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1862B1 - 에어백 부착 자루의 에어백부의 기체압력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 부착 자루의 에어백부의 기체압력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1862B1
KR101911862B1 KR1020140025803A KR20140025803A KR101911862B1 KR 101911862 B1 KR101911862 B1 KR 101911862B1 KR 1020140025803 A KR1020140025803 A KR 1020140025803A KR 20140025803 A KR20140025803 A KR 20140025803A KR 101911862 B1 KR101911862 B1 KR 101911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airbag
gas
air bag
pres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5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1255A (ko
Inventor
도루 요시카네
쇼타 모리시게
Original Assignee
도요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31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1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4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 B65B31/046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the nozzles co-operating, or being combined, with a device for opening or closing the container or wrapper
    • B65B31/048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the nozzles co-operating, or being combined, with a device for opening or closing the container or wrapper specially adapted for wrapper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46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 B65B43/465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f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3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change in dimensions of the structure being tested
    • G01M3/363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change in dimensions of the structure being tested the structure being removably mounted in a test cell

Abstract

(과제)
에어백 부착 자루(1)의 에어백부(6)내에 봉입되는 기체의 압력을 개개의 자루마다 인라인에서 검사할 수 있는 기체압력검사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기체압력검사장치(35)는, 에어백 부착 자루(1)의 일방의 측에 배치된 가압부재(31)와, 에어백부(6)의 배면측의 수용위치에 위치결정되는 수용부재(38)와, 가압부재(3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9)와, 지지부재(39)를 일정한 스트로크로 진퇴시키는 에어실린더(41)와, 거리 센서(32)를 포함한다. 가압부재(31)는 에어실린더(44)에 의하여 전방으로 일정한 힘으로서 가압되어 있다. 에어실린더(41)가 작동하여 가압부재(31)가 전진하고, 수용부재(38)와의 사이에서 에어백부(6)를 협지한다. 거리 센서(32)가 그때의 가압부재(31)와의 거리(D)를 측정하여 제어장치(37)로 거리신호를 보낸다. 제어장치(37)는, 거리(D)로부터 에어백부(6)내에 봉입된 기체의 압력이 설정범위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Description

에어백 부착 자루의 에어백부의 기체압력검사장치{GAS PRESSURE TESTING DEVICE FOR THE AIR BAG PORTION OF THE BAG WITH AIR BAG}
본 발명은, 에어백 부착 자루의 에어백부(air bag部)에 봉입된 기체의 압력이 규정의 범위내인지의 여부를 검사하는 기체압력검사장치(氣體壓力檢査裝置)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자루라 함은 자루는 물론 포대, 봉지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고, 이들을 혼용하는 경우도 있다.
특허문헌1에는 기체봉입장치(氣體封入裝置)를 포함하는 로터리식 포장기(rotary式 包裝機)가 기재되어 있다. 이 로터리식 포장기는, 에어백 부착 자루를 원형의 이송경로(移送經路)를 따라 간헐적(間歇的)으로 이송하는 좌우 한 쌍의 자루이송용의 그리퍼(gripper)를 복수조(複數組) 구비하고, 에어백 부착 자루의 양쪽 테두리 상부를 상기 그리퍼로 협지하여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하고, 그 이송의 과정에서 자루내에 피포장물(被包裝物)을 충전(充塡)하고, 상기 에어백부에 기체를 분출하고, 이어서 자루입구를 밀봉하여 피포장물을 자루내에 밀봉함과 동시에 기체를 에어백부내에 봉입한다. 특허문헌2에도 기체봉입장치의 일부가 기재되어 있다.
에어백부는, 자루의 측면 테두리의 밀봉부(密封部)(융착부(融着部))의 표리면(表裏面)을 구성하는 필름 사이에 세로방향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밀봉부에 있어서, 에어백부는 표리면을 구성하는 필름 상호간이 밀봉(융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다.
에어백부는 자루에 보형성(保形性)이나 자립성(自立性)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에어백부에 가압기체(加壓氣體)를 봉입함으로써 자루에 보형성이나 자립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가압기체를 봉입한 에어백부는, 예를 들면 자루로부터 피포장물을 꺼낼 때의 손잡이부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특허문헌1 : 일본국 특허 제4771785호 공보 특허문헌2 : 일본국 특허 제5104073호 공보
특허문헌1, 2에는 개시되어 있지 않지만, 에어백부내에 봉입되는 기체의 압력은 소정의 범위내에 넣어져 있을 필요가 있다. 즉 에어백부에 봉입된 기체의 압력이 지나치게 낮으면, 자루에 보형성이나 자립성을 부여한다는 에어백부의 본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또한 봉입된 기체의 압력이 지나치게 낮으면, 에어백부를 손잡이부로서 이용할 수 없다. 반대로 에어백부에 봉입된 기체의 압력이 지나치게 높으면, 그 압력에 의하여 에어백부(미 밀봉부(未 密封部)) 주변의 밀봉부가 박리(剝離)되어 포장제품으로서 볼품이 저하된다.
에어백부에 봉입되는 기체의 압력을 상기 소정의 범위내에 넣기 위해서는, 기체봉입장치의 노즐(nozzle)로부터 분출되는 기체의 압력외에, 압축 스프링의 스프링 정수(spring 定數)(특허문헌1의 압축 스프링(18) 참조)나 노즐과 수용부재(受容部材)의 간격(특허문헌2의 도5 참조) 등의 분사조건을 미리 시험을 반복하여 엄밀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실제의 조업(操業)에 들어가서부터 에어백부에 봉입된 기체의 압력이 상기 목표의 범위내에서 벗어난 포장제품(불량품)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에어백부내에 봉입되는 기체의 압력을 개개의 자루마다 인라인(in-line)에서(기체충전공정이나 기체봉입공정과 동일한 이송경로상에서) 즉시 검사할 수 있으면, 이러한 불량품을 발생시마다 용이하게 배제할 수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분사조건을 조정하여 불량품의 발생을 억제할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현재에 그러한 검사장치는 존재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현재의 상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에어백부내에 봉입되는 기체의 압력을 개개의 자루마다 인라인에서 검사할 수 있는 기체압력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기체압력검사장치는, 자루의 측면 테두리의 밀봉부에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어백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에어백 부착 자루의 상기 에어백부에 충전된 기체의 압력을 검사하는 것으로서, 측정장치와 제어장치로 이루어진다. 측정장치는, 양쪽 테두리 상부가 한 쌍의 그리퍼로 협지되어 매달린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의 일방의 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의 두께방향으로 진퇴하고, 전진했을 때에 상기 에어백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재,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의 타방의 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에어백부의 배면측의 소정의 수용위치에 위치결정되는 수용부재, 상기 가압부재의 후방측에서 상기 가압부재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전방으로 가압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를 일정한 스트로크로 진퇴시키는 구동원 및 상기 가압부재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원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재와 함께 진퇴하고, 상기 가압부재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원이 상기 지지부재를 전진시켰을 때에, 상기 가압부재가 전진하여 상기 수용위치에 위치결정된 수용부재와의 사이에서 상기 에어백부를 협압한다. 상기 거리 센서는, 그때의 가압부재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제어장치는, 상기 거리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에어백부에 충전된 기체의 압력이 설정범위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 기체압력검사장치는, 예를 들면 이하에 열거하는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취할 수 있다.
