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6526A - 전자 키 - Google Patents

전자 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6526A
KR20150136526A KR1020157031001A KR20157031001A KR20150136526A KR 20150136526 A KR20150136526 A KR 20150136526A KR 1020157031001 A KR1020157031001 A KR 1020157031001A KR 20157031001 A KR20157031001 A KR 20157031001A KR 20150136526 A KR20150136526 A KR 20150136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diaphragm
switch housing
hous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1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6433B1 (ko
Inventor
볼프강 카이저
루돌프 리너
플로리안 슈베이거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136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082Keys or shanks being removably stored in a larger object, e.g. a remote control or a key fob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214Hand-held casings
    • H01H9/0235Hand-held casings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control, e.g. of audio or video appar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 G07C2009/00952Electronic keys comprising a mechanical key within their housing, e.g. extractable or retractable emergency ke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02Casings sealed
    • H01H2223/003Membrane embracing all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ultimedia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하의 특징을 갖는, 특히 차량용, 전자 키에 관한 것이다. 전자 키는 키 하우징 및 키 하우징 내 스위치 하우징(SGH)을 갖는다. 스위치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브레이크아웃을 갖는 본질적으로 강성인 프레임(R), 및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아웃을 닫도록 그리고 브레이크아웃의 영역에서 막 상의 외측으로부터 프레임 내에 배열된 전기 스위치 요소에 작용하는 힘을 포워딩하도록 프레임 상에 배열되는 가요성 변형가능한 막(M11, M12, M13)을 갖는다. 그리하여, 요구되는 양의 강성을 갖는 전자 키가 창출되며, 내부에 위치하는 민감한 전자 컴포넌트가 또한 환경적 영향으로부터 보호된다. 변형가능한 막이 버튼-관련 기능을 위해서는 물론, 비상 키에 대한 꺼내기 구획(EA31)을 형성하기 위해서도 또는 비상 키에 대한 덜거덕거림 보호(EA21, EA22)로서도 사용되면, 다기능 스위치 하우징이 단순한 수단에 의해 그렇게 창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키{ELECTRONIC KEY}
본 발명은 차량 내 소정 기능을 트리거링하기 위하여 차량과 인코딩된 신호를 교환할 수 있는, 식별 송신기로서, 전자 키에 관한 것이다.
요즘에는, 예를 들어, 소정 거리로부터 다양한 차량 기능을 트리거링할 수 있는, 차량용 전자 키 또는 라디오 키와 같은, 휴대용 전자 사용자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특히, 어떤 소망의 버튼 형상이라도 갖는 어떤 소망의 디자인 변형이라도, 고객 요구에 따라, 가능하여야 한다. 더욱, 휴대 편의를 개선하기 위하여 전자 키의 치수, 특히 전반적 높이를 감축하려는 노력이 점점 이루어지고 있다. 그렇지만, 감축된 설치 공간 요건에도 불구하고, 전자 키의 필수적으로 높은 레벨의 강성은 계속 보장되어야 한다. 부가적으로, 전자 키에서 요구되는 전자 장치는 훨씬 더 복잡해지고 있고, 그래서 그것들은 환경적 영향에 대항하여 보호되어야 한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수적 높은 레벨의 강성 및 환경적 영향에 대항하는 보호와 함께 감축된 설치 공간 요건을 갖는 전자 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범위 제1항의 주제 사항에 의해 달성된다. 유익한 개량은 종속항의 주제 사항이다.
상기 주제 사항은, 이하의 특징을 갖는, 특히 차량용 전자 키를 개시한다. 상기 전자 키는 하우징이라기보다는 키 하우징을 갖는다. 더욱, 상기 전자 키는, 키 하우징에 수용되고 그리고 우선 적어도 하나의 애퍼처를 갖는 본질적으로 치수적으로 강성인 프레임(inherently dimensionally rigid frame)을 갖고 그리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퍼처를 닫도록 그리고 프레임 내 배열되는 전기 스위치 요소에 외측으로부터 애퍼처의 영역에서 다이어프램(diaphragm) 상에 작용하는 힘을 전하도록 프레임 상에 배열되는 가요성 변형가능하거나 탄성인 다이어프램을 갖는 스위치 하우징을 갖는다. 그래서, 치수적으로 강성인 프레임을 갖는 스위치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은 키 하우징의 강성을 증가시키거나 보장하고, 더욱,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퍼처가 다이어프램에 의해 덮이는 것에 의해 물의 침투, 부식 등과 같은 환경적 영향에 대항하는 보호가 제공되되, 적어도 하나의 애퍼처의 영역에서의 탄성 때문에 스위치 하우징의 실내에 작용할 수 있다.
유익한 일 개량에 의하면, 이 경우에 다이어프램과 프레임은, 다이어프램이 소프트 컴포넌트를 형성하고 프레임이 2-컴포넌트 사출-성형 요소의 하드 컴포넌트를 형성하는, 2-컴포넌트 사출-성형 요소의 형태인 것이 가능하다. 2개 컴포넌트의 매우 정밀하고 효율적인 조합은 이러한 식으로 달성되되, 각각의 다른 컴포넌트에 상대적인 이동이 더 방지된다. 그렇지만, 접착제 접합, 마찰 용접에 의해, 클립을 사용하여, 레이저 용접 방법에 의해 그리고/또는 초음파 용접 방법에 의해 다이어프램을 프레임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애퍼처의 영역에서 다이어프램 상에 힘이 작용할 때 다이어프램이 프레임에 상대적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전기 스위칭 요소의 트리거링의 신뢰도를 개선한다.
프레임과 협력하여 스위치 하우징을 형성할 때 다이어프램의 밀봉 기능에 부가하여, 다이어프램은, 이하의 유익한 개량을 참조하여 설명될 바와 같이, 추가적 구조적 기능을 이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다이어프램은 프레임의 외측면 상에 하나 이상의 제1의 미리 결정된 구획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프레임은 키 하우징의 내측면에 대항하여 지탱하고 상기 제1의 미리 결정된 구획에서 상기 키 하우징에 연결된다. 그래서, 키 하우징 상에 작용하는 기계적 진동은 키 하우징에 대항하여 지탱하는 가요성 변형가능한 또는 탄성 다이어프램 때문에 제1의 미리 결정된 구획의 영역에서 다이어프램에 의해 이미 흡수되고, 그래서 스위치 하우징 내 또는 스위치 하우징 상에 놓여 있는 컴포넌트도 기계적 환경적 영향에 대항하여 보호된다. 이 경우에, 하나 이상의 제2 애퍼처가 프레임에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고, 다이어프램은 하나 이상의 제1의 미리 결정된 구획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 애퍼처 또는 애퍼처들을 통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스위치 하우징으로부터 빠져 나온다. 다이어프램은 이러한 식으로 추가적 구조적 기능을 갖는다.
