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1568A - 자루의 스파우트 부착부를 개구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자루의 스파우트 부착부를 개구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1568A
KR20160011568A KR1020150077693A KR20150077693A KR20160011568A KR 20160011568 A KR20160011568 A KR 20160011568A KR 1020150077693 A KR1020150077693 A KR 1020150077693A KR 20150077693 A KR20150077693 A KR 20150077693A KR 20160011568 A KR20160011568 A KR 20160011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spout
pair
opening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1378B1 (ko
Inventor
도루 요시카네
쥰지 야마사키
Original Assignee
도요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11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65B43/34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by internal pressure
    • B65B43/3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by internal pressure applied pneuma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74Auxiliary operations
    • B31B70/81Forming or attaching accessories, e.g. opening devices, closures or tear strings
    • B31B70/84Forming or attaching means for filling or dispensing contents, e.g. valves or spouts
    • B31B70/844Applying rigid valves, spouts, or fillin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1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making package-opening or unpacking elements
    • B65B61/18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making package-opening or unpacking elements by applying or incorporating rigid fittings, e.g. discharge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003Opening or distending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65B43/30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by grippers engaging opposed walls, e.g. suction-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65B43/34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by internal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과제) 상변부(6)와 일방의 측변부(3)의 코너부가 커트되어 스파우트 부착부(2)가 형성된 자루(1)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2)의 양측을 좌우 한 쌍의 그리퍼(7, 7)에 의하여 협지하고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하고 상기 이송경로상에서 스파우트 부착부(2)를 개구하는 경우에, 상변부가 밀봉되어 있지않은 자루이더라도 안정한 개구형상이 얻어지도록 한다.
(해결수단) 스파우트 부착부(2)의 양면의 필름을 한 쌍의 흡착반(8, 8)에 의하여 흡착하고, 한 쌍의 흡착반(8, 8)의 간격을 넓혀서 스파우트 부착부(2)를 개구한 후에, 기체분출부재(9)에 의하여 스파우트 부착부(2)로부터 자루(1)내에 기체를 흡입시킬 때, 상변부(6)측을 협지하는 그리퍼의 하방위치를 협지부재(19)에 의하여 자루(1)의 양면으로부터 협지하여, 자루(1)내에 흡입된 기체가 상변부(6)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억제한다. 자루(1)가 전체로서 부족함이 없이 팽창됨으로써, 스파우트 부착부(2)의 개구형상이 안정되고 흡착반(8, 8)을 자루면에서 떼어내더라도 그 개구형상이 유지된다.

Description

자루의 스파우트 부착부를 개구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OPENING SPOUT ATTACHMENT PART OF BAG}
본 발명은, 자루(袋)의 상단에 형성된 스파우트 부착부(spout 附着部)를 개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루의 상변부(上邊部)와 일방의 측변부(側邊部)의 코너부(corner部)가 커트(cut)되어 형성된 스파우트 부착부를 개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스파우트 부착 자루의 제조장치 등에 적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자루라 함은, 자루는 물론 포대, 봉지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고 이들을 혼용하는 경우도 있다.
특허문헌1에는, 상변부와 일방의 측변부의 코너부가 커트되어 스파우트 부착부가 형성된 자루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의 양측을 좌우 한 쌍의 그리퍼(gripper)에 의하여 협지(挾持)하여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가 대략 수평하게 되도록 상기 자루를 매달고,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이송하며, 그 이송경로상의 각 정지위치에 있어서 스파우트 부착부를 개구하는 개구공정(開口工程), 개구된 스파우트 부착부에 스파우트를 삽입하고 이어서 가밀봉하는 스파우트 삽입·가밀봉공정(spout 揷入·假密封工程), 스파우트를 스파우트 부착부에 본밀봉하는 본밀봉공정(本密封工程)을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스파우트 부착 자루를 제조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1에 기재된 자루는, 스파우트 부착부 이외에는 상변부를 포함해서 모두 밀봉되어 있다. 특허문헌1에는, 이 자루에 대한 액상물(液狀物)의 충전을, 스파우트 부착부의 개구후 스파우트를 부착하기 전에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의 개구를 통해서 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2에는, 상변부와 일방의 측변부의 코너부가 커트되어 스파우트 부착부가 형성된 자루가 기재되어 있지만, 이 자루는 스파우트 부착부 이외의 상변부가 밀봉되어 있지않다. 또 특허문헌2에는,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에 스파우트를 부착한 후에, 상변부(충전용 자루의 입구)를 개구하고 동(同) 상변부의 개구를 통하여 액상물을 충전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4-80013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5459114호 공보
코너가 커트된 스파우트 부착부를 구비하고 상변부가 밀봉된 자루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를 개구하는 경우(특허문헌1 참조)에, 한 쌍의 개구흡착반(開口吸着盤)에 의하여 스파우트 부착부의 근방의 자루면(자루 양면의 필름)을 흡착하고 이어서 후퇴시켜서 스파우트 부착부를 개구함과 아울러, 기체분출부재(氣體噴出部材)(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2-128025호 공보 참조)를 사용하여 개구된 스파우트 부착부를 통하여 기체를 자루내에 흡입시켜서 자루를 부풀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자루를 부풀리게 함으로써 그때까지 자루면을 흡착하고 있었던 개구흡착반이 자루면에서 떨어진 후에도 스파우트 부착부의 개구형상이 안정하게 유지되어(원래의 닫힌 형상으로 복원되지 않는다), 그 상태대로 자루를 다음 공정으로 이송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특허문헌2에 기재된 자루(스파우트 부착부와 상변부가 밀봉되어 있지않은 자루)의 경우에는, 기체분출부재를 사용하여 개구된 스파우트 부착부를 통하여 기체를 자루내에 계속해서 흡입시켜도 자루를 충분하게 부풀리게 하는 것이 어렵다. 이 점을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자루(1)는, 코너가 커트된 스파우트 부착부(2)를 구비하고 측변부(3, 4) 및 저변부(5)가 밀봉되며 스파우트 부착부(2)와 자루(1)의 상변부(6)는 밀봉되어 있지않다.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그리퍼(7, 7)가, 스파우트 부착부(2)의 양측에서 상변부(6)와 측변부(3)를 협지하여 스파우트 부착부(2)가 수평이 되도록 자루(1)를 매달고 있다. 그리퍼(7, 7)는 특허문헌1에 기재된 좌우 한 쌍의 그리퍼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이동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이동하여 협지된 자루(1)를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이송한다.
도10에 있어서, 한 쌍의 개구흡착반(8, 8)(한 쪽의 개구흡착반(8)만 나타낸다)이, 스파우트 부착부(2)의 약간 하방위치에서 자루(1)의 양면의 필름을 흡착하고, 후퇴해서(상호간의 간격을 넓혀서) 스파우트 부착부(2)를 개구하고 있다. 또 주지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개구흡착반(8, 8)이 후퇴할 때에, 한 쌍의 그리퍼(7, 7)는 상호간의 간격을 좁혀서 스파우트 부착부(2)의 개구를 방해하지 않도록 되어있다. 자루(1)의 상방에 기체분출부재(9)가 승강가능하게 배치되고, 스파우트 부착부(2)가 개구되면 기체분출부재(9)가 하강하여 그 헤드부(9a)의 하단이 스파우트 부착부(2)의 개구에 삽입되어서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2)를 거의 막고, 가압기체가 자루(1)내에 흡입된다. 또 11은 기체분출부재(9)에 형성된 기체통로이며, 일단(一端)이 상기 헤드부(9a)의 하단에 개구되고(가압기체의 분출구), 타단(他端)이 가압기체공급원(12)에 접속되어 있다. 13은 기체분출부재(9)에 연결된 승강부재이며,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승강구동원(昇降驅動源)에 의하여 승강한다.
