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2416A - 몰드판용 이동식 인쇄장치 - Google Patents

몰드판용 이동식 인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2416A
KR20160012416A KR1020140093805A KR20140093805A KR20160012416A KR 20160012416 A KR20160012416 A KR 20160012416A KR 1020140093805 A KR1020140093805 A KR 1020140093805A KR 20140093805 A KR20140093805 A KR 20140093805A KR 20160012416 A KR20160012416 A KR 20160012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late
base body
gear
drive shaf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3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9243B1 (ko
Inventor
홍종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스트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스트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스트산업
Priority to KR1020140093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243B1/ko
Publication of KR20160012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08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 B41F17/14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on articles of 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0Applying flat materials, e.g. leaflets, pieces of fabric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75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other printing techniques, e.g. letterpress printing, intaglio printing, lithographic printing, offset pri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으로 눕혀진 장방형의 판형상으로 좌우양측에는 각각 외측면에 전후수평방향으로 랙기어가 장착된 측면판이 설치되어 있는 몰드판과, 상기 몰드판의 좌우폭에 부합되는 길이를 지닌 직육면체형 틀형상으로 하면부 좌우양측에 각각 복수개의 롤러가 설치되어 있어 몰드판의 측면판 상면부를 따라 전후수평방향으로 구름이동되는 베이스본체와, 상기 베이스본체의 내측 하부에 좌우수평으로 관통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축이 구비되고 구동축의 좌우양측끝부분에는 각각 구동기어가 축설되어 있으며 각 구동기어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피동기어를 통해 좌우측 측면판의 랙기어와 기어연결되고 구동축은 전후이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되면서 제어수단에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베이스본체를 몰드판의 상면부에서 전후위치이동시키는 전후이동부와, 상기 베이스본체의 내측에 좌우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제어수단에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좌우이동되면서 몰드판의 상면부에 거푸집과 각종 슬리브의 설치위치를 표시하는 인쇄유닛과, 상기 베이스본체의 좌우양측면에 각각 설치된 상태로 베이스본체가 몰드판에 착탈되게 하면서 몰드판을 따라 가이드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착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판용 이동식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몰드판용 이동식 인쇄장치{A Portable printing device for a mold plate}
본 발명은 건축용 벽체나 슬래브 등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Precast Concrete)구조물을 생산하기 위한 몰드판에 거푸집과 각종 전선, 배관 등이 설치되는 슬리브의 설치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하기 위한 인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으로 눕혀진 장방형의 판형상으로 좌우양측에는 각각 외측면에 전후수평방향으로 랙기어가 장착된 측면판이 설치되어 있는 몰드판과, 상기 몰드판의 좌우폭에 부합되는 길이를 지닌 직육면체형 틀형상으로 하면부 좌우양측에 각각 복수개의 롤러가 설치되어 있어 몰드판의 측면판 상면부를 따라 전후수평방향으로 구름이동되는 베이스본체와, 상기 베이스본체의 내측 하부에 좌우수평으로 관통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축이 구비되고 구동축의 좌우양측끝부분에는 각각 구동기어가 축설되어 있으며 각 구동기어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피동기어를 통해 좌우측 측면판의 랙기어와 기어연결되고 구동축은 전후이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되면서 제어수단에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베이스본체를 몰드판의 상면부에서 전후위치이동시키는 전후이동부와, 상기 베이스본체의 내측에 좌우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제어수단에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좌우이동되면서 몰드판의 상면부에 거푸집과 각종 슬리브의 설치위치를 표시하는 인쇄유닛과, 상기 베이스본체의 좌우양측면에 각각 설치된 상태로 베이스본체가 몰드판에 착탈되게 하면서 몰드판을 따라 가이드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착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판용 이동식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PC(Precast Concrete)공법은 미리 건축물의 벽체, 슬래브 등의 부재를 별도의 장소에서 생산한 후 건축현장에서 조립시공하는 공법으로, 콘크리트 작업이 용이하고 외부환경의 영향을 적게 받는 장소에서 생산할 수 있어 양질의 부재를 경제적으로 얻을 수 있으며 콘크리트의 기계화작업이 가능하여 전체적인 공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시공성이 우수하며 공사기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데, 이러한 건축용 PC공법에 사용되는 벽체, 슬래브 등의 PC구조물을 생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몰드판의 