추가적 유익한 개량에 의하면, 전자 키는 스위치 하우징에 인접하여 또는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일 구획에 인접하여 키 하우징에 수용되는, 특히 금속 키 조각 형태의, 기계적 비상 키를 더 갖는 것이 실현가능하다. 이것은, 예를 들어 소정 거리로부터 하나 이상의 차량 문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과 같이, 전자 키를 사용하여 차량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을 때, 적어도 차량의 대응하는 문 로크에서 차량에 대한 접근이 기계적 비상 키를 사용하여 가능하게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때 이러한 기계적 비상 키가 스위치 하우징(또는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일 구획)에 인접하여 수용되면, 이러한 개량에 의하여, 다이어프램은 프레임의 외측면 상에서 비상 키에 인접하여 하나 이상의 제2의 미리 결정된 구획을 형성하고, 상기 제2의 미리 결정된 구획은 상기 비상 키의 (진동과 같은) 이동을 줄이도록 비상 키에 대항하여 지탱한다. 구체적으로, 이 경우에 비상 키는 하나 이상의 제2의 미리 결정된 구획에 의하여 키 하우징의 내측 벽에 대항하여 밀리고 그리고 다이어프램의 탄성 때문에 키 하우징에 대항하여 프리스트레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식으로, 비상 키의 이동이 방지되어, 그래서 결과로서 "덜거덕거림 보호"가 제공된다. 재차, 이 경우에도 프레임은 다이어프램이 하나 이상의 제2의 미리 결정된 구획을 형성하기 위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제3 애퍼처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다이어프램은 추가적 구조적 기능을 갖는다.
추가적 유익한 개량에 의하면, 키 하우징은 그것이 스위치 하우징에 인접하여 배열되는 착탈식 커버를 갖는 그러한 식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에, 커버는 키 하우징의 일부분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키 하우징 상에 커버를 유지하기 위한 또는 상기 커버를 기정의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유지 디바이스가 제공되고, 상기 유지 디바이스는 또한 이러한 유지 기능이 해제될 수 있게 한다. 유익하게도 이제 다이어프램은 스위치 하우징의 프레임의 외측면 상에서 커버에 인접하여 하나 이상의 제3의 미리 결정된 구획을 형성하고, 상기 제3의 미리 결정된 구획은 유지 디바이스가 커버를 해제할 때 상기 커버를 그 위치로부터 밀어내도록 커버에 대항하여 지탱한다. 이것은, 커버가 (미리 결정된 위치에) 유지 디바이스에 의해 키 하우징 상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이어프램의 하나 이상의 제3의 미리 결정된 구획이 미리 결정된 힘으로 커버에 대항하여 밀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과정에서, 다이어프램은 이들 제3의 미리 결정된 구획의 영역에서 탄성 변형되고 그 변형에 반작용하는 스프링 힘을 구축한다. 커버가 이제 유지 디바이스에 의해 해제된 상태에서 더 이상 유지되지 않으면, 압축 동안 앞서 구축되었던 제3의 미리 결정된 구획의 스프링 에너지가 방출되고 커버는 그 위치로부터 밀려 나간다. 이러한 식으로, 다이어프램은 추가적 구조적 기능을 이행하고, 예를 들어, 그렇지 않았더라면 통상 커버를 자동으로 떼어내도록 사용되었을 부가적 스프링을 절약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가적으로, 스프링으로서 다이어프램의 사용 때문에 장비에 대한 지출이 최소화되고, 결과로서 설치 공간도 감축될 수 있다.
유지 디바이스의 유익한 개량에 의하면, 상기 유지 디바이스는 커버를 유지 또는 고정하기 위해 커버 내 대응하는 래칭 오목부 내로 이동 또는 수용될 수 있는 래칭 러그(latching lug)를 갖는다. 래칭 러그는 커버를 다시 해제하기 위해 래칭 오목부로부터 이동되어 나올 수 있다. 커버 상의 래칭 오목부 대신에, 커버 상에 래칭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도 실현가능하며, 상기 래칭 돌출부는 다이어프램의 하나 이상의 제3 구획에 의한 프리스트레싱의 경우에 유지 디바이스의 래칭 러그에 대항하여 그것이 미는 그러한 식으로 래칭 러그와 상호작용하여, 래칭 러그와 상호작용하는 커버의 래칭 돌출부 때문에 커버가 그 유지된 위치에 유지된다.
추가적 유익한 개량에 의하면, 비상 키 또는 기계적 키 조각은 커버에 고정 연결되고, 그래서 비상 키는 커버가 유지 디바이스에 의해 해제된 후에 그것을 자동으로 떼어냄으로써 단순한 방식으로 전자 키 하우징 내 그 칸으로부터 쉽게 빼낼 수 있다.
추가적 유익한 개량에 의하면, 전자 키는 스위치 하우징 내에서 프레임에 맞춰지는 전기 스위칭 요소를 갖는 인쇄 회로 기판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인쇄 회로 기판은 전기 스위칭 요소가, 탄성 다이어프램에 의해 조작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퍼처 밑에 놓이는 그러한 식으로 프레임에 맞춰진다. 그래서, 스위치 하우징 내 프레임은 다이어프램을 장착하는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프레임 내에서 또는 스위치 하우징 내에서 환경적 영향에 대항하여 보호되게 되는 추가적 컴포넌트, 특히 전자 컴포넌트에 대한 유지 기능도 갖는다.
구체적으로, 이 경우에 다이어프램은 프레임의 내측면 상에(즉, 스위치 하우징 내) 하나 이상의 제4 미리 결정된 구획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제4 미리 결정된 구획에 대항하여 지탱한다. 이러한 식으로, 재차, 제4 미리 결정된 구획에서 다시 한 번, 외측으로부터 키 하우징을 통하여 스위치 하우징 상에 작용하는 진동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 기계적 진동은 최소한으로 감축될 수 있고 민감한 전기 및/또는 전자 컴포넌트가 가능한 잘 보호된다. 결과적으로, 다이어프램은 추가적 구조적 기능을 갖는다.
