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8021B1 -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8021B1
KR101738021B1 KR1020110091254A KR20110091254A KR101738021B1 KR 101738021 B1 KR101738021 B1 KR 101738021B1 KR 1020110091254 A KR1020110091254 A KR 1020110091254A KR 20110091254 A KR20110091254 A KR 20110091254A KR 101738021 B1 KR101738021 B1 KR 101738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soft
hard
parting line
f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1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7799A (ko
Inventor
이준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1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021B1/ko
Publication of KR20130027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7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8Seat parts having foamed material included in cushioning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12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12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39/123Making multi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011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of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shape, e.g. hammock-like, plastic shells,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017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manufacturing upholstery or upholstery sp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용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와 접촉하는 상부 패드는 소프트한 경도를 가진 패드로 구성하고, 이를 지지하는 하부 패드는 내구성을 위해 하드한 경도를 가진 패드로 구성하여 탑승자의 안락감을 보장함과 동시에 패드의 내구성을 증가시킨 전면 이경도 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인체의 착석을 위해 형성되는 소프트 패드(Soft Pad); 상기 소프트패드의 하부에 형성되어 소프트 패드를 지지하는 하드 패드(Hard Pad); 및 상기 소프트 패드와 하드 패드 사이에서 형성되는 파팅 라인 펠트(Parting Line Felt);를 포함하되, 상기 소프트 패드는, 인체의 대퇴부 및 허벅지가 접촉하는 면을 상기 하드 패드보다 경도가 낮은 물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Vehicle Seat Pad having different hardnesses}
본 발명은 차량 시트용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와 접촉하는 상부 패드는 소프트한 경도를 가진 패드로 구성하고, 이를 지지하는 하부 패드는 내구성을 위해 하드한 경도를 가진 패드로 구성하여 탑승자의 안락감을 보장함과 동시에 패드의 내구성을 증가시킨 전면 이경도 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은 출·퇴근용, 여행용, 화물 수송용 등 사람들의 생활과 산업전반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품이 된 지 오래이다. 그러나, 증가하는 차량 댓수에 비해 부족한 도로개설율 및 인구의 도심집중화에 의해 차량 내에서 소비하는 시간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차량은 단순히 일정한 거리를 오가는 교통수단의 개념에서 바쁜 시간을 쪼개서 업무를 보거나, 음악을 듣거나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사람들이 차량에서 보내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탑승자의 승차감, 쾌적함, 시트 착석시 안락감 등이 중요시 되고 있다.
이러한 탑승자의 안락감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차량에 장착되는 시트(seat)의 안락감이 필수적으로 보장되어야 한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차량용 시트에 적용되는 패드는 단일 경도 패드 또는 볼스터 이경도 패드를 적용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상기 단일 경도 패드는 i) 유연한 경도를 갖도록 형성하는 소프트 튜닝시, 시트의 안락감을 줄 수 있으나 볼스터 부위의 지지감이 떨어지고, 패드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ii) 딱딱한 경도를 갖도록 형성하는 하드 튜닝시, 패드의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으나, 시트의 