자루(1)는 상변부(6)가 밀봉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체분출부재(9)로부터 하방으로 가압기체를 분출시키면, 닫혀있지 않은 상변부(6)가 가압기체의 탈로(脫路)가 되어 가압기체가 자유롭게 자루 바깥으로 유출되며(도10중의 흰 화살표 참조), 자루(1)의 내부 전체에 기체가 널리 퍼지지 않고, 특히 스파우트 부착부(2) 하방의 자루(1) 중앙영역(14)(2점쇄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이 팽창하기 어렵다. 이 영역(14)이 충분히 팽창하지 않고 있으면, 개구흡착반(8, 8)이 자루면에서 떨어진 후에 상기 영역(14)이 자루(1)의 필름이 가지는 복원력에 의해서 원래의 닫힌 상태로 되돌아가고, 그 영향으로 스파우트 부착부(2)의 개구가 좁아지거나 변형되는 등 스파우트 부착부(2)의 개구형상이 안정되기 어렵다. 특히, 이 예와 같이 자루(1)가 그리퍼(7, 7)에 경사지게 협지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복원력이 스파우트 부착부(2)의 양 단부(端部)에 대칭적으로 걸리지 않아 더욱 스파우트 부착부(2)의 개구형상이 안정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변부와 일방의 측변부의 코너부가 커트되어 스파우트 부착부가 형성된 자루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의 양측을 좌우 한 쌍의 그리퍼에 의하여 협지하고,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가 대략 수평이 되도록 매달아서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하고, 상기 이송경로상에서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를 개구하는 경우에, 상변부가 밀봉되어 있지않은 자루이더라도 안정한 개구형상이 얻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명세서, 특허청구범위, 도면에 기재되어 있는 수치나 형상, 위치 등은, 물리적으로 정확하게 해당 수치나 형상, 위치 등을 의미하는 것뿐만 아니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합리적으로 예상할 수 있는 또는 일어날 수 있는 오차범위까지 포함하는 것으로서, 대략의 해당 수치, 형상, 위치 등을 모두 포함하는 광의의 의미이다. 즉, 상한과 하한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수준에서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는 설계사항에 속한다. 예를 들면, '스파우트 부착부가 수평이 되도록'은, '스파우트 부착부가 대략 수평이 되도록'인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동일하다.
본 발명은, 상변부와 일방의 측변부의 코너부가 커트되어 스파우트 부착부가 형성된 자루의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의 양측을 좌우 한 쌍의 그리퍼에 의하여 협지해서,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가 대략 수평이 되도록 상기 자루를 매달아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하고, 그 이송의 과정에서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의 양면의 필름을 한 쌍의 흡착반으로 흡착하고, 이어서 상기 한 쌍의 흡착반의 간격을 넓혀서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를 개구한 후에, 기체분출노즐에 의하여 자루내에 기체를 흡입해 자루를 팽창시키는 스파우트 부착부의 개구방법의 개량에 관련되고, 상기 자루는 상기 상변부가 밀봉되어 있지않은 자루이며, 상기 기체분출노즐에 의하여 자루내에 기체를 흡입할 때, 상기 상변부측을 협지하는 그리퍼의 하방위치를 협지부재에 의하여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협지하여 상기 자루내에 흡입된 기체가 상기 상변부로부터 자유롭게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루를 팽창시켰을 때 상기 협지부재의 협지면과 상기 필름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스파우트 부착부의 개구장치는, 상기 개구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구성을 구비한다.
(1) 상기 자루의 양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접리(接離)되는 한 쌍의 개구흡착반과, 상기 자루의 내부에 기체를 흡입해 자루를 팽창시키는 기체분출부재와, 또한 개폐하는 협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협지부재는 닫혔을 때 상기 상변부측의 그리퍼의 하방위치를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협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자루내에 흡입된 기체가 상기 상변부로부터 자유롭게 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협지부재는 열렸을 때 상기 자루의 이송경로로부터 대피한다.
(2) 상기 자루의 양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접리되는 한 쌍의 개구흡착반과, 상기 자루의 내부에 기체를 흡입해 자루를 팽창시키는 기체분출부재와, 또한 좌우 한 쌍의 개폐하는 협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협지부재는 모두 상하방향에 따른 협지면을 구비하고, 상기 좌우 한 쌍의 협지부재중 일방이 닫혔을 때 상기 상변부측의 그리퍼의 하방위치를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협지하고, 타방이 닫혔을 때 상기 일방의 측변부측의 그리퍼의 하방위치를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협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자루내에 흡입된 기체가 상기 상변부로부터 자유롭게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고 또한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의 하방영역에 기체를 효율적으로 흡입하여 동(同)영역을 팽창시킬 수 있다. 상기 좌우 한 쌍의 협지부재는, 모두 열렸을 때 상기 자루의 이송경로로부터 대피한다.
(3) 상기(1), (2)에 있어서, 상기 협지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루를 팽창시켰을 때 상기 협지부재의 협지면과 자루의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정도의 부하로 상기 자루를 협지한다.
(4) 상기 자루의 양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접리가능하게 된 한 쌍의 개구흡착반과, 상기 자루의 내부에 기체를 흡입해 자루를 팽창시키는 기체분출부재와, 또한 상호간의 간격을 넓히거나 또는 좁히는 좌우 한 쌍의 개폐하는 협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협지부재는 모두 상하방향에 따른 파지면을 구비하고, 상기 좌우 한 쌍의 협지부재중 일방이 닫혔을 때 상기 상변부측의 그리퍼의 하방위치를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협지하고, 타방이 닫혔을 때 상기 일방의 측변부측의 그리퍼의 하방위치를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협지한다. 한 쌍의 협지부재는, 자루를 협지후 가압기체의 흡입과 타이밍을 맞추어 상호간의 간격을 소정량 좁힌다. 이에 따라 상기 자루내에 흡입된 기체가 상기 상변부로부터 자유롭게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고 또한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의 하방영역에 기체를 효율적으로 흡입하여 동(同)영역을 팽창시킬 수 있다. 좌우 한 쌍의 협지부재는, 모두 열렸을 때 상기 자루의 이송경로로부터 대피한다.
(5) 상기(1) ∼ (4)에 있어서, 상기 기체분출부재는 승강가능하여, 상승위치에서는 자루 바깥으로 대피하고, 하강위치에서는 하단의 분출구가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로부터 자루내에 삽입된다.
