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7553A - 캠 유닛, 횡형 블라인드, 일사차폐 장치의 구동 유닛 - Google Patents

캠 유닛, 횡형 블라인드, 일사차폐 장치의 구동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7553A
KR20160007553A KR1020157034527A KR20157034527A KR20160007553A KR 20160007553 A KR20160007553 A KR 20160007553A KR 1020157034527 A KR1020157034527 A KR 1020157034527A KR 20157034527 A KR20157034527 A KR 20157034527A KR 20160007553 A KR20160007553 A KR 20160007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head box
cone
cord
lad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4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6717B1 (ko
Inventor
요시유키 하다노
카즈토 야마기시
마사야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타치카와 블라인드 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98443A external-priority patent/JP62431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01001A external-priority patent/JP615155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12944A external-priority patent/JP6151571B2/ja
Application filed by 타치카와 블라인드 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치카와 블라인드 공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07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03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with ladder-ta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Abstract

권취콘의 길이나 지름의 동일하지 않더라도 대응가능한 구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 코드의 권취 및 권취해제를 하는 권취콘에 대하여 탈착가능하게 끼워 맞춤 되고 또한 상기 권취콘과 일체회전하는 콘 캡과, 상기 콘 캡에 대하여 축선방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계합되고 또한 상기 콘 캡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범위 내에 있어서는 상대회전 가능하고 또한 그 범위를 넘으면 상기 콘 캡과 일체회전하는 회전 드럼과 상기 콘 캡과 일체회전하고 또한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에 따라 상기 콘 캡에 대하여 축선방향으로 상대이동하도록 상기 회전 드럼에 대하여 계합되는 캠 클러치를 구비하는 캠 유닛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캠 유닛, 횡형 블라인드, 일사차폐 장치의 구동 유닛{Cam Unit, Horizontal Blind, and Drive Unit for Sunlight Blocking Device}
이 발명은, 제1관점에서는, 횡형 블라인드, 걷어 올리는 커튼, 주름 스크린(pleated screen) 등의 일사차폐(日射遮蔽) 장치로 사용되는 장해물검지 정지장치 캠 유닛에 관한 것이고, 제2관점에서는, 고차폐(高遮蔽) 타입의 횡형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고, 제3관점에서는, 일사차폐 장치로 사용되는 일사차폐 장치의 구동 유닛에 관한 것이다.
(제1관점: 장해물 검지 정지 장치 캠 유닛에 관하여)
일사차폐 장치에 있어서는, 헤드 박스로부터 매달 수 있는 일사차폐 재료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 레일에 승강 코드의 일단이 장착되고 승강 코드의 타단(他端)이 권취콘에 장착되고 권취콘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승강 코드의 되감기 및 풀기를 진행하고 일사차폐 재료를 승강시킨다. 이러한 일사차폐 장치로는, 하부 레일의 자중에 의해 승강 코드에 가해지는 텐션을 이용하여 권취콘을 권취 해제 방향으로 회전시켜 하부 레일를 하강시킨다. 또한, 하부 레일의 하강 시에 하부 레일이 장해물에 충돌한 경우에, 권취콘의 회전을 정지시켜 승강코드가 과도하게 권취 해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장해물 검지 정지 장치가 채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제2관점:고차폐 타입의 횡형 블라인드에 관)
횡형 블라인드에 있어서는, 헤드 박스로부터 매어 달 수 있는 래더 코드에 지지를 받는은 다수단의 slat를 오르게 하거나, 틸트 시키거나함으로써, 실내에 받아들이는 일사량의 조정을 하고 있다.
래더 코드의 하단에 하부 레일이 배치되어, 하부 레일에 장착 된 승강 코드를 헤드 박스내에의 끌어 들여 및 헤드 박스로부터의 서랍을 하는 것에 의해, 하부 레일을 오르게 하는 것으로써 slat를 오르게 하고 있다.
일반적인 횡형 블라인드에 있어서는, 각slat의 전후 방향의 중앙에 승강 코드 삽입 구멍(孔)이 마련되어지고 있어, 승강 코드는, 헤드 박스로부터 수하되어, 승강 코드 삽입 구멍(孔)에게 삽입 되어서, 하부 레일에 접속되고 있다.
이러한 타입의 횡형 블라인드에서는, slat를 완전히 닫은 상태로 해서도, 승강 코드 삽입 구멍(孔)을 통해서 일사가 새버려, 만족한 가는 차폐성이 얻을 수 없을 경우가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특허문헌 2 또는 3에서는, slat의 전후 방향의 인연에 따라 헤드 박스로부터 하부 레일까지 승강 코드를 수하시키고 있다.
(제3관점:일사차폐장치의 구동 유닛에 관하여)
일사차폐장치에 있어서는, 헤드 박스로부터 매어 달 수 있는 일사차폐재료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 레일에 승강 코드의 일단이 장착 되어, 승강 코드의 타끝(가장자리)가 권취축에 장착 되어, 권취축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승강 코드의 말아서 빼 및 권 되돌리기를 가고, 일사차폐재료를 오르게 한다.
이러한 일사차폐 장치로는, 헤드 박스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를 받는은 조작 풀리에 조작 코드를 가케(掛) 장 하고, 이 조작 코드를 조작함으로써 조작 풀리를 회전시켜, 그 회전을 권취축에 전달함으로써 권취축을 회전시키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4을 참조).
일본 등록특허 3965151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공개 평3-35034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공개 소64-33897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평7-279558호 공보
(제1관점: 장해물 검지 정지 장치 캠 유닛에 관하여)
특허문헌 1에서는, 권취콘 내에 회전 드럼 및 캠 클러치를 수용하고 권취콘의 회전이 정지한 상태에서 회전 드럼이 회전되면 캠 클러치가 권취콘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축선방향 이동하고 캠 클러치에 설치된 제동손톱(制動爪)이 서포트 부재의 제동돌부에 계합(係合)함으로써, 장해물을 검지했을 시에 권취콘을 정지시키고 있다.
그런데, 권취콘의 길이나 지름은 제품마다 다른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술을 이용한 장해물검지 정지장치를 모든 제품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모든 제품의 권취콘의 설계 시에 장해물검지 정지장치에 관계되는 구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고 설계 작업이 번잡해진다.
(제2관점:고차폐 타입의 횡형 블라인드에 관하여)
특허문헌 2~3에 기재의 구성에서는, slat에는 승강 코드 삽입 구멍(孔)을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 구멍(孔)을 통한 일사누설의 과제는 해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slat의 전閉때에 텐션이 걸린 승강 코드가 래더 코드보다도 전후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는 상태가 되고, 그 때문에, 래더 코드에는, 승강 코드에 끌어당겨져서, 전후 방향외측의 힘이 가해진다.
이 방향의 힘은, 전閉상태가 되고 있는 slat를 가이(開) 상태로 하는 방향의 힘이며, 그 결과, slat가 조금 열리고, 차폐성이 저하되어버린다.
(제3관점:일사차폐장치의 구동 유닛에 관하여)
특허문헌 4에서는, 헤드 박스의 단부에 조작 코드가 마련되어지고 있어, 일사차폐장치가 방의 끝(가장자리)에까지 도달하고 있는 것 같을 경우에는 조작하기 어렵다.
조작 코드를 헤드 박스의 폭방향의보다 중앙측에 마련하고 싶지만, 특허문헌 4의 구성에서는, 조작 코드의 위치를 변경할 수는 없다.
그래서, 조작 코드를 헤드 박스의 폭방향의 원하는의 위치에 마련할 수 있는 기술이 기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진행된 것이며, 제1관점에서는 권취콘의 길이나 지름의 차이에 대응가능한 구성을 제공하고 제2관점에서는 차폐성이 아주 좋은 횡형 블라인드를 제공하고 제3관점에서는 조작 코드를 헤드 박스의 폭방향의 원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일사차폐 장치의 구동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1~ 제3의 관점의 적어도 1개에 의해 해결가능하다. 이하의 제1~ 제3의 관점에 관하여 서술한 내용은 서로 조합가능하고, 조합시키는 것에 의해 보다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관점의 내용에 의해 제1의 관점의 목적 및 효과가 달성되고, 본 발명의 제2의 관점의 내용에 의해 제2의 관점의 목적 및 효과가 달성되고, 본 발명의 제3의 관점의 내용에 의해 제3의 관점의 목적 및 효과가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제1관점에 의하면, 승강 코드의 권취 및 권취 해제를 진행하는 권취콘에 대하여 탈착가능하게 끼워맞춤되고 동시에 상기 권취콘과 일체회전(一體回轉)하는 콘 캡과, 상기 콘 캡에 대하여 축선방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결합되고 동시에 상기 콘 캡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범위 내에 있어서는 상대회전 가능하고 동시에 그 범위를 넘으면 상기 콘 캡과 일체회전하는 회전 드럼과, 상기 콘 캡과 일체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에 따라 상기 콘 캡에 대하여 축선방향으로 상대이동하도록 상기 회전 드럼에 대하여 계합(係合)되는 캠 클러치를 갖추는 캠 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자들은 권취콘의 설계의 번잡함을 회피하기 위하여 신중히 검토를 한바, 권취콘의 기단에 장착되는 콘 캡에 장해물 검지 정지 장치를 조립하는 착상을 얻었다. 그리고, 이 착상에 기초하여 콘 캡과 회전 드럼과 캠 클러치가 일체로 계합된 캠 유닛을 준비해 두면, 권취콘의 길이나 지름이 변해도, 이 캠 유닛을 장착 하는 것만으로 장해물 검지 정지 장치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것을 알아차리고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렀다.
이하,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예를 예시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여러가지 실시예는 서로 조합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 캡은 상기 회전 드럼 및 상기 캠 클러치를 수용하는 제동 통부(筒部)를 구비하고 상기 콘 캡은 상기 제동 통부 내에 한 쌍의 계합 돌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드럼은 상기 한 쌍의 계합 돌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규제 돌부를 구비하고, 상기 캠 클러치는, 상기 한 쌍의 계합 돌부로 계합하는 한 쌍의 이동 슬릿(slit)을 구비하고 상기 콘 캡에 대한 상기 회전 드럼의 상대회전 시에 상기 규제돌부가 상기 결합돌부에 당접(堂接: 맞닿아 접함)하여 그 상대회전 가능범위가 규정된다.
본 발명의 제2관점에 의하면, 헤드 박스로부터 수하되어 동시에 한 벌의 경사간에 복수의 횡사(씨실)을 갖추는 복수의 제1및 제2래더 코드와, 상기 래더 코드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부 레일과, 상기 래더 코드의 복수의 횡사(씨실)에 의해 지지를 받는는 복수단의 slat와, 상기 헤드 박스로부터 수하되어서 상기 하부 레일을 지지하는 제1및 제2승강 코드와, 상기 헤드 박스와 상기 하부 레일의 사이의 승강 코드장을 상기 헤드 박스측에서 변화시켜서 상기 하부 레일을 오르게 하는 승강 수단을 구비하고, 제1및 제2승강 코드는, 상기 slat를 끼어서 서로 전후 방향의 반대측에 수하되어, 제1래더 코드는, 제1승강 코드를 상하 방향에 슬라이드 가능에 삽입 시키는 제1연결부를 소유하고, 동시에 상기 slat에 설치된 노치에 결합 되어, 제2래더 코드는, 제2승강 코드를 상하 방향에 슬라이드 가능에 삽입 시키는 제2연결부를 소유하고, 이하의 (1)~ (2)의 적어도 1개의 특징을 소유하는, 횡형 블라인드가 제공된다.
(1) 제2승강 코드가 제2연결 부내로 전후 방향에 이동가능한 범위는, 제1승강 코드가 제1연결 부내로 전후 방향에 이동가능한 범위보다도 크다.
(2) 제1래더 코드 횡사(씨실)은, 제2래더 코드 횡사(씨실)보다도 짧다.
본 발명자는, 승강 코드가 래더 코드를 끌어당겨서 slat가 열려버린다라고 하는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처음에는, 단순하게, 승강 코드와 래더 코드를 연결하는 연결 루프의 사이즈를 크게 해 보았다.
이로 인해, 승강 코드가 래더 코드를 끌어당기는 힘이 약해지고, slat가 열린다고 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연결 루프의 사이즈를 크게 하면, slat가 폭방향에 벗어나기 쉬워진다라고 하는 별도의 문제 (이하, 「옆 엇갈림」이라고 칭한다.
)지만 생겨버렸다.
그 원인을 조사한 바, slat의 폭방향의 위치는 slat에 형성한 노치에 래더 코드를 결합 시키는 것에 의해 보유하고 있지만, 연결 루프의 사이즈를 크게 하고, 래더 코드가 승강 코드에 대하여 움직이기 쉬워지면, slat의 노치와 래더 코드와의 결합이 빠지기 쉬워지기 위해서다라고 알았다.
이와 같이, 옆 엇갈림의 발생 방지와 slat의 열기 방지를 양립시키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상황에 있어서 더하여 검토를 진행시키고, 제1래더 코드에서는, slat의 노치에 결합 시켜, 제2래더 코드에서는, slat를 끼어서 반대측에 승강 코드를 수하시켜, 상기 (1)~ (2)의 적어도 한 방향의 수단을 갖추는 구성에 도달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래더 코드에 있어서는 slat의 노치와 래더 코드와의 결합이 빠지기 어렵고,이기는 제2래더 코드에서는, slat의 열기가 억제되므로, 옆 엇갈림의 발생 방지와 slat의 열기 방지가 양립된다.
이하, 본 발명이 가지가지인 실시 형태를 예시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가지가지인 실시 형태는, 서로 조합시켜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제2래더 코드는, 상기 slat의 노치에는 결합 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노치는, 상기 slat의 전후 방향외측을 향해서 넓어지는 테이퍼면을 소유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래더 코드는, 제1연결부를 복수구비하고, 상기 헤드 박스에 가까운 1 또는 복수의 제1연결부에 관하여, 이하의 (A1)~ (B1)의 적어도 1개의 특징을 소유한다.
(A1) 제1승강 코드가 제1연결부에 삽입 되지 않고 동시에 제1연결부와 연결되지 않는다.
