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771B1 -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및 기체봉입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및 기체봉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9771B1
KR101899771B1 KR1020130162166A KR20130162166A KR101899771B1 KR 101899771 B1 KR101899771 B1 KR 101899771B1 KR 1020130162166 A KR1020130162166 A KR 1020130162166A KR 20130162166 A KR20130162166 A KR 20130162166A KR 101899771 B1 KR101899771 B1 KR 101899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bag
airbag
nozzle
nozz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5237A (ko
Inventor
도루 요시카네
겐지 가와무라
노리카즈 스노우치
Original Assignee
도요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5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4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 B65B31/046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the nozzles co-operating, or being combined, with a device for opening or closing the container or wrapper
    • B65B31/048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the nozzles co-operating, or being combined, with a device for opening or closing the container or wrapper specially adapted for wrapper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06Adding fluids for preventing deformation of filled and closed containers or wra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4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46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 B65B43/465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f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65B51/146Closing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20Embedding contents in shock-absorbing media, e.g. plastic foam, 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7879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said parts to be joined moving in a closed path, e.g. a rectangular path
    • B29C65/7882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said parts to be joined moving in a closed path, e.g. a rectangular path said parts to be joined moving in a circular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3After-treatments in the joint area
    • B29C66/034Thermal after-treatments
    • B29C66/0342Cooling, e.g. transporting through welding and cooling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2Single lapped joints
    • B29C66/1122Single lap to lap joints, i.e. overlap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345Progressively making the joint, e.g. starting from the middle
    • B29C66/3452Making complete joints by combining parti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29C66/431Joining the articles to themselves
    • B29C66/4312Joining the articles to themselves for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e.g. transversal seams
    • B29C66/43121Closing the ends of tubular or hollow single articles, e.g. closing the ends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Reciprocating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2Joining or pressing tools reciprocating along one axis
    • B29C66/83221Joining or pressing tools reciprocating along one axis cooperating reciprocating tools, each tool reciprocating along on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4Specific machine types or machines suitable for specific applications
    • B29C66/849Packag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28Bags, sacks, sach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5/00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 F17C5/06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for filling with compressed 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Vacuum Packaging (AREA)
  • Bag Frame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Toy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과제)
에어백 부착 자루(1)의 에어백부(6)에 기체를 분출하고, 이어서 에어백부(6)에 봉입하는 경우에 효율적이고 안정된 분출상태가 얻어지도록 한다.
(해결수단)
에어백부(6)의 기체유입부(6a)의 양면의 필름(7, 8)에 각각 슬릿(9)이 형성된 에어백 부착 자루(1)를 사용한다. 에어백 부착 자루(1)의 양측에 한 쌍의 노즐(23, 24)을 배치하고, 각각 대기위치와 전진위치 사이에서 진퇴시켜, 전진위치에 있어서 분출구(23a, 24a)를 양측으로부터 기체유입부(6a)에 대어, 슬릿(9)을 통하여 기체유입부(6a)에 가압기체를 분출한다. 전진위치에 온 노즐(23, 24)의 분출구(23a, 24a) 사이에 작은 간격(L)을 설정한다. 기체의 분출중에 팽창된 기체유입부(6a)의 필름(7, 8)이 분출구(23a, 24a)에 밀착하여, 기체의 분출상태가 안정된다.

Description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및 기체봉입장치{GAS FILLING EQUIPMENT AND GAS FILLING METHOD TO THE BAG WITH AIR BAG}
본 발명은 측면 테두리의 밀봉부에 에어백부(air bag部)를 구비한 에어백 부착 자루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부에 기체를 봉입(封入)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자루라 함은 자루는 물론 포대, 봉지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고, 이들을 혼용하는 경우도 있다.
특허문헌1에는, 자루의 측면 테두리의 밀봉부에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어백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에어백 부착 자루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부에 기체를 봉입하는 방법 및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에어백부의 기체유입부(氣體流入部)의 필름면에 에어백부내와 자루외를 통하게 하는 슬릿 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압력기체 공급원(壓力氣體 供給源)에 접속된 기체분출용 노즐의 분출구를 상기 기체유입부에 대어, 또한 수용부재에 의해 에어백 부착 자루의 배면측을 지지하고, 상기 노즐로부터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을 통하여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하여, 분출이 계속되는 중에 상기 기체유입부 또는 그 근방의 차단부위(遮斷部位)를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차단용 그리퍼(遮斷用 gripper)에 의하여 협지하고, 이에 따라 기체유입부와 상기 에어백부내의 기체의 흐름을 차단하고, 상기 차단용 그리퍼로 상기 차단부위를 협지한 채, 상기 기체유입부에서 자루를 양면으로부터 열판(熱板)으로 협압(挾壓)하여, 상기 기체유입부를 밀봉하여 기체를 에어백부내에 봉입한다, 라고 하는 것이다.
특허문헌1에 있어서, 노즐은 압축 스프링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어 선단(先端)의 분출구가 에어백부의 기체유입부에 대어졌을 때에, 분출구가 기체유입부 또는 그 주위의 필름에 접촉하고, 배면측의 필름에 수용부재가 접촉하여, 압축 스프링은 약간 압축되고, 기체유입부의 양쪽 필름은 서로 밀착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분출구로부터 기체의 분출이 시작되면, 그 기체압에 의해 노즐이 압축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후퇴하고, 분출구와 수용부재 사이에 약간의 틈새가 발생하여, 슬릿 또는 구멍으로부터 분출된 기체의 압력으로 기체유입부가 팽창하고, 기체유입부의 양쪽 필름의 내측에 틈새가 발생하여, 이 틈새를 통하여 기체가 더 에어백부내로 분출된다.
특허문헌2에는, 자루의 측면 테두리의 밀봉부에 형성된 에어백부의 상단(기체유입부)의 필름면에 슬릿 또는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기체유입부의 근방(바로 아래 위치)에 가늘고 잘록한(협폭의) 봉입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을 통하여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하고, 분출이 계속되는 중에 상기 봉입경로의 부분을 열밀봉(熱密封)하여, 기체를 에어백부에 봉입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 일본국 특허 제4771785호 공보 ; 일본국 특허 제5104073호 공보
특허문헌1에 기재된 기체봉입방법에서는, 노즐의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기체의 압력에 의하여 노즐이 압축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약간 후퇴함으로써, 슬릿 또는 구멍으로부터 분출된 가압기체에 의해 기체유입부가 팽창하고, 상기 기체유입부의 양쪽 필름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여, 이에 따라 에어백부내에 대한 기체의 분출이 가능하게 된다. 에어백부의 용적(容積)은 그다지 크지 않기 때문에, 이 프로세스가 원활하게 이루어졌을 때에는, 에어백부내에 대한 기체의 분출은 극히 단시간으로 종료된다.
한편 기체압에 의해 노즐이 후퇴하는 거리는, 노즐의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기체의 압력이나 압축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변화한다. 이 후퇴거리는 기체의 분출상태, 즉 단위 시간당 에어백부내로 들어가는 기체의 양이나, 에어백부내로 분출된 기체의 압력에 큰 영향을 주고, 그 결과, 기체의 분출에 걸리는 시간(분출효율(噴出效率))이나 에어백부의 팽창량(膨脹量)(에어백부에 충전된 기체의 압력)이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이 때문에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기체의 압력과 압축 스프링의 탄성력의 설정, 즉 양자의 균형조정은, 적절한 후퇴거리가 얻어지도록 엄밀하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노즐을 계속적으로 사용하는 동안에, 압축 스프링의 탄성력이 저하될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압축 스프링의 탄성력이 약간이라도 저하되면, 노즐의 상기 후퇴거리가 변동하여 기체의 분출상태가 악화되고(단위시간당 에어백부내로 들어가는 기체의 양이 감소하거나, 에어백부내로 분출된 기체의 압력이 저하한다), 또한 에어백부내로 기체가 들어가지 않는 상태가 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특허문헌2에 기재된 에어백 부착 자루와 같이, 기체유입부의 바로 아래 위치에 가늘고 잘록한 봉입경로를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 에어백부내로 분출된 기체가 빠지기 어려운 반면에,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하기 어렵기 때문에, 상기 문제가 현저하게 발생하기 쉽다.
본 발명은 특허문헌1에 기재된 기체봉입방법 및 장치(특히 기체분출용의 노즐)에 관한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기체의 압력과 압축 스프링의 탄성력에 있어서 어려운 균형조정이 불필요하고, 또한 기체의 분출시에 효율적이고 안정된 분출상태가 얻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은, 자루의 측면 테두리의 밀봉부에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어백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부의 기체유입부의 필름에 에어백부내와 자루외를 통하게 하는 슬릿 또는 구멍이 형성된 에어백 부착 자루를 사용하여, 압력기체 공급원에 접속된 노즐의 분출구를 상기 기체유입부에 대어, 상기 노즐로부터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을 통하여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하고, 분출이 계속되는 중에 상기 기체유입부의 근방에 설정된 차단부위를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차단용 그리퍼에 의하여 협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기체유입부와 상기 에어백부내의 기체의 흐름을 차단한 후에, 그 차단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기체유입부 또는 그 근방 부분에서 자루를 양면으로부터 열판으로 협압하고, 상기 기체유입부 또는 그 근방을 밀봉하여 기체를 에어백부내에 봉입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에 있어서, 에어백 부착 자루의 양측에 한 쌍의 노즐을 배치하고, 각각 대기위치와 전진위치 사이에서 진퇴시켜, 전진위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노즐의 분출구를 양측으로부터 상기 기체유입부에 대도록 한 것으로, 상기 기체유입부의 양면의 필름에 각각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이 형성된 에어백 부착 자루에 적용되어, 각 노즐의 분출구의 내경이 상기 기체유입부의 지름 또는 폭보다 작고, 각 노즐이 전진위치에 왔을 때에 각 노즐의 분출구가 상기 기체유입부의 두께보다 큰 소정의 틈새를 두고 서로 대향하고, 기체의 분출에 의해 상기 틈새에서 팽창된 상기 기체유입부의 양면의 필름이 각 노즐의 분출구에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체봉입방법에 있어서, 양쪽 노즐의 분출구의 내경이 상기 기체유입부의 지름 또는 폭보다 작음으로써, 상기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기체의 흐름이 기체유입부에 집중한다. 양쪽 노즐로부터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가 분출되었을 때에, 상기 기체유입부가 양쪽 노즐의 분출구 사이의 틈새에서 팽창하고, 상기 기체유입부의 양쪽 필름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여, 양쪽 필름 사이에 생긴 상기 틈새를 통하여 가압기체가 에어백부내로 유입된다. 양쪽 노즐의 분출구 사이에 설정되는 상기 틈새는, 기체의 분출에 의하여 팽창한 기체유입부의 양쪽 필름이 양쪽 노즐의 분출구에 밀착하는 정도의 크기, 즉 작은 틈새이다. 양쪽 노즐의 분출구의 내경이 기체유입부의 지름 또는 폭보다 작고, 또한 상기 틈새가 지나치게 크지 않을 때에, 팽창된 기체유입부의 양쪽 필름이 상기 분출구에 밀착할 수 있다. 분출이 계속되는 중에 기체유입부의 양쪽 필름이 상기 분출구에 밀착함으로써, 상기 노즐의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가압기체가, 기체유입부에 형성된 슬릿 또는 구멍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상기 기체유입부내로 유입된다.