본 발명에 관한 스파우트 부착 자루의 제조장치는, 상기 개구장치를 공지의 스파우트 부착 자루의 제조장치에 적용한 것이다. 상기 공지의 스파우트 부착 자루의 제조장치는, 소정의 이동경로를 따라 복수 조 배치되고,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이동하고, 상기 이동경로상에서 상호의 간격을 넓히거나 또는 좁히는 좌우 한 쌍의 그리퍼를 구비한 자루이송장치와, 상기 이동경로상의 정지위치인 자루공급위치의 근방에 설치되며, 빈자루를 대략 수직자세에서 상기 그리퍼에 공급하는 자루공급장치와, 상기 이동경로상의 정지위치인 개구위치의 근방에 설치되며, 상기 자루에 형성된 스파우트 부착부를 개구하는 개구장치와, 상기 이동경로상의 정지위치인 스파우트 삽입·가밀봉위치의 근방에 설치되며, 대략 연직으로 승강하고 또한 스파우트를 지지하는 스파우트 삽입부재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접리되는 한 쌍의 가밀봉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장치에 의하여 개구된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에 스파우트를 삽입하고, 이어서 상기 가밀봉부재에 의하여 상기 스파우트를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에 가밀봉하는 스파우트 삽입·가밀봉장치와, 상기 이동경로상의 정지위치인 스파우트 본밀봉위치의 근방에 설치되며,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접리되는 한 쌍의 본밀봉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본밀봉부재에 의하여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에 가밀봉된 상기 스파우트를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에 본밀봉하는 본밀봉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스파우트 부착 자루의 제조장치는, 필요에 따라 상기 이동경로상의 정지위치로서 상기 자루공급위치와 개구위치 사이에 상기 자루의 코너부 커트위치가 설정된다. 상기 코너부 커트위치의 근방에는 상기 코너부를 커트하여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를 형성하는 코너부 커트장치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관한 개구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스파우트 부착부의 개구공정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를 한 쌍의 흡착반에 의하여 흡착해서 개구하고, 계속하여 자루내에 가압기체를 흡입시켜서 자루를 팽창시키는 경우에, 상변부가 밀봉되어 있지않은 자루이더라도 가압기체에 의하여 자루를 충분하게 팽창시킬 수 있어 안정한 개구형상이 얻어지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스파우트 부착 자루의 제조장치의 평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스파우트 부착 자루의 제조장치에서 실시되는 일련의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3은, 도1의 스파우트 부착 자루의 제조장치에서 실시되는 개구공정의 각 스텝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4는, 그 개구공정에 있어서 계속되는 스텝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5는, 개구공정에서 사용되는 협지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다른 협지부재를 사용한 개구공정의 각 스텝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7은, 그 개구공정에 있어서 계속되는 스텝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8은, 또 다른 협지부재를 사용한 개구공정의 각 스텝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9는, 그 개구공정에 있어서 계속되는 스텝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0은, 종래의 개구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1 ∼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스파우트 부착 자루(spout 附着袋)의 공급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 ∼ 9에 있어서, 도10의 각 부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재, 부위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1에 나타내는 로터리식 스파우트 부착 자루의 제조장치(스파우트 부착기(spout 付着機))는, 간헐회전(間歇回轉)하는 테이블(10)의 주위에 좌우 한 쌍의 자루이송용 그리퍼(gripper)(7, 7)가 복수 쌍 설치된 자루이송장치(袋移送裝置)를 구비한다. 그리퍼(7, 7)는 원형의 이동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협지(挾持)된 자루를 원형의 이송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이송한다. 그리퍼(7, 7)는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에 소정의 타이밍에서 상호의 간격을 넓히거나 좁힌다. 또, 이 로터리식 스파우트 부착 자루의 제조장치는 소위 W형(2연형(2連型))으로서, 그리퍼(7, 7)는 2쌍이 1조가 되어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각 2쌍의 그리퍼(7, 7, 7, 7)가 협지한 2매의 자루에 대하여 동시에 스파우트를 부착하기 위한 각 공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파우트 부착 자루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경로상의 정지위치I(자루공급공정위치)의 근방에 자루공급장치(袋供給裝置)(15)가 배치되어 있다. 자루공급장치(15)는, 특허문헌1의 도1에 기재된 자루공급장치(빈자루저장장치(12), 자루취출장치(13), 제1공급장치(28), 제2공급장치(29))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것이며, 빈자루저장장치(空袋貯藏裝置)의 선단에 대략 수평자세에서 위치결정된 자루(1A)(코너가 커트되어 있지 않은 사각형의 자루)를 취하여 대략 수직자세로 변환함과 아울러 자루면을 따라 소정각도 회전시키고, 계속하여 자루면을 따라 소정거리 이동시켜서 그리퍼(7, 7)에 공급한다. 자루(1A)를 회전시키는 각도(θ)(도2(a) 참조)는 자루(1A)에 형성되는 스파우트 부착부(spout 附着部)(2)의 경사각도에 의하여 미리 정해져 있다. 그리퍼(7, 7)는 코너 선단으로부터 약간 떨어진 위치에서 상변부(上邊部)(6)와 측변부(側邊部)(3)를 협지한다(도10 참조). 또 자루공급장치(15)는 한번에 2매의 자루(1A)를 공급한다.
상기 이동경로상의 정지위치II(코너커트공정위치)의 근방에 코너커트장치(corner cut 裝置)(16)가 배치되어 있다. 코너커트장치(16)는 자루(1A)의 상변부(6)와 측변부(3)의 코너부(corner部)(17)(도2(a) 참조)를 수평면내에서 절단하여 스파우트 부착부(2)를 형성한다(도2(b) 참조). 코너 커트후의 자루가 자루(1)(도10에 나타내는 것과 동일)이다.
상기 이동경로상의 정지위치III(개구공정위치)의 근방에 개구장치(開口裝置)(18)가 배치되어 있다. 개구장치(18)는, 도2(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자루(1)의 양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접근·이격(接近·接離) 가능하게 된 한 쌍의 개구흡착반(開口吸着盤)(8, 8)(일방의 개구흡착반(8)만 나타낸다)과, 정지위치III에 정지된 자루(1)의 상방에 승강시킬 수 있도록 배치된 기체분출부재(9)(氣體噴出部材)와, 개폐가능한 협지부재(挾持部材)(19)를 구비한다. 한 쌍의 개구흡착반(8, 8) 및 기체분출부재(9)는 도10에 나타내는 것과 동일하다. 협지부재(19)는 상하방향을 따르는 협지면(挾持面)을 구비하고, 닫혔을 때에 상변부(6)측의 그리퍼(7)(도2(c)에 있어서 우측의 그리퍼(7))의 하방위치를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협지한다.
개구공정의 각 스텝에 대해서, 도3, 4를 참조해서 시계열적(時系列的)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도3(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리퍼(7, 7)에 협지된 자루(1)가 정지위치III에 정지하면, 한 쌍의 개구흡착반(8, 8)이 상호간의 간격을 좁혀서 자루(1)의 양면의 필름을 스파우트 부착부(2)의 근방에서 흡착한다. 이때에, 기체분출부재(9)는 상승하고, 협지부재(19)는 열려서 모두 자루(1)의 이송경로로부터 대피하고 있다.
(2) 한 쌍의 개구흡착반(8, 8)이 상호간의 간격을 넓히고, 동시에 그리퍼(7, 7)가 상호간의 간격을 좁힌다(도3(b) 참조). 이에 따라 자루(1)의 스파우트 부착부(2)가 개구된다.
(3) 다음에 도4(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체분출부재(9)가 하강하고, 헤드부(9a)의 하단이 스파우트 부착부(6)의 개구로부터 자루내에 삽입되어 스파우트 부착부(2)의 개구를 거의 막는다. 기체분출부재(9)의 하강과 동시에 또는 그 전후에, 협지부재(19)가 닫혀서 상변부(6)측의 그리퍼의 하방위치를 상하방향을 따라 자루(1)의 양면으로부터 가볍게 협지한다. 계속하여 기체분출부재(9)로부터 자루내에 가압기체가 흡입된다. 협지부재(19)가 상변부(6)측의 그리퍼의 하방위치를 대략 연직방향을 따라 측변부(4)에 도달하는 위치까지 협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이 가압기체의 탈로(脫路)(밀봉되어 있지않은 상변부(6))를 상당한 정도로 막는 모양이 되어, 가압기체가 상변부(6)로부터 자루 바깥으로 유출되는 것이 억제되고, 그 결과로서 가압기체가 자루(1)의 내부(도10에 나타내는 영역(14) 참조)에까지 진입하여 자루(1)의 거의 전체가 팽창된다.
또, 협지부재(19)가 자루(1)를 협지할 때에 걸리는 부하는, 자루(1)를 팽창시켰을 때 협지부재(19)의 협지면과 자루(1) 양면의 필름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정도로 설정된다. 따라서 자루(1)가 팽창함에 따라 협지된 부분을 통하여 자루(1)의 필름이 중심쪽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것은 자루(1)가 전체로서 비뚤어지거나 하지 않고 균등하게 그리고 부족함이 없이 팽창하는데에 도움이 된다.
(4) 기체분출부재(9)로부터 가압기체의 분출이 멈추고 이어서 기체분출부재(9)가 상승하며, 한 쌍의 흡착반(8, 8)의 흡착이 멈추고 이어서 한 쌍의 흡착반(8, 8)이 원래의 위치로 후퇴하며, 또한 협지부재(19)가 열려서(도4(b) 참조) 각각 자루(1)의 이송경로로부터 대피한다. 그래도 자루(1)가 충분히 팽창되어 있기 때문에, 스파우트 부착부(2)의 개구형상은 안정되어 있다. 이어서 그리퍼(7, 7)가 이동하고 자루(1)는 다음의 정지위치IV(스파우트 삽입·가밀봉 공정위치)를 향해서 이송된다.