(B1) 제1승강 코드가 제1연결부에 삽입 되지 않고 동시에 제1연결 부재 를 개재하여 제1연결부와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래더 코드는, 제2연결부를 복수구비하고, 상기 헤드 박스에 가까운 1 또는 복수의 제2연결부에 관하여, 이하의 (A2)~ (B2)의 적어도 1개의 특징을 소유한다.
(A2) 제2승강 코드가 제2연결부에 삽입 되지 않고 동시에 제2연결부와 연결되지 않는다.
(B2) 제2승강 코드가 제2연결부에 삽입 되지 않고 동시에 제2연결 부재 를 개재하여 제2연결부와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및 제2래더 코드는, 각각, 제1및 제2연결부를 복수구비하고,이하의 (a)~ (b)의 적어도 1개의 특징을 소유한다.
(a)상기 헤드 박스에 가장 가까운 제1연결부에서는, 제1승강 코드가 제1연결부에 삽입 되지 않고 동시에 제1연결부와 연결되지 않고, 동시에 상기 헤드 박스에 두번째에 가까운 제1연결부에서는, 제1승강 코드가 제1연결부에 삽입 되지 않고 동시에 제1연결 부재 를 개재하여 제1연결부와 연결된다.
(b)상기 헤드 박스에 가장 가까운 제2연결부에서는, 제2승강 코드가 제2연결부에 삽입 되지 않고 동시에 제2연결부와 연결되지 않고, 동시에 상기 헤드 박스에 두번째에 가까운 제2연결부에서는, 제2승강 코드가 제2연결부에 삽입 되지 않고 동시에 제2연결 부재 를 개재하여 제2연결부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3관점에 의하면, 헤드 박스와, 상기 헤드 박스내에 수용되어 동시에 회전에 의해 일사차폐재료를 오르게 하는 구동 축과, 조작 풀리의 회전에 의해 상기구동 축을 회전시키는 조작부 유닛과, 상기조작 풀리에 가케(掛) 장 되는 조작 코드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 박스는, 상기조작 코드를 삽입 시키는 조작 코드 삽입 구멍(孔)을 소유하고, 상기조작부 유닛은, 상기조작 코드를 상기조작 코드 삽입 구멍(孔)에게 삽입 시킨 상태로 상기조작 코드와 상기 헤드 박스의 간섭을 저감해서 상기 헤드 박스에 대하여 폭방향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하는 코드 대피부를 갖추는, 일사차폐장치의 구동 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자는, 조작 풀리를 구비하는 조작부 유닛을 헤드 박스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가능한 것 같이 구성하고, 헤드 박스의 원하는의 위치에 조작 코드 삽입 구멍(孔)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헤드 박스의 폭방향의 원하는의 위치에 조작 코드를 마련하는 것을 시도했다.
그러나, 조작 코드를 조작 코드 삽입 구멍(孔)에게 삽입 시킨 상태에서는, 헤드 박스내에서 조작부 유닛과 헤드 박스의 사이에 조작 코드가 끼여버려, 조작부 유닛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이 어렵거나, 슬라이드 이동시킬 때에 조작 코드에 강한 마찰이 가해져버리거나 한다라고 하는 문제가 있는 것을 알았다.
이러한 새롭게 찾아낸 과제를 해결하도록 예의검토를 간 바, 조작부 유닛에 코드 대피부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조작 코드와 헤드 박스의 사이의 간섭을 저감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헤드 박스에 대하여 조작부 유닛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을 찾아내고,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렀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면, 조작부 유닛을 헤드 박스의 오른쪽 끝에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조작부 유닛을 떼고, 헤드 박스의 좌단의 근처에 설치된 조작 코드 삽입 구멍(孔)에게 조작 코드를 삽입 시킨 상태로 조작부 유닛을 헤드 박스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소정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조작부 유닛의 위치를 헤드 박스의 오른쪽에서 왼쪽에 용이로 변경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가지가지인 실시 형태를 예시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서로 조합시켜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조작부 유닛은, 상기조작 풀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해 동시에 상기조작 풀리의 회전을 상기구동 축으로 전달하는 기어를 보유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헤드 박스에 상기조작 코드 삽입 구멍(孔)이 마련되어지는 면에 상대하는 대향면을 소유하고, 상기 코드 대피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대향면과 상기 헤드 박스의 사이의 틈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드 박스는, 상기 헤드 박스의 오른쪽 끝에 가까운 위치와 좌단에 가까운 위치의 각각 상기조작 코드 삽입 구멍(孔)을 소유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조작 풀리의 오른쪽 및 왼쪽의 각각 상기 코드 대피부를 소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는, 폭방향에 순서대로, 케이스 캡, 기어 케이스,및 엔드 캡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 캡과 상기 기어 케이스의 사이에 상기조작 풀리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를 받는고, 상기 기어 케이스와 상기 엔드 캡의 사이에 상기조작 풀리의 회전을 상기구동 축으로 전달하는 전달 기어가 지지를 받는고, 상기 코드 대피부는, 상기 케이스 캡, 기어 케이스,및 엔드 캡의 각각의 상기대향면과 상기 헤드 박스의 사이의 틈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조작 코드 삽입 구멍(孔)에게 설치가능한 코드 게이트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코드 게이트는, 상기조작 코드 삽입 구멍(孔)에의 설치 상태로, 상기조작부 유닛에 결합 해서 상기조작부 유닛의 슬라이드 이동을 불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드 박스는, 전(前)벽및후 벽의 각각으로부터 전후 방향중앙을 향해서 돌출하는 앞측 돌출 벽 및 뒷 쪽 돌출 벽을 구비하고, 상기조작부 유닛은, 상기 헤드 박스의 밑바닥벽, 상기전 벽, 상기후 벽, 상기전측 돌출 벽 및 상기 뒷 쪽 돌출 벽에서 둘러싸여지는 공간에 있어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관점의 도면의 간단한 설명 )
도1은 본 발명의 제1관점의 제1실시 형태의 횡형 블라인드를 나타내고, 도1(a)~(b)는 정면도, (c)는 우측면도이다. 도1(b)는 헤드 박스(1)의 전벽(前壁)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1(c)는 박스 캡(21)을 떼어낸 상태를 나타낸다.
도2(a)는 도1에서의 서포트 부재(11) 및 이것에 수용되고 있는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b)는 도2(a)에서의 틸트 스프링(24)의 상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서포트 부재(1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는 도2의 서포트 부재(11)를 다른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5(a)는 도2의 서포트 부재(11)의 어댑터(51)의 끼워 맞추는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b)는 어댑터(51)에 설치된 축공(軸孔)(51e),(51f)에 활차(53)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며, 도5(c)는 축공(51e),(51f)의 중심을 통하는 도5(b)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6은 도2의 콘 캡(14)과 권취콘(9)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7(a)는 도2의 장해물 검지 정지 장치(10)에 포함되는 캠 클러치(12)와 회전 드럼(13)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7(b)는 회전 드럼(13)을 캠 클러치(12) 측에서 본 도이다. 도7(c)는 캠 클러치(12)와 회전 드럼(13)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8(a)는 도7의 캠 클러치(12)와 회전 드럼(13)을 다른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8(b)는 연결 상태의 캠 클러치(12) 및 회전 드럼(13)과 분리 상태의 콘 캡(14)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9(a)~(b)는 연결 상태의 캠 클러치(12), 회전 드럼(13) 및 콘 캡(14)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0(a)는 회전 드럼(13)과 콘 캡(14)을 캠 클러치(12) 측에서 본 도이다. 도10(b)는 도7(c)에 대응하는 도이다. 도10(c)는 도9에 대응하는 도이다. 도10(a)~(c)는 모두 규제 돌부(13e)가 계합 돌부(14c)에 인접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11(a)는 회전 드럼(13)과 콘 캡(14)을 캠 클러치(12) 측에서 본 도이다. 도11(b)는 도7(c)에 대응하는 도이다. 도11(c)는 도9에 대응하는 도이다. 도11(a)~(c)는 모두 규제 돌부(13e)가 계합 돌부(14d)에 인접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12(a)~(c)는 하부 레일(4)이 하한위치에 있는 상태로 슬랫(3)을 전폐상태(全閉狀態)로부터 역전폐상태(逆全閉狀態)까지 틸트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1(c)에 대응하는 우측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1관점의 제2실시 형태에 있어서, 회전 드럼(13)이 제1회전 드럼(63)과 제2회전 드럼(73)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13(a)는 연결상태, 도13(b)는 분리상태를 나타낸다.
도14는 도13의 제1 및 제2회전 드럼(63),(73)을 다른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15(a)는 제2회전 드럼(73), 콘 캡(14) 및 제1회전 드럼(63)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5(b)~(c)는 콘 캡(14)의 사시도이다.
도16은 캠 클러치(12)와 제2회전 드럼(73)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16(a)는 분리상태, 도16(b)는 연결상태를 나타낸다.
도17(a)는 캠 클러치(12)와 제2회전 드럼(73)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다른 각도로부터의 사시도이고 도17(b)는 캠 클러치(12), 제2회전 드럼(73) 및 콘 캡(14)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8은 연결 상태의 캠 클러치(12), 제2회전 드럼(73), 콘 캡(14) 및 제1회전 드럼(63)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9(a)~(b), (c)~(d)는 각각 제1 및 제2회전 드럼(63),(73)과 콘 캡(14)의 위치관계의 제1상태 및 제2상태를 나타낸다. 도19 (a) 및 (c)는 제2회전 드럼(73)의 규제 돌부(13e)와 콘 캡(14)의 계합 돌부(14c),(14d)를 통하는, 캠 클러치(12) 측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19(b) 및 (d)는 제1회전 드럼(63)의 규제 돌부(63e)와 제2회전 드럼(73)의 규제 돌부(73d)를 통하는, 캠 클러치(12) 측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20(a)~(b), (c)~(d)는 각각 제1 및 제2회전 드럼(63),(73)과 콘 캡(14)의 위치관계의 제3상태 및 제4상태를 나타낸다. 도 20(a) 및 (c)는 제2회전 드럼(73)의 규제 돌부(13e)와 콘 캡(14)의 계합 돌부(14c),(14d)를 통하는, 캠 클러치(12) 측에서 본 단면도이며, 도 20(b) 및 (d)는 제1회전 드럼(63)의 규제 돌부(63e)과 제2회전 드럼(73)의 규제 돌부(73d)를 통하는, 캠 클러치(12) 측에서 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관점의 도면의 간단한 설명 )
도21은 본 발명의 제2관점의 제1실시 형태에 걸리는, 횡형 블라인드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22는 도21안의 점선에서 둘러싼 부분의 확대 도이다.
도23 (a)은, 도21의 slat9의 평면도이며, 도23(b)은, 도23 (a)중의 A-A단면도이며, 도23(c)은, 도23 (a)중의 영역X의 확대 도이다.
도24(a)~ (b)은, 제1및 제2래더 코드5, 6의 정면도이며, 도24(c)~ (d)은, 도24(a)~ (b)의 제1및 제2래더 코드5, 6에 slat9을 보유시켜 동시에 연결부 5c, 6c에 제1및 제2승강 코드13, 14을 삽입 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5(a)~ (b)은, slat9이 수평상태에서의, 제1및 제2래더 코드5, 6을 통하는 단면도이다.
도26(a)~ (b)은, slat9이 전閉상태에서의, 제1및 제2래더 코드5, 6을 통하는 단면도이다.
도27은, 본 발명의 제2관점의 제2실시 형태의 횡형 블라인드에서의, 도22에 대응하는 도이다.
도28은, 본 발명의 제2관점의 제3실시 형태의 횡형 블라인드에서의, 도22에 대응하는 도이다.
도29(a)~ (d)은, 본 발명의 제2관점의 제4실시 형태의 횡형 블라인드에서의, 도24(a)~ (d)에 대응하는 도이다.
도30(a)~ (d)은, 본 발명의 제2관점의 제5실시 형태의 횡형 블라인드에서의, 도24(a)~ (d)에 대응하는 도이다.
도31(a)~ (b)은, 본 발명의 제2관점의 제5실시 형태의 횡형 블라인드에서의, 도26(a)~ (b)에 대응하는 도이다.
(본 발명의 제3관점의 도면의 간단한 설명 )
도32는 본 발명의 제3관점의 1실시 형태의 횡형 블라인드를 나타내고, (a)~ (b)은 정면도, (c)은 우측면도이다.
(b)은 헤드 박스(1) 앞벽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고, (c)은 박스 캡21을 돌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33(a)은, 도32의 조작부 유닛6, 코드 게이트15및 조작코드(7)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c)은 (a)의 분해도이며, (b) 및 (d)은, (a) 및 (c)중의 코드 게이트15의 폭방향의 중앙을 통하는 단면도이다.
도34(a)은, 도32의 조작부 유닛6의 전후 방향의 중앙을 통하는 단면도이며, (b)은, (a)의 분해도이다.
도35(a)~(c)은, 각각, 도32의 헤드 박스(1)안에 엔드 캡6d, 기어 케이스6c,및 케이스 캡6b만이 수용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a)은 좌측면도, (b) 및 (c)은 우측면도이다.
(d)은, 코드 게이트15이 헤드 박스(1)에 결합 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코드 게이트15의 폭방향중앙을 통하는 단면도이다.
(e)은, 헤드 박스(1)안에서의 코드 게이트15과 조작부 유닛6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f)은, 눈가리개 캡17이 헤드 박스(1)에 결합 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눈가리개 캡17의 폭방향중앙을 통하는 단면도이다.
도36(a)~(d)은, 도32의 헤드 박스(1)의 오른쪽에 달 수 있었던 조작부 유닛6을 떼는 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7(a)~(d)은, 도32의 헤드 박스(1)의 왼쪽에 조작부 유닛6을 다는 순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제1~ 제3의 관점에 근거하는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지만 제1~ 제3의 관점의 특징의 2개이상을 포함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하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1~ 제3의 관점에 근거하는 실시 형태는 서로 조합가능하다. 또한, 각 요소에 첨부되는 부호에 관해서는 다른 관점에서는 다른 요소에 같은 번호의 부호를 첨부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제1관점의 제1실시 형태)
도1에 나타내는 일사차폐 장치로서의 횡형 블라인드는 헤드 박스(1)로부터 수하(垂下)되는 복수개의 래더 코드(2)를 통하여 일사차폐 재료로서의 다수단의 슬랫(3)이 매달려 지지되고, 동(同) 래더 코드(2)의 하단에 하부 레일(4)이 매달려 지지되어 있다.