(1)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구동원에 연결된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에 설치된 에어실린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부재에 상기 거리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에어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상기 가압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에어실린더는 피스톤로드와는 반대측의 실린더실에 소정의 압력의 가압 에어가 유입되어 있다.
(2) 상기 수용부재가 상기 수용위치와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로부터 멀어진 대피위치 사이를 소정의 타이밍에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3)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거리가 소정의 범위내에 있는지의 여부에 의하여 에어백부의 기체의 압력이 상기 설정범위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4) 상기 기체압력검사장치를 기체봉입장치의 일부로서 설치한다. 이 기체봉입장치는, 자루의 측면 테두리의 밀봉부에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어백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부의 기체유입부의 필름에 에어백부내와 자루외를 통하게 하는 슬릿 또는 구멍이 형성된 에어백 부착 자루의 양쪽 테두리 상부를 협지하여 이동하고,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를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좌우 한 쌍의 자루이송용 그리퍼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를 상기 이송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을 통하여 상기 에어백부내에 기체를 분출하고, 이어서 상기 에어백부내에 봉입한다. 상기 기체압력검사장치의 측정장치가 상기 이송경로상의 소정의 정지위치의 근방에 배치된다.
(5) 상기 기체압력검사장치를 로터리식 포장장치의 일부로서 설치한다.
이 로터리식 포장장치는, 자루의 측면 테두리의 밀봉부에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어백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부의 기체유입부의 필름에 에어백부내와 자루외를 통하게 하는 슬릿 또는 구멍이 형성된 에어백 부착 자루의 양쪽 테두리 상부를 협지하여 이동하고,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를 원형의 이송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좌우 한 쌍의 자루이송용 그리퍼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를 상기 이송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에 피포장물을 충전함과 아울러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을 통하여 상기 에어백부내에 기체를 분출하고, 이어서 상기 에어백부내에 봉입한다. 상기 기체압력검사장치의 측정장치가 상기 이송경로상의 소정의 정지위치의 근방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관한 기체압력검사장치의 측정장치는 소형이며, 이것을 에어백 부착 자루의 이송경로상의 소정의 정지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에어백부내에 봉입되는 기체의 압력을 개개의 자루마다 인라인에서 검사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에어백 부착 자루의 정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기체압력검사장치를 포함하는 로터리식 포장장치의 도식적인 사시도이다.
도3은 그 로터리식 포장장치에 의하여 실시하는 기체봉입방법을 공정순으로 설명하는 측면도(a)∼(d)이다.
도4는 그 계속인 공정을 공정순으로 설명하는 측면도(a)∼(d)이다.
도5는 또한 그 계속인 공정을 공정순으로 설명하는 측면도(a)∼(c)이다.
도6은 기체압력검사장치와 기체압력검사공정을 설명하는 측면도(측정전)이다.
도7은 마찬가지로 기체압력검사장치와 기체압력검사공정을 설명하는 측면도(측정후)이다.
도8은 기체압력검사장치(주요부만)의 정면도이다.
도9는 도8의 A-A 단면도이다.
도10은 자루이송용 그리퍼의 구조 및 기능을 설명하는 주요부 확대정면도이다.
도11은 마찬가지로 자루이송용 그리퍼의 주요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12는 기체분출공정을 설명하는 주요부 확대평면도(a)∼(c)이다.
이하, 도1∼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기체압력검사장치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1에 에어백 부착 자루(1)를 나타낸다. 자루(1)는 바닥 거싯 방식(bottom gusset 方式)의 자립자루(自立袋)로서, 표리양면의 필름과 꺽어 접어진 바닥부의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자루(1)의 상부영역(X)에서는, 양쪽 테두리에 있어서 자루(1)의 표리양면의 필름 상호간이 접착하여 밀봉부(2, 3)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테두리는 표리양면의 필름이 접착되어 있지 않고, 개구된 자루입구(4)가 되어 있다. 자루(1)의 하부영역(Y)에서는, 양쪽 테두리에 있어서 표리양면의 필름이 바닥부의 필름을 사이에 두고 접착하고, 또한 바닥부의 필름 자체도 접어 넣어진 내측에서 접착하고, 중앙부에 있어서 표리양면의 필름이 각각 바닥부의 필름과 접착하여(바닥부의 필름 상호간은 접착하지 않고 있다) 밀봉부(5)가 형성되어 있다. 밀봉부(2, 3, 5)를 도1에 사선으로 나타낸다.
밀봉부(2)의 일부에 표리양면의 필름 상호간이 접착하지 않고 있는 비접착부(에어백부)(6)가 형성되어 있다.
에어백부(6)는, 표리양면의 필름(7, 8)(도12(b) 참조)을 열밀봉(접착)할 때에 가압하지 않고 밀봉하다가 남긴 부분으로서, 자루입구(4)(밀봉부(2)의 상단) 근방으로부터 하방(下方)의 세로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어서 닫힌 윤곽(輪郭)을 구비하고, 그 상단 근방의 표리양면의 필름(7, 8)에 에어백부(6)내와 자루외를 통하게 하는 십자(十字)의 슬릿(9)이 형성되어 있다. 에어백부(6)에는, 중심에 슬릿(9)이 형성된 원형의 기체유입부(氣體流入部)(6a)에 이어서 소정의 길이에 걸쳐 잘록한 협폭부(挾幅部)(6b)가 형성되고, 그 하방이 폭이 넓은 본체부(本體部)(6c)가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1)에 피포장물을 충전하는 로터리식 포장장치(rotary式 包裝裝置)에 대해서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로터리식 포장장치에는 기체봉입장치(氣體封入裝置) 및 기체압력검사장치(氣體壓力檢査裝置)가 포함된다.
도2에 나타내는 로터리식 포장장치는, 특허문헌1의 도5에 기재된 로터리식 포장장치와 마찬가지로 간헐회전(間歇回轉)하는 테이블의 주위에 좌우 한 쌍의 자루이송용 그리퍼(11, 12)가 여러 쌍,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공급된 에어백 부착 자루(1)의 양쪽 테두리 상부를 협지하여 매달아서 테이블이 간헐회전하는데 따라 간헐이동하여, 에어백 부착 자루(1)를 원형의 이송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이송한다. 그리퍼(11, 12)가 정지하는 각 정지위치(정지위치(I∼VIII))에서는, 그리퍼(11, 12)에 대한 에어백 부착 자루(1)의 공급에 이어, 그리퍼(11, 12)로 협지된 에어백 부착 자루(1)에 대하여 자루입구의 개구(開口), 피포장물의 충전(充塡) 및 자루입구의 밀봉 등의 각 포장공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고, 아울러 상기 기체봉입장치에 의하여 에어백부(6)에 대한 기체의 충전 및 봉입공정이 실시되고, 또한 상기 기체압력검사장치에 의하여 에어백부(6)에 충전된 기체의 압력검사공정이 실시된다.
