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813A - 접합 기판의 커팅 방법 - Google Patents

접합 기판의 커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813A
KR20160000813A KR1020140106717A KR20140106717A KR20160000813A KR 20160000813 A KR20160000813 A KR 20160000813A KR 1020140106717 A KR1020140106717 A KR 1020140106717A KR 20140106717 A KR20140106717 A KR 20140106717A KR 20160000813 A KR20160000813 A KR 20160000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glass portion
seal
cutting line
bonded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6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4379B1 (ko
Inventor
최동광
Original Assignee
한국미쯔보시다이아몬드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미쯔보시다이아몬드공업(주) filed Critical 한국미쯔보시다이아몬드공업(주)
Priority to JP2015051912A priority Critical patent/JP6536098B2/ja
Priority to TW104108449A priority patent/TWI669278B/zh
Priority to CN201510206061.8A priority patent/CN105314835B/zh
Publication of KR20160000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Glass cutting tables; Apparatus for transporting or handling sheet glass during the cutting or breaking ope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7Controlling or regula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를 이용해 접합 기판 등의 스크라이브 커팅시에 시일부가 형성된 기판의 필요없는 더미 부분을 최대한으로 좁게 남기면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팅면을 매끄럽게 커팅시킬 수 있는 접합 기판의 커팅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시일부(8) 상의 상부 글라스부(11a) 또는 하부 글라스부(11b)를 스크라이빙 휠(60)로 스크라이브 하여 상부 글라스부(11a) 또는 하부 글라스부(11b)에 커팅 라인(CL)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 글라스부(11a) 또는 하부 글라스부(11b)에 형성된 상기 커팅 라인(CL)의 위치로부터 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시일부(8)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시일부(8)를 커팅하는 단계와, 상기 시일부(8)를 커팅하는 단계 후에, 상기 커팅 라인(CL)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글라스부를 스크라이빙 휠(60)로 스크라이브 하여 커팅하는 단계를 거치므로 깨끗한 커팅면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접합 기판의 커팅 방법{METHOD FOR CUTTING OF BONDED SUBSTRATE}
본 발명은 접합 기판의 커팅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레이저를 이용한 액정기판 등의 스크라이브 커팅시, 기판의 필요없는 더미부를 최대한으로 작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끄러운 커팅면을 얻을 수 있는 접합 기판의 커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액정 기판의 커팅시 기판의 불필요한 더미부를 커팅할 시에는 스크라이빙 휠만을 이용하여 커팅하여 오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인 액정 기판은, 상부 글라스부와 하부 글라스부의 사이에 액정층이 충전된 후에 액정층이 외부로 누액되지 않도록 액정층의 테두리 부분을 시일층(sealing layer)으로 감싸면서 시일링되어 있다.
즉, 시일층을 상부 글라스부와 하부 글라스부의 서로 대향되는 면에 부착시켜, 그 사이에 액정층이 외부로 흘러나가지 않도록 밀봉시키는 구조이다.
또한, 시일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와 같이 시일되는 시일층을 기판 평면의 폭방향으로 넓게 형성시키고 있는 구조를 택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시일층으로 인해 액정 기판의 테두리 부분에 넓은 폭을 갖는 시일층이 포함되어 있어, 기존에는 베젤의 크기가 큰 상태로 사용하고 있거나, 베젤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시일층의 외주 부분을 잘라내어 베젤을 얇게 형성해오고 있는 실정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액정기판을 서로 평면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존재하고, 이 경우 화상의 구현시 시일층의 외주 부분끼리의 연결 부위에서 화상이 매끄럽지 못한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액정 기판의 시일층의 폭을 최대한 잘라내기 위해 스크라이빙 휠을 이용해 액정기판의 시일층까지 깊숙히 파고들게 하면서 커팅시키고 있다.
