이,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b)에 있어서, 보지부(31b)에 의해 보지된 조작 레버(56)의 단부(6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63b) 및 선단 부분(64b)이, 보지부(31b)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 있어서, 선단 부분(64b)이, 신장 부분(63b)으로부터 S방향으로 굴곡하여 돌출되고,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을 향한 상태에 놓여진다. 이에 의해 보지부(31b)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서, 신장 부분(63b)이 S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선단 부분(64b)이 S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되게 된다.
또, 이러한 때, 도전성 커버(15)에 있어서의 L방향의 단부(35b)에 설치된 누름편부(36b)가, 지지 기구(30b)에 의해 지지된 조작 레버(56)의 단부(62b)에 맞닿고, 이들을 억제하는 역할을 완수한다.
이러한 하에서, 조작 레버(5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62b)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62b)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계지부(32b)가,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b)측의 단면을 가지고, 단부(62b)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64b)에 계합하여, 그 선단 부분(64b)을 계지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56)에 있어서의 단부(62b)의 지지 기구(30b)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된다.
이 때,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a)에 있어서, 보지부(31a)에 의해 보지된 조작 레버(56)의 단부(6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63a) 및 선단 부분(64a)도, 보지부(31a)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 있어서, 선단 부분(64a)이, 신장 부분(63a)으로부터 S방향으로 굴곡하여 돌출되고,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을 향한 상태에 놓여진다. 이에 의해 보지부(31a)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서, 신장 부분(63a)이 S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선단 부분(64a)이 S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되게 된다.
또, 이러한 때, 도전성 커버(15)에 있어서의 L방향의 단부(35a)에 설치된 누름편부(36a)가, 지지 기구(30a)에 의해 지지된 조작 레버(56)의 단부(62a)에 맞닿고, 이들을 억제하는 역할을 완수한다.
이러한 하에서, 조작 레버(5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62a)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62a)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계지부(32a)가,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a)측의 단면을 가지고, 단부(62a)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64a)에 계합하여, 그 선단 부분(64a)을 계지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56)에 있어서의 단부(62a)의 지지 기구(30a)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된다.
또, 조작 레버(56)가, 절연 하우징(13)에 대해서 회동시켜지게 되어, 본체부(61)가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될 때는, 도 17에 나타나듯이,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b)에 있어서, 보지부(31b)에 의해 보지된 조작 레버(56)의 단부(6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63b) 및 선단 부분(64b)이, 보지부(31b)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 있어서, 선단 부분(64b)이, 신장 부분(63b)으로부터 S방향으로 굴곡하여 돌출되고,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과는 반대측)을 향한 상태에 놓여진다. 이에 의해 보지부(31b)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서, 신장 부분(63b)이 S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선단 부분(64b)이 S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된다.
또, 이러한 때에도, 도전성 커버(15)에 있어서의 L방향의 단부(35b)에 설치된 누름편부(36b)가, 지지 기구(30b)에 의해 지지된 조작 레버(56)의 단부(62b)에 맞닿고, 이들을 억제하는 역할을 완수한다.
이러한 하에서, 조작 레버(5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62b)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62b)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계지부(32b)가,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b)측의 단면을 가지고, 단부(62b)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64b)에 계합하여, 그 선단 부분(64b)을 계지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56)에 있어서의 단부(62b)의 지지 기구(30b)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된다.
이 때,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a)에 있어서, 보지부(31a)에 의해 보지된 조작 레버(56)의 단부(6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63a) 및 선단 부분(64a)도, 보지부(31a)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 있어서, 선단 부분(64a)이, 신장 부분(63a)으로부터 S방향으로 굴곡하여 돌출되고,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과는 반대측)을 향한 상태에 놓여진다. 이에 의해 보지부(31a)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서, 신장 부분(63a)이 S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선단 부분(64a)이 S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된다.
또, 이러한 때에도, 도전성 커버(15)에 있어서의 L방향의 단부(35a)에 설치된 누름편부(36a)가, 지지 기구(30a)에 의해 지지된 조작 레버(56)의 단부(62a)에 맞닿고, 이들을 억제하는 역할을 완수한다.
이러한 하에서, 조작 레버(5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62a)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62a)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계지부(32a)가,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a)측의 단면을 가지고, 단부(62a)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64a)에 계합하여, 그 선단 부분(64a)을 계지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56)에 있어서의 단부(62a)의 지지 기구(30a)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된다.
또, 조작 레버(56)가, 본체부(61)가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와 본체부(61)가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와의 사이의 회동 위치를 취하는 하에 있어서도, 조작 레버(5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62a) 혹은 단부(62b)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62a) 혹은 단부(62b)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계지부(32a) 및 도전성 커버(15)에 있어서의 L방향의 단부(35a)에 설치된 누름편부(36a), 혹은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계지부(32b) 및 도전성 커버(15)에 있어서의 L방향의 단부(35b)에 설치된 누름편부(36b)가, 단부(62a)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64a) 혹은 단부(62b)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64b)에 계합하여, 선단 부분(64a) 혹은 선단 부분(64b)을 계지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56)에 있어서의 단부(62a) 혹은 단부(62b)의 지지 기구(30a) 혹은 지지 기구(30b)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된다.