래더 코드(2)의 근방에 있어서, 헤드 박스(1)로부터 복수개의 승강 코드(5)가 수하되고, 중앙의 승강 코드(5), 슬랫(9)의 앞측(방 내측)에 수하되고, 양단의 승강 코드(5)는 슬랫(9)의 내측(방 외측)에 수하된다. 승강 코드(5)는 그 상단부가 헤드 박스(1) 내에 배설되는 권취콘(9)에 권착(卷着)되고 하단부가 상기 하부 레일(4)에 접속되고 있다.
승강 코드(5)는 일단에 설치된 매듭을 권취콘(9)의 계합홈(9d)에 거는 것에 의해 권취콘(9)에 장착 되고 권취콘(9)의 회전에 기초하여 권취 혹은 권취 해제가 진행되고 이 회전에 근거하여 하부 레일(4) 및 슬랫(3)이 승강된다. 도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권취콘(9)은 서포트 부재(11)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고 구동축(8)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하다. 서포트 부재(11)는 헤드 박스(1)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각 서포트 부재(11)에는 하부 레일(4)의 하강 시에 하부 레일(4)이 장해물에 충돌한 것을 검지하여 구동축(8)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장해물 검지 정지 장치(10)가 조립되어 있다.
래더 코드(2)의 상단은 틸트 드럼(23)에 장착된 틸트 스프링(24)에 장착되어 있다. 틸트 스프링(24)은 1개의 철사를 도2(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루프형으로 굴곡시켜 형성된 것이고 양단에 래더 코드 장착부(24a1),(24a2)와 계지 돌부(係止突部)(24b1),(24b2)를 구비한다. 래더 코드(2)의 2개의 상단이 2개의 래더 코드 장착부(24a1),(24a2)에 각각 장착된다. 틸트 드럼(23)은 서포트 부재(11)의 틸트 드럼 수용부(11d) 내에서 구동축(8)에 의해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틸트 스프링(24)은 도2(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계지돌부(24b1),(24b2)가 서포트 부재(11)에 당접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틸트 드럼(23)을 압박하고 있어서, 틸트 드럼(23)과 일체회전한다. 때문에, 틸트 드럼(23)의 회전에 기초하고 래더 코드(2)를 통하여 각 슬랫(3)이 동위상(同位相)에서 각도 조절된다. 또한, 틸트 드럼(23)을 도2(a)의 화살표XD방향으로 회전시켜 계지 돌부(24b1)를 서포트 부재(11)의 계지면(11h)에 당접시킨 상태에서 틸트 드럼(23)을 화살표XD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계지 돌부(24b1)에 도2(b)의 화살표XU방향의 힘이 가해지는 것에 의해 틸트 스프링(24)의 지름이 넓어져 틸트 스프링(24)이 틸트 드럼(23)을 압박하는 힘이 약해지고 틸트 드럼(23)이 틸트 스프링(24)에 대하여 헛돌게 된다. 또한, 틸트 드럼(23)을 화살표XU방향으로 회전시켜 계지 돌부(24b1)를 서포트 부재(11)의 계지면(11h)에 당접시킨 경우에도 같은 원리에 의해, 틸트 드럼(23)을 화살표XU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틸트 드럼(23)이 틸트 스프링(24)에 대하여 헛돈다. 이러한 원리에 의해, 각 슬랫(3)은 거의 수직방향까지 회동(回動)되면 그 이상은 회동되지 않게 되어 있다.
헤드 박스(1)의 우단보다 폭방향 중앙측의 위치에는 조작부 유닛(6)이 설치되고 루프형의 조작코드(7)의 조작에 의하여 헤드 박스(1)의 내부에 수용된 구동축(8)을 회전구동 가능하고 구동축(8)의 회전에 의해 권취콘(9)이 회전된다. 조작부 유닛(6)은 그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공지의 자중하강 방지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자중하강 방지장치는 조작코드(7)에 근거하는 하부 레일(4) 및 슬랫(3)의 인상조작이 정지되면 작동하여 구동축(8)의 회전을 정지시켜 하부 레일(4) 및 슬랫(3)을 원하는 위치에 매달아 지지시킨다. 또한, 조작코드(7)의 조작에 의해 자중하강 방지장치의 작동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 하부 레일(4) 및 슬랫(3)을 자중에 기초하여 하강시킨다.
헤드 박스(1)의 우단에 가까운 위치와 좌단에 가까운 위치에는 각각 조작코드 삽입공(13)이 설치되어 있고 오른쪽의 조작코드 삽입공(13)으로는, 코드 게이트(15)를 통하여 조작코드(7)가 헤드 박스(1)의 밖으로 도출되어 있다. 또한, 왼쪽의 조작코드 삽입공(13)은 조작부 유닛(6)을 헤드 박스(1)의 왼쪽으로 이동시킬 때에 사용하는 것이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리개(17)로 막혀져 있다. 헤드 박스(1)의 양단은 박스 캡(21)으로 막혀져 있다.
여기에서, 권취콘(9), 서포트 부재(11) 및 장해물 검지 정지 장치(10)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권취콘(9)은 권취부(9b)와 권취부(9b)의 단측에 설치된 플랜지(9a)와 권취부(9b)의 기단측에 설치된 연결부(9c)를 구비한다. 연결부(9c)에는 계합홈(9d)이 설치되어 있다.
권취부(9b)는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하여 점점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선단 측에서 권취된 승강 코드(5)가 기단 측으로 이동하기 쉽게 되어 있다. 연결부(9c)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지 않다. 연결부(9c)에는 콘캡(14)이 연결된다. 콘캡(14)은, 플랜지(14g)로부터 권취콘(9) 측으로 연장되는 계지통부(係止筒部)(4e)와 그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제동통부(14f)를 구비한다. 계지통부(14e)는 제동통부(14f)보다도 외경이 작고 계지통부(14e)로부터 지름방향(?a??) 외측을 향하여 홈계합 돌부(14a)와 연결돌부(14b)가 돌출되어 있다. 계합홈(9d), 홈계합 돌부(14a), 연결돌부(14b)는 각각 180도 간격으로 2곳씩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홈계합 돌부(14a)와 연결돌부(14b)는 서로 90도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2곳의 연결돌부(14b)를 둘러싸는 외주원의 직경은 연결부(9c)의 내경보다 조금 작게 되어 있고 홈계합 돌부(14a)의 위치를 계합홈(9d)에 맞춰 연결돌부(14b)를 연결부(9c) 내에 삽입하는 것의 의해 콘캡(14)과 권취콘(9)을 가볍게 연결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홈계합 돌부(14a)가 계합홈(9d)에 계합하고 있기 때문에 콘캡(14)과 권취콘(9)은 일체로 회전하지만 양자의 축선방향의 분리를 방해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양자는 용이하게 분리된다. 한편, 연결돌부(14b)의 축선방향의 변에는 테이퍼면(14h)이 설치되어 있고 연결돌부(14b)를 연결부(9c) 내로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포트 부재(11)는 권취콘(9)의 플랜지(9a)를 지지하는 권취콘 지지부 (11a)와 콘 캡(14)의 제동통부(14f)를 지지하는 콘 캡 지지부(1lb)를 구비한다.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권취콘(9)과 콘 캡(14)을 연결한 상태에서, 권취콘(9)의 플랜지(9a)를 권취콘 지지부(11a)로 지지시키고 콘캡(14)의 제동통부(14f)를 콘 캡 지지부(1lb)에 지지시키면 권취콘(9) 측에서는, 플랜지(9a)가 권취콘 지지부(11a)에 계합하여 축선방향 이동을 방해되고 콘캡(14)측에서는, 플랜지(14g)가 격벽(隔璧)(11c)에 당접하고 콘캡(14)이 권취콘(9)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축선방향 이동하는 것이 방해된다. 이와 같이, 권취콘(9)과 콘캡(14)을 연결한 상태에서 서포트 부재(11)에 장착하면 권취콘(9)과 콘캡(14)은 분리되지 않게 된다. 후술하게 되지만, 콘캡(14)의 제동 통부(14f) 내에는 캠 클러치(12) 및 회전 드럼(13)이 수용되어 있고 서포트 부재(11)에는 캠 클러치(12)의 제동손톱(12c)에 계합하여 구동축(8)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동돌부(11g)가 설치되어 있다.
서포트 부재(11)의 저면에는,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 코드 삽입공(51a) 및 래더 코드 삽입공(5lb)을 가지는 어댑터(51)가 탈착가능하게 끼워맞춤되어 있고 승강 코드(5) 및 래더 코드(2)는 각각, 승강 코드 삽입공(51a) 및 래더 코드 삽입공(5lb)을 통하여 서포트 부재(11) 내에 도입되어 권취콘(9) 및 틸트 드럼(23)에 장착된다. 도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댑터(51)는 서포트 부재(11)의 앞벽 및 뒤벽의 각각으로부터 전후 방향의 중앙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11e)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어댑터(51)를 이용하는 것의 이점으로서는, 서포트 부재(11)의 금형성형이 용이해지는 것과 서포트 부재(11)의 공통화를 도모하기 쉬운 것을 들 수 있다.
승강 코드 삽입공(51a)은 격벽(51c)과 격벽(51d)의 사이에 설치되고 격벽(51c),(51d)에는 축공(51e), (51f)의 조(組: 쌍)가 6개 설치되어 있다. 활차(53)의 축공(53a)의 위치를 격벽(51c),(51d)의 축공(51e),(51f)에 맞춰 고정핀(52)을 삽입함으로써 활차(53)를 어댑터(51)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고정핀(52)은 축공(51f)으로 압입하는 것에 의해 축공(51f)으로부터 용이하게 빠지지 않게 되어 있지만, 다른 방법으로 빠지지 않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축공(51e),(51f)가 복수 조(쌍)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슬랫(3)의 폭에 맞춘 활차(53)의 고정위치의 변경이나 서포트 부재(11)를 좌우 전환시켰을 시의 활차(53)의 고정위치의 변경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한, 활차(53) 및 고정핀(52)은 어댑터(51)를 서포트 부재(11)에 장착하기 전에 어댑터(51)에 고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활차(53) 및 고정핀(52)의 장착작업이 용이해진다.
다음으로, 장해물 검지 정지 장치(10)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장해물 검지 정지 장치(10)는 서포트 부재(11)와 캠 클러치(12), 회전 드럼(13), 콘캡(14)으로 구성된다.
도7~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 클러치(12)는 거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있고 통부(12a)와 이 통부(12a)보다 대경(大徑)으로 형성된 제동부(12b)를 구비하고 있다. 통부(12a)는 서포트 부재(11)의 캠 클러치 지지공(支持孔)(11f)으로 삽입되어 지지된다.
제동부(12b)는 외주면의 지름이 콘캡(14)의 제동 통부(14f)의 내주면과 접동(摺動)가능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제동부(12b)의 통부(12a) 측의 단부에는 제동손톱(12c)이 형성되어 있다. 제동손톱(12c)은 축선방향을 향하여 거치상(鋸齒狀)으로 돌출되어 있고 서포트 부재(11)의 제동 돌부(11g)와 계합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동손톱(12c)은 제동 돌부(11g)에 계합함으로써 원주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되고 서포트 부재(11)와 캠 클러치(12)는 상대회전 불가능으로 된다. 제동손톱(12c)은 제동부(12b)의 원주방향에 따라 등각도 간격으로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180도 간격으로 2개) 형성되어 있다.
도7(a) 및 8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동부(12b)의 측벽에는 캠 구조로서의 접동공(摺動孔) (12d) 및 이동 슬릿(12e)이 형성되어 있다. 접동공(12d)은 제동부(12b)의 축선에 대하여 약 68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동공(12d)은 제동부(12b)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약 120도의 각도범위에 걸쳐 배설되도록 그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이동 슬릿(12e)은 제동부(12b)의 축선방향에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동 슬릿(12e)은, 도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캡(14)의 계합 돌부(14c),(14d)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설되어 있고 이동 슬릿(12e)과 계합 돌부(14c),(14d)를 계합 하는 것에 의해 캠 클러치(12)와 콘 캡(14)은 상대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축선방향에 따라 상대이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캠 클러치(12)는 콘캡(14)의 축선방향으로 상대이동되는 것으로 제동손톱(12c)이 서포트 부재(11)의 제동 돌부(11g)에 계합되면 서포트 부재(11)에 대하여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되고, 제동손톱(12c)과 제동 돌부(11g)의 계합상태가 해제되면 서포트 부재(11)에 대하여 상대회전이 가능해진다.
제동부(12b)의 측벽은 원주방향에 있어서 두개의 이동 슬릿(12e)을 끼는 한 쪽(도8(a)에 있어서 안측)이, 다른 쪽(도8 (a)에 있어서 바깥측)보다도 축선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캠 클러치(12)의 통부(12a)의 통공(筒孔)(12f)에는 구동축(8)이 삽입되어 있지만, 통공(12f)이 단면사각형상의 구동축(8)의 외접원경보다 크기 때문에 캠 클러치(12)는 구동축(8)과는 상대회전이 가능하다.
도7~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 클러치(12)의 경방향 내측에는 회전 드럼(13)이 수용되어 있다.
회전 드럼(13)은 본체부(13a)와 계지손톱(13b)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13a)는 거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3a)의 중심으로는 정사각형상의 삽입공(13c)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 드럼(13)은 삽입공(13c)에 동(同)사이즈의 단면 4각형의 구동축(8)이 관통되어 구동축(8)과 함께 일체회전을 한다.