한 쌍의 그리퍼(11, 12)중에 일방(一方)의 그리퍼(11)는, 한 쌍의 그립편(grip片)(13, 14)을 구비하고, 외측의 그립편(13)은 정면에서 볼 때에 대략 ㄷ자 형상을 이루고(도10 참조), 한편 내측의 그립편(14)은 정면에서 볼 때에 대략 사각형 형상을 이루어(도2 참조), 그 윤곽이 그립편(13)의 외형과 거의 일치한다. 그리퍼(11)는, 그립편(13)의 상하의 횡행부(橫行部)(13a, 13b)와 그립편(14)에 의하여 에어백부(6)가 형성된 측면 테두리의 밀봉부(2)를 표리양면으로부터 협지한다. 그립편(13)의 상하의 횡행부(13a, 13b)의 협지면(13A)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는 얕은 홈(groove)(15)이 형성되고(도10, 도11 참조), 그립편(14)의 협지면(14A)측은 홈 등은 없고 실질적으로 평탄(平坦)하다. 자루이송용 그리퍼(11)(그립편(13, 14))가 협지하는 부위는, 밀봉부(2)에 형성된 에어백부(6)의 기체유입부(6a)의 근방이며, 그립편(13)의 상하의 횡행부(13a, 13b)와 그립편(14)이 협폭부(6b)를 수평으로 횡단하는 형태로 협지한다. 다만 자루이송용 그리퍼(11)가 닫혔을 때에, 상기 홈(15)이 협폭부(6b)를 협지하는 위치에 있으며, 협폭부(6b)에 있어서 그립편(13, 14)의 대향면 상호간의 간격(J)(도11 참조)은, 에어백부(6)의 표리양면의 필름의 두께(K)보다 홈(15)의 깊이만큼 넓어지고 있다. 즉 자루이송용 그리퍼(11)가 닫혔을 때도, 그립편(13, 14)은 협폭부(6b)를 서로 소정의 간격(J)을 두고 협지할 뿐이고, 상기 협폭부(6b)만은 협지하고 있지 않다.
자루(1)의 타방(他方)의 측면 테두리의 밀봉부(3)는, 통상의 자루이송용 그리퍼(12)(특허문헌1의 그리퍼(8)과 같은)에 의하여 협지된다.
각 쌍의 그리퍼(11, 12)에 대응하여 1개씩, 차단용 그리퍼(16)가 그립편(14)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그리퍼(11, 12)와 함께 이동하고, 소정의 타이밍에 개폐한다. 차단용 그리퍼(16)가 닫혔을 때에, 상기 차단용 그리퍼(16)는 그립편(13)의 상하의 횡행부(13a, 13b) 사이에 들어가, 그립편(14)과의 사이에서 에어백부(6)의 협폭부(6b)를 표리양면으로부터 협지한다. 차단용 그리퍼(16)가 협지하는 협폭부(6b)의 이 부위를 본 발명에서는 차단부위(遮斷部位)라고 한다.
상기 로터리식 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경로의 정지위치(I)에 컨베이어 매거진식급 자루장치(17)가 배치되고, 정지위치(II)에 인쇄장치(印刷裝置)(헤드부(18)만 나타낸다)가 배치되고, 정지위치(III)에 개구장치(開口裝置)(흡입반(吸入盤)(19) 및 개구 헤드(21)만 나타낸다)가 배치되고, 정지위치(IV)에 충전장치(充塡裝置)(노즐부(22)만 나타낸다)가 배치되고, 정지위치(VII)에 밀봉장치(密封裝置)(한 쌍의 열판(熱板)(23, 23)만 나타낸다)가 배치되고, 정지위치(VIII)에 냉각장치(冷却裝置)(한 쌍의 냉각판(24, 24)만 나타낸다)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체봉입장치의 일부로서, 정지위치(IV)에 예비가열장치(豫備加熱裝置)(가열기체분사용 노즐(25)만 나타낸다)가 배치되고, 정지위치(V)에 예비기체분출장치(豫備氣體噴出裝置)(예비기체분출용 노즐(26)과 수용부재(27)만 나타낸다)가 배치되고, 정지위치(VI)에 기체분출장치(한 쌍의 기체분출용 노즐(28, 29)만 나타낸다)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체압력검사장치의 일부로서, 정지위치(VII)에 측정장치(測定裝置)(가압부재(加壓部材)(31) 및 거리 센서(距離 sensor)(32)만 나타낸다)가 배치된다.
도1에 나타내는 에어백 부착 자루(1) 및 도2에 나타내는 로터리식 포장장치(기체봉입장치 및 기체압력검사장치를 포함한다)를 사용한 포장방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1) 정지위치(I)(자루공급공정위치)에 있어서, 컨베이어 매거진식급 자루장치(17)로부터 에어백 부착 자루(1)가 그리퍼(11, 12)에 공급되어, 그리퍼(11, 12)가 밀봉부(2, 3)의 소정의 위치를 표리양면으로부터 협지한다. 이때에 에어백부(6)는, 그 협폭부(6b)가 그리퍼(11)에 의하여 협지된다. 그 상태를 도3(a), 도10, 도11에 나타낸다. 이때에 차단용 그리퍼(16)는 열려 있다.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에어백부(6)의 협폭부(6b)를 협지하는 그립편(13, 14)의 협지면(13A, 14A) 상호간에, 홈(15)에 대응하여 간격(J)이 형성되어 있다.
(2) 정지위치(II)(인쇄공정위치)에 있어서, 인쇄장치에 의하여 자루면에 대한 인쇄가 이루어진다.
(3) 정지위치(III)(개구공정위치)에 있어서, 개구장치에 의하여 자루의 개구가 이루어진다. 개구장치의 한 쌍의 흡입반(19, 19)은 에어백 부착 자루(1)를 향해서 진퇴하고, 전진하여 에어백 부착 자루(1)의 양면을 흡착하고, 그대로 후퇴하여 자루입구를 개구한다. 개구 헤드(21)는 에어백 부착 자루(1)의 상방(上方)으로 승강하고, 하강했을 때에 하단(下端)이 개구된 자루입구로부터 자루내로 들어가 에어(air)를 자루내로 분출한다.
(4) 정지위치(IV)(피포장물 충전공정 및 예비가열공정위치)에 있어서, 충전장치에 의하여 액상물(液狀物)의 충전이 이루어진다(도8에 나타내는 피포장물(33) 참조). 충전장치의 노즐부(22)는 에어백 부착 자루(1)의 상방으로 승강하고, 하강했을 때에 자루입구로부터 자루내로 삽입되어 액상물을 자루내에 충전한다.