상면부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의 내측에는 각종 전선이나 배관이 설치되는 위치에 슬리브를 위치시킨 다음 거푸집의 내부에 복수개의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조성물을 타설한 후 일정시간 동안 양생 경화시키고 거푸집을 탈형하여 PC구조물을 생산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생산된 PC구조물의 조립시공시 정확한 규격이 맞지 않는 경우에는 벽체나 슬래브의 조립시공이 불가하고 전선이나 배관의 설치를 위한 슬리브의 설치위치가 틀어지는 경우 전선이나 배관이 제대로 연결설치되지 않아 각종 누수나 누전 등의 안전사고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어 숙련자에 의해 몰드판의 상면부에 거푸집 및 각종 슬리브의 설치위치를 수작업식으로 그려넣은 후 거푸집과 슬리브의 설치작업이 진행됨으로써 PC구조물 생산작업이 비효율적이면서 인건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0957721호에서는 인쇄 대상물이 설치되는 작업테이블을 구비한 본체 프레임;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면에서 상기 본체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 프레임; 상기 이동 프레임의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인쇄 대상물의 표면에 전처리용 코팅액 또는 이미지 인쇄용 잉크를 분사하는 다수개의 노즐을 구비하는 프린터 헤드부; 상기 본체 프레임 및 이동 프레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과 상기 프린터 헤드부가 이동되도록 하는 다수의 구동부; 상기 프린터 헤드부 또는 상기 이동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인쇄 대상물의 표면으로 분사된 코팅액 또는 잉크가 경화되도록 건조시키는 건조부; 및 상기 프린터 헤드부가 인쇄 대상물의 표면과 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작업테이블에 올려지는 인쇄대상물의 두께를 검출하는 스캔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캔부에서 검출되는 인쇄 대상물의 두께에 따라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프린터 헤드부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프린터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종이재료 등을 인쇄처리하는 통상의 프린터로서, 작업테이블의 상면부에 별도의 종이재료 등이 올려진 상태로 프린터 헤드부가 이동되면서 인쇄처리하되 상기 프린터 헤드부 및 이동프레임이 본체 프레임으로부터의 착탈이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구조물의 생산을 위한 몰드판으로 대체하여 적용시 인쇄완료된 작업테이블 위에 별도의 거푸집 및 각종 슬리브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프린터 헤드부 및 이동프레임이 거푸집 등에 걸려 그 설치가 어려울 뿐 아니라 콘크리트조성물을 타설하는 과정에서는 콘크리트조성물이 프린터 헤드부 및 이동프레임에 묻거나 튀어 차후 재사용시 오류 등이 발생되고 탈형이 어려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구조물의 생산을 위한 몰드판용 인쇄장치로는 사용불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상면부에 거푸집 및 각종 슬리브가 설치되는 몰드판의 좌우양측면에는 전후수평방향으로 랙기어가 장착된 측면판을 설치하고 내측에 인쇄유닛이 좌우수평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본체를 몰드판의 좌우측 측면판 상면부를 따라 전후수평방향으로 구름이동되게 하면서 제어수단에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인쇄유닛이 몰드판의 상면부에 거푸집과 각종 슬리브의 설치위치를 표시하되, 베이스본체의 좌우양측면에 각각 가이드착탈부를 설치하여 베이스본체의 롤러가 몰드판의 상면부에 밀착된 상태로 가이드이동되게 하면서 몰드판으로부터 베이스본체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구조물의 생산을 위한 최적의 몰드판용 인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눕혀진 장방형의 판형상으로 좌우양측에는 각각 외측면에 전후수평방향으로 랙기어가 장착된 측면판이 설치되어 있는 몰드판과, 상기 몰드판의 좌우폭에 부합되는 길이를 지닌 직육면체형 틀형상으로 하면부 좌우양측에 각각 복수개의 롤러가 설치되어 있어 몰드판의 측면판 상면부를 따라 전후수평방향으로 구름이동되는 베이스본체와, 상기 베이스본체의 내측 하부에 좌우수평으로 관통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축이 구비되고 구동축의 좌우양측끝부분에는 각각 구동기어가 축설되어 있으며 각 구동기어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피동기어를 통해 좌우측 측면판의 랙기어와 기어연결되고 구동축은 전후이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되면서 제어수단에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베이스본체를 몰드판의 상면부에서 전후위치이동시키는 전후이동부와, 상기 베이스본체의 내측에 좌우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제어수단에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좌우이동되면서 몰드판의 상면부에 거푸집과 각종 슬리브의 설치위치를 표시하는 인쇄유닛과, 상기 베이스본체의 좌우양측면에 각각 설치된 상태로 베이스본체가 몰드판에 착탈되게 하면서 몰드판을 따라 가이드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착탈부로 구성된 것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면부에 거푸집 및 각종 슬리브가 설치되는 몰드판의 좌우양측면에 전후수평방향으로 랙기어가 장착된 측면판이 설치되고 내측에 인쇄유닛이 좌우수평방향으로 이동되게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본체가 몰드판의 좌우측 측면판 상면부를 따라 전후수평방향으로 구름이동되면서 제어수단에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인쇄유닛이 몰드판의 상면부에 거푸집과 각종 슬리브의 설치위치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되, 베이스본체의 좌우양측면에 각각 가이드착탈부가 설치되어 있어 베이스본체의 롤러가 몰드판의 상면부에 밀착된 상태로 가이드이동되면서 인쇄완료후 몰드판으로부터 베이스본체가 착탈되게 장착되면서 거푸집 및 각종 슬리브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콘크리트조성물의 타설 및 탈형과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구조물의 생산을 위한 최적의 몰드판용 인쇄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몰드판용 이동식 인쇄장치의 베이스본체가 