스위치 하우징의 추가적 개량에 의하면, 상기 스위치 하우징은 캡이 스위치 하우징 상에 맞춰지는 상태에서 돌출부에 의해 다이어프램의 하나 이상의 제4 미리 결정된 구획에 대항하여 인쇄 회로 기판을 밀기 위하여 돌출부를 갖는 캡을 갖는다. 이러한 식으로, 인쇄 회로 기판은 스위치 하우징 내에 효과적으로 고정되고,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물의 침투 등과 같은, 외부의 기계적 및 다른 영향에 대항하여 보호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추가적 유익한 개량에 따른 다이어프램은 스위치 하우징의 실내에서 외측으로 향하여 나오는 적어도 하나의 제5 미리 결정된 구획을 가질 수 있되, 적어도 하나의 제5 구획은 스위치 하우징의 실내에 커플링-인 구획(coupling-in section) 및 스위치 하우징의 외측에 출력 구획을 갖고, (LED와 같은) 광원은 라이트 가이드로서 다이어프램을 통해 출력 구획으로 광을 인도하기 위해, 특히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스위치 하우징의 실내에 커플링-인 구획에 인접하여 배열된다. 그래서, 다이어프램은, 라이트 가이드로서, 광을 그것이 마지막으로 빠져나가는 출력 구획으로 인도할 수 있다. 이러한 식으로, 다이어프램은 다양한 밀봉 및 유지 기능에 부가하여 라이트 가이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고, 그래서 별개의 라이트 가이드 컴포넌트가 절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표적 실시예에 대해서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키의 키패드의 버튼 또는 버튼 캡의 도식적 예시도;
도 2는, 버튼(도 1 참조)이 스위치 하우징 상에 장착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키의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중요 컴포넌트의 분해 예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전자 키의 스위치 하우징의 일부의 중요 컴포넌트의 분해 예시도;
도 4는 위로부터 도 2에 따른 스위치 하우징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위치 하우징이 통합되는 키 하우징의 단면 예시도;
도 6은 스위치 하우징 및, 각각, 상기 스위치 하우징에 제공되는 컴포넌트의 상세 예시도; 및
도 7은 스위치 하우징의 다이어프램이 라이트 가이드로서 사용되는 영역에서 스위치 하우징을 통한 단면 예시도.
차량용 전자 키가 이제 이하의 본문에서 설명되도록 의도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차량용 전자 키는 일반적으로는, 배터리 또는 재충전가능한 배터리와 같은, 에너지 저장소에 의해 급전되는 전자 부품을 갖는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전자 키는, 차량의 컨트롤러와 통신하기 위해, 신호, 특히 라디오 신호를 교환하기 위한 트랜시버 디바이스를 갖는다. 그래서, 키의 전자 메모리에 저장되는 코드는 능동 액세스 시스템의 경우에는 단방향 방식으로 차량에 보내지거나, 또는 수동 액세스 시스템의 부분으로서 양방향 교환 코드 방법으로 차량과 전자 키 간에 교환된다. 각각의 긍정적 인증 후에, 차량 내 제어 유닛은 로크를 잠금 해제하고, 그래서 차량 사용자는 문을 열 수 있다. 이러한 인증 프로세스는 전자 키 상의 (능동 액세스 시스템의 부분으로서) 버튼을 누름으로써 시작되든, 또는, 수동 액세스 시스템을 갖는 차량의 경우에는, 상기 차량이 사용자 또는 전자 키가 다가오고 있는 것을 센서에 의해 검출하면 차량에 의해 트리거링되든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차량 사용자는 키패드를 갖는 그리고 아마도 통합형 기계적 비상 키를 갖는 전자 키를 휴대한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전자 키는 그래서 차량 문을 잠금 해제하는(그리고 또한 잠그는) 기능을 우선 포함할 수 있지만, 그것은 또한, 경보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그리고 보조 히터의 스위치를 켜기 위한 등과 같이, 다른 차량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전자 키는 각각의 기능을 트리거링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키의 일 실시예가 이제 아래에 기술되도록 의도되며, 상기 실시예에는, 낮은 설치 공간에도 불구하고, 키 장치 전체의 필수적으로 높은 정도의 강성 및 또한 환경적 영향에 대항하여 민감한 전자 부품의 보호가 제공된다.
전자 키의 조작자 제어 패널 또는 키패드의 버튼의 도식적 도면을 도시한 도 1을 우선 참조할 것이다. 이 경우에서, 버튼의 정면도는 도 1의 A에 예시되어 있는 반면, 버튼의 후면도는 도 1의 B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A의 예시에 따른 키패드는 이 경우에서는, 사용자가 특정 버튼을 누를 때 그가 어느 기능이 트리거링되는지 알고 있도록, 대응하는 기능 그림 문자(P1(문 잠금 기능에 대응), P2(트렁크 뚜껑 열림 기능에 대응), P3(문 잠금 해제 기능에 대응))를 갖는 3개의 버튼(TA11, TA21, TA31)을 포함한다. 엄밀하게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TA11, TA21, TA31)의 각각은 그림 문자가 제공되는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조작을 위한 각각의 조작 표면을 제공하는 각각의 상위 버튼 구획(T01, T02, T03)을 갖고, 전자 키의 조립된 상태에서, 하우징 실내와 직면하고 전기 스위칭 요소를 장착 및 조작하기 위한 대응하는 힘 또는 스위칭 돔을 갖는 하위 버튼 구획(TU1, TU2, TU3)을 갖는다. 각각의 상위 및 하위 버튼 구획은 본질적으로 치수적으로 강성이고 전반적으로 2-컴포넌트 사출-성형 요소를 형성하는 것이 유익하다.
추후 훨씬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버튼은, 도 3에서의 다이어프램(M12)과 같은, 대응하는 탄성 또는 가요성 변형가능한 다이어프램에 의해 장착 또는 지지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각각의 버튼(TA11, TA21, TA31) 또는 그 하위 버튼 구획(TU1, TU2, TU3)은 버튼-측 돌출부 또는 힘 돔(힘 태핏)을 갖는다. 이 경우에서, 상기 힘 돔은 버튼 및 다이어프램이 조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각각의 버튼(TA11, TA21, TA31)의 각각의 조작 표면(BTF1, BTF2, BTF3) 밑에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힘 돔은 에지 영역의 근방에 또는 밑에, 코너 조작 표면의 경우에는 버튼의 조작 표면의 코너의 영역에, 배열되어, 그것들은 가능한 큰 구역에 걸쳐 이어지고, 그래서, 버튼의 중심을 벗어난 조작의 경우에조차도, 사용자의 힘은 돔의 전부에까지 가능한 멀리 전달될 수 있고 그래서 기정의 힘 특성 곡선 또는 촉각 특성 곡선이 달성될 수 있다.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힘 돔은 실질적으로 각각의 다이어프램의 코너 구획에 그리고 따라서 또한 버튼(TA11, TA21, TA31)의 조작 표면의 코너 구획 밑에 배열되며, 그 표면이 그것들 위에 놓인다.