상술의 조작 레버(56)를 구비한 실시예 2를 이루는 커넥터 장치는, 기판측 커넥터 장치(40)가, 예를 들면 솔리드 인쇄 배선 기판으로 되는 기판에 거기에 설치된 전기 회로 구성부와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져 장착된 상태 하에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절연 하우징(41) 및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43)에, S방향을 따른 이동을 수반하는 삽입이 이루어져 감합하는 상태에 놓여지고, 이에 의해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에 감합하는 것으로 된다. 이러한 때, 실시예 2에 구비된 조작 레버(56)는, 그 본체부(61)가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된다.
그 후,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절연 하우징(41) 및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43)에 삽입되어 감합하는 상태에 놓여진 하에서, 조작 레버(56)가, 본체부(61)가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로부터, 본체부(61)가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로 회동 조작된다.
조작 레버(56)가, 본체부(61)가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에 놓여진 하에 있어서는, 조작 레버(56)의 굴곡완부(59a, 59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탄성 계합부(48a, 48b)에, 각각에 있어서의 돌출부를 넘어 각각 계합하는 것으로 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56)의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에 대한 위치 결정을 한다.
조작 레버(56)의 굴곡완부(59a, 59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탄성 계합부(48a, 48b)에 각각 계합한 하에 있어서는, 조작 레버(56)는, 그 본체부(61)가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를 취하는 상태에 놓여진다. 따라서,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a)에 있어서,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보지부(31a)에 의해 보지된 조작 레버(56)의 단부(6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63a) 및 선단 부분(64a)이, 보지부(31a)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서, 신장 부분(63a)이 S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선단 부분(64a)이 S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되고, 또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b)에 있어서,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보지부(31b)에 의해 보지된 조작 레버(56)의 단부(6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63b) 및 선단 부분(64b)이, 보지부(31b)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서, 신장 부분(63b)이 S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선단 부분(64b)이 S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56)의 단부(62a, 62b)는, 지지 기구(30a, 30b)에 각각 구비된 탄성을 가진 보지부(31a, 31b)로부터, 각각의 탄성에 기초하여, 조작 레버(56)에 있어서의 굴곡완부(59a, 59b) 및 연결부(60)에 의해 형성되는 본체부(61)를 커넥터 장치(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부세력을 받아, 그 부세력을 조작 레버(56)에 전하게 된다. 즉, 조작 레버(56)의 단부(6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63a) 및 선단 부분(64a)과 조작 레버(56)의 단부(6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63b) 및 선단 부분(64b)이, 지지 기구(30a, 30b)에 각각 지지된 하에서, 본체부(61)를 형성하는 굴곡완부(59a, 59b)가 탄성 계합부(48a, 48b)에 각각 계합하는 것으로 된 조작 레버(56)에, 본체부(61)를 커넥터 장치(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부세력을 작용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조작 레버(56)의 단부(62a, 62b)가 조작 레버(56)에 미치는 부세력은, 본체부(61)를 형성하는 굴곡완부(59a, 59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탄성 계합부(48a, 48b)에 각각 계합하는 것으로 된 조작 레버(56)에, 그 본체부(61)를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에 꽉 누르는 방향의 부세력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조작 레버(56)의 단부(6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63a) 및 선단 부분(64a)과 조작 레버(56)의 단부(6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63b) 및 선단 부분(64b)이, 지지 기구(30a, 30b)에 각각 지지된 하에서, 본체부(61)를 형성하는 굴곡완부(59a, 59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탄성 계합부(48a, 48b)에 각각 계합하는 것으로 된 조작 레버(56)에, 그 본체부(61)를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에 꽉 누르는 방향의 부세력을 작용시키는 부세력 부여부를 이루고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체부(61)를 형성하는 굴곡완부(59a, 59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탄성 계합부(48a, 48b)에 각각 계합하는 것으로 된 조작 레버(56)는, 그 본체부(61)를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에 꽉 누르는 방향의 부세력이 작용하는 것으로 됨으로써, 그것과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와의 사이의 간극이 형성되어 “흔들리게” 되는 상태가 확실히 회피되게 된다.
또, 당연한 일이지만, 이러한 하에 있어서도, 전술된 것처럼, 조작 레버(5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62a)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62a)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계지부(32a)가,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a)측의 단면을 가지고, 단부(62a)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64a)에 계합하여, 그 선단 부분(64a)을 계지하고, 이에 의해 조작 레버(56)에 있어서의 단부(62a)의 지지 기구(30a)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되고, 또 조작 레버(5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62b)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62b)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계지부(32b)가,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b)측의 단면을 가지고, 단부(62b)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64b)에 계합하여, 그 선단 부분(64b)을 계지하고, 이에 의해 조작 레버(56)에 있어서의 단부(62b)의 지지 기구(30b)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조작 레버(56)가, 본체부(61)가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되는 것에 의해,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의,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절연 하우징(41) 및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43)와의 감합 상태가 보다 한층 안정적으로 또한 확실히 유지되게 된다.
다음에,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절연 하우징(41) 및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43)로부터 발탈되는데 즈음해서는, 조작 레버(56)가, 회동 조작되어 그 본체부(61)를 형성하는 굴곡완부(59a, 59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탄성 계합부(48a, 48b)의 각각에 있어서의 돌출부를 넘어 탄성 계합부(48a, 48b)와의 계합을 해제하여, 본체부(61)가 복수의 동축 케이블(20)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된다. 그 후, 실시예 2의 전체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지게 되고,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절연 하우징(41) 및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43)로부터 발탈된다.