상기 이동경로상의 정지위치IV(스파우트 삽입·가밀봉 공정위치)의 근방에 스파우트 공급 콘베이어(spout 供給 conveyor)(21), 부품공급기(parts feeder)(22) 및 스파우트 삽입·가밀봉장치(spout 揷入·臨時密封裝置)(23)가 배치되어 있다. 스파우트 삽입·가밀봉장치(23)는, 도2(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파우트 삽입부재(spout 揷入部材)(24)에 의하여 파지된 스파우트(25)를 스파우트 부착부(2)의 개구의 중심에 삽입하고, 이어서 한 쌍의 스파우트 가밀봉부재(spout 臨時密封部材)(열판(熱板))(26)에 의하여 스파우트(25)를 자루(1)의 바깥에서 협지해서 스파우트(25)를 자루(1)의 양면의 필름에 가밀봉한다. 또, 스파우트(25)의 삽입후에 그리퍼(7, 7)는 상호간의 간격을 넓히고 스파우트 부착부(2)의 개구는 닫힌다.
상기 이동경로상의 정지위치V(제1밀봉공정위치)의 근방에 제1밀봉장치(第1密封裝置)(27)가 배치되고, 정지위치VI(제2밀봉공정위치)의 근방에 제2밀봉장치(第2密封裝置)(28)가 배치되며, 정지위치VII(제3밀봉공정위치)의 근방에 제3밀봉장치(第3密封裝置)(29)가 배치되어 있다. 제1밀봉장치(27)는, 도2(e)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열판(31)에 의하여 자루(1) 및 스파우트(25)를 협지하고, 자루(1) 및 스파우트(25)에 대하여 본밀봉(本密封)(스파우트(25)를 자루(1)의 스파우트 부착부(2)의 양면의 필름에 밀봉하고 동시에 자루(1)의 스파우트 부착부(2)의 양면의 필름을 서로 밀봉)을 한다. 이 본밀봉공정은 제2밀봉장치(28) 및 제3밀봉장치(29)에서도 동일하게 실시된다. 다만 본밀봉공정을 1회만 할지, 복수 회 반복하여 하는 경우에 몇 회로 할지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이동경로상의 정지위치VIII(냉각공정위치)의 근방에 냉각장치(32)가 배치되어 있다. 냉각장치(32)는 한 쌍의 냉각판(33)에 의하여 자루(1) 및 스파우트(25)를 협지하여 자루(1) 및 스파우트(25)의 가열된 밀봉부를 냉각한다.
상기 이동경로상의 정지위치IX(배출공정위치)의 근방에 자루배출장치(袋排出裝置)(34) 및 콘베이어(35)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퍼(7, 7)가 열려서(도2(f) 참조) 자루배출장치(34)가 제품자루(스파우트 부착 자루(1B))를 2매 함께 수취(受取)하고, 계속하여 자루배출장치(34)가 스파우트 부착 자루(1B)를 콘베이어(35)상에 정렬시킨다. 콘베이어(35)상에서는 후속의 자루가 선행의 자루 밑으로 들어가서(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8-337217호 공보의 도7 참조), 자루폭의 1/3정도 자루의 폭방향으로 어긋난 상태에서 다수의 자루(1B)가 퇴적되어 있다. 콘베이어(35)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충전장치(充塡裝置)에 스파우트 부착 자루(1B)를 공급하는 콘베이어 매거진(conveyor magazine)의 콘베이어이며, 퇴적된 다수의 자루(1B)는 이대로 충전장치에 공급된다.
또 도1에 있어서 36은 제어장치(制御裝置)로서, 상기 자루이송장치(테이블(10) 및 그리퍼(7, 7) 등), 자루공급장치(15), 코너커트장치(16), 개구장치(18), 스파우트 삽입·가밀봉장치(23) 등, 도1에 나타내는 스파우트 부착 자루의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모든 장치를 제어한다.
도5는, 협지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에 나타내는 협지부재(37)는, 상변부(6)측의 그리퍼의 하방위치를 측변부(4)에 도달하는 위치까지 자루(1)의 양면으로부터 가볍게 협지하는 점에서 상기 협지부재(19)와 동일하지만, 상변부(6)와 거의 평행하게 되도록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협지부재(19)와 다르다. 이 협지부재(37)를 사용한 경우에도, 협지부재(19)와 마찬가지로, 가압기체의 탈로(밀봉되어 있지 않은 상변부(6))가 막히는 모양이 되어, 가압기체가 상변부(6)로부터 자루 바깥으로 유출되는 것이 억제되고, 그 결과로서 가압기체가 자루(1)의 내부에까지 진입하여 자루(1)의 거의 전체가 팽창된다. 어는 쪽이든 본 발명의 협지부재는, 가압기체가 상변부(6)로부터 자루 바깥으로 자유롭게 유출되는 것을 어느 정도 억제할 수 있고, 자루(1)가 부족함이 없이 팽창하는데에 도움이 되는 것이라면, 어떤 형태로 자루(1)를 협지하더라도 좋다.
도6, 7은, 다른 협지부재를 사용한 개구공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6, 7에 나타내는 개구공정에서는 좌우 한 쌍의 협지부재(38, 39)가 사용된다. 자루(1)와, 한 쌍의 개구흡착반(8, 8) 및 기체분출부재(9)에 대해서는, 도3, 4에 나타내는 것과 동일하다. 협지부재(38, 39)는 모두 상하방향을 따르는 협지면을 구비하고, 협지부재(38)는 닫혔을 때에 상변부(6)측의 그리퍼의 하방위치를, 협지부재(39)는 닫혔을 때에 측변부(3)측의 그리퍼의 하방위치를, 각각 자루(1)의 양면으로부터 협지한다.
개구공정의 각스텝에 대해서, 도6, 7을 참조해서 시계열적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도6(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리퍼(7, 7)에 협지된 자루(1)가 정지위치III에 정지하면, 한 쌍의 개구흡착반(8, 8)이 상호간의 간격을 좁혀서 자루(1)의 양면을 스파우트 부착부(2)의 근방에서 흡착한다. 이때, 기체분출부재(9)는 상승하고, 협지부재(38, 39)는 열려서 모두 자루(1)의 이송경로로부터 대피하고 있다.
(2) 한 쌍의 개구흡착반(8, 8)이 상호간의 간격을 넓히고, 동시에 그리퍼(7, 7)가 상호간의 간격을 좁힌다(도6(b) 참조). 이에 따라 자루(1)의 스파우트 부착부(2)가 개구된다.
(3) 다음에 도7(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체분출부재(9)가 하강하여 헤드부(9a)의 하단이 스파우트 부착부(6)의 개구로부터 자루내에 삽입되어 스파우트 부착부(2)의 개구를 거의 막는다. 기체분출부재(9)의 하강과 동시에 또는 그 전후에 협지부재(38, 39)가 닫히며, 협지부재(38)는 상변부(6)측의 그리퍼(7)의 하방위치를, 협지부재(39)는 측변부(3)측의 그리퍼(7)의 하방위치를, 각각 대략 연직방향을 따라 자루(1)의 양면으로부터 가볍게 협지한다. 자루(1)를 협지한 협지부재(38)의 하단은 측변부(4)에 도달하고 있다. 협지부재(38, 39)는 개구된 스파우트 부착부(2)의 양단위치의 하방을 상하방향을 따라 협지하고 있다고도 말할 수 있다. 계속하여 기체분출부재(9)로부터 자루내에 가압기체가 흡입된다. 자루(1)내의 협지부재(38, 39)에 협지된 영역(41)(개구된 스파우트 부착부(2)의 바로 아래 영역)에 가압기체가 들어가고, 한편 협지부재(38)가 상변부(6)측의 그리퍼의 하방위치를 협지해서 가압기체의 탈로(밀봉되어 있지 않은 상변부(6))를 상당한 정도로 막아 가압기체가 상변부(6)로부터 자루 바깥으로 유출되는 것이 억제되고, 그 결과로서 주로 상기 영역(41)이 팽창한다.
또, 협지부재(38, 39)가 자루(1)를 협지할 때에 걸리는 부하는, 협지부재(19)와 마찬가지로, 자루(1)를 팽창시켰을 때에 협지부재(19)의 협지면과 자루(1) 양면의 필름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정도로 설정된다. 따라서 자루(1)의 상기 영역(41)이 팽창함에 따라 협지된 부분을 통하여 자루(1)의 필름이 중심쪽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것은 자루(1)가 협지부재(38, 39)에 협지된 영역(41)에 있어서 부족함이 없이 팽창하는데에 도움이 된다.