이 경우에 있어서, 힘 돔은 전기 스위칭 요소 위에 위치결정되지 않거나 상기 전기 스위칭 요소의 스위칭 축에 위치결정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1 버튼(TA11)은 힘 돔(K11, K12, K13, K14)을 갖고, 제2 버튼(TA21)은 힘 돔(K21, K22, K23, K24)을 갖는 한편, 제3 버튼(TA31)은 힘 돔(K31, K32, K33, K34)을 갖는다. 돌출부 형태인 힘 돔에 부가하여, 각각의 버튼은 스위칭 태핏으로서 역할하는, 즉, 버튼 조작을, 엄밀하게는 태핏의 방향으로 버튼의 이동을, 그 밑에 놓여 있는 전기 스위칭 요소에 전하는 돌출부를 더 갖는다. 각각의 전기 스위칭 벨트를 신뢰할만하게 트리거링하기 위하여, 각각의 스위칭 태핏(S1, S2, S3)은 힘 돔에 의해 걸쳐 이어지는 구역의 기하학적 중심에 배열되는 것이 유익하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구역의 기하학적 중심은 또한 각각의 버튼의 반대 측면 상에 놓여 있는 조작 표면의 기하학적 중심과 합동이다. 예로서, 스위칭 태핏은 힘 돔(K11, K12, K13, K14)에 의해 걸쳐 이어지는 구역의 기하학적 중심(SWP1)과 일치하여야 한다.
이제 전자 키의 스위치 하우징의 중요 컴포넌트의 분해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는 도 2를 참조할 것이다. 처음에 도 2의 좌측부를 보면, 상위 구획에서는 다이어프램(M)을 볼 수 있고, 상기 다이어프램은 탄성 재료로 형성되고 그래서 가요성 변형가능하다. 다이어프램(M) 및 프레임(R)이 조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이어프램의 구획에 의해 닫히거나 덮이는 다수의 애퍼처를 갖는 본질적으로 치수적으로 강성인 프레임(R)은 도 2의 좌측부 상의 하위 구획에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R)은 상부면 상에 애퍼처(DUX)를 그리고 상기 상부면에 관하여 90°로 기울어져 있는 측면 상에 애퍼처(DUY)를 가지며, 프레임에 배열되고 그것들 위에 놓여 있는 다이어프램 구획을 이동 또는 조작하는 것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마이크로스위치와 같은, 전기 스위칭 요소가 상기 애퍼처 뒤에 제공된다. 버튼의 조작을 위해 제공되는 프레임의 영역을 닫기 위하여, 다이어프램(M)은 복수의 다이어프램 구획 또는 부분적 다이어프램을 갖되, 부분적 다이어프램(M11, M12, M13)은 버튼 기능을 위해 상부면에 놓여 있는 애퍼처, 특히 애퍼처(DUX)를 덮도록 제공되고, 부분적 다이어프램(MST1, MST2)은 측면(SF)에서 버튼 기능을 위한 애퍼처(DUY)를 닫도록 제공된다.
상부면 또는 표면(OF) 상에서, 프레임(R)은 다이어프램(M), 특히 부분적 다이어프램(M11, M12, M13)이 수용되는 오목형 부분(VTF)을 갖는다. 2개의 컴포넌트, 다이어프램(M)과 프레임(R)의 조립된 상태는 도 2의 우측면 상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기 2개의 컴포넌트는 상부에서 봉쇄되는 스위치 하우징(S)을 형성한다. 도 2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다이어프램(M)은 그래서, 아래에 훨씬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민감한 전기 또는 전자 컴포넌트가 놓여 있을 수 있는, 스위치 하우징을 봉쇄하는 것을 수반하는 제1 구조적 기능을 갖는다.
이제 스위치 하우징 상의 다이어프램의 추가적 구조적 기능은, 다이어프램(M12)이 기능적으로 형성되는, 특히 제2 버튼의 영역의, 스위치 하우징의 중요 컴포넌트의 추가적 분해 예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되도록 의도되는 도 3의 A 및 도 3의 B를 참조할 것이다. 처음에 도 3의 A를 보면, 전자 키의 키패드를 실현하기 위하여 프레임(RA2)과 조립될 수 있는 그리고 프레임(R)의 제2 버튼의 영역 내 일부분을 형성하는 다이어프램(M12)이 상기 도면의 좌측면 상에 도시되어 있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다이어프램과 프레임은 다이어프램이 소프트 컴포넌트를 형성하고 프레임이 2-컴포넌트 사출-성형 요소의 하드 컴포넌트를 형성하는 2-컴포넌트 사출-성형 요소의 형태일 수 있다. 다이어프램(M12)은, (도 1에 예시된) 터치 요소가 장착 또는 지지될 수 있는 4개의 힘 돔(K1, K2, K3, K4)을, 제1 측면(MS1) 상에, 갖는다. 각각의 힘 돔은 다이어프램(M12)의 구획(LA1, LA2, LA3, LA4)에 놓여 있고, 상기 구획은 베어링 구획이라고도 불린다. 조작 구획(BTA)은 다이어프램의 중심에 도시되어 있고, 전기 스위칭 요소(SE)는 (파선을 사용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키의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구획 밑에 위치한다. 전기 스위칭 요소는 조작 구획(BTA) 밑에만 놓여 있고(이것은 다른 버튼에 대해서도 적용됨), 베어링 구획 아래에는 아님을 유념해야 한다. (도 3의 A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버튼-측 스위칭 태핏(S1, S2, S3) 중 하나와, 각각, 상호작용하는 다이어프램-측 상위 스위칭 태핏 또는 스위칭 돔의 형태의 돌출부 또는 융기부는 하나의 가능한 개량에 따라 조작 구획의 영역 내 제1 측면(MS1) 상에 마찬가지로 형성될 수 있음을 더 유념해야 한다.
이제 프레임(RA2)을 보면, 프레임(RA2)과 다이어프램(M12)이 조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애퍼처(D1, D2, D3, D4)가 각각의 베어링 구획 밑에 놓여 있음과, 추가적 애퍼처(D5)가 조작 구획(BTA) 밑에 놓여 있음은 명확하다.
2개의 컴포넌트의 조립된 상태는 도면의 우측면 상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조립된 상태에서는, 다이어프램(M12)의 제1 측면(MS1)은 프레임(RA2)으로부터 외면되고, 돌출부 또는 힘 돔(K1, K2, K3, K4)은 상기 제1 측면으로부터 떨어져 돌출한다.
