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8118A - 비투과성 시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 - Google Patents

비투과성 시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8118A
KR20150138118A KR1020150077259A KR20150077259A KR20150138118A KR 20150138118 A KR20150138118 A KR 20150138118A KR 1020150077259 A KR1020150077259 A KR 1020150077259A KR 20150077259 A KR20150077259 A KR 20150077259A KR 20150138118 A KR20150138118 A KR 20150138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layer
polyurethane
cosmetic
lam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9709B1 (ko
Inventor
최정선
최경호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SG11201609759SA priority Critical patent/SG11201609759SA/en
Priority to PCT/KR2015/005477 priority patent/WO2015183055A1/ko
Priority to CA2950071A priority patent/CA2950071C/en
Priority to JP2017515655A priority patent/JP7053260B2/ja
Priority to US15/315,004 priority patent/US10085540B2/en
Priority to MYPI2016704353A priority patent/MY178582A/en
Publication of KR20150138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18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mprising a pad, i.e. a cushion-like mass of soft material, with or without gripping means

Landscapes

  • Cosme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투과성 시트를 포함하는 오염방지층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포구는 화장료 조성물이나 균 등으로 인한 외부 영향으로부터의 오염 및 변색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위생적이다.

Description

비투과성 시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COSMETIC COMPOSITION APPLICATOR COMPRISING IMPERMEABLE SHEET}
본 발명은 오염방지 처리를 하여 항균력, 오염물질 흡착 방지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상의 화장료 조성물의 휴대가 확산되고,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하는 도포구의 형태 역시 안전성과 편이성을 추구하게 되었다. 종래에도 휴대형 용기의 내장 도포구는 존재하였으나. 손에 잡히는 그립감이 떨어지고 손에 내용물이 묻는다는 문제가 있었으며, 도포구 자체도 오염되고 변색되어 위생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화장료 조성물을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팩트 타입의 용기에는 얇게 가공된 스펀지가 내장되어 휴대하며 화장을 하거나, 외부에서 수정화장을 하기에 용이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용기에 내장되는 화장로 조성물 도포구는 사용 중에 유분과 수분, 얼굴의 피지, 외부의 먼지들이 뭍기도 하고 용기에 내장된 후 장기간 보관되면서, 환경에 따라서 덥고 습한 조건에서는 균에 의해 오염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오염된 도포구의 계속된 사용으로 화장료 조성물도 2차적으로 오염될 수 있다. 나아가, 도포구에 뭍어있는 화장료 조성물이 세척으로도 제거되지 않아 미관상으로도 지저분해 보여 미적요소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를 깨끗하고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균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항균력이 있어야 하며, 오염되었더라고 쉽게 제거될 수 있는 재질의 선택 및 가공이 요구된다.
일본공개특허번호 제2007-05416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균 및 화장료 조성물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하고 변색없이 깨끗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관점은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도포층 및 도포층의 상부에 적층된 오염방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오염방지층은 비투과성 시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포구는 도포층의 이면에 오염방지층을 포함함으로써, 피부에의 도포기능을 갖는 도포층 이외의 부분이 화장료 조성물, 구체적으로는 수분, 유분 혹은 피그먼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흡수하지 않고 튕겨낼 수 있으며, 묻더라도 흡수하지 않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는 항균력을 가지며 변색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화장품 용기에 내장되거나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로 적용하는데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교예로서 오염방지층을 포함하지 않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재질의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로 화장료 조성물을 취했을 때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예로서 오염방지층을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의 오염제거 시험결과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오염방지층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의 오염제거 시험결과를 촬영한 사진이다.
본 명세서에서, "도포구"는 임의의 물질 또는 성분을 피부에 전달하기 위한 도구로서, 퍼프, 팁 등의 도포 수단을 모두 포함하는 최광의의 의미이며, 어플리케이터(applicator)라고도 한다.