(4) 기체분출부재(9)로부터의 가압기체의 분출이 멈추고 이어서 기체분출부재(9)가 상승하며, 한 쌍의 흡착반(8, 8)의 흡착이 멈추고 이어서 한 쌍의 흡착반(8, 8)이 원래의 위치로 후퇴하고, 또한 협지부재(38, 39)가 열려서 각각 자루(1)의 이송경로로부터 대피한다. 그래도 스파우트 부착부의 바로 아래영역(영역(41))이 상하방향을 따라 충분히(스파우트 부착부(2)의 개구형상과 동일한 정도로) 팽창되어 있기 때문에, 스파우트 부착부(2)의 개구형상은 안정되어 있다. 이어서 그리퍼(7, 7)가 이동하고 자루(1)는 다음의 정지위치IV(스파우트 삽입·가밀봉공정위치)를 향해서 이송된다.
도8, 9는, 다른 협지부재를 사용한 개구공정을 시계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8, 9에 나타내는 개구공정에서는 좌우 한 쌍의 협지부재(42, 43)가 사용된다. 자루(1)와, 한 쌍의 개구흡착반(8, 8) 및 기체분출부재(9)에 대해서는, 도6, 7에 나타내는 것과 동일하다. 협지부재(42, 43)는, 형상 및 배치가 상기 협지부재(38, 39)와 거의 동일하지만, 상호간의 간격을 넓히거나 또는 좁힐 수 있는 점에서 상기 협지부재(38, 39)와 다르다.
개구공정의 각 스텝에 대해서, 도8, 9를 참조해서 시계열적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도8(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리퍼(7, 7)에 협지된 자루(1)가 정지위치III에 정지하면, 한 쌍의 개구흡착반(8, 8)이 상호간의 간격을 좁혀서 자루(1) 양면의 필름을 스파우트 부착부(2)의 근방에서 흡착한다. 이때, 기체분출부재(9)는 상승하고, 협지부재(42, 43)는 열려서 모두 자루(1)의 이송경로로부터 대피하고 있다.
(2) 한 쌍의 개구흡착반(8, 8)이 상호간의 간격을 넓히고, 동시에 그리퍼(7, 7)가 상호간의 간격을 D0로부터 D1으로 좁힌다(도8(a), (b) 참조). 이에 따라 자루(1)의 스파우트 부착부(2)가 개구된다.
(3) 다음에 도9(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체분출부재(9)가 하강하고, 헤드부(9a)의 하단이 스파우트 부착부(6)의 개구로부터 자루내에 삽입되어 스파우트 부착부(2)를 거의 막는다. 기체분출부재(9)의 하강과 동시에 또는 그 전후에, 협지부재(42, 43)가 닫히며, 협지부재(42)는 상변부(6)측의 그리퍼(7)의 하방위치를, 협지부재(43)는 측변부(3)측의 그리퍼(7)의 하방위치를, 각각 대략 연직방향을 따라 자루(1)의 양면으로부터 협지한다. 협지부재(42, 43)는 개구된 스파우트 부착부(2)의 양단위치의 하방을 상하방향을 따라 협지하고 있다고도 말할 수 있다. 이상의 점은 협지부재(38, 39)와 동일하지만, 협지했을 때에 있어서 협지부재(42, 43) 상호간의 간격(d0)은, 상기 협지부재(38, 39)에 있어서 상호간의 간격보다 약간 넓게 설정되어 있다. 협지부재(42, 43)가 자루(1)를 협지할 때에 걸리는 부하는, 협지부재(38, 39)와 마찬가지로, 자루(1)를 팽창시켰을 때에 협지부재(42, 43)의 협지면과 자루(1) 양면의 필름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정도로 설정되더라도 좋고, 협지할 때의 부하를 협지부재(38, 39)보다 크게 하여 상기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게 하더라도 좋다.
(4) 계속하여 도9(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체분출부재(9)로부터 자루내에 가압기체가 흡입된다. 협지부재(42, 43)에 협지된 영역(44)(개구된 스파우트 부착부(2)의 바로 아래영역)에 가압기체가 들어가고, 한편 협지부재(42)가 상변부(6)측의 그리퍼의 하방위치를 협지해서 가압기체의 탈로(밀봉되어 있지 않은 상변부(6))를 상당한 정도로 막아 가압기체가 상변부(6)로부터 자루 바깥으로 유출되는 것이 억제되고, 그 결과로서 주로 상기 영역(44)이 팽창된다. 또한 가압기체의 분출과 타이밍을 맞추어 협지부재(42, 43)의 간격을 간격(d1)까지 좁힌다. 이때의 협지부재(42, 43)의 간격축소량(d0-d1)은 그리퍼(7, 7)의 간격축소량(D0-D1)과 거의 동등하게 설정하면 좋다.
협지부재(42, 43)가 자루(1)를 협지할 때에 걸리는 부하가 충분히 클 경우에, 자루(1)를 팽창시켰을 때에도 협지부재(19)의 협지면과 자루(1) 양면의 필름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 경우에도, 자루(1)의 팽창에 따라 협지부재(42, 43)의 간격이 좁아지기(d0→d1) 때문에, 자루(1)는 협지부재(42, 43)에 협지된 영역(44)에서 지장(支障)을 받지않고 팽창할 수 있다. 협지부재(42, 43)가 자루(1)를 협지할 때에 걸리는 부하가 작은 경우에도, 협지부재(42, 43)의 간격이 좁아지기 때문에 협지부재(42, 43)의 협지면과 자루(1) 양면의 필름 사이에 실질적인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5) 기체분출부재(9)로부터의 가압기체의 분출이 멈추고 이어서 기체분출부재(9)가 상승하며, 한 쌍의 흡착반(8, 8)의 흡착이 멈추고 이어서 한 쌍의 흡착반(8, 8)이 원래의 위치로 후퇴하며, 또한 협지부재(42, 43)가 열려서 모두 자루(1)의 이송경로로부터 대피한다. 그래도 스파우트 부착부의 바로 아래영역(영역(44))이 상하방향을 따라 충분히(스파우트 부착부(2)의 개구형상과 동일한 정도로) 팽창되어 있기 때문에, 스파우트 부착부(2)의 개구형상은 안정되어 있다. 이어서 그리퍼(7, 7)가 이동하고, 자루(1)는 다음의 정지위치IV(스파우트 삽입·가밀봉공정위치)를 향해서 이송된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스파우트 부착부의 개구방법과 장치 및 스파우트 부착 자루의 제조장치에 대해서 구체적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형태를 고려할 수 있다.
(1) 상기의 예에서는, 자루공급장치(15)로부터 그리퍼(7, 7)에 공급되는 자루(1)가, 코너가 커트되어 있지 않은 사각형의 자루(1A)였기 때문에, 스파우트 부착 자루의 제조장치에서 코너의 커트를 실시하여 코너에 스파우트 부착부(2)를 형성하고 있었지만,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처음부터 코너가 커트된 자루(자루(1))를 그리퍼(7, 7)에 공급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 경우에 자루(1)의 이송경로상에서 코너커트공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2) 상기의 예에서는, 자루공급장치(15)는 특허문헌1의 도1에 기재된 자루공급장치와 기본적으로 같은 것이라고 했지만,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4-043864호에 기재된 자루공급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자루공급장치는, 콘베이어 매거진(7)과, 콘베이어 매거진의 단부(端部)에 대략 수평자세에서 위치결정된 자루를 흡착해서 그대로 들어올려 전방으로 이송함과 아울러 수평면내에서 소정각도 회전시키는 회전이송장치(5)와, 회전이송장치로부터 자루를 받아 자루의 위치 및 각도(θ)를 다시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 콘베이어(6)와, 위치결정 콘베이어의 단부에 위치결정된 자루를 흡착반으로 흡착해서 들어올리고 계속해서 그 자루를 척(chuck)으로 바꾸어 들어 대략 수직자세로 변환해서 그리퍼(7, 7)에 공급하는 자루이송장치(57)로 이루어진다(괄호안은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4-043864호에 있어서의 부호를 나타낸다).