상기 기체봉입방법에 있어서, 양쪽 노즐의 분출구의 중심은 기체의 분출방향을 따라 일치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서로 다소 어긋나게 둘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백 부착 자루가 그 양쪽 테두리를 한 쌍의 그리퍼에 협지되어 매달려 있는 경우에, 상기 그리퍼에 협지된 에어백 부착 자루에 있어서의 슬릿 또는 구멍의 위치가, 설정된 기준위치로부터 조금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자루공급장치로부터 상기 한 쌍의 그리퍼로 에어백 부착 자루를 주고 받을 때나, 에어백 부착 자루에 피포장물을 충전할 때 등에, 이 어긋남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슬릿 또는 구멍이 기준위치로부터 조금 어긋나서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에어백 부착 자루의 제조상의 이유로 기체유입부의 양쪽 필름에 형성된 슬릿 또는 구멍은, 에어백 부착 자루의 면에 수직으로 보았을 때에, 같은 위치에 겹쳐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체봉입방법에 있어서, 양쪽 노즐의 분출구의 중심이 기체의 분출방향을 따라 일치하고 있는 경우에, 슬릿 또는 구멍의 위치가 기준위치로부터 어긋나 있으면, 그 어긋난 양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기체의 분출을 양호하게 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양쪽 노즐의 분출구의 중심을 미리 조금 어긋나게 두면, 적어도 일방의 노즐에 의한 분출이 양호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양쪽 노즐의 분출구의 중심을 어느 방향으로 어느 정도 어긋나게 할지는, 슬릿 또는 구멍이 기준위치로부터 보아 어느 방향으로 어긋나기 쉬울지를 실험적으로 확인한 후에 결정하면 된다. 또한 에어백 부착 자루의 양측 테두리를 한 쌍의 그리퍼에 의하여 협지하여 매단 상태로 이송하고, 그 이송의 과정에서 에어백부에 상기 기체봉입방법을 적용하는 경우에, 양쪽 노즐의 분출구를 상하방향으로 조금 어긋나게 두는 것으로 좋은 결과를 얻는 경우가 많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에어백부의 기체유입부의 양면에 각각 노즐을 대는 대신에, 특허문헌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기체유입부의 편면(片面)에 노즐을 대고, 그 배면(背面)을 수용부재로 지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노즐의 분출구와 수용부재 사이에 기체유입부의 필름의 두께보다 큰 소정의 틈새를 설정한다. 노즐로부터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가 분출되었을 때에 상기 기체유입부가 노즐의 분출구와 수용부재 사이의 틈새에서 팽창하고, 상기 기체유입부의 양쪽 필름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여, 양쪽 필름 사이에 생긴 상기 틈새를 통하여 가압기체가 에어백부내에 유입된다. 노즐의 분출구와 수용부재 사이에 설정되는 상기 틈새는, 기체의 분출에 의하여 팽창한 기체유입부의 양쪽 필름이 상기 분출구 및 수용부재에 밀착하는 정도의 크기, 즉 작은 틈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은 기본적으로 한 쌍의 노즐을 사용하는 경우와 동일하다. 또한 이 방법의 경우에, 기체유입부의 양면의 필름에 슬릿 또는 구멍이 형성된 에어백 부착 자루와, 편면의 필름에만 슬릿 또는 구멍이 형성된 에어백 부착 자루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체봉입방법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전진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기체유입부를 향해서 가압기체의 분출을 시작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에어백 부착 자루의 기체유입부와 노즐의 분출구의 거리가 크기 때문에, 분출하는 가압기체의 압력은 크게 설정하고, 노즐이 전진위치에 도달함과 동시에 가압기체의 압력을 소정의 값(에어백부에 봉입하는 기체의 압력의 목표값과 같은 정도 또는 그보다 약간 높은 압력)까지 내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 의하면, 노즐이 전진위치에 위치결정되어 에어백부에 대한 기체의 분출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에, 고압의 가압기체가 에어백부에 부딪쳐, 가압기체의 일부가 슬릿 또는 구멍으로부터 기체유입부내로 들어가 기체유입부를 팽창시켜, 에어백부내로 더 유입된다.
상기 기체봉입방법은, 예를 들면 에어백 부착 자루가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간헐이송되는 경우(특허문헌1에 기재된 실시형태 참조)에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지만, 에어백 부착 자루가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일정한 속도로 연속이송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에어백 부착 자루가 간헐이송되는 경우에, 예를 들면 기체의 분출을 상기 이송경로상의 소정의 정지위치에서 하고, 차단용 그리퍼로 상기 차단부위를 협지한 채 에어백 부착 자루를 상기 이송경로를 따라 하류측의 정지위치로 이송하여, 동(同) 정지위치에서 기체유입부 또는 그 근방을 열밀봉하면 된다.
상기 기체봉입방법은, 특허문헌1에도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자루의 포장처리공정의 일부로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어백 부착 자루의 양측 테두리를 좌우 한 쌍의 그리퍼에 의하여 파지하고 매달아서 간헐적으로 이송하고, 그 이송의 과정에서 자루입구의 개구, 피포장물의 충전, 자루입구의 밀봉 등의 각 포장공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하는 경우에, 예를 들면 피포장물의 충전공정의 후에, 상기 기체봉입방법의 각 공정을 부가한다. 이 경우에 에어백부가 자루의 상단 근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기체유입부가 에어백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라면, 기체유입부 또는 그 근방을 열판으로 밀봉하여 기체를 에어백부내에 봉입할 때에, 동시에 상기 열판으로 자루입구 전체를 양면으로부터 밀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체봉입방법의 각 공정을 피포장물의 충전공정의 전(바람직하게는 자루입구의 개구공정 전)에 실시할 수도 있고, 혹은 포장처리공정의 일부로서가 아닌 단독의 기체봉입방법으로서 실시할 수도 있다. 이들의 경우에 상기 기체유입부 또는 그 근방을 열판으로 밀봉하여 기체를 에어백부내로 봉입할 때에, 자루입구의 밀봉은 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장치는, 자루의 측면 테두리의 밀봉부에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어백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부의 기체유입부의 필름에 에어백부내와 자루외를 통하게 하는 슬릿 또는 구멍이 형성된 에어백 부착 자루를,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이송하고, 그 이송의 과정에서 상기 에어백부에 기체를 봉입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장치로서, 상기 기체유입부의 양면의 필름에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이 형성된 에어백 부착 자루에 적용되어,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의 양측 테두리를 협지하여 간헐적으로 이동하고,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를 상기 이송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좌우 한 쌍의 자루이송용 그리퍼의 복수조와, 압력기체 공급원에 접속되어 상기 이송경로상의 소정의 정지위치 근방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대기위치와 전진위치 사이를 진퇴하고, 전진위치에 있어서 선단의 분출구가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기체유입부에 대어져,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을 통하여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하는 한 쌍의 노즐과, 각 자루이송용 그리퍼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각 자루이송용 그리퍼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기체분출노즐에 의한 기체의 분출이 계속되는 중에, 상기 기체유입부의 근방에 설정된 차단부위를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협지하여 상기 기체유입부와 상기 에어백부내의 기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용 그리퍼와, 상기 이송경로상의 상기 정지위치보다 하류측의 정지위치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기체유입부 또는 그 근방 부분에서 자루를 양면으로부터 협지하고, 상기 기체유입부 또는 그 근방을 밀봉하여 기체를 상기 에어백부내로 봉입하는 한 쌍의 열판을 구비하고, 상기 노즐의 분출구의 내경이 상기 기체유입부의 지름 또는 폭보다 작게 설정되어, 각 노즐이 전진위치에 왔을 때에 각 노즐의 분출구가 상기 기체유입부의 두께보다 큰 소정의 틈새를 두고 서로 대향하고, 기체의 분출에 의해 상기 틈새에서 팽창한 상기 기체유입부의 양면의 필름이 각 노즐의 분출구에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쪽 노즐의 분출구 사이에 설정되는 상기 틈새는, 기체의 분출에 의하여 팽창한 기체유입부의 양쪽 필름이 양쪽 노즐의 분출구에 밀착하는 정도의 크기, 즉 작은 틈새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노즐 대신에, 에어백 부착 자루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된 노즐과 수용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수용부재도 대기위치와 전진위치 사이를 진퇴하고, 노즐이 전진위치에 있어서 기체유입부에 대어졌을 때에, 수용부재는 마찬가지로 전진위치에 있어서 기체유입부의 배면측을 지지한다. 노즐과 수용부재가 함께 전진위치에 왔을 때에, 노즐의 분출구와 수용부재는 기체유입부의 필름의 두께보다 큰 소정의 틈새를 두고 서로 대향한다. 이 경우에도 분출이 계속되는 중에 팽창한 기체유입부의 양면의 필름면이 상기 노즐의 분출구에 밀착하도록, 상기 틈새의 크기가 설정된다.