도 3의 B는 이제 다이어프램(M12)과 프레임(RA2)이 저부로부터 그리고 후면으로부터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베어링 구획(LA1, LA2, LA3, LA4)은 프레임(RA2)의 애퍼처(D1, D2, D3, D4)에 인접하고, 조작 구획(BTA)은 추가적 애퍼처(D5)에 인접함은 상기 도면으로부터 명확하다. 다이어프램(M12)은 제1 측면과 반대인 다이어프램(M12)의 제2 측면(MS2) 상에서 프레임(RA2)에 의해 지지된다. 조작 돌출부(BTV)는 조작 구획(BTA)의 후면의 중심에서(또는 다이어프램-측 스위칭 태핏의 아래에서) 볼 수 있고, 스위칭 요소를 트리거링하기 위하여, 그것 위에 놓여 있는 버튼이 조작될 때 그것 밑에 놓여 있는 스위칭 요소의 방향으로 상기 조작 돌출부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조작 돌출부(BTV)의 중심축의 그리고 그것 밑에 놓여 있는, 마이크로스위치와 같은, 스위칭 요소의 중심축의 위치는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어프램(M12) 상에, 엄밀하게는 힘 돔(K1, K2, K3, K4) 상에 장착되는 버튼이 조작되면, 그것들 주위에 놓여 있는 각각의 힘 돔 또는 베어링 구획은 버튼이 조작될 때 상기 베어링 구획 밑에 각각 놓여 있는 프레임 내 그 애퍼처를 통해 이동되되, 다이어프램의 각각의 베어링 구획은 그 과정 중 변형된다. 이러한 변형은 애퍼처의 사이즈 및/또는 형상에 그리고 다이어프램 재료 또는 다이어프램 두께에 종속되는 반대 힘을 발생시킨다. 환언하면, 그 형상이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퍼처를 통해 태핏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구획의 영역에서 변화되는 다이어프램은, 손가락이 버튼을 조작하고 있는, 버튼의 방향으로 그리고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손가락 상에 작용하는 스프링 힘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애퍼처의 사이즈 또는 애퍼처의 직경이 태핏 직경에 비해 작으면, 버튼이 조작될 때 다이어프램의 비교적 적은 재료만이 제1 애퍼처를 통해 이동되되, 이러한 적은 재료는 큰 정도로까지 변형되고 높은 스프링 힘 또는 복귀 힘이 결과로서 달성된다. 대조적으로, 베어링 구획이 태핏 또는 힘 돔에 비해 크면, 방금 기술된 제1 경우에 비해 비교적 큰 양의 다이어프램 재료가 애퍼처를 통해 이동되고, 그래서 이러한 재료는 사소한 정도로까지만 변형되고 그래서 복귀 힘도 낮은 채로 있다. 그래서, 다이어프램은, 특히 베어링 구획의 영역에서는, 버튼이 조작될 때 스프링 힘 또는 복귀 힘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그래서 추가적 구조적 기능을 갖는다.
이제 상부면 또는 표면(OF)을 바라보는 도 2의 스위치 하우징(SGH)의 도식적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는 도 4를 참조할 것이다. 표면(OF)은 프레임(R)의 부분 및 상기 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다이어프램(M)의 부분적 다이어프램(M11, M12, M13)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이 도면으로부터 명확하다. 선행하는 도면에서 이미 기술된 다이어프램의 이들 버튼-관련 기능에 부가하여, 다이어프램(M)의 추가적 구조적 기능이 도 4를 참조하여 기술되게 된다. 도 2의 좌측부에서 이미 도시되었던 바와 같이, 프레임(R)은 다이어프램의 구획이 프레임에 관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까지 통해 나오고 프레임의 외측면 상에 특정 기능적 구획을 형성하는 다수의 애퍼처를 갖는다. 그래서, 프레임은 제1 구획(EA11, EA12, EA13, EA14)이 프레임의 상부면(OF)만큼 멀리,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까지, 통해 나오는 애퍼처(D11, D12, D13, D14)를 갖는다.
또한, 도 5에 더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하우징(SGH)은, 줄여 소위 키 하우징(SLH)이라고도 하는, 키의 하우징 내에 수용된다. 유익한 일 개량에 의하면, 스위치 하우징(SGH)은 이 경우에서는, 특히, 도 4에 도시된 제1 구획(EA11, EA12, EA13, EA14) 상에 장착 또는 유지된다. 이것은, 스위치 하우징(SGH)이 키 하우징 내에 고정되어 키 하우징 내에서 이동할 수 없고, 그 결과로서 "덜거덕거림 보호"가 제공되는 이점을 갖는다. 스위치 하우징(SGH)의 장착이 다이어프램의 탄성 또는 성형가능한 구획(EA11 내지 EA14)에 의해 형성된다는 사실은 키 하우징에 관하여 스위치 하우징(SGH)의 공차 보상이 제공되는 추가적 이점을 갖는다. 부가적으로, 키 하우징 상에 작용하는 기계적 진동은 탄성 제1 구획(EA11 내지 EA14)에서 이미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제1 구획에 부가하여, 상기 이점을 더 개선하기 위해 키 하우징에 관하여 스위치 하우징(SGH)을 장착하기 위한 다른 추가적 제1 구획을 제공하는 것도 실현 가능하다.
도 5에 훨씬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추가적 애퍼처(D21)는 프레임(R) 상에 제공되고, 다이어프램의 부분은 제2 구획(EA21, EA22)을 형성하기 위하여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까지 상기 추가적 애퍼처를 통해 나온다. 이들 제2 구획(EA21, EA22)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비상 키와 접촉하게 될 수 있다.
더욱, 프레임(R)은 제3 구획(EA31)을 형성하기 위하여 다이어프램의 부분이 통과하는 애퍼처(D31)를 갖는다. 이러한 제3 구획은 키 하우징의 커버와 접촉하게 될 수 있되, 커버의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3 구획은 접촉 압력에 의해 변형되고 대응하는 스프링 힘 또는 반대 힘을 구축한다.
이제 차량 키(FZS)를 통한 단면을 도시하고 있는 도 5를 참조할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차량 키(FZS)는 키 하우징(SLH)을 갖는다. 스위치 하우징(SGH)은 키 하우징(SLH) 내에 제공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도면에서 위에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스위치 하우징(SGH)은 프레임의 외측면 상에 특정 기능적 구획을 제공하기 위하여 탄성 컴포넌트로서 다이어프램의 부분이 통해 나오는 복수의 애퍼처를 갖는 지지 요소로서 프레임(R)을 포함하며, 상기 기능적 구획 중 일부가 이제 더 상세히 설명되도록 의도된다.