(3) 상기 스파우트 부착 자루의 제조장치는, 자루(1)에 스파우트(25)를 부착하는 것 뿐인 스파우트 부착기였지만, 동일한 장치내에서 자루(1)에 액상물을 충전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스파우트 부착후 계속해서 동일한 이송경로상에서(동일한 그리퍼(7, 7)에 의하여 협지한 채) 상변부(6)를 개구하고, 이어서 상변부(6)로부터 자루(1)내에 액상물을 충전하고, 충전후에 상변부(6)를 밀봉하게 된다. 이 경우에 제조되는 스파우트 부착 자루는 충전(充塡)이 완료된 자루가 된다.
(4) 상기의 예에서는, 개구흡착반(8, 8)에 의하여 스파우트 부착부(2)를 개구하고, 협지부재(19, 38, 39, 42, 43)를 닫아서 자루(1)를 협지한 후에 기체분출부재(9)로부터 가압기체를 분출했지만, 스파우트 부착부(2)의 개구전 또는 협지부재가 닫히기 전에 가압기체의 분출을 시작해도 좋다. 어느 쪽이든, 스파우트 부착부(2)의 개구, 협지부재에 의한 협지 및 가압기체의 분출시작의 타이밍은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5) 상기의 예에서는, 한 쌍의 협지부재(38, 39)는 동일한 타이밍에서 개폐되었지만, 개폐의 타이밍은 협지부재(38)와 협지부재(39)에서 서로 다르게 되어 있어도 좋다. 협지부재(42, 4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6) 상기의 예에서는, 기체분출부재(9)가 하강했을 때에 헤드부(9a)의 하단이 스파우트 부착부(6)의 개구내에 삽입되어 스파우트 부착부(2)의 개구를 거의 막도록 되어 있어, 스파우트 부착부(2)의 개구가 가압기체의 탈로가 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압기체에 의한 자루(1)의 팽창을 확실하게 하고 있지만, 이것은 필수적이지 않다. 기체분출부재(9)의 하단의 분출구가 스파우트 부착부(6)의 개구내에 삽입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1: 자루
2: 스파우트 부착부
3, 4: 자루의 측변부
6: 자루의 상변부
7: 그리퍼
8: 개구흡착반
9: 기체분출부재
18: 개구장치
19, 37, 38, 39, 42, 43: 협지부재
25: 스파우트

Claims (15)

  1. 상변부(上邊部)와 일방(一方)의 측변부(側邊部)의 코너부(corner部)가 커트(cut)되어 스파우트 부착부(spout 附着部)가 형성된 자루(袋)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의 양측을 좌우 한 쌍의 그리퍼(gripper)에 의하여 협지(挾持)하고,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가 수평이 되도록 상기 자루를 매달아서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하고, 그 이송의 과정에서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의 양면의 필름을 한 쌍의 흡착반(吸着盤)에 의하여 흡착하고, 이어서 상기 한 쌍의 흡착반의 간격을 넓혀서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를 개구한 후에, 기체분출부재(氣體噴出部材)에 의하여 자루내에 기체를 흡입시켜서 자루를 팽창시키는 스파우트 부착부의 개구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루는 상기 상변부가 밀봉되어 있지 않은 자루이며, 상기 기체분출부재에 의하여 자루내에 기체를 흡입시킬 때, 상기 상변부측을 협지하는 그리퍼의 하방위치를 협지부재(挾持部材)에 의하여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협지하여, 상기 자루내에 흡입된 기체가 상기 상변부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부착부의 개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를 팽창시켰을 때에 상기 협지부재의 협지면(挾持面)과 상기 필름의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부착부의 개구방법.
  3. 상변부와 일방의 측변부의 코너부가 커트되어 스파우트 부착부가 형성되고, 상호간의 간격을 넓히거나 또는 좁히는 좌우 한 쌍의 그리퍼에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의 양측이 협지되고,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가 수평이 되도록 매달려서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자루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를 개구하는 개구장치로서,
    상기 자루는 상변부가 밀봉되어 있지 않은 자루이며,
    상기 자루의 양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접근·이격(接近·離隔)되는 한 쌍의 개구흡착반(開口吸着盤)과, 상기 자루의 내부에 기체를 흡입시켜서 자루를 팽창시키는 기체분출부재와, 또한 개폐되는 협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협지부재는, 닫혔을 때에 상기 상변부측의 그리퍼의 하방위치를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협지하고, 열렸을 때에 상기 자루의 이송경로로부터 대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부착부의 개구장치.
  4. 상변부와 일방의 측변부의 코너부가 커트되어 스파우트 부착부가 형성되고, 상호간의 간격을 넓히거나 또는 좁히는 좌우 한 쌍의 그리퍼에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의 양측이 협지되고,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가 수평이 되도록 매달려서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자루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를 개구하는 개구장치로서,
    상기 자루는 상변부가 밀봉되어 있지 않은 자루이며,
    상기 자루의 양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접근·이격되는 한 쌍의 개구흡착반과, 상기 자루의 내부에 기체를 흡입시켜서 자루를 팽창시키는 기체분출부재와, 또한 좌우 한 쌍의 개폐되는 협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협지부재는, 모두 상하방향을 따르는 협지면을 구비하고, 상기 좌우 한 쌍의 협지부재중에서 일방(一方)은 닫혔을 때에 상기 상변부측의 그리퍼의 하방위치를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협지하고, 타방(他方)은 닫혔을 때에 상기 일방의 측변부측의 그리퍼의 하방위치를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협지하며, 열렸을 때에 모두 상기 자루의 이송경로로부터 대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부착부의 개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부재는, 상기 자루를 팽창시켰을 때에 상기 협지부재의 협지면과 자루 양면의 필름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정도의 부하(負荷)로 상기 자루를 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부착부의 개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부재는, 상기 자루를 팽창시켰을 때에 상기 협지부재의 협지면과 자루 양면의 필름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정도의 부하로 상기 자루를 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부착부의 개구장치.
  7. 상변부와 일방의 측변부의 코너부가 커트되어 스파우트 부착부가 형성되고, 상호간의 간격을 넓히거나 또는 좁히는 좌우 한 쌍의 그리퍼에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의 양측이 협지되고,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가 수평이 되도록 매달려서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자루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를 개구하는 개구장치로서,
    상기 자루는 상변부가 밀봉되어 있지 않은 자루이며,
    상기 자루의 양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접근·이격되는 한 쌍의 개구흡착반과, 상기 자루의 내부에 기체를 흡입시켜서 자루를 팽창시키는 기체분출부재와, 또한 상호간의 간격을 넓히거나 또는 좁히는 좌우 한 쌍의 개폐되는 협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협지부재는, 모두 상하방향을 따르는 협지면을 구비하고, 상기 좌우 한 쌍의 협지부재중에서 일방은 닫혔을 때에 상기 상변부측의 그리퍼의 하방위치를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협지하고, 타방은 닫혔을 때에 상기 일방의 측변부측의 그리퍼의 하방위치를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협지하며, 열렸을 때에 모두 상기 자루의 이송경로로부터 대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부착부의 개구장치.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분출부재는 승강가능하고, 상승위치에서는 자루 바깥으로 대피하고, 하강위치에서는 하단의 분출구(噴出口)가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로부터 자루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부착부의 개구장치.