안락감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볼스터 이경도 패드의 경우, iii) 유연한 경도를 갖도록 소프트 튜닝을 하되, 볼스터 부위만 딱딱한 경도를 갖도록 하드 튜닝을 하게 되는데, 이 때에도 메인 소프트부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인체 허벅지의 측면을 지지하는 볼스터 부위의 지지감 및 내구성은 증가하나 시트의 안락감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프트 튜닝 영역과 하드 튜닝 영역을 구분하는 파팅 라인(Parting Line)에 부직포가 장착된 금형을 적용하고 있었는데, 금형이 복잡해져 작업속도가 더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탑승자에 안락감을 주면서도 내구성이 보장되는 이경도 패드가 요구되며, 이와 더불어 이경도 패드의 제조에 있어서, 저렴한 제조비용으로도 제조방법이 간편한 이경도 패드의 제조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인체에 접촉하는 패드를 유연한 경도를 가진 패드로 구성하고, 이를 지지하는 패드를 단단한 경도를 가진 패드로 구성하여, 시트의 안락감과 내구성을 동시에 보장하는 이경도 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팅 라인(Parting Line)을 기존의 중형 금형 및 부직포 대신 PET 펠트 등 플라스틱 소재의 펠트를 이용하여 형성함으로써, 이경도 패드의 분리를 방지하고 인체에 전달되는 차량진동을 감쇄하는 이경도 패드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팅 라인을 PET 펠트 등 플라스틱 소재의 펠트를 적용함으로써, 이경도 패드 제조시 금형을 단순화하여 작업속도를 향상시키며 저렴한 제조비용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이경도 패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인체의 착석을 위해 형성되는 소프트 패드(Soft Pad); 상기 소프트패드의 하부에 형성되어 소프트 패드를 지지하는 하드 패드(Hard Pad); 및 상기 소프트 패드와 하드 패드 사이에서 형성되는 파팅 라인 펠트(Parting Line Felt);를 포함하되, 상기 소프트 패드는, 인체의 대퇴부 및 허벅지가 접촉하는 면을 상기 하드 패드보다 경도가 낮은 물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소프트 패드(Soft Pad)는, 인체의 허벅지의 측면을 지지하는 볼스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볼스터부는 상기 하드 패드보다 경도가 낮은 물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파팅 라인 펠트(Parting Line Felt)는 PET(Polyethyleneterephthalate)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파팅 라인 펠트(Parting Line Felt)는, 그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hole)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파팅 라인 펠트(Parting Line Felt)는, 그 양측면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L'자 형상의 날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타측면에 의하면, 소프트 패드를 성형하기 위한 하형의 상부에 소프트 패드 발포용 용액을 주입하는 단계; 상기 하형의 상부를 커버하는 파팅 라인 펠트를 장착하는 단계; 상기 파팅 라인 펠트 상에 하드패드 발포용 용액을 주입하는 단계; 상기 파팅 라인 펠트의 상부에 하드 패드를 성형하기 위한 상형을 장착하는 단계; 상기 하형과 상형이 구비하는 온수파이프를 통해 온수가 공급되어 상기 소프트 패드 발포용 용액 및 하드 패드 발포용 용액이 동시에 발포하는 단계; 및 상기 소프트 패드 발포용 용액 및 하드 패드 발포용 용액의 발포완료 후 상형 또는 하형을 분리하고 일체화된 소프트 패드, 파팅 라인 펠트 및 하드 패드를 탈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에 의하면, 인체가 접촉되는 전 영역을 소프트 패드로 구성함에 따라 시트의 안락감이 보장되고, 상기 소프트 패드를 지지하는 하드 패드를 소프트 패드보다 경도가 높은 물질로 형성하여 전체 시트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파팅 라인을 기존의 중형 금형 및 부직포 대신 PET 펠트 등 플라스틱 소재의 펠트를 이용하여 형성함으로써, 이경도 패드의 분리를 방지하고 인체에 전달되는 차량진동을 감쇄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서, 이경도 패드의 제조시 금형을 단순화하여 작업속도를 향상시키며 저렴한 제조비용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의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g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를 제조하는 순서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단계별 제조순서도.
도 2h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팅 라인 펠트의 일예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볼스터 이경도 패드 및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면 이경도 패드의 정하중 분석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의 단면도.