몰드판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몰드판용 이동식 인쇄장치의 베이스본체가 몰드판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몰드판용 이동식 인쇄장치의 일부 확대 사시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몰드판용 이동식 인쇄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본체가 몰드판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몰드판용 이동식 인쇄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본체가 몰드판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몰드판용 이동식 인쇄장치에서 전후이동부의 정면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몰드판용 이동식 인쇄장치에서 전후이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몰드판용 이동식 인쇄장치에서 전후이동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개략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몰드판용 이동식 인쇄장치(1)는 도 1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용 벽체나 슬래브 등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Precast Concrete)구조물을 생산하기 위한 몰드판(2)에 거푸집과 각종 전선, 배관 등이 설치되는 슬리브의 설치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하기 위한 인쇄장치로서, 수평으로 눕혀진 장방형의 판형상으로 좌우양측에는 각각 외측면에 전후수평방향으로 랙기어(4)가 장착된 측면판(3)이 설치되어 있는 몰드판(2)과, 상기 몰드판(2)의 좌우폭에 부합되는 길이를 지닌 직육면체형 틀형상으로 하면부 좌우양측에 각각 복수개의 롤러(7)가 설치되어 있어 몰드판(2)의 측면판(3) 상면부를 따라 전후수평방향으로 구름이동되는 베이스본체(6)와, 상기 베이스본체(6)의 내측 하부에 좌우수평으로 관통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축(15)이 구비되고 구동축(15)의 좌우양측끝부분에는 각각 구동기어(16)가 축설되어 있으며 각 구동기어(16)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피동기어(17)를 통해 좌우측 측면판(3)의 랙기어(4)와 기어연결되고 구동축(15)은 전후이동모터(18)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되면서 제어수단에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베이스본체(6)를 몰드판(2)의 상면부에서 전후위치이동시키는 전후이동부(14)와, 상기 베이스본체(6)의 내측에 좌우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제어수단에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좌우이동되면서 몰드판(2)의 상면부에 거푸집과 각종 슬리브의 설치위치를 표시하는 인쇄유닛(22)과, 상기 베이스본체(6)의 좌우양측면에 각각 설치된 상태로 베이스본체(6)가 몰드판(2)에 착탈되게 하면서 몰드판(2)을 따라 가이드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착탈부(2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몰드판(2)은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부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Precast Concrete)구조물을 생산하기 위한 거푸집과 각종 전선, 배관 등이 설치되는 슬리브의 설치위치가 표시되면서 거푸집 등이 설치되는 부분으로, 수평으로 눕혀진 장방형의 판형상으로 좌우양측에는 각각 외측면에 전후수평방향으로 랙기어(4)가 장착된 측면판(3)이 설치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몰드판(2)은 통상의 건축용 슬래브나 벽체 등의 크기에 부합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몰드판(2)의 상면부에서 제어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전후이동되는 베이스본체(6) 및 좌우이동되는 인쇄유닛(22)에 의해 거푸집 및 슬리브가 설치되는 위치가 표시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몰드판(2)의 좌우양측면에는 각각 전후방향으로 긴 장방형으로 전후양측이 몰드판(2)의 전후방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지닌 좌우측 측면판(3)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통상의 볼트 등으로 착탈가능하게 조립체결되도록 되어 있어 몰드판(2)의 상면부에 거푸집 등의 설치위치표시가 완료된 후 베이스본체(6)와 함께 좌우측 측면판(3)을 몰드판(2)으로부터 분리하여 거푸집 등의 설치 및 콘크리트조성물의 타설, 경화, 탈형시 걸리지 않고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콘크리트조성물이 튀거나 묻지 않도록 하며, 상기 좌우측 측면판(3)은 몰드판(2)과 맞닿지 않는 외측면에 전후 일직선상으로 상면부에 기어이가 형성된 랙기어(4)가 고정설치되어 있어 전후이동부(14)의 피동기어(17)나 구동기어(16)가 랙기어(4)에 기어물림되면서 베이스본체(6)가 전후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몰드판(2)은 좌우측 측면판(3)의 상면부에 각각 전후수평방향으로 가이드레일(5)이 형성되어 있어 베이스본체(6)의 하면부 좌우양측에 각각 설치된 복수개의 롤러(7)가 가이드레일(5)에 가이드결합된 상태로 전후 안정되게 구름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본체(6)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판(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면서 몰드판(2)의 상면부를 따라 전후수평방향으로 구름이동되는 부분으로, 상기 몰드판(2)의 좌우폭에 부합되는 길이를 지닌 좌우로 긴 직육면체형 틀형상으로 하면부 좌우양측에는 각각 복수개의 롤러(7)가 설치되어 있어 몰드판(2)의 좌우측 측면판(3) 상면부를 따라 전후수평방향으로 구름이동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베이스본체(6)의 내측 상부에는 좌우수평방향으로 가로지른 상태로 나사봉(8)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나사봉(8)의 어느 한쪽 끝단에는 좌우이동모터(9)가 연결되어 있어 좌우이동모터(9)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나사봉(8)이 정역회전되면서 나사봉(8)에 연결된 인쇄유닛(22)이 나사봉(8)을 따라 좌우이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베이스본체(6)의 하부 전후양측에 위치된 하단대(10a)(10b)의 상면부에는 각각 좌우수평방향으로 좌우이동레일(11a)(11b)이 고정설치되어 있어 