상술의 실시예 2에 있어서도, 그 도전성 쉘(14)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지지 기구(30a)가, 홈형상부를 형성하는 보지부(31a)를 구비하는 구성을 취하고, 또 도전성 쉘(14)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지지 기구(30b)가, 홈형상부를 형성하는 보지부(31b)를 구비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으로 되지만, 지지 기구(30a, 30b)의 각각은, 조작 레버(56)의 단부(62a, 62b)의 각각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부세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른 여러가지 구체적 구성을 취할 수가 있는 것이다.
<실시예 3>
도 18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의 또 다른 예(실시예 3)에 구비되는 조작 레버(76)를 단체(單體)로 나타낸다.
도 18에 나타난 조작 레버(76)를 구비하는 실시예 3도, 조작 레버(76)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전술의 실시예 1(커넥터 장치(11))과 마찬가지로 구성된 것으로 된다. 그러므로,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구성된 부분에 관해서는 전체적인 상세 설명은 생략되고, 설명의 필요에 응한 부분이, 실시예 1에 있어서 대응하는 부분에 붙여진 부호와 같은 부호가 붙여진 것으로서 도시되고 또한 설명된다. 또, 실시예 3에는, 실시예 1과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동축 케이블(12)과 같은 복수의 동축 케이블이,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이 실시예 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태양과 마찬가지인 태양을 가지고,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실시예 3은, 실시예 1이 감합하는 상대측 커넥터 장치인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와 같은 상대측 커넥터 장치인 기판측 커넥터 장치에, 실시예 1이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에 감합하는 태양과 마찬가지인 태양을 가지고 감합하는 것으로 된다.
도 18에 나타난 조작 레버(76)는, 한 벌의 굴곡완부(79a, 79b)가, L방향(실시예 3에 있어서의 절연 하우징의 긴 방향으로서, 화살표 L에 의해 나타남)을 따라 뻗은 연결부(80)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되는 본체부(81)와, 본체부(81)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한 벌의 단부(82a, 82b)를 가지고 있다. 단부(82a)는, 본체부(81)의 일단을 형성하는 굴곡완부(79a)에 연결되어 있고, 굴곡완부(79a)에 굴곡하여 이어지는 신장 부분(83a)과 신장 부분(83a)에 더 이어지는 선단 부분(84a)을 가지고 있어, 전체적으로 L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뻗은 것으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단부(82b)는, 본체부(81)의 타단을 형성하는 굴곡완부(79b)에 연결되어 있고, 굴곡완부(79b)에 굴곡하여 이어지는 신장 부분(83b)과 신장 부분(83b)에 더 이어지는 선단 부분(84b)을 가지고 있어, 전체적으로 L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뻗은 것으로 되어 있다.
도 18에 나타난 조작 레버(76)의 단부(82a)를 둘러싸는 원 C4 내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 19에 나타나듯이, 조작 레버(76)의 단부(82a)가 가지는 신장 부분(83a)과 선단 부분(84a)은, 선단 부분(84a)이, 신장 부분(83a)의 중심축 방향(L방향)에 직교하는 V방향(화살표 V에 의해 나타남)에 꽉 눌리게 되어, 신장 부분(83a)에 대해서 L방향과 V방향과의 양자에 직교하는 S방향(화살표 S에 의해 나타남)으로 돌출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19에 나타나듯이, 신장 부분(83a)과 선단 부분(84a)은, L방향을 따라 뻗은 신장 부분(83a)의 가상 중심축선(86a)과 S방향을 따라 뻗은 선단 부분(84a)의 가상 중심축선(87a)이 서로 직교하는 것으로 되는 관계에 놓여진다.
마찬가지로 조작 레버(76)의 단부(82b)가 가지는 신장 부분(83b)과 선단 부분(84b)은, 선단 부분(84b)이, 신장 부분(83b)의 중심축 방향(L방향)에 직교하는 V방향으로 꽉 눌리게 되어, 신장 부분(83b)에 대해서 L방향과 V방향과의 양자에 직교하는 S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신장 부분(83b)과 선단 부분(84b)은, L방향을 따라 뻗은 신장 부분(83b)의 가상 중심축선과 S방향을 따라 뻗은 선단 부분(84b)의 가상 중심축선이 서로 직교하는 것으로 되는 관계에 놓여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조작 레버(76)에 있어서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조작 레버(16)와 마찬가지로, 그 한 벌의 단부(82a, 82b),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신장 부분(83a)과 선단 부분(84a)을 가진 단부(82a) 및 신장 부분(83b)과 선단 부분(84b)을 가진 단부(82b)가, 도전성 쉘(14)에 있어서의 L방향의 양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a, 30b)에 의해 각각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단부(82a, 82b)는, 각각이, 전체적으로 L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단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한 방향을 가지고 뻗어 있어, 이에 의해 조작 레버(76)는, 절연 하우징(13)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조작 레버(76)의 본체부(81)를 형성하는 연결부(80)에는, 조작 레버(76)에 대한 회동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조작 태그가 장착된다.
도 20에 나타나듯이,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보지부(31b)는, L방향으로 뻗어 조작 레버(76)의 단부(8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83b) 및 선단 부분(84b)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홈형상부를 형성하고 있고, 또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계지부(32b)는, S방향에 있어서 조작 레버(76)의 단부(82b)에 있어서의 신장 부분(83b)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한 벌의 굴곡 벽모양부를 형성하고 있다.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보지부(31b)가 형성하는 홈형상부는, 거기에 배치된 단부(8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83b) 및 선단 부분(84b)에 대해서, S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규제를 행한다. 또,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계지부(32b)가 형성하는 굴곡 벽모양부는,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b)측의 단면이, 단부(82b)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84b)에 계합하는 상태를 취한다.