상기 기체봉입장치는, 특허문헌1에도 기재된 바와 같이 자루의 포장처리장치의 일부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이송경로상에 있어서 에어백 부착 자루의 자루입구의 개구, 피포장물의 충전, 자루입구의 밀봉 등의 각 포장공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하는 통상의 포장처리장치에 대하여, 상기 이송경로의 근방의 적절한 위치에, 상기 기체분출용 노즐 등의 기체봉입방법의 각 공정을 실시하기 위한 부재, 장치가 부가된다. 물론 상기 기체봉입장치를 포장처리장치의 일부로서가 아닌 단독의 기체봉입장치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노즐의 분출구의 내경을 상기 기체유입부의 지름 또는 폭보다 작게 설정함과 아울러, 전진위치에 온(에어백부의 기체유입부에 대어진) 한 쌍의 노즐의 분출구 사이에 소정의 틈새를 설정하거나, 혹은 전진위치에 온 노즐의 분출구와 수용부재 사이에 소정의 틈새를 설정했다.
이에 따라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에어백 부착 자루의 에어백부에 대한 기체의 분출에 있어서, 효율적이고 안정된 분출상태가 얻어진다. 한 쌍의 노즐을 사용하여 기체유입부의 양측으로부터 기체를 분출할 때에(기체유입부의 양방의 필름에 슬릿 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전제), 특히 높은 분출효율이 얻어진다. 또한 노즐은 소정의 전진위치에 위치결정되고, 이 위치가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기체의 압력에 의해 변동되는 경우는 없으므로, 종래(특허문헌1 참조)의 노즐과 같이 기체압과 압축 스프링의 탄성율의 균형조정을 할 필요가 없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기체봉입장치를 포함하는 로터리식 포장처리장치의 도식적인 사시도이다.
도2는 그 로터리식 포장장치에 의해 실시하는 기체봉입방법을 공정순으로 설명하는 측면도 (a)∼(d)이다.
도3은 그 계속인 공정을 공정순으로 설명하는 측면도 (a)∼(d)이다.
도4는 또한 그 계속인 공정을 공정순으로 설명하는 측면도 (a)∼(c)이다.
도5는 상기 로터리식 포장장치에 의해 실시하는 기체봉입방법을 공정순으로 설명하는 정면도 (a), (b)이다.
도6은 그 계속인 공정을 공정순으로 설명하는 정면도 (a), (b)이다.
도7은 기체분출공정을 설명하는 주요부 확대평면도 (a)∼(c)이다.
도8은 기체분출공정을 설명하는 주요부 확대정면도이다.
도9는 자루이송용 그리퍼의 기능을 설명하는 주요부 확대단면도이다.
도10은 마찬가지로 그 기능을 공정순으로 설명하는 주요부 확대단면도 (a), (b)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관한 다른 기체봉입장치를 포함하는 로터리식 포장처리장치의 도식적인 사시도이다.
도12는 그 기체봉입장치의 일부인 압력절환장치의 구성도이다.
도13은 그 기체봉입장치에 의해 실시하는 기체분출방법을 공정순으로 설명하는 평면도 (a)∼(c)이다.
이하, 도1∼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기체봉입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5에 에어백 부착 자루(1)를 나타낸다. 자루(1)는 바닥 거싯 방식(底 gusset 方式)의 자립자루(自立袋)로서, 표리 양면의 필름과 꺽어 접어진 바닥부의 필름으로부터 이루어진다. 자루(1)의 상부영역(X)에서는, 양측 테두리에 있어서 자루(1)의 표리 양면의 필름 상호간이 접착하여 밀봉부(2, 3)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테두리는 표리 양면의 필름이 접착되어 있지 않고, 개구된 자루입구(4)가 되어 있다. 자루(1)의 하부영역(Y)에서는, 양측 테두리에 있어서 표리 양면의 필름이 바닥부의 필름을 사이에 두고 접착하고, 또한 바닥부의 필름 자체도 접어 넣어진 내측에서 접착하고, 중앙부에 있어서 표리 양면의 필름이 각각 바닥부의 필름과 접착하여(바닥부의 필름 상호간은 접착하지 않고 있다), 밀봉부(5)가 형성되어 있다. 밀봉부(2, 3, 5)를 도5에 사선으로 나타낸다.
밀봉부(2)의 일부에 표리 양면의 필름 상호간이 접착하지 않고 있는 비접착부(에어백부)(6)가 형성되어 있다.
에어백부(6)는, 표리 양면의 필름(7, 8)(도10(a) 참조)을 열밀봉할 때에 가압하지 않고 밀봉하다가 남긴 부분으로서, 자루입구(4)(밀봉부(2)의 상단) 근방으로부터 하방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어서 닫힌 윤곽을 구비하고, 그 상단 근방의 표리 양면의 필름(7, 8)에 에어백부(6)내와 자루외를 통하게 하는 십자(十字)의 슬릿(9)이 형성되어 있다. 에어백부(6)에는, 중심에 슬릿(9)이 형성된 원형의 기체유입부(6a)에 이어서 소정의 길이에 걸쳐 잘록한 협폭부(挾幅部)(6b)가 형성되고, 그 하방이 폭이 넓은 본체부(本體部)(6c)가 되어 있다.
[제1형태]
다음에 에어백 부착 자루(1)를 사용하여 로터리식 포장장치에 의해 에어백 부착 자루제품을 제조하는 포장방법 및 장치(기체봉입방법 및 장치를 포함한다)의 제1형태에 대해서, 도1∼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에 나타내는 로터리식 포장장치는, 특허문헌1의 도5에 기재된 로터리식 포장장치와 마찬가지로, 간헐회전(間歇回轉)하는 테이블의 주위에 좌우 한 쌍의 자루이송용 그리퍼(11, 12)가 여러 쌍,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어, 공급된 에어백 부착 자루(1)의 양측 테두리를 협지하여 매달아 원형의 이송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이송한다. 그리퍼(11, 12)가 정지하는 각 정지위치(정지위치(I∼VIII))에서는, 그리퍼(11, 12)에 대한 에어백 부착 자루(1)의 공급에 이어, 그리퍼(11, 12)에 협지된 에어백 부착 자루(1)에 대하여 자루입구의 개구, 피포장물의 충전 및 자루입구의 밀봉 등의 각 포장공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고, 아울러 에어백부(6)에 대한 기체충전공정 및 에어백부(6)의 기체유입부(6a)를 밀봉하는 기체봉입공정을 포함하는 기체봉입방법의 각 공정이 실시된다.
한 쌍의 그리퍼(11, 12)중에 일방(一方)의 그리퍼(11)는, 한 쌍의 그립편(grip片)(13, 14)을 구비하고, 외측의 그립편(13)은 정면에서 볼 때에 대략 ㄷ자 형상을 이루고(도5 참조), 한편 내측의 그립편(14)은 정면에서 볼 때에 대략 사각형모양을 이루어(도1 참조), 그 윤곽이 그립편(13)의 외형과 거의 일치한다. 그리퍼(11)는, 그립편(13)의 상하의 횡행부(橫行部)(13a, 13b)와 그립편(14)에 의하여 에어백부(6)가 형성된 측면 테두리의 밀봉부(2)를 표리 양면으로부터 협지한다. 그립편(13)의 상하의 횡행부(13a, 13b)의 협지면(13A)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는 얕은 홈(groove)(15)이 형성되고(도8, 도9 참조), 그립편(14)의 협지면(14A)측은 홈 등은 없고 실질적으로 평탄하다. 자루이송용 그리퍼(11)(그립편(13, 14))가 협지하는 부위는, 밀봉부(2)에 형성된 에어백부(6)의 기체유입부(6a)의 근방으로서, 그립편(13)의 상하의 횡행부(13a, 13b)와 그립편(14)이, 협폭부(16b)를 수평으로 횡단하는 형태로 협지한다. 다만 자루이송용 그리퍼(11)가 닫혔을 때에, 상기 홈(15)이 협폭부(6b)를 협지하는 위치에 있으며, 협폭부(6b)에 있어서 그립편(13, 14)의 대향면 상호간의 간격(J)(도9 참조)은, 에어백부(6)의 필름(7, 8)(도10 참조)의 두께보다 홈(15)의 깊이만큼 넓어지고 있다. 즉 자루이송용 그리퍼(11)가 닫혔을 때도, 그립편(13, 14)은 협폭부(6b)를 서로 소정의 간격(J)을 두고 협지할 뿐이고, 상기 협폭부(6b)만은 협지하고 있지 않다.
자루(1)의 타방(他方)의 측면 테두리의 밀봉부(3)는, 통상의 자루이송용 그리퍼(12)(특허문헌1의 그리퍼(8)와 같은)에 의하여 협지된다.
각 쌍의 그리퍼(11, 12)에 대응하여 1개씩, 차단용 그리퍼(16)가 그립편(14)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그리퍼(11, 12)와 함께 이동하고, 소정의 타이밍으로 개폐한다. 차단용 그리퍼(16)가 닫혔을 때에, 상기 차단용 그리퍼(16)는 그립편(13)의 상하의 횡행부(13a, 13b) 사이에 들어가, 그립편(14)과의 사이에서 에어백부(6)의 협폭부(6b)를 표리 양면으로부터 협지한다. 차단용 그리퍼(16)가 협지하는 협폭부(6b)의 이 부위를 본 발명에서는 차단부위라고 한다.