계지손톱(13b)은 본체부(13a)의 원주방향에 따라 등각도 간격(90도 간격)으로 4개 형성되어 있고 콘캡(14)의 계지통부(14e)에 삽입할 때, 계지통부(14e)의 중심으로 향하여 탄성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계지손톱(13b)은 본체부(13a)보다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본체부(13a)와 각 손(13b)에 의해 콘캡(14)의 계지통부(14e)를 축선방향으로 끼우고 회전 드럼(13)과 콘 캡(14)이 축선방향으로 상대이동하지 않게 되어 있다.
본체부(13a)에는 축선방향에 따른 2개의 노치(notch)가 형성되어 있고 이 노치에 의해 암(arm)(13f)이 형성되어 있다. 암(13f)의 끝단에는 회전 드럼(13)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접동(摺動)돌부(13d)가 형성되어 있다. 암(13f)은, 노치에 의해 회전 드럼(13)의 직경방향에 따라 가요성을 가지고 있고 캠 클러치(12)의 내부에 조립할 때, 접동돌부(13d)와 함께 선단이 중심을 향하여 휘게 되어 있다. 접동돌부(13d)는 거의 원주형상으로 돌출형성되어 있고 캠 클러치(12)의 접동공(12d) 내를 접동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3a)의 계지손톱(13b) 측의 일단에는,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규제 돌부(13e)가 형성되어 있다. 규제 돌부(13e)는 본체부(13a)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접동돌부(13d)의 거의 반대위치에 배설되어 있다. 또한, 규제 돌부(13e)는 본체부(13a)의 원주방향에 있어서 소정각도범위에서 돌출형성되어 있고 회전 드럼(13)이 콘 캡(14)에 대하여 상대회전했을 시에, 계합 돌부(14c),(14d)와 원주방향에 있어서 당접하도촉 그 돌출량이 설정되어 있다.
이렇게 형성된 회전 드럼(13)은 도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동돌부(13d)가 캠 클러치(12)의 접동공(12d)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조립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드럼(13)은 도8(b), 도10(a) 및 도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규제 돌부(13e)가 콘 캡(14)의 계합 돌부(14c),(14d)의 사이에 배설되도록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드럼(13)과 콘 캡(14)은 도10(a) 및 도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규제 돌부(13e)가 콘 캡(14)의 계합 돌부(14c),(14d)의 사이를 상대이동하는 범위내에 있어서만 상대이동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횡형 블라인드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횡형 블라인드의 인상(당겨 올림) 시의 조작을 설명한다.
조작코드(7)가 조작되어 구동축(8)이 횡형 블라인드의 인상방향(도2(a)의 화살표XU방향)으로 회전되면, 이 회전은 회전 드럼(13)으로 전달되고 이 회전 드럼(13)은 도10(a) 및 (b)에서의 화살표XU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회전 드럼(13)의 규제 돌부(13e)가 도10(a)의 화살표XU의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접동돌부(13d)가 접동공(12d)에 따라 도10(b)의 화살표YU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단계에서는, 회전 드럼(13)의 회전은 콘 캡(14)에는 전달되지 않고 회전 드럼(13)은 콘 캡(14)에 대하여 상대회전한다. 또한, 접동돌부(13d)의 이동에 따라 도10(b)의 화살표ZU의 방향의 힘이 캠 클러치(12)에 가해지는 것에 의해, 캠 클러치(12)가 콘 캡(14)에 대하여 도10(c)의 화살표ZU방향으로 상대이동한다. 이 상태에서는, 제동손톱(12c)은 제동통부(14f)로부터의 돌출량이 작고 제동손톱(12c)은 서포트 부재(11)의 제동돌부(11g)와는 계합되지 않고 캠 클러치(12)는 서포트 부재(11)에 대하여 상대회전가능하다.
구동축(8)을 같은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규제 돌부(13e)가 계합 돌부(14c)에 당접하여 계합 돌부(14c)에 대하여 도10 (a)의 화살표XU방향의 힘을 가하기 때문에 회전 드럼(13)이 콘 캡(14)과 일체회전한다. 또한, 캠 클러치(12) 및 권취콘(9)은 항상 콘 캡(14)과 일체회전하기 때문에, 그 결과, 회전 드럼(13)이 콘 캡(14), 캠 클러치(12) 및 권취콘(9)과 일체 회전하고 승강 코드(5)가 권취콘(9)에 권취되어 하부 레일(4)이 상승한다.
다음에, 횡형 블라인드의 인하(당겨 내림) 시의 조작을 설명한다.
횡형 블라인드의 인하 시의 조작은 슬랫(3) 및 하부 레일(4)의 자중을 이용하여 진행되기 때문에 인하 시의 구동력은 권취콘(9)으로부터 구동축(8)을 향하여 전달된다.
슬랫(3) 및 하부 레일(4)의 자중에 의해 승강 코드(5)에 텐션이 가해지면, 권취콘(9)에 도2(a)의 화살표XD방향의 힘이 가해진다. 이 힘에 의한 회전은 그대로 콘 캡(14) 및 캠 클러치(12)에 전달되어 콘 캡(14) 및 캠 클러치(12)를 도10(a)~ (b)의 화살표XD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이 시점에서는, 규제 돌부(13e)는 도10 (a)에 나타낸 것처럼 계합 돌부(14c)에 당접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규제 돌부(13e)가 계합 돌부(14c)로부터 도10(a)의 화살표XD방향의 힘을 받아 회전 드럼(13) 및 구동축(8)은 콘 캡(14)과 일체회전한다.
하부 레일(4)이 장해물에 충돌하거나 하부 레일(4)이 하한위치에 도달하여 하부 레일(4)의 하중이 래더 코드(2)에 가해지거나 하면 승강 코드(5)에 가해지는 텐션이 약해지고, 그 결과, 권취콘(9)에 가해지는 도2(a)의 화살표XD방향의 힘이 약해지고, 권취콘(9)의 회전이 감속되거나 정지된다. 헤드 박스(1)안에 설치되어 있는 다른 장해물 검지 정지 장치(10)에서는 권취콘(9)의 회전이 감속 또는 정지되지 않았을 경우, 권취콘(9)의 회전이 감속 또는 정지된 장해물 검지 정지 장치(10)의 회전 드럼(13) 및 구동축(8)의 도10(a)의 화살표XD방향의 회전이 콘 캡(14)의 회전보다 빨라지고, 그 결과, 규제 돌부(13e)가 계합 돌부(14c)로부터 화살표XD방향으로 상대이동한다. 이 때, 회전 드럼(13)이 캠 클러치(12)에 대하여 도10(b)의 화살표 XD방향으로 상대회전하고, 그 결과, 접동돌부(13d)가 접동공(12d)에 따라 도10(b)의 화살표YD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접동돌부(13d)의 이동에 따라 도10(b)의 화살표ZD의 방향의 힘이 캠 클러치(12)에 가해지는 것에 의해, 캠 클러치(12)가 콘 캡(14)에 대하여 도10(c)의 화살표ZD의 방향으로 상대이동하고 도11(a)~ (c)에 나타내는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동손톱(12c)은 제동통부(14f)로부터의 돌출량이 크고 제동손톱(12c)이 서포트 부재(11)의 제동돌부(11g)와 계합되어 캠 클러치(12)는 서포트 부재(11)에 대하여 상대회전이 불가능해진다. 또한, 콘 캡(14)도 동시에 서포트 부재(11)에 대하여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되고 회전 드럼(13)은 도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규제 돌부(13e)가 계합 돌부 (14d)에 당접한 시점에서 더 이상의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구동축(8)의 회전이 정지된다.
도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레일(4)이 하한위치LL에 도달하여 장해물 검지 정지 장치(10)가 작동할 때, 슬랫(3)은 전폐(全閉)상태로 되어 있고 하부 레일(4)도 동일하게 경사진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틸트 스프링(24)의 계지돌부(24b1)가 서포트 부재(11)의 계지면(11h)에 당접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 구동축(8)을 인상하는 방향(도2(a) 및 도12의 화살표XU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틸트 드럼(23)이 화살표XU방향으로 회전하고 슬랫(3)이 도12(b)에 도시하는 상태로 되고 구동축(8)을 더 회전시키면 슬랫(3)이 도12(c)에 도시하는 역전폐(逆全閉)상태로 된다. 도12(c)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틸트 스프링(24)의 계지돌부(24b2)가 서포트 부재(11)의 계지면(11h)에 당접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 회전 드럼(13)의 규제 돌부(13e)가 도11(a)의 화살표XU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접동돌부(13d)가 도11(b)의 화살표YU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로 인해 제동손톱(12c)이 도11(c)의 화살표ZU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동손톱(12c)과 제동 돌부(11g)의 계합이 해제되어, 구동축(8)이 서포트 부재(11)에 대하여 상대회전 가능해진다. 회전 드럼(13)은 규제 돌부(13e)가 계합 돌부(14c)에 당접할 때까지 콘 캡(14)에 대하여 상대회전한다. 이로 인해, 구동축(8)이 도11(a)의 각도R만 회전한 후에 승강 코드(5)의 권취가 개시된다. 한편, 틸트 드럼(23)은 구동축(8)과 일체회전하기 때문에 승강 코드(5)의 권취는 슬랫(3)의 틸트보다도 각도R만 늦게 개시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도R를 예를 들면 80도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100, 110 또는 120도 이상)의 비교적 큰 각도로 하고 있기 때문에 슬랫(3)을 도12(a)에 도시하는 전폐상태로부터 도12(c)에 도시하는 역전폐상태로 할 때까지 구동축(8)을 회전시켜도 승강 코드(5)의 권취가 개시되지 않고 도12(a)에 도시하는 전폐상태와 도12(c)에 나타내는 역전폐상태로 하부 레일(4)의 높이 위치를 같게 할 수 있다. 한편, 특허문헌 1에서는, 각도R가 작으므로 슬랫을 전폐상태로부터 역전폐상태로 틸트시키고 있는 도중에 승강 코드의 권취가 개시되어 버린다. 이로 인해, 역전폐상태에서의 하부 레일의 높이 위치가 전폐상태에서의 하부 레일의 높이 위치보다도 높아지게 되어 하부 레일의 하측으로부터 빛이 세는 일이 생겨버린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특히 서술해야 할 점은, 장해물 검지 정지 장치(10)는 서포트 부재(11)와 캠 클러치(12), 회전 드럼(13)과 콘 캡(1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권취콘(9)은 콘 캡(14)과 일체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장해물 검지 정지 기구에는 조립되지 않았다. 또한, 서포트 부재(11)는 장해물 검지 정지 장치(10)의 구성으로서는 단순히, 제동손톱(12c)과 계합하여 캠 클러치(12)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제동돌부(11g)를 제공하고 있을뿐이다. 따라서, 캠 클러치(12)와 회전 드럼(13), 콘 캡(14)으로 구성된 캠 유닛을 준비해 두면 이 캠 유닛은, 여러가지 형태의 서포트 부재(11)나 권취콘(9)에 전용(轉用)하는 것이 아주 용이하다. 권취콘(9)에는 길이나 지름이 다른 것이 있지만, 그들 하나하나에 장해물 검지 정지 장치(10)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구성을 조립해 넣으면 설계가 번잡해져버린다. 본 실시예에서는, 권취콘(9)에는, 단지 콘 캡(14)과 일체회전시키기 위한 계합홈(9d)을 설치하는 것 외에는 특수한 구조를 설치하지 않았기 때문에 설계의 단순화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는, 이하의 형태로 실시해도 좋다.
ㆍ상기 실시예에서는, 콘 캡(14)의 홈계합 돌부(14a)와 권취콘(9)의 계합홈(9d)을 계합시켜 양자를 일체회전시키고 있지만, 양자를 일체 회전시키는 구성은 특히 제한되지 않고 다른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ㆍ상기 실시예에서는, 콘 캡(14) 및 권취콘(9)은 축선방향의 분리를 방해하도록 계합되지 않고, 서포트 부재(11)에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용이하게 분리되어버리지만, 축선방향의 분리를 방해하도록 탈착가능하게 계합시켜도 된다.
ㆍ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일사차폐 장치를 횡형 블라인드라고 하고 이 횡형 블라인드에 장해물 검지 정지 장치(10)를 배설하였지만 일사차폐 장치가 하부 레일 및 승강 코드를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따라서, 일사차폐 장치는 주름 커튼이여도 된다. 또한, 하부 레일의 대신 추를 이용하는 것으로 일사차폐 장치를 걷어 올리는 방식의 커튼으로 해도 된다.
(제1관점의 제2실시 형태)
이하, 도13~도20을 이용하여 본 발명 제2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에 관해서는 적당히 설명을 생략한다.
제1실시예에서는, 회전 드럼(13)은 구동축(8)과 일체회전하는 단일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드럼(13)은 도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축(8)과 일체회전하는 제1회전 드럼(63)과 캠 클러치(12)에 계합되는 제2회전 드럼(73)으로 구성된다. 제2회전 드럼(73)은 본체부(13a), 접동돌부(13d), 규제 돌부(13e) 및 암(13f)을 가지고 있고 이 부위의 기능에 관해서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또한, 제2회전 드럼(73)은 본체부(13a)로부터 제1회전 드럼(63)의 방향을 향하여 연장됨과 동시에 본체부(13a)보다 소경의 소통부(73a)를 가지고 소통부(73a)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드홈(73b)이 설치되어 있다. 제1회전 드럼(63)은 원통 형상의 본체부(63a)와 축선방향에 따른 2개의 노치에 의해 끼워진 암(63b)과 암(63b)의 선단에 설치되고 직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접동돌부(63c)를 구비한다.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회전 드럼(63)의 본체부(63a)에는 정사각형상의 삽입공(63c)이 형성되어 있다. 제1회전 드럼(63)은 삽입공(63c)에 동(同)사이즈의 단면 4각형의 구동축(8)이 관통되어 구동축(8)과 함께 일체회전을 한다.
