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6207A -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금형 및 이를 이용한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금형 및 이를 이용한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6207A
KR20150146207A KR1020140076432A KR20140076432A KR20150146207A KR 20150146207 A KR20150146207 A KR 20150146207A KR 1020140076432 A KR1020140076432 A KR 1020140076432A KR 20140076432 A KR20140076432 A KR 20140076432A KR 20150146207 A KR20150146207 A KR 20150146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ad
nonwoven fabric
manufacturing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6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5344B1 (ko
Inventor
이도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일씨엔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일씨엔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일씨엔에프
Priority to KR1020140076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344B1/ko
Publication of KR20150146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6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017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manufacturing upholstery or upholstery sp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8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2Panels; Plates;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 각각 구비된 상부 및 하부 성형부 사이에 부직포를 개재시켜 이경도 시트패드를 제조하는 금형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성형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이 합형될 때 상기 상부 및 하부 성형부에 의해 형성되는 성형공간부 상에 상기 부직포가 위치되게 고정하는 복수개의 고정핀이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금형과 이를 이용한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금형 및 이를 이용한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방법{manufacturing mold of Seat Pad having different hardnesses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금형 및 이를 이용한 시트패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인체와 접촉되는 상부는 부드러운 경도를 갖는 패드로 구성하고, 하부는 딱딱한 경도를 가진 패드로 구성하여 안락감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금형 및 이를 이용한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은 출ㆍ퇴근용, 여행용, 화물 수송용 등 사람들의 생활과 산업전반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이 된지 오래되었다. 그러나, 증가하는 차량에 비해 부족한 도로개설율 및 인구의 도심집중화에 의해 차량 내에서 소비하는 시간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차량은 단순히 일정한 거리를 오가는 교통수단의 개념에서 바쁜 시간을 쪼개서 업무를 보거나, 음악을 듣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사람들이 차량에서 보내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탑승자의 승차감, 쾌적함, 시트 착석이 안락감 등이 중요시되고 있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차량용 시트에 적용되는 패는 단일경도 또는 볼스터 이경도 패드를 적용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상기 단일 경도 패드는 유연한 경도를 갖도록 형성하는 소프트 튜닝시 시트의 안락감을 줄 수 있으나 볼스터 부위의 지지감, 패드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딱딱한 경도를 갖도록 형성하는 하드 튜닝시 패드의 내구성은 향상시킬 수 있으나 시트의 안락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볼스터 이경도 패드의 경우는 유연한 경도를 갖도록 소프트 튜닝을 하되, 볼스터 부위만 딱딱한 경도를 갖도록 하는 튜닝을 하게 되는데, 이때에도 메인 소프트부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인체 허벅지의 측면을 지지하는 볼스터 부위의 지지감 및 내구성은 증가하나 시트의 안락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소프트 튜닝 영역과 하드 튜닝 영역을 구분하는 파팅 라인( Parting line)에 부직포가 장착된 금형을 적용하고 있는데, 금형이 복잡해지고, 작업공정이 로봇 진입단계, 하형 발포단계, 중형 닫힘단계 (이때, 로봇은 원위치 됨), 로봇 재진입단계, 상형 발포 단계로 이루어져 있어 작업속도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1996-0007269(1996.03.22)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인체와 접촉되는 상부는 부드러운 경도를 갖는 패드로 구성하고, 하부는 딱딱한 경도를 가진 패드로 구성하여 안락감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금형 및 이를 이용한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종래의 제조 공정 단계 중 중형 닫힘 공정을 삭제시킴으로써 공정시간이 감소되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 각각 구비된 상부 및 하부 성형부 사이에 부직포를 개재시켜 이경도 시트패드를 제조하는 금형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성형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이 합형될 때 상기 상부 및 하부 성형부에 의해 형성되는 성형공간부 상에 상기 부직포가 위치되게 고정하는 복수개의 고정핀이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금형을 제공한다.
상기 하부 성형부의 소정 위치에는 복수개의 결합핀이 상부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복수개의 고정핀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금형을 이용한 이경도 시트패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부 성형부의 바닥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고정핀에 부직포를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부직포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절개부를 통해 저경도 패드 원액을 상기 하부 성형부에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절개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상기 부직포 상에 고경도 패드 원액을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금형에 상기 상부금형을 합형시켜 상기 저경도 패드 원액 및 고경도 패드 원액을 동시에 발포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금형을 상기 하부금형으로부터 분리하여 발포 성형 완료된 상기 이경도 시트패드를 상기 하부금형으로부터 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부직포를 안착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상부 성형부의 바닥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고정핀 중 일부 고정핀에 차단플레이트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직포를 안착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부직포의 일단부를 상기 하부 성형부의 소정 위치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부의 상부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핀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인체와 접촉되는 상부는 부드러운 경도를 갖는 패드로 구성하고, 하부는 딱딱한 경도를 가진 패드로 구성하여 안락감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제조 공정 단계 중 중형 닫힘 공정을 삭제시킴으로써 공정시간이 감소되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금형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금형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경도 시트패드의 제조금형을 이용한 이경도 시트패드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경도 시트패드의 제조금형을 이용한 이경도 시트패드의 제조 과정을 도시하는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금형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금형의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금형(100)은 상부금형(110)과 하부금형(120)에 각각 구비된 상부 및 하부 성형부(112, 122) 사이에 부직포(130)를 개재시켜 부직포(130)의 하부에는 저경도 패드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고경도 패드가 형성되는 이경도 시트패드를 제조하는 금형에 관한 것이다.