인쇄유닛(22)의 유닛베이스판(24)이 가이드결합된 상태로 좌우수평방향으로 안정되게 가이드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본체(6)는 전방 좌우양측끝부분에 각각 근접감지센서로 된 위치조절센서(12)가 전방 외측으로 돌출되게 고정설치되어 있어 몰드판(2)의 좌우측 측면판(3) 전방끝부분에 각각 수직상방으로 돌출되게 고정설치된 좌우측 센서감지바(13)에 좌우측 위치조절센서(12)가 근접되게 위치되면서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전후이동부(14)의 작동을 통해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베이스본체(6)가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는 좌우측 측면판(3)의 랙기어(4)와 직교되게 위치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전후이동부(14)는 도 1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판(2)의 상면부에 좌우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베이스본체(6)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부분으로, 상기 베이스본체(6)의 하부에 좌우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축(15)이 구비되고 구동축(15)의 좌우양측끝부분에는 각각 구동기어(16)가 축설되어 있으며 각 구동기어(16)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피동기어(17)를 통해 좌우측 측면판(3)의 랙기어(4)와 기어연결되어 있고 상기 구동축(15)은 전후이동모터(18)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되도록 되어 있어 제어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베이스본체(6)를 몰드판(2)의 상면부에서 전후위치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되, 상기 구동축(15)은 베이스본체(6)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된 하단대(10a)(10b)의 내측을 관통하여 좌우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구동축(15)의 좌우양측은 베이스본체(6)의 좌우양측면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좌우양측끝부분에 각각 구동기어(16)가 축설되어 있고 각 구동기어(16)는 베이스본체(6)의 좌우양측면에 고정설치된 연결하우징(19)을 통해 하나 또는 복수개의 피동기어(17)와 기어물림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피동기어(17)는 좌우측 측면판(3)의 랙기어(4)와 각각 기어물림되도록 되어 있어 구동축(15)과 연결된 전후이동모터(18)가 통상의 CPU나 PL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어수단에 입력된 데이터에 의해 구동축(15)을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피동기어(17)가 구동기어(16)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되면서 랙기어(4)를 따라 베이스본체(6)가 전후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15)은 좌우양측끝부분에 각각 좌우측 측면판(3)의 랙기어(4)에 직접 기어물림되는 구동기어(16)가 축설되어 있어 상기 구동축(15)이 전후이동모터(18)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됨에 따라 구동기어(16)가 랙기어(4)를 따라 전후이동되도록 되면서 제어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입력된 데이터에 의해 베이스본체(6)를 몰드판(2)의 상면부에서 전후위치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후이동부(1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구동기어(16)의 내측 중심부에 각각 베어링(20)이 개재(介在)되어 있되 상기 베어링(20)에는 구동축(15)이 관통된 상태로 일체로 축설되어 있어 좌우측 구동기어(16)가 베어링(20)의 외주에 자유회전되게 끼움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구동기어(16)와 근접된 부분의 구동축(15)에 각각 전자기식으로 작동되는 전자식 클러치(21)가 축설되어 있어 제어수단에 의해 전자식 클러치(21)의 작동이 제어되면서 전자식 클러치(21)에 전원인가시에는 좌우측 구동기어(16)가 전자식 클러치(21)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구동축(15)과 함께 일체로 회전되고 전자식 클러치(21)에 전원미인가시에는 좌우측 구동기어(16)가 전자식 클러치(21)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 구동축(15)에 축설된 베어링(20)만 회전되고 구동기어(16)는 회전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본체(6)가 몰드판(2)의 상면부를 따라 전후 이동되는 과정에서는 양측의 전자식 클러치(21)에 모두 전원이 인가되어 좌우양측의 구동기어(16)가 전자식 클러치(21)에 부착되면서 구동축(15)과 함께 일체로 회전되고, 상기 베이스본체(6)가 몰드판(2)의 상면부를 따라 전후이동되는 과정에서 베이스본체(6)의 좌측 또는 우측부분이 틀어져 좌우측 측면판(3)의 랙기어(4)와 구동축(15)이 직교되지 않는 경우 베이스본체(6)의 전방 좌우양측끝부분에 고정설치된 좌우측 위치조절센서(12) 중 어느 한쪽이 먼저 좌우측 측면판(3)의 센서감지바(13)에 근접되어 감지되면 감지되는 쪽의 구동축(15)에 축설된 전자식 클러치(21)에는 전원을 미인가하여 일측 구동기어(16)가 회전되지 않게 하고 다른 한쪽의 전자식 클러치(21)에만 전원을 인가하여 타측 구동기어(16)가 구동축(15)과 함께 회전되면서 랙기어(4)와 기어물림되어 이동됨에 따라 베이스본체(6)의 좌우측이 각각 전후위치조절되는 방식으로 베이스본체(6)가 좌우측 측면판(3)의 랙기어(4)와 직교되게 위치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후이동부(14)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구동기어(16) 중 일측 구동기어(16)의 내측 중심부에 베어링(20)이 개재(介在)되어 있고 타측 구동기어(16)는 구동축(15)에 일체로 축설되어 있되, 상기 베어링(20)에는 구동축(15)이 관통된 상태로 일체로 축설되어 있어 일측 구동기어(16)가 베어링(20)의 외주에 자유회전되게 끼움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 구동기어(16)와 근접된 부분의 구동축(15)에는 전자기식으로 작동되는 전자식 클러치(21)가 축설되어 있어 제어수단에 의해 전자식 클러치(21)의 작동이 제어되면서 전자식 클러치(21)에 전원인가시에는 일측 구동기어(16)가 전자식 클러치(21)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구동축(15)과 함께 일체로 회전되고 전자식 클러치(21)에 전원미인가시에는 일측 구동기어(16)가 전자식 