본 명세서에서, "시트(sheet)"는 도포구의 일면 이상에 덧씌워진 부재로서, 필름, 판, 막 등을 모두 포함하는 최광의의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도포구의 "오염 방지층"은 도포구에서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전달하는 도포면 이외의 면이 화장료 조성물 또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층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도포층, 상기 도포층의 상부에 적층된 탄성층; 및 상기 탄성층의 상부에 적층된 오염방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오염방지층은 비투과성 시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를 제공한다. 상기 도포층은 도포구의 가장 하층에서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도포면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층은 상기 도포층의 상부에 적층된 도포구의 사용감과 발림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탄성층의 상부에 적층된 오염방지층은 외부로부터의 오염을 방지하고 화장료 조성물이 손으로 배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도포구의 오염방지층에 포함되어 있는 비투과성 시트는 폴리우레탄일 수 있다. 상기 오염방지층은 예를 들어 복수개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복수개의 층은 서로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염방지층은 습식 폴리우레탄층 및 그 상부에 적층된 비투과성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비투과성 시트는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중합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은 예를 들어 건식 폴리우레탄과 습식 폴리우레탄이 있을 수 있는데, 종래 도포구는 주로 습식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졌으나, 상기 습식 폴리우레탄은 친수성으로 수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별도의 항균물질 처리를 하지 않으면 균에 의해 오염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이 묻으면 즉각적으로 흡수되어 고객 사용 중 미적 요소가 떨어지고 세척을 하더라도 제거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건식 폴리우레탄은 포어(pore)가 매우 적게 포함되거나 포어가 포함되어 있지 않는 클로즈드 셀 구조를 가지고 있어, 수분과 유분을 흡수하지 않는다.
이에 본 발명의 오염방지층은 일 실시예로서 습식 폴리우레탄층 및 그 상부에 적층된 비투과성 시트로 건식 폴리우레탄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습식 폴리우레탄층의 상부에 건식 폴리우레탄 시트를 적층하면, 건식 폴리우레탄의 소수성으로 오염물질 및 습기의 흡수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 그 하부의 습식 폴리우레탄층을 통하여 오염방지층의 두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건식 폴리우레탄과 습식 폴리우레탄은 동일 두께의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두께의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건식 폴리우레탄 시트는 코팅층 또는 필름의 형태로 상기 습식 폴리 우레탄의 최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도포구의 오염방지층에 포함되어 있는 비투과성 시트는 수분이 흡수되지 않는 소수성이므로, 수분이나 화장료 조성물을 흡수하지 않고 튕겨내기 때문에 도포구의 도포면이외의 면이 외부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장료 조성물이 묻더라도 티슈로 닦아내면 제거되기 때문에 사용 중에도 깨끗한 상태가 지속되고 세척할 때도 문제없이 도포면의 세척만 하면 되므로 사용에 용이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도포구의 오염방지층에 포함되어 있는 비투과성 시트, 즉 도포구의 도포면과 반대방향의 표면은 비기공성(non-porous)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트 단위면적 5cm x 5cm 당 포어(pore)가 5개 이하로 포함된 비기공성일 수 있다. 상기 비투과성 시트는 물질의 흡수가 되지 않도록 각 셀(cell)이 클로즈드(closed) 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클로즈드 셀 구조는 피막 타입의 표면으로 실질적으로 기공이 거의 없어 물질이 흡수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비투과성 시트의 상부면은 외부로부터의 오염 방지 및 항균력 강화를 위하여 소수화 물질을 포함하는 소수성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계 화합물 및 불소계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외부 오염물질 또는 화장료 조성물의 흡수가 되지 않는 것이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0.001~0.3 mm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0.001mm 이상, 0.01mm 이상, 0.1 mm 이상, 0.5 mm 이상, 1 mm 이상, 2 mm 이상일 수 있으며, 3mm 이하, 2mm 이하, 1 mm 이하, 0.5 mm 이하 또는 0.1 mm 이하 일 수 있다. 두께가 예를 들어 0.001mm 미만이면 코팅층의 오염제거 기능에 영향을 미쳐, 오염물질이 깨끗이 제거되지 않고 남을 수 있다. 0.3mm 초과이면 사용감촉 및 가공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상기 오염방지층은 예를 들어 0.05 내지 3.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염방지층의 두께는 0.05mm 이상, 0.1 mm 이상, 0.5 mm 이상, 1 mm 이상 또는 2 mm 이상일 수 있으며, 3mm 이하, 2mm 이하, 1 mm 이하, 0.5 mm 이하 또는 0.1 mm 이하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도포구의 사용감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내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오염방지층은 예를 들어 인장강도가 3 내지 6 kg/cm3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염방지층의 인장강도는 3 kg/cm3 이상, 3.5 kg/cm3 이상, 4 kg/cm3 이상 또는 5 kg/cm3 이상일 수 있으며, 6 kg/cm3 이하, 5.5 kg/cm3 이하, 5 kg/cm3 이하 또는 4 kg/cm3 이하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도포구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 