도 4b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의 제조방법의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는, 인체의 착석을 위해 형성되는 소프트 패드(Soft Pad)(110), 상기 소프트패드의 하부에 형성되어 소프트 패드를 지지하는 하드 패드(Hard Pad)(120) 및 상기 소프트 패드와 하드 패드 사이에서 형성되는 파팅 라인 펠트(Parting Line Felt)(130)를 포함하되, 상기 소프트 패드는, 인체의 대퇴부 및 허벅지가 접촉하는 면을 상기 하드 패드보다 경도가 낮은 물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소프트 패드(110)는, 인체의 허벅지의 측면을 지지하는 볼스터부(14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볼스터부(140)는 상기 하드 패드(120)보다 경도가 낮은 물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는, 인체의 대퇴부 및 허벅지가 접촉하는 면을 유연한 경도를 가진 소프트 패드(110)로 구성하여 탑승자에 안락감을 부여하고, 상부의 소프트 패드(110)를 지지하는 하드 패드(120)를 단단한 경도를 가진 물질로 형성하여 시트의 내구성을 보장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파팅 라인 펠트(130)는, 종래의 부직포 대신 PET(Polyethyleneterephthalate)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파팅 라인(이경도 경계부)에 금형을 복잡하게 만드는 중형 금형 및 부직포 적용 대신 PET 펠트 소재 부품의 적용으로, 금형을 단순화하여 제조작업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파팅 라인 펠트(130)는 페달조작시 인체의 대퇴부가 접촉되는 면(110)과 차량 승하강시 인체의 허벅지가 접촉되는 볼스터부(140)에, 유연한 경도를 가진 소프트 패드가 적용될 수 있도록 적절한 모양과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파팅 라인 펠트(130)는, 그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hole)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는 패드 용액 발포시 소프트 패드 용액과 하드 패드 용액의 믹싱으로 인한 이경도 패드간, 즉 소프트 패드(110) 및 하드 패드(120)간 결합력을 강화하여 시트로 전달되는 차량진동을 감쇄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파팅 라인 펠트(130)는, 그 양측면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L'자 형상의 날개부를 구비할 수 있는데, 이는 제조공정에서 패드 용액 발포 후 탈거를 용이하게 하여 작업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도 2a 내지 도 2g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를 제조하는 순서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단계별 제조순서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소프트 패드를 성형하기 위한 하형(210)에 소프트 패드 발포용 용액(220)을 주입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소프트 패드 발포용 용액(220)은,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염화비닐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기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우레탄 폼으로 소프트 패드를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우레탄 폼은 폴리에테르 폴리올(polyether polyol)과 같은 하이드록실(hydroxyl)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의 중합반응을 거쳐 생성되며, 폴리이소시아네이트(polyisocyanate)와 폴리올(polyol)과의 부가 반응에 의한 우레탄 결합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다만, 소프트 패드 발포용 용액(220)의 기재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발명의 필요에 따라 유연한 경도를 부여할 수 있는 기재라면 어떠한 물질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소프트 패드 발포용 용액을 주입시킨 하형(210)의 상부에 파팅 라인 펠트(230)를 장착시키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파팅 라인 펠트(230)는 PET 펠트 일 수 있으며, 제조공정의 단순화, 편의성을 위해 그 내부에 홀(hole) 및 양측면에 'L'자형 날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하형(210)의 상부에 장착된 파팅 라인 펠트(230) 상에 하드 패드 발포용 용액(220)을 주입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하드 패드 발포용 용액(220)은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염화비닐 등의 기재보다 단단한 경도를 제공할 수 있는 기재라면 어떠한 공지의 기재라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d를 참조하면, 하드 패드 발포용 용액이 주입된 파팅 라인 펠트(230)의 상부에 하드 패드를 성형하기 위한 상형(240)을 장착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2e를 참조하면, 상형(240)과 하형(210)을 장착한 후, 온수파이프(270)를 통해 온수를 공급하여 패드 발포용 용액을 발포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 때, 파팅 라인 펠트(230)가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hole)에 의해, 소프트 패드 발포용 용액과 하드 패드 발포용 용액이 믹싱되면서 소프트 패드(250)와 하드 패드(260)의 결합력이 공고해질 수 있다.
도 2f를 참조하면, 상형(240)과 하형(210)사이에 소프트 패드(250) 및 하드 패드(260)의 발포가 완료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2g를 참조하면, 상형(240)과 하형(210)을 탈거한 이경도 패드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상형(240)의 탈거는 파팅 라인 펠트(230)의 날개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다.
도 2h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팅 라인 펠트의 일예시도이다.
