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1393A - 폼패드 성형용 폼패드 금형 - Google Patents

폼패드 성형용 폼패드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1393A
KR20160081393A KR1020140195166A KR20140195166A KR20160081393A KR 20160081393 A KR20160081393 A KR 20160081393A KR 1020140195166 A KR1020140195166 A KR 1020140195166A KR 20140195166 A KR20140195166 A KR 20140195166A KR 20160081393 A KR20160081393 A KR 20160081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foam pad
frame
fixing block
velcro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사홍
Original Assignee
(주)대륜엠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륜엠유씨 filed Critical (주)대륜엠유씨
Priority to KR1020140195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1393A/ko
Publication of KR20160081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3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8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2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4/3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linings, inserts or reinforcements

Landscapes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커버를 부착하기 위한 폼패드에 숫벨크로테이프를 안전하고 양호하게 부착하면서 통금형 구조를 개선하여 안착프레임이 고정블럭을 통하여 통금형에 견고하고 안전하게 설치가 될 수 있으면서 폼패드성형작업이 경제적이면서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폼패드성형용 폼패드금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캐비트가 형성되는 통금형(50)과, 상기 통금형(50)의 내면에 설치하고 상부가 개방된 공간부(48)에 마그네틱(42)이 부착되어 있는 안착프레임(40)과, 상기 안착프레임(40)의 양단에 결합되고 관통된 체결공(62)을 가지는 고정블럭(60)과, 상기 안착프레임(40)의 공간부(48)에 내장된 마그네틱(42)에 의해 접착이 가능하도록 철가루가 함유된 패드(34)에 후크가 고정되어 있는 숫벨크로테이프(30)를 포함하며, 상기 숫벨크로테이프(40) 후면에는 우레탄수지가 통금형에 주입발포되어 폼패드가 성형될 때 우레탄수지가 스며드는 부직포(44)가 적층되어 상기 안착프레임(40)에 수용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폼패드성형용 폼패드금형{Mold for molding foam pad}
본 발명은 폼패드성형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커버를 부착하기 위한 폼패드에 숫벨크로테이프를 안전하고 양호하게 부착하면서 통금형 구조를 개선하여 안착프레임이 고정블럭을 통하여 통금형에 견고하고 안전하게 설치가 될 수 있으면서 폼패드성형작업이 경제적이면서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폼패드성형용 폼패드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레탄수지를 금형에 주입발포시켜 폼패드를 만들었다. 이러한 폼패드에 마감용시트커버를 씌워서 시트백이나 시트쿠션을 완성하고 있다.
종래에는 시트패드 성형시 시트커버를 부착하기 위해서 벨크로테이프를 이용해 시트커버를 시트패드에 고정하게 되었다.
즉, 시트패드 성형시 금형에 설치된 프레임에 와이어, 온크립 벨크로테이프등 를 넣고 우레탄수지를 주입발포시켜 벨크로테이프가 고정된 시트패드를 성형하였으나,
우레탄수지가 벨크로테이프의 후크기판 후면에 잘 접착되지 않아 우레탄수지가 발포성형된후 벨크로테이프가 시트패드에 단단하게 고정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시트커버의 재봉부의 곡선이 굴곡이 많은 경우 그 재봉부에 대응되게 하부금형에 설치된 프레임에 숫놈벨크로 테이프를 삽입하면 숫놈벨크로테이프 일부가 들뜨거나 뒤틀려져 제자리를 잡지 못해 우레탄수지를 금형에 주입발포하여 시트패드를 제작할 때 불량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상부와 하부금형으로 형성되는 캐비트에 발포 성헝시 발포액이 침투하여, 폼패드에 부착되는 벨크로의 후크에 발포액이 고착되어 제품의 불량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처럼 발포액이 폼패드 벨크로의 후크에 고착되는 불량품의 경우 시트커버와 시트용 폼패드 간의 부착 작업을 어렵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