마찬가지로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보지부(31a)는, L방향으로 뻗어 조작 레버(76)의 단부(8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83a) 및 선단 부분(84a)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홈형상부를 형성하고 있고, 또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계지부(32a)는, S방향에 있어서 조작 레버(76)의 단부(82a)에 있어서의 신장 부분(83a)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는 한 벌의 굴곡 벽모양부를 형성하고 있다.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보지부(31a)가 형성하는 홈형상부는, 거기에 배치된 단부(8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83a) 및 선단 부분(84a)에 대해서, S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규제를 행한다. 또,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계지부(32a)가 형성하는 굴곡 벽모양부는,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a)측의 단면이, 단부(82a)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84a)에 계합하는 상태를 취한다.
이러한 하에서,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탄성을 가진 보지부(31a)가, 그것이 형성하는 홈형상부에 배치된 조작 레버(76)의 단부(8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83a) 및 선단 부분(84a)을 선단 부분(84a)의 신장 부분(83a)으로부터의 돌출 방향을 조작 레버(76)의 회동 조작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상태를 가지고 보지한다. 마찬가지로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탄성을 가진 보지부(31b)가, 그것이 형성하는 홈형상부에 배치된 조작 레버(76)의 단부(8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83b) 및 선단 부분(84b)을 선단 부분(84b)의 신장 부분(83b)으로부터의 돌출 방향을 조작 레버(76)의 회동 조작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상태를 가지고 보지한다.
그리고, 조작 레버(76)가, 절연 하우징(13)에 대해서 회동시켜지게 되어, 본체부(81)가 커넥터 장치(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될 때는, 도 21에 나타나듯이,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b)에 있어서, 보지부(31b)에 의해 보지된 조작 레버(76)의 단부(8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83b) 및 선단 부분(84b)이, 보지부(31b)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 있어서, 선단 부분(84b)이, 신장 부분(83b)으로부터 S방향으로 돌출되어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을 향한 상태에 놓여진다. 이에 의해 보지부(31b)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서, 신장 부분(83b)이 S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선단 부분(84b)이 S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되게 된다.
또, 이러한 때, 도전성 커버(15)에 있어서의 L방향의 단부(35b)에 설치된 누름편부(36b)가, 지지 기구(30b)에 의해 지지된 조작 레버(76)의 단부(82b)에 맞닿고, 이들을 억제하는 역할을 완수한다.
이러한 하에서, 조작 레버(7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82b)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82b)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계지부(32b)가,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b)측의 단면을 가지고, 단부(82b)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84b)에 계합하여, 그 선단 부분(84b)을 계지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76)에 있어서의 단부(82b)의 지지 기구(30b)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된다.
이 때,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a)에 있어서, 보지부(31a)에 의해 보지된 조작 레버(76)의 단부(8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83a) 및 선단 부분(84a)도, 보지부(31a)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 있어서, 선단 부분(84a)이, 신장 부분(83a)으로부터 S방향으로 돌출되어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을 향한 상태에 놓여진다. 이에 의해 보지부(31a)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서, 신장 부분(83a)이 S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선단 부분(84a)이 S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되게 된다.
또, 이러한 때, 도전성 커버(15)에 있어서의 L방향의 단부(35a)에 설치된 누름편부(36a)가, 지지 기구(30a)에 의해 지지된 조작 레버(76)의 단부(82a)에 맞닿고, 이들을 억제하는 역할을 완수한다.
이러한 하에서, 조작 레버(7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82a)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82a)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계지부(32a)가,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a)측의 단면을 가지고, 단부(82a)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84a)에 계합하여, 그 선단 부분(84a)을 계지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76)에 있어서의 단부(82a)의 지지 기구(30a)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된다.
또, 조작 레버(76)가, 절연 하우징(13)에 대해서 회동시켜지게 되어, 본체부(81)가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될 때는, 도 22에 나타나듯이,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b)에 있어서, 보지부(31b)에 의해 보지된 조작 레버(76)의 단부(8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83b) 및 선단 부분(84b)이, 보지부(31b)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 있어서, 선단 부분(84b)이, 신장 부분(83b)으로부터 S방향으로 돌출되어,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과는 반대측)을 향한 상태에 놓여진다. 이에 의해 보지부(31b)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서, 신장 부분(83b)이 S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선단 부분(84b)이 S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된다.
또, 이러한 때에도, 도전성 커버(15)에 있어서의 L방향의 단부(35b)에 설치된 누름편부(36b)가, 지지 기구(30b)에 의해 지지된 조작 레버(76)의 단부(82b)에 맞닿고, 이들을 억제하는 역할을 완수한다.
이러한 하에서, 조작 레버(7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82b)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82b)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계지부(32b)가,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b)측의 단면을 가지고, 단부(82b)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84b)에 계합하여, 그 선단 부분(84b)을 계지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76)에 있어서의 단부(82b)의 지지 기구(30b)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된다.