내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인장강도가 3 kg/cm3 미만의 경우, 강도가 약하여 장기간의 사용 및 보관 중 안정도가 약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6 kg/cm3 초과의 경우, 부드러운 감촉이 떨어지며 가공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오염방지층은 예를 들어 연신율이 200 내지 70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200% 미만인 경우, 안정도가 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700% 초과인 경우, 가공성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도포구의 비투과성 시트는 그 상부면에 하나 이상의 요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요철은 양각 표면처리에 의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요철의 깊이는 Lext 3D Measuring Laser Microscope OLS4100 기기를 이용하여 10x 배율로 깊이(depth)를 측정시 10 내지 200μm일 수 있다. 요철은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의 가공 중 셀 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로 방어 장치 기능을 하며, 심미감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염방지층의 비투과성 시트 또는 코팅층은 각각 그 하단에 위치한 층 상에 100 내지 250℃에서 열접착되어 적층된 것일 수 있다. 열접착은 가공 효율성이 높다. 상기 열접착시 가공온도가 100℃ 미만이면 접착력이 미흡하며, 250℃ 초과이면 접착력이 미흡하거나 멜팅의 정도가 지나쳐 완성도를 저해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화장료 도포구의 도포층은 상기 도포구가 전달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재질을 선택하여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천연고무(NR),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부틸 고무(EVA), 라텍스, 실리콘,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I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폴리비닐알코올(PVA), 니트릴 고무, 부틸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네오프렌), 폴리올레핀 및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조된 폼(foam)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실리콘 폼은 실리콘계 엘라스토머로 제조한 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층은 예를 들어 발포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감에 따라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발포폼은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천연고무(NR),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부틸 고무(EVA), 라텍스, 실리콘,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I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폴리비닐알코올(PVA), 니트릴 고무, 부틸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네오프렌), 폴리올레핀 및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조된 폼(foam)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실리콘 폼은 실리콘계 엘라스토머로 제조한 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층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발포폼은 피막 가공 폼 또는 플록(flock) 가공 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막 가공 폼은 고무, 폴리비닐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고분자 폼에 막을 입힌 것으로, 피막 가공 전 폼에 비해 일반적으로 셀의 크기가 작다. 상기 플록 가공 폼은 고분자 폼에 섬유를 붙인 것으로, 상기 섬유는 코튼, 아크릴, 폴리아미드,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실크 및 레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코튼, 아크릴, 폴리아미드,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실크, 코튼과 아크릴, 코튼과 레이온, 나일론과 폴리에스테르 및 코튼, 아크릴과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에는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로 전달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에멀젼 또는 현탁액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구체적으로, 유화형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유중수(W/O)형 또는 수중유(O/W)형, 분산형, 구체적으로는 유분산 또는 수분산형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면, 트윈 케익, 메이크업 프라이머, 메이크업 베이스, 액상 또는 고점도 파운데이션, 컨실러, 립스틱, 립글로스, 파우더, 립 라이너, 아이브로우, 아이라이너, 아이섀도우, 블러셔(blusher), 자외선 차단제, 로션, 크림 또는 에센스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도포구를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화장품은 메이크업 화장품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포구는 퍼프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도포구는 상기 도포구를 수납할 수 있는 하부 및 거울 등이 부착될 수 있고 뚜껑의 상부를 포함하는 용기, 일반적으로 팩트라고 불리는 화장품용 용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험예 1] 오염방지층의 제조 및 그 재질에 따른 가공성 검토
본 실험예에서는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의 도포층에 오염방지층을 적층함에 있어서의 오염방지층 재질별 가공성을 검토하였다.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도포층의 상부에 발포폼으로 이루어진 탄성층을 적층하고, 그 상부에 하기의 재질들로 오염방지층을 적층하여 3중층으로 구성된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를 제조하였다.