도 5의 우측 구획을 이제 보면, 금속 키 조각 형태의 비상 키(NS)가 키 하우징(SLH)의 리셉터클(SAF)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것이 명확하다. 비상 키(NS)가 리셉터클(SAF)에 쉽게 밀어 넣어지고 그로부터 빼내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리셉터클(SAF)의 치수에 비해 비상 키 치수에 관하여 소정량의 플레이가 제공된다. 그렇지만, 이러한 플레이 때문에, 비상 키가 진동 때문에 이동되고 그 과정 중에 하우징의 내측 벽을 칠 가능성이 있고, 이것은 "덜거덕거림"을 초래한다. 이것을 치유하기 위하여, 비상 키(NS)에 인접하여 배열되는 스위치 하우징(SGH)의 부분에 특별 예방책이 취해진다. 도 4에 관하여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비상 키에 인접하는 스위치 하우징의 상기 부분은 프레임(R)의 외측면 상에 전술한 제2 구획(EA21, EA22)을 형성하기 위하여 탄성 다이어프램의 부분이 통하여 강제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애퍼처를 갖는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이들 제2 구획(EA21, EA22)은 비상 키(NS)의 이동을 흡수하고 그래서 비상 키의 덜거덕거림을 방지 또는 최소화하기 위하여 비상 키(NS)와 접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이 경우에는 제2 구획(EA21, EA22)이 비상 키 리셉터클(SAF)의 내측 벽에 대항하여 비상 키를 미는 것이 가능하다. 제2 구획이 탄성 요소 형태인 결과로서, 다시 (도면의 평면에서 위쪽으로) 리셉터클(SAF)로부터 비상 키(NS)를 제거하는 것이 또한 쉽게 가능하다. 이러한 식으로, 다이어프램은 추가적 구조적 기능, 구체적으로는 비상 키에 대한 덜거덕거림 보호를 제공하는 것을 이행한다.
도 5의 상위 구획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키 하우징(SLH)은 커버(ABD)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 디바이스(HE)를 갖는다. 이 경우에는 키 하우징(SLH)의 부분의 형태일 수 있는 커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비상 키에 고정 연결된다. 도면의 상부-좌측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유지 디바이스(HE)는 (도면의 평면에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또는 역으로) 래칭 요소(RE)가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레일(SIE)을 포함하는 정지 유지 구획(HA)을 갖는다. 이 경우에서, 래칭 요소는 도면의 평면에서 우측을 향한 방향으로, 엄밀하게는 커버(ABD)의 래칭 러그(RN)의 방향으로 스프링(FE)에 의해 프리스트레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ABD)는, 래칭 오목부 내로 래칭 러그의 맞물림 때문에, 위쪽으로 커버(ABD)의 이동, 및 비상 키에의 연결 때문에, 도면의 평면에서 우측으로의 이동은 가능하지 않으므로, 래칭 러그(RN)가 대응하는 래칭 오목부(RA) 내로 맞물릴 때 키 하우징(SLH) 상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 유지된다.
도 4에 이미 언급된 그리고 애퍼처(D31)를 통해 나와 커버(ABD)에 인접하는 상기 애퍼처로부터 빠져나가는 다이어프램의 제3 구획(EA31)을 이제 참조할 것이다. 커버(ABD)가 도면의 평면에서 상부로부터 저부로 키 하우징(SLH) 상에 맞춰지면(여기서 비상 키(NS)는 리셉터클(SAF) 내 삽입됨), 탄성 변형가능한 제3 구획(EA31)은 압축되고 그 과정 중에 도면의 평면에서 저부로부터 상부로 반대 힘(FR)을 발생시킨다. 이것은, 커버(ABD)의 유지된 상태에서, (래칭 러그가 래칭 오목부(RA)에 수용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칭 오목부의 하위 부분 또는 커버는 제3 구획(EA31)에 의해 래칭 러그(RN)에 대항하여 항상 프리스트레싱된다.
래칭 요소(RE)가 이제 (스프링(FE)의 힘에 대항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도면의 평면에서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그루브형 상부면에 의해 밀리면, 래칭 러그(RN)는 래칭 러그 및 래치 오목부가 최종적으로 더 이상 상호작용하지 않을 때까지 래칭 오목부로부터 밀려 나온다. 래칭 요소의 이러한 위치에서, 그 후 커버(ABD)는 해제되고, 프리텐셔닝 힘(FR) 때문에, 제3 구획(EA31)에 의해 비상 키(NS)와 함께 도면의 평면에서 위쪽으로 키 하우징(SLH)으로부터 멀리 밀린다. 비상 키(NS)와 함께 커버는 이제 사용자가 쉽게 움켜잡을 수 있고 그래서 비상 키(NS)는 예를 들어 차량을 기계적으로 열기 위하여 그 리셉터클(SAF)로부터 회수될 수 있다. 그래서, 다이어프램은 추가적 구조적 기능, 구체적으로는 비상 키에 대한 이젝터 기능 또는 커버(ABD)의 자동 들어올림을 이행하고, 그래서 스프링과 같은 추가적 부가적 컴포넌트가 절약될 수 있다.
이제 스위치 하우징의 실내가 더 상세히 설명되도록 의도되는 도 6을 이제 참조할 것이다.
도 6의 A를 이제 보면, 상기 도면은 스위치 하우징(SGH)의 후면도, 즉, 도면의 평면에 놓여 있는 축 둘레로 180°로 회전되는 도 4의 관점에서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각각, 위에서 이미 기술된 제2 및 제3 구획(EA21, EA22, EA31)에 부가하여, 제4 구획(EA41, EA42, EA43, EA44)이, 각각, 스위치 하우징(SGH)의 그리고 프레임(R)의 실내에 다이어프램에 의해 형성되며, 전기 스위칭 요소 및 아마도 추가적 전기 또는 전자 컴포넌트가 맞춰질 수 있는 인쇄 회로 기판(LP)이 상기 제4 구획 상에 장착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인쇄 회로 기판(LP)은 제4 구획(EA41 내지 EA44) 상에 장착되기 위하여 스위치 하우징(SGH)의 또는 프레임(R)의 실내에 삽입될 수 있음이 도 6의 B의 분해 예시도로부터 명확하다. 그 후 캡 요소(DE)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상에 맞춰지며, 상기 캡 요소는 4개의 돌출부를 갖고, 그 중 돌출부(DV2, DV3, DV4)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캡 요소(DE)는 또한 중심에 오목부(BAN)를 갖고, 예를 들어 배터리가 전자 키 내 에너지 저장소로서 상기 오목부에 제공된다.