이상,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반드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아니 될 것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55473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73018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34929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통금형에 설치되는 안착프레임의 양단에 배치되는 고정블럭을 안착프레임과 간편하고 용이하게 결합함과 동시에 통금형과 견고하고 안정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통금형과 안착프레임의 결합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폼패드성형용 폼패드금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통금형과 안착프레임을 안착프레임의 양단에 결합되는 고정블럭에 의하여 견고하게 조립 고정할 수 있고, 안착프레임의 오목안착홈 내에 마그네틱을 부착함과 동시에 자력을 가지는 벨크로가 수용되는 안착부를 형성하여서 상,하금형으로 합형된 캐비트에 우레탄수지를 주입 발포하면 불량됨이 없이 폼패드와 일체로 벨크로가 부착되어서 양호하고 안전한 폼패드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한 폼패드성형용 폼패드금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캐비트가 형성되는 통금형과, 상기 통금형의 내면에 설치하고 상부가 개방된 공간부에 마그네틱이 부착되어 있는 안착프레임과, 상기 안착프레임의 양단에 결합되고 관통된 체결공을 가지는 고정블럭과, 상기 안착프레임의 공간부에 내장된 마그네틱에 의해 접착이 가능하도록 철가루가 함유된 패드에 후크가 고정되어 있는 숫벨크로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숫벨크로테이프 후면에는 우레탄수지가 통금형에 주입발포되어 폼패드가 성형될 때 우레탄수지가 스며드는 부직포가 적층되어 상기 안착프레임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안착프레임과 고정블럭의 저면은 우레탄접착제로 통금형에 접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안착프레임과 고정블럭의 저면은 에폭시수지 순갑접착제 등으로 통금형에 접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블럭은 일측에 계단부가 형성되어 상기 안착프레임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계단안내부와 대응하여 조립된 것을 특징한다.
또한 상기 고정블럭은 일측에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안착프레임의 공간부에 삽입되어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블럭은 일측이 상기 계단부 또는 결합돌기 중 어느하나로 형성되면 타측 평면부가 통금형과 맞대기로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폼패드성형용 폼패드금형은 안착프레임과 통금형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고정블럭에 의하여 안착프레임을 안전하고 견고하게 설치 및 고정을 이루게 하고, 시트커버와 폼패드를 서로결합할 수 있는 벨크로가 폼패드성형시 안전되고 양호하게 폼패드에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폼패드외부에 시트커버를 씌우고 암,수벨크로테이프가 서로 결합되어 시트커버가 폼패드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트커버의 고정작업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져 작업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동시에 벨크로에 의해 간편하고 편리하게 서로 분리되기 때문에 시트커버의 세탁이나 사후수리가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차량용 의자의 폼패드에 시트커버가 부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통금형의 구성을 예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통금형에 설치되는 안착프레임과 고정블럭의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착프레임과 고정블럭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착프레임과 고정블럭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차량용 의자의 시트는 우레탄수지로 성형되는 폼패드(10)와, 폼패드(10) 외부에 씌워지는 시트커버(20)로 구성된다.
물론 본 발명의 상기 구성요소중 시트는 이미 알려진 공지된 기술사상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폼패드 성형시 통금형(50)과 결합되는 안착프레임(40)을 고정블럭(60)을 통하여 견고하고 안정되게 고정하는 것과, 폼패드 성형시 정확한 위치에 단단하게 고정되는 폼패드용 숫벨크로테이프(30)가 통금형(50)과 결합하는 안착프레임(40)에 밀착되도록 구성하는 금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착프레임(40)에는 숫벨크로테이프(30) 안착되어 있고, 상기 숫벨크로테이프(30)에는 후크가 매입되어 선단부가 돌출되어 있으며 표면은 발포성형될 때 유입되는 우레탄수지로 부터 후크를 보호하여 불량을 적게하면서, 상기 안착프레임(40)에 장착된 마그네틱(42)에 달라붙을 수 있도록 얇은 천에 철가루가 함유된 패드(34)로 형성된다.