이때, 실시예1은 습식폴리우레탄 및 그 상부에 물과 화장료 조성물을 흡수하지 않으며, 물리적으로 눌러 흡수시켜도 흡수되지 않는 비기공성(non-porous)의 건식 폴리우레탄 필름을 적층한 결합물로 오염방지층을 제조하였다.
실시예2는 상기 실시예1의 오염방지층에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두께가 0.04mm가 되도록 표면 코팅하여 코팅층을 적층하였다. 여기서 상기 코팅의 두께는 일정한 크기에 도포된 두께를 의미하며, 필름 54 inch, 1,000m에 0.04 mm의 두께로 코팅이 된 것이다.
비교예 1 내지 4는 각각 습식 폴리우레탄 또는 습식 폴리우레탄 상부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올레핀을 적층하여 오염방지층을 제조하였다.
상기 각 오염방지층 및 탄성층은 100 내지 250℃의 열로 융착하거나 레이저로 융착하여 가공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재질 습식폴리우레탄+ 건식폴리우레탄 필름 습식폴리우레탄+ 건식폴리우레탄 필름 +표면코팅 습식 폴리우레탄 습식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습식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습식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
열융착 가공 O O O X X X
레이저 융착 가공 X X X X X X
그 결과, 상기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레이저로 융착한 경우에는 실시예 1,2 및 비교예 1-4 모두 융착 가공시험에서 3중의 융착이 되지 않거나 융착이 되더라도 융착 강도가 약해 3중 융착 씰링부분이 떨어졌다. 반면, 열융착 가공한 경우에는 건식 또는 습식 폴리우레탄을 오염방지층으로 제조한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이 가공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조예]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유성 성분, 유화제, 유기 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 피그먼트 및 수상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파운데이션)을 하기 표 2와 같이 제조하였다.
구분 성분 중량 %
유상 성분 유성 성분 오조케라이트 1.0
유성 성분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10.00
자외선차단제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7.000
점증제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1.50
유성 성분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16.00
유화제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2.000
유화제 라우릴피이지.피피지-18.18메치콘 1.500
피그먼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5.00
피그먼트 이산화티탄/산화철 7.00
수상성분 To 100
유화안정제 소금 1.00
보습제 글리세린 8.00
0.2
합계 100
[실험예 2] 오염방지층의 효과 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의 오염방지층의 오염물질에 대한 효과를 시험하였다.
물 흡수력은 각 오염방지층 위에 물을 0.2cc 떨어뜨리고 흡수 여부를 관찰하였다. 화장료 조성물 흡수력은 재질 위에 액상 화장료 조성물인 상기 [제조예]의 파운데이션을 0.2cc 떨어뜨리고 흡수 여부를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오염 제거력은 파운데이션 0.2g을 샬레에 넣고,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의 각 오염방지층 시료 4cm x 4cm를 상기 파운데이션 위에 올린 다음, 5kg의 무게를 20분 동안 가한 후 각 오염방지층 표면에 묻은 화장료 조성물을 티슈로 제거하였을 때 각 오염방지층의 표면에 화장료 조성물이 남는 정도를 관찰하여 평가하였다.