또한 이 정지위치(IV)에는, 에어백 부착 자루(1)의 이송경로의 근방에 예비가열장치의 일부인 가열기체분사용 노즐(25)이 설치되어, 에어백 부착 자루(1)의 에어백부(6)를 가열하는 예비가열공정이 이루어진다. 가열기체분사용 노즐(25)은 팬(fan)과 가열원(加熱源)에 접속되어, 분사개구가 정지위치(IV)에 정지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1)의 에어백부(6)를 향하고 있다. 가열기체분사용 노즐(25)은, 상기 분사개구로부터 핫 에어(hot air)(가열기체)를 분출하여 에어백부(6)에 분사하고, 주로(또는 전부가) 열가소성수지 필름(熱可塑性樹脂 film)으로 이루어지는 에어백 부착 자루(1)의 에어백부(6)를 가열하여, 에어백부(6)를 구성하는 필름을 연화(軟化)시킨다.
(5) 정지위치(V)(예비기체분출공정위치)에는, 에어백 부착 자루(1)의 이송경로의 근방에 예비기체분출장치의 일부인 예비기체분출용 노즐(26) 및 수용부재(27)가 설치되어, 에어백 부착 자루(1)의 에어백부(6)에 기체를 분출하는 예비기체분출공정이 이루어진다. 예비기체분출용 노즐(26)은,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절환밸브(切換 valve) 등을 통하여 압력기체공급원에 접속되어, 대기위치와 전진위치 사이를 에어백 부착 자루(1)의 자루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진퇴하고, 전진위치에 있어서 선단(先端)의 분출구(26a)가 슬릿(9)에 대어진다. 수용부재(27)는, 에어백 부착 자루(1)를 사이에 두고 노즐(26)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대기위치와 전진위치 사이를 노즐(26)과 동일한 방향의 역방향으로 진퇴하고, 전진위치에 있어서 노즐(26)의 분출구(26a)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에어백 부착 자루(1)의 배면측을 지지한다. 수용부재(27)의 선단에 오목부(27a)가 형성되어 있다. 노즐(26)은 압축 스프링(34)에 의하여 전방(前方)으로 가압되어 있다.
도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자루(1)가 정지위치(V)에 정지했을 때에, 예비기체분출용 노즐(26) 및 수용부재(27)는 후퇴하여 대기위치에 있다. 이어서 도3(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예비기체분출용 노즐(26) 및 수용부재(27)가 함께 전진위치에 와서, 예비기체분출용 노즐(26)의 선단의 분출구(26a)가 기체유입부(6a)에 접촉하고, 그 배면에서 수용부재(27)가 기체유입부(6a)에 접촉하여, 동시에 예비기체분출용 노즐(26)의 선단으로부터 가압기체가 분출되어 슬릿(9)을 통하여 기체가 에어백부(6)내로 분출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에어백부(6)의 협폭부(6b)는, 자루이송용 그리퍼(11)의 그립편(13, 14)에 의하여 협지되어 있지 않기(간격(J)을 두고 끼워져 있을 뿐) 때문에, 상기 협폭부(6b)를 통해서 하방의 본체부(6c)에도 기체가 흐른다.
기체분출중에 에어압(air壓)에 의하여 예비기체분출용 노즐(26)은 압축 스프링(34)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약간 후퇴하고, 이에 따라 에어백부(6)의 기체유입부(6a)가 팽창해서 상기 기체유입부(6a)를 구성하는 표리의 필름(7, 8)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여, 예비기체분출용 노즐(26)측의 슬릿(9)을 통하여 기체가 에어백부(6)내로 분출된다. 이 동안에 수용부재(27)는 에어백 부착 자루(1)의 배면측을 지지하고 있다. 수용부재(27)의 선단에 오목부(27a)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기체유입부(6a)가 배면측(수용부재(27)측)에서도 팽창하여 예비기체분출용 노즐(26)측의 슬릿(9)을 통한 기체의 유입이 촉진된다.
이 예비기체분출공정에 있어서 슬릿(9)으로부터 에어백부(6)의 기체유입부(6a)로 들어간 가압기체는, 협폭부(6b)를 통해서 본체부(6c)로 들어가 에어백부(6) 전체를 팽창시킨다.
또 에어백부(6)를 구성하는 표리의 필름(7, 8) 상호간이 정전기 등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견고하게 밀착되어 있을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예비기체분출용 노즐(26)로부터 분출된 가압기체는, 슬릿(9)으로부터 에어백부(6)의 기체유입부(6a)로 들어가 밀착된 표리양면의 필름(7, 8)을 떼어내어 펴 넓혀서 상기 기체유입부(6a)를 팽창시키고, 이어서 협폭부(6b)로 들어가 마찬가지로 밀착된 표리양면의 필름(7, 8)을 떼어내어 펴 넓혀서 상기 협폭부(6b)를 팽창시키고, 본체부(6c)로 더 들어가 밀착된 표리양면의 필름(7, 8)을 떼어내어 펴 넓혀서 상기 본체부(6c)를 팽창시켜, 에어백부(6)의 전부 또는 대부분에 있어서 표리양면의 필름(7, 8) 상호간의 밀착상태를 떼어낸다. 이전 공정의 예비가열공정에서 에어백부(6)의 필름(7, 8)을 연화시킨 것이, 이 밀착상태를 떼어내는데 도움이 된다.
이어서 도3(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예비기체분출용 노즐(26) 및 수용부재(27)를 후퇴시켜 가압기체의 분출을 중지하면, 에어백부(6)내에 분출된 기체는 슬릿(9)으로부터 즉시 유출되고, 일단 팽창하고 있었던 에어백부(6)는 수축하여 원래와 같이 평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에어백 부착 자루(1)는 다음의 정지위치(VI)로 이송된다.
(6) 정지위치(VI)(기체충전공정위치)에는, 에어백 부착 자루(1)의 이송경로의 근방에 기체분출장치의 일부인 기체분출용 노즐(28, 29)이 설치되고, 상기 기체분출용 노즐(28, 29)에 의하여 에어백 부착 자루(1)의 에어백부(6)에 기체를 분출하고, 이어서 차단용 그리퍼(16)에 의하여 기체유입부(6a)(슬릿(9))와 에어백부(6)내의 기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기체충전공정이 이루어진다.
기체분출용 노즐(28, 29)은,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절환밸브 등 을 통하여 압력기체공급원에 접속되어, 선단의 분출구(28a, 29a)를 에어백부(6)의 기체유입부(6a)에 수직으로 향한 상태에서, 대기위치와 전진위치 사이를 서로 역방향으로 에어백 부착 자루(1)에 대하여 수직으로 진퇴한다.
전진위치에 있어서 분출구(28a, 29a)가 에어백 부착 자루(1)의 양면으로부터 기체유입부(6a)에 대어진다. 기체분출방향은 에어백 부착 자루(1)에 대하여 수직이다.