또한 숫벨크로테이프(30) 후면에는 우레탄수지가 통금형(50)에 주입발포되어 폼패드(10)가 성형될 때 숫벨크로테이프(30)가 폼패드(10)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우레탄수지가 스며드는 부직포(44)를 부착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부직포(44)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천 재질로 사용이 가능하며 숫벨크로테이프(30) 후면에 단단히 접착될 수 있도록 열접착(hot melt)이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접착하고, 후크의 형태는 필요에 따라 갈고리 형태 또는 닻형태등 필요에 따라 여러 형태를 취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숫벨크로테이프(30)를 우레탄수지가 통금형(50)에 주입발포되어 폼패드(10)가 성형될 때 정확한 위치에 위치 할 수 있도록 통금형(50) 내측에는 상부가 틔여진 "┗┛"형 안착프레임(40)을 통금형(50)에 후술하는 고정블럭(60)으로 고정설치함과 동시에 저면은 우레탄접착제(82)를 이용하여 통금형(50)에 안착프레임(40)을 고정설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안착프레임(40)의 양단에 설치되는 고정블럭(60)은 관통되어 있는 체결공(62)을 통하여 체결수단으로 통금형(50)에 고정설치되거나 용접하여 고정설치 된다.
상기 고정블럭(60)은 일측이 평면을 유지하고 다른 일측은 계단부(64)가 형성되어 상기 안착프레임(40)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계단부(46a)(46b)에 대응하여 결합된다.
따라서 안착프레임(40)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계단부(46a)(46b)와 상기 고정블럭(6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계단부(64)가 상호 대응하여 접합함으로써 안정된 상태의 조립라인을 갖추게 되고, 또한 저면은 우레탄접착제(82)로 접착을 이루고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고정블럭(610)은 일측에 평면으로 형성되고, 타측에는 결합돌기(612)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 중앙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된 체결공(61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블럭(610)은 상기 안착프레임(40)의 양단에 배치되고 안착프레임(4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부(48)로 상기 결합돌기(612)를 끼워맞춤하고 체결공(614)에 체결수단인 보울트나 너트를 체결하면 고정블럭(610)에 의한 안착프레임(40)을 통금형(50)에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고정블럭(710)은 체결수단을 이용할 수 없는 형상, 즉 체결공(62(614)가 형성되지 않은 고정블럭(710)은 통금형(50)의 본체에 일면을 맞대기하여 접촉면 가장자리를 용접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블럭(710)은 용접면이 될 평면부와 일측에 계단부(712) 또는 결합돌기(612) 중 어느하나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숫벨크로테이프(30)를 통금형(50)에 의해 성형되는 폼패드(10)에 안전하게 부착하기 위한 폼패드금형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착프레임(40)은 상부가 틔여진 "┗┛"형 공간부(48)가 마련되어 숫벨크로테이프(30)를 수용할 수 있고, 양단에는 안내계단부(48a)(48b)가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블럭(60)의 계단부(64)가 용이하게 밀착되어 접합을 이룰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고정블럭(60)에 관통 형성된 체결공(62)를 통하여 체결수단으로 통금형(50)에 안착프레임(40)과 조립된 고정블럭(60)을 고정함으로써 안착프레임(40)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우레탄수지가 통금형(50)에 주입발포되어 폼패드(10)가 성형될 때 정확한 위치에 숫벨크로테이프(40)가 위치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블럭(60)의 평면부와 계단부(64)가 직각면으로 형성되는 것은 수평면 또는 계단면 등이 상대 면과 밀착될 때 밀착성을 강화하여 틈새를 허용하지 못하도록 하여서 통금형(50)에 주입되는 우레탄수지가 한 정된 공간에서만 발포되므로 미려한 외관을 이루는 폼패드(10)의 성형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상기 숫벨크로테이프(30)를 안착프레임(40)의 공간부(48)에 삽입할 때 숫벨크로테이프(30)의 표면에 부착된 부직포(44)가 노출되도록 하고, 후크를 안착프레임(40)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숫벨크로테이프(30)가 마그네틱(42) 상부에 배치할 수 있도록 패드(34)를 마그네틱에 접착하여 배치한다.