상기 로터리식 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경로의 정지위치(I)에 컨베이어 매거진식 자루공급장치(17)가 배치되고, 정지위치(II)에 인쇄장치(헤드부(18)만 나타낸다)가 배치되고, 정지위치(III)에 개구장치(흡입반(吸入盤)(19) 및 개구 헤드(21)만 나타낸다)가 배치되고, 정지위치(IV)에 충전장치(노즐부(22)만 나타낸다)가 배치되고, 정지위치(VI)에 기체분출장치(한 쌍의 기체분출용 노즐(23, 24)만 나타낸다)가 배치되고, 정지위치(VII)에 밀봉장치(한 쌍의 열판(25, 25)만 나타낸다)가 배치되고, 정지위치(VIII)에 냉각장치(冷却裝置)(한 쌍의 냉각판(26, 26)만 나타낸다)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정지위치(IV)에 예비가열장치(가열기체분사용 노즐(27)만 나타낸다)가 배치되고, 정지위치(V)에 예비기체분출장치(예비기체분출용 노즐(28)과 수용부재(29)만 나타낸다)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예비가열장치 및 예비기체분출장치는 필요에 따라 작동시키면 된다.
도1에 나타내는 로터리식 포장장치를 사용한 포장방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1) 정지위치(I)(자루공급공정위치)에 있어서, 컨베이어 매거진식 자루공급장치(17)로부터 에어백 부착 자루(1)가 그리퍼(11, 12)에 공급되어, 그리퍼(11, 12)가 밀봉부(2, 3)의 소정의 위치를 표리 양면으로부터 협지한다. 이때에 에어백부(6)는, 그 협폭부(6b)가 그리퍼(11)에 의해 협지된다. 그 상태를 도2(a), 도5(a) 및 도9에 나타낸다. 이때에 차단용 그리퍼(16)는 열려 있다.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에어백부(6)의 협폭부(6b)를 협지하는 그립편(13, 14)의 협지면(13A, 14A) 상호간 사이에, 홈(15)에 대응하여 간격(J)이 형성되어 있다.
(2) 정지위치(II)(인쇄공정위치)에 있어서, 인쇄장치에 의해 자루면에 대한 인쇄가 이루어진다.
(3) 정지위치(III)(개구공정위치)에 있어서, 개구장치에 의해 자루의 개구가 이루어진다. 개구장치의 한 쌍의 흡입반(19)은 에어백 부착 자루(1)를 향해서 진퇴하고, 전진하여 에어백 부착 자루(1)의 양면을 흡착하고, 그대로 후퇴해서 자루입구를 개구한다. 개구 헤드(21)는 에어백 부착 자루(1)의 상방으로 승강하고, 하강했을 때에 하단이 개구된 자루입구로부터 자루내로 들어가 에어를 자루내로 분출한다.
(4) 정지위치(IV)(피포장물 충전공정위치)에 있어서, 충전장치에 의해 액상물(液狀物)의 충전이 이루어진다(도5(b)의 충전물(31) 참조). 충전장치의 노즐부(22)는 에어백 부착 자루(1)의 상방으로 승강하고, 하강했을 때에 자루입구로부터 자루내로 삽입되어 액상물을 자루내에 충전한다.
또한 이 정지위치(IV)에는, 에어백 부착 자루(1)의 이송경로의 근방에 예비가열장치의 일부인 가열기체분사용 노즐(27)이 설치되어, 에어백 부착 자루(1)의 에어백부(6)를 가열하는 예비가열공정이 이루어진다. 가열기체분사용 노즐(27)은 팬(fan)과 가열원(加熱源)에 접속되어, 분사개구가 정지위치(IV)에 정지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1)의 에어백부(6)를 향하고 있다. 가열기체분사용 노즐(27)은, 상기 분사개구로부터 핫 에어(hot air)(가열기체)를 분출하여 에어백부(6)에 분사하고, 주로(또는 전부가) 열가소성수지 필름(熱可塑性樹脂 film)으로 이루어지는 에어백 부착 자루(1)의 에어백부(6)를 가열하여, 에어백부(6)를 구성하는 필름을 연화(軟化)시킨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예비기체분출공정에서 에어백부(6)내에 가압기체를 분출했을 때에, 에어백부(6)의 필름 상호간의 밀착상태를 안정하게 떼어낼 수 있게 된다.
(5) 정지위치(V)(예비기체분출공정위치)에는, 에어백 부착 자루(1)의 이송경로의 근방에 예비기체분출장치의 일부인 예비기체분출용 노즐(28) 및 수용부재(29)가 설치되어, 에어백 부착 자루(1)의 에어백부(6)에 기체를 분출하는 예비기체분출공정이 이루어진다. 예비기체분출용 노즐(28)은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절환 밸브(切換 valve) 등을 통하여 압력기체 공급원에 접속되어, 대기위치와 전진위치 사이를 에어백 부착 자루(1)의 자루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진퇴하고, 전진위치에 있어서 선단의 분출구(28a)가 슬릿(9)에 대어진다. 수용부재(29)는, 에어백 부착 자루(1)를 사이에 두고 노즐(28)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대기위치와 전진위치 사이를 노즐(28)과 동일한 방향의 역방향으로 진퇴하고, 전진위치에 있어서 노즐(28)의 분출구(28a)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에어백 부착 자루(1)의 배면측을 지지한다. 수용부재(29)의 선단에 오목부(29a)가 형성되어 있다. 노즐(28)은 압축 스프링(30)에 의하여 전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도2(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자루(1)가 이 예비기체분출공정위치에 정지했을 때에, 예비기체분출용 노즐(28) 및 수용부재(29)는 후퇴해서 대기위치에 있다. 이어서 도2(c) 및 도5(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예비기체분출용 노즐(28) 및 수용부재(29)가 함께 전진위치에 와서, 예비기체분출용 노즐(28)의 선단의 분출구(28a)가 기체유입부(6a)에 접촉하고, 그 배면에서 수용부재(29)가 기체유입부(6a)에 접촉하고, 동시에 예비기체분출용 노즐(28)의 선단으로부터 가압기체가 분출되어 슬릿(9)을 통하여 기체가 에어백부(6)내로 분출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에어백부(6)의 협폭부(6b)는, 자루이송용 그리퍼(11)의 그립편(13, 14)에 의해 협지되어 있지 않기(간격(J)을 두고 끼워져 있을 뿐) 때문에, 상기 협폭부(6b)를 통해서 하방의 본체부(6c)에도 기체가 흐른다. 이 점에 대해서는, 기체충전공정에 관한 설명에 있어서 도9, 10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기체분출중에, 에어압(air壓)에 의하여 예비기체분출용 노즐(28)은 압축 스프링(3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약간 후퇴하고, 이에 따라 에어백부(6)의 기체유입부(6a)가 팽창해서 상기 기체유입부(6a)를 구성하는 표리의 필름(7, 8)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여, 예비기체분출용 노즐(28)측의 슬릿(9)을 통하여 기체가 에어백부(6)내로 분출된다. 이 사이에 수용부재(29)는 에어백 부착 자루(1)의 배면측을 지지하고 있다. 수용부재(29)의 선단에 오목부(29a)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기체유입부(6a)가 배면측(수용부재(29)측)에서도 팽창하여, 슬릿(9)을 통한 기체의 유입이 촉진된다.
이 예비기체분출공정에 있어서 슬릿(9)으로부터 에어백부(6)의 기체유입부(6a)로 들어간 가압기체는, 협폭부(6b)를 통해서 본체부(6c)로 들어가 에어백부(6) 전체를 팽창시킨다.
또한 에어백부(6)를 구성하는 표리의 필름(7, 8) 상호간이 정전기 등에 의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견고하게 밀착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예비기체분출용 노즐(28)로부터 분출된 가압기체는, 슬릿(9)으로부터 에어백부(6)의 기체유입부(6a)로 들어가 밀착된 표리 양면의 필름(7, 8)을 떼어내어 펴 넓혀서 상기 기체유입부(6a)를 팽창시키고, 이어서 협폭부(6b)로 들어가 마찬가지로 밀착된 표리 양면의 필름(7, 8)을 떼어내어 펴 넓혀서 상기 협폭부(6b)를 팽창시키고, 본체부(6c)로 더 들어가 밀착된 표리 양면의 필름(7, 8)을 떼어내어 펴 넓혀서 상기 본체부(6c)를 팽창시켜, 에어백부(6)의 전부 또는 대부분에 있어서 표리 양면의 필름(7, 8) 상호간의 밀착상태를 떼어낸다. 이전 공정인 예비가열공정에서 에어백부(6)의 필름(7, 8)을 연화시킨 것이, 이 밀착상태를 떼어내는데 도움이 된다.
이어서 도2(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예비기체분출용 노즐(28) 및 수용부재(29)를 후퇴시켜 가압기체의 분출을 중지하면, 에어백부(6)내에 분출된 기체는 슬릿(9)으로부터 즉시 유출되고, 일단 팽창하고 있었던 에어백부(6)는 수축하여 원래와 같이 평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에어백 부착 자루(1)는 다음의 정지위치(VI)로 이송된다.
(6) 정지위치(VI)(기체충전공정위치)에는, 에어백 부착 자루(1)의 이송경로의 근방에 기체분출장치의 일부인 기체분출용 노즐(23, 24)이 설치되어, 상기 기체분출용 노즐(23, 24)에 의해 에어백 부착 자루(1)의 에어백부(6)에 기체를 분출하고, 이어서 차단용 그리퍼(16)에 의해 기체유입부(6a)(슬릿(9))와 에어백부(6)내의 기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기체충전공정이 이루어진다.
기체분출용 노즐(23, 24)은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절환 밸브 등을 통하여 압력기체 공급원에 접속되어, 선단의 분출구(23a, 24a)를 에어백부(6)의 기체유입부(6a)에 수직으로 향한 상태에서, 대기위치와 전진위치 사이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에어백 부착 자루(1)에 대하여 수직으로 진퇴한다. 전진위치에 있어서 분출구(23a, 24a)가 에어백 부착 자루(1)의 양면으로부터 기체유입부(6a)에 대어진다. 기체분출방향은 에어백 부착 자루(1)에 대하여 수직이다.