도4(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자루(1)가 정지위치(VI)로 이송되어 정지했을 때에, 기체분출용 노즐(28, 29)은 후퇴하여 대기위치에 있다. 이어서 도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체분출용 노즐(28, 29)이 함께 전진하여 상기 전진위치에 위치결정되어, 선단의 분출구(28a, 29a)가 기체유입부(6a)에 대어진다.
이때에 양쪽 분출구(28a, 29a) 사이에는, 도12(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양쪽 필름(7, 8)의 두께보다 약간 넓은 소정의 간격(L)이 주어져, 이 간격(L)은 기체분출용 노즐(28, 29)이 상기 전진위치로부터 후퇴할 때까지 변화되지 않는다. 양쪽 분출구(28a, 29a) 사이에 간격(L)이 주어짐으로써, 기체의 분출중에 에어백부(6)의 기체유입부(6a)가 팽창하고, 필름(7, 8)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어, 그 틈새를 통하여 에어백부(6)(협폭부(6b), 본체부(6c))내에 기체가 유입된다.
기체분출용 노즐(28, 29)은,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 분출구(28a, 29a)의 내경(內徑)이, 에어백부(6)의 슬릿(9)이 형성된 기체유입부(6a)의 지름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분출구(28a, 29a)의 내경을 기체유입부(6a)의 지름(기체유입부가 원형이 아닐 경우는 그 폭)보다 작게 함으로써, 기체분출용 노즐(28, 29)로부터 분출되는 기체의 흐름이 기체유입부(6a)에 집중되어, 기체의 분출을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기체분출용 노즐(28, 29)이 상기 전진위치에 위치결정되었을 때에, 분출구(28a, 29a)의 중심이 슬릿(9)의 중심으로부터 등거리(等距離), 합계로 간격(M)만큼 어긋나 있다. 이 배치에 의하여 그리퍼(11, 12)로 협지된 에어백 부착 자루(1)의 높이위치가, 당초의 설정위치(도10에 나타내는 위치)보다 다소 상하방향으로 불균일할 경우나, 혹은 슬릿(9)의 형성위치가, 기체유입부(6a)의 중심으로부터 다소 상하방향으로 불균일한 경우에도, 기체의 분출에 지장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진위치에 있어서 기체분출용 노즐(28, 29)이 기체의 분출을 시작하면, 양쪽 필름(7, 8)에 형성된 슬릿(9)으로부터 가압기체가 에어백부(6)의 기체유입부(6a)로 분출되고, 상기 기체유입부(6a)가 팽창하여 도12(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필름(7, 8)이 각각 노즐(28, 29)의 분출구(28a, 29a)에 밀착한다. 바꿔 말하면 전진위치에 위치결정된 노즐(28, 29)의 분출구(28a, 29a)의 간격(L)은, 팽창한 기체유입부(6a)의 필름(7, 8)이 분출구(28a, 29a)에 밀착하는 정도의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기체유입부(6a)가 팽창하면 상기 유입부(6a)에 있어서 필름(7, 8)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고, 이어서 협폭부(6b) 및 본체부(6c)로 가압기체가 유입하여, 도12(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에어백부(6) 전체가 팽창한다. 상기 예비기체분출공정에서 에어백부(6)의 필름(7, 8)의 밀착상태가 한번 떼어져 있기 때문에, 이 기체충전공정에서는, 기체의 분출 및 에어백부(6)내에 대한 기체의 충전은 지장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어서 도4(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차단용 그리퍼(16)가 닫혀서, 그립편(13)의 횡행부(13a, 13b) 사이에 설정된 상기 차단부위를 그립편(14)과의 사이에서 양면으로부터 협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차단부위는 완전하게 눌려져 기체유입부(6a)(슬릿(9))와 에어백부(6)내의 기체의 흐름이 차단된다. 이어서 도4(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체분출용 노즐(28, 29)이 후퇴하고, 에어백 부착 자루(1)는 차단용 그리퍼(16) 및 그립편(14)에 의한 차단상태를 유지한 채로 다음의 정지위치(VII)로 이송된다.
(7) 정지위치(VII)(자루입구밀봉공정, 기체봉입공정 및 기체압력검사공정위치)에는, 에어백 부착 자루(1)의 이송경로의 근방에 밀봉장치의 일부인 한 쌍의 열판(23, 23)이 배치되어, 에어백 부착 자루(1)의 기체유입부(6a)를 밀봉하는 기체봉입공정이 이루어지고, 동시에 에어백 부착 자루(1)의 자루입구를 밀봉하는 자루입구밀봉공정이 이루어진다. 에어백 부착 자루(1)가 정지위치(VII)에 정지했을 때에 그때까지 열려 있었던 열판(23, 23)이 닫히고, 도5(a) 및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에어백 부착 자루(1)의 표리면의 필름(7, 8)을 기체유입부(6a) 및 자루입구(4)에 있어서 양면으로부터 협압(挾壓)하여 밀봉하고, 이에 따라 피포장물(33)을 에어백 부착 자루(1)내에 밀봉하고, 동시에 에어백부(6)내에 기체를 봉입한다.
또한 정지위치(VII)에는, 도6∼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체압력검사장치(35)의 일부인 측정장치(36)가 배치되어 있다(도5(a)에서는 측정장치(36)를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
기체압력검사장치(35)는 측정장치(36)와 제어장치(37)로 이루어진다. 측정장치(36)는, 에어백 부착 자루(1)의 이송경로의 외측에 배치된 가압부재(31), 상기 이송경로의 내측에 배치된 수용부재(38), 가압부재(31)의 후방측에서 상기 가압부재(3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支持部材)(39), 지지부재(39)를 일정한 스트로크(stroke)로 전후방향(前後方向)으로 진퇴시키는 구동원(驅動源)(41), 지지부재(39)에 설치된 거리 센서(距離 sensor)(32)로 이루어진다. 또 여기에서 말하는 전후방향이란, 정지위치(VII)에 정지한 에어백 부착 자루(1)의 두께방향(에어백 부착 자루(1)의 밀봉부(2)의 면과 수직방향)이며, 에어백 부착 자루(1)와 가까운 쪽이 전방이다.
구동원(41)은 복동형 에어실린더(復動型 air cylinder)로서, 피스톤로드(piston rod)(42)의 선단에 지지부재(39)가 설치되고, 지지부재(39)를 일정한 스트로크로 전후방향과 수평으로 진퇴시킨다. 도6은 피스톤로드(42)가 수축(收縮)하여 지지부재(39)가 후퇴위치에 정지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7은 피스톤로드(42)가 신장(伸張)하여 지지부재(39)가 전진위치에 정지한 상태를 나타낸다.
