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018B1 - 시트용 폼패드 성형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용 폼패드 성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3018B1
KR101173018B1 KR1020100037156A KR20100037156A KR101173018B1 KR 101173018 B1 KR101173018 B1 KR 101173018B1 KR 1020100037156 A KR1020100037156 A KR 1020100037156A KR 20100037156 A KR20100037156 A KR 20100037156A KR 101173018 B1 KR101173018 B1 KR 101173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pad
blocking
blocking wall
upper mold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7759A (ko
Inventor
서상호
박재영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00037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3018B1/ko
Publication of KR20110117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7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44/1219Foaming between a movable mould part and the preformed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8Moulds
    • B29C44/583Moulds for making articles with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58Upholstery or cushions, e.g. vehicle upholstery or interior pad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시트용 폼패드의 폼패드 벨크로의 안착부로의 발포액의 침투가 방지되도록 하여 시트용 폼패드의 불량률이 감소되도록 하고, 시트 커버와 시트용 폼패드 간의 부착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시트용 폼패드 성형 장치가 소개된다.
이러한 시트용 폼패드 성형 장치는 내측에 자성체가 마련된 상부 금형(100)과, 상기 상부 금형(100)과 합형되어 캐비티를 형성하는 하부 금형(200)과, 후크(330)가 고정된 안착부(310)와, 후크(330)의 둘레에서 안착부(310)로부터 상방향 연장된 차단벽(320)을 구비하는 폼패드 벨크로(300)[여기서, 적어도 차단벽(320)은 자성체에 부착 가능하도록 철 성분을 함유함]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벽(320)은 상기 폼패드 벨크로(300)의 외곽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복수 개 배치되고, 복수 개의 차단벽(320) 중 적어도 두 개는 단차가 생기도록 다른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금형(100)은 상기 단차에 상응하는 형상의 돌출부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트용 폼패드 성형 장치{APPARATUS FOR FORMING FORM PAD OF SEAT}
본 발명은 시트용 폼패드 성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시트의 시트백과 시트쿠션을 이루는 시트용 폼패드를 성형하기 위한 시트용 폼패드 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트의 시트백이나 시트쿠션은 폼패드에 마감용 시트커버가 씌워진 구조를 갖는다. 제품 제조시 말착을 위해 시트커버는 폼패드에 부분적으로 부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시트 커버(C)를 시트용 폼패드(P)에 부착할 경우, 시트용 폼패드(P)의 후크 홈(H)에 위치한 폼패드 벨크로(30)에 시트 커버(C)에 부착된 시트커버 벨크로(B)을 결합하여 시트용 폼패드(P)에 시트 커버(C)가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시트용 폼패드(P)를 발포 성형할 때 상기 폼패드 벨크로(30)는 발포액(F)이 주입되는 금형(10)의 캐비티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인서트 성형된다. 캐비티 내 폼패드 벨크로(30)는 상부 금형(10) 내측면에 설치된 자력 고정수단(40)에 의해 고정되는데, 자력 고정수단(40)에 부착될 수 있도록 폼패드 벨크로(30)에는 철 성분이 포함된다.