  9. 소정의 이동경로를 따라 복수 조(組) 배치되며,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이동하고, 상기 이동경로상에서 상호간의 간격을 넓히거나 또는 좁히는 좌우 한 쌍의 그리퍼를 구비한 자루이송장치(袋移送裝置)와,
    상기 이동경로상의 정지위치인 자루공급위치의 근방에 설치되며, 빈자루를 수직자세에서 상기 그리퍼에 공급하는 자루공급장치(袋供給裝置)와,
    상기 이동경로상의 정지위치인 개구위치의 근방에 설치되며, 상기 자루에 형성된 스파우트 부착부를 개구하는 개구장치(開口裝置)와,
    상기 이동경로상의 정지위치인 스파우트 삽입·가밀봉위치의 근방에 설치되며, 연직으로 승강하고 또한 스파우트를 지지하는 스파우트 삽입부재(spout 揷入部材)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접근·이격되는 한 쌍의 가밀봉부재(臨時密封部材)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장치에 의하여 개구된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에 스파우트를 삽입하고, 이어서 상기 가밀봉부재에 의하여 상기 스파우트를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에 가밀봉하는 스파우트 삽입·가밀봉장치(spout 揷入·臨時密封裝置)와,
    상기 이동경로상의 정지위치인 스파우트 본밀봉위치의 근방에 설치되며,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접근·이격되는 한 쌍의 본밀봉부재(本密封部材)를 구비하고, 상기 본밀봉부재에 의하여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에 가밀봉된 상기 스파우트를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에 본밀봉하는 본밀봉장치(本密封裝置)를
    구비하고,
    상기 자루는 상변부가 밀봉되어 있지 않은 자루이며,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는 상기 상변부와 일방의 측변부의 코너부가 커트되어 형성된 부분이며, 상기 좌우 한 쌍의 그리퍼가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의 양측을 협지하여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가 수평이 되도록 상기 자루를 매다는 스파우트 부착 자루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구장치가, 상기 자루의 양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접근·이격되는 한 쌍의 개구흡착반과, 상기 자루의 내부에 기체를 흡입시켜서 자루를 팽창시키는 기체분출부재와, 또한 개폐되는 협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협지부재는, 닫혔을 때에 상기 상변부측의 그리퍼의 하방위치를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협지하고, 열렸을 때에 상기 자루의 이송경로로부터 대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부착 자루의 제조장치.
  10. 소정의 이동경로를 따라 복수 조 배치되며,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이동하고, 상기 이동경로상에서 상호간의 간격을 넓히거나 또는 좁히는 좌우 한 쌍의 그리퍼를 구비한 자루이송장치와,
    상기 이동경로상의 정지위치인 자루공급위치의 근방에 설치되며, 빈자루를 수직자세에서 상기 그리퍼에 공급하는 자루공급장치와,
    상기 이동경로상의 정지위치인 개구위치의 근방에 설치되며, 상기 자루에 형성된 스파우트 부착부를 개구하는 개구장치와,
    상기 이동경로상의 정지위치인 스파우트 삽입·가밀봉위치의 근방에 설치되며, 연직으로 승강하고 또한 스파우트를 지지하는 스파우트 삽입부재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접근·이격되는 한 쌍의 가밀봉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장치에 의하여 개구된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에 스파우트를 삽입하고, 이어서 상기 가밀봉부재에 의하여 상기 스파우트를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에 가밀봉하는 스파우트 삽입·가밀봉장치와,
    상기 이동경로상의 정지위치인 스파우트 본밀봉위치의 근방에 설치되며,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접근·이격되는 한 쌍의 본밀봉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본밀봉부재에 의하여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에 가밀봉된 상기 스파우트를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에 본밀봉하는 본밀봉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자루는 상변부가 밀봉되어 있지 않은 자루이며,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는 상기 상변부와 일방의 측변부의 코너부가 커트되어 형성된 부분이며, 상기 좌우 한 쌍의 그리퍼가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의 양측을 협지하여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가 수평이 되도록 상기 자루를 매다는 스파우트 부착 자루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구장치가, 상기 자루의 양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접근·이격되는 한 쌍의 개구흡착반과, 상기 자루의 내부에 기체를 흡입시켜서 자루를 팽창시키는 기체분출부재와, 또한 좌우 한 쌍의 개폐되는 협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협지부재는, 모두 상하방향을 따르는 협지면을 구비하고, 상기 좌우 한 쌍의 협지부재중에서 일방은 닫혔을 때에 상기 상변부측의 그리퍼의 하방위치를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협지하고, 타방은 닫혔을 때에 상기 일방의 측변부측의 그리퍼의 하방위치를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협지하며, 열렸을 때에 모두 상기 자루의 이송경로로부터 대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부착 자루의 제조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부재는, 상기 자루를 팽창시켰을 때에 상기 협지부재의 협지면과 자루 양면의 필름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정도의 부하로 상기 자루를 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부착 자루의 제조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부재는, 상기 자루를 팽창시켰을 때에 상기 협지부재의 협지면과 자루 양면의 필름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정도의 부하로 상기 자루를 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부착 자루의 제조장치.
  13. 소정의 이동경로를 따라 복수 조 배치되며, 상기 이동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이동하고, 상기 이동경로상에서 상호간의 간격을 넓히거나 또는 좁히는 좌우 한 쌍의 그리퍼를 구비한 자루이송장치와,
    상기 이동경로상의 정지위치인 자루공급위치의 근방에 설치되며, 빈자루를 수직자세에서 상기 그리퍼에 공급하는 자루공급장치와,
    상기 이동경로상의 정지위치인 개구위치의 근방에 설치되며, 상기 자루에 형성된 스파우트 부착부를 개구하는 개구장치와,
    상기 이동경로상의 정지위치인 스파우트 삽입·가밀봉위치의 근방에 설치되며, 연직으로 승강하고 또한 스파우트를 지지하는 스파우트 삽입부재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접근·이격되는 한 쌍의 가밀봉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장치에 의하여 개구된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에 스파우트를 삽입하고, 이어서 상기 가밀봉부재에 의하여 상기 스파우트를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에 가밀봉하는 스파우트 삽입·가밀봉장치와,
    상기 이동경로상의 정지위치인 스파우트 본밀봉위치의 근방에 설치되며,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접근·이격되는 한 쌍의 본밀봉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본밀봉부재에 의하여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에 가밀봉된 상기 스파우트를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에 본밀봉하는 본밀봉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자루는 상변부가 밀봉되어 있지 않은 자루이며,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는 상기 상변부와 일방의 측변부의 코너부가 커트되어 형성된 부분이며, 상기 좌우 한 쌍의 그리퍼가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의 양측을 협지하여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가 수평이 되도록 상기 자루를 매다는 스파우트 부착 자루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구장치가, 상기 자루의 양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접근·이격되는 한 쌍의 개구흡착반과, 상기 자루의 내부에 기체를 흡입시켜서 자루를 팽창시키는 기체분출부재와, 또한 상호간의 간격을 넓히거나 또는 좁히는 좌우 한 쌍의 개폐되는 협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협지부재는, 모두 상하방향을 따르는 협지면을 구비하고, 상기 좌우 한 쌍의 협지부재중에서 일방은 닫혔을 때에 상기 상변부측의 그리퍼의 하방위치를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협지하고, 타방은 닫혔을 때에 상기 일방의 측변부측의 그리퍼의 하방위치를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협지하며, 열렸을 때에 모두 상기 자루의 이송경로로부터 대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부착 자루의 제조장치.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분출부재는 승강가능하고, 상승위치에서는 자루 바깥으로 대피하고, 하강위치에서는 하단의 분출구가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로부터 자루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부착 자루의 제조장치.
  15.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경로상의 정지위치로서 상기 자루공급위치와 개구위치의 사이에 상기 자루의 코너부 커트위치가 설정되며, 상기 코너부 커트위치의 근방에 설치되고 상기 코너부를 커트해서 상기 스파우트 부착부를 형성하는 코너부 커트장치(corner部 cut裝置)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우트 부착 자루의 제조장치.