지지부재(39)는 피스톤로드(42)의 선단에 고정된 이동부재(移動部材)(43)와, 이동부재(43)에 고정된 가압부재(44)로 이루어진다. 가압부재(44)는 복동형 에어실린더로 이루어지며, 그 피스톤로드(45)의 선단에 가압부재(31)가 고정되어 있다. 가압부재(에어실린더)(44)는, 피스톤로드(45)와는 반대측의 실린더실(cylinder室)에 소정의 압력의 가압 에어가 유입되어 있어서, 가압부재(31)를 항상 일정한 힘으로서 전방으로 가압하고 있다. 이 가압력에 의하여 피스톤로드(45)가 신장하여, 가압부재(31)가 무부하상태인 때에 상기 가압부재(31)는 전방측의 스트로크 엔드(stroke end)에 위치결정(또는 스토퍼에 접촉해서 위치결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가압력보다 큰 후방 방향의 부하가 가압부재(31)에 걸렸을 때에, 가압부재(31)는 상기 전방측의 스트로크 엔드로부터 후퇴한다(피스톤로드(45)가 수축한다).
가압부재(31)는 그 앞면측에, 정지위치(VII)에 정지한 에어백 부착 자루(1)의 두께방향과 수직(에어백 부착 자루(1)의 밀봉부(2)와 평행)으로 향하고, 세로방향이 긴 직사각형(세로방향길이가 에어백부(6)의 본체부(6c)의 길이와 같은 정도)의 가압면(31a)을 구비한다.
수용부재(38)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구동원에 의하여 지점축(支點軸)(46)을 중심으로 하여 연직면(鉛直面)내에서 상하로 대피위치와 수용위치 사이를 회전한다. 도6은 수용부재(38)가 하방으로 회전해서 상기 대피위치에 정지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7은 수용부재(38)가 상방으로 회전해서 상기 수용위치에 정지하여 이 위치에 결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수용부재(38)는, 그 앞면측에 세로방향이 긴 직사각형(세로방향길이가 에어백부(6)의 본체부(6c)의 길이와 같은 정도)의 받침면(38a)을 구비하고, 수용부재(38)가 상기 수용위치에 정지했을 때에, 받침면(38a)이 정지위치(VII)에 정지한 에어백 부착 자루(1)의 두께방향과 수직(에어백 부착 자루(1)의 밀봉부(2)에 평행)으로 향한다.
에어백 부착 자루(1)가 정지위치(VII)에 정지할 때까지,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열판(23, 23)이 열리고, 지지부재(39)가 후퇴위치에 있으며, 가압부재(31)가 전방측으로 가압되어서 스트로크 엔드에 위치하고, 수용부재(38)가 하방의 대피위치에 있다.
에어백 부착 자루(1)가 정지위치(VII)에 정지했을 때에, 도5(a)를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그때까지 열려 있었던 열판(23, 23)이 닫히고, 또한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구동원(에어실린더)(41)이 작동해서 지지부재(39)가 소정의 스트로크로 전진하여 상기 전진위치에 정지한다. 지지부재(39)의 전진에 따라 가압부재(31)도 에어백 부착 자루(1)를 향해서 전진한다. 동시에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구동원이 작동해서 수용부재(38)가 상방으로 회전하고, 에어백 부착 자루(1)의 배면측에서 상기 수용위치에 정지하여 이 위치에 위치결정된다.
가압부재(31)의 전진 및 수용부재(38)의 상방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정지위치(VII)에 정지한 에어백 부착 자루(1)의 밀봉부(2)(가압기체가 봉입되어서 팽창한 에어백부(6)가 형성되어 있다)가, 가압부재(31)의 가압부(31a)와 수용부재(38)의 받침면(38a) 사이에 협지된다.
가압부재(31)와 수용부재(38)가 밀봉부(2)(에어백부(6))를 협지했을 때에, 가압부재(31)와 수용부재(38)에는 각각 반력(反力)(후퇴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부하)이 걸린다. 수용부재(38)는 상기 수용위치에 위치결정되고, 이 수용위치는 밀봉부(2)(에어백부(6))를 협지했을 때에 걸리는 반력에 의하여 사실상 변동하지 않는다. 한편 가압부재(31)는 가압부재(44)(에어실린더)에 의하여 일정한 힘으로서 전방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그 가압력이 밀봉부(2)(에어백부(6))를 협지했을 때에 걸리는 반력과 서로 균형이 잡히는 위치까지, 상기 전방측의 스트로크 엔드로부터 후퇴한다. 이 후퇴거리의 크기는 에어백부(6)내에 봉입된 기체의 압력이 커지고, 에어백부(6)가 크게 팽창하고 있을 정도로 크다. 즉 가압부재(31)의 상기 후퇴거리와 에어백부(6)내의 기체의 압력에는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가압부재(31)의 상기 후퇴거리를 대신하여 거리 센서(32)에 의하여 가압부재(31)까지의 거리(D)(도7 참조)를 측정한다. 말할 필요도 없이 거리(D)의 크기는 에어백부(6)내에 봉입된 기체의 압력이 커지고, 에어백부(6)가 크게 팽창하고 있을 정도로 작다. 이와 같이 거리(D)와 에어백부(6)내의 기체의 압력에는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 상관관계는 실제의 기기(機器)를 사용한 시험에 의하여 미리 구할 수 있다. 상기 상관관계로부터 에어백부(6)내의 기체의 압력의 목표값(바람직한 범위)이 설정되면, 거리(D)의 범위가 결정된다. 그리고 목표값(바람직한 범위)의 압력이 얻어지는 거리(D)의 범위(상한값과 하한값)가 제어장치(37)에 미리 설정되어 있다.
가압부재(31)와 수용부재(38)가 밀봉부(2)(에어백부(6))를 협지했을 때에, 거리 센서(32)가 가압부재(31)까지의 거리(D)를 측정하고, 그 측정신호는 제어장치(37)로 송신된다.
제어장치(37)는, 거리 센서(32)로부터의 측정신호에 의거하여 측정된 거리(D)가 설정범위내(하한값 이상, 상한값 이하)인지, 바꾸어 말하면 에어백부(6)에 충전된 기체의 압력이 설정된 목표값의 범위내(하한값 이상, 상한값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어서 에어백 부착 자루(1)는 다음의 정지위치(VIII)로 이송된다.
또 제어장치(37)의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기체의 압력이 설정범위외로 판정된 에어백 부착 자루(1)를 후공정에서 배제할 수 있다. 또한 이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노즐(28, 29)로부터 분출되는 기체의 압력이나, 양쪽 분출구(28a, 29a)의 간격(L) 등의 분사조건을 조정하여, 에어백부(6)내에 봉입되는 기체의 압력을 조정할 수도 있다.
(8) 정지위치(VIII)(밀봉부냉각 및 배출공정위치)에는, 에어백 부착 자루(1)의 이송경로의 근방에 냉각장치의 일부인 한 쌍의 냉각판(24, 24)이 배치되어, 도5(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전 공정에서 밀봉된 부분을 양면으로부터 협압하여 냉각한다. 이어서 도5(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냉각중에 차단용 그리퍼(16) 및 자루이송용 그리퍼(11, 12)가 열리고, 또한 냉각판(24, 24)이 열려 에어백 부착 자루(1P)(에어백 부착 자루 제품)가 낙하하고, 슈트(shoot)(47)에 의하여 장치외부로 배출된다. 또 차단용 그리퍼(16)는 기체봉입공정이 종료된 단계에서 열어도 좋다.