상기 폼패드 벨크로(30)는 철 성분을 함유하는 하우징(34) 내에 벨크로용 후크(330)가 수용된 구조를 갖는다. 하우징(34)은 후크(330)가 놓여지는 수평 패널 형태의 안착부(31)와 후크(330) 주변을 둘러싸는 차단벽(32)을 포함하며, 차단벽(32)은 안착부(31)로부터 상방향 연장되어 그 선단이 자력 고정수단(40)에 부착된다. 차단벽(32)은 자력 고정수단(40)에 부착되어 폼패드(P) 성형 과정 중 후크(330)측으로의 발포액(F) 유입을 차단하며, 폼패드(P) 성형 후 상부 금형(10)과 함께 자력 고정수단(40)이 차단벽(32)으로부터 떼어지면 하우징(34) 내의 후크(330)는 그대로 외부로 노출된다. 이 후크(330)에 시트커버(C)의 시트커버 벨크로(B)가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차단벽(32)은 비록 다수 개로 형성되지만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이 차단벽(32)과 맞닿는 자력 고정수단(40)의 접촉면은 평탄한 면이기에 발포 성헝시 차단벽(32)과 상부 금형(10) 사이의 틈을 따라 발포액(F)이 침투하여, 도 1의 네모 박스(점선)로 표시된 것처럼, 폼패드 벨크로(30)의 후크(330)에 고착되는 불량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처럼 발포액(F)이 폼패드 벨크로(30)의 후크(330)에 고착되는 불량품의 경우 시트커버(C)와 시트용 폼패드(P) 간의 부착 작업을 어렵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
이상,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반드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폼패드 벨크로의 차단벽들을 단차가 생기도록 다른 높이로 형성하고, 상부 금형을 차단벽의 단차에 상응하는 형상의 돌출부를 갖도록 형성하여 폼패드 벨크로의 안착부로의 발포액의 침투를 방지함으로써, 시트용 폼패드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고 시트 커버와 시트용 폼패드 간의 부착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는 시트용 폼패드 성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폼패드 벨크로의 차단벽과 안착부에 의해 단차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부 금형을 이러한 단차에 상응하는 형상의 돌출부를 갖도록 형성하여 폼패드 벨크로의 안착부로의 발포액의 침투를 방지함으로써, 시트용 폼패드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고 시트 커버와 시트용 폼패드 간의 부착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는 시트용 폼패드 성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용 폼패드 성형 장치는, 내측에 자성체가 마련된 상부 금형와, 상기 상부 금형과 합형되어 캐비티를 형성하는 하부 금형과, 후크가 고정된 안착부와, 후크의 둘레에서 안착부로부터 상방향 연장된 차단벽을 구비하는 폼패드 벨크로(여기서, 적어도 차단벽은 자성체에 부착 가능하도록 철 성분을 함유함)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벽은 상기 폼패드 벨크로의 외곽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복수 개 배치되고, 복수 개의 차단벽 중 적어도 두 개는 단차가 생기도록 다른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금형은 상기 단차에 상응하는 형상의 돌출부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벽은 상기 안착부의 둘레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차단벽과, 이 제 1 차단벽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차단벽보다 더 큰 높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 차단벽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금형은 상기 제 1 차단벽과 제 2 차단벽에 의한 단차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계단형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벽은 상기 안착부의 둘레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차단벽과, 이 제 1 차단벽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차단벽보다 더 큰 높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 차단벽과, 상기 제 2 차단벽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차단벽보다 더 작은 높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 3 차단벽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금형은 상기 제 1 차단벽 내지 제 3 차단벽에 의한 단차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오목 요철형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용 폼패드 성형 장치는, 내측에 자성체가 마련된 상부 금형과, 상기 상부 금형과 합형되어 캐비티를 형성하는 하부 금형과, 후크가 고정된 안착부와, 후크의 둘레에서 안착부로부터 상방향 연장된 차단벽을 구비하는 폼패드 벨크로(여기서, 적어도 차단벽은 자성체에 부착 가능하도록 철 성분을 함유함)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벽은 상기 안착부의 둘레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차단벽과, 상기 제 1 차단벽과의 사이에 일정 크기의 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 1 차단벽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 1 차단벽의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 2 차단벽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금형은 상기 제 1,2 차단벽과 홈에 의한 단차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볼록 요철형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시트용 폼패드 성형 장치에 따르면, 폼패드 벨크로의 차단벽들이 단차가 생기도록 다른 높이로 형성되고, 상부 금형이 차단벽의 단차에 상응하는 형상의 돌출부를 갖도록 형성되어 폼패드 벨크로의 안착부로의 발포액의 침투가 방지됨으로써, 시트용 폼패드의 불량률이 감소될 수 있고, 시트 커버와 시트용 폼패드 간의 부착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폼패드 벨크로의 차단벽과 안착부에 의해 단차가 형성되고, 상부 금형이 이러한 단차에 상응하는 형상의 돌출부를 갖도록 형성되어 폼패드 벨크로의 안착부로의 발포액의 침투가 방지됨으로써, 시트용 폼패드의 불량률이 감소될 수 있고, 시트 커버와 시트용 폼패드 간의 부착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차량의 시트 및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시트용 폼패드 성형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용 폼패드 성형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용 폼패드 성형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용 폼패드 성형 장치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용 폼패드 성형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용 폼패드 성형 장치는 상,하부 금형(100,200)과, 폼패드 벨크로(300)를 포함한다.