도3(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자루(1)가 이 기체충전공정위치로 이송되어 정지했을 때에, 기체분출용 노즐(23, 24)은 후퇴해서 대기위치에 있다. 이어서 도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체분출용 노즐(23, 24)이 함께 전진하여 상기 전진위치에 위치결정되어, 선단의 분출구(23a, 24a)가 기체유입부(6a)에 대어진다.
이때에 양쪽 분출구(23a, 24a) 사이에는, 도7(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양쪽 필름(7, 8)의 두께보다 약간 넓은 소정의 간격(L)이 주어져, 이 간격(L)은 기체분출용 노즐(23, 24)이 상기 전진위치로부터 후퇴할 때까지 변화되지 않는다. 양쪽 분출구(23a, 24a) 사이에 간격(L)이 주어짐으로써, 기체의 분출중에 에어백부(6)의 기체유입부(6a)가 팽창하여, 필름(7, 8)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고, 그 틈새를 통하여 에어백부(6)(협폭부(6b), 본체부(6c))내에 기체가 유입된다.
기체분출용 노즐(23, 24)은, 도6(a) 및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 분출구(23a, 24a)의 내경이, 에어백부(6)의 슬릿(9)이 형성된 기체유입부(6a)의 지름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분출구(23a, 24a)의 내경을 기체유입부(6a)의 지름(기체유입부가 원형이 아닌 경우는 그 폭)보다 작게 함으로써, 기체분출용 노즐(23, 24)로부터 분출되는 기체의 흐름을 기체유입부(6a)에 집중하여, 기체의 분출을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기체분출용 노즐(23, 24)이 상기 전진위치에 위치결정되었을 때에, 도3(b) 및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분출구(23a, 24a)의 중심이 슬릿(9)의 중심으로부터 등거리(等距離), 합계로 간격(M)만큼 어긋나 있다. 이 배치에 의하여 그리퍼(11, 12)에 협지된 에어백 부착 자루(1)의 높이위치가, 당초의 설정위치(도8에 나타내는 위치)보다 다소 상하방향으로 불균일할 경우에, 혹은 슬릿(9)의 형성위치가, 기체유입부(6a)의 중심으로부터 다소 상하방향으로 불균일한 경우에도, 기체의 분출에 지장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진위치에 있어서 기체분출용 노즐(23, 24)이 기체의 분출을 시작하면, 양쪽 필름(7, 8)에 형성된 슬릿(9)으로부터 가압기체가 에어백부(6)의 기체유입부(6a)로 분출되고, 도7(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기체유입부(6a)가 팽창하여 필름(7, 8)이 각각 노즐(23, 24)의 분출구(23a, 24a)에 밀착한다. 바꿔 말하면 전진위치에 위치결정된 노즐(23, 24)의 분출구(23a, 24a)의 간격(L)은, 팽창된 기체유입부(6a)의 필름(7, 8)이 분출구(23a, 24a)에 밀착하는 정도의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기체유입부(6a)가 팽창하면 상기 유입부(6a)에 있어서 필름(7, 8)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고, 이어서 협폭부(6b) 및 본체부(6c)에 가압기체가 유입하여, 도7(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에어백부(6) 전체가 팽창한다. 상기 예비기체분출공정에서 에어백부(6)의 필름(7, 8)의 밀착상태가 한번 떼어져 있기 때문에, 이 기체충전공정에서는, 기체의 분출 및 에어백부(6)내에 대한 기체의 충전은 지장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에어백부(6)(특히 협폭부(6b))중에 그립편(13)(횡행부(13a, 13b))과 그립편(14)에 의해 협지된 부위(이하, 이 부위를 제한부위라고 한다) 및 그 근방에서는, 간격(J)(도9 참조)을 두고 대향하는 그립편(13, 14)의 내면(13A, 14A)에 의해 자유팽창을 방해하여, 도10(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팽창형태가 얇은 편평형상(扁平形狀)으로 제한되어 있다. 에어백부(6)에 분출된 기체는, 협폭부(6b)의 상기 제한부위에 있어서의 양쪽 필름(7, 8) 사이의 틈새로부터 하방으로 흐른다. 또한 상기 예비기체분출공정에서도 완전히 동일하게, 상기 제한부위의 팽창형태는 얇은 편평형상으로 제한된다.
이어서 도3(c) 및 도10(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차단용 그리퍼(16)가 닫혀서, 그립편(13)의 횡행부(13a, 13b) 사이(상기 제한부위의 사이)에 설정된 상기 차단부위를 그립편(14)과의 사이에서 양면으로부터 협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차단부위는 완전하게 눌려져, 기체유입부(6a)(슬릿(9))와 에어백부(6)내의 기체의 흐름이 차단된다. 이어서 기체분출용 노즐(23, 24)이 후퇴하고(도3(d)), 에어백 부착 자루(1)는 차단용 그리퍼(16) 및 그립편(14)에 의한 차단상태를 유지한 채 다음의 정지위치(VII)로 이송된다.
또한 차단용 그리퍼(16)가 닫히기 전에 상기 차단부위가 크게(둥글게) 팽창하고 있으면, 차단용 그리퍼(16)가 닫혔을 때에 필름(7, 8)이 접어 넣어져, 이 때문에 상기 차단부위를 눌러 막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상기 차단부위는 상기 제한부위의 영향을 받아, 팽창형태가 얇은 편평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차단용 그리퍼(16)가 닫혔을 때에, 상기 차단부위에 있어서 필름(7, 8)을 평평하게 눌러 막아 기체의 흐름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7) 정지위치(VII)(기체봉입공정위치)에는, 에어백 부착 자루(1)의 이송경로의 근방에 밀봉장치의 일부인 한 쌍의 열판(25, 25)이 배치되어, 에어백 부착 자루(1)의 기체유입부(6a)를 밀봉하는 기체봉입공정이 이루어지고, 동시에 에어백 부착 자루(1)의 자루입구를 밀봉하는 자루입구밀봉공정이 이루어진다. 에어백 부착 자루(1)가 이 기체봉입공정위치에 정지했을 때에, 그때까지 열려 있던 열판(25, 25)이 닫히고, 도4(a) 및 도6(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에어백 부착 자루(1)의 표리면의 필름(7, 8)을 기체유입부(6a) 및 자루입구에서 양면으로부터 협압하여 밀봉하고(밀봉부(32)), 이에 따라 에어백부(6)내에 기체를 봉입하고 또한 피포장물(31)을 에어백 부착 자루(1)내에 밀봉한다. 이 상태에서 에어백 부착 자루(1)는 다음의 정지위치(VIII)로 이송된다.
(8) 정지위치(VIII)(밀봉부 냉각 및 배출공정위치)에는, 에어백 부착 자루(1)의 이송경로의 근방에 냉각장치의 일부인 한 쌍의 냉각판(26, 26)이 배치되어, 도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전 공정에서 밀봉된 부분을 양면으로부터 협압하여 냉각한다. 이어서 냉각중에 차단용 그리퍼(16) 및 자루이송용 그리퍼(11, 12)가 열리고, 또한 냉각판(26, 26)이 열려(도4(c) 참조) 에어백 부착 자루(1P)(에어백 부착 자루제품)가 낙하하고, 슈트(shoot)(33)에 의하여 장치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차단용 그리퍼(16)는 기체봉입공정이 종료된 단계에서 열어도 좋다.
[제2형태]
다음에 도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다른 기체봉입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1에 있어서, [제1형태]에서 설명한 에어백 부착 자루 및 기체봉입장치의 각 부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 제2형태에서는, 에어백 부착 자루(1)는 [제1형태]의 것과 동일하고, 로터리식 포장장치와 주변장치도 [제1형태]의 것과 기본적으로 동일하지만, 그리퍼(11, 12)의 간격조정(間隔調整)(접근·떨어짐 사이)의 타이밍이 다르다. 이 차이점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제1형태]에서는,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정지위치(IV)에서 피포장물 충전공정을 실시한 후에, 그리퍼(11, 12)의 간격을 넓혀 에어백 부착 자루(1)를 자루폭 방향으로 당겨서, 자루입구를 팽팽하게 한(자루입구를 닫은) 상태로 정지위치(V)(예비기체분출공정위치) 이후의 공정을 실시하고 있다.
한편 제2형태에서는,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정지위치(IV)에서 피포장물 충전공정을 실시한 후에도 자루입구는 개구 상태로서, 그 상태에서 예비기체분출공정(정지위치(V))과 기체충전공정(정지위치(VI))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정지위치(VII)에 있어서 기체봉입공정이 이루어지기 전(열판(25, 25)이 닫히기 전)에, 그리퍼(11, 12)의 간격을 넓혀 에어백 부착 자루(1)를 자루폭 방향으로 당겨서, 자루입구를 팽팽하게 한다(자루입구를 닫는다).
그리퍼(11, 12)의 간격을 넓혀 에어백 부착 자루(1)를 자루폭 방향으로 당겨서 자루입구를 팽팽하게 하면, 에어백 부착 자루(1)의 그리퍼(11, 12)보다 위의 부분이 두께방향으로 꺽여 자루입구 및 그 근방이 기울어지는 경우가 있다. 에어백 부착 자루(1)의 에어백부(6)의 기체유입부(6a)는 자루입구 근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1형태]에서는 기체유입부(6a)가, 자루가 기울어 그 경사의 크기에 따라서는, 예비기체분출공정 및 기체충전공정에 지장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지만, 제2형태에서는 이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형태]
다음에 도12,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다른 기체봉입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2, 13에 있어서, [제1형태]에서 설명한 에어백 부착 자루 및 기체봉입장치의 각 부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 제3형태에서는, 에어백 부착 자루(1)는 [제1형태]의 것과 동일하고, 로터리식 포장장치와 주변장치도 [제1형태]의 것과 기본적으로 동일하지만, 노즐(23, 24)로부터의 기체의 분출의 제어형태만이 다르다. 이 차이점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제1형태]에서는, 노즐(23, 24)은 전진위치에 위치결정된 후에 가압기체의 분출을 시작하고, 차단용 그리퍼(16)가 닫힌 후에 가압기체의 분출을 정지한다.