그러나 스크라이빙 휠을 이용해 액정 기판의 시일층을 스크라이브할 시에는, 시일층이 갖고 있는 물성으로 인해, 스크라이빙 휠이 스크라이빙 되면서 직진성을 잃게 되거나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이동하지 못하고 다른 방향으로 주행하여, 기판 절단시 기판을 불량하게 만드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기존의 상,하 스크라이빙 휠 방식으로는 상부 글라스부와 하부 글라스부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시일층까지 커팅이 어려워 스크라이빙 휠의 스크라이빙 작업이 완료된 후에도 시일층이 커팅되지 않고 일부 시일이 잔존하고 있어 글라스부가 완전하게 분리 되지 않는 문제점도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잘못 커팅된 시일층으로 인해 스크라이빙 휠의 직진성이 떨어져 액정 기판에서 떼어 버리는 더미부와, 액정 기판의 절단면이 시일층으로 인해 매끄러운 면을 갖지 못하여 폐기하여야 하는 불량품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크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에는 다수의 액정 기판을 평면으로 서로 테두리가 맞닿게 하여 대형의 화면을 구현시켜 출시되는 화면 장치들이 많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액정기판의 테두리에서 화면을 구현할 수 있는 액정층 이외의 다른 부분, 예컨대 시일층은 최소가 되도록 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시도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레이저를 이용해 액정기판 등의 접합 기판을 스크라이브하여 커팅할 때, 기판의 필요없는 더미부를 최대한으로 작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끄러운 커팅 면을 얻을 수 있는 접합 기판의 커팅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접합 기판의 상부 글라스부와 하부 글라스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시일부 상을 커팅하기 위한 접합 기판의 커팅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일부 상의 상부 글라스부 또는 하부 글라스부를 스크라이빙 휠로 스크라이브 하여 상부 글라스부 또는 하부 글라스부에 커팅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 글라스부 또는 하부 글라스부에 형성된 상기 커팅 라인의 위치로부터 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시일부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시일부를 커팅하는 단계와, 상기 시일부를 커팅하는 단계 후에, 상기 커팅 라인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글라스부를 스크라이빙 휠로 스크라이브 하여 커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접합 기판의 상부 글라스부와 하부 글라스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시일부 상을 커팅하기 위한 접합 기판의 커팅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일부 상의 상부 글라스부 및 하부 글라스부를 스크라이빙 휠로 스크라이브 하여 상부 글라스부 및 하부 글라스부에 커팅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 글라스부 및 하부 글라스부에 형성된 상기 커팅 라인의 위치로부터 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시일부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시일부를 커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 글라스부와 하부 글라스부의 사이에는 상기 시일부에 의해 외주 부분이 밀봉되는 액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시일부를 커팅하는 단계에서, 상기 커팅 라인의 위치로부터 상기 액정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시일부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시일부를 커팅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커팅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커팅 라인이 상기 시일부까지 도달하도록 커팅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크라이빙 휠로 상기 상부 글라스부 및/또는 하부 글라스부를 스크라이브 한 후에, 스크라이브된 상부 글라스부 및/또는 하부 글라스부를 롤러 브레이크 또는 바 브레이크로 브레이크하여 커팅 라인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일부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시일부를 커팅할 때 발생되는 기포가 액정부측으로 흘러들어 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액정부가 오염되거나 기포에 의해 액정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레이저를 이용해 접합 기판의 시일부 상을 커팅할 때, 커팅된 기판을 쉽게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일부까지 완전하게 제거하므로 커팅면을 깨끗하게 형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접합 기판의 커팅 방법으로 커팅 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접합 기판의 커팅시에 접합 기판의 측단면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스크라이빙 휠을 이용하여 접합 기판을 스크라이브하는 작업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접합 기판의 커팅 방법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접합 기판의 커팅시 커팅 라인선상에 레이저를 조사했을 때의 기포의 침투 현상을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이다.
도 6 는, 본 발명의 접합 기판의 커팅시 커팅 라인의 바깥측 위치에 레이저를 조사했을 때의 기포의 침투 현상을 나타내는 현미경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기판의 커팅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와 같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기판(10)은 상부 글라스부(11a) 및 하부 글라스부(11b)를 포함하고, 이들 상부 글라스부(11a)와 하부 글라스부(11b)의 사이에 액정부(5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액정부(50)가 접합 기판(10)의 외부로 누액되지 않도록 액정부(50)의 외주가 시일부(8)로 밀봉되어 있다.