상기 파팅 라인 펠트(230)는 인체가 접촉하는 모든 부위에 소프트 패드가 적용가능하도록 그 모양 및 형태를 변형하여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대로, 파팅 라인 펠트(230)가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230)은, 소프트 패드 발포용 용액과 하드 패드 발포용 용액이 믹싱되면서 자연경계면을 형성함과 더불어 소프트 패드와 하드 패드의 결합력을 강화하여 패드로 전달되는 차량진동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그리고, 파팅 라인 펠트(230)의 양 측면에 구비되는 'L'자형 날개부는 패드 용액 발포 후 상형의 탈거를 용이하게 하여 작업의 편의성 및 신속성을 담보할 수 있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볼스터 이경도 패드 및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면 이경도 패드의 정하중 분석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도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기존의 볼스터 이경도 패드 및 본 발명의 전면 이경도 패드는 10 kgf 내지 20kgf 구간에서 그 기울기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 3의 (b)를 참조하면, 0 내지 10kgf의 구간에서는 본 발명의 전면 이경도 패드가 기존의 볼스터 이경도 패드에 비해 기울기가 완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전면 이경도 패드가 기존의 볼스터 이경도 패드에 비해, 패드의 변형양이 크고 기울기가 완만하게 변화하여 시트의 초기 안락감의 면에서 유리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4b의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i) 3차원 형상의 부직포(280) 적용이 불가능하여 쿠션 앞쪽/측면에 소프트 패드의 적용이 어려운 점이 있었고, ii) 부직포 장착 중형이 있어야 하며 부직포 고정용 상형/하형 보스가 필요하여 금형이 복잡하며, iii) 물성이 다른 상층패드/부직포/ 하층패드 간 내구마찰로 패드 분리가능성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비해 도 4a의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시트용 전면 이경도 패드에 의하면, i) 3차원 형상의 파팅 라인 펠트(230)로 패드의 상층/하층 분리가 가능하여 쿠션 앞쪽 및 측면에 소프트 패드의 적용이 가능하고, ii) 미리 성형되거나 사출된 PET 펠트를 상형과 하형 사이에 장착하므로 별도의 중형이 필요 없어 금형 단순하며, iii) 상하 이중발포시 파팅라인 펠트(230)가 스크린 기능을 하는 것이 가능하며, iv) 파팅 라인 펠트(230)의 홀을 통해 물성이 유사한 상층/하층패드간 화학적 결합으로 패드 분리가능성 낮아 차량진동 감쇄 및 패드 강성보완할 수 있게 되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먼저, 소프트 패드를 성형하기 위한 하형의 상부에 소프트 패드 발포용 용액을 주입하는 단계를 거친다(S51).
이후, 상기 하형의 상부를 커버하는 파팅 라인 펠트를 장착하게 되는데(S52), 상기 파팅 라인 펠트는 패드 용액의 이중발포시 각각의 패드 용액이 섞이지 않도록 스크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파팅 라인 펠트 상에 하드패드 발포용 용액을 주입하는 단계를 거치게 되고(S53), 상기 파팅 라인 펠트의 상부에 하드 패드를 성형하기 위한 상형을 장착하는 단계(S54)를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상형과 하형의 장착이 완료되면, 상기 하형과 상형이 구비하는 온수파이프를 통해 온수가 공급되어 상기 소프트 패드 발포용 용액 및 하드 패드 발포용 용액이 동시에 발포되게 된다(S55).
이 때, 파팅 라인 펠트의 홀을 통해 상기 소프트 패드 발포용 용액 및 하드 패드 발포용 용액이 믹싱되면서 소프트 패드와 하드 패드의 결합이 공고하게 된다.
이후, 각각의 패드 발포용 용액의 발포완료 후 상형 또는 하형을 분리하고 일체화된 소프트 패드, 파팅 라인 펠트 및 하드 패드를 탈거하는 단계를 거치면(S56), 본 발명의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의 제조가 완료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10, 250: 소프트 패드
110': 인체의 대퇴부와 접촉하는 영역
120, 260: 하드 패드
130, 230: 파팅 라인 펠트
230': 홀
140: 볼스터부
210: 하형
220: 소프트 패드용 발포용액
220': 하드 패드용 발포용액
240: 상형
270: 온수관
270': 볼스터부
280: 부직포

Claims (6)

  1. 인체의 착석을 위해 형성되는 소프트 패드(Soft Pad);
    상기 소프트패드의 하부에 형성되어 소프트 패드를 지지하는 하드 패드(Hard Pad); 및
    상기 소프트 패드와 하드 패드 사이에서 형성되는 파팅 라인 펠트(Parting Line Felt);를 포함하되,
    상기 소프트 패드는, 인체의 대퇴부 및 허벅지가 접촉하는 면을 상기 하드 패드보다 경도가 낮은 물질로 형성하고,
    상기 파팅 라인 펠트(Parting Line Felt)는, 그 양측면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L'자 형상의 날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패드(Soft Pad)는,
    인체의 허벅지의 측면을 지지하는 볼스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볼스터부는 상기 하드 패드보다 경도가 낮은 물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팅 라인 펠트(Parting Line Felt)는,
    PET(Polyethyleneterephthalate)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
  4.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파팅 라인 펠트(Parting Line Felt)는,
    그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hole)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
  5. 삭제
  6. 소프트 패드를 성형하기 위한 하형의 상부에 소프트 패드 발포용 용액을 주입하는 단계;
    상기 하형의 상부를 커버하는 파팅 라인 펠트를 장착하는 단계;
    상기 파팅 라인 펠트 상에 하드패드 발포용 용액을 주입하는 단계;
    상기 파팅 라인 펠트의 상부에 하드 패드를 성형하기 위한 상형을 장착하는 단계;
    상기 하형과 상형이 구비하는 온수파이프를 통해 온수가 공급되어 상기 소프트 패드 발포용 용액 및 하드 패드 발포용 용액이 동시에 발포하는 단계; 및
    상기 소프트 패드 발포용 용액 및 하드 패드 발포용 용액의 발포완료 후 상형 또는 하형을 분리하고 일체화된 소프트 패드, 파팅 라인 펠트 및 하드 패드를 탈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의 제조방법.