이상, 도1∼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그 외에도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실시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1) 이상의 설명에서는, 에어백부(6)의 상단에 슬릿(9)을 형성하고 있었지만, 슬릿(9) 대신에 구멍을 형성하더라도 좋다.
(2) 이상의 설명에서는, 에어백부(6)에 협폭부(6b)를 형성하고 있었지만, 특허문헌1에 기재된 에어백 부착 자루와 같이 에어백부(6) 전체를 같은 폭으로 하여도 좋다.
(3) 이상의 설명에서는, 에어백부(6)가 형성된 밀봉부(2)를 협지하는 자루이송용 그리퍼(11)가, 에어백부(6)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밀봉부(2)를 협지하고 있었지만, 특허문헌1에 기재된 자루이송용 그리퍼와 같이 에어백부의 외측만을 협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4) 이상의 설명에서는, 기체충전공정에서는 한 쌍의 기체분출용 노즐(28, 29)을 사용했지만, 예비기체분출공정에서 사용한 예비기체분출용 노즐(26) 및 수용부재(27)를 사용할 수도 있다.
(5) 이상의 설명에서는, 목표값(바람직한 범위)의 압력이 얻어지는 거리(D)의 범위로서 상한값과 하한값을 제어장치(37)에 미리 설정했지만, 에어백부(6)에 충전되는 기체의 압력이 설정된 목표값의 범위의 상한값를 넘지 않는 것을 추측할 수 있을 경우에, 거리(D)의 범위로서 상한값만을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노즐(28, 29)로부터 분출하는 기체의 압력이 에어백부(6)에 충전되는 기체의 압력의 목표값의 상한값과 거의 동등한 레벨로 조정되어 있는 경우에, 에어백부(6)에 충전되는 기체의 압력은 상기 목표값의 상한값을 넘지 않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6) 이상의 설명에서는, 기체압력검사공정을 정지위치(VII)에서 기체봉입공정과 동시에 실시했지만, 기체압력검사공정을 정지위치(VI)에 있어서 기체충전공정후에 실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기체압력측정장치(36)는 정지위치(VI)의 상기 이송경로의 근방에 배치된다. 또 기체압력검사공정은, 에어백부(6)에 기체를 충전한 후(차단용 그리퍼로 상기 차단부위를 차단한 후)이면 적절한 타이밍에 실시할 수 있다.
(7) 이상의 설명에서는, 기체압력검사장치는 로터리식 포장장치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있었지만, 피포장물의 충전에 관한 장치(예를 들면 개구장치나 충전장치)를 포함하지 않는 단순한 기체봉입장치의 일부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1 ; 에어백 부착 자루
2, 3 ; 측면 테두리의 밀봉부
4 ; 자루입구
6 ; 에어백부
6a ; 에어백부의 기체유입부
6b ; 에어백부의 협폭부
6c ; 에어백부의 본체부
7, 8 ; 자루의 표리면을 구성하는 필름
9 ; 슬릿
11, 12 ; 자루이송용 그리퍼
13, 14 ; 그립편
16 ; 차단용 그리퍼
23 ; 열판
24 ; 냉각판
28, 29 ; 기체분출용 노즐
31 ; 가압부재
32 ; 거리 센서
35 ; 기체압력검사장치
36 ; 측정장치
37 ; 제어장치
38 ; 수용부재
39 ; 지지부재
41 ; 구동원(에어실린더)
43 ; 이동부재
44 ; 가압부재(에어실린더)

Claims (10)

  1. 자루의 측면 테두리의 밀봉부(密封部)에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어백부(air bag部)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에어백 부착 자루의 상기 에어백부에 충전된 기체의 압력을 검사하는 기체압력검사장치(氣體壓力檢査裝置)로서,
    양쪽 테두리 상부가 한 쌍의 그리퍼(gripper)로 협지되어 매달린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의 일방(一方)의 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의 두께방향으로 진퇴하고, 전진했을 때에 상기 에어백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재(加壓部材),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의 타방(他方)의 측에 배치되어 상기 에어백부의 배면측의 소정의 수용위치에 위치결정되는 수용부재(受容部材),
    상기 가압부재의 후방측에서 상기 가압부재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전방으로 가압하는 지지부재(支持部材),
    상기 지지부재를 일정한 스트로크(stroke)로 진퇴시키는 구동원(驅動源),
    및 상기 가압부재의 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원에 의하여 상기 지지부재와 함께 진퇴하고, 상기 가압부재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距離 sensor)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원이 상기 지지부재를 전진시켰을 때에 상기 가압부재가 전진하여 상기 수용위치에 위치결정된 수용부재와의 사이에서 상기 에어백부를 협압(挾壓)하고, 상기 거리 센서가 그때의 가압부재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장치(測定裝置)와,
    상기 거리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에어백부에 충전된 기체의 압력이 설정범위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어장치(制御裝置)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구동원에 연결된 이동부재(移動部材)와 상기 이동부재에 설치된 에어실린더(air cylinder)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부재에 상기 거리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에어실린더의 피스톤로드(piston rod)에 상기 가압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에어실린더는 피스톤로드와는 반대측의 실린더실(cylinder室)에 소정의 압력의 가압에어가 유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부의 기체압력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가 상기 수용위치와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로부터 멀어진 대피위치 사이를 소정의 타이밍에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압력검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거리가 소정의 범위내에 있는지 여부에 의하여 에어백부의 기체의 압력이 상기 설정범위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압력검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거리가 소정의 범위내에 있는지 여부에 의하여 에어백부의 기체의 압력이 상기 설정범위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체압력검사장치.
  5. 자루의 측면 테두리의 밀봉부에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어백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부의 기체유입부의 필름에 에어백부내와 자루외를 통하게 하는 슬릿(slit) 또는 구멍이 형성된 에어백 부착 자루의 양쪽 테두리 상부를 협지하여 이동하고,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를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좌우 한 쌍의 자루이송용 그리퍼를 복수조(複數組) 구비하고,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를 상기 이송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을 통하여 상기 에어백부내에 기체를 분출하고, 이어서 상기 에어백부내에 봉입하는 기체봉입장치(氣體封入裝置)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의 에어백부의 기체압력검사장치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측정장치가 상기 이송경로상의 소정의 정지위치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장치.