제1회전 드럼(63)과 제2회전 드럼(73)을 연결시킬 때에는 소통부(73a)를 본체부(63a) 내에 삽입하고 암(63b)의 탄성을 이용하여 접동돌부(63c)를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휘게 하면서 접동돌부(63c)를 접동돌부(63c)에 계합시킨다. 이로 인해, 제1회전 드럼(63)과 제2회전 드럼(73)은 축선방향으로 상대이동이 불가능해진다.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회전 드럼(73)에는 소통부(73a)로부터 제1회전 드럼(63)을 향하여 돌출하는 규제 돌부(73d)가 180도 간격으로 2곳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회전 드럼(63)의 원통 형상의 본체부(63a)의 내부에는 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규제 돌부(63e)가 180도 간격으로 2곳에 설치되어 있다. 규제 돌부(73d)와 규제 돌부(63e)는 번갈아서 동일회전 궤적 위에 배치되어 있다. 즉, 2개의 규제 돌부(73d)의 사이에 규제 돌부(63e)가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1및 제2회전 드럼(63),(73)을 상대회전시키면 규제 돌부(73d)와 규제 돌부(63e)가 당접하여 그 이상의 상대회전이 저지된다. 따라서, 제1및 제2회전 드럼(63),(73)은 소정의 각도범위 내에 있어서 상대회전가능하고 그 범위를 넘으면 상대회전이 불가능하다.
제1회전 드럼(63)과 제2회전 드럼(73)은, 실제로는, 도1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자간에 콘 캡(14)을 낀 상태로 연결된다. 이 경우의 연결 구조는, 도13(a)에 도시한 것과 같다. 콘 캡(14)을 낀 상태로 제1회전 드럼(63)과 제2회전 드럼(73)을 연결시키면 제1회전 드럼(63)의 계지면(63d)과 제2회전 드럼(73)의 계지면(73c)이 각각 콘 캡(14)의 격벽(14j)에 당접하고 콘 캡(14)이 제1및 제2회전 드럼(63),(73)에 대하여 축선방향으로 상대이동이 불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제1실시예에서는, 계지손톱(13b)을 계지통부(14e)에 계합시키는 것에 의해 회전 드럼(13)을 콘 캡(14)에 대하여 축선방향으로 상대이동이 불가능하고 있는 것에 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콘 캡(14)을 끼어 제1회전 드럼(63)과 제2회전 드럼(73)을 계합시키는 것에 의해, 제1및 제2회전 드럼(63),(73)을 콘 캡(14)에 대하여 상대이동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 캡(14)은, 홈계합 돌부(14a), 연결돌부(14b), 계합 돌부(14c),(14d), 제동 통부(14f), 플랜지(14g)를 구비하고 있어, 이 부위의 기능에 관해서는, 제1실시예로 설명한 것과 같다. 또한, 콘 캡(14)은, 플랜지(14g)를 끼어 제동 통부(14f)의 반대측에 제1회전 드럼(63)을 수용하고 권취콘(9) 내에 삽입되는 삽입 통부(14i)를 구비한다.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클러치(12)와 제2회전 드럼(73)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회전 드럼(73)의 접동요부(摺動凸部)(13d)를 캠 클러치(12)의 접동공(12d)에 계합시키는 것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이동 슬릿(12e)과 계합 돌부(14c),(14d)를 계합하는 것으로써, 캠 클러치(12)와 콘 캡(14)은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고 축선방향에 따라 상대이동 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다.
그 다음, 이와 같이 구성된 횡형 블라인드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횡형 블라인드의 인상 시의 조작을 설명한다.
다음으로, 조작코드(7)가 조작되어 구동축(8)이 횡형 블라인드의 인상 방향(도2(a)의 화살표XU방향)으로 회전되면, 이 회전은 제1회전 드럼(63)에 전달되어 제1회전 드럼(63)이 도19(b)의 화살표XU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회전 드럼(63)의 규제 돌부(63e)가 제2회전 드럼(73)의 규제 돌부(73d)에 당접할 때까지 제1회전 드럼(63)은 제2회전 드럼(73)에 대하여 상대회전하여 도19(a)~ (b)에 나타내는 제1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축(8)을 도2(a)의 화살표XU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제1및 제2 회전 드럼(63),(73)이 도19(a)의 화살표XU방향으로 일체회전한다. 제1및 제2회전 드럼(63),(73)은 제2회전 드럼(73)의 규제 돌부(13e)가 콘 캡(14)의 계합 돌부(14c)에 당접할 때까지 콘 캡(14)에 대하여 상대회전하여 도19(c)~(d)에 도시하는 제2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축(8)을 도2의 화살표XU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콘 캡(14) 및 권취콘(9)이 구동축(8)과 일체회전하고 승강 코드(5)의 권취가 개시된다. 한편, 이 경우, 제2회전 드럼(73)의 접동돌부(13d)는 캠 클러치(12)의 접동공(12d) 중에 있어서, 도16(b)에 나타내는 A점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콘 캡(14)으로부터의 제동손톱(12c)의 돌출량은 작고 캠 클러치(12)는 서포트 부재(11)에 대하여 상대회전이 가능해지고 있다.
그 다음, 횡형 블라인드의 인하 시의 조작을 설명한다.
횡형 블라인드의 인하 시의 조작은, 슬랫(3) 및 하부 레일(4)의 자중을 이용하여 진행되기 때문에 인하 시의 구동력은 권취콘(9)으로부터 구동축(8)을 향하여 전달된다.
슬랫(3) 및 하부 레일(4)의 자중에 의해 승강 코드(5)에 텐션이 가해지면 권취콘(9)에 도2(a)의 화살표XD방향의 힘이 가해진다. 이 힘에 의한 회전은 그대로 콘 캡(14) 및 캠 클러치(12)에 전달되어 콘 캡(14) 및 캠 클러치(12)를 도19(c)의 화살표XD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시점에서는, 규제 돌부(13e)는 도19(c)에 도시한 것처럼 계합 돌부(14c)에 당접한 상태에 있고 규제 돌부(13e)가 계합 돌부(14c)로부터 도19(c)의 화살표XD방향의 힘을 받고 제2회전 드럼(73)은 콘 캡(14)과 일체회전한다. 또한 제1회전 드럼(63)의 규제 돌부(63e)가 도19(d)에 나타낸 것처럼 제2회전 드럼(73)의 규제 돌부(73d)에 당접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규제 돌부(63e)가 결합돌부(73d)로부터 도19(d)의 화살표XD방향의 힘을 받아 제1회전 드럼(63) 및 구동축(8)은 제2회전 드럼(73)과 일체회전한다. 이상과 같이, 권취콘(9)의 회전이 콘 캡(14), 제2회전 드럼(73), 제1회전 드럼(63), 구동축(8)의 순서대로 전달되어 이들 모두가 일체회전한다.
다음으로, 하부 레일(4)이 장해물에 충돌하거나, 하부 레일(4)이 하한위치에 도달하여 권취콘(9)의 회전이 감속 또는 정지되었을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권취콘(9)의 회전이 감속 또는 정지되고 권취콘(9)보다 구동축(8)의 회전속도가 빨라지면 제1회전 드럼(63)의 규제 돌부(63e)가 제2회전 드럼(73)의 규제 돌부(73d)로부터 도19(d)의 화살표XD방향으로 상대이동하고 도20(a)~(b)에 도시하는 제3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부터 구동축(8)이 도2(a)의 화살표XD방향으로 더 회전되면 제1및 제2회전 드럼(63),(73)이 도20(b)의 화살표X방향으로 일체회전하여 도20(c)~(d)에 도시하는 제4상태로 된다. 이 때에, 제2회전 드럼(73)의 접동돌부(13d)는, 캠 클러치(12)의 접동공(12d) 중에 있어서, 도16(b)에 나타내는 A점에서 B점으로 이동하고, 그것에 따라 캠 클러치(12)가 콘 캡(1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콘 캡(14)으로부터의 제동손톱(12c)의 돌출량이 증대하고 서포트 부재(11)의 제동 돌부(11g)에 계합하고 캠 클러치(12)가 서포트 부재(11)에 대하여 상대회전이 불가능해진다. 또한, 콘 캡(14)도 동시에 서포트 부재(11)에 대하여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되고, 제2회전 드럼(73)은 도2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규제 돌부(13e)가 결합돌부(14d)에 당접한 시점에서 더 이상의 상대회전이 불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제1회전 드럼(63)도 서포트 부재(11)에 대하여 상대회전이 불가능해져 구동축(8)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축(8)을 인상방향(도2 (a)의 화살표XU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회전 드럼(63)의 규제 돌부(63e)가 도20(d)의 화살표XU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회전 드럼(63)이 제2회전 드럼(73)에 대하여 각도S만큼 상대회전한 결과, 규제 돌부(63e)가 규제 돌부(73d)에 당접하여 도19(a)~(b)에 도시하는 제1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축(8)을 도2(a)의 화살표XU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제1및 제2회전 드럼(63),(73)이 도19(a)의 화살표XU방향으로 일체회전하고, 제2회전 드럼(73)이 콘 캡(14)에 대하여 각도R만 상대회전한 결과, 규제 돌부(13e)가 계합 돌부(14c)에 당접하여 도19(c)~(d)에 도시하는 제2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축(8)을 도2 (a)의 화살표XU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제1및 제2회전 드럼(63),(73)이 콘 캡(14) 및 권취콘(9)과 일체회전하여 승강 코드(5)의 권취가 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19(a)에 도시하는 각도R가 제1실시예에서의 도11(a)에 도시하는 각도R보다 작다. 이러한 설계로 하는 이유는 아래와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회전 드럼(73)과 제1회전 드럼(63)의 사이에서도 상대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구동축(8)으로부터 제1회전 드럼(63)으로 가해진 회전은 도20(d)에 도시하는 각도S만큼 늦게 제2회전 드럼(73)에 전달되고 제2회전 드럼(73)의 회전이 각도R만큼 콘 캡(14) 및 권취콘(9)에 전달되어 승강 코드(5)의 권취가 개시된다. 이로 인해, 구동축(8)이 <각도S+각도R>만큼 회전한 후에 승강 코드(5)의 권취가 개시되게 된다. 따라서, 제1실시예보다도 각도R가 작아도 틸트 동작 시의 하부 레일(4)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틸트 동작 시의 하부 레일(4)의 상승을 유효적으로 억제하기 위하여 <각도S+각도R>는 80도 이상(바람직하게는 90, 100, 110, 또는 120도 이상)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는, 이하의 형태에서도 실시가능하다.
제1회전 드럼(63)과 제2회전 드럼(73)의 사이에 1 또는 복수의 드럼을 더 배치하여 인접하는 드럼을 서로 소정 각도만큼 늦게 회전이 전달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로 인해, 구동축(8)으로부터의 회전의 전달의 늦음량을 더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관점에서의 발명의 파악)
본 발명은, 별도의 관점에서는,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레일(4)이 하한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슬랫(3)의 틸트 동작 중에 승강 코드(5)의 권취를 개시시키지 않고, 이로 인해, 슬랫(3)의 전폐상태와 역전폐상태에 하부 레일(4)의 하한위치를 변화시키지 않도록 하고, 광누설의 발생을 방지하는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이 과제는, 장해물 검지 정지 장치(10)가 작동하여 구동축(8)의 회전이 정지된 상태(제1실시 형태에서는 도11에 나타내는 상태, 제2실시 형태에서는, 도20(c)~(d)에 나타내는 제4상태)로부터 구동축(8)을 끌어 인상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시에, 권취콘(9)의 회전이 개시될 때까지의 각도V를 80도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해결하고 있다. 이 관점에 있어서는, 장해물 검지 정지 장치(10)는, 반드시 권취콘(9)과 별체가 되어 있을 필요가 없고 특허문헌 1과 같이, 권취콘(9)이 장해물 검지 정지 장치(10)의 구성의 일부가 되어 있어도 된다.
각도V의 상한은, 특히 규정되지 않지만, 이 각도V를 지나치게 크게 하면 장해물 검지의 정밀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300도이다. 각도V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80, 90, 100, 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 200, 210, 220, 230, 240, 250, 260, 270, 280, 290, 300도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 사이의 범위 내이어도 좋다.
이 관점에서는,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 박스와 상기 헤드 박스로부터 매달려 지지되는 일사차폐 재료와 상기 일사차폐 재료를 승강시키는 승강 코드와 상기 헤드 박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 코드의 권취 및 권취 해제를 하는 권취콘과 상기 권취콘을 회전시키는 구동축과 상기 일사차폐 재료를 하강시킬 때에, 승강 코드에 가해지는 텐션의 저하를 검출하여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장해물 검지 정지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장해물 검지 정지 장치는 상기 구동축의 회전정지 후에 상기 일사차폐 재료의 인상방향으로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켰을 시에, 상기 구동축의 회전시작으로부터 상기 권취콘의 회전시작까지의 공전각도(空轉角度) V가 80도 이상인, 일사차폐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일사차폐 장치는 횡형 블라인드이며, 일사차폐 재료는 상하로 배열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슬랫이며, 상기 구동축과 일체회전하고 상기 슬랫의 경사각도를 변화시키는 틸트 기구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틸트 기구는 상기 구동축과 일체회전하는 틸트 드럼과 상기 틸트 드럼에 장착된 틸트 스프링과 상기 슬랫을 지지하고 상기 틸트 스프링에 상단이 장착된 래더 코드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관점의 제1실시 형태)
도21~도26을 이용하고, 본 발명의 제2관점의 제1실시 형태의 횡형 블라인드에 관하여 설명한다.
헤드 박스3의 하면(下面) 3a로부터는, 제1및 제2래더 코드5, 6이 수하되고 있다.
래더 코드5, 6은, 각각, 한 벌의 경사 5a, 6a간에 복수대의 횡사(씨실) 5b, 6b를 구비한다.
래더 코드5, 6의 하단에는 하부 레일7이 장착 되고 있다.
래더 코드5, 6의 각대의 횡사(씨실) 5b, 6b에는 slat9이 지지를 받는고 있다.
도21에서는, 10장의 slat9이 지지를 받는고 있지만, slat9의 매수는, 블라인드의 높이, slat9의 폭, 각단의 slat9사이의 간격등에 의해 적당히 결정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slat9은, 비교적 살이 두거운 목제 slat이지만, slat의 두께나 재질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헤드 박스3의 하면(下面) 3a로부터는, 제1및 제2승강 코드13, 14이, slat9을 끼어서 서로 전후 방향의 반대측에 수하되고 있다.