상기 상,하부 금형(100,200)은 발포액(F)을 수용할 수 있는 캐비티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상부 금형(100)은 영구 자석 또는 전자석인 자성체를 그 내측에 구비한다. 또한, 상기 상부 금형(100)의 내측면에는 돌출부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돌출부와 상부 금형(1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상부 금형(100)의 내측면에 함입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 자체가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폼패드 벨크로(300)를 캐비티 내부에 고정하는 자성체의 기능도 겸하게 된다.
상기 폼패드 벨크로(300)는 철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서 상기 캐비티 내에서 상부 금형(100)에 구비된 자성체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되고, 이 상태에서 캐비티 내부로 발포액(F)이 채워진 뒤, 발포액(F)이 굳어져 시트용 폼패드로 성형될 때, 시트용 폼패드와 일체로 성형된다.
여기서, 상기 폼패드 벨크로(300)는 철 성분을 함유하는 하우징(340) 내에 벨크로용 후크(330)가 수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하우징(340)은 후크(330)가 고정된 수평 패널 형태의 안착부(310)와, 후크(330) 둘레에 형성되어 후크(330)까지 발포액(F)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폼패드 벨크로(300)의 외곽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복수 개 배치는 다수의 차단벽(3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차단벽(320) 중 적어도 두개는 단차가 생기도록 다른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상기 상부 금형(100)에도 상기 단차에 상응하는 형상의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차단벽(320)과 상부 금형(100)에 설치된 돌출부의 형상에 대한 일 실시예가 도 3에 도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차단벽(320)은 상기 후크(330)의 둘레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차단벽(321)과, 이 제 1 차단벽(321)의 좌우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차단벽(321)보다 더 큰 높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 차단벽(322)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금형(100)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 1 차단벽(321)과 제 2 차단벽(322)에 의한 단차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계단형 돌출부(110)가 구비된다.
한편, 도 4는 상기 차단벽(320)과 상부 금형(100)에 설치된 돌출부의 형상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차단벽(320)은 상기 후크(330)의 둘레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차단벽(321)과, 이 제 1 차단벽(321)의 좌우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차단벽(321)보다 더 큰 높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 차단벽(322)과, 상기 제 2 차단벽(322)의 좌우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차단벽(322)보다 더 작은 높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 3 차단벽(323)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금형(100)에는 상기 제 1 차단벽(321) 내지 제 3 차단벽(323)에 의한 단차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오목 요철형 돌출부(120)가 구비된다.