본 실험에서 오염 제거력은 오염방지층에 압력을 가하여 오염물과 접촉시켰을 때 오염물의 투과 및 제거가 용이한지를 확인한 실험이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재질 습식폴리우레탄+ 건식폴리우레탄 필름 습식폴리우레탄 +건식폴리우레탄 필름 +표면코팅 습식폴리우레탄 +소수처리(불소화합물 표면 처리) 습식 폴리우레탄
물 흡수력 흡수하지 않음 흡수하지 않음 흡수하지 않음 흡수
화장료 조성물 흡수력 흡수하지 않음 흡수하지 않음 흡수하지 않음 흡수
오염 제거력
(얼룩 테스트)
오염 제거 오염 제거 오염 제거 제거되지 않음
그 결과,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습식 폴리우레탄소재에는 물이 바로 흡수되었으며, 화장료 조성물도 흡수되었다. 오염제거력 시험에서도 화장료 조성물이 흡수되어 제거되지 않았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1 및 2의 건식 폴리우레탄 소재는 클로즈드 셀 구조를 가짐으로써 물은 흡수되지 않았고, 오염제거력 시험에서도 우수한 결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참조).
[실험예 3] 오염방지층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의 항균력
항균력은 포도상구균과 폐렴균을 접종 후 감소율을 측정하였다. 항균력 시험법은 KSK0693 시험법을 사용하였고, 사용균주는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klebsiella pneumonia ATCC 4352이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재질 습식폴리우레탄+ 건식폴리우레탄 필름 습식폴리우레탄+ 건식폴리우레탄 필름 +표면코팅 습식 폴리우레탄
항균력 있음 있음 없음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습식 폴리우레탄으로 오염방지층을 제조한 경우 도포구가 균으로 인한 오염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난데 반해, 건식 폴리우레탄 필름을 적층하여 오염방지층을 제조한 경우에는 항균력이 구비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3)

  1.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도포층;
    상기 도포층의 상부에 적층된 탄성층; 및
    상기 탄성층의 상부에 적층된 오염방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오염방지층은 습식 폴리우레탄층 및 그 상부에 적층된 비투과성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비투과성 시트는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중합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방지층은 습식 폴리우레탄층 및 그 상부에 적층된 건식 폴리우레탄 시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투과성 시트는 시트 단위면적 5cm x 5cm 당 포어(pore)가 5개 이하로 포함된 비기공성(non-porous)인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투과성 시트는 상부면에 하나 이상의 요철을 포함하고,
    상기 요철의 깊이는 10 내지 200μm인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투과성 시트의 상부면은 소수성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코팅층은 실리콘계 화합물 및 불소계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방지층의 두께는 0.05 내지 3.0mm인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방지층의 인장강도는 3 내지 6kg/cm3인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방지층의 연신율은 200% 내지 700%인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0.001 내지 0.3 mm인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염방지층의 비투과성 시트 또는 코팅층은 그 하단에 위치한 층 상에 100 내지 250℃에서 열접착되어 적층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구를 포함하는 화장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은 메이크업 화장품인 화장품.