이 때,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a)에 있어서, 보지부(31a)에 의해 보지된 조작 레버(76)의 단부(8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83a) 및 선단 부분(84a)도, 보지부(31a)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 있어서, 선단 부분(84a)이, 신장 부분(83a)으로부터 S방향으로 돌출되어,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과는 반대측)을 향한 상태에 놓여진다. 이에 의해 보지부(31a)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서, 신장 부분(83a)이 S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선단 부분(84a)이 S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된다.
또, 이러한 때에도, 도전성 커버(15)에 있어서의 L방향의 단부(35a)에 설치된 누름편부(36a)가, 지지 기구(30a)에 의해 지지된 조작 레버(76)의 단부(82a)에 맞닿고, 이들을 억제하는 역할을 완수한다.
이러한 하에서, 조작 레버(7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82a)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82a)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계지부(32a)가,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a)측의 단면을 가지고, 단부(82a)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84a)에 계합하여, 그 선단 부분(84a)을 계지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76)에 있어서의 단부(82a)의 지지 기구(30a)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된다.
또, 조작 레버(76)가, 본체부(61)가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와 본체부(81)가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와의 사이의 회동 위치를 취하는 하에 있어서도, 조작 레버(7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82a) 혹은 단부(82b)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82a) 혹은 단부(82b)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계지부(32a) 및 도전성 커버(15)에 있어서의 L방향의 단부(35a)에 설치된 누름편부(36a), 혹은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계지부(32b) 및 도전성 커버(15)에 있어서의 L방향의 단부(35b)에 설치된 누름편부(36b)가, 단부(82a)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84a) 혹은 단부(82b)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84b)에 계합하여, 선단 부분(84a) 혹은 선단 부분(84b)을 계지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76)에 있어서의 단부(82a) 혹은 단부(82b)의 지지 기구(30a) 혹은 지지 기구(30b)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된다.
상술의 조작 레버(76)를 구비한 실시예 3을 이루는 커넥터 장치는, 기판측 커넥터 장치(40)가, 예를 들면 솔리드 인쇄 배선 기판으로 되는 기판에 거기에 설치된 전기 회로 구성부와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져 장착된 상태 하에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절연 하우징(41) 및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43)에, S방향을 따른 이동을 수반하는 삽입이 이루어져 감합하는 상태에 놓여지고, 이에 의해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에 감합하는 것으로 된다. 이러한 때, 실시예 3에 구비된 조작 레버(76)는, 그 본체부(81)가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된다.
그 후,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절연 하우징(41) 및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43)에 삽입되어 감합하는 상태에 놓여진 하에서, 조작 레버(76)가, 본체부(81)가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로부터, 본체부(81)가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로 회동 조작된다.
조작 레버(76)가, 본체부(81)가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에 놓여진 하에 있어서는, 조작 레버(76)의 굴곡완부(79a, 79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탄성 계합부(48a, 48b)에, 각각에 있어서의 돌출부를 넘어 각각 계합하는 것으로 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76)의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에 대한 위치 결정을 한다.
조작 레버(76)의 굴곡완부(79a, 79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탄성 계합부(48a, 48b)에 각각 계합한 하에 있어서는, 조작 레버(76)는, 그 본체부(81)가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를 취하는 상태에 놓여진다. 따라서,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a)에 있어서,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보지부(31a)에 의해 보지된 조작 레버(76)의 단부(8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83a) 및 선단 부분(84a)이, 보지부(31a)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서, 신장 부분(83a)이 S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선단 부분(84a)이 S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되고, 또 도전성 쉘(14)의 단부에 설치된 지지 기구(30b)에 있어서,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보지부(31b)에 의해 보지된 조작 레버(76)의 단부(8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83b) 및 선단 부분(84b)이, 보지부(31b)가 형성하는 홈형상부 내에서, 신장 부분(83b)이 S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선단 부분(84b)이 S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76)의 단부(82a, 82b)는, 지지 기구(30a, 30b)에 각각 구비된 탄성을 가진 보지부(31a, 31b)로부터, 각각의 탄성에 기초하여, 조작 레버(76)에 있어서의 굴곡완부(79a, 79b) 및 연결부(80)에 의해 형성되는 본체부(81)를 커넥터 장치(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부세력을 받아, 그 부세력을 조작 레버(76)에 전하게 된다. 즉, 조작 레버(76)의 단부(8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83a) 및 선단 부분(84a)과 조작 레버(76)의 단부(8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83b) 및 선단 부분(84b)이, 지지 기구(30a, 30b)에 각각 지지된 하에서, 본체부(81)를 형성하는 굴곡완부(79a, 79b)가 탄성 계합부(48a, 48b)에 각각 계합하는 것으로 된 조작 레버(76)에, 본체부(81)를 커넥터 장치(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동축 케이블(12)측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부세력을 작용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조작 레버(76)의 단부(82a, 82b)가 조작 레버(76)에 미치는 부세력은, 본체부(81)를 형성하는 굴곡완부(79a, 79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탄성 계합부(48a, 48b)에 각각 계합하는 것으로 된 조작 레버(76)에, 그 본체부(81)를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에 꽉 누르는 방향의 부세력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조작 레버(76)의 단부(82a)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83a) 및 선단 부분(84a)과 조작 레버(76)의 단부(82b)를 형성하는 신장 부분(83b) 및 선단 부분(84b)이, 지지 기구(30a, 30b)에 각각 지지된 하에서, 본체부(81)를 형성하는 굴곡완부(79a, 79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탄성 계합부(48a, 48b)에 각각 계합하는 것으로 된 조작 레버(76)에, 그 본체부(81)를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에 꽉 누르는 방향의 부세력을 작용시키는 부세력 부여부를 이루고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체부(81)를 형성하는 굴곡완부(79a, 79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탄성 계합부(48a, 48b)에 각각 계합하는 것으로 된 조작 레버(76)는, 그 본체부(81)를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에 꽉 누르는 방향의 부세력이 작용하는 것으로 됨으로써, 그것과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와의 사이의 간극이 형성되어 “흔들리게” 되는 상태가 확실히 회피되게 된다.