상기 접합 기판(10)의 테두리부에는 상부 글라스부(11a) 및 하부 글라스부(11b) 형성시에 필요 없는 부분인 더미부(5)가 존재한다. 이러한 더미부(5)에 해당하는 상부 글라스부(11a) 및 하부 글라스부(11b)의 테두리부 사이에는 시일부(8)도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더미부(5)는 접합 기판(10)을 통해 구현되는 화상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그 크기를 최소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여, 더미부(5)가 커팅될 필요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기판의 커팅 방법에서는, 먼저, 접합 기판(10)상에 1차적으로 스크라이빙 휠(60)을 이용해 상부 글라스부(11a) 또는 하부 글라스부(11b)에 커팅 라인(CL; 도 1에서 파선으로 나타낸 화살표 부분)을 형성한다. 참고로, 도 2에서는 하부 글라스부(11b)에 커팅 라인(CL)이 형성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글라스부(11a) 또는 하부 글라스부(11b)에 커팅 라인(CL)을 형성할 때에는, 글라스부의 두께까지 즉, 스크라이빙 휠(60)을 이용해 시일부(8)가 형성된 면까지 상부 글라스부(11a) 또는 하부 글라스부(11b)를 파고들도록 커팅시켜 커팅 라인(CL)을 형성한다. 이와 다른 방법으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라이빙 휠(60)을 이용해 상부 글라스부(11a) 또는 하부 글라스부(11b)의 두께 일부까지 파고들도록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 그 후 롤러 브레이크(70) 등의 브레이크 기구를 이용해 당해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된 글라스부를 두께 방향으로 완전히 커팅시켜, 상부 글라스부(11a) 또는 하부 글라스부(11b)에 당해 글라스부의 표면으로부터 시일부(8)가 형성된 면까지 이어지는 커팅 라인(CL)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상부 글라스부(11a) 또는 하부 글라스부(11b)에 커팅 라인(CL)이 형성되면, 커팅 라인(CL)선상에서부터 바깥측(접합 기판(10)의 테두리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있는 시일부(8; 도 1에 실선으로 나타낸 화살표 부분 참조)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시일부(6)를 길이 방향으로 커팅시킨다.
이때 시일부(8)가 레이저에 의해 커팅되면 기포가 발생되고, 발생되는 기포는 상부 글라스부(11a) 및 하부 글라스부(11b)의 사이에서 시일부(8)의 폭 방향인 액정부(50) 및 더미부(5)측으로 전파해 나아간다.
더미부(5)측으로 전파해 나가는 기포는 더미부(5)를 지나 접합 기판(10)의 밖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더미부(5)와 반대 방향인 액정부(50)측으로 전파해 나가는 기포는 커팅 라인(CL)이 형성된 부위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에 기포는, 도 2의 확대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시일부(8)로부터 하부 글라스부(11b)에 형성된 커팅 라인(CL)의 틈사이로 유도되어 밖으로 배출된다. 즉, 접합 기판(10)상에 형성된 커팅 라인(CL)선상을 통해 기포가 밀려 나가기 때문에, 기포는 액정부(50)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로는 더 이상 진행되지 않는다.
도 5를 참조하면, 레이저를 커팅 라인(CL)과 동일 선상의 시일부(8)에 조사할 경우, 시일부(8)상에서 발생된 기포는 커팅 라인(CL)을 넘어 액정부(50)까지 밀려 들어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도 6을 참조하면, 상부 글라스부(11a) 또는 하부 글라스부(11b)상의 어느 한쪽에 커팅 라인(CL)을 형성하고, 이 커팅 라인(CL)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있는 시일부(8)에 레이저를 조사할 경우, 시일부(8)에서 발생되는 기포는 커팅 라인(CL)을 지나치지 못하고 멈춰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시일부(8)에서 발생된 기포는 액정부(50)측으로 전파해 나가다가 커팅 라인(CL)의 틈 밖으로 유도되어 배출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액정부(50)에 기포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는, 접합 기판(10)의 시일부(8)상에 레이저를 조사할 때에 상부 글라스부(11a) 또는 하부 글라스부(11b)의 커팅 라인(CL)선상에서부터 더미부(5)측으로 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의 선상에서 시일부(8)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시일부(8)에 레이저(20)를 조사하여 시일부(8)의 일부를 두께방향으로 커팅시키는 단계를 거친 후에는, 상부 글라스부(11a) 또는 하부 글라스부(11b) 중 커팅되지 않고 붙어 있는 나머지 글라스부에 스크라이빙 휠(60)을 이용해 최종적으로 커팅시킨다. 이로 인해, 접합 기판(10)에서 불필요한 더미부(5) 및 시일부(8)를 쉽고 깨끗하게 제거해 버릴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부 글라스부(11a) 또는 하부 글라스부 중 어느 하나에만 커팅 라인(CL)을 먼저 형성시킨 후, 시일부(8)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기포를 커팅 라인(CL)이 형성된 틈사이로 유도시켜 배출시키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스크라이빙 휠(60)로 상부 글라스부(11a) 및 하부 글라스부(11b) 양쪽에 커팅 라인(CL)을 형성시킨 후, 시일부(8)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기포를 양쪽 글라스부에 형성된 커팅 라인(CL)으로 유도할 수도 있다. (도 4 참조)