클러치(21)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 구동축(15)에 축설된 베어링(20)이 회전되고 일측 구동기어(16)는 회전되지 않으면서 타측 구동기어(16)만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본체(6)가 몰드판(2)의 상면부를 따라 전후 이동되는 과정에서는 일측의 전자식 클러치(21)에 전원이 인가되어 일측의 구동기어(16)가 전자식 클러치(21)에 부착되면서 타측의 구동기어(16)와 함께 구동축(15)과 일체로 회전되고, 상기 베이스본체(6)가 몰드판(2)의 상면부를 따라 전후이동되는 과정에서 베이스본체(6)의 좌측 또는 우측부분이 틀어져 좌우측 측면판(3)의 랙기어(4)와 구동축(15)이 직교되지 않는 경우 베이스본체(6)의 전방 좌우양측끝부분에 고정설치된 좌우측 위치조절센서(12) 중 어느 한쪽이 먼저 좌우측 측면판(3)의 센서감지바(13)에 근접되어 감지되면 일측의 전자식 클러치(21)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미인가하여 일측 구동기어(16)가 회전되거나 회전되지 않게 하면서 구동축(15)을 정역회전시켜 베이스본체(6)의 좌우측이 각각 전후위치조절되는 방식으로 베이스본체(6)가 좌우측 측면판(3)의 랙기어(4)와 직교되게 위치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후이동부(14)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로 나눠어진 구동축(15)(15')이 구비되고 양측의 구동축(15)(15')은 일직선상으로 근접되게 위치된 상태로 각각 외측 끝단에 전후이동모터(18)(18')가 연결설치되어 있으며, 일측 구동축(15)의 좌우양측에는 각각 구동기어(16)가 축설되어 있되 일측 구동기어(16)는 일측 구동축(15)에 일체로 축설되어 있고 타측 구동기어(16)의 내측 중심부에는 베어링(20)이 개재(介在)된 상태로 베어링(20)의 내측 중심부를 일측 구동축(15)이 관통된 상태로 축설되어 있어 타측 구동기어(16)가 베어링(20)의 외주에 자유회전되게 끼움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타측 구동기어(16)와 근접된 일측에는 전자기식으로 작동되는 전자식 클러치(21)가 일측 구동축(15)에 축설되어 있고 타측 구동축(15')에는 타측 구동기어(16)의 타측에 근접된 상태로 전자기식으로 작동되는 전자식 클러치(21')가 축설되어 있어 제어수단에 의해 양측 전자식 클러치(21)(21')의 작동이 각각 제어되면서 일측 전자식 클러치(21)에만 전원인가시에는 일측 구동기어(16)와 타측 구동기어(16)가 일측 구동축(15)과 함께 일체로 회전되고 타측 전자식 클러치(21')에만 전원인가시에는 타측 구동기어(16)가 타측 구동축(15')과 함께 회전되면서 일측 구동축(15)과는 별도로 회전작동되며 양측 전자식 클러치(21)(21')에 전원미인가시에는 일측 구동축(15)에 축설된 일측 구동기어(16)만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좌우측 전자식 클러치(21)(21') 및 전후이동모터(18)(18')을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베이스본체(6)의 좌우측이 각각 전후위치조절되는 방식으로 베이스본체(6)가 좌우측 측면판(3)의 랙기어(4)와 직교되게 위치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인쇄유닛(22)은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본체(6)의 내측에서 좌우수평이동되면서 몰드판(2)의 상면부에 거푸집과 각종 슬리브의 설치위치를 표시하는 부분으로, 상기 베이스본체(6)의 내측에 좌우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제어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좌우이동되면서 몰드판(2)의 상면부에 거푸집과 각종 슬리브의 설치위치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되, 상기 인쇄유닛(22)은 내측에 통상의 인쇄용 잉크나 토너 등이 저장되면서 하부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노즐이 구비되어 제어수단과 회로 연결된 상태로 제어수단에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잉크를 토출시키는 인쇄헤드부(2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인쇄헤드부(23)의 상부에는 유닛베이스판(24)이 연결설치되어 있으며 유닛베이스판(24)의 전후방 하부는 베이스본체(6)의 하부 전후양측 하단대(10a)(10b)의 상면부에 고정설치된 좌우이동레일(11a)(11b)에 올려진 상태로 가이드결합되어 좌우수평방향으로 가이드이동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유닛베이스판(24)의 후방 상부에는 수직으로 연결대(2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대(25)의 상부에는 너트부재(26)가 연결설치되어 있고 상기 너트부재(26)는 베이스본체(6)의 내측 상부에 좌우수평방향으로 설치된 나사봉(8)의 외주에 나사체결식으로 끼움결합되어 있어 제어수단에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제어되는 좌우이동모터(9)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되는 나사봉(8)을 따라 너트부재(26)가 좌우이동되면서 인쇄유닛(22)이 좌우수평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인쇄유닛(22)의 인쇄헤드부(23)와 좌우이동모터(9)와 전후이동모터(18)는 통상의 CPU나 PL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각 장치의 이동 거리, 이동 방향, 잉크 토출 등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프로그래밍된 것에 따라 각 장치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가이드착탈부(27)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본체(6)가 전후로 안정되게 가이드이동되면서 몰드판(2)으로부터 착탈되게 하는 부분으로, 상기 베이스본체(6)의 좌우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면서 좌우측 측면판(3)의 랙기어(4) 하면부에 맞닿아 구름이동되는 받침가이드롤러(32)에 의해 베이스본체(6)가 몰드판(2)에 착탈되게 하면서 몰드판(2)을 따라 가이드이동되도록 하되, 상기 가이드착탈부(27)는 베이스본체(6)의 좌우양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부착되는 승강베이스판(28)이 각각 구비되고 각 승강베이스판(28)의 상부에는 승강실린더(29)가 수직으로 고정설치되고 각 승강실린더(29)의 피스톤은 수직하방으로 승강베이스판(28)을 관통하여 설치되면서 피스톤의 하부끝단에는 승강블럭(30)이 일체로 연결설치되어 있으며 각 승강블럭(30)의 하부에는 착탈대(31)가 수직하방으로 연결된 상태로 좌우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착탈대(31)의 하부 일측면에는 받침가이드롤러(32)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각 승강실린더(29)의 승강작동에 따라 받침가이드롤러(32)가 승강되면서 상승시 좌우측 측면판(3)의 랙기어(4) 하면부에 맞닿아 구름이동되도록 되어 있고 