또, 당연한 일이지만, 이러한 하에 있어서도, 전술된 것처럼, 조작 레버(7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82a)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82a)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a)에 구비된 계지부(32a)가,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a)측의 단면을 가지고, 단부(82a)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84a)에 계합하여, 그 선단 부분(84a)을 계지하고, 이에 의해 조작 레버(76)에 있어서의 단부(82a)의 지지 기구(30a)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되고, 또 조작 레버(76)에, 거기에 있어서의 단부(82b)를 L방향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의 변위, 즉 절연 하우징(13)의 외방으로의 변위를 일으키게 하는 외력이 가해지고, 단부(82b)가 절연 하우징(13)의 중앙부로부터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변위시켜지게 될 때는, 지지 기구(30b)에 구비된 계지부(32b)가, 그 L방향에 있어서의 보지부(31b)측의 단면을 가지고, 단부(82b)에 있어서의 선단 부분(84b)에 계합하여, 그 선단 부분(84b)을 계지하고, 이에 의해 조작 레버(76)에 있어서의 단부(82b)의 지지 기구(30b)로부터의 발탈이 확실히 저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조작 레버(76)가, 본체부(81)가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되는 것에 의해,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의,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절연 하우징(41) 및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43)와의 감합 상태가 보다 한층 안정적으로 또한 확실히 유지되게 된다.
다음에,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절연 하우징(41) 및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43)로부터 발탈되는데 즈음해서는, 조작 레버(76)가, 회동 조작되어 그 본체부(81)를 형성하는 굴곡완부(79a, 79b)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탄성 계합부(48a, 48b)의 각각에 있어서의 돌출부를 넘어 탄성 계합부(48a, 48b)와의 계합을 해제하여, 본체부(81)가 복수의 동축 케이블(20)측에 배치되게 되는 위치를 취하는 것으로 된다. 그 후, 실시예 3의 전체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지게 되고, 절연 하우징(13)에 설치된 감합 볼록부(17)가, 기판측 커넥터 장치(40)의 절연 하우징(41) 및 도전성 쉘(42)에 설치된 감합 오목부(43)로부터 발탈된다.
상술의 실시예 3에 있어서도, 그 도전성 쉘(14)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지지 기구(30a)가, 홈형상부를 형성하는 보지부(31a)를 구비하는 구성을 취하고, 또 도전성 쉘(14)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지지 기구(30b)가, 홈형상부를 형성하는 보지부(31b)를 구비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으로 되지만, 지지 기구(30a, 30b)의 각각은, 조작 레버(76)의 단부(82a, 82b)의 각각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부세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른 여러가지 구체적 구성을 취할 수가 있는 것이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커넥터 장치는, 복수의 도전 콘택트에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배치된 복수의 도전 콘택트와의 접속 상태를 취하게 하는 감합부와, 그 감합부의 상대측 커넥터 장치의 감합부와의 감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계합하는 조작 레버를 구비한 하에서, 조작 레버에 그 단부를 절연 하우징의 외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외력이 작용할 때에도, 당해 단부의 도전성 쉘로부터의 소망하지 않는 발탈을 확실히 저지할 수가 있어, 조작 레버를 본래의 역할을 완수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또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계합한 조작 레버와 상대측 커넥터 장치와의 사이의 간극이 형성되어 조작 레버가 “흔들리게” 되는 상태를 확실히 회피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여러가지 전자기기 등에 널리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11···커넥터 장치 12···동축 케이블
13, 41···절연 하우징 14, 42···도전성 쉘(shell)
15···도전성 커버(cover)
16, 56, 76···조작 레버 16A···조작 태그(tag)
17···감합 볼록부
18, 44···도전 콘택트conductive contact)
19a, 19b, 59A, 59B, 79a, 79b···굴곡완부(curved arm portion)
20, 60, 80···연결부
21, 61, 81···(조작 레버(16, 56 혹은 76)의) 본체부
22a, 22b, 62a, 62b, 82a, 82b···(조작 레버(16, 56 혹은 76)의) 단부
23a, 23b, 63a, 63b, 83a, 83b···신장 부분(elongated portion)
24a, 24b, 64a, 64b, 84a, 84b···선단 부분(top end portion)
25a, 25b···단부(stepped portion)
30a, 30b···지지 기구 31a, 31b···보지부
32a, 32b···계지부 35a, 35b···(도전성 커버(15)의) 단부
36a, 36b···누름편부(restrainer member)
37a, 37b···계합 돌기
40···기판측 커넥터 장치(상대측 커넥터 장치)
43···감합 오목부, 46a, 46b···계합구멍
47a, 47b···접지 접속 단자
48a, 48b···탄성 계합부

Claims (9)

  1.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설치된 제1의 감합부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지는 제2의 감합부가 설치된 절연 하우징과,
    상기 제2의 감합부에 배열 배치되는 부분을 가지고 상기 절연 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제2의 감합부가 상기 제1의 감합부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질 때, 상기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배치된 복수의 제1의 도전 콘택트에 접속되는 복수의 제2의 도전 콘택트와,
    상기 절연 하우징을 부분적으로 덮는 도전성 쉘과,