KR1020150077259A 2014-05-30 2015-06-01 비투과성 시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 KR102249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G11201609759SA SG11201609759SA (en) 2014-05-30 2015-06-01 Cosmetic composition applicator including impermeable sheet
PCT/KR2015/005477 WO2015183055A1 (ko) 2014-05-30 2015-06-01 비투과성 시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
CA2950071A CA2950071C (en) 2014-05-30 2015-06-01 Cosmetic composition applicator including impermeable sheet
JP2017515655A JP7053260B2 (ja) 2014-05-30 2015-06-01 非透過性シートを含む化粧料組成物塗布具
US15/315,004 US10085540B2 (en) 2014-05-30 2015-06-01 Cosmetic composition applicator including impermeable sheet
MYPI2016704353A MY178582A (en) 2014-05-30 2015-06-01 Cosmetic composition applicator including impermeable she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66106 2014-05-30
KR1020140066106 2014-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118A true KR20150138118A (ko) 2015-12-09
KR102249709B1 KR102249709B1 (ko) 2021-05-10

Family

ID=54873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259A KR102249709B1 (ko) 2014-05-30 2015-06-01 비투과성 시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085540B2 (ko)
EP (1) EP3150079B1 (ko)
JP (1) JP7053260B2 (ko)
KR (1) KR102249709B1 (ko)
CN (1) CN106535699A (ko)
CA (1) CA2950071C (ko)
MY (1) MY178582A (ko)
SG (1) SG11201609759S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149B1 (ko) * 2016-01-29 2016-11-07 (주)유니팩 코리아 아이라이너
KR20170094991A (ko) * 2016-02-12 2017-08-22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도구
KR20180019384A (ko) * 2016-08-16 2018-02-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용 퍼프
KR101972298B1 (ko) * 2019-02-08 2019-04-24 박홍욱 바름성, 은폐력 및 터치감이 개선된 메이크업용 스폰지 및 퍼프
KR20190121970A (ko) * 2018-04-19 2019-10-29 (주)에스제이코스메틱 폴리우레탄 인조가죽 표면에 후로킹 가공된 퍼프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103B1 (ko) * 2015-04-30 2021-11-10 (주)아모레퍼시픽 내용물 전달력이 개선된 도포구
WO2023192662A1 (en) * 2022-04-01 2023-10-05 Neen Inc. Silicone makeup compac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9661U (ja) * 2002-04-30 2002-10-31 株式会社カツシカ 化粧用塗布具
JP2005538077A (ja) * 2002-07-12 2005-12-15 ジョンソン・アンド・ジョンソン・ゲーエムベーハー 塗薬用具および蝋質相を備えた乾燥性製品
JP2007054161A (ja) 2005-08-23 2007-03-08 Kyushu Hitachi Maxell Ltd 電気かみそり
JP3985916B2 (ja) * 1998-02-24 2007-10-03 株式会社 彩響舎 化粧用パフの製造方法
KR20080011419A (ko) * 2005-06-02 2008-02-04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화장품 어플리케이터
KR20130116194A (ko) * 2012-04-13 2013-10-23 (주)아모레퍼시픽 스크린망을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34604A (ko) * 2012-05-31 2013-12-10 주식회사 코스텍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95611U (en) * 1978-12-25 1980-07-02 Kondo Yoshiaki The puff for makeup
JPS5595611A (en) 1979-01-17 1980-07-21 Osamu Otsubo Mannan-coated activated carbon
JPS6049483B2 (ja) * 1980-02-08 1985-11-02 タキロン株式会社 化粧用パフ並びにその製造法
JP3089661B2 (ja) * 1990-11-09 2000-09-18 三井サイテック株式会社 紙の製造法
JPH055015U (ja) * 1991-07-08 1993-01-26 日本パフ株式会社 化粧用スポンジパフ
EP0985741A1 (en) * 1998-09-07 2000-03-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odulated plasma glow discharge treatments for making super hydrophobic substrates
US6006761A (en) 1999-04-08 1999-12-28 Victoria Vogue, Inc. Two-sided preparation and finishing applicator
JP2000354515A (ja) * 1999-06-15 2000-12-26 Kao Corp 化粧料塗布用具
NO330713B1 (no) * 2008-08-13 2011-06-20 Padtech As Pad med skrubbe og borste funksjon
TWI556845B (zh) * 2008-12-30 2016-11-11 大塚美國製藥股份有限公司 施加流體的裝置和方法
KR101123816B1 (ko) 2009-07-28 2012-03-15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김치 냉장고의 추가 익힘 제어방법
KR200457999Y1 (ko) * 2009-11-30 2012-01-16 (주)아모레퍼시픽 박리 형태의 겹지 구조로 된 화장용 퍼프
IT1402906B1 (it) * 2010-11-30 2013-09-27 Milano Politecnico Rivestimento superficiale con composti perfluorurati come antifouling.