구체적으로, 상부 글라스부(11a) 및 하부 글라스부(11b)에 커팅 라인(CL)이 형성되며, 그 후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와 같이 레이저(20)를 이용해 시일부(8)를 조사하여 커팅하면, 시일부(8)에서 발생되는 기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글라스부(11a) 및 하부 글라스부(11b)에 형성된커팅 라인(CL)을 따라 유도되면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글라스 상에 미리 커팅 라인(CL)을 형성시켜 둠으로써, 레이저를 조사하여 시일부를 커팅할 때 기포가 발생되어도, 이 기포는 글라스부상의 커팅 라인(CL)을 따라 자연적으로 외부로 유도되어 방출되므로, 절단되는 시일부 면이 깨끗한 면을 갖도록 절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스크라이빙 휠로 글라스부에 커팅 라인(CL)을 미리 형성시킨 후 시일부에 레이저를 조사해서 접합 기판의 더미부를 제거시킬 수 있어 베젤 부분 등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8: 시일부
10: 접합 기판
11a: 상부 글라스부
11b: 하부 글라스부
50: 액정부
60: 스크라이빙 휠
CL: 커팅 라인

Claims (5)

  1. 접합 기판(10)의 상부 글라스부(11a)와 하부 글라스부(11b)와의 사이에 형성된 시일부(8) 상을 커팅하기 위한 접합 기판(10)의 커팅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일부(8) 상의 상부 글라스부(11a) 또는 하부 글라스부(11b)를 스크라이빙 휠(60)로 스크라이브 하여 상부 글라스부(11a) 또는 하부 글라스부(11b)에 커팅 라인(CL)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 글라스부(11a) 또는 하부 글라스부(11b)에 형성된 상기 커팅 라인(CL)의 위치로부터 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시일부(8)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시일부(8)를 커팅하는 단계와,
    상기 시일부(8)를 커팅하는 단계 후에, 상기 커팅 라인(CL)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글라스부를 스크라이빙 휠(60)로 스크라이브 하여 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기판의 커팅 방법.
  2. 접합 기판(10)의 상부 글라스부(11a)와 하부 글라스부(11b)와의 사이에 형성된 시일부(8) 상을 커팅하기 위한 접합 기판의 커팅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일부(8) 상의 상부 글라스부(11a) 및 하부 글라스부(11b)를 스크라이빙 휠(60)로 스크라이브 하여 상부 글라스부(11a) 및 하부 글라스부(11b)에 커팅 라인(CL)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 글라스부(11a) 및 하부 글라스부(11b)에 형성된 상기 커팅 라인(CL)의 위치로부터 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시일부(8)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시일부(8)를 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기판의 커팅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글라스부(11a)와 하부 글라스부(11b)의 사이에는 상기 시일부(8)에 의해 외주 부분이 밀봉되는 액정부(50)가 형성되고,
    상기 시일부(8)를 커팅하는 단계에서, 상기 커팅 라인(CL)의 위치로부터 상기 액정부(5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시일부(8)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시일부(8)를 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기판의 커팅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 라인(CL)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커팅 라인(CL)이 상기 시일부(8)까지 도달하도록 커팅 라인(CL)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기판의 커팅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 라인(CL)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크라이빙 휠(60)로 상기 상부 글라스부(11a) 또는 하부 글라스부(11b)를 스크라이브 한 후에, 스크라이브된 상부 글라스부(11a) 또는 하부 글라스부(11b)를 롤러 브레이크 또는 바 브레이크로 브레이크하여 커팅 라인(CL)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기판의 커팅 방법.