이에 따라 베이스본체(6)의 롤러(7)가 측면판(3)의 상면부에 밀착된 상태로 안정되게 전후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승강블럭(30)은 외측끝부분에 수직하방으로 지지대(33)가 설치되어 있고 지지대(33)의 외측면에는 좌우수평방향으로 착탈실린더(34)가 연결설치되어 있으며 각 착탈실린더(34)의 피스톤은 지지대(33)를 관통하여 착탈대(31)에 연결되어 있어 착탈실린더(34)의 작동에 따라 착탈대(31)가 좌우이동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착탈부(27)의 좌우측 착탈대(31)가 각 승강실린더(29)에 의해 하강된 상태에서 각 착탈실린더(34)에 의해 몰드판(2)의 반대쪽으로 각각 이동되는 경우 받침가이드롤러(32)가 랙기어(4)의 하부로부터 이탈되어 베이스본체(6)가 몰드판(2)으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착탈부(27)는 각 착탈대(31)의 하부에 수평연결대(35)가 전후수평방향으로 연결설치되어 있고 각 수평연결대(35)의 상면부 또는 하면부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측면밀착롤러(36)가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각 착탈대(31)가 착탈실린더(34)에 의해 몰드판(2)쪽으로 이동되면서 받침가이드롤러(32)가 좌우측 측면판(3)의 랙기어(4) 하면부에 각각 맞닿아 구름이동되는 상태에서 각 측면밀착롤러(36)가 좌우측 측면판(3)에 맞닿아 구름이동되면서 베이스본체(6)의 전후이동시 좌우로 흔들리거나 좌우측이 삐뚤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몰드판용 이동식 인쇄장치(1)를 사용하여 건축용 벽체나 슬래브 등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Precast Concrete)구조물을 생산하기 위한 몰드판(2)에 거푸집과 각종 전선, 배관 등이 설치되는 슬리브의 설치위치를 정확하게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이나 작업대 위에 몰드판(2)을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로 위치시키고 상기 몰드판(2)의 좌우양측면에 각각 측면판(3)을 볼트 등으로 조립체결하며 베이스본체(6)의 좌우양측에 각각 설치된 가이드착탈부(27)의 각 승강실린더(29)를 하강시키고 각 착탈실린더(34)를 몰드판(2)의 반대쪽으로 작동시켜 좌우측 착탈대(31)가 외측으로 벌어지게 한 상태에서 베이스본체(6)의 롤러(7)를 좌우측 측면판(3)의 가이드레일(5) 위에 안착시키고 상기 가이드착탈부(27)의 각 착탈실린더(34)를 몰드판(2) 쪽으로 작동시켜 좌우측 착탈대(31)의 받침가이드롤러(32)가 좌우측 측면판(3)의 랙기어(4) 하부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각 승강실린더(29)를 상승시켜 받침가이드롤러(32)가 랙기어(4)의 하면부에 밀착되게 맞닿아 안정되게 가이드이동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수단에 저장된 데이터에 따라 베이스본체(6)의 하부에 장착된 전후이동부(14)의 전후이동모터(18)에 의해 구동축(15)이 정역회전되면서 구동축(15)의 좌우측 구동기어(16)가 하나 또는 복수개의 피동기어(17)를 기어구동시키고 각 피동기어(17)가 좌우측 측면판(3)의 랙기어(4)에 기어물림된 상태로 구동되어 베이스본체(6)가 전후이동되며 상기 베이스본체(6)의 내측 상부에 설치된 나사봉(8)이 좌우이동모터(9)에 의해 정역회전되면서 상기 나사봉(8)의 외주에 끼워진 인쇄유닛(22)의 너트부재(26)가 나사봉(8)을 따라 좌우수평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어수단에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인쇄헤드부(23)에 구비된 노즐을 통해 잉크 등이 토출되면서 몰드판(2)의 상면부에 거푸집이나 각종 슬리브가 설치되는 위치 등이 표시된다.
상기와 같이 몰드판(2)의 상면부에 거푸집이나 각종 슬리브가 설치되는 위치 등이 표시된 다음 가이드착탈부(27)의 각 승강실린더(29)를 하강시키고 각 착탈실린더(34)를 몰드판(2)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받침가이드롤러(32)가 좌우측 측면판(3)의 랙기어(4) 하부로부터 이탈되게 하여 베이스본체(6)를 몰드판(2)으로부터 분리시키고 필요에 따라 좌우측 측면판(3)을 몰드판(2)으로부터 분리한 다음 몰드판(2)의 상면부에 인쇄처리된 거푸집이나 각종 슬리브의 설치위치에 각각 거푸집과 슬리브를 설치하고 거푸집의 내측에 콘크리트조성물을 타설하여 경화한 다음 탈형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Precast Concrete)구조물을 생산하게 된다.
1. 이동식 인쇄장치 2. 몰드판
3. 측면판 4. 랙기어
5. 가이드레일 6. 베이스본체
7. 롤러 8. 나사봉
9. 좌우이동모터 10a, 10b. 하단대
11a, 11b. 좌우이동레일 12. 위치조절센서
13. 센서감지바 14. 전후이동부
15, 15'. 구동축 16. 구동기어
17. 피동기어 18, 18'. 전후이동모터
19. 연결하우징 20. 베어링
21, 21'. 전자식 클러치 22. 인쇄유닛
23. 인쇄헤드부 24. 유닛베이스판
25. 연결대 26. 너트부재
27. 가이드착탈부 28. 승강베이스판
29. 승강실린더 30. 승강블럭
31. 착탈대 32. 받침가이드롤러
33. 지지대 34. 착탈실린더
35. 수평연결대 36. 측면밀착롤러

Claims (7)

  1. 수평으로 눕혀진 장방형의 판형상으로 좌우양측에는 각각 외측면에 전후수평방향으로 랙기어(4)가 장착된 측면판(3)이 설치되어 있는 몰드판(2)과, 상기 몰드판(2)의 좌우폭에 부합되는 길이를 지닌 직육면체형 틀형상으로 하면부 좌우양측에 각각 복수개의 롤러(7)가 설치되어 있어 몰드판(2)의 측면판(3) 상면부를 따라 전후수평방향으로 구름이동되는 베이스본체(6)와, 상기 베이스본체(6)의 내측 하부에 좌우수평으로 관통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축(15)이 구비되고 구동축(15)의 좌우양측끝부분에는 각각 구동기어(16)가 축설되어 있으며 각 구동기어(16)는 좌우측 측면판(3)의 랙기어(4)에 기어물림되거나 하나 또는 복수개의 피동기어(17)를 통해 좌우측 측면판(3)의 랙기어(4)와 기어연결되고 구동축(15)은 전후이동모터(18)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되면서 제어수단에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베이스본체(6)를 몰드판(2)의 상면부에서 전후위치이동시키는 전후이동부(14)와, 상기 베이스본체(6)의 내측에 좌우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제어수단에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좌우이동되면서 몰드판(2)의 상면부에 거푸집과 각종 슬리브의 설치위치를 표시하는 인쇄유닛(22)과, 상기 베이스본체(6)의 좌우양측면에 각각 설치된 상태로 베이스본체(6)가 몰드판(2)에 착탈되게 하면서 몰드판(2)을 따라 가이드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착탈부(2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판용 이동식 인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판(2)은 좌우양측면에 각각 