한편 이 제3형태에서는, 노즐(23, 24)은 전진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가압기체의 분출을 시작하여, 전진위치에 도달함과 동시에 가압기체의 압력을 소정의 값까지 내리고, 차단용 그리퍼(16)가 닫힌 후에 가압기체의 분출을 정지한다. 이하에 도12, 13을 참조하여 제3형태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2는, 노즐(23, 24)과 압력기체 공급원(34) 사이의 배관(配管)(35)에 접속된 압력절환장치(壓力切換裝置)(36)와, 압력절환장치(36)를 제어하는 제어장치(37)를 나타낸다. 압력절환장치(36)는, 배관(35)에 병렬로 접속된 고압측 유로(高壓側 流路)(38)와 저압측 유로(低壓側 流路)(39)를 구비한다. 고압측 유로(38)는 직렬로 접속된 압력조정밸브(41), 유로개폐밸브(42), 유량조정밸브(43) 및 체크밸브(check valve)(44)를 구비하고, 저압측 유로(39)는 마찬가지로 직렬로 접속된 압력조정밸브(45), 유로개폐밸브(46), 유량조정밸브(47) 및 체크밸브(48)를 구비한다. 압력조정밸브(41)의 설정압력은 압력조정밸브(45)의 설정압력보다 높고, 후자는 에어백부(6)내에 봉입하는 기체압의 목표값 또는 그것보다 약간 높은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고압측 유로(38)의 압력조정밸브(41), 유량조정밸브(43, 47) 및 체크밸브(44, 48)는 필수가 아니고, 이들이 없어도 일단 제어가 가능하다. 그러나 압력조정밸브(41) 및 유량조정밸브(43, 47)가 삽입됨으로써, 노즐(23, 24)로부터 분출되는 기체의 압력, 나아가서는 에어백부(6)내에 봉입하는 기체의 압력을 보다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압력절환장치(36)와 노즐(23, 24) 사이의 배관(35)에 릴리프 밸브(relief valve)(4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어장치(37)는 유로개폐밸브(42, 46)의 개폐를 제어한다.
노즐(23, 24)로부터의 기체의 분출의 제어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1) 노즐(23, 24)이 대기위치에 있을 때에, 유로개폐밸브(42, 43)가 닫혀 가압기체의 분출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2) 노즐(23, 24)이 대기위치로부터 전진위치를 향해서 이동을 시작함과 동시에, 제어장치(37)에 의해 고압측 유로(38)의 유로개폐밸브(42)가 열린다. 도13(a)는 노즐(23, 24)이 전진위치를 향해서 이동을 시작한 후의 모양을 나타내는 것으로, 노즐(23, 24)의 분출구(23a, 24a)로부터 압력조정밸브(41)에 의하여 설정된 높은 압력의 기체가, 에어백부(6)의 기체유입부(6a)를 향해서 분출되고, 그 일부가 슬릿(9)으로부터 기체유입부(6a)로 유입하여 기체유입부(6a)를 조금 팽창시키고 있다. 노즐(23, 24)이 전진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에 기체유입부(6a)로 유입된 기체의 일부는, 협폭부(6b) 및 본체부(6c)에도 유입된다. 노즐(23, 24)이 전진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높은 압력의 기체가 에어백부(6)에 분사되고, 또한 일부가 에어백부(6)내로 유입함으로써, 에어백부(6)의 필름(7, 8)이 밀착되어 있는 경우에도 그 밀착상태가 떼어지고, 이에 따라 다음의 스텝인 기체분출(노즐(23, 24)이 전진위치에 도달한 후의 기체분출)이 원활하게 수행된다.
(3) 도1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노즐(23, 24)이 전진위치에 도달하여, 분출구(23a, 24a)가 기체유입부(6a)에 대어짐과 동시에, 제어장치(37)에 의해 고압측 유로(38)의 유로개폐밸브(42)가 닫히고, 저압측 유로(39)의 유로개폐밸브(46)가 열린다. 이에 따라 압력조정밸브(45)에 의하여 설정된 낮은 압력의 기체가 에어백부(6)의 기체유입부(6a)를 향해서 분출되고, 기체유입부(6a)는 슬릿(9)으로부터 유입된 가압기체에 의해 팽창하여, 넓어진 필름(7, 8)이 분출구(23a, 24a)에 밀착한다.
기체유입부(6a)에 유입된 기체는, 또한 협폭부(6b) 및 본체부(6c)에도 유입하고, 도13(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체부(6c)가 팽창하여, 에어백부(6)내의 기체압이 목표값까지 상승한다. 또한 에어백부(6)내의 기체압이 목표값까지 상승한 후에는, 여분인 기체가 적절하게 릴리프 밸브(49)로부터 배출된다.
(4) 소정시간 경과후에 차단용 그리퍼(16)가 닫히고, 이어서 제어장치(37)에 의해 저압측 유로(39)의 유로개폐밸브(46)가 닫히고, 노즐(23, 24)이 대기위치를 향해서 후퇴한다.
[제4형태]
다음에 [제3형태]의 변형예로서, 노즐(23, 24)의 진퇴의 제어형태만이 다른 기체봉입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형태에서는 노즐(23, 24)의 전진위치가 1군데만 설정되어 있었지만, 이 제4형태에서는 노즐(23, 24)의 전진위치로서, 제1전진위치와 제2전진위치의 2군데가 설정된다. 노즐(23, 24)은 대기위치로부터 전진하여, 제1전진위치에 도달해서 일단 같은 위치에 위치결정되고, 소정의 타이밍으로 다시 전진하여 제2전진위치에 도달해서 같은 위치에 위치결정된다. 말할 필요도 없이, 제1전진위치는 제2전진위치보다 에어백 부착 자루(1)로부터 떨어진 위치이다(노즐(23, 24)의 분출구(23a, 24a)의 틈새가 약간 크다). 다만 제1전진위치에 있어서도, 기체유입부(6a)가 노즐(23, 24)로부터 분출된 기체에 의하여 팽창했을 때에, 넓어진 기체유입부(6a)의 필름(7, 8)이 분출구(23a, 24a)에 밀착한다. 바꿔 말하면 제1전진위치에 위치결정된 노즐(23, 24)의 분출구(23a, 24a)의 틈새는, 팽창된 기체유입부(6a)의 필름(7, 8)이 분출구(23a, 24a)에 밀착하는 정도의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이 제4형태에 있어서, 노즐(23, 24)로부터의 기체의 분출의 제어형태는 [제3형태]와 거의 동일하다.
노즐(23, 24)로부터의 기체의 분출의 제어 및 노즐(23, 24)의 진퇴의 제어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도13 참조).
(1) 노즐(23, 24)이 대기위치에 있을 때에 가압기체의 분출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2) 노즐(23, 24)이 대기위치로부터 제1전진위치를 향해서 이동을 시작함과 동시에, 노즐(23, 24)의 분출구(23a, 24a)로부터 높은 압력의 기체가 에어백부(6)의 기체유입부(6a)를 향해서 분출된다.
(3) 노즐(23, 24)이 제1전진위치에 도달하여 분출구(23a, 24a)가 기체유입부(6a)에 대어짐과 동시에, 기체의 압력이 절환되어 낮은 압력의 기체가 에어백부(6)의 기체유입부(6a)를 향해서 분출된다. 이에 따라 기체유입부(6a)는 슬릿(9)으로부터 유입된 가압기체에 의해 팽창하여, 넓어진 필름(7, 8)이 분출구(23a, 24a)에 밀착한다.
(4) 이어서 노즐(23, 24)이 다시 조금만 전진하여 제2전진위치에 도달하고, 같은 위치에 위치결정된다. 이 사이에도, 기체유입부(6a)의 필름(7, 8)은 노즐(23, 24)의 분출구(23a, 24a)에 밀착한 상태이다.
(5)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차단용 그리퍼(16)가 닫히고, 이어서 가압기체의 분출이 멈추고, 노즐(23, 24)이 대기위치를 향해서 후퇴한다.
이 제4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전진위치에 온 노즐(23, 24)의 분출구(23a, 24a)의 틈새는 비교적 크기 때문에, 기체유입부(6a)는 그만큼 크게 팽창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기체유입부(6a)의 필름(7, 8)의 틈새가 넓어져, 기체유입부(6a)에 대한 기체의 분출, 협폭부(6b) 및 본체부(6c)에 대한 유입이 더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다만 분출구(23a, 24a)의 틈새가 큰만큼, 필름(7, 8)의 분출구(23a, 24a)에 대한 밀착상태가 약간 불안정(리크(leak)가 있다)하며, 에어백부(6)내의 기체압을 목표값에 도달시키기에는 약간 안정성이 부족하다.
이어서 노즐(23, 24)이 상기 제2전진위치에 오면 분출구(23a, 24a)의 틈새가 약간 좁혀져, 기체유입부(6a)의 필름(7, 8)에 있어서 분출구(23a, 24a)에 대한 밀착상태가 안정되고, 에어백부(6)내의 기체압을 안정시켜 또한 확실하게 목표값에 도달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전진위치에 있어서 분출구(23a, 24a)의 틈새가 좁혀짐으로써, 팽창된 기체유입부(6a)가 약간 눌러 찌부러진 모양이 되어, 기체유입부(6a)에 대한 기체의 분출, 또한 협폭부(6b) 및 본체부(6c)에 대한 유입이, 노즐(23, 24)이 제1전진위치에 있었을 경우와 비교해서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지만, 상기 제2전진위치에 온 시점에서 이미 에어백부(6)내에는 목표값에 가까운 압력의 기체가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그것에 의한 실질적인 지장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 도1∼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제4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실시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1) 이상의 설명에서는, 에어백부(6)의 상단에 슬릿(9)을 형성하고 있었지만, 슬릿(9) 대신에 구멍을 형성하더라도 좋다.