도 6의 C는 이제 도 6의 B에 따른 스위치 하우징(SGH)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인쇄 회로 기판(LP)은 (도면에서 제4 구획(EA42, EA43)에 의해 형성된) 다이어프램의 제4 구획에 의해 상부로부터 그리고 캡 요소(DE)의 돌출부에 의해 (도면에서 돌출부(DV2, DV3)에 의해) 아래로부터 우선 유지됨이 상기 도면으로부터 명확하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제4 구획(EA42, EA43)은, 특히, 스위치 하우징(SGH)이 조립되고 캡 요소(DE)의 돌출부(DV2, DV3)에 대항하여 인쇄 회로 기판(LP)을 밀 때 변형된다. 제4 구획(EA42, EA43)이 변형가능하므로, 공차 보상을 갖는 인쇄 회로 기판 지지가 또한 상기 구획에 의해 제공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구획은 키 하우징을 통하여 스위치 하우징에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고, 그래서 외측으로부터의 환경적 영향에 대항하는 추가적 보호를 제공한다. 그래서, 다이어프램은 그것이 인쇄 회로 기판(LP)에 대한 보호 및 또한 공차 보상을 보장하는 추가적 구조적 기능을 맡는다.
최종적으로, 도 4에 도시된 구획(A-A)의 단면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는 도 7을 참조할 것이다. 이러한 구획은 프레임(R)이 캡 요소에 의해 저부면에서 덮이는 스위치 하우징(SGH)을 나타내고 있으며, 여기서 인쇄 회로 기판(LP)은 상부면에서 다이어프램의 제4 구획(EA41)에 의해 그리고 저부면으로부터 캡 요소의 돌출부(DV1)에 의해 유지된다. LED("발광 다이오드")의 형태일 수 있는 광원(LED)은 특히 인쇄 회로 기판(LP) 상에 놓여 있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슬라이스의 특별한 특징은 프레임(R) 내 애퍼처(D51)를 통해 나오는 다이어프램의 구획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다이어프램의 이러한 제5 구획(EA51)은 스위치 하우징의 실내에서의 광을 위한 커플링-인 구획(EKAS)을 갖고, 상기 커플링-인 구획은 광원(LED)에 인접하여 배열되되, 광(L)은 그것이 다시 마지막으로 빠져나가는 출력 구획(AAS)에 다이어프램의 제5 구획(EA51)을 통해 인도된다. 이러한 식으로, 다이어프램은 부가적으로는 제5 구획(EA51)의 영역에서 라이트 가이드로서 사용되고 결과로서 특수 라이트 가이드와 같은 부가적 컴포넌트가 절약될 수 있게 하는 추가적 구조적 기능을 이행한다.
그래서, 도면의 설명은 전자 키 내에서 다수의 구조적 기능을 수행하는 스위치 하우징을 기술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가요성 변형가능하거나 탄성인 다이어프램이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사용은 부가적 부품에 대한 절약을 제공한다. 더욱, 부품 감축에 부가하여, 다이어프램의 다용도는 또한 그렇지 않았더라면 부가적 부품이 필요로 하였을 설치 공간이 감축될 수 있게 한다. 마지막으로, 도입 부분에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다이어프램에 의해 프레임에 제공되는 애퍼처의 닫힘은 물의 침투와 같은 환경적 영향에 대항하여 보호를 보장하고, 다이어프램을 지지함으로써 키 하우징 내 다양한 컴포넌트를 장착하기 때문에 진동의 흡수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스위치 하우징(SGH)은 (주 컴포넌트로서) 프레임 및 (소프트 컴포넌트로서) 연관된 다이어프램을 형성하기 위한 2-컴포넌트 사출-성형 공정 때문에 단순한 방식으로 생산되어 전술한 수많은 구조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Claims (11)

  1. 특히 차량용 전자 키(FZS)로서,
    - 키 하우징(SLH); 및
    - 상기 키 하우징에 제공되는 스위치 하우징(SGH)으로서,
    -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퍼처(DUX, DUY; D5)를 갖는 본질적으로 치수적으로 강성인 프레임(R), 및 또한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애퍼처를 닫도록 그리고 상기 프레임(R) 내 배열되는 전기 스위칭 요소(SE)에 외측으로부터 상기 애퍼처의 영역에서 다이어프램 상에 작용하는 힘을 전하도록 상기 프레임(R) 상에 배열되는 가요성 변형가능한 상기 다이어프램(M)을 포함하는 상기 스위치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M) 및 상기 프레임(R)은 2-컴포넌트 사출-성형 요소의 형태이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2-컴포넌트 사출-성형 요소의 하드 컴포넌트를 형성하고 상기 다이어프램은 소프트 컴포넌트를 형성하는 전자 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프레임(R)의 외측면 상에 하나 이상의 제1의 미리 결정된 구획(EA11, EA12, EA13, EA14)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의 미리 결정된 구획에서 상기 키 하우징(SLH)의 내측면에 대항하여 지탱하는 전자 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스위치 하우징(SGH)에 인접하여 상기 키 하우징(SLH)에 수용되는 기계적 비상 키(NS)를 더 갖되,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프레임(R)의 외측면 상에서 상기 비상 키(NS)에 인접하여 하나 이상의 제2의 미리 결정된 구획(EA21, EA22)을 형성하고, 상기 제2의 미리 결정된 구획은 상기 비상 키의 이동을 줄이도록 상기 비상 키(NS)에 대항하여 지탱하는 전자 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 하우징(SLH)은,
    -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스위치 하우징(SGH)에 인접하여 배열되는 착탈식 커버(ABD); 및
    - 상기 커버(ABD)를 유지 및 해제하기 위한 유지 디바이스(HE)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 상에서 상기 커버에 인접하여 하나 이상의 제3의 미리 결정된 구획(EA31)을 형성하고, 상기 제3의 미리 결정된 구획은 상기 유지 디바이스(HE)가 상기 커버(ABD)를 해제할 때 상기 커버를 그 위치로부터 밀어내도록 상기 커버(ABD)에 대항하여 지탱하는 전자 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디바이스(HE)는 상기 커버(ABD)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커버(ABD) 내 대응하는 래칭 오목부(RA)에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커버를 해제하기 위해 상기 래칭 오목부로부터 이동되어 나올 수 있는 래칭 러그(latching lug)(RN)를 갖는 전자 키.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비상 키(NS)는 상기 커버(ABD)에 고정 연결되는 전자 키.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스위칭 요소(SE)를 갖는 인쇄 회로 기판(LP)을 포함하되,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스위치 하우징(SGH) 내에서 상기 프레임(R)에 맞춰지는 전자 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M)은 상기 프레임(R)의 내측면 상에 하나 이상의 제4 미리 결정된 구획(EA41, EA42, EA43, EA44)을 형성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LP)은 상기 제4 미리 결정된 구획에 대항하여 지탱하는 전자 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하우징(SGH)은 캡이 상기 스위치 하우징(SGH) 상에 맞춰지는 상태에서 돌출부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제4 미리 결정된 구획에 대항하여 상기 인쇄 회로 기판(LP)을 밀기 위하여 상기 돌출부(DV1, DV2, DV3, DV4)를 갖는 상기 캡(DE)을 갖는 전자 키.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M)은 상기 스위치 하우징(SGH)의 실내에서 외측으로 향하여 나오는 적어도 하나의 제5 미리 결정된 구획(EA51)을 갖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5 구획은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상기 실내에 커플링-인 구획(coupling-in section)(EKAS) 및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외측에 출력 구획(AAS)을 갖고, 광원(LED)은 라이트 가이드로서 상기 다이어프램을 통해 상기 출력 구획으로 광을 인도하기 위해 상기 스위치 하우징의 상기 실내에 상기 커플링-인 구획에 인접하여 배열되는 전자 키.