전후양측이 몰드판(2)의 전후방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지닌 좌우측 측면판(3)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착탈가능하게 조립체결되며, 상기 좌우측 측면판(3)은 몰드판(2)과 맞닿지 않는 외측면에 전후 일직선상으로 상면부에 기어이가 형성된 랙기어(4)가 고정설치되어 있고 좌우측 측면판(3)의 상면부에는 각각 전후수평방향으로 가이드레일(5)이 형성되어 있어 베이스본체(6)의 하면부 좌우양측에 각각 설치된 복수개의 롤러(7)가 가이드레일(5)에 가이드결합된 상태로 구름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판용 이동식 인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이동부(14)는 좌우측 구동기어(16)의 내측 중심부에 각각 베어링(20)이 개재되어 있되 상기 베어링(20)에는 구동축(15)이 관통된 상태로 일체로 축설되어 있어 좌우측 구동기어(16)가 베어링(20)의 외주에 자유회전되게 끼움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구동기어(16)와 근접된 부분의 구동축(15)에는 각각 전자기식으로 작동되는 전자식 클러치(21)가 축설되어 있어 제어수단에 의해 전자식 클러치(21)의 작동이 제어되면서 전자식 클러치(21)에 전원인가시 좌우측 구동기어(16)가 각 전자식 클러치(21)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구동축(15)과 함께 일체로 회전되고 전자식 클러치(21)에 전원미인가시에는 좌우측 구동기어(16)가 전자식 클러치(21)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 구동축(15)에 축설된 베어링(20)만 회전되고 구동기어(16)는 회전되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판용 이동식 인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이동부(14)는 좌우측 구동기어(16) 중 일측 구동기어(16)의 내측 중심부에 베어링(20)이 개재되어 있고 타측 구동기어(16)는 구동축(15)에 일체로 축설되어 있되, 상기 베어링(20)에는 구동축(15)이 관통된 상태로 일체로 축설되어 있어 일측 구동기어(16)가 베어링(20)의 외주에 자유회전되게 끼움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 구동기어(16)와 근접된 부분의 구동축(15)에는 전자기식으로 작동되는 전자식 클러치(21)가 축설되어 있어 제어수단에 의해 전자식 클러치(21)의 작동이 제어되면서 전자식 클러치(21)에 전원인가시 일측 구동기어(16)가 전자식 클러치(21)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구동축(15)과 함께 일체로 회전되고 전자식 클러치(21)에 전원미인가시에는 일측 구동기어(16)가 전자식 클러치(21)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 구동축(15)에 축설된 베어링(20)이 회전되고 일측 구동기어(16)는 회전되지 않으면서 타측 구동기어(16)만 회전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판용 이동식 인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이동부(14)는 두개로 나눠어진 구동축(15)(15')이 구비되고 양측의 구동축(15)(15')은 일직선상으로 근접되게 위치된 상태로 각각 외측 끝단에 전후이동모터(18)(18')가 연결설치되며, 일측 구동축(15)의 좌우양측에는 각각 구동기어(16)가 축설되어 있되 일측 구동기어(16)는 일측 구동축(15)에 일체로 축설되어 있고 타측 구동기어(16)의 내측 중심부에는 베어링(20)이 개재된 상태로 베어링(20)의 내측 중심부를 일측 구동축(15)이 관통된 상태로 축설되어 있어 타측 구동기어(16)가 베어링(20)의 외주에 자유회전되게 끼움결합되어 있으며 타측 구동기어(16)와 근접된 일측에는 전자기식으로 작동되는 전자식 클러치(21)가 일측 구동축(15)에 축설되고 타측 구동축(15')에는 타측 구동기어(16)의 타측에 근접된 상태로 전자기식으로 작동되는 전자식 클러치(21')가 축설되어 있어 제어수단에 의해 양측 전자식 클러치(21)(21')의 작동이 각각 제어되면서 일측 전자식 클러치(21)에만 전원인가시 일측 구동기어(16)와 타측 구동기어(16)가 일측 구동축(15)과 함께 일체로 회전되고 타측 전자식 클러치(21')에만 전원인가시에는 타측 구동기어(16)가 타측 구동축(15')과 함께 회전되면서 일측 구동축(15)과는 별도로 회전작동되며 양측 전자식 클러치(21)(21')에 전원미인가시에는 일측 구동축(15)에 축설된 일측 구동기어(16)만 회전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판용 이동식 인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유닛(22)은 내측에 인쇄용 잉크나 토너가 저장되면서 하부에 하나 또는 복수개의 노즐이 구비되어 제어수단에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잉크를 토출시키는 인쇄헤드부(23)가 구비되고 인쇄헤드부(23)의 상부에는 유닛베이스판(24)이 연결설치되며 유닛베이스판(24)의 전후방 하부는 베이스본체(6)의 하부 전후양측 하단대(10a)(10b)의 상면부에 고정설치된 좌우이동레일(11a)(11b)에 올려진 상태로 가이드결합되어 좌우수평으로 가이드이동되고 유닛베이스판(24)의 후방 상부에는 수직으로 연결대(25)가 설치되며 연결대(25)의 상부에는 너트부재(26)가 연결설치되고 너트부재(26)는 베이스본체(6)의 내측 상부에 좌우수평으로 설치된 나사봉(8)의 외주에 나사체결식으로 끼움결합되어 있어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좌우이동모터(9)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되는 나사봉(8)을 따라 너트부재(26)가 좌우이동되면서 인쇄유닛(22)이 좌우수평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판용 이동식 인쇄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착탈부(27)는 베이스본체(6)의 좌우양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부착되는 승강베이스판(28)이 각각 구비되며 각 승강베이스판(28)의 상부에는 승강실린더(29)가 수직으로 고정설치되고 각 승강실린더(29)의 피스톤은 수직하방으로 승강베이스판(28)을 관통하여 설치되면서 피스톤의 하부끝단에는 승강블럭(30)이 연결설치되며 각 승강블럭(30)의 하부에는 착탈대(31)가 수직하방으로 연결된 상태로 좌우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착탈대(31)의 하부 일측면에는 받침가이드롤러(32)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있어 각 승강실린더(29)의 승강작동에 따라 받침가이드롤러(32)가 승강되면서 상승시 좌우측 측면판(3)의 랙기어(4) 하면부에 맞닿아 구름이동되고, 상기 각 승강블럭(30)은 외측끝부분에 수직하방으로 지지대(33)가 설치되고 지지대(33)의 외측면에는 좌우수평으로 착탈실린더(34)가 연결설치되며 각 착탈실린더(34)의 피스톤은 지지대(33)를 관통하여 착탈대(31)에 연결되어 있어 착탈실린더(34)의 작동에 따라 착탈대(31)가 좌우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드판용 이동식 인쇄장치.