KR1020140106717A 2014-06-25 2014-08-18 접합 기판의 커팅 방법 KR101614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51912A JP6536098B2 (ja) 2014-06-25 2015-03-16 貼り合わせ基板の分断方法
TW104108449A TWI669278B (zh) 2014-06-25 2015-03-17 貼合基板之分斷方法
CN201510206061.8A CN105314835B (zh) 2014-06-25 2015-04-27 贴合基板的分断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8290 2014-06-25
KR1020140078290 2014-06-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813A true KR20160000813A (ko) 2016-01-05
KR101614379B1 KR101614379B1 (ko) 2016-04-21

Family

ID=55164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6717A KR101614379B1 (ko) 2014-06-25 2014-08-18 접합 기판의 커팅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36098B2 (ko)
KR (1) KR101614379B1 (ko)
CN (1) CN105314835B (ko)
TW (1) TWI66927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420A (ko) * 2016-12-01 2018-06-12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스크라이빙 장치 및 스크라이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38400B2 (ja) * 2016-01-05 2020-01-29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基板分断方法
KR20200102992A (ko) * 2017-12-27 2020-09-01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라이브 가공 방법 및 스크라이브 가공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8580B1 (ko) 1996-07-09 1999-09-01 구자홍 고 밀도 대형 액정 표시 장치 제조 방법
JP2002287107A (ja) * 2001-03-28 2002-10-03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002676A (ja) * 2001-06-19 2003-01-08 Seiko Epson Corp 基板の分割方法及び液晶装置の製造方法
KR100689314B1 (ko) * 2003-11-29 2007-03-08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패널의 절단방법
JP2009210658A (ja) * 2008-02-29 2009-09-17 Citizen Finetech Miyota Co Ltd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WO2010029660A1 (ja) * 2008-09-12 2010-03-18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JP5481167B2 (ja) * 2009-11-12 2014-04-23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ガラス溶着方法
JP4996703B2 (ja) * 2010-02-09 2012-08-08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基板分断装置
KR101818449B1 (ko) * 2010-12-15 2018-01-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패널의 절단방법 및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JP5767595B2 (ja) * 2012-02-23 2015-08-19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脆性材料基板のスクライブ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420A (ko) * 2016-12-01 2018-06-12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스크라이빙 장치 및 스크라이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69278B (zh) 2019-08-21
TW201600482A (zh) 2016-01-01
JP2016008171A (ja) 2016-01-18
KR101614379B1 (ko) 2016-04-21
CN105314835A (zh) 2016-02-10
CN105314835B (zh) 2019-01-15
JP6536098B2 (ja) 2019-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4379B1 (ko) 접합 기판의 커팅 방법
JP2013122984A (ja) 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EP2174762B1 (en) Method for scribing bonded substrates
TWI656571B (zh) Substrate cutting method
KR101623026B1 (ko) 접합 기판의 커팅 방법
US11175540B2 (en) Liquid crystal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liquid crystal device
JP2008149423A (ja) 刃物及び剥離装置
KR101596296B1 (ko) 접합 기판의 커팅 방법
JP2009292699A (ja) ガラス基板の切断方法、表示パネル用の基板の切断方法および表示パネル用の基板の製造方法
TW201718211A (zh) 基板分斷裝置
JP2014214054A (ja) 貼り合わせ基板の加工装置
JP2008176204A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14214053A (ja) 貼り合わせ基板の加工装置
JP6826718B2 (ja) 基板分断装置及び基板分断方法
JP2017001191A (ja) 貼り合わせ基板の分断装置
JP2009282107A (ja) 表示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060684A (ja) 基板分断方法及びスクライブ装置
JP2008003388A (ja)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0129032A (ja) 液晶デバイスの製造方法、及び液晶デバイス
JP2019081688A (ja) スクライブ方法および分断方法
JP2019078838A (ja) 液晶パネル製造方法
JP2017001190A (ja) 貼り合わせ基板の分断装置
JP2019095570A (ja) 液晶パネル製造方法
JP2016112898A (ja) 基板の分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