승강 코드13, 14은, 각각, 래더 코드5, 6보다도 전후 방향외측에서 수하된다.
제1래더 코드5은, 제1승강 코드13을 상하 방향에 슬라이드 가능에 삽입 시키는 제1연결부 5c를 소유하고, 제1승강 코드13이 수하 당하는 쪽에 있어서 slat9에 설치된 노치 9a에 결합 된다.
제2래더 코드6은, 제2승강 코드14을 상하 방향에 슬라이드 가능에 삽입 시키는 제2연결부 6c를 소유하고, slat9의 노치에는 결합 되지 않는다.
연결부 5c, 6c는, 예를 들면 피코라고 불리는 소링이지만, 반드시 링 형상이 되고 있는 필요는 없고, 승강 코드13, 14을 래더 코드5, 6에 대하여 상하 방향에 슬라이드 가능에 연결할 수 있는 것이라면 좋다.
연결부 5c, 6c를 마련하는 위치나 피치는, 승강 코드13, 14을 래더 코드5, 6에 적절하게 연결가능하면 특히 한정되지 않고, 연결부 5c, 6c는, 각slat9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해도 되고, slat1개 날려 또는 복수 날리기에서 마련해도 좋다.
또한, 연결부 5c, 6c와 slat9의 위치 관계도 특히 한정되지 않고, 연결부 5c, 6c를 마련하는 높이 위치는, slat9의 위쪽·아래쪽의 어느 것이라도 되고, slat9과 같은 정도의 높이이여도 좋다.
또한, 연결부 5c, 6c는, 각slat9보다 다소 아래쪽의 위치에 마련되어져 있다.
이러한 위치에 연결부 5c, 6c를 배치하는 것으로써, 접어 넣음 때의 slat9의 옆 엇갈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 원리로서, slat9의 접어 넣음 때에, 하부 레일7의 상승에 의해 하단에서 순서대로 래더 코드5, 6이 구불구불 구부러지면서 접어 넣어져 가지만, 접어 넣음의 즈음에 텐션이 걸린 승강 코드13, 14에 고정된 연결부 5c, 6c가 slat9보다도 다소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미리 래더 코드5, 6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 같은 효과가 발생하고, 그것에 의해서 slat9이 옆 차이 할 일 없고 접어 넣어져 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래더 코드 가운데, 양다리의 2개가 노치 9a와 결합 하는 제1래더 코드5이며, 중앙의 1개가 노치 9a와 결합 하지 않는 제2래더 코드6이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양다리의 2개가 노치 9a와 결합 하지 않는 제2래더 코드6이며, 중앙의 1개가 노치 9a와 결합 하는 제1래더 코드5이여도 좋다.
또한, 래더 코드의 수는, 3개에 한정되지 않고, 4개 또는 5개등이여도 좋다.
래더 코드의 수가 4개의 경우, 예를 들면, 양다리의 2개가 제1래더 코드5이며, 중앙의 2개가 제2래더 코드6인가, 그 반대의 배치로 한다.
또한, 제1래더 코드5과 제2래더 코드6을 교대에 늘어 놓아도 좋다.
더욱이, 승강 코드는, 모든 래더 코드에 인접해서 배치할 필요는 없고, 승강 코드와 짝이 되지 않고 있는 래더 코드가 있어도 좋다.
도23로 나타낸 것처럼, 노치 9a는, slat9의 전후 방향외측을 향해서 넓어지는 테이퍼면 9b를 소유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slat 접어 넣어 때에, 제1래더 코드5이 폭방향에 흔들리는 것으로 slat의 폭방향의 옆 차이가 야기될 경우라도, 횡사(씨실) 5b 및 제1래더 코드5이 노치 9a로부터 빗나가기 어렵고, 비유해 빠져버렸을 경우라도, 횡사(씨실) 5b 및 제1래더 코드5이 노치 9a의 테이퍼면 9b에 의해 되돌려지기 때문에, 횡사(씨실) 5b 및 제1래더 코드5이 노치 9a와 다시계 합쳐져지기 쉽다.
따라서, slat의 옆 엇갈림이 억제된다.
도24에 나타낸 것처럼, 제2연결부 6c의 사이즈는, 제1연결부 5c보다도 크다.
이것 때문에, 제2승강 코드14이 제2연결부 6c로 전후 방향에 이동가능한 범위는, 제1승강 코드13이 제1연결부 5c내에서 전후 방향에 이동가능한 범위보다도 크다.
이러한 구성으로 의하면, 나중에 도26을 채용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게, 전閉상태에 있어서, 제1승강 코드13과 제1래더 코드5의 사이의 거리가, 제2승강 코드14과 제2래더 코드6의 사이의 거리보다도 짧아진다.
이것 때문에, 횡사(씨실) 5b 및 제1래더 코드5이라고 노치 9a의 결합상태가 해제되기 어렵고,이기는 제2승강 코드14이 제2래더 코드6의 경사 6a를 잡아 당기는 힘이 약하므로, slat9의 전閉상태에 있어서 래더 코드가 승강 코드에 끌어당겨지는 것에 의한 차폐성의 저하가 억제된다.
또한, 도24(a)~ (b)에 나타낸 것처럼, 제1래더 코드5의 횡사(씨실) 5b는, 제2래더 코드6의 횡사(씨실) 6b보다도 약간 짧아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24(c)에 나타낸 것처럼, 한 벌의 횡사(씨실) 5b의 교차부 5d와, 경사 5a가 노치 9a 안에 보유되기 쉬워진다.
한편, 한 벌의 횡사(씨실) 5b를 교차시키는 것은 임의어서, 한 벌의 횡사(씨실) 5b를 교차시키지 않고 그 동안에 slat9을 삽입해도 좋다.
또한, 제1래더 코드5의 횡사(씨실) 5b는, 제2래더 코드6의 횡사(씨실) 6b와 같은 길이이여도 좋다.
이 경우, 경사 5a는, 노치 9a로부터 빗나가기 쉬우므로, 교차부 5d를 노치 9a 안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래더 코드6의 한 벌의 횡사(씨실) 6b에 관하여도 교차시켜도 시키지 않아도 좋지만, 교차부 6d가 있는 분이, 횡사(씨실) 6b의 움직임에 대한 slat9의 추종성이 나아지므로 바람직하다.
도25에 나타낸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승강 코드13, 14은, 헤드 박스3 앞측과 뒷 쪽에 각각 설치된 승강 코드 가이드부 (예:활차) 19, 20로 위치 결정되어서 권取드럼21a, 2lb에 말아서 빼지게 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권取드럼21a, 2lb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헤드 박스3과 하부 레일7의 사이의 승강 코드장을 변화시켜서 하부 레일7을 오르게 할 수 있다.
권取드럼21a, 2lb는, 구동 축 22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 축 22을 회전시키는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구동 축 22에 회전 불능에 고정된 풀리에 조작 코드를 가케(掛) 장 하고, 이 조작 코드를 끌어당겨서 풀리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구동 축 22을 회전시켜도 되고, 전동 모터를 이용해서 구동 축 22을 회전시켜도 좋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승강 수단은, 도25에 나타내는 것 같은 권取드럼식의 승강 수단에 한정되지 않고, 승강 코드 가이드부 19을 통해서 헤드 박스3안에 삽입된 승강 코드13을 헤드 박스3이 다른 위치부터 끌어 내고, 그 서랍량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하부 레일7을 오르게 하는, 소위, 직접 당김식의 승강 수단이여도 좋다.
도25에서는, 래더 코드5, 6의 경사 5a의 헤드 박스측의 끝(가장자리)는, 구동 축 22에 의해 회전되는 매달기아래 링(용도 설명하지 않고) 것에 장착 된다.
매달기아래 링은, 소정의 가동 범위내에서 회전하고, 이 회전에 의해 경사 5a, 6a의 한 방향이 화살표X의 방향에 잡아 당겨져,이기는 경사 5a, 6a의 다른 방면이 화살표Y의 방향으로 떨어지는 것에 의해 slat9이 도26에 가리키게 틸트 되어서, 전閉상태가 된다.
래더 코드5, 6의 경사 5a, 6a는, 승강 코드13, 14보다도 전후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므로, 도26에 나타내는 것 같은 전閉상태에서는, 경사 5a, 6a에는 전후 방향외에 적합한 힘이 강하게 활동, slat9이 열어서 차폐성이 저하되기 쉽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연결부 6c의 사이즈가 비교적 크므로, 도26(b)에 나타낸 것처럼, 제2래더 코드6의 경사 6a와 제2승강 코드14의 사이의 거리가 열리고, 게다가 도26 (a)에 나타낸 것처럼, 래더 코드5, 6및 slat9이 제1승강 코드13에 가까워지는 것에 의해, 래더 코드5, 6이 승강 코드13, 14로부터 호평을 받는 전후 방향외에 적합한 힘이 완화되어서, slat9의 열기가 저감되어서, 차폐성이 향상한다.
제2연결부 6c의 사이즈가 큰 분만, 제2래더 코드6의 경사 6a는, 제2승강 코드14에 대하여 폭방향에 이동하기 쉬워지지만, 제2래더 코드6은 노치 9a에 결합 하지 않고 있으므로, 폭방향의 가동범위가 넓어져도 문제 없다.
한편, 제1연결부 5c의 사이즈는 비교적 작으므로, 제1래더 코드5의 경사 5a는, 제1승강 코드13에 대한 폭방향의 가동범위가 작고, 횡사(씨실) 5b 및 제1래더 코드5과 노치 9a와의 결합상태가 해제되기 어렵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옆 엇갈림의 발생 방지와 slat의 열기 방지가 양립된다.
본 발명은, 이하의 형태라도 실시가능하다.
ㆍ노치 9a는, 차광성의 관점에서 slat9의 한 방향의 측 (예를 들면, 방외측)에만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slat9의 양측 (예를 들면, 방외측과 방내측)에 마련해도 좋다.
이 경우, slat9의 양측의 노치 9a를 제1래더 코드5에 결합 시킬 수 있다.
ㆍ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노치 9a와 제1승강 코드13을 slat9이 같은 측에 배치하고 있지만, 제1승강 코드13과 노치 9a는, slat9을 끼어서 서로 반대측에 배치해도 좋다.
ㆍ 제1래더 코드5이 복수 마련되어질 경우, 그 속의 적어도 1개에 있어서, 제1연결부 5c의 사이즈가 제2연결부 6c보다도 작아지고 있으면 좋다.
적어도 1개의 제1래더 코드5에 있어서, 제1래더 코드5과 노치 9a의 결합상태가 해제되기 어려우면, slat9의 옆 엇갈림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ㆍ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2래더 코드6은, slat9의 노치 9a에 결합 하지 않고 있지만, slat9의 한 쪽 (제2승강 코드14과 같은 측 또는 반대측)또는 양측에 설치된 노치에 결합 시켜도 좋다.
ㆍ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한 벌의 횡사(씨실) 5b의 사이에 slat9을 보유하고 있지만, 각slat9을 1개의 횡사(씨실) 5b로 지지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제2관점의 제2실시 형태)
다음에, 도27을 이용하고, 본 발명의 제2관점의 제2실시 형태의 횡형 블라인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27에 나타낸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서는, 최상단의 slat9에 대응해서 배치된 연결부 5c, 6c에는 승강 코드13, 14은 삽입 되지 않고, 둘째 단의 slat9에 대응해서 배치된 연결부 5c, 6c에서는, 연결부 5c, 6c에는, 나선장의 연장 부재 5e, 6e가 삽입 되어, 이 연장 부재 5e, 6e에 승강 코드13, 14이 삽입 되고 있다.
3단째이후에서는, 제1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연결부 5c, 6c에 승강 코드13, 14이 삽입 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할 이유는, 헤드 박스(1)에 가까운 몇 개의 연결부 5c, 6c에서는, 승강 코드13, 14이 래더 코드5, 6의 경사 5a, 6a를 전후 방향외측에 잡아 당기는 힘이 특히 강하므로, 승강 코드13, 14과 연결부 5c, 6c를 완전히 분리할지 또는 연장 부재 5e, 6e를 개재하여 승강 코드13, 14과 연결부 5c, 6c를 연결함으로써, 승강 코드13, 14에 의한 경사 5a, 6a의 잡아 당기기를 억제하기 위해서다.
또한, 연장 부재 5e, 6e를 이용하면, 승강 코드13, 14과 연결부 5c, 6c의 사이의 마찰을 저감할 수 있고, 연결부 5c, 6c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승강 코드13, 14은, 반드시 모든 연결부 5c, 6c에 삽입 시킬 필요가 없고, 또한, 연장 부재 5e, 6e를 개재하여 승강 코드13, 14과 연결부 5c, 6c를 연결해도 좋다.
또한, 연장 부재 5e, 6e는, 연결부 5c, 6c의 어느 것인가 한 방향에만 이용해도 되고, 헤드 박스(1)에 가장 가까운 연결부 5c, 6c에 있어서도 연장 부재 5e, 6e를 개재하여 승강 코드13, 14과 연결부 5c, 6c를 연결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제2관점의 제3실시 형태)
다음에, 도28을 이용하고, 본 발명의 제2관점의 제3실시 형태의 횡형 블라인드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부 5c, 6c는, 제1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slat9의 다소 아래쪽에 배치되고 있다.
또한, 헤드 박스(1)에 가장 가까운 연결부 5c, 6c는, 연장 부재 5e, 6e를 개재하여 승강 코드13, 14과 연결되고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slat9의 옆 엇갈림 방지 효과와, 연결부 5c, 6c의 내구성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관점의 제4실시 형태)
다음에, 도29을 이용하고, 본 발명의 제2관점의 제4실시 형태의 횡형 블라인드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부 5c, 6c는, 각횡사(씨실) 5b, 6b와 동(同)위치의 높이, 다시 말해 각slat9과 동(同)위치의 높이에 배치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slat9의 옆 엇갈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 원리로서, slat9의 접어 넣음 때에, 하부 레일7의 상승에 의해 하단에서 순서대로 래더 코드5, 6이 구불구불 구부러지면서 접어 넣어져 간다.