이러면 철가루가 함유된 숫벨크로테이프(30)는 안착프레임(40)에 설치된 마그네틱(42)의 자력으로 인해 서로 밀착되어 굴곡이 심한 안착프레임(40) 일지라도 들뜨거나 뒤틀리지 않고 정확하게 안착프레임(40) 내에 밀착되어 배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숫벨크로테이프(30)는 안착프레임(40)의 공간부(48) 내에서 마그네틱(42)의 자성에 의해 고정상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캐비트 내부로 발포액이 채워지고 굳어져도 폼패드(10)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다.
따라서 통금형(50)에 형성된 캐비트로 우레탄수지를 주입발포 시키면 통금형(50)의 내부 형상에 따라 폼패드(10)가 성형된다.
이때, 숫벨크로테이프(30)의 부직포(44)에 우레탄수지가 스며들면서 폼패드(10)가 성형되기 때문에 안착프레임(40)에 삽입된 숫벨크로테이프(30)는 정확한 위치에 단단하게 배치되며, 후크는 안착프레임(40) 내부에 숨겨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어서 우레탄수지의 유입을 막아 우레탄수지 유입으로 인한 후크의 불량됨을 방지한다.
이어서 통금형(50)으로 부터 성형된 폼패드(10)를 분리하면 숫벨크로테이프(30)가 정확한 위치에 단단하게 고정된 상태로 성형완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시트커버(20)를 폼패드(10)에 씌우면 시트커버(20)의 재봉부에 따라 부착된 암벨크로테이프(도시생략)에는 숫벨크로테이프(30)가 서로 결합되어 시트커버(20)가 시폼패드(10)에 매우 간단하면서도 단단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고정블럭(610)의 형상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블럭(610)은 통금형(50)에 설치되는 안착프레임(40)의 양측면에 삽입하는 결합돌기(612)가 형성되어 있고, 체결수단이 체결될 수 있는 체결공(61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블럭(610)의 결합돌기(612)가 안착프레임(40)의 양측면에서 공간부(48)에 삽입되면 결속을 이루게 되고 상기 결합돌기(612)와 안착프레임(40) 저부에 우레탄접착제(82)를 도포하여 통금형(50)과 접착을 이루게 함과 동시에 체결공(614)을 통하여 체결수단으로 고정블럭(610)을 통금형(50)에 고정설치하면 상기 안착프레임(40)과 고정블럭(610)은 견고하고 안정된 접착상태로 조립되는 것이다.
또한 도 5는 고정블럭(710)의 형상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블럭(710)은 체결공이 형성되지 않은 형상으로 별도의 체결수단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 이용할 수 있도록 고정블럭(710)과 통금형(50)을 맞대어 놓고 용접으로 접촉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고정블럭(701)의 일면에는 상기 겨단부(64) 또는 결합돌기(612)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 상기 안착프레임(40)의 양단에 대응하게 된다.
10; 폼패드 20; 시트커버
30; 숫벨크로테이프
34; 패드 40; 안착프레임
42; 마그네틱 44; 부직포
46a,46b; 안내계단부 48; 공간부
50; 통금형 60,610,710; 고정블럭안착돌기
62,614; 체결공 64; 계단부
82; 우레탄접착제

Claims (5)

  1. 캐비트가 형성되는 통금형과;
    상기 통금형의 내면에 설치하고 상부가 개방된 공간부에 마그네틱이 부착되어 있는 안착프레임과;
    상기 안착프레임의 양단에 결합되고 관통된 체결공을 가지는 고정블럭과;
    상기 안착프레임의 공간부에 내장된 마그네틱에 의해 접착이 가능하도록 철가루가 함유된 패드에 후크가 고정되어 있는 숫벨크로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숫벨크로테이프 후면에는 우레탄수지가 통금형에 주입발포되어 폼패드가 성형될 때 우레탄수지가 스며드는 부직포가 적층되어 상기 안착프레임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패드성형용 폼패드금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프레임과 고정블럭의 저면은 우레탄접착제로 통금형에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패드성형용 폼패드금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럭은 일측에 계단부가 형성되어 상기 안착프레임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계단안내부와 대응하여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패드성형용 폼패드금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럭은 일측에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안착프레임의 공간부에 삽입되어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패드성형용 폼패드금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럭은 일측이 상기 계단부 또는 결합돌기 중 어느하나로 형성되면 타측 평면부가 통금형과 맞대기로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패드성형용 폼패드금형.