KR1020157031001A 2013-03-28 2014-03-19 전자 키 KR1017164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205675.3 2013-03-28
DE201310205675 DE102013205675A1 (de) 2013-03-28 2013-03-28 Elektronischer Schlüssel
PCT/EP2014/055481 WO2014154542A1 (de) 2013-03-28 2014-03-19 Elektronischer schlüss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526A true KR20150136526A (ko) 2015-12-07
KR101716433B1 KR101716433B1 (ko) 2017-03-14

Family

ID=50389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1001A KR101716433B1 (ko) 2013-03-28 2014-03-19 전자 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30761B2 (ko)
JP (1) JP6129401B2 (ko)
KR (1) KR101716433B1 (ko)
CN (1) CN105074105B (ko)
DE (1) DE102013205675A1 (ko)
WO (1) WO20141545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69408A (zh) * 2017-09-08 2019-03-15 法雷奥汽车内部控制(深圳)有限公司 用于机动车辆的钥匙组件
DE102017121823A1 (de) * 2017-09-20 2019-03-2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Funkschlüssel für Kraftfahrzeuge
DE102018100715A1 (de) * 2018-01-15 2019-07-1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Elektronisches Handgerät, insbesondere Funkschlüssel, mit einer Dichthaube
KR101994176B1 (ko) 2018-07-03 2019-06-28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포브키
CN110738756A (zh) * 2018-07-03 2020-01-31 大陆汽车有限责任公司 车辆用远程控制设备
KR20200032459A (ko) 2018-09-18 2020-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비금속 광 가이드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1664625S (ko) * 2019-03-05 2020-07-27
DE102019123944A1 (de) * 2019-09-06 2021-03-1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Mobiler Identifikationsgeber für Kraftfahrzeu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41830A1 (en) * 2010-03-30 2011-10-06 Denso Corporation Portable transmitter
KR101151101B1 (ko) * 2005-03-02 2012-06-01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전자 키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475U (ko) * 1994-06-08 1996-01-22 라이팅 리모트콘트롤
JP3793383B2 (ja) 1999-12-24 2006-07-0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の携帯機
JP3960804B2 (ja) 2002-01-08 2007-08-1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キーレスエントリの携帯機の防水構造
JP2004308388A (ja) 2003-04-05 2004-11-04 Toru Takamura らくらくシルバー階段
JP3835427B2 (ja) 2003-04-10 2006-10-18 株式会社デンソー 携帯型送信機
DE102005030081A1 (de) * 2005-06-27 2007-01-04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System für eine schlüssellose Aktivierung einer Schließvorrichtung eines Kraftfahrzeuges
DE102006031727A1 (de) * 2005-07-16 2007-01-25 Marquardt Gmbh Gehäuse, insbesondere für einen elektronischen Schlüssel
JP4733542B2 (ja) * 2006-03-22 2011-07-2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ケース及び携帯機
US7897888B2 (en) * 2006-03-30 2011-03-01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Key fob device and method
DE102006045527A1 (de) * 2006-09-27 2008-04-03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Fernbedienungsschlüssel für Fahrzeuge
DE102006048369A1 (de) * 2006-10-09 2008-04-10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Elektronischer Schlüssel
JP5607503B2 (ja) * 2010-11-09 2014-10-1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イッチ装置
DE102011005038A1 (de) * 2011-03-03 2012-09-0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Tragbare elektronische Benutzervorrichtung
EP2692971B1 (en) * 2011-03-30 2015-07-0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Electronic key
DE102011002286A1 (de) * 2011-04-27 2012-10-31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Mobile Vorrichtung, bei der das innenliegende Schaltelement durch das Gehäuse geschützt ist
CN202039668U (zh) * 2011-04-27 2011-11-16 浙江万超电器有限公司 一种折叠钥匙
JP5615774B2 (ja) * 2011-07-13 2014-10-2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イッチ用パッキン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キー
DE102011052079A1 (de) * 2011-07-22 2013-01-24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Elektronischer Schlüssel für ein Sicherheitssystem mit einem Mechanismus zum Loslösen eines Batteriefachdeckels
DE102013205689B3 (de) * 2013-03-28 2014-09-25 Continental Automotive Gmbh Tragbare elektronische Benutzervorricht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101B1 (ko) * 2005-03-02 2012-06-01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전자 키
US20110241830A1 (en) * 2010-03-30 2011-10-06 Denso Corporation Portable transmi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514774A (ja) 2016-05-23
CN105074105B (zh) 2018-05-25
JP6129401B2 (ja) 2017-05-17
KR101716433B1 (ko) 2017-03-14
WO2014154542A1 (de) 2014-10-02
US9830761B2 (en) 2017-11-28
CN105074105A (zh) 2015-11-18
US20160071346A1 (en) 2016-03-10
DE102013205675A1 (de) 2014-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6433B1 (ko) 전자 키
JP6425002B2 (ja) 携帯型無線キー
JP6270240B2 (ja) 携帯型無線キー
KR101815745B1 (ko) 휴대용 전자 사용자 디바이스
JP6394925B2 (ja) 電子キー
JP2011208450A (ja) 携帯型送信機
JP4816150B2 (ja) 送信機
KR101796614B1 (ko) 차량용 포브 키
CN103688296B (zh) 通过壳体保护内置开关元件的便携式装置
JP2012036668A (ja) 携帯型無線キー
KR20180019944A (ko)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
JP5097080B2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の送信機
JP4812635B2 (ja) スイッチ装置
JP7137445B2 (ja) 電子機器
JP2008223376A (ja) 携帯機
KR101858626B1 (ko) 차량용 카드 키
KR100664220B1 (ko) 클리닝부를 구비한 슬라이드형 휴대폰
KR10063653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팩 록킹장치
KR101480388B1 (ko) 필름형 스위치를 갖는 스마트 키 조립체
JP2016103327A (ja) スイッチボタン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