승강 코드13, 14에는 텐션이 걸려 있다.
slat9과 동(同)위치에 연결부 5c, 6c가 존재하면, 승강 코드13, 14의 텐션이 걸린 연결부 5c, 6c에 의해 연결부 5c, 6c의 위치가 벗어날 일 없고 고정되어, 그 위치와 동(同)위치에 slat9이 있기 때문에, slat9의 옆 엇갈림이 억제된다.
한편, 연결부 5c만을 각slat9과 동(同)위치의 높이에 배치하고, 연결부 6c는, slat9의 다소 아래쪽 또는 위쪽에 배치해도 좋다.
(본 발명의 제2관점의 제5실시 형태)
다음에, 도30~도31을 이용하고, 본 발명의 제2관점의 제5실시 형태의 횡형 블라인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30에 나타낸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연결부 5c와 제2연결부 6c의 사이즈는 실질적으로 같지만, 제2래더 코드6의 횡사(씨실) 6b의 길이가 제1래더 코드5의 횡사(씨실) 5b의 길이의 1.1배이상이 되고 있다.
L2/L1은, 예를 들면, 1.1~2이며, 바람직하게는 1.2~1.5이다.
L2이 지나치게 크면 slat9을 보유하는 기능이 지나치게 저하되기 때문이다.
도31에 나타낸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래더 코드6의 경사 6a와 제2승강 코드14의 사이의 거리는 퍼지지 않지만, 제2래더 코드6의 횡사(씨실) 6b에 의해 보유된 slat9은 전후 방향의 가동범위가 크므로, slat9이 제1승강 코드13에 근접하고, 래더 코드5, 6이 승강 코드13, 14로부터 받는 전후 방향외에 적합한 힘이 완화되어서, slat9의 열기가 저감되어서, 차폐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의 제3관점의 1실시 형태)
도32에 나타내는 일사차폐장치로서의 횡형 블라인드는, 헤드 박스(1)로부터 수하되는 복수개의 래더 코드(2)를 개재하여 일사차폐재료로서의 다수단의 슬랫(3)이 매달기아래 지지를 받는고, 동(同)래더 코드(2)의 하단에 하부 레일(4)이 매달기아래 지지를 받는는다.
래더 코드(2)의 근방에 있어서, 헤드 박스(1)로부터 복수개의 승강 코드5이 수하되어, 중앙의 승강 코드5은, slat9의 앞측 (방내측)에 수하되어, 양다리의 승강 코드5은, slat9의 오쿠(奧)측 (방외측)에 수하된다.
승강 코드5은 그 상단부가 헤드 박스(1)안에 배설 되는 권취축 9에 권 도착되어, 하단부가 상기 하부 레일(4)에 접속되고 있다.
승강 코드5은, 권취축 9의 회전에 근거하고, 말아서 빼 혹 군취 해제가 행하여지고 있어, 이 회전에 근거해서 하부 레일(4)및 슬랫(3)이 올라진다.
또한, 권취축 9의 회전에 근거하고, 래더 코드(2)를 개재하여 각슬랫(3)이 동(同)위상으로 각도조절된다.
한편, 각슬랫(3)은 거의 수직방향까지 회동 되면, 그 이상 회동 되지 않게 되고 있다.
권취축 9은, 서포트 부재(1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를 받는고, 서포트 부재(11)은, 헤드 박스(1)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된다.
헤드 박스(1)의 오른쪽 끝보다도 폭방향중앙측의 위치에는 조작부 유닛6이 마련되어져, 루프 장의 조작코드(7)의 조작에 근거해서 헤드 박스(1)의 내부에 수용된 구동축(8)을 회전 구동가능해서, 구동축(8)의 회전에 근거해서 권취축 9이 회전된다.
헤드 박스(1)의 오른쪽 끝에 가까운 위치와 좌단에 가까운 위치에는 각각 조작 코드 삽입 구멍(孔) 13이 마련되어지고 있어, 오른쪽의 조작 코드 삽입 구멍(孔) 13에서는, 코드 게이트15을 통해서 조작코드(7)이 헤드 박스(1)의 밖에 인도하기 시작되고 있다.
또한, 왼쪽의 조작 코드 삽입 구멍(孔) 13은, 후술하게, 조작부 유닛6을 헤드 박스(1)의 왼쪽에 이동시킬 때에 사용하는 것이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32(a)에 나타낸 것처럼, 눈가리개 캡17로 막아지고 있다.
헤드 박스(1)의 양다리는, 박스 캡21로 가로막아지고 있다.
이하, 조작부 유닛6및 코드 게이트15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3~도34에 나타낸 것처럼, 조작부 유닛6은, 조작 풀리6a를 구비하고, 조작 풀리6a에는 조작코드(7)이 가케(掛) 장 된다.
조작 풀리6a는, 케이스 캡6b와 기어 케이스6c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를 받는는다.
조작코드(7)을 조작해서 조작 풀리6a를 회전시키면, 그 회전이 기어 케이스6c와 엔드 캡6d의 사이에 수용된 전달 기어를 통해서 구동축(8)에 전달된다.
전달 기어의 구성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조작 풀리6a의 회전을 감속해서 구동축(8)에 전달하는 유성기어기구다.
유성기어기구는, 도34의 예에서는, 조작 풀리6a와 일체에 회전하는 태양 기어6f와, 태양 기어6f의 주위에 설치된 유성 기어6g와, 유성 기어6g를 자전 및 공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캐리어6h와, 기어 케이스6c의 내면에 마련되어져 동시에 유성 기어6h로 맞물리는 내기어6i로 구성된다.
그리고, 조작 풀리6a의 회전이 캐리어6h의 회전으로 변환되어, 캐리어6h의 회전은, 클러치 유닛6e를 개재하여 구동축(8)에 전달된다.
클러치 유닛6e는, 하부 레일(4)의 자중에 의한 구동축(8)의 회전을 저지한다 동시에 조작 풀리6a의 회전을 구동축(8)에 부드럽게 전달하는 기능을 소유한다.
도35(a)~ (c)에 나타낸 것처럼, 헤드 박스(1)은, 전(前)벽 1a 및후 벽 1b의 각각으로부터 전후 방향의 중앙을 향해서 연장하는전측 돌출 벽 1c 및 뒷 쪽 돌출 벽 1d를 구비하고, 조작부 유닛6은, 밑바닥벽 1e, 전(前)벽 1a, 나중 벽 1b, 앞측 돌출 벽 1c 및 뒷 쪽 돌출 벽 1d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공간 1f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수용된다.
이 상태에서는, 케이스 캡6b의 상부 리브6b1, 6b2, 기어 케이스6c의 상부 리브6c1, 6c2, 엔드 캡6d의 상부 리브6d1, 6d2의 표면이 각각 돌출 벽 1d, 1e의 하면(下面)에 당접 또는 거의 당접하는 상태이며,이기는 케이스 캡6b의 하부 리브6b3, 6b4및 기어 케이스6c의 하부 리브6c3, 6c4의 전후 방향외측의 면이 헤드 박스(1) 앞벽 1a 및후 벽 1b의 내면에 각각 당접 또는 거의 당접하는 상태이므로, 조작부 유닛6은, 덜컹 거릴 일 없고, 헤드 박스(1)안에 있어서 폭방향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다.
또한, 케이스 캡6b의 전면 6b5과 헤드 박스(1) 앞벽 1a의 사이에는 틈G1이 마련되어져, 기어 케이스6c의 전면 6c5과 헤드 박스(1) 앞벽 1a의 사이에는 틈G2이 마련되어져, 엔드 캡6d의 전면 6d5과 헤드 박스(1) 앞벽 1a의 사이에는 틈G3이 마련되어져 있다.
틈G1~G3은, 후술하게, 조작코드(7)을 조작 코드 삽입 구멍(孔) 13에 삽입 시킨 상태로 헤드 박스(1)에 대하여 조작부 유닛6을 슬라이드 이동시킬 때에, 조작코드(7)과 헤드 박스(1)의 사이의 간섭을 저감하기 위한 코드 대피부로서 기능한다.
도33에 나타낸 것처럼, 코드 게이트15은, 코드 게이트 본체 15a와, 코드 나눔 15b와, 활차 15c를 대비한다.
코드 나눔 15b는, 좌우 대칭 형상이며, 폭방향양측에 돌기 15b1을 소유한다.
이 돌기 15b1을 코드 게이트 본체 15a의 상하 방향의 생략중앙에 설치된 결합도랑 15d에 결합 시키는 것에 의해, 코드 나눔 15b가 코드 게이트 본체 15a에 탈착 가능에 결합 된다.
활차 15c는, 좌우 대칭 형상이며, 폭방향양측에 돌기를 소유하고, 이 돌기를 코드 게이트 본체 15a의 하부에 설치된 결합도랑 15e에 결합 시킨다.
활차 15c는, 결합도랑 15e에 일단 결합 시킨 후는, 뗄 필요가 없으므로, 활차 15c는, 통상, 결합도랑 15e에 떼 불능하게 결합 된다.
조작 풀리6a의 위쪽출구로부터의 조작코드(7)u는, 코드 나눔 15b와, 코드 게이트 본체 15a의 상부안 내벽 15f의 사이를 통하고, 조작 풀리6a의 아래쪽출구로부터의 조작코드(7)b는, 코드 나눔 15b와 활차 15c의 사이를 통한다.
이와 같이, 조작코드(7)u, 7b가, 코드 나눔 15b에 의해, 상하에 분리된다.
한편, 조작코드(7)u, 7b는, 구별의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조작코드(7)」이라고 칭한다.
또한, 코드 게이트 본체 15a는, 하부돌출편 15i의 끝단에 하부결합도랑 15h를 구비하고, 세트 핀 삽입 구멍(孔) 15g를 상부에 구비하고 있어, 도35(d)에 나타낸 것처럼, 조작 코드 삽입 구멍(孔) 13의 밑바닥벽앞 끝(가장자리) 13a에 하부결합도랑 15h를 결합 시켜, 동시에 세트 핀 삽입 구멍(孔) 15g를 헤드 박스(1)안에 밀어 내게 한 상태로, 헤드 박스(1)안에 있어서 세트 핀19을 세트 핀 삽입 구멍(孔) 15g에 삽입 시키는 것에 의해, 코드 게이트15이 헤드 박스(1)에 고정된다.
하부결합도랑 15h를 밑바닥벽앞 끝(가장자리) 13a에 결합 시킨 상태에서는, 도33(a) 및 도35(e)에 나타낸 것처럼, 코드 게이트 본체 15a의 하부돌출편 15i는, 케이스 캡6b의 하부 리브6b3과 기어 케이스6c의 하부 리브6c3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이 상태에서는, 하부돌출편 15i가 하부 리브6b3, 6c3과 간섭하고, 조작부 유닛6의 슬라이드 이동이 불능해져, 조작부 유닛6의 위치가 안정되어서 고정된다.
눈가리개 캡17은, 도35(f)에 나타낸 것처럼, 조작 코드 삽입 구멍(孔) 13에 결합 된다.
다음에, 조작부 유닛6의 위치를 헤드 박스(1)의 오른쪽에서 왼쪽에 이동시키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36(a)~ (b)에 나타낸 것처럼, 헤드 박스(1)의 오른쪽에 있어서, 박스 캡21, 세트 핀19, 코드 게이트15을 헤드 박스(1)로부터 뗀다.
도33 (a) 미쳐 (c)에 나타낸 것처럼, 세트 핀19을 세트 핀 삽입 구멍(孔) 15g로부터 뽑으면, 코드 게이트15을 헤드 박스(1)로부터 돌릴 수 있고, 코드 게이트 본체 15a로부터 코드 나눔 15b를 돌리면, 조작코드(7)을 코드 게이트 본체 15a로부터 뽑을 수 있다.
다음에, 도36(c)에 나타낸 것처럼, 헤드 박스(1)에 대하여 조작부 유닛6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조작부 유닛6을 헤드 박스(1)로부터 뗀다.
이 경우, 조작코드(7)은, 틈G2, G3에 대피하므로, 조작코드(7)이 헤드 박스(1)과 강하게 간섭할 일 없고, 조작부 유닛6을 부드럽게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후, 도36(d)에 나타낸 것처럼, 조작코드(7)을 조작 코드 삽입 구멍(孔) 13로부터 뽑고, 눈가리개 캡17을 이용해서 조작 코드 삽입 구멍(孔) 13을 가로막고, 박스 캡21을 장착한다.
다음에, 도37 (a)에 나타낸 것처럼, 헤드 박스(1)의 왼쪽에 있어서, 박스 캡21및 눈가리개 캡17을 뗀다.
다음에, 도37(b)에 나타낸 것처럼, 헤드 박스(1)의 왼쪽의 조작 코드 삽입 구멍(孔) 13에 조작코드(7)을 삽입 시킨다.
그 상태로, 도37(c)에 나타낸 것처럼, 조작부 유닛6을 헤드 박스(1)에 끼워 맞춤 시켜서 조작 풀리6a가 조작 코드 삽입 구멍(孔) 13의 위치에 이를 때까지, 헤드 박스(1)에 대하여 조작부 유닛6을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이 경우, 조작코드(7)은, 틈G1에 대피하므로, 조작코드(7)이 헤드 박스(1)과 강하게 간섭할 일 없고, 조작부 유닛6을 부드럽게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33(b) 및 (d)에 나타낸 것처럼, 조작코드(7)을 코드 게이트 본체 15a의 개구에 삽입 시켜, 조작 풀리6a의 위쪽출구로부터의 조작코드(7)u와 아래쪽출구로부터의 조작코드(7)b를 상하에 분리하게, 코드 나눔 15b를 코드 게이트 본체 15a에 장착하고, 도37(c)의 상태로 한다.
다음에, 도37(d)에 나타낸 것처럼, 코드 게이트15을 조작 코드 삽입 구멍(孔) 13에 결합 시켜, 도33 (a) 미쳐 (c)에 나타낸 것처럼, 세트 핀19을 세트 핀 삽입 구멍(孔) 15g에 삽입 시키는 것에 의해, 코드 게이트15을 헤드 박스(1)에 고정한다.