KR1020140195166A 2014-12-31 2014-12-31 폼패드 성형용 폼패드 금형 KR201600813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166A KR20160081393A (ko) 2014-12-31 2014-12-31 폼패드 성형용 폼패드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166A KR20160081393A (ko) 2014-12-31 2014-12-31 폼패드 성형용 폼패드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393A true KR20160081393A (ko) 2016-07-08

Family

ID=56503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166A KR20160081393A (ko) 2014-12-31 2014-12-31 폼패드 성형용 폼패드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13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8099A (zh) * 2018-08-17 2019-01-18 泉州师范学院 一种聚合物三维缠绕立体超临界发泡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473Y1 (ko) 1999-05-19 2001-12-13 정춘길 매직테이프를 부착한 발포 폼을 성형하는 데 사용되는 발포 폼용 금형
KR100349299B1 (ko) 1999-10-07 2002-08-21 주식회사 현대공업 차량시트용 패드의 성형방법
KR101173018B1 (ko) 2010-04-22 2012-08-10 현대다이모스(주) 시트용 폼패드 성형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473Y1 (ko) 1999-05-19 2001-12-13 정춘길 매직테이프를 부착한 발포 폼을 성형하는 데 사용되는 발포 폼용 금형
KR100349299B1 (ko) 1999-10-07 2002-08-21 주식회사 현대공업 차량시트용 패드의 성형방법
KR101173018B1 (ko) 2010-04-22 2012-08-10 현대다이모스(주) 시트용 폼패드 성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8099A (zh) * 2018-08-17 2019-01-18 泉州师范学院 一种聚合物三维缠绕立体超临界发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99896B2 (ja) シート用面ファスナー
JP4726388B2 (ja) ファスナー部
JP5009321B2 (ja) 面ファスナー組立品および面ファスナー組立品を有するクッション
JP4769245B2 (ja) 面ファスナ部品
WO2014106896A1 (ja) 成形面ファスナー及びクッション体の製造方法
JP5096381B2 (ja) 面ファスナー組立品および面ファスナー組立品を有するクッション
KR100475044B1 (ko) 차량용 의자의 시트패드용 벨크로테이프 및 시트패드 금형
KR20160081393A (ko) 폼패드 성형용 폼패드 금형
JP2013082184A (ja) クッション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030140A (ja) 発泡成形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衝撃吸収部材
JPH0976256A (ja) 内装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50093336A1 (en) Door panel with self-gripping hooks
KR101049077B1 (ko) 자동차 시트 커버 부착용 매입식 파스너테이프 및 그 파스너테이프가 결합되는 자동차 시트 충전체 성형용 금형
CN105620329A (zh) 座垫组装构造以及车辆用座椅
KR20130039136A (ko) 차량용 시트패드의 벨크로테이프 및 그 부착방법
JPH0753947Y2 (ja) モールド用金型
JPH05192939A (ja) モールド成形体の製造法およびモールド成形体
KR101680984B1 (ko) 자동차 시트커버 취부용 클립 체결부재
JP4853736B2 (ja) エンジンカバー
JP3215207U (ja) 結合具
JP3621201B2 (ja) 吊り込み用面状ファスナ一体発泡型
JP3215298U (ja) 結合具
JP3681722B2 (ja) クッション体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H01200917A (ja) 埋設部品を有する樹脂発泡体の成形方法
JP3623600B2 (ja) アームレス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