    본체부와 이 본체부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한 벌의 단부를 가지고, 이 한 벌의 단부가 상기 도전성 쉘에 설치된 한 벌의 지지 기구에 의해 각각 지지되어 상기 절연 하우징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되고, 상기 제2의 감합부가 상기 제1의 감합부와의 감합 상태에 놓여질 때 회동 조작되어, 상기 본체부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계합하는 것으로 되는 조작 레버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작 레버의 한 벌의 단부의 각각이, 상기 본체부에 굴곡하여 이어지는 신장 부분과 이 신장 부분에 더 이어지는 선단 부분을 가지고, 전체적으로 상기 절연 하우징의 단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한 제1의 방향을 가지고 뻗게 되는 것으로 됨과 아울러, 상기 선단 부분이 상기 신장 부분에 대해서 이 신장 부분의 중심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평행 변위 혹은 돌출된 것으로 되고, 상기 지지 기구에 의해 지지된 하에서 상기 제1의 방향과는 반대의 제2의 방향을 가지고 변위시켜지게 될 때, 상기 선단 부분에 상기 지지 기구에 구비된 계지부가 계합하여 이 지지 기구로부터의 발탈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의 한 벌의 단부의 각각을 형성하는 상기 신장 부분 및 상기 선단 부분이, 상기 지지 기구에 의해 지지된 하에서, 상기 본체부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계합하는 상태에 놓여진 상기 조작 레버에, 상기 본체부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 장치에 꽉 눌리게 되는 방향의 부세력을 작용시키는 부세력 부여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벌의 지지 기구의 각각이, 상기 계지부에 더하여, 상기 조작 레버의 한 벌의 단부의 각각을 형성하는 상기 신장 부분 및 상기 선단 부분을, 상기 선단 부분의 상기 신장 부분에 대한 평행 변위의 방향 혹은 돌출의 방향을 상기 조작 레버의 회동 조작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상태를 가지고 보지하는 보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의 한 벌의 단부의 각각이, 상기 선단 부분이 상기 신장 부분에 대해서 이 신장 부분의 중심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평행 변위한 것으로 되고, 상기 신장 부분과의 경계에 단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되고, 상기 지지 기구에 의해 지지된 하에서 상기 제1의 방향과는 반대의 제2의 방향을 가지고 변위시켜지게 될 때, 상기단부에 상기 지지 기구에 구비된 계지부가 계합하여 이 지지 기구로부터의 발탈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의 한 벌의 단부의 각각이, 상기 선단 부분이 상기 신장 부분에 대해서 이 신장 부분의 중심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굴곡하여 돌출하는 것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의 한 벌의 단부의 각각이, 상기 선단 부분이, 상기 신장 부분의 중심축 방향에 직교하는 제1의 방향으로 꽉 눌리게 되어, 상기 신장 부분에 대해서 이 신장 부분의 중심축 방향 및 상기 제1의 방향의 각각에 직교하는 제2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의 한 벌의 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의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벌의 지지 기구가, 상기 절연 하우징에 있어서의 이 절연 하우징의 긴 방향의 양단부에 대응하는 상기 도전성 쉘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하우징을 부분적으로 덮는 도전성 커버를 구비하고, 이 도전성 커버의 일부분이 상기 도전성 쉘에 설치된 한 벌의 지지 기구의 각각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장치.
KR1020117003895A 2008-09-09 2008-10-27 커넥터 장치 KR1011381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30542 2008-09-09
JP2008230542A JP4515516B2 (ja) 2008-09-09 2008-09-09 コネクタ装置
PCT/JP2008/069466 WO2010029647A1 (ja) 2008-09-09 2008-10-27 コネク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701A true KR20110043701A (ko) 2011-04-27
KR101138116B1 KR101138116B1 (ko) 2012-04-25

Family

ID=42004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3895A KR101138116B1 (ko) 2008-09-09 2008-10-27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96823B2 (ko)
EP (1) EP2325952B1 (ko)
JP (1) JP4515516B2 (ko)
KR (1) KR101138116B1 (ko)
CN (1) CN102210067B (ko)
TW (1) TW201012007A (ko)
WO (1) WO20100296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526B1 (ko) * 2012-03-27 2014-02-24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27461B2 (ja) * 2009-05-13 2013-10-30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4922420B2 (ja) 2010-02-23 2012-04-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5182334B2 (ja) * 2010-08-02 2013-04-17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484415B2 (ja) * 2011-08-11 2014-05-0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コネクタ
CN103094781B (zh) * 2011-11-04 2015-05-20 第一精工株式会社 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组装体
DE102012206615A1 (de) 2012-04-23 2013-10-2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Pedalfahrzeugs
JP5708942B2 (ja) * 2012-12-28 2015-04-30 第一精工株式会社 配線基板連結装置
CN103107451B (zh) * 2013-03-11 2015-11-25 昆山雷驰电子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4103927B (zh) * 2013-04-15 2018-05-0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件
JP5716933B2 (ja) * 2013-10-04 2015-05-13 第一精工株式会社 配線基板連結装置
KR102141490B1 (ko) 2014-02-06 2020-08-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CN208797213U (zh) * 2018-06-08 2019-04-26 安费诺电子装配(厦门)有限公司 一种带旋转锁杆的线端连接器及连接器组件