TWI617323B (zh) * 2012-01-13 2018-03-11 愛茉莉太平洋股份有限公司 一種化妝產品
KR20130122560A (ko) 2012-04-30 2013-11-07 (주)아모레퍼시픽 화장용 퍼프
CN203073447U (zh) * 2012-11-30 2013-07-24 东莞市帕瑞诗贸易有限公司 一种组合式粉扑
CN103467970A (zh) * 2013-09-06 2013-12-25 惠州市远安新材料有限公司 一种基于聚氨酯应用的粉扑
KR200472813Y1 (ko) 2014-01-10 2014-05-22 임성욱 화장용 퍼프
JP5595611B1 (ja) 2014-02-14 2014-09-24 株式会社山▲崎▼砂利商店 廃棄物の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5916B2 (ja) * 1998-02-24 2007-10-03 株式会社 彩響舎 化粧用パフの製造方法
JP3089661U (ja) * 2002-04-30 2002-10-31 株式会社カツシカ 化粧用塗布具
JP2005538077A (ja) * 2002-07-12 2005-12-15 ジョンソン・アンド・ジョンソン・ゲーエムベーハー 塗薬用具および蝋質相を備えた乾燥性製品
KR20080011419A (ko) * 2005-06-02 2008-02-04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화장품 어플리케이터
JP2007054161A (ja) 2005-08-23 2007-03-08 Kyushu Hitachi Maxell Ltd 電気かみそり
KR20130116194A (ko) * 2012-04-13 2013-10-23 (주)아모레퍼시픽 스크린망을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34604A (ko) * 2012-05-31 2013-12-10 주식회사 코스텍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3149B1 (ko) * 2016-01-29 2016-11-07 (주)유니팩 코리아 아이라이너
KR20170094991A (ko) * 2016-02-12 2017-08-22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도구
KR20180019384A (ko) * 2016-08-16 2018-02-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용 퍼프
KR20190121970A (ko) * 2018-04-19 2019-10-29 (주)에스제이코스메틱 폴리우레탄 인조가죽 표면에 후로킹 가공된 퍼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72298B1 (ko) * 2019-02-08 2019-04-24 박홍욱 바름성, 은폐력 및 터치감이 개선된 메이크업용 스폰지 및 퍼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50079B1 (en) 2019-04-24
EP3150079A1 (en) 2017-04-05
SG11201609759SA (en) 2016-12-29
CA2950071A1 (en) 2015-12-03
CN106535699A (zh) 2017-03-22
JP7053260B2 (ja) 2022-04-12
EP3150079A4 (en) 2018-03-07
KR102249709B1 (ko) 2021-05-10
US10085540B2 (en) 2018-10-02
CA2950071C (en) 2022-05-03
US20170202336A1 (en) 2017-07-20
JP2017518153A (ja) 2017-07-06
MY178582A (en) 202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9709B1 (ko) 비투과성 시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
KR102587332B1 (ko) 비투과층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
KR102073275B1 (ko) 발포 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체
KR102544620B1 (ko) 화장용 퍼프
MXPA02003603A (es) Aplicador que tiene un elemento de cambio termico para distribuir un producto sobre una superficie objetivo.
RU2010125318A (ru) Система доставки жидкости
RU2429775C2 (ru) Набор для нанесения текучей среды на поверхность
WO2015183055A1 (ko) 비투과성 시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
US10493004B2 (en) Cosmetic composition carrier comprising integrated sponge having layered structure
KR20160047416A (ko) 라텍스 발포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체
CN107750135A (zh) 内容物传递力提高的涂抹工具
JP2009028392A (ja) 化粧用パフ
KR20160145512A (ko) 화장용 퍼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21864A (ko) 화장용 퍼프
KR20180112454A (ko) 기능성 화장용 퍼프
KR102337360B1 (ko) 담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CN211747589U (zh) 一种便于杀菌用化妆品容器
WO2016148495A1 (ko) 비투과층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
KR20200044276A (ko) 수중유 화장료를 포함하는 담지 유닛,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및 그 제조방법
TWM398415U (en) Disposable boxed cosmet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