KR1020140093805A 2014-07-24 2014-07-24 몰드판용 이동식 인쇄장치 KR101719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805A KR101719243B1 (ko) 2014-07-24 2014-07-24 몰드판용 이동식 인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805A KR101719243B1 (ko) 2014-07-24 2014-07-24 몰드판용 이동식 인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416A true KR20160012416A (ko) 2016-02-03
KR101719243B1 KR101719243B1 (ko) 2017-03-23

Family

ID=55355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805A KR101719243B1 (ko) 2014-07-24 2014-07-24 몰드판용 이동식 인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2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38491A (zh) * 2018-05-17 2018-10-12 东莞市振祥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海绵自动压顶覆膜机
CN108688303A (zh) * 2018-07-03 2018-10-23 湖州新天地印刷有限公司 一种纸板绿色印刷用印刷头调节装置
CN110482180A (zh) * 2019-08-15 2019-11-22 苏州启成精密工业有限公司 一种轴承圈自动送料装置
CN114243494A (zh) * 2021-12-24 2022-03-25 江西三龙电气有限公司 一种柜体板可分开的便于维修和安装的配电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2446A (ja) * 1994-02-24 1995-09-05 Graphtec Corp 熱転写記録装置
KR20070057494A (ko) * 2005-12-02 2007-06-07 (주)에스티아이 액정표시장치의 컬러필터와 배향막 통합형성장치 및통합형성방법
KR101081357B1 (ko) * 2009-05-29 2011-11-0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롤투롤 이송장치용 esd방식의 인쇄 장치
KR101168660B1 (ko) * 2011-12-23 2012-07-25 김동각 종이컵 인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2446A (ja) * 1994-02-24 1995-09-05 Graphtec Corp 熱転写記録装置
KR20070057494A (ko) * 2005-12-02 2007-06-07 (주)에스티아이 액정표시장치의 컬러필터와 배향막 통합형성장치 및통합형성방법
KR101081357B1 (ko) * 2009-05-29 2011-11-0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롤투롤 이송장치용 esd방식의 인쇄 장치
KR101168660B1 (ko) * 2011-12-23 2012-07-25 김동각 종이컵 인쇄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38491A (zh) * 2018-05-17 2018-10-12 东莞市振祥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海绵自动压顶覆膜机
CN108638491B (zh) * 2018-05-17 2024-01-16 东莞市振祥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海绵自动压顶覆膜机
CN108688303A (zh) * 2018-07-03 2018-10-23 湖州新天地印刷有限公司 一种纸板绿色印刷用印刷头调节装置
CN110482180A (zh) * 2019-08-15 2019-11-22 苏州启成精密工业有限公司 一种轴承圈自动送料装置
CN114243494A (zh) * 2021-12-24 2022-03-25 江西三龙电气有限公司 一种柜体板可分开的便于维修和安装的配电柜
CN114243494B (zh) * 2021-12-24 2024-03-08 江西三龙电气有限公司 一种柜体板可分开的便于维修和安装的配电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9243B1 (ko) 201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243B1 (ko) 몰드판용 이동식 인쇄장치
JP6761757B2 (ja) 印刷機械において物品を固定するための真空システム
CN202079671U (zh) 一体化液压制砖机
JP2010284862A (ja) 樹脂シートの電動シリンダ駆動式加圧成形機
CN109339071B (zh) 斜坡混凝土浇筑自升模板
KR20090073484A (ko) 판유리용 방향전환장치
CN114179215A (zh) 一种用于混凝土板生产的高自动化成型装置
KR20180018117A (ko) 금형교환장치
CN212707341U (zh) 一种pc构件的浇筑装置
KR200453167Y1 (ko) 이동식 벤딩기
CN215549494U (zh) 一种用于混凝土振捣设备的行走装置
CN113858386B (zh) 一种预制楼板成型装置
CN201644528U (zh) 四面高压水除鳞机
CN212404735U (zh) 一种瓷砖自动铺设装置
JP2007143489A (ja) 原料肉の自動送給装置
CN210140841U (zh) 一种浅承台模板结构
CN208408166U (zh) 一种用于金属拉伸工艺的自动铺拉伸膜并回收的装置
JPH07292975A (ja) バイブレーターの引上げ装置
CN212763986U (zh) 一种环形全自动生产线布料机抹平装置
CN111015920A (zh) 一种混凝土浇筑机构及方法
CN220978013U (zh) 一种水利工程建筑用混凝土浇筑装置
CN219669992U (zh) 一种用于生产加气混凝土的插钎拔钎吊具
CN220945887U (zh) 一种砌筑墙体预制预应力空调板模具
KR20120050254A (ko) 벽면 페인팅장치
CN117306845A (zh) 一种滑动式组合模板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