상부 및 하부 성형부(112, 122)의 바닥면에는 각각 복수개의 고정핀(114, 124)이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복수개의 고정핀(114, 124)은 상부금형(110)과 하부금형(120)의 합형될 때 상부 및 하부 성형부(112, 122)에 의해 형성되는 성형공간부 상에 부직포(130)가 한쪽으로 쳐지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한다.
아울러, 하부 성형부(122)의 측면 소정 위치에는 복수개의 결합핀(126a)이 상부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가이드부(126)가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부(126)는 부직포(130)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절개부(132)를 통해 하부 성형부(122)로 주입된 저경도 패드 원액이 발포될 때 부직포(130)와 하부 성형부(122)의 측면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부직포(130)의 상부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조된 이경도 시트패드 상에 저경도 패드와 고경도 패드의 구분선을 형성한다.
이때, 부직포(130)의 일단부에는 부직포(130)가 가이드부(126)의 상부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게 가이드부(126)의 상부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핀(126a)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삽입홀(13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부(126)는 하부 성형부(122)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핀(124)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경도 시트패드의 제조금형을 이용한 이경도 시트패드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경도 시트패드의 제조금형을 이용한 이경도 시트패드의 제조 과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방법은 부직포 안착단계(S100), 저경도 패드 원액 주입단계(S110), 고경도 패드 원액 주입단계(S120), 발포 성형단계(S130), 취출단계(S140)를 포하여 이루어진다.
부직포 안착단계(S100)는 하부 성형부(122)의 바닥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고정핀(124)에 부직포(130)를 안착시키는 것이다.
또한, 부직포를 안착시키는 단계(S100)에서는 상부 성형부(112)의 바닥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고정핀(114) 중 일부 고정핀에 차단플레이트(140)를 부착하는 단계(S102)를 더 포함하는데, 이는 상부금형(110)이 하부금형(120)에 합형될 때 차단플레이트(140)가 절개부(132)를 폐쇄시킴으로써, 절개부(132)를 통해 하부 성형부(122)로 주입된 저경도 패드 원액이 발포될 때 부직포(130)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절개부(132)를 통해 부직포(130)의 상부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부직포를 안착시키는 단계(S100)에서는 부직포(130)의 일단부를 하부 성형부(122)의 소정 위치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부(126)의 상부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핀(126a)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절개부(132)를 통해 하부 성형부(122)로 주입된 저경도 패드 원액이 발포될 때 부직포(130)와 하부 성형부(122)의 측면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부직포(130)의 상부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한다.
저경도 패드 원액 주입단계(S110)는 부직포(130)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절개부(132)를 통해 저경도 패드 원액을 하부 성형부(122)에 주입하는 것이다.
고경도 패드 원액 주입단계(S120)는 복수개의 절개부(132)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부직포(130) 상에 고경도 패드 원액을 주입하는 것이다.
발포 성형단계(S130)는 하부금형(120)에 상부금형(110)을 합형시켜 저경도 패드 원액 및 고경도 패드 원액을 동시에 발포 성형하는 것이다.
취출단계(S140)는 상부금형(110)을 하부금형(120)으로부터 분리하여 발포 성형 완료된 이경도 시트패드(10)를 하부금형(120)으로부터 취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금형 및 이를 이용한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방법에 의하면, 인체와 접촉되는 상부는 부드러운 경도를 갖는 패드로 구성하고, 하부는 딱딱한 경도를 가진 패드로 구성하여 안락감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켜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상부금형
112; 상부 성형부
120; 하부금형
122; 하부 성형부
126; 가이드부
126a; 결합핀
114, 124; 고정핀
130; 부직포
132; 절개부
134; 삽입홀
S100; 부직포 안착단계
S102; 차단플레이트 부착단계
S110; 저경도 패드 원액 주입단계
S120; 고경도 패드 원액 주입단계
S130; 발포성형단계
S140; 취출단계

Claims (6)

  1.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 각각 구비된 상부 및 하부 성형부 사이에 부직포를 개재시켜 이경도 시트패드를 제조하는 금형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성형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이 합형될 때 상기 상부 및 하부 성형부에 의해 형성되는 성형공간부 상에 상기 부직포가 위치되게 고정하는 복수개의 고정핀이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금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성형부의 소정 위치에는 복수개의 결합핀이 상부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금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복수개의 고정핀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금형.