CN109742602B (zh) * 2019-01-03 2021-02-02 电连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具备防退导引结构的电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8238A (en) * 1984-12-19 1986-05-13 Gte Products Corporation Telephone network interface connector
JPH0331019Y2 (ko) * 1985-03-12 1991-07-01
JPS6370334U (ko) 1986-10-29 1988-05-11
JPH06101032B2 (ja) 1987-07-07 1994-12-12 株式会社イーゼル 画像処理方法
JPH054223Y2 (ko) * 1987-07-16 1993-02-02
JP2514851Y2 (ja) * 1988-04-08 1996-10-23 第一電子工業 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手段
JP2514853Y2 (ja) * 1988-05-30 1996-10-23 第一電子工業 株式会社 コネクタのスプリングロック装置
DE69530364T2 (de) * 1995-01-16 2004-02-12 Molex Inc., Lisle Elektrischer Steckverbinder mit verbessertem Nockensystem
JP3334854B2 (ja) * 1997-03-26 2002-10-15 矢崎総業株式会社 低挿入力コネクタ
EP0908977A3 (en) * 1997-10-09 2000-06-21 Molex Incorporated Card connector with improved grounding terminal
US6305957B1 (en) * 2000-02-24 2001-10-23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217354B1 (en) * 2000-03-20 2001-04-17 Molek Incorporated Lever type electrical connector
US6890206B2 (en) * 2002-03-05 2005-05-10 Jds Uniphase Corporation Optical transceiver latch
US6558176B1 (en) * 2002-03-07 2003-05-06 Tyco Electronics Corp. Mate assist assembly for connecting electrical contacts
US6773278B2 (en) * 2002-03-22 2004-08-1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multiple plug and shroud compartments
US6854992B2 (en) * 2002-10-18 2005-02-1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onnection assurance features
US6682359B1 (en) * 2002-12-06 2004-01-2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onnection assurance features
US6808401B2 (en) * 2003-02-28 2004-10-26 Yasin Guzeldereli Ejector for electrical connector
US6824406B1 (en) * 2003-06-26 2004-11-30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4001113B2 (ja) * 2004-01-14 2007-10-31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US6830469B1 (en) * 2004-03-19 2004-12-14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DE102004046259B3 (de) * 2004-09-23 2006-03-09 Harting Electronics Gmbh & Co. Kg Verriegelung für eine Steckverbindung
US20070042631A1 (en) * 2005-08-17 2007-02-22 Chen Steve X SFP transceiver with one arm bail
JP2008041268A (ja) * 2006-08-01 2008-02-21 Hirose Electric Co Ltd ロック機構を備えたコネクタ
US7275950B1 (en) * 2006-08-24 2007-10-0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ecuring member for preventing axial sliding of a lever
SG141248A1 (en) * 2006-09-08 2008-04-28 Mea Technologies Pte Ltd Electrical connector
JP4286279B2 (ja) * 2006-10-31 2009-06-24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電気コネクタ装置
US20090176399A1 (en) * 2008-01-08 2009-07-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nector with a Dismount Latch Configured to Separate Unlatching From Cable Separation and Method of Release
JP4922420B2 (ja) * 2010-02-23 2012-04-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526B1 (ko) * 2012-03-27 2014-02-24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8116B1 (ko) 2012-04-25
US20110165788A1 (en) 2011-07-07
EP2325952A1 (en) 2011-05-25
CN102210067A (zh) 2011-10-05
US8096823B2 (en) 2012-01-17
JP4515516B2 (ja) 2010-08-04
TWI357185B (ko) 2012-01-21
WO2010029647A1 (ja) 2010-03-18
EP2325952B1 (en) 2018-03-07
JP2010067378A (ja) 2010-03-25
TW201012007A (en) 2010-03-16
EP2325952A4 (en) 2012-05-30
CN102210067B (zh) 201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8116B1 (ko) 커넥터 장치
JP5099387B2 (ja) コネクタ装置
KR101211764B1 (ko) 커넥터 장치
JP5729553B2 (ja) コネクタ装置
JP5071661B2 (ja) コネクタ装置
JP2009158279A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5741828B2 (ja) コネクタ装置
KR20130103349A (ko) 커넥터 장치
KR20120035850A (ko) 커넥터 장치
JP5333034B2 (ja) 電気コネクタ
JP2007250349A (ja) 中継コネクタ
CN104425918A (zh) 电连接器
JP2006190596A (ja) フレキシブル配線部材用コネクタ
JP5076947B2 (ja) コネクタ装置
JP5218012B2 (ja) 電気コネクタ
JP2008235272A (ja) 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コネクタ
JP2006333573A (ja) ケーブルクランプ及び携帯用電子機器
JP2008140555A (ja) コネクタ装置
JP5333019B2 (ja) 電気コネクタ
JP4270418B2 (ja) フレキシブル印刷配線基板用コネクタ
JP2011134458A (ja) 電線対基板コネクタ
US20240113472A1 (en) Lock mechanism and connector set
JP2019121539A (ja) 電気コネクタ
JP5045931B2 (ja) コネクタ装置
JP6100421B2 (ja) 基板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