이처럼 단차가 생기도록 형성된 차단벽(320)과, 이러한 차단벽(320)에 의한 단차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차단벽(320)에 밀착되는 계단형 돌출부(110) 또는 오목 요철형 돌출부(120)가 구비된 상부 금형(100)으로 조합된 구조는 발포 성형시 발포액(F)이 차단벽(320)과 상부 금형(100)사이의 틈을 따라 상기 폼패드 벨크로(300)의 안착부(310)로 침투하는 경로를 길고 복잡하게 만들어 일정의 점성을 가진 발포액(F)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제한함으로써, 폼패드 벨크로(300)의 안착부(310)에 위치된 후크(330)까지 발포액(F)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발포 성형되는 시트용 폼패드(P)의 불량률이 감소될 수 있게 되고, 시트 커버와 시트용 폼패드 간의 부착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용 폼패드 성형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용 폼패드 성형 장치의 구성 및 각 구성의 기능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기에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용 폼패드 성형 장치는 폼패드 벨크로(300)의 형상과 상부 금형(10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돌출부의 형상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차이점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용 폼패드 성형 장치는 내측에 자성체가 마련된 상부 금형(100)과, 상기 상부 금형(100)과 합형되어 캐비티를 형성하는 하부 금형(200)과, 후크(330)가 고정된 안착부(310)와, 후크(330)의 둘레에서 안착부(310)로부터 상방향 연장된 차단벽(350)을 구비하는 폼패드 벨크로(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폼패드 벨크로(300)는 철 성분을 함유하는 하우징(360) 내에 벨크로용 후크(330)가 수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하우징(360)은 후크(330)가 고정된 수평 패널 형태의 안착부(310)와, 후크(330) 둘레에 형성되어 후크(330)까지 발포액(F)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는 다수의 차단벽(350)을 포함한다.
상기 차단벽(350)은 상기 후크(330)의 둘레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차단벽(351)과, 상기 제 1 차단벽(351)과의 사이에 일정 크기의 홈(370)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 1 차단벽(351)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 1 차단벽(351)의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 2 차단벽(352)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금형(100)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 1,2 차단벽(351,352)과 홈(370)에 의한 단차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볼록 요철형 돌출부(130)가 구비된다.
이처럼 폼패드 벨크로(300)의 차단벽(350)과 홈(370)에 의해 형성된 단차와, 이러한 단차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차단벽(320)에 밀착되는 볼록 요철형 돌출부(130)가 구비된 상부 금형(100)으로 조합된 구조는 발포 성형시 발포액(F)이 차단벽(350)과 상부 금형(100)사이의 틈을 따라 상기 폼패드 벨크로(300)의 안착부(310)로 침투하는 경로를 길고 복잡하게 만들어 일정의 점성을 가진 발포액(F)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제한함으로써, 폼패드 벨크로(300)의 안착부(310)에 위치된 후크(330)까지 발포액(F)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발포 성형되는 시트용 폼패드(P)의 불량률이 감소될 수 있게 되고, 시트 커버와 시트용 폼패드 간의 부착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100 : 상부 금형 200 : 하부 금형
300 : 폼패드 벨크로 110 : 계단형 돌출부
120 : 오목 요철형 돌출부 130 : 볼록 요철형 돌출부
310 : 안착부 320 : 차단벽
321 : 제 1 차단벽 322 : 제 2 차단벽
323 : 제 3 차단벽 B : 시트커버 벨크로

Claims (4)

  1. 내측에 자성체가 마련된 상부 금형(100);
    상기 상부 금형(100)과 합형되어 캐비티를 형성하는 하부 금형(200);
    후크(330)가 고정된 안착부(310)와, 후크(330)의 둘레에서 안착부(310)로부터 상방향 연장된 차단벽(320)을 구비하는 폼패드 벨크로(300), 여기서, 적어도 차단벽(320)은 자성체에 부착 가능하도록 철 성분을 함유함;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벽(320)은 상기 폼패드 벨크로(300)의 외곽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복수 개 배치되고, 복수 개의 차단벽(320) 중 적어도 두 개는 단차가 생기도록 다른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금형(100)은 상기 단차에 상응하는 형상의 돌출부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폼패드 성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320)은 상기 안착부(310)의 둘레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차단벽(321)과, 이 제 1 차단벽(321)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차단벽(321)보다 더 큰 높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 차단벽(322)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금형(100)은 상기 제 1 차단벽(321)과 제 2 차단벽(322)에 의한 단차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계단형 돌출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폼패드 성형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320)은 상기 안착부(310)의 둘레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차단벽(321)과, 이 제 1 차단벽(321)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차단벽(321)보다 더 큰 높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 차단벽(322)과, 상기 제 2 차단벽(322)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 2 차단벽(322)보다 더 작은 높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 3 차단벽(323)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금형(100)은 상기 제 1 차단벽(321) 내지 제 3 차단벽(323)에 의한 단차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오목 요철형 돌출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폼패드 성형 장치.