KR1020150077693A 2014-07-17 2015-06-02 자루의 스파우트 부착부를 개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213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46882A JP6315462B2 (ja) 2014-07-17 2014-07-17 袋のスパウト取付部を開口する方法及び装置
JPJP-P-2014-146882 2014-07-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568A true KR20160011568A (ko) 2016-02-01
KR102121378B1 KR102121378B1 (ko) 2020-06-10

Family

ID=53783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693A KR102121378B1 (ko) 2014-07-17 2015-06-02 자루의 스파우트 부착부를 개구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24919B2 (ko)
EP (1) EP2974856B1 (ko)
JP (1) JP6315462B2 (ko)
KR (1) KR102121378B1 (ko)
CN (1) CN105270682B (ko)
ES (1) ES2702224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537B1 (ko) * 2016-11-10 2018-06-08 김상근 비닐백의 주입구측 캡 자동 설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67282B1 (en) * 2015-03-13 2018-03-28 Ecolean AB Apparatus and method for filling a pouch type package
US10840121B2 (en) 2016-10-31 2020-11-17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unpacking semiconductor wafer container
WO2020205915A1 (en) * 2019-04-02 2020-10-08 Automated Packaging Systems, Llc Packaging machine for opening bags on a web of bag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7297094B2 (ja) * 2019-04-23 2023-06-23 スマート ボト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可撓性容器およびその中に付属品を設置するためのプロセス
JP2022534136A (ja) * 2019-05-22 2022-07-27 フレキシブル パッケージング カンパニー, エス.エル. 閉塞要素を備える予備成形された可撓性容器内へ製品をパッケージするための機械
CN112110086B (zh) * 2020-09-20 2022-04-22 海宁金都新能源有限公司 一种垃圾回收装置中的开袋机构
CN112265326B (zh) * 2020-09-25 2022-04-15 南京沪江复合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在线吨袋口切角机
JP2022070664A (ja) * 2020-10-27 2022-05-13 Pacraft株式会社 袋処理方法及び袋処理装置
NL2028767B1 (en) * 2021-07-16 2023-01-23 Dd Innovations B V Device for packaging of medicine-units
CN116062268B (zh) * 2023-03-06 2023-07-11 成都圣恩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包装袋拆封装置、拆封方法及炒料装置
CN117533561B (zh) * 2024-01-10 2024-03-26 河北云山化工集团有限公司 一种减小残留的乳化炸药包装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41947A1 (de) * 1984-11-16 1986-05-28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oeffnen eines flachbeutels
JPH0648401A (ja) * 1992-07-23 1994-02-22 Toyo Jidoki Co Ltd キヤツプ付注出口を有する袋の自動充填包装方法
JP2001315718A (ja) * 2000-02-23 2001-11-13 Toyo Jidoki Co Ltd 包装容器のシール部のシール方法、該シール方法に使用する熱処理板及びシール部の検査方法
US20140083061A1 (en) * 2012-09-26 2014-03-27 Toyo Jidoki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pout-Equipped Bags
JP5459114B2 (ja) 2010-07-07 2014-04-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包装袋の製造方法
KR20140080013A (ko) 2012-12-20 2014-06-30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방호네트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2004A (en) * 1969-08-22 1971-07-13 Riegel Paper Corp Bag-pressing members for packaging machine
GB1455348A (en) * 1974-07-18 1976-11-10 Smidth & Co As F L Rotary packer for filling sacks
US5606844A (en) * 1993-12-27 1997-03-04 Sumitomo Bakelite Company, Limited Process for producing a self-supporting package having an outlet stopper and an apparatus for producing said package
JPH08337217A (ja) 1995-06-09 1996-12-24 Toyo Jidoki Co Ltd 包装材補給装置
JP2001260255A (ja) * 2000-03-16 2001-09-25 Fine Device:Kk 重合シートの切断縁の開口方法
JP2002128025A (ja) 2000-10-26 2002-05-09 Toyo Jidoki Co Ltd 平袋を使用する袋詰め包装機における開袋装置及び開袋方法
JP4721024B2 (ja) * 2001-01-26 2011-07-13 不双産業株式会社 包装体製造装置
JP3902056B2 (ja) * 2002-04-22 2007-04-04 株式会社フジシールインターナショナル 口部材付き袋状容器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US7722254B2 (en) * 2002-10-30 2010-05-25 Pouch Pac Innovations, Llc Flexible pouch and method of forming a flexible pouch
ITPR20020078A1 (it) * 2002-12-20 2004-06-21 Procomac Spa Procedimento e dispositivo di apertura di un sacchetto flessibile.
US8181823B2 (en) * 2004-04-19 2012-05-22 Fuji Seal International, Inc. Pouch and method of producing pouch container with spout
JP4530882B2 (ja) * 2005-03-04 2010-08-25 東洋自動機株式会社 スパウト付き袋の製造方法
WO2008124472A1 (en) * 2007-04-03 2008-10-16 Pouch Pac Innovations, Llc Stand-up flexible pouch and method of forming
TW200914328A (en) * 2007-09-26 2009-04-01 Chieh-Hua Liao Inflation apparatus for continuously inflating type airtight body and inflating method thereof
SE531359C2 (sv) * 2007-09-28 2009-03-10 Ecolean Res & Dev As Metod för gasfyllning av ett handtagsparti hos en förpackning samt metod för att framställa en förpackning
CN201128496Y (zh) * 2007-12-27 2008-10-08 贾艳 自立袋开袋机
JP5197093B2 (ja) * 2008-03-28 2013-05-15 東洋自動機株式会社 空袋供給方法及び空袋供給装置
DE102011078975A1 (de) * 2011-07-11 2013-01-17 Böwe Systec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Öffnen einer Hülle
JP5913992B2 (ja) * 2012-01-12 2016-05-11 東洋自動機株式会社 袋口の開口方法及開口装置
JP2014043864A (ja) 2012-08-24 2014-03-13 Yamato Scient Co Ltd 免震装置用支持装置及び免震装置用支持装置付き免震装置
JP5996360B2 (ja) * 2012-10-12 2016-09-21 東洋自動機株式会社 袋詰め包装における袋口開口方法及び装置
JP6010487B2 (ja) * 2013-03-05 2016-10-19 東洋自動機株式会社 エアバッグ付き袋への気体封入方法及び気体封入装置
JP6140086B2 (ja) * 2014-02-06 2017-05-31 東洋自動機株式会社 袋移送装置
JP6243756B2 (ja) 2014-03-06 2017-12-06 東洋自動機株式会社 スパウト取付用袋の供給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41947A1 (de) * 1984-11-16 1986-05-28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oeffnen eines flachbeutels
JPH0648401A (ja) * 1992-07-23 1994-02-22 Toyo Jidoki Co Ltd キヤツプ付注出口を有する袋の自動充填包装方法
JP2001315718A (ja) * 2000-02-23 2001-11-13 Toyo Jidoki Co Ltd 包装容器のシール部のシール方法、該シール方法に使用する熱処理板及びシール部の検査方法
JP5459114B2 (ja) 2010-07-07 2014-04-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包装袋の製造方法
US20140083061A1 (en) * 2012-09-26 2014-03-27 Toyo Jidoki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pout-Equipped Bags
KR20140080013A (ko) 2012-12-20 2014-06-30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방호네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537B1 (ko) * 2016-11-10 2018-06-08 김상근 비닐백의 주입구측 캡 자동 설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702224T3 (es) 2019-02-28
JP6315462B2 (ja) 2018-04-25
JP2016022961A (ja) 2016-02-08
EP2974856A1 (en) 2016-01-20
CN105270682B (zh) 2019-04-12
US10124919B2 (en) 2018-11-13
US20160016693A1 (en) 2016-01-21
CN105270682A (zh) 2016-01-27
EP2974856B1 (en) 2018-10-10
KR102121378B1 (ko) 202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1568A (ko) 자루의 스파우트 부착부를 개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77871B1 (ko)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및 기체봉입장치
JP6173957B2 (ja) 袋詰め包装方法及び袋詰め包装機
KR101805208B1 (ko) 봉지입구의 개구방법 및 개구장치
KR101875719B1 (ko)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및 기체봉입장치
KR101899771B1 (ko)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및 기체봉입장치
KR101911862B1 (ko) 에어백 부착 자루의 에어백부의 기체압력검사장치
KR20160029676A (ko) 기체유로 부착 자루와 자루의 포장방법 및 장치
KR102232917B1 (ko) 초음파 밀봉방법 및 장치
CN106005501A (zh) 使用二连袋的装袋包装方法及装置
JP2014189332A5 (ko)
JP2016120951A (ja) 袋の包装方法及び包装用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