KR1020110091254A 2011-09-08 2011-09-08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 KR101738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254A KR101738021B1 (ko) 2011-09-08 2011-09-08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254A KR101738021B1 (ko) 2011-09-08 2011-09-08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799A KR20130027799A (ko) 2013-03-18
KR101738021B1 true KR101738021B1 (ko) 2017-05-19

Family

ID=48178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254A KR101738021B1 (ko) 2011-09-08 2011-09-08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0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706B1 (ko) * 2013-07-12 2014-11-12 (주)케이엠앤아이 차량 시트용 상하 이경도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79425B1 (ko) 2014-01-02 2015-12-22 대원산업 주식회사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 제조장치
DE102017113098A1 (de) * 2017-06-14 2018-12-20 Proseat Gmbh & Co. Kg Polsterteil eines Fahrzeugsitzes mit einem umschäumten 3D-Formvlies zur Versteifung einer Seitenwange
KR102324763B1 (ko) 2017-06-27 2021-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시트용 폼패드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7339A (ja) * 2003-09-12 2005-04-07 Inoac Corp シート用パ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087338A (ja) 2003-09-12 2005-04-07 Inoac Corp シート用パ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177171A (ja) * 2003-12-19 2005-07-07 Inoac Corp シートパッ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7339A (ja) * 2003-09-12 2005-04-07 Inoac Corp シート用パ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087338A (ja) 2003-09-12 2005-04-07 Inoac Corp シート用パ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177171A (ja) * 2003-12-19 2005-07-07 Inoac Corp シートパ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7799A (ko) 2013-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5411B2 (ja) 車両用シートのクッションパッド
KR101738021B1 (ko)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
CN107073866B (zh) 用于小型多功能车辆的主底板部
CN101966826A (zh) 交通工具座椅框架、组件和制造方法
CN102348577B (zh) 车辆座垫
CN104340099A (zh) 座椅缓冲垫
US20170113587A1 (en) Pad
JP2019201955A (ja) シートパッド
JP5649392B2 (ja) シートクッション構造
JPWO2018211744A1 (ja) 発泡成形体
JP2019201954A (ja) シートパッド
JP5242088B2 (ja) 自動車用座席のクッション
JP2014205490A (ja) シートクッションパッド
KR101579425B1 (ko) 차량 시트용 이경도 패드 제조장치
JP2003153773A (ja) クッション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01646A (ko) 차량 시트용 슬림 폼패드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제작된 차량 시트용 슬림 폼패드
JP6046816B2 (ja) シートクッション
JP2011110089A (ja) 車両用シートクッション
JP2007106253A (ja) 着座センサ付き座席
JP5529560B2 (ja) シートパッド及びシート
JP2001238752A (ja) 自動車用シートパッド、該シートパッドを備えた自動車用シート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KR20150146207A (ko)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금형 및 이를 이용한 이경도 시트패드 제조방법
JP7189524B2 (ja) シート用パッドおよび座席シート
JP2019088385A (ja) 乗物用シートパッド
JP5323434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