  6. 자루의 측면 테두리의 밀봉부에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어백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부의 기체유입부의 필름에 에어백부내와 자루외를 통하게 하는 슬릿 또는 구멍이 형성된 에어백 부착 자루의 양쪽 테두리 상부를 협지하여 이동하고,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를 원형의 이송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좌우 한 쌍의 자루이송용 그리퍼를 복수조 구비하고,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를 상기 이송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에 피포장물(被包裝物)을 충전함과 아울러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을 통하여 상기 에어백부내에 기체를 분출하고, 이어서 상기 에어백부내에 봉입하는 로터리식 포장장치(rotary式 包裝裝置)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의 에어백부의 기체압력검사장치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측정장치가 상기 이송경로상의 소정의 정지위치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식 포장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40025803A 2013-05-02 2014-03-05 에어백 부착 자루의 에어백부의 기체압력검사장치 KR1019118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97034 2013-05-02
JP2013097034A JP6084110B2 (ja) 2013-05-02 2013-05-02 エアバッグ付き袋のエアバッグ部の気体圧力検査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1255A KR20140131255A (ko) 2014-11-12
KR101911862B1 true KR101911862B1 (ko) 2018-10-25

Family

ID=50639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803A KR101911862B1 (ko) 2013-05-02 2014-03-05 에어백 부착 자루의 에어백부의 기체압력검사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625340B2 (ko)
EP (1) EP2799346B1 (ko)
JP (1) JP6084110B2 (ko)
KR (1) KR101911862B1 (ko)
CN (1) CN104129536B (ko)
DK (1) DK2799346T3 (ko)
ES (1) ES2590268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01047A1 (de) * 2011-05-09 2012-11-15 Haver & Boecker Ohg Rotierbare Packmaschine und Verfahren zum Füllen von offenen Säcken
DE102011101040A1 (de) * 2011-05-09 2012-11-15 Haver & Boecker Ohg Rotierbare Packmaschine und Verfahren zum Füllen von offenen Säcken
JP6218669B2 (ja) * 2014-05-13 2017-10-25 東洋自動機株式会社 エアバッグ付き袋への気体封入方法及び気体封入装置
PL3067282T3 (pl) * 2015-03-13 2018-10-31 Ecolean Ab Urządzenie i sposób napełniania opakowania w typie woreczka
CN105035426A (zh) * 2015-06-03 2015-11-11 朱德金 一种盒中袋灌装机压力感应头
CN106885651B (zh) * 2015-12-16 2019-03-12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气袋压力测量装置
CN108801540A (zh) * 2018-06-13 2018-11-13 上海荣泰健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模块化气压检测机构、以及气压检测装置和方法
CN110411944B (zh) * 2019-08-02 2024-02-02 安徽中色研达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铝产品测试用的万能测试机的夹口固定夹持装置
CN111634465B (zh) * 2020-05-11 2021-10-29 海宁先锋印刷有限公司 一种巧克力充气保护检测包装设备
CN111442885B (zh) * 2020-05-11 2020-12-11 盐城佳华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用于游泳圈热合后检漏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7119A (ja) 2005-08-12 2007-02-22 Toyo Jidoki Co Ltd スパウト付き袋のリーク検査方法及びリーク検査装置
JP4771785B2 (ja) 2005-10-25 2011-09-14 東洋自動機株式会社 エアバッグ付き袋への気体封入方法及びエアバッグ付き袋の包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8819A (en) * 1978-12-15 1980-02-19 Campbell Soup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gas pressure in a container
US4510730A (en) * 1981-12-18 1985-04-16 Hulbritt Developments Limited Apparatus for seal-testing sachets, packets and the like
JPS60251017A (ja) * 1984-05-16 1985-12-11 ハウス食品工業株式会社 密封包装品に於けるシ−ル状態の検出方法及び検出装置
US4706494A (en) * 1986-04-25 1987-11-17 Fmc Corporation Seal integrity testing
JPH0431575Y2 (ko) * 1987-10-12 1992-07-29
US4862732A (en) * 1987-10-19 1989-09-05 Benthos, Inc. Leak testing
US5195360A (en) * 1990-10-12 1993-03-23 General Mill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testing double packages
JP2946130B2 (ja) * 1991-07-22 1999-09-06 大和製罐株式会社 容器内圧測定装置
DE4223793A1 (de) * 1992-07-20 1994-01-27 Focke & C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Prüfen der Dichtigkeit von Folienbeuteln
JPH09226728A (ja) * 1995-12-19 1997-09-02 Mitsubishi Materials Corp 缶内圧検査装置
US6330823B1 (en) * 1998-01-13 2001-12-18 Benthos, Inc. Process and apparatus for testing containers
JP2001341711A (ja) * 2000-05-31 2001-12-11 Toyo Jidoki Co Ltd スパウト付き包装袋を用いる袋詰め包装でのインナーシールの検査方法及び装置
JP4361779B2 (ja) * 2003-11-28 2009-11-11 三光機械株式会社 ロータリー式自動包装機のサイドシール噛み込み検知装置
WO2005121738A1 (en) * 2004-06-07 2005-12-22 Inspection Machinery (No 2) Pty Ltd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flexible packages for defects
US7380440B2 (en) * 2005-09-09 2008-06-03 Martin Lehmann Methods for manufacturing unleaky closed containers and leak testing apparatus
AU2005255063B2 (en) * 2005-09-09 2011-12-15 Wilco Ag Methods for manufacturing unleaky closed containers and leak testing apparatus
JP5104073B2 (ja) 2007-07-03 2012-12-19 凸版印刷株式会社 エアバッグ付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7119A (ja) 2005-08-12 2007-02-22 Toyo Jidoki Co Ltd スパウト付き袋のリーク検査方法及びリーク検査装置
JP4771785B2 (ja) 2005-10-25 2011-09-14 東洋自動機株式会社 エアバッグ付き袋への気体封入方法及びエアバッグ付き袋の包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99346B1 (en) 2016-08-31
US9625340B2 (en) 2017-04-18
EP2799346A1 (en) 2014-11-05
DK2799346T3 (en) 2016-12-12
ES2590268T3 (es) 2016-11-21
CN104129536B (zh) 2017-04-12
CN104129536A (zh) 2014-11-05
JP2014218262A (ja) 2014-11-20
JP6084110B2 (ja) 2017-02-22
US20140325938A1 (en) 2014-11-06
KR20140131255A (ko) 2014-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1862B1 (ko) 에어백 부착 자루의 에어백부의 기체압력검사장치
KR101877871B1 (ko)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및 기체봉입장치
KR101875719B1 (ko)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및 기체봉입장치
KR101899771B1 (ko)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및 기체봉입장치
KR102118889B1 (ko)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및 기체봉입장치
US20160122057A1 (en) Packaging Machine
KR20160011568A (ko) 자루의 스파우트 부착부를 개구하는 방법 및 장치
US9102424B2 (en) Jaw support for a pouch filler
US20160068289A1 (en) Bag equipped with a gas channel and a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such a bag
KR102232917B1 (ko) 초음파 밀봉방법 및 장치
US20190344912A1 (en) Packaging machine
JP2014189332A (ja) 袋詰品シール方法および装置
JP2016120951A (ja) 袋の包装方法及び包装用袋
KR100827205B1 (ko) 렌즈 포장용 봉투의 자동 봉인 장치
KR102495231B1 (ko) 액상식품 포장용 팩 자동공급장치를 이용한 액상식품 충전 시스템
KR200451474Y1 (ko) 티백포장장치
CN117699153A (zh) 铝箔袋封口装置及密封检测方法
JPH0776323A (ja) 物品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