(2) 이상의 설명에서는, 에어백부(6)에 협폭부(6b)를 형성하고 있었지만, 특허문헌1에 기재된 에어백 부착 자루와 같이, 에어백부(6) 전체를 같은 폭으로 하여도 좋다.
(3) 이상의 설명에서는, 에어백부(6)가 형성된 밀봉부(2)를 협지하는 자루이송용 그리퍼(11)가, 에어백부(6)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밀봉부(2)를 협지하고 있었지만, 특허문헌1에 기재된 자루이송용 그리퍼와 같이, 에어백부의 외측만을 협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4) 이상의 설명에서는, 차단용 그리퍼(16)와 자루이송용 그리퍼(11)의 그립편(14) 사이에서 상기 차단부위를 협지하여, 상기 그립편(14)을 차단용 그리퍼의 타방측으로서 이용하고 있었지만, 특허문헌1에 기재된 차단용 그리퍼와 같이, 독립적인 한 쌍의 차단용 그리퍼를 설치할 수도 있다.
(5) 이상의 설명에서는, 차단용 그리퍼(16)가 협지하는 차단부위의 상하 근방에 제한부위(에어백부의 팽창형태가 편평형상이 되도록 제한되는 부위)를 설정했지만, 이 제한부위는 1군데도 좋고, 또 설정하지 않아도 된다.
(6) 이상의 설명에서는, 기체분출수단으로서, 예비기체분출공정에서는 예비기체분출용 노즐(28) 및 수용부재(29)를 사용하고, 기체충전공정에서는 한 쌍의 기체분출용 노즐(23, 24)을 사용했지만, 이것은 역으로도 좋고, 양쪽 공정에서 동일한 기체분출수단을 사용하더라도 좋다. 기체충전공정에 있어서 노즐(28)과 수용부재(29)를 사용하는 경우에, 노즐(28)의 분출제어 및 노즐(28)과 수용부재(29)의 진퇴제어는, 노즐(23, 24)과 동일하게 하면 된다.
(7) 이상의 설명에서는, 충전공정의 후에 예비기체분출공정, 기체충전공정 및 기체봉입공정을 두었지만, 이들의 공정을 두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또한 충전공정의 전에 이들의 공정을 둘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기체봉입방법 및 장치는 포장방법 및 장치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있었지만, 자루입구의 개구나 피포장물의 충전과는 분리하여 단독의 기체봉입방법 및 기체봉입장치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8)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기체봉입방법 및 장치를, 에어백 부착 자루를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경우에 적용했지만, 본 발명은 에어백 부착 자루를 일정한 속도로 연속이송하는 경우(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9-161230호 공보 참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에어백 부착 자루를 연속이송하는 경우에, 예를 들면 차단용 그리퍼는 에어백 부착 자루와 함께 연속적으로 이동하고, 기체분출용 노즐, 예비기체분출용 노즐, 가열기체분사용 노즐 및 열판 등의 부재는, 에어백 부착 자루와 소정의 거리를 추종하여 이동한 후에 복귀이동하고, 추종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처리를 한다.
1 ; 에어백 부착 자루
2, 3 ; 측면 테두리의 밀봉부
4 ; 자루입구
6 ; 에어백부
6a ; 에어백부의 기체유입부
6b ; 에어백부의 협폭부
6c ; 에어백부의 본체부
7, 8 ; 자루의 표리면을 구성하는 필름
9 ; 슬릿
11, 12 ; 자루이송용 그리퍼
13, 14 ; 그립편
16 ; 차단용 그리퍼
23, 24 ; 기체분출용 노즐
27 ; 가열기체분사용 노즐
28 ; 기체분출용 노즐
29 ; 수용부재

Claims (9)

  1. 자루의 측면 테두리의 밀봉부에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어백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부의 기체유입부(氣體流入部)의 필름에 에어백부내와 자루외를 통하게 하는 슬릿(slit) 또는 구멍이 형성된 에어백 부착 자루를 사용하여, 압력기체 공급원(壓力氣體 供給源)에 접속된 노즐(nozzle)의 분출구(噴出口)를 상기 기체유입부에 대어, 상기 노즐로부터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을 통하여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하고, 분출이 계속되는 중에 상기 기체유입부의 근방에 설정된 차단부위(遮斷部位)를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차단용 그리퍼(遮斷用 gripper)에 의하여 협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기체유입부와 상기 에어백부내의 기체의 흐름을 차단한 후에, 그 차단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기체유입부 또는 그 근방 부분에서 자루를 양면으로부터 열판(熱板)으로 협압(挾壓)하고, 상기 기체유입부 또는 그 근방을 밀봉하여 기체를 에어백부내에 봉입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氣體封入方法)에 있어서,
    에어백 부착 자루의 양측에 한 쌍의 노즐을 배치하고, 각각 대기위치(待機位置)와 전진위치(前進位置) 사이에서 진퇴(進退)시켜, 전진위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노즐의 분출구를 양측으로부터 상기 기체유입부에 대도록 한 것으로, 상기 기체유입부의 양면의 필름에 각각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이 형성된 에어백 부착 자루에 적용되고, 각 노즐의 분출구의 내경(內徑)이 상기 기체유입부의 지름 또는 폭보다 작고, 각 노즐이 전진위치에 왔을 때에 각 노즐의 분출구가 상기 기체유입부의 두께보다 큰 소정의 틈새를 두고 서로 대향하고, 기체의 분출에 의해 상기 틈새에서 팽창한 상기 기체유입부의 양면의 필름이 각 노즐의 분출구에 밀착하고,
    상기 노즐은 전진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분출구로부터 상기 기체유입부를 향해서 기체의 분출을 시작하고, 전진위치에 도달함과 동시에 기체의 압력을 소정의 값까지 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전진위치에 온 양쪽 노즐의 분출구의 중심이 서로 어긋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3. 자루의 측면 테두리의 밀봉부에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어백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부의 기체유입부의 필름에 에어백부내와 자루외를 통하게 하는 슬릿 또는 구멍이 형성된 에어백 부착 자루를 사용하여, 압력기체 공급원에 접속된 노즐의 분출구를 상기 기체유입부에 대고, 상기 노즐로부터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을 통하여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하고, 분출이 계속되는 중에 상기 기체유입부의 근방에 설정된 차단부위를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차단용 그리퍼에 의하여 협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기체유입부와 상기 에어백부내의 기체의 흐름을 차단한 후에, 그 차단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기체유입부 또는 그 근방 부분에서 자루를 양면으로부터 열판으로 협압하고, 상기 기체유입부 또는 그 근방을 밀봉하여 기체를 에어백부내에 봉입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에 있어서,
    에어백 부착 자루를 사이에 두고 일방(一方)의 측에 상기 노즐을 배치하고, 타방(他方)의 측에 수용부재(受容部材)를 배치하고, 상기 노즐과 수용부재를 각각 대기위치와 전진위치 사이에서 진퇴시켜, 각각 전진위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분출구를 상기 기체유입부에 댐과 아울러 상기 수용부재에 의해 자루의 배면측을 지지하도록 한 것으로, 상기 노즐의 분출구의 내경이 상기 기체유입부의 지름 또는 폭보다 작고, 상기 노즐과 수용부재가 함께 전진위치에 왔을 때에 상기 노즐의 분출구와 상기 수용부재가 상기 기체유입부의 두께보다 큰 소정의 틈새를 두고 서로 대향하고, 기체의 분출에 의해 상기 틈새에서 팽창한 상기 기체유입부의 양면의 필름이 상기 노즐의 분출구와 상기 수용부재에 밀착하고,
    상기 노즐은 전진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분출구로부터 상기 기체유입부를 향해서 기체의 분출을 시작하고, 전진위치에 도달함과 동시에 기체의 압력을 소정의 값까지 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4. 삭제
  5. 삭제
  6. 자루의 측면 테두리의 밀봉부에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어백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부의 기체유입부의 필름에 에어백부내와 자루외를 통하게 하는 슬릿 또는 구멍이 형성된 에어백 부착 자루를,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간헐적(間歇的)으로 이송하고, 그 이송의 과정에서 상기 에어백부에 기체를 봉입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장치로서,
    상기 기체유입부의 양면의 필름에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이 형성된 에어백 부착 자루에 적용되고,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의 양측 테두리를 협지해서 간헐적으로 이동하고,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를 상기 이송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좌우 한 쌍의 자루이송용 그리퍼의 복수조(複數組)와,
    압력기체 공급원에 접속되어 상기 이송경로상의 소정의 정지위치 근방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대기위치와 전진위치 사이를 진퇴하고, 전진위치에 있어서 선단의 분출구가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기체유입부에 대어져,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을 통하여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하는 한 쌍의 노즐과,
    각 자루이송용 그리퍼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각 자루이송용 그리퍼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기체분출노즐에 의한 기체의 분출이 계속되는 중에, 상기 기체유입부의 근방에 설정된 차단부위를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협지 하여 상기 기체유입부와 상기 에어백부내의 기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용 그리퍼와,
    상기 이송경로상의 상기 정지위치보다 하류측의 정지위치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기체유입부 또는 그 근방 부분에서 자루를 양면으로부터 협지하고, 상기 기체유입부 또는 그 근방을 밀봉하여 기체를 상기 에어백부내에 봉입하는 한 쌍의 열판을
    구비하고,
    상기 노즐의 분출구의 내경이 상기 기체유입부의 지름 또는 폭보다 작게 설정되어, 각 노즐이 전진위치에 왔을 때에 각 노즐의 분출구가 상기 기체유입부의 두께보다 큰 소정의 틈새를 두고 서로 대향하고, 기체의 분출에 의해 상기 틈새에서 팽창한 상기 기체유입부의 양면의 필름이 각 노즐의 분출구에 밀착하고,
    전진위치에 도달함과 동시에 기체의 압력을 소정의 값까지 내리기 위하여, 상기 노즐과 압력기체 공급원 사이의 배관(配管)에, 상기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기체의 압력을 고압으로부터 저압으로 절환하는 압력절환장치(壓力切換裝置)를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전진위치에 온 양쪽 노즐의 분출구의 중심이 서로 어긋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장치.