  4. 상기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금형을 이용한 이경도 시트패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부 성형부의 바닥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고정핀에 부직포를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부직포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절개부를 통해 저경도 패드 원액을 상기 하부 성형부에 주입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절개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상기 부직포 상에 고경도 패드 원액을 주입하는 단계;
    상기 하부금형에 상기 상부금형을 합형시켜 상기 저경도 패드 원액 및 고경도 패드 원액을 동시에 발포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금형을 상기 하부금형으로부터 분리하여 발포 성형 완료된 상기 이경도 시트패드를 상기 하부금형으로부터 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를 안착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상부 성형부의 바닥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고정핀 중 일부 고정핀에 차단플레이트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를 안착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부직포의 일단부를 상기 하부 성형부의 소정 위치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부의 상부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핀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방법.
KR1020140076432A 2014-06-23 2014-06-23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금형 및 이를 이용한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방법 KR101605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432A KR101605344B1 (ko) 2014-06-23 2014-06-23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금형 및 이를 이용한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432A KR101605344B1 (ko) 2014-06-23 2014-06-23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금형 및 이를 이용한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207A true KR20150146207A (ko) 2015-12-31
KR101605344B1 KR101605344B1 (ko) 2016-03-22

Family

ID=55128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6432A KR101605344B1 (ko) 2014-06-23 2014-06-23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금형 및 이를 이용한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3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0473A1 (en) * 2017-07-07 2019-01-10 Magna Seating Inc. PRESSURE DETECTION SYSTEM AND SEAT CUSHION COMPRISING THE PRESSURE DETEC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9352B1 (ko) 2017-02-27 2018-11-20 두올산업(주) 자동차 실내바닥패널 제조용 발포 금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269A (ko) 1994-08-16 1996-03-22 전성원 이경도 시트패드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6717B2 (ja) * 1999-03-09 2009-02-18 しげる工業株式会社 発泡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法
JP3775230B2 (ja) * 2000-11-06 2006-05-17 東海興業株式会社 クッション材の製造方法
JP2003153773A (ja) 2001-11-20 2003-05-27 Tokai Kogyo Co Ltd クッション体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269A (ko) 1994-08-16 1996-03-22 전성원 이경도 시트패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0473A1 (en) * 2017-07-07 2019-01-10 Magna Seating Inc. PRESSURE DETECTION SYSTEM AND SEAT CUSHION COMPRISING THE PRESSURE DETECTION SYSTEM
CN110869239A (zh) * 2017-07-07 2020-03-06 麦格纳座椅公司 压力感测系统和具有该压力感测系统的座椅垫
CN110869239B (zh) * 2017-07-07 2022-02-22 麦格纳座椅公司 压力感测系统和具有该压力感测系统的座椅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5344B1 (ko) 201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6853B2 (en) Molded bod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seat material for vehicl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70368972A1 (en) Seat cushion pad and seat
US10166892B2 (en) Pad
KR101605344B1 (ko)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금형 및 이를 이용한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방법
CN110446442B (zh) 发泡成形体
JP5649392B2 (ja) シートクッション構造
JP2009112582A (ja) 車両用シート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US10525857B2 (en) Vehicle seat
KR102003984B1 (ko) 자동차 헤드레스트용 폴가이드
KR101738021B1 (ko)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
JP5858857B2 (ja) 車両用シートパッドの製造方法
US20220340064A1 (en) Vehicle seat element lining integrating a vibrating device
JP2008132254A (ja) クッションパッド及びその発泡成形型
JP2014128360A (ja) 車両用シートパッド
JP2006035916A (ja) 車両用シートクッションパッド
JPWO2019107148A1 (ja) シートパッドの製造方法
JP2015196015A (ja) 車両用シートパッド、車両用シートパッド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金型
KR101320924B1 (ko) 차량용 암레스트 프레임
JP2010187996A (ja) シートパッド
KR101460706B1 (ko) 차량 시트용 상하 이경도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6190020A1 (ja) 発泡成形体の製造装置、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および発泡成形体
KR102111590B1 (ko) 통풍 시트와 그 제조 방법
WO2022239273A1 (ja) シートパッドおよびシートパッドの製造方法
KR101173018B1 (ko) 시트용 폼패드 성형 장치
JP2014117847A (ja) シートパッド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