이로 인해, 조작부 유닛6이 헤드 박스(1)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 불능해진다.
이 다음, 박스 캡21을 장착하고, 조작부 유닛6의 이동을 완료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태양에서도 실시할 수 있다.
ㆍ헤드 박스내에 조작부 유닛을 소유하는 주름(pleat) 스크린이나 로만 셰이드(sunshade) 등에도 적용가능하다.
ㆍ코드 게이트15이외의 부재를 이용하고, 조작부 유닛6을 헤드 박스(1)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 불능으로 시켜도 좋다.
ㆍ조작부 유닛6로부터 출몰가능한 부품을 조작부 유닛6에 마련하고, 그 부품을 헤드 박스(1)이나 코드 게이트15등에 결합 시키는 것에 의해, 조작부 유닛6을 헤드 박스(1)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 불능으로 시켜도 좋다.
ㆍ조작 코드 삽입 구멍(孔) 13의 수는 1개라도 좋다.
이 경우, 조작부 유닛6의 위치는 이동시킬 수 없지만, 조작부 유닛6이 고장났을 경우에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ㆍ조작 코드 삽입 구멍(孔) 13은, 헤드 박스(1)의 한 쪽에 2개이상 마련해도 좋다. 이 경우, 이용자의 기호에 맞게 해서, 조작코드(7)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관점의 부호의 설명)
1: 헤드 박스
2: 래더 코드
4: 하부 레일
5: 승강 코드
9: 권취콘
11: 서포트 부재
11g: 제동 돌부
12: 캠 클러치
13: 회전 드럼
14: 콘 캡
23: 틸트 드럼
(본 발명의 제2관점의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헤드 박스
5: 제1래더 코드
6: 제2래더 코드
5a, 6a:경사
5b, 6b:횡사(씨실)
5c, 6c:연결부
7:하부 레일
9:slat
9a:노치
13: 제1승강 코드
14: 제2승강 코드
(본 발명의 제3관점의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헤드 박스
6:조작부 유닛
7:조작 코드
8:구동 축
13:조작 코드 삽입 구멍(孔)
15:코드 게이트

Claims (14)

  1. 승강 코드의 권취 및 권취해제를 진행하는 권취콘에 대하여 탈착가능하게 끼워맞춤되고 상기 권취콘과 일체회전하는 콘 캡과,
    상기 콘 캡에 대하여 축선방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계합되고 상기 콘 캡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범위 내에 있어서는 상대회전 가능하며 그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콘 캡과 일체회전하는 회전 드럼과,
    상기 콘 캡과 일체회전하고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에 따라 상기 콘 캡에 대하여 축선방향으로 상대이동하도록 상기 회전 드럼에 대하여 계합되는 캠 클러치
    를 구비하는, 캠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 캡은, 상기 회전 드럼 및 상기 캠 클러치를 수용하는 제동 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콘 캡은, 상기 제동 통부 내에 한 쌍의 계합 돌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드럼은, 상기 한 쌍의 계합 돌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규제 돌부를 구비하고,
    상기 캠 클러치는, 상기 한 쌍의 계합 돌부에 계합하는 한 쌍의 이동 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콘 캡에 대한 상기 회전 드럼의 상대회전 시에 상기 규제 돌부가 상기 계합 돌부에 당접하여 그 상대회전 가능범위가 규정되는 캠 유닛.
  3. 헤드 박스로부터 수하(垂下)되고 한 쌍의 종사(縱絲) 간에 복수의 횡사(橫絲)를 갖추는 복수의 제1 및 제2 래더 코드와,
    상기 래더 코드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부 레일과,
    상기 래더 코드의 복수의 횡사에 의해 지지를 받는 복수단의 슬랫과,
    상기 헤드 박스로부터 수하되어 상기 하부 레일을 지지하는 제1 및 제2 승강 코드와,
    상기 헤드 박스와 상기 하부 레일의 사이의 승강 코드 길이를 상기 헤드 박스측으로부터 변화시켜 상기 하부 레일을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
    을 구비하고,
    제1 및 제2 승강 코드는, 상기 슬랫을 사이에 두고 서로 전후방향의 반대측으로 수하되고,
    제1 래더 코드는 제1 승강 코드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시키는 제1 연결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슬랫에 설치된 노치에 계합되고,
    제2 래더 코드는, 제2 승강 코드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시키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하고,
    (1) 제2 승강 코드가 제2 연결부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범위는 제1 승강 코드가 제1 연결부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범위보다 크거나, 또는
    (2) 제1 래더 코드 횡사가 제2 래더 코드 횡사보다 짧거나,
    위 (1)~(2) 중 적어도 1개의 특징을 가지는, 횡형 블라인드.
  4. 제3항에 있어서,
    제2 래더 코드는, 상기 슬랫의 노치에는 계합되지 않는 횡형 블라인드.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상기 슬랫의 전후 방향외측을 향하여 넓어지는 테이퍼면을 가지는 횡형 블라인드.
  6. 제3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래더 코드는, 제1 연결부를 복수 구비하고 상기 헤드 박스에 가까운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연결부에 관하여,
    (A1) 제1 승강 코드가 제1 연결부에 삽입되지 않고 또한 제1 연결부와 연결되지 않거나, 또는
    (B1) 제1 승강 코드가 제1 연결부에 삽입되지 않고 또한 제1 연결 부재를 통하여 제1 연결부와 연결되거나,
    위 (A1)~(B1) 중 적어도 1개의 특징을 가지는 횡형 블라인드.
  7. 제3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래더 코드는, 제2 연결부를 복수 구비하고, 상기 헤드 박스에 가까운 1 또는 복수의 제2 연결부에 관하여,
    (A2) 제2 승강 코드가 제2 연결부에 삽입되지 않고 또한 제2 연결부와 연결되지 않거나, 또는
    (B2) 제2 승강 코드가 제2 연결부에 삽입되지 않고 또한 제2 연결 부재를 통하여 제2 연결부와 연결되거나,
    위 (A2)~ (B2) 중 적어도 1개의 특징을 가지는 횡형 블라인드.
  8. 제3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래더 코드는 각각, 제1 및 제2 연결부를 복수 구비하고,
    (a) 상기 헤드 박스에 가장 가까운 제1 연결부에서는, 제1 승강 코드가 제1 연결부에 삽입되지 않고 또한 제1 연결부와 연결되지 않고 또한 상기 헤드 박스에 두번째로 가까운 제1 연결부에서는, 제1 승강 코드가 제1 연결부에 삽입되지 않고 또한 제1 연결 부재를 통하여 제1 연결부와 연결되거나, 또는
    (b) 상기 헤드 박스에 가장 가까운 제2 연결부에서는, 제2 승강 코드가 제2 연결부에 삽입되지 않고 또한 제2 연결부와 연결되지 않고 또한 상기 헤드 박스에 두번째로 가까운 제2 연결부에서는, 제2 승강 코드가 제2 연결부에 삽입되지 않고 또한 제2 연결 부재를 통하여 제2 연결부와 연결되거나,
    위 (a)~(b) 중 적어도 1개의 특징을 가지는 횡형 블라인드.
  9. 헤드 박스와 상기 헤드 박스 내에 수용되고 또한 회전에 의해 일사차폐 재료를 승강시키는 구동축과 조작 풀리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조작부 유닛과, 상기 조작 풀리에 걸려 장착된 조작 코드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 박스는 상기 조작 코드를 삽입시키는 조작 코드 삽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 유닛은 상기 조작 코드를 상기 조작 코드 삽입공에 삽입시킨 상태로 상기 조작 코드와 상기 헤드 박스의 간섭을 저감하여 상기 헤드 박스에 대하여 폭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코드 퇴피부(退避部)를 구비하는, 일사차폐 장치 구동 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 유닛은 상기 조작 풀리를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고 또한 상기 조작 풀리의 회전을 상기 구동축으로 전달하는 기어를 가지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헤드 박스에 상기 조작 코드 삽입공이 설치된 면으로 향하는 대향면을 구비하고,
    상기 코드 퇴피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대향면과 상기 헤드 박스의 사이의 간극인 일사차폐 장치 구동 유닛.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박스는 상기 헤드 박스의 우단에 가까운 위치와 좌단에 가까운 위치의 각각에 상기 조작 코드 삽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조작 풀리의 우측 및 좌측의 각각에 상기 코드 퇴피부를 구비하는 일사차폐 장치 구동 유닛.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폭방향으로 순서대로, 케이스 캡, 기어 케이스 및 엔드 캡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 캡과 상기 기어 케이스의 사이에 상기 조작 풀리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기어 케이스와 상기 엔드 캡의 사이에 상기 조작 풀리의 회전을 상기 구동축으로 전달하는 전달 기어가 지지되고,
    상기 코드 퇴피부는 상기 케이스 캡, 기어 케이스 및 엔드 캡의 각각의 상기 대향면과 상기 헤드 박스의 사이의 간극인 일사차폐 장치 구동 유닛.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코드 삽입공에 설치가능한 코드 게이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코드 게이트는 상기 조작 코드 삽입공에의 설치상태에서, 상기 조작부 유닛에 계합하여 상기 조작부 유닛의 슬라이드 이동을 불가능하게 하는 일사차폐 장치 구동 유닛.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박스는 전벽(前壁)및 후벽(後壁)의 각각으로부터 전후방향 중앙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앞측 돌출벽 및 뒤측 돌출벽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 유닛은 상기 헤드 박스의 저벽(底壁), 상기 전벽, 상기 후벽, 상기 앞측 돌출벽 및 상기 뒤측 돌출벽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에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한 일사차폐 장치 구동 유닛.
KR1020157034527A 2013-05-08 2014-04-25 캠 유닛, 횡형 블라인드, 일사차폐 장치의 구동 유닛 KR1021167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98443 2013-05-08
JP2013098443A JP6243138B2 (ja) 2013-05-08 2013-05-08 横型ブラインド
JP2013101001A JP6151556B2 (ja) 2013-05-13 2013-05-13 日射遮蔽装置の駆動ユニット
JPJP-P-2013-101001 2013-05-13
JPJP-P-2013-112944 2013-05-29
JP2013112944A JP6151571B2 (ja) 2013-05-29 2013-05-29 カムユニット
PCT/JP2014/061681 WO2014181706A1 (ja) 2013-05-08 2014-04-25 カムユニット、横型ブラインド、日射遮蔽装置の駆動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553A true KR20160007553A (ko) 2016-01-20
KR102116717B1 KR102116717B1 (ko) 2020-05-29

Family

ID=51867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4527A KR102116717B1 (ko) 2013-05-08 2014-04-25 캠 유닛, 횡형 블라인드, 일사차폐 장치의 구동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2116717B1 (ko)
CN (1) CN105209707B (ko)
AU (1) AU2014263713B2 (ko)
BR (1) BR112015027803B1 (ko)
WO (1) WO20141817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08577B (zh) * 2012-07-30 2013-08-28 杭州欧卡索拉科技有限公司 百叶窗的卷轮机构及带齿轮离合器翻转机构的卷轮系统
US10954716B2 (en) 2017-09-21 2021-03-23 Hunter Douglas Inc. Lift station for a covering for an architectural structure
CN215974326U (zh) * 2021-06-25 2022-03-08 东莞市雷富溢窗饰科技有限公司 窗帘绕线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9558A (ja) 1994-04-05 1995-10-27 Tachikawa Blind Mfg Co Ltd プリーツカーテン
JP3965151B2 (ja) 2003-12-18 2007-08-29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日射遮蔽装置の障害物検知停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56653B2 (en) * 2010-08-25 2013-01-22 Teh Yor Co., Ltd. Control module having a clutch for raising and lowering a window shade
CN102900347B (zh) * 2012-07-30 2014-02-26 杭州欧卡索拉科技有限公司 带凸轮插销翻转机构的百叶窗卷轮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9558A (ja) 1994-04-05 1995-10-27 Tachikawa Blind Mfg Co Ltd プリーツカーテン
JP3965151B2 (ja) 2003-12-18 2007-08-29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日射遮蔽装置の障害物検知停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4263713B2 (en) 2018-03-01
BR112015027803A2 (pt) 2017-08-29
AU2014263713A1 (en) 2015-12-24
CN105209707B (zh) 2017-06-20
KR102116717B1 (ko) 2020-05-29
WO2014181706A1 (ja) 2014-11-13
BR112015027803B1 (pt) 2021-11-09
CN105209707A (zh)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46352B2 (ja) 日射遮蔽装置の操作装置
JP6271699B2 (ja) 建築物開口部用の覆いのためのオペレーティングシステム
JP2009121232A (ja) 建築物の開口部の覆いの昇降機構を制御するための制御ユニット
EP2888429B1 (en) Blind system
WO2011129181A1 (ja) ブラインド
JP3965151B2 (ja) 日射遮蔽装置の障害物検知停止装置
US20210230939A1 (en) Shading device
JP6151571B2 (ja) カムユニット
KR20160007553A (ko) 캠 유닛, 횡형 블라인드, 일사차폐 장치의 구동 유닛
JP5721343B2 (ja) 昇降装置、操作コード
JP5718130B2 (ja) ツインタイプの日射遮蔽装置
JP6151556B2 (ja) 日射遮蔽装置の駆動ユニット
JP2021004543A (ja) 検知装置及び遮蔽装置
JP5315009B2 (ja) ブラインド
JP5521149B2 (ja) ブラインド
JP6608169B2 (ja) チルト装置、横型ブラインド
JP6479413B2 (ja) 昇降コード支持装置及び遮蔽装置
JP7199923B2 (ja) 遮蔽装置
JP2016037828A (ja) 横型ブラインド装置の駆動装置
JP2020100989A (ja) ブラインド
WO2022050325A1 (ja) ブラインド
JP4744475B2 (ja) 日射遮蔽装置の障害物検知停止装置
JP7475235B2 (ja) 日射遮蔽装置及び日射遮蔽装置用の操作装置
JP6753727B2 (ja) ブラインドの駆動装置
JP2019108719A (ja) 遮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