  4. 내측에 자성체가 마련된 상부 금형(100);
    상기 상부 금형(100)과 합형되어 캐비티를 형성하는 하부 금형(200);
    후크(330)가 고정된 안착부(310)와, 후크(330)의 둘레에서 안착부(310)로부터 상방향 연장된 차단벽(350)을 구비하는 폼패드 벨크로(300), 여기서, 적어도 차단벽(350)은 자성체에 부착 가능하도록 철 성분을 함유함;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벽(350)은 상기 안착부(310)의 둘레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차단벽(351)과, 상기 제 1 차단벽(351)과의 사이에 일정 크기의 홈(370)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 1 차단벽(351)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 1 차단벽(351)의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 2 차단벽(352)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금형(100)은 상기 제 1,2 차단벽(351,352)과 홈(370)에 의한 단차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볼록 요철형 돌출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시트용 폼패드 성형 장치.
KR1020100037156A 2010-04-22 2010-04-22 시트용 폼패드 성형 장치 KR101173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156A KR101173018B1 (ko) 2010-04-22 2010-04-22 시트용 폼패드 성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156A KR101173018B1 (ko) 2010-04-22 2010-04-22 시트용 폼패드 성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759A KR20110117759A (ko) 2011-10-28
KR101173018B1 true KR101173018B1 (ko) 2012-08-10

Family

ID=45031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7156A KR101173018B1 (ko) 2010-04-22 2010-04-22 시트용 폼패드 성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30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393A (ko) 2014-12-31 2016-07-08 (주)대륜엠유씨 폼패드 성형용 폼패드 금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044B1 (ko) 2003-07-15 2005-03-14 (주)현대공업 차량용 의자의 시트패드용 벨크로테이프 및 시트패드 금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044B1 (ko) 2003-07-15 2005-03-14 (주)현대공업 차량용 의자의 시트패드용 벨크로테이프 및 시트패드 금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393A (ko) 2014-12-31 2016-07-08 (주)대륜엠유씨 폼패드 성형용 폼패드 금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759A (ko) 201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2880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at pad
US10099409B2 (en) Mold, method for manufacturing molded foam body, and molded foam body
US10710471B2 (en) Method and foam die for manufacturing seat cushion material
WO2014054299A1 (ja) シート用バック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50021804A1 (en) Mold, method for manufacturing molded foam body, and molded foam body
KR101173018B1 (ko) 시트용 폼패드 성형 장치
JP2009112582A (ja) 車両用シート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168446A (ja) クッションパッドの成形方法及びクッションパッドの発泡成形型
US7947356B2 (en) Molded foam and mold
JP6220262B2 (ja) シートパッドの製造方法および成形型
JP5847532B2 (ja) クッションパッドの製造方法及び発泡成形型
JP6436651B2 (ja) 便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4899739B2 (ja) 発泡形成型及びシート用パッドの製造方法
JP7166041B2 (ja) 車両用シートパ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0124368A (ja) 車両用クッション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7249295B2 (ja) シートカバーの取付構造
JP7438415B2 (ja) 車両用クッション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232523A (ja) 車両用内装品の製造方法
JP2010187996A (ja) シートパッド
JP2005289004A (ja) 発泡成形用金型
JP7269751B2 (ja) シートパ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成形型
JP2007098776A (ja) シート用パッドの成形型及び製造方法
JP2005313388A (ja) シート用パッドの製造方法
US20180290352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at cushion material
KR101195826B1 (ko) 파노라마선루프 금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