  8. 자루의 측면 테두리의 밀봉부에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어백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부의 기체유입부의 필름에 에어백부내와 자루외를 통하게 하는 슬릿 또는 구멍이 형성된 에어백 부착 자루를,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이송하고, 그 이송의 과정에서 상기 에어백부에 기체를 봉입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장치로서,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의 양측 테두리를 협지해서 간헐적으로 이동하고,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를 상기 이송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좌우 한 쌍의 자루이송용 그리퍼의 복수조와,
    압력기체 공급원에 접속되어 상기 이송경로상의 소정의 정지위치 근방에 배치되어, 대기위치와 전진위치의 사이를 진퇴하고, 전진위치에 있어서 선단의 분출구가 상기 기체유입부에 대어져,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을 통하여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하는 노즐과,
    에어백 부착 자루를 사이에 두고 상기 노즐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대기위치와 전진위치의 사이를 진퇴하고, 전진위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의 배면측을 지지하는 수용부재와,
    각 자루이송용 그리퍼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각 자루이송용 그리퍼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기체분출노즐에 의한 기체의 분출이 계속되는 중에, 상기 기체유입부의 근방에 설정된 차단부위를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협지 하여 상기 기체유입부와 상기 에어백부내의 기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용 그리퍼와,
    상기 이송경로상의 상기 정지위치보다 하류측의 정지위치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기체유입부 또는 그 근방 부분에서 자루를 양면으로부터 협지하고, 상기 기체유입부 또는 그 근방을 밀봉하여 기체를 상기 에어백부내에 봉입하는 한 쌍의 열판을
    구비하고,
    상기 노즐의 분출구의 내경이 상기 기체유입부의 지름 또는 폭보다 작게 설정되어, 상기 노즐과 수용부재가 전진위치에 왔을 때에 상기 노즐의 분출구와 상기 수용부재가 상기 기체유입부의 두께보다 큰 소정의 틈새를 두고 서로 대향하고, 기체의 분출에 의해 상기 틈새에서 팽창한 상기 기체유입부의 양면의 필름이 상기 노즐의 분출구와 상기 수용부재에 밀착하고,
    전진위치에 도달함과 동시에 기체의 압력을 소정의 값까지 내리기 위하여, 상기 노즐과 압력기체 공급원 사이의 배관(配管)에, 상기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기체의 압력을 고압으로부터 저압으로 절환하는 압력절환장치(壓力切換裝置)를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장치.
  9. 삭제
KR1020130162166A 2013-03-20 2013-12-24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및 기체봉입장치 KR1018997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57416A JP6042754B2 (ja) 2013-03-20 2013-03-20 エアバッグ付き袋への気体封入方法及び気体封入装置
JPJP-P-2013-057416 2013-03-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237A KR20140115237A (ko) 2014-09-30
KR101899771B1 true KR101899771B1 (ko) 2018-09-20

Family

ID=50345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166A KR101899771B1 (ko) 2013-03-20 2013-12-24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및 기체봉입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919822B2 (ko)
EP (1) EP2781459B1 (ko)
JP (1) JP6042754B2 (ko)
KR (1) KR101899771B1 (ko)
CN (1) CN104058138B (ko)
DK (1) DK2781459T3 (ko)
ES (1) ES2556503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01040A1 (de) * 2011-05-09 2012-11-15 Haver & Boecker Ohg Rotierbare Packmaschine und Verfahren zum Füllen von offenen Säcken
DE102011101047A1 (de) * 2011-05-09 2012-11-15 Haver & Boecker Ohg Rotierbare Packmaschine und Verfahren zum Füllen von offenen Säcken
JP6218669B2 (ja) * 2014-05-13 2017-10-25 東洋自動機株式会社 エアバッグ付き袋への気体封入方法及び気体封入装置
ES2678995T3 (es) * 2015-03-13 2018-08-21 Ecolean Ab Equipo y método para llenar un envase del tipo de bolsa
KR102141676B1 (ko) * 2015-04-23 2020-08-05 에코린 에이비 가요성 용기의 구획부에 가스를 충전하는 방법
WO2017090870A1 (ko) * 2015-11-25 2017-06-01 박상조 공기 기둥을 갖는 야채 결속 포장재, 이를 이용한 야채 결속 포장 장치 및 그 방법
JP6537961B2 (ja) 2015-12-02 2019-07-03 東洋自動機株式会社 超音波シール方法及び装置
JP6957267B2 (ja) * 2017-08-25 2021-11-02 Pacraft株式会社 搬送機構
JP7386126B2 (ja) * 2020-05-28 2023-11-24 Pacraft株式会社 気体封入方法及び気体封入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3931A (ja) 2004-10-27 2006-05-18 Toyo Jidoki Co Ltd エアバッグ付き袋のエアバッグ充填方法及びエアバッグ付き袋の包装方法
JP2007118961A (ja) * 2005-10-25 2007-05-17 Toyo Jidoki Co Ltd エアバッグ付き袋への気体封入方法及びエアバッグ付き袋の包装方法
US20100281831A1 (en) * 2009-05-05 2010-11-11 Sealed Air Corporation US Inflatable mailer,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2010540278A (ja) 2007-09-28 2010-12-24 エコリーン・リサーチ・アンド・ディベロップメント・エー/エス 容器のハンドル部分のガス充填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6502A (en) * 1977-04-06 1979-01-30 See-Pak Corporation Inflater sealer machine
CN2066428U (zh) * 1990-01-09 1990-11-28 天津市第五塑料制品厂 填充气袋
US5447235A (en) * 1994-07-18 1995-09-05 Air Packaging Technologies, Inc. Bag with squeeze valve and method for packaging an article therein
TW367297B (en) * 1994-11-18 1999-08-21 Hosokawa Yoko Kk Bag for bag-in-box and bag-in-box
JP2000190405A (ja) * 1998-12-28 2000-07-11 Totani Corp プラスチック袋開口装置
CA2270771A1 (fr) * 1999-04-30 2000-10-30 Hydro-Quebec Nouveaux materiaux d'electrode presentant une conductivite de surface elevee
US6569283B1 (en) * 2000-03-15 2003-05-27 Sealed Air Corporation (Us) Inflator/sealer device for inflatable packaging cushion
US7621104B2 (en) * 2005-01-31 2009-11-24 Sealed Air Corporation (Us) Inflatable mailer,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358516B1 (ko) * 2005-09-21 2014-02-05 고쿠리쓰다이가쿠호진 규슈다이가쿠 정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비수 전해질전지
JP4684079B2 (ja) * 2005-10-25 2011-05-18 東洋自動機株式会社 エアバッグ付き袋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エアバッグ付き袋への気体封入方法及びエアバッグ付き袋の包装方法
US7926507B2 (en) * 2006-08-01 2011-04-19 Pregis Innovative Packaging, Inc. Inflation nozzle with valve-locating probe and pulsating air supply
WO2009003093A1 (en) * 2007-06-26 2008-12-31 Tiax, Llc Metal phosphate compounds and batteries containing the same
CN201082063Y (zh) * 2007-06-28 2008-07-09 杨文宇 一种多功能可充气体及其可充气袋
JP5104073B2 (ja) * 2007-07-03 2012-12-19 凸版印刷株式会社 エアバッグ付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JP5247156B2 (ja) 2008-01-08 2013-07-24 東洋自動機株式会社 袋詰め包装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3931A (ja) 2004-10-27 2006-05-18 Toyo Jidoki Co Ltd エアバッグ付き袋のエアバッグ充填方法及びエアバッグ付き袋の包装方法
JP2007118961A (ja) * 2005-10-25 2007-05-17 Toyo Jidoki Co Ltd エアバッグ付き袋への気体封入方法及びエアバッグ付き袋の包装方法
JP2010540278A (ja) 2007-09-28 2010-12-24 エコリーン・リサーチ・アンド・ディベロップメント・エー/エス 容器のハンドル部分のガス充填方法
US20100281831A1 (en) * 2009-05-05 2010-11-11 Sealed Air Corporation US Inflatable mailer,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81459B1 (en) 2015-12-09
CN104058138B (zh) 2017-04-12
ES2556503T3 (es) 2016-01-18
US20140283483A1 (en) 2014-09-25
JP6042754B2 (ja) 2016-12-14
US9919822B2 (en) 2018-03-20
CN104058138A (zh) 2014-09-24
KR20140115237A (ko) 2014-09-30
EP2781459A1 (en) 2014-09-24
DK2781459T3 (en) 2016-02-22
JP2014181064A (ja) 2014-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771B1 (ko)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및 기체봉입장치
KR101877871B1 (ko)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및 기체봉입장치
KR101875719B1 (ko)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및 기체봉입장치
KR101911862B1 (ko) 에어백 부착 자루의 에어백부의 기체압력검사장치
KR20160011568A (ko) 자루의 스파우트 부착부를 개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388523B1 (ko) 체크밸브와 그 체크밸브가 부착된 포장자루와 그 제조장치
KR102118889B1 (ko)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및 기체봉입장치
KR20150111847A (ko) 봉지충전 포장방법 및 봉지충전 포장기
KR20160029676A (ko) 기체유로 부착 자루와 자루의 포장방법 및 장치
KR102232917B1 (ko) 초음파 밀봉방법 및 장치
KR101416118B1 (ko) 완충용 포장재 공기주입장치
JP2016120951A (ja) 袋の包装方法及び包装用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